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93477A -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문자열을 수정하기 위한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문자열을 수정하기 위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93477A
KR20060093477A KR1020050014323A KR20050014323A KR20060093477A KR 20060093477 A KR20060093477 A KR 20060093477A KR 1020050014323 A KR1020050014323 A KR 1020050014323A KR 20050014323 A KR20050014323 A KR 20050014323A KR 20060093477 A KR20060093477 A KR 200600934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ing
input
input mode
block
charac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143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진숙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143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93477A/ko
Publication of KR200600934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9347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 H04M1/7243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for text messaging, e.g. short messaging services [SMS] or e-ma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문자열을 수정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문자열을 입력받아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표시된 문자열의 일부를 블럭 지정하는 과정과, 상기 블럭지정 후 문자 입력모드가 변경되는지 검사하는 과정과, 상기 문자 입력모드 변경시, 상기 블럭 지정된 문자열의 스캔코드열을 독출하는 과정과, 상기 독출된 스캔코드열에 근거하여 상기 블럭 지정된 문자열을 상기 변한 입력모드에 따라 다른 문자열로 변환하여 표시하는 과정을을 포함하여, 상기 잘못 입력한 문자열을 지우고 입력모드를 전환하여 상기 문자열을 재입력해야 하는 불편함을 없애고 좀 더 편리하고 빠르게 SMS(Short Message Service)를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단말기, 스캔코드(Scan Code), SMS, 변환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문자열을 수정하기 위한 방법{METHOD FOR CORRECTING OF STRING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문자열을 수정하기 위한 절차를 도시하는 도면, 및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문자열을 수정하는 것을 보인 예시도.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잘못 입력한 문자열을 수정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동통신 단말기는 휴대의 편리성 때문에 급속히 확산되고 있는 추세이며, 따라서 서비스 제공자(단말기 제조자)들은 많은 사용자들을 확보하기 위해 보다 특별한 기능을 갖는 단말기를 경쟁적으로 개발하고 있다. 예를 들어, 이동통신 단말 기는 폰북(Phone book), 게임(Game), 스케줄러(Scheduler), 단문메시지(Short Message), 인터넷(Internet), 이메일(e-mail), 알람(Alarm), MP3(MPEG Audio Layer-3), 디지털카메라(Digital Camera), 전자사전 등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고 있어 기존에 휴대하던 전자수첩, 전자사전 및 각종 멀티미디어 재생기를 별도로 휴대할 필요가 없게 되었다.
특히, 상기 부가 기능들 중에서 단문 메시지(Short Message) 서비스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해 문자 전송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특이성에 기인하여 이용자들의 특별한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다. 상기한 단문 메시지 서비스(SMS : Short Message Service)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특성상 제한된 수의 문자 입력 버튼을 이용하여야 하기 때문에 문자를 용이하고 효율적으로 입력할 수 있는 문자 입력 체계가 필요하며, 이러한 필요에 의해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신속하게 원하는 문자를 추출하거나 조합할 수 있는 축소형 키 어레이를 이용한 문자 입력방식이 실시되고 있다. 대부분의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문자 입력방식은 각각의 입력 버튼에 복수의 문자를 배정하고, 해당 입력버튼을 순차적으로 누른 횟수에 따라 각기 다른 스캔코드를 생성하도록 하여 원하는 문자를 입력하는 방식이 적용되고 있다.
