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97259A - 적응 등화기를 이용하는 휴대 단말의 음질 보정 방법 - Google Patents

적응 등화기를 이용하는 휴대 단말의 음질 보정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97259A
KR20060097259A KR1020050018348A KR20050018348A KR20060097259A KR 20060097259 A KR20060097259 A KR 20060097259A KR 1020050018348 A KR1020050018348 A KR 1020050018348A KR 20050018348 A KR20050018348 A KR 20050018348A KR 20060097259 A KR20060097259 A KR 200600972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quality
portable terminal
filter
flatness
frequenc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183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상기
박정민
김재현
김용석
이동원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183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97259A/ko
Publication of KR200600972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9725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04Wing frames not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06B3/263Frames with special provision for insulation
    • E06B3/267Frames with special provision for insulation with insulating elements formed in situ
    • E06B3/2675Frames with special provision for insulation with insulating elements formed in situ combined with prefabricated insulat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Circuit For Audible Band Transduc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적응 등화기를 이용하는 휴대 단말의 음질 보정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모델별 휴대 단말에 고유한 적응 등화기를 적용하여 열악한 음질 출력 대역에 의해 왜곡된 음질 신호를 보정하여, 종래의 링톤 이외의 MP3나 AAC 음질 신호 등의 단말 음질 컨텐츠에 대해서 음질 개선이 가능하며, 음성통화의 경우에도 음질을 개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AEQ를 처리하기 전에 대역 통과 필터링을 실시하여 불필요한 신호들을 제거함으로써 단말에서의 파워를 절약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음질 보정, AEQ, 필터

Description

적응 등화기를 이용하는 휴대 단말의 음질 보정 방법{METHOD FOR ADJUSTING AUDIO QUALITY ON MOBILE DEVICE USING ADAPTIVE EQUALIZER}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로부터 송출되는 음질 측정 장치 및 시험환경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일반적인 휴대 단말로부터 송출되는 음질 왜곡을 나타낸 그래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왜곡된 음질의 평탄도 튜닝을 수행하는 일례를 나타낸 그래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평탄도 튜닝 절차를 도시한 흐름도
도 5a 및 5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에 고유한 AEQ 설계 적용 절차를 도시한 흐름도
본 발명은 적응 등화기를 이용하는 휴대 단말의 음질 보정 방법으로서, 특히 모델별 휴대 단말에 고유한 적응 등화기를 적용하여 열악한 음질 출력 대역에 의해 왜곡된 음질 신호를 보정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휴대 단말은 이동성을 기반으로 하는 음성 데이터 통신 기구라는 기본 틀은 유지하며 최첨단 멀티미디어 기능, 휴대인터넷 등과의 융화를 통해 정보통신의 중심 기기의 대명사가 되고 있다. 3세대 휴대 단말의 등장은 동영상 시청, 사진 촬영 및 전송 등을 가능케 하여 손안의 멀티미디어 시대를 열게 되었다. 근래에는 소비자들의 다기능 욕구를 만족시키기 위해 휴대 단말 제조업체들이 카메라, 캠코더, MP3(MPEG Audio Layer-3), 위성항법장치(GPS) 등 다양한 기능을 결합한 디지털 컨버전스 상품들을 속속 내놓고 있다. 최근에는 텔레비전과 리모콘, 게임기를 장착한데 이어 라디오, 뱅킹, 위성 디지털 미디어 방송(DMB) 등 휴대 단말의 확장영역은 계속해서 넓어지고 있다. 또한 이동통신 업체들이 내놓는 컨텐츠 역시 미세음을 통해 사용자 두뇌의 잠재의식을 활성화시켜 집중력을 높여 학습효율을 높이는가 하면, 기능성 음악과 저주파를 동시에 들려줌으로써 특정 호르몬의 분비를 촉진 또는 감소시켜 식욕을 억제, 다이어트 효과를 내는 다이어트 서비스까지 나와 있다.
