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90539A - 대학도서관의 통합지식 구축 시스템 - Google Patents

대학도서관의 통합지식 구축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90539A
KR20060090539A KR1020050011816A KR20050011816A KR20060090539A KR 20060090539 A KR20060090539 A KR 20060090539A KR 1020050011816 A KR1020050011816 A KR 1020050011816A KR 20050011816 A KR20050011816 A KR 20050011816A KR 20060090539 A KR20060090539 A KR 200600905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nowledge
data
professor
relationship
knowledge m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118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성환
Original Assignee
오성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성환 filed Critical 오성환
Priority to KR10200500118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90539A/ko
Publication of KR200600905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9053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9/00Glov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9/00Gloves
    • A41D19/01Gloves with undivided covering for all four fingers, i.e. mitte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7/00Apparatus or implements used in manual washing or cleaning of crockery, table-ware, cooking-ware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대학도서관 및 연구소등 여러 학문분야의 전문지식과 기술을 다루는 기관에 대해 기관이 보유하고 있는 도서, 논문, 연속간행물, 특허정보, 전자자료등 모든 자료에 대해 연관관계와 구조의 설정을 통해 해당기관의 지식체계구축을 구현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 대학도서관의 통합지식 구축 시스템은 대학도서관이나 자료실에 구축 되어 있는 자료에 대한 메타데이타등을 이용하여 도2의(B-1)처럼 자료들간의 연관관계를 설정해주고 각 자료들간의 연관성을 구체적으로 정리하여 어떤관계인지를 명확하게 기술함으로써 실제하는 자료들 간의 지식구조를 설정해 주며, 도3의(C-2)와 같이 한명의 입력자를 기준으로 하여 특정교수가 관계설정한 모든 도서의 전체적인 구성도를 보여주는 시스템이다.
본 발명 대학도서관의 통합지식 구축 시스템은 대학 도서관에 존재하는 자료들간의 구조를 설정하고 그 연관성을 구체적으로 기술해줌으로써 이용자로 하여금 지식구조의 명확한 확립과, 현재 자신의 지식수준에서 추구해야할 지식의 확장방향에 길잡이가 되어주며, 해당 기관으로 하여금 도서관을 단순한 자료의 창고가 아닌 유기적인 지식체로 구현하여 통합지식의 구축과 공급, 전문 지식의공유를 구현하며 대학을 학문중심의 기관으로 거듭나게 하고, 퇴직하거나 이직등으로 대학을 떠난 전문지식인의 지식을 해당기관에 계속 남아있게하여 영구히 보존할 수 있게 하며, 입력자로 하여금 자신의 지식을 실재하는 자료로서 명시적으로 정의하게 하는 시스 템이다.
Figure 112005501846058-PAT00022
자료를 나타내는 객체 주제어보기 연결관계 표시 관계내용정보 교수정보 지식맵검색 관계설정기 객체생성기 점수부여기 이용자의 지식구조 설정기

Description

대학도서관의 통합지식 구축 시스템{omitted}
도1의 (A-1),(A-2)은 기존의 대학도서관에서 사용하는 도서관리시스템을 이용한 검색내용을 나타낸 것으로서, 해당 도서나 자료에 대한 메타데이타와 도서의 상태검색만이 가능한 것을 나타낸 도.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이용자의 자료검색시 자료들간의 연관성을 나타내는 것을 보여주는 도로서,
(B-1)은 도서관의 이용자가 특정 도서를 검색하는 경우 해당도서의 주제어(j1-1)와 서평(j1-3)등을 확인할수 있으며 관계내용정보(l1)를 통해 다른 자료와의 연관관계와 그 연관관계에 대한 상세한 기술 사항과 구체적인 개념관계, 연관관계의 설정자 그리고 자료의 내용중 연관관계에 해당하는 주제단락과 페이지정보등 해당부분정보를 볼 수 있는 도.
(B-1-1)는 (B-1)에 있는‘관계내용정보(l1)’에 대해 그 구성요소인 상세기술정보(l1-5), 간략기술정보(l1-4), 부분정보(l1-3)의 내용을 구체적인 개념에 대한 설명으로 상세하게 기술한 도.
(B-1-2)은‘관계내용정보(l1)’의 내용을 디스플래이 한 것을 나타낸 도로서 그 구성요소인 상세기술정보(l1-5), 간략기술정보(l1-4), 자료간개념관계(l1-2), 부분정보(l1-3)를 통해 자료간의 연관성에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나타내주고 각 호 (l1-1)를 하나의 단위로하는 각 관계내용정보에 이용자가 평가점수를 부여하고 확인하는 것을 나타내는 도.
(B-1-3)은‘주제어보기(j1)’를 나타낸 도로서 각 자료에 입력된 주제어(j1-1)와 서평(j1-3)을 디스플래이 하고 이에대해 이용자가 평가점수를 부여하고 확인하는것을 보여주는 도.
(B-2)은 각 도면이 복잡하여 부호를 일일이 표시할 공간이 부족하여 일부부호를 따로 표시한 도.
(B-3)은 특정 교수가 자료자체에 대한 데이터입력과, 자료들간의 관계설정작업에 참여한 모든 자료들을 리스트로 보여주는 도.
(B-4)은 해당자료의 연관관계를, 특정교수가 작업한 자료를 중심으로 나타내는 도로서 해당교수가 설정한 자료의 연관관계를 상세보기하는 도.
도3은 특정 교수가 연관관계설정작업을 수행한 자료들에 대해서 전체적인 연관성을 평면구조로 보여주는 도로서,
(C-1)은 특정 교수가 작업을 수행한 자료들에 대해서 연관관계에 따라 미리 프로그래밍 된 규칙에 의하여 자동으로 전체 구조가 설정되어 보여지는 도.
(C-2)은 (C-1)에 대해서 구조가 부정확하게 자동설정되거나 작업한 교수의 의도와 다르게 설정되었을 때 해당 교수가 자료를 나타내는 객체(i1)의 위치를 이동하거나 연결관계표시(k1)를 재설정하고 그 밖에 관계내용정보(l1)를 확인하여 수정한 최종적인 지식맵의 구조를 나타내며 이용자가 해당 교수의 지식구조를 자료들 간의 연관관계로써 볼 수 있고 해당교수의 지식맵 전체보기를 나타내는 도.
도 4는 자료들간의 연관관계를 입체구조로 나타낸 도로서,
(D-1)은 특정 교수가 작업을 수행한 자료들에 대해서 연관관계에 따라 프로그래밍에 의하여 자동으로 전체 구조가 설정되어 보여지는 도.
(D-2)은(D-1)에 대해서 구조가 부정확하게 자동설정되거나 작업한 교수의 의도와 다르게 설정되었을 때 해당 교수가 자료를 나타내는 객체(i1)의 위치를 이동하거나 연결관계표시(k1)를 재설정하고 그 밖에 관계내용정보(l1)를 다시 입력한 최종적인 구조를 나타낸 도.
(D-3)은 각 자료간의 연관관계를 나타내는 화살표등 연결관계표시(k1)가 나타내는 의미에 대한 예를 나타낸 도.
(D-4)은 (D-1)에 대해서 전체구조가 아닌 부분구조를 확대해서 나타낸 것으로서 상세보기를 나타낸도.
