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92399A - Portable appliance necklace and assembly in use with the necklace - Google Patents

Portable appliance necklace and assembly in use with the neckla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92399A
KR20060092399A KR1020050013144A KR20050013144A KR20060092399A KR 20060092399 A KR20060092399 A KR 20060092399A KR 1020050013144 A KR1020050013144 A KR 1020050013144A KR 20050013144 A KR20050013144 A KR 20050013144A KR 20060092399 A KR20060092399 A KR 200600923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cklace
mobile device
strap
ornament
ho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1314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덕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트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트랑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트랑
Priority to KR10200500131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92399A/en
Publication of KR200600923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92399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3/00Hook or eye fasteners
    • A44B13/0029Hook or eye fasteners characterised by their way of fastening to the support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3/00Hook or eye fasteners
    • A44B13/0052Strips of hook or eye fasteners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폰, PDA(개인정보 단말기), MP3플레이어 등과 같은 휴대기기를 걸고 다닐 수 있는 휴대기기 목걸이 및 이를 채택한 휴대기기 목걸이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스트랩의 장식구가 착탈 가능한 휴대기기 목걸이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device necklace that can carry a mobile device such as a mobile phone,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MP3 player, and the like, and a mobile device necklace assembly employing the same. It is about.

Description

휴대기기 목걸이 및 이를 채택한 휴대기기 목걸이 어셈블리{portable appliance necklace and assembly in use with the necklace}Portable appliance necklace and assembly in use with the necklace}

도 1a 내지 도 1d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기기 목걸이에 휴대기기 스트랩이 결합되는 순서를 도시한 사시도. 1A to 1D are perspective views illustrating a sequence in which a mobile device strap is coupled to a mobile device neckla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목걸이줄을 생략한 도 1의 측면도. Figure 2 is a side view of Figure 1 omitting a necklace.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기기 스트랩의 걸이줄을 도시한 사시도.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hanger line of the mobile device strap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기기 스트랩을 도시한 사시도.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obile device strap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 휴대기기 목걸이 11 : 홀더10: mobile device necklace 11: holder

12 : 관통공 12a,12b : 개구12: through hole 12a, 12b: opening

13 : 바디 15 : 절개부13: body 15: incision

16 : 목걸이줄 16: necklace

30 : 휴대기기 스트랩 31 : 장신구(핑거)30: mobile device strap 31: jewelry (finger)

33 : 걸이줄 33a : 태브33: string 33a: tab

34 : 뭉치부 37 : 돌기34: bundle 37: projection

본 발명은 휴대폰, PDA(개인정보 단말기), MP3플레이어 등과 같은 휴대기기를 걸고 다닐 수 있는 휴대기기 목걸이 및 이를 채택한 휴대기기 목걸이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스트랩의 장식구가 착탈 가능한 휴대기기 목걸이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device necklace that can carry a mobile device such as a mobile phone,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MP3 player, and the like, and a mobile device necklace assembly employing the same. It is about.

종래, 휴대기기 목걸이로는 예컨대 한국등록실용산안 공고번호 제20-0204472호의 공보에 개시된 것이 제안되어 있다. 이 휴대기기 목걸이는 목걸이줄과 걸이줄을 스냅로커로 결합/분리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Conventionally, as the necklace of a mobile device, for example, the one disclosed in Korean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20-0204472 has been proposed. The mobile device necklace has a structure that combines / separates the necklace and the hanger with snap lockers.

그런데, 목걸이줄과 분리된 걸이줄은 액세서리로의 기능이 매우 약해 장신구가 달린 스트랩으로 교체해야 하는 번거로움으로 비실용적이다. 반대인 경우에도 마찬가지이다. By the way, the cords separated from the necklaces are impractical because they have a weak function as an accessory and need to be replaced with a strap with jewelry. The opposite is also true.

