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98419A - 불루투스 엠피쓰리플레이어와 블루투스 네트워크엑세스포인트 및 블루투스 동글을 이용한 음악다운로드방법 및 사업방법 - Google Patents

불루투스 엠피쓰리플레이어와 블루투스 네트워크엑세스포인트 및 블루투스 동글을 이용한 음악다운로드방법 및 사업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98419A
KR20060098419A KR1020060081865A KR20060081865A KR20060098419A KR 20060098419 A KR20060098419 A KR 20060098419A KR 1020060081865 A KR1020060081865 A KR 1020060081865A KR 20060081865 A KR20060081865 A KR 20060081865A KR 20060098419 A KR20060098419 A KR 200600984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uetooth
access point
protocol
player
net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818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원
Original Assignee
이종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원 filed Critical 이종원
Priority to KR10200600818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98419A/ko
Publication of KR200600984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98419A/ko

Links

Images

Landscapes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블루투스(Bluetooth) 모듈이 내장된 MP3P 단말기와 DSL(디지털가입자회선 DigitalSubscriber Line)에 연결된 블루투스(Bluetooth) AP(Access Point)를 통하여 특정 IP(Internet Protocol)에서 제공하는 MP3(MPEG layer 3 )를 단말기로 전송하는 방법 및 위의 방법을 이용한 사업모델
블루투스(Bluetooth) 블루투스 MP3P (Bluetooth Mp3P), 블루투스 네트워크 엑세스포인트( Bluetooth Network Access Point), 블루투스 동글( Bluetooth Dongle), 고정 아이피(IP) 접속 엑세스 포인트(Access Point) , 디지털 음악 다운로드( Digital Music Download)

Description

불루투스 엠피쓰리플레이어와 블루투스 네트워크 엑세스포인트 및 블루투스 동글을 이용한 음악다운로드 방법 및 사업방법 {the process and business model of downloading MP3 that based on bluetooth MP3P and bluetooth network access point, bluetooth dongle}
도 1은 블루투스 엠피쓰리플레이어 (Bluetooth MP3 player)가 블루투스가 내장된 네트워크 엑세스포인트(Network Access Point)를 통해 DSL(Digital Subscriber Line)을 통해 인터넷 망에 연결된 MP3 파일 제공 서버에서 MP3를 다운로드 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MP3 파일제공서버의 MP3파일을 DSL(Digital Subscriber Line)을 이용하는 공간의 컴퓨터에 USB방식의 블루투스 동글(Bluetooth Dongle)을 통해 블루투스 엠피쓰리플레이어 (Bluetooth MP3 player)에 파일을 전송하는 방식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MP3 파일제공서버의 MP3파일을 DSL(Digital Subscriber Line)을 이용하는 공간의 모뎀으로부터 분배기 기능을 갖는 블우투스가 내장된 네트워크 엑세스포인 트를 통해 블루투스 엠피쓰리플레이어 (Bluetooth MP3 player)에 파일을 전송하는 방식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4는 MP3 파일제공 서버의 MP3파일을 블루투스 엠피쓰리플레이어( Bluetooth MP3 Player)에 파일을 전송하기 위한 프로토콜 스택(Protocol Stack)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5는 일반 매장에서의 DSL(Digital Subscriber Line)을 통해서 사용되고 있는 일반적인 형태를 도면으로 설명하고 있는 것이다.
도6는 일반 매장혹은 가정에서 NAP(Network Access Point)을 도입하였을때의 형태를 도면으로 설명하고 있는 것이다.
도7은 일반 매장혹은 가정에서 블루투스 동글(Buletooth Dongle)을 도입하였을때의 형태를 도면으로 설명하고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블루투스 모듈(Bluetooth Module)을 이용한 엑세스 포인트(Access point)와 엠피쓰리플레이어(MP3 Player), 디지털 음악서버와 인터넷 망을 이용한 무선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사업모델에 관한 것으로, 블루투스와 인터넷망을 이용하여 MP3파일을 무선으로 전송하는 단말기와 엑세스포인트 및 이를 이용한 비즈니스 모델(Business Medel)에 관한 것이다.
