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95902A - 미디어 자원에 따라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서비스 품질을지원하기 위한 형식 변환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미디어 자원에 따라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서비스 품질을지원하기 위한 형식 변환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95902A
KR20060095902A KR1020067007566A KR20067007566A KR20060095902A KR 20060095902 A KR20060095902 A KR 20060095902A KR 1020067007566 A KR1020067007566 A KR 1020067007566A KR 20067007566 A KR20067007566 A KR 20067007566A KR 20060095902 A KR20060095902 A KR 200600959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mat
content
multimedia content
format conversion
qual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075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39582B1 (ko
Inventor
노용만
콩 탕 트루옹
홍진우
김재곤
남제호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한국정보통신대학교 산학협력단
주식회사 큐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한국정보통신대학교 산학협력단, 주식회사 큐론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ublication of KR200600959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959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95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95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3Generation or processing of protective or descriptive data associated with content; Content structuring
    • H04N21/84Generation or processing of descriptive data, e.g. content descripto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06F16/957Browsing optimisation, e.g. caching or content distillation
    • G06F16/9577Optimising the visualization of content, e.g. distillation of HTML docu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60Network streaming of media packets
    • H04L65/75Media network packet handling
    • H04L65/765Media network packet handling intermediat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80Responding to Qo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02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selection affected or controlled by the adaptive coding
    • H04N19/127Prioritisation of hardware or computational resour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34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criterion affecting or controlling the adaptive coding
    • H04N19/154Measured or subjectively estimated visual quality after decoding, e.g. measurement of distor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4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video transcoding, i.e. partial or full decoding of a coded input stream followed by re-encoding of the decoded output strea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04N21/2343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distribution or compliance with end-user requests or end-user device requirements
    • H04N21/234336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distribution or compliance with end-user requests or end-user device requirements by media transcoding, e.g. video is transformed into a slideshow of still pictures or audio is converted into tex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5Processing of additional data, e.g. scrambling of additional data or processing content descrip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4Monitoring of processes or resources, e.g. monitoring of server load, available bandwidth, upstream requests
    • H04N21/2402Monitoring of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e.g. bandwidth availab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66Channel or content management, e.g. generation and management of keys and entitlement messages in a conditional access system, merging a VOD unicast channel into a multicast channel
    • H04N21/2662Controlling the complexity of the video stream, e.g. by scaling the resolution or bitrate of the video stream based on the client capabil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5Processing of additional data, e.g. decrypting of additional data, reconstructing software from modules extracted from the transport strea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04N21/4402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household redistribution, storage or real-time display
    • H04N21/440236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household redistribution, storage or real-time display by media transcoding, e.g. video is transformed into a slideshow of still pictures, audio is converted into tex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04N21/4402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household redistribution, storage or real-time display
    • H04N21/440263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household redistribution, storage or real-time display by altering the spatial resolution, e.g. for displaying on a connected PD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04N21/4402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household redistribution, storage or real-time display
    • H04N21/440281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household redistribution, storage or real-time display by altering the temporal resolution, e.g. by frame skipp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62Content or additional data management, e.g. creating a master electronic program guide from data received from the Internet and a Head-end, controlling the complexity of a video stream by scaling the resolution or bit-rate based on the client capabilities
    • H04N21/4621Controlling the complexity of the content stream or additional data, e.g. lowering the resolution or bit-rate of the video stream for a mobile client with a small scree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60Network streaming of media packets
    • H04L65/61Network streaming of media packets for supporting one-way streaming services, e.g. Internet radio
    • H04L65/611Network streaming of media packets for supporting one-way streaming services, e.g. Internet radio for multicast or broadcas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Testing, Inspecting, Measuring Of Stereoscopic Televisions And Television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미디어 자원에 따라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서비스 품질을 지원하기 위한 형식 변환에 관한 것으로서,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형식 변환 특성이 기술된 형식 변환 기술자를 입력 받는 단계와,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입력 받고, 미디어 자원 및 형식 변환 기술자에 따라 결정된 형식으로 입력 받은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변환하는 단계를 구비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하면, 형식 사이의 변환 경계가 정량적으로 계산될 수 있도록 중첩 컨텐츠 값 모델의 설계를 위한 시스템적인 접근법을 제공함으로써, 하나의 모델안에서 다양한 형식들의 관계를 정립할 수 있으며, 최적의 서비스 품질을 지원하는 형식 변환을 가능하게 한다.

