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84278A - 역세 균등분배시스템 - Google Patents

역세 균등분배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84278A
KR20060084278A KR1020050005080A KR20050005080A KR20060084278A KR 20060084278 A KR20060084278 A KR 20060084278A KR 1020050005080 A KR1020050005080 A KR 1020050005080A KR 20050005080 A KR20050005080 A KR 20050005080A KR 20060084278 A KR20060084278 A KR 200600842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main
backwash
channel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050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98399B1 (ko
Inventor
심영일
조창현
유양수
Original Assignee
(주) 디아이엔바이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디아이엔바이로 filed Critical (주) 디아이엔바이로
Priority to KR10200500050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98399B1/ko
Publication of KR200600842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842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83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83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081Bases, casings or cove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6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installing or repairing optical fibres or optical cabl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 Paper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역세 균등분배시스템은, 보조통로수단을 사용하여 주수로의 일측 공간을 막아 물을 주수로의 측벽으로부터 분리시키고 동시에 균등분배용 통로구를 형성하고 있는 진보된 형태의 분배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여과조 옆에 주수로(main flume)를 배치하고 있는 정수 설비에 있어서, 주수로의 일측 공간으로부터 이격되어 분리시키는 보조통로수단과, 보조통로수단을 흘러 넘친 공기/물이 균등하게 동시에 배출되도록 주수로의 측벽에 형성한 균등분배용 통로구를 구비함으로써, 주수로의 공기/물을 균등비율로 동시에 배출시킬 수 있는 특징을 갖는다.
따라서 본 발명은 수로와 여과지의 높낮이에 크게 제약받지 않고 수로내의 수위를 높이고 충분한 단면적을 확보함으로써, 역세척시 물/공기를 균등분배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역세, 균등, 정화, 정수, 수로, 여과

