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77833A - 고압방전등용 단선 및 단락 감지 장치 - Google Patents

고압방전등용 단선 및 단락 감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77833A
KR20060077833A KR1020040117806A KR20040117806A KR20060077833A KR 20060077833 A KR20060077833 A KR 20060077833A KR 1020040117806 A KR1020040117806 A KR 1020040117806A KR 20040117806 A KR20040117806 A KR 20040117806A KR 20060077833 A KR20060077833 A KR 200600778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voltage
disconnection
short circuit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178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38714B1 (ko
Inventor
김선화
Original Assignee
김선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선화 filed Critical 김선화
Priority to KR10200401178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38714B1/ko
Publication of KR200600778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778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387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387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1/00Circuit 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igniting or operating discharge lamps
    • H05B41/14Circuit arrangements
    • H05B41/26Circuit arrangements in which the lamp is fed by power derived from dc by means of a converter, e.g. by high-voltage dc
    • H05B41/28Circuit arrangements in which the lamp is fed by power derived from dc by means of a converter, e.g. by high-voltage dc using static converters
    • H05B41/282Circuit arrangements in which the lamp is fed by power derived from dc by means of a converter, e.g. by high-voltage dc using static convert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 H05B41/285Arrangements for protecting lamps or circuits against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H05B41/2851Arrangements for protecting lamps or circuits against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for protecting the circuit against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1/00Circuit 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igniting or operating discharge lamps
    • H05B41/14Circuit arrangements
    • H05B41/26Circuit arrangements in which the lamp is fed by power derived from dc by means of a converter, e.g. by high-voltage dc
    • H05B41/28Circuit arrangements in which the lamp is fed by power derived from dc by means of a converter, e.g. by high-voltage dc using static converters
    • H05B41/282Circuit arrangements in which the lamp is fed by power derived from dc by means of a converter, e.g. by high-voltage dc using static convert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 H05B41/285Arrangements for protecting lamps or circuits against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H05B41/2851Arrangements for protecting lamps or circuits against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for protecting the circuit against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H05B41/2856Arrangements for protecting lamps or circuits against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for protecting the circuit against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against internal abnormal circuit condi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1/00Circuit 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igniting or operating discharge lamps
    • H05B41/14Circuit arrangements
    • H05B41/26Circuit arrangements in which the lamp is fed by power derived from dc by means of a converter, e.g. by high-voltage dc
    • H05B41/28Circuit arrangements in which the lamp is fed by power derived from dc by means of a converter, e.g. by high-voltage dc using static converters
    • H05B41/288Circuit arrangements in which the lamp is fed by power derived from dc by means of a converter, e.g. by high-voltage dc using static convert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and specially adapted for lamps without preheating electrodes, e.g. for high-intensity discharge lamps, high-pressure mercury or sodium lamps or low-pressure sodium lamps
    • H05B41/292Arrangements for protecting lamps or circuits against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Landscapes