도5의 (E-1)∼(E-8)은, 도3의(C-1)과 도4(D-1)의 자동구조설정에 있어서 관계설정기(s1)의 중심도서(s1-2-1-1)에 대해 연관도서수(s1-3-3-4)의 수가 여러 가지 경우 일때 각 경우에 따라 자료를나타내는 객체(i1)의 배치를 미리 프로그래밍된 자리에 위치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한 도,
도6은 자료들간의 관계를 설정하고 그 구체적 내용을 입력하는 관계설정기(s1)를 나타낸 도로서,
(F-1)은 각 컴포넌트로 구성된 관계설정기(s1)의 통합체를 나타내는 도.
(F-2)은 관계설정기(s1)의 구성요소인 지식맵 선택기(s1-1)를 나타내는 도.
(F-3)은 관계설정기(s1)의 구성요소인 객체생성 환경설정기(s1-2)를 나타내 는 도.
(F-3-1)은 객체생성 환경설정기(s1-2)의 도서검색기능중 상세검색(s1-3-1-1)에 대한 결과인 상세검색 디스플래이(s1-3-1-2)를 나타내는도.
(F-4)는 관계설정기(s1)의 구성요소인 관계내용정보 입력기(s1-4)를 나타내는 도.
(F-5)는 관계설정기(s1)의 구성요소인 주제어 입력기(s1-5)를 나타내는 도.
(F-6)는 마우스조작으로 자료들의 관계설정작업을 할 수 있는 객체생성기(s1-6)를 나타내는 도.
도7은 도서관의 이용자와 그와 별도로 해당 주제분야의 전문가가 자료를 검색하여 해당 자료의 주제어보기(j1)와 지식맵의 연관관계설정에 대해 점수를 부여하는 시스템을 나타낸 것 으로서,
(G-1-1)은 개별 사항에 대한 이용자의 점수 부여기(v1-1-1)로서 도서관 이용자가 관계내용정보(l1)와 주제어보기(j1)에 대해 개별 단위로 평가 점수를 입력하고 다른 이용자가 이에 대해 부여한 점수를 보여주는 도.
(G-1-2)은 전체지식맵에 대한 이용자의 점수 부여기(v1-1-2)로서 이용자가 특정교수의 지식맵 전체보기(p3)의 총채적인 사항에 대해서 도서관이용자가 점수 를입력하고 다른 이용자가 이에 대해 부여한 점수를 보여주는 도.
(G-1-3)은 이용자의 자신이 부여한 개별사항에 대한 점수사항(v1-1-3)으로서 (G-1-2)에 대해서 점수를 부여할 때, 해당 교수의 연관관계 설정에 대해 자신이 부여한 개별사항(G-1-1)에 대한 점수사항을 보여주어 참고하도록 하는 도.
(G-2-1)은 개별 사항에 대한 평가자의 점수 부여기(v1-2-1)로서 같은학문분야의 다른 교수가 개별 단위로 평가 점수를 입력하는 도.
(G-2-3)는 전체 사항에 대한 평가자의 점수 부여기(v1-2-2)로서 같은학문분야의 다른 교수가 특정교수의 지식맵 전체보기(p3)에 대한 총체적인 점수를 부여 하는것을 나타내는 도.
(G-2-2)은 주기사항 등록 시스템(v1-3)으로서 개별 사항에 대한 평가자의 점수 부여기(v1-2-1)에서 주기사항을 입력하고 전체보기에등록(v1-3-2)시켰을 경우 전체 사항에 대한 평가자의 점수 부여기(v1-2-2)의 주기사항에 자동으로 등록되는 것을 나타내는 도.
(G-2-4)은 평가자의 자신이 부여한 개별사항에 대한 점수사항(v1-2-3)으로서 전체 사항에 대한 평가자의 점수 부여기(v1-2-2)에 대해 해당 평가자가 자신이 부여한 개별사항에 대한 점수사항을 참고하여 볼 수 있는 도.
도8은 이용자의 지식구조 설정기(x1)로서 도서관 이용자가 도서관 서버의 메모리를 할당받아 자신만의 가상공간에 자료들 간의 연관관계를 구성하여 자신의 지식맵을 구축한 것을 나타낸 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i1.자료를 나타내는 객체
j1.주제어보기 j1.-1.주제어 j1-2.개념관계 j1-3.서평
k1.연결관계 표시
l1.관계내용정보 l1-1.호 l1-2.자료간개념관계 l1-3.부분정보 l1-4.간략기술 정보 l1-5.상세기술정보 l1-6.공통주제어
m1.교수정보 m1-1.교수명 m1-2.교수에 관계없이 모두보기 m1-3.교수선택 m1-4.대표교수
m2.다른교수정보 m3.교수정보의 예 m4.교수정보의 내용
o1.지식맵검색
p1.특정교수의 지식화 작업 참여도서 리스트
p2.특정교수의 지식맵 상세보기
p3.특정교수의 지식맵 전체보기
p4.특정교수의 입체구조 지식맵 전체보기
p5.특정교수의 입체구조 지식맵 상세보기
s1.관계설정기 s1-1.기능선택기 s1-2.객체생성 환경설정기 s1-2-1.중심도서 환경설정기 s1-2-1-1.중심도서 s1-2-2.연관도서 환경설정기 s1-2-2-1.연관도서 s1-2-2.미소장자료 환경설정기 s1-2-3-1.미소장도서 s1-3-1.검색부 s1-3-1-1.상세검색 s1-3-1-2.상세검색 디스플래이 s1-3-2.입력부 s1-3-3.설정부 s1-3-3-1.연관도서창 생성 s1-3-3-2.연관도서 자리생성 s1-3-3-3.객체생성 s1-3-3-4.연관도서수 s1-4.관계내용정보 입력기 s1-4-1.관계내용정보 저장기 s1-4-2.관계내용정보 표시기 s1-6.객체생성기 s1-6-1.자리생성기 s1-6-2.연결점
v1.점수부여기
v1-1-1.개별 사항에 대한 이용자의 점수 부여기
v1-1-2.전체지식맵에 대한 이용자의 점수 부여기
v1-1-3.이용자의 자신이 부여한 개별사항에 대한 점수사항
v1-2-1.개별사항에 대한 평가자의 점수 부여기
v1-2-2.천체보기에 대한 평가자의 점수 부여기
v1-2-3.평가자의 자신이 부여한 개별사항에 대한 점수사항
v1-3.주기사항 등록 시스템 v1-3-1.주기사항 v1-3-2.전체보기에 등록 v1-3-3.등록부 v1-3-4.기술부
x1.이용자의 지식구조 설정기 x1-1.내지식맵에 등록하기 x1-2.내지식맵에 모두 등록하기 x1-3.나의 지식맵에 일괄등록 x1-4.자동등록 x1-5.선택등록
w1.위치구성의 예
본 발명은 대학 도서관이나 연구기관의 자료실등 전문지식을 습득하고 창출해내는 기관들의 지식구축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대학도서관에 소장되어있는 자료의 메타데이타를 전산시스템을 이용하여 여러 자료들간의 연관성을 설정해 주고 그 연관관계의 내용을 구체적으로 기술함으로써 대학도서관의 자료들을 지식구조에 맞도록 체계화시켜 대학 도서관을 단순한 자료창고가 아닌 하나의 유기적인 지식체로 구축하고 다른 학문간의 통합지식체를 구현하여 각 전문가의 지식을 공유함으로써 학부생 및 대학원생 그리고 박사, 교수등 해당기관에 속해 있는 인적 자원들에게 지식의 확장을 돕고, 지식구조의 구축자로 하여금 자신의 지식을 실재 하 는 자료를 중심으로 명확히 정리하여 지식의 실체를 자료를 통하여 가시적으로 명시함으로써 자신의 지식기반을 공고히 구축하게 하고, 대학으로 하여금 해당 지식의 구축자가 대학을 떠나더라도 그 사람의 지식은 대학에 그대로 남아 있게 하는 대학도서관의 지식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현대 대학도서관에서 실행되고 있는 지식·정보서비스는 본관에서 소장하고 있는 자료에 대해 단순히 자료의 위치만을 안내해 주든지 해당자료의 대출일과 반납일등 이용사항에 관한 정보만을 제공해 주고 있는 실정이다.