Description

역세 균등분배시스템{Equal distributing system during concurrent gas/liquid}
도 1은 일반적인 정수시설에 설치되는 여과지 및 수로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역세 균등분배시스템의 구조도.
도 3은 도 2에 개시된 역세 균등분배시스템에 형성되는 균등분배용 통로구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4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니은('L', 또는 엘)자형의 역세분배판을 구비한 역세 균등분배시스템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디귿('ㄷ')자형의 역세분배판을 구비한 역세 균등분배시스템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파이('??')자형의 역세분배판을 구비한 역세 균등분배시스템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반구형 또는 반원형의 역세분배판을 구비한 역세 균등분배시스템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역세장치
110 : 수로 120 : 여과지
20 : 역세 균등분배시스템 20w : 물
210 : 주수로 210a : 보조통로
220 : 여과조(여과지)
230 : 분리격벽 230h : 통로구
250 : 역세분배판
250a : 통기구 250w : 통수구
본 발명은 보조통로수단을 사용하여 여과지 측부에 배치된 주수로의 일측 공간을 막아 역세척시 주수로(main flume)로 유입되는 역세척용 물을 주수로의 측벽으로부터 분리시키고 동시에 균등분배용 통로구를 형성함으로써, 보조통로수단을 흘러 넘친 물과 상부에서 유입된 공기를 균등비율로 동시에 여과지로 유입시킬 수 있는 역세 균등분배시스템을 제시한 것이다.
상수도용 물이나 공업용수 등을 여과하기 위하여 정수장치의 여과지 바닥면에는 적절한 여재를 적층시켜 놓게 된다. 이러한 여재는 물속에 포함된 불순물들을 흡수하여 여과를 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여재의 표면에는 물속에 포함된 많은 이물질들이 적층되어 여 과저항으로 작용하여 여과작용을 방해함으로써 여과의 효율과 성능을 떨어뜨리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여래층을 주기적으로 세척 해주어야 하는데, 일반적으로 세척은 여과지의 물을 배수시킨 다음 별도로 물을 공급하여 실시해야 하므로 시간과 인력이 많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여과 자체도 불가하여 여과 효율도 떨어뜨리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이와 같이 여재의 세척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여과를 일시적으로 중단하고 여과지에 적층된 여재층에 물을 공급하여 활성탄층에 포함된 이물질 등을 세척하는 역세척이 세척문제의 대안으로 인식되고 있다.
이러한 역세척은 여과지 측부에 일정하게 배열된 주수로(Main Flume)를 통하여 수행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이때 주수로(Main Flume)는 하부집수장치와 연결하는 역할을 함으로써 물/공기 역세척 및 여과수 집수 기능을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정수시설에 설치되는 여과지 및 수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수로(110)는 여과지(120) 바닥과 일치시키거나, 이와 달리 여과지(120) 바닥보다 다소 낮게 형성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방식들을 살펴보면 역세척시 하부집수장치내의 물의 레벨(level)은 대단히 낮으며, 따라서 도 1에 있어서 수로(110)에서의 물의 수위는 슬리브를 통과할 때 생기는 마찰손실로 인한 보상공간을 가지고 있지 못하고, 수로(110)가 여과 지 바닥보다 다소 낮게 형성된 경우에는 거의 불충분하다. 반면 공기를 위한 공간은 지나치게 넓다.
그러나 수로(110) 내의 물이 하부집수장치의 각 블록내로 균등분배되기 위해서는 수로(110) 내의 유속이 최대 약 0.6m/sec를 넘지 않도록 해야 한다. 때문에 유속이 느려지도록 하려면 그 단면적을 넓혀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수로 바닥을 낮추던가 물의 수위를 높이는 등의 방법이 있다.
그러나 이 경우에도 수로바닥이 충분히 파여 있지 않거나 물의 수위를 과도하게 높이게 되면 통로가 막혀서 공기가 통하지 않는 문제가 발생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여과지(120)로 통하는 통로에 물/공기를 각각 배출시키는 밸브를 설치하거나, 물의 수위가 높은 경우 공기를 배출시키는 밸브를 따로 설치해 주는 등의 방법이 있지만, 그 시공비용이 막대하고 하자의 우려가 많은 등 문제해결을 위한 대안으로서는 여전히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보조통로수단을 사용하여 여과지 옆에 배치된 주수로의 일측 공간을 막아 주수로(main flume)로 배수시키는 공기/물을 주수로의 측벽으로부터 분리시키고 균등분배용 통로구를 형성함으로써, 수로 내 수위를 높이고 충분한 단면적을 확보하며 동시에 물/공기의 균등분배와 원활한 배출을 이룰 수 있는, 역세 균등분배시스템에 관한 기술을 제공함에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자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역세 균등분배시스템의 구조도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에 따른 역세 균등분배시스템(20)은, 여과조(220, 또는 '여과지') 측부에 형성한 주수로(210)에 보조통로수단으로서의 역세분배판(250)을 이용하여 보조통로(210a)를 형성하고 있으며, 분리격벽(230)으로 분리되어 여과조(220)로 통하는 부분에 균등분배용 통로구(230h)를 형성하여 공기/물이 균등분배되어 배수될 수 있는 시스템을 취하고 있다. 아울러 이러한 역세분배판(250)은 그 하부에 통수구(250w)를 형성하고 있다.
도 2에 도시한 보조통로수단으로서의 역세분배판(250)은 물(20w)의 수위보다 더 높고 그 단면이 일(-)자형의 판(plate) 모양이며, 전술한 바와 같이 물/공기가 균등분배될 수 있도록 주수로(210)의 일부를 막아 보조통로(210a)를 형성하고 있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역세 균등분배시스템에 형성되는 균등분배용 통로구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균등분배용 통로구(230h)는 물/공기가 균등분배 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하부의 물 부분이 약간 더 넓도록 형성한 구조를 하고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물이 통과하는 하부는 보다 넓고 공기가 통과하는 상부는 보다 좁은 형태를 취하고 있으나 균등분배가 수행될 수 있다면 그 모양은 다양하게 형성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들에 따른 역세 균등분배시스 템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에는 니은('L', 또는 엘)자형의 역세분배판(250)이 설치된 경우를 나타내고 있으며, 이 경우에는 주수로(210)의 측벽에 기대이도록 형성할 수 있어 보다 견고하다. 뿐만아니라 역세분배판(250) 상부에 통기구(250a)를 형성하고 있다.
도 5에는 디귿('ㄷ')자형의 역세분배판(250)이 설치된 경우를 나타내고 있으며, 이 경우에도 역세분배판(250) 상부에 통기구(250a)를 형성하고 있다.
도 6에는 파이('π')자형의 역세분배판(250)이 설치된 경우를 나타내고 있으며, 이 경우에는 역세분배판(250) 하부에 통수구(250w)를 추가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도 7에는 반구형 또는 반원형의 역세분배판(250)이 설치된 경우를 나타내고 있으며, 역세분배판(250) 하부와 상부에 각각 통수구(250w)와 통기구(250a)를 형성하고 있는 경우를 보이고 있다.
본 발명의 역세 균등분배시스템(20)에 있어서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보조통로(210a)를 형성할 수 있다면 전술한 실시예 이외에도 다양한 형태의 역세분배판(250) 형성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또한 주수로(210)가 여과조(220, 또는 '여과지') 보다 낮은 경우에도 역시 적용할 수 있는 등, 본 발명의 기술개념을 바탕으로 보다 다양하게 실시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역세 균등분배시스템은, 수로와 여과지의 높낮이 에 크게 제약받지 않으며 수로내의 수위를 높이고 충분한 단면적을 확보함으로써, 역세척되는 물과 공기의 균등한 분배와 원활한 여과를 이룰 수 있다. 아울러 이러한 기술을 각종 정수시스템에 적용하도록 함으로써 여과 기술의 향상에도 기여할 수 있다.