지금까지 블루투스에 관한 기술 및 적용은 휴대폰 및 MP3P(mp3 player)에 내장되어 블루투스 헤드셋(Headset)이나 다른 단말기나 컴퓨터와 블루투스의 2.4GHz대역으로 무선통신을 하는 정도에 머물렀다.
블루투스의 현재의 대역폭(Bandwidth)은 EDR(Enhanced Data Rate) 2.0이 3Mbps의 속도를 지원하고 거리도 10~100M까지의 거리에서 무선통신이 가능하는 데까지 발전하여 블루투스는 이제 단말기간의 통신 이외의 분야에서 적용이 될 것이다.
이러한 블루투스를 적용한 가장 최근의 사례는 휴대 전화에 블루투스 칩을 내장하여 하나의 휴대전화를 외부에서는 CDMA나 TDMA 망을 통해 음성 및 데이터 통신을 하고, 블루투스 엑세스 포인트가 설치된 실내에서는 엑세스 포인트에 연결된 PSTN(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을 통해 시내구간의 전화망으로 사용이 되며, 단말기 간의 블루투스 통신을 하는 방식까지 등장하였다.
한편으로는 블루투스 단말기간의 통신 및 엑세스 포인트와의 동시 통신이 가능하도록 즉,블루투스가 탑재된 단말기가 마스터(Master)와 슬레이브(Slave)의 관계 중 하나만을 선택하는 단점을 보완하여 엑세스 포인트 모드와 다이렉트 모드를 동시에 사용하는 기술이 등장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기술들은 블루투스 단말기가 범용적인 인터넷 망에 접속하여 통신하면서 파일을 업로드(Up load)하거나 다운로드(Down load)하고 VoIP(Voice over IP)등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음성통화가 가능한 방식으로 나오지 않아 블루투스와 이를 적용한 단말기의 한계를 스스로 규정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위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블루투스 단말기, 특히 블루투스 모듈이 내장된 MP3 플레이어가 단순하게 블루투스 헤드셋에 이용되는 것이 아닌 블루투스 모듈이 내장된 엑세스 포인트와 통신하고 이 엑세스 포인트가 인터넷과 연결되는 네트워크 엑세스 포인트의 역할을 동시에 함으로써 블루투스 모듈이 내장된 MP3플레이어가 결과적으로 인터넷에 연결되어 실시간으로 MP3파일이나 가사 파일, 기타 디지털 파일이 있는 서버로 접속되어 파일을 다운로드하거나 업로드 하게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이루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루투스 모듈 내장 단말기와 엑세스 포인트, 서버와의 관계는 다음과 같다.
도 1은 블루투스모듈이 내장된 엠피쓰리플레이어(100)와 디지털 음악파일 서버(104)까지의 관계를 설명한 도면으로, 엠피쓰리 플레이어의 블루투스 모듈이 마스터(Master) 블루투스모듈이 내장됨과 동시에 DSL 등을 통해 인터넷에 연결된 네트워크 엑세스 포인트(101)와 통신을 통해 음악파일 서버(104)의 파일을 인터넷망(103)을 통해 인터넷 모뎀(102)을 거쳐 엠피쓰리 파일을 다운로드하는 흐름을 나타내는 것이다.
이러한 흐름을 통해 MP3 등의 음악파일을 판매하고 있는 온라인 사업자는 특정한 공간에 네트워크 블루투스 엑세스 포인트를 설치하고 블루투스 엠피쓰리 플레이어를 판매 혹은 보급 하여 뮤직 존에서 무선이용요금을 내지 않고 음악파일을 무선으로 구매할 수 있도록 하는 사업모델이 가능하게 된다.
도 2는 블루투스 엠피쓰리플레이어(200)가 인터넷 모뎀(205)와 연결되고 이를 제어하는 응용소프트웨어가 설치된 컴퓨터(204)를 통해 USB타입의 블루투스 동글(Dongle)(203)을 매개로 음악서버의 MP3파일을 다운로드 받는 시스템을 나타내는 것이다. 블루투스 단말기로 음악을 무선인 블루투스로 다운로드 받을 수 있는 음악 구역(Music Zone)(201)으로 하는 비즈니스 모델(Business Model)을 포함한다.
