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90430A - 환기장치 - Google Patents

환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90430A
KR20060090430A KR1020050010956A KR20050010956A KR20060090430A KR 20060090430 A KR20060090430 A KR 20060090430A KR 1020050010956 A KR1020050010956 A KR 1020050010956A KR 20050010956 A KR20050010956 A KR 20050010956A KR 20060090430 A KR20060090430 A KR 200600904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charge
outdoor air
indoor air
air
introdu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109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41350B1 (ko
Inventor
이종철
Original Assignee
이종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철 filed Critical 이종철
Priority to KR10200500109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41350B1/ko
Publication of KR200600904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904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13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13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07Ventilation with forced flow
    • F24F7/013Ventilation with forced flow using wall or window fans, displacing air through the wall or window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082Grilles, registers or guar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17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unted in a wal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2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unted in or close to a window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nti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환기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환기장치는, 실내공기 흡입구 및 실내공기 토출구를 갖는 배출실과, 실외공기 흡입구 및 실외공기 토출구를 갖는 도입실을 구비하는 본체와; 본체의 배출실에 설치되며, 실내공기 흡입구를 통해 실내의 공기를 흡입하여 실내공기 토출구를 통해 실외로 배출시키는 실내공기 배출수단과; 본체의 도입실에 설치되며, 실외공기 흡입구를 통해 실외의 공기를 흡입하여 실외공기 토출구를 통해 실내로 도입하는 실외공기 도입수단을 구비한다. 실내공기 배출수단은, 배출실의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시로코형 배출팬이며, 실외공기 도입수단은, 배출팬과 동일한 회전축선 상에 설치되는 시로코형 도입팬이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하면, 실내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킴과 아울러 외부의 신선한 공기를 실내로 공급함으로써 실내의 공기를 충분히 환기시킬 수 있으며, 따라서 실내의 환기효율을 높여주는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환기장치{VENTILATO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환기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환기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환기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환기장치를 구성하는 슬라이딩 도어가 차단위치에서 개방위치로 운동하는 것을 나타내는 평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환기장치를 구성하는 커버플레이트와 슬라이딩 도어를 나타내는 도 2의 Ⅴ-Ⅴ선 단면도,
도 6은 도 5의 작동도로서, 슬라이딩 도어가 차단위치에서 개방위치로 운동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환기장치를 구성하는 실내공기 배출수단이 실내의 공기를 실외로 배출하는 것을 나타내는 작동도,
도 8은 본 발명의 환기장치를 구성하는 실외공기 도입수단이 실외의 공기를 실내로 공급하는 것을 나타내는 작동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본체 10a: 슬릿
12: 배출실 12a: 실내공기 흡입구
12b: 실내공기 토출구 14: 도입실
14a: 실외공기 흡입구 14b: 실외공기 토출구
20: 커버플레이트 22: 통기구멍
24: 여과망 30: 슬라이딩 도어
32: 연통구멍 34: 운동수단
36: 구동모터 38: 작동아암
40: 실내공기 배출수단 42: 배출팬
50: 실외공기 도입수단 52: 도입팬
60: 흡음재 70: 제어부
80: 필터
본 발명은 환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실내의 오염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킴과 아울러 외부의 신선한 공기를 실내로 공급할 수 있는 환기장치에 관한 것이다.
실내의 공기오염은 인체에 많은 질병을 유발한다. 특히, 실내에서 발생하는 각종 먼지, 미생물들은 호흡기 질병과 각종 알레르기를 유발하는 원인이 되며, 실내의 건축자재에서 배출되는 각종 오염물질, 예를 들면 포름알데히드, 휘발성 유기물, 석면가루 등은 두통, 기침, 가려움증, 현기증, 피로감, 집중력저하를 가져오 며, 심지어는 심장병과 암을 유발시킨다. 따라서, 실내의 공기를 주기적으로 환기시킴으로써 먼지와 미생물성물질 및 각종 오염물질 등이 실내에 축적되는 것을 방지해야 한다.
