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79501A - 오폐수 처리시설의 전처리 및 유량 조정 장치 - Google Patents

오폐수 처리시설의 전처리 및 유량 조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79501A
KR20060079501A KR20040117714A KR20040117714A KR20060079501A KR 20060079501 A KR20060079501 A KR 20060079501A KR 20040117714 A KR20040117714 A KR 20040117714A KR 20040117714 A KR20040117714 A KR 20040117714A KR 20060079501 A KR20060079501 A KR 200600795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nk
wastewater
waste water
flow rate
treatment facil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401177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50181B1 (ko
Inventor
김대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남
Priority to KR200401177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50181B1/ko
Publication of KR200600795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795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501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501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28Anaerobic digestion processes
    • C02F3/2833Anaerobic digestion processes using fluidized bed reactor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24Separation of coarse particles, e.g. by using sieves or scree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1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Abstract

본 발명은 오폐수 처리시설의 전처리 및 유량 조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 오폐수가 유입되는 오폐수유입관(11)이 연결되며, 내부에 오폐수 내의 조대입자를 거르는 스크린망(12)이 구비된 스크린조(10)와, 상기 스크린조(10)를 통과한 오폐수가 유입되며, 유입된 오폐수의 토사 및 유분을 제거하는 분리조(20)와, 상기 분리조(20)에 연결되어 이 분리조(20)에서 토사 및 유분이 분리된 오폐수가 유입되며, 내부에 유동상접촉여재(31)가 장착된 혐기조(30)와, 상기 혐기조(30)에 연계되어 혐기조(30)를 통과한 오폐수가 유입되어 이 오폐수의 유기물질을 미세하게 분해하여 유량을 조정하는 유량조정조(40)와, 상기 유량조정조(40)의 상부에 설치되어 유량조정조(40)에서 오폐수가 유입되어 이 유입된 오폐수를 일정량으로 제어하여 오수처리시설로 유입시키는 계량조(50)와, 일단은 상기 유량조정조(40)에 연계되고, 타단은 상기 계량조(50)에 연계되어 유량조정조(40)에서 처리된 오폐수를 계량조(50)로 일정량 유입시키는 에어리프트(60)로 구성되어 오폐수를 기존의 오수처리시설로 유입시키기 전에 미리 오폐수에 포함된 고형물을 사전에 제거하고 비중이 큰 토사류를 침전시키고 비중이 작은 유분 등을 부상시켜 제거하여 오폐수처리시설의 기계류가 상기한 고형물과 토사류, 유분 등에 의해 마모되거나 막혀 고장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 오폐수에 포함된 고형물, 토사류, 유분 등이 제거된 상태로 오폐수처리시설로 유입됨으로 오폐수처리시설의 유효용량이 작아지는 것을 방지하고 유기물질의 부하량을 줄여 그 처리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계량조(50)에 의해 오폐수처리시설로 오폐수를 일정하게 유입시켜 오폐수의 처리효율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오폐수를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Description

오폐수 처리시설의 전처리 및 유량 조정 장치{Preprocessing And Adjustment Apparatus of Waster Water Recyclic Apparatus}
도 1 은 본 발명의 구성을 도시한 평단면
도 2 는 도 1의 A - A'단면도
도 3 은 도 1의 B - B'단면도
*도면 중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1 : 탱크하우징 10 : 스크린조
11 : 오폐수유입관 12 : 스크린망
20 : 분리조 ` 30 : 혐기조
31 : 유동상접촉여재 40 : 유량조정조
50 : 계량조 60 : 에어리프트
본 발명은 오폐수 처리시설의 전처리 및 유량 조정 장치로서, 더 상세하게는 기존의 오수처리시설로 유입되는 오수의 이물질을 제거한 한 후 기존의 오수 처리 시설로 일정량으로 이송되도록 하여 오수 처리 시설의 처리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도록 발명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오폐수는 사람의 일상생활과 관련하여 수세식 화장실, 목욕탕, 주방 등에서 배출되거나, 공장, 축산시설에서 배출되는 액체성 또는 고체성 오물이 섞여 있는 물은 오수, 분뇨 및 축산 폐수에 관한 법률이 정하는 방류수질 기준 이하로 정화한 후 방류하여야 한다.
