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83377A - Apparatus for testing durability of parts of mobile phone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testing durability of parts of mobile pho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83377A
KR20060083377A KR1020050003897A KR20050003897A KR20060083377A KR 20060083377 A KR20060083377 A KR 20060083377A KR 1020050003897 A KR1020050003897 A KR 1020050003897A KR 20050003897 A KR20050003897 A KR 20050003897A KR 20060083377 A KR20060083377 A KR 200600833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ng
assembly
control controller
present
base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0389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630327B1 (en
Inventor
이상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곤코퍼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곤코퍼레이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곤코퍼레이션
Priority to KR10200500038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30327B1/en
Publication of KR200600833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8337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303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3032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01M99/005Testing of complete machines, e.g. washing-machines or mobile phon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01M99/008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by doing functionality tes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3/32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by applying repeated or pulsating for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01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facilitating the optical investigation
    • G01N2021/0162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facilitating the optical investigation using microprocessors for control of a sequence of operations, e.g. test, powering, switching, process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0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2203/0014Type of force applied
    • G01N2203/0026Combination of several types of applied forces

Abstract

모바일장치 내장 부품의 내구성 시험장치가 개시된다.An apparatus for testing durability of mobile device embedded parts is disclosed.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른 모바일장치 내장 부품의 내구성 시험장치는 제어콘트롤러가 구비된 기저프레임 어셈블리; 상기 기저프레임 어셈블리에 장착되고 상기 제어콘트롤러와 호연결되어 제어되며, 결합슬라이더 및 상기 결합슬라이더가 선형으로 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선형모션모듈을 갖는 업-다운 어셈블리; 및 상기 결합슬라이더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어 왕복 운동하며, 상기 제어콘트롤러와 호연결되어 제어되며 주기적으로 정역(正逆) 회전하여 스윙하는 스윙플레이트를 갖는 스윙 어셈블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Durability test apparatus for embedded mobile device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base frame assembly having a control controller; An up-down assembly mounted to the base frame assembly and connected to and controlled by the control controller, the up-down assembly having a coupling slider and a linear motion module mounted linearly movable; And a swing assembly detachably mounted to the coupling slider, the swing assembly having a swing plate which is controlled by being connected to the control controller and periodically swings forward and backward.

모바일(mobile), 내구성, 스윙(swing), 서보(servo), 모터(motor), 왕복.Mobile, durable, swing, servo, motor, reciprocating.

Description

모바일장치 내장 부품의 내구성 시험장치{Apparatus for testing durability of parts of mobile phone}Apparatus for testing durability of parts of mobile phon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장치 내장 부품의 내구성 시험장치를 보이는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durability test apparatus of a mobile device built-in part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의 기저프레임 어셈블리를 보이는 사시도.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base frame assembly of Figure 1;

도 3은 도 1의 업-다운 어셈블리를 보이는 사시도.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up-down assembly of FIG. 1.

도 4는 본 발명의 결합슬라이더와 선형모션모듈의 결합관계를 보이는 부분 단면도.Figure 4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upling relationship of the coupling slider and the linear motion modul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도 1의 스윙 어셈블리를 보이는 사시도.5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wing assembly of FIG.

도 6은 본 발명의 스윙플레이트의 스윙 운동을 보이는 단면도.Figure 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wing motion of the swing plat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의 각 요부의 동작 관계를 보이는 블록도.Fig. 7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operation relationship of the main par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의 동작 프로세스를 보이는 순서도.8 is a flow chart showing the operational proces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장치 내장 부품의 내구성 시험장치를 보이는 사시도.Figure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durability test device of the mobile device built-in part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 ****

100: 시험장치 10: 기저프레임 어셈블리100: test apparatus 10: base frame assembly

11a,11b,11c,11d: 프레임 바 12: 지지발11a, 11b, 11c, and 11d: frame bar 12: support foot

20: 업-다운 어셈블리 21: 업-다운 베이스플레이트20: up-down assembly 21: up-down baseplate

21a: 결합공 22: 선형모션모듈21a: coupling hole 22: linear motion module

22b : 모듈베이스블럭 22a : 모듈무빙블럭22b: module base block 22a: module moving block

22c : 엘엠가이드 22s : 서보모터22c: LM Guide 22s: Servo Motor

22f : 보호용 커버 23: 결합슬라이더22f: Protective cover 23: Combined slider

24: 케이블베어 안내플레이트 25: 케이블베어24: Cable Bear Guide Plate 25: Cable Bear

25a: 단위 베어 30: 스윙 어셈블리25a: unit bare 30: swing assembly

31: 스윙 베이스프레임 31a: 플랫프레임31: swing base frame 31a: flat frame

31b: 측프레임 31ba,32aa,32ba: 개구부31b: Side frame 31ba, 32aa, 32ba: Opening

32a,32b: 포지션블럭 33: 스윙플레이트32a, 32b: position block 33: swing plate

33a,33b: 안착부 34: 스윙서보모터33a, 33b: seating part 34: swing servo motor

34a: 스윙서보모터 회전축 35: 샤프트34a: shaft of swing servo motor 35: shaft

36: 커플링 80: 제어pc36: coupling 80: control pc

90: 제어콘트롤러 θ: 스윙각(swing angle)90: control controller θ: swing angle

본 발명은 모바일장치 내장 부품의 내구성 시험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휴대용 무선 전화기의 단말기에 내장되는 부품, 예컨대 메인보드, 메모리 또는 하드디스크 등에 오랜 시간동안 반복적인 하중을 가하여 그 내구성을 시험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진동에 대한 내구성을 시험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for testing durability of mobile device embedded parts.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for testing the durability by applying a repetitive load for a long time to a component, such as a main board, a memory or a hard disk, which is embedded in a terminal of a portable radiotelephone. In particular, it relates to an apparatus for testing the durability against vibration.

