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88304A - 서로 다른 두 개의 주파수 대역을 지원하는 이동 통신단말기 - Google Patents

서로 다른 두 개의 주파수 대역을 지원하는 이동 통신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88304A
KR20060088304A KR1020050009143A KR20050009143A KR20060088304A KR 20060088304 A KR20060088304 A KR 20060088304A KR 1020050009143 A KR1020050009143 A KR 1020050009143A KR 20050009143 A KR20050009143 A KR 20050009143A KR 20060088304 A KR20060088304 A KR 200600883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tenna
housing
frequency band
mobile communication
cor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091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효석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091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88304A/ko
Priority to CNA2005101028240A priority patent/CN1815899A/zh
Publication of KR200600883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8830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34Reselection control
    • H04W36/36Reselection control by user or terminal equip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01Q1/241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 H01Q1/24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 H01Q1/243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with built-in antenn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통신 서비스들을 지원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일측 모서리에 구비되며, 제1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제1 안테나; 그리고 상기 하우징의 타측 모서리에 구비되며, 상기 제1 주파수 대역과 다른 제2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제2 안테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서로 다른 두 개의 주파수 대역을 지원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두 안테나들이 최대 격리되는 구조로 배치되기 때문에 그 듀얼밴드듀얼모드 단말기가 핸드오버 수행시에 신호간 간섭이 발생하지 않는다.
이동 통신 단말기, 주파수 대역, 안테나, 간섭, 격리, 이격

Description

서로 다른 두 개의 주파수 대역을 지원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Mobile communication device using different two frequency band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구성을 간략하게 나타낸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변형 예들을 나타낸 사시도들;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를 나타낸 사시도; 그리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변형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하우징 110: 상부 하우징
120: 하부 하우징 130: 힌지
150: 리셉터클 210: 제1 안테나
220: 제2 안테나 310: 제1 RF 모듈
320: 제2 RF 모듈 400: 제어부
본 발명은 이동 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통신 서비스들을 지원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여러 이동 통신 단말기 제조업체들은 듀얼밴드듀얼모드 단말기를 출시하고 있다.
예를 들어 비동기식 3세대 이동 통신인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서비스가 본격적으로 착수될 예정임에 따라 기존 유럽형 이동통신 서비스 기술인 이동 통신 세계화 시스템(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서비스를 WCDMA 서비스와 함께 지원하는 듀얼밴드듀얼모드 단말기가 출시되었다.
한편 상기한 WCDMA와 GSM을 지원하는 듀얼밴드듀얼모드 단말기의 경우에는 한 개의 안테나를 사용하여 두 개의 주파수 대역을 수신할 수 있도록 구현되었다. 그러나 WCDMA와 GSM간의 서비스 전환을 위한 스위치를 더 구비한다. 상기와 같이 WCDMA와 GSM을 지원하는 듀얼밴드듀얼모드 단말기가 하나의 안테나로써 구현 가능한 것은 시분할다중 방식을 사용하기 때문이다. 즉, 시분할다중 방식(TDD)을 사용하기 때문에 근접한 주파수 대역을 위한 안테나 간 격리가 요구되지 않는다.
그러나 주파수분할다중 방식(FDD)을 사용하는 경우는 다르다.
예를 들어, WCDMA 서비스와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서비스를 지원하는 듀얼밴드듀얼모드 단말기는 WCDMA와 GSM을 지원하는 듀얼밴드듀얼모드 단말기와 달리 주파수분할다중 방식(FDD)을 사용한다.
만약 WCDMA 서비스와 PCS 서비스를 지원하는 단말기가 하나의 서비스에서 다른 서비스로 핸드오버(Handover)를 수행할 시에는 동일한 시점에서 두 서비스의 신소들을 모두 수신하여야 한다.
이 때 2.0㎓의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WCDMA와 1.8㎓의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PCS간에는 서로간 주파수 대역이 인접하고 있기 때문에, 두 개의 안테나들을 사용하면서 또한 그 두 안테나들간의 격리 문제를 고려해야 한다.