도 3은 도 2와 같으나 USB타입의 블루투스 동글(Bluetooth Dongle) 방식이 아닌 인터넷에 접속하여 음악 파일의 서버에 고정적으로 접속된 블루투스 엑세스 포인트(303)를 매개로 하여 블루투스 엠피쓰리 플레이어(301)가 음악파일을 다운받는 방식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블루투스 엠피쓰리 플레이어와 네트워크 블루투스 엑세스 포인트(Network Bluetooth Access Point)와 음악파일 서버를 설명하는 블록도로 각 단말기들에 대한 프로토콜 스택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를 참조하여 블루투스의 기본적인 프로토콜 및 본 발명의 예에 따른 각 단말기들의 프로토콜 스택 구조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프로토콜 스택(Protocol Stack)이란, 각 프로토콜을 하위 계층부터 상위 계층까지 쌓아올린 프로토콜의 집합을 말하는 것으로 보통, 호스트 컨트롤러 인터페이스(Host Controller Protocol, 이하 HCI)를 기준으로 하여 HCI보다 하위 계층인 호스트 컨트롤 프로토콜(Host Controller Protocol)과 HCI보다 상위 계층인 호트트 프로토콜(Host Protocol)로 나뉜다. 여기서 호스트 컨트롤러(Host Controller)는 블루투스 모듈인 MP3 Player(422)을 뜻하고, 호스트(host)는 호스트 컨트롤러(Host Controller)인 블루투스 모듈과 연결되어 블루투스 모듈을 제어하고 어플리케이션을 수행하는 곳을 뜻한다.
호스트 컨트롤러에는 베이스 밴드(409), 링크매니저(LM, 408)등의 프로토콜이 포함되고, 호스트에는 논리적 링크 제어 및 적용 프로토콜(Logical Link Control and Adaptation Protocol, 이하 L2CAP), 케이블 전환 프로토콜(Radio Frequency Communication 이하 RFCOMM), 서비스 검색 프로토콜(Service Discovery Protocol, 이하 SDP), TCS, 객체 교환 프로토콜(Object Exchange Protocol, 이하 OBEX)등이 포함된다.
그러나 호스트에 포함되는 프로토콜은 어플리케이션의 종류나 호스트의 종류에 따라 달라지게 되는데,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와 같이 블루투스 프로토콜 스택으로 할당된 리소스가 적은 MP3 플레이어가 호스트인 경우, 베이스밴드(409), LM(408), L2CAP(407), SDP(450)등의 프로토콜이 호스트 컨트롤러에 포함되도록 스택을 분배한다.
베이스밴드(BaseBand)(409)는 블루투스의 가장 핵심적인 프로토콜로 무선 채널 설정, 패킷 교환을 위한 링크 설정, 피코넷 설정 및 링크의 종류에 따른 표준 패킷을 정의하고 생성하는 역할을 한다.
LM(408)은 LMP 메시지를 이용해 링크를 설정하고 관리하는 프로토콜로, 베이스밴드(409)
에서 링크 설정 및 관리와 관련된 프로세싱이 이루어 지는 경우, LM(408)는 원격 디바이스와 무선으로 패킷을 주고 받아 베이스밴드의 프로세싱 결과를 다른 디바이스로 전달하고, 또 전달 결과를 통보받음으로서 실제로 링크를 설정하고 관리하는 역할을 한다. 이 때, LMP 메시지는 링크 매니저의 상위 게층으로 전달되지는 않으며, 두 디바이스의 링크 매니저 사이에서만 송수신 된다.