  • Testing Of Short-Circuits, Discontinuities, Leakage, Or Incorrect Line Connec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부전원이 입력되는 전원입력부와, 상기 전원입력부로 입력된 전원을 안정기에 공급하는 전원출력부와, 상기 전원입력부로 입력되는 전원의 전압을 입력받는 센싱부와, 상기 센싱부로 입력된 전압과 제1기준전압을 비교하여 단선여부를 판단하는 단선검지부와, 상기 센싱부로 입력된 전압과 제2기준전압을 비교하여 단락여부를 판단하는 단락검지부와, 상기 단선검지부 및 단락검지부에서 판단된 결과에 따라 단선 또는 단락상태를 판단하고 그에 따른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에서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이상상태를 나타내는 상태표시부 및 상기 제어부에서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전원입력부에서 전원출력부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릴레이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방전등용 단선 및 단락 감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영상변류기를 사용하지 않고, 입력측의 전압을 측정하여 고압방전등 점등장치의 단선 및 단락을 감지하도록 함으로써, 외부환경의 변화에 무관하게 정상적으로 작동할 수 있으며, 고압방전등 점등장치의 이상상태 감지능력을 충분히 보장할 수 있음은 물론, 고압방전등 점등장치의 이상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장치의 소형화가 가능하여, 제품의 적용범위를 크게 확장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사용상의 편리성이 개선되어 보다 상품성이 향상되는 등의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고압방전등, 단선, 단락, 제1비교기, 제2비교기, 포토커플러, 오피엠프

Description

고압방전등용 단선 및 단락 감지 장치{Open and Short Detecting Device for High Voltage Discharge Lamp}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고압방전등용 단선 및 단락 감지 장치의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고압방전등용 단선 및 단락 감지 장치의 회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전원입력부 20 : 전원출력부
30 : 센싱부 40 : 단선검지부
41 : 제1비교기 50 : 단락검지부
51 : 제2비교기 60 : 제어부
61 : 포토커플러 62 : 오피엠프
70 : 상태표시부 71 : 이상상태표시엘이디
80 : 릴레이부 81 : 사이리스터
82 : 릴레이
본 발명은 고압방전등용 단선 및 단락 감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영상변류기를 사용하지 않고, 입력측의 전압을 측정하여 고압방전등 점등장치의 단선 및 단락을 감지하도록 `함으로써, 외부환경의 변화에 무관하게 정상적으로 작동할 수 있으며, 고압방전등 점등장치의 이상상태 감지능력을 충분히 보장할 수 있음은 물론, 고압방전등 점등장치의 이상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장치의 소형화가 가능하여, 제품의 적용범위를 크게 확장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로등과 같이 매우 밝은 조명을 필요로 하는 곳에는 수은등이나 나트륨등 또는 메탈할라이드등과 같은 고압방전등이 사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고압방전등을 점등하기 위해서는 초기에 고압의 펄스신호를 인가하여 점등하게 되며, 점등이 되고나면 공급되는 전류를 제어하기 위하여 역률개선용콘덴서가 설치된 안정기가 필요하게 된다.
이때, 외부의 진동에 의해 소켓 이탈 등에 따른 접촉 불량이나, 출력단 선로의 접촉 불량 또는 구성부품의 이탈 및 절연불량 등으로 인하여 램프의 수명 단축은 물론, 구동부의 과부하에 의한 발열발생 및 고압발진의 지속으로 인하여 안정기의 수명단축 이나 소손을 발생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국내등록실용신안 제310502호 “가로등의 전구단락 및 과전류 검출장치”는 단락발생시 일정시간 지연한 후 릴레 이를 오프시켜 전원공급을 차단하도록 함으로써 안정기의 수명단축을 막도록 한 것이다.
또한, 국내등록실용신안 제339198호 “고압방전등의 안정기 보호회로”는 안정기의 입력단에서 단락상태를 검출하고, 램프의 단락이 발생될 경우 고압발생회로로부터의 고압발생을 차단하여 안정기의 파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 국내등록실용신안 제310502호 및 국내등록실용신안 제339198호는 단락을 검출하기 위한 수단으로 영상변류기(ZCT : Zero Current Transformer)를 사용하게 되는 바, 상기 영상변류기는 비접촉으로 선로에 흐르는 자기를 측정하여 상기 선로의 전류를 측정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전류를 측정하고자 하는 선로가 영상변류기를 관통하도록 설치한 후, 상기 선로에 흐르는 전류에 의해 발생되는 자기장을 측정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영상변류기는 그 외형이 크고 무게가 무겁기 때문에 단락을 검지하는 장치의 크기와 질량이 커지게 되어 가로등이나 실내전등의 단락감지를 위해 사용하기에는 불편함이 많았다.
또한, 가로등의 경우 설치목적상 외기온도와 습도 등의 환경변화에 영향을 받는 외부에 설치되는 바, 상기 영상변류기는 습도 등에 의해 에러가 발생되므로, 장마나 폭설 등의 악천후시 정상적인 작동이 이루어지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 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영상변류기를 사용하지 않고서도 고압방전등 점등장치의 단선 및 단락을 감지하도록 함으로써, 외부환경의 변화에 무관하게 정상적으로 작동되며, 고압방전등 점등장치의 이상상태 감지능력을 충분히 보장할 수 있도록 한 고압방전등용 단선 및 단락 감지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상기 고압방전등 점등장치의 이상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장치의 소형화가 가능하여, 제품의 적용범위를 크게 확장시킬 수 있는 고압방전등용 단선 및 단락 감지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상의 편리성이 개선되어 보다 상품성이 향상되도록 한 고압방전등용 단선 및 단락 감지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고압방전등용 단선 및 단락 감지 장치는, 외부전원이 입력되는 전원입력부와, 상기 전원입력부로 입력된 전원을 안정기에 공급하는 전원출력부와, 상기 전원입력부로 입력되는 전원의 전압을 입력받는 센싱부와, 상기 센싱부로 입력된 전압과 제1기준전압을 비교하여 단선여부를 판단하는 단선검지부와, 상기 센싱부로 입력된 전압과 제2기준전압을 비교하여 단락여부를 판단하는 단락검지부와, 상기 단선검지부 및 단락검지부에서 판단된 결과에 따라 단선 또는 단락상태를 판단하고 그에 따른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와, 상 기 제어부에서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이상상태를 나타내는 상태표시부 및 상기 제어부에서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전원입력부에서 전원출력부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릴레이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입력측의 전압을 측정하여 고압방전등 점등장치의 단선 및 단락을 감지하도록 함으로써, 외부환경의 변화에 무관하게 정상적으로 작동할 수 있으며, 고압방전등 점등장치의 이상상태 감지능력을 충분히 보장할 수 있다.