Description

미디어 자원에 따라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서비스 품질을 지원하기 위한 형식 변환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CONVERTING THE MODALITY OF MULTIMEDIA CONTENTS TO SUPPORT THE QUALITY OF SERVICE ACCORDING TO MEDIA RESOURCE}
본 발명은 미디어 자원(media resource)에 따라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서비스 품질(Quality of Service : QoS)을 지원하기 위한 형식(modality) 변환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유비쿼터스(ubiquitous) 컴퓨팅 환경에서 소비되는 컨텐츠의 QoS를 지원하기 위한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형식 변환에 관한 것이다.
어떤 단말기가 한 종류의 컨텐츠 자원을 서비스하는 것이 아닌, 범용적 멀티미디어에 접근하여 이를 소비하는 것은 멀티미디어 통신에 있어서 새로운 경향이다. 범용적 멀티미디어 접근(UMA: Universal Multimedia Access)을 위한 시스템에서 컨텐츠 적응 변환은 사용자에게 QoS를 지원하기 위한 가장 중요한 절차이다. 컨텐츠 적응 변환은 두 가지 측면에서 생각할 수 있다. 하나는 형식을 변환하지 않고 컨텐츠의 비트율(또는 질)을 변화시키는 컨텐츠 트랜스코딩(transcoding)이고, 다른 하나는 한 형식(예, 비디오)에서 다른 형식(예, 이미지)으로 컨텐츠를 변환하는 형식 변환이다.
컨텐츠 값(또는 컨텐츠 품질)과 자원 간의 상대적인 관계를 나타내는 컨텐츠 값 모델(또는 컨텐츠 값 곡선)은 근래의 몇몇 연구들에서 논의되어 왔다. 1999년 10월에, S. Chandra, C. S. Ellis에 의해 2nd Symp. Internet Technologies and Systems에 발표된 " JPEG compression metric as a quality aware image transcoding" 이라는 논문에서, 그리고 S. Chandra, C. S. Ellis에 의한 "JPEG compression metric as a quality aware image transcoding, 2nd Symp. Internet Technologies and Systems, Boulder, CO: USENIX, Oct. 1999"이라는 논문에서, JPEG 이미지에 특정한 품질 측량에 대한 광범위한 연구가 자원의 양에 밀접하게 연관된 압축률에 기반하여 이루어지고 있다. 1999년 3월에, Rakesh Mohan, John R. Smith, Chung-Sheng Li에 의해 IEEE Trans. Multimedia, Vol. 1, No. 1, pp. 104-114에 발표된 논문 "Adapting Multimedia Internet Content for Universal Access, IEEE Trans. Multimedia, Vol. 1, No. 1, pp. 104-114, Mar. 1999"에서 컨텐츠 표현 설계가 서로 다른 형식을 가진 컨텐츠 버전을 포함할 때, 컨텐츠 값과 자원과의 관계가 단일 오목 함수(single concave function)에 의해 표현되는 것이 논의되고 있다. 하지만 이 오목 함수는 서로 다른 형식에서 컨텐츠 값의 상관관계를 적절히 표현하지 못한다.
현재 QoS 를 위한 대부분의 컨텐츠 값은 단일 특정 형식에 대해서 각각 계산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이는 각각의 형식이 그 자체의 특성을 가지고 있고, 서로 다른 형식의 질(質)이 서로 다른 차원에서 측정될지도 모르기 때문이다. 그러나 형식 변환과 컨텐츠 스케일링을 쉽게 하기 위한 정연한 방법으로 서로 다른 형식의 컨텐츠 값을 조합할 필요가 있다.
직관적으로 컨텐츠의 몇 가지 자원(Resource)에 관한 특성, 즉 제약조건이 주어진다면, 서비스 제공자는 사용자에게 가능한 최상의 서비스 질을 제공할 때까지 자원 특성에 맞게 컨텐츠를 (다운)스케일링 한다. 그러나 몇몇 경우에 있어서 스케일 된 컨텐츠의 질(quality)은 사용자에게 적합하지 않을 수가 있다. 이때, 상기한 문제에 대한 가능한 해결책은 다른 형식으로 컨텐츠를 변환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대역폭이 너무 작을 때, 일련의 서로 다른 이미지를 보내는 것이 저화질(低畵質)의 비디오를 스트리밍하여 보내는 것보다 더 적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법이 비디오 형식에서 이미지 형식으로의 전형적인 변형의 예이다.
