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96727A - 저장 데이터를 요청하고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저장 데이터를 요청하고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96727A
KR20060096727A KR1020050017447A KR20050017447A KR20060096727A KR 20060096727 A KR20060096727 A KR 20060096727A KR 1020050017447 A KR1020050017447 A KR 1020050017447A KR 20050017447 A KR20050017447 A KR 20050017447A KR 20060096727 A KR20060096727 A KR 200600967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request message
data request
message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174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69579B1 (ko
Inventor
장병욱
박지호
신대규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174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69579B1/ko
Priority to US11/366,670 priority patent/US20060199566A1/en
Publication of KR200600967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967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695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695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 H04L63/083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using passwo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DWORKING VENEER OR PLYWOOD
    • B27D5/00Other working of veneer or plywood specially adapted to veneer or plywood
    • B27D5/006Trimming, chamfering or bevelling edgings, e.g. lis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BSAWS FOR WOOD OR SIMILAR MATERIAL; COMPONENTS OR ACCESSORIES THEREFOR
    • B27B25/00Feeding devices for timber in saw mills or sawing machines; Feeding devices for trees
    • B27B25/02Feeding devices for timber in saw mills or sawing machines; Feeding devices for trees with feed and pressure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BSAWS FOR WOOD OR SIMILAR MATERIAL; COMPONENTS OR ACCESSORIES THEREFOR
    • B27B5/00Sawing machines working with circular or cylindrical saw blades; Components or equipment therefor
    • B27B5/02Sawing machines working with circular or cylindrical saw blades; Components or equipment therefor characterised by a special purpose only
    • B27B5/06Sawing machines working with circular or cylindrical saw blades; Components or equipment therefor characterised by a special purpose only for dividing plates in parts of determined size, e.g. pan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GACCESSORY MACHINES OR APPARATUS FOR WORKING WOOD OR SIMILAR MATERIALS; TOOLS FOR WORKING WOOD OR SIMILAR MATERIALS; SAFETY DEVICES FOR WOOD WORKING MACHINES OR TOOLS
    • B27G3/00Arrangements for removing bark-zones, chips, waste, or dust, specially design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wood-working machine or in wood-working pla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MWORKING OF WOOD NOT PROVIDED FOR IN SUBCLASSES B27B - B27L; MANUFACTURE OF SPECIFIC WOODEN ARTICLES
    • B27M1/00Working of wood not provided for in subclasses B27B - B27L, e.g. by stretching
    • B27M1/08Working of wood not provided for in subclasses B27B - B27L, e.g. by stretching by multi-step process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6Devices for calling a subscriber
    • H04M1/27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 H04M1/274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 H04M1/2745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using static electronic memories, e.g. chips
    • H04M1/2753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using static electronic memories, e.g. chips providing data content
    • H04M1/2757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using static electronic memories, e.g. chips providing data content by data transmission, e.g. downloa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 H04W12/068Authentication using credential vaults, e.g. password manager applications or one time password [OTP]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8Access security
    • H04W12/084Access security using delegated authorisation, e.g. open authorisation [OAuth] protoc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6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with means for preventing unauthorised or fraudulent calling
    • H04M1/663Preventing unauthorised calls to a telephone set
    • H04M1/665Preventing unauthorised calls to a telephone set by checking the validity of a cod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저장한 데이터를 제공하는 장치에 있어서, 데이터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데이터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데이터 요청 메시지 내에 포함된 검색 조건에 따라 자신이 저장하고 있는 데이터를 검색하는 단계와, 상기 검색 조건에 부합하는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 요청 메시지 내에 포함된 수신처 정보에 따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수신처, 검색 조건

Description

저장 데이터를 요청하고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REQUESTING AND PROVIDING STORED DATA}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제공을 위한 메시지 흐름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블록 구성도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데이터 종류에 따라 어떤 검색 조건이 입력되는 지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요청 메시지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요청 메시지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단말기에서 데이터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 제어 흐름도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단말기에서 데이터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의 제어 흐름도를 나타낸 도면.
본 발명은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기의 저장 데이터 요청하고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휴대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등과 같은 개인이 휴대가 가능한 이동 통신 단말기의 보급이 일반화되고 있다. 이러한 이동통신 단말기는 통신 기술의 발전에 따라 통화 기능뿐만 아니라 SMS(Short Message Service)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또 이동통신단말기는 통신 기능 이외에도 폰북 기능, 스케줄러 기능과 각종 이미지와 소리들을 이용한 게임 기능, 알람 기능, MP3 플레이어 기능 등과 같은 부가 기능들을 제공하고 있다.
