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90334A - 강관말뚝기초 보강장치 및 이에 사용되는 주철근고정기구, 내부받침기구 - Google Patents
강관말뚝기초 보강장치 및 이에 사용되는 주철근고정기구, 내부받침기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60090334A KR20060090334A KR1020050011095A KR20050011095A KR20060090334A KR 20060090334 A KR20060090334 A KR 20060090334A KR 1020050011095 A KR1020050011095 A KR 1020050011095A KR 20050011095 A KR20050011095 A KR 20050011095A KR 20060090334 A KR20060090334 A KR 20060090334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teel pipe
- pipe pile
- reinforcing bar
- steel
- suppor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9/00—Multistage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 C02F1/283—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using coal, charred products, or inorganic mixtures containing them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2—Activated sludge processes
- C02F3/1236—Particular type of activated sludge installations
- C02F3/1268—Membrane bioreactor system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32—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from the food or foodstuff industry, e.g. brewery waste wat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Piles And Underground Anch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강관말뚝(10)의 두부에 복수개의 주철근(20)을 고정하는 강관말뚝기초 보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주철근(20)의 하단에 형성된 주철근 절곡부(21)와; 주철근 절곡부(21)가 삽입되도록, 강관말뚝(10)의 측벽에 관통형성된 주철근 삽입공(11)과; 주철근 삽입공(11)에 주철근 절곡부(21)가 삽입된 상태에서, 강관말뚝(10)과 주철근(20)을 고정하는 주철근 고정기구(100)를; 포함하는 강관말뚝기초 보강장치를 제시함으로써, 시공을 간편하게 하면서도 소요되는 강도를 충분히 만족할 수 있도록 한다.
강관말뚝, 두부, 보강, 철근
Description
도 1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1은 강관말뚝기초 보강장치의 제1실시예의 사시도.
도 2는 주철근 고정기구의 제1실시예가 사용된 강관말뚝기초 보강장치의 사시도.
도 3은 주철근 고정기구의 제1실시예의 사시도.
도 4는 주철근 고정기구의 제1실시예의 또 다른 사시도.
도 5는 주철근 고정기구의 제2-1실시예의 사시도.
도 6은 주철근 고정기구의 제2-2실시예의 사시도.
도 7은 주철근 고정기구의 제2-2실시예가 사용된 강관말뚝기초 보강장치의 사시도.
도 8은 주철근 고정기구의 제3실시예가 사용된 강관말뚝기초 보강장치의 사시도.
도 9는 주철근 고정기구의 제3실시예의 분해사시도.
도 10은 내부받침기구가 강관말뚝기초 보강장치의 사시도.
도 11은 내부받침기구 중 받침판 지지수단의 사시도.
도 12는 내부받침기구의 사시도.
도 13 내지 도 15는 종래의 강관말뚝기초 보강장치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13은 측면도.
도 14는 사시도.
도 15는 분해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강관말뚝 11 : 주철근 삽입공
12 : 개구 가장자리부 20 : 주철근
21 : 주철근 절곡부 100 : 주철근 고정기구
110 : 끼움식 고정구 111 : 주철근 삽입홈
112 : 본체부 113 : 강관말뚝 끼움홈
114 : 주철근 밀착수단 114a : 탄성력 인가부
120 : 클립식 고정구 121 : 주철근 지지부
122 : 강관말뚝 지지부 123 : 강관말뚝 끼움홈
124 : 2차굴곡부 130 : 체결식 고정구
131 : 체결구 관통공 132 : 주철근 지지부재
132a : 주철근 삽입용 절곡부 132b : 체결부
133 : 체결구 133a : 볼트
133b : 너트 134 : 주철근 삽입홈
200 : 내부받침기구 210 : 받침판
211 : 그물구조의 받침판 220 : 받침판 지지수단
221 : 받침판 지지부 222 : 연장부
223 : 걸림부
본 발명은 강관말뚝기초 보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강관말뚝기초의 두부에 주철근을 보다 효율적으로 설치하기 위한 구조에 관한 것이다.
강관말뚝기초는 지반에 강관말뚝을 삽입하고, 그 강관말뚝의 두부에 철근 구조물을 설치한 후, 그 철근 구조물의 주위에 거푸집을 설치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함으로써, 강관말뚝과 콘크리트 구조물을 일체로 형성한 기초 구조물을 말한다.
도 13 내지 도 15는 종래의 강관말뚝기초의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강관말뚝기초는 지반에 삽입되도록 설치된 강관말뚝(10)의 두부에 복수개의 주철근(20)을 설치하고, 그 주철근(20)의 주위에 띠철근(30)을 설치함으로써, 강관말뚝(10)과 철근 구조물이 일체로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강관말뚝(10)은 속이 빈 원통형상의 강관에 의해 구성되는 것이므로, 그 두부에 주철근(20)의 하단이 일체로 설치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별도의 지지부재(40)가 필요하다.
