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96465A - Steel sheet for container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 Google Patents

Steel sheet for container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96465A
KR20060096465A KR1020067012581A KR20067012581A KR20060096465A KR 20060096465 A KR20060096465 A KR 20060096465A KR 1020067012581 A KR1020067012581 A KR 1020067012581A KR 20067012581 A KR20067012581 A KR 20067012581A KR 20060096465 A KR20060096465 A KR 200600964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ss
steel sheet
thickness
steel
nitri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1258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895347B1 (en
Inventor
히데꾸니 무라까미
시게루 히라노
아끼히로 에노모또
Original Assignee
신닛뽄세이테쯔 카부시키카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닛뽄세이테쯔 카부시키카이샤 filed Critical 신닛뽄세이테쯔 카부시키카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964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9646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53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534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8/00Solid state diffusion of only non-metal elements into metallic material surfaces; Chemic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reaction of the surface with a reactive gas,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e.g. conversion coatings, passivation of metals
    • C23C8/02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coated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 C21D8/0221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characterised by the working steps
    • C21D8/0236Cold roll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 C21D8/0247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characterised by the heat treatment
    • C21D8/0257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characterised by the heat treatment with diffusion of elements, e.g. decarburising, nitrid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manganese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8/00Solid state diffusion of only non-metal elements into metallic material surfaces; Chemic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reaction of the surface with a reactive gas,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e.g. conversion coatings, passivation of metals
    • C23C8/06Solid state diffusion of only non-metal elements into metallic material surfaces; Chemic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reaction of the surface with a reactive gas,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e.g. conversion coatings, passivation of metals using gases
    • C23C8/08Solid state diffusion of only non-metal elements into metallic material surfaces; Chemic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reaction of the surface with a reactive gas,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e.g. conversion coatings, passivation of metals using gases only one element being applied
    • C23C8/24Nitriding
    • C23C8/26Nitriding of ferrous surface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 C21D8/0247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characterised by the heat treatment
    • C21D8/0273Final recrystallisation anneal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t Treatment Of Sheet Steel (AREA)
  • Solid-Phase Diffusion Into Metallic Material Surfaces (AREA)

Abstract

Steel sheet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manufacturing steel sheet for containers are provided. For example, the steel sheet (or at least a portion thereof) can include approximately, in terms of mass%, C: 0.0800% or less, N: 0.600% or less, Si: 2.0% or less, Mn: 2.0% or less, P: 0.10% or less, S: 0.05% or less, Al: 2.0% or less, and the remainder Fe. The sheet (or portion thereof) can be cold-rolled, and then the atmosphere, temperature, time, etc. of recrystallization annealing or subsequent heat treatment may be adjusted to control the change in N content in the steel, for example controlling the N content and hardness of the surface layer and mid-thickness layer to bring them within an appropriate range. The surface roughness can be 0.90 mum or less in terms of Ra, and PPI, which is the number of concavo-convex peaks per one inch of length, may be 250 or more.

Description

용기용 강판 및 그 제조 방법 {STEEL SHEET FOR CONTAINER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Steel plate for containe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STEEL SHEET FOR CONTAINER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본 발명은 음료용 캔과 같은 금속 용기에 사용되는 표면 처리된 강판을 포함하는 강판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eel sheet comprising a surface-treated steel sheet used in a metal container such as a beverage can and a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본 출원은 그 내용이 본 명세서에 인용되어 합체된, 2003년 12월 9일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제2003-409918호의 우선권에 기초한 것이다.This application is based on the priority of Japanese Patent Application No. 2003-409918, filed December 9, 2003, the contents of which are incorporated herein by reference.

음료용 캔, 식품용 캔 등으로 대표되는 용기용 강판은 이런 종류의 다양한 용기의 제조 비용을 저감하기 위해 그 두께가 계속 얇아짐으로써 0.2 ㎜ 이하의 재료를 사용하게 되었다. 용기가 이와 같은 초박형 재료를 사용하여 제조될 때 나타나는 문제점으로는, 예컨대 표면 조건 제어의 어려움에 기인하는 색조, 표면 피막의 밀착성 및 용접성의 저하가 있다.Container steel sheets represented by beverage cans, food cans, and the like have used a material of 0.2 mm or less due to the ever-thinning thickness in order to reduce the manufacturing cost of various kinds of containers. Problems that occur when a container is manufactured using such an ultra-thin material include, for example, color tone, surface adhesiveness and weldability deterioration due to difficulty in controlling surface conditions.

예컨대 일본 특허 출원 공개 공보 평11-197704호, 평8-3781호 및 평6-57448호에 설명된 바와 같이, 강판의 표면 조건이 색조, 표면 피막 밀착성 및 용접성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은 주지의 사실이다. 또한, 일본 특허 출원 공개 공보 평7-9005호에는 표면 거칠기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이 설명되어 있다. 상술한 공보에서, 표면 조건을 제어하기 위해 제조 조건을 정밀하게 제어할 필요가 존재하지만, 생산성 저하는 명백하게도 불가피하다. 또한, 이들 공보에 설명된 종래의 제어 방법은 본 발명의 목적 중 하나인 초박형 재료를 사용하여 제조된 용기의 색조, 표면 피막 밀착성 및 용접성을 항상 적절히 향상시키지는 않는다.As described in, for example,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s. Hei 11-197704, Hei 8-3781 and Hei 6-57448, it is well known that the surface conditions of steel sheets have a great influence on color tone, surface coating adhesion and weldability. to be. In addition,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Hei 7-9005 describes a method for controlling surface roughness. In the above publication, there is a need to precisely control the manufacturing conditions in order to control the surface conditions, but the productivity decrease is obviously inevitable. In addition, the conventional control methods described in these publications do not always adequately improve the color tone, surface coating adhesion, and weldability of containers made using ultra-thin materials, which are one of the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목적 중 하나는 특수 강판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초박형 판재를 사용하여 제조되는 용기에서 강판의 표면 상태에 따른 용기의 색조, 표면 피막 밀착성 및 용접성에 관련된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강판의 표면 상태 제어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생산성을 저하시킬 수도 있는 임의의 특수 처리를 방지할 수 있는 질화의 적용을 통해서 재료의 표면층 및 중간-두께층 모두에서 제어되는 임의의 상태에 의한 개선을 제공하는 것이다.One of the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related to the color tone, surface coating adhesion and weldability of the container according to the surface state of the steel sheet in a container manufactured by using an ultra-thin sheet material by providing a special steel sheet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control the surface state of the steel sheet and at the same time control any of both the surface layer and the mid-thickness layer of the material through the application of nitriding, which can prevent any special treatment that may reduce productivity. It is to provide an improvement by the state of.

일본 특허 출원 제2003-119381호 및 제2003-100720호는 후소둔 공정에서 강판을 질화하고 강판 두께 방향으로 질화 조건을 적절히 제어하는 기술을 설명한다. 이런 기술은, 예컨대 강판의 연성을 과도하게 저하시키지 않고도 용기의 내변형성을 크게 개선하기 위해 마련된다. 이들 재료의 용접성 등을 평가하는 동안, 강판의 표면 조건이 양호하게 됨으로써 용기의 색조, 표면 피막 밀착성 및 용접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조건이 존재함을 확인했다. 이들 특성은 강판 표면의 상태에 의존하며, 이런 종류의 재료에 대해 종래에 실행되었던 바와 같이 음극 전해를 적용하거나 계면 활성제를 사용하거나 Cr 산화물을 미세하게 제어하거나 미세 제어된 정밀 롤을 이용한 특수 압연 등을 수행하지 않은 경우에도, 초박형 강판 재료로 제조된 용기에 문제를 가져온다.Japanese Patent Application Nos. 2003-119381 and 2003-100720 describe a technique of nitriding steel sheets in a post annealing process and appropriately controlling nitriding conditions in the steel sheet thickness direction. Such a technique is provided for greatly improving the deformation resistance of the container without excessively reducing the ductility of the steel sheet, for example. While evaluating the weldability and the like of these materials, it was confirmed that there existed conditions in which the surface conditions of the steel sheet were satisfactory so that the color tone of the container, the surface coating adhesion, and the weldability could be greatly improved. These properties depend on the state of the surface of the steel sheet and, as previously practiced for this type of material, apply cathodic electrolysis, use surfactants, fine control of Cr oxides, special rolling with finely controlled precision rolls, etc. Even if this is not done, problems are brought about in containers made of ultra-thin steel sheet materials.

예컨대, 강재에서의 질소 함량을 증가시키기 위해 냉간 압연후 질화가 수행될 때, 단순히 다른 표면 경도를 생성한다고 해서 일반적으로 캔의 색조, 표면 피막 밀착성 또는 용접성이 반드시 향상되는 것은 아닐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는 강의 성분, 질화 조건 및 질화 후 강판 상태를 적절히 제어함으로써 초박형 재료로 제조된 캔의 색조, 표면 피막 밀착성 및 용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는 강판의 예시적인 실시예와 이에 대응하는 제조 방법은 이들 예시적인 장점을 달성하기 위해 바람직한 조건을 보여준다.For example, when nitriding is performed after cold rolling to increase the nitrogen content in the steel, simply producing different surface hardness may not generally improve the color tone, surface coating adhesion or weldability of the can. Howev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improve color tone, surface coating adhesion, and weldability of cans made of ultra-thin materials by appropriately controlling the steel components, nitriding conditions, and post-nitriding steel sheet state. In addition,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steel she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corresponding manufacturing methods show preferable conditions for achieving these exemplary advantages.

본 발명에 따르는 강판의 예시적인 실시예는 판의 두께가 0.400 ㎜ 이하인 용기용 강판으로서, 질량% 기준으로 C: 0.0800 % 이하, N: 0.600 % 이하, Si: 2.0 % 이하, Mn: 2.0 % 이하, P: 0.10 % 이하, S: 0.05 % 이하 및 Al: 2.0 % 이하를 함유하며, (1/8 두께 표면층의 N 함량) - (1/4 두께의 중간-두께층의 N 함량)은 10 ppm 이상이고 (1/8 두께 표면층의 N 함량)은 20000 ppm 이하이고 표면 거칠기는 Ra 기준으로 0.90 ㎛ 이하이고 1인치 길이당 요철형 피크의 수인 PPI는 250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steel she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ntainer steel sheet having a plate thickness of 0.400 mm or less, C: 0.0800% or less, N: 0.600% or less, Si: 2.0% or less, Mn: 2.0% or less based on mass% , P: 0.10% or less, S: 0.05% or less and Al: 2.0% or less, and (N content of 1/8 thick surface layer)-(N content of 1/4 thick mid-thick layer) is 10 ppm. (N content of the 1/8 thickness surface layer) is 20000 ppm or less, surface roughness is 0.90 μm or less based on Ra, and the number of uneven peaks per inch length is PPI of 250 or more.

본 발명에 따르는 강판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는 판의 두께가 0.400 ㎜ 이하인 용기용 강판으로서, 질량% 기준으로 C: 0.0800 % 이하, N: 0.600 % 이하, Si: 2.0 % 이하, Mn: 2.0 % 이하, P: 0.10 % 이하, S: 0.05 % 이하 및 Al: 2.0 % 이하를 함유하며, (1/8 두께 표면층의 강판 단면 평균 비커스 경도) - (1/4 두께의 중간-두께층의 강판 단면 평균 비커스 경도) > 10점 또는 (1/8 두께 표면층의 강판 단면 평균 비커스 경도) - (1/4 두께의 중간-두께층의 강판 단면 평균 비커스 경도) > 20점이고 표면 거칠기는 Ra 기준으로 0.90 ㎛ 이하이고 1인치 길이당 요철형 피크의 수인 PPI는 250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the steel she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ntainer steel sheet having a thickness of 0.400 mm or less, which is C: 0.0800% or less, N: 0.600% or less, Si: 2.0% or less, Mn: 2.0% based on mass% P: 0.10% or less, S: 0.05% or less, and Al: 2.0% or less, (steel sheet cross section average Vickers hardness of 1/8 thickness surface layer)-(steel sheet cross section of 1 / 4-thick intermediate-thickness layer) Average Vickers hardness)> 10 points or (average Vickers hardness of steel sheet cross section of 1/8 thick surface layer)-(average Vickers hardness of steel sheet cross section of 1/4 thick mid-thickness layer)> 20 and the surface roughness is 0.90 μm based on Ra PPI, which is less than and equal to the number of uneven peaks per inch, is characterized by being 250 or more.

본 발명에 따르는 강판의 예시적인 실시예는 질량% 기준으로 Ti: 0.05 % 이하, Nb: 0.05 % 이하 및 B: 0.015 % 이하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을 추가로 함유할 수 있다. 1/4 두께의 중간-두께층의 평균 성분에 있어서, 강판은 Ti: 4×C + 1.5×S + 3.4×N 이상, Nb: 7.8×C + 6.6×N 이상 및 B: 0.8×N 이상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을 함유할 수 있다. 또한, 강판은 질량% 기준으로 Cr: 20 % 이하, Ni: 10 % 이하 및 Cu: 5 % 이하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을 추가로 함유할 수 있다. 또한, 강판은 질량% 기준으로 전체 0.1 % 이하의 Sn, Sb, Mo, Ta, V 및 W를 추가로 함유할 수 있다.Exemplary embodiments of the steel she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contain one or two or more of Ti: 0.05% or less, Nb: 0.05% or less, and B: 0.015% or less on a mass% basis. In the average component of the 1 / 4-thick middle-thickness layer, the steel sheet is made of Ti: 4 × C + 1.5 × S + 3.4 × N or more, Nb: 7.8 × C + 6.6 × N or more and B: 0.8 × N or more It may contain one or more than two. In addition, the steel sheet may further contain one or two or more of Cr: 20% or less, Ni: 10% or less, and Cu: 5% or less. In addition, the steel sheet may further contain 0.1% or less of Sn, Sb, Mo, Ta, V, and W in total by mass.

본 발명에 따르는 용기용 강판 제조 방법의 예시적인 실시예는 판의 두께가 0.400 ㎜ 이하인 용기용 강판의 제조 방법으로서, 질량% 기준으로 C: 0.0800 % 이하, N: 0.0300 % 이하, Si: 2.0 % 이하, Mn: 2.0 % 이하, P: 0.10 % 이하, S: 0.05 % 이하, Al: 2.0 % 이하 및 잔량 Fe와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는 강판을 냉간 압연하는 단계와, 재결정 소둔과 동시에 또는 재결정 소둔 후에 강판의 두께 방향 전체에 걸쳐 N의 평균 함량 증가(질량%)가 6000 ppm 이하가 되도록 질화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1/8 두께 표면층의 N 농도 증가]는 20000 ppm 이하로 되고 [1/8 두께 표면층의 N 함량(질량%) 증가]/[1/4 두께 중간-두께층의 N 함량(질량%) 증가]의 절대값은 2.0 이상이 되고 표면 거칠기는 Ra 기준으로 0.90 ㎛ 이하로 되고 1인치 길이당 요철형 피크의 수인 PPI는 250 이상으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method for manufacturing a steel sheet for a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thod for producing a steel sheet for a container having a thickness of 0.400 mm or less, which is C: 0.0800% or less, N: 0.0300% or less, Si: 2.0% based on mass%. Cold rolling of a steel plate containing Mn: 2.0% or less, P: 0.10% or less, S: 0.05% or less, Al: 2.0% or less, and residual Fe and unavoidable impurities, simultaneously with recrystallization annealing or after recrystallization annealing Nitriding is carried out such that the average content increase (mass%) of N is 6000 ppm or less throughout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steel sheet, and [the N concentration increase of the 1/8 thickness surface layer] is 20000 ppm or less, and [1 / 8 increase in N content (mass%) of the surface layer] / [increase in N content (mass%) of the 1/4 thickness mid-thickness layer] is 2.0 or more and the surface roughness is 0.90 μm or less based on Ra. PPI, the number of uneven peaks per inch, And that is characterized.

