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92438A - 탄소나노튜브-금속 나노입자 혼성물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탄소나노튜브-금속 나노입자 혼성물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92438A
KR20060092438A KR1020050013212A KR20050013212A KR20060092438A KR 20060092438 A KR20060092438 A KR 20060092438A KR 1020050013212 A KR1020050013212 A KR 1020050013212A KR 20050013212 A KR20050013212 A KR 20050013212A KR 20060092438 A KR20060092438 A KR 200600924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bon nanotube
metal
nanotubes
carbon nanotubes
hybr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132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63893B1 (ko
Inventor
케이 이 게켈러
김동식
Original Assignee
광주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광주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광주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0500132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63893B1/ko
Publication of KR200600924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924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638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638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BNANOSTRUCTURES FORMED BY MANIPULATION OF INDIVIDUAL ATOMS, MOLECULES, OR LIMITED COLLECTIONS OF ATOMS OR MOLECULES AS DISCRETE UNITS;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 B82B3/00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by manipulation of individual atoms or molecules, or limited collections of atoms or molecules as discrete units
    • B82B3/0042Assembling discrete nanostructures into nanostructural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YSPECIFIC USES OR APPLICATIONS OF NANOSTRUCTURES; MEASUREMENT OR ANALYSIS OF NANOSTRUCTURES; 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B82Y30/00Nanotechnology for materials or surface science, e.g. nanocomposi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32/00Carbon; Compounds thereof
    • C01B32/15Nano-sized carbon materials
    • C01B32/158Carbon nanotubes
    • C01B32/159Carbon nanotubes single-walled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32/00Carbon; Compounds thereof
    • C01B32/15Nano-sized carbon materials
    • C01B32/158Carbon nanotubes
    • C01B32/168After-trea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FWORKING METALLIC POWDER; MANUFACTURE OF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MAKING METALLIC POWDER;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ETALLIC POWDER
    • B22F2301/00Metallic composition of the powder or its coating
    • B22F2301/25Noble metals, i.e. Ag Au, Ir, Os, Pd, Pt, Rh, Ru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FWORKING METALLIC POWDER; MANUFACTURE OF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MAKING METALLIC POWDER;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ETALLIC POWDER
    • B22F2301/00Metallic composition of the powder or its coating
    • B22F2301/25Noble metals, i.e. Ag Au, Ir, Os, Pd, Pt, Rh, Ru
    • B22F2301/255Silver or gold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2202/00Structure or properties of carbon nanotubes
    • C01B2202/02Single-walled nanotube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2202/00Structure or properties of carbon nanotubes
    • C01B2202/06Multi-walled nanotub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anotechnolo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arbon And Carbon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탄소나노튜브(carbon nanotube)-금속 나노입자(metal nanoparticle) 혼성물(hybrid material)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라 탄소나노튜브가 분산된 계면활성제 희석 용액에 금속염을 첨가하여 환원반응시켜 제조한 탄소나노튜브-금속 나노입자 혼성물은 탄소나노튜브 표면에 금속 나노입자들이 균일하게 잘 분산되어 금속염의 농도를 높여도 금속 나노입자들이 탄소나노튜브 표면에 균질하게 코팅되므로, 촉매제 또는 감지제 등의 나노공학 분야의 신소재 개발 및 나노범위의 빌딩 블록(building block) 등 그 산업적 활용도가 매우 크다.