또한, 종래 휴대기기 목걸이에는, 인적사항 등을 기재할 수 있는 스티커 등이 부착될 공간이 없어서, 어린이용 휴대기기 목걸이로 부적합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nventional mobile device necklace, there is no space to attach a sticker or the like to describe personal information, it may be inappropriate as a mobile device necklace for children.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휴대기기에 매달린 장식용 스트랩을 교체할 필요 없이 간단히 결합시킬 수 있는 휴대기기 목걸이 및 그 어셈블리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 and an object thereof is to provide a mobile device necklace and its assembly which can be easily combined without the need to replace a decorative strap suspended on the mobile device.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휴대기기 목걸이는 휴대기기 스트랩을 홀딩하는 홀더와, 상기 홀더에 설치되는 목걸이줄를 포함하되, 상기 홀더는 상 하 개구가 형성된 바디; 상기 개구와 연통되게 상기 바디의 일면에 상하방향으로 형성되는 절개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절개부는 상기 바디의 일면 한쪽에 배치되어 있다. The mobile device necklac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cludes a holder for holding a mobile device strap and a necklace band installed on the holder, the holder is a body having an upper and lower openings; It is made of a cutout formed in the vertical direction on one surface of the body in communication with the opening, the cutout is disposed on one side of the body.

또한, 적어도 상기 바디의 일면은 스티커가 부착될 평면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at least one surface of the body is preferably formed in a plane to which the sticker is to be attached.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른 휴대기기 목걸이 어셈블리는 휴대기기 스트랩과, 상기 스트랩을 홀딩하는 홀더와 상기 홀더에 설치되는 목걸이줄를 갖는 휴대기기 목걸이를 포함하되,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obile device necklace assembly includes a mobile device strap, a mobile device necklace having a holder holding the strap and a collar installed on the holder,

상기 홀더는 상하로 개구가 형성된 바디와, 상기 개구와 연통되게 상기 바디의 일면 한쪽에 상하방향으로 형성되는 절개부로 구성되며, The holder is composed of a body having an opening formed up and down, and an incision formed on one side of the body in a vertical direction to communicate with the opening,

상기 스트랩은 상기 절개부를 출입하는 걸이줄과, 이 걸이줄의 일단을 고정한 채 상기 개구에 삽입 홀딩되는 장신구로 구성되어 있다. The strap is composed of a lanyard for entering and exiting the incision and an ornament inserted and held in the opening while holding one end of the lanyard.

이 구성에 의하면, 휴대기기에 매달린 장식용 스트랩을 교체할 필요 없이 간단히 결합시킬 수 있다. According to this structure, it can be combined easily, without the need to replace the decorative strap hanging on the portable device.

또한, 상기 장신구의 상측은 상기 개구의 상단에 걸리는 뭉치부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upper side of the ornament is preferably formed of a bundle that is caught on the upper end of the opening.

또한, 상기 장신구의 외주면에는 홈이 형성되고, 상기 바디의 내측면에는 상기 홈과 결합되는 돌기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jewelry is formed with a groove, the inner surface of the body is preferably formed with a projection coupled to the groove.

또한, 상기 장신구의 외주면에는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바디의 내측면에는 상기 돌기와 결합되는 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a protrusion is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rnament, and a groove coupled to the protrusion is form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body.

또한, 상기 장신구의 하측은 상기 개구의 하단에 돌출되면, 밀어 올려 분리하기 편리하다. In addition, when the lower side of the ornament protrudes at the lower end of the opening, it is convenient to push up and separate.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 설명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a 내지 도 1d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기기 목걸이에 휴대기기 스트랩이 결합되는 순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측면도이다. 1A to 1D are perspective views illustrating a sequence in which a mobile device strap is coupled to a mobile device neckla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side view of FIG.

도 1a 내지 도 1b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휴대기기 목걸이(10)는 홀더(11)와 목걸이줄(16)로 구성되어 있다. As shown in Figs. 1A to 1B and 2, the mobile device necklace 10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composed of a holder 11 and a collar 16.