여기에서 단문 메시지 서비스(SMS) 기능은 이동 통신 단말기간에 짧은 문자 메시지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SMS 기능을 이용하여 생활에 필요한 정보를 문자로 제공하는 서비스도 구현되었다. 예를 들어, 이동 통신 서비스 사업자들은 간단한 메시지 전송이 가능한 단문 메시지 서비스(SMS)를 이용하여 뉴스 정보, 이벤트 정보, 날씨 정보, 스포츠 정보, 증권 정보, 환율 정보, 교통 정보 등을 이동 통신 서비스 가입자들에게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단문메시지를 수신 또는 발신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이동통신단말기는 다른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단문메시지를 수신하면, 벨 또는 진동으로 사용자에게 통보하고, 사용자는 수신한 단문메시지를 확인하여 저장 또는 삭제한다. 그리고 사용자가 단문메시지를 발신하고자 하면, 단문메시지 내용을 입력하고 발신을 선택하면 이동통신단말기는 입력한 단문 메시지를 SMS 메시지로서 상대방측으로 송신한다.
그런데, 사용자가 자신의 이동 통신 단말기를 휴대하지 않은 경우 사용자는 이동통신단말기에 저장된 폰북을 이용하거나 이동통신단말기로 수신된 SMS 메시지, 음성 메시지 등의 확인할 수 없다. 그에 따라 사용자는 원격의 이동통신단말기에 저장된 데이터를 획득하기를 원하지만, 이를 지원하는 기술이 존재하지 않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자신의 단말기에 저장된 데이터를 사용자가 원하는 매체를 통해 획득할 수 있도록 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저장한 데이터를 제공하는 장치는 데이터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데이터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데이터 요청 메시지 내에 포함된 검색 조건에 따라 자신이 저장하고 있는 데이터를 검색하는 단계와, 상기 검색 조건에 부합하는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 요청 메시지 내에 포함된 수신처 정보에 따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시스템에서 통신 장치가 다른 통신 장치에 저장된 데이터를 요청하는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에 의해 데이터 요청 기능이 선택되면, 사용자로부터 상기 다른 통신장치에 저장된 데이터중 사용자가 원하는 데이터를 검색하는데 사용되는 검색 조건을 입력받는 단계와, 사용자에 의해 상기 원하는 데이터가 송신되길 원하는 수신처를 입력받는 단계와, 상기 입력된 검색 조건 정보 및 수신처 정보를 이용하여 데이터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은 통신단말기에서 기존 메시지 형태의 데이터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데이터 요청 메시지 내에 포함된 데이터 검색 조건에 부합하는 사용자가 원하는 데이터를 검색하여 데이터 요청 메시지 내에 포함된 수신처로 송신하도록 한다.
이때, 통신단말기는 데이터 요청 메시지 내에 포함된 사용자 인증 정보를 이용하여 데이터 요청 메시지가 정당한 사용자로부터 송신된 것임을 식별할 수 있다.
이하,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통신단말기가 포함된 통신 네트워크를 참조하여 이동통신단말기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이 적용되는 통신 시스템은 엔드 단말로서 이동 단말기(10,30) 및 유선 단말기(20)를 포함한다. 이동 단말기(10,20)는 자신과 연결된 기지국(40)(BS: Base Station) 및 기지국(40)과 연결된 이동 교환국(50)(MSC: Mobile Switching Center)을 통해 패킷 네트워크(20) 및 공중망(70)에 접속한다. 패킷 네트워크는 IP 네트워크로서 이동 단말기(10,30)에게 인터넷 서비스 등을 제공한다. IP 네트워크는 전자우편이나 WWW 등의 인터넷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인터넷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IP(인터넷 프로토콜) 기술을 이용하는 모든 네트워크를 포함한다.
