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99128A -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looking for a lost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its operating method - Google Patent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looking for a lost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its operating metho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99128A
KR20060099128A KR1020050020163A KR20050020163A KR20060099128A KR 20060099128 A KR20060099128 A KR 20060099128A KR 1020050020163 A KR1020050020163 A KR 1020050020163A KR 20050020163 A KR20050020163 A KR 20050020163A KR 20060099128 A KR20060099128 A KR 200600991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flash
speak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2016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644840B1 (en
Inventor
박경준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201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44840B1/en
Priority to CN2006100587567A priority patent/CN1832499B/en
Publication of KR200600991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9912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48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484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2Illumination; Arrangements for improving the visibility of characters on di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9/00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 H04M19/02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 H04M19/04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the ringing-current being generated at the subst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sensor for measuring a physical value, e.g. temperature or mo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74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with voice recognition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분실시 탐지가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일정 소리를 출력하는 스피커와, 발광하는 플래시와, 설정된 특정소리를 감지하는 감지부와, 상기 감지부에 의해 입력되는 특정소리가 기 설정된 단말기 탐지음인지 판단하여, 현재 위치를 나타낼 수 있도록 상기 스피커 또는 플래시를 구동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간단한 구성만으로도 근거리에서 분실된 이동통신 단말기 탐지가 용이하며,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분실에 따른 비용지출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at can be detected when lost and its operation method, a speaker for outputting a certain sound, a flash to emit light, a sensing unit for detecting a predetermined specific sound, and the specific inputted by the sensing unit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control unit for driving the speaker or the flash so as to determine whether a sound is a preset terminal detection sound, indicating the current location, it is easy to detect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lost in a short distance with a simple configuratio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t is effective to prevent expenses due to loss.

이동통신 단말기, 분실, 음센서, 플래시 Mobile terminal, lost, sound sensor, flash

Description

분실시 탐지가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looking for a lost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its operating method}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looking for a lost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its operating method}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분실시 탐지가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이 도시된 블록도,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at can be detected upon los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 탐지에 따른 실시예가 도시된 도,2 is a diagram showing an embodiment according to detec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분실시 탐지가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operat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ich can be detected upon los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on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제어부 11: 음성판단부10: control unit 11: sound judgment unit

12: 구동제어부 20: 메모리12: drive control unit 20: memory

21: 음원데이터부 30: 음성처리부21: sound source data unit 30: voice processing unit

40: 감지부 50: 스피커40: detector 50: speaker

60: 플래시 구동부 70: 플래시60: flash drive unit 70: flash

본 발명은 분실시 탐지가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분실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발생된 특정 소리를 감지하여 스피커 또는 플래시가 구동되도록 함으로서 소리와 빛을 사용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확인이 가능하도록 하는 분실시 탐지가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which can be detected when lost. In particular, the lost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enses a specific sound generated so that a speaker or a flash is driven to use the sound and ligh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capable of detecting a loss when the terminal can be identified.

일반적으로, 근거리에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분실되는 경우, 사용자는 그 위치를 탐지하기 위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발신통화를 수행하여, 그에 따라 발생되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화수신 벨소리를 이용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를 판단하게 된다. In general,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lost at a short distance, a user makes an outgoing call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detect the location, and moves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y using a call reception ring ton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generated accordingly. The location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is determined.

그러나,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벨소리모드가 아니라 진동모드 또는 매너모드 등으로 설정되어 벨소리가 발생되지 않는 경우에는 소리를 이용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를 탐지할 수 없게 되어 분실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를 찾는데 어려움이 발생하게 된다. However,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set to the vibration mode or the silent mode instead of the ringing mode, and the ringing does not occur, it is difficult to detect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y using a sound and thus it is difficult to find the lost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is will occur.

또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벨소리모드인 경우에도 야간에는 소리만으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를 찾기에는 많은 어려움이 있다. In addition, even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in the ring mode, it is difficult to fi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y sound only at night.

