KR20060103370A - 포락선 검파와 누화 제거 기법을 이용한 새로운 적응형전력증폭기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포락선 검파와 누화 제거 기법을 이용한 새로운 적응형전력증폭기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03370A
KR20060103370A KR1020050025231A KR20050025231A KR20060103370A KR 20060103370 A KR20060103370 A KR 20060103370A KR 1020050025231 A KR1020050025231 A KR 1020050025231A KR 20050025231 A KR20050025231 A KR 20050025231A KR 20060103370 A KR20060103370 A KR 200601033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mplifier
signal
amplitude
scj
err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252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성봉훈
윤민선
Original Assignee
단암전자통신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단암전자통신주식회사 filed Critical 단암전자통신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252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103370A/ko
Publication of KR200601033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0337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1/00Details of 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nly semiconductor devices or only unspecified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1/02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aise the efficiency, e.g. gliding Class A stages, use of an auxiliary oscillation
    • H03F1/0205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aise the efficiency, e.g. gliding Class A stages, use of an auxiliary oscillation in transistor amplifiers
    • H03F1/0211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aise the efficiency, e.g. gliding Class A stages, use of an auxiliary oscillation in transistor amplifiers with control of the supply voltage or current
    • H03F1/0216Continuous control
    • H03F1/0222Continuous control by using a signal derived from the input signal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1/00Details of 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nly semiconductor devices or only unspecified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1/32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educe non-linear distortion
    • H03F1/3223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educe non-linear distortion using feed-forward
    • H03F1/3229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educe non-linear distortion using feed-forward using a loop for error extraction and another loop for error subtraction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1/00Details of 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nly semiconductor devices or only unspecified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1/32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educe non-linear distortion
    • H03F1/3241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educe non-linear distortion using predistortion circuits
    • H03F1/3282Acting on the phase and the amplitude of the input signal
    • H03F1/3288Acting on the phase and the amplitude of the input signal to compensate phase shift as a function of the amplitude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details of 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nly semiconductor devices or only unspecified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covered by H03F1/00
    • H03F2201/32Indexing scheme relating to 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educe non-linear distortion
    • H03F2201/3212Using a control circuit to adjust amplitude and phase of a signal in a signal path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details of 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nly semiconductor devices or only unspecified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covered by H03F1/00
    • H03F2201/32Indexing scheme relating to 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educe non-linear distortion
    • H03F2201/3227Adaptive predistortion based on amplitude, envelope or power level feedback from the output of the main amplifi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Amplifi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드포워드(FF: feedforward) 등의 방식에 적용 가능한 새로운 적응형 선형 전력증폭기(adaptive linear power amplifier) 구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한 실시예로서 피드포워드의 경우, 왜곡된 전력증폭기 출력신호를 적응적으로 보상하기 위해서 전력증폭기의 주증폭기(main amplifier)와 에러증폭기(error amplifier) 입력신호의 진폭(amplitude)과 위상 (phase)을 적응적으로 조정하게 된다. 이를 위해서 기존 방식에서는 RF 파일럿(RF pilot) 신호나 RF 상관기(RF correlator)를 통한 상관 기법을 사용해 왔지만, 본 발명에서는 저가의 적응형 선형 전력증폭기를 구현하기 위해서 SCJ 모듈을 고안하였으며, 이 모듈을 통해서 디지털 신호 처리기(DSP: digital signal processor)로 들어오는 신호와 함께 새로운 제어 알고리즘(control algorithm)을 이용하여 주증폭기와 에러증폭기 입력신호의 진폭과 위상을 적응적으로 조정하게 된다. 주증폭기와 에러증폭기 입력신호의 진폭과 위상의 적응적인 조정은 각각 다른 주기를 가지며, 반복적으로 이루어진다.
SCJ 모듈, 전력증폭기, 적응형 피드포워드, 포락선 검파, 누화 제거 기법, 동기 검파, 디지털 신호 처리기

Description

포락선 검파와 누화 제거 기법을 이용한 새로운 적응형 전력증폭기 및 그 제어방법 {A new adaptive power amplifier using envelope detection and cross-talk cancellation technique and a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도 1은 기존의 RF 파일럿 신호를 이용한 적응형 피드포워드 선형 전력증폭기 구조에 대해서 보여주고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적응형 선형 전력증폭기를 구현하기 위한 제1의 실시예에 대해서 보여주고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적응형 선형 전력증폭기를 구현하기 위한 제2의 실시예에 대해서 보여주고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적응형 선형 전력증폭기를 구현하기 위한 제3의 실시예에 대해서 보여주고 있다.
도 5는 SCJ 모듈의 제1실시예(이하, "SCJ 모듈 I")의 구성에 대해서 보여주고 있다.
도 6은 SCJ 모듈의 제2실시예(이하, "SCJ 모듈 II")의 구성에 대해서 보여주고 있다.
도 7은 SCJ 모듈의 제3실시예(이하, "SCJ 모듈 III")의 구성에 대해서 보여주고 있다.
도 8은 한 실시예로서 제어신호를 이용한 적응형 피드포워드의 경우에, 첫번째 루프와 두번째 루프를 적응적으로 제어하는 과정을 흐름도로 보여주고 있다.
도 9는 도 2에 SCJ 모듈 I을 적용하여 피드포워드의 첫 번째 루프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회로의 제1실시예의 구성에 대해서 보여주고 있다.
도 10은 도 2에 SCJ 모듈 I을 적용하여 피드포워드의 첫 번째 루프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회로의 제2실시예의 구성에 대해서 보여주고 있다.
도 11은 도 2에 SCJ 모듈 I을 적용하여 피드포워드의 두 번째 루프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회로의 제1실시예의 구성에 대해서 보여주고 있다.
도 12는 도 2에 SCJ 모듈 I을 적용하여 피드포워드의 두 번째 루프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회로의 제2실시예의 구성에 대해서 보여주고 있다.
도 13은 도 2에 SCJ 모듈 II, III을 적용하여 피드포워드의 첫 번째 루프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회로의 제1실시예의 구성에 대해서 보여주고 있다.
도 14는 도 2에 SCJ 모듈 II, III을 적용하여 피드포워드의 첫 번째 루프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회로의 제2실시예의 구성에 대해서 보여주고 있다.
도 15는 도 2에 SCJ 모듈 II, III을 적용하여 피드포워드의 두 번째 루프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회로의 제1실시예의 구성에 대해서 보여주고 있다.
도 16은 도 2에 SCJ 모듈 II, III을 적용하여 피드포워드의 두 번째 루프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회로의 제2실시예의 구성에 대해서 보여주고 있다.
도 17은 도 4에 SCJ 모듈 I을 적용하여 피드포워드의 두 번째 루프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회로의 제1실시예의 구성에 대해서 보여주고 있다.
