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00381A - 역류방지 정지부를 가진 세정주사기 - Google Patents

역류방지 정지부를 가진 세정주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00381A
KR20060100381A KR1020067007645A KR20067007645A KR20060100381A KR 20060100381 A KR20060100381 A KR 20060100381A KR 1020067007645 A KR1020067007645 A KR 1020067007645A KR 20067007645 A KR20067007645 A KR 20067007645A KR 20060100381 A KR20060100381 A KR 200601003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rel
stop
chamber
liquid
clea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076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24387B1 (ko
Inventor
토마스 에이. 앨헤이트
제임스 존 팀코
Original Assignee
벡톤 디킨슨 앤드 컴퍼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34313556&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060100381(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벡톤 디킨슨 앤드 컴퍼니 filed Critical 벡톤 디킨슨 앤드 컴퍼니
Publication of KR200601003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003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43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43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15Pistons; Piston-rods; Guiding, blocking or restricting the movement of the rod or piston; Appliances on the rod for facilitating dosing ; Dosing mechanis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15Pistons; Piston-rods; Guiding, blocking or restricting the movement of the rod or piston; Appliances on the rod for facilitating dosing ; Dosing mechanisms
    • A61M5/31511Piston or piston-rod constructions, e.g. connection of piston with piston-ro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15Pistons; Piston-rods; Guiding, blocking or restricting the movement of the rod or piston; Appliances on the rod for facilitating dosing ; Dosing mechanisms
    • A61M5/31511Piston or piston-rod constructions, e.g. connection of piston with piston-rod
    • A61M2005/31523Piston or piston-rod constructions, e.g. connection of piston with piston-rod for reducing reflux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Abstract

I.V. 세정주사기(20) 조립체는 액체를 보유하기 위한 챔버(33)를 이루는 내표면(32)과, 개구 기단부(28)와, 말단벽을 갖는 말단부(30)를 구비하되, 상기 말단벽은 챔버(33)와 유체교환하기 위하여 통로(38)를 가지고 그 말단벽으로부터 끝단부 쪽으로 연장된 연장팁(36)을 갖는다. 플런저(24)는 연장 몸체부(25)와 정지부(54)를 구비하되, 상기 정지부는 배럴(22)의 내표면(32)과 방수결합되며 미끄럼가능하게 배치된다. 역류방지구조는 액체가 챔버(33)으로 유입되고 정지부(54)가 말단벽(31)과 접촉할 때 정지부의 변형을 조절하기 위하여 마련된다. 상기 역류방지구조는 원뿔형상 말단면(59)을 가진 정지부(54)와 배럴(22)의 내표면(32)으로 구성되며, 말단벽(31)은 말단벽(31)에서의 배럴(22)의 내표면(32)의 전체 사이각(A)가 정지부(54)의 말단면(59)의 전체 사이각(B)보다 최소한 6도 이상 큰 원뿔형상을 이루고 있다.

Description

역류방지 정지부를 가진 세정주사기{Flush syringe having anti-reflux stopper}
본 발명은 주사기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특히 I.V. 세정과정에서 사용되는 주사기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I.V.카테터는 일반적으로 치료장치에 사용된다. 치료시에 환자들은 주입액 및 액체를 주입하기 위하여 I.V 시스템을 이용하여 액체 교환하는 데 사용하거나 또는 많은 수술시에 사용하기 위하여 정맥에 연결되는 I.V. 카테터를 가진다. 많은 I.V. 세트들은 카테터를 이용하여 액체교환하고, 환자에게 약물을 주입할 목적으로 사용되며, 카테터를 일정한 상태로 유지하는 세정기술에 사용되는 I.V.포트를 가진다.
헬스 케어 설비들은 환자들에게 사용하는 시간과 사용되는 카테터의 종류에 따라 좌우되는 세정 프로토콜을 구비한다.
예를 들면, 주변에 삽입되는 중심 카테터(PICC)는 길고 유연한 카테터로서, 그것은 전형적으로 전주와(antecubital fossa)의 천부정맥(superficial vein)을 통하여 중심 정맥 시스템(central venous system)에 삽입된다. PICC 라인들은 중간 단계 또는 긴 시간 치료를 처방받았을 때, 사용될 수 있도록 설계된다.
이러한 카테터 라인은 프로토콜에 따라 식염세정액 및/또는 헤파린 락 세정액으로 주기적으로 세정 되어야 한다. 다른 물질들 중, 세정식염수는 카테터로부터 피를 제거하고, 헤파린은 향후 응혈(blood clots)이 생기는 것을 방지한다. 가장 흔히 사용되는 I.V. 포트는 천공가능한 격막(septums) 또는 프리-슬릿(pre-slit) 격막으로 덮이고, 종래에 알려진 바에 따르면 "필요한 대로"의 의미를 가진 라틴어 "pro re nata"를 따서 "prn"으로 지칭된다. 상기 격막은 고무로 만들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나, 그 외에도 카테터 내로 액체를 주입하거나 카테터로부터 액체를 빼내기 위하여 날카로운 니들 캐뉼러(needle cannular)가 삽입될 수 있게 하는 다른 종류의 탄성 소재로 만들어질 수 있다. 니들 캐뉼러가 제거되면 격막은 스스로 시일된다. 프리-슬릿 격막을 가진 포트에는 뭉툭한 캐뉼러가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뭉툭한 캐뉼러는 주사기에 부착되고, 이 주사기는 뭉툭한 캐뉼러에 의하여 강제로 열리는 프리-슬릿 격막에서 액체교환을 하는데 알맞은 압력에 놓일 수 있는 위치로 이동한다. 또한, 어떤 I.V. 세트는 캐뉼러를 사용하지 않고도 주사기의 내부와 카테터가 유체교환을 할 수 있도록 주사기 배럴의 원추대 형상의 팁에 대응하는 접근 밸브를 가진다.
