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95616A - 홈 네트워크 시스템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홈 네트워크 시스템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95616A
KR20060095616A KR1020050016375A KR20050016375A KR20060095616A KR 20060095616 A KR20060095616 A KR 20060095616A KR 1020050016375 A KR1020050016375 A KR 1020050016375A KR 20050016375 A KR20050016375 A KR 20050016375A KR 20060095616 A KR20060095616 A KR 200600956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xt
network system
home network
environmental information
ser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163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심귀보
전진형
이홍기
Original Assignee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500163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95616A/ko
Publication of KR200600956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9561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16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by calling their functionalities
    • H04L12/2821Avoiding conflicts related to the use of home applia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23Reporting information sensed by appliance or service execution status of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 H04L12/2827Reporting to a device within the home network; wherein the reception of the information reported automatically triggers the execution of a home appliance functional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비쿼터스 환경에 기반을 두고 있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제어장치(3)에서, 센서(1a∼1n)로부터의 환경정보와 전기장치(2a∼2n)로부터의 환경정보에 따른 컨텍스트를 사람의 감각기관인 눈, 귀, 피부, 코에 해당되는 4개로 분류하여, 컨텍스트 간의 충돌 여부를 파악한 후, 집 내부 공간을 사유공간과 공유공간으로 구분하여, 공간의 특성에 따라 전기장치(2a∼2n)를 작동 제어하는 방법으로 되어, 다수의 사용자들에게 보다 적절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고, 사용자들의 요구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홈 네트워크 시스템 제어방법{Control method for home network system}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홈 네트워크 시스템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 첨부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용어 설명 -
1a∼1n ; 센서, 2a∼2n ; 전기장치,
3 ; 제어장치.
본 발명은 유비쿼터스 환경에 기반을 두고 있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컨텍스트(Context)의 충돌을 적절히 조정하여, 다수 사용자의 요구를 효과적으로 만족시킬 수 있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들어서 인터넷의 보급과 센서 및 정보통신 기술의 발달로 홈 네트워크 시스템의 기반 구조가 마련되었다.
홈 네트워크 시스템은 사용자(거주자)가 언제 어디서나 일상생활 속에 편재해 있는 컴퓨팅 자원을 이용하는 유비쿼터스 환경을 기반으로 사용자에게 편리하고 쾌적한 삶을 제공한다.
현재는 좀더 지능적이고 편리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 홈 네트워크 시스템을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 홈 네트워크 시스템은 다수 사용자의 요구를 충족시켜주기 위한 방안이 마련되지 못하여, 모든 사용자에게 동일한 서비스만을 제공함으로서, 사용자의 단순한 동작에 반응하여 적절치 못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문제가 초래되었다.
이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해 보면 다음과 같다.
가족 구성원이 일상생활을 영위하는 집은 잠을 자고 식사를 하며 여가를 즐기고 가족과 대화를 나누는 등의 일상활동이 이루어지는 공간이다. 집을 구성하는 방은 나름의 용도와 특징이 있다. 잠을 자는 침실, 휴식과 오락 등 다양한 용도의 거실, 음식과 관련된 주방, 세면과 배설을 위한 욕실 등이 있으며 각각의 공간이 가지는 용도와 특징에 따라 요구되는 서비스가 다르다. 집의 공간은 특정 개인의 우선권 인정 여부에 따라 공유공간(Public Space)과 사유공간(Private Space)으로 나눌 수 있다.
사유공간은 침실처럼 개인의 사유 영역으로 인정되어 사용자의 신원에 따라 우선권을 인정받거나, 화장실처럼 서로 공유할 수 없어서 선점한 사람이 우선권을 인정받는 공간이다. 사유 공간에서 홈 네트워크 시스템이 사용자에게 서비스를 제공할 때 사유와 선점은 다른 항목보다 조금 더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한다.
공유공간은 거실이나 주방과 같이 여러 사람이 함께 공유하여 특정 개인의 사유나 선점이 없는 공간이다. 다양한 일상생활이 가능한 공간으로 한 명이 즐기는 활동보단 여럿이 즐기는 활동이 우선한다. 사유공간과 달리 공유 공간에서는 사용자가 공유하는 특성을 조금 더 중요시한다.