지지부재(40)는 공법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구성을 취하지만, 공통적인 구조 는 도 14 및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다.
즉, 지지부재(40)의 상면에는 주철근(20)이 장착되기 위한 장착홈(43) 등의 구조가 구비되고, 이러한 지지부재(40)가 강관말뚝(10)의 두부 내주면에 장착될 수 있도록, 고정볼트(42), 강관말뚝(10)의 관통홈(11), 지지부재(40)의 장착홈(41) 등의 구조가 형성된다.
여기서, 고정볼트(42)가 강관말뚝(10)의 측면에 형성된 관통홈(11)을 관통하여 지지부재의 장착홈(41)에 결합됨으로써, 강관말뚝(10)에 대한 지지부재(40)의 정착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그런데,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기술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안고 있었다.
지지부재(40) 및 주철근(20)의 하단은 결국 기초 콘크리트에 의해 매몰될 구조이므로, 차후 타설된 콘크리트와의 상호작용에 의해 상부 구조물의 하중에 저항할 수 있는 정도의 강도를 가지면 충분한 것이나, 종래의 구조는 이러한 상황이 거의 고려되지 않았다는 점이다.
즉, 기본적으로 강관말뚝(10), 주철근(20) 및 지지부재(40)의 복합구조물은 가구조물의 일종이라 할 수 있는데, 종래에는 그 복합구조물이 자체로서 소정 강도를 갖는데 지나친 주안점을 두었으므로, 시공이 불편하고 복잡하여, 전체적으로 효율적인 공법이 되지 못한다는 점에서 문제점으로 지적되어 왔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시공을 간편하게 하면서도 소요되는 강도를 충분히 만족할 수 있도록 하는 강관말뚝기초 보강장치를 제시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강관말뚝의 두부에 복수개의 주철근을 고정하는 강관말뚝기초 보강장치에 있어서, 상기 주철근의 하단에 형성된 주철근 절곡부와; 상기 주철근 절곡부가 삽입되도록, 강관말뚝의 측벽에 관통형성된 주철근 삽입공과; 상기 주철근 삽입공에 상기 주철근 절곡부가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강관말뚝과 주철근을 고정하는 주철근 고정기구를; 포함하는 강관말뚝기초 보강장치를 제시한다.
여기서, 상기 주철근 및 주철근 절곡부는 L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주철근 절곡부는 상기 주철근 삽입공에 상기 강관말뚝의 내측으로부터 외측을 향하여 삽입될 수도 있고, 상기 강관말뚝의 외측으로부터 내측을 향하여 삽입될 수도 있다.
상기 주철근 고정기구는 판형부재를 절곡한 구조로서, 상기 강관말뚝의 개구 가장자리부에 상기 주철근의 몸체부를 결속하는 끼움식 고정구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끼움식 고정구는 심부에 주철근 삽입홈이 형성된 U자형 단면의 본체부와; 상기 강관말뚝의 개구 가장자리부가 끼워지도록, 상기 본체부의 하단에 형성된 강관말뚝 끼움홈을; 포함하는 구조를 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주철근 삽입홈을 형성하는 상기 본체부의 배면에는 상기 주철근을 상기 강관말뚝 방향으로 밀착시키기 위한 주철근 밀착수단이 더 구비된 구조를 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주철근 밀착수단은 상기 본체부의 배면을 소정 절개하고, 이에 의해 형성된 절개편을 상기 주철근 삽입홈 측으로 압박함으로써 형성된 탄성력 인가부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주철근 고정기구는 탄성을 갖는 선형 재질에 의해 일체로 형성된 클립식 고정구에 의해 구현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클립식 고정구는 상기 주철근을 상기 강관말뚝의 개구 가장자리부 방향으로 지지하는 주철근 지지부와; 상기 강관말뚝의 개구 가장자리부에 걸리도록, 상기 주철근 지지부의 양단으로부터 하측으로 연장형성된 강관말뚝 지지부를; 포함하는 구조를 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주철근 지지부와 강관말뚝 지지부 사이에는 상기 강관말뚝의 개구 가장자리부가 끼워지도록 강관말뚝 끼움홈을 형성하는 2차굴곡부가 더 구비된 구조를 취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주철근 고정기구는 심부에 체결구 관통공이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주철근을 지지하는 주철근 지지부재와; 강관말뚝의 측벽에 관통형성된 체결구 삽입공과; 상기 체결구 관통공을 관통하여 상기 체결구 삽입공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주철근 지지부재를 상기 강관말뚝에 고정하는 체결구를; 포함하는 체결식 고정구에 의해 구현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주철근 지지부재는 주철근 삽입홈을 형성하는 주철근 삽입용 절곡부와; 상기 주철근 삽입용 