도 18은 도 4에 SCJ 모듈 I을 적용하여 피드포워드의 두 번째 루프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회로의 제2실시예의 구성에 대해서 보여주고 있다.
도 19는 도 4에 SCJ 모듈 II, III을 적용하여 피드포워드의 두 번째 루프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회로의 제1실시예의 구성에 대해서 보여주고 있다.
도 20은 도 4에 SCJ 모듈 II, III을 적용하여 피드포워드의 두 번째 루프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회로의 제2실시예의 구성에 대해서 보여주고 있다.  
본 발명은 디지털 신호 처리기를 이용한 새로운 적응형 전력증폭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한정된 주파수 대역에서 초고속 광대역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다중레벨 변조기법(multi-level modulation techniques)은 부호 분할 다중접속 (CDMA: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과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화(OFDM: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방식에서 최대전력대 실효전력비 (PAPR: peak-to-average power ratio)의 증가를 가져오며, 이는 전력증폭기에 의한 혼변조 왜곡(IMD: inter-modulation distortion) 성분의 생성을 초래하여 신호의 왜곡과 스펙트럼 재확산(spectral regrowth)에 의한 인접채널 간섭(ACI: adjacent-channel interference) 영향을 미치게 된다.
이런 전력증폭기의 비선형 왜곡 특성을 보상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종래에는 A급 증폭기와 같이 효율은 낮지만 선형성이 우수한 증폭기를 사용하거나 또는 포화영역(saturation region)으로부터의 백오프(back-off) 량을 늘리는 방법 등을 사용하여 왔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RF 변환 효율이 낮고, 고전류 동작점(high current operating point)에서 동작하여 원치 않는 열잡음(Thermal Noise)이 많이 발생하는 문제점을 갖는다.
이에 대한 해결방안으로서, AB급이나 B급 등 효율이 높은 비선형 증폭기를 사용하는 대신에 비선형 특성을 보상(compensation) 할 수 있는 선형화 기법을 현재 많이 사용해 오고 있다. 현재까지 개발된 증폭기 선형화 기법으로는 피드백(FB: feed-back) 기법과 전왜곡(PD: predistortion) 기법 그리고 피드포워드(FF: feed-forward) 기법 등이 있다.
피드백 방식에는 직접 피드백(direct FB) 방식인 카테시언 피드백(cartesian FB) 방식과 간접 피드백(indirect FB) 방식인 폴라 피드백(polar FB) 방식이 있다. 이 방식은 좋은 선형화 특성을 갖지만 대역폭이 제한되고 안정도가 다소 떨어지는 문제점을 갖는다.
전왜곡 방식으로는 디지털 전왜곡(digital predistortion) 방식과 아날로그 전왜곡(analog predistortion) 방식이 있다. 아날로그 전왜곡 방식은 다중 반송파 (multi-carrier) 신호를 포함한 광대역 신호에 대하여 선형화가 가능하며 안정도가 우수하지만 선형화 능력이 피드백 방식보다 낮다는 문제점을 갖는다. 특히 아날로그 전왜곡 방식에서 사용되는 전왜곡기(predistorter)는 메모리를 사용하지 않는 비선형 전왜곡기로서 고출력 전력증폭기에 의해 발생하는 3차 혼변조 왜곡(third- order IMD) 성분의 제거나 감소를 목적으로 하나, 회로가 복잡하고 이에 따라 신뢰도와 양산성이 낮다는 문제점을 갖는다.
한편, 피드포워드 방식은 회로 구현에 있어서 크기와 비용은 다소 증가하지만, 광대역(wideband) 신호에 있어서 가장 우수한 선형화 특성을 가지며 25MHz 대역 이상의 광대역 신호에 있어서 조정용량(correction capacity)이 20~25dB 정도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피드포워드 기법에서 에이징(aging)이나 온도 변화 등 가변적인 환경(variable environment)에 대해서 신뢰할 수 있는 성능을 지속적으로 유지하기 위해서는 전력증폭기에 의해서 비선형적으로 증폭되는 RF 신호의 진폭과 위상이 적응적으로 계속 조정되어야 한다.
기존의 적응적인 피드포워드 선형 전력증폭기를 위한 제어기법으로는 전력 검파기(power detector)를 이용한 “전력 최소화(power minimization) 기법”과, RF 상관기(RF correlator)를 이용한 “RF 신호 상관 기법”, 그리고 확산(spreading) 또는 호핑(hopping) 파일럿 신호(pilot signal)를 이용한 “RF 파일럿 신호 삽입 기법” 등이 있다.
전력 최소화 기법은 전력 검파기를 이용하여 검파된 전력이 최소화되도록 RF 신호를 제어하는 기법으로 에러증폭기의 입력으로 들어오는 신호의 전력을 검파하여 전력이 최소화되도록 제어 회로를 통해 주증폭기 입력 신호의 진폭과 위상을 조정하고, 주증폭기의 입력 신호와 증폭기의 최종 출력 신호의 전력을 각각 검파하여 증폭기 최종 출력 신호의 전력, 또는 좀더 엄격하게 말해서 최종 출력 신호의 대역외 혼변조 신호 성분의 전력이 최소화되도록 에러증폭기의 입력신호의 진폭과 위상 을 조정하는 기법이다.
RF 신호 상관 기법은 두 RF 신호의 상관성이 감소하도록 RF 신호를 제어하는 기법으로, RF 상관기를 이용하여 주증폭기의 입력 신호와 에러증폭기의 입력 신호의 상관성이 감소하도록 제어 회로를 통한 주증폭기의 입력 신호의 진폭과 위상을 조정하고, 에러증폭기의 입력 신호와 증폭기 최종 출력 신호의 상관성이 감소하도록 에러증폭기의 입력 신호의 진폭과 위상을 조정하는 기법이다.
RF 파일럿 신호 삽입 기법은(도 1 참조), 검출된 RF 파일럿 신호를 통해서 증폭기에 의해서 왜곡된 진폭 왜곡(AM/AM)과 위상 왜곡(AM/PM)을 추정하여 RF 신호를 제어하는 기법으로서, 주증폭기(4)의 입력 신호에 RF 파일럿 신호(1)를 삽입한 후에 에러증폭기(8)의 입력신호의 전력을 검파기(2)로 검출하여 제어회로(6)를 통해 전력이 최소화 되도록 주증폭기(4)의 입력 신호의 진폭과 위상을 조정하고, 최종 출력신호에 들어 있는 RF 파일럿 신호를 검파기(2')로 검출하여 제어회로(6')를 통해 이 RF 파일럿 신호의 전력이 최소화 되도록 에러증폭기(8)의 입력신호의 진폭과 위상을 조정하는 기법이다.