L2CAP(407)은 일종의 링크 계층으로, L2CAP(407)의 하위 계층에서 전달된 데이터를 L2CAP(407)의 상위 계층으로 전달하거나, L2CAP(407)의 상위 계층 프로토콜이나 어플리케이션에서 전달된 데이터를 L2CAP(407)의 하위 계층으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또 L2CAP(407)에서는 어플리케이션이나 상위 계층 프로토콜에서 전달된 패킷의 길이가 길 경우, 전달된 패킷을 제한된 길이로 분할(Segmentation)하거나 반대로, 베이스밴드(409)에서 패킷이 여러 개로 분할되어 전달된 경우, L2CAP(408)의 상위 계층 프로토콜이나 어플리케이션으로 전달하기 전에 분할된 패킷들을 재조합(Ressembly)하는 등 패킷에 대한 관리도 이루어 진다.
SDP(406)은 피코넷에 존재하는 다른 블루투스 디바이스에서 어떠한 서비스가 가능한지, 또 가능한 서비스의 특징과 관련된 정보를 교환하기 위한 프로토콜이다. SDP(406)는 서버-클라이언트의 구조를 지니고 있는데, 서버 디바이스에는 서버 디바이스에서 제공가능한 서비스 목록과 각 서비스에 대한 세부사항이 데이터 베이스로 이루어져 있어,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는 서버 디바이스의 SDP(406)로부터 서비스에 관련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RFCOMM(405)은 RS-232 9핀 시리얼 포트를 에뮬레이션 하는 프로토콜로, RS232 케이블 등과 같은 신호선을 무선화하기 위한 블루투스 어플리케이션에 있어서 가장 기본이 되는 프로토콜이라고 할 수 있다.
PPP(Point-to-Point Protocol)(404)는 두 대의 컴퓨터가 직렬 인터페이스를 이용하 여 통신을 할 때 필요한 프로토콜로서, 특히 전화회선을 통해 서버에 연결하는 PC에서 자주 사용된다. 예를 들면, 대부분의 ISP (Internet server provider)들은 자신들의 가입자를 위해 인터넷 PPP(404) 접속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요구에 서버가 응답하고, 그 서버를통해 인터넷으로 나아갈 수 있도록 하며, 사용자 요구에 따른 응답을 다시 사용자에게 보내주는 등의 일을 할 수 있도록 한다. PPP(404)는 IP(403)를 사용하며, 때로 TCP/IP 프로토콜 군의 하나로 간주된다. PPP(404)는 상기 OSI 참조 모델과 비교하면 제 2 계층에 해당하는 데이터 링크 서비스를 제공한다. 본래 PPP(404)는 컴퓨터의 TCP/IP 패킷들을 포장해서 그것들이 실제로 인터넷으로 보내어질 수 있도록 서버로 전달한다. 랜 접속 장치의 라우터는 대부분의 제품이 점 대 점 통신 규약(PPP) (404)을 지원하고 있다. PPP(404)는 데이터 패킷의 헤더 부분만을 압축하는 기능이나 비밀 번호 인증 규약(PAP) 또는챌린지-핸드셰이크 인증 규약(CHAP) 등의 인증 규약을 포함하고 있어서 접속 설정 시 이들 기능을 이용할 수 있다.
또 원격 LAN 접속 시에 접속 서버가 클라이언트 개인용 컴퓨터에 자동적으로 IP 주소를 할당하는 인터넷 프로토콜제어 프로토콜(IPCP)의 기능도 가지고 있다. 일반 전화망이나 종합 정보 통신망(ISDN) 등 공중망을 통하여 인터넷정보 제공자(ISP)의 서버에 접속하는 다이얼 업 IP 접속에서는 일반적으로 PPP(404) 접속으로 IPCP를 이용하기 때문에,사용자는 세계적 IP 주소를 취득하지 않아도 된다. PPP(404)는 다이얼 업 IP 접속을 위한 대표적인 규약으로 RFC 1171에규정되어 있다.
IP(Internet Protocol)(403)는 인터넷상의 한 컴퓨터에서 다른 컴퓨터로 데이터를 보내는데 사용되는 프로토콜이다.
인터넷상의 각 컴퓨터, 즉 호스트들은 다른 컴퓨터와 구별될 수 있도록 적어도 한 개 이상의 고유한 주소를 갖는다. 사용자가 전자우편이나 웹페이지 등과 같은 데이터를 보내거나 받을 때, 메시지는 패킷이라고 불리는 작은 조각으로 나뉘어진다. 이러한 각 패킷에는 송신자의 인터넷 주소와 수신자의 인터넷 주소가 들어있다. 어떤 패킷이라도 게이트웨이 컴퓨터로 먼저 보내질 수 있다. 게이트웨이 컴퓨터는 수신지 주소를 읽고 그 패킷을 인근의 게이트웨이로 넘긴다.
