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83791A - 시설물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시설물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83791A
KR20060083791A KR1020050004731A KR20050004731A KR20060083791A KR 20060083791 A KR20060083791 A KR 20060083791A KR 1020050004731 A KR1020050004731 A KR 1020050004731A KR 20050004731 A KR20050004731 A KR 20050004731A KR 20060083791 A KR20060083791 A KR 200600837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facility
repair
analysis
vari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047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60625B1 (ko
Inventor
정영한
Original Assignee
정영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영한 filed Critical 정영한
Priority to KR10200500047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60625B1/ko
Publication of KR200600837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837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06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06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17/00Weather guards for riders; Fairings or stream-lining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J17/08Hoods protecting the rid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11/00Suppor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fastening specific devices to cycles, e.g. supports for attaching ma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설물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시설물의 연차별 수선비용의 관리뿐만 아니라 수선·교체에 소요되는 비용을 예측하고 경제적인 의사결정을 지원하는 시설물의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시설물 관리 시스템은 각종 시설물에 대한 수선 내역 정보를 포함하는 시설정보를 저장하는 시설정보 데이터베이스와, 시설물에 대한 장기수선 계획 요청에 따라 입력된 변수정보를 변수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변수정보 처리부와, 상기 시설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해당 시설물에 대한 시설정보 및 상기 변수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변수정보를 토대로 해당 시설물에 대한 장기수선 계획 정보를 예측 분석하여 제공하고 제공된 분석결과를 분석결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분석정보 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시설물, 수선비용, 수선주기, 예측, 의사결정

Description

시설물 관리 시스템{Facility management system}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시설물 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시설물 관리 시스템에 사용되는 수선 정보 내역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시설물 관리 시스템에서 제공되는 리포트의 예시 화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시설물 관리 시스템에서 제공되는 연도별 수선 적립금 선택에 따라 발생되는 우선 수선 항목 별 수선비용을 나타낸 예시 화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시설정보 데이터베이스
200 : 변수정보 데이터베이스
300 : 변수정보 처리부
310 : 변수목록 처리부
320 : 이자율 산출부
400 : 분석결과 데이터베이스
500 : 분석정보 처리부
510 : 이력 분석부
520 : 미래 예측 분석부
530 : 분석결과 처리부
540 : 수선 항목 처리부
600 : 시설정보 관리부
본 발명은 시설물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시설물의 연차별 수선비용의 관리뿐만 아니라 수선·교체에 소요되는 비용을 예측하고 경제적인 의사결정을 지원하는 시설물의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1990년대에 사회적인 요구, 경제의 성장 등 다양한 요인들에 의해서 시작된 양적위주의 주택공급 정책은 이에 수반되는 갖가지 부작용으로서 부실공사, 주거문화의 퇴보, 도시계획상의 문제 등을 야기하였다. 이에 따라 주택보급률이 100%에 이르는 현 시점에서 재고관리의 필요성이 요구되어 지고 있다.
건설교통부와 대한주택공사의 통계자료에 의하면 1998년 12월 기준으로 국내 공동주택의 총 연면적은 214,392,101㎡이며, 전체 면적을 관리 대상으로 하고 평단 월별로 발생하는 유지 관리비용을 5,000원으로 가정할 때 약 3248억원의 비용이 지출된다.
한편 외국의 연구 결과에 의하면 공동주택의 수명을 50년으로 가정하고 라이 프 사이클 동안 발생하는 비용을 보면, 건설비가 43%, 에너지 비 22%, 보수관리비 27%, 해체 처분비가 8%로 나타나 보수관리비와 에너지 비를 합계한 유지 관리비용이 49%로서 건설비를 초과하는 것으로 보고된 바 있다. 이는 장기적으로 건설비용뿐만 아니라 유지관리비용에 대한 중요성을 예시하고 있다.
우리나라와 같이 열악한 자원환경과 에너지 대외 의존도가 높은 환경에서는 효율적인 공동 주택의 유지 관리로 건축물의 장 수명화를 꾀해야 하나 20년 정도면 폐기·처분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는 선진국의 절반에도 못 미치는 수준으로써 국가 경제에 막대한 영향을 미친다.
