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81597A - Intake door of blower for car air conditioner - Google Patents

Intake door of blower for car air condition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81597A
KR20060081597A KR1020050002094A KR20050002094A KR20060081597A KR 20060081597 A KR20060081597 A KR 20060081597A KR 1020050002094 A KR1020050002094 A KR 1020050002094A KR 20050002094 A KR20050002094 A KR 20050002094A KR 20060081597 A KR20060081597 A KR 200600815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wer
intake
curved plate
air conditioner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0209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대웅
김종수
Original Assignee
한라공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라공조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라공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020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81597A/en
Publication of KR200600815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81597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41/00Propulsion systems in which a rigid body is moved along a path due to dynamo-electric interaction between the body and a magnetic field travelling along the path
    • H02K41/02Linear motors; Sectional motors
    • H02K41/03Synchronous motors; Motors moving step by step; Reluctance motors
    • H02K41/031Synchronous motors; Motors moving step by step; Reluctance motors of the permanent magnet typ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1/00Structural association of dynamo-electric machines with electric components or with devices for shielding, monitoring or protection
    • H02K11/20Structural association of dynamo-electric machines with electric components or with devices for shielding, monitoring or protection for measuring, monitoring, testing, protecting or switching
    • H02K11/21Devices for sensing speed or position, or actuated thereb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2207/00Specific aspect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relating to 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 H02K2207/03Tubular motors, i.e. rotary motors mounted inside a tube, e.g. for blin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공조장치용 송풍기의 인테이크 도어에 관한 것으로서, 인테이크 도어의 비틀림과 길이방향의 휨변형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take door of a blower for a vehicle air conditioner, and an object thereof is to prevent twisting and longitudinal deformation of the intake door.

본 발명의 차량 공조장치용 송풍기의 인테이크 도어는, 인테이크 덕트(Intake Duct)의 내벽면과 대응하는 형상 또는 곡면구조로 형성된 곡면 플레이트(Plate, 110)와, 상기 곡면 플레이트의 길이방향 양단에서 굴곡되는 양쪽 아암 플레이트(Arm Plate, 120)와, 상기 아암 플레이트들에 바깥방향으로 차례로 형성되어 인테이크 덕트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구동축(130) 및 지지축(132)을 구비한다. 각 아암 플레이트(120)의 외면에는, 구동축(130) 및 지지축(132)으로부터 곡면 플레이트(110)쪽으로 확대되는 구조로 제1보강홈(122)이 각각 요입형성된다. 또한, 상기 곡면 플레이트의 외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제2보강홈(112)이 안쪽으로 요입형성된다. The intake door of the air conditioner blow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urved plate (Plate, 110) formed in a shape or curved structure corresponding to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intake duct (Intake Duct), and bent at both 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urved plate Both arm plates (120) and drive shafts 130 and support shafts 132, which are sequentially formed outwardly on the arm plates, are rotatably supported by the intake duct. The first reinforcing grooves 122 are recessed on the outer surface of each arm plate 120 so as to extend from the drive shaft 130 and the support shaft 132 toward the curved plate 110. In addition, on the outer surface of the curved plate, the second reinforcing groove 112 is formed in the reces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공조, 공기조화, 송풍기, 블로어, 인테이크덕트, 인테이크도어, 기밀, 씨일, 씰링, 휨변형, 비틀림, 돔형, 보강, 보강홈, 보강리브Air Conditioning, Air Conditioning, Blower, Blower, Intake Duct, Intake Door, Airtight, Seal, Sealing, Deflection, Torsion, Dome Type, Reinforcement, Reinforcement Groove, Reinforcement Rib

Description

차량 공조장치용 송풍기의 인테이크 도어{INTAKE DOOR OF BLOWER FOR CAR AIR CONDITIONER}Intake door of blower for vehicle air conditioner {INTAKE DOOR OF BLOWER FOR CAR AIR CONDITIONER}

도 1은, 차량 공조장치용 송풍기의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blower for a vehicle air conditioner.

도 2는, 차량 공조장치용 송풍기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vehicle air conditioner blower.

도 3은, 도 2의 송풍기에 적용되는 인테이크 덕트(Intake Duct)의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FIG. 3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example of an intake duct applied to the blower of FIG. 2.