카테터는 다양한 액체가 채워진 주사기 조립체를 이용하여 세정된다. 어떤 경우에는, 식염수 다음에 헤파린과 같은 항응고제를 사용할 때와 같이 다른 종류의 액체를 프로토콜에 따라서 순차적으로 분사한다.
I.V. 라인에 사용되는 주사기는 카테터의 크기 및 길이를 포함한 다양한 요인에 의하여 그 크기가 변화한다. 일반적으로는 1ml, 3ml, 5ml 및 10ml 용량이 사 용된다.
세정과정에서는 피가 카테터 내로 다시 유입되는 현상 (이를 흔히 "역류"라 한다)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며, 피가 역류할 때에는 응고되어 카테터를 밀봉 할 수도 있다.
카테터로 피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사용자는 세정하는 동안 라인이 플러스 압력을 유지되게 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것은 I.V. 포트로부터 캐뉼러 및 주사기를 천천히 제거하는 것과 관련 있으며, 동시에 세정과정 동안에 주사기 플런저 로드(plunger rod)는 여전히 가압상태를 유지하여야 한다.
탄성재질의 정지부를 가진 주사기를 사용하여 세정작업이 완료되었을 때 주사기 배럴의 말단부에는 정지부가 접촉되어 있고, 이 정지부는 압축되어 있는 경우가 있다. 세정작업이 완료된 후에 사용자가 플런저에 압력을 완화시켰을 때, 정지부는 원래의 표준크기로 팽창되어 뒤로 밀리게 되는데, 이러한 작용에 의하여 액체가 카테터로부터 주사기 배럴 내로 유입된다. 이러한 현상은 바람직하지 않은 데, 그 이유는 카테터 말단부에 있는 피가 카테터로 들어가기 때문이다(역류). 카테터내로 피가 역류함에 따라 발생하는 문제는 점차 증가하는 데, 그 이유는 현재 IV 라인들이 카테터를 관리하는 데 능숙하지 못한 수많은 헬스 케어 작업자들에 의하여 세정되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비록 차후에 이루어질 세정 프로토콜 및 작업이 정밀하게 이루어지지 않더라도 세정동안 그리고 세정작업 후에 카테터 안으로 피가 역류하는 정도가 감소하거나 제거되어 주사기 조립체의 관리를 쉽고 간편하게 할 필요성이 있다. 예를 들어, 정지부에서의 압축력을 조기에 완화하면 카테터 내로 피가 역류하는 원인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세정작업에 사용되는 주사기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본 주사기 조립체는 카테터내로 피가 역류하는 것을 감소시키거나 제거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하여 주사기 조립체는 정지부가 세정액을 분출하는 통로에 근접한 정지부 중심이 먼저 배럴을 밀봉 할 수 있도록 배럴의 원뿔형상 벽의 사이각보다 작은 전체 사이각을 가진 원뿔형상 정지부 표면을 구비하고 있다. 더욱이 정지부의 압축도 밀봉에 영향을 주지 않기 때문에, 역류가 감소 또는 제거된다.
I.V 세정주사기 조립체는 액체를 보유하는 챔버를 이루는 내표면을 가지는 원통형 측벽을 구비한 배럴을 포함한다. 상기 배럴은 개구 기단부과 그것으로부터 연부방향으로 연장된 길죽한 팁(tip)을 가진 말단벽을 가진 말단부를 구비한다. 상기 팁은 챔버와 액체교환이 이뤄지는 통로를 구비한다. 플런저는 기단부와 말단부를 구비한 연장 몸체부와 정지부를 가지며, 상기 정지부는 배럴에 대해 정지부가 상대적으로 이동함에 따라 챔버 안으로 액체를 유입하게 하거나 챔버밖으로 액체를 밀어낼 수 있도록 배럴의 내표면과 방수결합된 상태로 미끄럼가능하게 배치된다. 플런저의 연장 몸체부는 배럴의 개구 기단부로부터 바깥쪽으로 연장된다. 액체가 챔버로부터 유입되고 정지부가 배럴의 말단벽과 접촉할 때, 정지부의 변형을 조정하기 위하여 역류방지구조가 마련된다. 역류방지구조는 원뿔형상 말단면을 가진 정지부와, 그 말단벽에 원뿔형상 내표면을 가진 배럴을 포함한다. 말단벽에서 배럴 내표면의 전체 사이각(Included angle)은 정지부에서 말단벽의 전체 사이각보다 적어도 6도이상 크다.
한 실시예에서 정지부의 말단벽에 대한 전체 사이각은 대략 110도 이고, 배럴의 말단벽에 대한 원뿔형상 내표면의 전체 사이각은 대략 120도 이다.