한편, 환기장치의 일례로서, 환풍기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환풍기는 다수의 날개를 갖는 팬과, 팬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로 구성되며, 창틀에 설치되어 실내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역할을 한다.
그런데, 이러한 환풍기는 실내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켜 실내의 공기를 환기시킨다는 장점은 있으나, 외부의 신선한 공기를 실내로 공급할 수는 없다는 단점이 지적되고 있다. 물론, 환풍기가 실내의 공기를 배출시킴에 따라 창문 틈이나 기타 건축물의 미세공간으로 외부 공기가 조금씩 유입되기는 하나, 그 유입량이 충분하지 못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실내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킴과 아울러 외부의 신선한 공기를 실내로 공급하여 실내의 공기를 충분히 환기시킬 수 있는 환기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환기장치는 실내의 공기를 환기시키는 환기장치에 있어서, 실내공기 흡입구 및 실내공기 토출구를 갖는 배출실과, 실외공기 흡입구 및 실외공기 토출구를 갖는 도입실을 구비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배출실에 설치되며, 상기 실내공기 흡입구를 통해 실내의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실내공기 토출구를 통해 실외로 배출시키는 실내공기 배출수단과; 상기 본체의 도입실에 설치되며, 상기 실외공기 흡입구를 통해 실외의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실외공기 토출구를 통해 실내로 도입하는 실외공기 도입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실내공기 배출수단은, 상기 배출실의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시로코형 배출팬이며, 상기 실외공기 도입수단은, 상기 배출팬과 동일한 회전축선 상에 설치되는 시로코형 도입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환기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환기장치는 본체(10)를 구비한다. 본체(10)는 실내의 벽체(W) 또는 창틀에 고정적으로 설치되는 것으로, 긴 길이를 가지며, 내부에는 배출실(12)과 도입실(14)이 형성되어 있다.
배출실(12)은 실내공기 흡입구(12a)와 실내공기 토출구(12b)를 갖는다. 실내공기 흡입구(12a)는 실내에 배치되도록 구성되며, 실내공기 토출구(12b)는 실외에 배치되도록 구성된다.
도입실(14)은 실외공기 흡입구(14a)와 실외공기 토출구(14b)를 갖는다. 실외공기 흡입구(14a)는 실외에 배치되도록 구성되고, 실외공기 토출구(14b)는 실내에 배치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배출실(12)의 실내공기 토출구(12b)와 도입실(14)의 실외공기 흡입 구(14a)는 하방을 향해 형성된다. 이는 우천시, 상부에서 낙하하는 빗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한편, 실내공기 흡입구(12a)와 실외공기 토출구(14b)에는 커버플레이트(20)가 고정적으로 설치된다. 커버플레이트(20)는 공기가 출입할 수 있는 다수의 통기구멍(22)들을 갖추고 있으며, 그 내측면에는 여과망(24)이 설치된다. 여과망(24)은 다수의 통기구멍(22)들을 통과하는 공기를 걸러준다. 특히, 공기속에 포함된 크고 거친 먼지들을 걸러준다.
그리고 커버플레이트(20)의 내측면에는 다수의 통기구멍(22)들을 개방하거나 차단하는 슬라이딩 도어(30)가 설치된다. 슬라이딩 도어(30)는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기구멍(22)들과 정렬되는 다수의 연통구멍(32)들을 갖추고 있는 것으로, 커버플레이트(20)에 형성된 가이드레일(20a)을 따라 "개방위치"(A)와 "차단위치"(B)사이에서 슬라이딩 운동하도록 구성된다. 특히, "개방위치"(A)에서는 다수의 연통구멍(32)들이 커버플레이트(20)의 통기구멍(22)과 정렬되게 하여 상기 통기구멍(22)을 개방시키며, "차단위치"(B)에서는 커버플레이트(20)의 통기구멍(22)과 어긋나게 하여 상기 통기구멍(22)을 차단시킨다.