특히, 어두운 야외 또는 소음이 큰 지역에서 이동통신 단말기를 분실하는 경 우에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를 찾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In particular,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lost in a dark outdoor area or a loud nois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difficult to find.

또한, 상기와 같이 통화 수신에 따른 벨소리를 이용하여 분실 이동통신 단말기를 찾은 것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의 통화발신을 위한 전화기가 근거리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사용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In addition, finding a lost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a ringtone according to a call reception as described above has a problem that it cannot be used when there is no telephone for outgoing call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이동통신 단말기 분실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탐지를 위해 설정된 소리가 발생되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이를 감지하여 일정소리를 발생시키거나 플래시가 발광되도록 하여 위치확인이 가능하도록 하는 분실시 탐지가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of the prior art,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lost when the sound set for the detec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tects it to generate a certain sound or flash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which can detect a loss in order to allow the light to be emitted.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분실시 탐지가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는 일정 소리를 출력하는 스피커와, 발광하는 플래시와, 설정된 특정소리를 감지하는 감지부와, 상기 감지부에 의해 입력되는 특정소리가 기 설정된 단말기 탐지음인지 판단하여, 현재 위치를 나타낼 수 있도록 상기 스피커 또는 플래시를 구동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pable of detecting a lost sound may include a speaker for outputting a predetermined sound, a flash for emitting light, a detector for detecting a set specific sound, and a signal input by the sensor.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ontrol unit for driving the speaker or the flash to determine whether the specific sound is a preset terminal detection sound, to indicate the current position.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분실시 탐지가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방법은 발생되는 소리를 감지하는 제 1 단계와, 감지된 소리를 판독하고, 기 설정된 단말 기 탐지음과 비교하여 동일성 또는 유사성 여부를 판단하는 제 2 단계와, 판단결과에 따라 현재 위치를 알리기 위한 일정 소리 또는 빛을 발생시키는 제 3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of operating a mobile terminal capable of detecting loss when detecting the lost sound may include detecting a sound generated by the first step, reading the detected sound, and comparing the detected sound with a preset terminal detection sound to determine whether it is identical or similar. And a third step of generating a predetermined sound or light for notifying the current position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분실시 탐지가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이 도시된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 탐지의 실시예가 도시된 도이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at can be detected when lost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diagram showing an embodiment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te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분실시 탐지가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빛을 발생시키는 플래시(70)와, 일정소리를 발생시키는 스피커(50)와, 주변의 소리를 감지하여 저장되도록 하는 감지부(40)와, 상기 감지부(40)로부터 입력되는 소리를 판독하여 상기 스피커(50) 또는 플래시(70)의 구동을 위한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As shown in FIG. 1,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pable of detecting a loss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lash 70 for generating light, a speaker 50 for generating a constant sound, and a sound of a surrounding. And a controller 10 for reading a sound input from the detector 40 and generating a signal for driving the speaker 50 or the flash 70.

또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기 설정된 소리 데이터 및 상기 스피커(50)를 통해 출력되는 소리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20)와, 상기 스피커(50)로 출력되는 소리 및 상기 감지부(40)로 입력되는 소리를 변환하는 음성처리부(30)와, 상기 제어부(10)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플래시(70)의 구동을 제어하는 플래시 구동부(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In additio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input to the memory 20 for storing the preset sound data and the sound data output through the speaker 50, the sound output to the speaker 50 and the detection unit 40 And a flash driver 60 for controlling the driving of the flash 70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ler 10.

상기 감지부(40)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주위에서 발생되는 소리를 수집하여 특정소리를 감지한다. 이때, 상기 감지부(40)는 소리를 감지하고 발생되는 소리 를 입력받아 저장되도록 하는 음센서(소리센서) 또는 마이크 등이 사용된다. The detector 40 collects sounds generated arou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detects specific sounds. At this time, the sensing unit 40 is a sound sensor (sound sensor) or a microphone is used to detect the sound and receive the generated sound.