따라서 최근에는 주거용 건물이나 산업시설에서 발생되는 생활오수나 폐수 등을 생물학적 또는 화학적으로 처리하여 배출허용기준치 이하로 정화시킨 다음 배출하기 위한 오폐수처리장치가 설치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 오폐수처리장치는 통상 섬유강화 플라스틱(FRP)으로 제조된 정화조를 사용하고 있으며, 이 섬유강화플라스틱은 내수성, 내약품성 및 내열성이 우수한 합성수지에 항장력이 우수한 유리섬유를 함유시킨 복합재료이다.
한편, 상기한바와 같이 가정이나, 산업시설에서 배출되는 소규모의 오폐수처리장치는 유입된 오폐수를 일차적으로 저장하고, 유량을 조절하는 유량조정조와; 이 유량조정조를 거친 오폐수를 생물학적으로 처리하기 위한 접촉여재가 설치된 포기조와; 이 포기조를 거친 물에 함유된 부유물질을 침전시키는 침전조와; 이 침전조에서 분리된 상등수를 방류시키는 방류조로 구성된다.
즉, 오폐수가 유량조정조에서 포기조로 이동하여 매생물이 부착하여 성장하 는 접촉여재에 접촉하면서 폭기되어 정화한 후 침전조에서 부유물질을 침전시켜 상등수를 분리한 후 배출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오폐수 처리장치는 유입되는 오폐수의 양이 일정치 않아 오폐수에 포함된 고형물과 비중이 큰 토사류에 의해 펌프 등과 같은 기계류의 마모와 막힘 현상으로 고장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또한 오폐수처리장치로 유입되는 오폐수의 양이 일정하지 않고, 오폐수에 포함된 고형물과 토사류가 퇴적되면서 오폐수 처리장치에서 처리할 수 있는 유효용량이 작아지는 폐단이 있었던 것이다.
상기한 종래의 소규모 오폐수 처리장치는 급격한 오폐수 유입에 의한 안정적인 처리 효율을 얻기 어렵고, 제거에 한계를 가지는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오폐수를 미리 일정부분 처리하여 오폐수처리시설로 일정하게 유입시킴으로써 오폐수 처리시설에서 오폐수를 안정적으로 처리함은 물론 그 처리효율을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하는 오폐수 처리시설의 전처리 및 유량 조정 장치을 제공하는 데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은 오폐수가 유입되는 오폐수유입관(11)이 연결되며, 내부에 오폐수 내의 조대입자를 거르는 스크린망(12)이 구비된 스크린조(10)와;
상기 스크린조(10)를 통과한 오폐수가 유입되며, 유입된 오폐수의 토사 및 유분을 제거하는 분리조(20)와;
상기 분리조(20)에 연결되어 이 분리조(20)에서 토사 및 유분이 분리된 오폐수가 유입되며, 내부에 유동상접촉여재(31)가 장착된 혐기조(30)와;
상기 혐기조(30)에 연계되어 혐기조(30)를 통과한 오폐수가 유입되어 이 오폐수의 유기물질을 미세하게 분해하여 유량을 조정하는 유량조정조(40)와;
상기 유량조정조(40)의 상부에 설치되어 유량조정조(40)에서 오폐수가 유입되어 이 유입된 오폐수를 일정량으로 제어하여 오수처리시설로 유입시키는 계량조(50)와;
일단은 상기 유량조정조(40)에 연계되고, 타단은 상기 계량조(50)에 연계되어 유량조정조(40)에서 처리된 오폐수를 계량조(50)로 일정량 유입시키는 에어리프트(60)로 구성되어 달성된다.
즉, 오폐수처리장치로 유입되기 전 오폐수가 스크린조(10)와 분리조(20), 혐기조(30), 유량조정조(40)를 통과하면서 내부에 포함된 고형물이나 토사류 등을 어느 정도 제거한 후 계량조(50)를 통하여 오폐수처리장치로 오폐수를 일정량으로 유입시키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발명의 구성을 도시한 평단면도로서, 스크린조와 분리조, 혐기조, 유량조정조, 계량조가 하나의 탱크하우징 내에 칸막이로 구획되어 구분되어 있 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도 2 는 도 1의 A - A'단면도로서, 분리조의 상부에 스크린조가 구비되고, 분리조와 혐기조는 칸막이에 구획되어 하부로 연통된 것을 나타내고 있다.