그러나, 종래 홈 네트워크 시스템은 이러한 특성이 고려되지 못하여, 모든 가족 구성원들에게 똑같은 서비스를 제공하여 가족 구성원들의 개인화된 서비스 요구사항을 만족시키지 못하였다. 예를 들어, 기존의 조명 서비스는 누가 방에 들어오든지 똑같은 밝기로 불을 밝혀 주도록 되어 있어서, 누군가 방에서 자고 있었다면 그 사람은 밝은 불빛에 방해를 받아서 잠을 깨게 될 것이다.
다수의 사용자가 생활하는 가정에는 컨텍스트가 하나만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여러 개가 동시에 존재하며 시간의 흐름에 따라 생성/소멸하기도 한다.
다중 컨텍스트 환경에서 공존하는 다수의 환경문맥은 동시에 제공될 수 없는 서비스를 요구할 수도 있으며, 다수 사용자는 각자가 모두 만족하는 서비스를 요구할 수도 있다. 다중 컨텍스트 환경에서 컨텍스트 충돌은, 다수의 컨텍스트가 하나의 가전기기에게 동시에 제공할 수 없는 두가지 이상의 서비스를 요구할 때나, 서로 다른 컨텍스트가 같은 종류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둘 이상의 전기장치에게 상반된 서비스를 요구하여 그 둘 이상의 상반된 서비스가 일정 공간에서 제공될 때, 즉 하나의 컨텍스트가 다른 컨텍스트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경우에 발생될 다. 전자는, 아내가 침실에서 자고 있을 때, 남편이 늦게 퇴근하여 침실에 들어오면 자고 있는 아내의 컨텍스트는 어두운 조명을 요구하고, 방에 들어온 남편의 컨텍스트는 밝은 조명을 요구하는 충돌이 발생되는 것을 예를 들 수 있다. 후자는, 아내가 거실에서 조용한 음악을 들으며 책을 복 있는데, 퇴근한 남편이 축구경기를 보기위해 TV를 켜고 볼륨을 높이게 되면, 독서를 위한 아내의 컨텍스트는 남편에게 별다른 영향을 주지 않지만, 축구경기 관전을 위한 남편의 컨텍스트는 아내의 독서를 방해하게 되는 것을 예를 들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컨텍스트(Context)의 충돌을 적절히 조정하여, 다수 사용자의 요구를 효과적으로 만족시킬 수 있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 제어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제어장치에서 다수의 센서와 전기장치를 매개로 집 내부 공간의 환경정보를 수집하여, 사용자의 요구에 부합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에서, 센서로부터의 환경정보와 전기장치로부터의 환경정보에 따른 컨텍스트를 사람의 감각기관인 눈, 귀, 피부, 코에 해당되는 4개로 분류하여, 컨텍스트 간의 충돌 여부를 파악한 후, 집 내부 공간을 사유공간과 공유공간으로 구분하여, 공간의 특성에 따라 전기 장치를 작동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으로 되어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홈 네트워크 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센서(1a∼1n)와, 다수의 전기장치(2a∼2n) 및, 이들 센서(1a∼1n)와 전기장치(2a∼2n)로부터 환경정보를 수집하여 전기장치(2a∼2n)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장치(3)로 이루어진다.
상기 센서(1a∼1n)는 온도나 습도, 빛, 사용자의 위치 등과 같은 주변 환경 정보를 감지할 수 있는 공지의 것들이 적용된다.
상기 전기장치(2a∼2n)는 TV나 오디오, 컴퓨터, 세탁기, 냉장고 등과 같은 가전기기나, 보일러, 보안장치, 자동 커튼 개폐기 등과 같은 자동 제어가 가능한 공지의 것들이 적용된다.