한편, 이러한 슬라이딩 도어(30)는 별도의 운동수단(34)에 의해 "개방위치"(A)와 "차단위치"(B)사이에서 슬라이딩 운동하도록 구성되는데, 이러한 운동수단(34)은 도 5와 도 6에서와 같이 구동모터(36)와, 구동모터(36)의 출력축(36a)에 고정된 상태에서 회동운동하면서 상기 슬라이딩 도어(30)를 운동시키는 작동아암(38)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운동수단(34)은 후술하는 제어부(70)의 온/오프 조절스위치(72)를 온/오프시킴에 따라 동시에 작동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온/오프 조절스위치(72)를 온(on)시킴에 따라 상기 슬라이딩 도어(30)를 "차단위치"(B)에서 "개방위치"(A)로 운동시켜 상기 통기구멍(22)을 개방시키며, 온/오프 조절스위치(72)를 오프(off)시킴에 따라 상기 슬라이딩 도어(30)를 "개방위치"(A)에서 "차단위치"(B)로 운동시켜 상기 통기구멍(22)을 폐쇄시킨다.
다시,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환기장치는 본체(10)의 배출실(12)에 설치되는 실내공기 배출수단(40)과, 도입실(14)에 설치되는 실외공기 도입수단(50)을 구비한다.
실내공기 배출수단(40)은 고풍량·저소음을 구현할 수 있는 시로코(sirocco)형 배출팬(42)으로서, 실내공기 흡입구(12a)를 통해 실내의 공기를 흡입하도록 구성된다. 특히, 실내공기 흡입구(12a)를 통해 실내의 공기를 흡입함으로써, 흡입된 실내의 공기가 배출실(12)과 실내공기 토출구(12b)를 통해 실외로 배출될 수 있게 한다.
그리고 실외공기 도입수단(50)은 배출팬(42)과 동일한 회전축선 상에 설치되는 시로코(sirocco)형 도입팬(52)으로서, 실외공기 흡입구(14a)를 통해 실외의 공기를 흡입하도록 구성된다. 특히, 실외공기 흡입구(14a)를 통해 실외의 공기를 흡입함으로써, 흡입된 실외의 신선한 공기가 도입실(14)과 실외공기 토출구(14b)를 통해 실내로 공급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배출팬(42)과 도입팬(52)은 실내의 탁한 공기는 외부로 배출시키고, 외부의 신선한 공기는 실내로 공급하므로 실내의 공기를 효율좋게 환기시킨다.
다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체(10)의 배출실(12)과 도입실(14)의 내부 벽면에는 흡음재(60), 예를 들면, 폴리우레탄 발포재 등이 설치된다. 흡음재(60)는 흡입실(12)의 배출팬(42)과 도입팬(52)이 작동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작동음을 흡음함으로써, 소음을 줄여주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환기장치는 제어부(70)를 구비한다. 제어부(70)는 마이컴과 구동회로를 갖추고 있는 것으로, 배출팬(42)과 도입팬(52) 및 슬라이딩 도어(30)를 운동시키기 위한 구동모터(36)를 온/오프시키고, 배출팬(42)과 도입팬(52)으로 공급되는 전류의 크기를 조절하여 배출팬(42)과 도입팬(52)의 회전속도를 제어한다. 그리고 설정된 시간동안 배출팬(42)과 도입팬(52)을 작동시킨다.
한편, 이러한 제어부(70)는 배출팬(42)과 도입팬(52)을 온/오프시킴과 동시에 이들로 공급되는 전류의 크기를 조절하는 회전식 조절스위치(72)와, 배출팬(42)과 도입팬(52)의 작동을 선택적으로 구동시킬 수 있는 누름버튼(74)들을 구비하고 있음은 물론이다.