하지만 상기 전력 최소화 기법은 적은 수의 아날로그 소자를 사용하기 때문에 비용과 증폭기 크기 면에서는 이점을 가지지만, 비동기 검파(noncoherent detection)로 전력 검파가 이루어지고 또한 제어회로(6, 6')가 전력 검파를 통한 스칼라(scalar) 량으로만 가지고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주증폭기(4)와 에러증폭기(8) 입력 신호의 진폭과 위상을 제어하기 때문에 부정확한 제어가 이루어질 수 밖에 없다. 따라서 가변적인 환경에서 대역내 혼변조(in-band IM)와 대역외 혼변조 (out-of-band IM) 왜곡 성분의 제거 성능은 떨어질 수 밖에 없을 것이다. 특히, 스칼라 량으로만 가지고 피드포워드의 각 루프를 제어할 경우 부정확한 정보로 인해서 그 성능은 한계를 가질 수 밖에 없을 것이다.
그리고 RF 신호 상관 기법은 동기 검파(coherent detection)에 의한 전력 검파로서 비동기 검파인 전력 최소화 기법에 비해 다소 정확한 제어 정보를 가지고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주증폭기와 에러증폭기 입력신호의 진폭과 위상을 제어함으로서 좀 더 우수한 성능을 가지지만, RF 상관기 등 아날로그 소자의 증가로 비용과 증폭기 크기가 전력 최소화 기법에 비해 증가하는 문제점을 갖는다. 또한 이 기법 역시 스칼라 량으로만 가지고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주증폭기와 에러증폭기 입력 신호의 진폭과 위상을 제어함으로서 전력 최소화 기법이 갖고 있는 문제점을 그대로 가질 수 밖에 없을 것이다.
RF 파일럿 신호 삽입 기법 역시 동기 검파로 이루어지지만 스칼라 량으로만 가지고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주증폭기와 에러증폭기의 입력 신호의 진폭과 위상을 제어함으로서 그 성능은 크게 우수하지 못할 것이다. 하지만 RF 파일럿 신호 삽입 기법이 전력 최소화 기법과 RF 신호 상관 기법에 비해 더 우수한 특성을 갖는 것은 RF 파일럿 신호 삽입 기법은 단지 대역외 혼변조 성분에 의해서만 왜곡된 파일럿 신호의 스칼라 량의 전력 검파로부터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피드포워드의 두번째 루프를 제어하는 반면에 전력 최소화 기법과 RF 신호 상관 기법은 대역내외 신호 성분을 모두 갖고 있는 신호의 스칼라 량의 전력 검파로부터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피드포워드의 두번째 루프를 제어한다는 점이다. 피드포워드의 두번째 루프를 제어할 경우, 대역내 신호 전력 검파는 제어신호를 생성함에 있어서 오히려 간섭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RF 파일럿 신호 삽입 기법은 전력 최소화 기법과 RF 신호 상관 기법 보다는 더 정확한 제어신호를 가지고 루프를 제어 함으로서 더 우수한 성능을 갖는 적응적인 선형 전력증폭기를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RF 파일럿 신호 삽입 기법은 RF 파일럿 신호 생성기(RF pilot signal generator)와 국부발진기(local oscillator) 그리고 혼합기(mixer)와 루프 필터(loop filter) 등 아날로그 소자 수의 증가로 인해서 비용과 증폭기 크기가 증가한다는 문제점을 갖는다. 하지만 여기서 한가지 기억할 것은 RF 파일럿 신호 삽입 기법은 두 번에 걸친 주파수 하향 변환(frequency down-conversion)을 통해서 RF 파일럿 신호를 두 개의 직교성을 갖는 기저대역 신호로 분리해 낼 수 있고, 이를 통해서 에러증폭기의 입력 신호의 진폭과 위상을 벡터적으로 제어함으로서 더 우수한 제어 성능을 가질 수 있다는 점이다. 이는 대역외 혼변조 성분에 의해서만 왜곡된 파일럿 신호를 벡터적으로 전력을 검파함으로서 가장 우수한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두 번에 걸친 주파수 하향 변환을 갖는 RF 파일럿 신호 삽입 기법은 국부발진기와 혼합기 그리고 루프 필터와 같은 아날로그 소자가 추가적으로 더 요구되기 때문에 비용과 크기는 더 증가하는 문제점을 가져 그 한계를 갖는다.
본 발명자는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전력증폭기 선형화 기법에 있어서 단점을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종래의 두번에 걸친 주파수 하향 변환으로 서로 직교성을 갖는 두 개의 기저대역 신호 검출이 이루어지는 RF 파일럿 신호 삽입 기법 과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적응형 제어신호 생성모듈(이하에서는 이 모듈을 "SCJ 모듈"이라 명명함)을 개발하였고, 이를 사용하여 직교성을 갖는 두 기저대역 신호를 통해서 왜곡된 진폭과 위상을 벡터적으로 조정할 때, RF 파일럿 신호 생성기와 국부발진기 그리고 혼합기와 루프 필터와 같은 아날로그 소자를 전혀 필요로 하지 않으면서도 두 번에 걸친 주파수 하향 변환을 갖는 RF 파일럿 신호 삽입 기법에 의한 선형화 성능에 필적하는 적응형 선형 전력증폭기를 개발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비용과 전력증폭기 크기 면에서도 큰 장점을 가질 뿐만 아니라 고전력 증폭기에 있어서 우수한 선형화 특성을 갖는 적응적인 선형 전력증폭기이다.
본 발명은 상기 전력 최소화 기법에서 사용된 것과 거의 같은 수의 아날로그 소자를 사용하여, 벡터적으로 신호의 진폭과 위상을 조정하는 RF 파일럿 신호 삽입 기법과 같은 기능을 수행한다.
본 발명은 크게, RF부와 제어부로 구성된다. RF부는 도 2~6에 나타내었고, 제어부는 도 7~12에 나타내었다. 제어부는 DSP의 일부가 될 수 있다(이하의 설명에서는 “제어부”란 용어와 “DSP”란 용어를 혼용하고 있다).
본 발명에서는 한 실시예로서, 피드포워드 전력증폭기의 구성인 주증폭기의 입력과 에러증폭기의 입력 그리고 증폭기 최종 출력 부분에 SCJ 모듈과 대역외 혼변조성분 추출 모듈(out-of-band IM components extraction module)을 포함하고 있다. 이하 설명하는 본 발명에 따른 SCJ 모듈을 이용한 전력증폭기의 적응적인 제어에 대한 구체적인 실시예는 주증폭기와 에러증폭기를 포함하는 피드포워드 방식을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이 이 피드포워드 기법에만 적용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해 피드포워드 방식 이외의 다른 모든 전력증폭기 기법에도 적용하여 사용될 수 있는 것이다.