Description

탄소나노튜브-금속 나노입자 혼성물 및 그 제조방법{CARBON NANOTUBE-METAL NANOPARTICLE HYBRID MATERIAL AND PROCESS FOR PREPARATION THEROF}
도 1a 도 1b는 실시예 1에서 제조한 탄소나노튜브-금(Au) 나노입자 혼성물의 투과전자현미경(TEM)(도 1a) 및 고해상도 TEM(도 1b) 영상이고,
도 2는 실시예 1에서 제조한 탄소나노튜브-금(Au) 나노입자 혼성물의 에너지 산란 X-선(EDX) 분광 분석 결과이고,
도 3은 실시예 2에서 제조한 탄소나노튜브-금(Au) 나노입자 혼성물의 고해상도 TEM 영상이고,
도 4는 실시예 2에서 제조한 탄소나노튜브-금(Au) 나노입자 혼성물의 TEM 영상이고,
도 5는 실시예 3에서 제조한 탄소나노튜브-백금(Pt) 나노입자 혼성물의 TEM 영상이고,
도 6a도 6b는 금속염의 농도를 0 mM(a), 0.1 mM(b), 0.5 mM(c), 1 mM(d) 및 5 mM(e)로 달리하여 제조한 탄소나노튜브-금(Au) 나노입자 혼성물들을 대상으로 532 ㎚ 조사 조건에서 수행한 라만 분광의 RBM(radial breathing mode)(도 6a) 및 접선 G-밴드(도 6b) 결과이다.
본 발명은 탄소나노튜브-금속 나노입자 혼성물 (carbon nanotube-metal nanoparticle hybrid material)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탄소나노튜브는 1개의 탄소 원자가 3개의 다른 탄소 원자와 결합한 육각형 벌집 모양의 흑연면이 나노크기의 직경으로 둥글게 말린 형태를 가리키고 있으며, 크기나 형태에 따라 독특한 물리적 성질을 갖는 거대 분자이다. 속이 비어 있어 가볍고 전기 전도도는 구리만큼 좋으며, 열전도도는 다이아몬드만큼 우수하고 인장력은 철강에 못지 않다. 원통형을 이루는 결합 구조에 따라 일부러 불순물을 넣지 않아도 튜브와 튜브가 상호 작용하면서 도체에서 반도체로 변한다. 말려진 형태에 따라서 단층벽 나노튜브(single walled nanotube, SWNT), 다중벽 나노튜브(multi-walled nanotube, MWNTs), 다발형 나노튜브(rope nanotube)로 구분되기도 한다.
최근에는 CNT의 이러한 전기적 또는 기계적인 고유한 성질을 이용한 극미세영역(nanoscale)의 여러 산업에서의 활용이 주목받고 있으므로, 나노튜브의 여러 적용 분야에 대한 활용성을 높이기 위해 물리적 또는 화학적 방법을 이용하여 개조시킨 여러 탄소나노튜브 유도체들이 개발되고 있으며, 특히, 탄소나노튜브를 금속 나노입자들과 결합시켜 탄소나노튜브 고유의 촉매활성, 전도도 및 수소 감지 능력등이 변화된 나노혼성물(nanohybrid material)들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지금까지 연구된 이러한 나노혼성물들의 제조방법에는 물리적 증착법(Y. Zhang 등, Appl. Phys. Lett., 77, 3015-3017, 2000), 열분해법(B. Xue, 등, J. Mater. Chem, 11, 2378-2381, 2001), 무전해 부착법(J. Li 등, Chem. Mater., 10, 1963-1967, 1998), 공유결합을 이용한 화학적 안정화 공법(R. Azamian 등, Chem. Commun., 366-367, 2002), 소수성 고정법(A. V. Ellis 등, Nano Lett., 3, 279-282, 2003) 및 고분자-보조 혼성화법(K. Jiang 등, Nano Lett., 3, 275-277, 2003) 등이 있으나, 이들 대부분이 높은 온도처리, 환원제 또는 고정화 기능기 등을 필요로 하여 과정이 복잡하고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최근에는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금속 이온과 탄소나노튜브 간의 직접적인 산화환원 반응을 이용하여, 산화규소 기질(substrate)에 성장시킨 SWNT 상의 금(Au) 나노입자의 제조방법이 실용화될 수 있음이 보고되었다(H. C. Choi 등, J. Am. Chem. Soc., 124, 9058-9059, 2002). 