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02667A - Secondary battery module - Google Patents
Secondary battery modul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60102667A KR20060102667A KR1020050024507A KR20050024507A KR20060102667A KR 20060102667 A KR20060102667 A KR 20060102667A KR 1020050024507 A KR1020050024507 A KR 1020050024507A KR 20050024507 A KR20050024507 A KR 20050024507A KR 20060102667 A KR20060102667 A KR 2006010266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attery
- battery module
- assembly
- secondary battery
- bms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0712 assembly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02159 abnorm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441 reversibl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378 air conditio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20 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826 cool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011 modific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255 nonaqueous electroly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1—Types of temperature control
- H01M10/617—Types of temperature control for achieving uniformity or desired distribution of temperature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2—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1M10/625—Vehicl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안전성을 높일 수 있도록, 다수 개의 단위 전지를 적층 배열하여 이루어지는 적어도 1의 전지 집합체와, 상기 전기 집합체의 각 단위 전지를 관리하는 BMS, 상기 전지 집합체의 출력라인에 설치되어 상기 BMS의 신호에 따라 작동되는 메인 렐레이, 상기 전지 집합체와 전지 집합체 사이의 전기적 연결선상에 설치되어 상기 BMS의 신호에 따라 작동되는 서브 릴레이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 모듈을 제공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t least one battery assembly formed by stacking a plurality of unit cells, a BMS for managing each unit battery of the electrical assembly, and an output line of the battery assembly so as to increase safety. It provides a secondary battery module including a main relay operated in accordance with the signal, the sub relay is installed on the electrical connection line between the battery assembly and the battery assembly is operated in accordance with the signal of the BMS.
전지 집합체, 메인 릴레이, 서브 릴레이, BMS Battery assembly, main relay, sub relay, BMS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 모듈의 구성을 도시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다.1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secondary battery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이차 전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단위 전지를 연결하여 전지 모듈을 구성하는 경우 전지 모듈의 안전성을 높일 수 있도록 된 이차 전지 모듈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condary battery, and more particularly, to a secondary battery module capable of increasing the safety of the battery module when the battery module is configured by connecting unit cells.
최근들어 고에너지 밀도의 비수전해해액을 이용한 고출력 이차 전지가 개발되고 있으며, 대전력을 필요로 하는 기기 예컨대, 전기 자동차 등의 모터 구동에 사용될 수 있도록 상기한 고출력 이차 전지를 복수개 직렬로 연결하여 대용량의 이차 전지를 구성하게 된다.Recently, a high output secondary battery using a high energy density nonaqueous electrolyte has been developed, and a plurality of high output secondary batteries can be connected in series to be used for driving a motor such as an electric vehicle, which requires a large power. The secondary battery of a large capacity is constituted.
이와같이 하나의 대용량 이차 전지(이하 명세서 전반에 걸쳐 설명의 편의상 전지모듈이라 칭한다)는 통상 직렬로 연결되는 복수개의 이차 전지(이하 명세서 전반에 걸쳐 설명의 편의상 단위전지라 칭한다)로 이루어지며, 상기 각각의 단위전지는 양극판과 음극판이 격리판을 사이에 두고 위치하는 전극 조립체와, 상기 전극 조립체가 내장되는 공간부를 구비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에 결합되어 이를 밀폐하는 캡 조립체, 상기 캡 조립체로 돌출되고 상기 전극 조립체에 구비된 양,음극판의 집전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양,음극 단자를 포함한다.As described above, one large capacity secondary battery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battery module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roughout) is made of a plurality of secondary batteries (hereinafter, referred to as unit cells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ich are each connected in series. The unit cell of the positive electrode plate and the negative electrode plate disposed between the separator, the case having a space portion in which the electrode assembly is built, the cap assembly coupled to the case and sealed, the cap assembly protrudes And a positive electrode and a negative electrode terminal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urrent collector of the positive electrode and the negative electrode plate provided in the electrode assembly.