한 연구 결과를 보면 적정한 수선이 행해져 공동 주택의 수명을 현행 20년에서 50년으로 사용 연한을 증가시킬 경우 개략적인 국가 자원의 총 이익은 연간 3조 5500억에 이른다. 이것은 기존의 비체계적인 유지 관리로 인해 막대한 금액의 비용이 낭비되고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이에 따라 유지관리업무를 효과적으로 진행하기 위해서 사후보전적인 유지관리업무에서 벗어나 예방보전적 차원의 관리 체계로의 전환이 요구되며 이를 위해 중장기적인 전략 수립을 지원할 수 있는 전산화된 시스템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시스템 개발의 필요에 따라 안출된 것으로, 시설물에 대한 유지 관리 작업을 체계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시설물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시설물의 연차별 수선비용의 관리뿐만 아니라, 수선·교체에 소요되는 비용을 예측하고 경제적인 의사결정 및 효율적인 업무 처리가 가능한 최적의 유지관리 환경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시설물 관리 시스템은 각종 시설물에 대한 수선 내역 정보를 포함하는 시설정보를 저장하는 시설정보 데이터베이스와, 시설물에 대한 장기수선 계획 요청에 따라 입력된 변수정보를 변수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변수정보 처리부와, 상기 시설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해당 시설물에 대한 시설정보 및 상기 변수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변수정보를 토대로 해당 시설물에 대한 장기수선 계획 정보를 예측 분석하여 제공하고 제공된 분석결과를 분석결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분석정보 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시설물 관리 시스템은 관리자로부터 입력된 변수정보에 따라 해당 시설물에 대한 장기적인 유지 보수 계획을 수립하여 해당 시설물을 관리하는 관리자에게 제공해 줌으로써, 관리자는 시스템에서 제공되는 자료를 토대로 해당 시설물에 대한 수선 및 이에 필요한 예산을 보다 효과적으로 집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후술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을 이러한 실시예를 통해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시설물 관리 시스템이 적용된 네트워크 시스템은 다수의 관리자 단말기와 네트워크를 통해 이들 단말기가 연결되는 시스템 관리 서버로 구현된다.
여기서 네트워크는 TCP/IP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전 세계를 연결하는 컴퓨터 통신망으로 인터넷을 사용함이 바람직하고, 인터넷과 연동되어 수험생 및 지도 교사 단말기에 접속되는 유무선 통신망을 포함하는 광의의 의미로 사용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시설물 관리 시스템의 관리 서버에 접속하는 관리자 단말기는 웹의 표준 문서인 HTML 또는 XML문서를 읽을 수 있고, HTTP를 이용하여 시스템 관리 서버(100)와 통신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인 웹 브라우저를 구비한 컴퓨터로서 구현된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의 관리자 단말기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WML문서를 읽을 수 있고, WAP을 지원할 수 있는 웹 브라우저를 구비하는 개인휴대 단말기(PDA) 등도 포함하는 총괄적인 의미로 사용된다.
이에 따라 관리자는 인터넷 접속이 가능한 단말기를 통해 시스템 관리 서버에 접속하여 시스템 관리 서버에서 필요로 하는 정보를 입력하고, 입력된 정보에 따른 해당 시설물에 대한 장기수선 계획 정보 등을 제공받는다.
즉 본 발명의 특징적인 양상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 관리 서버(100)는 웹 서비스 실시에 따른 통상적인 기능들, 예를 들면 회원 가입 및 인증 처리 등을 수행한다. 또한 관리자 단말기로부터 입력된 변수정보를 토대로 설정된 기간동안 해당 시설물에서 유지 보수비용을 산출하여 해당 관리자 단말기로 제공한다.
이하에서는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시설물 관리 시스템을 구성하는 각 구성 요소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시설물 관리 시스템은 각종 시설물에 대한 수선 내역 정보를 포함하는 시설정보를 저장하는 시설정보 데이터베이스(100)와, 시설물에 대한 장기수선 계획 요청에 따라 입력된 변수정보를 변수정보 데이터베이스(200)에 저장하는 변수정보 처리부(300) 및 입력된 변수정보와 기 저장된 시설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시설물에서 발생될 장기수선 계획 정보를 예측 분석하여 제공하는 분석정보 처리부(500)를 포함한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시설물 관리 시스템은 시설정보 데이터베이스(100)에 저장된 시설정보를 갱신 처리하는 시설정보 관리부(600)를 더 포함한다.
