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82693A - 오디오/비디오 기기의 무선 채널 변경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오디오/비디오 기기의 무선 채널 변경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82693A
KR20060082693A KR1020050003398A KR20050003398A KR20060082693A KR 20060082693 A KR20060082693 A KR 20060082693A KR 1020050003398 A KR1020050003398 A KR 1020050003398A KR 20050003398 A KR20050003398 A KR 20050003398A KR 20060082693 A KR20060082693 A KR 200600826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nnel
wireless
value
rssi
radio interfere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033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52575B1 (ko
Inventor
조현철
한동운
황민호
곽동훈
엄성현
이희연
정만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033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52575B1/ko
Publication of KR200600826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826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525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525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10Scheduling measurement reports ; Arrangements for measurement repo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4Error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02Transmission of channel access control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12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A/V 스트리밍 제품의 스트리밍 통신 중 무선 간섭을 체크하여 자동으로 무선 채널을 변경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무선 간섭에 따른 채널 변경을 위한 "판단 기준횟수", RSSI, 전송 패킷수, 채널율에 대한 측정 주기 및 채널변경 판단의 기준 백분율을 설정하는 제1과정과; 상기 측정 주기에 도달될 때 상기 RSSI, 전송 패킷수, 채널율을 측정하고, 이들을 각각의 해당 조건값과 비교하여 조건이 만족되지 않으면, 무선 간섭이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는 제2과정과; 상기 조건이 만족되는 것으로 판명되면 무선 간섭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고, 현재까지 발생된 무선 간섭 발생 횟수를 검색함과 아울러 그 발생된 무선 간섭 발생 횟수를 백분율로 환산하여 상기 기준 백분율 이상으로 판명되면 채널을 변경하는 제3과정에 의해 달성된다.

Description

오디오/비디오 기기의 무선 채널 변경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CHANGING WIRELESS CHANNEL IN AUDIO/VIDEO APPLIANCE}
도 1은 무선 랜 채널의 주파수 대역 설명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오디오/비디오 기기의 무선 채널 변경 방법의 처리과정을 나타낸 신호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오디오/비디오 기기의 무선 채널 변경 장치의 블록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1 : 타이머 모듈 32 : 무선랜상태 모니터링모듈
33 : 채널변경 조건값 테이블 34 : 채널변경 판단모듈
35 : 무선랜디바이스 드라이버
본 발명은 오디오/비디오 스트리밍(A/V Streaming) 제품의 스트리밍 통신 중 무선 채널을 변경하는 기술에 관한 것으로, 특히 동작 중 무선 간섭이 발생할 때 자동으로 채널을 변경할 수 있도록 한 오디오/비디오 기기의 무선 채널 변경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무선 티브이 등과 같이 무선랜을 사용하여 AV 스트리밍을 하는 제품이 개발되어 시판되고 있는데, 이러한 제품들은 무선랜 채널 환경이 나빠지면 전송 지연이나 화면 멈춤 등의 현상이 발생한다. 즉, 무선랜 채널 환경이 좋아지면 전송 지연 및 화면 멈춤 현상 등을 무시할 수도 있으나, 반대로 무선랜 채널 환경이 나빠지면 전송 지연이 심해지고 화면 멈춤이나 블록 노이즈 현상 등이 나타나게 된다.
그리고, 무선랜의 채널 환경은 항상 일정한 것이 아니라 채널환경이 좋다가도 갑자기 나쁜 상황으로 빠지는 경우가 종종 발생된다.
따라서, 무선랜의 채널 환경이 나빠지면 텍스트 등의 실시간성을 필요로 하지 않는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에는 별다른 문제가 되지 않을 수도 있으나, 무선 티브이 등과 같이 실시간성이 요구되는 무선 A/V 스트리밍 제품에서는 심각한 문제를 야기시킨다. 따라서, 무선으로 A/V를 전송하는 제품은 최초 동작시에 최적의 무선 채널을 선택해야 할 뿐만 아니라, 동작 중에 발생하는 무선환경 변화에도 적절히 대응해야 한다.
