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87840A - 3 차원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애플리케이션을 배치하는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3 차원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애플리케이션을 배치하는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87840A
KR20060087840A KR1020050008693A KR20050008693A KR20060087840A KR 20060087840 A KR20060087840 A KR 20060087840A KR 1020050008693 A KR1020050008693 A KR 1020050008693A KR 20050008693 A KR20050008693 A KR 20050008693A KR 20060087840 A KR20060087840 A KR 200600878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pplication
space
instance
component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086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대용
문보희
박선영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086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87840A/ko
Publication of KR200600878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8784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5Interaction with a metaphor-based environment or interaction object displayed as three-dimensional, e.g. changing the user viewpoint with respect to the environment or obje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3 차원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애플리케이션을 배치하는 방법 및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 차원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애플리케이션을 배치하는 장치는 애플리케이션 매니저 모듈에 의해 지정된 공간 정보 및 상기 지정된 공간 정보에 대응되는 애플리케이션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 모듈, 애플리케이션 실행시, 3차원 UI 공간 중 소정의 공간을 상기 애플리케이션 그룹에 대한 공간으로 지정하고,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인스턴스에 대한 컴포넌트를 생성하며, 상기 저장 모듈의 정보에 따라 상기 컴포넌트가 상기 애플리케이션 그룹 공간 내의 지정된 위치에 배치된 3차원 지도를 생성하는 애플리케이션 매니저 모듈 및 상기 3차원 지도 상에서 애플리케이션 그룹에 대한 포커스를 이동시킬 수 있는 키, 상기 포커스된 애플리케이션 그룹을 선택할 수 있는 키, 상기 선택된 애플리케이션 그룹 내의 인스턴스에 대한 컴포넌트를 줌 인 또는 줌 아웃 시킬 수 있는 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입력 모듈을 포함한다.
모바일 기기(Mobile Device), 3차원(three Dimensional),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Graphical User Interface, GUI), 네비게이션(Navigation),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Description

3 차원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애플리케이션을 배치하는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applications deployment using 3-dimensional graphic user interface}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2차원 유저 인터페이스를 예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에에 따른 3차원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의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 차원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애플리케이션을 배치하는 장치의 구성을 블록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차원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예시한 것으로, 소정의 애플리케이션 그룹에 대한 3차원 지도를 예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체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3차원 지도를 예시한 것으로, 3차원 지도 상에서 포커스가 이동되는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소정의 애플리케이션 그룹에 대한 3차원 지도를 예시한 것으로, 키 조작에 따라 컴포넌트가 줌 인 또는 줌 아웃되는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차원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애플리케이션을 배치하는 장치의 동작 과정을 흐름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10 : 입력 모듈
320 : 저장 모듈
330 : 제어 모듈
340 : 출력 모듈
350 : 애플리케이션 매니저 모듈
본 발명은 애플리케이션 배치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3차원 유저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공간을 할당함으로써, 애플리케이션 관리 및 선택을 용이하게 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디지털 장치의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Graphic User Interface, 이하 GUI)는 PC 운영체제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컴포넌트들을 사용하고 있다. 즉, 도 1에 예시된 바와 같은 2차원 GUI가 주류를 이루고 있다.
이와 같이 종래의 GUI들은 평면적이고 정적이다. 따라서 GUI에 의해 표시되는 정보의 형태도 문서 중심이 되어 사용자의 감성을 만족시키기에는 부족하고 시각적으로 정보를 효과적으로 제공하는데는 한계가 있다.
종래의 GUI가 제공하는 컴포넌트에는 3차원 컴포넌트도 존재하나 아직까지 2차원의 개념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이로인해 시각적으로는 3차원으로 보이지만 사용방식에서는 3차원의 장점이 많이 활용되지 못하고 있다. 특히 멀티미디어 컨텐 츠를 제공하는 장치의 경우 사용자의 감성을 만족시키고 엔터테인먼트의 기능을 제공하는데 있어 기존의 UI는 한계를 갖는다.