이렇게 손안의 멀티미디어 시대를 가능케 하는 휴대 단말의 위상이 높아지고 있는데 반해 그에 걸맞은 음질품질을 기대하기는 현재까지는 매우 어려운 실정이다. 이것은 모든 부품들이 소형화되어 장착되어야 하는 휴대 단말의 기구적 특성과 연관이 있으며, 그 원인으로 작은 스피커, 낮은 출력의 앰프, 공간확보 등과 같은 기구적 열악함 등을 들 수 있겠다.
또한, 현재까지의 멀티미디어 음질 기능들은 링톤 벨소리, MP3 플레이어, VOD 서비스 등으로 요약할 수 있다. 지금까지의 음질 개선 적용 범위는 다운로드 받은 음원이나 VOD 서비스 등을 제외하고 단지 휴대 단말에 내장된 링톤에 관한 것뿐이었다. 즉 음질을 개선하려는 노력은 주로 링톤 재생 기능을 담당하는 YAMAHA, NEC 등의 기업이 생산하는 음원칩에 적용되어 왔다. 종래에 음질을 개선하기 위한 기술은 음원칩에서 출력음질을 보상해주거나, 기구의 왜곡특성을 보정하기 위하여 또다시 왜곡된 스피커를 사용하거나, 기구적 특성을 고려하여 링톤 음원을 제작하는 정도의 수준에 머물러 있어 현재와 같은 멀티미디어 기기로서의 휴대 단말의 음질은 원음에 충실한 음질을 듣고 싶어 하는 사용자의 요구를 만족시키지 못하고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음원칩에서의 출력음질 보상은 기구적인 특성이 고려되지 않은 상태에서 음압레벨(Sound Pressure Level, SPL)만 높이려다 보니 노이즈가 증폭이 된 듯한 느낌을 받게 되며, 기구 특성을 보정하기 위해 불가피하게 사용되는 주파수 응답 특성이 평탄하지 않은 스피커는 음원의 왜곡현상을 더욱 초래하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또한, 벨소리 컨텐츠 등의 음원을 기구에 맞게 제작하게 되다 보니 다양한 음원의 도출이 어려웠고, 작곡가들의 번거로움 또한 가중되어 왔다. 이처럼 단말 고유의 주파수 특성이 왜곡된 상태에서는 음질 개선을 위해 단말 각각에 대한 튜닝 작업이 불가피하며, 이에 따르는 시간과 노력은 양산되는 단말의 수와 상관되어 기하급수적으로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음원칩은 링톤 재생 시만을 적용 목적으로 하고 있어서 단말에 내장된 음원 이외에 다운로드 받는 음악이나 방송 컨텐츠 등의 음질에 대하여는 보장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러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보완하고 다양한 음악 컨텐츠에 대하여 동일한 음질 개선하기 위해 적응 등화기의 적용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기구적인 특성을 고려하여 등화를 실시함으로 다양한 음원에 대하여 평탄한 주파수 응답 특성을 보장하고, 각각의 단말마다 이루어지던 튜닝 작업을 단말 모델별로 극소화시킬 수 있는 적응 등화기의 적용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기존의 휴대 단말에서 음질을 개선하기 위하여 소프트웨적으로 기구적인 손실을 보상해 주는 적응 등화기의 적용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내장된 링톤 이외의 음질 컨텐츠에 대해서도 휴대 단말의 음질 출력 특성을 고려하여 해당 단말에 보다 적합한 음질 등화를 수행함으로써 사용자에게 개선된 음질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창안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적응 등화기 이용하는 휴대 단말의 음질 보정 방법에 있어서, 사인 스위프 신호를 상기 휴대 단말의 스피커에 인가하는 제1과정과 상기 휴대 단말의 스피커를 통해 방출된 음질을 수음하여 주파수 특성을 측정하고 분석하는 제2과정과 소정의 필터를 통해 대역 통과 필터링을 수행하는 제3과정과 평탄도의 절대값이 음압인지인계점과 등화강도상수를 곱한 값보다 작거나 같은지를 판단하는 제4과정과 상기 필터를 상기 휴 대 단말에 적용하는 제5과정을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상에 표시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번호로 나타내었으며,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로부터 송출되는 음질 측정 장치 및 시험환경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휴대 단말의 음질 특성을 측정하기 위한 장치 구성은오디오 분석기(100), 증폭기(110), 마이크(130), 무향실(140)을 포함한다. 상기 오디오 분석기(100)는 전압 신호를 발생시켜 측정하고자하는 휴대 단말의 스피커(120)를 통해 발생되는 음질을 수집하여 음질 특성을 분석한다. 상기 증폭기(110)는 상기 오디오 분석기(100)로부터 발생되는 전압신호를 증폭하여 상기 휴대 단말의 스피커(120)로 전송한다. 상기 마이크(130)는 상기 스피커로부터 발생되는 음질을 수음한다. 상기 무향실(140)은 상기 스피커(120)와 마이크(130)를 내부에 두고 음질 특성 시험을 할 수 있도록 타 방해환경을 차단한다.
