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98571A - 휴대폰 충전기 - Google Patents

휴대폰 충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98571A
KR20060098571A KR1020050017731A KR20050017731A KR20060098571A KR 20060098571 A KR20060098571 A KR 20060098571A KR 1020050017731 A KR1020050017731 A KR 1020050017731A KR 20050017731 A KR20050017731 A KR 20050017731A KR 20060098571 A KR20060098571 A KR 200600985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phone
charging
charger
support member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177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85295B1 (ko
Inventor
이경훈
주태형
박윤진
전소윤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177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85295B1/ko
Publication of KR200600985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985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852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852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02J7/0044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specially adapted for holding portable devices containing batteri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7/00Indicating measured values
    • G01D7/005Indication of measured value by colour chang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7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monitoring or indicating devices or circuits
    • H02J7/0048Detection of remaining charge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폰 충전기에 관한 것으로서, 내부에 충전용 변압장치를 구비하고, 상부에 충전단자가 마련된 휴대폰 삽입홈을 구비한 본체; 상기 본체의 일측에 마련되며, 상기 본체의 상부면과 소정 각도를 이루는 경사면을 갖는 연결부; 상기 연결부에 힌지 결합하여 상기 본체의 상부면과 상기 연결부의 경사면이 이루는 각도 내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충전을 위해 상기 휴대폰 삽입홈에 삽입되는 휴대폰을 지지하는 휴대폰 지지부재; 및 전선을 통해 상기 충전용 변압장치와 연결되고, 전원 공급원으로부터 충전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받도록 하는 플러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충전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충전기 본체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게 구성된 휴대폰 지지부재를 통해, 휴대폰 충전시에는 상기 휴대폰 지지부재를 충전기 본체로부터 상향 회전시켜 휴대폰을 지지하도록 하고, 비충전시에는 상기 휴대폰 지지부재를 다시 하향 회전시켜 충전기 본체에 접하도록 함으로써 휴대폰 충전기가 차지하는 부피 및 무게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휴대상의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은 물론 부피 및 무게의 감소에 따른 포장 비용 절감의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휴대폰, 충전기, 지지부재, 힌지, LED, 아크릴

Description

휴대폰 충전기{BATTERY CHARGER FOR MOBILE PHONE}
도 1은 종래의 휴대폰 충전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 충전기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휴대폰 지지부재가 본체로부터 최대 상향 회전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a 내지 도 4c는 휴대폰 삽입시 도 2의 휴대폰 지지부재가 상향 회전되는 원리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면 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본체 102 : 충전단자
104 : 휴대폰 삽입홈 106 : 미끄럼 방지부재
110 : 연결부 112 : 경사면
114 : 힌지 116 : 자석
118 : 발광소자 120 : 힌지 결합단
130 : 휴대폰 지지단 150 : 휴대폰 지지부재
160 : 플러그
본 발명은 휴대폰 충전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충전기 본체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게 구성된 휴대폰 지지부재를 구비함으로써, 휴대폰 충전시에는 휴대폰 지지부재를 충전기 본체로부터 상향 회전시켜 휴대폰을 지지하도록 하고, 비충전시에는 다시 하향 회전시켜 충전기 본체에 접하도록 함으로써 충전기가 차지하는 부피 및 무게를 감소시킬 수 있는 휴대폰 충전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폰은 그 사용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구비하는데, 이러한 휴대폰 배터리는 다소 차이는 있으나 그 용량에 있어 일정한 한계를 갖는다. 따라서 휴대폰 사용자는 휴대폰의 지속적인 사용을 위해 휴대폰 배터리의 충전을 위한 별도의 휴대폰 충전기를 구비하게 된다.
