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88802A - 다양한 환형슬릿을 가지는 스파이럴 노즐 - Google Patents

다양한 환형슬릿을 가지는 스파이럴 노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88802A
KR20060088802A KR1020050024752A KR20050024752A KR20060088802A KR 20060088802 A KR20060088802 A KR 20060088802A KR 1020050024752 A KR1020050024752 A KR 1020050024752A KR 20050024752 A KR20050024752 A KR 20050024752A KR 20060088802 A KR20060088802 A KR 200600888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zzle
annular slit
spiral
inlet
j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247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68122B1 (ko
Inventor
이재형
Original Assignee
이재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재형 filed Critical 이재형
Priority to KR10200500247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68122B1/ko
Publication of KR200600888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888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681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681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008Spectacles frames characterized by their material, material structure and material propertie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2200/00Generic mechanical aspects applicable to one or more of the groups G02C1/00 - G02C5/00 and G02C9/00 - G02C13/00 and their subgroups
    • G02C2200/12Frame or frame portions made from sheet type material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ozz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양한 환형슬릿(4)을 가지는 스파이럴 노즐(5)에 관한 것으로, 스파이럴 노즐(5) 챔버(8)의 2차 유입구(2)에서 2차 유체(Q2)를 주입하는 환형슬릿(4)이 설치되고, 이 환형슬릿(4)은 축소노즐 입구의 곡률반경(R)과 축소노즐 입구반경(RL)을 가변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도록 구성하고, 환형슬릿(4) 이후에 원추형 축소노즐(7)을 설치하였다. 그리고 유동의 불균일성을 발생시키기 위해 환형슬릿(4) 입구에 피스가 없는 일반형(가) 또는 입구 부분에 3∼5개의 평판형 피스(9)를 가진 평판형(나) 또는 파형 피스(10)를 가진 파형(다) 형태의 환형슬릿(4)을 특징으로 하는 다양한 환형슬릿을 가지는 스파이럴 노즐 장치이다.
본 발명에서는 스파이럴 축소 노즐 입구에 설치한 다양한 환형슬릿을 이용하여 환형슬릿의 입구로부터 주입하는 반경방향의 유동형태를 변화시키는 구조를 제안한다. 환형슬릿의 입구형태를 변화시킴으로서, 스파이럴 노즐 출구로부터 방출되는 제트의 전파길이는 통상적인 축소노즐에 비하여 최소 5배 이상 증가하게 된다. 이 뿐만 아니라 제트의 확산이 현저하게 줄어들어, 제트를 이용하여 분체나 물체를 전송시키는 공업적인 응용에 활용할 수 있다.
선회제트, 스파이럴 제트, 스파이럴 노즐, 환형슬릿, 축소노즐, 코안다효과

Description

다양한 환형슬릿을 가지는 스파이럴 노즐{The Spiral Nozzle with Variety Annular Slit}
도 1은 일반적인 스파이럴 노즐 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스파이럴 노즐 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스파이럴 노즐 장치를 나타내는 부분 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스파이럴 노즐 장치를 나타내는 3차원 개념도 및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스파이럴 노즐 장치의 환형슬릿(가, 나, 다)을 나타내는 확대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1차 유입구 2 : 2차 유체 유입구 3 : 유출구
4 : 환형슬릿 가 : 일반형 환형슬릿 나 : 평판형 환형슬릿
다 : 파(Wave)형 환형슬릿 5 : 스파이럴 노즐 6 : 노즐
7 : 축소노즐 8 : 챔버 9 : 평판형 피스(Piece)
10 : 파형 피스(Piece) Q1 : 1차 유동 Q2 : 2차 유체
D1 : 축소노즐 입구직경 D2 : 축소노즐 출구직경
R : 축소노즐 입구의 곡률반경 RL : 축소노즐 입구반경
.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다양한 환형슬릿을 가지는 스파이럴 노즐{The Spiral Nozzle with Variety Annular Slit}은, 축소 노즐 입구에 설치한 환형슬릿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주입하는 기체가 노즐입구 부분의 곡면을 따라 유동하여, 축소노즐의 출구로부터 제트유동으로 방출되는 장치이다.