본 발명에 따르는 용기용 강판 제조 방법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는 판의 두께가 0.400 ㎜ 이하인 용기용 강판의 제조 방법으로서, 질량% 기준으로 C: 0.0800 % 이하, N: 0.0300 % 이하, Si: 2.0 % 이하, Mn: 2.0 % 이하, P: 0.10 % 이하, S: 0.05 % 이하, Al: 2.0 % 이하 및 잔량 Fe와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는 강판을 냉간 압연하는 단계와, 재결정 소둔과 동시에 또는 재결정 소둔 후에 강판의 두께를 가로지르는 N 함량 증가가 6000 ppm 이하가 되도록 질화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1/8 두께 표면층의 강판 단면 평균 비커스 경도) - (1/4 두께의 중간-두께층의 강판 단면 평균 비커스 경도) > 10점 또는 (1/8 두께 표면층의 강판 단면 평균 비커스 경도) - (1/4 두께의 중간-두께층의 강판 단면 평균 비커스 경도) > 20점으로 만들고 표면 거칠기를 Ra 기준으로 0.90 ㎛ 이하로 만들고 1인치 길이당 요철형 피크의 수인 PPI를 250 이상으로 만드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the method for manufacturing a steel sheet for a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thod for producing a steel sheet for a container having a plate thickness of 0.400 mm or less, which is C: 0.0800% or less, N: 0.0300% or less, Si: 2.0 on a mass% basis. Cold rolling a steel sheet containing% or less, Mn: 2.0% or less, P: 0.10% or less, S: 0.05% or less, Al: 2.0% or less, and residual Fe and unavoidable impurities, simultaneously with recrystallization annealing or recrystallization annealing Nitriding is then performed such that an increase in N content across the thickness of the steel sheet is less than or equal to 6000 ppm, (steel plate cross section average Vickers hardness of 1/8 thick surface layer) − (1/4 thick mid-thickness layer). Steel plate cross section average Vickers hardness)> 10 points or (steel plate cross section average Vickers hardness of 1/8 thick surface layer)-(steel plate cross section average Vickers hardness of 1/4 thick mid-thickness layer)> 20 and make the surface roughness Ra 0.90 μm or less And a PPI of 250 or more, the number of uneven peaks per inch length.

예시적인 강판 성분은 질량% 기준으로 Ti: 0.05 % 이하, Nb: 0.05 % 이하 및 B: 0.015 % 이하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을 추가로 함유할 수 있다. 1/4 두께의 중간-두께층의 평균 성분을 기준으로 Ti: 4×C + 1.5×S + 3.4×N 이상, Nb: 7.8×C + 6.6×N 이상 및 B: 0.8×N 이상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이 포함될 수 있다.Exemplary steel sheet components may further contain one or two or more of Ti: 0.05% or less, Nb: 0.05% or less and B: 0.015% or less on a mass% basis. One of Ti: 4 × C + 1.5 × S + 3.4 × N or more, Nb: 7.8 × C + 6.6 × N or more and B: 0.8 × N or more, based on the average component of the quarter-thick middle-thickness layer, or More than one may be included.

다른 예시적인 강판 성분은 질량% 기준으로 Cr: 20 % 이하, Ni: 10 % 이하 및 Cu: 5 % 이하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을 추가로 함유할 수 있다. 또한, 강판 성분은 질량% 기준으로 전체 0.1 % 이하의 Sn, Sb, Mo, Ta, V 및 W를 추가로 함유할 수 있다. 재결정 소둔과 동시에 또는 재결정 소둔 후에 질화를 수행하기 위해서, 강판은 1초 이상 360초 이하 동안 0.02 % 이상의 암모니아 가스 분위기에서 강판 온도를 550 내지 800 ℃로 하여 유지됨으로써, 질화 후 550 ℃ 이상의 고온 범위의 열이력에서 온도(℃)와 시간(초)의 곱을 48000 이하로 만들거나 평균 냉각 속도를 550 ℃ 내지 300 ℃에서 10 ℃/초 이상으로 만들 수 있다. 재결정 소둔 및 질화 전 또는 후의 재냉간 압연 압하율은 20 % 이하로 될 수 있다.Other exemplary steel sheet components may further contain one or two or more of Cr: 20% or less, Ni: 10% or less and Cu: 5% or less on a mass% basis. In addition, the steel sheet component may further contain 0.1% or less of Sn, Sb, Mo, Ta, V, and W in total based on mass%. In order to perform nitriding at the same time as recrystallization annealing or after recrystallization annealing, the steel sheet is maintained at a temperature of 550 to 800 ° C. in an ammonia gas atmosphere of at least 0.02% for at least 360 seconds for at least 1 second, so that after the nitriding, the steel sheet is maintained in a high temperature range of at least 550 ° C. The product of temperature (° C) and time (seconds) in the thermal history can be made 48000 or less, or the average cooling rate can be made from 550 ° C to 300 ° C to 10 ° C / sec or more. The re-cold rolling reduction rate before or after recrystallization annealing and nitriding can be 20% or less.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는 용기용 강판 및 그 제조 방법은 질화 후의 복잡한 공정과 이런 복잡한 공정으로 인한 생산성 저하를 방지하면서 용기의 색조, 표면 피막 밀착성 및 용접성을 개선할 수 있다. 따라서, 초박형 용기를 위한 강판을 제조하기 위해 복잡한 처리를 하는 종래의 강판 및 방법만큼의 높은 생산성을 유지하고 산업상 유용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The steel sheet for a container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an improve the color tone, surface coating adhesion and weldability of the container while preventing the complicated process after nitriding and the decrease in productivity due to such a complicated process. Thus, it is possible to maintain productivity as high as that of conventional steel sheets and methods that perform complex processing to produce steel sheets for ultra-thin containers and to provide industrially useful effects.

도1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는 용기용 강판의 1/4 두께 표면층 및 1/8 두께 표면층의 예시적인 프로파일 도면이다.1 is an exemplary profile view of a quarter thickness surface layer and a 1/8 thickness surface layer of a container steel sheet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2는 비커스 경도 측정 위치가 강판 상에 마련된 도1의 층을 도시한 도면이다.Fig. 2 shows the layer of Fig. 1 in which the Vickers hardness measurement position is provided on a steel sheet.

이하,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사용되는 강판 성분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강재 성분은 질량% 기준으로 표시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steel sheet component used in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Steel components will be indicated on a mass% basis.

소둔 이전의 C 함량의 특별한 상한은 가공성 저하를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C: 0.0800 %로 설정된다. 예컨대, 상한은 0.0600 % 이하이거나, 보 다 바람직하게는 0.0400 % 이하이다.The particular upper limit of the C content before annealing is preferably such as to prevent workability deterioration and C is set to 0.0800%. For example, an upper limit is 0.0600% or less, More preferably, it is 0.0400% or less.

C와 유사한 특성을 갖는 N의 함량이 소둔 후 질화에 의해 증가될 수 있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는 강판은 강도 등을 보장하는 관점에서 바람직한 낮은 C 함량을 가질 수 있다. 강도는 C: 0.0050 % 이하로 보장될 수 있으며, 0.0020 % 이하도 마찬가지로 허용 가능하다. 0.0015 % 이하에서, 질화량과의 균형에 따라 일반적인 용기 재료를 위한 표준에서 벗어날 수 있는 초연성재를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다.A steel sheet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content of N having properties similar to C may be increased by nitriding after annealing may have a low C content, which is preferable in terms of ensuring strength and the like. Strength can be ensured at C: 0.0050% or less, and 0.0020% or less is likewise acceptable. At 0.0015% or less, it is possible to produce super ductile materials which, depending on the balance with the amount of nitride, deviate from the standard for common container materials.

C에서와 마찬가지로, 소둔 이전의 N 함량의 상한은 가공성 저하를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N: 0.0300 %로 설정된다. N: 0.0200 % 이하가 바람직할 수 있고 N: 0.0150 % 이하가 보다 바람직할 수 있고 N: 0.0100 %도 보다 더욱 바람직하고 N: 0.0050 % 이하도 바람직할 수 있고 N: 0.0030 %도 또한 바람직하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소둔 후 질화에 의해 함유되는 N은 캔의 색조, 표면 피막 밀착성 및 용접성과 관련하여 유익한 효과를 제공하며, 소둔 전에 존재하는 N과 다른 효과를 갖는다.As in C, the upper limit of the N content before annealing is preferably such as to prevent workability deterioration, and N is set to 0.0300%. N: 0.0200% or less may be preferable, N: 0.0150% or less may be more preferable, N: 0.0100% is even more preferable, N: 0.0050% or less may also be preferable, and N: 0.0030% is also preferable. As described below, N contained by nitriding after annealing provides a beneficial effect in terms of color tint, surface coating adhesion and weldability of the can, and has a different effect than N present before annealing.

Si가 용기의 강도를 조절하기 위해 첨가될 수 있다. 과량의 Si는 가공성 및 피막 특성을 저하시킬 수 있으며, 따라서 2.0 % 이하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는 강재에서, Si는 질화에 의해 강재 내로 침투하는 N과 반응하여 결정립계에 질화물을 형성함으로써 취화 균열을 일으키고 본 발명의 효과를 저해하며, 따라서 Si를 1.5 % 이하 또는 1.0 % 이하로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Si may be added to adjust the strength of the vessel. Excess Si can reduce workability and coating properties, and therefore it is preferably at most 2.0%. In the stee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 reacts with N penetrating into the steel by nitriding to form nitrides at grain boundaries, causing embrittlement cracking and inhibiting 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us limiting Si to 1.5% or less or 1.0% or less. It may be desirable to.

Mn이 강도를 조절하기 위해 첨가될 수 있다. 과량의 Mn은 가공성을 저하시키므로, 2.0 % 이하로 설정된다.Mn may be added to adjust the strength. Excess Mn lowers workability and is therefore set to 2.0% or less.

P가 강도를 조절하기 위해 첨가될 수 있다. 과량의 P는 가공성을 저하시킬 뿐만 아니라 강판의 질화를 방해하므로 바람직하게는 P를 0.10 % 이하로 설정한다.P may be added to adjust the strength. Excess P not only lowers workability but also hinders nitriding of the steel sheet, and therefore P is preferably set to 0.10% or less.

S는 고온 연성을 저하시키며 주조와 열간 압연을 방해하므로, 0.05 % 이하로 설정된다.S deteriorates high temperature ductility and hinders casting and hot rolling, so it is set to 0.05% or less.

Al은 탈산을 위해 첨가될 수 있는 원소이다. 과량의 Al은 주조를 보다 어렵게 만들며 표면 결함의 증가와 같은 손상을 일으키므로, Al은 2.0 % 이하로 설정될 수 있다.Al is an element that can be added for deoxidation. Excess Al makes casting more difficult and causes damage such as an increase in surface defects, so Al can be set to 2.0% or less.

이하, 용기용 강판에서 고려되는 상술한 기본적인 원소 이외의 원소에 의한 효과 및 그 제어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effect by the element other than the above-mentioned basic element considered in the steel plate for containers, and its control are demonstrated.

Ti는 강판의 재결정 온도를 증가시키고 본 발명의 목적 중 하나인 초박형 강판의 소둔 통판성(pass-through)을 떨어뜨린다. 따라서, Ti는 0.050 % 이하로 될 수 있다. 특히 높은 r값을 필요로 하지 않는 일반적인 용도에서는 Ti를 첨가할 필요가 없으며, 바람직하게는 0.03 %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02 % 이하로 된다.Ti increases the recrystallization temperature of the steel sheet and lowers the pass-through of the ultra-thin steel sheet, which is one of the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i can be 0.050% or less. In general use which does not require high r value, it is not necessary to add Ti, Preferably it is 0.03% or less, More preferably, it is 0.02% or less.

Nb는 Ti와 유사한 효과를 가지며, 강판의 재결정 온도를 증가시키고 본 발명의 목적 중 하나인 초박형 강판의 소둔 통판성을 크게 떨어뜨린다. 따라서, Nb는 바람직하게는 0.050 % 이하로 된다. 특히 높은 r값을 필요로 하지 않는 일반적인 용도에서는 Nb를 첨가할 필요가 그렇게 많지 않으며, 바람직하게는 0.03 %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01 % 이하로 된다.Nb has a similar effect to Ti, and increases the recrystallization temperature of the steel sheet and greatly reduces the annealing and passing property of the ultra-thin steel sheet, which is one of the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Nb becomes like this. Preferably it becomes 0.050% or less. In general use which does not require especially high r value, it is not necessary to add Nb so much, Preferably it is 0.03% or less, More preferably, it is 0.01% or less.

약 0.01 % 이상의 Ti 및 Nb를 함유하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는 강판에 B가 첨가될 경우, 강판의 재결정 온도가 증가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목적 중 하나인 초박형 강판의 소둔 통판성은 크게 저하된다. 한편, Ti와 Nb의 함량이 낮은 경우, 이와 관련된 역효과는 거의 없으며, 재결정 온도는 실질적으로 저하됨으로써 재결정 소둔을 저온에서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B는 소둔 통판성을 개선하는 효과를 갖기 때문에, B는 적극적으로 첨가될 수 있다. 그러나, 과도하게 첨가될 경우, 주조 동안 슬랩(블룸, 빌렛 등을 포함)의 균열이 현저해지므로, 그 상한은 바람직하게는 0.015 %이다. 재결정 온도를 낮추고 소둔 통판성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질화 전의 N에 대한 관계를 B/N = 0.6 내지 1.5로 만드는 것으로 충분하다.When B is added to a steel sheet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taining about 0.01% or more of Ti and Nb, the recrystallization temperature of the steel sheet may be increased, and the annealing through-holes of the ultra-thin steel sheet, which is one of the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greatly increased. Degrades. On the other hand, when the content of Ti and Nb is low, there is almost no adverse effect associated with it, and the recrystallization temperature is substantially lowered to allow recrystallization annealing to be performed at low temperature. In addition, since B has an effect of improving annealing and passing through, B can be actively added. However, when excessively added, the crack of the slab (including bloom, billet and the like) becomes prominent during casting, so the upper limit thereof is preferably 0.015%. In order to lower the recrystallization temperature and improve the annealing pass-through, it is sufficient to make the relationship to N before nitriding to B / N = 0.6 to 1.5.