메시지 센터(80)는 이동교환국(50)에 연결되어 유선 전화기(20) 또는 임의의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메시지를 관리하고, 해당 단말기로 메시지를 전송한다. 또, 메시지 센터(80)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패킷 네트워크(60)에 연결된 임의의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메시지를 해당 단말기들에게 전송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엔드 단말들(10,20,30)은 다른 이동통신단말기 또는 유선 단말기로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라 엔드 단말(10,20,30)은 다른 엔드 단말들로 그 저장된 데이터를 요청할 수 있는 기존 메시지 형태의 데이터 요청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엔드 단말(10,20,30)은 기존 메시지 형태의 데이터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데이터 요청 메시지 내에 포함된 검색 조건에 부합하는, 사용자가 원하는 데이터를 찾는다. 그리고 엔드 단말(10,20,30)은 데이터 요청 메시지 내에 포함된 수신처로 검색한 데이터를 송신한다. 이때, 엔드 단말(10,20,30)은 검색한 데이터를 수신처에 따라 적절할 타입의 메시지로 가공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라 통신 네트워크에서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한 메시지 흐름을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제공을 위한 메시지 흐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먼저 데이터 요청 단말(90)은 단계101에서 사용자로부터 검색 조건, 보안 정보, 수신처 등을 입력받아 데이터 요청 메시지를 작성한다. 검색 조건은 사용자가 원하는 데이터를 검색하는데 사용되는 조건을 의미한다. 예컨대, 사용자는 데이터 전송 단말기에 저장되어 있는 전화번호, 스케줄러 내용, SMS 메시지, MMS 메시지 등을 원할 수 있다. 검색 조건은 이러한 여러 데이터 중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특정 데이터를 획득하는데 사용된다. 예컨대, 검색 조건이 폰북에 저장된 이름 중 하나이면 데이터 전송 단말기는 해당 이름에 대응하여 저장된 전화번호를 검색한다. 그리고 검색 조건이 날짜이면, 데이터 전송 단말(92)은 스케줄러의 해당 날짜에 대해 저장된 내용을 검색한다. 또, 데이터 전송 단말(92)은 검색 조건이 소정 문자이면 이 문자에 대응되어 검색되도록 지정된 데이터를 검색하는데, 이 때 소정 문자는 명령어와 유사하게 기능한다.
그리고 보안 정보는 해당 데이터 요청 메시지가 정당한 사용자로부터 전송되어 온 것인지를 식별하기 위한 것이다. 즉, 보안 정보는 해당 데이터 요청 메시지가 정당한 데이터 요청 메시지인지를 판단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이 보안 정보는 사용자가 미리 정해둔 문자나 숫자 또는 그 조합일 수 있고, 또는 데이터 전송 단말기에서 다른 기능을 위해 사용하는 비밀번호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이러한 보안 정보는 당업자에 의해 변경될 수 있음은 명백하다. 또, 수신처는 데이터 전송 단말이 검색 조건에 따라 검색한 데이터를 전송할 곳이다. 즉 데이터 요청 단말이 요청한 데이터가 수신되길 원하는 곳이다. 데이터 요청 단말(90)은 수신처를 입력하지 않을 수도 있다. 이때, 수신처는 데이터 요청 메시지 를 전송한 단말기의 전화번호가 될 수 있다. 물론, 데이터 요청 단말(90)이 디폴트로 정해놓은 수신처를 자동으로 데이터 요청 메시지에 포함시킬 수도 있다. 이때 입력될 수 있는 수신처는 전화번호, 메신저, 이메일 등이 될 수 있으며, 데이터 전송 단말(92)이 전송할 수 있는 모든 프로토콜이 가능하다.
이어서 데이터 요청 단말(90)은 단계 103에서 작성한 데이터 요청 메시지를 데이터 전송 단말(92)로 전송한다.
이에 따라 데이터 전송 단말(92)은 데이터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데이터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보안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데이터 요청 메시지가 정당한가를 확인한다. 그리고 데이터 전송 단말(92)은 단계 105에서 데이터 요청 메시지에 따라 저장된 데이터중 사용자가 원하는 데이터를 검색한다. 그리고, 데이터 전송 단말(92)은 데이터 요청 메시지에 수신처 정보가 있는 지를 판단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데이터 요청 단말(90)이 수신처 정보가 없는 데이터 요청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만약 데이터 요청 메시지에 수신처 정보가 없으면 데이터 전송 단말(92)은 데이터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 단말의 전화번호를 수신처로 결정할 수 있다. 데이터 전송 단말(92)은 데이터 요청 메시지에 수신처 정보가 없으면 단계 111로 진행하여 검색한 데이터를 데이터 요청 단말로 전송한다. 그리고 데이터 요청 메시지에 수신처 정보가 있으면 데이터 전송 단말(92)은 해당 수신처로 검색한 데이터를 전송한다. 이때, 데이터 전송 단말(92)은 검색한 데이터를 수신처에 따라 적절할 타입의 메시지로 가공한다. 기본적으로 검색된 데이터는 SMS 메시지로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수신처가 이메일이나 메신저등이면 검색 데이터를 그 프로토콜에 적합하게 가공한다.
즉, 데이터 전송 단말은 검색한 데이터를 수신처에 따라 SMS, MMS, e-mail, messenger 등의 서비스 형태로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 SMTP(simple mail transfer protocol), TCP/I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 RTP(Real-time transport protocol) 등의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전송한다. 그리고 데이터 전송 단말(92)은 전송할 데이터가 한번의 전송으로 종료하지 않으면 검색한 데이터가 모두 전송될 때까지 계속적으로 전송을 수행한다.