이후 차례로 그 패킷이 속한 컴퓨터의 바로 인근이거나 해당 도메인에 있는 게이트웨이가 그것을 받아볼 때까지 수신지 주소를 읽기를 반복하면서 게이트웨이들은 패킷의 전달을 계속해 나간다. 해당 도메인의 게이트웨이는 그 패킷을 받으면, 패킷에 적힌 주소의 컴퓨터로 직접 전달한다. 한 메시지가 여러 개의 패킷으로 나뉘어졌기 때문에, 각 패킷은 필요한 경우 서로 다른 경로를 통해 보내어질 수도 있으며, 패킷들은 원래의 보낸 순서와는 다른 순서로 도착될 수도있다. 그러나, IP는 그저 그것들을 배달만 할 뿐이며, 순서가 흐트러진 패킷들을 올바르게 재 정렬하는 것은 다른 프로
토콜인 TCP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402)가 해야할 일이다. OSI 통신 참조모델에서 IP는 세 번째 계층인 네트워크 계층에 속한다.
TC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402)는 인터넷상의 컴퓨터들 사이에서 데이 터를 메시지의 형태로 보내기 위해 IP(403)와 함께 사용되는 프로토콜이다. IP(403)가 실제로 데이터의 배달처리를 관장하는 동안, TCP(402)는 데이터 패킷을 추적관리한다 (메시지는 인터넷 내에서 효율적인 라우팅을 하기 위해 여러 개의 작은 조각으로 나뉘어지는데, 이것을 패킷이라고 부른다). 예를 들면, HTML 파일이 웹 서버로부터 사용자에게 보내질 때, 서버 내에 있는 TCP(402) 프로그램 계층은 파일을 여러 개의 패킷들로 나누고, 패킷 번호를 붙인 다음, IP 프로그램 계층으로 보낸다. 각 패킷이 동일한 수신지 주소(IP주소)를 가지고 있더라도, 패킷들은 네트웍의 서로 다른 경로를 통해 전송될 수 있다. 다른 한쪽 편(사용자 컴퓨터 내의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에 있는 TCP(402)는, 각 패킷들을 재조립하고, 사용자에게 하나의 완전한 파일로 보낼 수 있을 때까지 기다린다. OSI 통신 모델에서, TCP(402)는 제 4 계층인 트랜스포트 계층 에 속한다.
UDP(User Datagram Protocol) (402)는 IP를 사용하는 네트웍 내에서 컴퓨터들 간에 메시지들이 교환될 때 제한된서비스만을 제공하는 통신 프로토콜이다. UDP(402)는 TCP(402)의 대안이며, IP와 함께 쓰일 때에는 UDP/IP라고 표현하기도한다. TCP(402)와 마찬가지로 UDP(402)도 한 컴퓨터에서 다른 컴퓨터로 데이터그램이라고 불리는 실제 데이터 단위를 받기 위해 IP를 사용한다. 그러나 UDP(402)는 TCP(402)와는 달리, 메시지를 패킷(데이터그램)으로 나누고, 반대편에서 재조립하는 등의 서비스는 제공하지 않으며, 특히 도착하는 데이터 패킷들의 순서를 제공하지 않는다. 이 말은 UDP를 사용하는 응용프로그램은, 전체 메시지가 올바른 순서로 도착했 는지에 대해 확인할 수 있어야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교환해야할
데이터가 매우 적은(그러므로 재조립해야할 메시지도 매우 적은) 네트웍 응용 프로그램들은 처리 시간 단축을 위해 TCP(402) 보다 UDP(402)를 더 좋아할 수 있다. OSI 통신 모델에서, UDP(402)는 TCP(402)와 마찬가지로 제 4 계층인 트랜스포트 계층에속한다.
