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87023A - 개인정보 변경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개인정보 변경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87023A
KR20060087023A KR1020050007694A KR20050007694A KR20060087023A KR 20060087023 A KR20060087023 A KR 20060087023A KR 1020050007694 A KR1020050007694 A KR 1020050007694A KR 20050007694 A KR20050007694 A KR 20050007694A KR 20060087023 A KR20060087023 A KR 200600870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company
personal
user terminal
individu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076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32109B1 (ko
Inventor
이호제
서주채
김은희
Original Assignee
한국신용평가정보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신용평가정보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신용평가정보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076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32109B1/ko
Publication of KR200600870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870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321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321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02Interior fittings; Means, e.g. inserts, for holding and packing articl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00Travelling or camp articles;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04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by means of two straps passing over the two shoulders

Landscapes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개인정보 변경 서비스 기술과 관련된 것으로, 특히 기존 시스템에서 나아가, 다양하고 많은 서비스 대상 업체들에 대하여 실질적인 서비스 제공이 가능하도록 시스템 전반에 걸쳐 기능을 확충하는 기술과 관련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개인정보 변경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인증정보를 이용하여 인증을 수행하는 인증부와,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개인 식별정보를 개인신용정보 데이터베이스부로 송신하고, 개인신용정보 데이터베이스부에서 관리하고 있는 개인별 개인신용정보 중에서 해당 개인과 거래 관계에 있는 업체의 식별정보를 수신하는 업체 식별정보 추출부와, 사용자 단말기에게, 추출된 식별정보에 해당되는 업체와 추출된 식별정보에 해당되지 않는 나머지 업체가 구분되는 업체 리스트 정보를 송신하고,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업체 리스트 정보 중에서 해당 업체가 선택되는 업체 선택정보를 수신하는 업체 선택부와,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변경된 개인정보를 수신하는 개인정보 변경부와, 선택된 업체의 컴퓨터로 변경된 개인정보를 송신하는 변경정보 발송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개인정보 변경, 인터넷 서비스, 사용자 인터페이스

Description

개인정보 변경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CHANGING PERSONAL INFORM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정보 변경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정보 변경 방법을 도시한 절차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개인정보 변경 서비스 대상 업체를 선택하는 화면을 도시한 일 예.
본 발명은 개인정보 변경 서비스 기술과 관련된 것으로, 특히 기존 시스템에서 나아가, 다양하고 많은 서비스 대상 업체들에 대하여 효율적이며 실질적인 서비스 제공이 가능하도록 시스템 전반에 걸쳐 기능을 확충하는 기술과 관련되는 것이다.
주지하다시피, 이사나 직장/사무실 이전등으로 인해 각종 요금 고지서등의 우편물을 받아보는 주소, 연락처, 이메일등과 같은 개인정보가 변경될 경우, 각각의 관련 업체에 방문하여 일일이 변경하지 않고 인터넷을 이용하여 한 번에 정보를 변경할 수 있도록 하는 이른바, 개인정보 변경 서비스 기술이 알려져 있다.
이러한 개인정보 변경 서비스 기술이 도입되는 배경을 보게되면, 우선 업체의 측면에서 볼 때에, 업데이트 되지 않은 주소로 업체가 DM을 발송함으로써 민원 및 손실 비용이 발생하며, 고객관계마케팅을 위하여 고객의 변경된 주소 확인 작업에 대규모의 인력 및 비용이 발생되며, 효과적인 타겟 마케팅을 위하여 정확한 고객 식별정보에 대한 요구가 확대되고 있다.
또한, 개인의 측면에서 볼 때에, 고객이 직접 해당 업체에 각각 연락하여 수정해야 함으로 불편하며, 또한 시간/비용이 많이 소요되며, 각종 고지서 미수취로 인한 연체료, 과태료 등의 경제적 손실이 발생되며, 우편물 오발송으로 인한 개인정보 유출의 위험이 있다. 즉, 업체에서는 지속적인 고객 정보 업데이트로 업체의 손실비용을 절감하고자 하고, 개인은 자신의 개인정보 변경의 편리성 및 시간 비용을 절감하고자 하는 요구가 있다.
한편, 개인이 거래하는 업체는, 예를 들어, 은행, 신용카드사, 증권회사, 이동통신사, 백화점, 마트, 보험회사, 자동차사, 정유사, 잡지, 인터넷 업체, 항공회사, 신문사, 초고속 인터넷사등으로 다양한 업종분야로 분류될 수 있다. 또한, 현재 서비스되고 있는 "1stopmove.com" 싸이트의 경우에는 이러한 업종분야는 20개이고, 선택할 수 있는 업체의 갯수가 50,000개에 이른다.
따라서, 개인이 등록된 개인정보를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 개인별로 변경 서비스 대상 업체가 틀리므로, 개인별로 거래되는 업체가 상이하게 선택될 것이다. 즉, 많은 사람들은 각각 생활패턴이나 개성이 가지 각색이므로, 거래하고 있는 업 체가 업종분야별로 다양하고 엄청나게 많으므로, 이렇게 많은 업체들 중에서 특정 개인이 정확하게 자신이 거래하고 있는 업체들을 쉽고 효율적으로 선택할 수 있는 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또한, 통계청의 발표에 따르면 99년 이후 900만명 이상이 지속적으로 인구이동을 하고 있으며, 2001년 대비 2002년 인구 이동량은 0.5%가 증가하였다고 한다. 전직 및 이전에 따른 인구 이동까지 고려할 경우 약 30% 이상이 증가하여, 2002년까지의 전국 연간 이동자는 1350만명으로 추산된다고 한다. 또한, 경제 인구 1인당 카드사 보험등 DM 거래처는 평균 9.8개에 이른다고 한다.
