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02247A - 인터넷을 이용한 교사채용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인터넷을 이용한 교사채용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02247A
KR20060102247A KR1020050024232A KR20050024232A KR20060102247A KR 20060102247 A KR20060102247 A KR 20060102247A KR 1020050024232 A KR1020050024232 A KR 1020050024232A KR 20050024232 A KR20050024232 A KR 20050024232A KR 20060102247 A KR20060102247 A KR 200601022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acher
condition data
terminal
data
matc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242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87610B1 (ko
Inventor
강석준
Original Assignee
강석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석준 filed Critical 강석준
Priority to KR10200500242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87610B1/ko
Publication of KR200601022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022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876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876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16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 E06B7/22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by means of elastic edgings, e.g. elastic rubber tubes; by means of resilient edgings, e.g. felt or plush strips, resilient metal strips
    • E06B7/23Plastic, sponge rubber, or like strips or tubes
    • E06B7/2305Plastic, sponge rubber, or like strips or tubes with an integrally formed part for fixing the edging
    • E06B7/2312Plastic, sponge rubber, or like strips or tubes with an integrally formed part for fixing the edging with two or more sealing-lines or -planes between the wing and part co-operating with the wing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42Sliding wings; Details of frames with respect to guiding
    • E06B3/46Horizontally-sliding wings
    • E06B3/4609Horizontally-sliding wings for windo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터넷을 이용하여 교사를 채용하거나 교사직을 지원하기 위한 교사채용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a) 통신망을 통해서 연결된 복수의 제 1 단말들로부터 복수의 교사가 각각 입력한 복수의 지원조건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통신망을 통해서 연결된 복수의 제 2 단말들로부터 복수의 학교들이 각각 입력한 복수의 채용조건 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단계, (b) 상기 복수의 지원조건 데이터와 상기 채용조건 데이터를 서로 비교하여, 상기 복수의 교사들 및 상기 복수의 학교들 각각에 대해서 서로 부합되는 학교들 및 교사들의 매칭리스트를 작성하여 저장하는 단계, 및 (c) 상기 교사에 대한 매칭리스트를 상기 통신망에 연결된 상기 교사의 단말로 전송하여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사채용방법을 개시한다. 상기와 같은 교사채용방법은 교사직을 지원하는 교사에 의하여 입력되는 지원조건과 교사 채용을 원하는 학교에 의하여 입력되는 채용조건을 비교하여 그 비교결과를 표시함으로써 교사직 지원 및 채용이 보다 효율적으로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교사, 채용, 지원, 인터넷, 이메일

Description

인터넷을 이용한 교사채용방법 및 그 장치{METHOD AND DEVICE FOR EMPLOYING TEACHE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교사채용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교사채용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교사채용방법 중 교사모드를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교사채용방법의 등록과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교사채용방법 중 학교모드를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 5a는 도 1의 교사채용장치 중 비교매칭부의 비교과정의 일례를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 5b는 교사 또는 학교에 의하여 입력되는 지원조건, 채용조건 및 그 비교결과를 예시한 도표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교사채용방법 중 관리자모드를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교사채용서버 110: 데이터입출력부
120: 데이터베이스 부 130: 데이터처리부
210: 제 1 단말 220: 제 2 단말
230: 관리자단말
본 발명은 교사채용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인터넷을 이용하여 교사를 채용하거나 교사 직을 지원하기 위한 교사채용방법에 관한 것이다.
인터넷(Internet)이란 통신망과 통신망을 연동해 놓은 망의 집합을 의미한다. 랜(LAN) 등 소규모 통신망을 상호 접속하는 형태에서 점차 발전하여 현재는 전세계를 망라하는 거대한 통신망의 집합체가 되었다. 현재 인터넷은 전화망 버금가는 거대한 세계적 정보 기반이 되었으며 통신량은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다.
인터넷에서 이용할 수 있는 서비스는 전자우편(e-mail), 원격 컴퓨터 연결(telnet), 파일 전송(FTP), 유즈넷 뉴스(Usenet News), 인터넷 정보 검색(Gopher), 인터넷 대화와 토론(IRC), 전자 게시판(BBS), 하이퍼텍스트 정보 열람(WWW:World Wide Web), 온라인 게임 등 다양하며 동화상이나 음성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방송하는 서비스나 비디오 회의 등 새로운 서비스가 차례로 개발되어 이용 가능하게 되었다. 이와 같은 다양한 서비스와 풍부한 정보자원 때문에 인터넷을 정보의 바다라고 한다.
상기와 같은 인터넷은 수없이 많은 서버들과, 각 서버들과 전기통신망을 통하여 연결되는 익명의 사용자 단말들로 구성되며, 사용자는 단말을 통하여 인터넷을 통하여 여러 가지 정보를 획득하기도 하고 정보를 제공하기도 한다.
또한, 인터넷은 소위 인터넷과 반대되는 개념인 오프라인상에서 수없이 많은 노력과 시간을 들여 행할 수 있는 일들을 보다 효율적이고 빠른 시간 안에 구현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예를 들면, 취업을 원하는 구직자는 신문 등에 게재된 구인광고를 보고 채용을 원하는 회사에 연락을 취하여 취직절차를 취하는게 보편적이었다. 그런데 취업전문 웹사이트인 인쿠르트는 구인자 및 구직자들에 관한 리스트를 데이터베이스화 하여 상기와 같은 오프라인 상의 취직절차를 인터넷에 접목시킴으로써 효율화 하였다. 그러나 인쿠르트와 같은 사이트는 다양한 직종을 포함함으로써 각 직종별로 그 특성에 최적화하여 보다 효율적인 서비스를 제공하는데는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인터넷의 장점들에 착안하여 인터넷을 통하여 교사가 가지는 속성에 부합하며, 교사채용이 보다 효율적이고 빠른 교사채용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a) 통신망을 통해서 연결된 복수의 제 1 단말들로부터 복수의 교사가 각각 입력한 복수의 지원조건 데이터를 수신하고, 통신망을 통해서 연결된 복수의 제 2 단말들로부터 복수의 학교들이 각각 입력한 복수의 채용조건 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단계, (b) 복수의 지원조건 데이터와 채용조건 데이터를 서로 비교하여, 복수의 교사들 및 복수의 학교들 각각에 대해서 서로 부합되는 학교들 및 교사들의 매칭리스트를 작성하여 저장하는 단계, 및 (c) 교사에 대한 매칭리스트를 통 신망에 연결된 교사의 단말로 전송하여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사채용방법을 개시한다.
교사채용방법은 (d) 학교에 대한 매칭리스트를 통신망에 연결된 학교의 단말로 전송하여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지원조건 데이터 및 채용조건 데이터는 적어도 하나의 필수 항목을 포함하고, (b) 단계는 필수 항목이 서로 부합하는 지원조건 데이터와 사익 채용조건 데이터간의 매칭율을 계산하고, 매칭율에 따라서 매칭리스트를 작성할 수 있다.
