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95776A - 로컬 네트워크 내의 컨트롤러와 가전제품 사이의통신연결에 대한 차단 프로세싱 - Google Patents

로컬 네트워크 내의 컨트롤러와 가전제품 사이의통신연결에 대한 차단 프로세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95776A
KR20060095776A KR1020067012195A KR20067012195A KR20060095776A KR 20060095776 A KR20060095776 A KR 20060095776A KR 1020067012195 A KR1020067012195 A KR 1020067012195A KR 20067012195 A KR20067012195 A KR 20067012195A KR 20060095776 A KR20060095776 A KR 200600957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s line
controller
hgn
appliances
appli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121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테오 부츠너
호르스트 워르크만
Original Assignee
베에스하 보쉬 운트 지멘스 하우스게랫테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베에스하 보쉬 운트 지멘스 하우스게랫테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베에스하 보쉬 운트 지멘스 하우스게랫테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0600957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9577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2Arrangements for remote connection or disconnection of substations or of equipment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40Bus networks
    • H04L12/403Bus networks with centralised control, e.g. polling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04Programme control other than numerical control, i.e. in sequence controllers or logic controll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6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6Management of faults, events, alarms or not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3/00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3/08Monitoring or testing based on specific metrics, e.g. QoS, energy consumption or environmental parameters
    • H04L43/0805Monitoring or testing based on specific metrics, e.g. QoS, energy consumption or environmental parameters by checking availability
    • H04L43/0811Monitoring or testing based on specific metrics, e.g. QoS, energy consumption or environmental parameters by checking availability by checking connectiv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4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for recovering from a failure of a protocol instance or entity, e.g. service redundancy protocols, protocol state redundancy or protocol service redir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Communication Contro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전제품과 컨트롤러 사이의 통신연결의 차단(interruption)을 결정하기 위한 그리고 차단(interruption)이 리프팅(lifting)된 이후에 통신설정을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추가적인 가전제품(domestic appliance, HGn)이 연결되어지는 로컬영역 네트워크(local area network, LAN)에서 버스라인 컨트롤러(bus line controller, BM)를 포함하는 버스라인 장치(bus line arrangement, BUS)에 연결된 가전제품(domestic appliance)과, 그리고 관련 가전제품(HG1)의 상태(status)에 대한 정보(information)가 대응되는 버스라인 컨트롤러(bus line controller, BM) 사이의 통신연결(communication connection)의 차단(interruption)은 결정되어질 수도 있으며, 차단(interruption)의 리프팅(lifting) 이후에 통신연결의 재설정(reestablishment) 상에서 상기 존성의 연결이 달성되어질 수도 있고, 상기 가전제품(HG1)의 특별히 고정된 기준(fixed criterion)은 버스라인 컨트롤러(BM)에 의해서 시간에 걸쳐서 반복적으로 리퀘스트(request)되어진다. 가전제품(HG1)으로부터 버스라인 컨트롤러(BM)로의 설정된 통신연결 상에서, 응답신호(reply signal)가 전송되어지고, 만일 어떠한 응답신호도 전송되어지지 않는다면, 통신연결에서의 차단(interruption)이 존재하는 것으로 고려되어지고, 가전제품(HG1)을 위한 서치작업(search operation)은 응답(reply)이 전자로부터 다시 얻어질 때까지 버스라인 컨트롤러(BM)에 의해서 수행되어지며, 가전제품(GH1)의 유효한 현재상태(current status)에 해당하는 정보(information)는 버스라인 컨트롤러(BM)로 전송되어진다.

Description

로컬 네트워크 내의 컨트롤러와 가전제품 사이의 통신연결에 대한 차단 프로세싱{PROCESSING OF AN INTERRUPTION TO A COMMUNICATION CONNECTION BETWEEN A DOMESTIC APPLIANCE AND A CONTROLLER IN A LOCAL NETWORK}
본 발명은 추가적인 가전제품(domestic appliance)이 선택적으로 연결되어지는 로컬영역 네트워크(local area network)에서 버스라인 컨트롤러(bus line controller)를 포함하는 버스라인 장치(bus line arrangement)에 연결된 가전제품과, 그리고 각각의 제품의 상태(status)에 대한 정보가 관련 가전제품에 의해서 전송되어지는 관련 버스라인 컨트롤러 사이의 통신연결(communication connection)의 차단(interruption)을 결정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며, 차단이 제거되어진 이후에 통신연결을 재-설정하는 이러한 전송이 계속되며, 관련 가전제품은 로컬영역 네트워크 내에서 식별(identification)을 위하여 특유의 어드레스(unique address)가 할당되어진다.
버스 라인 장치(bus line arrangement)에 연결된 버스 라인 컨트롤러(bus line controller)와 가전제품(domestic appliance) 사이의 정보 신호 또는 데이터 를 전달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는 이미 기술되어져 있다(예를 들어, 독일 특허 DE 100 56 492 A1호 및 DE 103 13 360 A1호 참조). 그러나, 가전제품(domestic appliance)으로부터 그리고 가전제품으로 통신연결(communication connection)의 차단(interruption)을 결정하는 것과 관련되고 차단(interruption)이 제거되어진 이후에 이러한 가전제품들로부터 그리고 가전제품들에 정도 신호(information signal) 및 데이터의 전송(transmission)을 개시하시 위한 조치(measure)에 관한 관련문맥 내에는 추가적인 상세가 알려져 있지 않다.
버스 라인 컨트롤러(bus line controller)를 포함하는 버스 라인 장치(bus line arrangement)의 로컬 영역 네트워크(local area network)에 연결된 가전제품으로부터 그리고 가전제품에 통신연결(communication connection)의 차단(interruption)은 단기간 폴트(short-term fault) 또는 빌딩 수정(building modification) 또는 장기간 폴트(long-term fault)에 의해서 야기되어질 수 있다.