Appilcation(404)는 TCP & UDP (402)를 사용하는 부가적은 어플리케이션으로 서버상의 MP3다운로드 서비스 프로그램(418)과 연동해서 실행되는 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을 칭할 수 있다.
MP3 Player(422)상의 Baseband(409)는 Access Point(423)의 Baseband(416)과 매칭이 되며, LM(408),L2CAP(407),SDP(406),RFCOMM(405),PPP(404)도 각각 Access Point(423)의 각 프로토콜 스택에 대응하여 동작하게 된다. MP3 Player(422)의 IP (403)의 경우는 Access Point(423)의 PPP Networking(410) 계층에 매핑이 되는데, Access Point(423)의 PPP Networking (410) 계층은 NAT(Network address Translation)을 통해서 서버의 IP와 통신이 될 수 있는 아주 중요한 역할을 한다. MP3 Player(422)상의 TCP & UDP (402)와 Application(401)은 각각 MP3 Server(424)의 TCP & UDP (419)와 Application(418)과 연결되어 동작되게 되며, MP3 Server(424)와 Access Point(423)의 서로의 LAN(417)과 LAN(421)을 통해서 이미 네트워크를 연결을 가지고 있는 상태에서 MP3 Server(424)의 IP(420) 계층과 연결되 어 MP3 Player(422)와의 연결을 이루어지게 구성이 된다.
블루투스 규격상의 LAN Access Point 프로파일은 블루투스 장치가 LAN 액세스 포인트와의 블루투스 링크를 통해 고정망에 접속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LAN Access 프로파일은 IP스택을 블루투스 스택에 링크시키기 위해 RFCOMM(405)위에 PPP(404)를 사용하는 방법을 규정한다.
더 세부적으로 구현을 알아 보자면, Access Point(423)은 NAT(Network Adderss Translation) 을 통해서 AP에는 고정IP를 사용하게 되고, MP3 Player(422)는 내부 사설 IP를 등록하여 외부 망과 접속이 가능하도록 구현이 될 수 있다. NAT는 RFC1631에 규정되어 있으며, 사설망에서 주소 재사용 개념에 근간한 것으로서, 타 네트웍상에서 호스트들과 통신을 위해 요구되는 고유한 호스트로의 LEAP DOMAIN의 재사용할 수 있는 IP주소를 매핑함으로서 작동한다. NAT가 주소변환 방법으로는 동적 주소 할당(Dynamic Address Allocation)과 정적 주소 할당 ( Static Address Allocation)을 제공하는데, 본 발명의 예에서 제시하는 시스템에서는 MP3 Player가 고정의 주소를 사용하지 못하므로, Access Point(423)으로부터 IP주소를 할당 받아서 사용하는 동적 주소할당 방식을 사용하게 된다.
도5는 일반 매장(507)에서의 일반적인 DSL(Digital Subscriber Line)을 통해서 사용되고 있는 형태를 설명하고 있는 것이다. 이때에 일반적인 사용자는 PC(503)는 Modem(504)을 통해서 Internet(505)에 연결되게 되는데, 이때에 Music Server(506)에 접속하여, PC(503)에 MP3파일을 전송받게 된다. 전송받은 MP3파일을 다시 MP3 Player(501)에 다운로드 하기 위해서는 USB(502)등을 통해서 PC(503)과 연결이 되어 있어야 한다.
도 6은 도 5의 기존 일반매장(507)에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을 구축하는 한 예를 도면을 통해서 설명한 것으로 블루투스 기술을 이용한 NAP(Network Access Point)(603) 를 설치하되, NAP(603)에 네트워크 스위치 기능을 부여함으로서, 기본의 PC(604)를 그대로 이용할 수 있게 구성할 수도 있게 하며, 더불어 고정 IP를 부여함에 따라서 추가 IP 부여가 어려울 경우 별도의 내부 IP를 PC(604) 부여함으로서 시스템의 효율성을 극대화 할 수 있게 된다.
