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99647A - 초전도 케이블용 스프링 클리트 - Google Patents

초전도 케이블용 스프링 클리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99647A
KR20060099647A KR1020050020998A KR20050020998A KR20060099647A KR 20060099647 A KR20060099647 A KR 20060099647A KR 1020050020998 A KR1020050020998 A KR 1020050020998A KR 20050020998 A KR20050020998 A KR 20050020998A KR 20060099647 A KR20060099647 A KR 200600996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ring
cleat
cleats
long bolt
c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209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주흠
김성욱
김정년
장현만
Original Assignee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209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99647A/ko
Publication of KR200600996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9964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5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bar-shaped building elements
    • E04B1/5825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bar-shaped building elements with a closed cross-section
    • E04B1/5831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bar-shaped building elements with a closed cross-section of substantially rectangular for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7/00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 F16B7/04Clamping or clipping connections
    • F16B7/044Clamping or clipping connections for rods or tubes being in angled relationship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4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metal
    • E04B1/2403Connection details of the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4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metal
    • E04B1/2403Connection details of the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 E04B2001/2421Socket type connec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4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metal
    • E04B1/2403Connection details of the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 E04B2001/2451Connections between closed section profil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5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bar-shaped building elements
    • E04B2001/5887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bar-shaped building elements using connectors with socke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4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40/60Superconducting electric elements or equipment; Power systems integrating superconducting elements or equip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aying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utsid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초전도 케이블이 초저온으로 냉각되거나 상온으로 팽창되더라도 적절한 면압력으로 파지력을 유지하여 케이블 내부의 스트레스를 줄여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케이블 포설 작업도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된 초전도 케이블용 스프링 클리트에 관한 것으로, 그 기술적 구성은 반원형의 상하부 클리트로 분할 형성되어 그 사이로 삽입되는 초전도 케이블을 파지하도록 된 스프링 클리트에 있어서; 상기 상하부 클리트의 측면에 위치하며, 내측에는 상하부 스프링홀이 연통되어 형성된 상하부 장착부와; 상기 상하부 장착부에 형성된 상하부 스프링홀을 관통하여 설치된 장볼트와; 상기 장볼트가 삽입된 상태로 상기 상하부 스프링홀에 일체로 설치되며, 상기 장볼트를 조임에 따라 상부 클리트와 하부 클리트를 초전도 케이블에 가압 밀착시키는 스프링으로 구성된다.