상기 주사기 조립체는 정지부의 말단면이 원뿔형상 내표면과 처음 접촉할 때, 정지부의 말단면과 배럴의 말단벽의 원뿔형상 내표면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배치되고 정지부의 말단면상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주사기 조립체는 챔버내에 있는 세정액과, 통로를 밀봉하기 위하여 주사기 배럴의 팁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된 팁뚜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세정액은 식염세정액과 헤파린 고정액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I.V. 세정 주사기 조립체의 다른 실시예는 액체를 보유하는 챔버를 이루는 내표면을 가진 원통형 측벽을 구비한 배럴을 포함한다. 상기 배럴은 개구 기단부와, 챔버와 액체교환하는 통로를 구비하고, 원주방향으로 연장된 연장팁을 가진 말단벽이 있는 말단부를 포함한다. 플런저는 기단부 및 말단부를 가진 연장몸체부와, 말단부와, 배럴에 대한 정지부의 상대이동에 따라 챔버 안으로 액체를 유입하거나, 챔버 밖으로 액체를 밀어낼 수 있도록 배럴의 내표면과 방수결합되고 미끄럼가능하게 배치된 정지부를 구비한다. 플런저의 연장몸체는 배럴의 개구 기단부로부터 바깥쪽으로 연장된다. 팁뚜껑은 통로를 밀봉하기 위하여 상기 배럴의 연장팁에 결합된다. 소정양의 세정액은 정지부와 말단벽사이의 챔버내에 있다. 액체가 챔버로부터 공급되고, 정지부가 말단벽과 접촉될 때 정지부의 변형 정도를 조정하기 위한 역류방지구조가 마련된다. 역류방지구조는 원뿔형상의 말단벽을 가진 정지부와, 원뿔형상의 말단벽에서 배럴의 내표면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말단벽에서의 배럴 내표면의 전체 사이각(Included angle)은 정지부에서의 말단벽의 전체 사이각보다 적어도 6도만큼,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0도만큼 크다. 상기 정지부의 말단면 상에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가 마련된다. 이러한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는 정지부가 배럴의 내표면과 접촉할때 상기 돌출부가 변형되어도 그 돌출부내에는 정지부를 이동시키기에 충분한 에너지를 저장되지 않을 정도의 크기를 가지고 또한 배치된다.
본 발명에서 카테터를 세정하는 방법은 유체를 보유하는 챔버를 이루는 내표면이 있는 원통형 측벽과 개구 기단부와, 챔버와 유체교환하는 통로 및 그로부터 원주방향으로 연장된 연장팁을 갖는 말단벽을 포함하는 말단부를 갖는 배럴과,
기단부와, 말단부를 갖는 연장몸체부와, 정지부를 구비한 플런저로서, 배럴에 대하여 상기 정지부가 상대적으로 이동함에 따라 챔버로 액체를 유입되게 하거나 챔버밖으로 액체를 밀어낼 수 있도록 배럴의 내표면과 방수결합되고 미끄럼가능하게 배치된 플런저와,
상기 배럴의 개구 기단부로부터 바깥쪽으로 연장된 연장몸체부와,
상기 챔버내에 소정양의 세정액과,
세정액이 챔버로부터 공급되고, 정지부가 말단벽에 접촉되어서 압축될 때 정지부가 변형하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한 역류방지수단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방법은 기단부, 말단부, 관통하는 통로를 갖는 카테터와 상기 통로와 액체교환하는 중공내부를 갖는 하우징을 더 구비하고 있으며, 하우징의 중공내부와 액체교환하도록 상기 하우징에는 배럴의 연장팁과 맞물릴 수 있는 접근 밸브가 구비된다.
상기 방법은 혈관에 카테터의 말단부를 배치하는 단계;
팁의 통로가 하우징의 중공내부과 액체교환할 수 있도록 접근밸브와 배럴의 연장팁을 결합하는 단계;
챔버내의 세정용액이 통로를 통과하여 하우징의 중공챔버내로 밀려들어가서 카테터의 통과할 수 있도록 플런저가 배럴에 대하여 말단방향으로 이동하게 할 수 있게 플런저에 힘을 가하는 단계;
정지부가 접촉하거나 배럴의 말단벽에 가압할 때까지 플런저에 지속적으로 힘을 가하는 단계;
상기 주사기 조립체를 상기 접촉밸브로부터 분리되게 단계를 더 구비한다.
변형예로는 니들 조립체를 배럴의 연장팁에 결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니들조립체는 기단부, 말단부 및 그를 통과하는 루멘을 포함하는 캐뉼러와, 캐버티를 갖는 개구 기단부와 루멘이 상기 캐버티와 액체교환 할 수 있도록 캐뉼러의 기단부에 부착된 말단부를 갖는 허브를 구비한다. 상기 니들 조립체는 배럴에 허브내의 캐버티와 연장팁사이에서 형성된 마찰에 의하여 맞물려져 결합되어 있다.
다른 변형방법은 기단부, 말단부, 그것을 통과하는 통로를 갖는 카테터와, 상기카테터와 연결되며 카테터의 통로와 액체교환하는 중공내부를 갖는 하우징을 이용한다. 상기 하우징은 상기 중공내부와 액체교환을 가능하게 하는 격막을 더 포함한다. 액체교환은 캐뉼러의 루멘이 하우징의 중공내부와 액체교환할 수 있도록 격막을 통과하여 캐뉼러의 말단부에 힘을 가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캐뉼러는 허브를 사용하거나 사용하지 않고 배럴 팁에 영구적으로 부착될 수 있다. 세정과정이 끝난 후에 캐뉼러는 격막에서 제거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주사기 조립체의 사시도이다.
도 2는 결합된 니들 조립체를 가진 도 1의 주사기 조립체의 부분적으로 횡단된 측단면도이다.
도 3은 3-3 라인을 따라 취해진 도 1의 주사기 조립체의 횡단면도이다.
도 4는 도1의 주사기 조립체의 정지부와 플런저의 말단부의 부분사시도이다.
도 5는 도2의 주사기 조립체의 말단부를 확대한 부분 횡단 측단면도이다.
도 6은 세정과정이 완료된 후에 보여지는 주사기조립체의 말단부를 확대한 부분 횡단 측단면도이다.
도 7은 카테터 분사사이트를 이용한 주사기 조립체를 설명하는 측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주사기 본체의 사시도이다.
