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91952A - Method and device for driving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 Google Patents

Method and device for driving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91952A
KR20060091952A KR1020050012747A KR20050012747A KR20060091952A KR 20060091952 A KR20060091952 A KR 20060091952A KR 1020050012747 A KR1020050012747 A KR 1020050012747A KR 20050012747 A KR20050012747 A KR 20050012747A KR 20060091952 A KR20060091952 A KR 200600919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ving
pulse
mode
light emitting
organic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1274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632806B1 (en
Inventor
임호남
Original Assignee
네오뷰코오롱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네오뷰코오롱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네오뷰코오롱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127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32806B1/en
Priority to PCT/KR2006/000539 priority patent/WO2006088321A1/en
Publication of KR200600919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9195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328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3280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G09G3/320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 G09G3/3275Details of drivers for data electrod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33Improving the luminance or brightness uniformity across the scree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Control Of El Displays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기 발광다이오드 구동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1수평주기에 내보내는 펄스폭변조(PWM) 방식의 구동펄스를 동시에 출력하지 않고 시간 간격을 두어 출력하도록 하되, 구동펄스의 끝 시점이 1 수평주기의 끝부분과 일치되도록 하여 분산된 구동펄스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a device for driving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wherein output pulses of a pulse width modulation (PWM) method output in one horizontal period are output at intervals without outputting at the same time. This is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distributed driving pulses by matching the end of the cycle.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펄스폭변조방식의 구동펄스를 사용하여 유기 발광소자 또는 기타 표시소자를 구동하는 방법에 있어서, 1 수평주기 내의 구동전류의 출력 기준시간을 열(column)에 따라 다르게 설정하여 구동펄스를 출력하되, 일부 화소들에 대한 구동전류의 출력 기준시간을 1 수평주기의 끝시간에 두어 구동하는 유기 발광다이오드 구동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여, 전류의 집중현상을 해결하고, 휘도차에 의한 디스플레이 성능 저하를 방지하면서 중간 계조의 디스플레이 데이터의 휘도를 향상시킬 수 있게 한다.To this end,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thod of driving an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or other display device using a pulse width modulation pulse driving method, the drive by setting the output reference time of the drive current in one horizontal period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column (colum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riving method and apparatus for outputting a pulse and driving an output reference time of a driving current for some pixels at an end time of one horizontal period, thereby solving a concentration phenomenon of current and providing a luminance difference.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brightness of the display data of half gray scale while preventing display performance deterioration.

유기 발광소자(OELD), 펄스폭 변조(PWM)방식, 구동펄스, 드라이브회로(IC)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ELD), pulse width modulation (PWM) method, driving pulse, drive circuit (IC)

Description

유기발광다이오드 구동방법 및 장치{Method and Device for driving Organic Light Emitting Diode}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riving method and device {Method and Device for driving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도 1은 일반적인 유기 발광표시장치의 개념도1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general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도 2는 종래의 일반적인 유기 발광다이오드 구동방법에서 사용되는 펄스폭변조방식의 구동펄스 파형도2 is a pulse waveform diagram of a pulse width modulation method used in a conventional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riving method.

도 3은 종래의 변형된 유기 발광다이오드 구동방법에서 사용되는 펄스폭변조방식의 구동펄스 파형도3 is a pulse waveform modulation driving pulse waveform diagram used in the conventional modifi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riving method.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유기 발광다이오드 구동방법에서 사용되는 펄스폭 변조방식의 구동펄스 파형도4 is a pulse waveform diagram of a pulse width modulation method used in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riv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유기 발광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 : OLED)의 구동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펄스폭 변조(Pulse Width Modulation)방식으로 구동되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 또는 기타 표시소자의 드라이버 회로에 흘러 들어가는 전류의 집중 현상을 해결하고 중간 계조의 디스플레이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유기 발광다이오드 구동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apparatus for driving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and more particularly, to a driver circuit of an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or other display device driven by a pulse width modulation metho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riving method and apparatus capable of resolving a concentration of current flowing in the and improving a display performance of a half gray scale.

일반적으로 종래의 유기 발광소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극과 음극이 열(column)과 행(row)의 매트릭스 모양으로 배치되어 각 열(column)과 행(row)의 교차점에 유기물질이 증착되고 열에서 행방향으로 전류가 흐르면서 유기물질에서 발광이 일어나는 장치로서, 스스로 발광하여 빛을 발하기 때문에 액정 표시장치와 같은 백라이트장치 등이 필요하지 않으므로 박형화에 최적인 동시에 시야각에도 제한이 없어 차세대의 표시장치로 크게 실용화되고 있다.Generally, in the conventional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as shown in FIG. 1, the anode and the cathode are arranged in a matrix shape of columns and rows, and organic materials are formed at the intersections of each column and row. As a device that emits light from organic materials as it is deposited and flows in a row direction from a column, it emits light by itself and emits light, so a backlight device such as a liquid crystal display is not required. It has been largely used as a display device.

종래의 유기 발광다이오드 구동방법은 펄스폭변조(PWM)방식의 구동펄스를 각 드라이브회로에 공급하는 방식으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행(row)드라이브 회로를 통해 음극에 주사신호를 공급하고 열(column)드라이브 회로를 통해 양극에 계조에 따른 펄스폭을 갖는 펄스폭변조신호를 구동신호로 공급하게 되는데, 이때 열드라이브 회로에 공급되는 구동신호는 도 2의 펄스 파형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든 열(column1 내지 m)에 대한 구동펄스가 1 수평주기(1H)의 시작시점(t1)을 기준으로 하여 출력되는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The conventional method of driving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is a method of supplying a pulse width modulation (PWM) driving pulse to each drive circuit, and supplying a scan signal to a cathode through a row drive circuit as shown in FIG. The column drive circuit supplies a pulse width modulated signal having a pulse width corresponding to the gray level to the anode as a drive signal, wherein the drive signal supplied to the column drive circuit is shown in the pulse waveform diagram of FIG. 2. The driving pulses for all columns (column1 to m) are output based on the start time t1 of one horizontal period (1H).