또한, 질화 전까지 고용 상태의 Ti를 유지해서 질화 동안 표면으로부터 강판 내로 침투한 N으로 인해 특히 강판 표면에 Ti 질화물을 형성시킴으로써 효과를 증가시키기 위해, 1/4 두께 중간-두께층의 평균 성분을 기준으로 Ti: 4×C + 1.5×S + 3.4×N 이상, Nb: 7.8×C + 6.6×N 이상 및 B: 0.8×N 이상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처럼, 본 발명의 표면층의 N 함량은 질화 전후에 크게 변하고 이에 따라 상술한 값들이 변하므로 1/4 두께 중간-두께층의 평균 성분은 특정될 수 있다.In addition, in order to increase the effect by maintaining Ti in solid solution until nitriding and forming Ti nitride especially on the steel sheet surface due to N penetrating into the steel sheet from the surface during nitriding, the average component of the quarter-thick middle-thickness layer is referred to. Therefore,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t least one of Ti: 4 × C + 1.5 × S + 3.4 × N or more, Nb: 7.8 × C + 6.6 × N or more, and B: 0.8 × N or more. As such, the N content of the surface layer of the present invention varies greatly before and after nitriding and thus the above-described values change, so that the average component of the quarter-thick middle-thickness layer can be specified.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질화로 인한 변화가 작은 1/4 두께 중 간-두께층의 평균 성분을 사용함으로써 질화 후 최종 강판의 값을 특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증가된 내식성과 같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의해 특정되지 않은 특성을 부여하기 위해, Cr: 20 % 이하, Ni: 10 % 이하 및 Cu: 5 % 이하를 첨가하는 것은 결코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다. 특히, 질화 전 강재에 고용된 Cr은 질화로 인해 강판 내로 침투한 N과 결합해서 강재, 특히 강판 표면에 미세한 Cr 질화물을 형성하는 효과를 가짐으로써, 본 발명의 효과를 증가시키기 위해 이들 질화물을 사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이를 위해, 0.01 % 이상의 Cr을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Cr은 또한 강판의 재결정 온도를 증가시키고 첨가량이 과도한 경우 본 발명의 목적 중 하나인 초박형 강판의 소둔 통판성을 크게 저하시킬 수 있다. 재결정 온도의 증가로 인한 소둔 통판성의 저하를 방지하기 위해, Cr의 첨가량을 2.0 % 이하로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0.6 % 이하에서, 재결정 온도의 상승은 실질적인 문제를 일으키지 않을 정도로 억제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specify the value of the final steel sheet after nitriding by using the average component of the mid-thickness layer having a small change due to nitriding. In addition, in order to impart properties not specified by the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such as increased corrosion resistance, adding Cr: 20% or less, Ni: 10% or less and Cu: 5% or less is by no means Does not impair the effect In particular, Cr dissolved in steel before nitriding has the effect of forming fine Cr nitrides on the surface of steels, especially steel sheets, in combination with N, which has penetrated into the steel sheet due to nitriding, thereby using these nitrides to increase the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Makes it possible. For this purpose, it is preferable to add 0.01% or more of Cr. However, Cr also increases the recrystallization temperature of the steel sheet and when the addition amount is excessive, it can greatly reduce the annealing through-holes of the ultra-thin steel sheet which is one of the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prevent the annealing sheet | seat fall off by the increase of recrystallization temperature, it is preferable to restrict the addition amount of Cr to 2.0% or less. At 0.6% or less, the increase in the recrystallization temperature can be suppressed to the extent that no substantial problem arises.

또한, 본 발명의 효과를 전혀 저하시키지 않고도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명백히 특정되지 않은 특성을 부여하기 위해 전체 0.1 % 이하의 Sn, Sb, Mo, Ta, V 및 W가 포함될 수 있다.In addition, up to 0.1% of Sn, Sb, Mo, Ta, V, and W in total may be included to impart properties that are not explicitly specified in the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any degrading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술한 원소 중에서, P, B, Sn 및 Sb는 일정 조건 하에서 본 발명의 중요한 조건인 질화의 효율성을 낮출 수 있으며, 따라서 질화 조건과 균형되게 그 최대 함량을 제한하는 것을 고려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mong the above-mentioned elements, P, B, Sn and Sb can lower the efficiency of nitriding, which is an important cond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under certain conditions, and it is therefore desirable to consider limiting its maximum content in balance with nitriding conditions.

이하, 도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강판 두께 방향으로의 구분을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ure 1 will be described the division in the steel plate thickness direction that can be used to describe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예컨대, "1/8 두께 표면층"은 도1에서 대응하는 영역을 나타낸다. 또한, "1/4 두께 중간-두께층"은 도1에서 대응하는 영역을 나타낸다. "1/8 두께 표면층"에 대응하는 영역은 강판의 양면 상에 존재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이런 표면의 적어도 일면이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모든 재료에 적용될 수 있다. 상부와 바닥 사이의 질소 분포 또는 경도 분포는 질화 후 다양한 유형의 처리에 의해서 뿐만 아니라 질화 방법 및 질화 전의 표면 처리에 의해 변경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는 다른 상부 및 바닥 표면층을 갖는 강판에도 적용된다. 이는 본 발명의 일부 목적인 색조, 표면 피복 밀착성 및 용접성을 예컨대 일 표면 상에만 달성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이다.For example, " 1/8 thickness surface layer " represents the corresponding area in FIG. Further, " a quarter thickness mid-thickness layer " represents the corresponding area in FIG. Regions corresponding to “1/8 thickness surface layers” may be present on both sides of the steel sheet, and in accordance with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t least one side of such surfaces may be applied to all materials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nitrogen distribution or hardness distribution between the top and the bottom can be altered not only by various types of treatment after nitriding but also by the nitriding method and the surface treatment before nitriding.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also apply to steel sheets having other top and bottom surface layers. This is because it is possible to achieve color tone, surface coating adhesion and weldability, for example, only on one surface, which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1/8 두께 표면층에서의 N 함량"은 대상 영역만을 남기도록 강판을 연마 처리한 후에 분석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1/4 두께 중간-두께층의 N 함량"의 경우, 대상 영역만을 남기도록 강판을 연마 처리한 후에 분석에 의해 얻어진 그 분석 값이 사용된다.The "N content in the 1/8 thickness surface layer" can be determined by analysis after polishing the steel sheet to leave only the target area. Likewise, in the case of "N content of the quarter-thick middle-thickness layer", the analysis value obtained by the analysis after polishing the steel sheet to leave only the target area is used.

"1/8 두께 표면층의 강판 단면 평균 비커스 경도"와 "1/4 두께 중간-두께층의 강판 단면 평균 비커스 경도"의 경우, 강판 단면의 두께 방향으로 경도 분포에 대한 적절한 평가를 허용하도록 충분히 작은 압흔을 남기는 하중을 이용하여 두께 방향으로 여러 위치에서 측정된 비커스 경도값이 사용될 수 있다. 두께 방향으로의 측정 위치는 1/8 두께 내의 적어도 두 측정 위치에서 얻도록 설정될 수 있고 두께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떨어져 있다. 그 후, 각 영역에서 측정된 값의 평균이 각각의 단면 평균 경도로서 판단된다. 압흔점 사이의 거리는 주의를 요하지만, 일반 적으로 비커스 경도 결정에 있어서, 가장 근접한 압흔으로부터의 적절한 거리는 압흔점의 크기에 따라 마련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판의 방향을 따라 적절한 거리를 두고 변위시킴으로써 압흔점 사이에 적절한 거리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강판 표면에 가까운 영역에서 강판 표면의 영향이 문제될 수 있으며, 이런 경우 동등하게 적층되어 결속된 강판 상에서 얻어진 단면 경도의 측정값이 사용될 것이다.For "steel plate cross section average Vickers hardness of 1/8 thick surface layer" and "steel plate cross section average Vickers hardness of 1/4 thick mid-thickness layer", small enough to allow proper evaluation of the hardness distribution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steel sheet cross section. Vickers hardness values measured at various locations in the thickness direction using loads leaving indentations can be used. The measurement positions in the thickness direction can be set to be obtained at at least two measurement positions within 1/8 thickness and are spaced at equal intervals in the thickness direction. Then, the average of the values measured in each area is judged as the respective cross-sectional average hardness. Although the distance between the indentations requires attention, in general, in Vickers hardness determination, a suitable distance from the nearest indentation may be provided depending on the size of the indentation point. To this end, as shown in Figure 2, by displacing at an appropriate distance along the direction of the steel sheet to maintain an appropriate distance between the indentation point. In addition, the influence of the steel plate surface in the region close to the steel plate surface may be a problem, in which case the measured value of the cross-sectional hardness obtained on the equally laminated and bound steel sheet will be used.

"1/8 두께 표면층의 강판 단면 최대 비커스 경도"와 "1/4 두께 중간-두께층의 강판 단면 최대 비커스 경도"는 상술한 "1/8 두께 표면층의 강판 단면 평균 비커스 경도"와 "1/4 두께 중간-두께층의 강판 단면 평균 비커스 경도"로부터 얻은 경도 분포에서 각 영역에 대한 최대 경도를 나타낸다."Steel sheet cross section maximum Vickers hardness of 1/8 thick surface layer" and "Steel sheet cross section maximum Vickers hardness of 1/4 thick mid-thickness layer" described above "Steel sheet cross section average Vickers hardness of 1/8 thick surface layer" and "1 / 4 hardness represents the maximum hardness for each region in the hardness distribution obtained from "steel plate cross section average Vickers hardness of medium-thickness layer".

분석값과 경도 분포는 성분 원소의 국부적 편석과 구조적 불균일성으로 인해 일반적으로 어느 정도의 오차와 편차를 나타내며, 이상치를 배제하기에 충분한 적절한 양으로 여러 번의 시도를 거쳐 결정될 수 있다.Analytical values and hardness distributions generally exhibit some degree of error and deviation due to local segregation and structural non-uniformity of the constituent elements, and can be determined by several attempts at an appropriate amount sufficient to exclude outliers.

이하, 질화로 인한 N의 증가와 소둔 후의 N 함량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중요한 조건인 질화의 상태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state of nitriding, which is an important condition of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ing the increase of N due to nitriding and the N content after annealing will be described.

본 발명에 따른 예시적인 실시예는 강판의 표면층 부분과 중간-두께층 부분 사이에 N 함량의 차이가 생성될 수 있음을 전제한다. 이런 차이는 (1/8 두께 표면층의 N 함량) - (1/4 두께의 중간-두께층의 N 함량)으로서 특정된다. 이런 값은 100 ppm으로 설정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200 ppm, 보다 바람직하게는 300 ppm,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500 ppm, 더욱 바람직하게는 1000 ppm, 조금 더 바람직하게 는 2000 ppm, 그리고 여전히 보다 바람직하게는 3000 ppm으로 설정될 수 있다. 차이가 이보다 작을 경우, 본 발명의 일부 목적인 색조, 표면 피복 밀착성 및 용접성이 달성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질화 함량의 차이로 인해 재료의 품질이 사실상 변함으로써 실제 제조시 코일 내의 그리고 코일 사이에서 재료의 품질에 상당한 편차를 가져올 수 있다. 또한, (1/8 두께 표면층의 N 함량)의 상한은 20000 ppm으로 설정될 수 있다. 최외층의 N 함량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정상적인 조건 하에서 20000 ppm 이상으로 되고 이는 도금 결함과 같은 표면 문제를 일으키기 쉽기 때문에 평균해서 20000 ppm이 1/8 두께 표면층에 대해 특정될 수 있다. 이런 상황에 기초해서, (1/8 두께 표면층의 N 함량)의 상한은 바람직하게는 6000 ppm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3000 ppm으로 설정된다.An exemplary embodiment according to the invention presupposes that a difference in N content can be produced between the surface layer portion and the mid-thickness layer portion of the steel sheet. This difference is specified as (N content of 1/8 thickness surface layer) minus (N content of mid-thickness layer of 1/4 thickness). This value can be set to 100 ppm, preferably 200 ppm, more preferably 300 ppm, even more preferably 500 ppm, more preferably 1000 ppm, more preferably 2000 ppm, and still more Preferably 3000 ppm. If the difference is smaller than this, not only the color tone, surface coating adhesion and weldability, which are the objective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achieved, but the quality of the material is substantially changed due to the difference in the nitriding content, so that the quality of the material in the coil and between the coils in actual manufacturing is changed. It can lead to significant deviations. In addition, the upper limit of (N content of the 1/8 thickness surface layer) may be set to 20000 ppm. The N content of the outermost layer becomes more than 20000 ppm under the normal conditions of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on average 20000 ppm can be specified for the 1/8 thickness surface layer since it is easy to cause surface problems such as plating defects. Based on this situation, the upper limit of (N content of the 1/8 thickness surface layer) is preferably set to 6000 ppm and more preferably to 3000 ppm.

강재의 표면층과 중간-두께층 사이에 나타나는 최종적인 경도차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다른 두드러진 특징이다. 이런 차이는 1/8 두께 표면층의 강판 단면 최대 비커스 경도 - 1/4 두께 중간-두께층의 강판 단면 최대 비커스 경도로서 특정될 수 있으며, 그 값은 10점 이상이고, 바람직하게는 30점 이상,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90점 이상이다. 차이가 이런 값보다 작은 경우, 본 발명의 일부 목적인 색조, 표면 피복 밀착성 및 용접성이 얻어질 수 없다. 또한, 강재의 표면층과 중간-두께층 사이의 경도차는 (1/8 두께 표면층의 강판 단면 최대 비커스 경도) - (1/4 두께 중간-두께층의 강판 단면 최대 비커스 경도)로서 특정될 수 있다. 이 경우, 이 값은 20점 이상이고, 바람직하게는 60점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20점 이상으로 될 수 있다.The final hardness difference between the surface layer and the mid-thickness layer of the steel is another prominent feature of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is difference can be specified as the steel sheet cross section maximum Vickers hardness of the 1/8 thickness surface layer minus the steel sheet cross section maximum Vickers hardness of the 1/4 thickness mid-thickness layer, the value being at least 10 points, preferably at least 30 points, More preferably, it is 90 points or more. If the difference is smaller than this value, color tone, surface coating adhesion and weldability which are some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not be obtained. Further, the hardness difference between the surface layer of the steel material and the mid-thickness layer can be specified as (steel plate cross section maximum Vickers hardness of the 1/8 thickness surface layer)-(steel plate cross section maximum Vickers hardness of the 1/4 thickness medium-thickness layer). In this case, this value is 20 points or more, Preferably it is 60 points or more, More preferably, it can be 120 points or more.

상술한 바와 같이 중간-두께층의 값들에 비교해서 N 함량과 표면층의 경도를 제어하기 위해서는 질화 전 상태도 적절해야만 한다. 예컨대, 질화 전 강판의 N 함량은 상술한 바와 같이 바람직하게는 0.0300 %로 된다. 질화 전에 많은 N 함량이 미리 함유된 경우, 본 발명의 효과를 생성하기가 어렵게 될 수 있다. 또한, 가공성의 저하를 방지하면서 질화에 의한 N 함량을 증가시키기 위해, 질화 후 N 함량의 상한은 N: 0.600 % 이하로 설정될 필요가 있다. N 함량은 바람직하게는 N: 0.300 %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N: 0.150 % 이하이고,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N: 0.100 % 이하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N: 0.050 % 이하이고, 여전히 보다 바람직하게는 N: 0.030 % 이하이다. 그러나, 높은 N 함량은 단지 질화에 의해 경화된 영역을 더욱 경화시킬 뿐만 아니라 질화의 효과를 안정적으로 얻기 위해서 바람직하다.As described above, in order to control the N content and the hardness of the surface layer as compared to the values of the mid-thickness layer, the state before nitriding must also be appropriate. For example, the N content of the steel sheet before nitriding is preferably 0.0300% as described above. If a large amount of N is previously contained before nitriding, it may be difficult to produce 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in order to increase the N content by nitriding while preventing workability deterioration, the upper limit of the N content after nitriding needs to be set to N: 0.600% or less. The N content is preferably N: 0.300% or less, more preferably N: 0.150% or less, even more preferably N: 0.100% or less, still more preferably N: 0.050% or less, still more preferred. N: 0.030% or less. However, a high N content is desirable not only to further cure the region cured by nitriding but also to stably obtain the effect of nitriding.