그리고 각각의 단위전지는 통상 각형 전지의 경우 캡 조립체 상부로 돌출된 양극단자 및 음극단자가 이웃하는 단위전지의 양극단자 및 음극단자와 엇갈리도록 각 단위전지를 교차 배열하고, 나사가공된 음극단자와 양극단자간에 너트를 매개로 도전체를 연결설치하여 전지 모듈을 구성하게 된다.In the case of the rectangular battery, each of the unit cells cross-aligns each of the unit cells such that the positive electrode terminal and the negative electrode terminal protruding from the top of the cap assembly alternate with the positive electrode terminal and the negative electrode terminal of the neighboring unit cell, and the threaded negative electrode terminal The battery module is constructed by connecting and installing a conductor between the anode terminals via a nut.
여기서 상기한 전지모듈은 수 개에서 많게는 수십 개의 단위전지를 연결시켜 하나의 전지모듈을 구성함에 따라 각 단위 전지의 상태를 관리해야할 필요성이 있다.In this case, the battery module needs to manage the state of each unit battery as it constitutes one battery module by connecting several to many dozen unit cells.
예컨대 전지 모듈 충전의 경우 전지 모듈을 이루는 각 단위전지는 여러 차례 반복 충전하여 사용하는 동안 서로 다른 에너지 수준으로 충전되고 방전된다. 일단, 다수의 단위전지를 직렬로 연결하여 사용한 후에 즉, 서로 다른 에너지 수준으로 방전된 후에, 다시 충전하면, 충전된 단위전지의 에너지 수준 역시 서로 다르게 형성된다. 이런 상태에서 충전과 방전이 수차례 반복되면 하나의 그룹을 이루는 단위전지 중 몇 개는 과방전이 되어 사용말 전위가 0V이하가 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계속 단위전지를 방전시킨다든지 계속 사용하게 되면, 이런 단위전지들은 전위가 바뀌는 이른바 '전지 역전 현상(Battery Reversal)'이 나타난다.For example, in the case of charging a battery module, each unit cell constituting the battery module is charged and discharged at different energy levels during repeated charging and use. Once a plurality of unit cells are connected in series, that is, after being discharged to different energy levels, and then charged again, the energy levels of the charged unit cells are also different. When charging and discharging are repeated several times in this state, some of the unit cells forming a group become overdischarged, and the potential of use is less than 0V. In this state, if the user discharges the unit cell continuously or continues to use it, these unit cells exhibit a so-called 'battery reversal' in which the potential changes.
이와 같이 에너지 수준이 서로 다른 단위전지들이 직렬로 연결되어 충전될 경우, 낮은 에너지 수준의 단위전지들이 충전 상태에 도달하기 전에 비교적 높은 에너지 수준의 다른 단위전지가 충전 완료 신호를 보내어 충전기는 충전을 완료하게 된다. 또한, 과방전된 단위전지를 포함하는 경우에서는, 과방전된 단위전지가 완전 충전 상태가 되기 전에 다른 단위전지는 과충전 상태에 도달하게 된다. 즉, 다수의 단위전지 중 일부 단위전지는 불완전 충전 - 과방전 또는 전지 역전을 반복하게 되며, 나머지 단위전지는 완전 충전 또는 과충전 - 불완전 방전을 반복하게 되어 결국 단위전지들은 손상을 받는다.When unit cells having different energy levels are charged in series, the other unit cells of a relatively high energy level send a charge completion signal before the low energy unit cells reach the state of charge, and the charger completes the charge. Done. In addition, in the case of including the over-discharged unit cell, the other unit cell reaches the overcharged state before the over-discharged unit cell becomes a fully charged state. That is, some unit cells of the plurality of unit cells repeat the incomplete charge-over-discharge or battery reversal, the remaining unit cells are repeated full charge or over-charge-incomplete discharge and eventually the unit cells are damaged.
따라서, 통상 이차 전지 모듈은 단위전지의 손상을 줄이기 위하여 각 단위 전지의 상태를 관리하기 위한 제어부(BMS;Battery Management System)가 구비되며 이와 더불어 전지 모듈이 이상시 전류를 차단하기 위한 릴레이가 설치된다.Accordingly, the secondary battery module is generally provided with a battery management system (BMS) for managing the state of each unit battery in order to reduce damage to the unit battery, and a relay is installed to cut off current when the battery module is abnormal. .