시설정보 데이터베이스(100)는 회원 가입한 관리자들이 관리하는 시설물에 대한 전체적인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시설정보 데이터베이스(100)에 저장되어 있는 시설정보는 시설물에 대한 수선 내역 정보를 포함하는 시설물의 이력정보를 총괄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즉 시설정보는 시설물이 시공된 다음부터 해당 시설물의 유지 보수를 위해 소요된 수선비용 및 수선한 수선 항목과, 시설물의 준공 년도나 관리주체, 시설물에 대한 건축 정보 및 시설 상태 지수 등을 포함하는 것으로 시설물들에 대한 이력 정보라 할 수 있다. 여기서 시설 상태 지수는 해당 시설의 현재 상태를 나타내는 것으로, 전문가에 의해 진단된 시설정보로 수선이 시급을 요하는 상태인 경우 상대적으로 큰 값을 가진다. 이러한 시설 상태 지수는 후술하게 될 수선 항목에 대한 우선순위를 결정하는데 사용된다.
그리고 변수정보 처리부(300)는 시설물에 대한 장기수선 계획 요청에 따라 입력된 변수정보를 변수정보 데이터베이스(200)에 저장하는 것으로, 변수목록 처리부(310)와 이자율 산출부(320)를 포함한다.
변수목록 처리부(310)는 변수정보 데이터베이스(200)에 저장되어 있는 입력 목록을 제공하고, 관리자 단말기로부터 입력된 변수정보를 변수정보 데이터베이스(200)에 저장한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변수정보 데이터베이스(200)에는, 입력 목록 및 입력된 변수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여기서 변수정보는 해당 시설물에 대한 건축정보, 예를 들어 시설물이 아파트 단지인 경우 단지 명, 소재지, 준공 년도, 아파트 동수, 근린 상가 수, 건폐율, 연면적 등의 기본 정보와 기간 별 금리 및 물가 상승률 정보와 수선 항목에 대한 수선 정보를 포함한다.
나아가 관리자 단말기로부터 입력되는 변수정보 중 건축정보는 이들 건축에 대한 상세 정보를 더 포함한다. 예를 들어 관리자 단말기로부터 건축의 동과 부속 동 입력 시 해당 동 및 부속 동에 대한 연면적, 건축 면적, 층수, 세대수, 공실 수 등의 상세 정보를 포함한다.
이러한 건축 정보는 관리자의 조작에 의해 선택될 수도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시설정보 데이터베이스(100)에 저장되어 있는 해당 시설물에 대한 건축 정보를 액세스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변수정보에는 앞으로 발생될 수선비용을 산출하는데 필요한 금융 정보 를 포함한다. 이러한 금융 정보로는 과거 시점에서 현재까지의 기간 별 은행 대출 금리와 기간 별 물가 상승률 정보를 포함한다. 나아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금융 정보는 전술한 은행 대출 금리와 물가 상승률 정보로부터 산출되는 실질 이자율 정보를 더 포함하는데, 이 실질 이자율은 변수정보 처리부의 설명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변수정보에는 시설물에 대한 수선 주기와 수선 주기에 따른 수선 율 정보를 포함하는 수선 정보를 포함한다. 즉 시설정보는 수선 항목 별 수선 방법에 대한 수선 주기와 이에 따른 수선 율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붕의 모르터 마감 공사를 하는 경우 어느 일부분에 대하여 수선을 하는 경우에는 5년 주기로 수선하게 되며 이 경우 공사에 대한 수선 율은 전체 재바름 공사에 대하여 18% 진행되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수선 정보는 본 발명에 따른 시설물 관리 시스템을 관리하는 관리업체에서 제작한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국가 공인 기관이나 한국 주택 공사 또는 건축 학회 등에서 권장하는 수선 정보를 관리자에게 제공하여 선택하도록 할 수도 있다. 나아가 이러한 수선 정보는 관리자가 임의로 선정한 수선 정보일 수도 있다.
그리고 이자율 산출부(320)는 화폐의 시간적 가치를 고려하여 앞으로 발생될 화폐의 가치를 동일 시점의 가치로 환산하기 위해 적용하는 이자율을 산출한다. 즉 이자율 산출부(320)는 전술한 바와 같이 변수정보 데이터베이스(200)에 저장되어 있는 은행의 대출 금리 정보와 물가 상승률을 모두 고려한 실질 이자율 정보를 산 출한다. 이러한 실질 이자율은 식1을 사용하여 산출할 수 있다.
