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82645A - 블록으로 축조된 환경친화적 옹벽 - Google Patents

블록으로 축조된 환경친화적 옹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82645A
KR20060082645A KR1020050003230A KR20050003230A KR20060082645A KR 20060082645 A KR20060082645 A KR 20060082645A KR 1020050003230 A KR1020050003230 A KR 1020050003230A KR 20050003230 A KR20050003230 A KR 20050003230A KR 20060082645 A KR20060082645 A KR 200600826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taining wall
block
webs
blocks
auxiliary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032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07605B1 (ko
Inventor
유대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라스아이티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라스아이티에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라스아이티에스
Priority to KR10200500032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07605B1/ko
Publication of KR200600826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826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76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76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made up of similar modular elements stacked without morta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1/00Drainage of soil, e.g. for agricultural purpos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8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02D29/0266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made up of preformed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블록으로 축조된 환경친화적 옹벽에 관한 것으로서, 옹벽의 상하방향으로 적층되는 한편 옹벽의 좌우방향으로 끼워져 연결되는 다수의 주 블록(12)과, 옹벽의 최상측 열에 적층되는 보조 블록(14)으로 축조되며, 상기 주 블록의 내부에는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서로 결합되는 옹벽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주 블록(12) 및 보조 블록(14)은, 전면 플랜지(21)와 후면 플랜지(22) 사이에 두 개의 웨브(23)가 소정간격으로 연결되어 상기 두 개의 웨브 사이에 상기 콘크리트가 타설되는 제1공간부(24)가 형성되는 한편 상기 두 개의 웨브 좌우측에 상기 콘크리트가 각각 타설되는 제2공간부(25)가 형성되되, 상기 보조 블록의 제1공간부 상측은 막히는 한편, 상기 보조 블록의 전면 플랜지와 후면 플랜지 중의 적어도 한 곳에는 조류가 드나드는 서식지가 되도록 상기 제1공간부에 연통하는 관통구멍(38)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시공하기가 편리하고 조류의 서식지를 넓히며 조경효과도 높이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블록으로 축조된 환경친화적 옹벽{an environmental wall with various batter}
도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블록으로 축조된 환경친화적 옹벽을 나타내는 일부 사시도,
도2는 도1의 주 블록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3은 도1의 보조 블록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4는 도1의 최하측 열에 위치하는 기초 블록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블록으로 축조된 환경친화적 옹벽을 나타내는 일부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환경친화적 옹벽 12 : 주 블록
14 : 보조 블록 16 : 기초 블록
21, 31, 41 : 전면 플랜지 22, 32, 42 : 후면 플랜지
23, 33, 43 : 웨브 24, 34, 44 : 제1공간부
25, 35, 45 : 제2공간부 26, 36, 46 : 제1걸림부
27, 37, 47 : 제2걸림부 28 : 배수구
38 : 관통구멍 49 : 지지부
본 발명은 블록으로 축조된 환경친화적 옹벽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흙, 모래 등의 흘러내림과 붕괴를 막기 위해 옹벽을 축조하게 된다. 주로 제방, 방파제, 도로 및 택지의 경사면 등에 축조되는 옹벽의 경우 콘크리트 성형구조물, 석조, 말뚝으로 구성된 목책이 사용되었으며, 근래에 들어와서 현장에서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는 콘크리트로 구성된 블록의 사용이 늘어가고 있다.
블록으로 축조된 옹벽으로서는, 미국특허 제4,229,123호, 한국특허공보 제97-1721호 등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미국특허 제4,229,123호는 블록의 내측에 상하로 개방된 소정크기의 구멍이 존재하여 토양 혹은 다른 재료로 채울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아래 열 블록의 상부에 일정크기의 단을 형성하여 위 열에 구비되는 블록의 하부전단이 상기 아래 열 블록 상부의 단과 결합되어 옹벽자체의 형성각을 수직형태가 아닌 일정 크기의 각을 후방으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옹벽후방에서 가해지는 힘을 분산시킬 수 있도록 된 구성이다. 그리고, 상기 한국 특허공보 제97-1721호는 상기 미국특허 제4,229,123호의 블록결합에 있어서 블록자체에 단을 두어 결합하지 않고 강화플라스틱 등으로 이루어진 봉형상의 핀을 사용하여 상, 하블록의 결합을 이루는 구조이다. 이러한 봉형상의 핀을 이용하여 블록의 배열을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으며 옹벽의 곡면성을 이루기에 적합하게 한다.