절곡부의 측방으로 연장형성됨과 아울러, 심부에 상기 체결구 관통공이 형성된 체결부를; 포함하는 구조를 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체결구는 볼트와 너트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강관말뚝기초 보강장치는 상부에 타설되는 콘크리트를 받치도록, 상기 강관말뚝의 개구로부터 소정 깊이에 위치되는 받침판과; 상기 받침판을 상기 강관말뚝에 지지시키는 받침판 지지수단을; 포함하는 내부받침기구를 더 구비한 구조를 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받침판은 그물구조를 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받침판 지지수단은 상기 받침판을 지지하는 받침판 지지부와; 상기 받침판이 상기 강관말뚝의 개구로부터 소정 깊이에 위치되도록, 상기 받침판 지지부로부터 상기 소정 깊이만큼 상측으로 연장형성된 연장부와; 상기 강관말뚝의 개구 가장자리부에 걸리도록, 상기 연장부의 상단에 형성된 걸림부를; 포함하는 구조를 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또 다른 수단으로서, 강관말뚝의 두부에 주철근을 고정하는 강관말뚝기초 보강장치용 주철근 고정기구에 있어서, 판형부재를 절곡한 구조로서, 상기 강관말뚝의 개구 가장자리부에 상기 주철근의 몸체부를 결속하는 끼움식 고정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말뚝기초 보강장치용 주철근 고정기구를 제시한다.
상기 끼움식 고정구는 심부에 주철근 삽입홈이 형성된 U자형 단면의 본체부와; 상기 강관말뚝의 개구 가장자리부가 끼워지도록, 상기 본체부의 하단에 형성된 강관말뚝 끼움홈을; 포함하는 구조를 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주철근 삽입홈을 형성하는 상기 본체부의 배면에는 상기 주철근을 상기 강관말뚝 방향으로 밀착시키기 위한 주철근 밀착수단이 더 구비된 구조를 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주철근 밀착수단은 상기 본체부의 배면을 소정 절개하고, 이에 의해 형성된 절개편을 상기 주철근 삽입홈 측으로 압박함으로써 형성된 탄성력 인가부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또 다른 수단으로서, 강관말뚝의 두부에 주철근을 고정하는 강관말뚝기초 보강장치용 주철근 고정기구에 있어서, 탄성을 갖는 선형 재질에 의해 일체로 형성된 클립식 고정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말뚝기초 보강장치용 주철근 고정기구를 제시한다.
상기 클립식 고정구는 상기 주철근을 상기 강관말뚝의 개구 가장자리부 방향으로 지지하는 주철근 지지부와; 상기 강관말뚝의 개구 가장자리부에 걸리도록, 상기 주철근 지지부의 양단으로부터 하측으로 연장형성된 강관말뚝 지지부를; 포함하는 구조를 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주철근 지지부와 강관말뚝 지지부 사이에는 상기 강관말뚝의 개구 가장자리부가 끼워지도록 강관말뚝 끼움홈을 형성하는 2차굴곡부가 더 구비된 구조를 취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또 다른 수단으로서, 강관말뚝의 두부에 주철근을 고정하는 강관말뚝기초 보강장치용 주철근 고정기구에 있어서, 심부에 체결구 관통공이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주철근을 지지하는 주철근 지지부재와; 강관말뚝의 측벽에 관통형성된 체결구 삽입공과; 상기 체결구 관통공을 관통하여 상기 체결구 삽입공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주철근 지지부재를 상기 강관말뚝에 고정하는 체결구를; 포함하는 체결식 고정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말뚝기초 보강장치용 주철근 고정기구를 제시한다.
상기 주철근 지지부재는 주철근 삽입홈을 형성하는 주철근 삽입용 절곡부와; 상기 주철근 삽입용 절곡부의 측방으로 연장형성됨과 아울러, 심부에 상기 체결구 관통공이 형성된 체결부를; 포함하는 구조를 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체결구는 볼트와 너트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또 다른 수단, 즉, 강관말뚝의 두부에 복수개의 주철근을 고정하는 강관말뚝기초 보강장치에 사용되는 내부받침기구로서, 상부에 타설되는 콘크리트를 받치도록, 상기 강관말뚝의 개구로부터 소정 깊이에 위치되는 받침판과; 상기 받침판을 상기 강관말뚝에 지지시키는 받침판 지지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받침판 지지수단은 상기 받침판을 지지하는 받침판 지지부와; 상기 받침판이 상기 강관말뚝의 개구로부터 소정 깊이에 위치되도록, 상기 받침판 지지부로부터 상기 소정 깊이만큼 상측으로 연장형성된 연장부와; 상기 강관말뚝의 개구 가장자리부에 걸리도록, 상기 연장부의 상단에 형성된 걸림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말뚝기초 보강장치용 내부받침기구를 제시한다.