도 4는, 도 2의 송풍기에 적용되는 인테이크 덕트의 저면도이다. 4 is a bottom view of an intake duct applied to the blower of FIG. 2.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공조장치용 송풍기의 인테이크 도어를 위에서 본 사시도이다. 5 is a perspective view from above of an intake door of a blower for a vehicl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공조장치용 송풍기의 인테이크 도어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Fig. 6 is a plan view showing an intake door of the blower for a vehicl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공조장치용 송풍기의 인테이크 도어를 저면쪽에서 본 사시도이다. Fig. 7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intake door of the blower for a vehicl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viewed from the bottom.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공조장치용 송풍기의 인테이크 도어의 다른 예를 저면쪽에서 본 사시도이다. 8 is a perspective view of another example of the intake door of the blower for a vehicl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viewed from the bottom.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30 : 인테이크 덕트(Intake Duct), 100 : 인테이크 도어(Intake Door), 30: Intake Duct, 100: Intake Door,

110 : 곡면 플레이트(Plate), 112 : 제2보강홈, 110: curved plate (Plate), 112: second reinforcement groove,

114 : 제1보강리브(Rib), 120 : 아암 플레이트(Arm Plate), 114: first reinforcing rib (Rib), 120: arm plate (Arm Plate),

122 : 제1보강홈, 130 : 구동축, 122: first reinforcing groove, 130: drive shaft,

132 : 지지축, 140 : 제2보강리브, 132: support shaft, 140: second reinforcing rib,

142 : 제3보강리브, 150 : 씰링부재.142: third reinforcing rib, 150: sealing member.

본 발명은 차량 공조장치용 송풍기의 인테이크 도어(Intake Door)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인테이크 도어의 비틀림과 길이방향의 휨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차량 공조장치용 송풍기의 인테이크 도어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take door of a blower for a vehicle air conditioner, and more particularly to an intake door of a blower for a vehicle air conditioner capable of preventing torsion of the intake door and bending deforma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차량 공조장치용 송풍기는, 냉각용 열교환기 및/또는 가열용 열교환기가 내장되는 공조케이스쪽으로 내/외기를 선택적으로 송풍하도록 이루어진 것이다. The blower for the vehicle air conditioner is configured to selectively blow internal / external air toward an air conditioning case in which a cooling heat exchanger and / or a heating heat exchanger are built.

이러한 송풍기는, 통상적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외기흡입구(12, 14) 및 상기 내/외기흡입구(12, 14)의 개도를 조절하는 인테이크 도어(16)가 설치된 인테이크 덕트(Intake Duct, 10)와; 상기 인테이크 덕트(10)의 하부에 결합되고, 일측에 토출구(미도시)가 형성된 스크롤 케이스(Scroll Case, 20)와; 상기 스크롤 케이스(2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원심팬(22)과; 그리고, 상기 원심팬(22)을 회전시키는 모터(2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인테이크 도어(16) 는, 인테이크 덕트(10)에 양단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도어축(17)과, 상기 도어축(17)에 폭방향 일단이 연결되는 도어 플레이트(18)를 구비하여, 상기 도어축(17)중 일단은 레버(Lever) 기구나 액츄에이터(Actuator)와 같은 미도시된 구동수단에 연결된다. 또한, 상기 도어 플레이트(18)의 양면 가장자리에는, 인테이크 덕트(10)의 내벽면에 접촉하여 내/외기흡입구(12, 14)를 선택적으로 폐쇄할 경우에 씰링(Sealing) 기능을 하도록, 미도시된 씨일 부재(Seal Member)가 각각 더 부착된다. Such a blower, as shown in FIG. 1, generally includes an intake duct provided with an intake door 16 for adjusting the openings of the inside / outside air inlets 12 and 14 and the inside and outside air inlets 12 and 14. Duct, 10); A scroll case 20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intake duct 10 and having a discharge port (not shown) formed at one side thereof; A centrifugal fan (22) rotatably installed in the scroll case (20); And a motor 24 for rotating the centrifugal fan 22. The intake door 16 includes a door shaft 17 on which both ends are rotatably supported by the intake duct 10, and a door plate 18 on which one end in the width direction is connected to the door shaft 17. Thus, one end of the door shaft 17 is connected to an unshown driving means such as a lever mechanism or an actuator. In addition, the both sides of the door plate 18, in contact with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intake duct 10 in order to selectively seal the internal / outdoor air intake opening (12, 14), not shown, Seal members are further attached to each other.