그런데, 최근에 환경오염문제가 최대의 관심사로 떠오름에 따라 모든 분야에서 환경문제가 고려되고 있으며 건축 및 토목분야에서도 이에 대한 요구가 증대되고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시대적 요청에 부응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시공하기가 편리하고 조류의 서식지를 넓히며 조경효과도 높이는 블록으로 축조된 환경친화적 옹벽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블록으로 축조된 환경친화적 옹벽은, 옹벽의 상하방향으로 적층되는 한편 옹벽의 좌우방향으로 끼워져 연결되는 다수의 주 블록과, 옹벽의 최상측 열에 적층되는 보조 블록으로 축조되며, 상기 주 블록의 내부에는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서로 결합되는 옹벽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주 블록 및 보조 블록은, 전면 플랜지와 후면 플랜지 사이에 두 개의 웨브가 소정간격으로 연결되어 상기 두 개의 웨브 사이에 상기 콘크리트가 타설되는 제1공간부가 형성되는 한편 상기 두 개의 웨브 좌우측에 상기 콘크리트가 각각 타설되는 제2공간부가 형성되되, 상기 보조 블록의 제1공간부 상측은 막히는 한편, 상기 보조 블록의 전면 플랜지와 후면 플랜지 중의 적어도 한 곳에는 조류가 드나드는 서식지가 되도록 상기 제1공간부에 연통하는 관통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옹벽의 최상측 열에는 주 블록을 사이에 두고 상기 보조 블록이 하나씩 건너뛰어 결합되되, 상기 최상측 열의 주 블록의 제1공간부에는 식물이 심어지도록 흙이 채워져 있을 수도 있다.
상기 옹벽의 최하측 열에 위치하는 블록의 전면 플랜지와 후면 플랜지 중의 적어도 한곳에는 지지부가 형성되어 있을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블록으로 축조된 환경친화적 옹벽을 나타낸다. 도시한 바와 같이, 환경친화적 옹벽(10)은 옹벽의 상하방향으로 적층되는 한편 옹벽의 좌우방향으로 끼워져 연결되는 다수의 주 블록(12)과, 옹벽의 최상측 열에 적층되는 보조 블록(14)으로 축조되며, 옹벽의 최하측 열에는 강성을 높인 기초블록(16)이 위치하게 된다. 상기 기초 블록(16) 대신에 주 블록(14)이 옹벽의 최하측 열에 위치할 수도 있다.
상기 주 블록(12)은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면 플랜지(21)와 후면 플랜지(22) 사이에 두 개의 웨브(23, 23')가 소정간격으로 연결되어 상기 두 개의 웨브(23, 23') 사이에 콘크리트가 타설되는 제1공간부(24)가 형성되는 한편 상기 두 개의 웨브(23, 23') 좌우측에 콘크리트가 각각 타설되는 제2공간부(25)가 형성된 구조이다. 상기 전면 플랜지(21) 및 후면 플랜지(22)의 일측단에는 제1걸림부(26, 26')가 형성되며, 상기 전면 플랜지(21) 및 후면 플랜지(22)의 타측단에는 인접하는 주 블록의 제1걸림부(26, 26')에 걸리는 제2걸림부(27, 27')가 형성된다. 상기 주 블록(12)에는 상기 전면 플랜지(21)와 상기 웨브(23, 23') 및 후면 플랜지(22)를 관통하는 배수구(28)가 형성되어 옹벽에 의해 막히는 물이 흘러 내리게 되어 있다.