또, 사용상의 편리성이 개선되어 보다 상품성이 향상되는 것이다.
이하에서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고압방전등용 단선 및 단락 감지 장치의 블록도로서, 전원입력부(10), 전원출력부(20), 센싱부(30), 단선검지부(40), 단락검지부(50), 제어부(60), 상태표시부(70), 릴레이부(8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전원입력부(10)로 입력된 외부전원은 상기 전원출력부(20)를 통해 안정기로 공급되며, 상기 전원입력부(10)와 전원출력부(20)의 사이에는 상기 제어부(60)에 의해 온오프되는 릴레이부(8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센싱부(30)는 상기 전원입력부(10)로 입력되는 전원의 전압을 입력받아 상기 단선검지부(40) 및 단락검지부(50)로 전송한다.
상기 단선검지부(40)는 상기 센싱부(30)로 입력된 전압과 제1기준전압을 비교하여 단선여부를 판단하는 것으로, 단선이 발생될 경우 상기 센싱부(30)로 입력되는 전압이 상승하게 되며, 상기 제1기준전압은 상기 단선시 입력되는 전압을 검 출할 수 있는 최소전압으로 설정한다.
상기 단락검지부(50)는 상기 센싱부(30)로 입력된 전압과 제2기준전압을 비교하여 단락여부를 판단하는 것으로, 단락이 발생될 경우 상기 센싱부(30)로 입력되는 전압이 하강하게 되며, 상기 제2기준전압은 상기 단락시 입력되는 전압을 검출할 수 있는 최대전압으로 설정한다.
상기 제어부(60)는 상기 단선검지부(40) 및 단락검지부(50)에서 판단된 결과에 따라 단선 또는 단락상태를 판단하고 그에 따른 제어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상태표시부(70)는 상기 제어부(60)에서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이상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것으로, 엘이디(LED : Light Emitting Diode) 또는 엘씨디(LCD : Liquid Crystal Display) 등의 디스플레이를 사용하여 사용자에게 알려줄 수 있다.
상기 릴레이부(80)는 상기 제어부(60)에서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전원입력부(10)에서 전원출력부(20)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기 위한 것으로, 내부구성으로는 스위칭회로 등을 이용할 수 있으며, 당업자의 요구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고압방전등용 단선 및 단락 감지 장치에 대하여,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은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보다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2에 나타난 센싱부(30), 즉 입력단자로 외부전원의 전압이 입력되면, 상기 입력된 전압은 단선검지부(40) 및 단락검지부(50)로 입력된다.
상기 단선검지부(40)로 입력된 전압은 제1비교기(41)의 비반전입력단으로 입력되고, 상기 제1비교기(41)의 반전입력단으로는 제1기준전압이 입력되며, 상기 반전입력단으로 입력된 제1기준전압보다 비반전입력단으로 입력되는 전압이 클 경우, 상기 단선검지부(40)의 제1비교기(41)는 일정전압을 갖는 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즉, 단선이 발생되어 제1기준전압보다 큰 전압이 입력되면, 상기 단선검지부(40)는 단선검지신호를 출력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단락검지부(50)로 입력된 전압은 제2비교기(51)의 반전입력단으로 입력되고, 상기 제2비교기(51)의 비반전입력단으로는 제2기준전압이 입력되며, 상기 비반전입력단으로 입력된 제2기준전압보다 반전입력단으로 입력되는 전압이 작을 경우, 상기 단락검지부(50)의 제2비교기(51)는 일정전압을 갖는 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즉, 단락이 발생되어 제2기준전압보다 작은 전압이 입력되면, 상기 단락검지부(50)는 단락검지신호를 출력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출력된 단선검지신호 또는 단락검지신호는 상게 제어부(60)의 포토커플러(61)로 입력되며, 상기 포토커플러(61)에서 출력된 신호는 오피엠프(62)로 입력되어 제어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포토커플러(61)는 센싱부(30)로 입력된 전압신호에 포함된 노이즈 등을 제거하여 제어부(60)에서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노이즈에 의한 오류의 발생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어부(60)의 오피엠프(62)에서 출력된 제어신호는 상기 릴레이부(80) 의 사이리스터(81)를 온시키고, 상기 사이리스터(81)의 온동작에 의해 릴레이가 오프되어, 상기 전원입력부(10)에서 전원출력부(20)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게 된다.