각각의 통신 연결(communication connection)의 차단이 발생하는 경우에, 로컬 영역 네트워크(local area network)의 부하(loading)를 가능한 낮게 유지하도록 하기 위하여, 개별적인 리퀘스트(request)없이 상기 네트워크 내에 포함된 가정제품에 의해서 각각의 장치 상태 상의 정보 또는 데이터가 관련 로컬 영역 네트워크 내에서 독립적으로 전달되어지게 될 때, 관련 정보 또는 데이터가 전달되어지는 장치에, 즉 일반적으로 상기에서 언급된 로컬 영역 네트워크가 연결되어지는 상기에 서 언급된 버스 라인 장치에 연결된 버스 라인 컨트롤러에 관련된 차단(interruption)의 통지(notification)는 이용가능하지 않다. 원칙적으로, 관련된 가전제품으로 향하는 대응되는 리퀘스트(request)에 반응하여 각각의 가전제품으로부터 정보 또는 데이터를 전달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이러한 것은 상기에서 언급한 로컬 영역 네트워크와 그리고 이에 속하게 되는 버스 라인 장치의 상당한 바람직하지 못한 부하(loading)의 결과가 된다. 따라서, 가전제품으로부터 그리고 가전제품으로 통신연결의 차단(interruption)을 결정하기 위한 이러한 수단(measure)은 고려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서두에서 규정된 타입의 방법 및 장치에 있어서, 로컬 영역 네트워크(local area network) 내에 버스 라인 컨트롤러(bus line controller)를 포함하는 버스 라인 장치(bus line arrangement)에 연결되어진 가전제품(domestic appliance)과 그리고 관련된 버스 라인 컨트롤러 사이에 통신연결(communication connection)의 차단(interruption)이 결정되어질 수 있고, 그리고 또한 관련된 가전제품으로부터 그리고 가전제품으로 정보(information)의 전달(transmission)은 관련된 차단 이후에 간단한 방법으로 재-설정되어지고, 로컬 영역 네트워크와 이에 속하는 버스 라인 장치의 특별히 낮은 부하(loading)를 가지는 것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에서 기술된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서 처음에 기술된 타입의 방법으로 해결되어지는데, 상기 정보(information)가 각각의 제품 상태 상에 있는 하나의 가전제품으로부터 버스 라인 컨트롤러로 교번 정보(alternation information)의 형태로 단순히 전달되어질 때, 만일 관련 가전제품과의 통신 연결이 존재한다면 상기 가전제품의 특정한 고정된 기준(criterion)은 버스 라인 컨트롤러에 의해서 시간에 걸쳐서 반복적으로 리퀘스트(request)되어지며, 반응신호(response signal)는 이로부터 버스 라인 컨트롤러로 전달되어진다.
이러한 응답 신호(reply signal)의 부존재는 관련된 가전제품과의 통신연결의 차단으로 고려되어진다.
관련 가전제품을 위한 서치 작용(search operation)은 상기 제품으로부터 응답신호(reply signal)가 다시 얻어질 때까지 버스 라인 컨트롤러에 의해서 수행되어지며, 다음으로, 관련 가전제품의 유효한 현재상태에 대응되는 정보(information)는 버스 라인 컨트롤러에 전달되어진다.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장점을 가지고 있는데, 첫째로 각각의 상태(status) 상의 단지 교번정보(alternation information)는 관련 가전제품에 의해서 버스 라인 컨트롤러에 전달되어진다는 사실의 결과로서 버스 라인 장치와 함께 로컬영역 네트워크의 부하(loading)는 낮게 유지되어질 수 있고, 둘째로 관련 가전제품과의 통신연결(communication connection)의 차단(interruption)의 존재를 결정하도록, 그리고 관련된 가전제품으로부터 그리고 가전제품으로 정보의 전송을 재개할 수 있도록 상대적으로 낮은 하중의 관련 로컬영역 네트워크와 버스 라인 장치가 달성되어지는 장점이 있다. 버스 라인 컨트롤러는 시간에 걸쳐서 상기 가전제품의 특정한 고정된 기준(fixed criterion)을 반복적으로 단지 요정하기 때문에, 관련 가전제품의 다른 장치의 상태들이 리퀘스트(request)되지 않은 이후에 로컬영역 네트워크와 버스라인 장치의 부하(loading)의 정도는 상대적으로 낮게 유지되어질 수 있고, 이는 더욱 힘든 리퀘스트 절차(request procedure)와 따라서 더 높은 부하(loading)의 로컬영역 네트워크와 버스라인 장치를 의미한다. 따라서, 가전제품으로부터 응답신호(reply signal)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 수행되어지는 로컬영역 네트워크 내의 관련 가전제품을 위한 서치 작업(search operation)은 어떠한 매우 상당한 부하의 관련 로컬영역 네트워크와 버스라인 장치를 관여시키지 않는다. 관련 서치작업의 과정(course)에서, 버스라인 컨트롤러는 통신연결(communication connection)이 차단되어지는 가전제품에 의해서만 응답되어지는 특정한 문의신호(interrogation signal)를 전달할 수 있다. 버스라인 컨트롤러가 시간에 걸쳐서 가전제품의 특정한 고정된 기준을 반복적으로 리퀘스트(request)하는 것과 동일하게 선택적으로 될 수 있는 관련 문의신호(interrogation signal)는, 예를 들어 가전제품의 특정한 시간간격동안에 문의신호가 수신되어질 수 없는 상황으로부터 통신연결이 차단되어지는 관련 가전제품에 의해서 인식되어질 수 있다.
마지막으로, 버스라인 컨트롤러는 상기 컨트롤러에 전송되어지는 시간에서 관련 가전제품의 현재 상태에 대응되는 정보(information)에 의해서 고려되어지게 되는 가전제품의 현재 상태(current state)로 동조화(synchronise)되어질 수 있다.
선호적으로, 상기 가전제품의 특정한 고정된 기준(specific fixed criterion)의 리퀘스팅(requesting)과 상기 서치작업(search operation) 모두는 주기적으로, 예를 들어 매분(minute)마다 수행되어진다. 선호적으로, 관련 가전제품이 스위치-온(switch on)되어지거나 또는 스위치-오프 되든지 간에, 각각의 제품의 주된 상태(principal status)는 상기 가전제품의 특정한 고정된 기준으로서 리퀘스트 되어진다. 이러한 것은 단지 ON 상태 또는 OFF 상태만이 리퀘스트 되어지고 대응되는 응답신호(예를 들어, 1 또는 0)가 전송되어지기 때문에, 로컬영역 네트워크 및 관련 버스라인 장치의 특히 낮은 문의부하(interrogation loading)를 의미한다.