그러나 이러한 구동방법은 펄스폭변조(PWM)방식 구동펄스가 1 수평주기의 시작순간에 모든 열에 대한 구동전류의 출력이 집중되므로 전류의 집중도를 보면 1 수평주기의 처음부분에 7 만큼의 고 밀도가 형성된 반면 1 수평주기의 끝부분에는 1만큼만 흐르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이와 같이 구동 초기에 해당 주사선(scan line)으로 흘러나가는 전류양이 커지게 되고, 이에 따라 1수평라인의 시작순간에 전압강하가 크게 일어나게 된다. 결국 이러한 전압강하는 드라이브 회로에 사용되는 구동 IC의 동작전압을 떨어뜨리는 원인이 되고, 이로 인해 구동 IC는 정상적인 동작영역이 아닌 전류의 전압의존성이 큰 영역에서 동작하게 되는 원인으로 작용하였다.However, in this driving method, the pulse width modulation (PWM) type driving pulse concentrates the output of driving current for all columns at the start of one horizontal period. Therefore, the density of current shows a high density of 7 at the beginning of one horizontal period. While it is formed, it can be seen that only 1 flows at the end of one horizontal period. As such, the amount of current flowing out to the corresponding scan line increases in the initial stage of driving, and thus, a voltage drop largely occurs at the start of one horizontal line. As a result, such a voltage drop causes a drop in the operating voltage of the driving IC used in the drive circuit, which causes the driving IC to operate in a region having a large voltage dependence of current rather than a normal operating range.

따라서 작은 전압 변동에도 전류의 변동이 심해져 이것이 휘도변화를 유발하게 되며, 이것은 발광소자의 루미넌스 로딩(Luminance loading) 등 디스플레이 특성을 떨어뜨리는 원인이 되고 있었다.Therefore, the current fluctuates even with a small voltage fluctuation, which causes a change in luminance, which causes a decrease in display characteristics such as luminance loading of the light emitting device.

한편, 상기의 전류 집중현상에 의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개발된 종래 기술 중의 하나로는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제2000-221943호(도 3의 펄스 파형도 참조)가 개시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0-221943 (see the pulse waveform diagram of FIG. 3) is disclosed as one of the conventional technologies developed to solve the problem caused by the current concentration phenomenon.

상기 종래 기술에 의하면, 음극에 주사신호를 공급하는 제 1드라이버회로와, 상기 양극에 계조에 따른 펄스폭을 갖는 펄스폭변조신호를 구동신호로 공급하는 제 2드라이버회로를 구비하며, 상기 제 2드라이버 회로가 공급하는 구동신호의 출력 개시 타이밍이 각 열마다에 다르도록 설정되어지는 것으로서, 즉, 1 수평주기를 일정 구간으로 나누고 각 구간의 시작 시점에서 각 열에 대한 구동펄스가 순차적으로 출력되도록 하는 구동방식인 것이다.According to the prior art, a first driver circuit for supplying a scan signal to a cathode and a second driver circuit for supplying a pulse width modulated signal having a pulse width according to a gray level to the anode as a drive signal, wherein the second driver circuit is provided. The start timing of the output of the drive signal supplied by the driver circuit is set to be different for each column, that is, dividing one horizontal period into predetermined sections and outputting driving pulses for each column sequentially at the start of each section. It is a driving method.

이러한 종래의 구동방식에 의하면, 구동시작 시점이 1수평라인의 시작시점이 아닌 경우에 1수평주기의 끝지점에 이르기까지 구동펄스가 채 끝나지 않을 경우가 발생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도 3의 펄스 파형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1수평주기의 제 4열(column 4) 및 제 6열(column 6)에 대한 구동펄스는 1수평주기의 끝지점에 이르기까지 구동펄스의 공급이 채 끝나지 않을 경우가 있을 수 있게 되므로, 이 경우는 1수평라인의 시작부분부터 나머지의 전류가 출력될 수 있도록 구동펄스 가 분산펄스로 구성되어야 한다.According to the conventional driving method, when the driving start time point is not the start time point of one horizontal line, a case where the driving pulse does not end until the end point of one horizontal period may occur. For example, as shown in the pulse waveform diagram of FIG. 3, the driving pulses for the fourth column (column 4) and the sixth column (column 6) of one horizontal period are driven until the end point of the one horizontal period. In this case, the driving pulse should be composed of distributed pulses so that the remaining current can be output from the beginning of one horizontal line.

그러나, 이러한 종래 기술의 경우 구동회로의 구성이 복잡하게 될 뿐만 아니라 분산 펄스 구동시와 연속 펄스 구동시의 휘도 차이가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즉 같은 계조를 표현하기 위해 같은 시간동안 전류를 출력한다고 하여도 도 3의 제 3열(column 3)에 대한 구동펄스(연속적인 펄스)와 제 4열(column 4)에 대한 구동펄스(분산된 펄스)일 때 그 휘도는 같지 않게 될 확률이 크다.However, such a prior art has a problem in that the configuration of the driving circuit is not only complicated, but also a difference in luminance occurs during distributed pulse driving and continuous pulse driving. That is, even if the current is output for the same time to express the same gray level, the driving pulses (constant pulses) for the third column (column 3) and the driving pulses (column 4) for the fourth column (column 4) of FIG. Pulse), the luminance is unlikely to be the same.