이러한 휴대폰 충전기는 종래에 공지된 바와 같이 일체형으로 형성된 본체의 일측에 도선으로 연결된 플러그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여행이나 출장시에는 휴대폰과 함께 소지하였다가 휴대폰 충전시 플러그를 콘센트에 꽂아 휴대폰을 충전하도록 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휴대폰 충전기를 나타낸 사시도인데, 도 1을 참조하여 종래의 휴대폰 충전기의 구성을 간단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종래의 휴대폰 충전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와, 상기 본체(1)의 전면에 휴대폰을 끼워 착탈할 수 있도록 형성된 휴대폰 착탈홈(2)과, 상기 휴대폰 착탈홈(2)의 안쪽에 더 형성되어 배터리만을 끼워 착탈할 수 있도록 형성된 배터리 착탈홈(3)과, 상기 배터리 착탈홈(3)의 하단부에 구비된 충전단자(4)와, 상 기 충전기 내부에 포함된 기타 변압장치(미도시)와, 상기 본체(1)를 통해 내부의 변압장치와 도선(5)으로 연결되어 외부 콘센트(미도시)에 선택적으로 끼워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된 플러그(6)로 구성된다.
한편, 이러한 종래의 휴대폰 충전기를 이용하여 휴대폰을 충전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먼저 플러그(6)를 외부 콘센트에 끼워 본체(1)의 내부에 마련된 변압장치로 전원이 인가되도록 하면, 상기 인가된 전원은 상기 변압장치를 통해 충전에 필요한 전압으로 변압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휴대폰을 배터리가 결합된 상태로 충전기의 휴대폰 착탈홈(2)에 끼워 넣음으로써 상기 휴대폰의 단자(미도시)와 본체의 충전단자(4)가 서로 접촉되어 충전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그리고, 휴대폰의 배터리만을 충전하고자 할 경우에는 휴대폰으로부터 배터리를 분리한 후, 상기 분리된 배터리를 충전기의 배터리 착탈홈(3)에 끼워 넣음으로써 배터리의 단자(미도시)와 본체의 충전단자(4)가 서로 접촉되어 충전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휴대폰 충전기는 일체형으로 형성된 몸체(1) 자체로 충전시의 휴대폰을 지지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몸체(1) 자체가 차지하는 부피가 매우 클 뿐만 아니라 그에 따른 무게 역시 증가하여 사용자가 여행이나 출장시 휴대폰의 충전을 위해 휴대폰 충전기를 휴대해야 하는 경우 적지 않은 불편을 주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제품의 포장을 위해 필요한 여백 공간이 상대적으로 크기 때문에 그에 따라 포장용 박스의 크기 역시 커지게 된다. 따라서 이로 인해 포장 비용을 증가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충전기 본체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게 구성된 휴대폰 지지부재를 통해, 휴대폰 충전시에는 상기 휴대폰 지지부재를 충전기 본체로부터 상향 회전시켜 휴대폰을 지지하도록 하고, 비충전시에는 상기 휴대폰 지지부재를 다시 하향 회전시켜 충전기 본체에 접하도록 함으로써 휴대폰 충전기가 차지하는 부피 및 무게를 감소시킴과 아울러 휴대상의 편리성을 향상시킨 휴대폰 충전기를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삼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멀리서도 휴대폰의 충전상태를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는 휴대폰 충전기를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삼고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내부에 충전용 변압장치를 구비하고, 상부에 충전단자가 마련된 휴대폰 삽입홈을 구비한 본체; 상기 본체의 일측에 마련되며, 상기 본체의 상부면과 소정 각도를 이루는 경사면을 갖는 연결부; 상기 연결부에 힌지 결합하여 상기 본체의 상부면과 상기 연결부의 경사면이 이루는 각도 내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충전을 위해 상기 휴대폰 삽입홈에 삽입되는 휴대폰을 지지하는 휴대폰 지지부재; 및 전선을 통해 상기 충전용 변압장치와 연결되고, 전원 공급원으로부터 충전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받도록 하는 플러그를 포함하는 휴대폰 충전기를 제공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 충전기는 충전기 본체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게 구성된 휴대폰 지지부재를 구비함으로써, 휴대폰 충전시에는 상기 휴대폰 지지부재를 충전기 본체로부터 상향 회전시켜 휴대폰을 지지하도록 하고, 비충전시에는 