또한, 상기 장치 구성을 이용하여 휴대 단말의 음질 특성을 측정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휴대 단말의 음질 특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무향실(140)에서 오디오 분석기(100)를 이용하여 휴대 단말에 로그 사인 스위프(log sine sweep) 또는 선형 사인 스위프(linear sine sweep) 신호를 휴대 단말의 스피커에 인가하여 미리 결정된 거리를 두고 수음한다.
이 때 인가되는 로그 사인 스위프 신호는 휴대 단말의 저항을 고려하여 최대 발생할 수 있는 출력의 신호를 동일하게 인가하는 것으로 간주한다. 사인 스위프를 이용하는 방법, 즉 앞서 언급한 인가범위, 신호 발생 시간, 스위프 방법 등은 시험자가 시험환경에 맞게 설정한다. 또한, 휴대 단말의 스피커(120)와 수음하는 마이크(130)는 소정의 거리를 두고 일직선상에 놓이게 한다. 측정 시 스피커가 휴대 단말에 스테레오로 혹은 그 이상의 가용력을 가진 스피커가 장착된 경우에 채널별 스피커 각각에 대하여 주파수 응답을 측정한다.
도 2는 일반적인 휴대 단말로부터 송출되는 음질 왜곡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의 음질 측정 장치 및 상기한 측정 방법에 따라 일반적인 휴대 단말의 보코더나 링톤 디코더, 애플리케이션 칩 등에서 나오는 음질 신호는 원칙적으로 선형성을 띄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해당 휴대 단말에서 재생될 때는 도 2의 예와 같은 음질 왜곡이 발생한다. 즉, 그래프를 이용하여 설명하면, Y축(dB)은 X축(Hz)에 대하여 상수함수를 형성하는 형태이어야 하나 실제 기구를 통해 출력되는 신호는 도 2와 같이 무정형의 왜곡된 그래프로 표현된다.
이와 같은 음질 왜곡에 대해서 음질 신호의 종류에 따라 음성통화 적응 등화기(Adaptive Equalizer, 이하 'AEQ'라 함)를 적용한 음질 보정이나 음질 적응 등화기를 적용한 음질 보정을 거쳐 기구별 주파수 응답 특성을 개선하는 등화(Equalization)를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은 휴대 단말의 주파수 응답 특성의 평탄도 튜닝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휴대 단말의 왜곡된 주파수 응답 특성을 보정하기 위한 범위(Range, 500Hz 이상))와 평균(Average)을 중심으로 한 보정 대상의 그래프 영역 (1) 및 (2)를 나타낸다. 상기 그래프 영역 (1) 및 (2)를 보정하는 필터를 휴대 단말에 적용하여 일정한 주파수 응답 특성을 보이도록 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평탄도 정의를 활용한다. 즉, 휴대 단말의 왜곡된 주파수 응답 특성을 보정해주는 필터를 구현하여 얻고자 하는 것은 주파수 응답 특성의 평탄도이다.