다시,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도입실(14)의 실외공기 토출구(14b)에는 필터(80)가 설치된다. 필터(80)는 부직포로 구성되며,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공기 속의 이물질을 여과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필터(80)는 본체(10)의 상면에 형성된 슬릿(10a)에 착탈가능하게 끼워져 필요에 따라 본체(10)로부터 분리할 수 있게 구성되며, 따라서 이물질에 의해 오염되면 본체(10)로부터 분리하여 청소할 수 있게 구성된다.
다음으로,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작동예를 도 1과 도 5 및,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실내의 오염된 공기를 실외로 배출시키고자 할 경우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70)의 누름버튼(74)을 이용하여 배출팬(42)을 선택한다. 그런 다음, 회전식 조절스위치(72)를 회전시켜 배출팬(42)을 온(on)시킨다. 그러면, 배출팬(42)은 회전하기 시작하며, 회전하는 배출팬(42)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내공기 흡입구(12a)를 통해 실내의 오염된 공기를 빨아들이기 시작한다. 이때, 제어부(70)는 슬라이딩 도어(30)를 운동시키기 위한 운동수단(34)의 구동모터(36)를 동시에 작동시키는데, 작동되는 구동모터(36)는 도 6에서와 같이 슬라이딩 도어(30)를 "차단위치"(B)에서 "개방위치"(A)로 운동시키며, 이에 따라 커버플레이트(20)의 통기구멍(22)은 완전히 개방된다. 결국, 실내의 공기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플레이트(20)의 통기구멍(22)을 통해 본체(10)의 배출실(12)로 도입되고, 도입된 실내의 공기는 실내공기 토출구(12b)를 통해 실외로 배출되면서 환기되는 것이다.
한편, 환기가 완료되면, 회전식 조절스위치(72)를 회전시켜 배출팬(42)을 오프(off)시킨다. 그러면, 배출팬(42)은 회전을 멈추면서 공기의 흡입을 중단한다. 이때, 제어부(70)는 슬라이딩 도어 운동수단(34)의 구동모터(36)를 역방향으로 작동시킨다. 그리고 역방향으로 작동되는 구동모터(36)는 도 5에서와 같이 슬라이딩 도어(30)를 "개방위치"(A)에서 "차단위치"(B)로 운동시킨다. 따라서 커버플레이트(20)의 통기구멍(22)은 완전히 차단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배출실(12)의 실내공 기 흡입구(12a)는 차단되면서 공기의 유통을 제한한다.
다음으로, 실외의 신선한 공기를 실내로 공급하고자 할 경우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70)의 누름버튼(74)을 이용하여 도입팬(52)을 선택한다. 그런 다음, 회전식 조절스위치(72)를 회전시켜 도입팬(52)을 온(on)시킨다. 그러면, 도입팬(52)은 회전하기 시작하며, 회전하는 도입팬(52)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외공기 흡입구(14a)를 통해 실외의 신선한 공기를 빨아들이기 시작한다. 이때, 제어부(70)는 슬라이딩 도어(30)를 운동시키기 위한 운동수단(34)의 구동모터(36)를 동시에 작동시키는데, 작동되는 구동모터(36)는 도 6에서와 같이 슬라이딩 도어(30)를 "차단위치"(B)에서 "개방위치"(A)로 운동시키며, 이에 따라 커버플레이트(20)의 통기구멍(22)은 완전히 개방된다. 결국, 실외의 신선한 공기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의 도입실(14)로 도입되고, 도입된 실외의 공기는 실외공기 토출구(14b)를 통해 실내로 공급되면서 환기되는 것이다.
한편, 환기가 완료되면, 회전식 조절스위치(72)를 회전시켜 도입팬(52)을 오프(off)시킨다. 그러면, 도입팬(52)은 회전을 멈추면서 공기의 흡입을 중단한다. 이때, 제어부(70)는 슬라이딩 도어 운동수단(34)의 구동모터(36)를 역방향으로 작동시킨다. 그리고 역방향으로 작동되는 구동모터(36)는 도 5에서와 같이 슬라이딩 도어(30)를 "개방위치"(A)에서 "차단위치"(B)로 운동시킨다. 따라서 커버플레이트(20)의 통기구멍(22)은 완전히 차단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도입실(14)의 실외공기 토출구(14b)는 차단되면서 공기의 유통을 제한한다.