상기 휴대폰 지지부재를 다시 하향 회전시켜 충전기 본체에 접하도록 하여 휴대폰 충전기가 차지하는 부피 및 무게를 감소시킴과 아울러 휴대상의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본체의 하부면에는 복수의 미끄럼 방지부재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미끄럼 방지부재는 큰 마찰계수를 갖는 고무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 상기 휴대폰 지지부재는 상기 연결부와 힌지 결합하는 힌지 결합단과, 상기 힌지 결합단과 평행하게 소정 거리 이격된 휴대폰 지지단과, 상기 힌지 결합단 및 상기 휴대폰 지지단을 연결하는 2개의 연결단으로 구성된 "□"자 형상을 갖도록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 상기 휴대폰 지지부재는 상기 휴대폰 삽입홈에 휴대폰을 삽입하는 과정에서 상기 힌지 결합단의 내측면이 상기 휴대폰에 의해 눌려지면서 자동으로 상기 본체의 상부면으로부터 상기 연결부의 경사면 방향으로 상향 회전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 상기 연결부의 경사면 및 상기 휴대폰 지지부재의 상방향 최대 회전시 상기 연결부의 경사면과 접하게 되는 상기 힌지 결합단의 외측면에는 각각 양자를 자력에 의해 서로 접한 상태로 유지하게 하는 자석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 상기 휴대폰 지지단에는 충전을 위해 상기 휴대폰 삽입홈에 삽입되는 휴대폰의 배면을 밀착하여 지지하기 위한 경사부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 상기 휴대폰 지지부재는 투명 아크릴 소재로 형성되고, 상기 본체의 내부에는 충전 중인 휴대폰의 충전 상태를 측정하기 위한 충전센서가 구비되며, 상기 연결부의 경사면에는 상기 충전센서를 통해 측정된 상기 휴대폰의 충전 상태를 표시하기 위해 상기 휴대폰 지지부재를 향해 빛을 발광하는 발광소자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발광소자는 LED(light emitting diode)로 구성할 수 있으며, 상기 LED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서로 다른 색상을 발광함으로써 충전 진행상태와 충전 완료상태를 서로 다른 색상으로 각각 표시하도록 하거나, 또는 충전 진행시에는 연속적으로 발광함으로써 충전 진행상태를 표시하고, 충전 완료시에는 단속적으로 발광함으로써 충전 완료상태를 표시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 충전기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 충전기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휴대폰 지지부재가 본체로부터 최대 상향 회전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충전기는 크게 본체(100)와, 연결부(110)와, 휴대폰 지지부재(150)와, 전선(162)에 의해 본체(100)와 연결된 플러그(160)로 구성된다.
본체(100)에는 그 내부에 충전용 변압장치(미도시)가 구비되는데, 상기 충전용 변압장치는 전선(162)에 의해 플러그(160)와 연결되어, 도시되지 않은 전원 공급부로부터 공급된 입력 전압을 충전에 필요한 전압으로 변압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본체(100)의 내부에는 후술할 충전센서(미도시)가 구비되어, 충전 중인 휴대폰의 충전상태를 측정한다.
한편, 본체(100)의 상부에는 충전단자(102)가 마련된 휴대폰 삽입홈(104)이 형성되고, 본체(100)의 하부에는 본체(100)가 안착될 도시되지 않은 책상이나 테이블 등의 상부면으로부터 상기 본체(100)가 미끄러지지 않도록 하기 위한 복수개의 미끄럼 방지부재(106, 도 4a 참조)가 마련된다. 이러한 미끄럼 방지부재(106)는 충격 흡수가 가능하도록 탄력성을 갖고, 미끄러짐의 방지를 위해 큰 마찰계수를 갖는 고무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체(100)의 일측에는 연결부(110)가 마련되는데, 상기 연결부(110)에는 본체(100)의 상부면과 소정 각도, 예를 들어 40~50ㅀ를 이루는 경사면(112)이 형성되어, 후술할 휴대폰 지지부재(150)의 회전 각도를 한정한다.
상기 경사면(112)에는 힌지(114)가 마련되어 상기 휴대폰 지지부재(150)가 상기 연결부(110)와 힌지 결합에 의해 연결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경사면(112)에는 자석(116)이 마련되는데, 상기 자석(116)은 후술할 휴대폰 지지부재(150)의 힌지 결합단(120)의 외측면(122)에 마련된 자석(124)과 쌍을 이룬다. 상기 쌍을 이룬 자석(116,124)은 상기 휴대폰 지지부재(150)가 본체(100)로부터 상방향으로 최대 회전될 때, 서로 접촉되면서 자력에 의해 상기 휴대폰 지지부재(150)가 본체(100) 로부터 상방향으로 최대 회전된 상태를 유지하게 함으로써 충전 중인 휴대폰을 지지하게 한다.