Figure 112005002846919-PAT00001
여기서, i : 실질 이자율, in : 은행 대출 금리 f : 물가상승률을 나타낸다.
이에 따라 이자율 산출부(320)는 변수목록 처리부(310)에서 제공된 은행 대출 금리 및 물가 상승률로부터 장기수선 계획을 예측할 해당 시설물에 투입되는 수선비용의 산출에 필요한 실질 이자율을 산출하여 변수정보 데이터베이스(200)에 저장한다. 이와 같이 변수정보 데이터베이스(20)에 저장되는 금융 정보는 반드시 변수 목록 처리부에서 제공되는 금융 정보를 통해서 가능하지만, 관리자의 조작에 의해 임의의 조작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이자율 산출부(320)는 관리자 단말기로부터 입력된 금융 정보를 토대로 금융 정보에 따른 실질 이자율 정보를 산출하여 변수정보 데이터베이스(200)에 저장한다.
한편 분석정보 처리부(500)는 입력된 변수정보와 기 저장된 시설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시설물에서 발생될 장시 수선 계획 정보를 예측 분석하는 것으로, 이력 분석부(510)와 미래 예측 분석부(520) 및 분석결과 처리부(530)를 포함한다. 그리고 추가적으로 수선 항목 처리부(540)를 포함한다.
이력 분석부(510)는 시설정보 데이터베이스(100)에 저장된 해당 시설물에 대한 시설정보로부터 해당 시설물에 대하여 진행된 수선 항목 및 이에 따른 수선비용을 분석한다.
즉 이력 분석부(510)는 해당 시설물에 대한 연도별 수선 적립금을 산출하며 이와 동시에 해당 수선 항목에 소요된 비용인 평균 비용을 분석한다. 여기서 평균 비용이라 함은 해당 수선 항목을 수선하는데 과거에 든 비용의 기준 비용으로, 이 평균 비용을 참조하여 미래에 발생될 비용을 산정하는 수선비용으로 이용된다. 예를 들어 시설물에 대한 수선비용은 일반적으로 평당 혹은 평방미터 당으로 산출되기에, 시설정보에 저장되어 있는 수선 항목의 수선 내역에 포함되어 있는 수선비용을 수선 면적으로 나누게 되면 해당 수선 항목에 대한 기준 소요 비용이 산출된다.
그리고 미래 예측 분석부(520)는 이력 분석부(510)에서 분석된 과거 이력 정보 및 변수정보 데이터베이스(200)에 저장된 실질 이자율 및 변수정보를 기초로 하여 해당 시설물에 대한 년도별 수선 항목 및 이에 따른 수선비용을 포함하는 미래 예측 정보를 예측 분석한다.
즉 미래 예측 분석부(520)는 장기수선 계획을 객관적으로 예측하고 이를 바탕으로 경제적이고 합리적인 대안을 제시하기 위한 것으로, 기존에 시설물의 유지 관리에 이용되어 온 기법들 중 수명 주기 비용(LCC : Life Cycle Cost, 이하 "LCC"라 한다) 분석을 통해 어떤 설비, 시스템 또는 시설 등에 대하여 소유자에게 있어서 중요한 제반 비용을 등가 환산한 가치로 경제성을 평가하는 것이다.
다시 말해 LCC 분석에 있어서 미래에 발생되는 비용은 현재의 비용과 같지 않으며, 화폐에는 시간적 가치가 있다는 것이 원칙이다. 여기서 화폐의 시간 가치란 시간이 흐름에 따라 화폐의 가치가 달라지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시설물 관리 시스템의 미래 예측 분석부(520)는 LCC와 같은 경제성을 분석하기 위해 수입과 지출에서 발생되는 모든 금액을 일정한 기 준 시점의 화폐가치로 환산하여 미래 비용을 산출한다. 이 때 미래 예측 분석부(520)는 변수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실질 이자율 정보를 이용하여 미래 비용을 산출한다.