여기서, 상기 감지부(40)에 의해 감지되는 특정소리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분실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탐지를 위해 설정된 단말기 탐지음이며, 상기 단말기 탐지음은 사용자의 음성 또는 선택된 특정 음악이 사용될 수 있다.Here, the specific sound detected by the detection unit 40 is a terminal detection sound set for detect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lost, and the terminal detection sound may be a user's voice or selected specific music. .

상기 스피커(50)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소리를 발생시키고, 통화수신시 벨소리 등을 출력하며, 상기 감지부(40)에 의해 단말기 탐지음이 감지되는 경우에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를 나타내도록 기 설정된 일정 소리를 출력한다. The speaker 50 generates a sound indicating an operation stat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utputs a ringtone, etc. when receiving a call, and when the terminal detection sound is detected by the detection unit 40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utputs a preset sound to indicate the location.

상기 음성처리부(30)는 상기 감지부(40)로부터 감지되어 입력되는 소리데이터를 상기 제어부(10)에 의해 판독 가능하도록 디지털 변환하고, 상기 스피커(50)로 출력되도록 상기 메모리(20)에 저장된 음성 또는 음악 등의 소리데이터를 아날로그 변환한다. The voice processing unit 30 digitally converts sound data sensed and detected by the sensing unit 40 to be read by the control unit 10, and stored in the memory 20 to be output to the speaker 50. Analog conversion of sound data such as voice or music is performed.

상기 플래시(70)는 카메라 구동시 촬영에 필요한 보조광을 제공하며, 또한 일정 세기로 발광하여 휴대용 손전등으로서 사용될 뿐아니라, 상기 감지부(40)에 의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단말기 탐지음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 확인이 가능하도록 일정 세기로 발광하거나, 주기적으로 발광되도록 점등된다. The flash 70 provides an auxiliary light necessary for photographing when the camera is driven, and also emits light with a certain intensity to be used as a portable flashlight, and when the terminal detection sound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detected by the detection unit 40. The light emitting device emits light at a predetermined intensity or periodically lights so that the posi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n be checked.

이때, 상기 플래시 구동부(60)는 상기 제어부(10)에 의해 전달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플래시(70)의 발광시기, 발광세기 등을 제어하며, 발광주기 등을 조절한다. In this case, the flash driver 60 controls the light emission time, the light intensity, and the like, and adjusts the light emission period of the flash 70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transmitted from the control unit 10.

특히, 상기 플래시 구동부(60)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분실로 인해 상기 감지부(40)에 의해 단말기 탐지음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플래시(70)가 일정 시간 동안 주기적으로 발광되도록 제어한다. In particular, the flash driver 60 controls the flash 70 to emit light periodically for a predetermined time when the terminal detection sound is detected by the detector 40 due to the loss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상기 메모리(20)는 상기 스피커(50)를 통해 출력되는 음악 또는 음성 등의 소리데이터를 저장하며, 상기 감지부(40)로부터 입력되는 소리데이터를 임시 저장하는 음원데이터부(2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The memory 20 stores sound data such as music or voice output through the speaker 50, and includes a sound source data unit 21 for temporarily storing sound data input from the detection unit 40. It is composed.

이때, 상기 음원데이터부(21)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분실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를 탐지할 수 있도록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단말기 탐지음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한다. In this case,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lost, the sound source data unit 21 stores data about a terminal detection sound set by the user so as to detect the loc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상기 단말기 탐지음은 사용자에 의해 직접 녹음되어 상기 음원데이터부(21)에 저장되는 음성 또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특정 음악이나 음향으로 설정될 수 있다. The terminal detection sound may be set as a voice recorded directly by the user and stored in the sound source data unit 21 or a specific music or sound selected by the user.

상기 제어부(10)는 상기 감지부(40)로부터 감지되어 상기 음성처리부(30)에 의해 변환된 소리 데이터를 판독하여, 기 설정된 단말기 탐지음인지 판단하는 음성판단부(11)와, 상기 음성판단부(11)의 판단결과에 따라 상기 스피커 또는 플래시(50, 70)의 구동을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구동제어부(1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The controller 10 reads the sound data sensed by the detector 40 and converted by the voice processor 30, and determines a preset terminal detection sound, and the voice determination unit 11.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of the unit 11 is configured to include a drive control unit 12 for generating a control signal for driving the speaker or flash (50, 70).