이러한 스파이럴 노즐을 통하는 유동은 통상적인 축소노즐 유동에 비하여, 제트의 전파길이가 길어지며, 제트유동에서 발생하는 난류현상이 현저하게 줄어들어, 제트의 확산이 작아지는 특성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스파이럴 노즐유동의 장점을 이용하면, 고체입자나 분말의 수송, 연질재료의 절단, 광섬유의 전송, 의약품 제조공정, 각종 화공 및 플라즈마 에너지응용 장치 등, 다양한 분야에서 광범위하게 활용할 수 있다.
위와 같은 스파이럴 노즐 유동에 관해서는 몇몇 연구보고가 발표되어 있으나, 현재까지 스파이럴 제트에서 강한 스파이럴 유동의 발생기구 및 원인에 대해서는 충분히 이해되고 있지 않으나, 스파이럴 제트유동은 종래 비교적 많은 분야에서 응용되어 온, 선회제트{Swirl Jet}와는 성격상 매우 다르다는 것이 알려져 있다. 구체적으로 선회제트{Swirl Jet}는 강제와류{Forced Vortex}의 영역이 매우 크며, 축 방향 속도{Axial Velocity}는 중심축 부근에서 매우 낮은 분포를 가지게 되지만, 스파이럴 제트는 자유와류{Free Vortex}의 영역이 제트 중심축 부근까지 차지하게 되며, 제트 중심에서 큰 축 방향 속도 성분을 가지게 된다. 이로 인하여, 스파이럴 제트는 선회 제트에 비해 제트코어{Jet Core}영역이 길며, 제트의 확산{Diffusion}이 크지 않을 뿐만 아니라, 제트의 난류강도가 작다.
상기와 같은 스파이럴 노즐(5) 장치의 가장 일반적인 구조는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크게 상류쪽, 1차 유동(Q1)과 2차 유체(Q2)가 혼합되는 스파이럴 노즐(5) 부분, 그리고 하류쪽 부분으로 이루어져 있다. 비대칭형 2차 유체 유입구(12)에서의 2차 유체(Q2)는 노즐(16)과 환형슬릿(14)을 지나 스파이럴 노즐(5)내로 주입되면서 스파이럴 유동성분을 발생시키게 된다. 이 2차 유체(Q2)는 1차 유입구(11)에서의 1차 유동(Q1)을 수송시켜 환형슬릿(14)을 통과한 2차 유체(Q2)와 혼합한 고·기체유동(Q1+Q2)형태로 노즐을 지나 노즐 출구(13)에서 스파이럴 제트형태로 방출된다.
종래에 수행된 연구결과에 의하면, 스파이럴 노즐의 경우 스파이럴 성분의 발생원인 즉, 접선속도 성분의 발생원인을 환형슬릿{Annular Slit}으로부터 주입하는 반경방향 유동의 미소한 유동의 불균일성, 또는 순간적인 압력교란에 기인한다 고 하였으나, 상세한 기구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의문점이 많이 남아 있다. 따라서 스파이럴 노즐의 설계는 주로 경험에 의한 시행착오의 형태로 행하여지고 있어, 스파이럴 노즐의 성능개선 및 보다 다양한 공업적 활용을 위해서는 체계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본 발명에서는 스파이럴 노즐에서 발생하는 스파이럴 유동의 발생 원인이 환형슬릿으로부터 주입하는 유동의 불균일성에 있다는 점에 착안하여, 환형슬릿의 입구로부터 주입하는 반경방향의 유동형태를 변화시키는 구조를 제안한다. 구체적으로 도 5의 그림 (나)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환형슬릿을 몇 개의 유로로 분할하여 반경방향으로 주입하는 유동의 불균일성을 증대시켜 스파이럴 유동성분을 증가시켜, 제트코어의 길이를 증대시킬 수 있다. 또 도 5의 그림 (다)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환형슬릿의 입구형태를 파형{wavy}으로 하여 유입하는 유동의 불균일성 내지 압력교란을 증대시키는 구조를 제안한다. 이와 같이, 환형슬릿의 입구형태를 변화시킴으로서 스파이럴 노즐내부에서 발생하는 스파이럴 유동성분은 크게 증가할 것이며, 축소노즐 출구로부터 방출되는 제트의 전파길이는 통상적인 축소노즐에 비하여 최소 5배 이상은 증가하게 된다. 