하지만 도서관에서 사용되는 도서관리 프로그램과 도서관의 업무는 얼마나 많은 자료를 소장하고, 자료를 쉽게 정리하고 검색하는냐에 초점을 두고 운영되어온 실정이어서 자료의 질적 수준을 고려하여, 도서관의 소장자료간의 연관성을 설정하고 그 체계를 구조화하여 유기적인 지식체로 구현하는데는 미진하여 명실상부한 지식서비스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의 결점을 해소하여 대학의 교육과, 연구, 개발의 질적 향상을 위한 것으로, 대학 도서관등의 자료에 대한 메타데이타를 이용하여 각 자료들간의 연관성을 연결관계표시(k1)로 설정해 주고 이 연관성을 선, 색, 도형 등을 이용하여 다양하게 표현해 주며, 이 연관성이 구체적으로 자료의 어느 부분이 어떠한 개념과 내용으로 서로 연관관계가 설정되는지를 관계내용정보(l1)를 통해 서술적으로 설명해 주며 이 관계구조를 설정한 각 교수를 교수정보(m1)를 통해 알수 있고 특정 교수가 설정한 지식구조를 특정교수의 지식맵 전체보기(p3)등을 통해 확인 할 수있으며, 교수의 구분없이 도서관 전체자료의 연관성을 나타냄으로서 궁극적으로 이 연관성이 복잡하고 다양해져서 자료들간의 네트워크을 구성하여 도서관에 소장된 모든 자료를 유기적인 통합지식체로 구현해 주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교수등 해당 분야의 전문지식을 보유한 사람이 자료들의 연관관계 설정자로서 관계설정기(s1)를 통해 로그인하여 특정한 자료의 메타데이타를 검색하고 해당자료와 연관성이 있는 자료의 메타데이타를 검색한다. 그리고 검색된 자료들을 연결관계 표시(k1)로 서로 연관성을 설정해 주고 관계내용정보(l1)를 입력함으로서 연결관계 표시(k1), 관계내용정보(l1), 교수정보(m1)의 데이터가 입력되며, 이 데이터는 특정교수의 지식맵 전체보기(p3)와 특정교수의 입체구조 지식맵 전체보기(p4)등 각 교수의 지식맵을 나타내는 근거가 된다.
또한 주제어보기(j1)에 입력한 키워드와 서평, 교수정보(m1)의 내용사항과, 도3의 (C-2)와 도3의 (D-2)와 같이 특정교수의 전체 지식구조도에 대해서 이용자와 평가자가 점수부여기(v1)을 통해 점수를 부여하여 이용자들의 판단에 참고가 되게하므로서 완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2의 (B-1)은 본 발명에 따른 이용자의 자료검색시 디스플래이되는 자료들간의 연관관계와 구조를 대표적으로 나타냈으며 도2의(B-1-1)은 '관계내용정보(l1)'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과 개념을 서술한 것이다. 그리고 도3의 (C-2)는 특정 교수가 설정한 자료들의 구조를 전체적으로 나타내는 도이다.
도시된 바와같이, 본 발명 대학도서관의 통합지식 구축 시스템은 대학도서관을 비롯한 도서관과 자료실에 있어서 도2의(B-1)와 같이 도서관에 소장한 자료들간의 연관관계를 나타내 주며, 또한 자료들간의 연관관계가 어떠한 관계인지를 관계내용정보(l1)에서 구체적인 기술사항을 통해 나타내 주는 것으로써 일단 검색된 자료는 자료를나타내는객체(i1)로 자료의 형태에 따라 여러 가지 아이콘 등으로 표현되며 연결관계 표시(k1)의해 검색된 자료와 연관관계가 있는 자료도
자료를나타내는객체(i1)로 나타나게 되며, 자료를 나타내는 객체(i1)에는 주제어보기(j1)가 있어 이를 클릭하였을 때는 해당자료의 키워드가 되는 주제어(j1-1)와 입력자가 자료에 대해 평가한 서평(j1-3)이 디스플래이된다.
그리고 자료들이 연관성이 있음을 화살표 등의 연결관계표시(k1)로 명시해주며 연관관계의 내용이 어떻게 되어있는지 구체적으로 기술해 주기 위하여 관계내용정보(l1)를 연결관계 표시(k1)에 부가하여 연관관계의 구체적인 내용이 어떻게 이루어 지는지 기술하게하고 연결관계 표시(k1)는 도2의(B-1-1)와 (B-1-2), (B-1-3)에서 보여주는 바와 같이 개념관계(l1-1), 공통주제어(l1-6), 부분정보(l1-2), 간략기술정보(l1-3), 상세기술정보(l1-4), 주제어 보기(j1)등 자료들간의 구체적인 연관성과 자료자체에 대한 평가를 기술하게 한다. 또한 도2의 (B-1)에서 볼 수 있듯이 교수정보(m1)를 연결관계 표시(k1)에 부가하여 자료들간의 특정한 연결관계에 대하여 여러명의 교수가 하나의 연결관계표시(k1)에 다양한 관계내용정보(l1)를 입력할 경우 각 교수명을 리스트로 디스플래이하며 각 교수명을 다시 클릭했을 때는 해당 교수가 설정한 관계내용정보(l1), 특정교수의 지식화 작업 참여도서 리스트 (p1), 특정교수의 지식맵 상세보기(p2), 특정교수의 지식맵 전체보기(p3), 특정교수의 입체구조 지식맵 전체보기(p4), 특정교수의 입체구조 지식맵 상세보기(p5)를 나열하고 해당 사항을 클릭하였을 경우 디스플래이하여 교수마다 다르게 설정한 지식구조를 확인 할 수 있게 한다.
자료를 나타내는 객체(i1)는 자료의 형태에 따라 여러 가지 모양의 아이콘으로 나타나게 되는데 주제어보기(j1)를 추가하여 이를 클릭하면 주제어(j1-1)와 서평(j1-2)을 볼 수 있으며 그 구성은 도2의 (B-1-3)에서와 같이 주제어(j1-1)와 서평(j1-2)을 디스플래이하는 창이 있으며 주제어(j1-1)창에는 자료에 해당 되는 키워드인 주제어를 디스플래이하고 바로옆에 개념관계(j1-2)를 나란히 디스플래이 하여 시소러스를 구축하며, 도8의 이용자의 지식구조 설정기(x1)에서 선택등록(x1-5)으로 설정할 경우, 주제어보기(j1)에서 디스플래이되는 주제어(j1-1)중에 이용자가 선택한 주제어들을 나의 지식맵에 일괄등록(x1-3)에 마우스의 드레그작동 등으로 이동시키고 버튼을 클릭하면 이용자의 지식구조 설정기(x1)에 구축된 도서관이용자의 지식맵에 자료를나타내는 객채(i1)가 자동으로 생성되며 선택한 주제어들이 자동으로 이용자의 지식구조 설정기(x1)의 주제어보기(j1)에 등록된다.