도 1은 한국의 802.11 b/g 무선랜 채널의 환경을 나타낸 것이다. 2412MHz를 1번 채널로 하여 총 13개의 무선 채널이 할당되어 있으며, 채널간 간격은 5MHz이고 점유 주파수 대역폭은 26MHz 이하이어야 한다. 상기 도 1에서와 같이 802.11 b/g 무선랜 장비는 약 20MHz의 대역폭을 갖는다. 따라서, 간섭을 받지 않고 사용할 수 있는 무선채널의 최대 개수는 4개(1,5,9,13번 채널)이다.
따라서, 임의의 무선랜 제품이 1번 채널을 사용하고 있다면 두 번째 동작하 는 무선랜의 제품은 1번 채널과의 간섭을 고려하여 5번 이상의 채널을 선택하여야 한다. 만약, 5번 이내의 채널을 선택하면 1번 채널을 선택한 제품과 무선 간섭을 초래하게 된다.
또한, 첫 번째 동작하는 임의의 무선랜 제품이 1번 채널을 사용하고 있고 두 번째 동작하는 무선랜 제품 또한 1번 채널을 점유하게 되면, 그 첫 번째 동작하는 무선랜 제품이 무선 간섭을 피하기 위해서는 5번 이상의 채널로 채널을 변경해야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802.11b 또는 802.11b/g 무선랜을 사용하는 액세스 포인트(AP) 등의 종래 제품에 있어서는 사용자가 임의로 무선 채널을 선택하도록 하는 기능만 구비되어 있고, 무선환경에 따라 자동으로 채널을 변경하는 기능이 구비되어 있지 않았다. 따라서, 하나의 채널을 여러 가지의 무선 제품들이 선택하여 무선 간섭을 초래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무선 티브이 등과 같이 무선 간섭에 민감한 제품에서 무선 간섭이 발생하면 자동으로 채널을 변경하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제1특징은 무선랜의 간섭을 체크하여 채널 변경 조건인지 확인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2특징은 무선랜 채널 선택시 다른 채널과 간섭이 없는 네 채널의 간격을 두고 선택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오디오/비디오 기기의 무선 채널 변경 방법은, "판단 기준횟수", RSSI, 전송 패킷수, 채널율에 대한 측정 주기 및 채널변경 판단의 기준 백분율을 설정하고, 그 "판단기준횟수"만큼 저장할 수 있는 어레이 공간을 할당하는 제1과정과; 상기 측정 주기에 도달될 때 상기 RSSI, 전송 패킷수, 채널율을 측정하고, 이들을 각각의 조건값과 비교하여 조건이 만족되지 않으면, 무선 간섭이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는 제2과정과; 상기 조건이 만족되는 것으로 판명되면 무선 간섭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고, 현재까지 발생된 무선 간섭 발생 횟수를 검색함과 아울러 그 발생된 무선 간섭 발생 횟수를 백분율로 환산하여 상기 기준 백분율 이상으로 판명되면 채널을 변경하는 제3과정으로 이루어진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오디오/비디오 기기의 무선 채널 변경 장치의 일실시 구현예를 보인 블록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무선랜상태 모니터링모듈(32)과 채널변경 판단모듈(34)이 동작하는 주기를 결정하는 동작신호를 출력하는 타이머 모듈(31)과; 사용자가 지정한 주기마다 무선랜디바이스 드라이버(35)로부터 전송 패킷수, 채널율, RSSI의 값을 읽어와 저장하는 무선랜상태 모니터링모듈(32)과; 실험을 통해 찾은 무선 간섭 발생여부를 전송 패킷수, 채널율, RSSI값에 대한 조건값이 저장되어 있는 채널변경 조건값 테이블(33)과; 상기 무선랜상태 모니터링모듈(32)에 저장된 무선랜 상태의 값과 상기 채널변경 조건값테이블(33)의 값을 비교하여 기준시간 동안 일정치 이상의 무선 간섭 조건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무선랜디바이스 드라이버(35)에 무선랜 채널변경 명령을 출력하여 채널을 변경하도록 하는 채널변경 판단모듈(34)로 구성한 것으로,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채널 변경 처리과정을 첨부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무선 A/V 스트리밍에서 무선 간섭을 체크하는 무선랜 정보에는 전송 패킷수(Tx Frame), 수신신호 세기(RSSI: 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 채널율(Channel Rate) 등이 있다. 여기서, 전송 패킷수는 무선랜에서 전송에 성공한 유니캐스트 프레임(unicast frame)의 개수를 의미하고, RSSI는 상대편 무선랜으로부터 수신한 프레임의 신호세기를 의미하며, 채널율은 현재 전송중인 프레임의 무선랜 채널율을 의미한다.