상기 제어장치(3)는 센서(1a∼1n)와 전기장치(2a∼2n)로부터 환경정보를 수집하여 전기장치(2a∼2n)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는 공지의 것들이 모두 적용 가능하지만, 본 발명의 경우에는 종래와는 달리, 센서(1a∼1n)와 전기장치(2a∼2n)로부터의 환경정보를 해석하여 컨텍스트를 추출한 후에 이를 컨텍스트 충돌 관리자로 전송하는 컨텍스트 해석기(Context Interpreter)와, 전기장치(2a∼2n)의 작동을 제어하면서 전기장치(2a∼2n)의 작동 정보를 파악하는 스마트 서비스 관리자(Smart Service Manager) 및, 컨텍스트 해석기와 스마트 서비스 관리자로부터의 정보를 입력받아서 컨텍스트 충돌여부를 파악한 후에 적절한 전기장치(2a∼2n)의 작동 제어 를 스마트 서비스 관리자에게 요청하는 컨텍스트 충돌 관리자(Context Collision Manager)로 이루어진 것을 이용하였다.
컨텍스트 충돌이란 서비스간의 충돌, 즉 전기장치(2a∼2n)의 제어방식의 충돌이라 볼 수 있다. 컨텍스트 관련 서비스를 사람의 감각기관인 눈, 귀, 피부, 코에 해당되는 4개로 분류한 후, 동일한 종류의 컨텍스트가 충돌되는 것에 국한시켜서 컨텍스트 충돌을 해석할 수 있다. 일례로, 수면과 독서는 청각 서비스에서는 동일하게 조용함이 요구되지만, 시각 서비스에서는 수면은 어두움이, 독서는 밝음이 요구된다. 이러한 경우, 두개의 컨텍스트의 충돌은 책을 보는 사람에게 스탠드를 제공하는 등의 방법으로 시각 서비스의 충돌만 해결하면 된다. 조명은 시각에, 오디오는 청각에, 보일러나 에어콘은 촉각에, 공기 청정기나 방향제 자동 살포기 등은 후각에 해당되지만, TV(시각과 청각)나 공기 청정기(촉각과 후각)등과 같이 2개 이상의 감각기관을 동시에 자극하는 것도 있다.
상기 컨텍스트 해석기는 5W1H(Who,What,Where,When,Why,How) 형태의 컨텍스트를 얻기 위해서 센서(1a∼1n)를 통해 수집한 Who, What, Where, When의 정보를 이용하여 How와 Why를 얻어낸다. '아침에 A가 수건을 들고 욕실로 갔다'라는 4W만으로는 사용자의 요구를 알기 어려우므로, 이를 바탕으로 Why와 How의 정보를 이용하여 따뜻한 물로 샤워를 하려는 사용자의 의도를 파악해야 미리 물을 데워놓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가 있다. 이러한 컨텍스트 해석기는 사용자의 몸짓(Gesture), 의도(Intention), 감성정보(Emotion)에 관한 라이브러리를 사용하며 신 경망(Neural Network)이나 퍼지(Fuzzy) 등의 지능적인 기법을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컨텍스트 충돌 관리자는 서비스의 충돌 여부를 점검하고 스마트 서비스 관리자와 협의하여 컨텍스트의 충돌을 조정한다. 이와 같은 컨텍스트 충돌의 조정은, 앞에서 언급한 공간의 특성(사유공간 또는 공유공간)을 고려하여 컨텍스트 간의 우선순위를 정하거나, 조명 켬과 조명 끔의 중간치인 보조 조명 켬을 선택하는 것처럼, 충돌이 일어난 서비스들의 중간치를 취하는 형태로 충돌을 해결하는데, 공간의 특성은 미리 정의된 라이브러리 형태로 주어져야 한다. 컨텍스트 충돌 관리자는 컨텍스트에 따른 서비스의 모순을 스마트 서비스 관리자에게 문의하고, 컨텍스트의 충돌이 발생하면 사용자가 위치한 공간의 특성에 따라 충돌 컨텍스트간의 우선순위를 결정하거나 모순이 일어난 서비스를 적절하게 조정한다.