만약 두 안테네들간의 격리 문제가 해결되지 않으면, 상기와 같이 서로 인접한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신호들간의 간섭이 현저해진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특히,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의 통신 서비스들을 지원하기 위한 각 안테나들을 구비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서로 인접하면서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의 고주파(RF) 신호를 송수신하는 안테나들이 최대 격리되도록 구현된 이동 통신 단말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형태에서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일측 모서리에 구비되며, 제1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제1 안테 나; 그리고 상기 하우징의 타측 모서리에 구비되며, 상기 제1 주파수 대역과 다른 제2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제2 안테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서로 다른 두 개의 주파수 대역을 지원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여기서, 상기 제2 안테나는 상기 하우징의 모서리들 중 상기 제1 안테나가 설치된 모서리의 대각 방향에 위치한 모서리에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안테나와 상기 제2 안테나 중 어느 하나는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돌출된 외장형 안테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다른 하나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탑재된 내장형 안테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이에 국한되지 않고, 상기 제1 안테나와 상기 제2 안테나는 각각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탑재된 내장형 안테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제1 안테나와 상기 제2 안테나 사이에는 디스플레이가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은, 외부 기기와 유선 데이터 통신을 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의 측면에 구비된 리셉터클(receptacle)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1 안테나와 상기 제2 안테나는 상기 하우징의 상단과 하단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일 형태에서는, 상호 힌지 결합된 상부 및 하부 하우징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폴더형 하우징; 상기 상부 및 하부 하우징 중 어느 하나의 일측 모서리에 구비되며, 제1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제1 안테나; 그리고, 상기 제1 안테나가 설치된 어느 하나의 하우징의 모서리들 중 상기 일측 모서리와 대각 방향에 위치한 모서리에 구비되고, 상 기 제1 주파수 대역과 다른 제2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제2 안테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서로 다른 두 개의 주파수 대역을 지원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를 제공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일 형태에서는, 상호 힌지 결합된 상부 및 하부 하우징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폴더형 하우징; 상기 상부 및 하부 하우징 중 어느 하나의 일측 모서리에 구비되며, 제1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제1 안테나; 그리고, 상기 상부 및 하부 하우징 중 다른 하나의 모서리들 중 상기 일측 모서리와 대각 방향에 위치하는 모서리에 구비되며, 상기 제1 주파수 대역과 다른 제2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제2 안테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서로 다른 두 개의 주파수 대역을 지원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를 제공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형태에서는, 상호 힌지 결합된 상부 및 하부 하우징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폴더형 하우징; 상기 힌지의 일단부에 구비되고, 제1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제1 안테나; 그리고, 상기 상부 및 하부 하우징 중 어느 하나의 모서리들 중 상기 제1 안테나가 설치된 상기 힌지의 일단부와 대각 방향에 위치하는 모서리에 구비되며, 상기 제1 주파수 대역과 다른 제2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제2 안테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서로 다른 두 개의 주파수 대역을 지원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를 제공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형태에서는, 상호 미끄러질 수 있게 결합된 상부 및 하부 하우징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슬라이드형 하우징; 상기 상부 및 하부 하우징 중 어느 하나의 일측 모서리에 구비되며, 제1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제1 안테나; 그리고, 상기 제1 안테나가 설치된 어느 하나의 하우징의 모서리들 중 상기 일측 모서리와 대각 방향에 위치한 모서리에 구비되고, 상기 제1 주파수 대역과 다른 제2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제2 안테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서로 다른 두 개의 주파수 대역을 지원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를 제공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형태에서는, 상호 미끄러질 수 있게 결합된 상부 및 하부 하우징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슬라이드형 하우징; 상기 상부 및 하부 하우징 중 어느 하나의 일측 모서리에 구비되며, 제1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제1 안테나; 그리고 상부 및 하부 하우징 중 다른 하나의 모서리들 중 상기 일측 모서리와 대각 방향에 위치하는 모서리에 구비되며, 상기 제1 주파수 대역과 다른 제2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제2 안테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서로 다른 두 개의 주파수 대역을 지원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를 제공한다.