이 뿐만 아니라 제트의 확산이 현저하게 줄어들어, 제트를 이용하여 분체나 물체를 전송시키는 공업적인 응용에 활용할 수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스파이럴 노즐 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스파이럴 노즐 장치를 나타내는 부분 확대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스파이럴 노즐 장치를 나타내는 3차원 개념도 및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스파이럴 노즐 장치의 환형슬릿(가, 나, 다)을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스파이럴 노즐 장치의 구성도는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크게 상류쪽, 1차 유동(Q1)과 2차 유체(Q2)가 혼합되는 스파이럴 노즐(5) 부분, 그리고 하류쪽 부분으로 이루어져 있다. 2차 유체 유입구(2)의 2차 유체(Q2)는 노즐 챔버(8)와 환형슬릿(4)을 지나 스파이럴 노즐(5)내로 주입되면서 스파이럴 유동 성분을 발생시키게 된다. 이 2차 유체(Q2)는 1차 유입구(1)에서의 1차 유동(Q1)을 수송시켜 환형슬릿(4)을 통과한 2차 유체(Q2)와 혼합한 고·기체유동(Q1+Q2)형태로 스파이럴 노즐을 지나 스파이럴 노즐 출구(3)에서 스파이럴 제트형태로 방출된다. 여기서 환형슬릿(4)은 본 발명의 주목적인 스파이럴 유동의 발생원인인 유동의 불균일성을 보다 증가시키기 위하여, 다양한 형상의 환형슬릿(도 5의 그림 가, 나, 다)을 제안하였다. 그리고 축소노즐(7) 입구에 설치한 환형슬릿(4)으로 부터 반경방향으로 기체를 주입하는 경우, 유동은 노즐입구에서 발생하는 코안다{Coanda} 효과[유체(流體)가 만곡면(彎曲面)을 흐를 때 표면에 흡착하는 경향]에 의하여 노즐벽을 따라 유동하게 되며, 노즐출구(3)로부터 방출된다. 이러한 과정에 서 유동의 불균일성에 의하여 축소노즐(7) 내부에는 접선속도{Tangential Velocity}성분이 발생하게 되며, 축 방향의 속도분포는 급격한 구배를 가지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스파이럴 노즐 장치를 나타내는 부분 확대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내었다. 스파이럴 유동성분을 발생시키기 위하여 환형슬릿(4)을 통하여 2차 유체(Q2)를 주입한다. 이 2차 유체(Q2)는 1차 유입구(1)에서의 1차 유동(Q1)을 수송시켜 환형슬릿(4)을 통과한 2차 유체(Q2)와 혼합하여 고·기체유동(Q1+Q2)형태로 스파이럴 축소노즐(7)을 따라 스파이럴 노즐 출구(3)에서 스파이럴 제트형태로 방출된다. 그림에서 축소노즐 입구반경(RL)과 축소노즐 입구의 곡률반경(R)의 범위, 축소노즐의 출구직경(D2) 및 2차 유체(Q2)측 전압을 변화시켜 스파이럴 유동형태 및 노즐 출구에서 스파이럴 제트 유동장을 변화시킬 수 있다. 따라서 스파이럴 제트의 성능개선을 위해서는 환형슬릿(4)으로부터 주입하는 유체의 전압과 다양한 환형슬릿 형상(도 5의 그림 가, 나, 다) 등에 따른 노즐출구(3)로부터 방출되는 스파이럴 제트를 상세하게 규명할 필요가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스파이럴 노즐 장치를 나타내는 3차원 개념도 및 단면도를 도시하였다. 그림에서 노즐챔버(8)는 축소노즐(7)입구측에 설치되어 있으며, 환형슬릿(4)에 의하여 축소노즐(7)과 연결된다. 