여기서, 휴대 단말에 대한 주파수 응답 특성의 평탄도는 <수학식1>과 같이 정의된다.
|평탄도| = Max|x-Avg(x)| ≤ (음압인지인계점α)
상기 <수학식1>에서, x는 휴대 단말에 입력된 선형 주파수에 대한 응답 주파수이고, 기구에서 재생 가능한 저역 차단 주파수보다 크거나 같고, 기구에서 재생 가능한 고역 차단 주파수보다 작거나 같다. α는 등화강도상수이다.
즉, 주파수 영역에서 휴대 단말의 응답특성이 평균과 (음압인지인계점×α)만큼 차이나는 점까지는 평탄하다고 보고, 그 이상의 경우에 AEQ를 처리하여 평탄도를 얻고자 하는 것이다. 여기에서 유의할 점은 평탄도를 얻기 위하여 평균을 구하는 방법과, 평탄도의 처리 방향이다.
상기 평균을 구할 때나 평탄도를 처리할 때 기준이 되는 중심주파수는 1/3 옥타브 밴드를 사용하도록 한다. 그 이유는 인간의 중이측 기저막에서의 고주파수 대역을 분해하는 한계대역폭이 대략 23%에 해당하기 때문이다. 또한, 많은 국제 규격에서 주파수분석을 수행할 때 1/3 옥타브 분석을 수행하도록 규정하고 있기도 하다. 이는 인간의 청감 특성을 충분히 고려한 것으로 생각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도 또한 1/3 옥타브 해석기법을 사용한다. 즉 기구에서 재생가능한 주파수 대역 범위에서 1/3 옥타브 밴드의 중심주파수를 중심으로 AEQ를 처리한다.
상기 평균을 구할 때 그래프 상에 무한대의 점을 잡을 수 없으므로, 평균을 구할 점의 개수를 기구의 주파수 재생 범위 사이에서 약 100개 내외로 정하고, 1/3 옥타브 밴드 중심주파수와 각 1/3 옥타브 밴드 사이에서 등간격으로 주파수를 추출하여 평균을 구한다.
또한, AEQ를 통한 평탄도의 처리 방향은 다음의 두 가지 사항을 고려하여야 한다. 첫째는 도 3 의 (2)와 같이 평균으로부터 "(음압인지인계점×α)" 이하로 떨어지는 딥(dip)이 발생할 경우, 상기 <수학식1>의 평탄도의 정의에서 벗어나더라도 딥을 기구에서 보정 가능한 음압레벨 dB 문턱값 이상 올리지 않는다. 둘째, 도 3의 (1)과 같이 피크(peak)가 "(음압인지인계점×α)" 이상일 경우 무조건 평균까 지 내리지 않고, 평균보다 기구에서 보정가능한 음압레벨 dB 문턱값 레벨까지만 깎아준다. 이상적인 평탄도를 맞추지 않고 위와 같이 문턱값을 설정하여 조절하는 이유는 기구의 비선형 현상과 스피커의 한계 때문이다. 이상적인 평탄도를 얻기 위하여 매우 높은 주파수 및 매우 낮은 주파수를 설정하여 보정할 경우, 스트레스비 및 스피커에서 물리적으로 재생 가능한 범위를 넘어설 수 있어 원하는 값을 얻지 못하게 된다. 또한 기구의 비선형성 영향 때문에 예를 들어 10dB를 보상해주는 필터를 설계하여 기구에 적용한 후 측정해보면 10dB가 정확히 보상되지 않는 것을 알 수 있다. 특별히 스피커의 공진 주파수 이하의 저주파 대역에서 무리하게 보정을 해 줄 경우, 그만한 보상도 되지 않을 뿐더러 스피커에 과도한 영향을 주게 되는 결과를 초래하는 것이다. 