휴대전화는 가입자가 단말기를 이용하여 비교적 근거리에 위치하는 발신기에 무선 접속을 하는 아날로그 또는 디지털 단파 전송의 한 형태이다. 사용자가 이동함에 따라 그 사용자의 호는 최인근의 안테나에 송, 수신되며, 무선 네트웍에 접속된 기지국으로 송신된다.A cell phone is a form of analog or digital shortwave transmission in which a subscriber uses a terminal to make a wireless connection to a relatively short range transmitter. As the user moves, the user's call is sent to and received from the antenna closest to him, and sent to a base station connected to the wireless network.

근래에는 휴대전화 단말기의 공급과 수요가 폭증함에 따라 휴대전화 단말기의 주목적 외에도 디지털 촬영 또는 무선 콘텐츠 제공 등 그 기능성이 부각되면서 다양한 기능을 갖는 휴대전화 단말기가 보급되고 있다. 최초 휴대전화 단말기가 보급될 당시는 단말기의 소형화에 초점을 두었으나, 기계장치 자체의 소형화에는 한계가 있고, 또한 근래에 휴대전화 단말기가 다기능화됨에 따라 단말기를 구성하는 내부 부품이 증가되고 있다. 그러나 휴대전화 단말기를 구성하는 내부 부품은 외부 충격 등의 하중에 민감한 전자기기이므로 단말기의 오동작 또는 고장과 직결될 수 있다. 이점에 있어서, 점차 다양화되고 수량이 증가되고 있는 단말기 내부 부품의 내구성이 간과될 수 없다.In recent years, as the supply and demand of mobile phone terminals have soared, mobile phone terminals having various functions have been widely used as their functionality such as digital photographing or wireless content provision as well as the main purpose of mobile phone terminals. When the first mobile phone terminal was spread, the focus was on miniaturization of the terminal. However, the miniaturization of the mechanical device itself is limited, and as the mobile phone terminal becomes more multifunctional in recent years, the internal parts constituting the terminal are increasing. However, since the internal parts constituting the mobile phone terminal are electronic devices sensitive to loads such as external impacts, they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malfunction or failure of the terminal. In this regard, the durability of the internal components of the terminal, which is gradually diversified and increased in quantity, cannot be overlooked.

등록특허 제213105호는 핸드폰 검사 장치에 관한 것으로, 종래에 수작업으로 이루어지던 핸드폰 검사를 기계장치를 이용하여 자동화한 것에 특징이 있다. 그러나 위 등록특허 제213105호는 핸드폰의 전기적 성능을 검사하기 위한 것이다. 즉, 핸드폰 완제품을 검사하기 위한 것이므로 부품의 내구성 검사와는 무관하다.Patent No. 213105 relates to a mobile phone inspection device, and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mobile phone inspection, which was conventionally performed by hand, by using a mechanical device. However, the registered patent No. 213105 is for checking the electrical performance of the mobile phone. In other words, because it is to inspect the finished product of the mobile phone, it is irrelevant to the durability test of the parts.

공개특허 제2001-109588호는 접촉핀의 위치를 3차원적으로 조정 가능하게 하 고, 전지팩을 교체하면서 전지팩의 전극을 향하여 접촉핀을 짧게 왕복동시키면서 전지팩의 성능을 시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이한 종류의 여러 전지팩들을 간편하면서도 신속, 정확하게 시험할 수 있는 휴대폰용 2차 전지팩의 시험용 지그를 제안한다. 그러나 위 공개특허 제2001-109588호는 휴대폰 전지팩을 시험하기 위한 것으로, 접촉핀의 동작 메커니즘이 단순하고 지그를 구성하기 위한 각 부를 이루는 기술구성이 매우 많다. 이는 비용의 증가와 오동작율을 높이는 원인이다.Patent Publication No. 2001-109588 allows the position of the contact pin to be adjusted in three dimensions, and by replacing the battery pack to test the performance of the battery pack while briefly reciprocating the contact pin toward the electrode of the battery pack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 test jig for a secondary battery pack for a mobile phone, which can test various battery packs of different types simply, quickly and accurately. However, the above Patent Publication No. 2001-109588 is for testing a mobile phone battery pack, the operation mechanism of the contact pin is simple and there are a lot of technical configurations constituting each part to constitute a jig. This is the cause of the increase of the cost and the increase of the malfunction rate.

공개특허 제2004-42549호는 휴대폰의 사용이 가능한 상태를 검사하는 검사공정을 자동화 검사 공정 시스템을 통해서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다. 상세하게는, 이 공개특허 제2004-42549호는 휴대폰에 대한 불량 검사를 일련의 자동화 검사 공정을 통해서 정확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공정 시간을 단축하고 균질한 품질의 휴대폰을 얻을 수 있도록 한 휴대폰의 자동 검사 공정 시스템을 제안한다. 그러나 이 공개특허 제2004-42549호는 위 등록특허 제213105호와 마찬가지로 조립 완료된 휴대폰의 성능을 검사하기 위한 것이므로, 모바일장치를 이루는 내부 구성 부품의 불량 여부는 확인할 수 없다.Patent Publication No. 2004-42549 is to make the inspection process to check the available state of the mobile phone through an automated inspection process system. Specifically, this Patent Publication No. 2004-42549 discloses a mobile phone that enables a mobile phone to shorten the process time and obtain a homogeneous mobile phone by performing defect inspection on the mobile phone accurately and quickly through a series of automated inspection processes. We propose an automatic inspection process system. However, since the Patent Publication No. 2004-42549 is for checking the performance of the assembled cellular phone as in the Patent Registration No. 213105, it is not possible to confirm whether or not the internal components of the mobile device is defective.