상기 음성판단부(11)는 상기 감지부(40)에 의해 감지되어 저장된 소리데이터를 판독하고, 상기 음원데이터부(21)에 저장된 단말기 탐지음과 비교하여 동일성 또는 유사성을 판단하게 된다. The voice determination unit 11 reads sound data sensed and stored by the detection unit 40 and compares the sound detection data stored in the sound source data unit 21 to determine the identity or similarity.

이때, 상기 음성판단부(11)는 감지된 소리데이터가 단말기 탐지음과 동일 하거나 일정부분 유사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분실상태인 것으로 판단한다.In this case,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ected sound data is the same or partially similar to the terminal detection sound, the voice determination unit 11 determines that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lost.

상기 구동제어부(12)는 상기 음성판단부(11)에 의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분실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면, 판단된 시점의 시간을 기준으로 낮과 밤을 구분하고,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벨소리 모드인지 진동모드인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설정 상태를 판단한다. 또한, 상기 구동제어부(12)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 잔량을 확인하고, 동작 가능 시간을 판단한다.If it is determined by the voice determination unit 11 that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in a lost state, the driving controller 12 distinguishes day and night based on the determined time point,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in a ringtone mode. Determine whether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in the vibration mode. In addition, the driving control unit 12 checks the remaining battery capacity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determines the available time.

상기 구동제어부(12)는 상기 음성판단부(11)의 판단결과에 따라 상기 스피커(50)를 통해 일정 소리가 발생되도록 하거나, 상기 플래시(70)가 발광되도록 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한다. The driving controller 12 generates a control signal to generate a predetermined sound through the speaker 50 or to emit the flash 70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of the voice determination unit 11.

이때, 상기 구동제어부(12)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상태에 따라 상기 스피커 또는 플래시(50, 70)가 선택적으로 구동되도록 한다. In this case, the driving control unit 12 allows the speaker or the flash (50, 70) is selectively driven according to the operating stat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즉, 상기 구동제어부(12)는 판단된 시간이 낮이거나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벨소리모드인 경우, 상기 음원데이터부(21)로부터 음성 또는 음악데이터를 호출하여 상기 스피커(50)를 통해 상기 호출된 소리가 출력되도록 하며, 이때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분실 상태에서 발생되도록 설정된 소리가 존재하는 경우 해당 소리가 출력되도록 한다. That is, the driving control unit 12 calls the voice or music data from the sound source data unit 21 when the determined time is low or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in the ring mode, the called through the speaker 50 The sound is output, and if the sound set to be generated in the lost stat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xists, the corresponding sound is output.

또한, 상기 구동제어부(12)는 판단된 시간이 밤이거나,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진동모드인 경우, 상기 플래시(70)가 발광되도록 신호를 생성한다. In addition, the driving controller 12 generates a signal such that the flash 70 emits light when the determined time is night or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in a vibration mode.

이때, 상기 구동제어부(12)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 잔량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을 제어하여 상기 스피커 및 플래시(50, 70)의 구동에 따른 배터리 소모를 제어하게 된다. In this case, the driving controller 12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remaining battery capacity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control the battery consumption according to the driving of the speaker and the flash (50, 70).

즉, 상기 구동제어부(12)는 배터리 잔량이 미량인 경우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표시부 등의 사용전력을 제어하여 불필요한 전력의 소모를 방지하고, 상기 스피커 또는 플래시(50, 70)가 구동되도록 한다. That is, the driving controller 12 controls the power used by the display unit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en the battery level is a small amount to prevent unnecessary power consumption and to drive the speaker or the flash 50, 70.