이러한 데이터 요청 단말기는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여 전송할 수 있는 모든 단말이 될 수 있다. 또, 데이터 전송 단말기는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여 검색 조건에 따라 자신이 저장한 데이터를 검색하여 해당 수신처로 전송할 수 있는 모든 단말 등이 될 수 있음이 명백하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요청 기능과 데이터 전송 기능은 하나의 단말에 모두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이 이동통신단말기에 적용된 경우를 설명하지만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당업자라면 본 발명을 다른 타입의 단말기에 적용할 수 있음을 알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블록 구성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이동통신단말기는 RF모듈(11), 베이스밴드 처리부(12),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3), 제어부(14), 표시부(15) 및 메모리(16)를 포함한다. 제어부(14)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요청 기능 및 데이터 전송 기능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4)는 데이터 요청 기능을 수행하면 사용자로부터 보안 정보, 검색 조건, 수신처 등을 입력받아 데이터 요청 메시지를 작성하여 전송한다. 이때, 보안 정보는 해당 데이터 요청 메시지가 정당한 사용자로부터 전송되어 온 것인지를 식별하기 위한 것이므로, 예컨대 데이터 전송 단말기에서 다른 기능을 위해 사용하는 비밀번호일 수 있다. 그리고 검색 조건은 사용자가 원하는 데이터의 종류에 따라 다르다. 도 4는 데이터 종류에 따라 어떤 검색 조건이 입력되는 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원하는 데이터가 전화번호(310)이면 검색 조건으로서 해당 전화번호에 대응하여 저장된 이름을 입력한다(312). 사용자가 원하는 데이터가 스케줄(320)이면 검색 조건으로서 원하는 스케줄에 대응하는 날짜를 입력한다(322). 그리고 사용자가 원하는 데이터가 SMS 메시지(330)이거나 MMS 메시지(340)이면, 사용자는 해당 메시지의 수신 기간에 따라 구별된 소정 문자를 선택하는데, 즉 수신 기간을 선택하는 것과 같다(332).
예컨대, 제어부(140)는 사용자가 수신되어 저장된 SMS 메시지를 재전송하길 원하면 m1을 입력하고, 앞으로 도착할 SMS 메시지를 실시간으로 재전송하길 원하면 m2를 입력하고, 현재 수신되어 저장된 SMS 메시지와 앞으로 도착할 SMS 메시지를 모두 재전송하길 원하면 m3를 입력한다. 또, 제어부(140)는 사용자가 수신되어 저장된 MMS 메시지를 재전송하길 원하면 M1을 입력하고, 앞으로 도착할 MMS 메시지를 실시간으로 재전송하길 원하면 M2를 입력하고, 현재 수신되어 저장된 MMS 메시지와 앞으로 도착할 MMS 메시지를 모두 재전송하길 원하면 M3를 입력한다. 그에 따라 사 용자는 저장된 메시지(334), 도착할 메시지(336) 및 모든 메시지(338)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데이터 전송 단말에게 더 이상 메시지를 전송하지 않을 것을 원하는 경우(350)가 발생할 수 있다. 이 때, 제어부(14)는 해당 제어 동작에 대응된 문자 또는 숫자나 이들의 조합을 검색 조건으로 한다. 예컨대, 사용자가 데이터 전송 단말에게 메시지의 전송 중지를 원하는 경우 SMS 메시지 또는 MMS 메시지의 구별없이 M0 또는 m0을 입력한다. 물론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데이터 전송 단말에게 다른 데이터를 원하는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명백하다. 예컨대, 데이터 요청 단말은 데이터 전송 단말에게 저장된 mp3 파일의 전송을 요구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검색 조건에는 해당 검색 조건임을 나타내기 위해 미리 정해진 소정 문자가 덧붙여질 수 있다. 이때, 덧붙여지는 문자는 해당 검색 조건의 앞 또는 뒤에 위치할 수 있다. 예컨대, 전화번호 검색을 위한 이름에는 n을 덧붙이고, 스케줄 검색을 위한 날짜에는 d를 덧붙인다.
그리고, 제어부(14)는 사용자로부터 수신처를 입력받는다. 사용자는 수신처를 입력하지 않을 수 있는데, 이 경우에는 제어부(14)는 디폴트로 된 수신처 예컨대, 자신의 전화번호를 선택하거나 해당 수신처 필드를 0으로 채운다.
이와 같이 보안 정보, 검색조건, 수신처를 포함한 데이터 요청 메시지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다. 도 5를 참조하면, 데이터 요청 메시지(200)는 텔레서비스 ID 필드(210), 메시지 헤더 필드(220), 보안 정보 필드(230), 검색 조건 필드(240), 수신처(250) 및 기타 필요 정보를 위한 필드(260)를 포함한다. 텔레서비스 ID 필드는 해당 메시지의 서비스 타입의 식별하는 필드이다. 메시지 헤더 필드(220)는 일반적인 헤더 정보를 위한 필드이다. 그리고 보안 정보 필드(230), 검색 조건 필드(240) 및 수신처 필드(250)는 전술한 바와 같은 보안 정보, 검색 조건 정보 및 수신처 정보가 각각 기입되는 필드이다. 이들 보안 정보 필드(230), 검색 조건 필드(240) 및 수신처 필드(250)는 메시지의 페이로드에 실린다.