(b) 단계는 지원조건 데이터와 채용조건 데이터의 서로 부합하는 항목의 개수에 따라서 매칭율을 계산할 수 있다.
지원 조건 데이터 및 채용 조건 데이터는 적어도 하나의 필수 항목과 복수의 선택 항목들을 포함하고, (b) 단계는 필수 항목과 선택 항목에 서로 다른 가중치를 부여하여 지원조건 데이터와 채용조건 데이터간의 매칭율을 계산하고, 매칭율에 따라서 매칭리스트를 작성할 수 있다.
(c) 단계는 (c1) 제 1 단말이 접속하면 지원조건 데이터에 부합하는 채용조건 데이터들에 대응되는 학교의 리스트를 출력하는 단계, (c2) 제 1 단말로부터 학교의 리스트 중 하나를 선택하는 선택값을 수신하고, 제 1 단말로부터 입력된 문의 데이터를 선택값이 나타내는 학교의 제 2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및 (c3) 문의 데이터에 대응되는 응답 데이터를 제 1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 단계는 (d1) 제 2 단말이 접속하면 채용조건 데이터에 부합하는 지원조건 데이터들에 대응되는 교사의 리스트를 출력하는 단계, (d2) 제 2 단말로부터 교 사의 리스트 중 하나를 선택하는 선택값을 수신하고, 제 2 단말로부터 입력된 문의 데이터를 선택값이 나타내는 교사 지원자의 제 1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및 (d3) 문의 데이터에 대응되는 응답 데이터를 제 1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교사직 지원을 위한 지원조건을 입력하기 위한 제 1 단말로부터 복수개의 항목들로 구성된 지원조건 데이터를 수신하고, 교사 채용을 위한 복수개의 항목들로 구성된 채용조건을 입력하기 위한 제 2 단말로부터 채용조건 데이터를 수신하며 제 1 단말 또는 제 2 단말로 데이터를 송신하는 데이터입출력부와, 데이터입출력부를 통하여 입력받은 지원조건 데이터 및 채용조건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부와,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된 지원조건 데이터와 채용조건 데이터를 비교 판단하여 지원조건 데이터와 채용조건 데이터가 서로 부합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각 교사 및 각 학교에 대응되는 매칭리스트를 작성하고, 작성된 매칭리스트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데이터입출력부를 통하여 교사 또는 학교의 단말로 전송하는 데이터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사채용장치를 개시한다.
지원조건 데이터 및 채용조건 데이터는 적어도 하나의 필수 항목을 포함하고, 데이터처리부는 필수 항목이 서로 부합하는 지원조건 데이터와 채용조건 데이터간의 매칭율을 계산하고, 매칭율에 따라서 매칭리스트를 작성할 수 있다. 데이터처리부는 지원조건 데이터와 채용조건 데이터의 서로 부합하는 항목의 개수에 따라서 매칭율을 계산할 수 있다. 지원 조건 데이터 및 채용 조건 데이터는 적어도 하나의 필수 항목과 복수의 선택 항목들을 포함하고, 비교매칭부는 필수 항목과 선 택 항목에 서로 다른 가중치를 부여하여 지원조건 데이터와 채용조건 데이터간의 매칭율을 계산하고, 매칭율에 따라서 상기 매칭리스트를 작성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교사 지원 및 채용 방법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교사채용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교사채용장치의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교사채용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교사채용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단말(210), 제 2 단말(220), 관리자단말(230) 및 교사채용서버(1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 1 단말(210)은 교사채용서버(100)와 인터넷을 통하여 연결되어 교사직 지원을 위한 지원조건 데이터를 입력받아 지원조건 데이터를 교사채용서버(100)에 송신하는 등 교사채용서버(100)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장치이다. 제 2 단말(220)은 교사채용서버(100)와 인터넷을 통하여 연결되어 교사 채용을 위한 채용조건 데이터를 입력받아 채용조건 데이터를 교사채용서버(100)에 송신하는 등 교사채용서버(100)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장치이다. 관리자단말(230)은 교사채용서버(100)와 인터넷을 통하여 연결되어 교사채용서버(100)에 접속하여 교사채용서버(100)를 유지 및 관리하는 장치이다.
교사채용서버(100)는 제 1 단말(210)과 제 2 단말(220)을 통하여 각각 입력되는 지원조건 데이터 및 채용조건 데이터 등을 수신하여 저장 및 처리하기 위한 장치이다. 제 1 단말(210), 제 2 단말(220) 및 관리자단말(230)들로는 개인용 컴퓨 터(PC), 네트워크 컴퓨터(NC), PDA, 휴대폰 등 유무선 통신기기가 사용될 수 있다.
교사채용서버(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입출력부(110), 데이터베이스(120) 및 데이터처리부(1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데이터입출력부(110)는 제 1 단말(210), 제 2 단말(220) 또는 관리자단말(230) 각각과 인터넷으로 연결되어 지원조건 데이터 및 채용조건 데이터 등 각종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데이터베이스부(120)는 데이터입출력부(110)를 통하여 수신받은 지원조건 데이터 및 채용조건 데이터 등을 포함하는 각종 데이터들을 저장하며, 데이터처리부(130)에서 처리된 데이터들을 저장한다. 데이터처리부(130)는 일반적인 제어 및 정해진 알고리즘에 따라서 데이터베이스부(120)에 저장된 데이터를 처리한다.
데이터입출력부(110)는 별도의 하드웨어로 구성될 수 있으며, 교사 또는 학교가 지원조건 데이터 또는 채용조건 데이터 등 각종 데이터를 용이하게 입력 및 열람할 수 있도록 일정한 서식을 가지는 웹페이지(web page)를 제 1 단말(210) 또는 제 2 단말(220)에 표시하도록 데이터를 송신한다.
데이터베이스부(120)에 저장되는 데이터는 각 교사에 대응되는 개인정보, 지원조건, 자기소개서 등 및 각 학교에 대응되는 학교정보, 채용조건, 학교소개 등을 포함한다.
데이터처리부(130)는 인터넷 접속, 데이터베이스부(130)의 제어, 데이터 입출력 제어 등 일반적인 제어 및 연산을 위한 주처리부(131)와, 데이터베이스부(130)에 저장된 지원조건 데이터 및 채용조건 데이터를 서로 비교하는 비교매칭부 (13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데이터입출력부(110) 및 데이터처리부(130)는 각각 논리적으로 분리된 것으로서, 그 구현 형태에 따라 별도로 구성되거나,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데이터입출력부(110)는 각 교사 또는 각 학교에 대응되는 웹페이지, 즉 마이페이지(my page) 형식으로 제 1 단말(210) 또는 제 2 단말(220)에 표시되도록 각종 데이터가 송수신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교사채용장치에 의하여 구현되는 교사채용방법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교사채용방법은 크게 교사모드, 학교모드 및 관리자모드들로 구성되며, 각 주체에 따른 모드별로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 교사모드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교사채용방법 중 교사모드를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교사직을 원하는 교사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단말(210)을 통하여 교사채용서버(100)에 접속한다(S100). 제 1 단말(210)의 접속에 의하여 데이터입출력부(110)는 로그인 과정을 거친 후에 로그인 된 사용자인 교사 각각에 대응되는 웹페이지(마이페이지)가 제 1 단말(210)에 표시되도록 데이터를 제 1 단말(210)에 송신한다.