또한, 상기 구동제어부(12)는 배터리 잔량에 따라 상기 스피커(50) 출력세기 및 상기 플래시(70)의 발광세기, 발광주기 등을 제어하게 된다. In addition, the driving controller 12 controls the output strength of the speaker 50, the light emission intensity of the flash 70, the light emission period, and the like according to the remaining battery capacity.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실되어, 사용자에 의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탐지를 위해 설정된 특정 음악 또는 음성 등의 단말기 탐지음이 발생되는 경우, 발생되는 소리를 감지한다. As illustrated in FIG. 2,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tects a sound generated when it is lost and a terminal detection sound such as a specific music or voice set by the user for detect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generated.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감지된 소리를 판독하여 기 설정된 단말기 탐지음인지 판단하고, 감지된 소리가 상기 단말기 탐지음과 일치 하거나 유사한 경우, 자체 설정상태 또는 주위의 상황에 따라 상기 스피커 또는 플래시(50, 70)를 구동시켜 사용자로 하여금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 파악이 가능하도록 한다.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reads the detected sound to determine whether it is a preset terminal detection sound, and if the detected sound matches or is similar to the terminal detection sound, the speaker or the flash 50 according to its own setting or surroundings. 70) to allow the user to locat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즉, 사용자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를 공원의 벤치등지에 떨어뜨려 분실하거나 어디에 두었는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를 기억하지 못할 때, 기 설정된 단말기 탐지음을 발생시키게 된다. That is, when the user does not remember the loc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y dropp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n a park bench or the like or lost it, a preset terminal detection sound is generated.

이때,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사용자와 근거리에 위치되는 경우,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기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 발생되는 소리를 감지하고, 감지된 소리 가 단말기 탐지음인지 판단하여, 낮에는 스피커를 통해 소리를 발생시키고, 야간 또는 진동모드인 경우에는 플래시가 발광되도록 한다. In this case,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located near the user,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tects the sound generated by the user as described above, determines whether the detected sound is a terminal detection sound, and sounds through the speaker during the day. In the case of the night or vibration mode to cause the flash to emit light.

또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사용자로 하여금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 파악이 용이하도록 상기 스피커 또는 플래시(50, 70)를 동시에 구동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ay simultaneously drive the speaker or the flash (50, 70) so that the user can easily locat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따라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분실시 사용자에 의해 발생되는 특정 소리를 감지하여 상기 스피커 또는 플래시(50, 70)를 구동시킴으로서 사용자로 하여금 근거리에 위치되는 분실된 이동통신 단말기를 탐지할 수 있도록 한다. Therefor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tects a specific sound generated by the user when it is lost and drives the speaker or the flash 50 and 70 so that the user can detect the lost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located at a short distance.

또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사용자의 음성 등을 통해 상기 스피커 또는 플래시(50, 70)가 구동되므로 인근에 전화기가 없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의 발신이 불가능한 경우에도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 탐지가 가능하게 된다. In addition, since the speaker or the flash (50, 70) is driven through the user's voic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n detect the loc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ven when there is no telephone in the vicinity and thus it is impossible to make a call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one.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분실시 탐지가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Looking at 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re as follows.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operat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ich can be detected upon los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동통신 단말기를 분실하거나,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를 기억하지 못하는 경우, (S1) 기 설정된 음악 또는 음성을 발생시킨다. (S2)I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lost or the loc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not remembered (S1), a preset music or voice is generated. (S2)

이때, 발생되는 상기 음악 또는 음성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분실시 위치를 탐지할 수 있도록 설정되는 단말기 탐지음으로서, 사용자에 의해 직접 녹음되어 저장되거나, 선택된 음악이 설정되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저장된다.In this case, the generated music or voice is a terminal detection sound that is set to detect a location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lost, and is directly recorded and stored by a user, or a selected music is set and stor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기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 발생되는 음악 또는 음성의 단말기 탐지음을 감지한다. 여기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음센서 또는 마이크 등을 통해 소리를 감지하며, 감지된 소리가 저장되도록 한다. (S3)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tects a terminal detection sound of music or voice generated by the user as described above. Her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tects a sound through a sound sensor or a microphone, and the detected sound is stored. (S3)