각 정보를 근거로 알 수 있는 무선랜의 상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첫째, 전송 패킷수를 근거로 무선랜에서 전송하고 있는 처리율(throughput)을 판단할 수 있다. 전송측과 수신측 간의 거리가 멀어지거나 무선 간섭이 발생하면 처리율이 떨어진다.
둘째, RSSI의 값을 근거로 무선랜 전송측과 수신측 간의 거리 또는 장애물 유/무를 판단할 수 있다. 이 RSSI의 값은 무선 간섭의 영향에는 거의 변화가 없다.
셋째, 채널율을 근거로 무선랜이 최대 전송 가능한 처리율을 예측할 수 있다. 이 채널율의 값 또한 상기 전송 패킷수와 같이 전송측과 수신측 간의 거리가 멀어지거나 무선 간섭이 발생하면 떨어진다. 그러나, 상기 전송 패킷수는 현재까지 실제로 전송한 프레임의 개수인 반면, 채널율은 현재 상태에서 최대로 전송 가능한 무선 네트워크의 환경을 예상하게 하는 값이다. 예를 들어, 1초 동안에 전송한 전송 패킷수가 100개이고, 채널율이 11Mbps라면 이는 최대 11Mbps로 전송할 수 있는 네트워크 환경에서 약 1.2Mbps를 전송했음을 나타낸다.
그리고, 무선랜은 통달 거리의 한계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무선 A/V스트리밍 제품의 경우, A/V 스트리밍을 전송하는 장비와 수신하는 장비 사이에 유효 거리를 가지게 된다. 예를 들어, 콘크리트 벽 등의 장애물이 없는 환경에서 최대 10M의 거리까지는 화면의 품질을 보장한다는 등의 유효거리를 가진다.
무선 간섭을 체크하는 방법에는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간섭이 없는 환경(Shield Room)에서 무선 A/V 스트림을 전송하는 장비와 수신하는 장비를 유효 거리만큼 이격시킨 후 RSSI와 전송 패킷수, 채널율 등을 충분한 횟수만큼 측정하는 방법이 있다. 또 다른 예로써, 측정한 데이터들을 분석해서 무선 간섭이 없는 환경의 유효 거리에서 기준값을 설정하는 방법이다.
따라서, 무선 A/V 스트리밍을 전송하는 장비측에서 상기 값들을 주기적으로 체크하여 기준값 이하로 떨어지면 무선 간섭이 발생하고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참고로, RSSI는 무선 간섭이 있더라도 거의 변화가 없으며, 전송 패킷수는 무선 간섭에 가장 민감하게 변화하는 값이다. 그러므로, 상기 전송 패킷수를 체크하여 기준값 이하로 떨어지면 다시 채널율을 체크하여 좀 더 정확한 판단을 내릴 수 있도록 한다. 상기 RSSI는 유효 거리 내에 있는지를 판단하는 기준이 된다. 즉, 무선 간섭이 발생하지 않는 상황이더라도 무선 A/V스트리밍을 전송하는 장비와 수신하는 장비간의 거리가 점점 멀어짐에 따라 전송 패킷수와 채널율도 떨어진다. 따라서, RSSI도 체크하여 유효 거리 내에 있으면 무선 간섭에 의해 전송 패킷수와 채널율 값들이 떨어지는 것인지, 아니면 무선 간섭의 영향이 아니고 송수신간의 거리가 멀 어지는 것에 의한 현상인지 파악해야 한다.