Description

초전도 케이블용 스프링 클리트{Spring-type Cleat for Superconductor}
도 1은 종래 스프링 클리트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프링 클리트의 정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상부 클리트 11 : 상부 스프링홀
12 : 상부장착부 13 : 스프링
14 : 하부장착부 20 : 하부 클리트
21 : 하부 스프링홀 30 : 장볼트
32 : 너트 40 : 행거
본 발명은 초전도 케이블 포설에 이용되는 클리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초전도 케이블이 초저온으로 냉각되거나 상온으로 팽창되더라도 적절한 면압력으로 파지력을 유지하여 케이블 내부의 스트레스를 줄여줄 수 있을 뿐만 아니 라, 케이블 포설 작업도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된 초전도 케이블용 스프링 클리트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초전도 도체를 이용한 전력 케이블의 개발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초전도 케이블은 운전 중 도체를 임계온도 이하로 냉각시켜야 하기 때문에, 상온에서 포설된 케이블이 운전 중에는 초저온 상태로 수축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초전도 케이블은 운전시 냉각 수축되더라도 케이블의 파지력이 저하되지 않도록 포설 설계되어야 하며, 초기 포설시나 휴전 시에는 케이블이 다시 상온으로 팽창되더라도 케이블 내부에 과도한 스트레스가 작용되지 않도록 적절한 면압력을 유지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 종래에는 도 1에서와 같은 스프링 클리트를 이용하여 케이블을 고정하였다. 이 스프링 클리트는 상하로 분할된 한 쌍의 클리트(1,3)와, 이 상하부 클리트(1,3)를 서로 조여주는 조임볼트(7)와, 클리트 자체를 행거(2)에 고정하는 고정용볼트(4)로 구성되며, 상부 클리트(1)에는 조임볼트(7) 둘레부에 스프링(9)이 삽입되어, 조임볼트(7)를 조이게 되면 스프링(9)이 압축되면서 상하부 클리트(1,3)를 케이블에 가압 밀착시켜서 파지하게 된다. 또한, 상하부 클리트(1,3)의 내벽면에는 고무패드(5)가 장착되어 케이블의 자켓을 보호하고, 파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런데, 이러한 클리트는 스프링(9)이 상부 클리트(1)에만 설치되기 때문에, 케이블 냉각시 상부 클리트(1)의 스프링(9)만으로는 수축된 케이블을 충분한 파지 력으로 고정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그렇다고 하여, 조임볼트(7)를 과도하게 조이게 되면, 케이블 포설시나 휴전시 상온으로 팽창되는 케이블 내부의 시스나 절연체 등에 과도한 스트레스가 작용되어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클리트는 상하부 클리트(1,3)를 케이블에 가압 밀착시키기 위한 조임볼트(7)와, 클리트 자체를 행거(2)에 설치하기 위한 고정용 볼트(4)가 각각 별도로 구비되어, 케이블 포설시 이들 볼트를 모두 조여야만 하므로, 작업공정이 늘어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초전도 케이블이 초저온으로 냉각되거나 상온으로 팽창되더라도 적절한 면압력으로 파지력을 유지하여 케이블 내부의 스트레스를 줄여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케이블 포설 작업도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된 초전도 케이블용 스프링 클리트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반원형의 상하부 클리트로 분할 형성되어 그 사이로 삽입되는 초전도 케이블을 파지하도록 된 스프링 클리트에 있어서; 상기 상하부 클리트의 측면에 위치하며, 내측에는 상하부 스프링홀이 연통 되어 형성된 상하부 장착부와; 상기 상하부 장착부에 형성된 상하부 스프링홀을 관통하여 설치된 장볼트와; 상기 장볼트가 삽입된 상태로 상기 상하부 스프링홀에 일체로 설치되며, 상기 장볼트를 조임에 따라 상부 클리트와 하부 클리트를 초전도 케이블에 가압 밀착시키는 스프링으로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장볼트는 그 하단이 행거의 취부공을 통과하도록 연장되어서, 이 장볼트를 통해 상하부 클리트를 초전도 케이블에 가압 밀착시킴과 더불어, 행거에 취부되도록 구성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단지 예시로 제시된 것이며 종래 구성과 동일한 부분은 동일한 부호 및 명칭을 사용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프링 클리트의 정면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상기 스프링 클리트는 반원형의 상하부 클리트(10,20)로 분할 형성되며, 상하부 클리트(10,20)의 양측면에는 각각 상하로 길게 연장된 상부 스프링홀(11)과 하부 스프링홀(21)이 내측이 각각 형성된 상부장착부(12)와 하부장착부(14)가 구비된다.