여기서, 상기 받침판은 그물구조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강관말뚝기초 보강장치는 기본적으로 강관말뚝(10)의 두부에 복수개의 주철근(20)을 고정하는 강관말뚝기초 보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주철근(20)의 하단에 형성된 주철근 절곡부(21)와; 상기 주철근 절곡부(21)가 삽입되도록, 강관말뚝(10)의 측벽에 관통형성된 주철근 삽입공(11)과; 상기 주철근 삽입공(11)에 상기 주철근 절곡부(21)가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강관말뚝(10)과 주철근(20)을 고정하는 주철근 고정기구(1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절곡구조의 주철근(20)의 절곡부(21)를 강관말뚝(10)의 주철근 삽입공(11)에 삽입하고, 그 상태에서 별도의 주철근 고정기구(100)에 의해 주철근(20)을 강관말뚝(10)에 고정함으로써, 간단한 시공에 의해 강관말뚝(10)과 주철근(20)의 결합을 가능하게 한 것이다.
이후 기초 콘크리트가 타설되면, 강관말뚝(10)의 외측으로 돌출된 주철근(20)의 절곡부(21)가 기초 콘크리트에 의해 일체로 지지되는 구조를 취하게 되므로, 종래와 같이 별도의 지지부재(40)에 의한 복잡한 결합구조가 없더라도, 충분한 강도를 발현할 수 있다.
주철근의 절곡부(21)는 강관말뚝의 삽입공(11)에 삽입되어 전체적으로 주철근(20)을 지지하는 구조이면 어느 것이나 관계없으며, 도 1, 도 2에서는 주철근(20) 및 주철근 절곡부(21)가 L자형으로 형성된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주철근 절곡부(21)는 주철근 삽입공(11)에 강관말뚝(10)의 내측으로부터 외측을 향하여 삽입될 수도 있고, 강관말뚝(10)의 외측으로부터 내측을 향하여 삽입 될 수도 있다.
기초 콘크리트는 강관말뚝(10)의 내부 및 외부에 모두 타설되므로, 어떤 구조를 취하더라도, 기초 콘크리트와 주철근 절곡부(21) 사이의 보강효과를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이하, 주철근 고정기구(100)의 3가지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한다.
첫째,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철근 고정기구(100)는 판형부재를 절곡한 구조로서, 강관말뚝(10)의 개구 가장자리부(12)에 상기 주철근(20)의 몸체부를 결속하는 끼움식 고정구(11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끼움식 고정구(110)는 주철근의 절곡부(21)가 강관말뚝의 삽입공(11)에 삽입된 상태에서, 간단한 끼움작용에 의해 주철근(20)의 몸체부를 강관말뚝(10)의 개구 가장자리부(12)에 결속하도록 하므로, 현장의 시공을 매우 간편하게 할 수 있도록 한다.
도 3은 상기 끼움식 고정구(110)의 실시예로서, 심부에 주철근 삽입홈(111)이 형성된 U자형 단면의 본체부(112)와; 상기 강관말뚝(10)의 개구 가장자리부(12)가 끼워지도록, 상기 본체부(112)의 하단에 형성된 강관말뚝 끼움홈(113)을; 포함하는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끼움식 고정구(110)에 의해 주철근(20)이 고정된 후, 보다 안정된 결속구조를 얻기 위해서는, 주철근 삽입홈(111)을 형성하는 본체부(112)의 배면에 주철근(20)을 강관말뚝(10) 방향으로 밀착시키기 위한 주철근 밀착수단(114)이 더 구비된 구조를 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주철근 밀착수단(114)은 끼움식 고정구(110)의 본체부(112)의 배면에 판스프링 등을 장착하여 주철근(20)을 강관말뚝(10) 방향으로 밀어내는 구조를 취함으로써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다.