QoS 관점에서 봤을 때, 형식 변환에서 가장 중요한 현안(懸案)은 "어떤 자원 특성에서 현재의 형식이 다른 형식으로 변환되어야 하는가?"이다. 그러나 현재 형식 변환을 지원하는 시스템 대부분은 단지 터미널이 어떤 형식을 지원하지 않을 경우에만 수행된다. 그러나 터미널은 형식을 지원하지만 자원이 제한되어 있을 때 최상의 QoS를 보장하는 형식 변환에 대해서는 이전의 어떠한 발명도 시스템적으로 답을 제공하지 못하였다. 본 발명에서는 형식들의 서비스 질에 기반하여, 이를 위한 형식 변환 경계를 찾아주는 방법을 제공한다.
발명의 개시
따라서 본 발명은 다양한 컨텐츠 환경 및 디바이스 환경에서 같은 형식에서 뿐만 아니라 다른 형식에서도 QoS 관점에서 최상의 QoS를 보장하는 형식 변환의 시점과 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과 관련하여 본 발명은 (1) 서로 다른 컨텐츠 형식에 대한 가중치를 사용하여 QoS를 위한 중첩 컨텐츠 값 모델을 설계하는 방법과, (2) 형식 변환의 자동화를 위한 XML(extended Markup Language)형태로의 형식변환 QoS (ModalityConversionQoS) 서술을 제안한다.
본 발명은 미디어 자원에 따라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서비스 품질을 지원하기 위한 형식 변환 방법에 있어서,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형식 변환 특성이 기술된 형식 변환 기술자를 입력 받는 단계와,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입력 받고, 미디어 자원 및 형식 변환 기술자에 따라 결정된 형식으로 입력 받은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변환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형식 변환 기술자는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형식 각각에 대한 컨텐츠 값 곡선과 가중치를 기술한다. 컨텐츠 값 곡선은 2 이상의 상이한 품질 타입(quality type)으로 측정된 컨텐츠 값 곡선의 조합에 의해 얻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형식 변환 단계는 각각의 형식에 대한 컨텐츠 값 곡선과 가중치에 의해 변환 경계들(conversion boundaries)을 얻는 과정과, 변환 경계들을 이용하여 미디어 자원에 대한 최적의 형식을 판정하는 과정과, 판정된 최적의 형식으로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변환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변환 경계들은 각각의 형식에 대한 컨텐츠 값 곡선을 해당 가중치에 따라 중첩할 때, 컨텐츠 값 곡선이 교차하는 지점에 해당하는 미디어 자원의 값으로 정의된다.
또한 본 발명은 미디어 자원에 따라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서비스 품질을 지원하기 위한 형식 변환 장치에 있어서, 멀티미디어 컨텐츠와,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형식 변환 특성이 기술된 형식 변환 기술자를 입력 받는 수단과, 미디어 자원 및 형식 변환 기술자에 따라 결정된 형식으로 입력 받은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변환하는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다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접근방식은 QoS 지원을 위한 컨텐츠 값과 자원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주는 중첩 컨텐츠 값 모델과 최상의 QoS 지원을 위한 이 모델의 설계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 멀티미디어 컨텐츠는 이질적인 네트워크 환경에서 전달되고 다양한 단말기에서 소비된다. 먼저 QoS를 보장하기 위한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형식 변환 특성이 기술된 데이터 기술 구조를 입력 받는다. 다음에 입력된 데이터 기술 구조에 따라 QoS를 제공하기 위한 형식으로 멀티미디어의 컨텐츠를 변환한다.
바람직하게는, 입력된 데이터 기술 구조에 따라 QoS를 제공하기 위한 멀티미디어의 컨텐츠 형식을 변환하는데 있어, 서로 다른 컨텐츠 형식 사이의 변환 경계(conversion boundary)를 통하여 컨텐츠 형식을 바꾸어 준다. 컨텐츠 형식 변환 경계를 통하여 컨텐츠 형식을 바꾸는 단계는 (가) 컨텐츠 값과 자원 사이의 관계를 보여주는 각 형식의 컨텐츠 값 곡선(modality curve)을 찾는 과정과, (나) 각 형식의 중요성을 나타내는 보여주는 각 형식의 가중치(scale factor)를 찾는 과정과, (다) 가중치에 따라 각 형식 곡선들을 하나의 중첩 컨텐츠 값 모델로 사상하는 과정과, (라) 중첩 컨텐츠 값 모델에서 형식 곡선의 교차점으로써 변환 경계(conversion boundary)를 얻는 과정과, (마) 얻어진 형식 변환 경계를 이용함으로써 어떠한 제약조건 하에서 현재의 형식이 다른 형식으로 변환하는 QoS를 지원하는 과정으로 수행된다.