상기에서 언급된 가전제품과 버스라인 컨트롤러 사이의 통신연결의 차단(interruption)은 예를 들어 몇시간 또는 몇일 동안 지속되는 장기간 차단(long-term interruption)이 될 수도 있고, 또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추가적인 가전제품이 관련 가전제품이 연결되어지는 로컬영역 네트워크에 도중에 연결되어질 수 있는 것으로 예상될 수 있기 때문에, 로컬영역 네트워크 내에 그리고 버스라인 장치 상에 각각의 추가적인 가전제품을 레지스터(registering)하기 위한 레지스트레이션 절차(registration procedure)의 도중에, 통신연결이 새로이 차단되어지는 가전제품으로 이전이 이미 할당되어진 어드레스(address)가 이슈(issue)되어진다. 이러한 레지스트레이션 절차(registration procedure)는, 예를 들어 앞서 언급된 다른 인용문헌(DE 103 13 360 A1호)에 주어진다. 이러한 경우에, 만일 상기 가전제품의 현재상태에 관련한 정보들이, 로컬영역 네트워크 내의 레지스트레이션 절차에 의해서 이러한 시간에서 특유의 어드레스(address)에 관련된 가전제품이 할당되어진 이후에만 전달되어진다면 장점이 된다. 결과적으로, 상기에서 언급된 로컬영역 네트워크에 속하는 가전제품의 어드레싱(addressing)과 관련하여 유일성(uniqueness)이 보장되어진다.
둘째로, 상기에서 규정된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서 처음에 특정된 타입의 장치에 의해서 달성되어지는데, 상기 정보(information)가 각각의 제품상태 상에서 상기 하나의 가전제품으로부터 버스라인 컨트롤러로 교번 정보(alteration information)의 형태로만 전달되어질 때, 버스 라인 컨트롤러가 상기 가전제품의 특정한 고정된 기준(certain fixed criterion)을 시간에 걸쳐서 반복적으로 리퀘스트(request)하고, 만일 통신연결(communication connection)이 관련 가전제품과 함께 존재한다면, 상기 버스라인 컨트롤러는 각각의 경우에서 상기 제품으로부터 응답신호(reply signal)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버스 컨트롤러는 응답신호(reply signal)가 없는 경우에 관련 가전제품으로 통신연결의 차단(interruption)을 나타내는 메시지 신호(message signal)를 제공하는 평가장치(evaluation device)를 포함하며, 버스라인 컨트롤러(bus line controller)는 상기 메시지 신호에 반응하도록 추가적으로 구성되어지고, 응답신호가 다시 상기 장치로부터 얻어질 때까지 관련 가전제품을 위한 서치작업(search operation)을 수행하며, 수신되어지는 가전제품의 유효한 현재 장치의 상태에 대응되는 정보를 허용한다.
이러한 것은 로컬영역 네트워크와 버스라인 장치의 부하(loading)가 가능한 낮게 유지되도록 장치 상에서 전체적으로 특별히 낮은 소비(expenditure)의 장점을 가진다.
더욱 적절하게, 버스라인 컨트롤러는 관련된 가전제품의 특정한 고정된 기준(certain fixed criterion)을 주기적으로 리퀘스트(request)하고 상기 서치작업을 주기적으로 수행하는 컨트롤러(controller)이다. 여기서 컨트롤(control) 상의 특별히 낮은 소비(expenditure)가 달성되어진다.
선호적으로, 관련 버스라인 컨트롤러는 상기 가전제품의 주된 상태(principal status)를 주기적으로 반복해서 리퀘스트(request)하는 컨트롤러(controller)이다. 이러한 컨트롤러(controller)는 로컬영역 네트워크와 이에 부속된 버스라인 장치의 특별히 낮은 부하(loading)를 장점적으로 야기시킨다.
상기에서 언급된 레지스트레이션 절차(registration procedure)는 특별히 낮은 소비(expenditure)로써 달성되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버스라인 컨트롤러는 관련 가전제품의 현재 상태(current status)를 수신하기 이전에, 레지스트레이션 절차(registration procedure)에서 이러한 가전제품을 포함하도록 더욱 적절하게 설계되어지며, 이러한 수단에 의해서 상기 관련 가전제품은 로컬영역 네트워크 내에 도달되어질 수 있는 로컬영역 네트워크 내에서의 시간에서 특유한 어드레스(address)를 얻게 된다.
본 발명은 예시적인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이하에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되어진다.
도 1은 버스라인 컨트롤러(bus line controller)를 포함하며, 예를 들어 개인용 컴퓨터에 의해서 형성된 참가 스테이션(participant station)이 연결되어지는 인터페이스 장치(interface device)를 통해서 추가적인 통신 네트워크(communication network)가 연결되어지는, 버스라인 장치(bus line arrangement)를 가진 다수의 가전제품(domestic appliance)을 포함하는 로컬영역 네트워크(local area network)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다이아그램
도 2는 도 1에서 도시된 가전제품과 연결되는 다른 프로세스의 시퀀 스(sequence)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다이아그램
도 1은 동일한 가정 또는 다른 가정의 서로 다른 가전제품이 될 수 있는 다수의 가전제품(domestic appliance) HG1 내지 HGn을 도시하는 개략적인 다이아그램으로서, 상기 다수의 가전제품에는 세탁기, 전기조리기(electric cooker), 식기세척기, 전기오븐, 냉장고, 향기배출 후드(fume extraction hood), 에어 컨디셔닝 플랜트(air conditioning plant), 커피머쉰(coffee machine), 진공청소기(vacuum cleaner), 쿠킹호브(cooking hob), 냉동기(freezer) 등이 있다. 방향적으로 작동된 연결라인 또는 연결리드선(connecting lead) CB11 내지 CBn1을 이용하여 관련된 인터페이스 장치 IF11 내지 IFn1에 의해서 관련 가전제품(domestic appliance) HG1 내지 HGn은 추가적인 인터페이스 장치 IF12 내지 IFn2에 연결되어지며, 상기 추가적인 인터페이스 장치는 상응하는 연결라인(connecting line) CB12 내지 CBn2에 의해서 버스라인 장치(bus line arrangement, BUS)에 연결되어진다. 이러한 모든 연결라인 및 버스라인장치는 로컬영역 네트워크(local area network, LAN)를 형성한다. 이러한 점에서, 로컬영역 네트워크(LAN)는 선이없는 네트워크(무선 네트워크, radio network)도는 선이있는 네트워크, 예를 들어, 가전제품의 일반적인 전력 공급 네트워크가 될 수 있다.