따라서 노즐챔버(8)내 2차 유체(Q2)는 환형슬릿(4)을 통해 노즐 내부까지 유입되며, 이 유입된 유동은 환형슬 릿(4)을 지나면서 나타나는 유동의 불균일성에 의하여 축소노즐(7)내에서 스파이럴 유동구조를 가지면서 노즐입구 측에서 유입되는 1차 유동(Q1)인 물체와 함께 노즐출구를 스파이럴 제트 형태로 분출되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스파이럴 노즐 장치의 다양한 환형슬릿(가, 나, 다) 및 부분 확대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내었다. 환형슬릿은 스파이럴 유동의 불균일성을 발생시키기 위하여 일반형(가) 또는 평판형(나) 또는 파{Wavy}형(다) 환형슬릿을 구성하였다. 여기서 환형슬릿(4) 입구부분에 피스가 없는 일반형(가) 또는 3∼5개의 불연속성 형태인 평판형 피스(9) 또는 파형 피스(10)를 설치하였다. 일반형 환형 슬릿(가)에서 2차 유체(Q2)는 유입구로 유입되어 노즐 내부로 분출되면서 미소 불균일성에 의하여 자연적으로 스파이럴 유동을 발생시킨다. 평판형 환형슬릿(나)인 경우에는 2차 유체(Q2)가 3∼5개의 평판용 피스(9)를 제외한 환형슬릿 유입구로 유입되며, 이 때의 2차 유체(Q2)는 평판용 피스(9)에 부딪치게 하여 환형슬릿 내부에서 유동의 불균일성을 유발시켜 축소노즐 내에서 스파이럴 유동이 얻어지게 된다. 그리고 파형 환형슬릿(다)은 평판형 피스(9)를 없애고 환형슬릿 유입구에 파형피스(10)의 형태인 파형 형상으로 구성하였으며, 2차 유체(Q2)는 파형 피스(10)에 부딪히게 하여 환형슬릿(4) 내부에서 유로를 변화시켜 환형슬릿(4)내에서 평판형과는 다른 형태의 유동의 불균일성내지는 압력교란을 야기 시켜, 평판형 피스(9)와 유사한 스파이럴 유동을 축소노즐(7)내에 발생시킨다.
상기와 같이 환형슬릿(4)을 일반형(가) 또는 평판형(나) 또는 파형(다) 환형슬릿을 구성한 이유는 기존의 비대칭형 주입구를 가지는 환형슬릿에 2차 유체(Q2)를 유입할 경우, 스파이럴 유동의 비대칭성으로 인해 스파이럴 제트 형태가 크게 불안정하여 제트를 이용한 분체나 물체의 장거리 전송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환형슬릿(4) 형상을 기존과 다르게 구성하여 스파이럴 제트 형상을 안정된 형태로 하여 공업적 응용에 활용하기 위함이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스파이럴 노즐 장치는 다양한 환형슬릿을 적용하여 주입되는 유동의 불균일성을 증대시키고 스파이럴 유동성분을 증가시켜, 제트코어의 길이를 증대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스파이럴 노즐 유동의 장점을 이용하면 고체입자나 분말의 수송, 연질재료의 전단, 광섬유의 전송, 의약품제조공정, 각종 화공 및 플라즈마 에너지 응용장치 등 다양한 분야에 광범위한 응용이 기대된다.

Claims (2)

  1. 스파이럴 노즐(5)에 관한 것으로, 스파이럴 노즐(5) 챔버(8)의 2차 유입구(2)에서 2차 유체(Q2)를 주입하는 환형슬릿(4)이 설치되고, 상기 환형슬릿(4)은 축소노즐 입구의 곡률반경(R)과 축소노즐 입구반경(RL)을 가변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고, 환형슬릿(4) 이후에 원추형 축소노즐(7)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양한 환형슬릿(4)을 가지는 스파이럴 노즐(5)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환형슬릿(4)은 환형슬릿(4) 입구에 피스가 없는 일반형(가) 또는 입구 부분에 3∼5개의 평판형 피스(9)를 가진 평판형(나) 또는 파형 피스(10)를 가진 파형(다) 형태의 환형슬릿(4)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양한 환형슬릿을 가지는 스파이럴 노즐.