상기 상부 스프링홀(11)과 하부 스프링홀(21)은 연통되도록 일직선상에 설치되며, 상기 상하부 스프링홀(11,21)을 관통하여 장볼트(30)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장볼트(30)가 내측에 삽입된 상태로, 상기 상부장착부(12)와 하부장착부(14) 내측에 형성된 상부 스프링홀(11)과 하부 스프링홀(21)이 연통된 공간에는 단일개의 스프링(13)이 설치된다.
상기와 같은 설치상태에 의하여, 상기 장볼트(30)를 조임에 따라 스프링(13)이 가압되어 상하부 클리트(10,20)를 초전도 케이블에 가압 밀착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장볼트(30)는 그 하단이 행거(40)의 취부공을 통과하도록 연장되어서 너트(32)에 체결되며, 상기 장볼트(30)를 통해 상하부 클리트(10,20)를 서로 가압 밀착시킴과 더불어, 행거(40)에 취부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장볼트(30)는 상하부 스프링홀(11,21)과 행거(40)의 취부공을 직선상으로 관통하여 길게 연장 설치되며, 그 둘레부에는 설치된 스프링(13)도 단일개로 이루어져서 상하부 스프링홀(11,21)의 내측에 위치되도록 상하측으로 길게 연장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장볼트(30)를 조이면, 상하부 클리트(10,20)가 초전도 케이블에 가압 밀착됨과 더불어, 클리트 자체를 행거(40)에 취부하는 고정볼트의 역할도 겸하게 된다.
이상의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작용예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하부 클리트(10,20) 사이로 초전도 케이블을 포설하고, 이 상하부 클리트(10,20) 양측면의 스프링홀(11,21)에 단일개의 스프링(13)을 설치하고, 상기 스프링(13) 내측으로 장볼트(30)를 삽입하여, 상기 장볼트(30)가 행거(40)의 취부공까지 관통하도록 길게 끼워넣은 후 너트(32)에 의하여 체결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조립구조에서, 상기 장볼트(30)를 조이게 되면, 상기 스프링(13)에도 일정한 압력으로 압축되면서 상하로 분할된 클리트(10,20)를 초전도 케이 블에 가압 밀착시킴과 더불어, 클리트 자체를 행거(40)에 고정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상하부 클리트(10,20)에 파지된 초전도 케이블은 운전중에 직경이 감소하게 되며, 이러한 경우, 종래보다 길이가 길어진 스프링(13)에 의하여 면압의 증가분이 흡수됨으로, 상기 상하부 클리트(10,20)는 초기 설정시와 동일한 압력으로 초전도 케이블을 가압할 수 있게 된다.
즉, 초전도 케이블의 운전중에 발생되는 직경의 수축에 의한 면압 저하현상은, 종래보다 약 2배 이상의 길이를 갖게 되는 스프링(13)에 의하여 흡수됨으로, 초전도 케이블의 파지력이 저하됨을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상하부 클리트(10,20)에 파지된 초전도 케이블이 휴전되어 상온상태로 팽창되더라도, 팽창된 케이블의 증가분은 종래보다 2배 길이를 갖는 스프링(13)에 흡수됨으로 케이블 내부의 절연체 등에 과도한 스트레스가 작용되지 않고 적절한 면압력을 유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스프링 클리트는 장볼트(30)를 조이기만 하면, 상하로 분할된 클리트(10,20)가 초전도 케이블에 밀착되어 파지할 뿐만 아니라, 클리트 자체도 행거(40)에 고정되므로, 별도로 클리트를 행거(40)에 고정하는 작업을 하지 않아도 되는 장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상부 클리트와 하부 클리트에 걸쳐서 설치된 단일개의 스프링과 장볼트를 사용함으로 인하여, 운전 시 초전도 케이블이 냉각 수축되더 라도 2배로 길어진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충분한 파지력을 유지할 수 있게 되며, 휴전시 팽창되는 케이블의 직경에 의한 증가분을 종래 보다 긴 길이를 갖는 스프링에 의하여 흡수하게 되므로, 케이블 내부의 시스나 절연체 등에 과도한 스트레스가 작용되지 않고 응력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 외에도, 본 발명은 장볼트를 조이기만 하면, 상하부 클리트에 의해 초전도 케이블이 파지됨과 더불어, 클리트 자체도 행거에 고정되므로, 케이블 포설 작업이 간편해지는 장점이 있다.