우선, 도 2~4를 참조하여 RF부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발명의 RF부에서는 종래의 FF 방식의 구성에서 주증폭기의 입력과 에러증폭기의 입력 및 최종 출력 부분에 SCJ 모듈이 사용된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전력증폭기의 RF부의 제1실시예를 나타낸다. 도2는 입력전력이나 온도 그리고 에이징과 같은 가변적인 환경에서 주증폭기(10)와 에러 증폭기(12)의 비선형 특성이 시변하게 되는데 이를 적응적으로 제어하기 위해서 새로운 적응 제어신호 생성기, 즉 SCJ 모듈(14)을 채용한 적응형 피드포워드 선형 전력 증폭기를 나타낸다. SCJ 모듈의 내부 구성에 대해서는 추후에 설명한다.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전력증폭기의 RF부의 제2실시예를 나타낸다. 도3은 첫번째 루프를 제어하기 위한 벡터 변조기(16)의 위치가 다른 것을 제외하고는 도2와 같은 동작원리를 갖는 적응형 피드포워드 선형 전력 증폭기를 나타낸다.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전력증폭기의 RF부의 제3실시예를 나타낸다. 도4는 두번째 루프를 제어하기 위하여 대역외 혼변조 성분 추출기(20)(예: SAW 필터)를 추가적으로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도2와 같은 동작 원리를 갖는 적응형 피드포워드 선형 전력증폭기를 나타낸다.
도2,3은 주증폭기(10)의 입력과 에러증폭기(12)의 입력 그리고 최종 출력 부분에 있는 SCJ 모듈(14)과 A/D 변환기를 통해서 들어온 신호를 이용하여 DSP(즉 제 어회로)에서 제어신호를 생성하고 이를 통해서 첫번째 루프(first loop, 다른 말로nulling loop라고도 함)와 두번째 루프(second loop, 다른 말로 error loop라고도 함)를 제어하게 된다. 도4에서 첫번째 루프는 도2와 동일하며 두번째 루프()에서는 에러증폭기(12) 입력과 증폭기 최종 출력 부분에서 SCJ 모듈(14)과 함께 대역외 혼변조성분 추출 모듈(20)이 더 추가된다. 도2와 도3에서, 증폭기의 최종 출력 부분에 있는 SCJ 모듈(14)과 A/D 변환기를 통해서 DSP로 입력되는 신호에는 대역내 신호성분과 대역외 신호성분이 함께 포함되어 있다. 하지만 첫번째 루프는 대역내 신호성분에 의해서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제어하게 되고 두번째 루프는 대역외 혼변조신호 성분에 의해서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제어하기 때문에, 두번째 루프 제어에 있어서 대역내 신호성분은 간섭으로 작용하게 된다. 따라서 도2와 도3에서는 증폭기 최종 출력 부분에 있는 SCJ 모듈과 A/D 변환기를 통해서 대역내 신호성분과 대역외 혼변조신호 성분이 함께 포함되어 있는 신호가 DSP로 들어올 때, 주증폭기 입력부분에 있는 SCJ 모듈과 A/D 변환기를 통해서 DSP로 들어온 신호를 이용하여 대역내 신호성분을 제거하게 된다. 이는 주증폭기 입력부분에 있는 SCJ 모듈과 A/D 변환기를 통해서 들어온 신호는 대역내 신호성분만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도4에 추가된 대역외 혼변조성분 추출 모듈(20)은 이와 같은 작업을 하지 않도록 해준다. 이는 증폭기 최종 출력 부분에 있는 대역외 혼변조성분 추출 모듈(20)이 대역내 신호성분은 걸러내고 대역외 혼변조신호 성분만을 추출해내기 때문이다. 또한 에러증폭기(12) 입력 부분과 전력증폭기 최종 출력부분에 있는 대역외 혼변조성분 추출 모듈(20)은 주증폭기(10)와 에러증폭기(12)에 의해서 왜곡된 증폭기 최종 출 력 신호의 진폭과 위상을 검출해 내는데 있어서 DSP의 작업을 더 간단하게 해 준다. 따라서 새로운 적응형 피드포워드 전력증폭기를 구현하기 위한 실시예로서 보여주고 있는 도2, 3과 도4는 서로 trade-off 관계를 갖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도2, 3은 하드웨어가 간단한 반면에 루프 제어를 위한 DSP 처리 과정이 복잡해지고, 반대로, 도4는 하드웨어는 복잡한 반면에 루프 제어를 위한 DSP 처리 과정은 더 간단해진다.
본 발명에서 3dB 커플러와 포락선 검파기 등으로 구성되어 있는 SCJ 모듈을 통해서 RF 신호로부터 기저대역 신호를 추출해 낼 때, 동위상(inphase) 채널에서는 직교위상(quadrature) 채널에 있는 신호 성분이 들어가게 되고, 직교위상 채널에서는 동위상 채널에 있는 신호 성분이 들어가게 되는데 이를 “누화(cross-talk)”라 한다. 그리고 두 채널 신호 성분을 서로 더하고, 빼주어 서로 다른 채널 신호 성분을 제거하게 되는데 이를 “누화 제거 기법(cross-talk cancellation technique)”이라 한다.
한편, 본 발명에 사용된 SCJ 모듈(14)은 도 5와 도 6에서와 같이 3dB 커플러(141) 하나와 포락선 검파기(142)(예를 들어, 쇼트키 다이오드) 두 개로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SCJ 모듈로서 세 가지 실시예를 개시하고 있는데, 도 5와 도 6, 도 7은 본 발명에 적용 가능한 세 가지 형태의 SCJ 모듈의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5에 나타낸 SCJ 모듈 I은 커플러(141)와 포락선 검파기(142)만을 사용하여 구성되어 있고, 도 6에 나타낸 SCJ 모듈 II에서는 각 다이오드의 출력을 분할하는 디바이더(144)가 추가로 포함되어 있다. 여기서 SCJ 모듈 II에는 SCJ 모듈 I의 두 출력 신호가 서로 직교성을 갖도록 하는 하드웨어적 동작이 더 추가된다. 도 7에 나타낸 SCJ 모듈 III에서는 도 6과 유사하지만 포락선 검파기(142)가 디바이더(144) 이전에 위치하고 있다. 이 밖에, 피드포워드 선형 전력증폭기의 첫번째 루프와 두번째 루프를 적응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적응형 제어신호 생성기로서의 상기 세가지 형태의 SCJ 모듈은 다 같은 동작원리를 갖는다.
각 SCJ 모듈의 작용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5에 나타낸 SCJ 모듈 I은 3dB 커플러(141)를 통해서 RF 신호를 전력은 반으로 줄면서 서로 직교성을 갖는, 동위상 신호와 직교위상 신호로 분리한 다음, 쇼트기 다이오드 등의 포락선 검파기(142)에 의한 포락선 검파(envelope detection)를 통해서 두 RF 신호로부터 기저대역 신호(baseband signal)를 각각 추출하게 된다. 이 두 기저대역신호는 A/D 변환기(미도시)를 거쳐서 DSP로 들어가게 된다(향후 설명하겠지만, DSP에서는 SCJ 모듈을 통해서 들어온 두 기저대역신호를 누화제거 기법을 통해서 직교성을 갖는 두 기저대역 신호로 다시 분리해 내게 된다).