컨텐츠 값과 자원 사이의 관계를 보여주는 각 형식의 컨텐츠 값 곡선(modality curve)을 찾는 단계에 있어, 컨텐츠 값은 다른 질 (PSNR, MOS 등)들로 측정될 수 있다. 컨텐츠 값이 다수의 자원 형태(resource type)들과 관련이 있을 때, 형식 곡선(modality curve)은 형식 면(modality surface)으로 변경된다.
각 형식의 중요성을 나타내는 각 형식의 가중치(scale factor)를 찾는 단계에 있어, 가중치는 컨텐츠 생성자나 제공자가 자동적으로 또는 수동적으로 제공되는 값이다. 가중치에 따라 각 형식 곡선들을 하나의 중첩 컨텐츠 값 모델로 사상하는 단계에 있어서, 컨텐츠 값은 다른 질 형태(quality type)들로 측정된 값들의 조합으로부터 얻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형식 변환 장치의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컨텐츠 항목의 중첩 컨텐츠 값 모델에 대한 개념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컨텐츠 항목의 최종 컨텐츠 값 함수에 대한 개념도이고,
도 4는 비디오 컨텐츠 형식을 위한 두개의 품질 곡선(quality curve)으로부터 하나의 최종 형식 곡선(modality curve)으로의 구성(사상)의 예를 나타내는 개념도로서, 도 4a는 PSNR에서 측정된 품질 곡선이고, 도 4b는 MOS에서 측정된 품질 곡선이며, 도 4c는 각각의 가중치가 1인 경우의 병합된 하나의 최종 형식 곡선이 고,
도 5는 QoS를 지원하는 컨텐츠 형식변환 처리과정을 설명하는 플로우차트이다.
발명의 최선의 실시예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 또는 신호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
먼저,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형식 변환 장치의 블록도이다. 멀티미디어 컨텐츠 및 형식변환기술자 수신부(102)는 네트워크 등을 통해 멀티미디어 컨텐츠와, 이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형식변환기술자를 수신하여 형식변환기술자 추출부(104)와 멀티미디어 컨텐츠 형식 변환부(108)로 제공한다. 형식변환기술자 추출부(104)는 입력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대한 형식변환기술자를 추출하여 멀티미디어 컨텐츠 형식 변환부(108)로 제공한다. 미디어 자원에 대한 정보 제공부(106)는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제공과 관련된 네트워크 또는 단말기에 의해 부여되는 제한조건을 멀티미디어 컨텐츠 형식 변환부(108)로 제공한다. 멀티미디어 컨텐츠 형식 변환부(108)는 형식변환기술자와 미디어 자원 정보에 의해 주어진 미디어 자원에 대한 최적의 형식을 판정하고, 이 형식으로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변환한다. 이렇게 새로운 형식으로 변환된 멀티미디어 컨텐츠는 출력부(110)를 통해 네트워크 또는 단말기로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해 제안되는 중첩 컨텐츠 값 모델에서는 컨텐츠 값, 자원, 그리고 형식 사이의 관계를 분명히 나타낼 수 있다. 각 컨텐츠는 서로 다른 컨텐츠 형식에 따른 컨텐츠 값을 표현하는 중첩 컨텐츠 값 모델과 함께 표현될 수 있다.
도 2는 비디오 형식을 가지는 컨텐츠의 예제 컨텐츠 값 모델이다. 도 2에서, 각 형식의 컨텐츠 값 곡선은 단말기에서 계산을 통해 또는 컨텐츠 제공자나 저작자에 의해 할당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컨텐츠 항목의 최종 컨텐츠 값 함수에 대한 개념도이다. 형식 곡선의 교차점은 도 3에서 보이는 점선처럼 형식 사이의 변환 경계를 나타낸다. 이런 변환 경계에 기반해서, 허용될 수 있는 최대한의 QoS를 유지하기 위해 형식 변환을 정량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컨텐츠 형식들을 도 3에서 보는 중첩 모델로 표현하여 QoS에 따른 형식 변환점을 결정하는 방법을 포함한다.