무선 간섭이 있다고 해서 무조건 A/V 스트리밍에 심각한 영향을 주는 것이 아니라, 그 무선 간섭의 정도에 따라 A/V 스트리밍에 영향을 주는 정도가 다르다. 예를 들어, 무선 티브이의 경우 무선 간섭의 정도에 따라 화질의 변화가 발생되는데, 간섭의 정도가 미약하면 화면의 변화가 거의 없지만 간섭이 심각한 정도이면 화면에 블록 노이즈와 함께 화면 지연, 화면 멈춤 현상 등도 심해진다. 따라서, 무선 간섭이 화면에 영향을 줄 정도의 세기인지 판단해야 한다.
무선 간섭이 화질에 영향을 주는 정도의 세기인지 파악하기 위해 조건 값을 찾는 방법의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 번째 예로써, 무선 간섭이 없는 환경(Shield Room)에서 무선 A/V 스트림을 전송하는 장비(전송기기)와 수신하는 장비(수신기기)의 거리를 이동시키면서 제품의 화질 등 제품의 기준을 만족시키는 최대 거리에서 RSSI의 값을 측정한다. 이때 측정한 RSSI 값을 "RSSI 조건값"으로 설정한다. 이렇게 결정한 RSSI 조건값을 기준으로 전송기기와 수신기기가 정상적으로 동작할 수 있는 유효거리 이내에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즉, 측정한 RSSI 값이 RSSI 조건값보다 크면 유효거리 이내에 있는 것이고, 그렇지 않으면 유효거리 밖에 있는 것이다.
두 번째 예로써, 상기 전송기기와 수신기기를 유효거리 내에 위치시키고 다른 무선장비(예: 무선랜이 설치된 2대의 노트북 컴퓨터)를 이용하여 무선 간섭(무선랜으로 파일 전송 등)을 일으킨다. 이후 상기 간섭의 세기를 조금씩 증가(노트북 컴퓨터 간의 무선랜 트래픽을 증가)시켜서 무선 A/V 스트리밍 제품의 화질 등이 제 품 기준 이하로 떨어지는 순간의 전송 패킷수, 채널율을 측정한다. 이때 측정한 전송 패킷수, 채널율 값을 "전송 패킷수 조건값" ,"채널율 조건값"으로 설정한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결정한 "RSSI 조건값", "전송 패킷수 조건값", "채널율 조건값"이 채널을 변경할 것인지를 판단하는 기준이 되는 "채널 변경 조건값"이 된다.
따라서, 측정된 RSSI가 조건값보다 크거나 같은 상황 즉, 유효거리 이내에 있는 상황에서 전송 패킷수와 채널율이 "채널 변경 조건값" 아래로 떨어지면 A/V 스트리밍을 전송할 수 없는 상황이 발생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무선 A/V 스트리밍을 정상적으로 전송할 수 없는 상태가 지속되면 화면이 정상적으로 디스플레이되지 않는 등의 심각한 문제가 발생되므로, 이와 같은 경우에는 무선 채널을 변경해서 무선 간섭이 발생하지 않는 채널로 이동해야 한다. 하지만, 일시적인 무선 간섭에 의한 잠깐 동안의 화면 멈춤 등의 현상이 발생할 때에는 채널을 변경하는 것보다 현재 채널을 그대로 유지하는 것이 유리하다. 왜냐하면, 무선 간섭은 언제든지 발생할 수 있는 현상이므로 일시적인 현상에 대해서도 채널을 변경하도록 하면 계속적으로 채널을 변경해야 하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도 2와 같은 처리과정을 통해 무선 채널을 변경하도록 하였다.