또한, 사용자들은 온/오프 라인 경로를 통해 다양한 업체에 가입을 하게 되며, 이전에 이용하던 업체보다 더 나은 업체가 있으면 새로운 업체에 가입을 하게 되며, 또한 최근에 가입한 업체만을 이용하게 되며, 이전에 이용하던 업체를 기억하지 못하게 되는 경향이 흔히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볼때에, 사용자가 직접 서비스 대상 업체를 선택하도록 하는 기존의 인터페이스 방식은 매우 번거롭고 불편한 방식이며, 사용자가 자신의 개인정보가 어느 업체에 등록되어 있는지를 빠뜨리지 않고 기억하는 것은 매우 어렵다.
한편, 관리되는 개인정보(예:개인정보의 항목)는 각 업체별로 다르며, 또한 개인이 예컨대 서비스 가입시에 등록하는 자신의 개인정보 또한 업체별로 틀릴 수가 있다. 일 예로, A업체의 소식지는 자택에서 수령하고자 하고, B업체의 청구서는 회사에서 수령하고자 할 수가 있다. 또한, 개인은 자신이 이전에 가입한 업체 를 기억할 수는 있어도 예컨대 등록한 이메일 주소가 어떤 것인지 또는 등록한 주소가 어떤 것인지 또는 등록한 전화번호가 바뀌기 이전 것인지 또는 바뀐 전화번호인지등과 같이 구체적으로 항목별로 어떤 개인정보를 등록하였는지를 기억하지 못하는 경우가 흔하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상황을 인식하고, 개인정보 변경 서비스가 더욱 편리해 질 수 있도록 고려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개인정보 변경 서비스에 있어서, 개인이 이전에 업체별로 등록해둔 개인정보를 개인에게 제공한다. 이에 의하면, 사용자는 업체별로 등록한 개인정보를 확인을 하고 개인정보에 있어서 항목별(예:전화번호, 주소, 이메일 주소등)로 변경 여부를 선택할 수 있어 매우 편리하게 될 것이다.
더불어서, 본 발명에서는 제휴된 해당 업체 컴퓨터로 개인 식별정보를 송신함으로써, 전술한 업체별 개인정보를 확보할 수 있다. 만약, 종래와 같이 개인이 이전에 어떠한 업체와 거래를 하고 있는지를 개인신용정보 제공 컴퓨터로부터 확인하지 않는다면(본 발명의 기본적인 아이디어로써, 이와 관련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서비스 제공 컴퓨터는 제휴된 모든 업체 컴퓨터로 해당 개인이 이전에 등록한 개인정보를 문의해야 할 것이다. 충실한 서비스를 위해 많은 업체와 제휴를 하면 할 수록 많은 문의 시간이 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당업자라고 할지라도 본 발명의 (기본적인)착상을 하지 못한다면, 항목별(예:전화번호, 주소, 이메일 주소등)로 변경 여부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편리한 기술적 사상을 도출해 내지는 못할 것이다.
한편, 종래의 기술에 따르면, 개인정보를 일괄적으로 변경하여 주나, 개인은 개인정보의 변경이 제대로 되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업체별로 다시 문의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상황에서 안출된 것으로, 개인신용정보 제공업체에서 관리하고 있던 개인신용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거래하고 있는 업체의 리스트를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빠뜨리지 않고 편리하게 개인정보 변경 서비스 대상업체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개인정보 변경 서비스에 있어서, 개인이 이전에 업체별로 등록해둔 개인정보를 개인에게 제공하여, 사용자가 업체별로 등록한 개인정보를 확인을 하고 개인정보에 있어서 항목별(예:전화번호, 주소, 이메일 주소등)로 변경 여부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는 것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개인신용정보 제공업체에서 관리하고 있는 개인신용정보를 이용한다. 주지하다시피, 연체방지등의 목적을 위해 사용자가 개인신용정보 활용에 동의하면, 금융사별로 카드발급일, 카드발급업체, 카드발급사유등의 개인정보가 전국 은행 연합회 컴퓨터로 제공된다. 그러면, 신용정보 제공업체 컴퓨터에서는 이 개인신용정보를 전국 은행 연합회 컴퓨터로부터 제공받고 이를 다시 개인신용정보를 원하는 해당 금융사 컴퓨터로 제공한다.
만약 어떤 개인의 신용카드 결제대금이 연체되면, (해당 금융사 컴퓨터->전국 은행 연합회 컴퓨터->신용정보 제공업체 컴퓨터)로 해당 신용정보가 등록된다. 이러한 신용카드 정보 뿐 아니라, 대출일자/대출금액/대출사유등의 대출정보나 보증일자/보증금액/보증사유등의 보증정보등도 개인신용정보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개인신용정보 제공업체에서는 제 1 금융사가 아닌 제 2 금융사(할부금융, 캐피탈, 저축은행등)와도 제휴를 맺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자동차사, 통신사, 인터넷 싸이트사와도 제휴를 맺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즉, 각 업체에서는 자신이 보유하고 있는 개인의 신용정보를 제공함으로써 타 업체에서 보유하고 있는 개인의 신용정보를 제공받을 수가 있으며, 개인신용정보 제공업체에서는 정보 흐름의 중간 매체를 담당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개인신용정보 제공업체가 제휴 업체를 얼마나 둘 수 있는냐에 따라서, 다양한 업종분야별로 수 많은 업체들이 서비스 대상업체가 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개인신용정보에 포함되며 각 개인별로 관리되고 있는 거래 업체 정보로부터 사용자가 거래하고 있는 업체의 리스트를 제공할 수가 있다.