그런데, 상기한 바와 같은 플레이트형 인테이크 도어(16)에 있어서는, 도어축(17)중 일단이 구동수단에 연결되어 회전하도록 되어 있음에 따라, 도어축(17)의 구동단부로부터 도어 플레이트(18)의 대각선 방향 끝단쪽에서는 도어축(17)의 회전력이 약하게 전달되는 등의 이유로 비틀림과 길이방향의 휨변형이 발생한다. 이 때문에, 도어 플레이트(18)의 가장자리가 인테이크 덕트(10)의 내벽면에 밀착되지 못하고 들뜨게 되므로, 내/기흡입구(12, 14)를 폐쇄할 때 공기누설이 발생한다. 또한, 외기흡입구(14)를 폐쇄한 상태에서 차량을 주행할 경우, 차량 주행중에 발생하는 진동이나 풍압에 의하여 도어 플레이트(18)가 안쪽으로 밀려 외기흡입구(14)가 개방되는 문제점도 발생한다. By the way, in the plate-type intake door 16 as described above, one end of the door shaft 17 is connected to the drive means to rotate, so that the door plate 18 from the driving end of the door shaft 17 is rotated. At the diagonal end of the torsion and the warp deforma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ccurs because the rotational force of the door shaft 17 is weakly transmitted. For this reason, since the edge of the door plate 18 does not come into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intake duct 10, air leakage occurs when the inner / air intake openings 12 and 14 are closed. In addition, when the vehicle is driven while the outside air intake 14 is closed, a problem occurs in that the door plate 18 is pushed inward by the vibration or wind pressure generated while the vehicle is running, thereby opening the outside air intake 14.

상기한 플레이트형 인테이크 도어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최근에는 소위 돔형(Dome type) 인테이크 도어가 제안되고 있다. 즉,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돔형 인테이크 도어(40)는, 회전에 따라 내/외기흡입구(32, 34)를 선택적으로 막도록 인테이크 덕트(30)중 내/외기흡입구(32, 34)에 걸친 영역의 내벽면과 대응하는 형상 또는 곡면구조로 형성된 곡면 플레이트(42)와, 상기 곡면 플레이트 (42)의 길이방향 양단에서 굴곡되는 대략 부채꼴의 양쪽 아암 플레이트(Arm Plate, 44)와, 상기 각 아암 플레이트(44)의 끝단부에 바깥방향으로 형성되어 인테이크 덕트(30)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구동축(46) 및 지지축(48)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곡면 플레이트(42) 및 아암 플레이트(44)들의 가장자리에는 씰링 기능을 수행하는 씰링부재(50)가 부착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조의 돔형 인테이크 도어는, 예컨대 본 출원인에 의하여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338932호에 제안되어 있다.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of the plate type intake door, a so-called dome type intake door has recently been proposed. That is, as shown in Figures 2 to 4, the dome-shaped intake door 40, the internal / outdoor air intake 32 of the intake duct 30 to selectively block the internal / external air intake (32, 34)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A curved plate 42 formed in a shape or curved structure corresponding to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region over the area 34, and both substantially flat arm plates bent at both 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urved plate 42. And a drive shaft 46 and a support shaft 48 formed outwardly at the end of each arm plate 44 so as to be rotatably supported by the intake duct 30. In addition, a sealing member 50 that performs a sealing function is attached to the edges of the curved plate 42 and the arm plate 44. The domed intake door having the structure as described above is proposed, for example, in Korean Utility Model Model No. 338932 by the present applicant.

상기한 바와 같은 돔형 인테이크 도어에 따르면, 곡면 플레이트(42) 부분이 인테이크 덕트(30)의 내벽면을 따라 회전하면서, 내/외기흡입구(32, 34)를 선택적으로 폐쇄하거나 개방하기 때문에, 차량 주행시에 발생하는 상기한 문제점이 해소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domed intake door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curved plate 42 portion rotates along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intake duct 30, selectively closing or opening the inside / outside air intake openings 32 and 34, when driving the vehicle. The above problems occurring in can be solved.