이하에서는, 상기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본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하기에서 생략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구성을 간략하게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에는 두 개의 안 테나, 즉 제1 안테나(210) 및 제2 안테나(220)가 구비된다. 상기 제1 안테나(210)와 제2 안테나(220)에는 각각 제1 RF 모듈(310)과 제2 RF 모듈(320)이 연결되고, 상기 제1 RF 모듈(310)과 제2 RF 모듈(320)은 각각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제어부(400)와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제1 안테나(210)와 제2 안테나(220)의 간섭을 최소화시키기 위해, 상기 제1 안테나(210)는 예를 들면, 하우징(100)의 일측 모서리에 장착되고, 상기 제2 안테나(220)는 상기 하우징(100)의 타측 모서리, 좀더 상세하게는 상기 제1 안테나(210)가 장착된 모서리와 대각 방향에 있는 모서리에 설치된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상기 제1 안테나(210)는 제1 주파수 대역, 예를 들면 2.0GHz에 인접한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송수신하고, 상기 제2 안테나(220)는 상기 제1 주파수 대역과 다른 제2 주파수 대역, 예를 들면 1.8GHz에 인접한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송수신한다.
그리고, 상기 제1 안테나(210)와 제2 안테나(220) 중 어느 하나, 예를 들면 상기 제1 안테나(210)는 비 동기식 신호를 송수신하고, 상기 제1 안테나(210)와 제2 안테나(220) 중 다른 하나, 예를 들면 상기 제2 안테나(220)는 동기식 신호를 송수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광대역 부호 분할 다중 접속" 방식, 즉 WCDMA (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은 대략 2.0GHz에 인접한 주파수 대역에서 비동기식으로 신호를 송수신하고, "개인 휴대 통신 시스템"이라 불리는 PSC (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방식은 대략 1.8GHz에 인접한 주파수 대역에서 동기식으로 신호를 송수신한다.
그러므로, 상기 제1 안테나(210)와 제2 안테나(220) 중 어느 하나, 예를 들면 제1 안테나(210)는 상기 WCDMA 방식에 따라 신호를 송수신하고, 상기 제1 안테나(210)와 제2 안테나(220) 중 다른 하나, 예를 들면 제2 안테나(220)는 상기 PCS 방식에 따라 신호를 송수신한다고 할 수 있다.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서로 다른 방식과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제1 안테나(210) 및 제2 안테나(220)는 상호 간섭을 위해 최대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도록 상기 하우징(100)에 장착된다. 그런데, 현재에는 바 타입, 폴더 타입, 그리고 슬라이드 타입 등 다양한 타입의 하우징들이 이동 통신 단말기의 본체로 사용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상기 제1 안테나(210) 및 제2 안테나(220)는 하우징(100)의 형태에 따라 다양한 위치에 설치되어 사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이에 대해 도 2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좀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상기 하우징(100)은 길이가 긴 바 타입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바 타입 하우징(100)의 상면의 대략 상측에는 디스플레이(101) 및 스피커(103)가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100)의 상면 중 디스플레이(101)의 아래쪽에는 키패드(102)와 마이크(104)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제1 안테나(210)는 상기 하우징(100)의 상단 일측 모서리에 구비되고, 상기 제2 안테나(220)는 상기 하우징(100)의 하단 일측 모서리에 구비된 다. 여기서, 상기 제1 안테나(210)와 제2 안테나(2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100)의 각 모서리들 중에서 서로 대각 방향으로 마주보는 모서리들에 각각 구비된다.
상기 제1 안테나(210)는 예를 들어, 안테나의 리드를 외부로 인출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100)의 상단에 돌출되게 장착된 외장형 안테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반면, 상기 제2 안테나(2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로 돌출되지 않고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에 장착되는 내장형 안테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러나, 이에 국한되지 만은 않는다. 예를 들어, 비록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와는 반대로, 상기 제1 안테나(210)가 내장형 안테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2 안테나(220)가 외장형 안테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을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1 안테나(210)와 제2 안테나(220)가 각각 상기 내장형 안테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거나, 상기 제1 안테나(210)와 제2 안테나(220)가 각각 상기 외장형 안테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안테나(210)와 제2 안테나(220) 사이에는 디스플레이(101)가 배치된다. 이는 상기 제1 안테나(210)와 제2 안테나(220) 사이에 좀더 많은 부재들을 배치함으로써 상기 제1 안테나(210)와 제2 안테나(220)의 간섭을 최소화시키기 위함이다.
