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85295A - 유공관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유공관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85295A
KR20060085295A KR1020050005807A KR20050005807A KR20060085295A KR 20060085295 A KR20060085295 A KR 20060085295A KR 1020050005807 A KR1020050005807 A KR 1020050005807A KR 20050005807 A KR20050005807 A KR 20050005807A KR 20060085295 A KR20060085295 A KR 200600852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extruder
manufacturing apparatus
tube
perfor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058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17968B1 (ko
Inventor
이진정
Original Assignee
(주)삼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삼창 filed Critical (주)삼창
Priority to KR10200500058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17968B1/ko
Publication of KR200600852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852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179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179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01Combinations of extrusion moulding with other shaping operations
    • B29C48/0022Combinations of extrusion moulding with other shaping operations combined with cut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3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extruded material at extrusion
    • B29C48/09Articles with cross-sections having partially or fully enclosed cavities, e.g. pipes or chann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30Extrusion nozzles or d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88Thermal treatment of the stream of extruded material, e.g. cooling
    • B29C48/911Cooling
    • B29C48/9115Cooling of hollow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23/00Producing tubular articles
    • B29D23/001Pipes; Pipe joi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xtru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공관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압출기를 이용하여 다수개의 가로줄이 균일하게 형성되고 상기 가로줄의 둘레를 따라 나선형 링이 일체형으로 형성된 유공관을 제작함으로서 유공관의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수명을 연장시키며, 하판을 형성하여 유공관의 전체 표면적에 대한 통공의 표면적 비율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간단한 설비 조작만으로도 유공관 설치장소 및 목적에 따라 적합한 형태로 제작할 수 있는 유공관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압출다이, 회전기어, 회전부재, 칼날, 보조압출기, 노즐

Description

유공관 제조장치{A PERFORATED-PIPE MANUFACTURING DEVICE}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유공관 제조장치를 간략하게 도시하는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유공관 제조장치의 성형부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유공관 제조장치의 성형부를 도시하는 분리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유공관 제조장치에 의해 제조된 원통형 유공관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유공관 제조장치를 간략하게 도시하는 개념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유공관 제조장치의 사용모습을 도시하는 부분확대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유공관 제조장치에 의해 제조된 원통형 유공관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본 발명의 유공관 제조장치 12: 압출기
14: 호퍼 16: 압출기 몸체
18: 냉각기 20: 이송기
22: 롤러 30: 성형부
32: 베이스 34: 압출다이
35: 요철부 36: 동력기어
38: 회전기어 40: 회전부재
42: 칼날 44: 외부케이스
46: 보조압출기 48: 노즐
50: 본 발명의 원통형 유공관 52: 가로줄
54: 나선형 링 56: 통공
58: 하판
본 발명은 유공관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압출기를 이용하여 다수개의 가로줄이 균일하게 형성되고 상기 가로줄의 둘레를 따라 나선형 링이 일체형으로 형성된 유공관을 제작함으로서 유공관의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수명을 연장시키며, 하판을 형성하여 유공관의 전체 표면적에 대한 통공의 표면적 비율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간단한 설비 조작만으로도 유공관 설치장소 및 목적에 따라 적합한 형태로 제작할 수 있는 유공관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유공관은 유공관 몸체를 기다란 띠 형상으로 형성하고, 상기 몸체 가운데 부분의 상부에는 돌출부가 형성되며, 몸체의 일측 상부에는 다수개의 통공이 형성되었다. 그런 다음, 상기 돌출부가 나선형상을 구성하도록 몸체를 감으면서, 접착면을 압착하거나 접착제를 사용하여 접착시켜서 유공관을 제작하였다.
따라서, 종래의 유공관은 돌출부가 나선형으로 형성됨에도 불구하고 몸체의 접착면을 접착하여 형성되기 때문에 유연성이 미흡하여 굴곡진 지형에 사용하기 힘들어서 연결 소켓을 사용하여 연결해야 했다. 그러므로 작업시간이 지연되고 작업비용 또한 필요 이상으로 많이 소요되어 낭비되는 요소가 많았다.
그리고 유공관 하부에도 통공이 형성되므로 배수능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별도의 설비를 추가로 설치해야 하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외부 압력이나 유공관의 노후화에 따라서 접착면이 파손되어 시설 보수관리에도 많은 인력과 비용이 소요되었다.