그러나, 상기 돔형 인테이크 도어(40)에 있어서도, 한 쪽 아암 플레이트(44)에 형성된 구동축(46)에 미도시된 구동수단이 연결되어 회전하도록 되어 있고,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곡면 플레이트(42) 및 아암 플레이트(44)들을 보강할 수 있는 구조가 적용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구동축(46)이 형성된 아암 플레이트(44)쪽에는 회전력이 크게 작용하지만, 지지축(48)이 형성된 아암 플레이트(44)쪽에 전달되는 회전력이 약화되는 등의 이유로 여전히 비틀림과 길이방향의 휨변형이 발생한다. 이 때문에, 씰링 기능이 제대로 수행되지 않아, 공기가 누설되는 현상이 여전히 나타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아암 플레이트(44)들에 보강구조가 적용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아암 플레이트(44)들이 안쪽으로 휘는 현상이 발생 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인테이크 덕트(30)에 대한 구동축(46) 및 지지축(48)의 지지상태가 나빠진다. However, also in the domed intake door 40, the drive means not shown is connected to the drive shaft 46 formed on one arm plate 44 to rotate, as shown in Figures 3 and 4, The structure that can reinforce the curved plate 42 and the arm plate 44 is not applied. Accordingly, although the rotational force acts greatly on the arm plate 44 on which the drive shaft 46 is formed, the torsion and longitudinal warpage still occur due to a weakening of the rotational force transmitted to the arm plate 44 on which the support shaft 48 is formed. Deformation occurs. Because of this, the sealing function is not performed properly, there is a problem that the phenomenon of air leakage still appears. In addition, since the reinforcing structure is not applied to the arm plates 44, the arm plates 44 may be bent inwardly. In this case, the driving shaft 46 and the support shaft for the intake duct 30 may occur. The support state of 48 becomes worse.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문제점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인테이크 도어의 비틀림과 길이방향의 휨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차량 공조장치용 송풍기의 인테이크 도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mentioned conventional problems, and an object thereof is to provide an intake door of a blower for a vehicle air conditioner which can prevent the twist of the intake door and the bending deforma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인테이크 덕트의 내벽면과 대응하는 형상 또는 곡면구조로 형성된 곡면 플레이트와, 상기 곡면 플레이트의 길이방향 양단에서 굴곡되는 양쪽 아암 플레이트와, 상기 아암 플레이트들에 바깥방향으로 차례로 형성되어 인테이크 덕트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구동축 및 지지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차량 공조장치용 송풍기의 인테이크 도어에 있어서: 상기 각 아암 플레이트의 외면에는, 구동축 및 지지축으로부터 곡면 플레이트쪽으로 확대되는 구조로 제1보강홈이 각각 요입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a curved plate formed in a shape or curved structure corresponding to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intake duct, both arm plates that are bent at both 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urved plate, and the outer side to the arm plates An intake door of a vehicle air conditioner blower comprising a drive shaft and a support shaft rotatably supported by an intake duct, which are sequentially formed in a direction: an outer surface of each of the arm plates that extends from the drive shaft and the support shaft toward the curved plate The first reinforcing grooves are characterized in that each recess is formed.

상기 곡면 플레이트의 외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제2보강홈이 안쪽으로 요입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On the outer surface of the curved plate, it is preferable that the second reinforcing groove is formed in the reces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또한, 상기 제2보강홈에는, 곡면 플레이트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 개의 제1보강리브(Rib)가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a plurality of first reinforcing ribs may be formed in the second reinforcing groove along the length direction of the curved plate.

또한, 상기 곡면 플레이트의 내면에는, 제2보강리브가 형성된다. 상기 제2보강리브는, 곡면 플레이트의 폭방향으로 배치되어, 곡면 플레이트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 개 배치될 수 있다. In addition, a second reinforcing rib is form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curved plate. The second reinforcing ribs may be dispose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curved plate, and a plurality of the second reinforcing ribs may be dispos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urved plate.

또한, 서로 인접하는 제2보강리브들 사이에 X자형을 이루는 다수 개의 제3보강리브가 더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a plurality of third reinforcing ribs having an X shape may be further formed between the second reinforcing ribs adjacent to each other.