단일 형식의 형식 곡선은 컨텐츠 스케일러(content scaler)에 의해 채택된 컨텐츠 스케일링 연산(content scaling operation)에 의해 이루어진다. 예를 들면, 특정 자원 특성에 맞추기 위해 비디오 컨텐츠는 공간 해상도, 시간 해상도, 그리고 한 픽셀 당 코딩 된 비트(coded bits for a pixel)를 고려하여 스케일링된다. 이러한 단일 컨텐츠 모델로부터 중첩 컨텐츠 모델을 만들기 위해, 하나의 중첩 컨텐츠 모델 위에서 각각의 형식을 포함하는 하나의 곡선을 만들어야 한다.
컨텐츠 i에 대한 형식 j의 컨텐츠 값 곡선(content value curve)을 VMij 라 하자. 여기서 i=1...Ji 이며, Ji 는 컨텐츠 i가 취할 수 있는 형식의 수를 의미한다. 또한 모든 j=1...Ji 에 대해 VMij ≥ 0을 만족하며, j=1은 컨텐츠의 원(原) 형식을 나타내는 인덱스이다. 이때 컨텐츠 i에 대한 컨텐츠 값 함수는 다음 수학식 1과 같이 표현된다.
Figure 112006027388514-PCT00001
수학식 1에서 wij 는 컨텐츠 i의 형식 j를 위한 가중치(scale factor)를 나타낸다. 수학식 1에서 제시한 것처럼 하나의 모델로 다른 형식들을 조화(調和)시키기 위해서는 컨텐츠 저작자나 제공자가 각 형식을 위한 적절한 가중치 wij 를 자동적으로 또는 수동적으로 할당함으로써, 서로 다른 형식의 컨텐츠 값들이 그것들의 상대적인 중요도를 반영하고, 공통된 컨텐츠 값에 대한 공통된 측정 단위를 가져야 한다.
뿐만 아니라, 한 형식을 위한 컨텐츠 값 곡선은 여러 질(quality) 종류에서 측정되어 질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비디오 형식은 PSNR (peak signal to noise ratio) 또는 MOS (mean opinion score)의 계산에 의해 컨텐츠 값 곡선을 각각 얻을 수 있다. 따라서 특정 질 종류에서 측정된 컨텐츠 값 곡선을 나타내기 위해 "품질 곡선(quality curve)"이라는 용어를 사용하도록 한다. 결과적으로 하나의 형식 곡선(modality curve)은 수학식 2에서처럼 여러 품질 곡선의 조합으로 구성되어 질 수 있다.
Figure 112006027388514-PCT00002
수학식 2에서 VMk ij 는 컨텐츠의 질(quality) 종류 k에서 측정된 품질 곡선(quality curve)을 의미한다. 또한 zk 는 QoS를 보장하기 위하여질 종류 k를 위한 가중치(scale factor)이다. 도 4은 형식 곡선 을 구하는 예를 설명하는 그림으로 컨텐츠 i 및 형식 j 에 대해 서로 다른 컨텐츠 측정값(PSNR, MOS)을 갖는 두개의 품질 곡선으로부터 하나의 형식 곡선(modality curve)을 만드는 과정을 나타낸다. 상기 가중치 zk 는 서로 다르게 측정된 컨텐츠 값을 하나의 형식곡선으로 만들기 위한 파라미터로 컨텐츠 제공자가 미리 QoS 스케줄에 따라 부여 할 수 있고, 또는 자동적으로 계산될 수 있다.
한편 컨텐츠가 다양한 자원 (resource) 들과 연관되어 있을 때, 형식 곡선들은 다차원 공간에서 "형식 면(modality surfaces)"이 된다. 그리고 상기 본 발명에서 제시 한 방법은 많은 자원들에 대한 고려에도 불구하고 적용될 수 있으며 또한 유용하다. 종합해 볼 때, QoS 를 위한 형식 변환에서 중첩 컨텐츠 값 모델의 분석적인 특성은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1) 모델은 다양한 형식 곡선을 포함하고 있다.
(2) 최종 컨텐츠 값 함수(content value function)는 그 모델의 상위 부분들 로 구성된다.
(3) 각 형식 곡선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컨텐츠 스케일링 조작(content scaling operation)으로 구성되어 질 수 있다.
(4) 각 형식 곡선은 감소하지 않는 특성을 가지며, 자원이 무한히 커질 때 더 이상 증가되지 않는다.