또는 원통형으로 유공관 몸체를 형성한 다음에 통공을 형성하여 제작되는 유공관도 있는데, 이는 통공을 별도로 형성하는 작업을 거쳐야 하므로 역시 작업시간이 지연되고 작업비용 또한 필요 이상으로 많이 소요되어 낭비되는 요소가 많았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압출기를 이용하여 다수개의 가로줄이 균일하게 형성되고 상기 가로줄의 둘레를 따라 나선형 링이 일체형으로 형성된 유공관을 제작함으로서 유공관의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수명을 연장시키는 유공관 제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하판을 형성하여 유공관의 전체 표면적에 대한 통공의 표면적 비율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간단한 설비 조작만으로도 유공관 설치장소 및 목적에 따라 적합한 형태로 제작할 수 있는 유공관 제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유공관 제조장치는 압출물이 배출되는 압출기 끝단의 성형부는 내부에 다수개의 가로줄이 형성된 원통관을 압출성형하도록 다수개의 요철부가 형성된 압출다이가 형성되고, 외부에는 상기 원통관을 나선형 링 형상으로 가공하도록 칼날을 구비하며 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부재가 형성되며, 상기 가로줄과 상기 나선형 링이 교차하지 않는 부분에는 다수개의 통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성형부의 손상을 방지하도록 외부케이스가 설치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유공관에 유입된 유체가 하부로 배출되지 않는 하부의 통공이 막힌 유공관을 성형하도록, 상기 성형부에서 배출되는 유공관의 일부에 압출물을 압출하는 보조압출기가 추가로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압출성형된 유공관의 변형을 방지하도록 냉각시키는 냉각기가 추가로 설치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유공관 제조장치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유공관 제조장치를 간략하게 도시하는 개념도이다. 도 1에 따르면, 본 발명의 유공관 제조장치는 원통관을 제작하도록 형성된 압출기(12)의 끝단에 성형부(30)를 설치함으로서 유공관을 형성하게 된다. 즉, 호퍼(14)를 통하여 재료가 투입되면 압출기 몸체(16)가 재료를 성형부(30)로 공급하고, 성형부(30)를 거치면서 유공관의 형상을 갖추게 되는 것이다.
상기 성형부(30)에서 형상이 갖춰진 유공관이 변형되지 않도록 냉각시키는 냉각기(18)가 설치될 수 있고, 제작된 유공관의 이송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서 롤러(22)를 구비한 이송기(20)가 추가로 설치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유공관 제조장치의 성형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3은 상기 성형부의 분리사시도이다.
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하는 동력기어(36)와 압출다이(34)의 외측에 설치되는 회전기어(38)가 외접하게 된다. 따라서 동력기어(36)가 회전함에 따라 회전기어(38)도 함께 회전하게 된다. 압출다이(34)와 외부케이스(44)는 베이스(32)에 고정결합되므로 회전기어(38)가 회전하더라도 최초 위치를 유지하고, 회전부재(40)는 회전기어(38)에 결합되므로 회전기어(38)와 함께 회전하게 된다.
압출다이(34)에는 재료를 원통관을 압출하도록 공간이 형성되어 있는데 내측에는 다수개의 요철부(35)가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압출다이(34)를 통과하면서 내부에 균일한 형상의 다수개의 가로줄이 형성된 원통관이 형성된다.
상기 원통관은 압출다이(34)에서 배출됨과 동시에 회전부재(40)에 형성된 칼 날(42)에 의해 외측이 가공된다. 상기 회전부재(40)는 모터 동력에 의해 회전하므로 압출기가 작동하는 동안 회전운동을 하게 된다. 따라서 압출다이(34)를 통과하면서 원통관이 형성되어 배출될 때, 회전부재(40)에 설치된 칼날(42)이 회전하면서 원통관의 가로줄은 남겨두고 외측을 나선형으로 잘라내게 된다.
즉, 원통관은 압출다이(34)로부터 계속 배출되고 칼날(42)은 회전부재(40)와 함께 회전운동을 지속하므로, 원통관의 외측은 칼날(42)에 의해 나선형으로 잘리게 된다. 따라서, 상기 칼날(42)에 의해 잘리지 않은 부분이 남아서 가로줄을 감싸는 나선형 링(54) 모양으로 형성된다. 이와 동시에 칼날(42)에 의해 잘린 부분은 가로줄이 노출되는 부분과 가로줄이 형성되어 있지 않아서 통공(56)이 형성되는 부분으로 나뉘게 된다.
상기 성형부의 손상을 방지하도록 외부케이스(44)가 설치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유공관 제조장치에 의해 제조된 원통형 유공관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4에 따르면, 본 발명의 유공관 제조장치에 의해 형성된 원통형 유공관은 내부에 다수개의 가로줄(52)이 형성되고 상기 가로줄의 둘레를 따라서 나선형 링(54)이 형성되며, 다수개의 통공(56)을 구비한다.