또한, 상기 곡면 플레이트 및 아암 플레이트들의 가장자리에는, 내/외기흡입구를 폐쇄할 때 인테이크 덕트의 내벽면에 밀착되어 씰링 기능을 수행하는 씰링부재가 일체로 성형되어 설치될 수 있다. In addition, at the edges of the curved plate and the arm plates, a sealing member which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intake duct and performs a sealing function when the inner / outer air inlet is closed may be integrally formed and installed.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The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based on the accompanying drawings. Prior to this, the terms or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are based on the principle that the inventor can appropriately define the concept of terms in order to explain the invention in the best way. It should be interpreted as meanings and concepts corresponding to

도 5 내지 도 8에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공조장치용 송풍기의 인테이크 도어가 도시되어 있으며, 이하의 설명에서 도 2에 도시된 참조부호와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부재를 가리킨다. 5 to 8 illustrate an intake door of a vehicle air conditioner blow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those shown in FIG. 2 indicate the same members.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인테이크 도어(100)는, 곡면 플레이트(110)와, 상기 곡면 플레이트(110)의 길이방향 양단에서 굴곡되는 양쪽 아암 플레이트(120, 120)와, 상기 아암 플레이트(120)들에 바깥방향으로 차례로 형성되는 구동축(130) 및 지지축(132)을 구비한다. As shown, the intake doo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urved plate 110, both arm plates 120 and 120 that are bent at both 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urved plate 110, and the arm plate ( The drive shaft 130 and the support shaft 132 are sequentially formed in the outer direction in the 120.

상기 곡면 플레이트(110)는, 인테이크 덕트(30)(도 2 참조)중 내/외기흡입구(32, 34)(도 2 참조)에 걸친 영역의 내벽면과 대응하는 형상 또는 곡면구조로 형성되는데, 예컨대 폭방향이 호형 곡면 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며, 구면을 자른 곡면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The curved plate 110 is formed in a shape or curved structure corresponding to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region of the intake duct 30 (see FIG. 2) that spans the inside / outside air inlets 32 and 34 (see FIG. 2), For example, the width direction may be formed in an arc-shaped curved structure, and may be formed in a curved structure cut into spherical surfaces.

또한, 상기 각 아암 플레이트(120)는, 곡면 플레이트(110)의 길이방향 양단으로부터 자유단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대략 부채꼴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한 쪽 아암 플레이트(120)의 자유단에 구동축(130)이 형성되고, 다른 쪽 아암 플레이트(120)의 자유단에는 지지축(132)이 형성된다. 상기 구동축(130) 및 지지축(132)이 인테이크 덕트(30)의 양쪽 벽면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됨으로써, 구동축(130)에 연결되는 레버 기구나 액츄에이터 등의 구동수단(미도시)에 의하여 아암 플레이트(120)가 내/외기흡입구(32, 34)를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arm plates 120 may be formed in a substantially fan shape that narrows toward both free ends from the longitudinal ends of the curved plate 110. The drive shaft 130 is formed at the free end of the arm plate 120, and the support shaft 132 is formed at the free end of the other arm plate 120. As the drive shaft 130 and the support shaft 132 are rotatably supported on both wall surfaces of the intake duct 30, the arm plate is driven by a driving means (not shown) such as a lever mechanism or an actuator connected to the drive shaft 130. 120 may selectively open and close the inside / outside air intake opening (32, 34).

본 발명에 따른 인테이크 도어(100)에는, 합성수지로 성형되는 관계로, 구동축(130)을 회전시킬 경우, 축방향으로 토오크 차이에 의해 발생하는 휨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가 적용되어 있다. The intake doo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tructure capable of preventing the bending deformation caused by the torque difference in the axial direction when the drive shaft 130 is rotated because it is formed of synthetic resin.

즉,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곡면 플레이트(110)의 외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제2보강홈(112)이 안쪽으로 요입형성됨으로써, 인테이크 도어(100)의 비틀림을 방지할 수 있다. That is, as shown in FIGS. 5 and 6, the second reinforcing groove 112 is formed in the outer surface of the curved plate 110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prevent the twist of the intake door 100. can do.

상기 제2보강홈(112)의 깊이는 아암 플레이트(120) 길이의 1/4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상기 제2보강홈(112)의 깊이가 상기 깊이보다 더 깊으면, 곡면 플레이트(110)의 폭방향 강성이 오히려 저하될 수 있기 때문이다. The depth of the second reinforcing groove 112 is preferably less than 1/4 of the length of the arm plate 120. The reason is that when the depth of the second reinforcing groove 112 is deeper than the depth, the widthwise rigidity of the curved plate 110 may be lowered.

또한, 비틀림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제2보강홈(112)은 쐐기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second reinforcement groove 112 may be formed in a wedge shape so as to effectively prevent twisting.