또한 종래 2차원 GUI에서는 복수의 애플리케이션들이 단순히 2차원 평면 내에서만 배치되기 때문에 애플리케이션들을 그룹화(grouping)하여 표시하거나 동일한 애플리케이션의 인스턴스(instance)가 여러 개인 경우, 이들을 표현하기가 쉽지 않다.
뿐만 아니라 종래 2차원 유저 인터페이스에서는 복수개의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된 경우, 각 애플리케이션들이 스크린 상에 오버랩핑(overlapping)되므로 사용자가 다른 애플리케이션을 선택하기가 쉽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3차원 유저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공간을 할당하고, 한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인스턴스들을 그룹화함으로써, 애플리케이션 관리 및 선택을 용이하게 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들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 차원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애플리케이션을 배치하는 장치는 애플리케이션 매니저 모듈 에 의해 지정된 공간 정보 및 상기 지정된 공간 정보에 대응되는 애플리케이션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 모듈, 애플리케이션 실행시, 3차원 UI 공간 중 소정의 공간을 상기 애플리케이션 그룹에 대한 공간으로 지정하고,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인스턴스에 대한 컴포넌트를 생성하며, 상기 저장 모듈의 정보에 따라 상기 컴포넌트가 상기 애플리케이션 그룹 공간 내의 지정된 위치에 배치된 3차원 지도를 생성하는 애플리케이션 매니저 모듈 및 상기 3차원 지도 상에서 애플리케이션 그룹에 대한 포커스를 이동시킬 수 있는 키, 상기 포커스된 애플리케이션 그룹을 선택할 수 있는 키, 상기 선택된 애플리케이션 그룹 내의 인스턴스에 대한 컴포넌트를 줌 인 또는 줌 아웃 시킬 수 있는 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입력 모듈을 포함한다.
또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 차원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애플리케이션을 배치하는 방법은 애플리케이션 실행시, 3차원 UI 공간에 소정의 공간을 상기 애플리케이션 그룹에 대한 공간으로 지정하고, 상기 지정된 공간의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인스턴스에 대한 컴포넌트를 구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저장된 공간 정보에 따라 상기 컴포넌트가 상기 애플리케이션 그룹 공간 내의 지정된 위치에 배치된 3차원 지도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으며,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적용된 3차원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적용된 3차원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는 3차원 환경을 통하여 보다 동적인 GUI 환경을 구축할 수 있는 UI 개념이다. 3차원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환경은 크게 다음과 같은 요소로 구성된다.
1. 3차원 공간(space)
2. 컴포넌트(component)
3. 컴포넌트 배치(Presentation) 방식
4. 카메라뷰(camera view)
5. 컴포넌트의 정보면
먼저, 3차원 공간(200)은 3차원 환경을 구축하기 위한 공간 영역으로, 공간 종류의 특성에 따라 활성 공간(active space; 210)과 비활성 공간(inactive space; 220)으로 나뉜다. UI를 디자인할 때 사용할 수 있는 공간은 활성 공간(210)이다.
컴포넌트(230)는 3차원 환경에서 사용자와 상호작용(Interaction)을 하면서 정보를 제공하는 구성 객체를 의미한다. 컴포넌트(230)는 하나 이상의 정보면을 포 함한다. 여기서 정보면이란, 사용자에게 전달하기 위한 정보를 나타낼 수 있는 면을 의미하는 것으로 애플리케이션 또는 각 인스턴스들에 대한 정보를 정보면을 통해 전달할 수 있다. 이러한 컴포넌트(230)의 형태는 예를 들어, 육각 기둥, 사각기둥, 삼각기둥, 원기둥과 같은 다면체 입체 도형으로 표현될 수 있다.
또한 3차원 공간 내에서 각 컴포넌트(230)들은 고유의 움직임을 발생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3차원 공간 내에 육면체의 컴포넌트(230)가 있는 경우, 이 육면체 컴포넌트(230)는 y출을 기준으로 전, 후, 좌, 우, 상, 하로의 수평적인 움직임이 가능하고, x, y, x 각각의 축을 기준으로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향으로의 회전 등이 가능하다. 이 때, 육면체 컴포넌트는 임의의 각도로 회전 가능하다. 예를 들어, 1회 회전될 때마다 90도씩 회전할 수 있다.