그러나, 이러한 방법 역시 탄소나노튜브가 분산되지 않은 고체상 반응(solid state reaction)을 이용하기 때문에 균일한 혼성물을 얻기 어렵고, 제조된 혼성물 또한 다루기 힘든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의 목적은 탄소나노튜브와 금속 나노입자가 균질하게 분산된 혼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혼성물을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 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탄소나노튜브(carbon nanotube) 표면에 금속 나노입자(metal nanoparticle)가 코팅된 구조를 가진 탄소나노튜브-금속 나노입자 혼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다른 목적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계면활성제 수용액에 탄소나노튜브를 분산시킨 후, 여기에 금속염을 첨가하여 환원반응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탄소나노튜브-금속 나노입자 혼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탄소나노튜브-금속 나노입자 혼성물은 첨가된 금속염의 금속 이온이 탄소나노튜브(CNT)의 표면에서 직접 환원반응을 일으키면서 탄소나노튜브에 정공 도핑되어 형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혼성물은 통상적인 용액상 분산공법(solution-phase dispersion technique: M. J. O'Connell 등, Science, 297, 593-596, 2002)에 따라 계면활성제가 희석된 수용액에 탄소나노튜브를 분산시킨 후, 금속염을 첨가하여 환원반응시켜 제조할 수 있다.
이때, 탄소나노튜브로는 통상적으로 시판되거나 합성한 단층벽 나노튜브(single walled nanotube, SWNT), 다중벽 나노튜브(multi-walled nanotube, MWNTs) 및 이들의 혼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될 수 있는 계면활성제로는 탄소나노튜브를 수용액에 분산시킬 수 있는 것이면 양이온성, 음이온성, 비이온성, 양쪽성 또는 쯔비터이온성 등의 통상적인 계면활성제 중 어느 것이든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트윈-80 또는 SDS(sodium dodecyl sulphate)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탄소나노튜브가 균질되게 분산된 계면활성제 수용액을 얻기 위해, 상기 계면활성제 수용액에 탄소나노튜브를 첨가한 후 초음파 장치 등의 통상적인 균질화기를 사용하여 균질화시킨 다음, 원심분리하여 탄소나노튜브가 균질하게 분산된 상등액만을 취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사용되는 금속염으로는 KAuCl4, HAuCl4, Na2PtCl4 및 H2PtCl4 등의 금이나 백금의 수용성 염이 적절하고, 이때, 본 발명의 특성 상 금속 나노입자가 균일한 분포로 탄소나노튜브 위에 무제한 도핑될 수 있으므로 그 사용량은 혼성물의 사용 목적에 따라 다양하게 변화시킬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탄소나노튜브가 균질하게 분산된 계면활성제 수용액에 대해 0.01 mM 내지 10 mM 범위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반응은 반응 온도 또는 반응 시간에 크게 영향받지는 않으며, 0 내지 200℃,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60℃에서 5 초 내지 24 시간, 바람직하게는 1 분 내지 1 시간 동안 수행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탄소나노튜브-금속 나노입자 혼성물의 제조
<실시예 1>
계면활성제인 트윈(Tween)-80 0.1 중량% 수용액 10 ㎖에 고순도의 단층벽 나노튜브(SWNT, Iljin Nanotech) 1 ㎎을 첨가한 후 초음파 팁을 사용하여 10분 동안 분산시켰다. 탄소나노튜브 분산액을 80,000 g에서 3시간 동안 초원심분리하여 상등액을 취한 다음 자외선/가시광선 분광기로 최종 농도를 측정한 결과 48 ㎎/ℓ임을 확인하였으며, 이러한 원심분리된 분산액 1.2 ㎖에 KAuCl4 0.3 ㎎(최종 금속염의 농도: 0.7 mM)을 첨가한 후 60℃에서 1시간 동안 혼합하여 본 발명에 따른 탄소나노튜브-금(Au) 나노입자 혼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KAuCl4의 최종 농도가 3.5 mM이 되도록 첨가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본 발명에 따른 탄소나노튜브-금(Au) 나노입자 혼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KAuCl4 대신 Na2PtCl4을 최종 농도가 3.5 mM이 되도록 원심분리된 탄소나노튜브 분산액 1.9 ㎖에 2.55 ㎎을 첨가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본 발명에 따른 탄소나노튜브-백금(Pt) 나노입자 혼성물을 제조하였다.