모바일장치의 오동작 또는 고장은 본체 케이스의 변형 또는 파손보다는 충격 등에 따른 내부 구성부품의 파손 등과 직결되므로, 조립 완료된 모바일장치를 검사하기보다는 조립 공정 이전에 모바일장치의 각 부를 이루는 구성부품의 내구성을 검사할 수 있는 장치가 요구된다.Since malfunction or failure of the mobile device is directly related to damage of internal components due to impact, etc., rather than deformation or breakage of the main body case, the durability of each component of the mobile device is examined prior to the assembly process, rather than inspection of the assembled mobile device. A device that can do that is required.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종래의 기술로는 해결하기 곤란하거 나 불가능하였던 문제점들을 감안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광의적인 목적은 전혀 새롭거나 또는 공지/공용의 기술에 비하여 보다 적은 구성으로도 향상된 기능을 갖는 모바일장치 내장 부품의 내구성 시험장치를 제공하고자 함이다. 즉, 본 발명은 보다 간단한 구성을 통하여 모바일장치 내부 부품의 내구성을 시험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problems that are difficult or impossible to solve by the prior art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and the broad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ntirely new or known / common technology Compared to this, it is to provide a durability test apparatus for a mobile device embedded component having an improved function with a smaller configuration. Tha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evice that can test the durability of the internal parts of the mobile device through a simpler configuration.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특히 사용자의 보행, 속보 또는 구보에 응하여 발생되는 외부하중에 대한 모바일장치 내부 부품의 내구성을 시험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evice that can test the durability of the internal components of a mobile device against external loads, in particular in response to walking, breaking or breaking of a user.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종래의 수작업으로 이루어지던 검사에 비하여 전 공정을 자동화함으로써 사용이 편리하고 검사 정확도가 향상될 수 있는 모바일장치 내장 부품의 내구성 시험장치를 제공하고자 함이다.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urability test apparatus for a mobile device built-in component that can be easily used and inspection accuracy can be improved by automating the entire process as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manual inspection.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된 목적에 한정되지는 아니한다. 언급되지 아니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아래에 기재된 내용과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목적에 해당된다 할 것이다.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object. Other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are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and accompanying drawings, and this also corresponds to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술구성은 다음과 같다.Technical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s follows.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장치 내장 부품의 내구성 시험장치는 크게 제어콘트롤러가 구비된 기저프레임 어셈블리; 상기 기저프레임 어셈블리에 장착되고 상기 제어콘트롤러와 호연결되어 제어되며, 결합슬라이더 및 상기 결합슬라이더가 선형으 로 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선형모션모듈을 갖는 업-다운 어셈블리; 및 상기 결합슬라이더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어 왕복 운동하며, 상기 제어콘트롤러와 호연결되어 제어되며 주기적으로 정역(正逆) 회전하여 스윙하는 스윙플레이트를 갖는 스윙 어셈블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Durability test apparatus of the mobile device embedded par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largely provided with a base frame assembly having a control controller; An up-down assembly mounted to the base frame assembly and connected to and controlled by the control controller, the up-down assembly having a coupling slider and a linear motion module mounted linearly movable; And a swing assembly detachably mounted to the coupling slider, the swing assembly having a swing plate which is controlled by being connected to the control controller and periodically swings forward and backward.

본 발명은 상기 제어콘트롤러와 호연결되어 상기 업-다운 어셈블리 및 상기 스윙 어셈블리의 운동을 제어하는 제어PC;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comprise a control PC connected to the control controller to control the movement of the up-down assembly and the swing assembly.

다른 일 예로서, 본 발명의 상기 업-다운 어셈블리는, 일면은 상기 기저프레임 어셈블리에 장착되고 타면에는 상기 결합슬라이더가 결합되는 선형모션모듈이 장착된 업-다운 베이스플레이트; 상기 업-다운 베이스플레이트에 결합되는 케이블베어 안내플레이트; 및 상기 케이블베어 안내플레이트와 업-다운 베이스플레이트에 고정되며, 상기 제어콘트롤러와 연결되는 케이블을 수납하는 케이블베어;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the up-down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up-down base plate mounted with a linear motion module having one side mounted to the base frame assembly and the other side coupled to the coupling slider; A cable bear guide plate coupled to the up-down base plate; And a cable bearing fixed to the cable bearing guide plate and the up-down base plate and accommodating a cable connected to the control controller.

또다른 일 예로서, 본 발명의 상기 스윙 어셈블리는, 상기 결합슬라이더에 장착되며 일부에는 포지션블럭이 형성된 스윙 베이스프레임; 상기 포지션블럭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샤프트; 상기 샤프트의 일단과 축결합되고, 상기 스윙베이스프레임에 장착되는 스윙서보모터; 및 상기 샤프트에 고정되고 정역 회전하여 스윙하는 스윙플레이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the swing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a swing base frame is mounted to the coupling slider and a position block is formed in part; A shaft rotatably mounted to the position block; A swing servo motor axially coupled to one end of the shaft and mounted to the swing base frame; And a swing plate fixed to the shaft and swinging forward and backward.

그리고, 상기 스윙 베이스프레임이 상기 결합슬라이더에 장착됨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샤프트가 지면에 수직하거나 또는 지면과 평행하도록 장착된다.In addition, when the swing base frame is mounted to the coupling slider, the shaft is preferably mounted to be perpendicular to or parallel to the ground.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 의 요지를 흐리는 공지/공용의 기술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detailed descriptions of well-known / public technologies that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omitted.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을 상술하기 위하여 참조되는 것이므로, 도면에 도시되고 이에 의해서 설명되는 본 발명의 구성과 작용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실시예로써 설명되는 것이다. 따라서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와 구성 및 작용이 한정/제한되지는 아니할 것이다.In addition, since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referred to for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n detail,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and described by the drawings will be described by at least one embodiment. Accordingly, the scop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not be limited / limited.