상기 보조 블록(14)은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면 플랜지(31)와 후면 플랜지(32) 사이에 두 개의 웨브(33, 33')가 소정간격으로 연결되어 상기 두 개의 웨 브(33, 33') 사이에는 상측이 막힌 제1공간부(34)가 형성되는 한편 상기 두 개의 웨브(33, 33') 좌우측에 콘크리트가 타설되는 제2공간부(25)가 형성된 구조이다. 상기 전면 플랜지(31) 및 후면 플랜지(32)의 일측단에는 제1걸림부(36, 36')가 형성되며, 상기 전면 플랜지(31) 및 후면 플랜지(32)의 타측단에는 인접하는 보조 블록의 제1걸림부(36, 36')에 걸리는 제2걸림부(37, 37')가 형성된다. 상기 보조 블록(14)의 상기 전면 플랜지(31)에는 조류가 드나들도록 상기 제1공간부(34)에 연통하는 관통구멍(38)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관통구멍(38)은 상기 후면 플랜지(32)에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기초 블록(16)은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면 플랜지(41)와 후면 플랜지(42) 사이에 두 개의 웨브(43, 43')가 소정간격으로 연결되어 상기 두 개의 웨브(43, 43') 사이에 콘크리트가 타설되는 제1공간부(44)가 형성되는 한편 상기 두 개의 웨브(43, 43') 좌우측에 콘크리트가 각각 타설되는 제2공간부(45)가 형성된 구조이다. 상기 전면 플랜지(41) 및 후면 플랜지(42)의 일측단에는 제1걸림부(46, 46')가 형성되며, 상기 전면 플랜지(41) 및 후면 플랜지(42)의 타측단에는 인접하는 기초 블록의 제1걸림부(46, 46')에 걸리는 제2걸림부(47, 47')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 전면 플랜지(41)에는 강성을 보강하도록 하측으로 갈수록 외측으로 돌출하면서 넓어지는 삼각형태의 지지부(49)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지지부(49)는 후면 플랜지(42)에 형성되거나 상기 전면 플랜지 및 후면 플랜지에 동시에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49)와 전면플랜지(41)와 웨브(43, 43') 및 후면 플랜지(42)를 관통하는 배수구(48)가 형성되어 옹벽에 의해 막히는 물이 흘러 내리게 되 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블록으로 축조된 환경친화적 옹벽(10)는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초블록(16)의 제1걸림부(46, 46')와 제2걸림부(47, 47')를 끼우면서 좌우방향으로 최하측 열을 이루게 하고, 그 상측으로 상하, 좌우방향으로 주 블록(12)을 쌓으면서 제1, 제2공간부(24, 25)에 콘크리트를 채우면서 적층한 후, 최상측 열에는 보조 블록(14)의 제1걸림부(26, 26')와 제2걸림부(27, 27')를 끼우면서 열을 이루게 한 후, 보조 블록(14)의 제2공간부(35)에는 콘크리트(C)를 채워 마감한다. 이때, 기초 블록(16)과 주 블록(12)을 모두 쌓은 후 기초 블록과 주 블록의 제1공간부(44, 24) 및 제2공간부(45, 25)에 콘크리트를 동시에 채워 상하 방향으로 각 블록이 접합되게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블록을 적층하여 옹벽을 만들게 되면 상기 보조 블록(14)의 관통구멍(38)을 통해 제1공간부(34)에 새들이 드나들면서 조류가 서식할 수 있게 된다.
도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블록으로 축조된 환경친화적 옹벽을 나타낸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환경 친화적 옹벽(110)은 기초 블록(16)과 주 블록(12)으로 제1실시예와 동일하게 옹벽을 축조하되, 옹벽(110)의 최상측 열에는 주 블록(12)을 사이에 두고 상기 보조 블록(14)이 하나씩 건너뛰어 결합하고, 보조 블록(14)의 제2공간부(35)에는 콘크리트(C)를 채워 상하 방향으로 블록이 접합되게 하고, 상기 최상측 열의 주 블록(12)의 제1공간부(24)에는 흙(S)을 채워 식물(P)을 심는 구조이다. 이렇게 식물(P)이 심어지고 조류가 서식하는 관통구멍(38)이 형성된 옹벽은 식물(P)에 의해 조류의 서식에 더 나은 환경을 제공하고 조경효 과도 높이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한 블록으로 축조된 환경친화적 옹벽에 의하면, 시공하기가 편리하고 조류의 서식지를 넓히며 조경효과도 높이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옹벽의 상하방향으로 적층되는 한편 옹벽의 좌우방향으로 끼워져 연결되는 다수의 주 블록과, 옹벽의 최상측 열에 적층되는 보조 블록으로 축조되며, 상기 주 블록의 내부에는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서로 결합되는 옹벽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주 블록 및 보조 블록은, 전면 플랜지와 후면 플랜지 사이에 두 개의 웨브가 소정간격으로 연결되어 상기 두 개의 웨브 사이에 상기 콘크리트가 타설되는 제1공간부가 형성되는 한편 상기 두 개의 웨브 좌우측에 상기 콘크리트가 각각 타설되는 제2공간부가 형성되되,
    상기 보조 블록의 제1공간부 상측은 막히는 한편, 상기 보조 블록의 전면 플랜지와 후면 플랜지 중의 적어도 한 곳에는 조류가 드나드는 서식지가 되도록 상기 제1공간부에 연통하는 관통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으로 축조된 환경친화적 옹벽.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옹벽의 최상측 열에는 주 블록을 사이에 두고 상기 보조 블록이 하나씩 건너뛰어 결합되되, 상기 최상측 열의 주 블록의 제1공간부에는 식물이 심어지도록 흙이 채워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으로 축조된 환경친화적 옹벽.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옹벽의 최하측 열에 위치하는 블록의 전면 플랜지와 후면 플랜지 중의 적어도 한곳에는 지지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으로 축조된 환경친화적 옹벽.