로그인 과정은 다음과 같은 단계들을 거치게 된다. 즉, 교사가 제 1 단말(210)을 통하여 교사채용서버(100)에 접속(S100)하면 데이터입출력부(110)가 사용자 여부를 판단하기 위하여 교사의 아이디 및 패스워드 입력을 위한 로그인 폼을 제 1 단말(210)에 표시하도록 제 1 단말(210)에 데이터를 송신하게 된다(S210).
교사는 제 1 단말(210)에 표시된 로그인 폼에 아이디 및 패스워드를 입력하고, 제 1 단말(210)은 입력된 아이디 및 패스워드가 포함된 데이터를 교사채용서버(100)에 송신한다. 이때 로그인 폼과 함께 후술할 등록요청 폼도 함께 표시될 수 있다. 데이터입출력부(110)는 입력된 아이디 및 패스워드가 부정확하거나 없는 경우 제 1 단말(210)에 로그인 폼을 다시 표시하도록 제 1 단말(210)에 데이터를 송신한다(S230).
단계 S230에서 아이디 및 패스워드가 정확한 경우, 데이터입출력부(110)는 로그인 된 사용자인 교사의 개인정보 작성 여부를 검사하고(S240), 개인정보가 작성된 경우 마이페이지를 제 1 단말(210)에 표시하는 후술할 단계 S300를 수행하게 된다. 이때, 단계 S240에서는 개인정보가 작성되지 않은 경우 단계 S300을 수행하기 전에 후술할 단계 S225를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단계 S210에서는 교사채용서버(100)에 접속한 교사가 아이디 및 패스워드 등의 등록을 위하여 등록과정을 거치도록 할 수 있다.
등록과정은 다음과 같은 단계들에 의하여 수행된다. 단계 S210에서는 제 1 단말(210)에 로그인 폼의 표시와 함께 등록요청 폼을 함께 표시하고, 등록을 원하는 교사는 등록요청을 선택한다. 단계 S220에서는 등록요청이 있는 경우, 데이터입출력부(110)는 제 1 단말(210)에 등록을 위한 등록안내 및 약관을 표시하고, 약관에 동의여부를 확인받게 된다(S221).
단계 S221 후에는 사용자인 후술할 교사의 기초정보가 제 1 단말(210)을 통 하여 입력되고(S222), 단계 221에서 입력된 기초정보 데이터는 데이터베이스부(120)에 저장된다(S223). 단계 S222에 관하여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이때 단계 S222 후에는 데이터입출력부(110)에 의하여 교사가 입력한 이메일 또는 SMS으로 그 등록여부를 통보하기 위한 데이터가 송신될 수 있다(S224).
한편, 상기와 같은 등록과정을 거친 후에는 사용자인 교사의 후술할 개인정보 및 지원조건의 작성을 위한 제 1 단말(210)과 데이터입출력부(110) 간의 데이터 송수신이 수행될 수 있다(S225). 그리고 단계 S225후에는 사용자가 로그인 과정을 거치지 않고 바로 마이페이지로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교사채용방법 중 S225 단계의 개인정보 작성과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상기와 같은 개인정보 및 지원조건의 입력단계(S225)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단계(S225a~S225h)들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으며, 지원조건 데이터는 개인정보와 함께 입력될 수 있다.
입력된 개인정보 및 지원조건을 포함하는 데이터는 각 단계별로 데이터베이스부(120)에 저장된다(225b, 225d, 225f, 225h). 단계 S225a에서는 개인정보 작성 제 1 단계로서, 사진, 지원과목, 희망근무지, 정교사 등과 같은 채용형태, 취업중 또는 구직중과 같은 취업상태 정보가 입력된다. 그리고 단계 S225a에서 입력된 데이터들은 데이터베이스부(120)에 저장된다(S225b).
단계 S225c에서는 개인정보 작성 제 2 단계로서, 학력, 경력, 취미, 특기, 자격증이 입력된다. 그리고 단계 S225c에서 입력된 데이터들은 데이터베이스부(120)에 저장된다(S225d).
단계 S225e에서는 개인정보 작성 제 3 단계로서, 대학교 성적증명서, 고교생활기록부 정보 등이 입력된다. 그리고 단계 S225e에서 입력된 데이터들은 데이터베이스부(120)에 저장된다(S225f).
단계 S225g에서는 개인정보 작성 제 4 단계로서, 자기소개서가 입력된다. 그리고 단계 S225g에서 입력된 데이터들은 데이터베이스부(120)에 저장된다(S225h).
한편, 도 2를 다시 참조하면, S300 단계에서 데이터입출력부(110)에 의하여 제 1 단말(210)에 표시되는 교사의 마이페이지에는 교사 채용을 원하는 학교에 대한 리스트 출력 및 검색을 위한 검색메뉴(또는 링크), 각 교사의 기초정보/개인정보를 입력/수정/보기를 위한 정보메뉴(또는 링크), 학교 및 관리자와의 정보교환을 위한 정보교환메뉴(또는 링크)가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마이페이지에는 교사가 입력하는 자기소개서평가, 면접전략 조언, 학습지도안평가, 시강관련평가를 관리자에게 요청할 수 있는 평가메뉴(또는 링크)가 추가로 표시될 수 있다.
교사가 마이페이지에서 검색메뉴를 선택하게 되면(S310), 데이터입출력부(110)는 교사채용을 원하는 학교들에 대한 리스트를 웹 페이지 형식으로 제 1 단말(210)에 출력하도록 데이터를 송신하는 리스트보기 과정(S311)이 수행된다.
그리고 리스트보기 과정(S311)에서 후술할 비교매칭부(132)는 지원조건 데이터 및 채용조건 데이터를 비교하여 부합되는 항목들 및 그 개수를 포함하는 매칭리스트를 작성한다. 그리고 데이터입출력부(110)는 비교매칭부에 의하여 작성된 매칭리스트를 표시하는 웹페이지를 제 1 단말(210)로 출력한다.
이때 교사는 매칭리스트에 나열된 학교들 중 연락희망 학교를 선택할 수 있다(S312). 그리고 후술할 단계 S332를 수행함으로써 선택된 학교에 대하여 문의 또는 응답을 하게 된다(S332). 단계 S312에서 교사가 연락희망 학교를 선택하면 제 1 단말(210)은 연락희망 학교에 대한 선택값과 입력된 문의데이터를 데이터입출력부(110)로 송신하고, 데이터입출력부(110)는 선택값 및 문의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부(120)에 저장한다.