시스템 제공자의 경우에는 기본 일반 매장(507)에 NAP(603)만을 추가함으로써 음악 다운로드 서비스가 가능할 수 있는 Music Zone(608)을 구축할 수 있으며, 블루투스가 탑재되어 있는 MP3 Player(601)을 가진 사용자의 경우는 Music Zone(608)안에만 있게 되면, 쉽게 음악을 다운로드 받을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받게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좀 더 시스템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블투투스가 탑재되어 있는 MP3 Player(601)가 NAP(603)에 접속하기 위해서는 PIN code를 요청하여 그에 대해서 NAP(603)로 부여를 받아야 하게 되는데, 이 PIN Code를 사전에 정하여 본 발명의 MP3 단말기(601)를 사용하는 사용자들은 아무런 제약 없이 NAP(603)에 접속하여 MP3 다운로드 서비스를 받을 수 있게 하며, 기타 인증된 PIN Code를 부여 받지 않은 블루투스가 탑재되어 있는 단말기들(609)이 NAP(603)에 접속할 경우에는 접속이 되지 않게하여(610), 불필요한 과부하를 막도록 하여, 시스템의 효율성을 높이도록 한다.
도 7은 블루투스 동글을 이용하여 Muzic Zone(708)을 구성하는 한 형태를 도면으로 설명한 것이다.
도7은 일반 매장혹은 가정에서 블루투스 동글(Buletooth Dongle)을 도입하였을때의 형태를 도면으로 설명하고 있는 것으로, 도 5와 같은 프로토콜 스택이 PC(703)의 Application 형태로 제공이 되게 되며, 사용자는 쉽게 Music Zone(708)의 환경을 구성하게 된다, 일반 사업적인 매장에 여러 사람에게 제공하는 형식도 가능하나, 가정집에서 본인이 USB케이블등을 이용하지 않고, 무선으로 MP3 다운로드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게 된다.
이상의 도면을 통해 설명한 것처럼 본 발명은 블루투스 및 WiFi 또는 무선랜(Wireless LAN), UWB(Ultra Wideband) 등을 적용하여 동일한 시스템과 서비스, 사업에 적용할 수 있으며, 파일도 MP3 파일 이외에 가사와 동영상과 사진의 전송에 적용되고, VoIP(Voice over IP)를 이용한 음성통화가 가능한 것에까지 확대적 용 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블루투스 엠피쓰리 플레이어와 블루투스 내장 네트워크 엑세스 포인트 그리고 이 둘을 이용한 데이터 무선 전송시스템은 그동안 컴퓨터를 통해 음악파일을 검색하고 다운로드하고, 다시 데이터 케이블을 통해 엠피쓰리 플레이어에 전송하는 복잡한 과정이 생략되며, 또한 고가의 사용요금을 지불해야 하는 CDMA(code devision multiple access) 등 휴대폰에서의 무선 전송 방식이 아닌 소비자가 무선사용료를 지불하지 않아도 된다는 장점이 있다.
더불어 블루투스 내장 네트워크 엑세스 포인트에 네트워크 스위치 기능을 제공하여 새로운 시스템 설치에 따른 불편이 없는 것이 본 발명의 추가적인 장점이라 볼 수 있다.
또한 온라인 음악파일 제공 사업자는 사업자가 운영하는 온라인 사이트(site)에 블루투스 엠피쓰리 플레이어가 배타적이고 자동으로 접속되게 함으로써 매출을 확대할 수 있게 된다.