버스 마스터(bus master)로서 디자인되어진 버스라인 컨트롤러(bus line controller, BM)는 상기에서 언급된 버스라인 장치(BUS)에 연결되어진다.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 상기 버스라인 컨트롤러(BM)는 가전제품 HG1 내지 HGn을 위한 통신 파트너(communication partner)이다. 정보(information)의 전송(transmission)은 통신의 부분으로서 가전제품(HG1 내지 HGn)과 버스라인 컨트롤러(BM) 사이에서 발생한다. 따라서, 리퀘스트(request)는 버스라인 컨트롤러(BM)에 의해서 개별적인 가전제품(HG1 내지 HGn)으로 향하게 되어지고, 정보 신호(information) 또는 데이터들은 가전제품(HG1 내지 HGn)에서 이들에 반응하거나 또는 이들 없이도 버스라인 컨트롤러에 전달되어진다. 후자의 경우에 있어서, 장치 상태 데이터, 예를 들어 더욱 정확하게는 교번정보(alternation information)는 개별적인 가전제품(HG1 내지 HGn)으로부터 버스라인 컨트롤러(BM)으로 전송되어진다.
버스라인 컨트롤러(BM)와 관련하여, 이들은 예를 들어 버스라인 장치를 작동하는데 사용되어진 버스라인 컨트롤러가 될 수 있다는 것이 주목되어야만 한다. 또한, 관련 버스라인 컨트롤러는 이미 기술되어진 바와 같이 소위 버스 커플러(bus coupler)에 의해서 인터페이스 장치(IF12 내지 IFn2)와 함께 형성되어질 수 있다(DE 103 13 360 A1호 참조).
추가적인 네트워크(NET)는 영어로는 게이트웨이(gateway)로서 알려진 액서스 장치(access device, GW)에 의해서 도 1에서 도시된 버스라인 장치(BUS)에 연결되어진다.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 가전제품 또는 가전제품들(HG1 내지 HGn)의 사용자 의 통신소(communication station)로서 개인용 컴퓨터(personal computer, PC)는 추가적인 네트워크(NET)에 연결되어진다. 예를 들어, 추가적인 네트워크(NET)는 인터넷(internet) 또는 이더넷(ethernet) 또는 GSM 네트워크와 같은 별개의 로컬영역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추가적인 통신소(communication station)는 다양한 가전제품에 할당되어진 관련된 추가적인 네트워크(NET)에 연결되어질 수 있다. 또한, 관련 통신소를 가진 다수의 추가적인 네트워크는 그 자체의 액세스 장치(access device)에 의해서 버스라인 장치(BUS)에 연결되어질 수 있다.
버스라인 컨트롤러(BM)의 가전제품(HG1 내지 HGn)에 의해서 이용가능하게 만들어진 정보(information)는 상호교신 게이트웨이(intercommunication gateway, GW)와 추가적인 네트워크(NET)를 경유해서 상기 컨트롤러에 의해서 정보의 상응하는 디스플레이를 위한 개인용 컴퓨터(PC)에 제공되어진다.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 도 1에서 도시된 장치는 각각의 경우에 있어서 각각의 제품의 상태의 상태 변경에 관련된 정보신호 또는 데이터만이 개별적인 가전제품(HG1 내지 HGn)에 의해서 버스라인 컨트롤러(BM)로 전송되어지도록 작동한다. 결과적으로, 버스라인 장치 상의 데이터 로딩(data loading)은 상대적으로 낮게 유지되어진다. 대응되는 교번정보(alteration information) 신호 또는 데이터들은 개별적인 리퀘스트(request) 또는 특별하게는 문제시 되는 특정 사용자에게 또는 현재의 경우에 있어서는, 상호교신 게이트웨이(GW)와 추가적인 네트워크(NET)를 경유해 서 개인용 컴퓨터와 같은 그들의 개인용 컴퓨터에 버스라인 컨트롤러(BM)에 의해서 제공되어진다.
만일 이하에서 소위 쇼트(short)를 위한 차단(interruption)이라고 불리는 폴트(fault) 또는 차단(interruption)은 상기에서 설명된 구성에서 각각의 가전제품(HG1 내지 HGn)을 버스라인 장치(BUS)에 연결하는 연결선(CB121, CB12 또는 CBn1, CBn2) 또는 버스라인 장치(BUS) 그 자체 내에서 발생한다면, 버스라인 컨트롤러(BM)이나 개인용 컴퓨터(PC)의 사용자 어느것도 이들로부터의 폴트(fault)를 확인할 수 없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도록 본 발명이 제공되어지며, 이는 도 2의 개략적인 다이아그램을 이용하여 자세하게 설명되어진다.
본 발명을 상세하게 기술하기 이전에, 도 1에서 도시된 장치가 어떻게 정상적인 모드(mode)로 작동하는지 먼저 간단하게 설명되어져야만 한다.
가전제품이 버스라인 장치(BUS)에 연결되어진 이후에, 상기 가전제품은 버스라인 장치(BUS)를 포함하는 로컬영역 네트워크(LAN) 내에서 레지스트레이션(registration)하는 과정중에 버스라인 컨트롤러(BM)에 의해서 특유의 도메스틱 어드레스(domestic address)에 먼저 할당되어진다. 이러한 목적을 위한 어드레스 할당(address allocation)은 예를 들어, 이하에서 추가적으로 상세하게 설명되어지는 바와 같이 발생한다.
관련 가전제품이 레지스터(register)되어지고 따라서 특유의 가전제품 어드레스가 할당되어진 이후에, 예를 들어 세탁기와 같이 가전제품의 타입, 가전제품의 관련된 타입의 실시예, 가전제품등의 적용개수와 같은 가전제품과 관련된 다양한 정보 또는 데이터들은 버스라인 컨트롤러(BM)에 모두 전달되어진다. 다음으로 이러한 모든 정보 또는 데이터들은, 예를 들어 관련 가전제품과 관련된 원격 문의(remote inquiry) 또는 원격진단(remote diagnoses)을 수행하기 위한 다양한 작업을 위하여 버스라인 컨트롤러(BM) 내에서 보유되어진다.
