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87849A - Drive for electric window - Google Patents
Drive for electric window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60087849A KR20060087849A KR1020050008709A KR20050008709A KR20060087849A KR 20060087849 A KR20060087849 A KR 20060087849A KR 1020050008709 A KR1020050008709 A KR 1020050008709A KR 20050008709 A KR20050008709 A KR 20050008709A KR 20060087849 A KR20060087849 A KR 2006008784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indow
- link
- drive
- opening
- base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05096 rol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6978 adapt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360 synchronis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23 venti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11—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swinging wings
- E05F15/6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swinging wings operated by swinging arm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86—Rods, link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48—Windows
Landscapes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동창문용 구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상에 설치되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력으로 동작되고 리드스크류와 이송블럭으로 구성되는 리드스크류기구와, 상기 이송블럭의 일측에 구비되고 이송블럭과 일체로 이동되는 구동핀과, 상기 구동핀에 의해 구동되는 것으로, 일측이 창틀 쪽에 타측이 창문쪽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서로 회동되게 단부가 연결되는 제1링크 및 제2링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링크에는 상기 구동핀이 삽입되어 안내되는 연동슬롯이 소정의 곡선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2링크에는 상기 구동핀이 삽입되어 안내되는 부분으로 창문이 창틀에 밀착되게 고정되도록 하는 걸이슬롯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전동창문용 구동장치에 의하면 창문의 회전개폐 및 경사개폐의 절환 및 회전개폐 및 경사개폐동작을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되고, 기존의 창문에 쉽게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rive device for an electric window.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base, a drive motor installed on the base, a lead screw mechanism which is operated by a driving force of the drive motor and is composed of a lead screw and a transfer block, and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transfer block and integrally with the transfer block. The driving pin is moved, and driven by the driving pin, one side is configured to include a first link and a second link rotatably connected to the window side and the other end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window side. The drive link is inserted into the first link is guided slot is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curved shape, the second link is inserted into the drive pin is guided so that the window is fixed in close contact with the window frame Hanger slots are formed. According to the drive device for the electric window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a configuration it is possible to automatically perform the switching and rotation opening and closing and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of the rotation opening and closing of the window, and can be easily mounted on the existing window. There is an advantage to be
전동창문, 회전개폐, 경사개폐, 창문개폐Electric window, rotary opening, inclined opening, window opening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구동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채용된 전동창문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power window that is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driv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dopted.
도 2는 본 발명 실시예의 요부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main configuration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구성이 조립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onfiguration shown in Figure 2 assembled.
도 4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절환부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Figure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switching unit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절환부의 요부 구성이 조립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FIG. 5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main parts of the switching unit illustrated in FIG. 4 are assembled; FIG.
도 6은 본 발명 실시예가 채용된 전동창문이 90°정도 회전개방된 상태를 보인 동작상태도.Figure 6 is an operating state showing the state in which the electric window is rotated by 90 ° opened employ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 실시예가 채용된 전동창문이 135°정도 회전개방된 상태를 보인 동작상태도.Figure 7 is an operating state showing the state in which the electric window is rotated about 135 ° opened employ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 실시예가 채용된 전동창문이 15°정도 경사개방된 상태를 보인 동작상태도.Figure 8 is an operating state showing the state in which the electric window is inclined open about 15 degrees adopt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창틀 12: 창문10: window frame 12: window
20: 베이스 22: 가이드슬롯20: base 22: guide slot
24: 구동모터 26: 베어링하우징24: drive motor 26: bearing housing
26': 베어링 28: 리드스크류26 ': bearing 28: lead screw
30: 커플링 32: 이송블럭30: coupling 32: transfer block
34: 센서브라켓 36: 리밋스위치34: sensor bracket 36: limit switch
38: 메인기판 40: 구동핀38: main board 40: drive pin
41: 제1부싱 42: 제2부싱41: first bushing 42: second bushing
44: 핀설치브라켓 46: 제1링크44: pin mounting bracket 46: first link
48: 회전중심핀 50: 연동슬롯48: rotation center pin 50: interlock slot
52: 볼조인트 54: 제2링크52: ball joint 54: second link
56: 걸이슬롯 58: 연결핀56: hanger slot 58: connecting pin
59: 연결브라켓 60: 절환유니트59: connecting bracket 60: switching unit
62: 절환베이스 64: 구동모터62: switching base 64: drive motor
66: 워엄 68: 워엄휠브라켓66: worm 68: worm wheel bracket
70: 워엄휠축 72: 워엄휠70: worm wheel axis 72: worm wheel
74: 구동기어 76: 종동기어74: drive gear 76: driven gear
78: 핸들브라켓 80: 핸들축78: handle bracket 80: handle shaft
82: 연동부 84: 위치감지구82: linkage 84: position detection
본 발명은 전동창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구동원의 구동력에 의 해 창문을 자동적으로 회전개폐 및 경사개폐되도록 하는 전동창문용 구동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wer window, and more particularly, to a drive device for a power window for automatically opening and closing the door by the driving force of the drive source.