그리고, 일반적으로 이동 통신 단말기에는 외부 기기와 유선 데이터 통신을 하거나, 외부 기기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거나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는 리셉터클(150)(receptacle)이 구비된다. 상기 리셉터클(150)은 하우징의 하단에 구비되는 것이 일반적이나,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상기 하우징(100)의 하단에는 상기 제2 안테나(220)가 내장되므로, 상기 리셉터클(15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100)의 측면에 제공된다.
한편, 도 3 내지 도 5에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 및 이의 변형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들이 도시 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 및 그 변형예는 폴더 형 단말기에 적용되며, 이를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2 실시예 및 그 변형예에서 상기 하우징(100)은 힌지(130)에 의해 결합된 상부 하우징(110) 및 상부 하우징(1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상부 하우징(110)은 힌지(130)를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으며, 상기 상부 하우징(110)이 상기 힌지(130)를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하우징(100)이 열리거나 닫히게 된다.
상기 상부 하우징(110)의 하면에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100)을 열었을 때 사용자가 볼 수 있는 디스플레이(101)가 구비되고, 상기 상부 하우징(110)의 상면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100)을 닫았을 때 사용자가 볼 수 있는 보조 디스플레이(106)이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상부 하우징(110)의 하면 상측에는 스피커(103)가 구비된다.
상기 상부 하우징(120)의 상면에는 키패드(102)와 마이크(104)가 구비되고, 상기 하우 하우징(100)의 하면에는 배터리가 장착되며, 상기 상부 하우징(120)의 측면에는 상기 리셉터클(150)이 구비된다.
한편,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상기 제1 안테나 (2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 하우징(120)의 일측 모서리, 좀더 상세하게는 상기 상부 하우징(120)의 상단 일측 모서리에 구비되고, 상기 제2 안테나(220)는 상기 상부 하우징(120)의 타측 모서리, 좀더 상세하게는 상기 상부 하우징(120)의 하단 일측 모서리에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제1 안테나(210)와 제2 안테나(2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 하우징(120)의 모서리들 중에서 서로 대각 방향으로 마주보는 두 모서리에 각각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제1 안테나(2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로 돌출된 외장형 안테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제2 안테나(220)는 상부 하우징(120)의 내부에 탑재된 내장형 안테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러나, 이에 국한되지 만은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와는 반대로 상기 제1 안테나(210)가 내장형 안테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2 안테나(220)가 외장형 안테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을 것이다. 나아가, 상기 제1 안테나(210)와 제2 안테나(220)가 모두 내장형 안테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거나, 모두 외장형 안테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을 것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상기 제1 안테나(21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 하우징(110)의 일측 모서리에제공되고, 상기 제2 안테나(220)는 상기 상부 하우징(120)의 모서리들 중 상기 제1 안테나(210)가 설치된 상부 하우징(110)의 일측 모서리와 대각으로 마주하는 모서리에 구비된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안테나(210)는 상기 상부 하우징(110)의 모서리들 중 상기 힌지(130)와 인접한 어느 한 모서리에 설치되고, 상기 제2 안테나(220)는 상기 상부 하우징(120)의 하단의 모서리들 중 상기 제1 안테나(210)와 대각 방향에 위치한 모서리에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제1 안테나(210)와 제2 안테나(220)는 각각 내장형 안테나를 포함하여 이루어 진다. 그러나, 이에 국한되지 않고, 위 두 개의 안테나 중 어느 하나가 외장형 안테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거나, 위 두 개의 안테나가 모두 외장형 안테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실시예들의 경우, 상기 하우징(100)이 닫혀 있을 때 상기 제1 안테나(210)와 상기 제2 안테나(220)의 사이에는 디스플레이(101)가 배치되게 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다른 변형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경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안테나(210)는 상기 힌지(130)의 길이 방향 일단에 설치되고, 상기 제2 안테나(220)는 상기 상부 하우징(110)과 상부 하우징(120) 중 어느 하나의 단부에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제2 안테나(220)는 상기 상부 하우징(110)과 상부 하우징(120)의 단부 들 중에서 상기 힌지(130)와 멀리 떨어진 