따라서 필터를 설계할 때, 위에서 언급한 것과 같이 기구에서 보정 가능한 문턱값을 설정하여 무조건 이상적인 평탄도를 얻기보다는 임계값 범위 안에서 필터를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평탄도를 맞추기 위하여 주파수 영역에서 이득을 조절할 때는, 기구에서 재생가능한 주파수 범위에서 1/3 옥타브 밴드의 중심주파수를 기준으로 하여 이득을 조절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평탄도 튜닝 절차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시험자는 400단계에서 음질 측정 장치로부터 발생된 사이 스위프 신호를 시험 대상 휴대 단말에 인가한다. 상기 휴대 단말은 특정 모델의 대표하는 표본인 것이 바람하다. 시험자는 410단계에서 상기 휴대 단말로부터 측정된 휴대 단말 주파수 특성을 분석한다. 시험자는 420단계에서 소정의 범위내의 저역 또는 대역 통과 필터링을 실시한다. 시험자는 430단계에서 평탄도의 절대값이 음압인지인계점과 등화강도상수의 곱과 작거나 같은지를 판별한다. 시험자는 440단계에서 소프트웨어적으로 구현된 AEQ를 위한 필터를 휴대 단말에 적용한다.
여기서, 상기 대역 통과 필터링을 수행하는 420단계에 대해서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휴대 단말에 장착되는 스피커 단품의 재생대역은 일반 하이파이(Hi-Fi) 음질 스피커의 재생대역보다 훨씬 좁고 공진주파수도 매우 높다고 할 수 있다. 현재 휴대 단말과 같은 작은 기구에서도 공진 주파수가 700Hz 이하로 낮아지고 있는 추세이기는 하나 아직까지 하이파이와는 많은 차이가 있다. 사용자가 듣게 되는 휴대 단말을 통한 음질 출력은 스피커에서 출력되는 신호가 기구적인 영향을 받아 나오게 되는 소리이다. 스피커 단품의 특성과 기구적인 영향을 고려해 보았을 때, 일반적으로 기구에서 재생이 가능한 저역 차단 주파수 이하의 소리와 고역 차단 주파수 이상의 소리는 단말에서 충분하게 재생해주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기구에서 재생 가능한 대역 범위 밖의 소리는 사람의 귀로 들을 수 없는 소리라고 판단되어진다. 이러한 휴대 단말 기구의 재생범위는 제품에 따라 차이가 있다. 실제로 음원자체에서는 기구에서 재생이 가능한 저역 차단 주파수 이하의 성분과 고역 차단 주파수 이상의 성분이 포함이 되어있다고 하더라도 음원이 기구에서 재생이 될 때, 사람은 이를 느낄 수 없는 경우가 일반적이다.
따라서 AEQ를 위한 필터 설계를 하기 이전에 대역 통과 필터링을 처리하여 불필요한 신호들을 제거하고 스피커에 주는 무리한 신호를 없애 파워를 절약하는 장점도 얻을 수 있다. 대역 통과 필터링을 할 때의 차단주파수는 위에서 언급하였 듯이 기구에서 재생 가능한 저역 차단 주파수, 고역 차단 주파수로 정한다.
도 5a 및 5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에 고유한 AEQ 설계 적용 절차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5a를 참조하면, 시험자는 510단계에서 평탄도의 최소값이 음압인지인계점과 등화강도상수를 곱한 음의 값보다 더 작은지를 판단한다. 판단 결과 더 작은 값을 갖지 않으면, 시험자는 520단계에서 딥을 기구 보정 문턱값 이상 올리지 않고 필터를 설계하고, 530단계와 같이 단말의 고유 AEQ를 설계하여 상기 필터에 반영한다. 판단 결과 더 작은 값을 가지면, 시험자는 530단계와 같이 단말의 고유 AEQ를 설계하여 상기 필터에 반영한다. 시험자는 540단계에서 상기 필터를 적용한다.