일반적으로 창문은 건물의 내부공간을 외부와 연통시켜 환기를 수행하고 창문의 유리를 통해 채광을 수행한다. 이와 같은 창문은 창틀에 설치되어 개폐된다. 상기 창문의 개폐방식에는 다양한 것이 있는데, 창틀에 하나의 창문만이 있는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회전개폐과 경사개폐 방식이 있다.In general, the windows communicate with the outside of the building to ventilate and light through the glass of the windows. Such a window is installed in the window frame and opened and closed. There is a variety of ways to open and close the window, when there is only one window in the window frame, there is generally a rotation opening and closing method.
여기서 회전개폐란 창문을 정면에서 봤을 때, 일측 단부를 회전중심으로 타측 단부가 창틀에 안착되거나 분리되도록 회전되어 창문이 개폐되는 것을 말한다. 그리고, 경사개폐란 창문의 하단부를 회전중심으로 상단부가 창틀에 안착되거나 분리되도록 회전되어 창문이 개폐되는 것을 말한다.Here, the rotation opening and closing means that the window is opened and closed by rotating so that the other end is seated or separated on the window frame with one end as the center of rotation when viewed from the front. In addition, the inclined opening and closing means that the upper end is rotated to be seated or separated on the window frame with the center of rotation of the lower end of the window is opened and closed.
한편, 창문중에서는 회전개폐와 경사개폐를 선택적으로 할 수 있는 것이 있다. 즉, 창문이 개폐되는 회전중심을 사용자가 절환하여 회전개폐와 경사개폐를 선택적으로 수행하는 것이다. 이때, 창문의 개폐 역시 사용자가 직접 힘을 가해 수동으로 이루어진다.On the other hand, some of the windows can be selectively opened and closed rotation. That is, the user switches the center of rotation of opening and closing the window to selectively perform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rotation and the inclination opening and closing. At this time, opening and closing of the window is also performed manually by the user directly applying force.
하지만, 종래의 창문은 사용자가 직접 힘을 가하지 않으면 창문을 개폐할 수 없어 반드시 사용자가 창문으로 이동하여 직접 조작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노약자나 환자의 경우 창문을 개폐하는 것이 어려워 환기를 원하는 때에 할 수 없었다.However, the conventional window has a problem in that the user can not open and close the window without directly applying the force, so that the user must directly move by moving to the window. Therefore, it is difficult for the elderly and the patient to open and close the window and cannot do it when ventilation is desired.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전원을 사용하여 창문을 자동으로 개폐하는 것이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and to automatically open and close a window using a power sourc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원을 사용하여 창문을 회전개폐 및 경사개폐시키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use the power source to open and close the window opening and closing.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창문을 회전개폐 및 경사개폐시키는 구동장치를 하나의 유니트로 만들어 기존의 창문에 적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make a drive unit for opening and closing the rotation and inclination opening and closing the window as a unit to be applied to the existing window.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창문의 회전개폐 및 경사개폐의 절환을 전원을 사용하여 수행하도록 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erform the switching of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window and the inclination opening and closing using a power source.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상에 설치되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력으로 동작되고 리드스크류와 이송블럭으로 구성되는 리드스크류기구와, 상기 이송블럭의 일측에 구비되고 이송블럭과 일체로 이동되는 구동핀과, 상기 구동핀에 의해 구동되는 것으로, 일측이 창틀 쪽에 타측이 창문쪽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서로 회동되게 단부가 연결되는 제1링크 및 제2링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ccording to 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s a base, a drive motor installed on the base, a lead screw which is operated by the driving force of the drive motor and composed of a lead screw and a transfer block A mechanism, a driving pin provided on one side of the transfer block and integrally moved with the transfer block, and driven by the drive pin, the one end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window side and the other end rotatably connected to the window side.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first link and a second link.