전체의 형식 변환 과정을 요약하면, 도 5의 플로우차트에 도시된 바와 같다. 총 n개의 형식들을 위해 각각의 다양한 측정 방법들에 의해 품질 곡선(quality curve)들이 계산(10, 11)된다. 구해진 각 형식의 품질 곡선들은 수학식 2를 이용해 질 종류(quality type)에 따른 가중치에 의해 하나의 형식 곡선(modality curve)으로 병합(20, 21)된다. 이 때 결과로서 총 n개의 형식 곡선(30, 31)들이 얻어진다. 각 형식을 위한 가중치를 개산(槪算) 후에, 하나의 중첩 컨텐츠 값 모델을 만들기 위해 각 형식 곡선들을 구해진 가중치에 따라 하나의 모델로 사상(寫像)(40)한다. 이렇게 얻어진 하나의 컨텐츠를 위한 하나의 중첩 컨텐츠 값 모델(50)에서 형식 곡선들의 교차점을 찾을 수 있다(60). 최종적으로 얻어진 형식 변환 경계(70)를 이용함으로써 어떠한 제약조건 하에서 QoS를 지원하면서 현재의 형식이 다른 형식으로 변환되어져야 하는가에 대한 답을 구할 수 있다.
이 시스템에서 중첩 컨텐츠 모델을 만드는데 있어서, 사용되는 파라미터들을 표현하는 메타데이터 정보는 XML(eXtended Markup Language)과 같은 구조화된 형태로 표현될 필요가 있다. 표 1은 본 발명에서 제안한 형식 변환 QoS 기술을 XML 형식으로 표현한 것이다.
Figure 112006027388514-PCT00003
표 1에서 "ModalityCurveType"의 세만틱스(semantics)는 다음 표 2와 같이 정의된다.
Figure 112006027388514-PCT00004
전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당업자들로 하여금 용이하게 이해하고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려는 것은 아니다. 당업자들은 전술한 실시예들에 대해 다양한 변형이가 변경이 가능함을 주목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원칙적으로 후술하는 권리의 범위에 의해 정해진다.
이러한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형식 사이의 변환 경계가 정량적으로 계산될 수 있도록 중첩 컨텐츠 값 모델의 설계를 위한 시스템적인 접근법을 제공함으로써, 하나의 모델 안에서 다양한 형식들의 관계를 정립할 수 있으며, 최적의 QoS를 지원하는 형식 변환을 가능하게 한다. 더욱이, 형식 변환과 컨텐츠 스케일링에 대한 정확한 결정을 내리기 위한 기초로서 사용됨으로써, 범용적 멀티미디어 접근을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도록 한다.

Claims (11)

  1. 미디어 자원에 따라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서비스 품질을 지원하기 위한 형식 변환 방법에 있어서,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형식 변환 특성이 기술된 형식 변환 기술자를 입력 받는 단계와,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입력 받고, 상기 미디어 자원 및 상기 형식 변환 기술자에 따라 결정된 형식으로 상기 입력 받은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변환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형식 변환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미디어 자원은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가 제공되는 네트워크 또는 단말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형식 변환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형식 변환 기술자는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형식 각각에 대한 컨텐츠 값 곡선과 가중치를 기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형식 변환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형식 변환 단계는
    각각의 형식에 대한 상기 컨텐츠 값 곡선과 상기 가중치에 의해 변환 경계들(conversion boundaries)를 얻는 과정과,
    상기 변환 경계들을 이용하여 상기 미디어 자원에 대한 최적의 형식을 판정하는 과정과,
    상기 판정된 최적의 형식으로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변환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형식 변환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 경계들은 각각의 형식에 대한 상기 컨텐츠 값 곡선을 해당 가중치에 따라 중첩할 때, 컨텐츠 값 곡선이 교차하는 지점에 해당하는 미디어 자원의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형식 변환 방법.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값 곡선은 2 이상의 상이한 품질 타입(quality type)으로 측정된 컨텐츠 값 곡선의 조합에 의해 얻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형식 변환 방법.