그리고, 본 발명을 이루는 각 부를 지칭하기 위하여 제시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본 발명이 속한 업계의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In addition, terms suggested to refer to each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according to customs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아울러, 본 발명의 각 부를 이루는 동일한 구성요소에는 모든 도면에 걸쳐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가 사용된다.In additio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throughout the drawings for the same components that form each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장치 내장 부품의 내구성 시험장치를 보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기저프레임 어셈블리를 보이는 사시도, 도 3은 도 1의 업-다운 어셈블리를 보이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결합슬라이더와 선형모션모듈의 결합관계를 보이는 부분 단면도 및 도 5는 도 1의 스윙 어셈블리를 보이는 사시도로,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장치 내장 부품의 내구성 시험장치(100)는 크게 기저프레임 어셈블리(10), 업-다운 어셈블리(20) 및 스윙 어셈블리(30)로 이루어진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durability test apparatus of a mobile device embedded compon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base frame assembly of Figure 1,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up-down assembly of Figure 1, Figure 4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upling relationship of the coupling slider and the linear motion modul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wing assembly of Figure 1, the durability test apparatus 100 of the mobile device built-in compon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large It consists of a base frame assembly 10, an up-down assembly 20 and a swing assembly 30.

기저프레임 어셈블리(10)는 수개의 프레임 플레이트의 결합으로써 이루어진다. 이를 위하여 축방향으로 연속된 홈(22a)을 갖는 수개의 프레임 바를 상호 결합하되, 후방으로는 제어콘트롤러(90)가 수납될 수 있도록 장방형의 수납공간을 형성 한다. 이 수납공간은 수개의 프레임 바에 프레임 플레이트를 결합함으로써 형성된다. 수납공간의 전면을 형성하는 한 쌍의 수직한 프레임 바(11a, 11b)는 수납공간의 상부로부터 상향으로 충분히 높게 연장된다. 그리고 기저프레임 어셈블리(10)의 저면부를 이루는 프레임 바에는 사방으로 탄성 재질의 지지발(12)을 장착한다. 이 지지발(12)은 바람직하게는 고무소재로 이루어진 탄성체로써, 기저프레임 어셈블리(10)를 지지하면서 그 하중을 지면에 전달한다.The baseframe assembly 10 consists of a combination of several frame plates. To this end, a plurality of frame bars having grooves 22a continuous in the axial direction are coupled to each other, and a rectangular storage space is formed at the rear to accommodate the control controller 90. This storage space is formed by joining a frame plate to several frame bars. The pair of vertical frame bars 11a and 11b forming the front of the storage space extend sufficiently high from the top of the storage space. And the support bar 12 of the elastic material is mounted on the frame bar forming the bottom portion of the base frame assembly 10 in all directions. The support foot 12 is preferably an elastic body made of a rubber material, and transfers its load to the ground while supporting the base frame assembly 10.

기저프레임 어셈블리(10)의 수납공간에는 본 발명의 각 부를 이루는 기술요소들을 제어하거나 또는 전원공급을 위한 전원장치 등, 여러 기기들이 수납되는데, 편의상 첨부된 도면에는 제어콘트롤러(90)만이 도시되었다.The storage space of the base frame assembly 10 is housed in a variety of devices, such as a power supply for controlling or supplying the technical elements constituting each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convenience, only the control controller 90 is show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제어콘트롤러(90)는 후술되는 스윙서보모터(34) 등을 모션제어를 위하여 구비되며 본 발명의 전체 구동을 제어한다. 이 제어콘트롤러(90)는 모션 컨트롤러(motion controller)로써, 구동모터를 원하는 속도와 방향으로 구동하기 위한 명령을 전달한다. 이 제어콘트롤러(90)로써 서보모터나 스테핑 모터의 위치를 결정하며, 각 모터의 속도/위치를 보간할 수 있다. 예컨대 원호, 직선, 비트패턴 운동시 연속, 가감속 드라이브에서 보간이 가능하고, 각 축의 선속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이 제어콘트롤러(90)는 윈도우즈(windows) 장착 PC를 위한 라이브러리를 포함할 수 있으며, PCI 형식으로써 PC에 장착되어 각 기기를 제어할 수도 있다.The control controller 90 is equipped with a swing servo motor 34 and the like to be described later for motion control and controls the overall driving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controller 90 is a motion controller and transmits a command for driving the driving motor at a desired speed and direction. The control controller 90 determines the position of the servomotor or stepping motor, and interpolates the speed / position of each motor. For example, interpolation is possible in continuous, acceleration and deceleration drive during circular arc, straight line, and bit pattern movement, and the line speed of each axis can be kept constant. In addition, the control controller 90 may include a library for a Windows-equipped PC, and may be mounted on a PC in a PCI format to control each device.

보다 바람직하게는 이 제어콘트롤러(90)는 PC 기반의 다축 모션 컨트롤러가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Parker Automation사의 6K2 Controller을 이용하면, 2축 서보콘트롤(2-axis Servo Control), PC와의 이더넷(Ethernet) 통신, 62.5us/축의 Servo Update rate 및 최대 10개 태스크(task)까지의 멀티태스킹(Multi-tasking)이 가능하다. 또한, 이 외에도 다축 제어콘트롤러로써 이 제어콘트롤러(90)는 하나의 보드로 수개의 축을 독립적으로 제어할 수 있고 동시동작도 가능하며, 외부신호에 의하여 드라이브를 조작할 수 있고 원점 복귀가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More preferably, the control controller 90 may be a PC-based multi-axis motion controller. For example, Parker Automation's 6K2 Controller enables 2-axis Servo Control, Ethernet communication with a PC, Servo Update rate of 62.5us / axis, and multitasking up to 10 tasks. Multi-tasking is possible. In addition, as a multi-axis control controller, this control controller 90 can control several axes independently with a single board and can operate simultaneously, and can operate the drive by external signals and automatically return to the origin. Can be.

이 제어콘트롤러(90)와 호연결되는 본 발명의 각 기술구성들은 이 제어콘트롤러(90)를 통하여 제어 신호를 송, 수신함으로써 제어된다. 또한, 이 제어콘트롤러(90)는 별도의 제어pc를 통하여 제어 명령을 송수신할 수 있다.Each technical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onnected to the control controller 90 is controlled by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control signal through the control controller 90. In addition, the control controller 90 can transmit and receive control commands through a separate control pc.