또한, 도 5b를 참조하면, 시험자는 550단계에서 평탄도의 최소값이 음압인지인계점과 등화강도상수를 곱한 값보다 더 큰지를 판단한다. 판단 결과 더 큰 값을 갖지 않으면, 시험자는 560단계에서 피크를 평균과 기구 보정 문턱값의 합까지만 깎고 필터를 설계하고, 570단계와 같이 단말의 고유 AEQ를 설계하여 상기 필터에 반영한다. 판단 결과 더 큰 값을 가지면, 시험자는 570단계와 같이 단말의 고유 AEQ를 설계하여 상기 필터에 반영한다. 시험자는 580단계에서 상기 필터를 적용한다.
여기서 상기 필터 설계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AEQ의 설계는 휴대 단말의 음질 특성 측정 데이터를 이용한다. AEQ의 목표는 주파수 영역에서 휴대 단말의 주파수 응답 특성의 역필터를 시간적으로 컨볼루션 해주는 것이다. 그 결과 주파수 영역에서는 평탄한 응답특성을 얻을 수 있게 되며, 사용자에게 최종적 으로 들려지는 음질 신호의 왜곡 없이, 원음에 최대한 가깝게 재생될 수 있다.
필터를 설계할 때 고려해야할 사항으로 필터의 종류와 차수, 단말에 적용될 적용 될 때 예상되는 연산량과 메모리, 고정점 오류(fixed point error) 등을 들 수 있다. 단말의 자원과 계산량 대비성능을 고려하여 가장 최적의 값을 선정하는 것이 중요하며 단말의 상황을 고려하여 FIR(Finite Impulse Response) 필터를 이용하여 AEQ를 구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그 과정에서 언급한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일 뿐, 한정적인 것이 아님을 분명히 하며, 본 발명은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으로부터 균등하게 대체될 수 있는 정도의 구성요소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동작하는 본 발명에 있어서, 개시되는 발명 중 대표적인 것에 의하여 얻어지는 효과를 간단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종래의 링톤 이외의 MP3나 AAC 음질 신호 등의 단말 음질 컨텐츠에 대해서 음질 개선이 가능하며, 음성통화의 경우에도 음질을 개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왜곡 특성을 보정함으로써 단말에서 3D 음질 신호 재생시 입체감을 개선할 수 있으며, 2-채널 스피커를 통해 3D 신호를 구현할 때 불가피하게 초래되는 저주파 대역의 손실을 일정 수준으로 방지할 수 있는 효과도 있 다. 게다가, 본 발명은 AEQ를 처리하기 전에 대역 통과 필터링을 실시하여 불필요한 신호들을 제거함으로써 단말에서의 파워를 절약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Claims (6)

  1. 적응 등화기 이용하는 휴대 단말의 음질 보정 방법에 있어서,
    사인 스위프 신호를 상기 휴대 단말의 스피커에 인가하는 제1과정과,
    상기 휴대 단말의 스피커를 통해 방출된 음질을 무향실 내에서 수음하여 주파수 특성을 측정하고 분석하는 제2과정과,
    소정의 필터를 통해 대역 통과 필터링을 수행하는 제3과정과,
    평탄도의 절대값이 음압인지인계점과 등화강도상수를 곱한 값보다 작거나 같은지를 판단하는 제4과정과,
    상기 필터를 상기 휴대 단말에 적용하는 제5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링은 소정의 저역 통과 필터링 또는 고역 통과 필터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평탄도는 필터링된 주파수에서 상기 필터링된 응답주파수의 평균을 차 감한 값 중 최대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압인지인계점은 상기 휴대 단말의 주파수 재생 범위 사이에서 약 100개 내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4과정에서 평탄도가 음압인지인계점과 등화강도상수를 곱한 값의 음의 값보다 작으면, 상기 평탄도의 최소값이 음압인지인계점과 등화강도상수를 곱한 음의 값보다 더 작은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딥(dip)을 기구보정 문턱값 이상 올리지 않고 필터를 설계하는 과정과,
    상기 휴대 단말의 고유 적응 등화기를 설계하여 상기 필터에 반영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4과정에서 평탄도가 음압인지인계점과 등화강도상수를 곱한 값보다 크면, 상기 평탄도가 평탄도의 최소값이 음압인지인계점과 등화강도상수를 곱한 값 보다 더 큰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피크(peak)를 평균과 기구 보정 문턱값의 합까지만 깎고 필터를 설계하는 과정과,
    상기 휴대 단말의 고유 적응 등화기를 설계하여 상기 필터에 반영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KR1020050018348A 2005-03-04 2005-03-04 적응 등화기를 이용하는 휴대 단말의 음질 보정 방법 KR2006009725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8348A KR20060097259A (ko) 2005-03-04 2005-03-04 적응 등화기를 이용하는 휴대 단말의 음질 보정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8348A KR20060097259A (ko) 2005-03-04 2005-03-04 적응 등화기를 이용하는 휴대 단말의 음질 보정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7259A true KR20060097259A (ko) 2006-09-14