컴포넌트를 배치(Presentation)하는 방식이란 정보 공간 속에서 한 개 이상의 컴포넌트들이 그룹으로 묶여 어떠한 방식으로 조작되는지, 조작 과정에서 어떠한 동작이 일어나는지, 화면에 어떠한 방식으로 배열되는지를 정해주는 방식이다.
카메라 뷰(Camera View)는 3차원 공간 안에서의 시점(View point)을 말한다. 카메라 뷰는 3차원 공간 내에서 이동될 수 있는데, 카메라 뷰의 이동은 곧 공간 안에서 네비게이션(Navigation)이 일어나는 것을 의미한다.
다음으로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차원 GUI를 이용하여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네비게이션 방법을 제공하는 장치(300)의 구성을 블록도로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 차원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애플리 케이션을 배치하는 장치(300)는 디지털 장치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디지털 장치란 디지털 데이터를 처리하는 디지털 회로를 가진 장치로서, 컴퓨터, 프린터, 스캐너, 페이저, 디지털 카메라, 팩스, 디지털 복사기, 디지털 가전기기, 디지털 전화, 디지털 프로젝트, 홈서버,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 디지털 TV 방송 수신기, 디지털 위성 방송 수신기, 셋탑박스, 개인용 디지털 단말기(PDA) 및 휴대전화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 차원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애플리케이션을 배치하는 장치(3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 모듈(310), 출력 모듈(340), 저장 모듈(320), 제어 모듈(330) 및 애플리케이션 매니저 모듈(350)을 포함한다.
여기서 '모듈'이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FPGA 또는 ASIC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모듈은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모듈은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모듈은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일 예로서 모듈은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DB,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모듈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모듈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모듈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 및 모듈들은 디바이스 또는 보안 멀티미디어카드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입력 모듈(310)은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는 부분이다. 입력 모듈(310)은 예를 들어, 현재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들에 대한 3차원 지도가 출력되도록 하는 스위치 키(switch key), 3차원 지도 상에서 애플리케이션 그룹에 대해 포커스를 이동시킬 수 있는 포워드 키 또는 백 키, 포커스된 애플리케이션 그룹을 선택할 수 있는 선택 키, 선택된 애플리케이션 그룹 내의 특정 인스턴스(instance)를 줌 인(zoom in)/줌 아웃(zoom out) 시킬 수 있는 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키들은 입력 모듈(310) 내에 별도의 키로 구현되거나 종래 구현된 키에 각 기능을 추가하는 방법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휴대전화에 구비된 방향키 중 상향키, 하향키에 각각 줌 인, 줌 아웃의 기능을 추가할 수 있다.
출력 모듈(340)은 애플리케이션 모듈에 의해 처리된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하여 가시적인 형태로 출력한다. 예를 들면, 스위치 키 선택에 따라 현재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들에 대한 3차원 지도를 출력한다. 또는 포워드 키 조작에 따라 줌 인(zoom in)된 컴포넌트를 확대하여 출력한다.
저장 모듈(320)은 애플리케니션 매니저 모듈에 의해 처리된 데이터를 저장한다. 예를 들면, 소정의 애플리케이션에 대해 3차원 공간 내에 할당된 공간 정보를 저장한다. 이러한 저장 모듈(320)은 ROM, PROM, EPROM, EEPROM, 플래쉬 메모리와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 또는 RAM과 같은 휘발성 메모리 소자 또는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와 같은 저장 매체 중 적어도 하나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제어 모듈(330)은 장치 내 다른 모듈들을 서로 연결하고 관리한다. 예를 들면, 입력 모듈(310)을 통해 입력된 키 신호를 처리하여, 해당 키 신호에 따라 애플리케이션 매니저 모듈(350)의 동작을 제어한다. 또는 애플리케이션 매니저 모듈(350)에 의해 처리된 데이터를 출력 모듈(340)로 제공함으로써, 애플리케이션 매니저 모듈(350)에 의해 처리된 데이터가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출력될 수 있도록 한다.