홀더(11)는 후술될 휴대기기 스트랩(30)을 홀딩하면서 자체적으로는 장신구 기능을 할 수 있는 펜던트이다. 이 홀더(11)는 바디(13)와 이 바디(13)의 일면에 형성된 절개부(15)로 구성되어 있다. The holder 11 is a pendant that can function as a jewelry itself while holding the mobile device strap 30 to be described later. The holder 11 is composed of a body 13 and a cutout 15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body 13.

바디(13)는 전면(13a), 배면(13b) 및 측면(13c)으로 구성되어, 상하 개구(12a)(12b)를 갖는 관통공(12)이 형성되어 있다. 측면(13c)에는 목걸이줄(16)의 양단이 설치 고정되어 있다. 또한, 측면(13c)의 내주면(13d)에는 홈(미도시)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배면(13b)은 평면(14)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평면(14)은 다른 형상(예컨대 전면과 같이 디자인 측면에서 볼록하거나 오목한 형상)에 비해, 어린이가 사용 시 인적사항 스티커의 부착이 용이하고 글자의 선명도를 높일 수 있기 때문이다. The body 13 consists of the front surface 13a, the back surface 13b, and the side surface 13c, and the through hole 12 which has the upper and lower openings 12a and 12b is formed. Both ends of the collar 16 are fixed to the side surface 13c.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a groove (not shown) is formed i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13d of the side surface 13c. On the other hand, it is preferable to form the back surface 13b in the plane 14. This is because the plane 14 can be easily attached to the personal information sticker and increase the clarity of the characters when the child is in use, compared with other shapes (for example, convex or concave in terms of design, such as the front face).

절개부(15)는 관통공(12)과 연통되게 일면에, 바람직하게는 배면(13b)에 상하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절개부(15)는 배면(13b)의 측면(13c) 가까운 위 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전술한 스티커의 부착에 방해를 주지 않게 된다. 또한, 후술될 스트랩(30)의 걸이줄(33)이 바디(13) 상에 위치하게 되는 경우에도 절개부(15)로부터 빠져 나오지 않게 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The cutout 15 is formed on one surface, preferably on the rear surface 13b in vertical direction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through hole 12. In addition, the cutout 15 is preferably formed at a position close to the side surface 13c of the rear surface 13b. This does not disturb the attachment of the sticker described above. In addition, even when the hanger 33 of the strap 30 to be described later is located on the body 13 can be prevented from coming out of the cutout 15 is preferable.

휴대기기 스트랩(30)은 링 형상의 장신구(31)와 이 장신구(31)에 고정된 걸이줄(33)로 구성되어 있다. 걸이줄(33)은 휴대기기의 고리에 걸어 매달리는 줄이다. The mobile device strap 30 is composed of a ring-shaped ornament 31 and a hanger string 33 fixed to the ornament 31. Hanging line 33 is a rope hanging on the hook of the mobile device.

장신구(31)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측(34)은 하측(35)에 비해 살두께가 두꺼운 뭉치부(34)로 형성되어 있다. 뭉치부(34)는 상단개구(12a)에 압입된 상태로 걸려 홀더(11)에 장착되게 된다. 또한, 뭉치부(34)는 스트랩(30)을 홀더(11)로부터 이탈시킬 때 손잡이로의 기능을 하여, 잡아당기기 편리하다. As shown in FIG. 2, the ornament 31 is formed of a bundle 34 having a thicker thickness than the lower side 35. The bundle 34 is hooked to the top opening 12a to be mounted to the holder 11. In addition, the bundle 34 functions as a handle when the strap 30 is separated from the holder 11, and is convenient to pull.