또한 구동 펄스의 시작 시점의 차이에 의한 휘도 차이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즉, 같은 계조를 표현하기 위해 같은 시간동안 전류를 출력(도 3의 제 1,2열 구동펄스)한다고 하여도 제 1구간(t1 시점)에서 출력 개시되는 펄스(도 3의 제 1열)와 제 2구간(t2 시점)에서 출력 개시되는 펄스(도 3의 제 2열)와 같이 구동펄스의 시작 시점이 다를 경우 그 휘도는 같게 되지 않을 가능성이 크다.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luminance difference due to the difference in the start time of the driving pulse occurs. That is, even if the current is output for the same time (the first and second column driving pulses of FIG. 3) to express the same gray level, the pulse (first column of FIG. 3) that starts outputting at the first section (time point t1) and If the start point of the driving pulse is different, such as the pulse (second column of FIG. 3) which starts output in the second section (time point t2), the luminance is not likely to be the same.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의 종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1 수평주기에 내보내는 펄스폭변조(PWM) 방식의 구동펄스를 동시에 출력하지 않고 시간 간격을 두어 출력하도록 함으로써 전류의 집중현상을 해결하고, 일부의 화소들에 대해서는 구동펄스의 시간적 기준을 1 수평주기의 끝시점에 두어 해당 계조를 표현하기 위한 시간이 확보되는 시점에서 구동펄스를 출력하여 구동펄스의 끝 시점이 1 수평주기의 끝부분과 일치되도록 하고 구동모드를 교대로 사용하도록 함으로써, 연속적인 구동펄스가 아닌 분산된 구동펄스 또는 구동펄스의 출력 개시 시점이 다른 이유로 발생할 수 있었던 휘도차에 의한 디스플레이 성능 저하를 방지하면서 중간 계조의 디스플레이 데이터의 휘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유기 발광다이오드 구동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conventional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is to concentrate the current by outputting at a time interval without output pulse pulse modulation (PWM) drive pulses sent out in one horizontal period at the same time Then, for some pixels, the temporal reference of the driving pulse is set at the end of one horizontal period, and the driving pulse is output when the time for expressing the corresponding gray scale is secured so that the end point of the driving pulse is one horizontal period. By coinciding with the end of and using the drive mode alternately,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degradation of display performance due to the luminance difference that may occur due to other reasons such as distributed drive pulse or drive pulse output start time instead of continuous drive puls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riving room for improving the brightness of grayscale display data Its purpose is to provide a law and a device.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펄스폭변조방식의 구동펄스를 사용하여 유기 발광소자 또는 기타 표시소자를 구동하는 방법에 있어서, 1 수평주기 내의 구동전류의 출력 기준시간을 열(column)에 따라 다르게 설정하여 구동펄스를 출력하되, 일부 화소들에 대한 구동전류의 출력 기준시간을 1 수평주기의 끝시간에 두어 구동하는 유기 발광다이오드 구동방법을 제공한다.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method for driving an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or other display device using a pulse width modulation type driving pulse, the output reference time of the drive current in one horizontal period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of driving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in which a driving pulse is output by setting differently according to a column and driving the output reference time of the driving current for some pixels at the end time of one horizontal period.

특히 상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구동방법은 구동전류의 출력 기준시간이 1 수평주기의 시작시간으로 설정되는 스타트모드와 1 수평주기의 끝시간으로 설정되는 엔드모드로 각각 분할 구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particular, the driv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eferably divides the driving current into a start mode in which the output reference time of the drive current is set to the start time of one horizontal cycle and end mode set to the end time of one horizontal cycle. Do.

또한 상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구동방법은 1 수평주기 내의 절반에 해당하는 수 만큼의 화소에 스타트모드의 구동펄스를 출력하고, 나머지 절반의 화소에 엔드모드의 구동펄스를 출력하는 구동방법으로 다른 실시예를 구성할 수 있을 것이다.In addition, the driving metho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utputs driving pulses in the start mode to as many pixels as half of one horizontal period, and outputs driving pulses of the end mode to the other half of the pixels. Other embodiments may be configured.

상기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의한 구동방법에서, 상기 엔드모드의 구동펄스는 해당 계조를 표현하기 위한 시간이 확보되는 시점에서 출력하여 그 구동펄스의 끝 지점이 항상 1수평주기의 끝지점과 일치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In the driving method according to eac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riving pulse of the end mode is output when the time for representing the gray scale is secured so that the end point of the driving pulse always coincides with the end point of one horizontal period. It would be desirable to do so.

또한 상기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의한 구동방법은 인접한 화소 또는 인접한 단위화소 별로 상기 구동펄스의 동작모드를 바꾸어 구동하거나, 인접한 화소 또는 인접한 단위화소 별로 상기 구동펄스의 동작모드를 바꾸어 주면서 인접한 행(row) 별로 상기 구동펄스의 동작모드를 바꾸어 구동하는 방법으로 또 다른 실시예를 구성할 수 있을 것이다. In addition, the driving method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operate by changing the operation mode of the driving pulse for each adjacent pixel or adjacent unit pixel, or by changing the operation mode of the driving pulse for each adjacent pixel or adjacent unit pixel. Another embodiment may be configured by changing the operation mode of the driving pulse for each row).

또한 상기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의한 구동방법은 단일 화소를 구동함에 있어서 한 프레임에 있어서는 스타트모드의 구동펄스를 출력하고 다음 프레임에 있어서는 엔드모드의 구동펄스를 출력하는 방식으로 인접 프레임에 대해 교대로 상기 구동펄스의 동작모드를 바꾸어 구동하거나, 적(R)/녹(G)/청(B) 개개의 각 단위 화소 별로 상기 구동펄스의 동작모드를 바꾸어 구동하거나, 적(R)/녹(G)/청(B) 3개의 단위화소가 합하여 하나의 표시단위를 이루는 화소 별로 상기 구동펄스의 동작모드를 바꾸어 구동하는 방법으로 각각 또 다른 실시예를 구성할 수 있을 것이다.In addition, the driving method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lternates with respect to adjacent frames in such a manner that, in driving a single pixel, a driving pulse in the start mode is output in one frame and an end mode driving pulse is output in the next frame. Change the operation mode of the driving pulse, change the operation mode of the driving pulse for each unit pixel of each of the red (R) / green (G) / blue (B), or drive the red (R) / green ( Another embodiment may be configured by a method in which an operation mode of the driving pulse is changed for each pixel of which three unit pixels of G) / blue (B) are combined to form one display unit.