상기와 같이 감지된 소리를 판독가능 하도록 변환하고, 기 설정된 단말기 탐지음을 호출하여 동일성여부를 판단한다. (S4)The sound detected as described above is converted to be readable and a preset terminal detection sound is called to determine whether or not the identity is the same. (S4)

이때, 상기 단말기 탐지음과 감지된 소리가 완전히 동일하지 않더라도 일정부분 감지된 소리의 특정부분이 일치하거나 85%이상 유사한 경우에도 동일하다고 판단한다. In this case, even if the terminal detection sound and the detected sound are not completely the same, it is determined that a certain part of the detected sound is the same even if the predetermined part is identical or more than 85% similar.

여기서, 주변의 상황에 따라 발생되는 노이즈에 의해 감지된 소리가 상기 기 설정된 음과 상이하게 감지될 수 있으므로 유사성여부를 판단한다. Here, since the sound detected by the noise generated according to the surrounding situation may be detected differently from the preset sound,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similarity.

상기 설정된 단말기 탐지음과 감지된 소리가 동일 또는 유사하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분실상태인 것으로 판단하여 스피커와 플래시가 구동되도록 한다.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set terminal detection sound and the detected sound are the same or similar,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determined to be in a lost state so that the speaker and the flash are driven.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설정 상태 또는 상기 단말기 탐지음이 감지된 시간을 기준으로 낮과 밤을 구분한다. (S5)Day and night are distinguished based on a setting stat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r a time when the terminal detection sound is detected. (S5)

즉,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진동모드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소리를 출력할 수 없으므로 진동모드/벨소리모드의 설정상태를 확인한다. 또한, 야간에는 소리만으로는 위치확인이 어려우므로 낮과 밤을 구분하여 상기 스피커와 플래시가 각각 선택적으로 구동되도록 한다. That is,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set to the vibration mode, the sound cannot be output, so the setting state of the vibration mode / ringtone mode is checked. In addition, it is difficult to determine the location only by sound at night so that the speaker and the flash are selectively driven by dividing the day and the night.

예를 들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단말기 탐지음을 감지하여 분실상태로 판단된 경우, 그 시간을 기준으로 현재 시간이 오후 7시 인 경우 또는 오전 4시 인 경우에는 밤 또는 야간인 것으로 판단하고, 낮 12시 등인 경우에는 낮으로 판단한다. For example,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lost by detecting the terminal detection sound, it is determined that the current time is night or night when the current time is 7 pm or 4 am based on the time. If it is 12 noon, it is considered daytime.

여기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진동모드이거나 시간이 야간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플래시가 발광되도록 한다. (S6)Here,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in the vibration mode or the time is night, the flash is emitted. (S6)

이때, 상기 플래시는 일정세기의 빛이 유지되도록 하거나 일정시간 간격으로 발광되어 점등상태가 되도록 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를 나타내도록 한다. At this time, the flash is to maintain the light of a certain intensity or to emit light at a predetermined time interval to turn on to indicate the posi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한편, 낮 시간이거나, 벨소리 모드인 경우에는 저장된 음악 또는 음성을 스피커를 통해 출력한다. 발생되는 소리는 주기적으로 반복되어 출력되거나 시간에 따라 출력되는 음량이 가변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S7) On the other hand, during the day time or in the ring mode, the stored music or voice is output through the speaker. The sound generated may be periodically repeated and output or may be set so that the volume outputted according to time varies. (S7)

또한, 선택에 따라 상기 스피커 또는 플래시가 동시에 구동되어 소리와 빛을 사용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를 나타내도록 설정할 수 있다. 특히, 야간에 야외에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를 분실하는 경우 소리와 빛을 모두 사용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selection, the speaker or the flash may be driven simultaneously to indicate the loc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sound and light. In particular,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lost outdoors at night, the loc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n be confirmed using both sound and light.