한편, 비교매칭부(132)에 의하여 작성된 매칭리스트는 이메일 또는 휴대폰과 같은 이동통신망 등의 전기통신망을 사용하여 각 교사의 단말(제 1 단말(210) 포함)에 송신될 수 있다. 이때 비교매칭부(132)에 의한 지원조건 데이터 및 채용조건 데이터의 비교는 사용자인 교사의 선택에 의하여 실행되거나, 새로운 지원정보 데이터 또는 채용정보 데이터의 입력이 있는 경우 자동으로 실행될 수 있다.
한편, 교사가 정보메뉴를 선택하게 되면(S320), 데이터입출력부(110)는 기초정보 및 개인정보보기를 위한 일정한 서식을 가지는 웹페이지를 제 1 단말(210)로 출력한다(S321).
그리고 교사는 제 1 단말(210)을 통하여 기초정보/개인정보를 직접 입력/수정하거나 별도의 파일을 첨부하는 등 입력/수정할 수 있으며(S322), 입력/수정된 기초정보/개인정보는 데이터베이스부(120)에 저장된다(S323). 단계S322에서 입력되는 기초정보/개인정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한편, 교사가 정보교환메뉴를 선택하게 되면(S330), 데이터입출력부(110)는 학교 및 관리자와의 정보교환을 위한 웹페이지를 제 1 단말(210)로 출력하며, 학교 로부터의 응답, 문의글 보기 과정(S331) 및 학교에 대한 문의, 답글 쓰기 과정(S332)이 수행된다. 단계 S331에서는 학교로부터 수신된 응답 및 문의들을 리스트를 제 1 단말(210)에 출력하고, 교사는 각 응답 또는 문의들을 선택하여 해당 응답 또는 문의들을 열람하게 된다. 이때 응답 및 문의들은 해당학교에 대한 선택값과 함께 응답 데이터 또는 문의 데이터로 구성된다.
한편 교사는 단계 S331에서의 각 응답 및 문의 리스트에 대하여 해당 학교를 선택하고 문의 또는 응답을 한다(S332). 즉, 교사가 학교를 선택하고 문의 또는 응답 데이터를 입력하면, 제 1 단말(210)은 선택값과 문의데이터 또는 응답 데이터를 데이터입출력부(110)로 송신하고, 데이터입출력부(110)는 이들을 데이터베이스부(120)에 저장한다. 상기와 같은 단계 S332에 의하여 교사는 학교에 대하여 다시 문의하거나 학교로부터의 문의에 대한 응답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교사, 학교 및 관리자 간의 정보교환은 이메일, 게시판, 메모글 등에 의하여 이루어지며, 상기와 같은 교사, 학교 및 관리자 간의 정보교환 데이터들은 데이터베이스부(120)에 저장된다(S333).
그리고 교사가 입력하는 자기소개서평가, 면접전략 조언, 학습지도안평가, 시강관련평가를 관리자에게 요청할 수 있는 평가메뉴(또는 링크)가 표시된 경우, 교사가 평가메뉴를 선택하게 되면, 데이터입출력부(110)는 교사 및 관리자 간에 평가 또는 조언 요청 및 그 응답을 수행하게 된다.
한편, 단계 S222 및/또는 S322에서 입력 또는 수정되는 기초정보는 이름, 아이디(ID), 패스워드(Password), 성별, 주민등록번호, 회원등급, 휴대폰 전화를 포 함하는 하나 이상의 전화번호, 주소, 취업상태, 이메일(E-mail), SMS 수신 여부, 이메일 수신여부, 가입일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단계 S225 또는 S322에서 입력 또는 수정되는 개인정보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원)과목, 성별, 학력, 연령, 경력, 희망근무지, 취업상태 등이 있으며, 기타 취미, 특기, 자격증, 성적증명서, 생활기록부, 지기소개서 등이 있다. 그리고 단계 S225 및 단계 S322에서는 개인정보의 입력과 교사직을 원하는 교사의 지원조건이 함께 입력될 수 있다.
한편, 지원조건은 하나 이상의 항목들로 구성되며, 그 항목들로는 (지원)과목, 근무지역, 희망연봉, 채용형태, 종교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데이터입출력부(110)는 그 입력의 편이를 위하여 제 1 단말(210)에 표시되는 지원조건을 구성하는 각 항목별로 웹페이지에 표시란 또는 선택란 등이 부가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지원조건을 구성하는 복수개의 항목들은 가중치가 부여될 수 있는데, 그 예로서 일부 항목들에는 필수로, 나머지 항목들에는 선택으로 각 항목들에 대하여 가중치가 부여될 수 있다.
또한, 지원조건을 구성하는 복수개의 항목들은 후술할 비교매칭부(132)의 원활한 비교 판단을 위하여 교사가 임의로 입력하는 형식 이외에 데이터입출력부(110)는 미리 각 항목에 교사가 선택할 수 있는 리스트를 제 1 단말(210)에 표시할 수 있다. 교사는 표시된 각 항목에 대한 리스트에서 해당되는 내용을 간편하게 설정할 수 있게 되며, 지원조건을 입력할 때 미리 설정된 각 항목별로 리스트에서 자기에게 맞는 지원조건을 선택하게 된다.
예를 들면 과목의 경우 데이터입출력부(110)는 국어, 영어, 수학 등을 리스트로 표시하게 되고, 수학 교사는 수학을 선택하면 된다. 그리고 지역의 경우, 데이터입출력부(110)는 서울, 경기, 충청 등을 리스트로 표시하게 되고, 교사는 원하는 지역을 선택하면 된다. 이때 지역의 경우 교사는 복수개도 선택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각 항목 중 복수개의 선택사항이 있는 경우 지원조건의 항목 및 채용조건의 항목 중 어느 한쪽에 포함되면 부합되는 것으로 판단한다. 즉, 과목의 경우 교사의 지원조건의 항목이 국어로 선택되고, 학교의 채용조건의 항목이 국어 및 영어가 선택되어 있으면 비교매칭부(132)는 부합(즉, 1개 부합)되는 것으로 판단한다. 또한 지역의 경우 교사의 지원조건의 항목이 서울, 경기로 선택되고, 학교의 채용조건의 항목이 경기로 선택되어 있으면 부합(즉, 1개 부합)되는 것으로 판단한다.