또한, 장신구(31)의 외주면에는 전술한 홈과 결합되는 돌기(37)가 형성되는 것이, 장신구(31)의 장착을 보다 견고히 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한편, 돌기(37)는 지압용으로도 사용할 수 있다. 즉, 별도의 지압도구를 가지고 다닐 필요 없이, 돌기(37) 달린 장신구의 휴대기기 스트랩(30)이 있으면 언제든지 지압할 수 있어 편리하다. 특히 수지침과 같은 국부적인 지압을 할 때, 링에 손가락을 끼운 상태로 가압할 수 있어 사용이 대단히 편리하다. 이 돌기의 개수는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형성할 수 있음은 당업자라면 자명하다 할 것이다.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projections 37 engaged with the above-described grooves ar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rnament 31, since the attachment of the ornament 31 can be made more secure. On the other hand, the projection 37 can also be used for acupressure. That is, without having to carry a separate acupressure tool, if there is a mobile device strap 30 of the ornament with the projection 37, it can be acupressure at any time it is convenient. Particularly, when local acupressure such as resin needle is applied, it can be pressurized while putting a finger on the ring, which is very convenient to use.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number of the protrusions can be variously formed as necessary.

반대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장신구(31)의 외주면에는 홈(137)이, 바디(13)의 내주면(13d)에는 홈(137)에 결합되는 돌기(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On the contrary, as shown in FIG. 4, a groove 137 may b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rnament 31, and a protrusion (not shown) may be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13d of the body 13. .

이러한 장신구(31)는 걸이줄(33)의 일단을 인서트한 채 사출 성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걸이줄(33)의 양단을 태브(33a)로 압입 고정시킨 후, 이 태브(33a)를 인서트한 채 사출 성형하는 것이다. 따라서, 장신구(31)는 태브(33a)에 가류접합되기 때문에, 걸이줄(33)과 장신구(31)는 서로 견고히 결합 고정된다(본 출원인이 선출원한 실용신안등록 제342032호 참조). 이와 같은 인서트 사출은 걸이줄을 장신구에 결합시키는 부품 개수나 공정을 현저히 줄일 수 있어 경제성 및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장신구(31)는 아크릴이나 폴리카보네이트 재질의 수지로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크릴수지는 투명성이 뛰어나고 옥외에 노출시켜도 변색하지 않고, 폴리카보네이트는 내열성이 우수하고, 투명하고, 견고하며 충격에 강하다. 이러한 플라스틱 재질은 금속보다 촉감이 부드러워 손가락에 끼울 때 편안한 느낌을 줄 수도 있다. Such ornament 31 is preferably injection molded with one end of the hanger 33 inserted. That is, as shown in FIG. 3, after press-fixing and fixing the both ends of the hanger 33 with the tab 33a, injection molding is carried out with this tab 33a inserted. Therefore, since the ornament 31 is vulcanized to the tab 33a, the hanger 33 and the ornament 31 are firmly coupled and fixed to each other (see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342032, filed by the applicant). Such insert injection can significantly reduce the number of parts or the process of joining the hanger to the jewelry, thereby improving economics and productivity. The jewelry 31 is preferably made of acrylic or polycarbonate resin. Acrylic resin is excellent in transparency and does not discolor even when exposed to the outdoors, polycarbonate is excellent in heat resistance, transparent, solid and strong against impact. These plastics are softer to the touch than metal, which can give a comfortable feeling when they are put on your fingers.

이와 같이, 본 실시예의 휴대기기 스트랩(30)은 교체함이 없이 휴대기기 목걸이(10)에 탈착 가능하여 매우 실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As such, the mobile device strap 30 of the present embodiment can be detachably attached to the mobile device necklace 10 without being replaced and can be used very practically.

