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93798A - 아이콘을 이용한 이동전화의 호 연결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아이콘을 이용한 이동전화의 호 연결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93798A
KR20060093798A KR1020050014546A KR20050014546A KR20060093798A KR 20060093798 A KR20060093798 A KR 20060093798A KR 1020050014546 A KR1020050014546 A KR 1020050014546A KR 20050014546 A KR20050014546 A KR 20050014546A KR 20060093798 A KR20060093798 A KR 200600937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con
mobile phone
mobile telephone
control server
telephon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145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욱
이창준
Original Assignee
(주) 엘지텔레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엘지텔레콤 filed Critical (주) 엘지텔레콤
Priority to KR10200500145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93798A/ko
Publication of KR200600937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9379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02Wire fencing, e.g. made of wire mesh
    • E04H17/06Parts for wire fenc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02Wire fencing, e.g. made of wire mesh
    • E04H17/10Wire fencing, e.g. made of wire mesh characterised by the way of connecting wire to posts; Dropp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아이콘을 이용한 이동전화의 호 연결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이동전화 단말기에 저장된 아이콘을 선택하는 것만으로, 그 이동전화 단말기의 현재 위치로부터 최근접한 해당 가맹점으로 자동으로 호 연결을 실행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아이콘, 최근접 가맹점, 호 연결, 검색.

Description

아이콘을 이용한 이동전화의 호 연결 장치 및 그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CONNECTING A CALL OF A CELL PHONE USING AN IC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호 연결 장치의 일례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호 연결 장치의 제어 서버의 일례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3 (a)는 본 발명에 따른 아이콘과 식별코드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표이고, 도 3 (b)는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는 정보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표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호 연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호 연결 방법에서 최근접 가맹점을 검색하는 과정의 구체적인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사용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아이콘을 이용한 이동전화의 호 연결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이동전화 단말기에 저장된 아이콘을 선택하는 것만으로, 그 이동전화 단말기의 현재 위치로부터 최근접한 해당 가맹점으로 자동으로 호 연결을 실행하는 호 연결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전화번호 안내서비스는 가맹점 이름, 그 가맹점의 전화번호, 및 위치(주소)를 포함하나 가맹점 정보를 저장한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고 있으나, 사용자는 특정 전화번호로 전화를 걸어 안내자에게 찾고자하는 가맹점 이름 및/또는 위치(통상적으로 행정상의 주소)를 말하여야 하고, 안내자는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해당 가맹점을 검색하여 그 결과를 음성으로 안내해 준다.
이 때, 사용자는 음성으로 안내된 가맹점의 전화번호를 메모하거나 또는 암기한 후, 그 전화번호로 통화를 시도하여야 한다.
원하는 가맹점의 전화번호를 검색하기 위한 다른 방법으로서, 문자를 이용한 가맹점의 검색이 있다. 가맹점 정보를 저장한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검색서비스가 인터넷을 통해 제공되고, 한편으로 이동전화를 이용한 인터넷서비스가 제공됨으로써, 이동전화를 이용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가맹점 정보를 직접 검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었다. 즉, 사용자는 가맹점을 검색하기 위한 검색어를 입력하고, 이를 전송하며, 이동통신망에 접속된 검색 서버는 이 검색어를 기초로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해당하는 가맹점을 검색하고, 그 결과를 단문메시지(SMS)의 형태로 이동전화 단말기로 송출한다. 그러면, 사용자는 그 결과로서의 단문메시지로부터 원하는 가맹점의 전화번호로 호 연결을 요청하면 된다.
그러나, 이 경우에 가맹점의 위치에 대한 한정이 곤란하여, 그 결과가 수십 내지 수백 건에 이를 수 있다. 또, 전화번호 안내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의 대 부분은 일반적으로 자신의 동네 또는 근접한 위치에 있는 식당, 병원, 가게 등의 전화번호를 알기 위해 안내서비스를 이용하는데, 위치의 한정이 곤란한 검색어만에 의한 검색으로는 적절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없는 경우가 많다.