또한 상기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의한 구동방법으로 유기 발광소자 또는 기타 표시소자의 양극에 펄스폭 변조방식의 구동신호를 출력하는 제 2드라이브회로를 구비하는 유기 발광다이오드 구동장치를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In addition,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riving apparatus including a second drive circuit for outputting a pulse width modulation driving signal to an anode of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r other display device may be implemented by the driving method according to eac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상기 본 발명의 이들 목적과 특징 및 장점은 첨부도면 및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함으로서 더욱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se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more readily understood by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이하의 본 명세서에서는 유기 발광다이오드를 구동하는 방법을 예로 들어 설명하겠으나, 이러한 본 발명의 주된 개념은 펄스폭변조(PWM)방식의 구동펄스를 사용하는 기타 디스플레이소자 등에 대해서도 적용 가능함은 물론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을 것이다.In the following specification, a method of driving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However, the main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cable to other display devices using a pulse width modulation (PWM) type driving pulse.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but may be variously modified and modifi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구성 및 작용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detail as follows.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유기 발광다이오드 구동방법에서 사용되는 펄스폭 변조방식의 구동펄스 파형도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유기 발광다이오드 구동방법인, 1 수평주기 내의 구동전류의 출력 기준시간을 열(column 1~7)에 따라 다르게 설정하여 구동펄스를 출력하는 상태와, 1수평주기 내에서 고르게 분포된 전류의 집중도를 예시하고 있다. 이 경우 전류의 집중도를 보면 1 수평주기 전체에 걸쳐 비교적 균일하게 전류가 흐르고 있음을 볼 수 있다. 본 예시에서는 1수평주기(1H)동안의 제 1,2열의 구동전류는 각각 3계조(L3), 제 3,4,6열의 구동전류는 각각 5계조(L5), 제 5열의 구동전류는 2계조(L2), 제 7열의 구동전류는 7계조(L7)인 경우를 예시하며, 특히 화살표는 계조 계산의 기준 시점과 방향을 표시한다.4 is a pulse diagram showing a pulse width modulation driving pulse waveform used in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riving method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riving method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utput reference time of the current is set differently according to columns 1 to 7 to illustrate the state of outputting a driving pulse and the concentration of current evenly distributed in one horizontal period. In this case, looking at the concentration of the current, it can be seen that the current flows relatively uniformly over one horizontal period. In this example, the driving currents of the first and second columns during one horizontal period (1H) are three gradations (L3), respectively, and the driving currents of the third, fourth, and sixth columns are five gradations (L5), respectively, and the driving currents of the fifth column are two. The gradation L2 and the driving current in the seventh column exemplify the case of the seventh gradation L7. In particular, an arrow indicates a reference time point and direction of the gradation calculation.

상기 도 4에 예시된 본 발명에 의한 구동방법은, 일부 화소들, 즉 제 1열(column 1), 제 3열(column 3), 제 5열(column 5), 제 7열(column 7)에 대한 구동전류의 출력 기준시간은 1 수평주기의 시작시간에 두고, 다른 일부의 화소들, 즉 제 2열(column 2), 제 4열(column 4), 제 6열(column 6)에 대한 구동전류의 출력 기준시간은 1 수평주기의 끝시간에 두어 구동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구동전류의 출력 기준시간이 1 수평주기의 시작시간으로 설정되어 있는 펄스는 스타트모드(S mode)의 펄스라 칭하고, 구동전류의 출력 기준시간이 1 수평주기의 끝시간으로 설정되어 있는 펄스는 엔드모드(E mode)의 펄스라 칭한다.In the driv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llustrated in FIG. 4, some pixels, that is, a first column (column 1), a third column (column 3), a fifth column (column 5), and a seventh column (column 7) The output reference time of the drive current with respect to the start time of one horizontal period is set for the other pixels, that is, the second column (column 2), the fourth column (column 4), and the sixth column (column 6). The output reference time of the drive current is driven at the end of one horizontal period. Here, the pulse in which the output reference time of the drive current is set to the start time of one horizontal period is called a pulse in the start mode (S mode), and the pulse in which the output reference time of the drive current is set to the end time of one horizontal period. Is referred to as an end mode pulse.

상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구동방법은 1 수평주기 내의 절반에 해당하는 수 만큼의 화소에 스타트모드의 구동펄스를 출력하고 나머지 절반의 화소에 엔드모드의 구동펄스를 출력하는 방법, 특히 스타트모드와 엔드모드로 각각 분할 구동, 또는 구동 모드를 교대로 바꾸어 구동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에도 상기 엔드모드의 구동펄스는 해당 계조를 표현하기 위한 시간이 확보되는 시점에서 출력하여 그 구동펄스의 끝 지점이 항상 1수평주기의 끝지점과 일치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The driv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thod of outputting driving pulses of the start mode to as many pixels as half of one horizontal period and outputting driving pulses of the end mode to the other half of the pixels, in particular, the start. In the mode and the end mode, it is possible to drive the divided drive or the drive mode alternately. 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hat the driving pulse of the end mode is output at a time point when the time for representing the gray scale is secured so that the end point of the driving pulse always coincides with the end point of one horizontal period.

또한 상기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의한 구동방법은 인접한 화소 또는 인접한 단위화소 별로 상기 구동펄스의 동작모드를 바꾸어 구동하는 방법으로도 다른 실시예의 구성이 가능하다.In addition, the driving method according to eac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by changing the operation mode of the driving pulse for each adjacent pixel or adjacent unit pixel.