압출다이(34)의 요철부(35) 사이로 배출되면서 형성된 가로줄(52)은 칼날(42)에 의해 가공되지 않으므로 최초 제작된 형상을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회전부재(40)에 구비된 칼날(42)이 회전하면서 원통관의 외측을 잘라냄으로서, 상기 칼날(42)에 의해 잘리지 않은 부분이 나선형 링(54)을 형성하게 된다.
또한 상기 칼날(42)에 의해 원통관의 외측이 잘린 부분은 가로줄(52)과 통공(56)이 노출된다. 즉, 가로줄(52)을 감싸고 있던 원통관의 외측이 칼날(42)에 의해 잘려나감에 따라 가로줄(52)이 노출되는데, 가로줄(52)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부분은 빈 공간을 형성하여, 통공(56)의 역할을 하게 되는 것이다.
종래에는 돌출부와 통공이 형성된 기다란 띠를 나선형으로 감으면서 접착시키거나, 나선형 돌출부가 형성된 원통관에 구멍을 뚫어서 통공을 형성함으로서 유공관을 제작하였으나, 본 발명의 유공관 제조장치를 사용하면 압출작업과 칼날의 회전만으로 쉽게 통공이 형성된 유공관을 제작할 수 있다. 또한, 가로줄(52)과 나선형 링(54)이 일체형으로 형성되므로 내구성도 뛰어나다는 장점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유공관 제조장치를 간략하게 도시하는 개념도이고, 도 6은 상기 유공관 제조장치의 사용모습을 도시하는 부분확대도이다. 도 5 및 도 6에 따르면, 유공관에 유입된 유체가 하부로 배출되지 않도록 통공(56)의 일부가 막힌 유공관(50)을 제작할 수도 있다.
성형부(30)에서 유공관(50)이 배출될 때, 별도의 보조압출기(46)에서 상기 유공관(50)의 일부를 막도록 압출물을 압출함으로서 하판(58)을 형성할 수 있다.
유공관(50)의 하부에 통공(56)이 형성되면 유체가 유공관 하부로 배출되어 배수능력이 저하된다. 따라서 지면이 건조되는 속도가 늦어질 수 있고 오폐수를 방출할 경우에는 토양이 오염될 수도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유공관 하부에 비닐이나 천막과 같이 유체가 지면에 스며들지 않고 배출되도록 하였으나, 작업 소요시간이 증가하고 자재 및 인력을 낭비하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발명자는 종래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서 보조압출기(46)를 설치하여, 노즐(48)을 통해 필름과 같이 얇은 막 형상으로 압출물을 압출함으로서 유공관(50)의 통공(56) 일부를 막도록 하였다. 통공(56)이 막힌 부분이 하부에 위치하도록 유공관을 설치하면, 유체가 통공(56)을 통하여 하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하판(58)을 따라서 원활하게 배수가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유공관(50)의 배수능력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노즐(48)을 교체하여 하판(58)의 폭을 조절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보조압출기(46)는 압출기 몸체(16)에 부착될 수도 있고, 별도의 받침대를 사용하여 설치될 수도 있으며, 상기 압출기 몸체(16)의 상부뿐만 아니라 측면이나 하부에 설치될 수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유공관 제조장치에 의해 제조된 원통형 유공관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7에 따르면, 유공관(50) 하부에 형성된 통공(56)의 일부를 막도록 하판(58)을 형성함으로서 유체가 유공관(30) 하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집수 및 배수능력을 향상시키게 된다.
상기 하판(58)의 폭은, 보조압출기(46)의 끝단에 형성된 노즐(48)을 교환하여 압출물이 압출되는 폭을 조절함으로서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유공관(30) 사용지역의 지형이나 용도에 따라서 적합한 형태의 유공관(30)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전술한 내용은 후술할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를 보다 잘 이해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특징과 기술적 장점을 다소 폭넓게 개설하였다.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를 구성하는 부가적인 특징과 장점들이 이하에서 상술될 것이다. 개시된 본 발명의 개념과 특정 실시예는 본 발명과 유사 목적을 수행하기 위한 다른 구조의 설계나 수정의 기본으로서 즉시 사용될 수 있음이 당해 기술분야의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인식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개시된 발명 개념과 실시예가 본 발명의 동일 목적을 수행하기 위하여 다른 구조로 수정하거나 설계하기 위한 기초로서 당해 기술 분야의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사용되어질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당해 기술분야의 숙련된 사람에 의한 그와 같은 수정 또는 변경된 등가 구조는 특허청구범위에서 기술한 발명의 사상이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다양한 변화, 치환 및 변경이 가능하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유공관 제조장치는 압출기를 이용하여 가로줄과 나선형 링이 일체형으로 형성된 유공관을 제작함으로서 유공관의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수명을 연장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하판을 형성하여 유공관의 전체 표면적에 대한 통공의 표면적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간단한 설비 조작만으로도 유공관 설치장소 및 목적에 따라 적합한 형태로 제작할 수 있다.