도 2는 세 개의 수직한 바아 라인(bar line)을 도시하고 있는데, 이들은 각각 가전제품, 도 1에서 도시된 버스라인 컨트롤러(BM) 그리고 도 1에서 도시된 개인용 컴퓨터(PC)를 심볼화하고 있다. 관련 바아 라인들 사이에서 전개된 화살선들은 각각 발생하는 프로세스 또는 전달된 메시지를 나타낸다.
NI로서 표기된 정상 정보 전송(normal information transmission)을 가진 영역은 도 2의 상부부위에서 도시되어지며, 여기서는 관련 가전제품(HG)의 각각의 제품상태 상에서 단지 교번정보(alteration information, AI)가 관련 가전제품으로부터 버스라인 컨트롤러(BM)로 전달되어진다. 이러한 교번정보(alteration information)는 개인용 컴퓨터(PC)에 선택적으로 통과되어진다(W).
상기로부터 고려되는 도 2의 두 번째 영역에서는, 관련 가전제품(HG)과 버스라인 컨트롤러(BM) 사이의 정상정보 전송에 추가하여 발생하는 프로세스(process)가 도시되어진다. 상기 추가적인 프로세스에 따르면, 버스라인 컨트롤러(BM)는 가전제품(HG)로부터 특정한 고정된 기준(certain fixed criterion), 특별하게는 각각의 제품의 주된 상태(principal status, ON, OFF)를 위한 주기적인 리퀘스트(ZA)를 만든다. 만일 이러한 주기적인 리퀘스트가 응답되지 않은 OA에 남아있다면, 이러한 것은 관련 가전제품(HG)과의 통신연결의 차단(interruption, U)으로서 버스라인 컨트롤러(BM) 내에서, 상세하게는 예를 들어 메시지(message)를 전달하는 개별적인 평가장치(evaluation device)에 의해서 접근되어진다. 그 후, 대응되는 메시지(M)는 관련 개인용 컴퓨터(PC)에 선택적으로 전달되어지며, 이에 다라서 관련 가전제품(HG)은 상기 가전제품(HG)에 차단(interruption, U)이 존재하는 것을 말하기 위해 “오프라인(offline)”되어진다.
따라서, 관련 가전제품(HG)을 위한 서치(search, S)는 도 1에서 도시된 로컬영역 네트워크(LAN)에서 발생한다. 상기에서 언급된 문의(inquiry)와 같이 주기적으로 예를 들어 매 분(minute) 발생할 수 있는 이러한 서치는, 관련 가전제품(HG)으로부터 응답(reply, A)이 있을 때까지 계속되어진다. 이러한 점에서, 일반적인 문의 신호(inquiry signal, BS)(영어로는 방송신호, broadcast signal)는 상기에서 언급된 서치 과정중에 버스라인 컨트롤러(BM)에 의해서 보내지며, 서치된 가전제품(HG)은 차단(interruption, U)이 리프트(lift)되어진 이후에 응답할 때까지 예를 들어 특정한 정도로 “손실(lost)”되어진 가전제품(HG)의 이용개수를 포함함으로써 이러한 제품은 상당히 구체적으로 서치되어진다.
서치(searching, S)와 “손실된(lost)” 가전제품을 결정하기 위한 다른 가능성은, 그 통신연결의 차단(U) 때문에 더 이상 문의신호(inquiry signal)를 수신하지 못하고, 관련 차단(interruption)이 리프트(lift)되어진 이후에 유입되는 일반적인 문의신호(inquiry signal)에 반응하는 이러한 파인딩(finding)으로부터 단지 응답신호(reply signal)를 전달하는 관련 가전제품(HG)으로 구성되며, 응답신호는 다시 버스라인 컨트롤러(BM)가 이전의 “손실된” 가전제품(HG)이 다시 발견되어지는 것을 알도록 한다.
상기에서 설명된 프로세스(process)에 반응하여, 다음으로 레지스트레이션 절차(registration procedure, RP)는 도 2의 위쪽으로부터의 제 3 영역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도 1에서 도시된 장치 내에서 운영된다. 레지스트레이션 절차(RP)의 과정에서, 이러한 시간에 특유한 어드레스(unique address)는 가전제품(HG)에 할당되어지는 어드레스(address)가 할당되어진다. 상기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특유한 어드레스는 로컬영역 네트워크(LAN) 내의 각각의 가전제품에 할당되어진다. 만일 관련 로컬영역 네트워크(LAN)와의 통신연결의 차단(interruption)또는 폴트(fault)의 결과로서 이러한 가전제품이 더 이상의 도달되어질 수 없다면, 이러한 가전제품에 할당된 어드레스(address)는 새로운 가전제품으로서 관련 로컬영역 네트워크에 연 결되어진 다른 가전제품에 도중에 할당되어진다. 이러한 이유로서, 본 발명에 따르면, 이러한 시간에서 현재의 어드레스(current address)는 상기에서 언급된 레지스트레이션 절차(RP)의 일부로서 통신연결이 이전에 차단되어지거나 또는 방해되어진 가전제품(HG)에 이제 할당되어진다. 관련된 어드레스 할당(address allocation)은 처음에 언급된 다른 인용문헌(DE 103 13 360 A1호)에서 이미 기술되어진다.
이러한 어드레스 할당(address allocation) 과정에서, 버스라인 컨트롤러(bus line controller, BM)는 어드레스들을 발생하고 이들을 버스라인 장치(bus line arrangement, BUS)를 경유해서 전달한다. 만일 이러한 어드레스 D1, D2가 이미 가전제품을 위해서 할당되어졌다면, 이러한 것은 “오브젝션(objection)”E1, E2로서 특정한 정도까지 버스라인 컨트롤러(BM)에 통지되어진다. 이에 따라서, 관련 버스라인 컨트롤러(BM)는, “포지티브(positive)”응답이 최종적으로 제시될 때까지 즉 어떠한 “오브젝션(objection)”이 올려지지 않을 때까지, 다른 어드레스 DN으로써 트라이(try)된다. 이때 어드레스는, 관련 가전제품이 로컬영역 네트워크(LAN) 내에서 특유하게 도달되어지는 도메스틱 어드레스(domestic address)로서 네트워크(LAN) 내의 가전제품(HG)에 할당되어진다. 따라서 이러한 어드레스 할당(address allocation)은 영어로서는 시도와 수정(trial and error)으로 기술되어지는 어드레스 서치 절차(address searching procedure)에 상응하게 된다. 이러한 점에서, 어드레스들의 할당은 상기에서 기술된 방법으로 발생할 뿐만 아니라 완전히 다른 방법으로 처리될 수 있다. 예를 들어서, 관련된 어드레스의 할당과 개별적 인 가전제품의 레지스트레이션(registration)은 예를 들어, 버스라인 장치(BUS)에 연결되어진 중앙 어드레스 할당장치(central address allocation device)를 이용하여 발생할 수 있다.