  7. 미디어 자원에 따라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서비스 품질을 지원하기 위한 형식 변환 장치에 있어서,
    멀티미디어 컨텐츠와,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형식 변환 특성이 기술된 형식 변환 기술자를 입력 받는 수단과,
    상기 미디어 자원 및 상기 형식 변환 기술자에 따라 결정된 형식으로 상기 입력 받은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변환하는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형식 변환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형식 변환 기술자는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형식 각각에 대한 컨텐츠 값 곡선과 가중치를 기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형식 변환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형식 변환 수단은
    각각의 형식에 대한 상기 컨텐츠 값 곡선과 상기 가중치에 의해 변환 경계들(conversion boundaries)을 얻고, 상기 변환 경계들을 이용하여 상기 미디어 자원에 대한 최적의 형식을 판정하는 수단과,
    상기 판정된 최적의 형식으로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변환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형식 변환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 경계들은 각각의 형식에 대한 상기 컨텐츠 값 곡선을 해당 가중치에 따라 중첩할 때, 컨텐츠 값 곡선이 교차하는 지점에 해당하는 미디어 자원의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형식 변환 장치.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값 곡선은 2 이상의 상이한 품질 타입(quality type)으로 측정된 컨텐츠 값 곡선의 조합에 의해 얻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형식 변환 장치.
KR1020067007566A 2003-10-10 2004-10-08 미디어 자원에 따라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서비스 품질을 지원하기 위한 형식 변환 방법 및 장치 KR10083958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0499A KR20050034811A (ko) 2003-10-10 2003-10-10 이질적 환경 하에서 멀티미디어 서비스의 서비스질 지원을위한 시스템적인 형식 변환 방법 및 시스템
KR1020030070499 2003-10-1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5902A true KR20060095902A (ko) 2006-09-04
KR100839582B1 KR100839582B1 (ko) 2008-06-19

Family

ID=36353931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70499A KR20050034811A (ko) 2003-10-10 2003-10-10 이질적 환경 하에서 멀티미디어 서비스의 서비스질 지원을위한 시스템적인 형식 변환 방법 및 시스템
KR1020067007566A KR100839582B1 (ko) 2003-10-10 2004-10-08 미디어 자원에 따라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서비스 품질을 지원하기 위한 형식 변환 방법 및 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70499A KR20050034811A (ko) 2003-10-10 2003-10-10 이질적 환경 하에서 멀티미디어 서비스의 서비스질 지원을위한 시스템적인 형식 변환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925721B2 (ko)
EP (1) EP1671495A4 (ko)
KR (2) KR20050034811A (ko)
CN (1) CN101124570A (ko)
WO (1) WO2005036893A2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3210B1 (ko) * 2007-04-24 2008-12-10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시스템
WO2014130575A1 (en) * 2013-02-19 2014-08-28 Tektronix, Inc. Image appearance framework and applications for digital image creation and display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3150B1 (ko) * 2005-07-19 2013-02-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서비스 연결 설정 및 제어 방법
GB0704834D0 (en) 2007-03-13 2007-04-18 Skype Ltd Method of transmitting data in a communication system
US9509618B2 (en) * 2007-03-13 2016-11-29 Skype Method of transmitting data in a communication system
KR101012245B1 (ko) * 2007-12-31 2011-02-08 엔에이치엔비즈니스플랫폼 주식회사 사용자 단말기 환경을 고려한 광고 제공 방법 및 상기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시스템
US8578259B2 (en) 2008-12-31 2013-11-05 Microsoft Corporation Media portability and compatibility for different destination platforms
KR102444712B1 (ko) 2016-01-12 2022-09-2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다중-모달리티 특징 융합을 통한 퍼스널 미디어 자동 재창작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KR102081727B1 (ko) 2019-02-01 2020-02-26 최재원 서비스 최적화 운영관리 및 의사결정 지원을 위한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210099906A (ko) 2020-02-05 2021-08-13 최재원 서비스 최적화 운영관리 및 의사결정 지원을 위한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200096175A (ko) 2020-02-05 2020-08-11 최재원 서비스 최적화 운영관리 및 의사결정 지원을 위한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84584A (en) * 1996-10-01 2000-07-04 Diamond Multimedia Systems, Inc. Computer system supporting portable interactive graphics display tablet and communications systems
US6959318B1 (en) * 1998-03-06 2005-10-25 Intel Corporation Method of proxy-assisted predictive pre-fetching with transcoding
US6310601B1 (en) * 1998-05-12 2001-10-3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Resizing images to improve network throughput
US6487566B1 (en) * 1998-10-05 2002-11-2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Transforming documents using pattern matching and a replacement language
US6970602B1 (en) 1998-10-06 2005-11-29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coding multimedia using content analysis