다음으로, 실내의 공기를 배출시키면서 동시에 실외의 신선한 공기를 실내로 공급하고자 할 경우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70)의 누름버튼(74)을 이용하여 배출팬(42)과 도입팬(52)을 동시에 선택한다. 그런 다음, 회전식 조절스위치(72)를 회전시켜 배출팬(42)과 도입팬(52)을 동시에 온(on)시킨다. 그러면, 배출팬(42)과 도입팬(52)은 회전하기 시작한다. 이때 회전하는 배출팬(42)은 실내공기 흡입구(12a)를 통해 실내의 오염된 공기를 빨아들이기 시작하고, 도입팬(52)은 실외공기 흡입구(14a)를 통해 실외의 신선한 공기를 빨아들이기 시작한다.
한편, 제어부(70)는 슬라이딩 도어(30)를 운동시키기 위한 운동수단(34)의 구동모터(36)를 동시에 작동시키는데, 작동되는 구동모터(36)는 도 6에서와 같이 슬라이딩 도어(30)를 "차단위치"(B)에서 "개방위치"(A)로 운동시키며, 이에 따라 커버플레이트(20)의 통기구멍(22)은 완전히 개방된다. 결과적으로, 실내의 탁한 공기는 배출팬(42)에 의해 실외로 배출되고, 실외의 신선한 공기는 같이 도입팬(52)에 의해 실내로 공급된다.
한편, 환기가 완료되면, 회전식 조절스위치(72)를 회전시켜 배출팬(42)과 도입팬(52)을 오프(off)시킨다. 그러면, 배출팬(42)과 도입팬(52)은 회전을 멈추면서 공기의 흡입을 중단한다. 이때, 제어부(70)는 슬라이딩 도어 운동수단(34)의 구동모터(36)를 역방향으로 작동시킨다. 그리고 역방향으로 작동되는 구동모터(36)는 도 5에서와 같이 슬라이딩 도어(30)를 "개방위치"(A)에서 "차단위치"(B)로 운동시킨다. 따라서 커버플레이트(20)의 통기구멍(22)은 완전히 차단된다. 이와 같은 상 태에서 배출실(12)의 실내공기 흡입구(12a)와 도입실(14)의 실외공기 토출구(14b)는 차단되면서 공기의 유통을 제한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환기장치는, 실내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킴과 아울러 외부의 신선한 공기를 실내로 공급함으로써 실내의 공기를 충분히 환기시킬 수 있으며, 따라서 실내의 환기효율을 높여주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5)

  1. 실내의 공기를 환기시키는 환기장치에 있어서,
    실내공기 흡입구 및 실내공기 토출구를 갖는 배출실과, 실외공기 흡입구 및 실외공기 토출구를 갖는 도입실을 구비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배출실에 설치되며, 상기 실내공기 흡입구를 통해 실내의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실내공기 토출구를 통해 실외로 배출시키는 실내공기 배출수단과;
    상기 본체의 도입실에 설치되며, 상기 실외공기 흡입구를 통해 실외의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실외공기 토출구를 통해 실내로 도입하는 실외공기 도입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공기 배출수단은, 상기 배출실의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시로코형 배출팬이며, 상기 실외공기 도입수단은, 상기 배출팬과 동일한 회전축선 상에 설치되는 시로코형 도입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공기 흡입구와 상기 실외공기 토출구에는 다수의 통기구멍들을 갖는 커버플레이트가 설치되며, 상기 커버플레이트의 내측면에는 상기 통기구멍을 출 입하는 공기속의 이물질을 여과할 수 있는 여과망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플레이트의 통기구멍들과 연통가능한 다수의 연통구멍을 가지며, 개방위치에서 상기 통기구멍들을 개방시키고, 차단위치에서 상기 통기구멍을 차단하도록 상기 커버플레이트에 슬라이딩 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슬라이딩 도어와;
    상기 슬라이딩 도어를 개방위치와 차단위치 사이에서 운동시키는 운동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실외공기 도입수단에 의해 공급되는 실외의 공기를 여과할 수 있도록 상기 실외공기 토출구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필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장치.