상기 제1링크에는 상기 구동핀이 삽입되어 안내되는 연동슬롯이 소정의 곡선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2링크에는 상기 구동핀이 삽입되어 안내되는 부분으로 창문이 창틀에 밀착되게 고정되도록 하는 걸이슬롯이 형성된다.The drive link is inserted into the first link is guided slot is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curved shape, the second link is inserted into the drive pin is guided so that the window is fixed in close contact with the window frame Hanger slots are formed.
상기 베이스에는 상기 이송블럭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슬롯이 형성된다.The base is formed with a guide slot for guiding the movement of the transport block.
상기 구동핀에는 각각 상기 제1링크의 연동슬롯과 제2링크의 걸이슬롯의 양측벽을 따라 구름접촉하는 부싱이 더 구비된다.Each of the driving pins further includes a bushing for rolling contact along both sidewalls of the link slot of the first link and the hook slot of the second link.
상기 제1링크와 제2링크는 볼조인트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The first link and the second link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ball joint.
상기 베이스에는 상기 이송블럭이 이동되는 위치를 감지하는 리밋스위치가 센서브라켓 상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The base is provided with a limit switch for sensing the position where the transfer block is moved on the sensor bracket.
상기 창문의 일측에는 창문의 개방방식을 절환하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절환유니트가 더 구비되는데, 상기 절환유니트는 절환베이스와, 상기 절환베이스상에 설치되고 절환을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력을 전달하는 다수개의 기어와, 상기 다수개의 기어를 통해 전달된 구동력에 의해 선택적으로 회전되어 창문의 개방방식을 절환하는 동작을 발생시키는 핸들축과, 상기 핸들축과 일체로 회전되고 핸들축의 회전위치를 감지스위치에 의해 감지하도록 하는 위치감지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One side of the window is further provided with a switching unit for providing a driving force for switching the opening method of the window, the switching unit is a switching base, a drive motor installed on the switching base and providing a driving force for the switching, and A plurality of gears for transmitting a driving force of a driving motor, a handle shaft selectively rotating by a driving force transmitted through the plurality of gears to generate an operation of switching a window opening, and being integrally rotated with the handle shaft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position sensor for detecting the rotation position of the handle shaft by the sensing switch.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전동창문용 구동장치에 의하면 창문의 회전개폐 및 경사개폐의 절환 및 회전개폐 및 경사개폐동작을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되고, 기존의 창문에 쉽게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drive device for the electric window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a configuration it is possible to automatically perform the switching and rotation opening and closing and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of the rotation opening and closing of the window, and can be easily mounted on the existing window. There is an advantage to be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전동창문용 구동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drive device for electric window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1에는 본 발명에 의한 구동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채용된 전동창문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본 발명 실시예의 요부 구성이 분해사시도로 도시되어 있으며, 도 3에는 도 2에 도시된 구성이 조립된 상태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4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절환부의 구성이 분해사시도로 도시되어 있으며, 도 5에는 도 4에 도시된 절환부의 요부 구성이 조립된 상태의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electric window employ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driv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main configuration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n Figure 2 A perspective view of the assembled state is shown, Figure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configuration of the switching unit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ssembled with the main configuration of the switching unit shown in FIG. Shown in perspective view of the state.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창틀(10)은 건물의 벽체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것으로, 대략 사각형상이다. 상기 창틀(10)의 내부에는 창문(12)이 설치된다. 상기 창문(12) 역시 상기 창틀(10)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유리와 같은 투명부재가 설치되어 채광 및 외부관찰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As shown in these figures, the
상기 창틀(10)의 일면 상단부에는 베이스(20)가 설치된다. 상기 베이스(20)에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각종 부품들이 설치된다. 상기 베이스(20)는 대략 장방형의 판상으로 상기 창틀(10)의 외면 일측에 예를 들면 나사를 사용하여 착탈가능하다. 상기 베이스(20)에는 가이드슬롯(22)이 길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슬롯(22)은 아래에서 설명될 이송블럭(32)의 직선이동을 발생시키는 역할을 한다.The
상기 베이스(20)에는 모터브라켓(24')이 구비되고, 상기 모터브라켓(24')과 베이스(20)에는 구동모터(24)가 설치된다. 상기 구동모터(24)의 구동축(25)은 상기 모터브라켓(24')을 관통한다.The
상기 베이스(20)의 가이드슬롯(22) 양단에는 베어링하우징(26)이 각각 설치된다. 상기 베어링하우징(26)에는 베어링(26')이 안착되고, 상기 베어링(26')에 리드스크류(28)가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상기 리드스크류(28)는 상기 구동모터(24)의 구동축(25)과 커플링(30)을 통해 연결되어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된다.