도 9는 9-9 라인을 따른 도 8의 주사기 조립체의 부분 횡단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주사기(20)는 전반적으로 배럴(22)과 플런저(24)를 포함한다. 상기 배럴(22)은 크게 손잡이부(29)을 가진 개구된 기단부(28)와, 말단벽(31)을 가진 말단부(30)와, 액체를 보유하기 위한 챔버(32)를 이루는 내표면(32)을 가지면서 전체적으로 원통형상을 가진 측벽(23)으로 구성된다. 상기 말단벽에서 배럴의 내표면은 도면부호 35가 지칭하는 바와 같이 원뿔형상을 이룬다. 상기 배럴의 말단벽의 원뿔형상 내표면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 사이각(A)을 가진다. 말단부(30)는 챔버와 액체교환하는 통로(38)을 가진 팁(36)을 더 포함한다. 배럴(22)의 말단부에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한 록킹루어(locking lure) 형태의 컬러(collar; 40)를 팁(36) 둘레에서 원중심을 향하도록 배치한다. 컬러의 내표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나사산(43)을 구비한다. 캐뉼러(26)는 기단부(42), 말단부(44) 및 그것을 통과하는 루멘(46)을 구비한다. 말단부는 날카로운 팁(Tip)을 가질 수도 있으나 도시된 바와 같이 뭉툭한 팁(48)을 가질 수 있다. 캐뉼러는 루멘과 상기 챔버간에 유체교환이 이뤄질 수 있도록 주사기 배럴의 팁에 직접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캐뉼러는 캐버티(41)를 내포한 개구 기단부(37)와, 캐뉼러의 기단부에 부착된 말단부(39)를 갖고 있으며 캐뉼러의 루멘이 캐버티와 액체교환 할 수 있게 하는 허브(34)를 구비한 니들 조립체(27)의 일부구성이 될 수 있다.
상기 허브의 상기 캐버티는 도 2, 5 및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럴의 팁에 탈착가능하게 마찰되어 맞물릴 수 있다.
플런저(24)는 연장 몸체부(25), 플랜지(51)를 가진 기단부(50) 및 말단부(52)를 구비한다. 정지부(54)는 플런저의 말단부(52)에서 돌출부(53)상에 배치되고, 바람직하게는 나사에 의하여 맞물린다. 정지부(54)는 적어도 하나의 리브, 바람직하게는 그 바깥지름상에 복수의 리브들(56)을 구비한다. 상기 정지부는 배럴에 대한 정지부의 상대이동에 의하여, 통로를 통하여 챔버 안으로 액체가 유입되게 하거나 챔버밖으로 액체가 밀어낼 수 있도록, 배럴의 내표면에 방수결합되면서 미끄럼가능하게 배치된다. 정지부(54)는 플런저 기단부(52)의 돌출부(53)와 결합되도록 그 내부에 캐버티(57)가 형성된 기단부(55)를 구비한다. 정지부(54)는 그 위에 원추형상의 말단면(59)을 가진 말단부(58)를 더 구비한다. 원추형상 말단면(59)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 사이각(B)을 가진다. 아래에 상세히 설명된 바와 같이, 말단벽에서의 배럴의 내표면에 대한 전체 사이각(A)은 정지부의 원추형상 말단면의 전체 사이각(B)보다 크다. 각(A)는 각(B)보다 적어도 6도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10도만큼 더 크다. 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각(A)는 대략 120도이고, 각(B)는 대략 110도이다.
바람직하게 정지부(54)는 원추형상의 말단면(59)상에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 또는 돌기(60)를 포함한다. 돌출부(60)는 조립과정동안 정지면들이 서로 포개지거나 고착하는 것을 막는다. 예를 들어, 한 정지부의 원뿔형상의 말단면은 정지부들이 조립전에 서로 합쳐져 있는 동안에도 다른 정지면의 캐버티내에서 본래의 모습을 가지고 위치할 수 있게 한다.
정지부는 압축상태에서 밀봉특성을 제공하는데 적합한 어떤 재료로 만들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정지부는 열가소성 탄성체, 천연고무, 합성고무 또는 열가소성 소재 및 그것들의 조합체로 만들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 본 실시예에서 플런저는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과 같은 정지부보다 단단한 재료로 만들어질 수 있다.
작동시, 주사기(20)는 니들조립체와 연결되고, 알려진 방식에 따라 세정액이 채워진다. 세정액은 세정을 위한 것이라면 어떤 액체도 가능하다. 세정액은 식염세정액과 헤파린 락(heparin lock) 세정액 그룹에서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액체는 종래기술로서 알려져 있으며, 쉽게 사용할 수 있다. 식염세정액의 일예로는 0.9% 소디움 클로라이드(Sodium Chloride) USP 이 있다. 헤파린 락 세정액의 일예로는 밀리리터당 100USP 단위의 헤파린 소디움을 포함하거나 밀리리터당 10USP 단위의 헤파린 소디움을 포함한 0.9% 소디움 클로라이드가 있다.
부착된 니들조립체를 가진 주사기가 관통가능한 격막을 관통하거나, 뭉툭한 캐뉼러가 세정액을 담고 있는 유리병의 프리-슬릿 격막으로 넣어질 수 있으며, 상기 세정액은 배럴(22)을 잡은 상태에서 플런저 로드 플랜지(51)를 기단부쪽 방향으로 잡아당김에 의하여 주사기 배럴로 유입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액체는 니들 캐뉼러를 통하여 액체 챔버(33)로 유입된다.