도 2에서, 디클라인(declined)되어지는 각각의 어드레스를 가진 어드레스들의 할당에서의 두개의 시도가 레지스트레이션 절차(registration procedure)로서 표기되어진 영역에서 표시되어진다. 어드레스의 할당에서 단지 세 번째 시도만이 디클라인(declined)되어지지 않고 성공적으로 되어서, 가전제품이 로컬영역 네트워크(LAN) 내에서 이를 특유하게 지정하는 어드레스에 할당되어진다.
관련 가전제품(HG)과의 통신연결의 차단(U)이 리프트(lift)되어지고 관련 가전제품이 현재의 어드레스(current address, DN)에 할당되어진 이후에, 버스라인 컨트롤러(BM) 내의 또는 버스 마스터(bus master)내의 정보상태(information status)는 이제 업데이트 되어지고, 정상 정보 전송(normal information transmission, NI)은 도 2의 상부부분이 시작되어지는 것으로부터 발생한다. 도 2의 하부부위에서 도시된 이러한 관계들은 처음에는 업데이트(updating)를 의미하고, 따라서 개인용 컴퓨터(PC)로 관련 업데이트 정보(IS)의 선택적인 추가적 전송(W)과 가전제품(HG)에 의해서 버스라인 컨트롤러(BM)의 정보상태의 동조화(synchronsing)를 의미하고, 다음으로 관련 가전제품(HG)으로부터 버스라인 컨트롤러(BM)로 교번정보(alteration information, AI)의 계속적인 전송과 선택적으로 는 개인용 컴퓨터(PC)로 이러한 정보의 추가적인 전송(W)을 의미한다. 이러한 것은 버스라인 컨트롤러(BM)가 단지 정보(information)가 이전의 레지스트레이션 절차(RP) 이후에 관련 가전제품(HG)에 의해서 다시 수신되어지도록 하는 것을 의미한다.
관련 가전제품(HG)의 주기적인 문의(cyclic interrogation, ZA)는 이제 다시 수신되어진다.
따라서, 가전제품(HG)과의 통신연결(communication connection)의 차단(interruption, U) 또는 폴트(fault)가 리프트(lift)되어진 이후에, 새로운 적용(application) 및 동조화(synchronisation)가 이러한 가전제품(HG)과 버스라인 컨트롤러(BM) 사이에서 발생한다. 따라서, 가전제품(HG)과 버스라인 컨트롤러(BM) 사이의 로컬영역 네트워크(LAN)는 상기에서 언급된 차단(U) 또는 폴트(fault)로부터 특정한 정도로 자동적으로 회복되며, 따라서 자가-치료(self-healing)는 차단(U) 또는 폴트(fault)와 관련하여 발생한다.
본 발명에 의해서, 도 1에 따른 개인용 컴퓨터를 사용하는 사용자는 버스라인 컨트롤러(BM)에 의해서 가전제품 또는 가전제품들의 실제적인 상태(status)에 대해서 즉각적으로 알려진다. 이러한 것은, 사용자가 현재 그 실제 상태에 대해서 알게되기 때문에 시스템을 “신뢰(trust)”할 수 있다. 전체적인 시스템은 통신 폴트 또는 봉쇄(blockade)에 동적으로 응답하며, 폴트(fault) 또는 차단(U)이 더 이상 존재하지 않을 때 각각의 사용자의 상호작용(interaction)없이 자동적으로 재-생성되어진다. 만일 각각의 사용자가 통신차단이 존재하는 시간동안 시스템을 호출하지 않는다면, “블랙아웃(blackout)”이 남아있어 사용자는 볼 수 없다. 이러한 것은 높은 시스템 이용가능성이 제공되어지기 때문에 높은 소비자 만족의 결과가 된다.