상기 리드스크류(28)에는 이송블럭(32)이 설치된다. 즉, 상기 리드스크류(28)가 상기 이송블럭(32)을 관통한다. 상기 이송슬럭(32)은 그 일측이 상기 가이드슬롯(22)을 따라 안내되어 상기 리드스크류(28)의 회전에 따라 리드스크류(28)를 따라 이동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리드스크류기구라고 부르기로 한다.The
센서브라켓(34)은 그 양단이 상기 양단의 베어링하우징(26)에 각각 장착된다. 상기 센서브라켓(34)에는 3개의 리밋스위치(36)가 설치된다. 상기 리밋스위치(36)는 상기 센서브라켓(34)상에서 위치이동이 가능하다. 이는 창문(12)의 크기나 개폐되는 정도를 달리할 경우에 리밋스위치(36)의 위치를 달리하여 구동모터(24)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함이다. 도면 부호 38은 메인기판이다.Both ends of the
상기 이송블럭(32)에는 구동핀(40)이 설치된다. 상기 구동핀(40)은 상기 이송블럭(32)의 이동에 의해 아래에서 설명될 제1링크(46) 및 제2링크(54)의 연동슬롯(50) 및 걸이슬롯(56)을 따라 안내된다. 이와 같이 구동핀(40)이 슬롯(50,56)을 따라 이동됨에 의해 제1링크(46)와 제2링크(54)가 구동되어 창문(12)이 개폐된다.The
상기 구동핀(40)에는 제1 및 제2 부싱(41,42)이 차례로 설치된다. 상기 부싱(41,42)은 상기 구동핀(40)에 자유롭게 회전되도록 설치되어 상대물과의 마찰을 최소화하는 역할을 한다.First and
상기 베이스(20)에는 핀설치브라켓(44)이 설치된다. 상기 핀설치브라켓(44)은 상기 베이스(20)의 일면에 수직으로 세워지도록 설치된다. 상기 핀설치브라켓(44)은 아래에서 설명될 제1링크(46)의 일단부가 연결되는 부분으로, 반드시 도면에서와 같은 구성을 가질 필요는 없으며, 제1링크(46)의 일단부를 회전가능하게 연결할 수 있으면 된다.The
제1링크(46)는 일단부가 회전중심핀(48)에 의해 상기 핀설치브라켓(44)에 연결된다. 상기 제1링크(46)에는 연동슬롯(50)이 구비된다. 상기 연동슬롯(50)은 상 기 제1링크(46)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데, 일직선이 아닌 소정의 곡률을 가지는 곡선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연동슬롯(50)은 곡률은 창문(12)이 개방되는 쪽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연동슬롯(50)을 관통하여서 상기 구동핀(40)이 설치되고, 상기 구동핀(40)의 제1부싱(41)이 상기 연동슬롯(50)의 양측면을 따라 구름접촉하면서 안내된다. 상기 연동슬롯(50)이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곡률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창문(12)을 개방하는 초기와 폐쇄하는 말기에 상대적으로 큰 힘이 들어가기 때문으로, 상기 이송블럭(32)쪽에서 제공되는 힘을 보다 증폭시켜 창문(12)의 초기개방 및 말기폐쇄가 확실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One end of the
상기 제1링크(46)의 타단부에는 볼조인트(52)가 구비된다. 상기 볼조인트(52)는 아래에서 설명될 제2링크(54)와 연결되는 부분으로, 제1링크(46)와 제2링크(52)에 의해 창문(12)의 회전개폐와 경사개폐가 모두 가능하게 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즉, 제1링크(46)와 제2링크(54)를 볼조인트(52)에 의해 연결함에 의해 특히 경사개폐시 제1링크(46)와 제2링크(54)가 서로 평행하지 않은 상태로 연결되도록 한다.The other end of the
상기 제2링크(54)에는 걸이슬롯(56)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걸이슬롯(56)에는 상기 구동핀(40)이 선택적으로 위치되는데, 상기 창문(12)이 닫힌 상태일 때 상기 구동핀(40)이 상기 걸이슬롯(56)에 위치되어 창문(12)이 확실하게 창틀(10)에 밀착될 수 있도록 하여 창문(12)이 임의로 개방되지 못하도록 한다. 참고로 상기 제2링크(54)중 상기 걸이슬롯(56)이 형성되는 부분의 형상은 경사개폐와 회전개폐시에 제1링크(46)와 제2링크(54)가 서로 간섭되지 않으면서 상기 구동핀(40)이 상 기 걸이슬롯(56)을 따라 이동될 수 있도록 설계된 것이다.