Family

ID=376290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18348A KR20060097259A (ko) 2005-03-04 2005-03-04 적응 등화기를 이용하는 휴대 단말의 음질 보정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97259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39793A1 (en) * 2017-01-25 2018-08-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apparatus and power controlling method thereof
US10741191B2 (en) 2015-11-24 2020-08-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Voice signal processing method according to state of electronic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therefor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741191B2 (en) 2015-11-24 2020-08-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Voice signal processing method according to state of electronic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therefor
WO2018139793A1 (en) * 2017-01-25 2018-08-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apparatus and power controlling method thereof
CN110036654A (zh) * 2017-01-25 2019-07-19 三星电子株式会社 电子装置及其电力控制方法
US10873306B2 (en) 2017-01-25 2020-12-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apparatus and power controlling method thereof
CN110036654B (zh) * 2017-01-25 2022-04-12 三星电子株式会社 电子装置及其电力控制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64998B1 (en) System for dynamic spectral correction of audio signals to compensate for ambient noise in the listener&#39;s environment
US10104485B2 (en) Headphone response measurement and equalization
US8913754B2 (en) System for dynamic spectral correction of audio signals to compensate for ambient noise
US687675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uning digital hearing aids
US11653141B2 (en) Active noise control headphones
US20160277855A1 (en) System and method for improved audio perception
JP4940158B2 (ja) 音補正装置
CN112954563B (zh) 信号处理方法、电子设备、装置及存储介质
JP2007088521A (ja) イヤホンの音漏れ防止装置、方法、プログラム及び携帯電話無線機
TW201814691A (zh) 音頻系統以及控制方法
US11445307B2 (en) Personal communication device as a hearing aid with real-time interactive user interface
KR20060097259A (ko) 적응 등화기를 이용하는 휴대 단말의 음질 보정 방법
CN113613121B (zh) 一种获取耳机声压级的方法、装置及耳机
WO2021114514A1 (en) Active noise control headphones
Zhang Benefits and limitations of common directional microphones in real-world sounds
Khalifa et al. Hearing aids system for impaired peoples
RU2265951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коррекции частотных искажений (автоматический эквалайзер)
TWI536254B (zh) 音訊調校裝置及其音訊調校方法
CN111479197B (zh) 一种音频播放方法、装置、系统、设备及介质
CN112673648B (zh) 处理装置、处理方法、再现方法以及存储介质
KR20080086786A (ko) 이어폰 특성에 따른 이퀄라이져 튜닝 방법 및 장치
JP2019520769A (ja) 補聴器の強度及び位相の補正
Belyi Integrated active noise control and sound quality enhancement system for hearing devices
KR20030040610A (ko) 골 전도 마이크로 입력된 음성신호의 음질 향상방법
KR20100116276A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백색 잡음 제거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