Claims (10)

  1. 추가적인 가전제품(domestic appliance)이 연결되어지는 로컬영역 네트워크(local area network)에서 버스라인 컨트롤러(bus line controller)를 포함하는 버스라인 장치(bus line arrangement)에 연결된 가전제품과, 그리고 각각의 제품의 상태(status)에 대한 정보(information)가 관련 가전제품에 의해서 전송되어지는 과련 버스라인 컨트롤러(bus line controller) 사이의 통신연결(communication connection)의 차단(interruption)을 결정하고, 차단(interruption)이 제거되어진 이후에 통신연결을 재-설정하도록 상기 전송(transmission)을 계속하고, 관련 가전제품은 로컬영역 네트워크 내에서 그 식별(identification)을 위한 특유의 어드레스(unique address)가 할당되어지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정보(information)는 각각의 제품상태 상의 상기 하나의 가전제품(HG1 내지 HGn)으로부터 버스라인 컨트롤러(bus line controller, BM)로 단지 교번정보(alteration information)의 형태로 전송되어지고, 상기 가전제품(HG1 내지 HGn)의 특정 고정된 기준(fixed criterion)은 관련 가전제품(HG1 내지 HGn)과의 통신연결이 존재한다면 버스라인 컨트롤러(BM)에 의해서 시간에 걸쳐서 반복적으로 리퀘스트(request)되어지고, 응답신호(reply signal)는 이들로부터 버스라인 컨트롤러(BM)로 전송되어지고, 상기 응답신호의 부존재는 관련 가전제품(HG1 내지 HGn)과의 통신연결의 차단으로 고려되어지며, 관련 가전제품(HG1 내지 HGn)을 위한 서치작업(search operation)은 응답신호가 상기 장치로부터 다시 얻어질 때까지 버스라 인 컨트롤러(BM)에 의해서 수행되어지며, 다음으로 관련 가전제품(HG1 내지 HGn)의 유효한 현재 상태(current status)에 해당하는 정보(information)는 버스라인 컨트롤러(BM)로 전송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전제품(HG1 내지 HGn)의 특정한 고정된 기준(specific fixed criterion)은 주기적으로 리퀘스트(request)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각각의 제품의 주된 상태(principal status)는 상기 가전제품(HG1 내지 HGn)의 특정한 고정된 기준(specific fixed criterion)으로서 리퀘스트(request)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서치작업(search operation)은 주기적으로 수행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가전제품(HG1 내지 HGn)의 현재상태(current status)는, 관련 가전제품(HG1 내지 HGn)이 로컬영역 네트워크(LAN) 내에서 레지스트레이션 절차(registration procedure)에 의한 시간에서 특유의 어드레스(unique address)에 할당되어진 이후에 버스라인 컨트롤러(bus line controller, BM)로만 전달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추가적인 가전제품(domestic appliance)이 연결되어지는 로컬영역 네트워크(local area network)에서 버스라인 컨트롤러(bus line controller)를 포함하는 버스라인 장치(bus line arrangement)에 연결된 가전제품과, 그리고 각각의 제품의 상태(status)에 대한 정보(information)가 관련 가전제품에 의해서 전송되어지는 과련 버스라인 컨트롤러(bus line controller) 사이의 통신연결(communication connection)의 차단(interruption)을 결정하고, 차단(interruption)이 제거되어진 이후에 통신연결을 재-설정하도록 상기 전송(transmission)을 계속하고, 관련 가전제품은 로컬영역 네트워크 내에서 그 식별(identification)을 위한 특유의 어드레스(unique address)가 할당되어지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정보(information)는 각각의 제품상태 상의 상기 하나의 가전제품(HG1 내지 HGn)으로부터 버스라인 컨트롤러(bus line controller, BM)로 단지 교번정보(alteration information)의 형태로 전송되어지고, 버스라인 컨트롤러(bus line controller, BM)는 관련 가전제품(HG1 내지 HGn)과의 통신연결(communication connection)이 존재한다면 상기 가전제품(HG1 내지 HGn)의 특정 고정된 기준(fixed criterion)을 시간에 걸쳐서 반복적으로 리퀘스트(request)하고, 상기 버스라인 컨트롤러(BM)는 각각의 경우에 있어서 상기 장치로부터 응답신호(reply signal)를 수신하고, 상기 버스라인 컨트롤러(BM)는 응답신호(reply signal)가 부존재할 때 관련 가전제품(HG1 내지 HGn)으로의 통신연결의 차단(interruption)을 나타내는 메시지 신호(message signal)를 제공하는 평가장치(evaluation device)를 포함하며, 버 스라인 컨트롤러(BM)는 상기 메시지 신호(message signal)에 반응하여 응답신호가 상기 제품으로부터 다시 얻어질 때까지 관련 가전제품(HG1 내지 HGn)을 위하여 서치작업(search operation)을 수행하도록 추가적으로 구성되어지며, 다음으로 유효한 현재 장치의 상태에 해당하는 정보가 수신되어지도록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버스라인 컨트롤러(bus line controller, BM)는 관련 가전제품(HG1 내지 HGn)의 상기 특정한 고정된 기준(fixed criterion)을 주기적으로 리퀘스트(request)하는 컨트롤러(controller)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8.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버스라인 컨트롤러(bus line controller, BM)는 상기 가전제품(HG1 내지 HGn)의 주된 상태(principal status)를 주기적으로 반복적으로 리퀘스트(request)하는 컨트롤러(controller)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9. 제 6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버스라인 컨트롤러(bus line controller, BM)는 상기 서치작업(search operation)을 주기적으로 실행하는 컨트롤러(controller)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0. 제 6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버스라인 컨트롤러(bus line controller, BM)는, 관련 가전제품(HG1 내지 HGn)의 현재상태(current status)를 수신하기 이전에, 관련된 가전제품(HG1 내지 HGn)이 로컬영역 네트워크(LAN)에서 도달되어질 수 있는 로컬영역 네트워크(LAN) 내의 시간에서 특유의 어드레스(unique address)를 얻을 수 있는 레지스트레이션 절차(registration procedure)에서 가전제품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KR1020067012195A 2003-11-21 2004-11-22 로컬 네트워크 내의 컨트롤러와 가전제품 사이의통신연결에 대한 차단 프로세싱 KR2006009577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354498.4 2003-11-21
DE10354498A DE10354498A1 (de) 2003-11-21 2003-11-21 Behandlung von einer Unterbrechung einer Kommunikationsverbindung zwischen einem Hausgerät und einer Steuereinrichtun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5776A true KR20060095776A (ko) 2006-09-01

Family

ID=345597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12195A KR20060095776A (ko) 2003-11-21 2004-11-22 로컬 네트워크 내의 컨트롤러와 가전제품 사이의통신연결에 대한 차단 프로세싱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070130487A1 (ko)
EP (1) EP1687942B1 (ko)
KR (1) KR20060095776A (ko)
CN (1) CN1883163A (ko)
AT (1) ATE371318T1 (ko)
DE (2) DE10354498A1 (ko)
ES (1) ES2293371T3 (ko)
WO (1) WO200505091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60143A1 (de) * 2002-12-20 2004-07-01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Übertragung von Dateien in einem lokalen Hausgeräte-Netzwerk
US8711711B2 (en) * 2008-10-31 2014-04-29 Howard University System and method of detecting and locating intermittent and other faults
EP2254280A1 (en) * 2009-05-19 2010-11-24 Electrolux Home Products Corporation N.V. Bus control for a domestic appliance
WO2015071990A1 (ja) * 2013-11-14 2015-05-21 三菱電機株式会社 遠隔操作システム、宅内機器、中継装置、機器管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GB2550600A (en) * 2016-05-24 2017-11-29 Bofa International Ltd Fume extraction systems
CN111780360B (zh) * 2020-06-12 2022-12-09 海信空调有限公司 一种空调器与被控家电设备联动的方法和空调器

Family Cites Families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48841A (ja) * 1988-08-10 1990-02-19 Omron Tateisi Electron Co バス型lanにおける送信権制御方式
WO1991010276A1 (de) * 1989-12-21 1991-07-11 Zumtobel Aktiengesellschaft Steuersystem für mehrere verbraucher