또한,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N 증가는 전체 강판 두께에 걸쳐 확장될 필요가 없다. 예컨대, (1/8 두께 표면층의 N 증가)/(1/4 두께 중간-두께층의 N 증가)의 절대값이 2.0 이상이 되도록 표면층 부분의 N 함량을 효율적으로 증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절대값을 특정하는 이유는 그 성분이 거의 변하지 않는 중간-두께층의 N 함량의 분석값이 어떤 경우 측정에 따른 다양한 유형의 오차와 변이로 인해 전체 강판 두께에 대한 값보다 작아질 수 있기 때문이다. 이 계수는 바람직하게는 3.0으로 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0 이상으로 되고,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10 이상으로 된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N increase does not need to extend over the entire steel sheet thickness. For example, it is preferable to efficiently increase the N content of the surface layer portion so that the absolute value of (increase N of the 1/8 thickness surface layer) / (increase N of the 1/4 thickness mid-thickness layer) becomes 2.0 or more. The reason for specifying the absolute value here is that the analytical value of the N content of the intermediate-thickness layer, whose components hardly change, may in some cases be smaller than the value for the overall steel thickness due to various types of errors and variations in the measurements. Because. This coefficient becomes like this. Preferably it becomes 3.0, More preferably, it becomes 5.0 or more, More preferably, it becomes 10 or more.

이하, 본 발명의 가장 큰 효과인 표면 상태의 제어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표면 상태를 설명하고자 할 경우 다양한 가능성이 있지만,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는 표면 거칠기인 Ra와 1인치 길이당 요철형 피크의 수인 PPI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그 결정 방법에 대하여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추적자 및 레이저 방법과 같은 종래의 방법, 2차원 및 3차원 측정 등이 사용될 수 있다.Hereinafter, the control of the surface state which is the greatest effect of this invention is demonstrated. Although there are various possibilities to describe the surface state,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escribed based on surface roughness Ra and PPI, the number of uneven peaks per inch length. There is no particular limitation on the determination method, and conventional methods such as a tracker and a laser method, two-dimensional and three-dimensional measurement, and the like can be used.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는 Ra가 0.90 ㎛ 이하이고 PPI가 250 이상이라는 점에 있어 구별될 수 있다. Ra가 너무 높거나 PPI가 너무 낮은 경우, 본 발명의 목적인 색조, 표면 피복 밀착성, 용접성 등의 특성은 표면의 요철로 인해 악화될 것이다. Ra는 바람직하게는 0.80 ㎛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70 ㎛ 이하이고,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0.60 ㎛ 이하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50 ㎛ 이하이다. 또한, PPI는 바람직하게는 300 이상이고, 여전히 바람직하게는 350 이상이고,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400 이상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450 이상이고, 여전히 보다 바람직하게는 500 이상이다. 정성적으로, 균일한 높이의 요철이 고밀도로 존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Ra에 대해 특정된 특별한 하한 값은 없으며, 이는 질화 조건, 조질 압연 조건 등에 기초해서 목적에 적절한 값으로 제어될 수 있다. 그러나, Ra의 하한 값은 바람직하게는 0을 포함하지 않으며, 실질적으로는 0.02 ㎛ 이상일 수 있다. PPI의 상한도 특정되지 않으며, 목적에 따라 질화 조건, 조질 압연 조건 등에 기초해서 제어될 수 있다. 기본적으로, N 농도가 표면에 가까울수록 높아지도록 N이 더 많이 편석될수록 Ra는 더 많아지고 PPI가 더 높아질 것이다. N을 표면쪽으로 편석시키는 한 가지 예시적인 방법은 암모니아 분위기에서 비교적 짧은 시간 동안 질화를 수행하는 것이다. 표면 상태는 조질 압연 동안의 압하율, 패스 의 수 및 롤의 거칠기, 도금 수행시의 도금 조건 등 뿐만 아니라 이미 존재하는 강 성분 및 결정립 직경, 소둔 온도 및 냉간 압연 조건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다. 따라서, 표면 상태를 특정 범위로 제한하는 것은 어렵지만, 기본적인 제어는 종래에 수행된 것과 동일하며 여러 번의 시험 후 기술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문제없이 달성될 수 있다.Exemplary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can be distinguished in that Ra is 0.90 μm or less and PPI is 250 or more. If Ra is too high or PPI is too low, the characteristics such as color tone, surface coating adhesion, weldability, etc., which ar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teriorated due to the surface irregularities. Ra is preferably 0.80 µm or less, more preferably 0.70 µm or less, even more preferably 0.60 µm or less, and still more preferably 0.50 µm or less. In addition, the PPI is preferably at least 300, still preferably at least 350, even more preferably at least 400, even more preferably at least 450, still more preferably at least 500. Qualitatively, it is preferable that unevenness | corrugation of uniform height exists in high density. There is no special lower limit value specified for Ra, which can be controlled to a value suitable for the purpose based on nitriding conditions, temper rolling conditions and the like. However, the lower limit of Ra preferably does not include 0 and may be substantially 0.02 μm or more. The upper limit of the PPI is also not specified, and may be controlled based on nitriding conditions, temper rolling conditions and the like depending on the purpose. Basically, the more N is segregated so that the N concentration is closer to the surface, the more Ra will be and the higher the PPI will be. One exemplary method of segregating N towards the surface is to perform nitriding for a relatively short time in an ammonia atmosphere. Surface conditions can be influenced by already existing steel components and grain diameters, annealing temperatures and cold rolling conditions, as well as rolling reduction during temper rolling, number of passes and roughness of rolls, plating conditions when performing plating, and the like. Thus, although it is difficult to limit the surface state to a specific range, basic control is the same as that performed conventionally and can be achieved without problems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fter several tests.

종래에는, 이런 방식으로 거칠기를 제어하기 위해, 거칠기는 강판 표면에 대한 도금의 밀착 상태 등에도 크게 의존하기 때문에, 소둔 후의 조질 압연 동안 로울의 요철을 전사하거나 피막 등의 형태적 제어를 정밀하게 수행하는 것 뿐만 아니라 특수한 전해 처리 또는 금속 또는 그 밖의 재료의 도금과 같은 표면 피복에 기초한 형태학적 제어를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는 이런 조건에 의해서는 거의 영향을 받지 않음으로써 제조 작업에 유리하게 될 수 있다. 예컨대, 롤의 요철들과 관련하여, 종래에는, 롤의 요철이 롤링에 의해 마모되기 때문에, 강판 표면의 요철을 바람직한 범위 내에 유지하기 위해 롤의 재배치 또는 요철 가공을 자주 수행해야만 함으로써, 롤 보수를 위한 생산 중단과 같이 생산성과 노동에 과도한 부담을 주었다. 이에 반해, 본 발명에 따르면, 강판의 표면 상태는 조질 압연의 방법에 의해서는 거의 영향을 받지 않고 롤의 요철 마모를 관리할 필요가 크지 않음으로써 대량 생산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금속 도금의 형태와 관련하여, 도금 조건 등을 특히 정밀하게 제어하지 않고도 균일한 형태의 아주 미세한 도금 피막을 균일하게 분산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강판 표면의 거칠기는 거칠기를 생성하는 기술과 조건에 의해 이런 식으로 거의 영향을 받지 않는 이유는 분명하지 않지만, 거칠기를 생성하는 원인은 강판 자체에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이하 이런 기술의 기구를 설명하기로 한다.Conventionally, in order to control the roughness in this manner, since the roughness largely depends on the adhesion state of the plating to the surface of the steel sheet, etc., the roughness of the roll is transferred or the morphological control of the film is precisely performed during temper rolling after annealing. It is also possible to perform morphological control based on surface coatings such as special electrolytic treatment or plating of metals or other materials. Howev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dvantageous for manufacturing operations by being hardly affected by such conditions. For example, in connection with the unevenness of the roll, conventionally, since the unevenness of the roll is worn out by rolling, the roll repair needs to be frequently performed by repositioning or uneven processing of the roll in order to keep the unevenness of the steel sheet surface within the desired range. Excessive burden on productivity and labor, such as production interruption. 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urface state of the steel sheet is hardly affected by the method of temper rolling, and it is not necessary to manage the uneven wear of the roll, so that mass production can be performed. In addition, with regard to the form of metal plating, it becomes possible to uniformly disperse a very fine plated film of a uniform form without particularly controlling the plating conditions and the like. It is not clear why the roughness of the steel sheet surface is hardly affected in this way by the technique and conditions for producing the roughness, but it is believed that the cause of the roughness is due to the steel sheet itself. The mechanism of this technique will now be described.

예컨대, 큰 N 농도차와 최종적인 경도차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강재의 표면과 중간-두께층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특히 강판의 최외부 표면층의 N 농도는 종래의 분해 작용에 의해서 얻어지는 강재에서는 일반적으로 얻어질 수 없는 높은 N 농도를 함유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한편, 강판의 중간-두께층은 종래의 강판 정도의 연질이다. 이런 판재가 압연 처리될 때, 많은 미세한 균열이 표면층에 형성됨으로서 열악한 연성을 갖게 되고, 이는 본 발명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의해 특정되고 용기용 강판에 필수적인 강판 표면의 요철에 직접적 그리고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생각된다. 이 경우, 처리 조건이 아닌 강판 자체에 고유한 광 처리에 의해 생성되는 요철을 형성하는 본 발명의 강판의 성능은 강판의 표면층 부분과 중간-두께층 부분 사이의 연성차로 인한 것이고 간접적으로는 경도차로 인한 것으로 추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강판에서 두께 방향으로 강판의 경도를 적절히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For example, a large difference in N concentration and a final hardness difference can be formed between the surface of the steel and the mid-thickness layer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particular, the N concentration of the outermost surface layer of the steel sheet is considered to contain a high N concentration which is generally not obtained in steel materials obtained by conventional decomposition action. On the other hand, the middle-thickness layer of the steel sheet is as soft as a conventional steel sheet. When such a sheet is rolled, many fine cracks are formed in the surface layer, resulting in poor ductility, which directly and indirectly affects the unevenness of the steel sheet surface specified by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which is essential for a container steel sheet. It is thought to exert. In this case, the performance of the steel shee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form the unevenness generated by the light treatment inherent in the steel sheet itself, not the treatment condition, is due to the ductility difference between the surface layer portion and the middle-thickness layer portion of the steel sheet and indirectly due to the hardness difference. It is possible to assume that it is due. Therefore, it may be desirable to appropriately control the hardness of the steel sheet in the thickness direction in the steel sheet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표면층에서의 경화층의 두께와, 재료 품질, 특히 표면층 부분의 연성과, 표면층 및 중간-두께층 부분 사이의 비율 등은 본 발명에 따라서 바람직한 표면층의 요철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전체 판 두께 상에서의 균일한 질화, 표면층 질화물 농도의 과도한 증가 또는 강판의 Ti 함량으로 인한 과도한 Ti 질화물의 형성과 같은 본 발명에서 벗어난 과도한 조건이 없고 강판이 본 발명에 따른 조건 하에서 제조되는 경우, 강판 표면의 거칠기는 바람직한 범위에 있을 수 있다.The thickness of the cured layer in the surface layer, the quality of the material, in particular the ductility of the surface layer portion, the ratio between the surface layer and the mid-thickness layer portion, etc., can affect the unevenness of the surface layer which is desirab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us, when there are no excessive conditions deviating from the present invention such as uniform nitriding over the entire sheet thickness, excessive increase in the surface layer nitride concentration or formation of excessive Ti nitride due to the Ti content of the steel sheet, and the steel sheet is manufactured under the conditio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roughness of the surface of the steel sheet may be in a preferred range.

일반적으로, 조질 압연은 일반적으로 소둔 후 큰 범위로 수행되기 때문에, 바람직한 표면 상태가 특별한 제어를 수행하지 않고도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강판에서 얻어질 수 있지만, 종래의 연속 소둔 라인을 통해 강판을 통과시킬 때 허스 롤(hearth roll)의 굽힘은 강판 표면에 미세한 균열을 일으키기 때문에, 조질 압연은 필수적인 것으로 고려되지 않는다.In general, since temper rolling is generally carried out to a large extent after annealing, the desired surface condition can be obtained in a steel sheet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performing special control, but through conventional continuous annealing lines Temper rolling is not considered essential because bending of the hearth roll when passing through the steel sheet causes fine cracks in the steel sheet surface.

강판 자체는 이런 방식으로 표면 상에 미세하게 균일한 요철을 형성하는 성능을 가질 때, 피막은 미세하고 균일하게 밀착될 수 있으며 피복 공정에서 피복 조건 등의 미세한 제어가 수행되지 않더라도 강판의 요철에 따라 바람직한 형태와 분포를 나타낸다.When the steel sheet itself has the ability to form fine uniform unevenness on the surface in this manner, the coating can be fine and uniformly adhered and according to the unevenness of the steel sheet even if fine control such as coating conditions is not performed in the coating process The preferred form and distribution are shown.

이하, 질화 조건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생산성이라는 관점에서 볼 때,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는 질화 처리는 냉간 압연 이후의 재결정 소둔과 동시에 또는 재결정 소둔 후 재결정 소둔과 연속해서 수행되는 것이 유리할 수 있지만, 이제 제한되지 않는다. 소둔 방법과 관련하여, 배치 및 연속 소둔 모두가 이용될 수 있다. 그러나, 질화 처리의 생산성과 질화된 재료의 코일 내에서의 재료 품질의 균일성이라는 관점에서, 연속 소둔이 유리하다. 또한,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의해 특정된 바와 같이 강판 표면과 중간-두께층의 재료 품질을 제어함으로써 큰 이익을 얻기 위해서, 질화 시간과 후속 열이력이 너무 길게 되는 것은 불리할 수 있으며, 이와 관련하여 마찬가지로 적어도 질화 처리가 연속 소둔 설비로 수행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별한 이유 없다면, 연속 소둔된 강판 을 사용하는 것으로 본다. 초반은 재결정을 수행하고 후반은 질화를 수행하도록 구역의 노내 분위기를 제어함으로써 연속 소둔을 수행하게 되면 생산성, 재료 품질의 균일성, 질화 상태 제어의 용이성 등과 같이 특히 많은 장점이 있다.Hereinafter, the nitriding condition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terms of productivity, the nitriding treatment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dvantageously performed at the same time as recrystallization annealing after cold rolling or continuously after recrystallization annealing after recrystallization annealing, but is not limited now. With regard to the annealing method, both batch and continuous annealing can be used. However, continuous annealing is advantageous in view of the productivity of the nitriding treatment and the uniformity of the material quality in the coil of the nitrided material. It may also be disadvantageous that the nitriding time and subsequent thermal history become too long, in order to obtain great benefits by controlling the material quality of the steel plate surface and the mid-thickness layer as specified by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connection it is likewise preferred that at least the nitriding treatment can be carried out with a continuous annealing plant. Unless otherwise specified, continuous annealed steel sheets are considered to be used. Performing continuous annealing by controlling the in-furnace atmosphere of the zone to perform recrystallization in the first place and nitriding in the second place has particular advantages such as productivity, uniformity of material quality and ease of nitriding state control.