도 4는 이러한 주철근 밀착수단(114)으로서, 본체부(112)의 배면을 소정 절개하고, 이에 의해 형성된 절개편을 주철근 삽입홈(111) 측으로 압박함으로써 탄성력 인가부(114a)를 형성한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둘째,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주철근 고정기구(100)는 탄성을 갖는 선형 재질에 의해 일체로 형성된 클립식 고정구(12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클립식 고정구(120)는 재질 자체가 갖는 탄성을 활용하여 주철근(20)을 강관말뚝(10)에 간편하고 안정되게 결속시킬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도 5는 클립식 고정구(120)의 간단한 실시예로서, 주철근(20)을 강관말뚝(10)의 개구 가장자리부(12) 방향으로 지지하는 주철근 지지부(121)와; 강관말뚝(10)의 개구 가장자리부(12)에 걸리도록, 주철근 지지부(121)의 양단으로부터 하측으로 연장형성된 강관말뚝 지지부(122)를; 포함하는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6 및 도 7은 상기 클립식 고정구(120)의 보다 진보된 실시예로서, 주철근 지지부(121)와 강관말뚝 지지부(122) 사이에 강관말뚝(10)의 개구 가장자리부(12)가 끼워지도록 강관말뚝 끼움홈(123)을 형성하는 2차굴곡부(124)가 더 구비된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이러한 구조를 취하는 경우, 강관말뚝 지지부(122)와 2차굴곡부(124)에 의해 형성된 강관말뚝 끼움홈(123)이 강관말뚝(10)의 개구 가장자리부(12)를 강하게 압박하게 되므로, 보다 안정된 결속구조를 얻을 수 있다.
셋째,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주철근 고정기구(100)는 심부에 체결구 관통공(131)이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주철근(20)을 지지하는 주철근 지지부재(132)와; 강관말뚝(10)의 측벽에 관통형성된 체결구 삽입공(13)과; 상기 체결구 관통공(131)을 관통하여 상기 체결구 삽입공(13)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주철근 지지부재(132)를 상기 강관말뚝(10)에 고정하는 체결구(133)를; 포함하는 체결식 고정구(13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체결식 고정구(130)는 주철근(20)을 별도의 주철근 지지부재(132)와 체결구(133)에 의해 강관말뚝(10)에 결합하는 구조로서, 상기 2가지 실시예에 비해 시공이 다소 번거롭지만, 보다 안정된 구조를 얻을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주철근 지지부재(132)는 일반적인 판형 구조 등에 의해 형성되더라도 무방할 것이나, 도시된 바와 같이, 주철근 삽입홈(134)을 형성하는 주철근 삽입용 절곡부(132a)와; 주철근 삽입용 절곡부(132a)의 측방으로 연장형성됨과 아울러, 심부에 상기 체결구 관통공(131)이 형성된 체결부(132b)를; 포함하는 구조를 취하는 것이 보다 안정된 구조를 얻을 수 있도록 한다.
도 9는 체결구(133)로서 볼트(133a)와 너트(133b)를 포함하는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리벳 기타 어떠한 체결구를 사용하더라도 관계없다.
이하, 도 10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상부에 타설되는 콘크리트를 받치도록 강관말뚝(10)의 내부에 설치되는 내부받침기구(200)에 관하여 설명한다.
강관말뚝(10)의 내부에는 공동이 형성되는데, 기초 콘크리트가 이러한 공동에 전부 타설되도록 하는 것은 비용 측면에서 효율적이지 못하므로, 강관말뚝(10)의 내부 소정 깊이까지만 콘크리트가 타설되도록 내부받침기구(200)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종래에는 도 14, 도 15에 도시된 지지부재(40)의 경우와 같이, 내부받침기구(200)가 주철근 결속구조의 역할을 동시에 수행하였으므로, 비효율적이고 복잡한 구조를 취할 수 밖에 없었다.
그러나, 본 발명에 의한 강관말뚝기초 보강장치의 경우, 주철근(20)이 소형의 주철근 고정기구(100)에 의해 강관말뚝(10)의 개구 가장자리부(12)에 의해 장착되므로, 그 여백의 공간을 활용하여 시공이 간단한 구조로서 상기 내부받침기구(200)를 구현할 수 있다.
즉, 도 10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내부받침기구(200)는 상부에 타설되는 콘크리트를 받치도록, 상기 강관말뚝(10)의 개구로부터 소정 깊이에 위치되는 받침판(210)과; 상기 받침판(210)을 상기 강관말뚝(10)에 지지시키는 받침판 지지수단(220)을;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받침판 지지수단(220)은 상기 받침판(210)을 지지하는 받침판 지지부(221)와; 상기 받침판(210)이 상기 강관말뚝(10)의 개구로부터 소정 깊이에 위치되도록, 상기 받침판 지지부(221)로부터 상기 소정 깊이만큼 상측으로 연장형성된 연장부(222)와; 상기 강관말뚝(10)의 개구 가장자리부(12)에 걸리도록, 상기 연장부(222)의 상단에 형성된 걸림부(22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상기 걸림부(223)를 강관말뚝(10)의 개구 가장자리부(12)에 거는 방법에 의해, 받침판(210) 및 받침판 지지수단(220)을 포함하는 내부받침기구(200)를 용이하게 시공할 수 있으며, 상기 연장부(222)의 길이를 적절히 조절하여 받침판 지지수단(220)을 제작함으로써, 콘크리트가 타설되는 깊이의 위치에 받침판(210)을 위치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받침판(210)은 일반적인 판구조로서 형성될 수도 있으나, 건배합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경우에는 그물구조(211)의 받침판을 적용하더라도 관계없다.