상기 걸이슬롯(56)의 양측벽을 따라서는 상기 제2부싱(42)이 구름접촉하게 된다. 상기 걸이슬롯(56)은 상기 연동슬롯(50)중 상대적으로 회전중심핀(48)쪽의 궤적과 유사한 궤적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창문(12)이 닫혀 있어 상기 제1링크(46)와 제2링크(54)가 서로 겹쳐 있을 때, 상기 연동슬롯(50)중 상기 볼조인트(52)쪽 부분과는 소정의 각도로 교차되게 형성된다. 상기 걸이슬롯(56)은 일측이 개방되어 있어 창문(12)이 개폐정도에 따라, 상기 구동핀(40)이 걸이슬롯(56)의 내부 또는 외부에 있게 된다.The
제2링크(54)는 일단부가 상기 제1링크(46)와 볼조인트(52)를 통해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창문(12)측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된다. 즉, 상기 제2링크(54)는 연결핀(58)에 의해 상기 창문(12)에 설치되는 연결브라켓(59)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창문(12)의 개폐동작을 수행할 때도 상기 제2링크(54)와 연결브라켓(59), 즉 창문(12)은 연결된 상태로 회동될 수 있다.One end of the
상기 창문(12)에는 절환유니트(60)가 구비된다. 상기 절환유니트(60)는 창문(12)의 회전개폐와 경사개폐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절환유니트(60)의 구성을 도 4 및 도 5를 참고하여 설명한다.The
절환베이스(62)는 장방형의 판상으로 상기 창문(12)에 장착된다. 상기 절환베이스(62)에는 모터베이스(64')가 설치되고, 상기 모터베이스(64')에 의해 구동모터(64)가 고정된다. 상기 구동모터(64)의 구동축에는 워엄(66)이 설치된다.The switching
상기 모터베이스(64')에는 워엄휠브라켓(68)이 설치된다. 상기 워엄휠브라켓 (68)과 모터베이스(64')의 사이에는 워엄휠축(70)이 설치되고, 상기 워엄휠축(70)에는 워엄휠(72)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워엄휠(72)은 상기 워엄(66)과 치합되어 회전된다. 상기 워엄휠(72)에는 구동기어(74)가 일체로 구비된다. 즉, 상기 워엄휠(72)과 구동기어(74)가 함께 회전하도록 상기 워엄휠축(70)에 설치된다.The
상기 구동기어(74)와 치합되게 종동기어(76)가 설치된다. 상기 종동기어(76)는 상기 구동기어(74)에 의해 회전된다. 상기 종동기어(76)는 상기 절환베이스(62)와 핸들브라켓(78)의 사이에 위치된다. 상기 핸들브라켓(78)은 양단부가 상기 절환베이스(62)상에 고정되는 것이다.A driven
상기 핸들브라켓(78)과 절환베이스(62)를 관통하여 핸들축(80)이 설치된다. 상기 핸들축(80)은 상기 창문(12)의 회전중심이 되는 힌지부를 선택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창문(12)의 내부에 구비된 구성을 조작하는 동작을 수행하여 창문(12)의 회전중심이 되는 힌지부가 창틀(10)과 선택적으로 결합되도록 한다. 즉, 도 1을 기준으로 창문(12) 하단부 양측의 힌지부가 창틀(10)과 결합되도록 하여 경사개폐되도록 하거나, 절환유니트(60)가 구비된 반대쪽 측단부 상하단의 힌지부가 창틀(10)과 결합되도록 하여 회전개폐되도록 한다.The
상기 핸들축(80)은 상기 종동기어(76)와 동축으로 설치되어 종동기어(76)에 의해 회전된다. 상기 핸들축(80)에는 연동부(82)가 구비된다. 상기 연동부(82)는 상기 동기어(76)와의 선택적 연동을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종동기어(76)에는 상기 연동부(82)와 대응되는 형상(도시되지 않음)이 요입되게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연동부(82)는 사각판상으로 형성되는데, 반드시 그러한 것은 아니 고, 결합되었을 때 일체로 회전가능한 형상이면 된다. 도면부호 83은 와셔이다.The
상기 핸들축(80)은 상기 연동부(82)가 상기 종동기어(76)의 대응되는 형상에 안착되도록 별도의 탄성부재(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탄성력을 받는다. 이는 상기 핸들축(80)을 수동으로 조작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상기 핸들축(80)을 사용자가 눌러 상기 종동기어(76)와 분리되어 독자적으로 회전되도록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The
상기 핸들축(80)과 항상 일체로 회전되게 위치감지구(84)가 구비된다. 상기 위치감지구(84)는 상기 핸들축(80)과 함께 회전되어, 상기 절환베이스(62)에 구비된 감지스위치(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핸들축(80)의 회전위치를 감지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핸들축(80)의 회전위치에 따라, 창문(12)이 잠금상태, 경사개폐가능상태, 회전개폐가능상태로 되는 것이다.The