서평(j1-2)에는 해당 자료에 대한 서평을 개별단위로 여러개를 디스플래이하고 각각의 서평에는 내지식맵에 등록하기(x1-1)가 있어서 이를 클릭하면 이용자의 지식구조 설정기(x1)의 주제어보기(j1)에 자동으로 등록되고 내지식맵에 모두등록(x1-2)을 클릭하면 도8의 이용자의 지식구조 설정기(x1)에서 해당 자료를나타내는 객체(i1)가 자동으로 생성되고 주제어보기(j1)의 내용이 선택사항에 관계 없이 모 두 등록된다.
또한 주제어보기(j1)는 동일한 교수명(m1-1)을 하나의 단위로 처리하여 한명의 교수가 입력한 사항을 동시에 디스플레이하는데 교수선택(m1-3)에서 특정교수를 선택하면 특정교수가 입력한 내용을 디스플래이 하며 교수에 관계없이 모두보기(m1-2)를 클릭하면 교수에 상관없이 해당 자료에 입력된 주제어보기(j1)의 모든 내용이 디스플래이된다. 개별 사항에 대한 이용자의 점수 부여기(v1-1-1)를 통해 특정교수가 입력한 내용에 대해서 여러 이용자가 입력한 평가 점수를 확인하고 해당이용자가 평가한 점수를 입력할수있다.
관계내용정보(l1)는 도2의(B-1-2)에서와 같이 제1호, 제2호, 제3호등 자료들의 연관부분이 여러부분일 경우 그 수 많큼 호(l1-1)정보를 디스플래이하며 각 호(l1-1)는 자료간개념관계(l1-2), 부분정보(l1-3), 간략기술정보(l1-4), 상세기술정보(l1-5), 공통주제어(l1-6)로 이루어져있다.
호(l1-1)는 동일한 부분정보(l1-3)를 하나의 단위로 하여 동일한 주제 부분으로 구분되며 내용을 입력한 교수명(m1-1)을 표시하는데 각호(l1-1)를 구성하는 요소 중 하나인 자료간개념관계(l1-2)는 연관관계에 있는 두 자료가 서로 어떤 개념으로 이루어진 관계인지를 명시하며, 부분정보(l1-3)는 각각 두 자료의 연관관계에 해당하는 부분을 명시한 것으로서 각 자료에 해당하는 2개의 창이 있으며 각 창에는 자료명과 페이지수와 줄수에 의한 범위 정보를 다루는데 페이지에 의한 범위 정보는 음반의 경우 악장과 연주시간등 자료의 형태에 따라 다양한 정보가 다루어진다. 그리고 간략기술정보(l1-4)는 자료들간의 연관관계에 대해서 30∼50자 정도 의 정제되고 함축된 기술사항을 내용으로 하며, 상세기술정보(l1-5)는 분량에 관계없이 가능한 명확하고 상세한 내용을 담고있다. 그리고 공통주제어(l1-6)는 두 자료간의 주제에 의한 연관성에서 기인하는 공통된 키워드나 주제어를 다루는 부분이며 여러개의 공통주제어를 처리한다. 그리고 교수에 관계없이 모두보기(m1-2)를 클릭하면 교수에 상관없이 해당 자료에 입력된 모든 관계내용정보(l1)의 내용이 디스플래이 된다.
또한 각 호(l1-1)정보 단위로 내지식맵에 등록하기(x1-1)가 있어서 이를 클릭하면 이용자의 지식구조 설정기(x1)의 관계내용정보(l1)에 호(l1-1)정보 단위로 등록되며 내지식맵에 모두등록(x1-2)을 클릭하면 도8의 이용자의 지식구조 설정기(x1)에서 서로 연결관계표시(k1)로 연결된 자료를나타내는 객체(i1) 2개가 자동으로 생성되고 연결관계표시(k1)가 자동으로 설정되며 관계내용정보(l1)의 내용이 교수나 선택사항에 관계 없이 모두 자동 등록된다. 그리고 개별 사항에 대한 이용자의 점수부여기(v1-1-1)를 통해 특정교수가 입력한 내용에 대해서 여러 이용자가 입력한 평가 점수를 확인하고 해당이용자가 평가한 점수를 입력할수있다.
특정교수의 지식화 작업 참여도서 리스트(p1)는 도2의 (B-3)에서 보여주는 바와 같이 해당 교수가 자료들간의 연관관계를 설정작업과 주제에(j1-1)와 서평(j1-2)을 입력하는 작업에 참여한 모든 자료를 리스트로 디스플래이 하는시스템이다.
특정교수의 지식맵 상세보기(p2)는 도2의 (B-4)에서 보여주는 바와같이 자료들의 연관관계를 나타나게 하지만, 특정교수가 관계설정한 자료들만의 관계를 디스 플래이 하여 해당 교수의 지식구조를 볼 수 있게하며 관계내용정보(l1)는 해당 교수가 입력한 사항을 디스플래이 하고, 교수정보(m1)대신에 다른교수정보(m2)를 추가하여 이를 클릭했을 때 해당 교수를 제외한 다른 교수명을 교수정보(m1)처럼 리스트로 디스플레이하며 각 교수명을 다시 클릭했을 때는 해당 교수가 설정한 관계내용정보(l1), 특정교수의 지식화 작업 참여도서 리스트(p1), 특정교수의 지식맵 상세보기(p2), 특정교수의 지식맵 전체보기(p3), 특정교수의 입체구조 지식맵 전체보기(p4), 특정교수의 입체구조 지식맵 상세보기(p5)를 나열하고 해당 사항을 클릭하였을 경우 디스플래이하여 각 교수마다 다르게 설정한 지식구조를 확인 할 수 있게 한다.
특정교수의 지식맵 전체보기(p3)는 특정교수의 지식맵 상세보기(p2)의 전체보기에 해당되며 도3의 (C-2)에서 보여주는 바와 같이 특정교수가 관계설정한 자료들의 지식구성도를 일부가 아닌 전체를 보여주는 도로서 가능하면 특정교수의 지식맵 상세보기(p2)처럼 모든 구성요소를 표시하지만 컴퓨터 모니터등의 화면크기가 한정되어있어 자료를 나타내는 객체(i1)와 관계내용정보(l1), 교수정보(m1)등이 작게 표시되므로 주제어보기(j1)와 관계내용정보(l1), 교수정보(m1)를 생략하고 해당 자료를 나타내는 객체(i1)를 우클릭하여 나타나는 메뉴에서 주제어보기(j1)를 확인하고 연결관계표시(k1)를 우클릭하여 나타나는 메뉴를 통해 관계내용정보(l1), 교수정보(m1)를 확인하며, 연속적인 확대·축소기능에 의하여 특정교수의 지식맵 전체보기(p3)와 특정교수의 지식맵 상세보기(p2)는 화면이 바뀌지 않는 상태에서 자연스럽게 이동한다.
