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77405A - 화면 제어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 Google Patents

화면 제어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77405A
KR20060077405A KR1020040116249A KR20040116249A KR20060077405A KR 20060077405 A KR20060077405 A KR 20060077405A KR 1020040116249 A KR1020040116249 A KR 1020040116249A KR 20040116249 A KR20040116249 A KR 20040116249A KR 20060077405 A KR20060077405 A KR 200600774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nge
mobile communication
msm
communication terminal
scre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162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61559B1 (ko
Inventor
이홍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1162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61559B1/ko
Priority to CNB2005101359510A priority patent/CN100387083C/zh
Publication of KR200600774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774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615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615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6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for operating the device by selecting functions from two or more displayed items, e.g. menus or ic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8Displ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힌지부에 두개의 컨택 및 가변 저항을 구비하고 힌지부가 회전함에 따라 달라지는 전압값을 이용하여 LCD 화면을 보다 효율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된 화면제어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원형 타입의 가변저항과 힌지 회전부에 두개의 컨택이 구비되고 두개의 컨택의 거리에 따라 전압값을 출력하는 힌지부와, 상기 힌지부의 가변저항으로부터 출력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MSM으로 인가하는 AD 컨버터와, 상기 힌지부가 회전함에 따라 달라지는 전압값을 근거로 LCD 화면을 온/오프 제어함과 동시에 콜 연결 상태를 제어하는 MSM(Mobile Station Modem)과, 상기 MSM의 표시 제어신호를 근거로 온/오프되는 LCD 표시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동통신, 단말기, 힌지부, 가변저항, 각도, 현재상태, 화면, 컨버터