전술한, 그리고 추가적인 본 발명의 양상들은 후술하는 실시예들을 통하여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술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정보 변경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정보 변경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 이다. 이하 전술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서비스 제공 컴퓨터(110)에서 실행 가능한 개인정보 변경 방법에 있어서, 서비스 제공 컴퓨터(110)가 접속하는 사용자 단말기(101)로부터 수신되는 인증정보를 사용하여 온라인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201)와, 사용자 단말기(101)로부터 수신되는 개인 식별정보를 개인신용정보 데이터베이스부(129)로 송신하고(203), 개인신용정보 데이터베이스부(129)에서 관리하고 있는 개인별 개인신용정보 중에서 해당 개인이 거래하는 업체의 식별정보를 수신하는 단계(205)와, 사용자 단말기(101)에게, 추출된 식별정보에 해당되는 업체와 추출된 식별정보에 해당되지 않는 나머지 업체가 구분되는 업체 리스트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211)와, 사용자 단말기(101)로부터, 업체 리스트 정보 중에서 해당 업체가 선택되는 업체 선택정보를 수신하는 단계(217)와, 사용자 단말기(101)로부터, 변경된 개인정보를 수신하는 단계(219)와, 선택된 업체의 컴퓨터(109)로 변경된 개인정보를 송신하는 단계(221)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서비스 제공 컴퓨터(장치)(110)는 기본적으로 웹서버 기능, 데이터베이스 서버 기능, 응용 어플리케이션등과 같이 일반적으로 웹컨텐츠를 제공하는 시스템 기술에 의해 구현 가능하며, 당업자라면 본 명세서에 기재된 사항으로부터 서비스 제공 컴퓨터(110)의 구성을 구현해 낼 수 있다.
이러한 서비스 제공 컴퓨터(110)는 가장 대표적으로는 개인신용정보 데이터베이스부(129)에서 관리되고 있는 개인신용정보 중 각 개인별로 관리되고 있는 거 래 업체 정보를 이용함으로써, 해당 사용자가 거래하고 있는 업체의 리스트를 제공할 수가 있으며, 이 리스트 정보를 이용해 편리한 개인정보 변경 서비스를 제공하게 된다.
서비스 제공업체에서는 다양한 업종분야별로 많은 업체들과 제휴하여 업체회원으로 등록받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서비스 제공 컴퓨터(110)에는 회원 등록부(121)가 마련된다. 회원 등록부(121)는 제휴된 업체의 등록 정보를 데이터베이스부(127)에 저장한다. 예컨대, 업체 식별정보, 주소, 연락처등이 될 수 있다. 또한, 각 업체에서 개인정보로써 관리하는 개인정보 항목이 포함될 수 있다. 예컨대, 이름, 주민등록번호, 전화번호, 주소, 이메일 주소등이 될 수 있다.
또한, 회원 등록부(121)는 개인 사용자들을 회원으로 등록받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회원 등록부(121)는 사용자 단말기(101 내지 105)로 서비스 가입용 웹페이지를 제공하며, 사용자 단말기(101 내지 105)로부터 서비스 가입시에 필요로 하는 정보를 수신받아 이를 데이터베이스부(127)에 저장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서비스 가입용으로 필요한 정보로는 이름, 주민등록번호, 전화번호, 주소, 이메일 주소, 아이디, 패스워드등이 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인증부(135)는 사용자 단말기(101)로부터 수신되는 인증정보를 이용하여, 온라인 인증 동작을 수행한다(201). 일 실시예에 있어서, 인증부(135)는 사용자 단말기(101)로부터 일반적인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입력받아 인증을 수행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 인증부(135)는 사용자 단말기(101) 로부터 공인인증서 정보를 수신받아 이를 검증함으로써 개인을 식별할 수도 있다. 알려진 바와 같이, 공인 인증서를 이용해 본인을 확인하면 신용정보법에 의해서 온라인 상에서 본인확인이 가능하다. 이 밖에도 온라인 상에서 본인확인을 하는 기술로는, 신용카드 본인인증과 은행계좌 본인인증 기술이 있다. 예컨대, 인증부(135)는, 사용자 단말기(101)로부터 카드 유효기간, 주민번호, 카드번호, 카드비밀번호등과 같은 인증용 정보를 입력받고 이를 인증함으로써, 신용카드 본인인증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는, 인증부(135)는, 사용자 단말기(101)로부터 계좌번호, 주민번호, 계좌비밀번호등과 같은 인증용 정보를 입력받고 이를 인증함으로써, 은행계좌 본인인증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업체 식별정보 추출부(115)는 사용자 단말기(101)로부터 수신되는 개인 식별정보를 개인신용정보 데이터베이스부(129)로 출력한다(203). 이 개인 식별정보는 사용자 단말기(101)로부터 송신되는 인증정보로부터 획득될 수 있다.
개인신용정보 데이터베이스부(129)는, 개인신용정보 제공업체에 의해 관리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신용정보 제공업체 컴퓨터(120)는 개인신용정보를 전국 은행 연합회 컴퓨터(도시하지 않음)등으로 제공받고 이를 다시 개인신용정보를 원하는 해당 금융사 컴퓨터(109 내지 113)로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개인신용정보 데이터베이스부(129)는 별도의 개인신용정보 제공 컴퓨터(120)에 의해 관리될 수 있다.
그리고, 업체 식별정보 추출부(115)는 개인신용정보 데이터베이스부(129)에 서 관리하고 있는 개인별 개인신용정보 중에서 해당 개인이 거래하는 업체의 식별정보를 추출한다(203, 205).