US5321229A (en) * 1993-04-05 1994-06-14 Whirlpool Corporation Remote control for a domestic appliance
US5663963A (en) * 1995-07-17 1997-09-02 Ncr Corporation Method for detecting and reporting failures in EPL systems
DE19615840A1 (de) * 1996-04-20 1997-10-30 Bosch Gmbh Robert Elektrisches Hausgerät
US5909549A (en) * 1996-11-12 1999-06-0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Network management system wherein the managed device reestablishes a connection to a management station after detecting a broken connection
JP3563584B2 (ja) * 1998-01-23 2004-09-08 株式会社東芝 ネットワーク接続装置
ITTO980134A1 (it) * 1998-02-20 1999-08-20 Merloni Elettrodomestici Spa Sistema, dispositivo e metodo per il monitoraggio di una pluralita' di utenze elettriche, in particolare elettrodomestici, connesse in rete
US6496859B2 (en) * 1998-11-25 2002-12-17 Xerox Corporation System for network device location
US6982953B1 (en) * 2000-07-11 2006-01-03 Scorpion Controls, Inc. Automatic determination of correct IP address for network-connected devices
US6618823B1 (en) * 2000-08-15 2003-09-09 Storage Technology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automatically gathering information from different types of devices connected in a network when a device fails
DE10056492A1 (de) * 2000-11-15 2002-05-23 Bsh Bosch Siemens Hausgeraet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Übermittlung von Information
EP1598714B1 (en) * 2000-12-13 2016-09-28 LG Electronic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remotely controlling household appliances
US20020095269A1 (en) * 2001-01-17 2002-07-18 Francesco Natalini System for monitoring and servicing appliances
EP1360796B1 (en) * 2001-01-26 2009-12-23 American Power Conversion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a set of network appliances which can be connected to provide enhanced collaboration, scalability, and reliability
JP4149178B2 (ja) * 2001-03-09 2008-09-10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リモートメンテナンスシステム
KR100438696B1 (ko) * 2001-04-13 2004-07-05 삼성전자주식회사 홈네트워크 환경에서의 디바이스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100393580B1 (ko) * 2001-05-02 2003-08-02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전기기 네트워크 시스템 및 관리정보전송방법
KR100434270B1 (ko) * 2001-05-30 2004-06-04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전기기 네트워크 제어시스템
KR100381170B1 (ko) * 2001-07-20 2003-04-18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전기기 제어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
US6868509B2 (en) * 2001-12-07 2005-03-15 Invensys System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network fault correction via adaptive fault router
US6838978B2 (en) * 2002-01-09 2005-01-04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Appliance data collecting system
US6931356B2 (en) * 2002-03-21 2005-08-1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ystem for dynamically adjusting performance measurements according to provided service level
US7120837B1 (en) * 2002-05-09 2006-10-10 Cisco Technology, Inc. System and method for delayed error handling
US7043577B2 (en) * 2002-08-27 2006-05-09 General Electric Company Auto-detecting universal appliance communication controller
CN1181648C (zh) * 2002-09-06 2004-12-22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网络上设备间自动查找的方法
KR20040049667A (ko) * 2002-12-06 2004-06-12 엘지전자 주식회사 홈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
US7277936B2 (en) * 2003-03-03 2007-10-02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System using network topology to perform fault diagnosis to locate fault between monitoring and monitored devices based on reply from device at switching layer
US7433740B2 (en) * 2003-03-05 2008-10-07 Colorado Vnet, Llc CAN communication for building automation systems
US20040255023A1 (en) * 2003-06-13 2004-12-16 Tetsuro Motoyama Method and system for extracting vendor and model information in a multi-protocol remote monitoring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S2293371T3 (es) 2008-03-16
EP1687942A1 (de) 2006-08-09
DE10354498A1 (de) 2005-06-09
WO2005050916A1 (de) 2005-06-02
DE502004004771D1 (de) 2007-10-04
EP1687942B1 (de) 2007-08-22
US20070130487A1 (en) 2007-06-07
CN1883163A (zh) 2006-12-20
ATE371318T1 (de) 2007-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169454B1 (en) Name usage support through distributed processing networks linked by bridges and/or gateways
KR20050115933A (ko) 버스 라인 장치에 가전 기기의 연결 등록을 검출하는 방법및 장치
TW201328252A (zh) 主控裝置、被控裝置、及其方法
CN104811375A (zh) 智能家居网关及其组网方法
KR20050086181A (ko) 홈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CN105116744A (zh) 智能家电控制方法及家庭网关
CN105357116A (zh) 一种多终端访问服务器的方法和智能终端
CN107113892A (zh) 一种网关设备自动组网的方法及装置
CN105703985A (zh) 智能设备快速入网和设备互联的方法
US10037253B2 (en) Fault handling methods in a home service system, and associated household appliances and servers
CN104092593A (zh) 基于内外网识别器实现的智能终端自动识别的内外网自动接入系统及其接入方法
CN104301407A (zh) 分布式监护系统中备份数据的方法和装置
CN104601365A (zh) 一种节点设备监测方法以及装置
CN101820371A (zh) 一种数字家庭系统
CN104935484A (zh) 一种通过网关调用家电服务的方法及装置
KR20060095776A (ko) 로컬 네트워크 내의 컨트롤러와 가전제품 사이의통신연결에 대한 차단 프로세싱
CN105099835A (zh) 一种用于联动建立的方法和设备
CN111314984A (zh) 一种网关切换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EP1587251A2 (en) Home network system with multi-network manag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20070107018A (ko) 제 1 네트워크 액세스 장치로부터 제 2 네트워크 액세스장치로, 가정용 기구와 같은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가용장치의 스위칭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CN111258227A (zh) 一种电器控制方法、电子设备寄计算机可读介质
US20080123556A1 (en) Method And Circuit Arrangement For Carrying Out Initialization And/Or Registration Steps For A Device, In Particular A Household Applicance
CN114900826A (zh) 设备的绑定方法和装置、存储介质及电子装置
JP2004538689A (ja) 多数のホームネットワーク分離方法
KR20160147330A (ko) 가전 제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