특정교수의 입체구조 지식맵 전체보기(p4)는 특정교수의 지식맵 전체보기(p3)를 평면구조가 아닌 입체구조로서 관계내용정보(l1) 나타내는 도로서 특정교수가 관계설정한 자료들의 지식구성도를 일부가 아닌 전체를 보여 주며 가능하면 특정교수의 지식맵 상세보기(p2)처럼 모든 구성요소를 표시하지만 컴퓨터 모니터등의 화면크기가 한정되어있어 자료를 나타내는 객체(i1)와 관계내용정보(l1), 교수정보(m1)등이 작게 표시되므로 주제어보기(j1)와 관계내용정보(l1), 교수정보(m1)를 생략하고 해당 자료를 나타내는 객체(i1)를 우클릭하여 나타나는 메뉴에서 주제어보기(j1)를 확인하고 연결관계표시(k1)를 우클릭하여 나타나는 메뉴를 통해 관계내용정보(l1), 교수정보(m1)를 확인하며, 연속적인 확대·축소기능에 의하여 특정교수의 입체구조 지식맵 상세보기(p5)와는 화면이 바뀌지 않는 상태에서 자연스럽게 이동한다. 또한 도4의 (D-2)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관계내용정보(l1)의 개념관계(l1-1)에서 설정된 자료간 개념관계(l1-2)에 따라 상위관계, 하위관계일 경우 계층간의 구분선(s1-6-3)을 일정간격으로 두어 상대적으로 상위개념의 자료를 위쪽에 하위개념의 자료를 아래쪽에 두어 자료들간의 상하 관계를 명확히 구분하며 등위개념의 자료들일 경우 계층간의 구분선(s1-6-3)과 동일선상에 타원형등의 가상도형을 설정하여 입체감을 나타내고 그 위에 자료를 나타내는 객체(i1)를 배치하여 서로가 등위개념임을 나타내는데, 동일한 계층구분선(s1-6-3)상에 있는 자료를 나타내는 객체(i1)간의 상호 위치배분에 있어서 연결관계표시(k1)가 가장 많은 자료를 첫 번째로 자료를 나타내는 객체(i1)로 생성시키며 나머지 자료들의 위치는 동의관계, 유사관계, 인과관계, 단순관계, 반대관계, 모순관계등의 자료간개념관계(l1-2)들중 단순관계와 모순관계의 자료들은 서로 대칭대는 자리에 위치시키고 동의관계와 유사관계의 자료는 서로 옆에 나란히 위치시키는데 나머지 자료간개념관계(l1-2)에 있는 자료들은 우선순위를 설정하여 우선순위차이에 의해 우선순위가 가까운 자료간개념관계(l1-2)의 자료는 첫 번째로 생성된 자료와 타원에서 가까운 옆에 자리하게하고 우선순위가 먼 자료간개념관계(l1-2)의 자료는 가능한 먼거리에 위치하도록 하여 자료들간의 개념관계에 의하여 상대적인 위치가 정해지도록 프로그래밍 하며 자동적 자료를 나타내는 객체(i1)의 위치가 정해진 사항에 대해서는 객체생성기(s1-6)에서 위치를 수정할 수 있다.
또한 자료들간의 연관관계 표시(k1)는 도4의 와 같이 특정 자료간개념관계(l1-2)와 특정 연관관계 표시(k1)를 서로 매칭시키켜서 관계내용정보 입력기(s1-4)에서 자료간개념관계(l1-2)를 글자로 입력하면 자동적으로 연관관계 표시(k1)의 모양이 설정되어 지식맵의 모양에 따라 자료들간의 개념관계를 명확히 표현하게 된다.
특정교수의 입체구조 지식맵 상세보기(p5)는 특정교수의 입체구조 지식맵 전체보기(p4)의 상세보기에 해당되며 도4의 (D-2)와 같이 전체구조도가 아닌 일부 구조도만을 디스플래이 하며, 연속적인 확대·축소기능에 의하여 특정교수의 입체구조 지식맵 상세보기(p5)와 특정교수의 입체구조 지식맵 전체보기(p4)는 화면이 바뀌지 않는 상태에서 자연스럽게 이동한다.
한편 도시된 상기사항을 작동하려면 적합한 방법에 의하여 자료의 검색과 자료를 나타내는 객체(i1)의 생성과 연결관계표시(k1)에 의한 연관성의 설정 및 주제 어보기(j1)와 관계내용정보(l1)에 대한 데이터의 입력이 필요한데 이처럼 연관관계의 설정은 도6의 관계설정기(s1)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관계설정기(s1)는 각각 여러개의 다른 기능을 가진 컴포넌트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그 구성은 기능선택기(s1-1), 객체생성 환경설정기(s1-2), 관계내용정보 입력기(s1-4), 객체생성기(s1-6)로 되어있다.
자료들의 관계설정 작업은 교수나 박사등 특정 학문분야의 적정수준이상의 전문 지식을 갖춘 사람이어야 하므로 관계설정기(s1)는 사용자에게 자격을 부여하여 로그인 되는 사람만이 작업을 할 수있게 하며 로그인 정보는 해당 관계설정작업을한 교수정보(m1)에 적용되어 관계설정작업이 주체를 구분하는 데이터가 된다. 그리고 관계설정기(s1)의 구성 및 작동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지식맵선택기(s1-1)는 도6의(F-2)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특정교수의 지식맵 상세보기(p2), 특정교수의 지식맵 전체보기(p3), 특정교수의 입체구조 지식맵 전체보기(p4), 특정교수의 입체구조 지식맵 상세보기(p5)등 여러 가지 지식맵의 종류중에서 자료들의 연관관계 설정작업의 환경이 될 지식맵을 선택하면 객체생성 환경설정기(s1-2)에서 검색하여 관계설정한 자료가 자료를나타내는객체(i1)로 생성되고 작업도중 다른 지식맵을 선택할 경우 해당 지식맵으로 이동하므로 작업하는 지식맵을 선택하거나 혹은 지식맵 간에 이동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객체생성 환경설정기(s1-2)는 도6의(F-3)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중심도서 환경설정기(s1-2-1)와 연관도서 환경설정기(s1-2-2)로 구성되어 있고 두 설정기의 기능은 동일하며 검색부(s1-3-1), 입력부(s1-3-2), 설정부(s1-3-3)로 구분된다. 또한 두 설정기의 차이는 검색된 자료의 자격이 중심도서(s1-2-1-1)인지 연관도서(s1-2-2-1)인지를 구분해 주는 것이며, 작동순서는 검색부(s1-3-1)에서 중심도서(s1-2-1-1)에 자료명등의 메타데이타를 입력하고 검색을 하여 해당 자료를 중심도서의 자격으로 검색 하며 검색결과가 많거나 메타데이타가 유사하여 자료의 구분이 모호할 경우 상세검색(s1-3-1-1)을 클릭하여 상세검색 디스플래이(s1-3-1-2)처럼 상세한 검색을 통해 정확한 자료의 구분을 할 수있다. 그리고 입력부(s1-3-2)에서 주제어(j1-1)와 관계개념어(j1-2), 서평(j1-3)을 입력하여 주제어보기(j1)를 구성하는 데이터를 입력하게 된다. 그리고 설정부(s1-3-3)에서는 검색한 자료를 객체생성(s1-3-3-3)을 클릭하여 자료를 나타내는객체(i1)로 생성시키고 연관도서수(s1-3-3-4)를 입력하여 자료를 나타내는객체(i1)에 더불어 생성될 연결점(s1-6-2)의 개수를 정하여 입력된 숫자만큼 연결점(s1-6-2)이 연관도서수(s1-3-3-4)의 숫자에 따라 도5의 위치구성의예(W)에서 설정한 바와 같은 규칙의 모양으로 생성된다. 연관도서창생성(s1-3-3-1)은 연관도서 환경설정기(s1-2-2)를 다수 생성하는 것 으로서 하나의 중심도서(s1-2-1-1)에 다수의 연관도서(s1-2-2-1)가 있는 경우 연관도서 환경설정기(s1-2-2)도 다수 생성하여 자료들의 연관관계설정작업을 수행할 때 작업의 연속성과 편리성을 제공해준다. 연관도서 자리생성기(s1-3-3-2)는 연관도서수(s1-3-3-3)많큼 자리생성기(s1-3-3-2)를 생성시키는 기능을 가지고 있어 연관도서수(s1-3-3-4)에서 설정한 수 많큼 중심도서(s1-2-1-1)의 주변에 자리생성기(s1-3-3-2)를 생성시킨다.