또한, 인터넷을 통한 전화번호 안내서비스는 검색을 원하는 지역을 한정할 수 있도록 하고 있는데, 예컨대 행정구역상의 '동'을 한정하여 검색하는 경우라 하더라도 그 검색결과가 복수개 존재할 수 있어 그 중 어느 것이 자신의 위치와 가장 가까운지 알 수 없다. 또, '동'을 한정한다하여도 이는 행정구역상의 위치이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사용자가 가동 내에서 나동과 인접하는 곳에 위치하고, 거리상으로 최근접한 가맹점이 오히려 나동에 속해 있는 경우가 있을 수 있기 때문에, 그러한 행정구역의 한정만으로 최근접 가맹점을 신뢰성 높게 검색할 수는 없다.
더욱이, 상술한 종래의 전화번호 안내서비스는 사용자가 전화번호를 안내받거나 또는 검색한 후, 그 결과를 메모하거나 암기한 후, 다시 호 연결을 실행하여야 하는 번거러움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사용자가 원하는 가맹점에 대응하는 아이콘을 선택하기만 하면, 그 이동전화 단말기의 현재 위치를 검출하여, 그 위치로부터 최근접한 가맹점을 검색하여 자동으로 호 연결을 실행하는 호 연결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호 연결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을 저장하고 상기 아이콘을 표시하며, 선택된 아이콘의 식별코드를 통신망을 통해 송신하는 이동전화 단말기; 상기 통신망에 접속되어, 상기 이동전화 단말기의 현재 위치를 검출하고 그 위치정보를 제공하는 위치검출 서버; 및 각 식별코드에 대응하는 가맹점의 위치정보 및 전화번호를 저장하는 데이터 베이스를 구비하고, 상기 통신망을 통해 상기 이동전화 단말기로부터 상기 식별코드를 전송받고, 상기 위치검출 서버로부터 상기 이동전화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이동전화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기초로 상기 식별코드에 대응하는 가맹점 중 상기 이동전화 단말기와 최근접 가맹점을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검색하여, 상기 검색된 가맹점의 전화번호를 참조하여 상기 검색된 가맹점과 상기 이동전화 단말기 간에 호 연결을 실행하도록 하는 제어 서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아이콘은 상기 제어 서버로부터 상기 통신망을 통해 상기 이동전화 단말기로 전송되어 저장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또, 상기 제어 서버는, 상기 이동전화 단말기의 현재 위치로부터 소정 영역 내에서 최근접 가맹점을 검색하고, 검색 결과 최근접 가맹점이 없는 경우에는, 이를 알리는 메시지를 상기 이동전화 단말기로 전송하며, 상기 이동전화 단말기로부터, 검색 영역의 확장을 수신한 경우에, 상기 소정 영역보다 더 넓은 확장 영역 내에서 최근접 가맹점을 검색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호 연결 방법은, 이동전화 단말기가 사용자에 의한 아이콘의 선택 및 통화키 입력을 감지한 경우, 상기 아이콘의 식별코드를 송신하는 단계; 상기 아이콘의 식별코드를 수신한 제어 서버가 위치검출 서버에게 상기 이동전화 단 말기의 위치 정보를 요청하는 단계; 상기 위치검출 서버가 상기 이동전화 단말기의 현재 위치를 검출하고 그 위치 정보를 상기 제어 서버로 전달하는 단계; 상기 제어 서버가 상기 이동전화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기초로 상기 식별코드에 대응하는 가맹점 중 상기 이동전화 단말기와 최근접 가맹점을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검색하는 단계; 및 상기 검색된 가맹점의 전화번호를 참조하여 상기 검색된 가맹점과 상기 이동전화 단말기 간에 호 연결을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 상기 최근접 가맹점을 검색하는 단계는, 상기 제어 서버가 상기 이동전화 단말기의 현재 위치로부터 소정 영역 내에서 최근접 가맹점을 검색하고, 검색 결과 최근접 가맹점이 없는 경우에는, 이를 알리는 메시지를 상기 이동전화 단말기로 전송하는 소단계와; 상기 이동전화 단말기가 사용자로부터 검색 영역의 확장을 입력받으면 상기 제어 서버로 영역 확장 신호를 전송하는 소단계와; 상기 영역 확장 신호를 수신한 제어 서버가 상기 소정 영역보다 더 넓은 확장 영역 내에서 최근접 가맹점을 검색하는 소단계를 포함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 서버가 상기 아이콘을 상기 이동전화 단말기로 전송하면, 상기 이동전화 단말기는 상기 아이콘을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도록 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호 연결 장치 및 그 방법에서, 상기 아이콘은 가맹점의 업종에 따라 각각 분류되어 있을 수 있다.