또한, 상기 경사면(112)에는 발광소자(118)가 마련되는데, 상기 발광소자(118)는 전술한 충전센서와 연결되어 충전 중인 휴대폰의 충전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빛을 상기 휴대폰 지지부재(150)를 향하여 방출한다. 이러한 발광소자(118)로는 LED(light emitting diode)를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휴대폰 지지부재(150)는 전체적으로 4개의 단으로 구성된 "□"자 형상을 갖는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휴대폰 지지부재(150)는 상기 연결부(110)와 힌지 결합하는 힌지 결합단(120)과, 상기 힌지 결합단(120)과 평행하게 소정 거리 이격되어 충전 중인 휴대폰을 지지하는 휴대폰 지지단(130)과, 상기 힌지 결합단(120) 및 상기 휴대폰 지지단(130)을 연결하는 2개의 연결단(140)으로 구성된다.
상기 힌지 결합단(120)의 외측면(122)에는 전술한 자석(124)이 마련되며, 상기 힌지 결합단(120)의 내측면(126)은 충전을 위해 휴대폰이 휴대폰 삽입홈(104)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휴대폰에 의해 눌려지게 되는 부분으로서, 후술할 상기 휴대폰 지지부재(150)의 회전과 관련된다.
도 4a 내지 도 4c는 휴대폰 삽입홈(104)에 휴대폰이 삽입되는 과정에서 휴대폰에 의해 휴대폰 지지부재(150)가 상향 회전되는 원리를 나타내고 있는데, 이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폰 지지부재(150)가 접혀진 상태, 즉 휴대폰 지지부재(150)가 본체(100)의 상부면과 접한 상태에서 충전을 위해 휴대폰(200)을 휴대폰 삽입홈(104)에 삽입할 때, 상기 휴대폰(200)의 하부가 휴대폰 지지부재(150)의 힌지 결합단(120)의 내측면(126)을 누르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휴대폰 지지부재(150)는 도면에 도시된 화살표 방향, 즉 본체(100)의 상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그 다음 도 4b 및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휴대폰(200)의 하부는 계속해서 상기 힌지 결합단(120)의 내측면(126)을 누르면서 상기 내측면(126)을 따라 하향하여 휴대폰 삽입홈(104)에 삽입된다. 반면 상기 휴대폰 지지부재(150)는 상대적으로 계속해서 도면에 도시된 화살표 방향, 즉 본체(100)의 상방향으로 회전하여 최종적으로 상기 힌지 결합단(120)의 외측면(122)이 연결부(110)의 경사면(112)에 접하게 된다. 이때, 상기 힌지 결합단(120)의 외측면(122) 및 상기 연결부(110)의 경사면(112)에 각각 마련되어 한 쌍을 이루는 자석(124,116)의 자력에 의해 상기 휴대폰 지지부재(150)는 본체(100)로부터 상방향으로 최대 회전된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충전 중인 휴대폰(200)을 안정적으로 지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 자석(124,116)의 자력이 강할 경우에는 상기 휴대폰 지지부재(150)의 상방향 회전이 보다 용이해 질 수 있다. 즉, 휴대폰 삽입홈(104)에 휴대폰을 삽입하는 과정에서 상기 휴대폰(200)의 하부를 통해 상기 힌지 결합단(120)의 내측면(126)을 눌러 도 4b에 도시된 정도 만큼만 상기 휴대폰 지지부재(150)를 회전시켜 주면, 그 이후의 회전은 상기 자석(124,116)의 자력에 의해 자동적으로 이루어 질 수 있다.