연관도서 환경설정기(s1-2-2)는 중심도서 환경설정기(s1-2-1)와 동일한 기능 을 가지고 있으나 단지 도서의 자격이 연관도서(s1-2-2-1)이며 중심도서(s1-2-1-1)와 연관관계에 있는 자료를 검색하여 주제어(j1-1)의 내용을 입력하는데 관점에 따라서 연관도서(s1-2-2-1)를 중심으로 생각한다면 연관도서(s1-2-2-1)또한 중심도서(s1-2-1-1)로 볼 수 있으므로 해당도서가 중심도서(s1-2-1-1)의 자격으로 연관도서(s1-2-2-1)를 가질 때 중심도서 환경설정기(s1-2-1)와 같이 연관도서와의 관계를 정의하고 설정하여 자료들간의 연관성과 연속성에 따른 작업을 연속적으로 수행하는 기능을 지원한다.
그리고 미소장도서 환경설정기(s1-2-3)는 해당교수가 자료들의 연관관계설정작업을 하여 지식맵을 구축할 때에 지식맵의 구성에 필요한 자료가 자관에 소장되지 않는 경우에 사용하는 시스템으로서 검색부(s1-3-1)에서 특정자료를 검색하여 미소장자료로 판명되었을 때 중심도서 환경설정기(s1-2-1)와 연관도서 환경설정기(s1-2-2)대신에 미소장도서 환경설정기(s1-2-3)가 생성되며 미소장도서(s1-2-3-1)부분이 활성화 된다. 미소장도서 환경설정기(s1-2-3)는 중심도서 환경설정기(s1-2-1)와 연관도서 환경설정기(s1-2-2)와 같은 기능의 입력부(s1-3-2)와 설정부(s1-3-3)를 가지고 있어 특정 자료에 대한 입력작업과 설정작업을 동일하게 수행할 수 있으나 단지 검색부(s1-3-1)대신에 도서의 자격을 구분해주는 부분과 서명, 저자명등의 메타데이터 입력부분이 있어 해당교수가 미소장자료에 대한 사항을 입력하며 미소장도서 환경설정기(s1-2-3)에서 입력된 데이터는 도서관리시스템의 수서시스템에서 신청도서로서 사용될 수 있다.
관계내용정보 입력기(s1-4)는 도6의(F-4)에서 볼수 있듯이 중심도서(s1-2-1- 1)와 연관도서(s1-2-2-1)의 관계내용정보(l1)를 입력하는 시스템으로서 관계내용정보 저장기(s1-4-1)와 관계내용정보 표시기(s1-4-2)로 구성되며 관계내용정보 저장기(s1-4-1)는 호(l1-1), 자료개념관계(l1-2), 부분정보(l1-3), 간략기술정보(l1-4), 상세기술정보(l1-5), 공통주제어(l1-6)를 입력하는 기능을 제공하며 관계내용정보 표시기(s1-4-2)에는 관계내용정보 저장기(s1-4-1)에서 입력한 사항이 각 호(l1-1)수 별로 디스플레이 되며 관계내용정보 표시기(s1-4-2)에서도 각 관계내용정보(l1)의 수정과 입력이 가능하다.
주제어 입력기(s1-5)는 도6의(F-5)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주제어(j1-1), 개념관계(j1-2), 서평(j1-3)을 입력하고 저장하는 기능을 지원하며 기존에 입력되어있는 내용도 디스플레이되어서 입력할 때 확인하고 수정할 수 있다.
객체 생성기(s1-6)는 관계설정기(s1)와 같은 데이터를 사용하므로 상호 유기적인 연관성을 가지며 관계설정기(s1)에서 작업한 사항이 객체 생성기(s1-6)에시 자료를나타내는객체(l1)와 연결관계표시(k1), 연결점(s1-6-2), 자리생성기(s1-6-1), 관계내용정보입력기(s1-4)등으로 자동생성되고 객체 생성기(s1-6)에서 작업한 내용 또한 관계설정기(s1)에서 작업한 데이터와 동일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며, 연관관계설정작업을 하는 교수가 직접 연관관계설정작업도 하는 작업환경으로서 도6의(F-6)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관계설정기(s1)에서 설정한 사항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는 한편 비주얼한 사항이 객체생성기(s1-6)에 아이콘등으로 생성되고 마우스의 우클릭과 메뉴바등의 방법으로도 메뉴리스트가 활성화되어서, 연결관계표시(k1)를 우클릭하면 관계내용정보 입력기(s1-4)가 생성되어 관계내용정보(l1)의 내용을 입력하거나 수정할 수 있으며 자료를 나타내는 객체(l1)에 대한 우클릭을 통해 주제어 입력기(s1-5)가 생성되어 내용을 입력하거나 수정할 수있어서 객체생성기(s1-6)는 관계설정기(s1)와 같은 기능을 제공하지만 마우스의 드래그를 통해 자료를나타내는객체(l1)와 연결관계표시(k1)등의 위치를 직접 이동하여 조절할 수 있고 마우스의 우클릭에 의해 활성화 되는 메뉴바의선택에 의한 자료들의 관계설정 기능을 제공한다.
도7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상기 작동에 의하여 설정된 각 교수의 지식맵에 대해서는 점수부여기(V1-1)를 통해서 미리 범위가 한정된 점수의 범위안에서 각 특정교수의 결과에 대해 이용자가 점수를 부여하여 디스플레이 하는 방법으로 이용자들로 하여금 참고사항을 제공하며, 같은 전공분야의 교수등의 전문 지식인이 특정교수의 결과에 대해 평가점수의 부여하여 해당 교수의 지식수준을 평가 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는데 도(G-1-1)는 개별사항에 대한 이용자의 점수 부여기(v1-1-1)로서 특정교수의 자료에대한 연관관계설정 사항중 단일한 자료와 자료간의 1:1연관관계에 있는 단 한건의 관계내용정보(l1), 또는 한건의 주제어보기(j1)에 대한 평가 점수만을 입력하며 동일한 대상에 대해서 그동안 다른 이용자가 부여한 점수를 총건수, 총점, 평균을 디스플레이 하여 참고하여 점수를 부여하도록 한다. 그리고 이 데이터는 도2의 (B-1-2)와 (B-1-3)에서와 같이 관계내용정보(l1)와 주제어보기(j1)에 구성요소로 사용되어 이용자의 자료검색에 있어서 그 내용이 디스플래이되고 점수부여작업이 이루어진다.
도(G-1-2)는 전체지식맵에 대한 이용자의 점수 부여기(v1-1-2)를 나타내며 특정교수의 지식맵을 대상으로하며 지식맵의 전체적인 완성도 및 총체적인 사항에 대해 평가점수를 부여하는 것으로서 그 사항은 특정교수의 지식맵 전체보기(p3), 특정교수의 입체구조 지식맵 전체보기(p4)등 특정교수의 지식맵에 추가되어 총건수, 총점, 평균점수를 디스플래이하고 점수를 부여 한다.