도 3 은 도 1의 B - B'단면도로서, 유량조정조의 상부에 계량조가 구비되고, 이 계량조와 유량조정조가 에어리프트에 의해 연계된 것을 나타내고 있다.
이하,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스크린조(10)와 분리조(20), 혐기조(30), 유량조정조(40), 계량조(50)는 하나의 탱크하우징(1) 내에 세로, 가로칸막이(1a, 1b)에 의해 구획되어 형성된다.
이 탱크하우징(1)은 내부에 오폐수를 유입하여 저장할 수 있는 저장공간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저장공간은 세로칸막이(1a)에 의해 구획되어 일 측에는 스크린조(10)와 분리조(20), 혐기조(30)가 형성되고, 타 측에는 유량조정조(40)와 계량조(50)가 형성되도록 구획된다.
이 세로칸막이(1a)에 의해 구획된 일 측은 가로칸막이(1b)에 의해 분리조(20)와 혐기조(30)로 구획되며, 이 가로칸막이(1b)는 하단이 탱크하우징(1)의 하부와 소정의 간격을 가지도록 분리조(20)와 혐기조(30)를 구획하여 이 분리조(20)와 혐기조(30)가 가로칸막이(1b)의 하부로 연통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분리조(20)의 상부에는 스크린망(12)이 설치된 스크린조(10)가 구비되며, 이 스크린조(10)의 하부는 뚫려져 스크린망(12)을 통과하는 오폐수가 분리조(20)로 유입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스크린망(12)은 스크린조(10) 내부에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장착되어 오폐수와의 접촉면적을 증대시켜 오폐수에 포함된 조대 물질을 걸러내는 효율이 증대되도록 장착한다.
이 스크린조(10)는 가정이나 공장, 사무실, 음식점 등에서 발생되는 오폐수를 유입시키는 오폐수유입관(11)이 결합되어 연결된다.
또 상기 혐기조(30) 내부에는 혐기성 미생물이 부착되는 유동상접촉여재(31)가 설치되어 혐기성 미생물에 의해 유기물질을 제거하고, 슬러지의 일부를 침전시켜 슬러지 반송장치를 통해 농축저류조(미도시)로 이송시킨다.
즉, 상기 오폐수유입관(11)을 통하여 오폐수가 스크린조(10)로 유입되면 스크린망(12)을 통과하면서 오폐수와 함께 유입되는 조대입자가 걸러져 제거된 후 분리조(20)로 유입되는 것이다.
오폐수는 분리조(20)에서 흐름이 일단 제어되며, 이로 인해 오폐수에 포함된 토사가 그 하중에 의해 침전되고, 오폐수에 포함된 유분은 물보다 가벼운 비중을 가지므로 오폐수의 상부로 떠서 분리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한 바와 같이 토사와 유분이 분리된 오폐수는 가로칸막이(1b)의 하부를 통해서 혐기조(30)로 유입되며, 이 혐기조(30)에 장착된 유동상접촉여재(31)의 혐기성 미생물에 의해 유기물질이 제거되고 슬러지를 일부 침전시켜 슬러지반송장치를 통해 오폐수처리시설의 농축저류조로 이송시켜 처리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탱크하우징(1)의 타 측에는 세로칸막이(1a)로 구획되어 유량조정조(40)가 형성되며, 이 유량조정조(40)의 상부로 오폐수처리장치로 본 발명에 의해 처리된 오폐수를 일정량으로 계량하여 공급하는 계량조(50)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유량조정조(40)와 계량조(50)는 에어리프트(60)에 의해 연계되 며, 이 에어리프트(60)는 일단이 유량조정조(40)에 연계되고, 타단이 계량조(50)에 연계되는 리프트관(61)과, 이 리프트관(61)에 에어공급관(62)을 통해 공기를 공급하는 에어리프트펌프(미도시)로 구성된다.