전술한 바와 같이, 개인신용정보 데이터베이스부(129)에서 개인별로 관리되는 정보는 신용카드 정보, 대출정보, 보증정보, 요금정보, 연체정보등이 업체별로 기록된다. 따라서, 업체 식별정보 추출부(115)는 해당 개인이 거래하는 업체의 식별정보를 추출할 수가 있다.
즉, 업체 식별정보 추출부(115)는 사용자 단말기(101)로부터 수신되는 개인 식별정보를 개인신용정보 데이터베이스부(129)로 송신하고(203), 개인신용정보 데이터베이스부(129)에서 관리하고 있는 개인별 개인신용정보 중에서 해당 개인이 거래하는 업체의 식별정보를 수신한다(205).
그러면, 서비스 제공 컴퓨터(110)에 마련되는 업체 선택부(117)는 사용자 단말기(101)에게, 추출된 식별정보에 해당되는 업체와 추출된 식별정보에 해당되지 않는 나머지 업체가 구분되는 업체 리스트 정보를 송신한다(211, 도 3 참조).
일 실시예에 있어서, 해당 개인은 제휴된 전체 업체들 중, 일부의 업체와 거래를 하게 된다. 업체 선택부(117)는 205단계에서 수신된 해당 개인이 거래하고 있는 업체의 식별정보를 사용하여, 해당되는 업체로 구성되는 업체 리스트 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사용자 단말기(101)로 송신한다. 도 3의 실시예에서는, 국민은행, 하나은행, 신한은행, LG카드, 삼성카드, 현대카드가, 사용자가 거래하고 있는 것으로 되어 있는 업체 리스트가 된다.
또한, 업체 선택부(117)는 제휴된 전체 업체들 중, 추출된 식별정보에 해당 되지 않는 즉, 개인신용정보 데이터베이스부(129)에서 해당 개인이 거래하고 있는 업체로 등록되지 않는 업체로 구성되는 리스트 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사용자 단말기(101)로 송신한다. 도 3의 실시예에서는, 보험사로서는 삼성생명, 동부화재, 교보생명, 대한생명, 신동아화재, SK생명사가 있고, 통신사로서는 SKT, KTF, LGT사가 있다. 또한, 인터넷 업체로서는 해당 인터넷 업체가 등록되어 있을 수 있다(도시하지 않음).
또한, 업체 선택부(117)는 개인정보 변경 서비스 대상 업체를 선택할 것을 사용자에게 안내하는 안내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101)로 송신할 수가 있다(205, 도 3 참조). 일 실시예에 있어서, 업체 선택부(117)의 전술한 205 단계는 도 3과 같은 웹페이지를 사용자 단말기(101)로 송신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업체 선택부(117)는 사용자 단말기(101 내지 105)로부터, 송신된 업체 리스트 정보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해당 업체가 선택되는 업체 선택정보를 수신한다(217).
일 실시예에 있어서, 사용자는 자신의 식별정보가 등록되어 있는 업체들 중에서도 선택적으로 개인정보 변경을 요청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사용자는 자신의 식별정보가 등록되어 있지 않는 업체들 중에서도 개인정보 변경을 (선택적으로)요청할 수도 있다. 업체 선택부(117)는 선택된 업체정보를 개인별로, 데이터베이스부(129)의 해당 영역에 저장한다.
그리고, 서비스 제공 컴퓨터(110)에 마련되는 개인정보 변경부(119)는 사용자 단말기(101)로부터, 변경된 개인정보를 수신한다(219). 일 실시예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기(101)로부터 수신되는 변경 개인정보로는 집주소, 직장주소, 전화번호, 핸드폰 번호, 이메일 주소등이 될 수 있다. 물론, 개인정보 변경부(119)는 전술한 변경된 개인정보를 수신받기 위해서, 변경 가능한 개인정보의 목록과 개인정보의 입력란이 포함되는 수정용 웹페이지 화면을 사용자 단말기(101)로 제공할 수도 있다(도시하지 않음). 개인정보 변경부(119)는 변경된 개인정보를 개인별로, 데이터베이스부(129)의 해당영역에 저장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기(101 내지 105)로부터 수신되는 변경용 유선 전화번호나 핸드폰 전화번호의 경우에는 유효 여부를 검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전화번호의 유효 여부를 검사하는 기술은 본 발명이 출원되기 이전에 공개된 기술에 해당되며, 일본과 미국, 대만에서 등록되었으며, 국내와 중국등에서는 현재 출원중에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기(101)로부터 수신되는 변경용 이메일 주소의 경우에는 이메일 주소의 진위여부를 검증할 수가 있다.
그리고, 변경 정보 발송부(125)는 개인별로 변경된 개인정보를 해당되는 업체 컴퓨터로(109)로 송신한다(221). 발송할 업체 컴퓨터는 (데이터베이스부(129)에 저장되며)선택된 업체 리스트 정보로부터 결정된다. 이에 따라서, 해당되는 업체 컴퓨터(109)는 고객의 등록 정보를 변경할 수가 있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종래와 같이 사용자가 직접 서비스 대상 업체를 선택하도록 하는 기존의 인터페이스 방식에서 나아가, 개인신용정보 제공업체에서 관리하고 있던 개인신용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거래 하고 있는 업체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특정 개인은 개인정보 변경 대상인 전체 업체들 중에서 자신이 거래하고 있는 업체들을 빠뜨리지 않고 쉽고 편리하며 효율적으로 선택할 수 있게 된다.