도(G-1-3)는 이용자의 자신이 부여한 개별사항에 대한 점수사항(v1-1-3)을 디스플래이 하는 것으로서 도서관의 이용자가 전체지식맵에 대한 이용자의 점수 부여기(v1-1-2)에 평가점수를 부여할 때에 자신이 해당 교수의 지식맵에대해 개별 사항에 대한 이용자의 점수 부여기(v1-1-1)에서 부여한 각 점수사항을 참고 할 수 있도록 디스플래이하는 것이다.
도(G-2-1)는 개별 사항에 대한 평가자의 점수 부여기(v1-2-1)로서 개별 사항에 대한 이용자의 점수 부여기(v1-1-1)처럼 각 하나의 주제어보기(j1)와 관계내용정보(l1)에 대한 점수를 부여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지만 이용자가 부여하는 것이 아니고, 교수등 해당 학문분야의 전문지식을 가진 자격있는 사람이 해당 지식맵의 전문지식수준을 평가하는 것으로 해당교수의 평가에 대한 기준으로 사용되며 그 구성요소는 점수부여와 주기사항으로 되어 있어 평가점수를 입력하고 이에 대한 이유와 그밖의 사항인 주기사항(v1-3-1)을 입력하고 전체보기에등록(v1-3-2)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그 주기사항을 경우에 따라 전체 사항에 대한 평가자의 점수 부여기(v1-2-2)의 주기사항입력 시스템에 등록하며 등록된 주기사항(v1-3-1)은 필요한 경우에 도(G-2-2)의 주기사항 등록 시스템(v1-3)에서개별 사항에 대한 평가자의 점수 부여기 (v1-2-1)에 등록된 주기사항(v1-3-1)을 불러내기 하여 덧붙일 수 있게 되어있다.
도(G-2-3)는 전체 사항에 대한 평가자의 점수 부여기(v1-2-2)를 나타내며 특정교수의 지식맵에 대해 전체적인 모든 사항에 대해 평가점수를 부여하는 것으로서 그 사항은 특정교수의 지식맵 전체보기(p3), 특정교수의 입체구조 지식맵 전체보기(p4)등 해당교수의 지식맵에대한 평가 점수를 부여하고 주기사항을 입력한다.
또한 도(G-2-2)는 주기사항 등록 시스템(v1-3)으로서 전체 사항에 대한 평가자의 점수 부여기(v1-2-2)의 주기사항 입력부를 상세하게 확대하여 설명한 것이며 그 구성과 순서는 그림과 같이 개별 사항에 대한 평가자의 점수 부여기(v1-2-1)의 주기사항을 입력할 때에 전체 사항에 대한 평가자의 점수 부여기(v1-2-2)의 주기사항에 포함시킬 필요가 있으면 전체보기에등록(v1-3-2) 버튼을 클릭하여 등록시키게 된다. 그러면 주기사항등록 시스템(v1-3)의 등록부(v1-3-3)에 자동으로 링크되고 등록된 링크를 클릭하면 기술부(v1-3-4)에서 지식맵의 전체적인 사항에 대해서 주기사항을 기술하다가 커서위치에 해당 주기사항(v1-3-1)이 등록되며 이를 클릭할 경우 내용이 디스플래이 되어 해당 사항을 확인할 수 있다.
도(G-2-4)는 평가자의 자신이 부여한 개별사항에 대한 점수사항(v1-2-3)으로서 전체 사항에 대한 평가자의 점수 부여기(v1-2-2)에 점수를 책정할 때 자신이 해당 교수의 개별사항에 입력한 평가점수 사항을 항목별로 디스플레이하는 것이다.
도8의 이용자의 지식구조 설정기(x1)는 도서관이용자가 자신만의 가상 지식맵을 설정하는 것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도서관의 서버등에서 각 이용자마다 적정양의 메모리를 할당하여 각 이용자 고유의 공간에 해당이용자가 자료들의 연관관계설 정작업을 하여 자신만의 지식맵을 설정하는 것으로서 관계설정기(s1)를 통해서 주제어보기(j1)와 관계내용정보(l1)의 입력과 자료들의 연관관계설정작업을 이용자 자신이 직접설정하며 이용자가 읽은 자료 뿐만이 아니라 독서 계획에 책정되어있는 자료 또한 가상으로 생성하여 지식맵에 추가할 수 있으며 주제어보기(j1)와 관계내용정보(l1)는 자동등록(x1-4)과 선택등록(x1-5)을 통해 모든 교수들이 입력한 사항을 그대로 등록시키는 기능과 자신이 선택한 교수들이 입력시킨 사항만을 선별적으로 등록시키는 기능을 제공한다. 그리고 자동등록(x1-4)을 클릭하면 해당 자료에 저장되어있는 모든 주제어보기(j1)와 연결관계표시(k1)에 있는 관계내용정보(l1)와 교수정보(m1)가 자동적으로 모두 등록되며 대표교수(m1-4)의 관계내용정보(l1)가 관계내용정보(l1)의 첫 번째 내용으로 디스플래이 되며 대표교수(m1-4)는 개별 사항에 대한 이용자의 점수 부여기(v1-1-1)에서 가장 높은 점수를 받은 교수가 된다. 선택등록(x1-5)을 선택할 경우에는 주제어보기(j1)와 관계내용정보(l1)에 있는 내 지식맵에 등록하기(x1-1)로 클릭하여 선택한 사항만이 등록되는 시스템이다. 특히 도2의 (B-1-3)의 주제어(j1-1) 입력부분은 왼쪽부분에 나열되어 있는 주제어를 오른쪽으로 드레그하여 나의 지식맵에 일괄등록(x1-3)으로 이동시키고 한꺼번에 등록시키는 기능이며 서평은 각 하나의 서평마다 일일이 내지식맵에 등록하기(x1-1)버튼을 클릭하여 등록시킨다.
특히 관계내용정보(l1)의 경우 도2의 (B-1-2)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등록시키는 단위를 호(l1-1)로 한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대학도서관에 소장되어있는 자료들의 연관성을 설정해 주고, 그 연관성이 구체적으로 어떻게 유기적으로 체계화 시킴으로서 대학에서 이루어지는 교육과 연구, 개발의 질적 향상을 위한 것으로서,
학생들에게는 자신이 배우고 있는 학문의 체계를 세우는데 도움이 되며, 수학하여 습득한 지식체계를 중심으로 시행착오 없이 지식의 확장을 정확하고 용이하게 할 수 있고, 도서관의 지식서비스를 통해 혼자서도 전문분야의 지식을 공부할 수 있게 된다.
교수 들에게는 자신이 가지고 있는 지식을 실재하는 자료를 통하여 체계적이며 통합적으로 명확히 정의 하는 기회가 되어‘자신의 지식의 한계와 범위, 정체성을 명확히 하여’더 넓은 지식의 확장에 기준을 세울 수 있으며, 또한 같은 전공분야의 다른 교수들이 구축해 놓은 지식체계를 확인하여 다른 교수들의 지식과 견해를 쉽게 접할 수 있으므로 자신의 지식이 잘 못되었는지 혹은 다른 시각과 견해로 볼 수도 있는지를, 또는 자신이 가지고 있는 범위 이상의 지식을 습득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며, 이를 통해 자신의 학문분야에 다양한 아이디어와 정보를 획득하는데 유리한 것이다.