최종 컨텍스트가 결정되면 스마트 서비스 관리자는 해당 컨텍스트에 관련된 서비스의 종류를 결정하고 서비스를 제공할 가전기기를 결정한다. 일예로, 조명으로는 시각관련 서비스를, 오디오로는 청각관련 서비스, TV로는 시각과 청각관련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스마트 서비스 관리자는 가정에서 사용 가능한 전기장치(2a∼2n)의 정보를 미리 가지고 있으며, 컨텍스트에 따라 전기장치(2a∼2n)의 작동을 자동으로 제어하여 해당 서비스를 제공한다. 컨텍스트에 따른 서비스는 라이브러리 형태로 정의될 수도 있으며, 신경망 등의 지능적인 기법을 통해 적절하게 학습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청구범위를 벗 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보다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제어장치(3)에서, 센서(1a∼1n)로부터의 환경정보와 전기장치(2a∼2n)로부터의 환경정보에 따른 컨텍스트를 사람의 감각기관인 눈, 귀, 피부, 코에 해당되는 4개로 분류하여, 컨텍스트 간의 충돌 여부를 파악한 후, 집 내부 공간을 사유공간과 공유공간으로 구분하여, 공간의 특성에 따라 전기장치(2a∼2n)를 작동 제어하는 방법으로 되어, 다수의 사용자들에게 보다 적절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고, 사용자들의 요구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제어장치(3)에서 다수의 센서(1a∼1n)와 전기장치(2a∼2n)를 매개로 집 내부 공간의 환경정보를 수집하여, 사용자의 요구에 부합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3)에서, 센서(1a∼1n)로부터의 환경정보와 전기장치(2a∼2n)로부터의 환경정보에 따른 컨텍스트를 사람의 감각기관인 눈, 귀, 피부, 코에 해당되는 4개로 분류하여, 컨텍스트 간의 충돌 여부를 파악한 후, 집 내부 공간을 사유공간과 공유공간으로 구분하여, 공간의 특성에 따라 전기장치(2a∼2n)를 작동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 제어방법.
KR1020050016375A 2005-02-28 2005-02-28 홈 네트워크 시스템 제어방법 KR2006009561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6375A KR20060095616A (ko) 2005-02-28 2005-02-28 홈 네트워크 시스템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6375A KR20060095616A (ko) 2005-02-28 2005-02-28 홈 네트워크 시스템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5616A true KR20060095616A (ko) 2006-09-01

Family

ID=376251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16375A KR20060095616A (ko) 2005-02-28 2005-02-28 홈 네트워크 시스템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9561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675539A (zh) * 2022-03-29 2022-06-28 江苏希尔登家居有限公司 一种自主学习的门窗智能控制系统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675539A (zh) * 2022-03-29 2022-06-28 江苏希尔登家居有限公司 一种自主学习的门窗智能控制系统
CN114675539B (zh) * 2022-03-29 2024-01-23 江苏希尔登家居有限公司 一种自主学习的门窗智能控制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ensen et al. Designing the desirable smart home: A study of household experiences and energy consumption impacts
CN108111948B (zh) 在语音接口设备处的服务器提供的视觉输出
Friedewald et al. Perspectives of ambient intelligence in the home environment
US2018023931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n Environment Management System within a Building
KR101881648B1 (ko) 욕실용 스마트 미러 장치
CN110546627B (zh) 与家庭助理的视频整合
Niemantsverdriet et al. A perspective on multi-user interaction design based on an understanding of domestic lighting conflicts
US20180210700A1 (en) Contextual user interface based on environment
EP3930293A1 (en) Generation and implementation of household policies for the smart home
CN110415694A (zh) 一种多台智能音箱协同工作的方法
CN113359503B (zh) 设备控制方法及相关装置
KR20060095616A (ko) 홈 네트워크 시스템 제어방법
Furman et al. Is my home smart or just connected?
CN109976169B (zh) 基于自学习技术的互联网电视智能控制方法及控制系统
Kwon et al. LED context lighting system in residential areas
CN109445289A (zh) 设备的控制方法及装置、存储介质和电子装置
CN111025932A (zh) 基于边缘计算的多住宅情景共享方法和系统
Alkan et al. Indoor Soundscapes of the Future: Listening to Smart Houses
KR102510499B1 (ko) 클라우드 플랫폼 기반의 공동주택의 스마트홈 시스템
Koldosheva et al. INTRODUCTION OF SMART HOME TECHNOLOGIES IN RESIDENTIAL BUILDINGS OF UZBEKISTAN
Guo et al. Application of Artificial Intelligence in Computer Aided Intelligent Home Terminal Interactive Design
Alahuhta et al. Ambient intelligence in everyday life: housing
Kaila Technologies enabling smart homes
CN106094780A (zh) 智能家居管理系统
Hayes A light that never goes ou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