이는 상술한 RF 파일럿 신호 삽입 기법과 같이 주증폭기(10)의 입력 신호에 RF 파일럿 신호를 삽입하고 증폭기의 왜곡을 겪은 다음 국부발진기와 혼합기 그리고 루프 필터를 이용하여 RF 파일럿 신호를 직교성을 갖는 두 기저대역 신호로 분리해내는 것과 동일한 기능이다.
하지만 종래의 RF 파일럿 신호 삽입 기법에 있어서는 증폭기의 왜곡을 갖는 RF 파일럿 신호를 직교성을 갖는 두 기저대역 신호로 분리해 내고 이를 통해서 왜곡된 진폭과 위상을 찾아내는데 반해서,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RF 파일럿 신호의 도움 없이 SCJ 모듈을 통한 자체 RF 신호를 직교성을 갖는 두 기저대역 신호로 분리해 내고 이를 통해서 증폭기에 의해서 왜곡된 진폭과 위상을 찾아내게 된다. 다시 말해서, 본 발명의 제어기법은 증폭기에 의해서 왜곡되어진 진폭과 위상 값을 어떤 신호의 도움도 없이 자체 신호를 통해서 추정해 내는 “blind estimation” 기법을 갖는다.
한편, 도6에서, SCJ 모듈 II는 3dB 커플러(141)를 통해서 RF 신호를 동위상 신호와 직교위상 신호로 분리한 다음, 디바이더(144)를 이용한 누화제거 기법을 통해서 각 채널에 들어 있는 누화를 먼저 제거하고, 그런 다음 포락선 검파(142)를 통해서 두 RF 신호로부터 서로 직교성을 갖는 기저대역 신호를 각각 추출해 내게 된다. 직교성을 갖는 이 두 기저대역신호는 A/D 변환기를 거쳐서 DSP로 들어가게 된다. 도7에서, SCJ 모듈 III은 3dB 커플러(141)를 통해서 RF 신호를 동위상 신호와 직교위상 신호로 분리한 다음, 포락선 검파(142)를 통해서 두 RF 신호로부터 기저대역 신호를 각각 추출해 내고, 그런 다음 누화제거 기법을 통해서 각 채널에 들어 있는 누화를 제거하여 직교성을 갖는 두 기저대역신호를 생성하게 된다. 직교성을 갖는 이 두 기저대역신호는 A/D 변환기를 거쳐서 DSP로 들어가게 된다.
SCJ 모듈은 앞서 설명한 도2, 3, 4의 RF부에 모두 적용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는 주증폭기(10)의 입력 신호의 진폭과 위상을 조정하기 위해서 주증폭기(10)의 입력신호와 에러증폭기(12)의 입력신호를 SCJ 모듈(14)과 A/D 변환기를 통해서 디지털신호 처리기(DSP)에서 각각 받게 된다. 이때 주증폭기(10)의 입력신호는 에러증폭기(12)의 입력신호에 들어 있는 주증폭기(10)의 진폭 왜곡과 위상 왜곡 성분을 추출하기 위한 참조신호(reference signal)로 사용된다. 또한 에러증폭기(12)의 입력신호의 진폭과 위상을 조정하기 위해서 주증폭기(10)의 입력신호와 에러증폭기(12)의 입력신호 그리고 증폭기의 최종 출력신호를 각 SCJ 모듈 III(14a, 14b, 14c)”과 A/D 변환기를 통해서 디지털신호 처리기(DSP)에서 각각 받게 된다. 이때 주증폭기(10)의 입력신호와 에러증폭기(12)의 입력신호는 증폭기의 최종 출력신호에 들어 있는 에러증폭기(12)의 진폭 왜곡과 위상 왜곡 성분을 추출하기 위한 참조신호로 사용된다.
본 발명의 제어부에서는 동기 검파를 위해서 샘플홀드(sample-holder) 소자를 사용한다. 다시 말해서, 피드포워드의 첫번째 루프와 두번째 루프를 제어하기 위해서, 주증폭기의 입력신호와 에러증폭기의 입력신호의 진폭과 위상을 조정하게 되는데, 이때 주증폭기의 입력신호와 에러증폭기의 입력신호 그리고 증폭기의 최종 출력신호가 SCJ 모듈과 A/D 변환기를 통해서 DSP로 각각 들어오게 되고 주증폭기의 한 입력신호가 SCJ 모듈과 A/D 변환기를 통해 DSP에서 신호처리가 이루어질 때, 그 신호가 피드포워드의 첫번째 루프를 통과한 다음, 에러증폭기의 입력신호로 들어가서 또 다시 SCJ 모듈을 통해서 DSP에서 신호처리가 이루어지고, 그 신호가 피드포워드의 두번째 루프를 통과한 다음 최종 출력신호로 출력되어져서, 또 다시 SCJ 모듈을 통해서 DSP에서 신호처리가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서 SCJ 모듈과 제어회로 사이에 샘플홀드 소자를 두게 된다.
따라서 도5, 6, 7에서, 동기 검파를 하기 위해서 주증폭기(10)의 입력신호가 SCJ 모듈(14a)에 있는 스위치 (145)에 의해서 한 신호가 시점에서 검출되고 이 신 호가 샘플홀드소자(143)에 저장된다. 그리고 그 신호가 피드포워드의 첫번째 루프를 통과한 다음 에러증폭기(12)의 입력신호로 들어가서 다시 SCJ 모듈(14b)에 있는 스위치(145)에 의해서 검출되기 위해서 SCJ 모듈(14b)에 있는 스위치(145)는 시점으로부터 피드포워드의 첫번째 루프의 지연시간, 만큼 지연된 후에 검출하여 샘플홀드 소자(143)에 저장하게 된다. 또한 그 신호가 피드포워드의 두번째 루프를 통과한 다음 증폭기 최종 출력신호가 되어 또 다시 SCJ 모듈(14c)에 있는 스위치(145)에 의해서 검출되기 위해서 SCJ 모듈(14c)에 있는 스위치(145)는 시점으로부터 피드포워드의 첫번째 루프와 두번째 루프의 총 지연시간, + 만큼 지연된 후에 검출하여 샘플홀드 소자(143)에 저장하게 된다. SCJ 모듈에 있는 스위치의 신호검출 속도는 DSP 칩의 CPU 명령에 의해서 조정된다. 실제로, 스위치(145)는 샘플홀드 소자(143) 내에 들어 있으며 샘플홀드 소자(143)는 크게 스위치(145)와 그 스위치에 의해서 검출된 신호를 저장하는 메모리로 구성되어 있다. 하지만 도5, 6, 7에서는 도면을 간편하고 명확하게 보여주기 위해서 샘플홀드 소자의 스위치와 메모리를 분리해서 나타내었으며 여기서는 샘플홀드 소자를 편의상 메모리로 나타내었다.