이하, 전술한 구성에 따른 본 실시예의 작용을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is embodiment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도 1a에 도시한 바와 같은 휴대기기 스트랩(30)의 걸이줄(33)을 도 1b와 같이 절개부(15)에 위치시킨다. 그리고 나서, 도 1c와 같이 걸이줄(33)을 관통공(12) 쪽으로 이동시킨 후, 아래로 당기면 장신구(31)의 뭉치부(34)는 상단개구(12a)에 걸려 홀더(11)에 장착되게 된다. 또한, 돌기(37)도 홈에 결합되게 된다. The hanger 33 of the mobile device strap 30 as shown in FIG. 1A is positioned in the cutout 15 as shown in FIG. 1B. Then, as shown in FIG. 1c, the hook string 33 is moved toward the through hole 12, and when pulled down, the bundle 34 of the ornament 31 is hooked to the upper opening 12a and mounted to the holder 11. Will be. In addition, the projection 37 is also coupled to the groove.

이 장착된 상태에서 스트랩(30)을 해제할 경우에는, 장신구(31)를 위쪽으로 잡아당긴 후, 장착의 반대로 절개부(15)를 통해 걸이줄(33)을 인출시키면 된다. When the strap 30 is released in the attached state, the ornament 31 may be pulled upward, and the hook string 33 may be pulled out through the cutout 15 opposite to the mounting.

이때, 스트랩(30)의 이탈을 보다 쉽게 하기 위하여, 장신구(31)의 하측(35) 을 하단개구(12b)로부터 아래로 돌출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돌출 하측은, 위쪽으로 누르기가 편리하여, 상측을 잡아당기는 것보다 훨씬 수월하게 이탈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At this time, in order to facilitate the detachment of the strap 30, it is preferable to project the lower side 35 of the ornament 31 downward from the lower end opening 12b. That is, since the lower side of the protrusion is convenient to press upward, it can be more easily detached than pulling the upper side.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는 목걸이와 휴대기기 스트랩(30)을 별도로 사용할 수 있는 동시에 휴대기기 스트랩(30)을 목걸이의 홀더(11)에 장착할 경우 휴대기기 목걸이(10)의 용도로도 사용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embodiment may use the necklace and the mobile device strap 30 separately, and at the same time, when the mobile device strap 30 is mounted on the holder 11 of the necklace, the present invention may also be used as the mobile device necklace 10. Can be.

이 겸용성에 의해, 휴대기기 목걸이(10)의 홀더(11)를 어린이 취향의 장식물로 하여 어린이 목걸이로 이용하는 경우, 휴대기기를 어린이에 소지할 필요가 있을 때, 휴대기기 스트랩(30)이 달린 부모님의 휴대기기를 어린이 목걸이에 바로 장착할 수 있다. Due to this compatibility, when the holder 11 of the mobile device necklace 10 is used as a child's necklace as a decoration of a child's taste, when the mobile device needs to be carried on a child, the parents with the mobile device strap 30 Can be mounted directly on the child's necklace.

본 발명의 휴대기기 목걸이 및 이를 채택한 휴대기기 목걸이 어셈블리는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The mobile device necklac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mobile device necklace assembly employing the same are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may be variously modified and implemented within the range allowed by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하듯이,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As is apparent from the above descrip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휴대기기 스트랩을 교체함이 없이, 장신구를 휴대기기 목걸이의 홀더에 장착할 수 있어 매우 실용적이다. 또한, 홀더를 어린이 취향의 장식물로 하여 어린이 목걸이로 이용하는 경우, 휴대기기를 어린이에 소지할 필요가 있을 때, 휴대기기 스트랩이 달린 부모님의 휴대기기를 어린이 목걸이에 바로 장착할 수 있다. First, it is very practical to mount jewelry in the holder of a mobile device necklace without replacing the mobile device strap. In addition, when using the holder as a child's ornament as a child's necklace, when the mobile device needs to carry a child, the mobile device of the parent with a mobile device strap can be mounted directly on the child's necklace.