다른 예로서, 주사기에는 무균 충전방식에 의하여 주사기의 제조동안 세정액이 채워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미리 충전된 주사기는 통로(38)를 밀봉하는 팁(36)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된 팁뚜껑(45)과 같은 팁뚜껑이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팁뚜껑은 천연고무, 합성고무 및 열가소성 탄성체와 같은 열가소성 소재의 그룹들로부 터 소재를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주사기는 현재 세정시에 I.V. 세트의 카테터를 사용하고 있다. I.V. 세트는 상당히 복잡할 수 있으며, 다중의 분사 포트, 밸브 및/또는 다른 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하여, 단순화된 I.V. 세트(64)가 도 7에 도시된다. I.V. 세트(64)는 중공 내부(68) 및 그 기단부에 격막(69)을 가진 하우징(67)을 구비한 I.V. 사이트(site; 65)를 포함한다. 그것을 통과하는 도관을 가진 카테터(70)는 하우징의 말단부로부터 연장된다. 이를 위하여 I.V. 세트 격막(69)은 뭉툭한 캐뉼러를 사용하기 위한 프리-슬릿(pre-slit)이다. I.V. 사이트는 주사기 배럴 팁을 사용할 수 있게 하는 미국특허공보 제 6,171,287호에 기재된 밸브와 같은, 카테터와 액체교환할 수 있도록 팁을 삽입함에 의하여 작동되는 구조를 가진 밸브일 수 있다.
캐뉼러(26)의 뭉툭한 팁(48)은 I.V. 세트(64)의 프리-슬릿 격막(69)을 관통하여 삽입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니들 캐뉼러의 날카로운 팁을 이용하여 프리-슬릿이 아닌 격막을 관통가능하게 하거나, 배럴의 팁이 IV 사이트에서 밸브와 맞물리게 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I.V 세트의 내부(68)와 주사기 배럴의 챔버사이에서 유체교환이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주사기 배럴(22)이 손잡이부(29)를 통하여 파지된다. 그 후에 말단방향으로, 예를 들면 엄지손가락에 의해 가해진 압력이 플런저의 플랜지(51)에 전달된다. 이러한 작용에 의하여 그 말단부에 정지부(54)를 가진 플런저(24)가 이동하고, 이에 따라 챔버(34) 내의 세정액(71)과 같은 액체는 캐뉼러(26)을 통하여 챔버 밖으로 보내져 I.V. 세트의 내부(68)로 밀려들어가며, 그 후에는 카테터(70)를 통하여 유출된다.
도 6에서는 세정과정이 완료되었을 때의 플런저와 정지부의 위치가 도시된다. 세정이 완료되었을 때, 정지부의 원추형상 말단면(59)은 통로(30)근처에 있는 배럴의 말단벽의 원뿔형상 내표면(35)과 접촉하면서 통로를 밀봉하고 있기 때문에, 정지부가 더욱 변형되어도 통로와 카테터에서의 액체에는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따라서, 종래의 장치에서 카테터로 피가 역류하게 하는 요인이 되었던, 플런저에 가해진 불필요한 여분의 힘에 의하여 정지부가 변형되는 현상은 본 발명의 정지부에서 거의 제거된다. 그러나, 정지부에도 변형은 발생할 수 있으며, 이러한 변형은 전체적으로 통로의 입구를 둘러싸는 밀봉영역의 바깥쪽에나 생길 수 있다. 더구나, 돌출부(60)는 플런저에 가해진 힘에 의하여 정지부가 변형되어도 상기 정지부를 기단부 쪽으로 이동시키는 데 필요한 힘을 가질 수 없는 형상을 이룬다. 즉, 돌출부는 정지부를 기단부 쪽으로 이동시켜 역류를 발생시킬 수 있는 힘을 가질 수 없다. 정지부의 말단면상의 돌출부는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지부의 원뿔형상 말단면과 배럴의 말단벽의 원뿔형상 내표면 사이의 공간(61)에 대부분 위치된다.
이러한 돌출부는 변형되어도 정지부를 기단부 쪽으로 이동시키거나, 통로에서 정지부와 배럴사이에 형성된 밀봉을 깰 수 있는 정도의 힘이 축적되지 않도록 배치되고 그러한 크기를 가져야 한다. 상기 돌출부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진 형상을 이루며, 배럴의 내표면(35)과 동일한 각도를 가진 말단면을 구비한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주사기 조립체의 변형 실시예를 도시한다. 이 실시예에서 주사기 조립체(120)은, 액체가 담겨지는 챔버(133)를 이루는 내표면(132)이 있는 원통형 측벽(123)을 구비한 배럴(122)을 포함한다. 상기 배럴의 말단부(130)는 말단부로부터 연장된 연장팁(136)을 가진 말단벽(131)을 구비한다. 상기 팁은 챔버와 액체교환하는 통로(138)를 구비한다. 말단벽은 원뿔형상의 내표면(135)을 구비한다.
플런저(124)는 말단부(152)를 갖는 연장몸체부(125)와 상기 배럴의 내표면과 방수결합되고 미끄럼가능하게 배치된 탄력성 있는 정지부(154)를 구비한다. 상기 정지부는 말단부(158)에 적어도 하나의 리브(156)와 원뿔형상 말단면(159)을 구비한다. 상기 말단벽(131)의 원뿔형상 내표면의 전체 사이각(A)은 정지부의 원뿔형상 말단면의 사이각보다 적어도 8도 이상 크다. 이 실시예에서 각(A)와 각(B)는 대략 20도 정도의 차이를 가진다.
정지부의 말단면에는 정지부가 배럴의 말단벽의 원뿔형상 내표면과 접촉하여도 정지부의 원뿔형상 말단면에서의 밀봉현상을 방해하지 않는 크기를 가지고 배치되어 있는 돌출부들 또는 돌기부들을 구비하고 있다.
더욱이, 돌출부들은 비록 부분적으로 압축되더라도, 돌출부만으로는 정지부의 원뿔형상 말단면과 통로근처의 배럴사이에 형성된 밀봉을 깨서 배럴내의 정지부를 기단부 쪽으로 이동시킬 수 없는 정도의 구조 및/또는 배치를 이루고 있다.
비록 여기서 언급한 본 발명은 특수한 실시예를 설명하고 있으나, 이 실시예는 단순히 본 발명의 원리와 적용에 대한 예에 불과한 것이다. 그러므로, 설시한 예로부터 만들어지는 다양한 변형예가 가능하고, 개시된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른 구조를 생각해 낼 수 있다.