Claims (5)

  1. 블루투스 모듈이나 칩형식으로 블루투스 기능을 가지고, 자체 TCP/IP 스택이 구현된 블루투스 엠피쓰리 플레이어
  2. 네트워크 스위치 기능을 포함한 블루투스 네트워크 엑세스 포인트
  3. PC와 연결시 자동으로 어플리케이션이 설치 되며, 단말기의 NAP 기능을 제공하는 블루투스 동글(어플리케이션 포함)
  4. 분배기 기능을 갖고 특정 IP접속 기능이 있는 블루투스 네트워크 엑세스 포인트
  5. 블루투스 모듈이나 칩을 내장한 엠피쓰리 플레이어와 블루투스 모듈이나 칩이 내장되고 인터넷에 연결되어 음악 파일 서버 IP에 접속되는 엑세스 포인트를 이용하여 엑세스 포인트의 설치공간에서 음악 파일을 블루투스 단말기로 판매하는 사업모델
KR1020060081865A 2006-08-28 2006-08-28 불루투스 엠피쓰리플레이어와 블루투스 네트워크엑세스포인트 및 블루투스 동글을 이용한 음악다운로드방법 및 사업방법 KR2006009841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1865A KR20060098419A (ko) 2006-08-28 2006-08-28 불루투스 엠피쓰리플레이어와 블루투스 네트워크엑세스포인트 및 블루투스 동글을 이용한 음악다운로드방법 및 사업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1865A KR20060098419A (ko) 2006-08-28 2006-08-28 불루투스 엠피쓰리플레이어와 블루투스 네트워크엑세스포인트 및 블루투스 동글을 이용한 음악다운로드방법 및 사업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8419A true KR20060098419A (ko) 2006-09-18

Family

ID=376298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81865A KR20060098419A (ko) 2006-08-28 2006-08-28 불루투스 엠피쓰리플레이어와 블루투스 네트워크엑세스포인트 및 블루투스 동글을 이용한 음악다운로드방법 및 사업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98419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7922B1 (ko) * 2007-06-22 2009-09-16 주식회사 케이티 블루투스 동글을 이용한 무선 인터넷 서비스 제공 방법 및시스템
US9092812B2 (en) 2011-02-01 2015-07-28 Kt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distributing business application and contents for mobile equipment using application store and wireless AP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7922B1 (ko) * 2007-06-22 2009-09-16 주식회사 케이티 블루투스 동글을 이용한 무선 인터넷 서비스 제공 방법 및시스템
US9092812B2 (en) 2011-02-01 2015-07-28 Kt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distributing business application and contents for mobile equipment using application store and wireless AP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16334B2 (en) Device, system,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for fast recovery of IP address change
US8139515B2 (en) Device and method of managing data communications of a device in a network via a split tunnel mode connection
JP5711292B2 (ja) スケーラブル無線lanゲートウェイ
JP3639200B2 (ja) 通信システム、移動端末装置、ゲートウェイ装置、アドレス割り当て方法及び検索サービス方法
US7295532B2 (en) System, device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for providing networking services on a mobile device
US7277434B2 (en) Method for SIP-mobility and mobile-IP coexistence
JP4037646B2 (ja) 屋内/屋外に移動する利用者のための最適のインターネット網接続及びローミング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
US20040025047A1 (en) Wireless network
US8265050B2 (en) System and method for sharing a payload among mobile devices in a wireless network
CN104080084B (zh) 运行并行pana会话的方法以及系统
JP2008289162A (ja) リンク方式間の移行方法及びモバイル・コンピューティング装置
WO2001076154A2 (en) Ad-hoc network and gateway
US20040259585A1 (en) Wireless device having dual bus archeticure for interfacing with cellular signals and short-range radio signals
JP4843183B2 (ja) データネットワークへのデータ端末装置のコネクションのための方法
WO2005099284A2 (en) A device, system,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obtaining a network attribute, such as a dns address, for a short distance wireless network
CA2458917C (en) Providing end-user communication services over peer-to-peer internet protocol connections between service providers
JP2014146950A (ja) ネットワーク通信システム
CN101069404B (zh) 开启网络链路的方法、装置、系统和网络连通性设备
KR20060098419A (ko) 불루투스 엠피쓰리플레이어와 블루투스 네트워크엑세스포인트 및 블루투스 동글을 이용한 음악다운로드방법 및 사업방법
US20040081129A1 (en) Device, system,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for selectively attaching to a cellular data service
Rouhana et al. BWIG: Bluetooth web Internet gateway
US20070091875A1 (en) Method and System For Device Mobility Using Application Label Switching In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JP5152514B2 (ja) 通信制御装置及び通信システム
KR20060098421A (ko) 불루투스 엠피쓰리플레이어 단말기 및 접속방법
KR20060107439A (ko) 엠피쓰리 다운로드 서비스를 위한 블루투스 엑세스 포인트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