이와 같이 산출되는 미래 수선 비용은 변수정보 데이터베이스(200)에 저장된 변수정보, 예를 들면 설정된 기간 정보 및 수선 항목에 따라 해당 시설물의 유지 관리를 위해 소요되는 예상 적립금 및 연도별 수선비용과 함께 평균 예상 적립금이 산출되며, 산출된 비용은 다시 수선 항목 별로 상세하게 산출된다.
그리고 분석결과 처리부(530)는 이력 분석부(510) 및 미래 예측 분석부(520)에서 분석된 과거 이력 정보 및 미래 예측 정보를 분석결과 데이터베이스(400)에 저장하고 미래 예측 정보를 관리자 단말기로 제공한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석결과 처리부(530)는 관리자 단말기로 이력 분석부(510) 및 미래 예측 분석부(520)에서 분석된 분석결과를 제공해준다. 이와 같이 관리자 단말기로 제공되는 보고서는 관리자가 선택한 해당 시설물에 대한 시설물의 건축 정보 및 변수정보인 분석 정보가 표시된다. 그리고 이러한 건축 정보 및 변수정보를 기초로 하여 해당 시설물에 대하여 분석된 미래 예측 정보인 장기수선 적립금 내역 및 기 투입금 내역이 그래프 형태로 제공된다.
한편 본 발명의 부가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분석정보 처리부(500)는 수선 항목 처리부(540)를 더 포함한다.
수선 항목 처리부(540)는 미래 예측 분석부(520)에서 분석된 미래 예측 정보로부터 년도별 수선 항목의 우선순위를 결정하여 해당 시설물의 수선 항목에 대한 우선순위 및 이에 따른 수선비용을 산출하여 분석결과 처리부(530)로 제공한다.
즉 수선 항목 처리부(540)는 시설정보 데이터베이스(100)에 저장되어 있는 해당 시설물에 시설상태지수를 이용하여 해당 시설물의 수선 항목에 대한 우선순위를 결정한다. 그리고 결정된 순위에 따라 해당 연도에 예측 적립된 적립금 범위 내에서 수선 항목들에 소요되는 비용을 산출하여 분석결과 처리부(530)로 제공한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연도에서 수선되는 수선 항목들에 우선순위가 표시된다. 이 때 우선순위에 따른 수선비용은 관리자가 해당 연도별 수선적립금 그래프를 선택하게 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연도의 우선순위에 따른 수선 항목별 수선비용이 제공된다. 이러한 비용 산출은 전술한 미래 예측 분석부에서 수선비용을 산출하는 방법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시설물 관리 시스템은 분석정보 처리부를 통해 해당 시설물에 대한 과거 이력 정보를 분석함과 동시에 분석된 과거 이력 정보 및 저장된 변수정보를 기초로 하여 앞으로 발생될 비용을 현재의 가치로 환산하여 제공함으로써, 해당 시설물에 대한 수선 및 이에 필요한 예산을 보다 효과적으로 집행할 수 있다.
즉 전술한 LCC 분석을 통해 초기 투자비 대 유지관리비의 관점에서 최적의 시스템이나 설계안을 선정할 수 있다. 또한 주어진 예산 범위 내에서 시급을 요하는 공사를 우선순위에 따라 진행하도록 제안해 줌으로써, 시설물의 수명 및 가치를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추가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시설물 관리 시스템은 시설정보 관리부(600)를 더 포함한다. 시설정보 관리부(600)는 시설정보 데이터베이스(100)에 저장되어 있는 각 시설물에 대한 시설정보를 갱신 처리한다. 즉 시설정보 관리부(600)는 관리자 단말기로부터 입력되는 수선 결과 정보에 따라 시설정보 데이터베이스(100)에 저장되어 있는 해당 시설물에 대한 시설정보를 갱신하여 시설정보 데이터베이스(100)에 저장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시설물 관리 시스템은 시설정보 처리부를 통해 각종 시설물에 대한 시설정보가 갱신 처리됨으로써, 미래 예측 정보를 분석하는 경우 해당 시설물에 대한 미래 예측 정보를 보다 정확하게 예측 분석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상세하게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시설물 관리 시스템은 해당 시설물에 대한 과거 이력 정보를 분석함과 동시에 분석된 과거 이력 정보 및 저장된 변수정보를 기초로 하여 앞으로 발생될 비용을 현재의 가치로 환산하여 제공함으로써, 해당 시설물에 대한 수선 및 이에 필요한 예산을 보다 효과적으로 집행할 수 있다.