여기서 종래의 이차 전지 모듈은 출력측에 릴레이가 설치된 구조로 전지 모듈 이상시 제어부의 신호에 따라 릴레이가 작동하여 전류를 차단하도록 되어 있다.Here, the conventional secondary battery module has a structure in which a relay is installed at the output side, so that the relay operates according to a signal of the controller in case of a battery module failure to cut off the current.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구조는 전지 모듈 전체가 메인 릴레이에 의해 제어됨으로서 메인 릴레이 고장시 모듈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However, the conventional structure described above has a disadvantage in that the entire battery module is controlled by the main relay so that the safety of the module can not be secured in the case of a main relay failure.
또한, 전지 모듈 이상시 메인 릴레이를 통해 전류를 차단하게 되나 이는 전원만 자동 차단하거나 충전을 중지시키기만 할 뿐 전지 모듈내의 단위 전지로 흐르는 전압은 그대로 유지되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when the battery module is abnormal, the current is cut off through the main relay, but this only causes the power supply to the unit cell in the battery module to be maintained.
특히 차량에 적용되는 HEV용 전지 모듈의 경우 수많은 단위 전지들이 직렬로 연결됨에 따라 각 단위 전지에 이상이 발생할 소지가 높으므로 더욱 높은 안전성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In particular, in the case of the HEV battery module applied to the vehicle is a situation that requires a higher safety because there is a high possibility of abnormality in each unit battery as a number of unit cells are connected in series.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제반 필요성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안전성을 높일 수 있도록 된 이차 전지 모듈을 제공함에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mentioned necessity,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econdary battery module capable of increasing safety.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전지 모듈은 다수 개의 단위 전지를 적층 배열하여 이루어지는 적어도 1의 전지 집합체와, 상기 전기 집합체의 각 단위 전지를 관리하는 전지 관리 시스템(Battery Management System, 이하 BMS 라 함), 상기 전지 집합체의 출력라인에 설치되어 상기 BMS의 신호에 따라 전류를 차단하는 메인 렐레이, 상기 전지 집합체와 전지 집합체 사이의 연결선상에 설치되어 상기 BMS의 신호에 따라 전류를 차단하는 서브 릴레이를 포함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battery modul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t least one battery assembly formed by stacking a plurality of unit cells and a battery management system (BMS) for managing each unit battery of the electrical assembly. A main relay installed at an output line of the battery assembly to cut off current according to the signal of the BMS, and a sub relay installed on a connection line between the battery assembly and the battery assembly to cut off current according to the signal of the BMS; It includes a relay.
본 발명에 따른 이차 전지 모듈에 있어서, 상기 전지 집합체는 두 개가 한쌍을 이루어 서로 대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전지 집합체는 상기 하우징 내부의 동일 평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In the secondary battery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battery assembly may be arranged in pairs to face each other. In this case, the battery assembly may be disposed on the same plane inside the housing.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차 전지 모듈에 있어서, 상기 전지 집합체는 단위 전지와 단위 전지 사이에 전지격벽을 설치하고 있다. 이 경우 상기 각 단위 전지는 각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secondary battery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battery assembly is provided with a battery partition wall between the unit cell and the unit cell. 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hat each said unit battery consists of squares.
여기서 상기 서브 릴레이는 상기 전지 집합체 사이에 만들어지는 공간 내에 배치됨이 바람직하다.In this case, the sub relay is preferably disposed in a space formed between the battery assembly.
또한, 상기 서브 릴레이는 메인 릴레이와 별도로 작동되는 구조로 되어 상기 BMS의 신호에 따라 메인 릴레이와 동시에 작동하거나 개별적으로 작동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ub relay has a structure that is operated separately from the main relay can be operated simultaneously with the main relay or separately according to the signal of the BMS.