KR1020050010956A 2005-02-05 2005-02-05 환기장치 KR1006413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0956A KR100641350B1 (ko) 2005-02-05 2005-02-05 환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0956A KR100641350B1 (ko) 2005-02-05 2005-02-05 환기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3569U Division KR200382353Y1 (ko) 2005-02-05 2005-02-05 환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0430A true KR20060090430A (ko) 2006-08-11
KR100641350B1 KR100641350B1 (ko) 2006-11-06

Family

ID=375716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10956A KR100641350B1 (ko) 2005-02-05 2005-02-05 환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4135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26293A (ko) * 2017-09-04 2019-03-13 동서대학교 산학협력단 창문설치형 공기청정기
CN116123644A (zh) * 2023-04-16 2023-05-16 华北理工大学 一种室内连通换气设备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6626B1 (ko) * 2008-03-06 2010-11-25 이학철 실내공기 환기장치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96931A (ja) 1981-12-07 1983-06-09 Hitachi Ltd 熱交換器を備えた換気扇
JPH0726747B2 (ja) * 1988-05-16 1995-03-29 三菱電機株式会社 空冷ヒートポンプ式空気調和装置
KR940003123Y1 (ko) * 1991-12-05 1994-05-12 윤홍근 환기 장치
KR960023831A (ko) * 1994-12-30 1996-07-20 구자홍 환풍기
KR960034898A (ko) * 1995-03-15 1996-10-24 박철순 가정용 실내 공기순환장치
KR20010094650A (ko) * 2000-03-31 2001-11-01 김윤규, 정주영, 심옥진, 정몽헌 창문일체형 고정식 열교환 환기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26293A (ko) * 2017-09-04 2019-03-13 동서대학교 산학협력단 창문설치형 공기청정기
CN116123644A (zh) * 2023-04-16 2023-05-16 华北理工大学 一种室内连通换气设备
CN116123644B (zh) * 2023-04-16 2023-07-04 华北理工大学 一种室内连通换气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41350B1 (ko) 2006-1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74271B1 (ko) 환기 청정 장치
KR100708358B1 (ko) 송풍 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공기 조화기
KR102302110B1 (ko) 비말 및 미세먼지 제거 보건용 공조환기조화기
KR100915364B1 (ko) 창호 일체형 공기청정 시스템
KR100651861B1 (ko) 환기겸용 공기청정기
KR20120016901A (ko) 환기유로를 구비한 벽걸이용 공기청정기
KR100577206B1 (ko) 환기시스템
KR100622111B1 (ko) 열교환 기능을 갖는 창틀형 환기 장치
KR100641350B1 (ko) 환기장치
KR100502615B1 (ko) 창문형 환기장치
KR200382353Y1 (ko) 환기장치
KR102079202B1 (ko) 공기 청정기
KR20210055530A (ko) 환기형 공기청정기
KR200369798Y1 (ko) 지상 건물용 공기 청정기
KR200284643Y1 (ko) 창문형 환기장치
KR20060098572A (ko) 환기장치
KR20050118784A (ko) 창문형 환기시스템
KR101719544B1 (ko) 다기능 자동환기장치
KR101915396B1 (ko) 화장실용 환기장치
KR200375010Y1 (ko) 외기흡입장치와 연동하는 댐퍼장치를 이용한 환기시스템
KR100535842B1 (ko) 공기 조화기
KR101211278B1 (ko) 환기 청정 장치
KR20060082583A (ko) 환기장치
KR100674277B1 (ko) 환기 청정 장치
KR100674272B1 (ko) 환기 청정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8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