이상은 본 발명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일부에 관하여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주지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는 위의 실시예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며,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근본을 함께 하는 기술적 사상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은 시공을 간편하게 하면서도 소요되는 강도를 충분히 만족할 수 있도록 하는 강관말뚝기초 보강장치를 제시한다.
Claims (29)
- 강관말뚝의 두부에 복수개의 주철근을 고정하는 강관말뚝기초 보강장치에 있어서,상기 주철근의 하단에 형성된 주철근 절곡부와;상기 주철근 절곡부가 삽입되도록, 강관말뚝의 측벽에 관통형성된 주철근 삽입공과;상기 주철근 삽입공에 상기 주철근 절곡부가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강관말뚝과 주철근을 고정하는 주철근 고정기구를;포함하는 강관말뚝기초 보강장치.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주철근 및 주철근 절곡부는 L자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말뚝기초 보강장치.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주철근 절곡부는 상기 주철근 삽입공에 상기 강관말뚝의 내측으로부터 외측을 향하여 삽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말뚝기초 보강장치.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주철근 절곡부는 상기 주철근 삽입공에 상기 강관말뚝의 외측으로부터 내측을 향하여 삽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말뚝기초 보강장치.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주철근 고정기구는판형부재를 절곡한 구조로서, 상기 강관말뚝의 개구 가장자리부에 상기 주철근의 몸체부를 결속하는 끼움식 고정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말뚝기초 보강장치.
- 제5항에 있어서,상기 끼움식 고정구는심부에 주철근 삽입홈이 형성된 U자형 단면의 본체부와;상기 강관말뚝의 개구 가장자리부가 끼워지도록, 상기 본체부의 하단에 형성된 강관말뚝 끼움홈을;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말뚝기초 보강장치.
- 제6항에 있어서,상기 주철근 삽입홈을 형성하는 상기 본체부의 배면에는상기 주철근을 상기 강관말뚝 방향으로 밀착시키기 위한 주철근 밀착수단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말뚝기초 보강장치.
- 제7항에 있어서,상기 주철근 밀착수단은상기 본체부의 배면을 소정 절개하고, 이에 의해 형성된 절개편을 상기 주철근 삽입홈 측으로 압박함으로써 형성된 탄성력 인가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말뚝기초 보강장치.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주철근 고정기구는탄성을 갖는 선형 재질에 의해 일체로 형성된 클립식 고정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말뚝기초 보강장치.
- 제9항에 있어서,상기 클립식 고정구는상기 주철근을 상기 강관말뚝의 개구 가장자리부 방향으로 지지하는 주철근 지지부와;상기 강관말뚝의 개구 가장자리부에 걸리도록, 상기 주철근 지지부의 양단으로부터 하측으로 연장형성된 강관말뚝 지지부를;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말뚝기초 보강장치.
- 제10항에 있어서,상기 주철근 지지부와 강관말뚝 지지부 사이에는상기 강관말뚝의 개구 가장자리부가 끼워지도록 강관말뚝 끼움홈을 형성하는 2차굴곡부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말뚝기초 보강장치.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주철근 고정기구는심부에 체결구 관통공이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주철근을 지지하는 주철근 지지부재와;강관말뚝의 측벽에 관통형성된 체결구 삽입공과;상기 체결구 관통공을 관통하여 상기 체결구 삽입공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주철근 지지부재를 상기 강관말뚝에 고정하는 체결구를;포함하는 체결식 고정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말뚝기초 보강장치.
- 제12항에 있어서,상기 주철근 지지부재는주철근 삽입홈을 형성하는 주철근 삽입용 절곡부와;상기 주철근 삽입용 절곡부의 측방으로 연장형성됨과 아울러, 심부에 상기 체결구 관통공이 형성된 체결부를;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말뚝기초 보강장치.
- 제13항에 있어서,상기 체결구는볼트와 너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말뚝기초 보강장치.
-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부에 타설되는 콘크리트를 받치도록, 상기 강관말뚝의 개구로부터 소정 깊이에 위치되는 받침판과;상기 받침판을 상기 강관말뚝에 지지시키는 받침판 지지수단을;포함하는 내부받침기구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말뚝기초 보강장치.
- 제15항에 있어서,상기 받침판은 그물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말뚝기초 보강장치.