도 6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요청 메시지를 나타낸다. 도 6에 도시된 데이터 요청 메시지는 도 5의 데이터 요청 메시지와 메시지 헤더만 상이하므로, 메시지 헤더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도 6의 데이터 요청 메시지의 메시지 헤더(270)는 도 5의 메시지 헤더(220)와 다르게 메시지 구별자를 포함하고 있다. 이 메시지 구별자는 데이터 요청 메시지임을 식별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이 데이터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단말기는 메시지 헤더를 분석하면 이 메시지가 데이터 요청 메시지임을 알 수 있다.
다르게는 제어부(14)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보안 정보, 검색 조건 및 수신처를 메시지의 페이로드 상에서 스페이스로 구별한다. 즉, 제어부(140)는 사용자로부터 각각 보안 정보, 검색 조건, 수신처를 입력받으면 소정의 순서에 따라 메시지의 페이로드에 싣고 이들 정보 간에 스페이스를 삽입한다.
그리고 제어부(140)는 이렇게 생성한 데이터 요청 메시지를 데이터 전송 단말로 송신한다.
한편, 사용자가 직접 데이터 요청 메시지를 작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어부(14)는 일반적인 메시지 작성시와 동일하게 동작한다. 따라서 단말기는 데이터 요청 기능을 구현하지 않아도 되며 사용자는 일반적인 단말기를 이용하여 데이터 요청 메시지를 작성할 수 있다.
이하에 전술한 예에 따라 보안 정보 필드, 검색 조건 필드 및 수신처 필드가 조합된 예들을 나타낸다.
-보안정보 n홍길동 : 홍길동으로 저장된 전화번호를 SMS를 통해 데이터 요청 단말기로 보낸다.
- 보안정보 n홍길동 0169999999 : 홍길동으로 저장된 전화번호를 SMS를 통해 016-999-9999로 보낸다.
-보안정보 n홍길동 a@b.c : 홍길동으로 저장된 전화번호를 e-mail address a@b.c로 보낸다.
-보안정보 n홍길동 MSN a@b.c : 홍길동으로 저장된 전화번호를 MSN ID a@b.c로 보낸다.
-보안정보 d20041013 : 해당 날짜에 대한 schedule 내용을 SMS를 통해 데이터 요청 단말로 보낸다.
-보안정보 d20041013 0169999999 : 해당 날짜에 대한 schedule 내용을 SMS를 통해 016-999-9999로 보낸다.
-보안정보 d20041013 a@b.c : 해당 날짜에 대한 schedule 내용을 e-mail address a@b.c로 보낸다.
-보안정보 d20041013 MSN a@b.c : 해당 날짜에 대한 schedule 내용을 MSN ID a@b.c로 보낸다.
-보안정보 m1 : 지금까지 도착한 SMS 메시지를 데이터 요청 단말로 SMS를 통해 재전송한다.
-보안정보 m3 a@b.c : 지금까지 도착한 SMS 메시지를 SMS를 통해 a@b.c로 전송하고 앞으로 도착하는SMS 메시지도 a@b.c로 재전송한다.
-보안정보 m2 MSN a@b.c : 앞으로 도착하는 SMS 메시지를 MSN ID a@b.c로 재전송한다.
-보안정보 M2 : 앞으로 도착하는 MMS 메시지를 단말기 MMS를 통해 데이터 요청 단말기로 재전송한다.
-보안정보 M2 0169999999: 앞으로 도착하는 MMS 메시지를 MMS를 통해 016-999-9999로 재전송한다.
-보안정보 m0 ; 앞으로는 SMS 메시지, MMS 등의 메시지를 재전송하지 않는다.
상기한 조합은 일예로서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명백하다.
또 제어부(14)는 데이터 전송 기능의 수행시 데이터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데이터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보안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데이터 요청 메시지가 정당한가를 확인한다. 그리고 제어부(14)는 데이터 요청 메시지의 검색 조건에 따라 저장된 데이터중 사용자가 원하는 데이터를 검색하여 데이터 요청 메시지의 수신처로 전송한다. 제어부(14)는 수신처 정보가 없으면 검색한 데이터를 데이터 요청 단 말로 전송할 수 있다. 그런데, 제어부(14)는 검색한 데이터의 전송 전에 제어부(14)는 검색한 데이터를 수신처에 따라 적절할 타입의 메시지로 가공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어부(14)는 기본적으로 검색된 데이터는 SMS 메시지로 전송하지만, 수신처가 이메일이나 메신저 등이면 검색 데이터를 그 프로토콜에 적합하게 가공한다.