한편, 상기 핸들축(80)에 위치에 따라 힌지부의 동작이 이루어져 창문(12)의 회전중심이 절환되는 구성은 다양한 것이 채용될 수 있고, 이미 많은 구성이 채용되어 사용되고 있다. 특히, 이 부분은 본 발명의 요부가 아니므로 그 설명이나 도시를 생략한다.On the other hand, the configuration of the operation of the hinge portion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전동창문용 구동장치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operation of the drive device for the electric window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먼저, 리모콘이나 스위치를 사용하여 창문(12)의 개폐방식을 선택한다. 예를 들어, 즉, 회전개폐냐 경사개폐냐를 결정한다. 개폐방식이 결정되면, 상기 구동모터(64)가 구동되어, 워엄(66), 워엄휠(72), 구동기어(74), 종동기어(76)를 통해 동 력이 전달되어 핸들축(80)이 회전된다. 상기 핸들축(80)의 회전에 의해 상기 위치감지구(84)도 함께 회전한다. 상기 위치감지구(84)의 회전정도를 감지스위치가 감지하여 선택된 만큼 핸들축(80)이 회전되도록 한다. 상기 핸들축(80)이 회전됨에 의해 힌지부가 구동되어 상기 창문(12)이 창틀(10)에 대해 개폐되는 방향이 결정된다. First, the opening and closing method of the
참고로, 이를 수동으로 조작하려면, 상기 핸들축(80)을 눌러 상기 종동기어(76)와 핸들축(80) 사이의 결합이 해제되게 한다. 그리고, 상기 핸들축(80)을 원하는 위치로 회전시키면 힌지부가 구동된다.For reference, in order to operate it manually, the coupling between the driven
상기 창문(12)이 회전개폐되는 것은 도 6 및 도 7에 도시되어 있다. 도 6에는 창문(12)이 90°정도 개방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고, 도 7에는 135°정도 개방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즉, 상기 구동모터(24)가 구동되면 상기 리드스크류(28)가 회전한다. 상기 리드스크류(28)의 회전에 의해서 상기 이송블럭(32)은 상기 리드스크류(28)를 따라 이동된다. 이는 상기 이송블럭(32)의 일측이 상기 가이드슬롯(22)에 위치되어 안내되므로, 리드스크류(28)와 함께 회전하지 않고 리드스크류(28)를 따라 이동하는 것이다.That is, when the driving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상기 이송블럭(32)이 상기 구동모터(24)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창문(12)의 개방이 이루어진다. 상기 이송블럭(32)이 리드스크류(28)를 따라 이동하면, 상기 구동핀(40)이 상기 제1링크(46)의 연동슬롯(50) 및 제2링크(54)의 걸이슬롯(56)을 따라 안내된다. 이때, 상기 연동슬롯(50)의 양측벽에는 제1부싱(41)이 구름접촉하고 상기 걸이슬롯(56)에는 제2부싱(42)이 구름접촉한다.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상기 구동핀(40)이 상기 연동슬롯(50)을 따라 이동되면 상기 제1링크(46)는 상기 회전중심핀(48)을 중심으로 상기 제2링크(54)와 연결된 부분이 창틀(10)측에서 이격되어 나오기 시작한다. 상기 제2링크(54)와 볼조인트(52)로 연결된 부분이 창틀(10)측에서 이격되어 나오면서 상기 창문(12)이 개방되기 시작한다.When the driving
이때, 상기 구동핀(40)이 상기 제2링크(54)의 걸이슬롯(56)에서 빠져나오면 창문(12)이 본격적으로 개방되기 시작한다. 도 6에는 창문(12)이 90°회전된 상태가, 도 7에는 135°정도 회전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참고로 상기 창문(12)이 개방되는 정도는 상기 리드스크류(28)의 길이에 따라 달라진다.At this time, when the
한편, 일단 개방된 창문(12)은 상기 구동모터(24)가 역방향으로 회전됨에 의해 닫힌다. 창문(12)이 닫히는 것은 개방될 때와 역순이고, 상기 구동핀(40)이 상기 제2링크(54)의 걸이슬롯(56)에 걸어지기 시작하면 창문(12)이 창틀(10)에 완전히 밀착되어 고정된다.On the other hand, once opened
다음으로, 상기 절환유니트(60)의 구동에 의해 경사개폐가능상태가 되면, 상기 구동모터(24)의 구동력에 의해 상기 창문(12)은 그 하단 양측을 기준으로 상단이 창틀(10)에서 멀어지면서 개방되기 시작한다. 이때에도, 상기 구동모터(24)의 구동력이 리드스크류(28), 이송블럭(32)을 통해 전달되어 제1링크(46) 및 제2링크(54)의 구동이 수행되게 한다.Next, when the inclined opening and closing state by the drive of the switching