또한, 지원조건 입력의 편의를 위하여 각 항목들은 그 속성에 따라서 선택 또는 필수로 미리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지원)과목에 대해서는 필수로 기본 설정되고, 지역에 대해서는 선택으로 기본 설정된다. 또한, 지역과 같은 항목에 대해서는 복수개로 설정되거나 무조건으로 선택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 학교모드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교사채용방법 중 학교모드를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교사 채용을 원하는 학교는 제 2 단말(220)을 통하여 교사채용서버(100)에 접속한다(S400). 제 2 단말(220)의 접속에 의하여 교사채용서버(100)의 데이터입출 력부(11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그인 과정을 거친 후에 사용자인 학교 각각에 대응되는 일정한 폼을 가지는 웹페이지(마이페이지)가 제 2 단말(220)에 출력되도록 데이터를 제 2 단말(220)로 송신한다(S600).
로그인 과정은 다음과 같은 단계들에 의하여 수행된다. 먼저 학교가 제 2 단말(220)을 통하여 교사채용서버(100)에 접속(S400)하면 데이터입출력부(110)는 사용자 여부를 판단하기 위하여 학교의 아이디 및 패스워드 입력을 위한 로그인 폼을 제 2 단말(220)에 표시하도록 데이터를 송신한다(S510). 이때 학교의 사용자 등록을 위하여 후술할 등록요청 폼이 로그인 폼과 함께 표시될 수 있다. 학교는 제 2 단말(220)에 표시된 로그인 폼에 아이디 및 패스워드를 입력하고, 제 2 단말(220)은 입력된 아이디 및 패스워드 데이터를 교사채용서버(100)에 송신한다.
데이터입출력부(110)는 입력된 아이디 및 패스워드의 일치 여부를 검사하게 되며, 아이디 및 패스워드가 부정확하거나 없는 경우 제 2 단말(220)에 로그인 폼을 다시 표시하도록 데이터를 송신한다(S530). 한편, 단계 S530에서 아이디 및 패스워드가 정확한 경우, 데이터입출력부(110)는 로그인 된 사용자인 학교의 정보 작성 여부를 검사한 후에 후술할 단계 S600를 수행하게 된다.
한편, 단계 S510에서는 교사채용서버(100)에 접속한 학교가 등록할 수 있도록, 데이터입출력부(110)는 제 2 단말(220)에 로그인 폼의 표시와 함께 등록요청 폼을 표시한다. 그리고 학교가 등록요청을 선택하면(S520), 등록과정(S521)을 거치도록 한다(S520). 등록과정(S521)은 교사모드에서의 등록과정과 유사하게 수행되며, 상기와 같은 등록과정(S521)을 거친 후에는 데이터입출력부(110)는 로그인 과 정을 거치지 않고 바로 마이페이지로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
단계 S521의 등록과정에 입력되는 기초정보는 학교이름, 학교 아이디, 패스워드, 학교종류, 회원등급, 하나 이상의 전화번호, 주소, 이메일, SMS 수신 여부, 이메일 수신여부, 가입일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단계 S521에서의 등록여부는 교사모드와 유사하게 학교가 입력한 이메일 또는 SMS를 통하여 통보될 수 있다. 그리고 입력된 기초정보는 데이터베이스부(120)에 저장된다.
한편, 단계 S521 또는 단계 S622에서 교사채용을 원하는 학교가 입력하거나 수정하는 채용조건은 지원조건을 구성하는 항목들에 대응되어 하나 이상의 항목들로 구성되며, 채용조건을 구성하는 항목들은 채용과목, 근무지역, 연봉, 채용형태, 종교, 마감일자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데이터입출력부(110)는 그 입력의 편이를 위하여 제 2 단말(220)에 표시되는 웹페이지에 표시란, 선택란 등을 추가로 표시할 수 있다.
또한, 그 채용조건을 구성하는 복수개의 항목들은 가중치가 부여될 수 있는데, 그 예로서 일부 항목들에는 필수 항목으로, 다른 항목들에 대하여는 선택항목으로 부여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학교정보 및 채용조건의 입력은 도 3에 도시된 개인정보 및 지원조건의 입력과 유사하게 하나 이상의 단계를 통하여 구현될 수 있으며, 채용조건은 학교정보과 함께 입력될 수 있다. 이때 채용조건은 교사가 입력하는 채용조건에 대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학교정보, 채용조건 등은 데이터베이스부(120)에 저장된다.
한편 데이터입출력부(110)에 의하여 표시되는 학교의 마이페이지는 교사직을 지원하는 교사들에 대한 리스트 출력 및 검색을 위한 검색메뉴(또는 링크), 학교정보/채용정보를 입력/수정/보기들을 위한 정보메뉴(또는 링크) 및 학교, 관리자 및 교사의 정보교환을 위한 정보교환메뉴(또는 링크)가 표시된다.
학교가 검색메뉴를 선택하게 되면(S610), 데이터입출력부(110)는 교사직 지원을 위한 교사들에 대한 리스트 및 검색 결과를 웹 페이지 형식으로 제 2 단말(220)에 표시하는 리스트 보기를 수행한다(S611).
단계 S611에서 비교매칭부(132)는 지원조건 데이터 및 채용조건 데이터를 비교하여 부합되는 항목들 및 그 개수를 포함하는 매칭리스트를 작성한다. 데이터입출력부(110)는 비교매칭부(132)에 의하여 작성된 매칭리스트를 제 2 단말(220)에 웹 페이지로 표시하도록 데이터를 제 2 단말(220)로 송신한다.
이때 학교는 매칭리스트에 나열된 교사들 중 연락희망 교사를 선택(S612)하고 선택된 교사에 문의 또는 응답을 하게 된다(S632). 한편 비교매칭부(132)에 의하여 작성된 매칭리스트는 이메일 또는 휴대폰과 같은 이동통신망 등의 전기통신망을 사용하여 각 학교의 단말(제 2 단말(220) 포함)에 송신될 수 있다.
한편 학교가 정보메뉴를 선택하게 되면(S620), 데이터입출력부(110)는 학교정보를 표시할 수 있는 일정한 서식을 가지는 웹페이지를 제 2 단말(220)에 표시하도록 제 2 단말(220)로 데이터를 송신한다(S621). 그리고 학교는 제 2 단말(220)을 통하여 학교정보/채용정보를 입력/수정하거나, 별도의 파일로 입력/수정하게 되고, 입력/수정된 학교정보/채용정보는 데이터베이스부(120)에 저장된다(S622~S623). 이 때 학교정보는 학교의 인사담당자가 입력하는 형태를 취할 수 있으나, 관리자에 의하여 관리자단말(230)을 통하여 교사채용서버(100)의 데이터베이스부(120)에 미리 입력될 수 있으며, 학교에 관한 부가적인 정보도 함께 입력될 수도 있다.