Claims (2)

  1. 반원형의 상하부 클리트로 분할 형성되어 그 사이로 삽입되는 초전도 케이블을 파지하도록 된 스프링 클리트에 있어서;
    상기 상하부 클리트의 측면에 위치하며, 내측에는 상하부 스프링홀이 연통되어 형성된 상하부 장착부와;
    상기 상하부 장착부에 형성된 상하부 스프링홀을 관통하여 설치된 장볼트와;
    상기 장볼트가 삽입된 상태로 상기 상하부 스프링홀에 일체로 설치되며, 상기 장볼트를 조임에 따라 상부 클리트와 하부 클리트를 초전도 케이블에 가압 밀착시키는 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초전도 케이블용 스프링 클리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장볼트는 그 하단이 행거의 취부공을 통과하도록 연장되어서, 이 장볼트를 통해 상하부 클리트를 초전도 케이블에 가압 밀착시킴과 더불어, 행거에 취부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전도 케이블용 스프링 클리트.
KR1020050020998A 2005-03-14 2005-03-14 초전도 케이블용 스프링 클리트 KR2006009964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0998A KR20060099647A (ko) 2005-03-14 2005-03-14 초전도 케이블용 스프링 클리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0998A KR20060099647A (ko) 2005-03-14 2005-03-14 초전도 케이블용 스프링 클리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9647A true KR20060099647A (ko) 2006-09-20

Family

ID=376307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20998A KR20060099647A (ko) 2005-03-14 2005-03-14 초전도 케이블용 스프링 클리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99647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2942B1 (ko) * 2006-12-05 2008-08-19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극저온 배관용 지지구조물
KR101361461B1 (ko) * 2014-01-10 2014-02-11 홍기곤 회전과 슬라이드가 가능한 전신주용 송배전 케이블 고정장치
KR101484722B1 (ko) * 2012-12-28 2015-01-20 대한전선 주식회사 지중 전력케이블용 고정 클리트 어셈블리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2942B1 (ko) * 2006-12-05 2008-08-19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극저온 배관용 지지구조물
KR101484722B1 (ko) * 2012-12-28 2015-01-20 대한전선 주식회사 지중 전력케이블용 고정 클리트 어셈블리
KR101361461B1 (ko) * 2014-01-10 2014-02-11 홍기곤 회전과 슬라이드가 가능한 전신주용 송배전 케이블 고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60099647A (ko) 초전도 케이블용 스프링 클리트
CN108701981B (zh) 线缆间隔夹持臂衬垫
CN211556735U (zh) 一种pe电缆保护管
KR101210518B1 (ko) 가공 송배전 선로 지지용 절연 완철
CN212012069U (zh) 一种利于延长电线电缆寿命的线夹结构
KR101920193B1 (ko) 가공배전용 애자설치를 위한 쇄클기구
CN206099215U (zh) 电力输送电缆用电缆固定装置
CN214506475U (zh) 一种高压线路电力金具连接结构
US4423285A (en) Electric insulator, in particular for a phase spacer, a compensating arm or a distance piece
KR102290434B1 (ko) 차량의 와이어링용 클립장치
KR20190031669A (ko) 전선낙하 방지장치
KR20210136605A (ko) 계면압 측정 장치
KR100445129B1 (ko) 초고압 케이블용 스프링 크리트
KR20220064182A (ko) 배전선로 인장 클램프
CN219959921U (zh) 一种旁路引下电缆绝缘隔离装置
JP2008172883A (ja) ケーブル把持金具及びそれを有するケーブル接続箱
JP3462305B2 (ja) 架空線把持部の衝撃荷重緩和装置および該装置を用いた架空線の保持構造
CN219304436U (zh) 一种防滑移悬垂线夹
CN212572022U (zh) 一种线缆固定夹
JP4337982B2 (ja) ケーブル支持具およびケーブル支持具用アダプター
CN217087326U (zh) 一种山地基建用电缆辅助安装装置
KR200303405Y1 (ko) 배전선로용 활선 클램프
KR200283790Y1 (ko) 변압기용 붓싱 고정장치
CN216598911U (zh) 一种改良型输电线路安装用耐张线夹装置
CN112310926B (zh) 一种地面线缆保护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