상기 단말기에서 한글과 영문의 입력을 위해서는 한글 입력모드 또는 영소문자 입력모드 또는 영대문자 입력모드로의 전환이 필요하다. 즉, 사용자는 키패드에서 한글입력모드 또는 영문입력모드를 판별하고, 이에 적합하도록 한/영 전환키를 사용해야 한다. 그러나, 상반된 입력모드에서 작업을 하고 있는 경우, 문자를 입력 한 후에야 비로소 잘못 입력되었음을 발견함으로써, 기 입력한 내용을 수정해야 하는 경우가 빈번하게 생긴다. 예를 들어, 도메인 주소 'www.hangul.com' 를 입력하는 경우 키패드가 한글입력모드이면 'ㅈㅈㅈ.ㅗ무혀ㅣ.채ㅡ' 과 같이 입력되어 디스플레이부에 나타난다. 이런 경우, 사용자는 입력된 문자열들을 삭제하고, 한글 또는 영문입력모드로 전환하여 원하는 문자들을 재입력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잘못 입력한 문자열을 입력모드의 변환으로 수정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문자열을 수정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문자열을 입력받아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표시된 문자열의 일부를 블럭 지정하는 과정과, 상기 블럭지정 후 문자 입력모드가 변경되는지 검사하는 과정과, 상기 문자 입력모드 변경시, 상기 블럭 지정된 문자열의 스캔코드열을 독출하는 과정과, 상기 독출된 스캔코드열에 근거하여 상기 블럭 지정된 문자열을 상기 변한 입력모드에 따라 다른 문자열로 변환하여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의 참조와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 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 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문자열을 수정하기 위한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이하 설명에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셀룰러 전화기(Cellular phone), 개인휴대통신 전화기(PCS : 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복합무선단말기(PDA : Personal Data Assistant), IMT-2000(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단말기 등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이며, 이하 설명은 상기 예들의 일반적인 구성을 가지고 설명할 것이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제어부(MPU : Micro-Processor Unit)(101)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통신 및 데이터통신을 위한 처리 및 제어를 수행하고, 통상적인 기능에 더하여 본 발명에 따라 잘못 입력한 문자열을 수정하기 위한 기능을 처리하고, 키의 위치를 식별하는 전기신호를 키패드(109)로부터 수신하여 스캔코드로 변환하는 기능을 처리한다. 따라서, 이하 설명에 있어서 통상적인 제어부(101)의 처리 및 제어에 관한 설명은 생략한다.
롬(ROM : Read Only Memory)(103)은 상기 제어부(101)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의 마이크로코드와 각종 참조 데이터를 저장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라 잘못 입력한 문자열을 수정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스캔코드를 아스키 코드로 번역하기 위한 코드 변환표를 저장한다. 램(RAM : Random Access Memory)(105)은 상기 제어부(101)의 워킹 메모리(working memory)로, 각종 프로그램 수행 중에 발생하는 일시적인 데이터를 저장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라 사용자의 키 입력에 의해 발생하는 스캔코드를 임시저장한다. 플래쉬롬(flash ROM)(107)은 갱신 가능한 각종 보관용 데이터를 저장한다.
키패드(key pad)(109)는 0 ~ 9의 숫자키 버튼들과, 메뉴버튼(menu), 취소버튼(지움), 확인버튼, 통화버튼(TALK), 종료버튼(END), 인터넷 접속버튼, 네비게이션 키(또는 방향키) 버튼들(▲/▼/◀/▶)등 다수의 기능키들을 구비하며, 사용자가 누르는 키에 대응하는 키입력 데이터를 상기 제어부(101)로 제공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라 키가 눌리면 키의 위치를 식별하는 전기신호를 발생시켜 상기 제어부(101)로 제공한다. 디스플레이부(111)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동작 중에 발생하는 상태 정보, 제한된 숫자의 문자들, 다량의 동영상 및 정지영상 등을 디스플레이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11)는 칼라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LCD : Liquid Crystal Display)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01)에 연결된 코덱(CODEC : Coder-Decoder)(113)과, 상기 코덱(113)에 접속된 스피커(117) 및 마이크(115)는 전화 통신 및 음성 녹음에 사용되는 음성 입출력 블록이다. 상기 코덱(113)은 상기 제어부(101)에서 제공되는 디지털데이터를 아날로그 음성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스피커(117)를 통해 송출하고, 상기 마이크(115)를 통해 수신되는 음성신호를 디지털데이터로 변환하여 상기 제어부(101)로 제공한다.