한편, 상기 휴대폰 지지단(130)에는 충전을 위해 휴대폰 삽입홈(104)에 삽입되는 휴대폰의 배면을 밀착하여 지지하기 위한 경사부(132)가 마련되는데, 도 4c에는 충전 중인 휴대폰(200)의 배면이 상기 휴대폰 지지단(130)에 밀착된 상태로 지지되는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지금까지 설명한 상기 휴대폰 지지부재(150)는 투명 아크릴 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충전 중인 휴대폰의 충전상태를 표시하는 것과 관련하여 큰 의미를 갖기 때문이다. 즉,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폰 지지부재(150)에 의해 지지된 상태로 충전 중인 휴대폰의 충전상태를 본체(100) 내부에 구비된 충전센서가 측정하면, 측정된 충전상태는 도 2를 통해 설명한 발광소자(118)가 빛을 방출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표시된다.
이때, 상기 발광소자(118)는 상기 휴대폰 지지부재(150)를 향해 빛을 방출하고, 방출된 빛은 투명 아크릴 소재로 형성된 상기 휴대폰 지지부재(150)를 타고 들어가 상기 휴대폰 지지부재(150) 전체를 통해 발광함으로써 먼 거리에 있는 사용자에라도 용이하게 충전상태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휴대폰 지지부재(150) 전체를 통해 발광되는 빛은 특히 야간에는 조명으로도 활용할 수 있다.
한편, 휴대폰 충전상태의 표시에 있어서, 충전상태를 크게 두가지, 즉 충전 진행상태와 충전 완료상태로 나눌 경우, 상기 발광소자(118)로 하여금 2개 이상의 서로 다른 색상을 발광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충전 진행상태와 충전 완료상태를 서로 다른 색상으로 각각 표시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는 충전 진행시에는 연속적으로 발광함으로써 충전 진행상태를 표시하고, 충전 완료시에는 단속적으로 발 광함으로써 충전 완료상태를 표시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한편, 충전 진행상태를 표시함에 있어서도 그 진행 정도를 2개 이상의 단계별로 나누고, 3개 이상의 서로 다른 색상을 발광할 수 있도록 발광소자(118)를 구성하여 충전 진행상태의 각 단계를 서로 다른 색상으로 표시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의하면, 충전기 본체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게 구성된 휴대폰 지지부재를 통해, 휴대폰 충전시에는 상기 휴대폰 지지부재를 충전기 본체로부터 상향 회전시켜 휴대폰을 지지하도록 하고, 비충전시에는 상기 휴대폰 지지부재를 다시 하향 회전시켜 충전기 본체에 접하도록 함으로써 휴대폰 충전기가 차지하는 부피 및 무게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휴대상의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은 물론 부피 및 무게의 감소에 따른 포장 비용 절감의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충전 상태를 표시하기 위해 발광소자로부터 방출된 빛이 투명 아크릴 소재로 형성된 상기 휴대폰 지지부재를 통해 발광함으로써 멀리서도 충전 상태의 확인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야간에는 조명으로도 활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12)

  1. 내부에 충전용 변압장치를 구비하고, 상부에 충전단자가 마련된 휴대폰 삽입홈을 구비한 본체;
    상기 본체의 일측에 마련되며, 상기 본체의 상부면과 소정 각도를 이루는 경사면을 갖는 연결부;
    상기 연결부에 힌지 결합하여 상기 본체의 상부면과 상기 연결부의 경사면이 이루는 각도 내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충전을 위해 상기 휴대폰 삽입홈에 삽입되는 휴대폰을 지지하는 휴대폰 지지부재; 및
    전선을 통해 상기 충전용 변압장치와 연결되고, 전원 공급원으로부터 충전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받도록 하는 플러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충전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하부면에는 복수의 미끄럼 방지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충전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미끄럼 방지부재는 고무 소재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충전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폰 지지부재는 상기 연결부와 힌지 결합하는 힌지 결합단과, 상기 힌지 결합단과 평행하게 소정 거리 이격된 휴대폰 지지단과, 상기 힌지 결합단 및 상기 휴대폰 지지단을 연결하는 2개의 연결단으로 구성된 "□"자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충전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폰 지지부재는 상기 휴대폰 삽입홈에 휴대폰을 삽입하는 과정에서 상기 힌지 결합단의 내측면이 상기 휴대폰에 의해 눌려지면서 자동으로 상기 본체의 상부면으로부터 상기 연결부의 경사면 방향으로 상향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충전기.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의 경사면 및 상기 휴대폰 지지부재의 상방향 최대 회전시 상기 연결부의 경사면과 접하게 되는 상기 힌지 결합단의 외측면에는 각각 자석이 구비되어, 상기 휴대폰 지지부재의 상방향 최대 회전시 상기 경사면 및 상기 외측면이 자력에 의해 서로 접한 상태로 유지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충전기.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폰 지지단에는 충전을 위해 상기 휴대폰 삽입홈에 삽입되는 휴대폰의 배면을 밀착하여 지지하기 위한 경사부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충전기.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폰 지지부재는 투명 아크릴 소재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충전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내부에는 충전 중인 휴대폰의 충전 상태를 측정하기 위한 충전센서가 구비되고, 상기 연결부의 경사면에는 상기 충전센서를 통해 측정된 상기 휴대폰의 충전 상태를 표시하기 위해 상기 휴대폰 지지부재를 향해 빛을 발광하는 발광소자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충전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소자는 LED(light emitting diod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충전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LED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서로 다른 색상을 발광함으로써 충전 진행상태와 충전 완료상태를 서로 다른 색상으로 각각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충전기.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LED는 충전 진행시에는 연속적으로 발광함으로써 충전 진행상태를 표시하고, 충전 완료시에는 단속적으로 발광함으로써 충전 완료상태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충전기.