탄소나노튜브-금속 나노입자 혼성물의 특성 분석
실시예 1에서 얻어진 탄소나노튜브-금속 나노입자 혼성물을 투과전자현미경(TEM)을 이용하여 관찰한 결과, 도 1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나노튜브 표면에 금(Au) 나노입자가 균일하게 분산되어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이러한 나노튜브 표면의 금(Au)의 존재는 도 2에 나타낸 에너지 산란 X-선 분광 결과로도 확인되었다. 또한, 고해상도 TEM 영상에서는, 도 1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러한 금(Au) 나노입자 36개의 통계치로 탄소나노튜브 표면에 형성된 금 나노입자의 입경 평균이 2.94±0.75 ㎚임을 확인하였으며, 이로부터 SWNT의 넓이를 (입경: 1.4nm, 길이: 400 nm) 기초로 하여 나노입자가 구의 형태를 갖는다는 가정하에 탄소나노튜브 1개당 2×10-16 g의 금이 도포되어 있으며, 약 100 개의 금(Au) 나노입자가 함유되어 있다고 추론할 수 있다.
금속염의 농도를 실시예 1에서 보다 약 5배 정도 높인 실시예 2의 혼성물의 고해상도 TEM 영상에서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탄소나노튜브 표면에 약 9 ㎚ 의 입경을 갖는 금(Au) 나노입자가 정렬되거나,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완전히 금으로 입혀짐을 확인하였다(금 나노튜브).
또한, 백금(Pt)염을 사용하여 얻어진 실시예 3의 탄소나노튜브-백금(Pt) 나노입자 혼성물의 경우에도, 도 5에 나타낸 TEM 영상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나노튜브 표면에 금속 나노입자가 균일하게 분포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금속염의 농도에 따른 탄소나노튜브-금속 나노입자 혼성물의 특성 변화
KAuCl4의 최종농도를 0, 0.1, 0.5, 1 및 5 mM가 되도록 첨가하는 것을 제외하고, 각각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탄소나노튜브-금(Au) 나노입자 혼성물을 제조하였으며, 이들을 대상으로 532 ㎚에서 라만 분광 분석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도 6a 및 6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금속염의 농도가 높아짐에 따라 탄소나노튜브의 밀도상의 단일물질 특성이 쇠퇴함으로 인해 RBM(radial breathing mode)(도 6a) 및 접선 G-밴드(도 6b) 모두 감소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이는 나노튜브 표면에서 일어나는 금속이온의 환원에 따라 탄소나노튜브의 전도대(conduction band)로부터 전자가 제거됨을 의미한다. 또한, 접선 G-밴드가 더 높은 파장쪽으로 이동된 것을 확인하였으며, 이러한 이동은 금속염의 농도가 높아짐에 따라 전하의 상호 이동의 결과로 탄소나노튜브의 전도대로 정공이 도입됨으로써 흑연의 형태로 굳어짐을 의미한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계면활성제 수용액에 탄소나노튜브를 분산시킨 후 여기에 금속염을 첨가하여 환원반응시켜 얻은 탄소나노튜브-금속 나노입자 혼성물은 탄소나노튜브 표면에 금속 나노입자들이 균일하게 잘 분산되어 있어 금속염의 농도를 높여도 금속 나노입자들이 탄소나노튜브 표면에 균질하게 정열되므로, 촉매제 또는 감지제 등의 나노공학 분야의 신소재 개발, 전기, 광학 및 자기 등의 응용분야, 및 나노범위의 빌딩 블록(building block) 등 그 산업적 활용도가 매우 크다.