애플리케이션 매니저 모듈(350)은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경우, 3차원 공간에 소정 크기의 3차원 공간을 할당하여, 실행된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공간으로 지정함으로써, 해당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복수개의 인스턴스(instance)들이 그룹으로 관리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애플리케이션 또는 인스턴스들에 대한 컴포넌트를 생성하여 지정된 공간에 배칠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문서 편집을 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경우, 애플리케이션 매니저 모듈(350)은 3차원 공간 내의 소정의 공간을 문서 편집 애플리케이션 그룹에 대한 공간으로 지정한다. 이 때, 애플리케이션 매니져 모듈에 의해 지정된 공간 정보 및 해당 공간 정보에 대응되는 애플리케이션 정보는 저장 모듈(320)에 저장된다.
이 후, 애플리케이션 매니저 모듈(350)은 애플리케이션 또는 인스턴스에 대한 컴포넌트(230)를 생성한다. 이 때, 각 컴포넌트(230)의 정보면에는 해당 애플리 케이션 또는 해당 인스턴스의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스턴스에 대한 컴포넌트의 정보면에는 해당 인스턴스에 대한 파일명, 파일의 일부 내용 등이 표시될 수 있다.
한편, 문서 편집 애플리케이션이 다시 실행되어 또다른 인스턴스(이하, 제 2 인스턴스)가 생성되면, 애플리케이션 매니저 모듈(350)은 저장된 정보를 참조하여 문서 편집 애플리케이션 그룹 공간의 빈 공간 중에서 소정의 공간을 제 2 인스턴스에 대한 공간으로 설정한다. 그리고 제 2 인스턴스에 대한 컴포넌트가 문서 편집 애플리케이션 그룹의 빈 공간에 배치될 수 있도록 한다. 한 어플리케이션에 대해 여러 개의 인스턴스가 존재하는 경우, 이러한 방법을 통해 각 인스턴스들을 그룹으로 관리할 수 있다.
다른 애플리케이션 예를 들어, 음악 재생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된 경우, 애플리케이션 매니저 모듈(350)은 3차원 공간의 빈 공간 중 소정의 공간을 음악 재생 애플리케이션 그룹에 대한 공간으로 지정한다. 예를 들어, 문서 편집 애플리케이션 그룹에 대한 공간을 제외한 3차원 공간 중에서, 소정의 공간을 음악 재생 애플리케이션 그룹에 대한 공간으로 설정한다. 그리고 음악 재생 이플리케이션에 대하여 복수의 인스턴스가 존재하는 경우, 애플리케이션 매니저 모듈(350)은 앞서 언급한 바와 동일한 방법으로 음악 재생 인스턴스들에 대한 컴포넌트들이 음악 재생 애플리케이션 그룹의 공간 내에 배치될 수 있도록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에에 따른 3차원 UI를 이용한 애플리케이션 네비게이션 장치의 동작 과정을 흐름도로 나타낸 것이다.
먼저, 제어 모듈(330)은 입력 모듈(310)을 통하여 소정의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었는지를 판단한다(S710). 판단 결과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된 경우에는 애플리케이션 실행에 따른 신호를 애플리케이션 매니저 모듈(350)에 제공한다.
한편, 애플리케이션 매니저 모듈(350)은 실행된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인스턴스가 존재하는지를 판단한다(S720). 예를 들어, 문서 편집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된 경우, 문서 편집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인스턴스가 존재하는지를 판단한다.
판단 결과, 실행된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인스턴스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S720, 아니오), 애플리케이션 매니저 모듈(350)은 3차원 공간 중 소정의 공간을 해당 애플리케이션 그룹에 대한 공간으로 지정한다(S730). 예를 들어, 문서 편집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인스턴스가 존재하는지를 판단한 결과, 문서 편집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인스턴스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애플리케이션 매니저 모듈(350)은 3차원 공간에 소정의 공간을 할당하여, 문서 편집 애플리케이션 그룹에 대한 공간으로 지정한다. 이 때, 애플리케이션 매니저 모듈(350)에 의해 지정된 공간 정보 및 해당 공간에 대응되는 애플리케이션의 정보는 저장 모듈(320)에 저장된다.
