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97387A - 이동통신 단말기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97387A
KR20060097387A KR1020050019685A KR20050019685A KR20060097387A KR 20060097387 A KR20060097387 A KR 20060097387A KR 1020050019685 A KR1020050019685 A KR 1020050019685A KR 20050019685 A KR20050019685 A KR 20050019685A KR 20060097387 A KR20060097387 A KR 200600973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communication
unit
communication terminal
signal
wireless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196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중선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196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97387A/ko
Priority to CNA2006100009798A priority patent/CN1832496A/zh
Publication of KR200600973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9738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412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using two-way short-range wireless interfa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 H04M1/6033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for providing handsfree use or a loudspeaker mode in telephone s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42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for playing music fi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0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Bluetooth interfa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ultimedia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부 음향을 입력받기 위한 음성 입력부와, 상기 음성 입력부로부터 외부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외부 스피커로 전송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로부터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음향 신호를 외부 스피커로 전송하는 무선 통신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상기 단말기의 마이크와 무선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각종 행사 및 스포츠 응원에 사용되는 멘트를 외부 스피커로 출력하므로, 단말기를 확성기처럼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동통신 단말기, 마이크, 무선통신 모듈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Mobile Terminal}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를 나타낸 일 실시예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의 동작 과정을 나타낸 일 실시예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스포츠 응원 및 행사 등에 사용되는 멘트를 상기 단말기 마이크를 통해 입력받아, 무선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외부 스피커로 출력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이동통신 단말기 마이크 기능은 타 단말기와 통화시 음성 입력이나, 음성 메모를 입력할 경우에만 사용되었다.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구비된 마이크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음향 신호를 입력받고, 상기 입력된 음향 신호를 무선 통신 모듈을 통해 외부 스피커로 출력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외부 음향 을 입력받기 위한 음성 입력부와, 상기 음성 입력부로부터 외부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외부 스피커로 전송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로부터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음향 신호를 외부 스피커로 전송하는 무선 통신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술한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를 나타낸 일 실시예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제어부(110)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반적인 제어 동작을 수행한다.
음향 입력부(120)는, 사용자로부터 각종 행사나 응원 멘트등의 음성을 포함한 음향을 입력받는다. 바람직하게, 음향 입력부(120)는 상기 단말기에 구비된 마이크이다.
메모리(130)는, 상기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소정의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있으며, 제어부(210)의 제어신호에 의해 음향 입력부(120)를 통해 입력된 음향 신호를 엠피쓰리(MPEG Layer 3) 파일 형태로 저장한다.
키입력부(140)는, 다수의 숫자키 및 기능 키를 구비하고 있으며, 사용자가 특정 키를 누를때, 해당되는 키 신호를 발생하여 제어부(110)로 출력한다.
표시부(150)는, 제어부(110)에 의해 제어되며, 키입력부(140)에서 발생되는 키 신호 및 제어부(110)의 각종 신호를 입력받아 표시한다.
무선통신부(160)는 블루투스(Bluetooth) 또는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을 포함하며, 제어부(110)의 제어신호에 의해, 음향 입력부(120)를 통해 입력된 음향 신호를 외부 스피커(170)로 전송하거나, 메모리(130)에 저장된 음향을 외부 스피커(170)로 전송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의 동작 과정을 나타낸 일 실시예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제어부(110)는 사용자 요청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 모드를 각종 행사나 응원 멘트를 녹음하여 외부 스피커로 출력하기 위한 음향 전송 모드로 전환한다(S201).
제어부(11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각종 행사나 응원 멘트등의 음성을 포함한 음향 신호를 상기 음향 입력부(120)를 통해 입력받는다(S202).
제어부(110)는 사용자로부터 상기 입력된 음향 신호를 메모리에 저장하기 위한 키 신호 입력이 있으면(S203), 상기 음향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 후(S204), 메모리(130)에 엠피쓰리(MPEG Layer 3) 파일 형태로 저장한다(S205).
제어부(110)는 사용자로부터 저장 키 신호 입력이 없으면, 상기 음향 신호를 무선 통신부(160)를 통해 외부 스피커로 전송한다.
바람직하게, 무선 통신부는(160)는 블루투스(Bluetooth) 또는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을 포함한다.
또한, 제어부(110)는 사용자로부터 메모리(130)에 저장된 음향 파일을 외부 스피커로 전송하기 위한 키 신호 입력이 있으면(S206), 전송할 음향 파일을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한 후(S207), 상기 아날로그 신호를 외부 스피커로 전송한다(S208).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마이크와 무선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각종 행사 및 스포츠 응원에 사용되는 멘트를 외부 스피커로 출력하므로, 단말기를 확성기처럼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7)