KR1020050017731A 2005-03-03 2005-03-03 휴대폰 충전기 KR1007852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7731A KR100785295B1 (ko) 2005-03-03 2005-03-03 휴대폰 충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7731A KR100785295B1 (ko) 2005-03-03 2005-03-03 휴대폰 충전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8571A true KR20060098571A (ko) 2006-09-19
KR100785295B1 KR100785295B1 (ko) 2007-12-12

Family

ID=376299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17731A KR100785295B1 (ko) 2005-03-03 2005-03-03 휴대폰 충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8529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4926B1 (ko) * 2007-04-19 2009-09-01 이만석 미끄럼방지 휴대폰 케이스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2301B1 (ko) * 2013-01-14 2013-05-13 주식회사 두드림 모바일 기기 거치대 및 모바일 기기 충전장치
KR102044770B1 (ko) * 2018-04-25 2019-11-15 위도현 스마트폰 충전용 보조배터리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87Y1 (ko) 2000-05-09 2000-10-16 주식회사피엠케이 탁상 및 여행 겸용 핸드폰 충전기
KR200294871Y1 (ko) 2002-07-03 2002-11-13 제일엔터프라이즈(주) 자동차용 휴대폰 거치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4926B1 (ko) * 2007-04-19 2009-09-01 이만석 미끄럼방지 휴대폰 케이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85295B1 (ko) 2007-1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195877B2 (ja) コンピュータポートを備えた携帯式電源
KR20080105038A (ko) 소형 전기 제품용 벽 소켓내로 플러깅할 수 있는 충전기
WO2016023428A1 (zh) 多功能充电器
CN219067874U (zh) 储能电源及其储能设备
TWI444815B (zh) Electronic book device with electromagnetic pen integrated bracket
US20120048755A1 (en) Efficiently compartmentalized box for multiple functions
KR100785295B1 (ko) 휴대폰 충전기
TWM449399U (zh) 無線充電式行動電源
EP2216875A2 (en) Adjustable charger
US20140239888A1 (en) Wireless charger
US8382310B2 (en) Packaging system for the retail sale of an electrical device
CN205160167U (zh) 一种智能手表的无线充电座
CN206180654U (zh) 一种多功能充电基座
CN210093479U (zh) 一种具有充电功能的高保真蓝牙音响
CN207081754U (zh) 一种一次设备智能检测装置
CN209769827U (zh) 一种市场营销用移动式样品展示装置
CN203517476U (zh) 自带伸缩插线板多功能台灯
CN219938036U (zh) 充电座
CN202588594U (zh) 带电灯的储钱罐
KR200473884Y1 (ko) 엘이디 랜턴
CN203607885U (zh) 移动电源
CN219204125U (zh) 带支架的移动电源
CN203747445U (zh) 便携充电照明一体器
CN217917402U (zh) 一种磁吸充电笔及充电笔座
CN213402475U (zh) 一种具有支撑固定手机的移动电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7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