US6314569B1 (en) * 1998-11-25 2001-11-0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ystem for video, audio, and graphic presentation in tandem with video/audio play
US6195088B1 (en) * 1998-12-04 2001-02-27 France Telecom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multimedia streams using dynamic prototypes
US6507857B1 (en) 1999-03-12 2003-01-14 Sun Microsystems, Inc. Extending the capabilities of an XSL style sheet to include components for content transformation
US6345279B1 (en) 1999-04-23 2002-02-05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s and apparatus for adapting multimedia content for client devices
US6565609B1 (en) 1999-06-15 2003-05-20 Microsoft Corporation Translating data into HTML while retaining formatting and functionality for returning the translated data to a parent application
JP2001319069A (ja) 2000-05-12 2001-11-16 Melco Inc ファイル変換システム、ウェブサーバ、ファイル変換方法およびファイル変換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媒体
KR100404282B1 (ko) * 2000-07-21 2003-11-01 (주)에스오엔코리아 다양한 통신망 환경에서 최적의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할수 있는 개인 통신 지원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하는 개인통신 클라이언트
JP2002169785A (ja) * 2000-08-29 2002-06-1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コンテンツ流通システムの制御方法、システム、コンテンツの流通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EP1356385A4 (en) 2001-01-30 2008-09-24 Korea Electronics Telecomm METHOD AND DEVICE FOR DELIVERING METADATA SYNCHRONIZED WITH MULTIMEDIA CONTENT
JP4045757B2 (ja) 2001-06-13 2008-02-13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ファイル転送システム
KR200263830Y1 (ko) 2001-11-13 2002-02-09 엘지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발광장치
JP3826043B2 (ja) * 2002-01-31 2006-09-27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及び方法
US6816805B1 (en) * 2003-02-28 2004-11-09 Charles Wilder Wadell Computer generated scale and conversion instrument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3210B1 (ko) * 2007-04-24 2008-12-10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시스템
WO2014130575A1 (en) * 2013-02-19 2014-08-28 Tektronix, Inc. Image appearance framework and applications for digital image creation and displa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671495A4 (en) 2008-12-31
WO2005036893A3 (en) 2007-01-25
CN101124570A (zh) 2008-02-13
WO2005036893A2 (en) 2005-04-21
JP4447605B2 (ja) 2010-04-07
US20070214410A1 (en) 2007-09-13
JP2007517270A (ja) 2007-06-28
KR20050034811A (ko) 2005-04-15
EP1671495A2 (en) 2006-06-21
US7925721B2 (en) 2011-04-12
KR100839582B1 (ko) 2008-06-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84046B1 (en) Coordination of communication with devices
Han et al. Dynamic adaptation in an image transcoding proxy for mobile web browsing
JP3683051B2 (ja) データ送信方式
Lei et al. Context-based media adaptation in pervasive computing
Vogel et al. Distributed multimedia and QoS: A survey
KR100721596B1 (ko) 웹 페이지들을 리포맷시키기 위한 방법 및 장치
US6812941B1 (en) User interface management through view depth
KR100839582B1 (ko) 미디어 자원에 따라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서비스 품질을 지원하기 위한 형식 변환 방법 및 장치
CA2340909A1 (en) Optimizing server delivery of content by selective inclusion of optional data based on optimization criteria
CN104219229B (zh) 虚拟桌面数据的传输方法和装置
US8949372B2 (en) Transmission apparatus and transmission method
KR100721523B1 (ko)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형식을 적응 변환하는 장치 및 방법
US20040015535A1 (en) Object transfer method with format adaptation
US7503051B1 (en) Broadcast data receiving device and method for receiving a plurality of multimedia data
WO2002050737A1 (fr) Procede et dispositif de traitement d'information, support d'enregistrement et programme
US7319470B2 (en) Content delivery system, content server, and content delivery method
JP4447605B6 (ja) メディア資源に応じてサービス品質をサポートするためのマルチメディア・コンテンツの様式変換方法および装置
JP2002073467A (ja) 画像変換システムの制御方法
US9559929B2 (en) Network bandwidth measurement
JP2006331199A (ja) サービス決定装置及びサービス決定方法
US8755677B2 (en) Moving-picture processing device and moving-picture processing method
Thang et al. Effective adaptation of multimedia documents with modality conversion
JP2005092773A (ja) コンテンツ配信プログラム、コンテンツ配信方法およびコンテンツ利用装置
Thang et al. Modality conversion: Toward the semantic frontier of UMA
JP2001005754A (ja) 電子メール送受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9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