또한 상기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의한 구동방법은 인접한 화소 또는 인접한 단위화소 별로 상기 구동펄스의 동작모드를 바꾸어 주면서 인접한 행(row) 별로 상기 구동펄스의 동작모드를 바꾸어 구동하는 방법으로 또 다른 실시예의 구성이 가능하다. In addition, the driving metho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other method of changing the operation mode of the driving pulse for each adjacent row (row) by changing the operation mode of the driving pulse for each adjacent pixel or adjacent unit pixel. An example configuration is possible.

또한 상기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의한 구동방법은 단일 화소를 구동함에 있어서 한 프레임에 있어서는 스타트모드의 구동펄스를 출력하고 다음 프레임에 있어서는 엔드모드의 구동펄스를 출력하는 방식으로 인접 프레임에 대해 교대로 상기 구동펄스의 동작모드를 바꾸어 구동하거나, 적(R)/녹(G)/청(B) 개개의 각 단위 화소 별로 상기 구동펄스의 동작모드를 바꾸어 구동하거나, 적(R)/녹(G)/청(B) 3개의 단위화소가 합하여 하나의 표시단위를 이루는 화소 별로 상기 구동펄스의 동작모드 를 바꾸어 구동하는 방법으로 각각 또 다른 실시예의 구성이 가능하다.In addition, the driving method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lternates with respect to adjacent frames in such a manner that, in driving a single pixel, a driving pulse in the start mode is output in one frame and an end mode driving pulse is output in the next frame. Change the operation mode of the driving pulse, change the operation mode of the driving pulse for each unit pixel of each of the red (R) / green (G) / blue (B), or drive the red (R) / green ( Another embodiment can be configured by a method in which the operation mode of the driving pulse is changed for each pixel forming a display unit in which three unit pixels (G) / blue (B) are added together.

상기 예시된 구동방법은 1 수평주기 내의 절반에 해당하는 수 만큼의 화소에 스타트모드(S mode)의 구동펄스를 출력하고 나머지 절반의 화소에 엔드모드(E mode)의 구동펄스를 출력하는 여러 방법들 중의 어느 하나, 즉 표 1 내지 표 4에 예시되는 구동방법으로 실시 가능하다.The above-described driving method outputs start mode (S mode) drive pulses to as many pixels as half of one horizontal period, and output modes of end mode (E mode) drive pulses to the other half pixels. It can be implemented by any one of these, namely, the driving method illustrated in Tables 1-4.

다음의 표 1은 S mode로 부터 시작하여 인접 단위화소가 E→S→E mode 로 변화하는, 즉, 행(row)에 관계없이 홀수열(1,3,..., m-1)에 스타트모드(S mode)의 구동펄스를 출력하고 그 다음 짝수열(2,4,..., m)에 엔드모드(E mode)의 구동펄스를 출력하는 방법이다. Table 1 below shows that the adjacent unit pixels change from E to S to E mode starting from S mode, i.e., in odd columns (1, 3, ..., m-1) regardless of rows. The driving pulse of the start mode (S mode) is output and the driving pulse of the end mode (E mode) is output to the next even columns (2, 4, ..., m).

열(column)       Column 행(row)Row 1One 22 33 44 ...... m-1m-1 mm 1One SS EE SS EE ...... SS EE 22 SS EE SS EE ...... SS EE 33 SS EE SS EE ...... SS EE 44 SS EE SS EE ...... SS EE ...... ...... ...... ...... ...... ...... ...... ...... n-1n-1 SS EE SS EE ...... SS EE nn SS EE SS EE ...... SS EE

다음의 표 2는 E mode 로 부터 시작하여 인접 단위화소가 S→E→S mode 로 변화하는, 즉 행(row)에 관계없이 홀수열(1,3,..., m-1)에 엔드모드(E mode)의 구동펄스를 출력하고 그 다음 짝수열(2,4,..., m)에 스타트모드(S mode)의 구동펄스를 출력하는 방법이다. Table 2 below shows that starting from E mode, adjacent unit pixels change from S → E → S mode, i.e., end to odd columns (1,3, ..., m-1) regardless of rows. The driving pulse of the mode (E mode) is output and the driving pulse of the start mode (S mode) is output to the next even columns (2, 4, ..., m).

열(column)       Column 행(row)Row 1One 22 33 44 ...... m-1m-1 mm 1One EE SS EE SS ...... EE SS 22 EE SS EE SS ...... EE SS 33 EE SS EE SS ...... EE SS 44 EE SS EE SS ...... EE SS ...... ...... ...... ...... ...... ...... ...... ...... n-1n-1 EE SS EE SS ...... EE SS nn EE SS EE SS ...... EE SS

다음의 표 3은 제 1행(row 1)에서는 홀수열(1,3,..., m-1)에 스타트모드(S mode)의 구동펄스를 출력하고 그 다음 짝수열(2,4,..., m)에 엔드모드(E mode)의 구동펄스를 출력하고, 제 2행(row 2)에서는 홀수열(1,3,..., m-1)에 엔드모드(E mode)의 구동펄스를 출력하고 그 다음 짝수열(2,4,..., m)에 스타트모드(S mode)의 구동펄스를 출력하는 방법을 번갈아 실시하는 방법이다. Table 3 below shows the driving pulse of the start mode (S mode) in the odd columns (1, 3, ..., m-1) in the first row (row 1), and then the even columns (2, 4, ..., m) outputs the driving pulse of the end mode (E mode), and in the second row (row 2), the end mode (E mode) to the odd columns (1, 3, ..., m-1) This method alternates the method of outputting the driving pulse of and outputting the driving pulse of the start mode (S mode) to the next even columns (2, 4, ..., m).