또한, 재결정이 완료되기 전에 질화 처리가 수행되는 경우, 재결정이 억제됨으로써 재결정되지 않은 강판이 남겨질 수 있고 이는 가공성을 현저하게 떨어뜨릴 수 있으므로, 주의가 요구된다. 이 경계는 강재의 성분, 질화 조건, 재결정 소둔 조건 등에 의해 복잡하게 결정되지만,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게는 적절한 시험을 거쳐 재결정되지 않은 재료가 남지 않게 되는 조건을 찾는 것이 용이하다. 질화 처리는 질화 후의 열이력 외에도 질화로 인한 강판의 N 함량 증가 뿐만 아닌 강판 성분 및 재결정 소둔 조건을 고려하고 강판 표면으로부터 내부 영역으로의 N 확산 및 판재의 단면을 따르는 경도 변화를 고려함으로써 결정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인 색조, 표면 피복 밀착성 및 용접성은 사용자가 단지 지표로서 로크웰 경도에 의해 결정된 재료 품질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얻어질 수 없다. 실제 적용에 있어, 이런 조건은 적절한 횟수의 시험을 참조하여 결정될 필요가 있지만, 기준적인 개념은 다음과 같고 따라서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는 특정될 수 있다.In addition, when nitriding treatment is performed before recrystallization is completed, recrystallization is suppressed, so that a steel sheet which is not recrystallized may be left, which may significantly degrade workability, so attention is required. This boundary is complicatedly determined by the steel component, nitriding conditions, recrystallization annealing conditions, etc., but it is easy for those skilled in the art to find a condition in which an unrecrystallized material is not left through appropriate tests. Nitriding treatment should be determined by considering not only the increase in N content of the steel sheet due to nitriding, but also the steel sheet components and recrystallization annealing conditions, as well as the N diffusion from the steel sheet surface to the inner region and the hardness change along the cross section of the sheet. Hue, surface coating adhesion and weldability, which are the objective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not be obtained when the user uses only the material quality determined by Rockwell hardness as an indicator. In practical application, such conditions need to be determined with reference to the appropriate number of tests, but the basic concept is as follows and thus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pecified.

예컨대, 질화는 550 내지 800 ℃의 판재 온도에서 수행되어야 한다. 이는 종래의 소둔에서와 같이 질화 분위기를 이런 온도로 설정하고 강판의 온도를 이 범위에 두도록 이런 분위기를 거쳐 강판을 통과시키고 동시에 질화를 수행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다르게는, 질화 분위기는 저온으로 설정될 수 있으며 질화는 이 온도 범위로 가열된 강판을 이런 분위기로 삽입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질화 분 위기가 이 온도까지 상승될 때, 강판 질화 효율은 어떤 경우 강판의 질화에 관련되지 않은 분위기의 변화 및 와해로 인해 저감되며, 따라서 550 내지 750 ℃로 특정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600 내지 700 ℃로 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630 내지 680 ℃로 된다.For example, nitriding should be carried out at a board temperature of 550-800 ° C. This can be achieved by setting the nitriding atmosphere to such a temperature as in conventional annealing and passing the steel sheet through this atmosphere so as to keep the temperature of the steel sheet in this range and simultaneously performing nitriding. Alternatively, the nitriding atmosphere can be set to a low temperature and nitriding can be performed by inserting a steel sheet heated to this temperature range into this atmosphere. When the nitriding crisis is raised to this temperature, the steel sheet nitriding efficiency is reduced in some cases due to the change and deterioration of the atmosphere not related to the nitriding of the steel sheet, and thus can be specified at 550 to 750 ° C. Preferably it is 600-700 degreeC, More preferably, it is 630-680 degreeC.

질화 분위기는 체적비로 10 % 이상, 바람직하게는 20 %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40 % 이상,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60 % 이상의 질소 가스를 함유할 수 있고, 필수적으로, 90 % 이하, 바람직하게는 80 %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60 % 이하,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20 % 이하의 수소 가스를 함유할 수 있고, 0.02 % 이상의 암모니아 가스를 필수적으로 함유할 수도 있다. 나머지는 산소 가스, 수소 가스, 이산화탄소 가스, 탄화수소 가스 및 다양한 불활성 가스일 수 있다. 특히 암모니아 가스는 질화 효율을 증가시키는 데 아주 효율적이며 짧은 기간 내에 특정량의 질화를 얻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강판 중간-두께 내로의 N 확산을 방지하고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바람직한 효과를 제공한다. 이런 효과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0.02 % 이하도 적절하지만, 바람직하게는 0.1 %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2 % 이상,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1.0 % 이상, 여전히 보다 바람직하게는 5 % 이상이 함유된다. 10 % 이상에서, 5초보다 짧은 질화에 의해 적절한 효과가 얻어질 수 있다. 또한, 암모니아 이외의 가스 비율과 관련하여, 특히 질소 가스와 수소 가스가 주요 가스 성분인 경우, (질소 가스)/(수소 가스)의 체적비를 1 이상으로 만드는 것이 질화 효율성이라는 면에 있어서 바람직하고 이 체적비를 2 이상으로 만드는 것도 보다 효율적인 질화를 허용한다. 또한, 종래의 소둔은 주로 질 소 가스 및 수소 가스로 구성되는 분위기에서 질화가 일반적으로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조건 하에서 수행되지만, 기술 분야의 당업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암모니아 가스의 혼입에 의해서 뿐만 아니라 이슬점의 변경, 미량 가스의 혼입, 가스 비율의 변경 등에 의해서도 적절한 시험을 거쳐 질화가 발생하는 분위기로 변경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는 적어도 소둔을 포함하는 열처리로 인해 질화가 발생하는 현재의 분석 능력에 기초하여 검출될 수 있는 분위기를 포괄한다.The nitriding atmosphere may contain 10% or more, preferably 20% or more, more preferably 40% or more, even more preferably 60% or more nitrogen gas in a volume ratio, essentially 90% or less, preferably 80% or less, more preferably 60% or less, even more preferably 20% or less of hydrogen gas may be contained, and 0.02% or more of ammonia gas may be essentially included. The remainder can be oxygen gas, hydrogen gas, carbon dioxide gas, hydrocarbon gas and various inert gases. In particular, ammonia gas is very efficient at increasing nitriding efficiency and enables to obtain a certain amount of nitriding within a short period of time, thereby preventing N diffusion into the steel plate mid-thickness and providing a desirable effect in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In order to achieve such an effect, 0.02% or less is also appropriate, but preferably 0.1% or more, more preferably 0.2% or more, even more preferably 1.0% or more, still more preferably 5% or more. At 10% or more, an appropriate effect can be obtained by nitriding shorter than 5 seconds. In addition, with respect to gas ratios other than ammonia, in particular, when nitrogen gas and hydrogen gas are the main gas components, it is preferable in terms of nitriding efficiency to make the volume ratio of (nitrogen gas) / (hydrogen gas) to 1 or more. Making the volume ratio above 2 also allows for more efficient nitriding. In addition, conventional annealing is carried out under conditions such that nitriding generally does not occur in an atmosphere consisting mainly of nitrogen gas and hydrogen gas, but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be aware of the dew point as well as by incorporation of ammonia gas as described above. Changes, incorporation of trace gases, changes in gas proportions, etc., may also be changed to an atmosphere where nitriding occurs through appropriate testing.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encompass an atmosphere that can be detected based on the current analytical capability of nitriding to occur due to at least annealing, including annealing.

질화 분위기에서의 보유 시간은 일반적으로 제한되지 않지만, 본 발명의 550 ℃ 이상의 고온 조건과 관련하여 최대 0.400 ㎜의 강판 두께를 고려하고 N이 질화 분위기에 유지되는 동안 강판에서의 N 확산에 의한 질화로 인해 강판 표면으로부터 침투한 N이 동시에 강판 중간-두께층에 도달하는 경우 본 발명의 목적인 N 분포 또는 경도 분포를 얻는 것이 가능하지 않다는 사실을 고려하여 상한은 360초로 설정된다. 또한, 질화 효율이 개선된 경우에도, 본 발명에 의해 요구되는 질화량과 강판 두께 방향으로의 질소 및 경도 분포를 얻기 위해 1초가 요구된다. 보유 시간은 바람직하게는 2 내지 120초, 보다 바람직하게는 3 내지 60초,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4 내지 30초, 여전히 보다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5초이다. 질화 효율은 짧은 기간 제어할 때 암모니아 농도 등을 증가시킴으로써 증가되어야 한다.The retention time in the nitriding atmosphere is generally not limited, but due to the nitriding by the diffusion of N in the steel sheet while considering the steel sheet thickness of up to 0.400 mm in relation to the high temperature condition of 550 ° C. or higher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N being maintained in the nitriding atmosphere The upper limit is set to 360 seconds in consideration of the fact that when N penetrating from the steel plate surface reaches the steel plate mid-thickness layer at the same time, it is not possible to obtain N distribution or hardness distribution which is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even when the nitriding efficiency is improved, one second is required to obtain the amount of nitriding required by the present invention and nitrogen and hardness distribution in the steel plate thickness direction. The retention time is preferably 2 to 120 seconds, more preferably 3 to 60 seconds, even more preferably 4 to 30 seconds, still more preferably 5 to 15 seconds. Nitriding efficiency should be increased by increasing the ammonia concentration or the like when controlling for a short period of time.

질화 후 강판의 열이력도 강판 두께 방향으로 질소 분포를 제어하기 위해 중요하다. 대상이 되는 강판의 두께 및 강 중의 질소 확산을 고려하면, 고온에서 오랜 보유 시간은 바람직하지 않을 것이다.The thermal history of the steel sheet after nitriding is also important for controlling the nitrogen distribution in the steel sheet thickness direction. Considering the thickness of the steel sheet as a target and the nitrogen diffusion in the steel, a long retention time at a high temperature will not be desirable.

그러나, 열 처리를 통해서 질소 분포를 적절히 점진적으로 만듦으로써 본 발 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효과를 보다 현저하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를 위해, 550 ℃ 이상의 온도 영역에서의 이력이 중요하며, 이 온도 영역에서 온도(℃)와 시간(초)의 곱은 바람직하게는 48000 이하로 된다. 이는 600 ℃에서 80초 또는 800 ℃에서 60초에 대응하지만, 온도가 연속으로 변하는 경우, 그 효과는 대략 5초의 시간 분할 영역에서의 온도 변화를 기록하고 각 시간 분할 영역에서의 온도(℃)와 시간(초)의 곱의 합을 구함으로써 적절히 평가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24000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2000 이하이며, 일반적으로 질화 조건은 바람직하게는 질화가 완료된 후 강 중의 질소 분포가 실질적으로 결정되도록 설정된다.However, it is also possible to make the effect of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ore pronounced by making the nitrogen distribution appropriately through heat treatment. For this purpose, the hysteresis in the temperature range of 550 ° C. or higher is important, and the product of temperature (° C.) and time (seconds) in this temperature range is preferably 48000 or less. This corresponds to 80 seconds at 600 ° C. or 60 seconds at 800 ° C., but if the temperature changes continuously, the effect is to record the change in temperature in the time division of approximately 5 seconds and the temperature (° C.) in each time division. It can be appropriately evaluated by finding the sum of the products of time (seconds). Preferably it is 24000 or less and more preferably 12000 or less, and generally, nitriding conditions are preferably set such that the nitrogen distribution in the steel is substantially determined after nitriding is completed.

상술한 열이력과 함께, 질화 후의 냉각 속도는 본 발명의 효과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예컨대, 질소 분포가 거의 변하지 않을 경우 저온 및 짧은 기간에도 질화물의 형성 상태는 냉각 과정에서 크게 변하기 때문에 단면 경도 분포차가 관찰될 수 있다. 550 ℃ 내지 300 ℃에서의 평균 냉각 속도를 10 ℃/초 이상으로 할 경우 질소를 더 많이 고용시키게 되고 표면층 부분을 중간층보다 더 경화시키고 색조, 표면 피복 밀착성 및 용접성을 개선하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20 ℃/초 이상으로 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0 ℃/초 이상으로 된다. 그러나, 고용 질소를 과도하게 잔존시키는 것과 관련하여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용도에 따라 시효 문제를 야기할 수 있기 때문이다.In addition to the thermal history described above, the cooling rate after nitriding can greatly affect 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when the nitrogen distribution is hardly changed, the cross-sectional hardness distribution difference can be observed since the formation state of the nitride changes significantly during the cooling process even at low temperatures and short periods of time. When the average cooling rate at 550 ° C. to 300 ° C. or more is 10 ° C./sec or more, nitrogen is more dissolved and the surface layer portion is harder than the intermediate layer, and color tone, surface coating adhesion, and weldability are improved. Preferably it is 20 degree-C / sec or more, More preferably, it will be 50 degree-C / sec or more. However, it is desirable to control with regard to excessively remaining solid nitrogen, since this may cause aging problems depending on the application.

얇은 용기용 강판의 제조시, 경도 조절 및 강판 두께 조절을 위한 재결정 소둔 후 재냉간 압연이 수행될 수 있다. 이때 사용되는 압하율의 범위는 형상 조절을 위해 수행되는 스킨 패스(skin pass)에서의 압하율에 가까운 1 %로부터 냉간 압연에서의 압하율과 같은 50 % 이상까지이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종래의 강판에서와 동일한 유형의 재냉간 압연이 이용될 수 있다. 형상 보정 등이 필요하지 않은 경우, 재냉간 압연을 전혀 수행하지 않는 것도 가능하지만, 형상 보정 등을 목적으로 하는 경우, 재냉간 압연은 약 0.5 % 내지 2.5 %의 범위에서 수행된다. 본 발명의 강판에도 일반적으로 이 범위의 압연이 수행된다. 2.5 %를 넘는 높은 재냉간 압하율이 고강도 및 얇은 두께를 달성하기 위ㅐ 사용되는 경우 특별한 작업이나 제어가 본 발명의 강판에 적용되어야 한다. 예컨대, 재냉간 압연이 경질 표면층 및 연질 중간-두께층을 갖는 본 발명의 강에 적용되는 경우, 연질의 중간-두께층만이 우선적으로 가공 경화를 겪게 되며, 내변형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본 발명에서 마련된 표면층만의 우선적인 경화는 소실될 수 있겠지만, 현실은 그 반대이다. 즉,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강판에서, 재냉간 압하율이 일반적인 범위인 경우, 재냉간 압연은 높은 N 함량으로 경질 표면층 부분을 보다 우선적으로 경화시킴으로써 본 발명의 강판에 형성된 표면 및 중간-두께층 사이의 경도차를 보다 현저하게 만든다. 이는 표면층이 대량의 고용된 N 함량과 질화물로 인해 가공 경화를 받기가 더 쉬운 반면 중간-두께층은 표면층에 의해 억제됨으로써 우선적으로 변형될 수 없고 표면층의 경화를 크게 넘어서도록 선택적으로 경화되지 않기 때문이다. 그러나, 재냉간 압하율이 현저히 높아지는 경우, 강판 자체가 충분히 경화됨으로써 본 발명의 종래 기술에서 수행되는 바와 달리 강판 두께 방향으로 재료 품질 분포를 제어하지 않고도 적절한 캔 강도를 얻을 수 있도록 하지만, 동시에 표면 거칠기의 제어에 의해 개선된 표면 특성 및 용접성의 효과를 줄이며, 따라서 재냉간 압하율을 정상적으로 적용된 범위를 넘어 증가시킬 의미가 거의 없다. 또한, 재냉간 압하율이 높아짐에 따라 가공성이 감소되기 때문에, 고압하율의 부적절한 적용은 방지되어야 한다. 이에 기초해서, 본 발명의 강재에 재냉간 압연을 수행할 경우, 압하율은 바람직하게는 약 70 %까지 증가된다.In the production of the steel plate for thin containers, re-cold rolling may be performed after recrystallization annealing for hardness control and steel sheet thickness control. The range of the reduction ratio used at this time is from 1% close to the reduction ratio in the skin pass performed for shape control to 50% or more such as the reduction ratio in cold rolling.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ame type of re-cold rolling as in conventional steel sheets can be used. If shape correction or the like is not required, it is also possible not to perform re-cold rolling at all, but for the purpose of shape correction or the like, re-cold rolling is performed in the range of about 0.5% to 2.5%. The steel shee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generally also subjected to rolling in this range. When a high re-cold reduction rate of more than 2.5% is used to achieve high strength and thin thickness, special operations or controls must be applied to the steel shee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when re-cold rolling is applied to the steel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a hard surface layer and a soft medium-thick layer, only the soft medium-thick layer preferentially undergoes work hardening and is provided in the present invention to increase the deformation resistance. The preferential curing of the surface layer alone may be lost, but the opposite is true. That is, in the steel sheet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re-cold reduction ratio is in the general range, the re-cold rolling is the surface and intermediate formed on the steel shee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preferentially hardening the hard surface layer portion with a high N content. Make the hardness difference between the thickness layers more pronounced. This is because the surface layer is more susceptible to work hardening due to the large amount of dissolved N content and nitride, while the mid-thickness layer is suppressed by the surface layer and therefore cannot be preferentially deformed and does not selectively harden significantly beyond the hardening of the surface layer. to be. However, when the re-cold reduction rate is significantly increased, the steel sheet itself is sufficiently hardened so that an appropriate can strength can be obtained without controlling the material quality distribution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steel sheet, unlike in the prior art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at the same time the surface roughness The control of 를 reduces the effect of improved surface properties and weldability, and therefore has little meaning to increase the re-cold reduction rate beyond the normally applied range. In addition, since the workability decreases as the re-cold reduction rate is high, improper application of the high pressure reduction rate should be prevented. On the basis of this, when re-cold rolling is performed on the steel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duction ratio is preferably increased to about 70%.