둘째, 절개부가 바디의 배면 한 쪽으로 치우친 위치에 형성되어, 걸이줄이 홀더 상에 위치하는 경우, 절개부로부터 걸이줄이 빠져나와 진자운동처럼 흔들림에 따른 착용 불쾌감을 해소시킬 수 있다. 또한, 스티커가 부착될 경우, 한쪽으로 치우진 절개부의 기능에 전혀 지장을 주지 않는다. Second, the incision is formed in a position biased to one side of the back of the body, when the hanger line is located on the holder, the hanger can be released from the incision to eliminate the discomfort caused by shaking like a pendulum movement. In addition, when a sticker is attached, it does not interfere at all with the function of the inclined section.

셋째, 홀더의 배면이 평면으로 형성됨으로써, 어린이가 목걸이를 착용할 경우 인적사항의 스티커 부착이 편리하고, 이 스티커의 글자가 선명한 상태로 볼 수 있다. Third, since the back of the holder is formed in a flat surface, it is convenient to attach a sticker of personal information when a child wears a necklace, and the letters of the sticker can be seen clearly.

넷째, 장신구의 상측이 개구의 상단에 걸리는 뭉치부로 형성됨으로써, 스트랩의 장착이 간단하고, 스트랩의 이탈시 손쉽게 잡아당길 손잡이의 기능을 한다. Fourth, the upper side of the ornament is formed of a bundle that is caught on the upper end of the opening, the mounting of the strap is simple, and serves as a handle to pull easily when the strap is detached.

다섯째, 장신구의 하측이 개구의 하단에 돌출됨으로써, 돌출 하측을 눌러 스트랩의 이탈을 보다 손쉽게 행할 수 있다. Fifth, since the lower side of the ornament protrudes at the lower end of the opening, the detachment of the strap can be performed more easily by pressing the lower side of the protruding portion.

여섯째, 장신구의 외주면에 홈이 형성되고, 바디의 내측면에 홈과 결합되는 돌기가 형성됨으로써, 스트랩의 장착을 보다 견고히 할 수 있다. Sixth, grooves ar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rnament, and projections coupled to the grooves ar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body, thereby making it possible to more firmly mount the strap.

일곱째, 바디의 내측면에 홈이 형성되고, 장신구에 상기 홈에 결합되는 돌기가 형성됨으로써, 스트랩의 장착을 보다 견고히 할 뿐 아니라 특히 수지침과 같은 국부적인 지압을 할 때 링에 손가락을 끼워 돌기로 가압할 수 있어 사용이 대단히 편리하다. Seventh, a groove is formed on the inner side of the body, and a projection is formed in the jewelry to be attached to the groove, which not only makes the strap more secure, but also inserts a finger into the ring during local acupressure such as resin needles. It can be pressurized and is very convenient to use.

Claims (7)