한편 학교가 정보교환메뉴를 선택하게 되면(S630), 교사채용서버(100)는 교사 및 관리자와의 정보교환을 위한 웹페이지를 제 2 단말(220)에 표시하여, 교사로부터의 응답, 문의글 보기 과정(S631) 및 교사에게 문의, 답글쓰기 과정(S632)이 수행된다. 그리고 교사, 학교 및 관리자간의 정보교환은 이메일, 게시판, 메모글 등에 의하여 이루어지며, 상기와 같은 정보교환은 데이터베이스부(120)에 저장된다(S633).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교사 또는 학교가 제 1 단말(210) 또는 제 2 단말(220)을 통하여 검색메뉴에서 리스트보기를 선택하면(S311, S611), 비교매칭부(132)는 지원조건 데이터와 채용조건 데이터간의 매칭율을 계산한다. 비교매칭부(132)는 지원조건 데이터와 채용조건 데이터를 비교하여 서로 부합되는 항목들 및 부합되는 항목들의 개수를 매칭율로 계산하고, 계산된 매칭율에 따라서 매칭리스트를 작성하여 데이터베이스부(120)에 저장한다.
이때 데이터입출력부(110)는 비교매칭부(110)에 의하여 작성된 매칭리스트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부(120)를 참조하여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실시간으로 변동이 가능한 인터넷의 속성을 반영하여 교사 또는 학교가 제 1 단말(210) 또는 제 2 단말(220)을 통하여 리스트보기(S311, S611)를 선택하면 비교매칭부(132)가 지원조건데이터와 채용조건 데이터를 비교하여 부합되는 항목들 및 부합되는 항목들의 개수 를 산출하여 매칭리스트를 작성하게 되고, 그 매칭리스트를 데이터베이스부(120)에 저장하는 동시에 제 1 단말(210) 또는 제 2 단말(220)에 웹페이지로 출력할 수 있다.
한편, 교사모드 및 학교모드에서 리스트보기에 표시되는 매칭리스트는 비교매칭부(132)에 의하여 지원조건 데이터 및 채용조건 데이터를 비교한 결과값으로서, 비교매칭부(132)에 의한 지원조건 데이터 및 채용조건 데이터의 비교 과정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a는 도 1의 교사채용장치 중 비교매칭부의 비교과정의 일례를 보여주는 순서도이며, 도 5b는 교사 또는 학교에 의하여 입력되는 지원조건 및 채용조건, 및 그 비교결과를 예시한 도표이다.
비교매칭부(132)는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베이스부(120)를 참조하여 각 교사별 지원조건 데이터 및 각 학교별 채용조건 데이터 중 서로 대응되는 항목들의 부합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그리고 비교매칭부(132)는 부합되는 항목들 및 부합되는 항목들의 개수를 기준으로 필수항목 및 선택항목에 따른 리스트를 매칭리스트로 작성하게 된다.
즉, 비교매칭부(132)는 비교대상이 되는 지원조건 및 채용조건 중 각 항목들별로 필수 여부 및 필수 항목의 개수를 판단한다(S710). 단계 S710 후에는 적어도 어느 한쪽이 필수항목으로 부여된 항목들의 부합여부를 먼저 판단한 후(S720)에 선택항목으로 부여된 나머지 항목들의 부합여부를 판단한다(S730). 그리고 비교매칭부(132)는 지원조건 및 채용조건들의 각 항목별로 부합여부를 판단한 후에는 부합 되는 항목들 및 부합되는 항목들의 개수를 매칭리스트로 작성하고(S740), 매칭리스트를 데이터베이스부(120)에 저장한다(S750).
그리고 데이터입출력부(110)는 비교매칭부(132)에 의하여 작성된 교사 또는 학교의 매칭리스트를 데이터베이스부(120)로부터 참조하여 제 1 단말(210) 또는 제 2 단말(220)에 웹페이지로 출력한다.
이때 교사에 의하여 입력된 지원조건을 구성하는 항목들의 예를 들면,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원)과목, 지역(희망근무지), 채용형태, 종교, 지원일자로 이루어진 5개로 구성된다. 학교에 의하여 입력된 채용조건을 구성하는 항목들은 (채용)과목, 지역(근무지), 채용형태, 종교, 지원마감일자로 이루어진 5개로 구성된다. 이때 지원조건의 항목들과 채용조건의 항목들은 각각 서로 대응된다.
과목 및 지원마감일자는 필수로 부여되며, 나머지 항목들은 선택으로 부여된다. 물론 교사 또는 학교의 선택에 의하여 다른 항목들도 필수로 부여될 수 있으며, 도 5b에서는 항목 4(종교)가 학교의 선택에 의하여 필수로 부여되었다.
교사는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항목별로 과목에는 국어, 지역에는 서울, 경기, 채용형태에는 정교사, 종교에는 무(조건 없음)을 입력하게 되고, 접수일자는 입력일자가 자동으로 입력된다. 이때 지역과 같은 항목은 복수개(예; 서울, 경기)로 설정이 가능하다. 또한 각 항목은 선택에 의하여 필수 또는 선택으로 설정이 가능하다. 그리고 과목 또는 접수일자 항목은 속성상 필수만으로 설정된다.
그리고 학교는 각 항목별로 과목에는 국어, 영어, 지역에는 서울, 채용형태는 정교사, 종교에는 불교, 마감일자는 2005년 3월 29일로 입력한다. 이때 속성상 과목 및 마감일자는 필수항목으로 설정되며, 종교의 경우 학교의 설정에 의하여 필수로 설정되었다.
상기와 같이 지원조건 데이터 및 채용조건 데이터는 비교매칭부(132)에 의하여 다음과 같이 비교되어 매칭리스트가 작성된다. 이때 비교매칭부(132)는 각 교사에 대응되는 복수개의 학교들에 대한 매칭리스트를 작성하거나, 각 학교에 대응되는 복수개의 교사들에 대한 매칭리스트를 작성하게 된다.
먼저 비교매칭부(132)는 교사 및 학교의 필수 항목을 파악한다. 도 5b의 예에서는 교사의 경우 과목 및 접수일자가 필수 항목이 되며, 학교의 경우에는 과목, 종교, 마감일자가 필수 항목이 된다.
비교매칭부(132)는 파악된 필수 항목인 (교사의 경우 과목 및 접수일자, 학교의 경우에는 과목, 종교, 마감일자)에 따라서 그 부합여부를 판단한다. 이때 필수항목이 부합되지 않는 경우 선택항목에 대한 부합여부의 판단을 하지 않거나, 나머지 선택항목의 부합여부를 판단하여 매칭리스트의 마지막에 추가한다. 도 5b에 도시된 예에서 교사의 경우에는 2개의 필수 항목이 모두 부합하며, 학교의 경우에는 종교가 부합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거나, 교사의 경우 조건이 없으므로 부합되는 것으로 판단한다.
비교매칭부(132)는 필수항목들의 부합여부를 판단한 후에 선택항목 각각에 대하여 부합여부를 판단한다. 도 5b에 도시된 예에서 교사의 경우 학교가 입력한 채용조건 중 3개의 필수항목 모두 부합됨을 알 수 있으며, 학교의 경우 교사가 입력한 지원조건 중 2개의 필수항목이 모두 부합됨을 알 수 있다.