표시부(15)는 제어부(14)의 제어하에 사용자 인터페이스(13)로부터 입력된 키입력 데이터에 대한 표시 데이터를 입력받아 표시하거나, 이동 통신 단말기의 동작 상태 및 다수의 정보를 아이콘 및 문자로 표시한다. 그리고 사용자 인터페이스(13)는 숫자키 등을 포함한 각종 키들을 구비하여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키입력 데이터를 제어부(14)에 제공한다. 또한 제어부(14)와 연결되는 메모리(16)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동작 제어 시 필요한 다수의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롬(ROM : Read Only Memory) 및 램(RAM : Random Access Memory), 음성 메모리 등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RF모듈(11)은 안테나(ANT)를 통해 기지국과 RF신호를 송/수신하는데, 수신되는 RF신호를 IF(Intermediate Frequency)신호로 변환하여 베이스밴드 처리부(12)로 출력하고 베이스밴드 처리부(12)로부터 입력하는 IF신호를 RF신호로 변환하여 송신한다. 여기서 베이스밴드 처리부(140)는 제어부(14)와 RF모듈(11)간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BAA(Baseband Analog ASIC)로서, 제어부(14)로부터 인가되는 베이스밴드의 디지털신호를 아날로그 IF신호로 변환하여 RF모듈(11)에 인가하며, RF모듈(11)로부터 인가되는 아날로그 IF신호를 베이스밴드의 디지털신호로 변환하여 제어부(14)에 인가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단말기에서 데이터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경우와 수신하는 경우의 제어 흐름을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단말기에서 데이터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 제어 흐름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먼저 제어부(14)는 단계 401에서 사용자에 의해 데이터 요청 메시지의 작성 메뉴가 선택되는 지를 판단한다. 제어부(14)는 사용자가 데이터 요청 메시지를 작성하길 원하면 단계 403으로 진행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데이터 종류들을 표시한다. 그리고 제어부(14)는 단계 405로 진행하여 사용자가 데이터 종류를 선택하는 지를 판단하다. 사용자에 의해 하나의 데이터 종류가 선택되면 제어부(14)는 단계 407로 진행하여 선택된 데이터 종류에 적합한 검색 조건 입력창을 표시한다.
그리고 제어부(14)는 단계 409에서 사용자가 검색 조건을 입력하는 지를 판단하고 사용자가 검색 조건을 입력하였으면 단계 411로 진행한다. 제어부(14)는 단계 411에서 사용자에 의해 수신처 입력 메뉴가 선택되는 지를 판단한다. 사용자는 수신처를 입력하지 않을 수도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은 수신처 입력 메뉴를 선택하는 경우에만 수신처를 입력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가 수신처 입력 메뉴를 선택하면 제어부(14)는 단계 413으로 진행하여 사용자로부터 수신처를 입력받는다. 이어서 제어부(14)는 단계 415에서 사용자가 입력한 여러 정보를 이용하여 데이터 요청 메시지를 작성하고 사용자로부터 데이터 요청 메시지의 전송 요구가 있 는 지를 판단한다. 사용자가 데이터 요청 메시지의 전송을 선택하면, 제어부(14)는 단계 417에서 해당 데이터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단말기에서 데이터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의 제어 흐름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제어부(14)는 단계 501에서 메시지를 수신하는 지를 판단한다. 메시지를 수신하였으면 제어부(14)는 단계 503에서 수신한 메시지를 분석한다. 도 5에 도시된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에는 메시지의 페이로드 부분에 있는 보안정보 필드, 검색 조건 필드, 수신처 필드 등을 보고 데이터 요청 메시지인 것을 식별한다. 그리고 도 6에 도시된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에는 메시지의 헤더 부분에 있는 메시지 구별자를 보고 데이터 요청 메시지인 것을 식별한다.
그에 따라 제어부(14)는 단계 505에서 수신한 메시지가 데이터 요청 메시지인 것을 판단하고 데이터 요청 메시지이면 단계 507로 진행하여 데이터 요청 메시지의 보안정보가 정당한 지를 판단한다. 다시 말해 제어부(14)는 데이터 요청 메시지가 정당한 메시지인지를 판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보안 정보를 비밀번호로 하고 수신한 비밀번호가 자신이 저장하고 있는 비밀번호와 일치하는 지를 판단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제어부(14)는 수신한 메시지가 데이터 요청 메시지가 아니거나, 보안 정보가 정당하지 않으면 단계 519로 진행하여 수신 메시지를 일반 메시지로 취급한다.