Claims (8)

  1. 탄소나노튜브(carbon nanotube) 표면에 금속 나노입자(metal nanoparticle)가 코팅된 구조를 가진 탄소나노튜브-금속 나노입자 혼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금속 나노입자가 금 또는 백금의 나노입자임을 특징으로 하는 혼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금속 나노입자가 탄소나노튜브 표면에 정공 도핑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혼성물.
  4. 계면활성제 수용액에 탄소나노튜브를 분산시킨 후, 금속염을 첨가하여 환원반응시키는 공정을 포함하는, 탄소나노튜브-금속 나노입자 혼성물의 제조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탄소나노튜브가 단층벽 나노튜브(single walled nanotube, SWNT), 다중벽 나노튜브(multi-walled nanotube, MWNTs) 또는 이들의 혼합물임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6. 제 4 항에 있어서,
    금속염이 금 또는 백금의 수용성 염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 4 항에 있어서,
    금속염이 0.01 mM 내지 10 mM 농도 범위로 첨가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 4 항에 있어서,
    환원반응이 0 내지 200℃에서 1 초 내지 24 시간 동안 수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050013212A 2005-02-17 2005-02-17 탄소나노튜브-금속 나노입자 혼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06638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3212A KR100663893B1 (ko) 2005-02-17 2005-02-17 탄소나노튜브-금속 나노입자 혼성물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3212A KR100663893B1 (ko) 2005-02-17 2005-02-17 탄소나노튜브-금속 나노입자 혼성물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2438A true KR20060092438A (ko) 2006-08-23
KR100663893B1 KR100663893B1 (ko) 2007-01-03

Family

ID=375938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13212A KR100663893B1 (ko) 2005-02-17 2005-02-17 탄소나노튜브-금속 나노입자 혼성물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63893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4386B1 (ko) * 2006-10-31 2008-01-15 한국과학기술원 질소를 매개로 한 전이금속-탄소나노튜브 혼성재료의제조방법
KR100899806B1 (ko) * 2007-07-11 2009-05-28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탄소나노튜브-무기산화물 나노입자 복합체의 제조방법
KR100948361B1 (ko) * 2009-02-06 2010-03-22 주식회사 어플라이드카본나노 나노파이버와 나노입자를 이용한 엔진성능 개선제 제조방법및 이에 의해 제조되는 엔진성능 개선제
CN101969128A (zh) * 2010-09-26 2011-02-09 南昌大学 一种通过原位合成法在多壁碳纳米管表面可控负载金属铂的方法
US8272914B2 (en) 2007-01-05 2012-09-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of manufacturing field emission electrode having carbon nanotubes with conductive particles attached to external walls
WO2015016638A1 (ko) * 2013-08-01 2015-02-05 주식회사 엘지화학 탄소 담체 - 금속 나노 입자 복합체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탄소 담체 - 금속 나노 입자 복합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4107B1 (ko) 2009-11-25 2012-05-24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탄소에 담지된 니켈 또는 팔라듐 나노입자 제조방법
KR102221162B1 (ko) * 2019-04-04 2021-02-26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금속 나노입자가 코팅된 탄소나노튜브 네트워크를 포함하는 접촉식 마이크로 소자 및 이의 제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2307B1 (ko) * 2000-05-01 2003-02-17 주식회사 퀀텀테크인터내셔날 티올기가 부착된 탄소나노튜브 및 이의 제조방법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4386B1 (ko) * 2006-10-31 2008-01-15 한국과학기술원 질소를 매개로 한 전이금속-탄소나노튜브 혼성재료의제조방법
US8272914B2 (en) 2007-01-05 2012-09-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of manufacturing field emission electrode having carbon nanotubes with conductive particles attached to external walls
US8294348B2 (en) 2007-01-05 2012-10-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Field emission electrod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field emission device comprising the same
KR100899806B1 (ko) * 2007-07-11 2009-05-28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탄소나노튜브-무기산화물 나노입자 복합체의 제조방법