그 다음, 애플리케이션 매니저 모듈(350)은 해당 애플리케이션의 인스턴스에 대한 컴포넌트를 구성하여 저장 모듈(320)에 저장한다(S740). 이 때, 해당 인스턴스에 대한 정보는 컴포넌트의 각 정보면을 통해 표시된다. 예를 들어, 육면체 컴포넌트를 사용하여 문서 편집 인스턴스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경우, 컴포넌트(410)의 한 면에는 파일명이 표시되도록 하고, 다른 면에는 파일의 일부 내용이 표시되도록 한다. 또 다른 면에는 해당 파일이 작성된 날짜 등의 정보가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실행된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인스턴스가 존재하는 지를 판단한 결과 만약, 실행된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인스턴스가 존재하는 경우(S720, 예), 애플리케이션 매니저 모듈(350)은 저장 모듈(320)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 즉, 애플리케이션 그룹에 대한 공간 정보를 참조하여, 해당 애플리케이션 그룹의 빈 공간 중, 소정의 공간을 새로 실행된 인스턴스에 대한 공간으로 지정한다(S725). 예를 들어, 새로 실행된 문서 편집 애플리케이션의 인스턴스가 제 2 인스턴스라면, 애플리케이션 매니저 모듈(350)은 저장 모듈(320)의 정보를 액세스하여 문서 편집 애플리케이션 그룹에 대한 공간 정보를 얻는다. 그리고 문서 편집 애플리케이션 그룹에 대한 공간 정보를 참조하여, 문서 편집 애플리케이션 그룹 공간(400) 내에 제 2 인스턴스에 대한 공간을 설정한다.
그 다음, 애플리케이션 매니저 모듈(350)은 제 2 인스턴스에 대한 컴포넌트(420)를 구성하여 저장 모듈(320)에 저장한다(S740). 이 때, 제 2 인스턴스에 대한 컴포넌트(420)의 각 정보면에는 제 2 인스턴스의 정보 예를 들면, 제 2 인스턴스의 파일명, 또는 일부 내용 등이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이 후, 제어 모듈(330)은 입력 모듈(310)을 통해 스위치 키(switch key)가 인가되었는지를 판단한다(S750). 판단 결과, 스위치 키가 인가되었다면, 제어 모듈(330)은 스위치 키 인가에 따른 신호를 애플리케이션 매니저 모듈(350)에 전달한다.
스위치 키가 인가된 경우, 애플리케이션 매니저 모듈(350)은 현재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3차원 지도를 구성하여 출력 모듈(340)을 통해 출력한다(S760). 예를 들어, 문서 편집 애플리케이션에 대하여 제 1 인스턴스, 제 2 인스턴스 및 제 3 인스턴스가 생성되어 있고, 제 2 인스턴스가 활성화되어 있는 경우에 스위치 키가 인가되었다면, 애플리케이션 매니저 모듈(350)은 저장된 정보를 참조하여,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문서 편집 애플리케이션 그룹에 대한 3차원 지도를 생성하여 출력한다. 이 때, 각 인스턴스들에 대한 컴포넌트들(410, 420, 430)은 저장 모듈(320)에 저장된 정보에 따라 지정된 위치에 배치된다.
또한 현재 활성화된 인스턴스에 대한 컴포넌트는 비활성화된 인스턴스의 컴포넌트와 구별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현재 활성화되어 있는 인스턴스를 구분하여 표시하는 방법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활성화된 컴포넌트 주변에 점선을 표시하거나 해당 컴포넌트의 정보면을 하이라이트시키는 방법 등이 사용될 수 있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문서 편집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지도가 출력된 상태에서 스위치 키가 재인가되면, 애플리케이션 매너저 모듈(350)은 전체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3차원 지도를 생성하여 출력한다. 이 때, 전체 애플리케이션이란 활성화된 인스턴스를 포함하는 애플리케이션 및 비활성화된 인스턴스를 포함하는 애플리케이션 모두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문서 편집 애플리케이션에 대하여 제 1 인스턴스, 제 2 인스턴스 및 제 3 인스턴스가 생성되어 있고, 음악 재생 애플리케이션에 대하여 제 1 인스턴스 및 제 2 인스턴스가 생성되어 있다고 할 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문서 편집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3차원 지도가 출력된 후, 스 위치 키가 재인가되면, 애플리케이션 매니저 모듈(350)은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3차원 지도(500)를 생성하여 출력한다. 이 때, 각 애플리케이션 그룹에 대한 컴포넌트의 정보면에는 해당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정보 예를 들어, 해당 애플리케이션의 종류에 대한 정보가 표시되도록 한다.