또한, 상기 제2보강홈(112)에, 곡면 플레이트(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 개의 제1보강리브(114)가 형성됨으로써, 곡면 플레이트(110)의 비틀림 강성을 더 높일 수 있으며, 상기 제1보강리브(114)가 곡면 플레이트(110)의 폭방향으로 배치될 경우, 더욱 효과적이다. In addition, a plurality of first reinforcing ribs 114 are formed in the second reinforcement groove 112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urved plate 110, thereby further increasing torsional rigidity of the curved plate 110. If the first reinforcing rib 114 is dispose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curved plate 110, it is more effective.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인테이크 도어(100)의 휨변형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각 아암 플레이트(120)의 외면에, 구동축(130) 및 지지축(132)으로부터 곡면 플레이트(110)쪽으로 확대되는 구조로 제1보강홈(122)이 각각 요입형성된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more effectively prevent the bending deformation of the intake door 100, on the outer surface of the arm plate 120, from the drive shaft 130 and the support shaft 132 the curved plate ( The first reinforcement grooves 122 are recessed to have a structure extending toward 110.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곡면 플레이트(110)의 내면에는, 제2보강리브(140)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이 제2보강리브(140)도, 곡면 플레이트(110)의 폭방향으로 배치되어, 곡면 플레이트(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 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as illustrated in FIG. 7, a second reinforcing rib 140 may be further form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curved plate 110. The second reinforcing ribs 140 are also arrange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curved plate 110, and a plurality of the second reinforcing ribs 140 are preferably arrang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urved plate 110.

또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인접하는 제2보강리브(140)들 사이에 X자형을 이루는 다수 개의 제3보강리브(142)가 더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as shown in FIG. 8, a plurality of third reinforcing ribs 142 having an X shape may be further formed between the second reinforcing ribs 140 adjacent to each other.

또한, 상기 곡면 플레이트(110) 및 아암 플레이트(120)들의 가장자리에는 씰링부재(150)가 일체로 성형되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상기 씰링부재(150)로 고무 씨일(Rubber Seal)이 적용될 수 있다.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sealing member 150 is integrally molded and installed at the edges of the curved plate 110 and the arm plate 120. For example, a rubber seal may be applied to the sealing member 150.

다음에,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차량 공조장치용 송풍기의 인테이크 도어의 작용을 설명한다. Next, the operation of the intake door of the blower for the vehicl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본 발명에 따른 인테이크 도어(100)가, 예컨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인테이크 덕트(30)에 장착되어, 구동축(130)에 연결되는 구동수단에 의하여 회전할 경우, 곡면 플레이트(110) 부분이 내/외기흡입구(32, 34)를 선택적으로 개폐하게 된다. 따라서, 차량 주행 등의 경우에, 폐쇄된 외기흡입구(34)가 개방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지 않는다. When the intake doo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to the intake duct 30 as shown in FIG. 2, for example, and rotates by a driving means connected to the drive shaft 130, the curved plate 110 portion is formed. The internal and external air intakes 32 and 34 are selectively opened and closed. Therefore, in the case of vehicle driving or the like, there is no problem that the closed air intake opening 34 is opened.

본 발명의 인테이크 도어(100)가 회전하는 과정에서, 한 쪽 아암 플레이트(120)쪽의 구동축(130)에 의하여 인테이크 도어(100)가 회전하는 관계로, 축방향으로 토오크 차이에 의하여 비틀림 모멘트가 작용하지만, 본 발명의 인테이크 도어(100)는 보강홈들(112, 122) 및 보강리브들(114, 140, 142)에 의하여 비틀림 강성이 증대되어 있으므로, 토오크 차이에 의하여 인테이크 도어(100)에 비틀림이 발생하지 않음은 물론 길이방향의 휨변형이 발생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In the process of rotating the intake door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take door 100 is rotated by the drive shaft 130 on one arm plate 120 side, the torsional moment due to the torque difference in the axial direction Although the intake door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torsional stiffness increased by the reinforcement grooves 112 and 122 and the reinforcement ribs 114, 140 and 142, the intake door 100 may be formed by the torque difference. Not only torsion occurs but also to generation of longitudinal warping deformation can be prevented.