특히, 개인이 등록되어 있는 개인정보를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 사람들은 각각 생활패턴이나 개성이 가지 각색이므로, 거래하고 있는 업체가 업종분야별로 다양하고 엄청나게 많으며, 또한, 사용자들은 온/오프 라인 경로를 통해 다양한 업체에 가입을 하게 되며, 이전에 이용하던 업체보다 더 나은 업체가 있으면 새로운 업체에 가입을 하게 되며, 또한 최근에 가입한 업체만을 이용하게 되며, 이전에 이용하던 업체를 기억하지 못하게 되는 경향이 흔히 있으나, 이렇게 많고 기억나지 않는 업체들 중에서 특정 개인이 정확하게 자신과 거래 관계에 있는 업체들을 빠뜨리지 않고 쉽고 효율적으로 선택할 수 있는 방안이 마련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개인신용정보 활용에 동의한 각 개인들의 신용카드정보, 대출정보, 보증정보, 연체정보등을 저장하고 있는 (또한 기존에 서비스되고 있는)개인신용정보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하므로, 개인이 거래하고 있는 업체를 효율적으로 알아낼 수 있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기존에 신용정보제공대상 업체로 선정되어 있는 각 업체들이 서비스 대상 업체가 될 수 있으므로, 업체회원 가입절차, 서비스 홍보, 영업등의 여러가지 면에서 유리한 장점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개인별 개인신용정보 중에서 해당 개인과 거래 관계에 있는 업체는, 시중은행, 신용카드사, 할부금융사, 캐피탈사, 저축은행, 자동차사, 통신사, 인터넷 싸이트사등이 가능하므로,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 는, 금융사뿐만 아니라 다수의 업종분야별로 다양하고 많은 업체를 대상으로 서비스가 효율적이고 편리하게 가능해지는 유리한 장점을 가진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해당 개인이 거래하는 업체의 식별정보가 추출되면(205 참조), 해당되는 업체의 컴퓨터(109)로 개인 식별정보를 송신하는 단계(207)와, 해당 업체에 등록되어 있는 개인정보를 업체 컴퓨터(109)로부터 수신하는 단계(209)를 더 포함하며, 추출된 식별정보에 해당되는 업체 리스트 정보가 전송된 후(211), 사용자 단말기(101)로부터 수신되는 요청 신호에 대응하여, 각 업체별로 등록되어 있는 개인정보를 사용자 단말기(101)로 송신하는 단계(215)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관리되는 개인정보(예:개인정보의 항목)는 각 업체별로 다르며, 또한 개인이 예컨대 서비스 가입시에 등록하는 자신의 개인정보 또한 업체별로 틀릴 수가 있다. 일 예로, A업체의 소식지는 자택에서 수령하고자 하고, B업체의 청구서는 회사에서 수령하고자 할 수가 있다. 또한, 개인은 자신이 이전에 가입한 업체를 기억할 수는 있어도 예컨대 등록한 이메일 주소가 어떤 것인지 또는 등록한 주소가 어떤 것인지 또는 등록한 전화번호가 바뀌기 이전 것인지 또는 바뀐 전화번호인지등과 같이 구체적으로 항목별로 어떤 개인정보를 등록하였는지를 기억하지 못하는 경우가 흔하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상황을 인식하고, 개인정보 변경 서비스가 더욱 편리해 질 수 있도록 고려한다. 이를 위해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서는 개인정보 획득부(131)가 개인이 이전에 업체별로 등록해둔 개인정보를 개인에게 제공한다(207, 209). 일 실시예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기(101)가 업체 리스트 정보를 화면 표시하고(211, 도 3 침조), 사용자가 "등록정보보기" 아이콘을 클릭하면(도 3 참조), 개인정보 제공부(133)는 이전에 사용자가 거래하고 있는 각 업체별로 등록된 정보를 웹페이지형식으로 사용자 단말기(101)로 송신한다(215).
이에 의하면, 사용자는 업체별로 등록한 개인정보를 확인을 하고 개인정보에 있어서 항목별(예:전화번호, 주소, 이메일 주소등)로 변경 여부를 선택할 수 있어 매우 편리하게 개인정보를 변경할 수가 있게 된다.
더불어서, 본 발명에서는 제휴된 해당 업체 컴퓨터로 개인 식별정보를 송신함으로써, 전술한 업체별 개인정보를 확보할 수 있다. 만약, 종래와 같이 개인이 이전에 어떠한 업체와 거래를 하고 있는지를 개인신용정보 제공 컴퓨터(120)(개인신용정보 데이터베이스부(129))로부터 확인하지 않는다면, 서비스 제공 컴퓨터(110)는 제휴된 모든 업체 컴퓨터(109 내지 113)로 해당 개인이 이전에 등록한 개인정보를 문의해야 할 것이다. 충실한 서비스를 위해 많은 업체와 제휴를 하면 할 수록 많은 문의 시간이 필요하게 되어, 실질적인 서비스 실현이 어렵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기존의 개인신용정보 제공 시스템과 유기적으로 결합함으로써, 항목별(예:전화번호, 주소, 이메일 주소등)로 변경 여부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편리한 기술적 사상이 도출되는 것이 가능하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서비스 제공 컴퓨터(110)에 마련되는 변경 결과 통보부(123)는 변경된 개인정보를 수신받은 해당 업체 컴퓨터(109)로부터 응답 정보가 수신되면(223), 변경 결과 통보부(123)는 해당되는 사용자 단말기(101)로 변경 결과 통보 정보를 송신한다(225).