상기 서브 릴레이는 DC용 릴레이임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sub relay is a relay for DC.
여기서 상기와 같은 이차 전지 모듈은 HEV(하이브리드 전기 자동차), EV(전기 자동차), 무선 청소기, 전동 자전거, 전동 스쿠터 등과 같이 모터를 사용하여 작동하는 기기에 있어, 해당 기기의 모터를 구동하기 위한 에너지원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Here, the secondary battery module is a device for operating by using a motor such as a hybrid electric vehicle (HEV), an electric vehicle (EV), a wireless cleaner, an electric bicycle, an electric scooter, and the like to drive energy for driving the motor of the device. Can be used as a circle.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easil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As those skilled in the art would realize, the described embodiments may be modified in various different ways, all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 모듈의 구성을 도시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다.1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secondary battery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한 도면에 의하면, 본 실시예에 의한 이차 전지 모듈(10)은 대용량의 전지 모듈로서 다수 개의 단위 전지(12)가 일정 간격을 두고 연속적으로 배열되어 이루어지는 전지 집합체(11)와, 상기 전기 집합체의 각 단위 전지를 관리하는 BMS(20), 상기 전지 집합체(11)의 출력라인에 설치되어 상기 BMS(20)의 신호에 따라 전류를 차단하는 메인 렐레이(21), 상기 전지 집합체(11)와 전지 집합체 사이의 전기적 연결선상에 설치되어 상기 BMS(20)의 신호에 따라 전류를 차단하는 서브 릴레이(30)를 포함한다.According to the drawings, the
상기 메인 릴레이(21)는 상기 전지 모듈(10)의 출측에 설치되어 BMS(20)의 신호에 따라 전원 차단시 작동되어 출력라인을 차단하게 된다.The
또한, 상기 전지 모듈(10)을 이루는 전지 집합체(11)는 상기 각 단위 전지 (12)로 온도 제어용 공기를 유통시키기 위한 하우징(도시되지 않음)내에 일정 형태로 배치된다.In addition, the
또한, 상기 각 단위 전지(12)는 세퍼레이터를 사이에 두고 이의 양측에 양극판과 음극판이 배치되는 전극 조립체를 구비하여, 기설정된 양의 전력을 충,방전시키는 통상적인 구조의 이차전지로서 구성된다. 상기 전지 집합체(11)는 언급한 바와 같이 단위 전지(12)가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어 하나의 열을 이룬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정의한다.In addition, each of the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지 집합체(11)는 각각의 단위 전지(12)들이 대략 사각형(본 실시예에서는 한 쌍의 장변과 한 쌍의 단변을 갖는 가로 폭이 넓은 직사각형)의 외형을 가지면서 직립되게 배열되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구체적으로, 상기 전지 집합체(11)는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구비되며, 본 실시예에서는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두 개가 한 쌍을 이뤄 동일 평면 상에 상호 이격되게 배치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전지 집합체(11)를 하우징(20) 내부의 동일 평면 상에 배치하는 이유는 전지 모듈(10)의 전체 높이를 최소화하기 위함이다.Specifically, the
이러한 전지 집합체(11)는 각 단위 전지(12) 사이 및 최 외측의 단위 전지(12)에 전지 격벽(13)을 설치하고 있는 바, 이 전지 격벽(13)은 각 단위 전지(12)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면서 온도 제어용 공기를 유통시키고, 각 단위 전지(12)의 측면을 지지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The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전지 집합체(11)가 간격을 두고 나란히 배치됨으로서 두 개의 전지 집합체(11) 사이에는 냉각매체가 유통되는 공간(40)이 형성되며, 상 기 보조 릴레이는 바로 상기 두 전지 집합체(11) 사이에서 만들어지는 공간(40) 내에 설치된다.As mentioned above, since the