학교 입장에서는 도서관을 중심으로 대학의 학문이 유기적으로 통합되어 대학을 명실상부한 학문중심의 기관으로 거듭나게 할 것이며, 또한 그 대학에 종사하던 교수나 박사가 여러 가지 사정으로 대학을 떠난다고 하더라도 "그 사람의 지식은 여전히 대학에 남아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도서관과 각 학관의 관 계가 밀접해 지며, 도서관은 단순한 자료의 보관소가 아닌 유기적인 하나의 지식통합체로서 구현되는 발명인 것이다.

Claims (4)

  1. 대학도서관등 도서관의 도서관리시스템을 구성하는데 있어서, 해당자료를 자리생성기(s1-6-1)의 위치에 자료를나타내는객체(i1)로 생성하고 이에 주제어보기(j1)를 두어 해당자료에 대한 주제어와 초록등 자료에 대한 내용을 나타내며, 서로 연관관계가 있는 자료들에 대해서 연결관계표시(k1)를 연결점(s1-6-2)에 따라 연결하여 서로 연관관계가 있음을 표시하고 각 연결관계표시(k1)에는 관계내용정보(l1)를 두어 자료들간의 연관관계의 내용을 구체적으로 나타내주고 교수정보(m1)를 추가하여 동일한 연결관계표시(k1)에대해 교수에 따른 다양한 관계내용정보(l1)를 표시하여 비교할 수 있게 하며, 또한 특정교수의 지식맵 상세보기(p2), 특정교수의 지식맵 전체보기(p3), 특정교수의 입체구조 지식맵 전체보기(p4), 특정교수의 입체구조 지식맵 상세보기(p5)를 통해 특정교수가 설정한 자료들만의 연관관계를 평면적, 입체적인 구성으로 나타내어 해당교수의 지식맵을 설정하고 디스플래이하여 공유하며 도서관이용자또한 이용자의 지식구조 설정기(x1)를 통해 도서관소장자료와 소장하지 않는자료 그리고 읽은자료와 읽지 않은자료를 구성요소로 하여 자신의 지식맵을 설정하여 이용자 자신만의 지식맵을 설정하는 지식구축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자료들간의 관계설정과 데이터의 입력은 괸계설정기(s1)와 객체생성기(s1-6)을 통해 자료를나타내는객체(i1)를 생성하고 주제어보기(j1)의 내용을 입력하고 연결관계표시(k1)를 설정하고 관계내용정보(l1)와 교수정보(m1)를 입력하므로서 이루어지며, 객체생성기(s1-6)에서는 지식맵의 모양도 마우스의 드레그등을 통하여 조절하는 지식구축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이미 구축된 각 교수의 지식맵에 대해서 점수부여기(V1-1)를 통해 이용자와 해당학문분야의 전문지식을 가진 평가자가 평가점수를 입력하고 디스플래이하는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자리생성기(s1-6-1)와 연결점(s1-6-2)의 위치가 연결관계표시(k1)와 연관도서수(s1-3-3-4)의 갯수중 많은수에 근거하여 위치구성의예(W1)에 따라 미리 프로그램된 해당모양으로 자동적으로 배치되며, 특정교수의 인체구조 지식맵 전체보기(p4)와 특정교수의 입체구조 지식맵 상세보기(p5)등의 입체지식맵은 계층구분선(s1-6-3)을 두어 자료들간의 상하 계념관계를 구분하고 도4의(D-3)처럼 특정한 모양의 연결관계표시(k1)와 특정 개념이 매칭되록 하고 특정교수의 입체구조 지식맵 전체보기(p4)에서처럼 동일한 계층구분선(s1-6-3)상에 있는 자료들간의 위치가, 자료간개념관계(l1-2)들의 약속된 위치지정과 우선순위에 의하여 서로 대칭하는위치나 가까운 위치에 상호 자리하도록하여 자료들간의 개념관계를 가시적으로 나타내주는 시스템
KR1020050011816A 2005-02-07 2005-02-07 대학도서관의 통합지식 구축 시스템 KR2006009053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1816A KR20060090539A (ko) 2005-02-07 2005-02-07 대학도서관의 통합지식 구축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1816A KR20060090539A (ko) 2005-02-07 2005-02-07 대학도서관의 통합지식 구축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0539A true KR20060090539A (ko) 2006-08-11

Family

ID=375716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11816A KR20060090539A (ko) 2005-02-07 2005-02-07 대학도서관의 통합지식 구축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90539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6722B1 (ko) * 2007-12-18 2010-08-18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사용자 맞춤형 연구 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
CN110019826A (zh) * 2017-07-27 2019-07-16 北大医疗信息技术有限公司 医疗知识图谱的构建方法、构建装置、设备和存储介质
KR20210084024A (ko) 2019-12-27 2021-07-07 신안산대학교 산학협력단 Led를 이용한 도서위치 식별시스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6722B1 (ko) * 2007-12-18 2010-08-18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사용자 맞춤형 연구 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
CN110019826A (zh) * 2017-07-27 2019-07-16 北大医疗信息技术有限公司 医疗知识图谱的构建方法、构建装置、设备和存储介质
CN110019826B (zh) * 2017-07-27 2023-02-28 北大医疗信息技术有限公司 医疗知识图谱的构建方法、构建装置、设备和存储介质
KR20210084024A (ko) 2019-12-27 2021-07-07 신안산대학교 산학협력단 Led를 이용한 도서위치 식별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Hearst et al. Finding the flow in web site search
Becerra-Fernandez Searching for experts on the Web: A review of contemporary expertise locator systems
Antracoli et al. Archives for Black lives in Philadelphia: Anti-Racist description resources
Demian et al. Information retrieval from civil engineering repositories: importance of context and granularity
Filipov et al. CV3: Visual exploration, assessment, and comparison of CVs
Yaco et al. Informatics for cultural heritage instruction: an ontological framework
Wang et al. Using classification schemes and thesauri to build an organizational taxonomy for organizing content and aiding navigation
Wang et al. Evaluation of the navigation effectiveness of an organizational taxonomy built on a general classification scheme and domain thesauri
KR20060090539A (ko) 대학도서관의 통합지식 구축 시스템
Chrysanthopoulos et al. University archives: the research road travelled and the one ahead
Trace et al. The value and complexity of collection arrangement for evidentiary work
Martin et al. The right story at the right time: towards a tacit knowledge resource for (student) designers
Karlovcec et al. Conceptualization of science using collaboration and competences
Rudraraju et al. A learning environment based on knowledge storage and retrieval using concept maps
Carlson et al. The intersection of virtual organizations and the library: A case study
Abifarin et al. Design evaluation of academic library websites in Nigeria
Bartolini et al. ALDO: An Innovative Digital Framework for Active E-Learning
Chandler Building digital collections at the OAC: Current strategies with a view to future uses
Velásquez et al. Tools for external plagiarism detection in DOCODE
Pirmann Using tags to improve findability in library OPACs: a Usability Study of LibraryThing for Libraries
Farag et al. The Effect Of Information Architecture On The Design Of University Library Websites
Schmitt Personal knowledge management for empowerment (PKM4E): A framework for tackling rising big data and extelligence
Kotzé et al. Teaching human-computer interaction: Qualitative support for an alternative approach
Farg et al. Library and Information Specialist in the Light of Information Architecture and his Role in Organizing Content.
Ssegawa et al. Developing an online public access catalogue for Our Lady of Fatima Secondary School Library Nakulaby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