열(column)       Column 행(row)Row 1One 22 33 44 ...... m-1m-1 mm 1One SS EE SS EE ...... SS EE 22 EE SS EE SS ...... EE SS 33 SS EE SS EE ...... SS EE 44 EE SS EE SS ...... EE SS ...... ...... ...... ...... ...... ...... ...... ...... n-1n-1 SS EE SS EE ...... SS EE nn EE SS EE SS ...... EE SS

다음의 표 4는 제 1행(row 1)에서는 홀수열(1,3,..., m-1)에 엔드모드(E mode)의 구동펄스를 출력하고 그 다음 짝수열(2,4,..., m)에 스타트모드(S mode)의 구동펄스를 출력하고, 제 2행(row 2)에서는 홀수열(1,3,..., m-1)에 스타트모드(S mode)의 구동펄스를 출력하고 그 다음 짝수열(2,4,..., m)에 엔드모드(E mode)의 구동펄스를 출력하는 방법이다.Table 4 shows output pulses of the end mode (E mode) in odd columns (1, 3, ..., m-1) in the first row (row 1), and then the even columns (2, 4, ..., m) outputs driving pulses in the start mode (S mode), and in the second row (row 2), the odd mode columns (1, 3, ..., m-1) are used in the start mode (S mode). It outputs the driving pulse of and outputs the driving pulse of the end mode (E mode) to the next even columns (2, 4, ..., m).

열(column)       Column 행(row)Row 1One 22 33 44 ...... m-1m-1 mm 1One EE SS EE SS ...... EE SS 22 SS EE SS EE ...... SS EE 33 EE SS EE SS ...... EE SS 44 SS EE SS EE ...... SS EE ...... ...... ...... ...... ...... ...... ...... ...... n-1n-1 EE SS EE SS ...... EE SS nn SS EE SS EE ...... SS EE

특히 상기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의한 구동방법은 인접한 화소 또는 인접한 단위화소 별로 상기 구동펄스의 동작모드를 바꾸어 구동하거나, 인접한 화소 또는 인접한 단위화소 별로 상기 구동펄스의 동작모드를 바꾸어 주면서 인접한 행(row) 별로 상기 구동펄스의 동작모드를 바꾸어 구동하는 방법, 또는 단일 화소를 구동함에 있어서 한 프레임에 있어서는 스타트모드의 구동펄스를 출력하고 다음 프레임에 있어서는 엔드모드의 구동펄스를 출력하는 방식으로 인접 프레임에 대해 교대로 상기 구동펄스의 동작모드를 바꾸어 구동하거나, 적(R)/녹(G)/청(B) 개개의 각 단위 화소 별로 상기 구동펄스의 동작모드를 바꾸어 구동하거나, 적(R)/녹(G)/청(B) 3개의 단위화소가 합하여 하나의 표시단위를 이루는 화소 별로 상기 구동펄스의 동작모드를 바꾸어 구동하는 방법으로 각각 실시 가능함은 물론이다. 즉 본 발명은 단위 화소 또는 화소를 그 구동단위로 하여 한 프레임에 있어서는 표 1의 구동방법을 사용하고 다른 프레임에 있어서는 표 2의 구동방법을 사용하는 방법, 또는 한 프레임에 있어서는 표 3의 구동방법을 사용하고 다른 프레임에 있어서는 표 4의 구동방법을 사용하는 방법 등으로 실시하는 것도 가능하다.In particular, the driving metho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erformed by changing the operation mode of the driving pulse for each adjacent pixel or adjacent unit pixel, or by changing the operation mode of the driving pulse for each adjacent pixel or adjacent unit pixel, row) a method in which the operation mode of the driving pulse is changed for each driving method, or in the case of driving a single pixel, an adjacent frame by outputting a driving pulse in the start mode in one frame and an driving pulse in the end mode in the next frame. Alternately, the operation mode of the driving pulse is alternately driven, or the operation mode of the driving pulse is changed for each unit pixel of each of red (R), green (G), and blue (B), or red (R). The driving mode is changed by changing the operation mode of the driving pulse for each pixel of which three unit pixels of green, green, and blue are combined to form one display unit. Are each embodiment is possible as well in a way. 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uses the driving method of Table 1 in one frame and the driving method of Table 2 in another frame, or the driving method of Table 3 in one frame. It is also possible to use a method using the driving method shown in Table 4 in the other frame.

상기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의한 구동방법에서, 상기 엔드모드(E mode)의 구동펄스는 해당 계조를 표현하기 위한 시간이 확보되는 시점에서 출력하여 그 구동펄스의 끝 지점이 항상 1수평주기의 끝지점과 일치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In the driving method according to eac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riving pulse of the end mode (E mode) is output at a time point when the time for expressing the corresponding gray scale is secured so that the end point of the driving pulse is always one horizontal period. It would be desirable to match the end point.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구동방법에 의하면, 전류의 집중현상을 해결하기 위하여 1 수평주기의 시작시간에 모든화소에 대해 구동펄스를 일시에 보내지 않고, 화소의 일부분에 해당하는 구동펄스를 시간간격을 두고 보내는데 있어서, 1 수평주기의 시작순간에 화소들의 절반에 해당하는 수 만큼의 화소에 전류를 내 보내고, 나머지 절반의 화소에는 1 수평주기 시간의 끝 부분을 기준으로 하여 전류를 내 보내도록 함으로써, 그 시간적 기준을 1 수평주기의 마지막에 두어 엔드 모드로 구동되는 일부의 화소들은 그 구동펄스의 끝 시점이 항상 1 수평주기의 끝부분과 일치하게 되어 1 수평주기동안의 전류의 집중도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존의 구동방법(도 2의 펄스파형도 참조)에 비해 절반 이하로 떨어지게 되고, 따라서 최대 계조의 디스플레이 데이터에 대해서는 기대되는 효과가 미미하겠지만 그 이하의 계조의 디스플레이 데이터에 대해서는 상당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driv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n order to solve the concentration phenomenon of the current, the driving pulse corresponding to a part of the pixel is not timed at all at the start time of one horizontal period. In this case, the current is sent to as many pixels as half of the pixels at the beginning of one horizontal cycle, and the current is sent to the other half of the pixels based on the end of one horizontal cycle time. With the temporal reference at the end of one horizontal period, some pixels driven in the end mode have the end point of the driving pulse always coincident with the end of one horizontal period, so that the concentration of current during one horizontal period is shown in FIG. As shown in the drawing, the distance is less than half of that of the conventional driving method (see also the pulse waveform of FIG. 2). The effect is expected for minor but it is possible to expect a significant effect on the display data of the gray level of less.