제어pc는 데스크탑 수준의 PC이거나 또는 범용 워크스테이션으로 구비될 수 있고, 이 제어pc와 제어콘트롤러(90)의 호연결은 주지/공지의 기술에 의할 수 있다. 예컨대 시리얼 포트(serial port), 유에스비(USB) 또는 이더넷 카드(Ethernet card)를 통하여 호연결될 수 있다.The control pc may be a desktop level PC or may be provided as a general-purpose workstation, and the call connection between the control pc and the control controller 90 may be based on known / known techniques. For example, the call may be connected through a serial port, USB, or Ethernet card.

업-다운 어셈블리(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업-다운 베이스플레이트(21), 선형모션모듈(22), 결합슬라이더(23), 케이블베어 안내플레이트(24) 및 케이블베어(25)를 갖는다.The up-down assembly 20 includes an up-down base plate 21, a linear motion module 22, a coupling slider 23, a cable bearing guide plate 24 and a cable bearing 25 as shown in FIG. 3. Has

업-다운 베이스플레이트(21)는 기저프레임 어셈블리(10)의 수납공간 정면에 상향으로 연장된 프레임 바(11a, 11b) 및 이들과 조립된 프레임 바(11c, 11d)에 결합되는 평판 플레이트이며, 이 결합을 위하여 수개의 결합공(21a)이 천공되어 있다. 업-다운 베이스플레이트(21)는 도시된 바와 같이 장방형을 이루며, 이에 대응하여 이 업-다운 베이스플레이트(21)의 후면에 결합되는 프레임 바(11a,11b,11c,11d)는 장방형을 이루며 조립되어 있다.The up-down base plate 21 is a flat plate coupled to the frame bars 11a and 11b extending upwardly in front of the storage space of the base frame assembly 10 and the frame bars 11c and 11d assembled thereto. Several coupling holes 21a are drilled for this coupling. The up-down base plate 21 is rectangular as shown, and correspondingly, the frame bars 11a, 11b, 11c, and 11d coupl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up-down base plate 21 are assembled in a rectangular shape. It is.

업-다운 베이스플레이트(21)의 정면에는 결합슬라이더(23)의 선형 상하운동을 안내하기 위하여 상하 방향으로 축을 갖는 선형모션모듈(22)이 결합된다. 이 선형모션모듈(22)은 모듈베이스블럭(22b)과 모듈무빙블럭(22a)을 갖는다. 이 모듈베이스블럭(22b)의 일측에 형성된 두 엘엠가이드(22c)에 모듈무빙블럭(22a)이 활주 가능하게 장착된다. 모듈무빙블럭(22a)의 중앙부에는 서보모터코일(22d)이 형성되어 있으며, 모듈베이스블럭(22b)에는 이에 대응하는 서보모터트랙(22c)이 형성되어 있다. 이 서보모터트랙(22c)과 서보모터코일(22d)로써 서보모터(22s)가 이루어진다.The linear motion module 22 having an axis in the vertical direction is coupled to the front of the up-down base plate 21 to guide the linear vertical movement of the coupling slider 23. The linear motion module 22 has a module base block 22b and a module moving block 22a. The module moving block 22a is slidably mounted to two LM guides 22c formed on one side of the module base block 22b. The servo motor coil 22d is formed in the center part of the module moving block 22a, and the servo motor track 22c corresponding to the module base block 22b is formed. The servomotor 22s is formed by the servomotor track 22c and the servomotor coil 22d.

이상과 같이 이루어지는 선형모션모듈(22)의 위 모듈무빙블럭(22a)에 결합슬라이더(23)가 장착됨으로써 결합슬라이더(23)가 선형모션모듈(22)을 따라 선형 운동된다. 여기서, 미설명 부호 “22f”는 모듈무빙블럭(22a)과 결합슬라이더(23) 사이에 개재되는 보호용 커버이다.The coupling slider 23 is linearly moved along the linear motion module 22 by mounting the coupling slider 23 on the module moving block 22a of the linear motion module 22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Here, reference numeral 22f denotes a protective cover interposed between the module moving block 22a and the coupling slider 23.

이 서보모터(servo motor)(22s)는 후술되는 스윙서보모터(swing servo motor)(34)와 마찬가지로 서보기구의 조작부, 즉 제어콘트롤러(90)로부터 수신하는 제어신호(制御信號)에 의해 부하(負荷)를 구동한다. 주지의 서보모터는 전원에 따라 직류 서보모터와 교류 서보모터로 분류되며, 동력원의 종류에 따라 전기식, 공기식, 유압식으로 분류되는데, 이 서보모터들은 공히 정지, 시동, 역전(逆轉)의 3동작을 반복적으로 수행하므로 동작의 변화가 빨라지도록 고려되어 있다. 본 발명의 서보모터는 특정한 어느 하나의 서보모터에 한정되지는 아니하나, 통상의 전기식 서보모터를 채택하는 것이 무난하다. 또한, 도면에 도시되지는 아니하였으나 본 발명은 서보모터(22s)(34)들이 제어신호에 따라 운전되므로 제어콘트롤러(90)로부터 수신하는 제어신호를 증폭하여 각 서보모터(22s)(34)를 구동하기 위한 서보증폭기(미도시)가 구비되어 있다.The servo motor 22s is loaded by a control signal received from an operation unit of the servo mechanism, that is, the control controller 90, similarly to the swing servo motor 34 described later. I) drive. Well-known servo motors are classified into DC servo motors and AC servo motors according to the power source, and are classified into electric, pneumatic, and hydraulic motors according to the type of power source. Since it is repeatedly performed, the change of operation is considered to be faster. The servomoto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any one servomotor, but it is safe to adopt a conventional electric servomotor. 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present invention operates the servo motors 22s and 34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thereby amplifying the control signal received from the control controller 90 to control each servomotor 22s and 34. A servo amplifier (not shown) for driving is provided.