Claims (13)

  1. I.V. 세정 주사기 조립체에 있어서,
    액체를 보유하기 위한 챔버를 이루는 내표면을 가진 원통형상 측벽과, 개구 기단부와, 상기 챔버와 유체교환할 수 있는 통로를 가지며 말단쪽으로 연장되어 있는 연장팁이 형성된 말단벽이 있는 말단부를 구비한 배럴과;
    기단부 및 말단부를 가진 연장몸체부와, 정지부를 구비하되, 상기 정지부는 상기 배럴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함에 따라 챔버내로 액체를 유입하게 하거나 챔버밖으로 액체를 밀어낼 수 있도록 상기 배럴의 내표면과 방수결합되고 미끄럼가능하게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연장몸체부는 상기 배럴의 개구 기단부로부터 바깥쪽으로 연장되어 있는 플런저; 및
    액체가 상기 챔버로부터 공급되고 상기 정지부가 상기 말단벽과 접촉할 때, 상기 정지부의 변형을 조정하기 위한 역류방지수단;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I.V. 세정 주사기 조립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역류방지수단은 원뿔형상 말단면을 가진 정지부와, 원뿔형상 말단벽인 상기 배럴의 내부면을 구비하고, 말단벽에서 배럴 내표면의 전체 사이각은 정지부 말단벽의 전체 사이각보다 적어도 6도만큼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I.V. 세정 주사기 조립체.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정지부 말단면의 전체 사이각은 대략 110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I.V. 세정 주사기 조립체.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배럴의 상기 말단벽의 원뿔형상 내표면의 전체 사이각은 대략 120도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I.V. 세정 주사기 조립체.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정지부의 말단면이 원뿔형상 내표면과 처음 접촉할 때, 상기 말단면과 상기 말단벽의 원뿔형상 내표면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대부분이 배치되는 상기 정지부의 말단면상에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I.V. 세정 주사기 조립체.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챔버에는 세정액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I.V. 세정 주사기 조립체.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통로를 밀봉하기 위하여 상기 주사기 배럴의 상기 팁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된 팁뚜껑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V. 세정 주사기 조립체.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액은 식염세정액과 헤파린 락 세정액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V. 세정 주사기 조립체.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지부는 열가소성 탄성소재, 천연고무, 합성고무, 열가소성 소재 및 그것들의 결합체로 구성된 리스트로부터 선택된 소재로 구성된 특징으로 하는 I.V. 세정 주사기 조립체.
  10. 제 1 항에 있어서,
    기단부와, 말단부 및 그것을 통과하는 루멘을 가진 캐뉼러와;
    캐버티와, 상기 루멘이 상기 캐버티의 기단부와 액체교환 할 수 있도록 상기 캐뉼러의 기단부에 부착된 말단부를 포함하는 개구 기단부를 가진 허브로 구성된 니들 조립체를 더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니들 조립체는 상기 배럴이 상기 챔버와 유체교환할 수 있도록 상기 배럴의 팁에 맞물려서 탈착가능하게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I.V. 세정 주사기 조립체.
  11. I.V. 세정 주사기 조립체에 있어서,
    액체를 보유하기 위한 챔버를 이루는 내표면을 가진 원통형상 측벽과, 개구 기단부와, 상기 챔버와 유체교환할 수 있는 통로를 가지며 말단쪽으로 연장되어 있는 연장팁이 형성된 말단벽이 있는 말단부를 구비한 배럴과;
    기단부 및 말단부를 가진 연장몸체부와, 정지부를 구비하되, 상기 정지부는 상기 배럴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함에 따라 챔버내로 액체를 유입하게 하거나 챔버밖으로 액체를 밀어낼 수 있도록 상기 배럴의 내표면과 방수결합되고 미끄럼가능하게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연장몸체부는 상기 배럴의 개구 기단부로부터 바깥쪽으로 연장되어 있는 플런저와;
    상기 통로를 밀봉하기 위하여 상기 주사기 배럴의 팁에 탈착가능하게 부착되는 팁뚜껑과;
    상기 정지부와 상기 말단벽사이의 챔버 내에 있는 소정량의 세정액과;
    액체가 상기 챔버로부터 공급되고 상기 정지부가 상기 말단벽에 접촉할 때 상기 정지부의 변형을 조정하기 위한 역류방지수단;과
    상기 말단면이 상기 원뿔형상 내표면과 처음 접촉하였을 때, 상기 말단벽과 상기 말단벽의 원뿔형상 내표면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대부분이 배치되는 상기 정지부의 말단면상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로 구성되며,
    상기 역류방지수단은 원뿔형상 말단면을 가진 정지부와, 그 말단벽에 원뿔형상 내표면을 가진 배럴의 내표면으로 구성되고, 말단벽에서 배럴의 내표면의 전체 사이각은 정지부에서 말단벽의 전체 사이각보다 적어도 6도만큼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I.V. 세정 주사기 조립체.