각 구동 펄스의 시작시점만을 결정해 주면 되므로 회로구성이 단순해지게 되며, 분산된 펄스의 발생이 없으므로 이로 인한 휘도 차이가 발생되지 않게 되며, 또한 펄스 시작 시점의 차이로 인한 휘도차이의 보상을 얻을 수 있게 된다.The circuit configuration is simplified because only the starting point of each driving pulse is determined, and there is no scattered pulse. Therefore, the luminance difference is not generated due to the occurrence of distributed pulses. It becomes possible.

즉, 스타트모드(S mode)는 기존의 PWM 구동방법과 동일하며, 엔드모드(E mode)는 구동 펄스의 시작시점을 '전체 계조수-표시하고자 하는 계조수'로 설정하면 구동이 가능해진다.That is, the start mode (S mode) is the same as the conventional PWM driving method, and the end mode (E mode) can be driven by setting the start point of the driving pulse to 'total number of gray scales to be displayed'.

예를 들어, 전체 계조구분이 8단계로 되어있는 경우 도 4의 제 4열(column 4) 및 제 6열(column 6)의 계조 5를 표현코자 할 경우에는 8 - 5 = 3, 즉 3번째 시간단위(t3) 로부터 구동을 시작하면 된다.For example, in the case where the entire gradation classification is performed in eight steps, to express gradation 5 of the fourth column (column 4) and the sixth column (column 6) of FIG. 4, 8-5 = 3, that is, the third The drive can be started from the time unit t3.

이러한 방법으로 상기의 구동방법에 의하면, 연속적인 펄스만 발생하므로 상기 일본 공개특허 제2000-221943호와 같은 휘도차에 의한 디스플레이 성능 저하문제 등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In this way, according to the above driving method, since only continuous pulses are generated, the problem of display performance deterioration due to the luminance difference as described in Japanese Patent Laid-Open No. 2000-221943 does not occur.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구동펄스 시작시점이 상이하게 되므로 상기 일본 공개특허와 같은 휘도차이, 즉 도 4의 제 1열(column 1)은 스타트모드(S mode)이고 제 2열(column 2)은 엔드모드(E mode)이며, 제 3열(column 3)은 다시 스타트모드(S mode), 제 4열(column 4)은 엔드모드(E mode)이므로 같은 계조(같은 펄스 폭)라도 휘도차이가 나타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이와 같은 스타트 모드(S mode)와 엔드모드(E mode)를 동일단위화소 또는 동일화소에 대해 번갈아 가며 사용하게 되므로 결국 이와같은 휘도 차이는 서로 상쇄되게 된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start point of the driving pulse is different, the luminance difference as in the Japanese Patent Laid-Open Patent, that is, the first column (column 1) of FIG. 4 is the start mode (S mode) and the second column (column 2) is the end. Mode (E mode), the third column (column 3) is again the start mode (S mode), the fourth column (column 4) is the end mode (E mode), so even if the same gradation (same pulse width), the luminance difference appears. However,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start mode (S mode) and the end mode (E mode) are alternately used for the same unit pixel or the same pixel, such luminance differences are eventually canceled.

이상의 본 발명에 의하면, 1 수평주기에 내보내는 펄스폭변조(PWM) 방식의 구동펄스를 일정 시점에 동시에 출력하지 않고 시간 간격을 두어 출력하도록 함으로써 일정 시점에 전류가 집중되는 현상을 해결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solve the phenomenon that the current is concentrated at a certain time point by outputting the pulse width modulation (PWM) type driving pulses output in one horizontal period at a time point instead of simultaneously outputting them.

또한 이상의 본 발명은 일부의 화소들에 대해서는 구동펄스의 시간적 기준을 1 수평주기의 끝시점에 두어 해당 계조를 표현하기 위한 시간이 확보되는 시점에서 구동펄스를 출력하여 구동펄스의 끝 시점이 1수평주기의 끝부분과 일치되도록 하고 구동 모드를 동일단위화소 또는 동일화소에 대해 번갈아 가며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연속적인 구동펄스가 아닌 분산된 구동펄스 또는 구동펄스의 출력 개시 시점이 다른 이유로 발생할 수 있었던 휘도차에 의한 디스플레이 성능 저하를 방지하면서 디스플레이의 휘도를 향상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some pixels, the time reference of the driving pulse is set at the end of one horizontal period, and the driving pulse is output when the time for expressing the gray scale is secured so that the end point of the driving pulse is one horizontal. By matching the end of the period and enabling the driving mode to be used alternately for the same unit pixel or for the same pixel, the luminance at which the output start time of the distributed driving pulse or the driving pulse, rather than the continuous driving pulse, may occur for other reasons. It is possible to obtain an effect of improving the brightness of the display while preventing display performance degradation due to the difference.

Claims (10)