먼저, 일시적인 간섭에 대한 채널 변경을 방지하기 위해 무선 채널변경 "판단 기준횟수(N)"를 설정(예, N:10회)한다. 이와 함께, RSSI, 전송 패킷수, 채널율 에 대한 측정 주기(T) 및 채널변경 판단수준(Y%)을 설정한다.(S1)
이후, 후술할 제4단계(S4)에서 측정 후 판단한 결과를 상기 제1단계(S1)에서 설정한 "판단기준횟수(N)"만큼 저장할 수 있는 어레이 공간을 할당하고, 그 N개의 어레이값을 초기화 한다.(S2,S3)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측정 주기(T)에 도달될 때 상기 RSSI, 전송 패킷수, 채널율을 측정한 후 그 측정된 RSSI 값이 RSSI 기준값 이상이고, 측정된 전송 패킷수가 전송 패킷수 조건값보다 적으며, 측정된 채널율이 채널율 조건값보다 작은지 확인한다.(S4,S5)
상기 확인 결과 조건이 만족되지 않으면, 해당 어레이 값을 '0'으로 기록하고, 어레이 번호(n)를 하나 증가시킨 후 T 시간동안 슬립상태에 머문다.(S6-S8)
하지만, 상기 제5단계(S5)에서의 확인 결과 조건이 만족되는 것으로 판명되면, 무선 간섭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여 해당 어레이 값을 '1'로 기록한다.(S9)
상기와 같이 해당 어레이 값을 '1'로 기록할 때마다 지금까지 기록된 어레이 값들을 근거로 현재까지 발생된 무선 간섭 발생 횟수를 검색하고, 그 발생된 무선 간섭 발생 횟수를 백분율로 환산하여 소정치(예: 30%) 이상인지 확인한다.(S10,S11)
상기 확인 결과 발생된 무선 간섭 발생 백분율이 소정치(30%) 이하로 판명되면 상기와 같이 어레이 번호(n)를 하나 증가시킨 후 T 시간동안 슬립상태에 머문다.(S7,S8)
하지만, 상기 확인 결과 발생된 무선 간섭 발생 백분율이 소정치(30%) 이상 으로 판명되면 채널을 변경하고, 상기 N개의 어레이값을 초기화 한다.(S12,S13)
결국, 상기와 같은 채널 변경 방법에 따른 일실시예로써, 1초 주기로 무선랜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무선 간섭 발생율의 백분율 기준치를 30%로 설정하였을 때, 매 주기마다 수집된 백분율 측정값이 30% 이상이면 무선 채널을 변경한다.
상기 무선 채널을 변경할 때 도 1에서와 같이 최소한 네 채널 이상 간격이 떨어져 있는 채널 중 하나로 변경해야 한다. 예를 들어, 현재 채널이 1번 채널로 설정된 경우 채널을 변경해야 할 상황이면 최소한 5번 채널 이상의 채널로 변경해야 한다.
단, 네 채널 이상의 간격이 떨어진 채널이 없으면, 이미 사용중인 채널과 가장 간격이 많이 떨어진 채널로 변경한다.
한편,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A/V 기기의 무선 채널 변경 장치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타이머 모듈(31)은 무선랜상태 모니터링모듈(32)과 채널변경 판단모듈(34)이 동작하는 주기를 결정하는 동작신호를 발생한다. 예를 들어, 1초의 동작 주기를 가진다면 상기 타이머 모듈(31)에서는 1초가 경과될 때마다 무선랜상태 모니터링모듈(32)과 채널변경 판단모듈(34)에 동작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무선랜상태 모니터링모듈(32)은 사용자가 지정한 주기마다 무선랜디바이스 드라이버(35)로부터 전송 패킷수, 채널율, RSSI의 값을 읽어와 저장한다.
또한, 채널변경 조건값 테이블(33)은 실험을 통해 찾은 무선 간섭 발생여부를 전송 패킷수, 채널율, RSSI값에 대한 조건값이 저장되어 있다.