단부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특히 상기 제1 안테나(210)가 설치된 힌지(130)의 일단과 대각 방향에 위치한 모서리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1 안테나(210)는 상기 힌지(130) 내에 내장되는 내장형 안테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2 안테나(220)는 상기 상부 하우징(110) 또는 상부 하우징(120) 내에 내장되는 내장형 안테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러나, 이에 국한되지 만은 안으며, 상기 제1 안테나(210)와 제2 안테나(220)가 모두 외장형 안테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거나, 상기 제1 안테나(210)와 제2 안테나(220) 중 어느 하나는 내장형 안테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다른 하나는 외장형 안테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도 6 및 도 7에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상기 하우징(100)은 슬라이드형으로 이루어지는데, 이에 대해 좀더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하우징(100)은 상부 하우징(110)과 상부 하우징(1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데, 상기 상부 하우징(110)과 상부 하우징(120)은 상호 미끄러지면서 상대운동 할 수 있도록 결합된다. 이를 위해, 상기 상부 하우징(110)과 상부 하우징(120) 중 어느 하나에는 레일이 구비되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레일에 결합되어 상기 상부 하우징(110)과 상부 하우징(120)의 슬라이딩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가 구비된다. 이러한 구조는 슬라이드형 단말기에 일반적으로 적용되고 있으므로, 이에 대한 도시 및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상부 하우징(110)의 상면에는 디스플레이(101)가 구비되고, 상기 디스플레이(101)디스플레이(101)스피커(103)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 하우징(120)의 상면에는 키패드(102) 및 마이크(104)가 구비된다. 상기 키패드(102)와 마이크(104)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100)이 열렸을 때에만 외부로 노출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 하우징(120)의 측면에는 외부 기기의 잭이 삽입될 수 있는 리셉터클(150)이 구비된다.
상기 제1 안테나(21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 하우징(120)의 일측 모서리, 좀더 상세하게는 상단 일측 모서리에 구비되고, 상기 제2 안테나(220)는 상기 상부 하우징(120)의 타측 모서리, 좀더 상세하게는 하단 일측 모서리에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제1 안테나(210)와 제2 안테나(220)는 상기 상부 하우징(120)의 모서리들 중 서로 대각 방향으로 마주보고 있는 두 모서리에 각각 설치된다.
상기 제1 안테나(21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00)의 외부로 돌출된 외장형 안테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2 안테나(220)는 상기 상부 하우징(120)의 내부에 설치되는 내장형 안테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한편, 도 6에는 상기 제1 안테나(210) 및 제2 안테나(220)가 모두 상기 상부 하우징(120)에 구비된 예가 도시 되어 있다. 그러나, 이에 국한되지 만은 않는다.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안테나(210)가 상기 상부 하우징(110)의 일단 모서리, 좀더 상세하게는 상단 모서리에 구비되고, 상기 제2 안테나(220)가 상기 상부 하우징(120)의 일단 모서리, 예를 들어 하단 모서리에 구비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제1 안테나(210)와 제2 안테나(220)는 각각 대각 방향으로 상호 마주 보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다른 예로, 상기 제1 안테나(210)와 상기 제2 안테나(220)가 모두 상기 상부 하우징(110)에 설치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도 6 및 도 7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안테나(210)와 제2 안테나 (220)는 모두 내장형 안테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거나, 모두 내장형 안테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 물론, 상기 제1 안테나(210)가 내장형 안테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2 안테나(220)가 외장형 안테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을 것이다.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는, WCDMA 환경과 PCS 환경이 모두 구비된 환경에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가 우선적으로 PCS 방식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설정된 경우,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는 상기 제2 안테나(220)를 이용하여 PCS 방식 신호를 우선적으로 송수신하되, 상기 PCS 방식 신호가 미약하거나 잡히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제어부(400)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제1 안테나(210)를 이용하여 WCDMA 방식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전환된다. 이러한 과정에서, 상기 제1 안테나(210)와 제2 안테나(220)는 최대한 이격되게 배치되어 있으므로, 이들 두 안테나 및 이와 연관된 부품들 사이의 상호 간섭은 최소화될 수 있다.