- 제15항에 있어서,상기 받침판 지지수단은상기 받침판을 지지하는 받침판 지지부와;상기 받침판이 상기 강관말뚝의 개구로부터 소정 깊이에 위치되도록, 상기 받침판 지지부로부터 상기 소정 깊이만큼 상측으로 연장형성된 연장부와;상기 강관말뚝의 개구 가장자리부에 걸리도록, 상기 연장부의 상단에 형성된 걸림부를;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말뚝기초 보강장치.
- 강관말뚝의 두부에 주철근을 고정하는 강관말뚝기초 보강장치용 주철근 고정기구에 있어서,판형부재를 절곡한 구조로서, 상기 강관말뚝의 개구 가장자리부에 상기 주철근의 몸체부를 결속하는 끼움식 고정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말뚝기초 보강장치용 주철근 고정기구.
- 제18항에 있어서,상기 끼움식 고정구는심부에 주철근 삽입홈이 형성된 U자형 단면의 본체부와;상기 강관말뚝의 개구 가장자리부가 끼워지도록, 상기 본체부의 하단에 형성된 강관말뚝 끼움홈을;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말뚝기초 보강장치용 주철근 고정기구.
- 제19항에 있어서,상기 주철근 삽입홈을 형성하는 상기 본체부의 배면에는상기 주철근을 상기 강관말뚝 방향으로 밀착시키기 위한 주철근 밀착수단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말뚝기초 보강장치용 주철근 고정기구.
- 제20항에 있어서,상기 주철근 밀착수단은상기 본체부의 배면을 소정 절개하고, 이에 의해 형성된 절개편을 상기 주철근 삽입홈 측으로 압박함으로써 형성된 탄성력 인가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말뚝기초 보강장치용 주철근 고정기구.
- 강관말뚝의 두부에 주철근을 고정하는 강관말뚝기초 보강장치용 주철근 고정기구에 있어서,탄성을 갖는 선형 재질에 의해 일체로 형성된 클립식 고정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말뚝기초 보강장치용 주철근 고정기구.
- 제22항에 있어서,상기 클립식 고정구는상기 주철근을 상기 강관말뚝의 개구 가장자리부 방향으로 지지하는 주철근 지지부와;상기 강관말뚝의 개구 가장자리부에 걸리도록, 상기 주철근 지지부의 양단으로부터 하측으로 연장형성된 강관말뚝 지지부를;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말뚝기초 보강장치용 주철근 고정기구.
- 제23항에 있어서,상기 주철근 지지부와 강관말뚝 지지부 사이에는상기 강관말뚝의 개구 가장자리부가 끼워지도록 강관말뚝 끼움홈을 형성하는 2차굴곡부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말뚝기초 보강장치용 주철근 고정기구.
- 강관말뚝의 두부에 주철근을 고정하는 강관말뚝기초 보강장치용 주철근 고정기구에 있어서,심부에 체결구 관통공이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주철근을 지지하는 주철근 지지부재와;강관말뚝의 측벽에 관통형성된 체결구 삽입공과;상기 체결구 관통공을 관통하여 상기 체결구 삽입공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주철근 지지부재를 상기 강관말뚝에 고정하는 체결구를;포함하는 체결식 고정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말뚝기초 보강장치용 주철근 고정기구.
- 제25항에 있어서,상기 주철근 지지부재는주철근 삽입홈을 형성하는 주철근 삽입용 절곡부와;상기 주철근 삽입용 절곡부의 측방으로 연장형성됨과 아울러, 심부에 상기 체결구 관통공이 형성된 체결부를;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말뚝기초 보강장치용 주철근 고정기구.
- 제26항에 있어서,상기 체결구는볼트와 너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말뚝기초 보강장치용 주철근 고정기구.
- 강관말뚝의 두부에 복수개의 주철근을 고정하는 강관말뚝기초 보강장치에 사용되는 내부받침기구로서,상부에 타설되는 콘크리트를 받치도록, 상기 강관말뚝의 개구로부터 소정 깊이에 위치되는 받침판과;상기 받침판을 상기 강관말뚝에 지지시키는 받침판 지지수단을; 포함하고,상기 받침판 지지수단은상기 받침판을 지지하는 받침판 지지부와;상기 받침판이 상기 강관말뚝의 개구로부터 소정 깊이에 위치되도록, 상기 받침판 지지부로부터 상기 소정 깊이만큼 상측으로 연장형성된 연장부와;상기 강관말뚝의 개구 가장자리부에 걸리도록, 상기 연장부의 상단에 형성된 걸림부를;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말뚝기초 보강장치용 내부받침기구.