  12. 카테터를 세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a)액체를 보유하기 위한 챔버를 이루는 내표면을 가진 원통형상 측벽과, 개구 기단부와, 상기 챔버와 유체교환할 수 있는 통로를 가지며 말단쪽으로 연장되어 있는 연장팁이 형성된 말단벽이 있는 말단부를 구비한 배럴과,
    기단부 및 말단부를 가진 연장몸체부와, 정지부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정지부는 상기 배럴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함에 따라 챔버내로 액체를 유입하게 하거나 챔버밖으로 액체를 밀어낼 수 있도록 상기 배럴의 내표면과 방수결합되고 미끄럼가능하게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연장몸체부는 상기 배럴의 개구 기단부로부터 바깥쪽으로 연장되어 있는 플런저와,
    상기 챔버내에 있는 일정량의 세정액과,
    상기 세정액이 챔버로부터 공급되고, 상기 정지부가 상기 말단벽과 접촉할 때 정지부의 변형을 조정하기 위한 역류방지수단을 마련하는 단계와;
    (b)기단부, 말단부, 그것을 관통하는 통로를 가진 카테터와,
    상기 카테터에 연결되어 상기 통로에서 액체교환하는 중공내부와 상기 중공내부와 액체교환을 가능하도록 접근밸브를 갖는 하우징을 마련하는 단계와;
    (c) 혈관에 상기 카테터의 말단부를 위치시키는 단계;
    (d) 상기 주사기 배럴의 통로가 상기 하우징의 중공내부와 액체 교환할 수 있도록 상기 배럴의 연장팁을 상기 접근밸브에 결합하는 단계;
    (e) 상기 챔버내의 세정액이 상기 통로를 통하여 상기 하우징의 중공내부내로 밀려 들어가서 상기 카테터의 통로를 통과할 수 있게 하도록, 상기 플런저에 힘을 가하여 상기 플런저를 상기 배럴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말단부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단계;
    (f) 상기 정지부가 상기 배럴의 말단벽에 접촉하여 가압될 때까지 플런저에 힘을 가하는 단계;
    (g) 상기 연장팁을 상기 접근밸브로부터 분리해내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테터를 세정하는 방법.
  13. 카테터를 세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a)액체를 보유하기 위한 챔버를 이루는 내표면을 가진 원통형상 측벽과, 개구 기단부와, 상기 챔버와 유체교환할 수 있는 통로를 가지며 말단쪽으로 연장되어 있는 연장팁이 형성된 말단벽이 있는 말단부를 구비한 배럴과,
    기단부 및 말단부를 가진 연장몸체부와, 정지부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정지부는 상기 배럴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함에 따라 챔버내로 액체를 유입하게 하거나 챔버밖으로 액체를 밀어낼 수 있도록 상기 배럴의 내표면과 방수결합되고 미끄럼가능하게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연장몸체부는 상기 배럴의 개구 기단부로부터 바깥쪽으로 연장되어 있는 플런저와,
    상기 챔버내에 있는 일정량의 세정액과,
    기단부와 말단부 및 그것을 통과하는 루멘을 가진 캐뉼러와, 캐버티를 갖는 개구 기단부와 상기 캐뉼러의 상기 기단부에 부착되는 말단부를 갖는 허브로 구성되어, 상기 루멘이 상기 캐버티와 액체교환할 수 있는 니들 조립체로서, 상기 배럴의 팁에 부착되어 상기 루멘이 상기 챔버와 액체교환할 수 있게 하는 니들 조립체와,
    상기 상기 세정액이 챔버로부터 공급되고, 상기 정지부가 상기 말단벽과 접촉할 때 정지부의 변형을 조정하기 위한 역류방지수단을 마련하는 단계와;
    (b)기단부, 말단부, 통로를 가진 카테터와,
    상기 카테터에 연결되어 상기 통로에서 액체교환하는 중공내부를 가지고 상기 중공내부와 액체교환을 가능하도록 격막을 갖는 하우징을 마련하는 단계와;
    (c) 혈관에 상기 카테터의 말단부를 위치시키는 단계와;
    (d) 상기 루멘이 상기 하우징의 중공내부와 액체교환할 수 있도록, 상기 격막을 통하여 상기 캐뉼러의 말단부에 힘을 가하는 단계;
    (e) 상기 챔버내의 세정액이 상기 통로를 통하여 상기 하우징의 중공내부내로 밀려 들어가서 상기 카테터의 통로를 통과할 수 있게 하도록, 상기 플런저에 힘을 가하여 상기 플런저를 상기 배럴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말단부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단계;
    (f) 상기 정지부가 상기 배럴의 말단벽에 접촉하여 가압될 때까지 플런저에 힘을 가하는 단계;
    (g) 상기 캐뉼러를 상기 격막으로부터 분리해내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테터를 세정하는 방법.
KR1020067007645A 2003-09-23 2004-09-03 역류방지 정지부를 가진 세정주사기 KR10112438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0/668,725 2003-09-23
US10/668,725 US7331942B2 (en) 2003-09-23 2003-09-23 Flush syringe having anti-reflux stopper
PCT/US2004/028752 WO2005032628A1 (en) 2003-09-23 2004-09-03 Flush syringe having anti-reflux stopp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0381A true KR20060100381A (ko) 2006-09-20
KR101124387B1 KR101124387B1 (ko) 2012-03-22

Family

ID=343135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07645A KR101124387B1 (ko) 2003-09-23 2004-09-03 역류방지 정지부를 가진 세정주사기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2) US7331942B2 (ko)
EP (2) EP1675633A1 (ko)
JP (2) JP4854508B2 (ko)
KR (1) KR101124387B1 (ko)
CN (1) CN100502964C (ko)
AU (2) AU2004277870A1 (ko)
BR (1) BRPI0414665B8 (ko)
CA (1) CA2539785C (ko)
DK (1) DK2347780T3 (ko)
ES (1) ES2401714T3 (ko)
MX (1) MXPA06003233A (ko)
NO (1) NO338123B1 (ko)
WO (1) WO200503262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798993B2 (en) 1998-07-29 2010-09-21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Single use syringe
US8202257B2 (en) 1998-07-29 2012-06-19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Splatter prevention mechanism for a syringe
US7331942B2 (en) * 2003-09-23 2008-02-19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Flush syringe having anti-reflux stopper
US8529517B2 (en) * 2005-05-02 2013-09-10 Shi Zi Technology, Ltd. Autoflush syringe
US8075533B2 (en) * 2005-05-02 2011-12-13 Preventiv, Inc. Autoflush syringe
US8936577B2 (en) 2005-05-02 2015-01-20 Shi Zi Technology, Ltd. Methods and devices for autoflush syringes
WO2007019164A1 (en) * 2005-08-03 2007-02-15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Splatter prevention mechanism for a syringe
US8740856B2 (en) 2007-06-04 2014-06-03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Stoppers used in pre-filled syringes