  1. 외부 음향을 입력받기 위한 음성 입력부;
    상기 음성 입력수단으로부터 외부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외부 스피커로 전송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로부터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음향 신호를 외부 스피커로 전송하는 무선 통신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이동통신 단말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된 음향 신호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이동통신 단말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는, 상기 음향 신호를 엠피쓰리(MPEG Layer 3; MP3) 파일 형태로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된 음향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입력부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마이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부는, 블루투스(Bluetooth) 통신수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부는, 적외선 통신수단(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KR1020050019685A 2005-03-09 2005-03-09 이동통신 단말기 KR20060097387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9685A KR20060097387A (ko) 2005-03-09 2005-03-09 이동통신 단말기
CNA2006100009798A CN1832496A (zh) 2005-03-09 2006-01-13 移动通信终端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9685A KR20060097387A (ko) 2005-03-09 2005-03-09 이동통신 단말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7387A true KR20060097387A (ko) 2006-09-14

Family

ID=369944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19685A KR20060097387A (ko) 2005-03-09 2005-03-09 이동통신 단말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60097387A (ko)
CN (1) CN1832496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71502A1 (zh) * 2017-10-12 2019-04-18 深圳传音制造有限公司 一种用于智能设备的麦克风的扩音方法及扩音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832496A (zh) 2006-09-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25731B2 (en) Interaction of sound, silent and mute modes in an electronic device
US20090180639A1 (en) Media player system, media player, earphone, and method thereof
US8532715B2 (en) Method for generating audible location alarm from ear level device
KR101555430B1 (ko) 스마트폰 알람 기능을 통한 가전기기의 원격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60097387A (ko) 이동통신 단말기
JP2015122709A (ja) 音楽再生装置、音楽再生システム、及び音楽再生プログラム
JP2017112567A (ja) 情報提供装置および情報提供システム
JP4777163B2 (ja) スイッチ回路およびヘッドセット装置
KR100705966B1 (ko) 디지털 음성 신호 파일의 재생 및 저장 기능을 내재한에코마이크
KR100686177B1 (ko) 음향 출력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방법
KR20110057968A (ko) 휴대단말기의 오디오 재생 장치
KR100606747B1 (ko)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대화 방법
KR100614748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키톤 녹음 및 재생방법
KR101061820B1 (ko) 휴대용 스피커 시스템으로 활용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KR100678114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음악 파일 재생 방법
DE60144379D1 (de) Tragbare kommunikationseinrichtung mit einem ausschwenkbaren lautsprecher
KR20070010332A (ko) 음성 출력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음성 출력 방법
KR200200208Y1 (ko) 멀티출력기능을 갖는 메가폰
KR20020069483A (ko) 음성메모 기록, 재생 및 음성메시지 자동전달 기능을 가진음성시계
KR200234020Y1 (ko) 무선 송, 수신 기능을 구비한 보이스 레코더
KR100595246B1 (ko) 배경음향 음성 메세지를 제공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배경음향 음성 메세지 제공 방법
KR200234089Y1 (ko) 인터넷 및 통신시스템을 이용한 오디오데이터의 입출력시스템
KR200197262Y1 (ko) 다기능이 구비된 하나로 키보드
KR100697090B1 (ko) 알람 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KR200241018Y1 (ko) 비상벨 기능을 가진 휴대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