특히 분석정보 처리부를 통해 해당 시설물에 대하여 소요될 수선비용 적립금을 예측 분석하여 제공해 줌으로써, 시설물의 연차별 수선비용의 관리뿐만 아니라, 수선·교체에 소요되는 비용을 예측하고 경제적인 의사결정 및 효율적인 업무 처리가 가능한 최적의 유지 관리 환경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주어진 예산 범위 내에서 시급을 요하는 공사를 우선순위에 따라 진 행하도록 제안해 줌으로써, 예산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시설물의 수명 및 가치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시설정보 처리부를 통해 각종 시설물에 대한 시설정보가 갱신 처리됨으로써, 미래 예측 정보를 분석하는 경우 해당 시설물에 대한 미래 예측 정보를 보다 정확하게 예측 분석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분석된 정보에 대한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기술되었지만 당업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많은 다양하고 자명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주는 이러한 많은 변형예들을 포함하도록 기술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되어져야 한다.

Claims (5)

  1. 각종 시설물에 대한 수선 내역 정보를 포함하는 시설정보를 저장하는 시설정보 데이터베이스와;
    시설물에 대한 장기수선 계획 요청에 따라 입력된 변수정보를 변수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변수정보 처리부와;
    상기 시설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해당 시설물에 대한 시설정보 및 상기 변수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변수정보를 토대로 해당 시설물에 대한 장기수선 계획 정보를 예측 분석하여 제공하고 제공된 분석결과를 분석결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분석정보 처리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설물 관리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변수정보는 해당 시설물에 대한 건축 정보와 기간 별 금리 및 물가 상승률 정보와 수선 항목에 대한 수선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변수정보 처리부는 상기 변수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입력 목록을 제공하고 입력된 변수정보를 변수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변수목록 처리부와, 입력된 기간 별 금리 및 물가 상승률 정보로부터 실질 이자율을 산출 저장하는 이자율 산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설물 관리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정보 처리부는 :
    상기 시설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해당 시설물에 대한 시설정보로부터 해당 시설물에서 수선된 수선 항목 및 이에 따른 수선비용을 분석하는 이력 분석부와,
    상기 이력 분석부에서 분석된 과거 이력 정보 및 상기 변수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실질 이자율 및 변수정보를 기초로 하여 해당 시설물에 대한 년도별 수선 항목 및 이에 따른 수선비용을 포함하는 미래 예측 정보를 예측 분석하는 미래 예측 분석부와,
    상기 이력 분석부 및 미래 예측 분석부에서 분석된 과거 이력 정보 및 미래 예측 정보를 상기 분석결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미래 예측 정보를 제공하는 분석결과 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설물 관리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정보 처리부가 :
    상기 미래 예측 분석부에서 분석된 미래 예측 정보로부터 년도별 수선 항목의 우선순위를 결정하여 해당 시설물의 수선 항목에 대한 우선순위 및 이에 따른 수선비용을 산출하여 상기 분석결과 처리부로 제공하는 수선 항목 처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설물 관리 시스템.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수선 결과 정보에 따라 상기 시설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해당 시설물의 시설정보를 갱신 처리하는 시설정보 관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설물 관리 시스템.