바람직하게, 업체 컴퓨터(109)는 개인정보의 변경이 내부적으로 완료되면, 변경 결과에 따른 응답정보를 서비스 제공 컴퓨터(110)로 송신한다. 그러면, 변경 결과 통보부(123)는 해당되는 사용자 단말기(예:101)로 변경 결과를 통보하게 된다(225). 일 실시예에 있어서, 해당되는 사용자 단말기는 인터넷에 연결된 사용자 PC가 될 수 있으며, 변경 결과의 통보는 이메일 전송이 될 수가 있다. 또는 해당되는 단말기는 이동통신 단말기가 될 수 있으며, 변경 결과의 통보는 문자 메시지 전송이 될 수가 있다.
예컨대, 통신망(예:인터넷)상의 서버가 이동통신 단말기로 단문 메시지 전송 기술이나 전용으로 데이터 통신 채널을 설정하여 소정 정보를 송신하는 기술은 당업계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본 명세서에 기재된 내용으로부터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도출해 낼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업체 컴퓨터가 변경되는 개인 정보를 내부적으로 반영한 후 그 응답정보를 송신하게 하고, 이러한 응답정보를 수신되는 경우에 해당되는 사용자 단말기로 변경 결과를 통보하게 되어 있으므로, 종래와 같이 해당되는 각 업체 컴퓨터등에 접속하여 개인정보 변경결과를 일일이 확인할 필요 없이, 사용자는 각 업체의 개인정보 변경결과를 편리하게 확인할 수가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기(101)는, 등록된 업체 중 어느 한 업체의 컴퓨터(109)가 제공하는 웹페이지에 포함된 링크 아이콘이 클릭됨으로 인하여, 개 인정보 변경 장치(서비스 제공 컴퓨터)(110)에 접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사용자는 본 발명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업체의 웹사이트에 직접 접속할 수도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사용자는 제휴된 업체에서 제공하는 웹사이트를 방문하였다가, 웹페이지에 포함되는 링크 아이콘(개인정보 변경 서비스 아이콘)을 클릭할 수가 있다. 이에 의해, 사용자 단말기(101 내지 105)는 서비스 제공 컴퓨터(110)에 접속하게 된다.
전술한 본 발명의 특징적 양상에 따르면, 국민은행 사이트나 LG카드 싸이트등과 같은 제휴업체 싸이트를 본 서비스 제공업체의 싸이트로 접속할 수 있는 중간 매개체로 활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나아가, (중간 경로로 활용된 제휴 업체가 아닌)타 제휴 업체에서는 상기 개인정보 변경에 따른 수수료를 상기 중간 경로로 활용된 제휴 업체로 송신할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종래와 같이 사용자가 직접 서비스 대상 업체를 선택하도록 하는 기존의 인터페이스 방식에서 나아가, 개인신용정보 제공업체에서 관리하고 있던 개인신용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거래하고 있는 업체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특정 개인은 개인정보 변경 대상인 전체 업체들 중에서 자신이 거래하고 있는 업체들을 빠뜨리지 않고 쉽고 편리하며 효율적으로 선택할 수 있게 된다.
특히, 개인이 등록되어 있는 개인정보를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 사람들은 각각 생활패턴이나 개성이 가지 각색이므로, 거래하고 있는 업체가 업종분야별로 다 양하고 엄청나게 많으며, 또한, 사용자들은 온/오프 라인 경로를 통해 다양한 업체에 가입을 하게 되며, 이전에 이용하던 업체보다 더 나은 업체가 있으면 새로운 업체에 가입을 하게 되며, 또한 최근에 가입한 업체만을 이용하게 되며, 이전에 이용하던 업체를 기억하지 못하게 되는 경향이 흔히 있으나, 이렇게 많고 기억나지 않는 업체들 중에서 특정 개인이 정확하게 자신과 거래 관계에 있는 업체들을 빠뜨리지 않고 쉽고 효율적으로 선택할 수 있는 방안이 마련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개인신용정보 활용에 동의한 각 개인들의 신용카드정보, 대출정보, 보증정보, 연체정보등을 저장하고 있는 (또한 기존에 서비스되고 있는)개인신용정보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하므로, 개인이 거래하고 있는 업체를 효율적으로 알아낼 수 있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기존에 신용정보제공대상 업체로 선정되어 있는 각 업체들이 서비스 대상 업체가 되므로, 업체회원 가입절차, 서비스 홍보, 영업등의 여러가지 면에서 유리한 장점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개인별 개인신용정보 중에서 해당 개인과 거래 관계에 있는 업체는, 시중은행, 신용카드사, 할부금융사, 캐피탈사, 저축은행, 자동차사, 통신사, 인터넷 싸이트사등이 가능하므로,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금융사뿐만 아니라 다수의 업종분야별로 다양하고 많은 업체를 대상으로 서비스가 효율적이고 편리하게 가능해지는 유리한 장점을 가진다.
전술한 바와 같이, 관리되는 개인정보(예:개인정보의 항목)는 각 업체별로 다르며, 또한 개인이 예컨대 서비스 가입시에 등록하는 자신의 개인정보 또한 업체별로 틀릴 수가 있다. 일 예로, A업체의 소식지는 자택에서 수령하고자 하고, B업 체의 청구서는 회사에서 수령하고자 할 수가 있다. 또한, 개인은 자신이 이전에 가입한 업체를 기억할 수는 있어도 예컨대 등록한 이메일 주소가 어떤 것인지 또는 등록한 주소가 어떤 것인지 또는 등록한 전화번호가 바뀌기 이전 것인지 또는 바뀐 전화번호인지등과 같이 구체적으로 항목별로 어떤 개인정보를 등록하였는지를 기억하지 못하는 경우가 흔하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상황을 인식하고, 개인정보 변경 서비스가 더욱 편리해 질 수 있도록 고려한다. 이를 위해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서는 개인정보 획득부(131)가 개인이 이전에 업체별로 등록해둔 개인정보를 개인에게 제공한다(207, 209). 일 실시예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기(101)가 업체 리스트 정보를 화면 표시하고(211, 도 3 침조), 사용자가 "등록정보보기" 아이콘을 클릭하면(도 3 참조), 개인정보 제공부(133)는 이전에 사용자가 거래하고 있는 각 업체별로 등록된 정보를 웹페이지형식으로 사용자 단말기(101)로 송신한다(215).