상기 채널변경 판단모듈(34)은 상기 무선랜상태 모니터링모듈(32)에 저장된 무선랜 상태의 값과 채널변경 조건값테이블(33)의 값을 비교하여 기준시간 동안 일정치(예: 30%) 이상의 무선 간섭 조건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무선랜디바이스 드라이버(35)에 무선랜 채널변경 명령을 출력하여 채널을 변경하도록 한다. 하지만, 기준시간 동안 일정치(예: 30%) 이상의 무선 간섭 조건이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판명되면 현재 채널 상태를 그대로 유지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무선 간섭이 발생하면 채널을 변경해야 할 상황인지 판단하여 조건이 만족되는 경우 자동으로 채널을 변경함으로써 무선 간섭을 회피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오디오/비디오 스트리밍을 전송하는 무선 간섭에 민감한 제품에 적용하여 무선 간섭에 의한 화면 멈춤 등의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0)

  1. 무선 간섭에 따른 채널 변경을 위한 "판단 기준횟수", RSSI, 전송 패킷수, 채널율에 대한 측정 주기 및 채널변경 판단의 기준 백분율을 설정하는 제1과정과;
    상기 측정 주기에 도달될 때 상기 RSSI, 전송 패킷수, 채널율을 측정하고, 이들을 각각의 해당 조건값과 비교하여 조건이 만족되지 않으면, 무선 간섭이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는 제2과정과;
    상기 조건이 만족되는 것으로 판명되면 무선 간섭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고, 현재까지 발생된 무선 간섭 발생 횟수를 검색함과 아울러 그 발생된 무선 간섭 발생 횟수를 백분율로 환산하여 상기 기준 백분율 이상으로 판명되면 채널을 변경하는 제3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비디오 기기의 무선 채널 변경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전송 패킷수는 무선랜에서 전송에 성공한 유니캐스트 프레임의 개수를 의미하고, RSSI는 상대편 무선랜으로부터 수신한 프레임의 신호세기를 의미하며, 채널율은 현재 전송중인 프레임의 무선랜 채널율을 의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비디오 기기의 무선 채널 변경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전송 패킷수는 무선랜에서 전송하고 있는 처리율을 판단하는데 사용되고, RSSI의 값은 무선랜 전송측과 수신측 간의 거리 또는 장애물 유/무 를 판단하는데 사용되며, 채널율은 무선랜이 최대 전송 가능한 처리율을 예측하는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비디오 기기의 무선 채널 변경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기준 백분율은 3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비디오 기기의 무선 채널 변경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제2과정의 RSSI 조건값은 무선 간섭이 없는 환경에서 무선 A/V 스트림을 전송하는 장비와 수신하는 장비의 거리를 이동시키면서 제품의 화질 등 제품의 기준을 만족시키는 최대 거리에서 측정한 RSSI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비디오 기기의 무선 채널 변경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제2과정의 전송 패킷수의 조건값, 채널율 조건값은, 전송기기와 수신기기를 유효거리 내에 위치시키고 다른 무선장비를 이용하여 무선 간섭을 일으킨 후 그 간섭의 세기를 조금씩 증가시켜서 무선 A/V 스트리밍 제품의 화질 등이 제품 기준 이하로 떨어지는 순간의 전송 패킷수와 채널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비디오 기기의 무선 채널 변경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제2과정은
    RSSI, 전송 패킷수, 채널율을 측정하는 단계와;
    상기 측정된 RSSI 값이 RSSI 기준값 이상이고, 측정된 전송 패킷수가 전송 패킷수 조건값보다 적으며, 측정된 채널율이 채널율 조건값보다 작은지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비디오 기기의 무선 채널 변경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제3과정은 채널을 변경할 때 조건이 허락하는 한 간섭을 받지 않고 사용할 수 있는 무선채널로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비디오 기기의 무선 채널 변경 방법.