KR1020050024752A 2005-03-25 2005-03-25 다양한 환형슬릿을 가지는 스파이럴 노즐 KR1006681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4752A KR100668122B1 (ko) 2005-03-25 2005-03-25 다양한 환형슬릿을 가지는 스파이럴 노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4752A KR100668122B1 (ko) 2005-03-25 2005-03-25 다양한 환형슬릿을 가지는 스파이럴 노즐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321420-2005-0003214U Division KR200382333Y1 (ko) 2005-02-02 2005-02-02 다양한 환형슬릿을 가지는 스파이럴 노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8802A true KR20060088802A (ko) 2006-08-07
KR100668122B1 KR100668122B1 (ko) 2007-01-12

Family

ID=371771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24752A KR100668122B1 (ko) 2005-03-25 2005-03-25 다양한 환형슬릿을 가지는 스파이럴 노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68122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38880A (ko) * 2014-05-30 2015-12-11 세메스 주식회사 유체 공급 유닛 및 이를 이용한 기판 처리 장치
KR101650028B1 (ko) * 2016-06-15 2016-08-22 계룡환경주식회사 와류 발생 노즐과 이를 포함한 정체수 없는 물탱크
KR20220126009A (ko) * 2021-03-08 2022-09-15 (주)에이피아이 분사 노즐 장치
KR20230057164A (ko) * 2021-10-21 2023-04-28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코안다 효과를 활용한 와류 고리 추진기 및 이의 추진 성능 평가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4199A (ja) * 1991-06-25 1993-01-14 Kiyoyuki Horii 切削・切断方法とその装置
JP3164931B2 (ja) * 1993-02-19 2001-05-14 清之 堀井 ウォータージェットノズル
JPH0824808A (ja) * 1994-07-11 1996-01-30 Kiyoyuki Horii 部品・部材の洗浄方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38880A (ko) * 2014-05-30 2015-12-11 세메스 주식회사 유체 공급 유닛 및 이를 이용한 기판 처리 장치
KR101650028B1 (ko) * 2016-06-15 2016-08-22 계룡환경주식회사 와류 발생 노즐과 이를 포함한 정체수 없는 물탱크
KR20220126009A (ko) * 2021-03-08 2022-09-15 (주)에이피아이 분사 노즐 장치
KR20230008011A (ko) * 2021-03-08 2023-01-13 (주)에이피아이 분사 노즐 장치
KR20230057164A (ko) * 2021-10-21 2023-04-28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코안다 효과를 활용한 와류 고리 추진기 및 이의 추진 성능 평가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68122B1 (ko) 2007-0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42847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mixing exhaust gases and reductant in an aftertreatment system
US6880340B2 (en) Combustor with turbulence producing device
US5579645A (en) Radially mounted air blast fuel injector
JP5568082B2 (ja) 改良されたミスト発生装置および方法
US20060035183A1 (en) Mixer
JP5868354B2 (ja) ガスタービンバーナ用の軸方向スワーラ
JPH0712313A (ja) 前混合バーナ
JPH06190257A (ja) 気体−液体混合装置
KR100668122B1 (ko) 다양한 환형슬릿을 가지는 스파이럴 노즐
CN103573350A (zh) 用于后处理排气的混合装置
JP2001000849A (ja) 予混合装置
US8967852B2 (en) Mixers for immiscible fluids
US10094352B2 (en) Swirl impingement prefilming
US20190063293A1 (en) Mixer device
JP2006272150A (ja) ガス混合器およびガス混合方法
KR200382333Y1 (ko) 다양한 환형슬릿을 가지는 스파이럴 노즐
JP6851656B2 (ja) 有害物質を最小化することができる燃焼装置
WO2019230165A1 (ja) 液体燃料噴射器
RU2144439C1 (ru) Центробежно-струйная форсунка
CN205386409U (zh) 一种scr脱硝装置
US6960077B2 (en) Low noise modular blade burner
JP5453322B2 (ja) バーナ装置並びにバーナ装置の使用
JP2009002557A (ja) 冷媒分流器及び冷凍装置
KR20170005440A (ko) 특히 정제 유닛에 탄화수소 공급물을 주입하기 위한 주입 디바이스
JP2002276943A (ja) ガスタービン用燃料ノズ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8 Du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0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6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31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