이에 의하면, 사용자는 업체별로 등록한 개인정보를 확인을 하고 개인정보에 있어서 항목별(예:전화번호, 주소, 이메일 주소등)로 변경 여부를 선택할 수 있어 매우 편리하게 개인정보를 변경할 수가 있게 된다.
더불어서, 본 발명에서는 제휴된 해당 업체 컴퓨터로 개인 식별정보를 송신함으로써, 전술한 업체별 개인정보를 확보할 수 있다. 만약, 종래와 같이 개인이 이전에 어떠한 업체와 거래를 하고 있는지를 개인신용정보 제공 컴퓨터(120)(개인신용정보 데이터베이스부(129))로부터 확인하지 않는다면, 서비스 제공 컴퓨터(110)는 제휴된 모든 업체 컴퓨터(109 내지 113)로 해당 개인이 이전에 등록한 개 인정보를 문의해야 할 것이다. 충실한 서비스를 위해 많은 업체와 제휴를 하면 할 수록 많은 문의 시간이 필요하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기존의 개인신용정보 제공 시스템과 유기적으로 결합함으로써, 항목별(예:전화번호, 주소, 이메일 주소등)로 변경 여부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편리한 기술적 사상이 도출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업체 컴퓨터가 변경되는 개인 정보를 내부적으로 반영한 후 그 응답정보를 송신하게 하고, 이러한 응답정보를 수신되는 경우에 해당되는 사용자 단말기로 변경 결과를 통보하게 되어 있으므로, 종래와 같이 해당되는 각 업체 컴퓨터등에 접속하여 개인정보 변경결과를 일일이 확인할 필요 없이, 사용자는 각 업체의 개인정보 변경결과를 편리하게 확인할 수가 있다.
또한, 국민은행 사이트나 LG카드 싸이트등과 같은 제휴업체 싸이트를 본 서비스 제공업체의 싸이트로 접속할 수 있는 중간 매개체로 활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나아가, (중간 경로로 활용된 제휴 업체가 아닌)타 제휴 업체에서는 상기 개인정보 변경에 따른 수수료를 상기 중간 경로로 활용된 제휴 업체로 송신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는 실시예에 의하여 설명되었으나 이에 한정하여 해석되지 않으며, 이로부터 자명한 많은 변형예들을 포괄하도록 해석되어져야 한다.

Claims (12)

  1. 개인정보 변경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인증정보를 이용하여 인증을 수행하는 인증부;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개인 식별정보를 개인신용정보 데이터베이스부로 송신하고, 상기 개인신용정보 데이터베이스부에서 관리하고 있는 개인별 개인신용정보 중에서 해당 개인과 거래 관계에 있는 업체의 식별정보를 수신하는 업체 식별정보 추출부;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게, 상기 추출된 식별정보에 해당되는 업체와 상기 추출된 식별정보에 해당되지 않는 나머지 업체가 구분되는 업체 리스트 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업체 리스트 정보 중에서 해당 업체가 선택되는 업체 선택정보를 수신하는 업체 선택부;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변경된 개인정보를 수신하는 개인정보 변경부; 및
    상기 선택된 업체의 컴퓨터로 상기 변경된 개인정보를 송신하는 변경정보 발송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정보 변경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인신용정보 데이터베이스부가,
    개인신용정보 활용에 동의한 각 개인들의 신용카드정보, 대출정보, 보증정보, 연체정보 중 적어도 한 정보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정보 변경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인별 개인신용정보 중에서 해당 개인과 거래 관계에 있는 업체가,
    시중은행 및/또는 신용카드사 및/또는 할부금융사 및/또는 캐피탈사 및/또는 저축은행 및/또는 자동차사 및/또는 통신사 및/또는 인터넷 싸이트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정보 변경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업체 식별정보 추출부로부터 해당 개인이 거래하는 업체의 식별정보를 입력받아 해당되는 업체의 컴퓨터로 상기 개인 식별정보를 송신하고, 해당 업체에 등록되어 있는 개인정보를 상기 업체 컴퓨터로부터 수신하는 개인정보 획득부;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요청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각 업체별로 등록되어 있는 개인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송신하는 개인정보 제공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정보 변경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등록된 업체 중 어느 한 업체의 컴퓨터가 제공하는 웹페이지에 포함된 링크 아이콘이 클릭됨으로 인하여, 상기 개인정보 변경 장치에 접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정보 변경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변경된 개인정보를 수신받은 해당 업체 컴퓨터로부터 응답 정보가 수신되면, 해당되는 사용자 단말기로 변경 결과 통보 정보를 송신하는 변경 결과 통보부;가 더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정보 변경 장치.