한편 각 항목별 부합여부의 판단에 있어서, 학교의 경우에는 2개의 과목이 설정되어 있으며 그 중 하나만 부합되어도 부합된 것으로 판단되며(교사<->학교; 국어<->국어, 영어), 교사의 경우 지역이 2개 지역으로 설정되어 있는데 그 중 하나만 부합되어도 부합된 것으로 판단된다(교사<->학교; 서울, 경기<->서울).
한편, 도 5b에는 비교매칭부(132)에 의하여 비교된 결과를 부합여부 란에 표시하였다. 결과적으로 학교가 입력한 채용조건은 교사가 입력한 지원조건 중 2개의 필수항목 모두가 부합되며, 나머지 3개의 선택항목도 모두 부합되므로 교사의 지원조건에 모든 항목들이 부합되는 학교로 매칭리스트에 추가된다.
또한 교사가 입력한 지원조건은 채용조건의 3개의 필수항목 중 2개의 필수항목만이 부합되므로 매칭리스트에 추가되지 않거나 필수항목 중 일부만이 부합되는 교사로서 매칭리스트에 추가될 수 있다. 단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교 항목이 부합된 것으로 판단되면 모든 항목들이 부합되는 교사로 매칭리스트에 추가된다.
비교매칭부(130)는 상기와 같은 비교 판단 결과에 따라서, 모두 부합, 네가지 항목 부합, 세가지 항목 부합, 두가지 항목 부합 순으로 교사에 적합한 학교들의 매칭리스트 또는 학교에 적합한 교사들의 매칭리스트를 작성하여 데이터베이스부(120)에 저장한다.
데이터입출력부(110)는 비교매칭부(132)에 의하여 작성된 매칭리스트를 부합되는 항목들의 개수에 따라서 모두 나열하여 표시하거나, 부합되는 항목들의 개수 별로 별도의 페이지로 구성하여 제 1 단말(210) 또는 제 2 단말(220)로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데이터입출력부(110)는 먼저 모든 항목들이 부합되는 학교들 또는 교사들에 대한 매칭리스트를 제 1 단말(210) 또는 제 2 단말(220)로 출력하고, 부합되는 학교들 또는 교사들이 없는 경우에는 부합되는 학교 또는 교사가 없음을 알리기 위하여 "정보가 없습니다"와 같은 메시지를 제 1 단말(210) 또는 제 2 단말(220)에 표시한다.
이때 제 1 단말(210) 또는 제 2 단말(220)을 통하여 모두부합여부를 확인한 사용자인 교사 또는 학교는 부합되는 항목들 및 그 수에 따른 리스트를 보기 위한 선택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교사 또는 학교가 부합되는 항목들의 수에 따른 리스트를 보기를 선택하게 되면 데이터입출력부(110)는 비교매칭부(132)에 의하여 처리된 지원조건 및 채용조건이 부합하는 항목의 개수에 따라서 부합하는 학교들 또는 교사가 없는 경우에는 부합되는 학교 또는 교사가 없음을 "정보가 없습니다"와 같은 메시지를 제 1 단말(210) 또는 제 2 단말(220)에 표시하게 된다.
이때 데이터처리부(130)는 지원조건 또는 채용조건을 구성하는 항목들에 필수항목(교사: 항목 1, 항목 5, 학교: 항목 1, 항목 4, 항목 5)의 존재여부를 확인한 후, 필수항목이 부합되지 않는 학교들 또는 교사들은 그 리스트에서 제외할 수 있다.
데이터처리부(130)에 의하여 처리된 결과값은 교사 또는 학교의 각각에게 웹페이지(마이페이지) 형태로 제 1 단말(210) 또는 제 2 단말(220)에 표시되며, 부합되는 항목들 및 부합되는 항목들의 수에 따라서 표시될 수 있다.
한편 비교매칭부(132)는 교사 또는 학교의 접속 및 메뉴선택에 관계없이 실시간으로 입력되는 지원조건 및 채용조건을 비교 판단할 수 있으며, 비교매칭부(132)에 의하여 작성된 매칭리스트는 이메일 또는 휴대폰과 같은 이동통신망 등의 전기통신망을 사용하여 각 교사에 송신될 수 있다.
- 관리자 모드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교사지원 및 채용방법 중 관리자모드를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교사지원 및 채용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시스템을 전체적으로 관리할 필요가 있는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스템의 관리자는 별도의 단말(230)을 통하여 교사채용서버(100)에 접속한다(S800). 관리자의 단말(230)에 의하여 교사채용서버(100)에 접속하게 되면 로그인 폼을 거쳐(S810) 데이터입축력부(110)는 관라지의 단말(230)에 관리자페이지를 표시하게 된다(S900).
관리자페이지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교매칭부(132)에 의하여 처리된 결과값 등 기타 정보를 열람 및 수정을 위한 정보관리메뉴(S910), 각 교사들에 대응되는 정보들의 열람 및 수정을 위한 교사관리메뉴(S920), 각 학교들에 대응되는 정보들의 열람 및 수정을 위한 학교관리메뉴(S930)들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교사지원 및 채용방법은 교사직을 지원하는 교사에 의하여 입력되는 지원조건과 교사 채용을 원하는 학교에 의하여 입력되는 채용조건을 비교하여 그 비교결과 리스트를 표시하고, 리스트에서 선택된 학교와 교사 간에 질문 및 응답을 온라인을 통해서 교환함으로써 교사직 지원 및 채용이 보다 효율적이고 신속하게 수행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교사지원 및 채용방법은 교사에게는 지원조건에 부합되는 학교의 채용공고가, 학교에게는 채용조건에 부합되는 교사의 지원이 있음을 이메일 또는 핸드폰으로 송신함으로써 보다 신속하게 교사직 지원 및 채용을 구현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Claims (11)

  1. (a) 통신망을 통해서 연결된 복수의 제 1 단말들로부터 복수의 교사가 각각 입력한 복수의 지원조건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통신망을 통해서 연결된 복수의 제 2 단말들로부터 복수의 학교들이 각각 입력한 복수의 채용조건 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단계;
    (b) 상기 복수의 지원조건 데이터와 상기 채용조건 데이터를 서로 비교하여, 상기 복수의 교사들 및 상기 복수의 학교들 각각에 대해서 서로 부합되는 학교들 및 교사들의 매칭리스트를 작성하여 저장하는 단계; 및
    (c) 상기 교사에 대한 매칭리스트를 상기 통신망에 연결된 상기 교사의 단말로 전송하여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사채용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d) 상기 학교에 대한 매칭리스트를 상기 통신망에 연결된 상기 학교의 단말로 전송하여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사채용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원조건 데이터 및 상기 채용조건 데이터는 적어도 하나의 필수 항목을 포함하고,
    상기 (b) 단계는 상기 필수 항목이 서로 부합하는 상기 지원조건 데이터와 사익 채용조건 데이터간의 매칭율을 계산하고, 상기 매칭율에 따라서 상기 매칭리스트를 작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사채용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지원조건 데이터와 상기 채용조건 데이터의 서로 부합하는 항목의 개수에 따라서 상기 매칭율을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사채용방법.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지원 조건 데이터 및 채용 조건 데이터는 적어도 하나의 필수 항목과 복수의 선택 항목들을 포함하고,
    상기 (b) 단계는 상기 필수 항목과 상기 선택 항목에 서로 다른 가중치를 부여하여 지원조건 데이터와 채용조건 데이터간의 매칭율을 계산하고, 상기 매칭율에 따라서 상기 매칭리스트를 작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사채용방법.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c1) 상기 제 1 단말이 접속하면 상기 지원조건 데이터에 부합하는 채용조건 데이터들에 대응되는 학교의 리스트를 출력하는 단계;
    (c2) 상기 제 1 단말로부터 상기 학교의 리스트 중 하나를 선택하는 선택값을 수신하고, 상기 제 1 단말로부터 입력된 문의 데이터를 상기 선택값이 나타내는 학교의 제 2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및
    (c3) 상기 문의 데이터에 대응되는 응답 데이터를 상기 제 1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사채용방법.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는
    (d1) 상기 제 2 단말이 접속하면 상기 채용조건 데이터에 부합하는 지원조건 데이터들에 대응되는 교사의 리스트를 출력하는 단계;
    (d2) 상기 제 2 단말로부터 상기 교사의 리스트 중 하나를 선택하는 선택값을 수신하고, 상기 제 2 단말로부터 입력된 문의 데이터를 상기 선택값이 나타내는 교사 지원자의 제 1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및
    (d3) 상기 문의 데이터에 대응되는 응답 데이터를 상기 제 2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사채용방법.