상기에서 몇몇의 실시예가 설명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본 발명이 이의 취지 및 범주에서 벗어남 없이 다른 여러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예를 들어, 위에서는, 상기 제1 안테나는 상기 WCDMA 방식에 따라 신호를 송수신하고, 상기 제2 안테나는 상기 PCS 방식에 따라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설정된 예들이 설명되었다. 그러나 이에 국한되지 않고, 상기 제1 안테나가 PCS 방식에 따라 신호를 송수신하고, 상기 제2 안테나가 상기 WCDMA 방식에 따라 신호를 송수신 하도록 설정될 수도 있을 것이다.
따라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닌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며, 첨부된 청구항 및 이의 동등범위내의 모든 실시예는 본 발명의 범주내에 포함된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르면, 2.0㎓의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WCDMA와 1.8㎓의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PCS를 모두 지원하도록 두 개의 안테나를 구비한 듀얼밴드듀얼모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그 두 안테나들이 최대 격리되는 구조로 배치되기 때문에 그 듀얼밴드듀얼모드 단말기가 핸드오버 수행시에 신호간 간섭이 발생하지 않는다.

Claims (11)

  1.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일측 모서리에 구비되며, 제1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제1 안테나; 그리고
    상기 하우징의 타측 모서리에 구비되며, 상기 제1 주파수 대역과 다른 제2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제2 안테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서로 다른 두 개의 주파수 대역을 지원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안테나는 상기 하우징의 모서리들 중 상기 제1 안테나가 설치된 모서리의 대각 방향에 위치한 모서리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로 다른 두 개의 주파수 대역을 지원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안테나와 상기 제2 안테나 중 어느 하나는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돌출된 외장형 안테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다른 하나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탑재된 내장형 안테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로 다른 두 개의 주파수 대역을 지원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안테나와 상기 제2 안테나는 각각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탑재된 내장형 안테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로 다른 두 개의 주파수 대역을 지원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5. 상호 힌지 결합된 상부 및 하부 하우징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폴더형 하우징;
    상기 상부 및 하부 하우징 중 어느 하나의 일측 모서리에 구비되며, 제1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제1 안테나; 그리고
    상기 제1 안테나가 설치된 어느 하나의 하우징의 모서리들 중 상기 일측 모서리와 대각 방향에 위치한 모서리에 구비되고, 상기 제1 주파수 대역과 다른 제2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제2 안테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서로 다른 두 개의 주파수 대역을 지원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6. 상호 힌지 결합된 상부 및 하부 하우징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폴더형 하우징;
    상기 상부 및 하부 하우징 중 어느 하나의 일측 모서리에 구비되며, 제1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제1 안테나; 그리고
    상기 상부 및 하부 하우징 중 다른 하나의 모서리들 중 상기 일측 모서리와 대각 방향에 위치하는 모서리에 구비되며, 상기 제1 주파수 대역과 다른 제2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제2 안테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서로 다른 두 개의 주파수 대역을 지원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7. 상호 힌지 결합된 상부 및 하부 하우징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폴더형 하우징;
    상기 힌지의 일단부에 구비되고, 제1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제1 안테나; 그리고
    상기 상부 및 하부 하우징 중 어느 하나의 모서리들 중 상기 제1 안테나가 설치된 상기 힌지의 일단부와 대각 방향에 위치하는 모서리에 구비되며, 상기 제1 주파수 대역과 다른 제2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제2 안테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서로 다른 두 개의 주파수 대역을 지원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8. 상호 미끄러질 수 있게 결합된 상부 및 하부 하우징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슬라이드형 하우징;
    상기 상부 및 하부 하우징 중 어느 하나의 일측 모서리에 구비되며, 제1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제1 안테나; 그리고
    상기 제1 안테나가 설치된 어느 하나의 하우징의 모서리들 중 상기 일측 모서리와 대각 방향에 위치한 모서리에 구비되고, 상기 제1 주파수 대역과 다른 제2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제2 안테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서로 다른 두 개의 주파수 대역을 지원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9. 상호 미끄러질 수 있게 결합된 상부 및 하부 하우징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슬라이드형 하우징;
    상기 상부 및 하부 하우징 중 어느 하나의 일측 모서리에 구비되며, 제1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제1 안테나; 그리고