경질 재료를 제조하기 위해, 재냉간 압연이 수행되는 경우, 더 높은 재냉간 압하율이 바람직하며, 바람직하게는 6 %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 이상,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20 %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30 % 이상, 그리고 여전히 보다 바람직하게는 40 % 이상이다. 한편, 재냉간 압연의 낮은 압하율이 연성이라는 관점에서 바람직함은 당연하며, 바람직하게는 50 %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40 % 이하,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30 %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20 % 이하, 그리고 여전히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5 % 이하이다. 특히 표면층이 우선적으로 경화되고 내변형성이 크게 증가하게 되는 초기 단계에서 중간 단계로의 재냉간 압연의 효과를 고려하면, 압하율은 바람직하게는 0.8 내지 45 %, 보다 바람직하게는 4 내지 35 %,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6 내지 30 %, 여전히 보다 바람직하게는 8 내지 25 %이다. 생산성의 관점에서 바람직한 것으로 재결정 소둔 및 질화가 연속으로 수행되는 공정에서는 재냉간 압연의 시기가 질화 후일 수 있지만, 재결정 소둔 및 질화가 별도로 수행되는 경우에는 재냉간 압연이 질화 전에 수행될 수도 있다.In order to produce a hard material, when re-cold rolling is carried out, a higher re-cold reduction rate is preferred, preferably at least 6%, more preferably at least 10%, even more preferably at least 20%, further Preferably it is 30% or more, and still more preferably 40% or more. On the other hand, the low rolling reduction of re-cold rolling is preferred from the viewpoint of ductility, preferably 50% or less, more preferably 40% or less, even more preferably 30% or less, even more preferably 20% And still more preferably 10% or less, and still more preferably 5% or less. In particular, considering the effect of re-cold rolling from the initial stage to the intermediate stage where the surface layer preferentially hardens and greatly increases the deformation resistance, the reduction ratio is preferably 0.8 to 45%, more preferably 4 to 35%, Even more preferably 6 to 30%, still more preferably 8 to 25%. In terms of productivity, the recrystallization annealing and nitriding may be performed after nitriding in a process in which recrystallization annealing and nitriding are performed continuously. However, when recrystallization annealing and nitriding are performed separately, re-cold rolling may be performed before nitriding.

또한, 용접 영역을 고려할 경우,종래의 재료에서는 재료가 용접열로 인해 국부적으로 연화될 수 있고 가공 변형이 플랜지 성형 등 동안 집중됨으로써 성형성을 저하시킬 수 있지만, 표면층 부분에 대량의 N을 함유하는 본 발명의 강판에서는 용접열로 인한 연화가 억제됨으로써 용접 영역의 성형성과 관련한 이익도 얻어질 수 있다.In addition, considering the welding area, in the conventional material, the material may be softened locally due to the heat of welding and the work deformation may be concentrated during flange forming or the like, thereby degrading the formability, but containing a large amount of N in the surface layer portion. In the steel shee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oftening due to the heat of welding is suppressed, so that the benefits related to the moldability of the weld zone can be obtained.

생산성의 관점에서 바람직한 것으로 재결정 소둔 및 질화가 연속으로 수행될 수 있는 공정에서는 재냉간 압연의 시기가 질화 후일 수 있지만, 재결정 소둔 및 질화가 별도로 수행되는 경우에는 재냉간 압연이 질화 전에 수행될 수도 있다.In the process where recrystallization annealing and nitriding can be carried out continuously as preferable in terms of productivity, the timing of re-cold rolling may be after nitriding, but if recrystallization annealing and nitriding is performed separately, re-cold rolling may be performed before nitriding. .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는 판 두께가 0.400 ㎜ 이하인 강판에 적용될 수 있다. 이는 두께가 더 두꺼운 강판의 경우, 성형 부재의 변형은 문제가 되기 쉽지 않기 때문이다. 또한, 판 두께가 클수록 질화로 인한 표면층 경화의 두께는 비교적 작아짐으로써 본 발명의 효과는 쉽게 나타나지 않을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0.300 ㎜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240 ㎜ 이하의 강판이 사용되며, 아주 뚜렷한 효과는 0.200 ㎜ 이하의 강판으로 얻어질 수 있다.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 steel sheet having a plate thickness of 0.400 mm or less. This is because deformation of the molded member is not easy to be a problem in the case of a steel sheet thicker. In addition, the larger the plate thickness, the smaller the thickness of the surface layer hardening due to nitriding, so that 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not be readily exhibited. Preferably a steel sheet of 0.300 mm or less, more preferably 0.240 mm or less is used, and a very pronounced effect can be obtained with a steel sheet of 0.200 mm or less.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효과 중 하나는 성분 조절 후 및 소둔 전의 열이력 또는 제조 이력에는 의존하지 않는다. 열간 압연이 수행되는 경우의 슬랩, 블룸 또는 빌렛은 강괴법 또는 연속 주조법과 같은 임의의 제조 방법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효과는 슬랩 재가열법, 열간 압연이 주조 슬랩을 재가열하지 않고 직접 수행되는 CC-DR법 또는 조압연 등이 생략되는 박형 슬랩 캐스팅으로 얻어질 수 있으며, 이는 본 발명의 효과가 소둔 전의 열이력에 의존하지 않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효과는 열간 압연 조건에 의존할 필요가 없으며 α+γ 2상 영역 마무리 온도에서의 2상 영역 압연 또는 조형 막대(rough bar)를 연 결해서 압연하는 연속 열간 압연에 의해 얻어질 수 있다.One of the effects of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depend on the thermal history or manufacturing history after component control and before annealing. The slab, bloom or billet in the case where hot rolling is performed is not limited to any manufacturing method such as ingot or continuous casting method, and the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the slab reheating method, hot rolling is performed directly without reheating the casting slab It can be obtained by thin slab casting in which CC-DR method or rough rolling is omitted, since the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depend on the thermal history before annealing. The effect of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need to depend on the hot rolling conditions and is by means of continuous hot rolling, rolling in two-phase zone rolling at α + γ two-phase zone finishing temperature or by connecting a rough bar. Can be obtained.

또한,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강판이 용접 영역을 갖는 용기를 위한 재료로서 사용되는 경우, 열영향 영역의 연화는 억제되고 특히 높은 N 농도를 갖는 표면층 영역은 급속 냉각되어 경화됨으로써, 용접 강도를 증가시키는 효과를 갖는다. 이는 종래에 열영향 영역의 연화를 제어하기 위해 사용되는 방법인 B 및 Nb와 같은 원소의 첨가에 의해 보다 현저하게 된다.In addition, when the steel sheet of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as a material for a container having a welded area, softening of the heat-affected area is suppressed and in particular, the surface layer area having a high N concentration is rapidly cooled and cured, thereby improving the weld strength. Has the effect of increasing. This is made more pronounced by the addition of elements such as B and Nb which are conventionally used to control the softening of the heat affected zone.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강판은 여하한 종류의 표면 처리가 수행되는 경우를 포함한다. 즉, 표면 처리 후 소비자에 의해 사용되는 강판에서, 색조와 용접성은 표면 처리 후의 강판에 필수적인 것이고 이들 특성에 필수적인 강판 표면의 양호한 상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조되는 강판의 경우 표면 처리에 의해 손상되지 않는다. 물론, PPI 또는 Ra의 절대값은 표면 처리로 인해 크게 변할 수 있지만, 두께 방향으로 강판의 경도를 제어함으로써 강판의 양호한 표면 상태, 즉 수많은 낮은 요철이 형성된 상태를 제공하는 기능은 표면 처리 후에도 강판 상에서 적절히 검출될 수 있다. 이 효과는 표면 처리된 강판에 양호한 색조와 용접성을 제공한다.The steel sheet of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case where any kind of surface treatment is performed. That is, in the steel sheet used by the consumer after the surface treatment, the color tone and weldability are essential for the steel sheet after the surface treatment, and the good state of the steel sheet surface essential for these properties is not damaged by the surface treatment for the steel sheet manufactured as described above. . Of course, the absolute value of PPI or Ra may vary greatly due to the surface treatment, but the ability to provide a good surface state of the steel sheet, i.e., a state where numerous low unevennesses are formed by controlling the hardness of the steel sheet in the thickness direction, remains on the steel sheet even after the surface treatment. Can be detected as appropriate. This effect provides good color tone and weldability to the surface treated steel sheet.

금속 도금, 도장 또는 유기막(적층물)과 같은 표면 피복의 밀착성과 관련해서는 표면 처리 전 강판 표면의 상태가 중요할 수 있다. 이 특성에서도,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개시된 바와 같이 두께 방향으로 강판의 경도를 제어함으로써 양호한 강판 표면 상태를 형성하는 것, 예컨대 수많은 낮은 요철이 형성된 상태를 형성하는 것이 양호한 밀착성을 제공할 수 있다. 표면 처리에서는, 금속 도금의 경우 종래에 사용되는 주석, (무주석) 크롬, 니켈, 아연, 알루미늄 등이 적용된다. 이들 피막의 밀착성 뿐만 아니라 피복 후의 색조 및 용접성도 개선된다. 밀착성은 최근 사용되고 있는 유기막으로 피복된 적층형 강판용 모재의 경우와, 강판이 직접 도장되거나 금속 도금 등의 후에 도장되는 경우에도 본 발명의 효과에 의해 개선될 수 있다.With regard to the adhesion of surface coatings such as metal plating, painting or organic films (laminates), the condition of the steel sheet surface prior to surface treatment can be important. Even in this characteristic, forming a good steel sheet surface state by controlling the hardness of the steel sheet in the thickness direction as disclosed in accordance with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forming a state in which a large number of low irregularities are formed may provide good adhesion. Can be. In the surface treatment, tin, (tin) chromium, nickel, zinc, aluminum and the like conventionally used in the case of metal plating are applied. Not only the adhesion of these coatings but also the color tone and weldability after coating are improved. Adhesion can be improved by the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even in the case of a base material for laminated steel sheets coated with an organic film, which has been recently used, and even when steel sheets are coated directly or after metal plating.

용도 면에 있어서,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는 2편형 캔이든지 3편형 캔이든지 일반적으로 용기에 사용될 수 있으며, 해결하고자 하는 문제가 상술한 것과 유사한 경우에는 어떤 용도에 대해서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In terms of use,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used in containers, generally two- or three-piece cans, and may be used for any application where the problem to be solved is similar to that described above. .

[예][Yes]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로서, 색조, 표면 피복 밀착성 및 용접성에 대한 평가가 용기용 강판으로서 가장 공통적으로 사용되는 유형 중 하나인 Sn-도금 강판을 사용하여 수행되었다.As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valuation of color tone, surface coating adhesion and weldability was performed using Sn-plated steel sheet, which is one of the types most commonly used as a container steel sheet.

밀착성과 관련하여, 양면이 25 ㎎/㎡의 에폭시 페놀 피복재로 피복되어 소부 건조된 두 장의 판재가 나일론 접착제를 사용하여 열적 가압 접합되어 시험편을 제조하고, 이들 시험편은 수도물을 이용하여 적셔진 후 박피 강도를 결정하기 위해 T형 박피 시험을 거쳤다. 당연하게도, 박피 강도가 높으면 시편 등급에서 밀착성이 양호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박피 강도는 또한 본 발명을 얻기 위한 강재 성분 및 제조 조건 외의 조건에도 의존하고 요구 수준은 용도 등에 따라 다르므로, 단지 절대값에 기초하여 허용성을 결정하는 것은 어떤 면에서 실제 용도와 항상 일치하는 것은 아닐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1.5 ㎏/5 ㎜는 "개선 요망"으로 판단되었고 1.5 내지 2.5 ㎏/5 ㎜는 "이용 가능"으로 판단되었고 2.5 내지 3.5 ㎏/5 ㎜는 "양호"로 판단되고 3.5 ㎏/5 ㎜는 "아주 양호"로 판단되었다.Regarding the adhesion, two sheets coated on both sides with an epoxy phenolic coating of 25 mg / m 2 were fired and pressed together using a nylon adhesive to prepare test pieces, which were wetted with tap water, and then peeled off. T-type peeling test was done to determine the strength. Unsurprisingly, high peel strength was considered to be good adhesion in the specimen grade. Since the peel strength also depends on the steel components and the conditions other than the manufacturing conditions for obtaining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required level varies depending on the application or the like, determining the acceptability based only on an absolute value is in some way always consistent with the actual use. It may not. Nevertheless, 1.5 kg / 5 mm was judged to be "improvement", 1.5 to 2.5 kg / 5 mm was considered "available" and 2.5 to 3.5 kg / 5 mm was considered "good" and 3.5 kg / 5 Mm was judged to be “very good”.