Claims (3)

  1. 여과지 측부에 주수로(210, main flume)를 배치하고 있는 정수 설비에 있어서,
    상기 주수로(210)를 통해 유입되는 역세척용 물을 상기 주수로(210)의 측벽으로부터 분리시키기 위해, 상기 역세척용 물이 넘쳐흐를 수 있는 통로를 형성한 상태로 상기 주수로(210)의 일측 공간으로부터 이격되어 분리설치되는 보조통로수단(250)과;
    상기 보조통로수단(250)을 흘러 넘치는 물과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공기가 균등한 비율로 동시에 배출되도록 상기 주수로(210)의 측벽에 형성한 균등분배용 통로구(230h)를 포함함으로써;
    상기 주수로(210)로 유입되는 역세척용 물과 공기를 균등비율로 동시에 배출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세 균등분배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통로수단(250)은
    상기 주수로(210)의 일측 측벽으로부터 이격되어 형성되며, 상기 통로구(230h)를 통해 공기/물이 동시에 균등배출 될 수 있도록 통수구(250w)와 통기구(250a)를 형성하고 있는 판(plate) 모양의 역세분배판(25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세 균등분배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로구(230h)는
    상기 주수로(210) 보조통로의 공기/물을 동시에 균등배출시킬 수 있는 균등배출구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세 균등분배시스템.
KR1020050005080A 2005-01-19 2005-01-19 역세 균등분배시스템 KR1006983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5080A KR100698399B1 (ko) 2005-01-19 2005-01-19 역세 균등분배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5080A KR100698399B1 (ko) 2005-01-19 2005-01-19 역세 균등분배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4278A true KR20060084278A (ko) 2006-07-24
KR100698399B1 KR100698399B1 (ko) 2007-03-23

Family

ID=371743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05080A KR100698399B1 (ko) 2005-01-19 2005-01-19 역세 균등분배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9839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5149B1 (ko) * 2006-05-30 2007-07-03 (주) 디아이엔바이로 여과지의 역세척수 균등분배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04725Y1 (ko) * 1987-08-27 1990-05-31 염병호 급속 여과지의 유입수균등 배분 및 역세척수 자동배출 장치
JP3238214B2 (ja) * 1992-10-27 2001-12-10 筒中プラスチック工業株式会社 生物膜ろ過装置用集水ブロック
KR100510878B1 (ko) * 1998-11-30 2005-10-25 삼성엔지니어링 주식회사 호기성 생물 여과 시스템을 이용한 폐수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폐수처리방법
KR100291791B1 (ko) * 1999-01-08 2001-05-15 김순택 음극선관의 화소 형성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5149B1 (ko) * 2006-05-30 2007-07-03 (주) 디아이엔바이로 여과지의 역세척수 균등분배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98399B1 (ko) 2007-03-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8103537A1 (zh) 水平流砂滤池及其水处理工艺
EP1380330A4 (en) RAINWATER TREATMENT DEVICE IN MIXED SEWAGEWATER AND ASSOCIATED BACKWATER WASHING METHOD
CA1089374A (en) Apparatus for water treatment
KR100698399B1 (ko) 역세 균등분배시스템
CN210151901U (zh) 一种用于海绵城市雨水分流排放装置
CN208152137U (zh) 生物滞留池
CN202289599U (zh) 均气彗星式纤维滤池
JP5361310B2 (ja) 膜カートリッジ
KR20050090058A (ko) 모래여과조와 막분리여과조의 복합기능을 구비한 일체형자동화 정수시스템
CA2609024C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istributing gas and liquid during backwash in filter underdrain flumes using dual separation
US8333889B2 (en) Flume system for a filter system including at least one filter having a filter bed that is periodically washed with liquid, gas or a combination thereof
JP2002186965A (ja) 工場廃水処理装置
KR101451348B1 (ko) 여과 시스템
CN102302899B (zh) 一种抛弃型组合式膜组件
KR100699340B1 (ko) 이온교환수지 재생탱크에서 역세수 배출이 용이한 가변형가지관을 가진 역세관
KR20110024784A (ko) 비점오염물질 정화 장치
KR100884825B1 (ko) 수평 여과에 의한 수 처리방법 및 그 장치
KR200258668Y1 (ko) 여과지의 하부집수장치
KR100989415B1 (ko) 우수 저류시설의 비점오염원 여과장치
CN106630260A (zh) 酸性水处理的渗水过滤系统
CN211864152U (zh) 一种阶梯式废水过滤净化装置
JP5956267B2 (ja) ろ過システム
JP7182745B1 (ja) 上向流濾過設備
KR102416082B1 (ko) 섬유볼 여재를 이용하는 비점오염처리시설
KR200410182Y1 (ko) 물과 공기를 병용하는 역세척방식의 급속여과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1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1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3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