참고로, 경사개폐시에는 상기 제1링크(46)와 제2링크(54)가 평행한 상태가 되지 않고 소정의 각도를 가지게 된다. 하지만, 상기 제1링크(46)와 제2링크(54)는 볼조인트(52)에 의해 연결되어 있어 제1링크(46)와 제2링크(54)는 자연스럽게 소정의 각도를 가지도록 위치되면 창문(12)을 개폐시킬 수 있다. 도 8에는 창문(12)이 15°정도 개방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For reference, when opening and closing the slope, the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The righ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but are defined by the claims,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adaptations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It is self-evident.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구성에서 절환유니트(60)를 채용하지 않고, 창문(12)의 개폐방향을 경사개폐나 회전개폐중 하나로 고정시켜 두도록 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For example, in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witching
그리고,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베이스(20)가 창틀(10)에 설치되고 연결브라켓(59)이 창문(12)에 설치되었으나, 이들이 서로 반대 위치에 설치될 수도 있다.In addition, although the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전동창문용 구동장치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In the driving device for the electric window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in detail above can be expected the following effects.
먼저, 본 발명에서는 구동모터의 구동력으로 창문을 개폐하므로 노약자나 환자 등 누구나 쉽게 창문을 개폐할 수 있게 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창문의 경사개폐 및 회전개폐시킬 수 있어 다양한 방식으로 창문을 개폐하여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First,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window can be opened and closed by the driving force of the drive motor, so that the elderly and the patient can easily open and close the window. 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can open and close the inclination and rotation of the window can be opened and closed in a variety of ways to increase the convenience.
그리고, 본 발명에서 창문을 경사개폐 및 회전개폐시키는 구성은 모두가 베이스상에 구비될 수 있어, 하나의 유니트만을 기존의 창문에 장착하면 창문을 경사 개폐와 회전개폐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설치작업이 용이하고 다양한 창문에 적용할 수 있게 된다.An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inclination opening and closing the rotation of the window can be provided on the base, so that if only one unit is mounted on the existing window it is possible to open and close the inclination and rotation of the window. Therefore, the installation work is easy and can be applied to a variety of windows.
한편, 본 발명에서는 창문의 회전개폐와 경사개폐의 절환을 전원을 사용하여 수행할 수 있어 사용자가 직접 힘을 써서 창문의 개폐방식을 절환하지 않아도 되어 사용자의 편리성이 높아지는 효과가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witching of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window can be performed by using a power source, so that the user does not have to switch the opening and closing method of the window by using a direct force, thereby increasing the convenience of the user.