    상부 및 하부 하우징 중 다른 하나의 모서리들 중 상기 일측 모서리와 대각 방향에 위치하는 모서리에 구비되며, 상기 제1 주파수 대역과 다른 제2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제2 안테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서로 다른 두 개의 주파수 대역을 지원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이 닫혔을 때, 상기 제1 안테나와 상기 제2 안테나 사이에는 디스플레이가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로 다른 두 개의 주파수 대역을 지원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11. 제 1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외부 기기와의 유선 데이터 통신을 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의 측면에 구비된 리셉터클(receptacle)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특징으로 하는 서로 다른 두 개의 주파수 대역을 지원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KR1020050009143A 2005-02-01 2005-02-01 서로 다른 두 개의 주파수 대역을 지원하는 이동 통신단말기 KR20060088304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9143A KR20060088304A (ko) 2005-02-01 2005-02-01 서로 다른 두 개의 주파수 대역을 지원하는 이동 통신단말기
CNA2005101028240A CN1815899A (zh) 2005-02-01 2005-09-13 一种支持两个不同频带的移动通信终端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9143A KR20060088304A (ko) 2005-02-01 2005-02-01 서로 다른 두 개의 주파수 대역을 지원하는 이동 통신단말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8304A true KR20060088304A (ko) 2006-08-04

Family

ID=369079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09143A KR20060088304A (ko) 2005-02-01 2005-02-01 서로 다른 두 개의 주파수 대역을 지원하는 이동 통신단말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60088304A (ko)
CN (1) CN1815899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4150B1 (ko) * 2008-01-18 2011-09-15 교세라 가부시키가이샤 휴대정보단말
US8219143B2 (en) 2006-09-28 2012-07-10 Kyocera Corporation Mobile radio device
KR101446702B1 (ko) * 2008-06-19 2014-10-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슬라이드 타입의 휴대 단말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809195A (zh) * 2005-09-12 2006-07-26 宇龙计算机通信科技(深圳)有限公司 多模终端的多通信网络呼叫处理方法
CN110708670B (zh) * 2019-09-03 2021-09-14 锐捷网络股份有限公司 一种考勤基站、考勤方法及系统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219143B2 (en) 2006-09-28 2012-07-10 Kyocera Corporation Mobile radio device
KR101232557B1 (ko) * 2006-09-28 2013-02-12 교세라 가부시키가이샤 휴대 무선기
KR101064150B1 (ko) * 2008-01-18 2011-09-15 교세라 가부시키가이샤 휴대정보단말
US8463321B2 (en) 2008-01-18 2013-06-11 Kyocera Corporation Mobile information terminal
KR101446702B1 (ko) * 2008-06-19 2014-10-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슬라이드 타입의 휴대 단말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815899A (zh) 2006-08-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01556B2 (en) Tunable dual-antenna system for multiple frequency band operation
US7058434B2 (en) Mobile communication
KR0177878B1 (ko) 다중 부품 안테나 및 그 제조 방법
US7298339B1 (en) Multiband multimode compact antenna system
US7106260B2 (en) Antenna device for portable wireless terminal
US8933849B2 (en) Portable wireless device
US20120326813A1 (en) Flexible cable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same
CN101904158B (zh) 滑动机构
US7233293B2 (en) Antenna device for portable wireless terminal
KR20060088304A (ko) 서로 다른 두 개의 주파수 대역을 지원하는 이동 통신단말기
US20110136554A1 (en) Mobile communication device with rf-capable flex cable
JP3839001B2 (ja) 携帯無線機
EP2490297A1 (en) Dual-mode terminal antenna and signal processing method
US20100009728A1 (en) Portable terminal
WO2008122317A1 (en) A radio antenna for a communication terminal
WO1998056066A1 (en) Retractable antenna
US8138979B2 (en) Portable wireless apparatus
JP2006197418A (ja) 携帯通信端末及び通信感度調整方法
KR100700580B1 (ko) 분리형 접촉단자부를 갖는 휴대용 단말기의 내장형 안테나
JP2004254098A (ja) 折畳み式携帯無線機器
JP5462683B2 (ja) 携帯通信端末
KR100584318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안테나 장치
EP2334040B1 (en) Mobile communication device with RF communication between parts
KR20060068885A (ko) 내장형 안테나를 구비하는 슬라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
CA2780497A1 (en) Flexible cable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70312

Effective date: 200712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