KR1020050004731A 2005-01-18 2005-01-18 시설물 관리 시스템 KR1007606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4731A KR100760625B1 (ko) 2005-01-18 2005-01-18 시설물 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4731A KR100760625B1 (ko) 2005-01-18 2005-01-18 시설물 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3791A true KR20060083791A (ko) 2006-07-21
KR100760625B1 KR100760625B1 (ko) 2007-09-20

Family

ID=371740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04731A KR100760625B1 (ko) 2005-01-18 2005-01-18 시설물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60625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9405B1 (ko) * 2009-11-03 2011-07-14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교량 자산관리 시스템
KR101290533B1 (ko) * 2011-10-17 2013-08-13 (주)엘씨씨코리아 건축물 유지 관리의 우선순위 도출을 위한 정량적 시설 상태 지수 산출 방법 및 시스템
KR101358673B1 (ko) * 2013-08-30 2014-02-10 (주)엘씨씨코리아 스마트폰을 이용한 시설상태평가 방법 및 시스템
WO2015095041A1 (en) * 2013-12-16 2015-06-25 Shell Oil Company Method and system for estimating the cost of constructing a hydrocarbon fluid production and/or processing facility
KR20200027686A (ko) * 2018-09-05 2020-03-13 에스티엘 주식회사 Ict 기반의 시설물 통합 관리 시스템의 처리 방법
KR20200027685A (ko) * 2018-09-05 2020-03-13 에스티엘 주식회사 Ict 기반의 시설물 통합 관리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5247B1 (ko) 2015-02-02 2017-02-13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사회기반시설물의 성능 평가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938087B1 (ko) 2017-09-14 2019-01-11 신민철 건물관리용 단말기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1045A (ko) * 2002-07-26 2004-02-05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빌딩 시설물 관리를 위한 asp 구축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9405B1 (ko) * 2009-11-03 2011-07-14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교량 자산관리 시스템
KR101290533B1 (ko) * 2011-10-17 2013-08-13 (주)엘씨씨코리아 건축물 유지 관리의 우선순위 도출을 위한 정량적 시설 상태 지수 산출 방법 및 시스템
KR101358673B1 (ko) * 2013-08-30 2014-02-10 (주)엘씨씨코리아 스마트폰을 이용한 시설상태평가 방법 및 시스템
WO2015095041A1 (en) * 2013-12-16 2015-06-25 Shell Oil Company Method and system for estimating the cost of constructing a hydrocarbon fluid production and/or processing facility
GB2535407A (en) * 2013-12-16 2016-08-17 Shell Int Research Method and system for estimating the cost of constructing a hydrocarbon fluid production and/or processing facility
KR20200027686A (ko) * 2018-09-05 2020-03-13 에스티엘 주식회사 Ict 기반의 시설물 통합 관리 시스템의 처리 방법
KR20200027685A (ko) * 2018-09-05 2020-03-13 에스티엘 주식회사 Ict 기반의 시설물 통합 관리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60625B1 (ko) 2007-09-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60625B1 (ko) 시설물 관리 시스템
US20120221371A1 (en)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asset management optimization
US8538865B2 (en) Method of determining prior net benefit of obtaining additional risk data for insurance purposes via survey or other procedure
Grussing et al. Knowledge-based optimization of building maintenance, repair, and renovation activities to improve facility life cycle investments
Silva et al. Do we need a buildings’ inspection, diagnosis and service life prediction software?
US20080312990A1 (en) Knowledge Management System For Asset Managers
Noshadravan et al. A lifecycle cost analysis of residential buildings including natural hazard risk
KR101906954B1 (ko) 시설물별 성능 평가기준 변경이 가능한 지하구조물 자산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기록매체에 저장된 자산관리 프로그램
KR101049405B1 (ko) 교량 자산관리 시스템
Weeks et al. Facility defect and cost reduction by incorporating maintainability knowledge transfer using maintenance management system data
Weeks et al. Minimizing facility corrective maintenance: Benchmarking preventative-to-corrective maintenance ratios using maintenance data and building age in dormitories
Gruhn et al. Modeling and analysis of mobile business processes
Markiz et al. Integrating fuzzy-logic decision support with a bridge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BrIMS) at the conceptual stage of bridge design.
Grussing Optimized building component assessment planning using a value of information model
Cardoso et al. Sewer asset management planning–implementation of a structured approach in wastewater utilities
Zeydan et al. A rule-based decision support approach for site selection of Automated Teller Machines (ATMs)
Nagy et al. IMPACT: integrated multi-domain emission pathways for cities under land-use policy, Technology Adoption, Climate Change And Grid Decarbonization
KR20230013777A (ko) 시설물에 대한 장기수선 계획 정보 예측분석이 가능한 시설물관리(fm)시스템
Brown et al. Performance-based building system manufacturer selection decision framework for integration into total cost of ownership evaluations
Nocera et al. Facilitating optimal people-centered risk-informed infrastructure design in growing cities, through a holistic lens
Zhang Energy retrofit evaluation in residential construction: a life cycle thinking approach
Dahlhausen Staging Building Energy Retrofits
Pourebrahimi et al. A decision-making framework to prioritize existing buildings for adaptive reuse with a case study of school buildings in Guilan, Iran
Jones Sustainable building maintenance
Stapelberg Professional skills training in integrated asset management: how to develop and implement the essential organisational asset management func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7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5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