이때, 상기 릴레이부(80)의 사이리스터(81)가 온상태가 되면, 상기 상태표시부(70)의 이상상태표시엘이디(71)가 점등되어, 고압방전등 점등장치가 이상상태임을 사용자에게 알려주게 된다.
한편, 고압방전등 점등장치가 정상일 경우 바이어스 입력부(90)로 입력된 전원에 의해 정상상태표시엘이디(71')가 점등되면서 사용자에게 고압방전등 점등장치가 정상임을 알려주게 된다.
상기 본 발명은 당업자의 요구에 따라 기본 개념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영상변류기를 사용하지 않고, 입력측의 전압을 측정하여 고압방전등 점등장치의 단선 및 단락을 감지하도록 함으로써, 외부환경의 변화에 무관하게 정상적으로 작동할 수 있으며, 고압방전등 점등장치의 이상상태 감지능력을 충분히 보장할 수 있음은 물론, 고압방전등 점등장치의 이상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장치의 소형화가 가능하여, 제품의 적용범위를 크게 확장시킬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사용상의 편리성이 개선되어 보다 상품성이 향상되는 등의 매우 유용 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3)

  1. 외부전원이 입력되는 전원입력부(10)와,
    상기 전원입력부(10)로 입력된 전원을 안정기에 공급하는 전원출력부(20)와,
    상기 전원입력부(10)로 입력되는 전원의 전압을 입력받는 센싱부(30)와,
    상기 센싱부(30)로 입력된 전압과 제1기준전압을 비교하여 단선여부를 판단하는 단선검지부(40)와,
    상기 센싱부(30)로 입력된 전압과 제2기준전압을 비교하여 단락여부를 판단하는 단락검지부(50)와,
    상기 단선검지부(40) 및 단락검지부(50)에서 판단된 결과에 따라 단선 또는 단락상태를 판단하고 그에 따른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60)와,
    상기 제어부(60)에서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이상상태를 나타내는 상태표시부(70) 및
    상기 제어부(60)에서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전원입력부(10)에서 전원출력부(20)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릴레이부(8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방전등용 단선 및 단락 감지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단선검지부(40)는 상기 센싱부(30)에서 입력된 전압과 제1기준전압을 비교하여 입력전압이 제1기준전압보다 클 경우 검지신호를 출력하는 제1비교기(41)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단락검지부(50)는 상기 센싱부(30)에서 입력된 전압과 제2기준전압을 비교하여 입력전압이 제2기준전압보다 작을 경우 검지신호를 출력하는 제2비교기(51)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60)는 상기 제1비교기(41) 또는 제2비교기(51)에서 출력되는 검지신호를 입력받아 전송하는 포토커플러(61)와, 상기 포토커플러(61)에서 출력된 신호에 따라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오피엠프(62)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릴레이부(80)는 상기 오피엠프(62)에서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온오프동작을 하는 사이리스터(81)와, 상기 사이리스터(81)의 동작에 따라 온오프되는 릴레이(82)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방전등용 단선 및 단락 감지 장치.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상태표시부(70)는 상기 제어부(60)에서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의해 이상상태여부를 나타내는 이상상태표시엘이디(71) 및 정상상태를 표시하는 정상상태표시엘이디(71')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방전등용 단선 및 단락 감지 장치.