또한, RF부(Radio Frequency unit)(121)는 안테나(123)를 통해 수신되는 라 디오주파수 신호를 주파수 하강시켜 기저대역처리부(119)로 제공하고, 상기 기저대역처리부(119)로부터의 기저대역신호를 주파수 상승시켜 상기 안테나(123)를 통해 송신한다. 상기 기저대역처리부(119)는 상기 RF부(121)와 상기 제어부(101) 사이에 송수신되는 기저대역 신호를 처리한다. 예를 들어, 송신인 경우 송신할 데이터를 채널코딩(channel coding) 및 확산(spreading)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수신인 경우 수신신호를 역확산(de-spreading) 및 채널복호(channel decoding)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키패드(109)의 키를 눌러 메시지를 입력하면, 키의 위치를 식별하는 전기신호가 발생하여 상기 제어부(101)에 전송되고, 상기 제어부(101)는 상기 키패드(109)를 감시하고 있다가 상기 전기신호를 수신하면 이를 스캔코드로 변환하여 램(105)에 임시저장한다. 상기 임시저장된 스캔코드는 롬(103)에 저장된 코드변환 표에 따라 아스키 코드로 번역되고, 상기 제어부(101)가 이를 읽어 디스플레이부(111)에 보내주면 액정에 표시된다. 여기서, 상기 스캔코드값은 키패드의 키에 부여된 고유의 값으로, 예를 들어, 아스키 코드가 "G"라는 문자에 대한 코드 값을 말한다면, 상기 스캔코드값은 "4, ㄱ, ㅋ, ㄲ, G, H, I, g, h, i" 를 표현할 수 있는 단말기의 숫자 4번 키에 대한 코드 값을 의미한다. 여기서, "h"는 영소문자 모드에서 4번키를 2회, "I"는 영대문자 모드에서 4번키를 3회 눌러 표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스캔코드는 키패드의 숫자키에 한글/영문을 병합하여 복수의 키 기능을 갖게 함으로써 전화기의 크기를 줄이는 것이 매우 중요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키패드 키의 수를 크게 줄일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문자열을 수정하기 위한 절차를 도시하고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101)는 201단계에서 사용자가 메시지 보내기를 선택하는지를 검사하여 203단계에서 문자를 입력 받아 표시한다. 이후, 사용자가 입력한 상기 문자열에서 잘못 입력한 부분이 있을 때, 예를 들어, 한글 모드에서 입력해야 하는데 영소문자 모드에서 입력했거나, 영대문자 모드에서 입력해야하는데 영소문자 모드에서 입력을 한 경우, 사용자는 잘못 입력된 부분의 시작 부분에 커서를 갖다 놓고, 상기 커서가 깜박이면, 상기 제어부(101)는 205단계에서 블록 지정키의 입력이 있는지를 검사한다. 여기서 상기 블록 지정키는, 문자를 보낼 때 기능을 하지 않는 키들 중 하나를 이용한다. 상기 블럭 지정키를 누른 상태에서 상/하/좌/우 방향키를 이용하면, 상기 방향키의 입력에 따라 해독 문자열을 음영표시하여 사용자가 수정하길 원하는 부분을 블럭 지정할 수 있다. 상기 블럭 지정키의 입력이 있으면, 상기 제어부(101)는 207단계에서 선택영역을 블럭 지정하고, 상기 블럭 지정키의 입력이 없으면, 상기 제어부(101)는 사용자가 잘못 입력한 부분이 없다고 판단하고, 215단계로 진행하여 메시지 입력이 완료되는지를 검사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기 블럭 지정키가 눌린 상태에서 방향키의 입력이 있을 때 블럭을 지정할 수 있도록 하였으나, 상기 블럭 지정키를 누르고 난 후 방향키의 입력이 있을 때 블럭을 지정할 수 있는 방법도 가능하다.
상기 블럭 지정 후, 상기 제어부(101)는 209단계로 진행하여 입력모드 변환키의 입력이 있는지를 검사한다. 여기서, 상기 입력모드 변환키는 한글/영문 변환 기능을 가진 키로써, 사용자는 이 키를 사용하여 바꾸고자 하는 문자, 예를 들어, 한글, 영소문자, 영대문자, 특수문자, 숫자 등을 선택할 수 있다. 상기 입력모드 변환키의 입력이 있으면, 상기 제어부(101)는 211단계에서 상기 블럭 지정된 문자열의 스캔코드열을 램(105)에서 독출하고, 상기 독출된 스캔코드열에 근거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입력모드에 따라 다른 문자열로 변환한다. 이후, 상기 제어부(101)는 213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바뀐 문자열을 디스플레이부(111)에 표시한다. 다음, 상기 제어부(101)는 215단계에서 메시지 입력이 완료되었는지를 검사한다. 상기 메시지 입력 완료가 검사되면, 상기 제어부(101)는 217단계로 진행하여 수신자 전화번호를 입력받고 상기 메시지를 전송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알고리즘을 종료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305와 같이 '안녕하세요 안녕하세요'의 메시지를 작성하고자 하였다. 상기 메시지를 모두 입력한 후 301과 같이 잘못 입력했음을 확인한 사용자는 303과 같이 원하는 부분에 블럭을 씌워 선택하고 입력모드 변환키를 이용하여 영소문자모드를 한글모드로 변환시킨다. 이후, 상기 제어부(101)는 301의 잘못 입력한 문자를 305와 같이 수정하여 디스플레이부(111)에 표시한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특정 키의 위치를 식별하는 스캔코드값을 이용하여 잘못 입력한 문자열을 수정함으로써, 상기 잘못 입력한 문자열을 지우고 입력모드를 전환하여 상기 문자열을 재입력해야 하는 불편함을 없애고, 좀 더 편리하고 빠르게 SMS(Short Message Service)를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다시 말해, 사용자가 잘못 입력한 문자열을 체크한 후 입력모드 변환키를 이용하여 모드를 변환하면 자동으로 원하는 모드의 문자열로 수정되도록 하여 사용자들이 좀더 편리하게 문자를 입력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3)