데이터 요청 메시지 내의 비밀번호가 자신의 비밀번호와 일치하면 제어부(14)는 단계 509로 진행하여 메시지 내의 검색 조건에 따라 자신이 저장하고 있는 데이터를 검색한다. 이어서 제어부(14)는 단계 511로 진행하여 데이터 요청 메시지 내에 수신처 정보가 있는 지를 판단한다. 데이터 요청 메시지 내에 수신처 정보가 없으면 제어부(14)는 단계 515로 진행하여 검색된 데이터를 데이터 요청 메시지를 송신한 상대방으로 전송한다. 그리고 제어부(14)는 데이터 요청 메시지 내에 수신처 정보가 있으면 단계 513으로 진행하여 검색된 데이터를 해당 수신처로 전송한다. 이어서 제어부(14)는 단계 517에서 전송할 데이터가 남았는 지 판단한다. 제어부(14)는 한번에 검색한 데이터를 해당 수신처로 전송할 수 없을 가능성이 있다. 이 경우 제어부(14)는 검색한 데이터를 모두 전송할 때까지 여러번 전송을 수행한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이동통신단말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고 수신하는 대부분의 단말에 적용될 수 있다. 또,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보안정보, 검색조건, 수신처 등은 예일 뿐이며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는 이동통신단말기를 휴대하지 않은 경우에 도 이동통신단말기에 저장된 데이터를 얻을 수 있다.

Claims (22)

  1. 저장한 데이터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데이터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데이터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데이터 요청 메시지 내에 포함된 검색 조건에 따라 자신이 저장하고 있는 데이터를 검색하는 단계와,
    상기 검색 조건에 부합하는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 요청 메시지 내에 포함된 수신처 정보에 따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요청 메시지 내에 포함된 보안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데이터 요청 메시지가 정당한 메시지인지를 판단하고 상기 데이터 요청 메시지가 정당한 메시지이면 상기 검색 단계로 진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보안정보는 저장하고 있는 비밀번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는 전화번호, 스케줄러 내용, SMS 메시지 및 MMS 메시지 등의 단말이 제공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데이터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처는 전화번호, 이메일, 메신저, 상기 데이터 요청 메시지의 송신측 등의 수신 가능한 모든 방법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후 검색한 데이터가 남아 있으면 검색한 데이터를 모두 전송할 때까지 데이터의 전송을 계속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저장한 데이터를 제공하는 장치에 있어서,
    메시지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데이터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데이터 요청 메시지 내에 포함된 검색 조건에 따라 자신이 저장하고 있는 데이터를 검색하고, 상기 검색 조건에 부합하는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 요청 메시지 내에 포함된 수신처 정보에 따라 전송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데이터 요청 메시지 내에 포함된 보안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데이터 요청 메시지가 정당한 메시지인지를 판단하고 상기 데이터 요청 메시지가 정당한 메시지이면 데이터를 검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보안정보는 저장하고 있는 비밀번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는 전화번호, 스케줄러 내용, SMS 메시지 및 MMS 메시지 등의 단말이 제공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데이터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처는 전화번호, 이메일, 메신저, 상기 데이터 요청 메시지의 송신측 등의 수신 가능한 모든 방법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전송 후 검색한 데이터가 남아 있으면 검색한 데이터를 모두 전송할 때까지 데이터의 전송을 계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3. 통신시스템에서 통신 장치가 다른 통신 장치에 저장된 데이터를 요청하는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에 의해 데이터 요청 기능이 선택되면, 사용자로부터 상기 다른 통신장치에 저장된 데이터중 사용자가 원하는 데이터를 검색하는데 사용되는 검색 조건을 입력받는 단계와,
    사용자에 의해 상기 원하는 데이터가 송신되길 원하는 수신처를 입력받는 단계와,
    상기 입력된 검색 조건 정보 및 수신처 정보를 이용하여 데이터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사용자에 의해 상기 데이터 요청 메시지가 정당한 사용자에 의해 작성됨을 나타내는 보안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와,
    데이터 요청 메시지 내에 상기 입력된 보안 정보를 삽입하는 단계를 더 포함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보안정보는 상기 다른 통신장치의 비밀번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처는 전화번호, 이메일, 메신저, 상기 데이터 요청 메시지의 송신측 등의 수신 가능한 모든 방법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가 원하는 데이터가 전화번호이면, 상기 검색 조건은 상기 다른 통신장치의 폰북에 저장된 이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8.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가 원하는 데이터가 스케줄 내용이면, 상기 검색 조건은 날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9.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요청 메시지의 생성 단계는 상기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에 따라 상기 데이터 요청 메시지의 각 필드값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0. 통신시스템에서 다른 통신장치에 저장된 데이터를 요청하는 통신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에 의해 데이터 요청 기능이 선택되면, 사용자로부터 상기 다른 통신장치에 저장된 데이터중 사용자가 원하는 데이터를 검색하는데 사용되는 검색 조건 및 상기 원하는 데이터가 송신되길 원하는 수신처를 입력받으면 상기 입력된 검색 조건 정보 및 수신처 정보를 이용하여 데이터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는 제어부와,