KR1020040117806A 2004-12-31 2004-12-31 고압방전등용 단선 및 단락 감지 장치 KR1006387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17806A KR100638714B1 (ko) 2004-12-31 2004-12-31 고압방전등용 단선 및 단락 감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17806A KR100638714B1 (ko) 2004-12-31 2004-12-31 고압방전등용 단선 및 단락 감지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77833A true KR20060077833A (ko) 2006-07-05
KR100638714B1 KR100638714B1 (ko) 2006-10-30

Family

ID=371698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17806A KR100638714B1 (ko) 2004-12-31 2004-12-31 고압방전등용 단선 및 단락 감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38714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4337B1 (ko) * 2006-07-20 2007-08-31 (주)선명애드팜 보호회로가 구비된 외부전극형광램프 점등용 인버터
KR100782275B1 (ko) * 2006-10-18 2007-12-04 탁준복 자기식 방전등용 안정기의 단락 및 무부하 보호장치
KR100782652B1 (ko) * 2006-07-04 2007-12-07 리엔 창 일렉트로닉 엔터프라이즈 컴퍼니 리미티드 보호 장치 및 그에 이용되는 ccfl 구동 시스템
US9013380B2 (en) 2012-03-06 2015-04-21 Samsung Display Co., Lt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US9171499B2 (en) 2011-06-30 2015-10-27 Samsung Display Co., Lt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capable of detecting a short circuit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KR102013675B1 (ko) * 2018-04-20 2019-08-23 (주)이씨스 안테나의 체결 상태 진단 회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6256B1 (ko) 2011-04-08 2018-01-0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단락감지회로를 구비한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KR102162686B1 (ko) * 2018-12-07 2020-10-07 임철수 직사광선에서 선명하게 보이는 디스플레이장치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206440A (ja) * 1982-05-26 1983-12-01 Fujitsu Ten Ltd ランプ断線検知装置
KR200283297Y1 (ko) * 2002-04-16 2002-07-26 최규휘 가로등의 고장 감지 및 표시장치
KR100452341B1 (ko) * 2003-01-10 2004-10-15 김기정 고압방전등용 자기식 안정기의 단락 보호회로
KR100567245B1 (ko) * 2003-07-30 2006-04-03 주식회사 대한트랜스 고압 방전램프용 안정기의 자기 차단회로
KR200380669Y1 (ko) * 2004-11-10 2005-04-07 고영미 고압 방전등 안정기용 자기진단 보호기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2652B1 (ko) * 2006-07-04 2007-12-07 리엔 창 일렉트로닉 엔터프라이즈 컴퍼니 리미티드 보호 장치 및 그에 이용되는 ccfl 구동 시스템
KR100754337B1 (ko) * 2006-07-20 2007-08-31 (주)선명애드팜 보호회로가 구비된 외부전극형광램프 점등용 인버터
KR100782275B1 (ko) * 2006-10-18 2007-12-04 탁준복 자기식 방전등용 안정기의 단락 및 무부하 보호장치
US9171499B2 (en) 2011-06-30 2015-10-27 Samsung Display Co., Lt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capable of detecting a short circuit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US9013380B2 (en) 2012-03-06 2015-04-21 Samsung Display Co., Lt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KR102013675B1 (ko) * 2018-04-20 2019-08-23 (주)이씨스 안테나의 체결 상태 진단 회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38714B1 (ko) 2006-10-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207104B2 (ja) 放電灯点灯回路
KR100638714B1 (ko) 고압방전등용 단선 및 단락 감지 장치
JPH0362498A (ja) 灯火断芯検出装置
JP4872297B2 (ja) バックライト光源駆動回路
KR100796800B1 (ko) 인공지능 등주 감지기
KR200200399Y1 (ko) 조명등 회로의 유무선 방식 고장상태 검출장치
KR102208981B1 (ko) 고장 진단이 가능한 실외 조명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0452341B1 (ko) 고압방전등용 자기식 안정기의 단락 보호회로
KR200339320Y1 (ko) 보안등 점등 보호 회로
JP4048892B2 (ja) 放電灯点灯装置
KR200233403Y1 (ko) 조명등회로의 고장상태 검출장치
KR200377040Y1 (ko) 보안등 점검장치
KR100201302B1 (ko) 가로등 및 안정기의 이상 유무 자동 감지 장치
KR200314000Y1 (ko) 고압방전등용 자기식 안정기의 단락 보호회로
KR200345652Y1 (ko) 보안등 점등 보호 회로
KR200327738Y1 (ko) 과전류 차단 장치
KR200391211Y1 (ko) 인공지능 등주 감지기
KR100602007B1 (ko) 전류 차단 보호회로
KR200199085Y1 (ko) 자동 전원 제어장치
KR100899456B1 (ko) 보안등 오동작 표시장치
KR20090044386A (ko) 보안등 오동작 표시 방법
KR200417242Y1 (ko) 전류 차단 보호회로
KR200296240Y1 (ko) 가로등의 주전원 차단 장치
JP2005128402A (ja) 液晶プロジェクタ
JP2004335129A (ja) 高圧放電ランプ点灯装置および照明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1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15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