이하, 첨보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겠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호 연결 장치의 일례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호 연결 장치는, 이동전화 단말기(10), 위치검출 서버(20) 및 데이터베이스(35)를 구비한 제어 서버(30)로 구성된다. 이동전화 단말기(10)와 위치검출 서버(20) 및 제어 서버(30)는 통신망(1)을 통해 접속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이동전화 단말기(10)는,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을 저장하고 이 아이콘을 화면에 표시하며, 선택된 아이콘의 식별코드를 통신망을 통해 송신한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아이콘은 제어 서버(30)로부터 전송받아 미리 저장된 것이다. 물론, 반드시 제어 서버(30)로부터 전송받아 저장되는 것으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컨대, 이동전화 단말기(10)를 컴퓨터에 연결하여 인터넷을 통해 아이콘을 전송받아 저장할 수도 있고, 제조시에 미리 저장시켜 놓을 수도 있다.
또한, 아이콘은 업종에 따라 분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피자집, PC방, 약국 등과 같이 업종별로 각각 그 업종을 나타내는 심볼로 구성될 수 있다.
아이콘을 선택하여, 사용자가 예컨대 '통화' 버튼을 누르면, 그 아이콘에 대응하는 식별코드를 통신망(1)을 통해 제어 서버(30)로 송신한다.
위치검출 서버(20)는, 통신망(1)에 접속되어, 이동전화 단말기(10)의 현재 위치를 검출하고 그 위치정보를 제공한다.
이동전화 단말기(10)의 위치를 검출하는 서비스는 이미 상용화되어 있으므로 그 방법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위치검출 서버(20)는 제어 서버 (30)와 접속되어, 제어 서버(30)의 요청에 따라 이동전화 단말기의 현재 위치를 검출하여 그 결과를 제어 서버(30)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위치검출 서버(20)는 반드시 독립된 하나의 서버일 필요는 없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복수의 서버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제어 서버(30)는 각 식별코드에 대응하는 가맹점의 위치정보 및 전화번호를 저장하는 데이터 베이스(35)를 구비하고, 통신망(1)을 통해 이동전화 단말기(10)로부터 식별코드를 전송받고, 위치검출 서버(20)로부터 이동전화 단말기(10)의 위치정보를 수신하며, 이동전화 단말기(10)의 위치정보를 기초로 식별코드에 대응하는 가맹점 중 이동전화 단말기와 최근접한 가맹점을 데이터베이스(35)로부터 검색하여, 검색된 가맹점의 전화번호를 참조하여 검색된 가맹점과 이동전화 단말기(10) 간에 호 연결을 실행한다.
제어 서버(30)는 이동전화 단말기(10)로부터 전송받은 식별코드를 가지고 어느 종류의 가맹점에 해당되는지 판별하고, 동시에, 위치검출 서버(20)에게 이동전화 단말기(10)의 현재 위치에 관한 위치 정보를 요청하여 수신한다. 그러면, 식별코드에 해당하는 가맹점들 중에 이동전화 단말기(10)의 현재 위치와 가장 가까운 최근접 가맹점을 데이터베이스(35)로부터 검색하여, 그 검색된 가맹점의 전화번호를 참조하여 호 연결을 실행한다.