또한, 본 발명의 인테이크 도어(100)에 있어서는, 각 아암 플레이트(120)가 제1보강홈(122)에 의하여 보강되어 있기 때문에, 아암 플레이트(120)들이 안쪽으로 휘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는다. In addition, in the intake door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arm plates 120 are reinforced by the first reinforcing grooves 122, the phenomenon that the arm plates 120 are bent inward does not occur.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차량 공조장치용 송풍기의 인테이크 도어에 의하면, 곡면 플레이트(110) 및 아암 플레이트(120)들에 형성된 보강홈들(112, 122) 및 보강리브들(114, 140, 142)에 의하여 인테이크 도어(100)의 비틀 림 강성이 증대됨으로써, 한 쪽 아암 플레이트(120)쪽의 구동축(130)에 의하여 인테이크 도어(100)가 회전하는 관계로, 축방향으로 토오크 차이에 의하여 발생하는 비틀림과 길이방향의 휨변형이,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가 있다. 따라서, 인테이크 도어(100)의 양쪽 가장자리, 즉 씰링부재(150) 부분이 인테이크 도어(100)의 내벽면에 밀착되어 공기누설을 방지하는 씰링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송풍기의 풍량이 증대되고, 차량 공조장치의 냉/난방 성능을 높일 수 있다. According to the intake door of the air conditioner blow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e reinforcing grooves 112 and 122 and the reinforcing ribs 114 and 140 formed in the curved plate 110 and the arm plate 120. 142, the torsional rigidity of the intake door 100 is increased, so that the intake door 100 is rotated by the drive shaft 130 on one arm plate 120, the torque difference in the axial direction The torsion and longitudinal warpage deformation caused by this can be effectively prevented. Therefore, both edges of the intake door 100, that is, the portion of the sealing member 150 may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intake door 100, and thus the sealing performance of preventing air leakage may be improved. As a result, the air volume of the blower is increased, and the cooling / heating performance of the vehicle air conditioner can be improved.

또한, 본 발명의 인테이크 도어(100)에 있어서는, 각 아암 플레이트(120)가 제1보강홈(122)에 의하여 보강되어 있기 때문에, 아암 플레이트(120)들이 안쪽으로 휘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인테이크 덕트(30)에 대한 구동축(130) 및 지지축(132)의 지지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intake door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arm plates 120 are reinforced by the first reinforcing grooves 122, the arm plates 120 do not bend inwardly. The support state of the drive shaft 130 and the support shaft 132 with respect to the duct 30 can be stably maintained.

Claims (7)

인테이크 덕트(Intake Duct)의 내벽면과 대응하는 형상 또는 곡면구조로 형성된 곡면 플레이트(Plate, 110)와, 상기 곡면 플레이트의 길이방향 양단에서 굴곡되는 양쪽 아암 플레이트(Arm Plate, 120)와, 상기 아암 플레이트들에 바깥방향으로 차례로 형성되어 인테이크 덕트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구동축(130) 및 지지축(132)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차량 공조장치용 송풍기의 인테이크 도어(Intake Door)에 있어서: Curved plates (Plate, 110) formed in a shape or curved structure corresponding to the inner wall of the intake duct (Intake Duct), and both arm plates (Arm Plate, 120) bent at both 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urved plate, and the arm In the intake door of the blower for a vehicle air conditioner, which includes a drive shaft 130 and a support shaft 132 which are sequentially formed outwardly on the plates and rotatably supported by the intake duct: 상기 각 아암 플레이트의 외면에는, 구동축 및 지지축으로부터 곡면 플레이트쪽으로 확대되는 구조로 제1보강홈(122)이 각각 요입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공조장치용 송풍기의 인테이크 도어.The intake door of the vehicle air conditioner blower, wherein the first reinforcing grooves 122 are formed in the outer surface of each arm plate so as to extend from the driving shaft and the support shaft toward the curved plate.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곡면 플레이트의 외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제2보강홈(112)이 안쪽으로 요입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공조장치용 송풍기의 인테이크 도어. Intake door of the vehicle air conditioner blower, characterized in that the second reinforcing groove 112 is recessed inwardly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outer surface of the curved plate. 제 2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제2보강홈(112)에는, 곡면 플레이트(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 개의 제1보강리브(Rib, 114)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공조장치용 송풍기의 인테이크 도어.The second reinforcement groove 112, the intake door of the vehicle air conditioner blower,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first reinforcing ribs (Rib, 114) is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urved plate (110). 제 1 항 내지 제 3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상기 곡면 플레이트(110)의 내면에는, 제2보강리브(140)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공조장치용 송풍기의 인테이크 도어.Intake door of the vehicle air conditioner blower, characterized in that the second reinforcing rib 140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curved plate (110). 제 4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제2보강리브(140)는, 곡면 플레이트(110)의 폭방향으로 배치되어, 곡면 플레이트(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 개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공조장치용 송풍기의 인테이크 도어. The second reinforcing rib 140 is dispose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curved plate 110, the intake door of the blower for a vehicle air conditioner,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arrang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urved plate (110). 제 4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제2보강리브(140)는, 곡면 플레이트(110)의 폭방향으로 배치되어, 곡면 플레이트(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 개 형성되고, 상기 제2보강리브(140)들 사이에, X자형을 이루는 다수 개의 제3보강리브(142)가 더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공조장치용 송풍기의 인테이크 도어.The second reinforcing ribs 140 are dispose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curved plate 110, and a plurality of the second reinforcing ribs 140 are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urved plate 110, and between the second reinforcing ribs 140, X The intake door of the vehicle air conditioner blower,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third reinforcing ribs 142 to form a further shape.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곡면 플레이트(110) 및 아암 플레이트(120)들의 가장자리에는 씰링부재(150)가 일체로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공조장치용 송풍기의 인테이크 도어. The intake door of the vehicle air conditioner blower, characterized in that the sealing member 150 is integrally installed at the edge of the curved plate 110 and the arm plate (120).
KR1020050002094A 2005-01-10 2005-01-10 Intake door of blower for car air conditioner KR20060081597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2094A KR20060081597A (en) 2005-01-10 2005-01-10 Intake door of blower for car air conditio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2094A KR20060081597A (en) 2005-01-10 2005-01-10 Intake door of blower for car air condition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1597A true KR20060081597A (en) 2006-07-13