즉, 혐기조(30)를 거쳐 유입되는 오폐수는 유량조정조(40)에 서 유기물질이 미세하게 분해되며, 혐기조(30)를 통하여 유입되는 오폐수를 잠시 저장하여 계량조(50)를 통하여 오폐수처리시설로 이송되는 오폐수의 양을 조정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유량조정조(40)에 저장되는 오폐수는 에어리프트펌프가 작동하여 에어공급관(62)을 통하여 리프트관(61)으로 공기가 공급되면 공급된 공기가 리프트관(61) 내부에서 기포로 부상하게 되고, 기포가 상승하면서 리프트관(61) 내부에서 형성된 부압에 의해 유량조정조(40)에 저장된 오폐수가 리프트관(61)을 통해 빨려 들어가면서 계량조(50)로 이송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리프트관(61)을 통해서 계량조(50)로 이송되는 오폐수의 양을 조절함으로써 오폐수처리시설로 이송되는 오폐수의 양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오폐수를 기존의 오수처리시설로 유입시키기 전에 미리 오폐수에 포함된 고형물을 사전에 제거하고 비중이 큰 토사류를 침전시키고 비중이 작은 유분 등을 부상시켜 제거하여 오폐수처리시설의 기계류가 상기한 고형물과 토사류, 유분 등에 의해 마모되거나 막혀 고장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 할 수 있는 것이다.
또 오폐수에 포함된 고형물, 토사류, 유분 등이 제거된 상태로 오폐수처리시설로 유입됨으로 오폐수처리시설의 유효용량이 작아지는 것을 방지하고 유기물질의 부하량을 줄여 그 처리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계량조에 의해 오폐수처리시설로 오폐수를 일정하게 유입시켜 오폐수의 처리효율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오폐수를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2)

  1. 오폐수가 유입되는 오폐수유입관(11)이 연결되며, 내부에 오폐수 내의 조대입자를 거르는 스크린망(12)이 구비된 스크린조(10)와;
    상기 스크린조(10)를 통과한 오폐수가 유입되며, 유입된 오폐수의 토사 및 유분을 제거하는 분리조(20)와;
    상기 분리조(20)에 연결되어 이 분리조(20)에서 토사 및 유분이 분리된 오폐수가 유입되며, 내부에 유동상접촉여재(31)가 장착된 혐기조(30)와;
    상기 혐기조(30)에 연계되어 혐기조(30)를 통과한 오폐수가 유입되어 이 오폐수의 유기물질을 미세하게 분해하여 유량을 조정하는 유량조정조(40)와;
    상기 유량조정조(40)의 상부에 설치되어 유량조정조(40)에서 오폐수가 유입되어 이 유입된 오폐수를 일정량으로 제어하여 오수처리시설로 유입시키는 계량조(50)와;
    일단은 상기 유량조정조(40)에 연계되고, 타단은 상기 계량조(50)에 연계되어 유량조정조(40)에서 처리된 오폐수를 계량조(50)로 일정량 유입시키는 에어리프트(6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폐수 처리시설의 전처리 및 유량 조정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조(10)와 분리조(20), 혐기조(30), 유량조정 조(40), 계량조(50)는 하나의 탱크하우징(1) 내에 세로, 가로칸막이(1a, 1b)에 의해 구획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폐수 처리시설의 전처리 및 유량 조정 장치.