KR1020050003230A 2005-01-13 2005-01-13 블록으로 축조된 환경친화적 옹벽 KR1006076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3230A KR100607605B1 (ko) 2005-01-13 2005-01-13 블록으로 축조된 환경친화적 옹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3230A KR100607605B1 (ko) 2005-01-13 2005-01-13 블록으로 축조된 환경친화적 옹벽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1073U Division KR200381308Y1 (ko) 2005-01-13 2005-01-13 블록으로 축조된 환경친화적 옹벽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2645A true KR20060082645A (ko) 2006-07-19
KR100607605B1 KR100607605B1 (ko) 2006-08-03

Family

ID=371732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03230A KR100607605B1 (ko) 2005-01-13 2005-01-13 블록으로 축조된 환경친화적 옹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0760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7420B1 (ko) * 2008-08-25 2009-05-14 정지석 옹벽설치용 기초 블록
CN111350207A (zh) * 2020-03-11 2020-06-30 赵金玉 一种水利工程挡土墙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7420B1 (ko) * 2008-08-25 2009-05-14 정지석 옹벽설치용 기초 블록
CN111350207A (zh) * 2020-03-11 2020-06-30 赵金玉 一种水利工程挡土墙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07605B1 (ko) 2006-08-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04408B1 (ko) 식생용 블럭
KR100536620B1 (ko) 어소 및 옹벽용 블록
KR200381301Y1 (ko) 옹벽 축조용 조립식 블록
KR100654625B1 (ko) 옹벽 축조용 블록
KR101331840B1 (ko) 옹벽 축조용 식생블록
KR100763476B1 (ko) 보강 개비온
KR100607605B1 (ko) 블록으로 축조된 환경친화적 옹벽
KR200381308Y1 (ko) 블록으로 축조된 환경친화적 옹벽
JP5661392B2 (ja) 貯水施設の施工法及び貯水ユニット
KR200345937Y1 (ko) 덩굴식물 및 소동물 이동통로가 구비된 옹벽블록
KR20160109206A (ko) 콘크리트 구조물과 철망조립체의 경합으로 이루어진 개비온
KR200418683Y1 (ko) 생태블록
KR100536304B1 (ko) 식생옹벽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블럭식 옹벽 축조방법
JP3559250B2 (ja) 土留用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
KR100994426B1 (ko) 사면보강형 조경블럭
KR100746128B1 (ko) 식생공간을 포함하는 견치블록 및 이를 이용한 견치블록의축조방법
KR200340941Y1 (ko) 옹벽블록 겸용 어소블록
KR101204308B1 (ko) 통나무 돌바구니
KR100650751B1 (ko) 조립식 수로 구조물
KR100662028B1 (ko) 옹벽축조용 식생블록
KR100709103B1 (ko) 메가그린블럭
KR20060082388A (ko) 옹벽 축조용 조립식 블록
KR200382628Y1 (ko) 옹벽용 블록
KR101331599B1 (ko) 조립식 벽체를 이용한 시설물
KR200429713Y1 (ko) 옹벽 축조용 조립식 블럭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71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