Family

ID=371725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02094A KR20060081597A (en) 2005-01-10 2005-01-10 Intake door of blower for car air condition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81597A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13877A (en) * 2013-03-14 2014-09-25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Hvac door with intersecting surface configurations
KR101453363B1 (en) * 2008-10-13 2014-10-21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Blower for Vehicles
CN111038219A (en) * 2019-12-31 2020-04-21 博耐尔汽车电气系统有限公司 Internal and external circulation air door of vehicle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3363B1 (en) * 2008-10-13 2014-10-21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Blower for Vehicles
KR20140113877A (en) * 2013-03-14 2014-09-25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Hvac door with intersecting surface configurations
CN111038219A (en) * 2019-12-31 2020-04-21 博耐尔汽车电气系统有限公司 Internal and external circulation air door of vehicle
CN111038219B (en) * 2019-12-31 2023-07-28 博耐尔汽车电气系统有限公司 Vehicle-in-vehicle and vehicle-out circulation air doo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32948B2 (en) Method of manufacturing impeller for centrifugal blower
US6193600B1 (en) Air passage switching system for air conditioner
US4222710A (en) Axial flow fan having auxiliary blade
US20100120348A1 (en) Blowing-mode door for vehicle air-conditioning apparatus and vehicle air-conditioning apparatus using the same
AU2006298249A1 (en) Centrifugal fan and air conditioner using the same
US11951824B2 (en) Shutter device for vehicle
KR20060081597A (en) Intake door of blower for car air conditioner
US6786816B2 (en) Inside/outside air switching device for vehicular air conditioning unit
US20080026687A1 (en) Passage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US20030231960A1 (en) Fan blade assembly
JP2008291664A (en) Flapper structure for cooling fan shroud
JP4016523B2 (en) Inside / outside air switching device for vehicle air conditioner
JP2007118651A (en) Cooling device for vehicle
JP4081899B2 (en) Inside / outside air switching device for vehicle air conditioner
KR101453363B1 (en) Blower for Vehicles
KR101260523B1 (en) Actuator Mounting for Rotary Type Intake Door
CN114516266A (en) Air door
KR101040892B1 (en) Blower Unit for Air Conditioning System of a Car
KR20070059309A (en) Blower unit for air conditioning system of vehicle
KR20070030379A (en) Intake Door Sealing Assembly for 2 Layer Type Air Conditioner
JP2004243796A (en) Air conditioner
JP2012001178A (en) Device for switching of inside/outside air
WO2022044572A1 (en) Vehicular shutter device
JP2009179120A (en) Rotary door system
KR102635820B1 (en) Active Air Flap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