- 제28항에 있어서,상기 받침판은 그물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말뚝기초 보강장치용 내부받침기구.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011095A KR100692517B1 (ko) | 2005-02-07 | 2005-02-07 | 강관말뚝기초 보강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011095A KR100692517B1 (ko) | 2005-02-07 | 2005-02-07 | 강관말뚝기초 보강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60090334A true KR20060090334A (ko) | 2006-08-10 |
KR100692517B1 KR100692517B1 (ko) | 2007-03-09 |
Family
ID=375715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50011095A KR100692517B1 (ko) | 2005-02-07 | 2005-02-07 | 강관말뚝기초 보강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692517B1 (ko)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58431B1 (ko) | 2019-08-27 | 2020-09-21 | 주식회사 비비엠코리아 | 복합 강관말뚝의 두부 보강장치 |
KR102383205B1 (ko) | 2021-01-25 | 2022-04-08 | 주식회사 동천이엔지 | 날개압착장치 및 이를 이용한 철근고정방법 |
KR20220084700A (ko) | 2020-12-14 | 2022-06-21 | 주식회사 동천이엔지 | 철근고정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
KR102487969B1 (ko) | 2021-11-22 | 2023-01-13 | 주식회사 비비엠코리아 | Phc 말뚝의 두부 보강장치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21085141A (ja) * | 2019-11-25 | 2021-06-03 | 東日本旅客鉄道株式会社 | 柱体設置構造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0009834A (ko) * | 2001-07-24 | 2003-02-05 |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 강관말뚝용 철근고정구 및 이를 이용한 강관말뚝 머리부와철근콘크리트 기초의 결합구조 |
KR100461914B1 (ko) * | 2001-07-24 | 2004-12-14 |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 강관말뚝용 철근고정구 및 이를 이용한 강관말뚝 머리부와철근콘크리트 기초의 결합구조 |
-
2005
- 2005-02-07 KR KR1020050011095A patent/KR100692517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58431B1 (ko) | 2019-08-27 | 2020-09-21 | 주식회사 비비엠코리아 | 복합 강관말뚝의 두부 보강장치 |
KR20220084700A (ko) | 2020-12-14 | 2022-06-21 | 주식회사 동천이엔지 | 철근고정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
KR102383205B1 (ko) | 2021-01-25 | 2022-04-08 | 주식회사 동천이엔지 | 날개압착장치 및 이를 이용한 철근고정방법 |
KR102487969B1 (ko) | 2021-11-22 | 2023-01-13 | 주식회사 비비엠코리아 | Phc 말뚝의 두부 보강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692517B1 (ko) | 2007-03-0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284985B1 (ko) | 그래이팅용 고정 부재 | |
KR100692517B1 (ko) | 강관말뚝기초 보강장치 | |
US20060156660A1 (en) | Concrete slab corner support | |
KR101339827B1 (ko) | 기계결합식 전단연결재에 의한 강재 거더와 콘크리트의 합성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 |
KR102065623B1 (ko) | 개량형 멍에트러스 유닛 및 이를 이용한 벽체거푸집 구조 | |
KR200408447Y1 (ko) | 거푸집용 체결부재 | |
JP4368224B2 (ja) | 鉄筋取付型スペーサー | |
CZ65099A3 (cs) | Spojovací prvek ke spojování dřeva a betonu | |
KR100840624B1 (ko) | 휀스용 포스트 | |
KR100591248B1 (ko) | 벽판고정용 결착구 | |
KR100696278B1 (ko) | 평판형 스페이서 | |
KR20070062848A (ko) | 일체식 소켓을 이용한 강관 파일 두부 보강장치 및 그보강공법 | |
KR20020030558A (ko) | 침구바구니 및 토목구축물 | |
KR102141231B1 (ko) | 선조립 보 스트립과 탄성 고정구를 이용한 합성보 시공 방법 | |
KR200352520Y1 (ko) | 콘크리트 거푸집용 간격조절구 | |
KR200207323Y1 (ko) | 지수판 고정대 | |
KR200388926Y1 (ko) | 스페이서 | |
KR20060096854A (ko) | 단체형 스페이서 | |
KR100507416B1 (ko) | 개폐식 건설용 철근 지지구 | |
KR100735028B1 (ko) | 철근용 스페이서 | |
KR101288882B1 (ko) | 중공 콘크리트 부재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 |
KR20070002670A (ko) | 거푸집용 타이 바 | |
KR200368257Y1 (ko) | 조립식 패널 및 이를 이용한 조립식 벽체 | |
KR200396332Y1 (ko) | 건물용 물받이 받침대 | |
JP3124727U (ja) | コンクリートスペーサ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227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228 Year of fee payment: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302 Year of fee payment: 9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