    상기 생성한 데이터 요청 메시지를 다른 통신장치로 전송하는 전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에 따라 상기 데이터 요청 메시지의 각 필드값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2.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에 의해 상기 데이터 요청 메시지가 정당한 사용자에 의해 작성됨을 나타내는 보안 정보를 입력받고, 상기 데이터 요청 메시지 내에 상기 보안 정보를 삽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
KR1020050017447A 2005-03-02 2005-03-02 저장 데이터를 요청하고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1006695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7447A KR100669579B1 (ko) 2005-03-02 2005-03-02 저장 데이터를 요청하고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US11/366,670 US20060199566A1 (en) 2005-03-02 2006-03-02 Method and apparatus for requesting and providing stored data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7447A KR100669579B1 (ko) 2005-03-02 2005-03-02 저장 데이터를 요청하고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6727A true KR20060096727A (ko) 2006-09-13
KR100669579B1 KR100669579B1 (ko) 2007-01-15

Family

ID=369447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17447A KR100669579B1 (ko) 2005-03-02 2005-03-02 저장 데이터를 요청하고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060199566A1 (ko)
KR (1) KR10066957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2284B1 (ko) * 2007-11-02 2014-07-22 주식회사 케이티 메시지 커맨드를 이용한 컨텐츠의 통합검색 방법 및 이를이용한 휴대용 단말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890138B2 (en) * 2006-06-30 2011-02-15 Advanced Micro Devices, Inc. Mechanism for remotely accessing a portable computer including wireless communication functionality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76017B1 (en) * 2001-02-27 2005-12-13 Verizon Data Servic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ext based querying
US7099871B2 (en) * 2001-05-04 2006-08-29 Sun Microsystems, Inc. System and method for distributed real-time search
JP2003030079A (ja) * 2001-07-16 2003-01-31 Fujitsu Ltd コンテンツ共有集合とそれを構成する装置が実行するソフトウェアプログラム
US7643822B2 (en) * 2004-09-30 2010-01-05 Google Inc. Method and system for processing queries initiated by users of mobile device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2284B1 (ko) * 2007-11-02 2014-07-22 주식회사 케이티 메시지 커맨드를 이용한 컨텐츠의 통합검색 방법 및 이를이용한 휴대용 단말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69579B1 (ko) 2007-01-15
US20060199566A1 (en) 2006-09-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32115B2 (en) Method for downloading a message client and authenticating a mobile phone number
KR100627500B1 (ko) 모바일폰의 단문 메시지 제공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KR100359426B1 (ko) 전자 우편 전송 시스템 및 방법
KR101117451B1 (ko) 전자 메시지 전송 방법, 전자 메시지 전송 장치 및프로그램 저장 매체
US6938076B2 (en) System, computer product and method for interfacing with a private communication portal from a wireless device
KR100651841B1 (ko) 수신 차단 방법
US7773550B2 (en) Peer-to-peer mobile data transfer method and device
US6891933B2 (en) Communication apparatus
US20050020289A1 (en) Method for blocking spam messages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7336773B2 (en) Method and system for multi-mode communication with sender authentication
US20030236769A1 (en) Method and device for mobile communication
JP2001306463A (ja) メール通知装置及び携帯電話装置
US20060141981A1 (en) Universal temporary communication ID with service integration
US2002013752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location based information
US7945248B2 (en) Mobile communications device employing multiple data storage locations for electronic messages
KR100451790B1 (ko) 무선 단말 자원상태를 고려한 멀티미디어 데이터 송수신시스템 및 방법
US7519379B2 (en) Multimedia message center and telecommunication device for accessing stored multimedia messages
KR100669579B1 (ko) 저장 데이터를 요청하고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US20060293068A1 (en) Method for communicating messages to an electronic communication equipment
KR100466829B1 (ko) 단문메시지 선택적 수신시스템 및 그 방법
JP5131494B2 (ja) 電子メールシステムおよび電子メール通信方法
EP1655914B1 (en) Method and device for integrated message delivery over a plurality of transport mediums
EP1694085B1 (en) Mobile communications device employing multiple data storage locations for electronic messages and corresponding message routing method
KR20060073033A (ko) 이동통신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단문 메시지 관리 방법
JP3773115B2 (ja) 電子メールサー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9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