펄스폭변조(Pulse Width Modulation)방식의 구동펄스를 사용하여 유기 발광소자 또는 기타 표시소자를 구동하는 방법에 있어서,In the method for driving th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or other display device using a pulse width modulation pulse driving method, 1 수평주기 내의 구동전류의 출력 기준시간을 열(column)에 따라 다르게 설정하여 구동펄스를 출력하되, 일부 화소들에 대한 구동전류의 출력 기준시간을 1 수평주기의 끝시간에 두어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발광다이오드 구동방법.The driving pulse is output by setting the output reference time of the driving current in one horizontal period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column, but driving the output reference time of the driving current for some pixels at the end time of one horizontal period.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riving method.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펄스폭변조방식 구동펄스는,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ulse width modulation system driving pulse, 구동전류의 출력 기준시간이 1 수평주기의 시작시간으로 설정되는 스타트모드와 1 수평주기의 끝시간으로 설정되는 엔드모드로 각각 분할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발광다이오드 구동방법.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riving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he driving current is divided into a start mode in which the output reference time is set as the start time of one horizontal period and an end mode in which the end time of one horizontal period is set. 제 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1 수평주기 내의 절반에 해당하는 수 만큼의 화소에는 스타트모드의 구동펄스를 출력하고, 나머지 절반의 화소에는 엔드모드의 구동펄스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발광다이오드 구동방법.A method of driving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comprising: driving pulses in a start mode are output to as many pixels as half of one horizontal period, and driving pulses of an end mode are output to the other half pixels. 제 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상기 엔드모드의 구동펄스는 해당 계조를 표현하기 위한 시간이 확보되는 시점에서 출력하여 그 구동펄스의 끝 지점이 항상 1 수평주기의 끝지점과 일치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발광다이오드 구동방법.The driving pulse of the end mode is output when the time for expressing the gray level is secured so that the end point of the driving pulse is always coincident with the end point of one horizontal period. 제 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인접한 화소 또는 인접한 단위화소 별로 상기 구동펄스의 동작모드를 바꾸어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발광다이오드 구동방법.And driving the operation mode of the driving pulse for each adjacent pixel or adjacent unit pixel. 제 3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인접한 화소 또는 인접한 단위화소 별로 상기 구동펄스의 동작모드를 바꾸어 주면서 인접한 행(row) 별로 상기 구동펄스의 동작모드를 바꾸어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발광다이오드 구동방법.And changing the operation mode of the driving pulse for each adjacent row while changing the operation mode of the driving pulse for each adjacent pixel or adjacent unit pixel. 제 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동일단위화소 또는 동일화소를 구동함에 있어서 한 프레임에 있어서는 스타트모드의 구동펄스를 출력하고 다음 프레임에 있어서는 엔드모드의 구동펄스를 출력하는 방식으로 인접 프레임에 대해 교대로 상기 구동펄스의 동작모드를 바꾸어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발광다이오드 구동방법.In driving the same unit pixel or the same pixel, the operation mode of the driving pulse is alternately changed for adjacent frames by outputting the driving pulse of the start mode in one frame and the driving pulse of the end mode in the next frame. Driving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characterized in that for driving. 제 7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적(R), 녹(G), 청(B) 개개의 각 단위 화소 별로 상기 구동펄스의 동작모드를 바꾸어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발광다이오드 구동방법.The red (R), green (G), blue (B)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riving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for driving the driving mode of the drive pulse for each unit pixel. 제 7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적(R), 녹(G), 청(B) 3개의 단위화소가 합하여 하나의 표시단위를 이루는 화소 별로 상기 구동펄스의 동작모드를 바꾸어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발광다이오드 구동방법.A method of driving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characterized in that the operation mode of the driving pulse is changed for each pixel of which three unit pixels of red (R), green (G), and blue (B) form one display unit. 제 1항부터 제 9항까지 중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으로 유기 발광소자 또는 기타 표시소자의 양극에 펄스폭 변조방식의 구동신호를 출력하는 제 2드라이브회로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발광다이오드 구동장치.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comprising a second drive circuit for outputting a pulse width modulation driving signal to an anode of an organic light emitting element or other display element by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9. Drive system.
KR1020050012747A 2005-02-16 2005-02-16 Method and Device for driving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KR100632806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2747A KR100632806B1 (en) 2005-02-16 2005-02-16 Method and Device for driving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PCT/KR2006/000539 WO2006088321A1 (en) 2005-02-16 2006-02-16 Method and device for driving organic el displa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2747A KR100632806B1 (en) 2005-02-16 2005-02-16 Method and Device for driving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1952A true KR20060091952A (en) 2006-08-22
KR100632806B1 KR100632806B1 (en) 2006-10-12

Family

ID=375936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12747A KR100632806B1 (en) 2005-02-16 2005-02-16 Method and Device for driving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32806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0056B1 (en) * 2006-02-15 2008-04-10 네오뷰코오롱 주식회사 Distributed Pulse Amplitude Modulation Driving Method of OLED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0056B1 (en) * 2006-02-15 2008-04-10 네오뷰코오롱 주식회사 Distributed Pulse Amplitude Modulation Driving Method of OLE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32806B1 (en) 2006-10-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10570B2 (en)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improving image quality using scheme of dividing frames into subframes
US9601049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for generating a porch data during a porch period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KR101910114B1 (en) Display device and arranging method for image data thereof
US8514209B2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US11869413B2 (en) Pixel circuit, array substrate comprising the same and display panel
US8624804B2 (en) Method of driving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in an interlaced scanning mode in which a single frame is divided
KR20170028623A (e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Driving Method Thereof
US7864139B2 (en) Organic EL device, driving method thereof, and electronic apparatus
US20180190188A1 (en) System of compressed frame scanning for a display and a method thereof
US20110279422A1 (en) Organic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KR20140064158A (en) Organic light-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of the same
US11636802B2 (en) LED display driving device and LED display device
CN113692612A (en) Display device, method of driving display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TW201714158A (en) Display driving device, display apparatus and display driving method
JP5793923B2 (en) LIGHT EMITTING DEVICE, LIGHT EMITTING DEVICE DRIVE CIRCUIT, AND LIGHT EMITTING DEVICE DRIVE METHOD
US20100110065A1 (en) Driving circuit and driving method for organic el panel
US10152909B2 (en) Display apparatus
KR100632806B1 (en) Method and Device for driving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JP2007316596A (en) Charge pump type display drive device
KR100632810B1 (en) Time division driving method and device of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f pwm driving type
CN108257556B (en)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KR20120061542A (en) Light emitting diode backlight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KR100761780B1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riving method and device using peak current
KR100820056B1 (en) Distributed Pulse Amplitude Modulation Driving Method of OLED
CN112086060A (en) Light emitt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9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4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