본 발명에 따른 적응형 전력증폭기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SCJ 모듈과 대역외 혼변조성분 추출 모듈 그리고 A/D 변환기를 통해서 DSP로 들어온 신호를 이용하여 피드포워드의 첫번째 루프와 두번째 루프를 제어하는 제어 알고리즘에 대해서 자세히 보여주고 있다. 피드포워드의 첫번째 루프를 제어하기 위해서는 주증폭기에 의해서 왜곡된 진폭과 위상 왜곡 값을 정확하게 추정(estimation)할 수 있어야 하고, 두번째 루프를 제어하기 위해서는 주증폭기와 에 러증폭기에 의해서 왜곡된 진폭과 위상 왜곡 값을 정확하게 추정할 수 있어야 한다.
피드포워드의 첫번째 루프와 두번째 루프를 제어하기 위한 원천 제어신호 (source control signal)는 SCJ 모듈을 통해서 생성된다. 그런 다음 A/D 변환기를 통해서 DSP로 들어오면, DSP는 주증폭기 입력신호를 기준으로 에러증폭기 입력신호와 증폭기 최종 출력신호의 진폭과 위상 왜곡의 정도를 추정해 내게 된다. 하지만 온도나 에이징과 같은 증폭기의 가변적인 환경과 함께 증폭기로 입력되는 신호의 순시전력(instantaneous power)이 매번 다르기 때문에, 이 추정 값이 그 다음 신호에 대해서 같은 진폭과 위상 왜곡 값을 갖지는 않을 것이다. 이는 증폭기의 입력으로 들어가는 신호의 포락선 변동율(envelope fluctuation rate) 또는 최대전력대 실효전력비가 클수록 증폭기에 의한 진폭과 위상 왜곡 정도를 예측하는 것은 더욱 어려워 질 것이다. 따라서 실시간적으로 예측되는 증폭기의 진폭과 위상 왜곡값에 대한 에러를 줄이기 위해서, 본 발명에서는 LMS(least mean square), KALMAN 또는 hybrid KALMAN/LMS 등 다양한 등화(equalization) 알고리즘을 사용하게 된다.
도 8은 제어신호를 이용한 피드포워드의 경우에 첫번째 루프와 두번째 루프를 적응적으로 제어하는 제어회로(즉, DSP)의 작용을 흐름도를 통해서 보여주고 있다. 우선, 피드포워드 선형 전력증폭기에 RF 신호가 입력되면[801], DSP는 SCJ 모듈과 A/D 변환기를 통해 입력된 주증폭기 입력신호의 진폭과 위상값을 추정하고[803], 역시 SCJ 모듈과 A/D 변환기를 통해 입력된 에러증폭기 입력신호의 진폭과 위상 왜곡값을 추정한다[805]. 다음에, LMS, KALMAN 또는 hybrid KALMAN/LMS 등 다 양한 등화 알고리즘를 사용하여 주증폭기에 의해 발생된 에러증폭기 입력신호의 진폭과 위상 왜곡값에 대한 에러를 최소화하는 제어신호를 추정하고[807], 이 제어신호를 피드포워드의 첫번째 루프에 있는 벡터 변조기에 인가한다[809]. 이때 추정된 진폭과 위상값에 대한 에러가 소정의 임계값 I보다 작은지 체크한다[811]. 추정된 진폭과 위상값에 대한 에러가 임계값 I보다 작지 않다면[812] 다시 단계 807로 되돌아가고, 추정된 진폭과 위상값에 대한 에러가 임계값 I보다 작다면 다음 단계, 즉, SCJ 모듈과 A/D 변환기를 통해 DSP로 입력된 최종 출력신호의 진폭과 위상 왜곡값을 추정한다[813]. 그리고 첫번째 루프에서와 같이, LMS, KALMAN 또는 hybrid KALMAN/LMS 등 다양한 등화 알고리즘를 사용하여 주증폭기와 에러증폭기에 의해 발생된 최종 출력신호의 진폭과 위상값 에러를 최소화하는 제어신호를 추정하고[815], 이를 피드포워드의 두번째 루프에 있는 벡터 변조기에 인가한다[817]. 다음에 다음 비트에 대해서 이상의 기능을 반복하기 위하여 카운터(counter) N값을 1 증가시키고[819] 추정된 진폭과 위상값에 대한 에러가 소정의 임계값 II보다 작은지 체크하여[821], 추정된 진폭과 위상값에 대한 에러가 소정의 임계값 II보다 작지 않다면[822] 다시 N이 임의의 정수 L보다 큰지 체크한다[823]. 만일 N>L이라면 다시 단계 807로 돌아감[824]과 동시에 단계 811에서 이용된 임계값 I을 변경하고[825], N>L이 아니라면 단계 815로 돌아간다[826]. 단계 821에서의 체크 결과, 추정된 진폭과 위상값에 대한 에러가 소정의 임계값 II보다 작다면 DSP의 기능이 완료되어 피드포워드의 최종 출력신호를 출력하게 된다[821].
도9~도20을 참조한 이하의 설명은 본 발명에 따른 기술사상을 실제로 적용한 예를 소개하고 있다. 이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피드포워드 방식의 전력증폭기에 적용한 것을 예시하고 있다. 각 SCJ 모듈의 유형별로 회로 구성을 소개한다.
  도9는 도 2에 나타낸 실시예의 RF부에 SCJ 모듈 I을 적용하여 피드포워드의 첫 번째 루프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회로(110)의 제1실시예에 대해서 보여주고 있는데, 이는 주증폭기(10)에 의한 진폭과 위상 왜곡에 대한 예측에 있어서 1-tap LMS 등화기를 사용하는 경우에 대해서 보여주고 있다.
도10은 도 2에 SCJ 모듈 I을 적용하여 피드포워드의 첫 번째 루프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회로(110)의 제2실시예의 구성에 대해서 보여주고 있는데, 이는 주증폭기(10)에 의한 진폭과 위상 왜곡에 대한 예측에 있어서 Multi-tap LMS 등화기를 사용하는 경우에 대해서 보여주고 있다.
도 11은 도 2에 SCJ 모듈 I을 적용하여 피드포워드의 두 번째 루프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회로(110)의 제1실시예의 구성에 대해서 보여주고 있는데, 이는 주증폭기(10)와 에러증폭기(12)에 의한 진폭과 위상 왜곡에 대한 예측에 있어서 1-tap LMS 등화기를 사용하는 경우에 대해서 보여주고 있다.