여기서, 제어 서버(30)는, 이동전화 단말기(10)의 현재 위치로부터 소정 영역 내에서 최근접 가맹점을 검색하고, 검색 결과 최근접 가맹점이 없는 경우에는, 이를 알리는 메시지를 이동전화 단말기(10)로 전송하며, 이동전화 단말기(10)로부 터, 검색 영역의 확장을 수신한 경우에, 소정 영역보다 더 넓은 확장 영역 내에서 최근접 가맹점을 검색한다.
이로써, 사용자는 이동전화 단말기(10)에서 원하는 업종에 해당하는 아이콘을 선택하기만 하면, 자신의 현재 위치에서 가장 가까운 가맹점과 바로 통화를 할 수 있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호 연결 장치의 제어 서버의 일례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의 제어 서버(30)는 서비스 제어부(31), DB 검색 및 호 연결 제어부(33), 인터페이스(35)로 구성된다.
서비스 제어부(31)는 각 요소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여 상술한 제어 서버(30)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한다.
DB 검색 및 호 연결 제어부(33)는 데이터베이스(35)와 접속되어, 최근접 가맹점을 검색하고, 검색된 최근접 가맹점과 호 연결을 실행한다.
인터페이스(35)는 GPS(LBS,CBS) 서버(20), PPG 서버(37) 및 SMSC 서버(39)와의 연결을 제어한다.
GPS(LBS,CBS) 서버(20)는 이동전화 단말기(10)의 현재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서버이다. 즉, 위치검출 서버(20)에 해당한다. 여기서, GPS는 "Global Positioning System"의 약자이고, LBS는 "Location Based System", CBS는 "Cell Broadcasting System"의 약자이다. 각각의 시스템은 이동통신시스템에서 이동전화 단말기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는 시스템이다.
PPG 서버(37)는 "Push Proxy Gateway"의 약자로서, 푸쉬 프록시 서버로부터 컨텐츠를 내려주는 서버로서, 아이콘을 이동전화 단말기(10)로 전송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PPG 서버(37)는 본 발명에서의 제어 서버(30)의 일 구성요소로 될 수 있다.
SMSC 서버(39)는 "Short Message Service Center"의 약자로서, 검색 결과가 없는 경우나 에러가 발생한 경우에 있어서, 그 사실을 단문 메시지의 형태로 이동전화 단말기에 표시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이 또한 본 발명에서의 제어 서버(30)의 일 구성요소로 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이동통신시스템에 적용한 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에서의 위치검출 서버 및 제어 서버는 어느 한 물리적 장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이동통신시스템을 구성하는 여러 가지 장치 중 어느 하나 또는 복수개가 그 역할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3 (a)는 본 발명에 따른 아이콘과 식별코드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표이고, 도 3 (b)는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는 정보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표이다.
도 3 (a)에서는 아이콘과 각 아이콘의 식별코드를 나타낸 것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각각 피자집, PC방, 당구장을 나타내는 아이콘을 예시적으로 보여주고, 각각의 아이콘에 대응하는 식별코드로서 100, 200, 300을 보여주고 있다.
즉, 이동전화 단말기(10)의 사용자는 도 3 (a)에 나타난 아이콘을 이동전화 단말기상에서 선택하여 통화연결을 요청할 수 있고, 이 때, 이동전화 단말기는 각 아이콘에 대응하는 식별코드를 송신하게 된다.
도 3 (b)에서는 데이터벵스에 저장된 정보의 구성의 일례를 보여주고 있는데, 업종코드는 즉 식별코드에 대응하고, 각 가맹점별로 업종코드와 위치코드 및 전화번호가 저장되어 있다.