이에 따라 서브 릴레이(30)가 모듈(10) 내에서 차지하는 공간을 별도로 마련할 필요가 없게 되며 기존의 전지 모듈에도 구조 변경없이 그대로 적용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it is not necessary to separately prepare a space occupied by the
여기서, 상기 서브 릴레이(30)는 DC용 릴레이로서 두 개의 전지 집합체(11)의 단위 전지(12)의 단자간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라인 상에 설치된다. 즉, 일측 전지 집합체(11)의 단위 전지(12)에 설치된 단자(양극 단자 또는 음극단자)와 타측 전지 집합체의 단위 전지에 설치된 단자(음극단자 또는 양극단자)가 상기 서브 릴레이(30)를 매개로 전기적으로 연결된다.Here, the
또한, 상기 서브 릴레이(30)는 BMS(2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BMS(20)의 신호에 따라 제어작동되어 두 전지 집합체(11)의 단자 사이의 연결라인을 전기적으로 차단하게 된다.In addition, the
여기서 상기 서브 릴레이(30)는 메인 릴레이(21)와 별도로 작동되는 구조로 되어 상기 BMS(20)의 신호에 따라 메인 릴레이(21)와 동시에 작동하거나 개별적으로 작동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이하, 본 발명의 작용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전지 모듈(10)을 이루는 전지 집합체(11)와 전지 집합체(11) 사이에 서브 릴레이(30)가 설치됨에 따라 시동시와 같이 필요한 경우 BMS(20)는 서브 릴레이(30)를 작동시켜 전지 모듈(10) 내의 유지 전압을 절반 이하로 떨어뜨릴 수 있게 된다.As the
시동 시 BMS(20)의 신호에 따라 서브 릴레이(30)가 작동되면 전지 집합체(11)와 전지 집합체간의 전기적 연결이 차단되어 한쪽 전지 집합체로는 전류가 흐르지 않게 된다. 이에 따라 종래 양쪽 전지 집합체에서 전압이 유지되는 것을 한쪽 전지 집합체에서만 전압을 유지시키게 되므로 전압을 절반으로 떨어뜨리는 효과를 가져오게 된다.When the
또한, 전지 모듈(10)에 이상 신호 발생시에는 BMS(20)는 이를 감지하여 메인 릴레이(21)를 작동시키거나 메인 릴레이(21)와 함께 서브 릴레이(30)를 작동하게 된다.In addition, when an abnormal signal is generated in the
따라서 메인 릴레이(21)가 차단 작동되어 전류의 흐름을 차단시키게 되는 데, 상기 메인 릴레이(21)가 고장나서 제대로 작동되지 않는 경우 상기 서브 릴레이(30)가 작동됨에 따라 전지 집합체(11)와 전지 집합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라인이 차단되어 메인 릴레이(21)가 차단되었을 때와 동일하게 전지 모듈(10)을 오프시킬 수 있게 된다.Therefore, the
물론, 상기와 달리 BMS(20)에 의해 메인 릴레이(21)를 먼저 작동시키고 메인 릴레이(21)가 고장으로 작동되지 않는 경우 상기 서브 릴레이(30)를 작동시켜 원하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Of course, unlike the above, the
상기한 본 발명의 전지 모듈은 고출력/대용량을 요구받는 HEV용 전지로서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으나, 반드시 그 용도가 HEV용으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battery module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can be effectively used as a battery for HEV requiring high output / large capacity, but its use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HEV.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Although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can be made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and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Naturally, it belongs to the range of.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열전소자의 온도 조절 방식을 통해 능동적으로 전지 모듈의 온도를 제어할 수 있게 되며, 온도 조절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the temperature of the battery module can be actively controlled through the temperature adjusting method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and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temperature can be easily adjusted.
또한, 간단한 구조로 되어 공랭식이나 차량의 공조 시스템을 이용하는 방식 모두에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imple structure can be easily applied to both air cooling and vehicle air conditioning systems.