도 12는 도 2에 SCJ 모듈 I을 적용하여 피드포워드의 두 번째 루프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회로(110)의 제2실시예의 구성에 대해서 보여주고 있는데, 이는 주증폭기(10)와 에러증폭기(12)에 의한 진폭과 위상 왜곡에 대한 예측에 있어서 Multi-tap LMS 등화기를 사용하는 경우에 대해서 보여주고 있다.
도 13은 도 2에 SCJ 모듈 II, III을 적용하여 피드포워드의 첫 번째 루프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회로(110)의 제1실시예의 구성에 대해서 보여주고 있는데, 이는 주증폭기(10)에 의한 진폭과 위상 왜곡에 대한 예측에 있어서 1-tap LMS 등화기를 사용하는 경우에 대해서 보여주고 있다.
도 14는 도 2에 SCJ 모듈 II, III을 적용하여 피드포워드의 첫 번째 루프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회로(110)의 제2실시예의 구성에 대해서 보여주고 있는데, 이는 주증폭기(10)에 의한 진폭과 위상 왜곡에 대한 예측에 있어서 Multi-tap LMS 등화기를 사용하는 경우에 대해서 보여주고 있다.
도 15는 도 2에 SCJ 모듈 II, III을 적용하여 피드포워드의 두 번째 루프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회로(110)의 제1실시예의 구성에 대해서 보여주고 있는데, 이는 주증폭기(10)와 에러증폭기(12)에 의한 진폭과 위상 왜곡에 대한 예측에 있어서 1-tap LMS 등화기를 사용하는 경우에 대해서 보여주고 있다.
도 16은 도 2에 SCJ 모듈 II, III을 적용하여 피드포워드의 두 번째 루프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회로(110)의 제2실시예의 구성에 대해서 보여주고 있는데, 이는 주증폭기(10)와 에러증폭기(12)에 의한 진폭과 위상 왜곡에 대한 예측에 있어서 Multi-tap LMS 등화기를 사용하는 경우에 대해서 보여주고 있다.
도 17은 도 4에 SCJ 모듈 II, III을 적용하여 피드포워드의 두 번째 루프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회로(110)의 제1실시예의 구성에 대해서 보여주고 있는데, 이는 주증폭기(10)와 에러증폭기(12)에 의한 진폭과 위상 왜곡에 대한 예측에 있어서 1-tap LMS 등화기를 사용하는 경우에 대해서 보여주고 있다.
도 18은 도 4에 SCJ 모듈 I을 적용하여 피드포워드의 두 번째 루프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회로(110)의 제2실시예의 구성에 대해서 보여주고 있는데, 이는 주증 폭기(10)와 에러증폭기(12)에 의한 진폭과 위상 왜곡에 대한 예측에 있어서 Multi-tap LMS 등화기를 사용하는 경우에 대해서 보여주고 있다.
도 19는 도 4에 SCJ 모듈 II, III을 적용하여 피드포워드의 두 번째 루프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회로(110)의 제1실시예의 구성에 대해서 보여주고 있는데, 이는 주증폭기(10)와 에러증폭기(12)에 의한 진폭과 위상 왜곡에 대한 예측에 있어서 1-tap LMS 등화기를 사용하는 경우에 대해서 보여주고 있다.
도 20은 도 4에 SCJ 모듈 II, III을 적용하여 피드포워드의 두 번째 루프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회로(110)의 제2실시예의 구성에 대해서 보여주고 있는데, 이는 주증폭기(10)와 에러증폭기(12)에 의한 진폭과 위상 왜곡에 대한 예측에 있어서 Multi-tap LMS 등화기를 사용하는 경우에 대해서 보여주고 있다.
이상에서, 주증폭기와 에러증폭기에 의해 왜곡되는 진폭과 위상 값을 추정하기 위한 등화 알고리즘으로 본 발명에서는 LMS 등화 알고리즘에 대해서만 보여주고 있으나 KALMAN 또는 hybrid KALMAN/LMS 등화 알고리즘 등 다양한 등화 알고리즘이 사용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또한, 도9~20에 예시한 제어회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변형실시할 수 있는 디지털신호처리기술(DSP)로서 첨부한 도면의 구성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SCJ 모듈을 이용한 전력증폭기의 적응적인 제어는 피드포워드 기법 외에 다른 모든 전력증폭기 기법에도 적용하여 사용될 수 있다. 예를들어 SCJ 모듈을 이용한 적응적인 피드백 기법이나 SCJ 모듈을 이용한 적응적인 전왜곡 기법 등에 모두 적용가능하다.   
본 발명은 SCJ 모듈이 RF 파일럿 신호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면서도 RF 파일럿 신호 생성기와 국부발진기 그리고 혼합기와 루프 필터와 같은 아날로그 소자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는 장점을 갖는다. 그리고 직교성을 갖는 두 기저대역 신호를 통해서 벡터적으로 왜곡된 진폭과 위상을 조정하게 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비용과 전력증폭기 크기 면에서도 큰 장점을 가질 뿐만 아니라, 고전력 증폭기에 있어서 우수한 선형화 특성을 갖는 선형 전력증폭기이다. 본 발명은 CDMA 셀룰러 및 PCS, IMT-2000, 4세대 이동통신 그리고 B-WLL, LMDS, 양방향 디지털 CATV, 위성 통신, 무선 멀티미디어 시스템 등의 기지국용 증폭기에 널리 사용될 수 있다.  

Claims (5)

  1. 주증폭기 및 에러증폭기를 포함하는 RF부와, 이 RF부를 흐르는 피증폭 전력신호의 비선형성을 적응적으로 보상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적응형 전력증폭기에 있어서,
      상기 RF부는, 주증폭기의 입력과 에러증폭기의 입력 그리고 증폭기의 최종 출력 부분에 각각 추가되는 SCJ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동기 검파를 위해서 샘플홀드 소자를 포함하되,
      상기 SCJ 모듈로 들어오는 RF 신호는 포락선 검파되어 누화제거 기법에 의해 직교성을 갖는 두 기저대역 신호로 분리되고,
      주증폭기의 입력 신호의 진폭과 위상을 조정하기 위해서 주증폭기의 입력 신호와 에러증폭기의 입력신호는 SCJ 모듈을 통해서 상기 제어부로 입력되고,
      에러증폭기의 입력 신호의 진폭과 위상을 조정하기 위해서 주증폭기의 입력 신호와 에러증폭기의 입력신호 그리고 증폭기의 최종 출력신호는 SCJ 모듈을 통해서 상기 제어부로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락선 검파와 누화제거 기법을 이용한 적응형 선형 전력증폭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 입력되는 주증폭기의 입력신호는 에러증폭기의 입력신호에 들어 있는 주증폭기의 진폭과 위상 왜곡 성분을 추출하기 위한 참조신호로 사용되고,
      상기 제어부에 입력되는 주증폭기와 에러증폭기의 입력신호는 증폭기의 최종 출력신호에 들어 있는 주증폭기와 에러증폭기에 의한 진폭과 위상 왜곡 성분을 추출하기 위한 참조신호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락선 검파와 누화제거 기법을 이용한 적응형 선형 전력증폭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SCJ 모듈은 들어오는 RF 신호의 전력은 반으로 줄면서 서로 직교성을 갖는 두 RF 신호로 분리하는 커플러와, 분리된 두 신호를 포락선 검파하는 한 쌍의 포락선 검파기를 포함하는, 포락선 검파와 누화제거 기법을 이용한 적응형 선형 전력증폭기.