Claims (5)

  1. 압출기를 이용하여 유공관을 제조하는 유공관 제조장치에 있어서,
    압출물이 배출되는 압출기 끝단의 성형부는 내부에 다수개의 가로줄이 형성된 원통관을 압출성형하도록 다수개의 요철부가 형성된 압출다이(34)가 형성되고, 외부에는 상기 원통관을 나선형 링 형상으로 가공하도록 칼날을 구비하며 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부재가 형성되며, 상기 가로줄과 상기 나선형 링이 교차하지 않는 부분에는 다수개의 통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공관 제조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부의 손상을 방지하도록 외부케이스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공관 제조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유공관에 유입된 유체가 하부로 배출되지 않는 하부의 통공이 막힌 유공관을 성형하도록,
    상기 성형부에서 배출되는 유공관의 일부에 압출물을 압출하는 보조압출기가 추가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공관 제조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압출성형된 유공관의 변형을 방지하도록 냉각시키는 냉각기가 추가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공관 제조장치.
  5. 압출기를 이용하여 유공관을 제조하는 유공관 제조장치에 있어서,
    원재료를 공급받아 성형부로 이송시키는 압출기,
    유공관을 제작하도록 압출기 끝단에 설치되는 성형부, 및
    상기 성형부에서 제작되어 배출되는 유공관의 통공 일부를 막도록 압출물을 압출하는 보조압출기를 포함하는데,
    상기 성형부는,
    내부에 다수개의 가로줄이 형성된 원형관을 압출성형하도록 형성된 압출다이, 및
    상기 원형관의 외측을 나선형 링 형상으로 가공하여 통공을 형성하도록, 칼날을 구비하고 압출다이 외측에 설치되는 회전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공관 제조장치.
KR1020050005807A 2005-01-21 2005-01-21 유공관 제조장치 KR1006179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5807A KR100617968B1 (ko) 2005-01-21 2005-01-21 유공관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5807A KR100617968B1 (ko) 2005-01-21 2005-01-21 유공관 제조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1938U Division KR200381121Y1 (ko) 2005-01-21 2005-01-21 유공관 제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5295A true KR20060085295A (ko) 2006-07-26
KR100617968B1 KR100617968B1 (ko) 2006-09-01

Family

ID=371750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05807A KR100617968B1 (ko) 2005-01-21 2005-01-21 유공관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1796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45813A (ja) * 2009-08-26 2011-03-10 Daikyonishikawa Corp オイルストレーナ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28841B2 (ja) 1999-04-13 2009-09-09 邦彦 立川 フレキシブル合成樹脂多孔管及びその製造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45813A (ja) * 2009-08-26 2011-03-10 Daikyonishikawa Corp オイルストレーナ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17968B1 (ko) 2006-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38983A (en) Aeration device
KR100617968B1 (ko) 유공관 제조장치
KR200381121Y1 (ko) 유공관 제조장치
CN112450050A (zh) 一种农业灌溉装置
KR100932433B1 (ko) 점적 호스
JP2007147029A (ja) フレキシブル管
CN112252447A (zh) 一种易于维护的建筑下水器
CN202232381U (zh) 渗水管结构
CN212147675U (zh) 一种挤压制棒装置
KR20060081271A (ko) 합성수지재 나선관 성형장치
KR20050093736A (ko) 비대칭 천공 주름 나선 유공관 및 그 제조장치
JP2007100837A (ja) 耐圧ホース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208865447U (zh) 有机废气生物处理设备
CN207277466U (zh) 一种快速导流装置及应用其的冲水水箱
KR200289552Y1 (ko) 단열층을 갖는 파이프 제조 장치
KR100306896B1 (ko) 이중벽체나선관성형장치
KR100632779B1 (ko) 프로파일 나선형 합성수지관 코팅 직관 파이프
JP4873724B2 (ja) 暗渠の洗浄方法
CN213321559U (zh) 一种pe给水管用挤出机
KR101008830B1 (ko) 자연정화 기능을 갖는 폴리에틸렌관과 그 제조장치
CN218205289U (zh) 一种落水口节点防水堵漏结构
KR200375808Y1 (ko) 파상형 폴리에틸렌 유공관
CN213860647U (zh) 一种聚乙烯滴灌管挤出装置
CN220180746U (zh) 一种自行车轮毂清洗装置
CN215774669U (zh) 一种用于农田灌溉伸缩式自洗出水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8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4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