이동전화 단말기(10)로부터 식별코드를 수신한 제어 서버(30)는 그 식별코드와 일치하는 업종코드를 가진 가맹점을 대상으로, 이동전화 단말기(10)의 현재 위치와 그 가맹점의 위치코드를 대비함으로써 최근접 가맹점을 검색한다. 검색된 가명점에 대해서는 전화번호를 참조하여 이동전화 단말기(10)와 호 연결을 실행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호 연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호 연결 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단계 S10에서, 이동전화 단말기가 사용자에 의한 아이콘의 선택 및 통화키 입력을 감지한 경우, 아이콘의 식별코드를 송신한다.
다음으로, 단계 S20에서, 아이콘의 식별코드를 수신한 제어 서버가 위치검출 서버에게 이동전화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요청한다.
그러면, 단계 S30에서, 위치검출 서버가 이동전화 단말기의 현재 위치를 검출하고 그 위치 정보를 제어 서버로 전달한다.
단계 S40에서는, 제어 서버가 이동전화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기초로 식별코드에 대응하는 가맹점 중 이동전화 단말기와 최근접 가맹점을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검색한다.
단계 S50에서는, 제어 서버가 검색된 가맹점의 전화번호를 참조하여 검색된 가맹점과 이동전화 단말기 간에 호 연결을 실행한다.
사용자가 원하는 아이콘을 찾을 수 없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일반 문자검색을 선택하여 검색어를 이용하여 원하는 가맹점을 검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도, 아이콘은 제어 서버가 이동전화 단말기로 전송하여 저장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물론,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가맹점이 증가하는 등의 변동이 있는 경우, 이를 데이터베이스에 기록하여 갱신하면, 이를 반영하기 위해 제어 서버가 해당하는 아이콘을 생성하여 이동전화 단말기로 전송하도록 하는 것이 좋다. 이로써, 아이콘의 갱신이 제어 서버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또, 상술한 바와 같이, 아이콘은 가맹점의 업종에 따라 각각 분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호 연결 방법에서 최근접 가맹점을 검색하는 과정의 구체적인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에 의하면, 먼저 단계 S41에서, 소정 영역에 있는 가맹점을 대상으로 최근접 가맹점을 검색한다. 소정 영역이라 함은, 편의상 행정구역상의 '동'의 단위가 될 수도 있고, '구'의 단위가 될 수도 있으나, 반드시 행정구역상으로 한정할 필요는 없고, 이동전화망의 각 기지국이 담당하는 최소의 단위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때, 소정 영역은 당연히 이동전화 단말기의 현재 위치가 포함되어 있는 영역이다.
그러면, 해당하는 최근접 가맹점이 검색되었는지 판단하여, 최근접 가맹점이 검색된 경우에는, 단계 S42로 진행하여 호 연결을 실행한다.
그러나, 해당하는 가맹점이 소정 영역 내에 없는 경우에는, 단계 S43으로 진행하여, 검색된 가맹점이 없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송출한다. 이 메시지는 가맹점이 없음을 알리는 것 외에, 검색 영역의 확장을 묻는 메시지이다.
단계 S44에서, 이동전화 단말기가 사용자로부터 검색 영역의 확장을 입력받으면 제어 서버로 영역 확장 신호를 전송한다. 그러면, 단계 S45로 진행하여, 영역 확장 신호를 수신한 제어 서버가 상술한 소정 영역을 확장하여 다시 검색을 수행한다. 다시 말해, 예컨대, 최초 검색시에 '동'의 단위로, 이동전화 단말기가 위치한 동 내에서 해당하는 가맹점을 검색하였다면, 이번에는 '구' 내에서 또는 '시' 내에서 해당하는 가맹점을 검색한다.