  4.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각 포락선 검파기의 출력을 분할하는 디바이더가 추가로 포함되는, 포락선 검파와 누화제거 기법을 이용한 적응형 선형 전력증폭기.
  5.   청구항1~4중 어느 하나와 같이 구성되는 적응형 전력증폭기를 제어하는 방법으로서,
      1) 전력증폭기에 RF 신호가 입력되면, DSP는 SCJ 모듈과 A/D 변환기를 통해 입력된 주증폭기 입력신호의 진폭과 위상값을 추정하는 단계,
      2) SCJ 모듈과 A/D 변환기를 통해 입력된 에러증폭기 입력신호의 진폭과 위상 왜곡값을 추정하는 단계,
      3) 소정의 등화 알고리즘를 사용하여 주증폭기에 의해 발생된 에러증폭 기 입력신호의 진폭과 위상 왜곡값에 대한 에러를 최소화하는 제어신호를 추정하고, 이 제어신호를 첫번째 루프에 있는 벡터 변조기에 인가하는 단계,
      4) 상기 2단계에서 추정된 진폭과 위상 왜곡값에 대한 에러가 소정의 임계값 I보다 작은지 체크하는 단계,
      5) 추정된 진폭과 위상 왜곡값에 대한 에러가 임계값 I보다 작지 않다면 다시 3단계로 되돌아가고, 추정된 진폭과 위상 왜곡값에 대한 에러가 임계값 I보다 작다면, SCJ 모듈과 A/D 변환기를 통해 입력된 최종 출력신호의 진폭과 위상 왜곡값을 추정하는 단계,
      6) 소정의 등화 알고리즘를 사용하여 주증폭기와 에러증폭기에 의해 발생된 최종 출력신호의 진폭과 위상 왜곡값에 대한 에러를 최소화하는 제어신호를 추정하고, 이를 두번째 루프에 있는 벡터 변조기에 인가하는 단계,
      7) 카운터, N값을 1 증가시키고, 추정된 진폭과 위상 왜곡값의 에러가 소정의 임계값 II보다 작은지 체크하는 단계,
      8) 추정된 진폭과 위상 왜곡의 에러가 소정의 임계값 II보다 작지 않다면, 다시 카운터 N이 임의의 정수 L보다 큰지 체크하여 만일 N>L이라면 다시 3단계로 돌아감과 동시에 4단계에서 이용된 임계값 I을 변경하고, N>L이 아니라면 6단계로 돌아가는 단계,
      9) 단계 8에서의 체크 결과, 추정된 진폭과 위상 왜곡의 에러가 소정의 임계값 II보다 작다면 전력증폭기의 최종 출력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로 구성되는 포락선 검파와 누화제거 기법을 이용한 적응형 선형 전력증폭기 제어방법.
KR1020050025231A 2005-03-26 2005-03-26 포락선 검파와 누화 제거 기법을 이용한 새로운 적응형전력증폭기 및 그 제어방법 KR2006010337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5231A KR20060103370A (ko) 2005-03-26 2005-03-26 포락선 검파와 누화 제거 기법을 이용한 새로운 적응형전력증폭기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5231A KR20060103370A (ko) 2005-03-26 2005-03-26 포락선 검파와 누화 제거 기법을 이용한 새로운 적응형전력증폭기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3370A true KR20060103370A (ko) 2006-09-29

Family

ID=376233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25231A KR20060103370A (ko) 2005-03-26 2005-03-26 포락선 검파와 누화 제거 기법을 이용한 새로운 적응형전력증폭기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103370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027708A (zh) * 2011-10-09 2013-04-10 北京汇福康医疗技术有限公司 超声换能器的工作状态的监控方法及装置
US8896375B2 (en) 2012-02-24 2014-11-25 Korea Advanced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Efficiency improved envelope amplifier using dual switching amplifier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027708A (zh) * 2011-10-09 2013-04-10 北京汇福康医疗技术有限公司 超声换能器的工作状态的监控方法及装置
US8896375B2 (en) 2012-02-24 2014-11-25 Korea Advanced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Efficiency improved envelope amplifier using dual switching amplifier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94350B2 (en) Method and system for aligning signals widely spaced in frequency for wideband digital predistor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KR100806427B1 (ko) 무선 주파수 신호를 발생시키는 방법 및 장치
US9379745B2 (en) Multi-band wide band power amplifier digital predistortion system
US7466966B2 (en) Method for clipping a wideband radio signal and corresponding transmitter
US6166601A (en) Super-linear multi-carrier power amplifier
Cavers Adaptation behavior of a feedforward amplifier linearizer
JP4280787B2 (ja) プリディストータ
US7839951B2 (en) Dynamic crest factor reduction system
US8014443B2 (en) Non-linear distortion detection method and distortion compensation amplifying device
KR101815329B1 (ko) 변조 방식에 무관한 디지털 하이브리드 모드 전력 증폭기 시스템 및 그 방법
EP1282225B1 (en) Peak limiter and multi-carrier amplification apparatus
KR101503548B1 (ko) 디지털 하이브리드 모드 전력 증폭기 시스템
US6294956B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ducing amplified signal(s) or version(s) thereof
US20080095264A1 (en) Device and method for pre-distorting a base-band digital signal
US20050243909A1 (en) Multicarrier transmission method and apparatus
AU3712899A (en) Linearization method for amplifier, and amplifier arrangement
JP2001326538A (ja) フィードフォワード増幅器
KR100548763B1 (ko) 피드포워드 방식의 선형화기를 갖는 기지국 송신장치
CN108347226B (zh) 包络跟踪方法、系统及装置
Yang et al. Digital controlled adaptive feedforward amplifier for IMT-2000 band
JP4302436B2 (ja) 送信装置および受信装置
KR100605826B1 (ko) 높은 첨두전력대 평균전력비를 가지는 전력증폭기의 효율개선 장치 및 방법
KR20060103370A (ko) 포락선 검파와 누화 제거 기법을 이용한 새로운 적응형전력증폭기 및 그 제어방법
JP2003046480A (ja) ピークリミッタ及びマルチキャリア増幅装置
KR100375314B1 (ko) 선형 특성을 개선시킨 통신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