또 다른 예로, 스위치 키 인가시 전체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3차원 지도(500)가 바로 출력되도록 하는 방법도 가능하다. 즉, 앞서 언급한 예에서처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문서 편집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3차원 지도를 출력하지 않고, 스위치 키 인가시,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전체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3차원 지도(500)가 바로 출력되도록 하는 방법도 가능하다.
또 다른 예로, 줌 아웃 키를 사용하여 전체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3차원 지도(500)가 출력되도록 하는 방법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문서 편집 애플리케이션 그룹에 대한 3차원 지도가 출력된 후, 줌 아웃 키를 인가하게 되면, 줌 아웃 키가 인가될 때마다 카메라 뷰를 사용자쪽으로 이동시켜 보다 넓은 3차원 공간이 출력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러한 방법을 통하여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3차원 지도(500)가 출력되면, 애플리케이션 매니저 모듈(350)은 입력된 키 신호에 따라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포커스를 이동시킨다(S770). 예를 들면, 도 5a와 같은 화면에서 백 키가 조작된 경우,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악 재생 애플리케이션 그룹에 대한 컴포넌트(520)로 포커스를 이동시킨다.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커스가 음악 재생 애플리케이션 그룹 컴포넌트 (520)로 이동된 상태에서 만약, 종료 키가 인가되면, 애플리케이션 매니저 모듈(350)은 음악 재생 애플리케이션 그룹 전체를 종료시킨다. 예를 들어, 음악 재생 애플리케이션에 대하여 제 1 인스턴스 및 제 2 인스턴스가 생성되어 있는 경우라면, 제 2 인스턴스 및 제 2 인스턴스가 모두 종료되도록 한다.
도 5b와 같은 상태에서 만약, 선택 키가 인가되어 음악 재생 애플리케이션 그룹이 선택되면, 애플리케이션 매니저 모듈(350)은 도 6a와 같이 음악 재생 애플리케이션 그룹에 대한 공간(600)이 확대되도록 한다(S770).
이 후, 애플리케이션 매니저 모듈(350)은 입력된 키 신호에 따라 소정의 인스턴스 컴포넌트가 줌 인 또는 줌 아웃 되도록 한다(S780). 예를 들어, 도 6a과 같은 상황에서 포워드 키가 조작된 경우,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인스턴스 컴포넌트가 줌 인 되도록 하고, 동시에 제 2 인스턴스 컴포넌트는 줌 아웃되도록 한다. 또 도 6b와 같은 상황에서 또다시 포워드 키가 조작되면,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인스턴스 컴포넌트가 줌 인 되도록 하고, 제 1 인스턴스 컴포넌트는 줌 아웃 되도록 한다. 이렇게 컴포넌트가 줌 인되면, 사용자는 해당 컴포넌트의 정보면에 표시되어 있는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특정 인스턴스 컴포넌트가 줌 인된 상태에서, 선택 신호가 입력되면, 애플리케이션 매니저 모듈(350)은 선택된 인스턴스에 대한 정보를 제어 모듈(330)로 제공하고, 제어 모듈(330)은 선택된 인스턴스를 활성화하여 출력 모듈(340)을 통해 출력될 수 있도록 한다(S790).