케이블베어 안내플레이트(24)는 길이방향으로 단면이 일정한 “¬”형상을 갖는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케이블베어 안내플레이트(24)는 그 측면부(24a)가 업-다운 베이스플레이트(21)에 결합되며, 이 케이블베어 안내플레이트(24)와 업-다운 베이스플레이트(21)에 케이블베어(cable veyor)(25)가 결합된다. 이 케이블베어(25)는 스윙서보모터(34) 등의 각 부와 호연결되는 여러 케이블들(미도시)을 가지런히 취합하여 수납하기 위한 것이다. 즉, 이 케이블베어(25)는 본 발명의 시험장치(100)가 구동될 시 여러 분산된 케이블들이 구동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이 케이블베어(25)는 여러 단위(unit) 베어(25a)들이 공히 상호 힌지(hinge) 결합되어 이루어짐으로써 그 형상이 적절하게 가변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The cable bearer guide plate 24 has a "¬" shape with a constant cross sec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s shown in FIG. 3, the cable bear guide plate 24 has a side portion 24a coupled to the up-down base plate 21, and the cable bear guide plate 24 and the up-down base plate ( A cable veyor 25 is coupled to the cable 21. The cable bear 25 is for collecting and storing various cables (not shown) connected to each part of the swing servo motor 34 and the like. In other words, the cable bearing 25 is intended to prevent the various distributed cables from disturbing the driving when the test apparatus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riven. The cable bear 25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unit bears 25a are hinged to each other so that the shape thereof can be appropriately changed.

스윙 어셈블리(3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윙 베이스프레임(31), 포지션블럭(32a,32b), 샤프트(35), 스윙플레이트(33) 및 스윙서보모터(3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swing assembly 30 includes a swing base frame 31, position blocks 32a and 32b, a shaft 35, a swing plate 33, and a swing servo motor 34 as shown in FIG. 5.

스윙 베이스프레임(31)은 플랫프레임(31a)과 이 플랫프레임(31a)의 측면부(24a)에 이와 직교되도록 돌출된 측프레임(31b)으로 이루어진다. 이 플랫프레임(31a)이 위 결합슬라이더(23)에 결합됨으로써 스윙 어셈블리(30)가 결합슬라이더(23)에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랫프레임(31a)의 축 이 지면과 수직하게 상하 방향으로 결합된다.The swing base frame 31 is composed of a flat frame 31a and a side frame 31b protruding orthogonal to the side portion 24a of the flat frame 31a. The flat frame 31a is coupled to the coupling slider 23 so that the swing assembly 30 is coupled to the coupling slider 23. In this embodiment, as shown in Figure 1, the axis of the flat frame 31a is coupled in the vertical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ground.

플랫프레임(31a)의 상부에는 한 쌍의 포지션블럭(32a,32b)이 결합된다. 이 포지션블럭(32a,32b)은 일직선상에서 상호 마주보도록 결합되며, 공히 샤프트(35)가 통과될 수 있도록 개구부(32aa,32ba)를 갖는다. 그리고 이 개구부(32aa,32ba)들의 내측에는 샤프트(35)의 원활한 회전을 위하여 베어링(bearing)(미도시)이 내설되어 있다.A pair of position blocks 32a and 32b are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flat frame 31a. The position blocks 32a and 32b are coupled to face each other in a straight line, and have openings 32aa and 32ba to allow the shaft 35 to pass through. Bearings (not shown) are installed inside the openings 32aa and 32ba to smoothly rotate the shaft 35.

측프레임(31b)에는 스윙서보모터(34)가 결합 고정되며, 이 스윙서보모터(34)의 회전축(34a)과 위 샤프트(35)와의 축결합을 위하여 측프레임(31b)은 스윙서보모터(34)의 회전축(34a)이 통과될 수 있도록 개구부(31ba)를 갖는다. 그리고 이 스윙서보모터(34)의 회전축(34a)과 샤프트(35)가 커플링(36)으로써 축결합된다. 스윙서보모터(34)는 제어콘트롤러(90)에 의해 제어되면서 도 6과 같이 일정한 스윙각(θ)으로 정역(正逆) 회전한다. 스윙서보모터(34)의 회전축(34a)과 결합된 샤프트(35)는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포지션블럭(32a,32b)에 의해 지지되며, 이 포지션블럭(32a,32b) 사이에서 스윙플레이트(33)가 샤프트(35)에 고정 결합된다. 그리고 스윙플레이트(33)의 상부에는 핸드폰 내장 부품이 고정될 수 있는 한 쌍의 안착부(33a,33b)가 소정 깊이 인입되어 있다.The swing servo motor 34 is fixedly coupled to the side frame 31b, and the side frame 31b is a swing servo motor for shaft coupling between the rotary shaft 34a of the swing servo motor 34 and the upper shaft 35. It has an opening 31ba so that the rotating shaft 34a of 34 may pass. The rotary shaft 34a of the swing servo motor 34 and the shaft 35 are axially coupled by the coupling 36. The swing servo motor 34 is controlled by the control controller 90 and rotates forward and backward at a constant swing angle θ as shown in FIG. 6. The shaft 35 coupled with the rotational shaft 34a of the swing servo motor 34 is supported by a pair of position blocks 32a and 32b as shown, and swing plates between the position blocks 32a and 32b. 33 is fixedly coupled to the shaft 35. And the upper part of the swing plate 33 has a pair of seating portions (33a, 33b) that can be fixed to the cell phone embedded parts are inserted into a predetermined depth.

도 7은 본 발명의 각 요부의 동작 관계를 보이는 블록도로, 본 발명은 제어콘트롤러(90)가 제어pc(80)로부터 제어 명령을 수신하고, 이를 서보모터(22c,22d)와 스윙서보모터(34)에 송신하여 이들의 동작을 제어한다.7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operation relationship of the main par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controller 90 receives a control command from the control pc 80, and the servo motors (22c, 22d) and the swing servo motor ( 34) to control their operation.

도 8은 본 발명의 동작 프로세스를 보이는 순서도로,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이 동작한다.8 is a flow chart showing the operation proces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operates as follows.