마찬가지로, 해당하는 최근접 가맹점이 검색되었으면, 단계 S42로 진행하여 호 연결을 실행한다. 그렇지 않으면, 단계 S43으로 진행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사용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이동전화 단말기의 표시창에 나타난 아이콘(피자)을 선택한다. 피자에 해당하는 소 메뉴로서 피자헛 및 도미노피자에 해당하는 아이콘이 표시되는데, 사용자는 그 중 하나(도미노피자)를 선택하기만 하면, 도미노피자 가맹점 중 사용자와 가장 가까운 곳에 위치가 가맹점을 검색하여 호 연결을 실행한다.
도 6에서는 아이콘을 대 메뉴와 소 메뉴로 나누었다. 이러한 구성은 종래에도 널리 알려진 정보 검색의 편의를 위한 트리구조에 해당하는 것이고, 본 발명이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아이콘의 전개방식은 당업자가 필요에 따라 얼마든지 변경가능한 부분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는 이동전화 단말기에서 원하는 업종의 아이콘을 선택하기만 하면, 자신의 위치에서 가장 가까운 가맹점으로 바로 연결되어 통화를 할 수 있다.
이러한 서비스를 이용하면, 사용자는 일일이 전화번호를 메모하거나 암기할 필요도 없을 뿐 아니라, 자신의 위치에서 최근접한 가맹점을 일일이 물어보거나 할 필요도 없게 된다.
또한, 서비스 사업자의 경우에는 이러한 호 연결 서비스를 제공함에 있어서, 가맹점을 모집하고, 가맹점으로부터 일정한 수수료를 받아 수익을 얻을 수 있다.

Claims (8)

  1.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을 저장하고 있고, 상기 아이콘을 화면에 표시하며, 선택된 아이콘의 식별코드를 통신망을 통해 송신하는 이동전화 단말기;
    상기 통신망에 접속되어, 상기 이동전화 단말기의 현재 위치를 검출하고 그 위치정보를 제공하는 위치검출 서버; 및
    각 식별코드에 대응하는 가맹점의 위치정보 및 전화번호를 저장하는 데이터 베이스를 구비하고, 상기 통신망을 통해 상기 이동전화 단말기로부터 상기 식별코드를 전송받고, 상기 위치검출 서버로부터 상기 이동전화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이동전화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기초로 상기 식별코드에 대응하는 가맹점 중 상기 이동전화 단말기와 최근접 가맹점을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검색하여, 상기 검색된 가맹점의 전화번호를 참조하여 상기 검색된 가맹점과 상기 이동전화 단말기 간에 호 연결을 실행하도록 하는 제어 서버:
    를 포함하는 아이콘을 이용한 이동전화의 호 연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콘은 상기 제어 서버로부터 상기 통신망을 통해 상기 이동전화 단말기로 전송되어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콘을 이용한 이동전화의 호 연결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콘은 가맹점의 업종에 따라 각각 분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콘을 이용한 이동전화의 호 연결 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서버는, 상기 이동전화 단말기의 현재 위치로부터 소정 영역 내에서 최근접 가맹점을 검색하고, 검색 결과 최근접 가맹점이 없는 경우에는, 이를 알리는 메시지를 상기 이동전화 단말기로 전송하며, 상기 이동전화 단말기로부터, 검색 영역의 확장을 수신한 경우에, 상기 소정 영역보다 더 넓은 확장 영역 내에서 최근접 가맹점을 검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전화의 호 연결 장치.