따라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별도의 탐지를 위한 수/발신 장치가 구비되지 않고도 기 설정된 단말기 탐지음을 감지하여 플래시 발광 또는 소리 발생시킴으로서 근거리에서 분실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탐지가 가능해진다. Therefor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n detect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lost at a short distance by detecting a preset terminal detection sound and generating a flash light or a sound even without a separate receiving / outgoing device for separate detection.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분실시 탐지가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을 예시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은 한정되지 않고, 기술사상이 보호되는 범위 이내에서 응용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the illustrate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its operation method that can be detected when lost by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embodiments and drawings disclosed herein, the technical spirit is protected It can be applied within the range.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분실시 탐지가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분실시 설정된 특정 소리를 발생시키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이를 감지하여 스피커 또는 플래시를 구동시킴으로서, 간단한 구성만으로도 근거리에서 분실된 이동통신 단말기 탐지가 용이하며,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분실에 따른 비용지출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pable of detecting a loss and its operation method generate a specific sound set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lost,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tects it and drives a speaker or a flash. The configuration alone makes it easy to detect a lost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t a short distance, and has an effect of preventing cost expenditure due to the loss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laims (9)

일정 소리를 출력하는 스피커와, 발광하는 플래시와;A speaker for outputting a constant sound and a flash for emitting light; 설정된 특정소리를 감지하는 감지부와;A detector for detecting a set specific sound; 상기 감지부에 의해 입력되는 특정소리가 기 설정된 단말기 탐지음인지 판단하여, 현재 위치를 나타낼 수 있도록 상기 스피커 또는 플래시를 구동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실시 탐지가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And a control unit for driving the speaker or the flash so as to determine whether the specific sound input by the sensing unit is a preset terminal detection sound, and to indicate the current position. .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부로부터 입력되는 소리를 판독하고, 기 설정되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분실시 탐지를 위해 발생되는 단말기 탐지음과 비교하여 동일한지 판단하는 음성판단부와;The control unit reads the sound input from the detection unit, and the voice determination unit for determining whether the same as compared with the preset detection sound generated for detecting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set in advance; 상기 음성판단부의 판단결과에 따라 상기 플래시 또는 스피커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생성하는 구동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실시 탐지가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And a driving control unit for generating a signal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flash or the speaker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of the voice determination unit. 제 2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2, 상기 구동제어부는 시간 또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진동모드/벨소리 모드 등의 설정상태에 따라 상기 스피커 또는 플래시가 각각 동작되거나 또는 동시에 동 작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실시 탐지가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The driving control unit i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at can be detected in case of loss, characterized in that the speaker or the flash is operated or simultaneously operated in accordance with the time or the setting state of the vibration mode / ring tone mod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분실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탐지를 위해 설정된 단말기 탐지음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실시 탐지가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urther comprises a memory for storing data on a terminal detection sound set for detect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lost.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감지부는 주변의 소리를 수집하는 음센서 또는 마이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실시 탐지가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The detection unit i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pable of detecting when los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ound sensor or a microphone for collecting the surrounding sound. 발생되는 소리를 감지하는 제 1 단계와;Detecting a sound generated; 감지된 소리를 판독하고, 기 설정된 단말기 탐지음과 비교하여 동일성 또는 유사성 여부를 판단하는 제 2단계와;A second step of reading the detected sound and determining whether it is identical or similar to the preset terminal detection sound; 판단결과에 따라 현재 위치를 알리기 위한 일정 소리 또는 빛을 발생시키는 제 3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실시 탐지가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방법.And a third step of generating a predetermined sound or light for notifying the current location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제 6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6, 상기 제 1 단계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위치 파악을 위해 기 설정된 음성 또는 음악 등의 단말기 탐지음이 사용자에 의해 발생되는 제 1 과정과;The first step may include a first step of generating a terminal detection sound such as voice or music set by the user to determine the loc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발생된 소리를 감지하여 저장하는 제 2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실시 탐지가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방법.And a second process of detecting and storing the generated sound. 제 7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제 3단계는 감지된 소리와 설정된 단말기 탐지음이 동일 또는 유사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In the third step,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ected sound and the set terminal detection sound are the same or similar,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벨소리모드/진동모드 설정을 확인하는 제 3 과정과;A third step of checking a ring tone mode / vibration mode setting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소리가 감지된 시간을 기준으로 낮과 밤을 구분하는 제 4 과정과;A fourth process of dividing the day and the night based on the time at which the sound is detected; 스피커 또는 플래시를 동작시키는 제 5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실시 탐지가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방법.And a fifth process of operating the speaker or the flash. 제 8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8, 상기 제 5 과정은 야간 또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진동모드인 경우 상기 플래시가 발광되도록 하고, 낮 또는 벨소리모드인 경우에는 상기 스피커를 통해 일정 소리가 발생되도록 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를 나타내도록 하는 것을 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실시 탐지가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방법.The fifth process is to allow the flash to emit light at night or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in a vibration mode, and to generate a certain sound through the speaker when the day or ring mode is selected to indicate the loc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ethod of opera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pable of detecting when lost characterized in that.
KR1020050020163A 2005-03-10 2005-03-10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looking for a lost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its operating method KR100644840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0163A KR100644840B1 (en) 2005-03-10 2005-03-10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looking for a lost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its operating method
CN2006100587567A CN1832499B (en) 2005-03-10 2006-03-06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pable of detection when lost and operational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0163A KR100644840B1 (en) 2005-03-10 2005-03-10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looking for a lost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its operating metho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9128A true KR20060099128A (en) 2006-09-19
KR100644840B1 KR100644840B1 (en) 2006-11-14