색조와 관련하여, 10 ㎛의 투명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도포하여 건조한 후 분광측색계를 이용하여 얻어진 L값이 지표로서 사용되었다. L값이 높을수록 뛰어난 색조를 나타내며, 이들 값은 시편에 등급을 매기기 위해 사용되었다. L값은 또한 본 발명을 얻기 위한 강재 성분 및 제조 조건 외의 조건에도 의존하고 요구 수준은 용도 등에 따라 다르므로, 단지 절대값에 기초하여 적합성을 결정하는 것은 어떤 면에서 실제 용도와 항상 일치하는 것은 아닐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60보다 작은 값은 "개선 요망"으로 판단되었고 60 내지 75는 "이용 가능"으로 판단되었고 75 내지 90은 "양호"로 판단되고 90 이상은 "아주 양호"로 판단되었다.Regarding the color tone, the L value obtained using a spectrophotometer after applying and drying a 10 μm transparent polyester resin was used as an index. Higher L values indicate better hue, and these values were used to grade the specimens. Since the L value also depends on the steel components and the conditions other than the manufacturing conditions for obtaining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required level varies depending on the application or the like, determining the suitability based only on an absolute value may not always coincide with the actual use in some respects. Can be. Nevertheless, values smaller than 60 were judged to be "needs to be improved", 60 to 75 were judged to be "available", 75 to 90 were judged to be "good", and 90 and above were judged to be "very good".

용접성과 관련하여, 3편형 캔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시임 용접의 경우, 용접은 용접 전류를 변경시키면서 수행되었으며, 용접 가능한 전류 범위는 용접 동안 스플래시(splash)(스패터의 발생), 박피 시험(헤인(heing) 시험)에 기초한 용접 강도, 용접 동안 강판 표면 및 전극 링 사이의 아크 전류로 인한 용접 표면 손상에 기초해서 결정되었으며, 그 결정은 영역의 폭과 하한값에 기초해서 이루어졌다. 그 결정은 넓은 범위를 높은 제조 안정성 면에 있어 바람직한 것으로 판단하고 낮은 하한값을 재료의 품질 변화 및 용접 영역에서 온도 증가로 인한 도금 박피를 덜 일으키는 것으로 판단함으로써 이루어졌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용접 전류 범위와 관련하여, 평가는 용접 전류의 중간값에 대한 비율을 찾고 그 비율이 높은 경우 를 바람직한 것으로 판단함으로서 이루어졌다. 이 비율은 또한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얻기 위한 강재 성분 및 제조 조건 외의 조건에도 의존하고 요구 수준은 용도 등에 따라 다르므로, 단지 절대값에 기초하여 허용성을 결정하는 것은 어떤 면에서 실제 용도와 항상 일치하는 것은 아닐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1 %보다 작은 값은 "개선 요망"으로 판단되었고 1 내지 3 %는 "이용 가능"으로 판단되었고 3 내지 6 %는 "양호"로 판단되고 6 % 이상은 "아주 양호"로 판단되었다.In terms of weldability, for seam welding commonly used in three-piece cans, welding was performed with varying welding currents, and the weldable current ranges were splash (generated spatter), peeling test (hein) welding strength based on (heing test), weld surface damage due to arc current between the steel plate surface and the electrode ring during welding, and the determination was made based on the width and the lower limit of the area. The decision was made by judging a wide range as desirable in terms of high manufacturing stability and judging a low lower limit to less plating peeling due to changes in material quality and increased temperature in the weld zone. In an exemplary embodiment, with respect to the welding current range, the evaluation was made by finding the ratio to the median of the welding current and judging when the ratio is high. Since this ratio also depends on conditions other than steel components and manufacturing conditions for obtaining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required level depends on the application and the like, it is only in some respects to determine the acceptability based on absolute values. May not always match. Nevertheless, values less than 1% were judged to be "improved", 1 to 3% were judged "available", 3 to 6% were judged "good" and 6% or more judged "very good" It became.

생산성은 조질 압연 동안의 생산성에 기초해서 평가되었다. 여기에서 "생산성"이라 함은 단지 단위 시간당 생산 용적만을 의미하지 않으며 기대하는 라인 작업을 유지하기 위한 인력 및 설비 관리의 용이성을 포함한다. 조질 압연에 초점을 맞추는 이유는 본 발명의 강재의 현저한 특징인 표면 제어가 주로 조질 압연 동안의 압연 거칠기 및 압연 조건의 관리를 통한 이 분야의 상태에서 수행되기 때문이다. 범주에 있어서, 주로 롤 거칠기에 관련된 관리 및 압연 패스의 횟수에 기초한 연구가 수행되었으며, 기본적으로 낮은 거칠기에서의 압연이 가능한 경우, 롤 거칠기 관리 공차가 넓고 압연 패스의 횟수가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실제에 있어서, 압연 후의 판재 형상 및 두께 정밀도와 판재 온도 관리의 용이성을 보장하기 위한 윤활 조건과, 압연 속도 관리와, 장력 관리도 고려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들 매개 변수에 대한 관리 공차는 또한 본 발명을 얻기 위한 강재 성분 및 제조 조건 외의 조건에도 의존하고 요구 수준은 용도 등에 따라 다르므로, 단지 허용성의 절대값 공식을 설명함에도 어려움이 있다.Productivity was evaluated based on productivity during temper rolling. "Productivity" here does not only mean production volume per unit time, but also includes the ease of manpower and facility management to maintain expected line work. The reason for focusing on temper rolling is that surface control, which is a salient feature of the steel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arried out mainly in the state of the art through the management of rolling roughness and rolling conditions during temper rolling. In the category, studies based on management and the number of rolling passes mainly related to roll roughness have been conducted, and basically, when rolling at low roughness is possible, it is preferable that the roll roughness management tolerance is wide and the number of rolling passes is small. In practice, however, it can also be made in consideration of lubricating conditions, rolling speed management, and tension management to ensure the shape and thickness accuracy of the plate after rolling and the ease of plate temperature management. The management tolerances for these parameters also depend on conditions other than the steel components and manufacturing conditions for obtaining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required levels vary depending on the application, etc., so that it is difficult to explain only the absolute value formula of tolerance.

중간-두께층의 성분과 관련하여, 질화 전의 강판은 종래의 방법에 의해 제조되기 때문에, 질화 전 두께 방향으로의 원소 변화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효과에서 무시할 정도로 극히 작다. 즉, 1/8 두께 표면층의 N 함량과 1/4 두께 중간-두께층의 N 함량은 질화 전의 강판에서 동일한 것으로 가정되었다.Regarding the components of the mid-thickness layer, since the steel sheet before nitriding is produced by a conventional method, the elemental change in the thickness direction before nitriding is extremely small to be negligible in the effect of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is, the N content of the 1/8 thick surface layer and the N content of the 1/4 thick mid-thickness layer were assumed to be the same in the steel sheet before nitriding.

열간 압연, 냉간 압연 및 재결정 소둔이 표 1 내지 표 4에 기재된 성분의 강재로 강판을 제조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표 1 내지 표 4에서 N 함량은 질화 전 강판 두께 방향 평균 N 함량이다. 일부 재료는 질화 처리로와 이에 뒤이어 재결정 소둔을 위한 고온 유지로에서의 온도, 분위기 등을 제어하면서 표 1 내지 표 4에 도시된 조건 하에서 강판을 통과시킴으로써 질화 처리되었다. 모든 질화 처리는 질화가 발생하기 전에 재결정이 완료된 것으로 간주될 수 있는 조건 하에서 소둔의 중간 단계로부터 시작해서 수행되었다.Hot rolling, cold rolling and recrystallization annealing were carried out to prepare the steel sheet from the steel materials of the components shown in Tables 1-4. In Tables 1 to 4, the N content is the average N content in the steel sheet thickness direction before nitriding. Some materials were nitrided by passing steel sheets under the conditions shown in Tables 1-4 while controlling the temperature, atmosphere, etc. in the nitriding furnace followed by a high temperature holding furnace for recrystallization annealing. All nitriding treatments were performed starting from the intermediate stage of annealing under conditions where recrystallization could be considered complete before nitriding occurred.

또한, 조질 압연이 강판을 제조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도 5 내지 도 8에는 이들 강재의 압연 조건, 최종 강판 두께, 질소 성분 분석 결과 및 특성 평가 결과가 도시되어 있다. 양호한 색조, 표면 피복 밀착성 및 용접성은 강판 두께 방향으로의 상태를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 의한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도록 제어함으로써 얻어질 수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몇몇 경우에는, 질화되지 않은 재료에 대해 특별한 조질 압연 조건에 의해 표면 거칠기를 조절하고자 하는 시도가 있었지만, 효율적인 생산이 롤 마모, 패스의 수 등으로 인해 방해되었다. 또한, 이런 종류의 특별한 압연은 본 발명의 강재를 사용한 재료와 사실상 동등한 강판 거칠기의 평가를 갖는 재료를 산출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그 특성은 본 발명의 강재의 특성 만큼 양호하지 않았다. 그 이유는 명백하지 않지만, 예시적인 본 실시예의 거칠기 측정에 의해 검출될 수 없는 표면 상태의 어느 정도의 차이가 존재할 수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In addition, temper rolling was performed to produce the steel sheet. 5 to 8 show rolling conditions, final steel sheet thickness, nitrogen component analysis results, and characteristic evaluation results of these steels. It was confirmed that good color tone, surface coating adhesion and weldability could be obtained by controlling the state in the steel plate thickness direction to be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by the produc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In some cases, attempts have been made to control surface roughness by special temper rolling conditions for non-nitrided materials, but efficient production has been hampered by roll wear, number of passes, and the like. It is also possible for this kind of special rolling to yield a material having an evaluation of steel sheet roughness substantially equivalent to the material using the steel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its properties were not as good as the properties of the steel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ason is not clear, but it is contemplated that there may be some difference in the surface state which cannot be detected by the roughness measurement of this exemplary embodiment.

Figure 112006044378208-PCT00001
Figure 112006044378208-PCT00001

Figure 112006044378208-PCT00002
Figure 112006044378208-PCT00002

Figure 112006044378208-PCT00003
Figure 112006044378208-PCT00003

Figure 112006044378208-PCT00004
Figure 112006044378208-PCT00004

Figure 112006044378208-PCT00005
Figure 112006044378208-PCT00005

Figure 112006044378208-PCT00006
Figure 112006044378208-PCT00006

Figure 112006044378208-PCT00007
Figure 112006044378208-PCT00007

Figure 112006044378208-PCT00008
Figure 112006044378208-PCT00008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용기용 강판 및 그 제조 방법은 질화 후의 복잡한 처리와 이런 복잡한 처리로 인한 생산성 장애를 방지하면서도 용기의 색조, 표면 피막 밀착성 및 용접성을 개선시킬 수 있다. 따라서, 초박형 용기용 강판의 생산성이 개선됨으로써 현저하게 산업상 유용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The steel sheet for a container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can improve the color tone, surface coating adhesion and weldability of the container while preventing the complicated treatment after nitriding and the productivity obstacle due to such a complicated treatment. Therefore, the productivity of the ultra-thin container steel sheet can be improved, thereby providing a remarkably industrially useful effect.

상기에서는 단지 본 발명의 원리만을 설명하였다. 상술한 실시예에 대한 다양한 변경 및 개조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내용을 참조함으로써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따라서, 기술 분야의 당업자는 본 명세서에 명시적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본 발명의 원리를 구현하고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강판 및 그 제조 방법에 대한 수많은 변경을 고안할 수 있음을 알게 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는 다양한 공보가 인용되었지만, 그 내용은 전체적으로 인용으로서 포함된 것이다.The foregoing merely illustrates the principles of the invention.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by reference to the contents described herein. Accordingly,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recognize that although not explicitly shown herein, numer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to the steel plates and methods for manufacturing the same that embody the principles of the invention and are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lthough various publications have been cit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contents are incorporated by reference in their entirety.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용기용 강판 및 그 제조 방법은 질화 후의 복잡한 처리와 이런 복잡한 처리로 인한 생산성 장애를 방지하면서도 용기의 색조, 표면 피막 밀착성 및 용접성을 개선시킬 수 있다. 따라서, 종래의 강판 및 초박형 용기용 강판의 생산을 위해 복잡한 처리를 하는 종래의 방법만큼 높은 정도의 생산성을 유지하고 산업상 유용한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The steel sheet for a container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can improve the color tone, surface coating adhesion and weldability of the container while preventing the complicated treatment after nitriding and the productivity obstacle due to such a complicated treatment. Thus, it becomes possible to maintain a high degree of productivity and to provide an industrially useful effect as the conventional method of performing a complicated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the conventional steel sheet and the steel sheet for ultra-thin container.

Claims (14)