  7. 서비스 제공 컴퓨터에서 실행가능한 개인정보 변경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인증정보를 사용하여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개인 식별정보를 개인신용정보 데이터베이스부로 송신하고, 상기 개인신용정보 데이터베이스부에서 관리하고 있는 개인별 개인신용정보 중에서 해당 개인이 거래하는 업체의 식별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게, 상기 추출된 식별정보에 해당되는 업체 리스트 정보와 상기 추출된 식별정보에 해당되지 않는 나머지 업체가 구분되는 업체 리스트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업체 리스트 정보 중에서 해당 업체가 선택되는 업체 선택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변경된 개인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업체의 컴퓨터로 상기 변경된 개인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정보 변경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개인신용정보 데이터베이스부가,
    개인신용정보 활용에 동의한 각 개인들의 신용카드정보, 대출정보, 보증정보, 연체정보 중 적어도 한 정보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정보 변경 방법.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개인별 개인신용정보 중에서 해당 개인과 거래 관계에 있는 업체가,
    시중은행 및/또는 신용카드사 및/또는 할부금융사 및/또는 캐피탈사 및/또는 저축은행 및/또는 자동차사 및/또는 통신사 및/또는 인터넷 싸이트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정보 변경 방법.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해당 개인이 거래하는 업체의 식별정보가 추출되면,
    해당되는 업체의 컴퓨터로 상기 개인 식별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및
    해당 업체에 등록되어 있는 개인정보를 상기 업체 컴퓨터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요청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각 업체별로 등록되어 있는 개인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정보 변경 방법.
  1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웹페이지 접속 단계가,
    상기 등록된 업체 중 어느 한 업체의 컴퓨터가 제공하는 웹페이지에 포함된 링크 아이콘이 선택됨으로 인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서비스 제공 컴퓨터에서 제공하는 웹페이지에 접속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정보 변경 방법.
  12.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변경된 개인정보를 수신받은 해당 업체 컴퓨터로부터 응답 정보가 수신되면,
    해당되는 사용자 단말기로 변경 결과 통보 정보를 송신하는 변경 결과 통보 단계;가 더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정보 변경 방법.
KR1020050007694A 2005-01-27 2005-01-27 개인정보 변경 장치 및 방법 KR1006321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7694A KR100632109B1 (ko) 2005-01-27 2005-01-27 개인정보 변경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7694A KR100632109B1 (ko) 2005-01-27 2005-01-27 개인정보 변경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7023A true KR20060087023A (ko) 2006-08-02
KR100632109B1 KR100632109B1 (ko) 2006-10-04

Family

ID=371760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07694A KR100632109B1 (ko) 2005-01-27 2005-01-27 개인정보 변경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3210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7632B1 (ko) * 2019-02-22 2020-06-29 손지영 전화번호 변경 일괄 고지 처리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71896A (ja) 1996-12-06 1998-06-26 Hitachi Ltd 個人情報の通知方法およびシステ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7632B1 (ko) * 2019-02-22 2020-06-29 손지영 전화번호 변경 일괄 고지 처리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32109B1 (ko) 2006-10-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257527A (zh) 用于移动交易的系统和方法
KR100862098B1 (ko) 금융상품 가입 처리방법
Nso Impact of Technology on E-Banking; Cameroon Perspectives
WO2014193324A1 (en) Risk reporting system
US20050289016A1 (en) Personal electronic repository
KR100632109B1 (ko) 개인정보 변경 장치 및 방법
KR20200134615A (ko) 중개 플랫폼을 이용하여 대출광고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서버, 금융 기관 제휴사 단말
KR20010088222A (ko) 무선 인터넷을 통한 신용 카드 대출 및 현금 서비스시스템 및 그 서비스 제공 방법
KR20200126847A (ko) 비식별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결정된 대출광고를 비식별 사용자 정보에 대응되는 식별 사용자에게 매칭하여 주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서버, 식별 사용자 단말
KR100864995B1 (ko) 구성원의 동의시에만 계좌 인출이 가능한 금융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340313B1 (ko) 메시지 통합관리 장치 및 방법
Gesare Factors Affecting Adoption of Mobile Banking by Commercial Banks in Kenya
JP7236508B2 (ja) 顧客基盤を活用した総合認証システム、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5377199B2 (ja) 信用情報機関に提供された個人信用情報の開示システム
TSEGAYE AN ASSESEMENT OF THE CHALLENGES AND OPPORTUNITIES ON THE IMPLEMENTATION OF E-TOP UP SERVICE PROJECT; THE CASE OF ETHIO TELECOM.
Tsadik Assessment of Mobile Banking Services Usage in Commercial Bank of Ethiopia
DHASMANA The Banking Sector in Sudan: Between New Opportunities and Challenges
Kumudumali Study on Factors Affecting to the Customers’ Intention Towards Usage of Mobile Banking Application in Gampaha District
Bhandary Prospects and Challenges in E-banking: A Perception Study
KR100902006B1 (ko) 부실채권 거래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위한 프로그램기록매체
Alemu Assessing the Role of Electronic Banking Service on Customer Satisfaction A case study at Branches of Commercial Bank of Ethiopia in Hawassa city, SNNPR
KR20080023212A (ko) 금융상품 정보 제공 시스템
JP2008250364A (ja) 法人用ポイント交換システム及び画面制御方法
KR100783109B1 (ko) 지점 연결 방법
TILAHUN ASSESSMENT OF THE OPPORTUNITIES AND CHALLENGES FOR THE ADOPTION OF E-BANKING SERVICE IN COMMERCIAL BANKS IN ETHIOPIA (A STUDY WITH REFERENCE TO SELECTED FOUR COMMERCIAL BANKS COMMERCIAL BANK OF ETHIOPIA, AWASH INTERNATIONAL BANK, DASHEN BANK AND ZEMEN BAN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1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