  1.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문자열을 수정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문자열을 입력받아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표시된 문자열의 일부를 블럭 지정하는 과정과,
    상기 블럭지정 후 문자 입력모드가 변경되는지 검사하는 과정과,
    상기 문자 입력모드 변경시, 상기 블럭 지정된 문자열의 스캔코드열을 독출하는 과정과,
    상기 독출된 스캔코드열에 근거하여 상기 블럭 지정된 문자열을 상기 변한 입력모드에 따라 다른 문자열로 변환하여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 입력모드는 한글 입력모드, 영어대문자 입력모드, 영어 소문자 입력모드, 특수문자 입력모드, 숫자 입력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블럭 지정하는 과정은,
    커서 위치를 블럭 지정 시작 위치로 설정하는 과정과,
    상기 블럭 지정 시작 위치 설정 후, 블럭 지정키가 입력되는지 검사하는 과정과,
    상기 블럭 지정키 입력시, 방향키의 입력이 있는지 검사하는 과정과,
    상기 방향키의 입력에 따라 해독 문자열을 음영표시하여 블럭 지정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050014323A 2005-02-22 2005-02-22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문자열을 수정하기 위한 방법 KR2006009347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4323A KR20060093477A (ko) 2005-02-22 2005-02-22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문자열을 수정하기 위한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4323A KR20060093477A (ko) 2005-02-22 2005-02-22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문자열을 수정하기 위한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3477A true KR20060093477A (ko) 2006-08-25

Family

ID=376015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14323A KR20060093477A (ko) 2005-02-22 2005-02-22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문자열을 수정하기 위한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9347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2339B1 (ko) 2006-10-04 2007-12-06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2339B1 (ko) 2006-10-04 2007-12-06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04153B1 (ko) 이동통신단말기에서 메시지의 문자크기 변경 방법
US20060206816A1 (en) Method of and device for predictive text editing
JP2008544629A (ja) 文字メッセージに含まれている電話番号にハイパーリンク機能を提供する移動通信端末機及びその方法
JP2007036544A (ja) 携帯端末装置
KR100678248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문자 입력 방법
KR20060093477A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문자열을 수정하기 위한 방법
KR100684509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초성조합을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
KR100790159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특수문자 입력 방법
KR100617788B1 (ko) 휴대단말기의 키 입력 방법
KR100648473B1 (ko) 이동통신단말기에서 문자 입력 방법
KR20070045900A (ko) 휴대단말기에서 정보 분석 및 그에 따른 실행 방법
KR100690292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소프트 키보드를 이용한 문자 입력방법
KR101336227B1 (ko) 휴대용 단말기의 문자 입력 방법 및 장치
KR100681198B1 (ko) 이동통신단말기에서 메시지를 표시하기 위한 방법
KR20070034759A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문자 입력 방법
KR100675124B1 (ko) 이동통신단말기에서 효율적으로 디스플레이 하기 위한 방법
KR100652505B1 (ko) 이동통신단말기에서 문자인식기능을 이용한 배경을자동설정하기 위한 방법
KR100663433B1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데이터 표시방법
KR101033518B1 (ko) 이동통신단말기에서 문자 입력 시간을 단축하기 위한 방법
KR100442593B1 (ko) 무선단말기의 호 서비스 방법
JP2002297580A (ja) 携帯電話機
KR100664559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포즈기능을 이용한 번호 다중선택방법
KR101179467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문장 호출 방법
KR100790119B1 (ko) 슬라이드용 휴대단말기에서 숫자입력방법
KR101169645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스마트 다이얼 방법 및 그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