이상과 같이 예시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3 차원 그래픽 유 저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애플리케이션을 배치하는 방법 및 장치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3 차원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애플리케이션을 배치하는 방법 및 장치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첫째,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복수의 인스턴스들을 그룹핑하여 표시함으로써, 애플리케이션 관리 및 선택을 보다 효율적으로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둘째, 현재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들에 대한 지도를 3차원적으로 표시함으로써, 스크린 오버 랩핑을 해결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Claims (5)

  1. 애플리케이션 매니저 모듈에 의해 지정된 공간 정보 및 상기 지정된 공간 정보에 대응되는 애플리케이션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 모듈;
    애플리케이션 실행시, 3차원 UI 공간 중 소정의 공간을 상기 애플리케이션 그룹에 대한 공간으로 지정하고,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인스턴스에 대한 컴포넌트를 생성하며, 상기 저장 모듈의 정보에 따라 상기 컴포넌트가 상기 애플리케이션 그룹 공간 내의 지정된 위치에 배치된 3차원 지도를 생성하는 애플리케이션 매니저 모듈; 및
    상기 3차원 지도 상에서 애플리케이션 그룹에 대한 포커스를 이동시킬 수 있는 키, 상기 포커스된 애플리케이션 그룹을 선택할 수 있는 키, 상기 선택된 애플리케이션 그룹 내의 인스턴스에 대한 컴포넌트를 줌 인 또는 줌 아웃 시킬 수 있는 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입력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 차원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애플리케이션을 배치하는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애플리케이션 매니저 모듈은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인스턴스 존재 여부에 따라 새로운 인스턴스에 대한 컴포넌트를 상기 애플리케이션 그룹의 빈 공간 내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 차원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애플리케이션을 배치하는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컴포넌트의 정보면에는 상기 인스턴스에 대한 정보가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 차원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애플리케이션을 배치하는 장치.
  4. 애플리케이션 실행시, 3차원 UI 공간에 소정의 공간을 상기 애플리케이션 그룹에 대한 공간으로 지정하고, 상기 지정된 공간의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인스턴스에 대한 컴포넌트를 구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저장된 공간 정보에 따라 상기 컴포넌트가 상기 애플리케이션 그룹 공간 내의 지정된 위치에 배치된 3차원 지도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 차원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애플리케이션을 배치하는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지정된 공간의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인스턴스 존재 여부에 따라 상기 인스턴스에 대한 컴포넌트를 상기 애플리케이션 그룹의 빈 공간 내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 차원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애플리케이션을 배치하는 방법.
KR1020050008693A 2005-01-31 2005-01-31 3 차원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애플리케이션을 배치하는 방법 및 장치 KR2006008784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8693A KR20060087840A (ko) 2005-01-31 2005-01-31 3 차원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애플리케이션을 배치하는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8693A KR20060087840A (ko) 2005-01-31 2005-01-31 3 차원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애플리케이션을 배치하는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7840A true KR20060087840A (ko) 2006-08-03

Family

ID=371765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08693A KR20060087840A (ko) 2005-01-31 2005-01-31 3 차원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애플리케이션을 배치하는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8784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569058B2 (en) 2011-12-19 2017-02-14 Kt Corporation Method for providing space market widget, market server and user device thereof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569058B2 (en) 2011-12-19 2017-02-14 Kt Corporation Method for providing space market widget, market server and user device thereof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46008B1 (ko) 3차원 모션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이를 제공하는 장치및 방법
KR100679039B1 (ko) 3차원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이를 제공하는 장치 및방법
US11853523B2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indicating an active region in a multi-window display
KR100631763B1 (ko) 3차원 모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이를 제공하는방법 및 장치
KR100736078B1 (ko) 3차원 모션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이를 제공하는 장치및 방법
KR100755684B1 (ko) 3차원 모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이를 제공하는방법 및 장치
KR100608589B1 (ko) 3차원 모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이를 제공하는방법 및 장치
JP6193556B2 (ja) 携帯端末におけるユーザーインタフェースの提供方法及び装置
US8059094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navigation in three-dimensional graphical user interface
US7675514B2 (en) Three-dimensional object display apparatus, three-dimensional object switching display method, three-dimensional object display program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KR20110044424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060087840A (ko) 3 차원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애플리케이션을 배치하는 방법 및 장치
KR100772860B1 (ko) 3 차원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 및 방법
KR20060014874A (ko) 3차원 모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이를 제공하는방법 및 장치
EP1621988A2 (en) Three-Dimensional Motion Graphic User Interface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the same.
KR100714718B1 (ko) 3차원 모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이를 제공하는방법 및 장치
KR100562908B1 (ko) 3차원 모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장치 및방법
CN117806501A (zh) 一种界面元素移动方法及相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