KR100948361B1 (ko) * 2009-02-06 2010-03-22 주식회사 어플라이드카본나노 나노파이버와 나노입자를 이용한 엔진성능 개선제 제조방법및 이에 의해 제조되는 엔진성능 개선제
CN101969128A (zh) * 2010-09-26 2011-02-09 南昌大学 一种通过原位合成法在多壁碳纳米管表面可控负载金属铂的方法
WO2015016638A1 (ko) * 2013-08-01 2015-02-05 주식회사 엘지화학 탄소 담체 - 금속 나노 입자 복합체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탄소 담체 - 금속 나노 입자 복합체
CN105452156A (zh) * 2013-08-01 2016-03-30 Lg化学株式会社 制备碳载体-金属纳米粒子复合物的方法以及由该方法制备的碳载体-金属纳米粒子复合物
CN105452156B (zh) * 2013-08-01 2018-03-13 Lg化学株式会社 制备碳载体‑金属纳米粒子复合物的方法以及由该方法制备的碳载体‑金属纳米粒子复合物
US9991018B2 (en) 2013-08-01 2018-06-05 Lg Chem, Ltd. Method for manufacturing carbon carrier-metal nanoparticle composite and carbon carrier-metal nanoparticle composite manufactured thereb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63893B1 (ko) 2007-0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athinavel et al. A review on carbon nanotube: An overview of synthesis, properties, functionalization, characterization, and the application
Varghese et al. Introduction to nanomaterials: synthesis and applications
KR100663893B1 (ko) 탄소나노튜브-금속 나노입자 혼성물 및 그 제조방법
Meng et al. Polymer composites of boron nitride nanotubes and nanosheets
Jiang et al. Modified carbon nanotubes: an effective way to selective attachment of gold nanoparticles
Zhou et al. Effective control of nanodefects in multiwalled carbon nanotubes by acid treatment
Tzitzios et al.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carbon nanotube/metal nanoparticle composites well dispersed in organic media
Munkhbayar et al. Influence of dry and wet ball milling on dispersion characteristics of the multi-walled carbon nanotubes in aqueous solution with and without surfactant
Whitsitt et al. Silica coated single walled carbon nanotubes
Zhang et al. Graphene oxide-assisted dispersion of pristine multiwalled carbon nanotubes in aqueous media
US9475921B2 (en) Nanoplate-nanotube composites, methods for production thereof and products obtained therefrom
Zamudio et al. Efficient anchoring of silver nanoparticles on N‐doped carbon nanotubes
Zhang et al. A review on hybridization modification of graphene and its polymer nanocomposites
Gao et al. Facile and large-scale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carbon nanotube/silver nanocrystal nanohybrids
Li et al. Decoration of multiwall nanotubes with cadmium sulfide nanoparticles
US20200087149A1 (en) Method for the synthesis of nanofluids
Fu et al. One-dimensional magnetic nanocomposites with attapulgites as templates: growth, formation mechanism and magnetic alignment
Haider et al.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multi walled carbon nanotubes/Ag nanoparticles hybrid materials
Liu et al. Gold nanoparticles/carbon nanotubes composite microspheres for catalytic reduction of 4-nitrophenol
Hu et al. Highly concentrated amino group-functionalized graphite encapsulated magnetic nanoparticles fabricated by a one-step arc discharge method
Jiao et al. Decorating multi-walled carbon nanotubes with Au nanoparticles by amphiphilic ionic liquid self-assembly
Watson Decoration of graphene oxide with silver nanoparticles and controlling the silver nanoparticle loading on graphene oxide
Martis et al. Optimization of cuprous oxide nanocrystals deposition on multiwalled carbon nanotubes
Guo et al. A novel hybrid nanostructure based on SiO 2@ carbon nanotube coaxial nanocable
Kim et al. Defect‐Enhanced Dispersion of Carbon Nanotubes in DNA Solu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30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