  8. 교사직 지원을 위한 지원조건을 입력하기 위한 제 1 단말로부터 복수개의 항목들로 구성된 상기 지원조건 데이터를 수신하고, 교사 채용을 위한 복수개의 항목들로 구성된 채용조건을 입력하기 위한 제 2 단말로부터 상기 채용조건 데이터를 수신하며 상기 제 1 단말 또는 상기 제 2 단말로 데이터를 송신하는 데이터입출력부와;
    상기 데이터입출력부를 통하여 입력받은 상기 지원조건 데이터 및 상기 채용조건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부와;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된 상기 지원조건 데이터와 상기 채용조건 데이 터를 비교 판단하여 상기 지원조건 데이터와 상기 채용조건 데이터가 서로 부합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각 교사 및 각 학교에 대응되는 매칭리스트를 작성하고, 작성된 상기 매칭리스트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상기 데이터입출력부를 통하여 상기 교사 또는 상기 학교의 단말로 전송하는 데이터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사채용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지원조건 데이터 및 상기 채용조건 데이터는 적어도 하나의 필수 항목을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처리부는 상기 필수 항목이 서로 부합하는 상기 지원조건 데이터와 상기 채용조건 데이터간의 매칭율을 계산하고, 상기 매칭율에 따라서 상기 매칭리스트를 작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사채용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처리부는 상기 지원조건 데이터와 상기 채용조건 데이터의 서로 부합하는 항목의 개수에 따라서 상기 매칭율을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사채용장치.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지원 조건 데이터 및 채용 조건 데이터는 적어도 하나의 필수 항목과 복수의 선택 항목들을 포함하고,
    상기 비교매칭부는 상기 필수 항목과 상기 선택 항목에 서로 다른 가중치를 부여하여 지원조건 데이터와 채용조건 데이터간의 매칭율을 계산하고, 상기 매칭율에 따라서 상기 매칭리스트를 작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사채용장치.
KR1020050024232A 2005-03-23 2005-03-23 인터넷을 이용한 교사채용방법 및 그 장치 KR1006876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4232A KR100687610B1 (ko) 2005-03-23 2005-03-23 인터넷을 이용한 교사채용방법 및 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4232A KR100687610B1 (ko) 2005-03-23 2005-03-23 인터넷을 이용한 교사채용방법 및 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2247A true KR20060102247A (ko) 2006-09-27
KR100687610B1 KR100687610B1 (ko) 2007-03-02

Family

ID=376331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24232A KR100687610B1 (ko) 2005-03-23 2005-03-23 인터넷을 이용한 교사채용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8761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443567A (zh) * 2019-07-03 2019-11-12 平安科技(深圳)有限公司 基于人工智能的推荐方法及相关设备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78971A (ko) * 2001-05-28 2001-08-22 김봉익 인터넷웹사이트(네트워크)를 이용한 외국인강사 구인구직중개처리 방법 및 장치와 그 방법이 기록된 기록매체.
KR20030072538A (ko) * 2002-03-04 2003-09-15 주식회사 씨큐어넷 온라인 구인/구직 트레이딩 시스템 및 그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443567A (zh) * 2019-07-03 2019-11-12 平安科技(深圳)有限公司 基于人工智能的推荐方法及相关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87610B1 (ko) 2007-03-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51559B2 (en) Balanced routing of questions to experts
US7013325B1 (en) Method and system for interactively generating and presenting a specialized learning curriculum over a computer network
US7082418B2 (en) System and method for network-based personalized education environment
US8200584B2 (en) Employee recruiting system and method
US20120265770A1 (en) Computer implemented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ed job search, recruitment and placement
US20020013836A1 (en) Interactive online learning with student-to-tutor matching
US20090248685A1 (en) Method, System and Apparatus for Matching Job Applicants with Job Openings
US20040049547A1 (en) Methods for providing information over networks responsive to digital device user requests
US20020073005A1 (en) Computerized lifestyle planning system and method
US20040163040A1 (en) Enterprise employment webservice and process
US8751540B2 (en) Dynamic assessment system
KR20170118983A (ko) 로보 어드바이저를 통한 상담 시스템 및 방법
Desai Instant messaging reference: how does it compare?
Mitchell et al. Practitioner and academic recommendations for internet marketing and e-commerce curricula
JP2003058464A (ja) 質問応答システム
KR20020023516A (ko) 실시간 대화를 통한 인터넷상의 외국어 학습 방법
JP2019159972A (ja) 情報提供システム、情報提供方法、プログラム
KR100687610B1 (ko) 인터넷을 이용한 교사채용방법 및 그 장치
JP4961537B2 (ja) Q&aシステム
GB2451057A (en) A webtop presented enterprise system
JP2023027557A (ja) 求職求人支援システム及び求職求人支援方法
Porter Level of use of the internet by Ohio State University extension educators
JP2003203153A (ja) アンケート作成支援システム
US7565344B1 (en) Method and system for establishing and using a social network to facilitate people in life issues
JP2001282092A (ja) ワイド・アクセス情報伝送システムを介してオンライン及びオフラインの教育機会並びに関連情報を供給するシステム及び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1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1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