US20100076370A1 (en) * 2008-09-23 2010-03-25 Infusion Advancements, LLC. Apparatus and methods for purging catheter systems
USD638123S1 (en) 2009-07-10 2011-05-17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Syringe plunger rod
US20120271245A1 (en) * 2011-04-21 2012-10-25 Achan Jr Leonard Malleable stopper for a syringe
USD757256S1 (en) * 2013-03-15 2016-05-24 Neogen Corporation Sampler
EP3125972A1 (fr) 2014-04-02 2017-02-08 Aptar Stelmi SAS Ensemble de seringue anti-reflux
US10576207B2 (en) * 2015-10-09 2020-03-03 West Pharma. Services IL, Ltd. Angled syringe patch injector
US20180043102A1 (en) 2016-08-09 2018-02-15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O-Ring Plunger for a Prefilled Syringe and Method
BR112020001067B1 (pt) * 2017-07-17 2021-08-17 Anteris Technologies Corporation Sistema de embalagem para um dispositivo médico implantável
US11083847B2 (en) 2018-01-26 2021-08-10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Flush syringe with flip cap
US11406327B2 (en) 2018-04-17 2022-08-09 Canon U.S.A., Inc. Imaging catheter assembly
US10646660B1 (en) * 2019-05-16 2020-05-12 Milestone Scientific, Inc. Device and method for identification of a target region
WO2021183436A1 (en) 2020-03-10 2021-09-16 Merit Medical Systems, Inc. Arterial access needle with proximal port
US20240100255A1 (en) * 2022-09-26 2024-03-28 Boston Scientific Scimed, Inc. Syringe design for cycling particulate suspensions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050059A (en) 1959-05-25 1962-08-21 Baxter Don Inc Hypodermic syringe
US3331538A (en) * 1963-07-17 1967-07-18 Roehr Products Company Inc Syringe
US4057052A (en) 1976-10-26 1977-11-08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Blood-gas syringe
US4215701A (en) * 1978-08-21 1980-08-05 Concord Laboratories, Inc. Elastomeric plunger tip for a syringe
GB2197792A (en) 1986-11-26 1988-06-02 Power Richard Kiteley Disposable syringes
KR970006094B1 (ko) 1987-11-06 1997-04-23 엘가스,루이스,폴 재사용방지주사기
DE4339528C2 (de) 1993-11-19 1995-09-07 Freudenberg Carl Fa Einwegspritze
US5795337A (en) * 1994-02-14 1998-08-18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Syringe assembly and syringe stopper
US5836919A (en) * 1996-05-23 1998-11-17 Solopak Pharmaceuticals, Inc. Cap assembly
US5865798A (en) * 1996-06-28 1999-02-02 Becton Dickinson France, S.A. Stopper assembly having bypass features for use in a multi-chamber syringe barrel
US5782803A (en) 1996-11-26 1998-07-21 Jentzen; S. William Low dead space, interchangeable needle syringe
US5807374A (en) * 1997-08-14 1998-09-15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Syringe filling and delivery device
US6361524B1 (en) * 1998-04-14 2002-03-26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Syringe assembly
WO1999061093A1 (en) 1998-05-29 1999-12-02 Lynn Lawrence A Luer receiver and method for fluid transfer
US6626870B1 (en) * 2000-03-27 2003-09-30 Artix Laboratories, Inc. Stoppering method to maintain sterility
US20040010235A1 (en) 2002-07-11 2004-01-15 Weilbacher Eugene E. Anti-reflux syringe
EP3366340B1 (en) * 2002-10-11 2020-04-22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Flush syringe having compressible plunger
US7331942B2 (en) * 2003-09-23 2008-02-19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Flush syringe having anti-reflux stopp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80119794A1 (en) 2008-05-22
CA2539785A1 (en) 2005-04-14
CN100502964C (zh) 2009-06-24
KR101124387B1 (ko) 2012-03-22
AU2004277870A1 (en) 2005-04-14
NO20061776L (no) 2006-06-20
DK2347780T3 (da) 2013-04-02
BRPI0414665B1 (pt) 2016-01-12
BRPI0414665A (pt) 2006-11-28
US7331942B2 (en) 2008-02-19
MXPA06003233A (es) 2006-06-08
AU2011202396A1 (en) 2011-06-09
EP1675633A1 (en) 2006-07-05
JP2007506507A (ja) 2007-03-22
ES2401714T3 (es) 2013-04-23
US20050065478A1 (en) 2005-03-24
NO338123B1 (no) 2016-08-01
WO2005032628A1 (en) 2005-04-14
JP4854508B2 (ja) 2012-01-18
BRPI0414665B8 (pt) 2021-06-22
EP2347780A1 (en) 2011-07-27
JP2011016003A (ja) 2011-01-27
CA2539785C (en) 2012-04-03
CN1874815A (zh) 2006-12-06
AU2011202396B2 (en) 2012-12-06
EP2347780B1 (en) 2012-1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24390B1 (ko) 역류방지 구성을 가진 세정주사기
KR101124387B1 (ko) 역류방지 정지부를 가진 세정주사기
JP4856873B2 (ja) 圧縮可能なプランジャを有するフラッシュシリンジ
JP4751891B2 (ja) 容積式洗い流し用注射器
US20050063857A1 (en) Flush syringe having anti-reflux stopper
JP5043084B2 (ja) 逆流防止機能を有する洗浄用注射器
JP2007517613A (ja) 押し込み変位洗浄注射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7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