  9. 무선랜상태 모니터링모듈과 채널변경 판단모듈의 동작주기 신호를 출력하는 타이머 모듈과;
    해당 주기마다 무선랜디바이스 드라이버로부터 전송 패킷수, 채널율, RSSI의 값을 읽어와 저장하는 무선랜상태 모니터링모듈과;
    실험을 통해 찾은 무선 간섭 발생여부를 전송 패킷수, 채널율, RSSI값에 대한 조건값이 저장되어 있는 채널변경 조건값 테이블과;
    상기 무선랜상태 모니터링모듈에 저장된 무선랜 상태의 값과 상기 채널변경 조건값테이블의 값을 비교하여 기준시간 동안 일정치 이상의 무선 간섭 조건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무선랜디바이스 드라이버에 무선랜 채널변경 명령을 출력하여 채널을 변경하도록 하는 채널변경 판단모듈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비디오 기기의 무선 채널 변경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일정치는 현재까지 발생한 무선 간섭 발생 횟수의 백분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비디오 기기의 무선 채널 변경 장치.
KR1020050003398A 2005-01-13 2005-01-13 오디오/비디오 기기의 무선 채널 변경 방법 및 장치 KR1006525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3398A KR100652575B1 (ko) 2005-01-13 2005-01-13 오디오/비디오 기기의 무선 채널 변경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3398A KR100652575B1 (ko) 2005-01-13 2005-01-13 오디오/비디오 기기의 무선 채널 변경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2693A true KR20060082693A (ko) 2006-07-19
KR100652575B1 KR100652575B1 (ko) 2006-12-01

Family

ID=371733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03398A KR100652575B1 (ko) 2005-01-13 2005-01-13 오디오/비디오 기기의 무선 채널 변경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5257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3368B1 (ko) * 2006-09-19 2007-07-26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지그비를 이용한 음성 데이터 송수신 장치 및 방법
CN114698040A (zh) * 2020-12-31 2022-07-01 青岛智动精工电子有限公司 显示设备及用于显示设备的通信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3368B1 (ko) * 2006-09-19 2007-07-26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지그비를 이용한 음성 데이터 송수신 장치 및 방법
CN114698040A (zh) * 2020-12-31 2022-07-01 青岛智动精工电子有限公司 显示设备及用于显示设备的通信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52575B1 (ko) 2006-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ha et al. Energy-efficient low power listening for wireless sensor networks in noisy environments
US8102761B2 (en) Path control device, path control method, and path control program
US7417949B2 (en) Closed loop method and apparatus for throttling the transmit rate of an ethernet media access controller
US7808950B2 (en) Radio communication apparatus and radio communication method
US9270569B2 (en) Transmitting and receiving side terminals and method of monitoring network using the same
KR101226581B1 (ko) 가속 백오프 기능을 포함하는 무선 랜 송신 스케줄러
US20100003922A1 (en) System and Method for Scheduling of Spectrum Sensing in Cognitive Radio Systems
Chu et al. On the performance of underlay cognitive radio networks using M/G/1/K queueing model
CN106961693B (zh) 一种确定无线接入设备工作信道的方法
CN107222781B (zh) 智能网关动态转换码率的方法及系统
US11418401B2 (en) Hierarchical fog nodes for controlling wireless networks
US9510354B2 (en) Method and a device for low intrusive fast estimation of the bandwidth available between two IP nodes
CN101697624A (zh) 一种同频干扰检测方法、装置及接入点设备
US8873460B2 (en) Packet sniffer for ad hoc network
KR100652575B1 (ko) 오디오/비디오 기기의 무선 채널 변경 방법 및 장치
JP6882684B2 (ja) 通信装置、通信システム、通信制御方法、及び通信制御プログラム
US8274889B2 (en) Method, system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involving congestion detection in ethernet
US7894363B2 (en) Data transfer rate variance measurement method, apparatus, system, and storage medium for storing program
CA3111520A1 (en) Evaluation of access point placement
US7492842B2 (en) Method for antenna diversity
US20060013137A1 (en) Network interface unit
US20170005898A1 (en) Distributed saturation detection method for wireless network nodes
EP3391590B1 (en) Noise floor degradation detection for co-located radios
JP2017168902A (ja) 無線通信方法および無線通信装置
KR100655589B1 (ko) 와이어리스 티브이의 트랜시버 및 그의 a/v데이터 전송서비스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92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