Claims (9)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024507A KR20060102667A (en) | 2005-03-24 | 2005-03-24 | Secondary battery modul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024507A KR20060102667A (en) | 2005-03-24 | 2005-03-24 | Secondary battery modul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60102667A true KR20060102667A (en) | 2006-09-28 |
Family
ID=376229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50024507A KR20060102667A (en) | 2005-03-24 | 2005-03-24 | Secondary battery modul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60102667A (en) |
Cited B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2161232A (en) * | 2011-01-31 | 2012-08-23 | Sb Limotive Co Ltd | Battery pack |
KR101287108B1 (en) * | 2011-08-25 | 2013-07-17 |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 Secondary battery module |
US8810067B2 (en) | 2010-07-28 | 2014-08-19 | Samsung Sdi Co., Ltd. | Power supply apparatus |
KR101490716B1 (en) * | 2013-10-29 | 2015-02-06 |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 Battery management apparatus and method |
US9190672B2 (en) | 2011-06-30 | 2015-11-17 | Samsung Sdi Co., Ltd. | Tubular solid oxide fuel cell including external current collector with plurality of connection portions |
US9300166B2 (en) | 2013-05-29 | 2016-03-29 | Samsung Sdi Co., Ltd. | Battery management system and driving method thereof |
US9331325B2 (en) | 2012-04-20 | 2016-05-03 | Samsung Sdi Co., Ltd. | Battery pack |
-
2005
- 2005-03-24 KR KR1020050024507A patent/KR20060102667A/en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8810067B2 (en) | 2010-07-28 | 2014-08-19 | Samsung Sdi Co., Ltd. | Power supply apparatus |
JP2012161232A (en) * | 2011-01-31 | 2012-08-23 | Sb Limotive Co Ltd | Battery pack |
US9490467B2 (en) | 2011-01-31 | 2016-11-08 | Samsung Sdi Co., Ltd. | Battery pack |
US9190672B2 (en) | 2011-06-30 | 2015-11-17 | Samsung Sdi Co., Ltd. | Tubular solid oxide fuel cell including external current collector with plurality of connection portions |
KR101287108B1 (en) * | 2011-08-25 | 2013-07-17 |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 Secondary battery module |
US9093851B2 (en) | 2011-08-25 | 2015-07-28 | Samsung Sdi Co., Ltd. | Battery module including a relay installed to a case |
US9331325B2 (en) | 2012-04-20 | 2016-05-03 | Samsung Sdi Co., Ltd. | Battery pack |
US9300166B2 (en) | 2013-05-29 | 2016-03-29 | Samsung Sdi Co., Ltd. | Battery management system and driving method thereof |
KR101490716B1 (en) * | 2013-10-29 | 2015-02-06 |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 Battery management apparatus and method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669434B1 (en) | Method for controlling secondary battery module | |
US9490467B2 (en) | Battery pack | |
JP5571129B2 (en) | Hybrid power system | |
US6781343B1 (en) | Hybrid power supply device | |
KR100648704B1 (en) | Secondary battery module | |
KR102224592B1 (en) | Battery pack of matrix structure for electromobile | |
KR101815876B1 (en) | Battery pack with apparatus to prevent surge current | |
JP3706565B2 (en) | Power supply for hybrid cars | |
KR20060102667A (en) | Secondary battery module | |
KR20070013455A (en) | Secondary battery module | |
US10076971B2 (en) | Split electric vehicle (EV) battery including both a replaceable and fixed portion | |
KR20070083173A (en) | Hybrid-typed battery pack operated in high efficiency | |
KR101287108B1 (en) | Secondary battery module | |
JP3367382B2 (en) |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 |
KR100904375B1 (en) | Fuse-installed Battery Cartridge And Battery Module Having The Same | |
EP3361557A1 (en) | Air-zinc battery module | |
KR20150081128A (en) | Energy Storage Apparatus Employed with Plug-In Connector | |
JP5504655B2 (en) | Charge / discharge device | |
JP6341828B2 (en) | Power storage device combined with power storage module | |
KR20150129991A (en) | Relay Assembly for Battery Pack | |
RU2752148C1 (en) | Electric motorcycle | |
US10818893B2 (en) | Air-zinc battery assembly | |
KR20230063865A (en) | Battery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battery system | |
KR101572923B1 (en) | Battery system | |
CN116061670A (en) | Battery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