전원이 공급되면(s10), 사용자로부터 제어pc(80) 및 제어콘트롤러(90)를 통하여 서보모터(22s)와 스윙서보모터(34)의 원점이 지정된다(s20). 이 원점은 각 기기의 동작을 위한 좌표값으로서, 이 원점은 예컨대 각각 서보모터(22s)는 왕복운동의 원점, 스윙서보모터(34)는 스윙운동의 원점에 해당된다. 원점 지정과 함께 각 부의 하드웨어적 이상을 점검하고(s40), 이를 원하는 원점이 지정될 때 까지 반복(looping)함으로써 최적 원점을 찾는다(s30).When the power is supplied (s10), the origin of the servo motor 22s and the swing servo motor 34 is specified through the control pc 80 and the control controller 90 from the user (s20). This origin is a coordinate value for the operation of each device. For example, the origin corresponds to the origin of the reciprocating motion of the servo motor 22s and the origin of the swing servo motor 34, respectively. In addition to the origin designation, the hardware abnormality of each part is checked (s40), and the optimal origin is found by looping it until the desired origin is specified (s30).

스윙플레이트(33)에 휴대전화 단말기의 내부 부품을 고정하고, 동작 프로그램을 설정한다(s50). 예컨대, 서보모터(22s)는 선형 운동속도와 운동길이를 설정하고, 스윙서보모터(34)는 스윙속도와 스윙각(swing angle)(θ)을 설정한다. 이러한 작동 설정 정보를 제어pc(80)를 통하여 제어콘트롤러(90)에 입력하고, 제어콘트롤러(90)는 이를 기준정보로 저장한다. 이 기준정보를 각 모터에 전달하고 가동을 개시한다(s60). 여기서, 서보모터(22s)의 선형 운동속도와 스윙서보모터(34)의 각속도는 바람직하게는 2 내지 3 m/sec로 설정함이 바람직하다. 이는 사용자가 포켓 내부에 휴대전화 단말기를 수납하고 속보(速步) 또는 구보(驅步)할 때의 속도를 고려한 것이다. 이 설정 속도는 물론 가변될 수 있다.The internal parts of the mobile phone terminal are fixed to the swing plate 33, and an operation program is set (s50). For example, the servo motor 22s sets the linear movement speed and the movement length, and the swing servo motor 34 sets the swing speed and the swing angle θ. The operation setting information is input to the control controller 90 through the control pc 80, and the control controller 90 stores this as reference information. The reference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each motor and operation starts (s60). Here, the linear motion speed of the servo motor 22s and the angular speed of the swing servo motor 34 are preferably set to 2 to 3 m / sec. This takes into account the speed when the user stores and breaks or doubles the cellular phone terminal inside the pocket. This set speed can of course vary.

이상과 같이 설정되어 선형 운동하는 서보모터(22s)와 스윙 운동하는 스윙서보모터(34)에 의해 스윙플레이트(33)에 장착된 부품은 왕복 선형운동에 의한 축방향 하중과 왕복 스윙운동에 의한 반복적인 모멘트(Moment) 하중을 받는다. 본 발명은 이러한 동작으로부터 상기 부품의 물리적인 내구성을 시험하는 것으로, 휴대전 화 단말기의 축하중과 모멘트에 의한 내부 응력을 동시에 측정함으로써 물리적인 내구성을 간편하게 점검할 수 있다.The components mounted on the swing plate 33 by the servo motor 22s linearly moving and the swing servo motor 34 swinging are set as described above, and the components are repeatedly loaded by the axial load and the reciprocating swing motion. It receives a moment load. The present invention is to test the physical durability of the component from this operation, it is possible to easily check the physical durability by simultaneously measuring the internal stress due to the moment of celebration of the mobile phone terminal.

이상으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로써 제시되는 것으로,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그 작용이 한정되지는 아니할 것이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re presented as at least one embodiment, whereby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not be limited.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장치 내장 부품의 내구성 시험장치를 보이는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실시예는 위 서술된 실시예의 경우와 동일하나, 단, 스윙 어셈블리의 장착방향을 달리한 것이다. 즉 도시된 실시예는 스윙 어셈블리를 지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결합슬라이더에 장착한 예를 보인다. 이 실시예에 따르면 축방향 응력은 최초 기술된 실시예와는 달리 좌, 우 방향이며, 스윙플레이트는 상, 하 방향으로 정역 회전하여 스윙 운동한다.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durability test apparatus of the mobile device built-in part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this embodiment is the same as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except that the mounting direction of the swing assembly is different. That is, the illustrated embodiment shows an example in which the swing assembly is mounted on the coupling slider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ground.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the axial stress is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unlike the first described embodiment, and the swing plate swings forward and backward in the up and down directions.

이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장치 내장 부품의 내구성 시험장치에 관하여 설시하였으나, 이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실시예로써 제시되는 것이며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구성 및 작용이 한정되지는 아니한다.As described above with respect to the durability test apparatus of the built-in mobil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presented as at least one or more embodiments by which the spirit and the construction and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본 발명은 아래의 실용신안등록청구 범위에서 기술된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화, 치환 및 변경이 가능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제시된 기술사상이 본 발명의 동일 목적을 수행하기 위하여 다른 구조로 수정되거나 설계하기 위한 기초로써 사용되어질 수 있을 것인데, 이는 본 발명이 제시하는 기술사상 및 기술구성에 귀속된다 할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various changes, substitutions, and change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utility model registration claims below, and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dified to another structure for carrying out the same purpose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can be used as a basis for design or design, which will belong to the technical spirit and technical configuration proposed by the present invention.

이상과 같은 본 발명발명바일장치 내장 부품의 내구성 시험장치는 간단한 구 성으로 이루어지므로 제반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모바일장치 내부 부품의 내구성을 간편하게 시험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durability test apparatus of the built-in par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reduce the overall cost because it is made of a simple configuration, and can easily test the durability of the internal parts of the mobile device.