  5. 이동전화 단말기가 사용자에 의한 아이콘의 선택 및 통화키 입력을 감지한 경우, 상기 아이콘의 식별코드를 송신하는 단계;
    상기 아이콘의 식별코드를 수신한 제어 서버가 위치검출 서버에게 상기 이동전화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요청하는 단계;
    상기 위치검출 서버가 상기 이동전화 단말기의 현재 위치를 검출하고 그 위치 정보를 상기 제어 서버로 전달하는 단계;
    상기 제어 서버가 상기 이동전화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기초로 상기 식별코드에 대응하는 가맹점 중 상기 이동전화 단말기와 최근접 가맹점을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검색하는 단계; 및
    상기 검색된 가맹점의 전화번호를 참조하여 상기 검색된 가맹점과 상기 이동전화 단말기 간에 호 연결을 실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아이콘을 이용한 이동전화의 호 연결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서버가 상기 아이콘을 상기 이동전화 단말기로 전송하면, 상기 이동전화 단말기는 상기 아이콘을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아이콘을 이용한 이동전화의 호 연결 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콘은 가맹점의 업종에 따라 각각 분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콘을 이용한 이동전화의 호 연결 방법.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최근접 가맹점을 검색하는 단계는,
    상기 제어 서버가 상기 이동전화 단말기의 현재 위치로부터 소정 영역 내에서 최근접 가맹점을 검색하는 소단계와;
    검색 결과 최근접 가맹점이 없는 경우에는, 이를 알리는 메시지를 상기 이동전화 단말기로 전송하는 소단계와;
    상기 이동전화 단말기가 사용자로부터 검색 영역의 확장을 입력받으면 상기 제어 서버로 영역 확장 신호를 전송하는 소단계와;
    상기 영역 확장 신호를 수신한 제어 서버가 상기 소정 영역보다 더 넓은 확장 영역 내에서 최근접 가맹점을 검색하는 소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전화의 호 연결 방법.
KR1020050014546A 2005-02-22 2005-02-22 아이콘을 이용한 이동전화의 호 연결 장치 및 그 방법 KR2006009379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4546A KR20060093798A (ko) 2005-02-22 2005-02-22 아이콘을 이용한 이동전화의 호 연결 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4546A KR20060093798A (ko) 2005-02-22 2005-02-22 아이콘을 이용한 이동전화의 호 연결 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3798A true KR20060093798A (ko) 2006-08-25

Family

ID=376017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14546A KR20060093798A (ko) 2005-02-22 2005-02-22 아이콘을 이용한 이동전화의 호 연결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93798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93615B2 (en) Method for providing mobile terminal with software keyboard suitable for language used in country where it is located
US9842143B2 (en) Information delivery system and method for mobile appliances
KR100929004B1 (ko) 문맥 객체의 다단계 정렬 및 표시
US9723143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automated business dialing
US8971863B2 (en) Location-based call center filtering
CN1984191A (zh) 用于为无线设备检索经扩展的数字信息的方法和设备
KR20060012390A (ko)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는이동통신단말기 및 방법
KR20060093802A (ko) 검색어를 이용한 이동전화의 호 연결 장치 및 그 방법
KR20060093798A (ko) 아이콘을 이용한 이동전화의 호 연결 장치 및 그 방법
KR20050043592A (ko) 휴대전화 회사 이행 지원 방법, 프로그램 및 지원 장치
KR20060093804A (ko) 검색어를 이용한 이동전화의 호 연결 장치 및 그 방법
KR100717120B1 (ko) 숫자이외의 데이터 입력을 통한 전화연결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531309B1 (ko)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통화 종료 후의 서비스 제공방법
KR20070100011A (ko) 위치 정보 검색 서비스 제공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1622404B1 (ko) 특번 서비스를 제공하는 특번 서버 및 특번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698135B1 (ko) 전화번호 업데이트 장치 및 방법
KR20100122974A (ko) 사업자 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80094289A (ko)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검색 시스템 및 방법
KR20020091622A (ko) 이동 통신 가입자 전화 번호 검출 방법
EP1513354B1 (en) Additional voice information relating to displayed items
KR101422154B1 (ko) 번호 정보 기반 부가 서비스 제공 기능을 구비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번호 정보 기반 부가 서비스 제공 방법
CN117931832A (zh) 兴趣点地址发送方法、装置、电子设备和存储介质
JP3502810B2 (ja) 位置対応情報提供装置、位置対応情報提供方法および通信端末
KR20070050607A (ko) 인터넷 웹사이트에서의 네비게이션 위치정보 제공시스템
KR20010055933A (ko) 전송로 구성 설계를 위한 경로 선정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