적어도 하나의 용기용 강판이며,At least one container steel plate, 판 두께가 0.400 ㎜ 이하인 적어도 일 부분을 포함하며, 질량% 기준으로 대략적으로,At least a portion having a sheet thickness of 0.400 mm or less, approximately on a mass% basis, C: 0.0800 % 이하, C: 0.0800% or less, N: 0.600 % 이하, N: 0.600% or less, Si: 2.0 % 이하, Si: 2.0% or less, Mn: 2.0 % 이하, Mn: 2.0% or less, P: 0.10 % 이하, P: 0.10% or less, S: 0.05 % 이하, 및 S: 0.05% or less, and Al: 2.0 % 이하를 함유하며,Al: contains 2.0% or less, 상기 적어도 일 부분은 1/8 두께 표면층 및 1/4 두께 표면층을 포함하고 1/8 두께 표면층의 제1 N 함량에서 1/4 두께 중간-두께층의 제2 N 함량을 뺀 값이 적어도 대략 10 ppm이며,The at least one portion comprises a 1/8 thick surface layer and a 1/4 thick surface layer and the first N content of the 1/8 thick surface layer minus the second N content of the 1/4 thick mid-thick layer is at least approximately 10 ppm, 제1 N 함량은 대략 20000 ppm 이하이고 상기 적어도 일 부분의 표면 거칠기는 Ra를 기준으로 대략 0.90 ㎛ 이하이며,The first N content is about 20000 ppm or less and the surface roughness of the at least part is about 0.90 μm or less based on Ra, 상기 적어도 일 부분의 1인치 길이당 요철형 피크의 수("PPI")는 적어도 대략 250인 용기용 강판.Wherein the number of uneven peaks (" PPI ") per inch length of the at least one portion is at least approximately 250. 적어도 하나의 용기용 강판이며,At least one container steel plate, 판 두께가 0.400 ㎜ 이하인 적어도 일 부분을 포함하며, 질량% 기준으로 대략적으로 At least a portion having a sheet thickness of 0.400 mm or less, approximately by mass% C: 0.0800 % 이하, C: 0.0800% or less, N: 0.600 % 이하, N: 0.600% or less, Si: 2.0 % 이하, Si: 2.0% or less, Mn: 2.0 % 이하, Mn: 2.0% or less, P: 0.10 % 이하, P: 0.10% or less, S: 0.05 % 이하, 및 S: 0.05% or less, and Al: 2.0 % 이하를 함유하며,Al: contains 2.0% or less, 상기 적어도 일 부분은 1/8 두께 표면층 및 1/4 두께 중간-두께 표면층을 포함하며,Said at least one portion comprising a 1/8 thick surface layer and a 1/4 thick mid-thick surface layer, 1/8 두께 표면층의 제1 강판 단면 평균 비커스 경도에서 1/4 두께 중간-두께층의 제2 강판 단면 평균 비커스 경도를 뺀 값 중 하나는 10점보다 큰 것과 20점보다 큰 것중 하나이고 상기 적어도 일 부분의 표면 거칠기는 Ra를 기준으로 대략 0.90 ㎛ 이하이며,One of the values obtained by subtracting the first steel plate cross section average Vickers hardness of the 1/8 thick surface layer minus the second steel plate cross section average Vickers hardness of the 1/4 thick mid-thickness layer is one of greater than 10 and greater than 20; Partial surface roughness is approximately 0.90 μm or less based on Ra, 상기 적어도 일 부분의 1인치 길이당 요철형 피크의 수("PPI")는 적어도 대략 250인 용기용 강판.Wherein the number of uneven peaks (" PPI ") per inch length of the at least one portion is at least approximately 25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일 부분은 질량% 기준으로 Ti: 0.05 % 이하, Nb: 0.05 % 이하 및 B: 0.015 % 이하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용기용 강판.The steel sheet for a container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at least one portion further comprises at least one of Ti: 0.05% or less, Nb: 0.05% or less, and B: 0.015% or less on a mass% basis. 제2항에 있어서, 1/4 판 두께 중간-두께층의 평균 성분은 Ti: 4×C + 1.5×S + 3.4×N 이상, Nb: 7.8×C + 6.6×N 이상 및 B: 0.8×N 이상 중 적어도 하나로 구성되는 용기용 강판.The mean component of the quarter-plate thickness mid-thickness layer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average component of the quarter-plate thick-thickness layer is Ti: 4 × C + 1.5 × S + 3.4 × N or more, Nb: 7.8 × C + 6.6 × N or more and B: 0.8 × N Steel plate for containers composed of at least one of the above.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일 부분은 질량% 기준으로 Cr: 20 % 이하, Ni: 10 % 이하 및 Cu: 5 % 이하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용기용 강판.The steel sheet for a container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at least one portion further comprises at least one of Cr: 20% or less, Ni: 10% or less, and Cu: 5% or less on a mass% basis.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일 부분은 질량% 기준으로 전체 0.1 % 이하의 Sn, Sb, Mo, Ta, V 및 W를 더 포함하는 용기용 강판.The steel sheet for a container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at least one portion further comprises 0.1% or less of Sn, Sb, Mo, Ta, V, and W on a mass% basis. 적어도 하나의 용기를 위한 적어도 하나의 강판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이며,A method for producing at least one steel sheet for at least one container, 적어도 하나의 강판은 판 두께가 0.400 ㎜ 이하인 적어도 일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일 부분은 질량% 기준으로 대략적으로 C: 0.0800 % 이하, N: 0.0300 % 이하, Si: 2.0 % 이하, Mn: 2.0 % 이하, P: 0.10 % 이하, S: 0.05 % 이하, Al: 2.0 % 이하 및 잔량의 Fe와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며,The at least one steel sheet includes at least one portion having a sheet thickness of 0.400 mm or less, and the at least one portion is approximately C: 0.0800% or less, N: 0.0300% or less, Si: 2.0% or less, Mn: 2.0% based on mass% P: 0.10% or less, S: 0.05% or less, Al: 2.0% or less and the remaining amount of Fe and unavoidable impurities, 상기 방법은,The method, a) 강판을 냉간 압연하는 단계와,a) cold rolling the steel sheet, b) 강판을 재결정 소둔하는 단계와,b) recrystallization annealing the steel sheet; c) (b) 단계 동안 또는 (b) 단계 후 강판을 질화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며,c) nitriding the steel sheet during step (b) or after step (b), 상기 적어도 일 부분의 판두께 평균에서의 N 함량의 평균 증가는 대략 6000 ppm 이하이고 상기 적어도 일 부분의 1/8 두께 표면층의 제1 N 농도 증가는 대략 20000 ppm 이하이고 1/4 두께 중간-두께층의 제2 N 농도 증가로 나눈 1/8 두께 표면층의 N 농도 증가의 절대값은 대략 2.0 이하이며,The average increase in N content in the plate thickness average of the at least one portion is about 6000 ppm or less and the first N concentration increase in the at least one portion of the 1/8 thickness surface layer is about 20000 ppm or less and 1/4 thickness mid-thickness. The absolute value of the N concentration increase of the 1/8 thickness surface layer divided by the second N concentration increase of the layer is approximately 2.0 or less, 표면 거칠기가 Ra를 기준으로 대략 0.90 ㎛ 이하이고 상기 적어도 일 부분의 1인치 길이당 요철형 피크의 수("PPI")는 적어도 대략 250인 강판 제조 방법.Wherein the surface roughness is approximately 0.90 μm or less based on Ra and the number of uneven peaks per inch length (“PPI”) of the at least part is at least approximately 250. 적어도 하나의 용기를 위한 적어도 하나의 강판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이며,A method for producing at least one steel sheet for at least one container, 적어도 하나의 강판은 판 두께가 0.400 ㎜ 이하인 적어도 일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일 부분은 질량% 기준으로 대략적으로 C: 0.0800 % 이하, N: 0.0300 % 이하, Si: 2.0 % 이하, Mn: 2.0 % 이하, P: 0.10 % 이하, S: 0.05 % 이하, Al: 2.0 % 이하 및 잔량의 Fe와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며,The at least one steel sheet includes at least one portion having a sheet thickness of 0.400 mm or less, wherein the at least one portion is approximately C: 0.0800% or less, N: 0.0300% or less, Si: 2.0% or less, Mn: 2.0 based on mass% % Or less, P: 0.10% or less, S: 0.05% or less, Al: 2.0% or less and the remaining amount of Fe and unavoidable impurities, 상기 방법은,The method, a) 강판을 냉간 압연하는 단계와,a) cold rolling the steel sheet, b) 강판을 재결정 소둔하는 단계와,b) recrystallization annealing the steel sheet; c) (b) 단계 동안 또는 (b) 단계 후 강판을 질화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며,c) nitriding the steel sheet during step (b) or after step (b), N 함량의 증가는 상기 적어도 일 부분의 두께 평균에서 대략 6000 ppm 이하 이며,The increase in N content is approximately 6000 ppm or less in the thickness average of the at least one portion, 1/8 두께 표면층의 제1 강판 단면 평균 비커스 경도에서 1/4 두께 중간-두께층의 제2 강판 단면 평균 비커스 경도를 뺀 값은 10점과 20점 중 대략적으로 어느 하나보다 크며,The first steel plate cross section average Vickers hardness of the 1/8 thick surface layer minus the second steel plate cross section average Vickers hardness of the 1/4 thick mid-thickness layer is approximately greater than either 10 points or 20 points, 상기 적어도 일 부분의 표면 거칠기는 Ra를 기준으로 대략 0.90 ㎛ 이하이며,The surface roughness of the at least one portion is about 0.90 μm or less based on Ra, 상기 적어도 일 부분의 1인치 길이당 요철형 피크의 수는 적어도 250인 강판 제조 방법.The number of uneven peaks per 1 inch length of the at least one portion is at least 250.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일 부분은 질량% 기준으로 Ti: 0.05 % 이하, Nb: 0.05 % 이하 및 B: 0.015 % 이하 중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는 강판 제조 방법.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7 or 8, wherein the at least one portion further comprises at least one of Ti: 0.05% or less, Nb: 0.05% or less, and B: 0.015% or less.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일 부분은 1/4 판 두께 중간-두께층의 평균 성분을 기준으로 Ti: 4×C + 1.5×S + 3.4×N 이상, Nb: 7.8×C + 6.6×N 이상 및 B: 0.8×N 이상 중 하나 이상을 함유하는 강판 제조 방법.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at least one portion comprises Ti: 4 × C + 1.5 × S + 3.4 × N or more, Nb: 7.8 × C + 6.6 × N based on the average component of the quarter-plate thickness mid-thickness layer. And B: steel sheet manufacturing method containing at least one of 0.8 x N or more.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일 부분은 질량% 기준으로 Cr: 20 % 이하, Ni: 10 % 이하 및 Cu: 5 % 이하 중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는 강판 제조 방법.The steel sheet manufacturing method according to claim 7 or 8, wherein the at least one portion further comprises at least one of Cr: 20% or less, Ni: 10% or less, and Cu: 5% or less.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일 부분은, 강 성분으로서 질량% 기준으로 전체 0.1 % 이하의 Sn, Sb, Mo, Ta, V 및 W를 포함하는 강판 제조 방법.The method for manufacturing a steel sheet according to claim 7 or 8, wherein the at least one portion contains not more than 0.1% of Sn, Sb, Mo, Ta, V, and W, based on mass%, as a steel component.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단계 (b)와 동시에 또는 단계 (b) 후에 단계 (c)를 수행하기 위해, 상기 강은,The steel according to claim 7 or 8, in order to carry out step (c) concurrently with or after step (b), 질화 후 550 ℃ 이상의 고온 범위의 열이력에서 온도(℃)와 시간(초)의 곱을 48000 이하로 만들도록 1초 이상 360초 이하 동안 0.02 % 이상의 암모니아 가스를 함유한 분위기에서 550 내지 800 ℃의 강판 온도에서 유지되고,A steel sheet of 550 to 800 ° C. in an atmosphere containing at least 0.02% ammonia gas for at least 360 seconds for at least 1 second to produce a product of temperature (° C.) and time (seconds) at 48000 or less in the thermal history in the high temperature range of 550 ° C. or higher after nitriding. Maintained at temperature, 550 ℃ 내지 300 ℃에서 평균 냉각 속도를 10 ℃/초 이상으로 설정하는 것 중 적어도 하나인 강판 제조 방법.The steel sheet manufacturing method which is at least one of setting an average cooling rate at 550 degreeC-300 degreeC to 10 degreeC / sec or more.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단계 (b)를 수행한 후 및 단계 (c) 전후의 재냉간 압하율은 20 % 이하인 강판 제조 방법.The method for manufacturing a steel sheet according to claim 7 or 8, wherein the re-cold reduction ratio after performing step (b) and before and after step (c) is 20% or less.
KR20067012581A 2003-12-09 2004-12-08 Steel sheet for container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KR100895347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409918 2003-12-09
JPJP-P-2003-00409918 2003-12-09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06141A Division KR20080035005A (en) 2003-12-09 2004-12-08 Steel sheet for container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6465A true KR20060096465A (en) 2006-09-11
KR100895347B1 KR100895347B1 (en) 2009-04-29

Family

ID=34674916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67012581A KR100895347B1 (en) 2003-12-09 2004-12-08 Steel sheet for container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KR1020087006141A KR20080035005A (en) 2003-12-09 2004-12-08 Steel sheet for container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06141A KR20080035005A (en) 2003-12-09 2004-12-08 Steel sheet for container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1709208B1 (en)
JP (1) JP4299859B2 (en)
KR (2) KR100895347B1 (en)
CN (1) CN100427614C (en)
WO (1) WO2005056841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014727A (en) * 2004-09-09 2007-08-08 新日本制铁株式会社 Steel sheet for extreme thin containe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8518501B2 (en) 2010-03-10 2013-08-27 Restaurant Technology, Inc. Food holding device, method of making, and method of storing cooked food
JP5664797B2 (en) * 2011-11-21 2015-02-04 新日鐵住金株式会社 Hot-rolled steel sheet for nitriding excellent in fatigue strength, cold-rolled steel sheet for nitriding, production method thereof, and automotive parts excellent in fatigue strength using them
DE102014112286A1 (en) 2014-08-27 2016-03-03 Thyssenkrupp Ag Method for producing an embroidered packaging steel
DE102014116929B3 (en) * 2014-11-19 2015-11-05 Thyssenkrupp Ag Method for producing an embroidered packaging steel, cold rolled flat steel product and apparatus for recrystallizing annealing and embroidering a flat steel product
US20180112295A1 (en) * 2015-03-31 2018-04-26 Jfe Steel Corporation Steel sheet for can lid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as amended)
JP6421772B2 (en) * 2016-02-29 2018-11-14 Jfeスチール株式会社 Manufacturing method of steel sheet for cans
EP3875626A1 (en) * 2020-03-06 2021-09-08 ThyssenKrupp Rasselstein GmbH Packaging sheet product
DE102020112485B3 (en) 2020-05-08 2021-08-12 Thyssenkrupp Rasselstein Gmbh Steel shee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 steel sheet for packaging
DE102021129191A1 (en) 2021-11-10 2023-05-11 Thyssenkrupp Rasselstein Gmbh Steel sheet having a two-layer crystallization structure and method for producing such a steel sheet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05380B2 (en) * 1993-06-21 2000-10-30 新日本製鐵株式会社 Manufacturing method of cold-rolled steel sheet for deep drawing with excellent dent resistance and surface distortion resistance
JP3448380B2 (en) * 1994-12-27 2003-09-22 新日本製鐵株式会社 Manufacturing method of steel sheet for containers
JP3777049B2 (en) * 1998-04-30 2006-05-24 新日本製鐵株式会社 Manufacturing method of BH cold-rolled steel sheet for deep drawing excellent in dent resistance and surface strain resistance
JP4249860B2 (en) * 1999-10-01 2009-04-08 新日本製鐵株式会社 Manufacturing method of steel plate for containers
JP2001107189A (en) * 1999-10-06 2001-04-17 Nippon Steel Corp Extra-thin steel sheet excellent in homogeneity of material in coil and its producing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35005A (en) 2008-04-22
CN1890389A (en) 2007-01-03
JP4299859B2 (en) 2009-07-22
WO2005056841A1 (en) 2005-06-23
EP1709208B1 (en) 2014-08-06
CN100427614C (en) 2008-10-22
JP2007519818A (en) 2007-07-19
EP1709208A1 (en) 2006-10-11
KR100895347B1 (en) 2009-04-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892087B (en) Zinc-coated steel sheet having high resistance spot weldability
KR101950618B1 (en) Hot-dip galvanized steel sheet
KR102200175B1 (en) Zinc plated steel sheet having excellent spot weldabilit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EP3901318A1 (en) High-strength galvanized steel sheet having excellent electrical resistance spot weldability,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US8697253B2 (en) High-strength quenched formed body with good corrosion resistance
WO2016016676A1 (en) Process for manufacturing steel sheets, for press hardening, and parts obtained by means of this process
WO2019026113A1 (en) Zinc hot-dipped steel sheet
US11850821B2 (en) Hot-pressed member, cold-rolled steel sheet for hot-pressed member,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KR100895347B1 (en) Steel sheet for container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JP2008231448A (en) Steel sheet for hot dip galvannealing and hot dip galvannealed steel sheet
JP4299858B2 (en) Steel plate for container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CN116368252A (en) Fe-based plated steel sheet, alloyed hot-dip galvanized steel sheet,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US20030029530A1 (en) Method for the production of thin-walled steel components and components produced therefrom
KR20220163308A (en) Advanced high strength cold rolled steel sheet having excellent surface quality and electrical resistance spot weldabilit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2006219717A (en) Steel sheet for vessel having superior deformation resistance, surface characteristic and weldabilit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JP2004218061A (en) Container use steel sheet remarkably satisfactory in deformation resistance, and its production method
KR102457022B1 (en) Advanced high strength zinc plated steel sheet having uniform excellent spot weldability along the width direction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2457023B1 (en) Advanced high strength zinc plated steel sheet having excellent surface quality and spot weldabilit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2457020B1 (en) Advanced high strength zinc plated steel sheet having excellent surface quality and spot weldabilit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2006009069A (en) High-rigidity steel sheet causing little damage to surface coating film after having been worked,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KR102457021B1 (en) Advanced high strength zinc plated steel sheet having excellent surface quality and spot weldabilit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4291611B2 (en) Manufacturing method of steel plate for partially dissimilar material contai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80312

Effective date: 20090113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8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