Claims (7)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008709A KR100675347B1 (en) | 2005-01-31 | 2005-01-31 | Drive for electric window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008709A KR100675347B1 (en) | 2005-01-31 | 2005-01-31 | Drive for electric window |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5-0002893U Division KR200382597Y1 (en) | 2005-01-31 | 2005-01-31 | Driving apparatus for power window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60087849A true KR20060087849A (en) | 2006-08-03 |
KR100675347B1 KR100675347B1 (en) | 2007-01-30 |
Family
ID=371765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50008709A KR100675347B1 (en) | 2005-01-31 | 2005-01-31 | Drive for electric window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675347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30130888A (en) * | 2022-03-04 | 2023-09-12 | 주식회사 제이에스기술 | Swing type electromagnet shield door apparatus using rodless cylinder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978929B1 (en) * | 2018-07-25 | 2019-05-15 | 정태량 | Solar cell panel supporting apparatus for installation on veranda |
Family Cites Familie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847256B2 (en) * | 1990-03-03 | 1999-01-13 | 中西金属工業株式会社 | Electric switchgear |
JPH07107346B2 (en) * | 1990-04-26 | 1995-11-15 | トステム株式会社 | Window opener |
JP2569950B2 (en) * | 1990-11-29 | 1997-01-08 | ニューウォールシステム株式会社 | Drive for windows |
JP3385432B2 (en) * | 1993-09-29 | 2003-03-10 | 株式会社ニュークリエイション | Inspection device |
DE10157094C1 (en) * | 2001-11-16 | 2003-04-24 | Roto Frank Ag | Tip-and-pivot window extender uses power bar connecting element and locking element operated via scissor element to permit manual or powered window maneuvers |
KR200344217Y1 (en) * | 2003-12-01 | 2004-03-11 | 주식회사 엘지화학 | Tilting Windows System |
-
2005
- 2005-01-31 KR KR1020050008709A patent/KR100675347B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30130888A (en) * | 2022-03-04 | 2023-09-12 | 주식회사 제이에스기술 | Swing type electromagnet shield door apparatus using rodless cylinder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675347B1 (en) | 2007-01-3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0382597Y1 (en) | Driving apparatus for power window | |
JP2002220969A (en) | Device for opening/closing window | |
JP2005097933A (en) | Door pull with opening assisting mechanism and sash window | |
KR100675347B1 (en) | Drive for electric window | |
KR100585457B1 (en) | Lift Sliding Window Opening and Closing System | |
KR102573888B1 (en) | Hybrid ballencing door device | |
KR20000027952A (en) | Opening/closing device of slide door | |
JP5168127B2 (en) | Window opening and closing device | |
EP1703038B1 (en) | Roof vent | |
FI101734B (en) | Electric actuator for doors and windows | |
PT1733111E (en) | Window or door comprising an electromechanical locking mechanism | |
KR101606533B1 (en) | Opening and closing device for greenhouse | |
EP0629762B1 (en) | Compact window operator | |
KR20120106434A (en) | Apparatus for automatically opening and closing a window | |
KR101216168B1 (en) | System windows with a structure of double door connected to each other | |
KR100639666B1 (en) | Electric Window Actuator | |
KR200411519Y1 (en) | a move roller body of lock structure for folding door | |
CN100479078C (en) | Manual device for positioning a switch | |
KR100534538B1 (en) | Swing type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mechanism of cellular phone | |
KR960002775Y1 (en) | Devices for greenhouse-window | |
KR200321450Y1 (en) | a automatic project window | |
KR0125474Y1 (en) | Discharge pipe open/close device of air conditioning apparatus | |
JP2005089980A (en) | Electric unit of window arrangement, and window arrangement | |
JP3562831B2 (en) | Revolving door device | |
JP5292916B2 (en) | Skylight opening and closing devi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50131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041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AMND | Amendment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061012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60417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
|
J201 |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 ||
PJ0201 |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
Patent event date: 20061113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code: PJ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61012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J02011S01I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Decision date: 20070102 Appeal identifier: 2006101010010 Request date: 20061113 |
|
AMND | Amendment | ||
PB0901 | Examination by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061120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1113 Patent event code: PB09011R01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060705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
|
B701 | Decision to grant | ||
PB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
Patent event date: 20070102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B07012S01D Patent event date: 20061214 Comment text: Transfer of Trial File fo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Patent event code: PB07011S01I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012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7012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00125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0012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