Family

ID=369944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20163A KR100644840B1 (en) 2005-03-10 2005-03-10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looking for a lost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its operating method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644840B1 (en)
CN (1) CN1832499B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3730A (en) * 2016-06-30 2018-01-10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Device finde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867478B (en) * 2015-05-20 2017-12-12 胡桂钢 A kind of method and smart machine for controlling smart machine brightness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43837U (en) * 1988-03-21 1989-09-06 桂林市皮件厂 Theft-proof cases and bags with photoelectric alarm
CN2250604Y (en) * 1996-01-04 1997-03-26 古量 Language dial telephone
JP2000165511A (en) * 1998-11-26 2000-06-16 Nec Corp Portable telephone set and dial lock method for portable telephone se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3730A (en) * 2016-06-30 2018-01-10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Device find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44840B1 (en) 2006-11-14
CN1832499A (en) 2006-09-13
CN1832499B (en) 2010-08-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44279A (en) Portable electronic apparatus with adjustable-volume of ringing tone
US20050064913A1 (en) Incoming call alerting method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the same
RU2634795C2 (en) Method and device of road condition notification
US752206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ximity sensing in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20100279661A1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100644840B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looking for a lost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its operating method
KR20070016202A (en) Mobile telecommunication terminal with light emitting diode
KR880012057A (en) Loudspeaker for radiotelephone device and its expansion method
JP2010011044A (en)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charger, and charging system
JP3950825B2 (en) Mobile phone device and user interface thereof
KR100737556B1 (en) Apparatus for display power saving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JPH1062457A (en) Battery alarm circuit
JP3180285U (en) Caller display device
KR100606788B1 (en) Method for preventing auditory injury by receiving bell sound
CN110491059A (en) Ripple detects anti-theft device and ripple detects theft preventing method
JP3210381U (en) Warning device
JP2006050505A (en) Electronic device, power-saving method, and power-saving program
KR200408528Y1 (en) Accessary for portable telephone
KR100317266B1 (en) Auto-switching control apparatus of Handset
JP5079534B2 (en) Surveillance dummy camera
KR20070081986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ceipt notification degree of mobile terminal
KR200420611Y1 (en) A Device of Call Recognition for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Central Control System Using The Same
KR100450448B1 (en) Busy Ling Indicator set in Telephone Headset Amplifier
KR200306311Y1 (en) Device for protecting a mobile phone from missing
KR200366948Y1 (en) Device of loss checking for handpho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4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