휴대기기 스트랩을 홀딩하는 홀더와, 상기 홀더에 설치되는 목걸이줄를 포함하되, Including a holder for holding the mobile device strap, and the necklace strap is installed in the holder, 상기 홀더는 상하 개구가 형성된 바디; 상기 개구와 연통되게 상기 바디의 일면에 상하방향으로 형성되는 절개부로 이루어지고, The holder includes a body having a vertical opening; It is made of an incision formed in the vertical direction on one surface of the body in communication with the opening, 상기 절개부는 상기 바디의 일면 한쪽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기 목걸이. The incision is a mobile device necklace, characterized in that disposed on one side of the body. 제 1항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바디의 일면은 평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기 목걸이. The necklace of claim 1, wherein at least one surface of the body is formed in a flat surface. 휴대기기 스트랩과, With a mobile strap, 상기 스트랩을 홀딩하는 홀더와 상기 홀더에 설치되는 목걸이줄를 갖는 휴대기기 목걸이를 포함하되, Including a mobile device necklace having a holder for holding the strap and a collar installed in the holder, 상기 홀더는 상하로 개구가 형성된 바디와, 상기 개구와 연통되게 상기 바디의 일면 한쪽에 상하방향으로 형성되는 절개부로 구성되며, The holder is composed of a body having an opening formed up and down, and an incision formed on one side of the body in a vertical direction to communicate with the opening, 상기 스트랩은 상기 절개부를 출입하는 걸이줄과, 이 걸이줄의 일단을 고정한 채 상기 개구에 삽입 홀딩되는 장신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기 목걸이 어셈블리. The strap is a mobile device necklace assembly,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hook for entering and exiting the incision, the ornament is inserted and held in the opening while holding one end of the hanger.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장신구의 상측은 상기 개구의 상단에 걸리는 뭉치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기 목걸이 어셈블리. The necklace assembly of claim 3, wherein an upper side of the ornament is formed of a bundle that is caught by an upper end of the opening.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장신구의 하측은 상기 개구의 하단에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기 목걸이 어셈블리. 5. The mobile device necklace assembly of claim 4, wherein a lower side of the ornament protrudes at a lower end of the opening.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신구의 외주면에는 홈이 형성되고, 상기 바디의 내측면에는 상기 홈과 결합되는 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기 목걸이 어셈블리. The necklace assembly of any one of claims 1 to 5, wherein a groove is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rnament, and a protrusion is form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body to engage with the groove.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신구의 외주면에는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바디의 내측면에는 상기 돌기와 결합되는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기 목걸이 어셈블리. The necklace assembly of any one of claims 1 to 5, wherein a protrusion is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rnament, and a groove is form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body to engage with the protrusion.
KR1020050013144A 2005-02-17 2005-02-17 Portable appliance necklace and assembly in use with the necklace KR20060092399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3144A KR20060092399A (en) 2005-02-17 2005-02-17 Portable appliance necklace and assembly in use with the neckla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3144A KR20060092399A (en) 2005-02-17 2005-02-17 Portable appliance necklace and assembly in use with the neckla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2399A true KR20060092399A (en) 2006-08-23

Family

ID=375937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13144A KR20060092399A (en) 2005-02-17 2005-02-17 Portable appliance necklace and assembly in use with the neckla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92399A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162464A1 (en) * 2010-06-24 2011-12-29 Lim Khun-Ho Hand strap connector
KR102247546B1 (en) * 2019-11-05 2021-05-04 주식회사 고유 Companion animal realization devic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162464A1 (en) * 2010-06-24 2011-12-29 Lim Khun-Ho Hand strap connector
KR102247546B1 (en) * 2019-11-05 2021-05-04 주식회사 고유 Companion animal realization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53178A (en) Decorative or ornamental appliance for use with articles such as wrist watches
US6721545B2 (en) Mobile electronic communication device and covering for similar devices with ornament attachment mechanism
JP2717780B2 (en) Ring storage accessories
US6026658A (en) Convertible jewelry article
KR101785973B1 (en) Button cover with pendant function
KR20060092399A (en) Portable appliance necklace and assembly in use with the necklace
JP2002282040A (en) False nail
US5974632A (en) Eyeglasses fastening device
KR200383600Y1 (en) portable appliance strap
JP3141848U (en) Decorative cover
KR20180002696U (en) Accessory
WO2007061261A1 (en) Button cover
KR101680244B1 (en) Coupling device for easy fastening Accessories
KR20210038443A (en) Belt for clothes
KR200246452Y1 (en) apparatus for fixing belt
CN209528093U (en) A kind of buckle bracelet with Simple fixture structure
JP2009207842A (en) Decorative cover
US20180140059A1 (en) Interchangeable Jewelry Bail and Clasp System
CN217791760U (en) Jewelry accessory for shielding knot
CN211581805U (en) Ring-shaped wearing ornament
KR200340218Y1 (en) Accessory watch form clip
KR200210251Y1 (en) necklace
KR200327776Y1 (en) string join structure for cellular phone
KR200201897Y1 (en) A necklace key ring
KR200412395Y1 (en) a string set for a portable good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