KR20040117714A 2004-12-31 2004-12-31 오폐수 처리시설의 전처리 및 유량 조정 장치 KR1006501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40117714A KR100650181B1 (ko) 2004-12-31 2004-12-31 오폐수 처리시설의 전처리 및 유량 조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40117714A KR100650181B1 (ko) 2004-12-31 2004-12-31 오폐수 처리시설의 전처리 및 유량 조정 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37588U Division KR200380371Y1 (ko) 2004-12-31 2004-12-31 오폐수 처리시설의 전처리 및 유량 조정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79501A true KR20060079501A (ko) 2006-07-06
KR100650181B1 KR100650181B1 (ko) 2006-11-29

Family

ID=371711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40117714A KR100650181B1 (ko) 2004-12-31 2004-12-31 오폐수 처리시설의 전처리 및 유량 조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50181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8256B1 (ko) * 2003-11-04 2008-01-24 동부일렉트로닉스 주식회사 반응조 결합형 폐수 집수조 및 폐수 처리방법
CN103130328A (zh) * 2013-02-27 2013-06-05 天津泰达新水源科技开发有限公司 人工湿地污水预处理装置
KR101399402B1 (ko) * 2013-05-29 2014-05-27 삼안기업 주식회사 와류형 폭기장치를 이용한 frp 오폐수 처리시설
KR101966593B1 (ko) * 2018-08-06 2019-08-27 주식회사 조은세상 다기능 바이오 여과필터에 의해 정화 공정이 축소되는 오·폐수 정화장치 및 이를 이용한 오·폐수 정화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5055Y1 (ko) * 1993-10-09 1996-06-21 신동천 일체형 오수 정화장치
KR100279843B1 (ko) * 1998-11-16 2001-02-01 강대권 오폐수 접촉폭기 정화장치 및 접촉폭기 정화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8256B1 (ko) * 2003-11-04 2008-01-24 동부일렉트로닉스 주식회사 반응조 결합형 폐수 집수조 및 폐수 처리방법
CN103130328A (zh) * 2013-02-27 2013-06-05 天津泰达新水源科技开发有限公司 人工湿地污水预处理装置
KR101399402B1 (ko) * 2013-05-29 2014-05-27 삼안기업 주식회사 와류형 폭기장치를 이용한 frp 오폐수 처리시설
KR101966593B1 (ko) * 2018-08-06 2019-08-27 주식회사 조은세상 다기능 바이오 여과필터에 의해 정화 공정이 축소되는 오·폐수 정화장치 및 이를 이용한 오·폐수 정화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50181B1 (ko) 2006-1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09033271A1 (en) Apparatus for waste water treatment
RU2121981C1 (ru) Метод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чистки сточных вод
EA015235B1 (ru) Установка для глубокой биологической очистки сточных вод
KR20120092236A (ko) 마이크로버블 유닛과 경사판 구조를 갖는 가압 부상식 오염수 처리방법
CN113754210A (zh) 一种全地埋式钢筋砼结构的小型污水处理系统及处理方法
KR101541070B1 (ko) 고도처리장치
KR100446141B1 (ko) 가압부상분리와 응집침전분리를 연계한 고농도 유기성오폐수 처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650181B1 (ko) 오폐수 처리시설의 전처리 및 유량 조정 장치
KR101025927B1 (ko) 오폐수와 축산폐수 및 분뇨처리수의 재이용을 위한 정화장치
KR101037888B1 (ko) 침전, 생물학적 분해, 여과, 인제거, 자외선소독 일체형 하이브리드 하폐수 처리장치
KR100419959B1 (ko) 미생물접촉과 식물을 이용한 하수, 하천수와 오·폐수의 처리방법 및 그 처리 시스템
KR102457108B1 (ko) 미세 부유물질의 부상 분리 및 여과 기능을 구비한 하폐수처리시설의 여과장치
EP2822901B1 (en) Water treatment system and method
KR200380371Y1 (ko) 오폐수 처리시설의 전처리 및 유량 조정 장치
CN215975459U (zh) 一种全地埋式钢筋砼结构的小型污水处理系统
KR100414688B1 (ko) 침전 및 생물막여과조를 이용한 오수처리장치 및 그 방법
JP5270247B2 (ja) 食品加工工場排水処理設備
CN108793599A (zh) 一种低浓度有机污水处理系统
KR100710501B1 (ko) 유량 조절장치
KR100381901B1 (ko) 접촉산화방법을 이용한 오염심화 하천수 및 하수, 오수처리시설의 방류수 처리시스템
JP3972406B2 (ja) 厨芥処理装置
KR100956554B1 (ko) 미세플럭 제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오·폐수 처리장치
CN206308224U (zh) 一种油田污水站加微生物处理装置
RU173044U1 (ru) Устройство биологической очистки сточных вод
KR100415588B1 (ko) 오폐수처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12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