또한, 전 공정이 자동화됨으로써 사용이 간편하고 검사 정확도가 향상될 수 있으며, 한번의 구동으로 여러 하중에 대한 내구성을 동시에 검사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entire process can be automated to simplify use and improve inspection accuracy, and simultaneously test durability for multiple loads with a single drive.

Claims (4)

제어콘트롤러가 구비된 기저프레임 어셈블리;A base frame assembly having a control controller; 상기 기저프레임 어셈블리에 장착되고 상기 제어콘트롤러와 호연결되어 제어되며, 결합슬라이더 및 상기 결합슬라이더가 선형으로 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선형모션모듈을 갖는 업-다운 어셈블리; 및An up-down assembly mounted to the base frame assembly and connected to and controlled by the control controller, the up-down assembly having a coupling slider and a linear motion module mounted linearly movable; And 상기 결합슬라이더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어 왕복 운동하며, 상기 제어콘트롤러와 호연결되어 제어되며 주기적으로 정역(正逆) 회전하여 스윙하는 스윙플레이트를 갖는 스윙 어셈블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모바일장치 내장 부품의 내구성 시험장치.And a swing assembly detachably mounted to the coupling slider, the swing assembly having a swing plate which is controlled by being connected to the control controller and periodically swings forward and backward and swings. Test equipment.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어콘트롤러와 호연결되어 상기 업-다운 어셈블리 및 상기 스윙 어셈블리의 운동을 제어하는 제어PC;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모바일장치 내장 부품의 내구성 시험장치.And a control PC connected to the control controller to control movement of the up-down assembly and the swing assembly.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업-다운 어셈블리는,The up-down assembly, 일면은 상기 기저프레임 어셈블리에 장착되고 타면에는 상기 결합슬라이더가 결합되는 선형모션모듈이 장착된 업-다운 베이스플레이트;An up-down base plate mounted on the base frame assembly and a linear motion module mounted on the other surface of the coupling slider; 상기 업-다운 베이스플레이트에 결합되는 케이블베어 안내플레이트; 및A cable bear guide plate coupled to the up-down base plate; And 상기 케이블베어 안내플레이트와 업-다운 베이스플레이트에 고정되며, 상기 제어콘트롤러와 연결되는 케이블을 수납하는 케이블베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모바일장치 내장 부품의 내구성 시험장치.And a cable bearer fixed to the cable bearer guide plate and the up-down base plate and accommodating a cable connected to the control controller.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스윙 어셈블리는,The swing assembly, 상기 결합슬라이더에 장착되며 일부에는 포지션블럭이 형성된 스윙 베이스프레임;A swing base frame mounted on the coupling slider and having a position block formed thereon; 상기 포지션블럭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샤프트;A shaft rotatably mounted to the position block; 상기 샤프트의 일단과 축결합되고, 상기 스윙베이스프레임에 장착되는 스윙서보모터; 및A swing servo motor axially coupled to one end of the shaft and mounted to the swing base frame; And 상기 샤프트에 고정되고 정역 회전하여 스윙하는 스윙플레이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모바일장치 내장 부품의 내구성 시험장치.And a swing plate fixed to the shaft and swinging forward and backward.
KR1020050003897A 2005-01-14 2005-01-14 Apparatus for testing durability of parts of mobile phone KR10063032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3897A KR100630327B1 (en) 2005-01-14 2005-01-14 Apparatus for testing durability of parts of mobile pho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3897A KR100630327B1 (en) 2005-01-14 2005-01-14 Apparatus for testing durability of parts of mobile phone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1257U Division KR200381581Y1 (en) 2005-01-14 2005-01-14 Apparatus for testing durability of parts of mobile phon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3377A true KR20060083377A (en) 2006-07-20
KR100630327B1 KR100630327B1 (en) 2006-10-04

Family

ID=371737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03897A KR100630327B1 (en) 2005-01-14 2005-01-14 Apparatus for testing durability of parts of mobile phon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30327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67407A (en) * 2007-01-16 2008-07-21 주식회사 피앤텔 A device for testing of hinge spring strength of a sliding type mobile terminal
KR20190011239A (en) 2016-05-26 2019-02-01 가부시키가이샤 오사카소다 Conductive adhesive body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67407A (en) * 2007-01-16 2008-07-21 주식회사 피앤텔 A device for testing of hinge spring strength of a sliding type mobile terminal
KR20190011239A (en) 2016-05-26 2019-02-01 가부시키가이샤 오사카소다 Conductive adhesive bod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30327B1 (en) 2006-10-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96423B2 (en) Automated functional testing systems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the same
CN106814307B (en) Automatic debugging method and system for cavity filter
CN110127073B (en) Unmanned aerial vehicle basic station
KR100630327B1 (en) Apparatus for testing durability of parts of mobile phone
KR200381581Y1 (en) Apparatus for testing durability of parts of mobile phone
CN112549079A (en) Test equipment for cooperating mechanical arm driving controller board
CN217112611U (en) Novel three station test equipment of FCT
CN113523546B (en) Laser marking system and method for integrated circuit
EP1257833B1 (en) Method and product palette for testing electronic products
CN209132300U (en) Acceleration automatic test device
CN212399669U (en) Test board
CN210443650U (en) Automatic debugging device and system for dielectric filter
CN102881391B (en) The full-automatic assembly method of 3D rocker regulation resistance and assembly machine
CN217542368U (en) Cutting test assembly and cutting test equipment
CN115389792B (en) Fixture module and signal module function testing device
CN211262680U (en) Key testing device
CN215932078U (en) Servo driver vibration suppression performance testing device
CN213750234U (en) Motor service life testing device and testing system
CN218887252U (en) Battery pack assembling machine
CN109211932A (en) Detection device
CN210802487U (en) Three-dimensional rotation testing mechanism of gyroscope
CN210487919U (en) High humidity testing device for mobile phone motherboard
CN220307390U (en) Speaker detects tool
CN216285588U (en) Testing device of electronic equipment
CN215478243U (en) Movement grabbing mechanis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1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1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3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