Description

화면 제어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Screen Control Function}
도 1은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화면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화면 제어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화면 제어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이동통신 단말기 11 : 송수화기
12 : 코덱부 13 : MSM(Mobile Station Modem)
14 : 키패드 15 : LCD(Liquid Crystal Display)표시부
16 : 힌지부 17 : AD 컨버터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부가 기능에 관한 것으로, 특히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힌지부에 두개의 컨택 및 가변 저항을 구비함으로써, 힌지부가 회전함 에 따라 달라지는 전압값을 이용하여 LCD 화면을 보다 효율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된 화면 제어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통신기술이 급속도로 발전되면서 개인이 임의의 장소에서 또는 한 장소에서 다른 장소로 이동하면서 다른 사람과 통신을 행할 수 있도록 된 이동통신시스템이 개발되어 활용되고 있다.
상기한 이동통신시스템에 사용되는 이동통신 단말기는 종래에 제공되는 단순한 통화기능에서 벗어나 다양한 부가서비스 기능이 추가로 구비되고 있으며, 사용자들의 다양한 취향에 따라 기존의 일자형에서 폴더형으로 최근들어 슬라이딩 방식의 이동통신 단말기가 출시되어 사용되고 있다.
상기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는 사용자가 키패드를 조작하기 위해서는 폴더를 상측으로 밀어 올려 열게 되면 LCD 화면으로 전원이 공급되어 화면이 켜지게 된다. 이러한,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는 종래의 자석 감지형 소자를 이용하여 소자가 자화되거나 자화되지 않는 경우를 산정하여 폴더가 열려지거나 닫혀진 상태를 판단하여 LCD 화면을 제어하게 된다.
종래의 기술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석 감지형 소자를 사용하여 폴더 하단 및 상단에 각각 자석(72) 및 자화 감지형 소자(71)를 구비하고, 폴더가 열리거나 닫히게 됨에 따라 자석 감지형 소자(71)가 자화되거나 자화상태가 풀리게 된다.
상기 자석 감지형 소자(71)가 자화(Magnetize)되면 '1' 또는 '0'의 논리값을 구성하게 되고, 자화상태에서 풀리면 이와 반대의 논리값을 구성하게 된다. 이러 한, 논리를 이용하여 LCD의 화면을 제어하게 된다.
그런데, 상기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70)에서 폴더가 사용자에 의하여 서서히 닫히게 되어 LCD 화면이 더 이상 사용자의 시야에 보이지 않더라도 자석 감지형 소자(71)는 자화가 되지 않으므로, 일정한 각도에서 완전히 닫히게 될 때까지 불필요하게 LCD 화면을 켜놓게 되는 단점이 있었다.
이와 반대로 폴더를 열 때에도 일정한 각도 이하에서는 사용자의 시야에 LCD 화면이 들어오지 않더라도 폴더를 여는 순간 자석 감지형 소자(71)가 폴더를 열었다는 것을 감지하게 되므로 불필요하게 LCD 화면이 켜져 배터리 소모가 가중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힌지부에 두개의 컨택 및 가변 저항을 구비함으로써, 힌지부가 회전함에 따라 달라지는 전압값을 이용하여 LCD 화면을 보다 효율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된 화면 제어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원형 타입의 가변저항과 힌지 회전부에 두개의 컨택이 구비되고 두개의 컨택의 거리에 따라 전압값을 출력하는 힌지부와, 상기 힌지부의 가변저항으로부터 출력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MSM으로 인가하는 AD 컨버터와, 상기 힌지부가 회전함에 따라 달라지 는 전압값을 근거로 LCD 화면을 온/오프 제어함과 동시에 콜 연결 상태를 제어하는 MSM(Mobile Station Modem)과, 상기 MSM의 표시 제어신호를 근거로 온/오프되는 LCD 표시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힌지부는 힌지 회전부에 하나의 컨택에는 전원이 공급되고 다른 하나의 컨택에는 AD 컨버터가 연결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MSM은 힌지 회전부가 회전할 때, 두개의 컨택의 거리에 따라 변화되는 전압값이 AD 컨버터를 통해 입력되고, 미리 설정된 전압값에 따라 LCD 표시부와 콜 연결 상태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화면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화면 제어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구성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화면 제어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이다.
먼저,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화면 제어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10)는 송수화기(11)를 통해 입출력되는 음성신호를 디지털신호 처리하는 코덱부(12)와, 이 코덱부(12)를 통해 입출력되는 음성신호를 RF신호 처리하여 타통신 장비로 전송하거나 혹은 수신되는 각종 메시지를 저장 관리하고, 힌지부가 회전함에 따라 달라지는 전압값을 이용하여 LCD 화면을 온/오프 제어함과 더불어 콜 연결상태를 세밀하게 제어하는 MSM(Mobile Station Modem ; 13)과, 상기 MSM(13)의 일단 에 구비되고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다수의 기능키와 숫자 및 문자키를 구비한 키패드(14)와, 상기 MSM(13)의 표시 제어신호를 근거로 온/오프되는 각종 메뉴와 메시지를 화면으로 표시하는 LCD 표시부(15)와, 일정한 원형 타입의 가변저항이 구비되고, 힌지 회전부에 두개의 컨택(Contact)과 하나의 컨택에는 전원이 공급되며, 다른 하나의 컨택에는 AD 컨버터가 연결되어 구비된 힌지부(16) 및 상기 힌지부(16)의 가변저항으로부터 출력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MSM(13)으로 인가하는 AD 컨버터(17)로 구성된다.
상기 구성으로 이동통신 단말기(10)는 다시 말해서, 힌지 회전부가 회전할 때, 두개의 컨택의 거리가 가까워 지거나 멀어지게 되며, 거리에 의하여 두개의 컨택 사이의 저항값이 달라지게 된다. 이러한, 저항값에 의하여 AD 컨버터(17)의 입력단의 전압값이 변화되고, 이 변화된 전압값은 AD 컨버터(17)에 의하여 디지털 신호로 변환되어 MSM(13)에 입력된다. 이때, 상기 MSM(13)은 상기 컨택의 각도 예컨대, 컨택의 거리에 의한 저항값 및 이에 의한 전압값의 변화 등에 따라 보다 정밀하게 LCD 표시부(15)의 화면을 온/오프 제어할 수 있다.
즉, 일정한 각도 예를 들면, 흔히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폴더가 닫혀 있을 경우에는 적어도 90도 이상이 되어야 사용자의 시야에 LCD 표시부(15)의 화면이 들어오게 된다. 따라서, 상기 폴더를 열었을 때, 바로 LCD 표시부(15)의 화면을 켜는 것이 아니라, 일정한 각도 이상에서 LCD 표시부(15)의 화면이 켜지게 된다. 또한, 콜(Call)이 연결된 상태에서, 일반적인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는 완전히 폴더가 닫혀야 콜(Call)을 끊게 되지만,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는 90도 이하의 각 도가 되면 콜(Call)을 끊게 된다.
이하, 상술한 구성으로 된 이동통신 단말기를 근거로 본 발명에 따른 화면 제어기능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10)의 MSM(13)은 힌지부(16)의 현재 상태를 파악하고(S10), 현재 폴더가 열린 상태인지 여부를 확인하여(S11) 상기 폴더가 열리지 않은 경우에는 지속적으로 힌지부(16)에 구비된 가변저항의 전압변화를 감지하게 된다(S12).
상기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10)의 MSM(13)은 힌지부(16)에 구비된 가변저항의 전압변화를 감지하는 S12 단계에서, 일정수준 이상 폴더가 열린 상태인지를 여부를 확인하여 미리 설정된 일정수준 이상 폴더가 열리게 되면(S13), 상기 LCD 표시부(15)를 온(ON) 시키게 된다(S14).
또한, 상기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10)의 MSM(13)은 힌지부(16)를 통해 현재 폴더의 상태가 열린 상태인지를 확인하는 S11 단계에서, 현재 폴더가 열린 상태인 경우에는 지속적으로 힌지부(16)에 구비된 가변저항의 전압변화를 감지하게 된다(S15).
상기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10)의 MSM(13)은 힌지부(16)에 구비된 가변저항의 전압변화를 감지하는 S15 단계에서, 일정수준 이상 폴더가 닫힌 상태인지 여부를 확인하여 미리 설정된 일정수준 이상 폴더가 닫히게 되면(S16), 상기 LCD 표시부(15)를 오프(OFF) 시키게 된다(S17).
또한, 상기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10)의 MSM(13)은 콜(Call)이 연결된 상 태에서, 미리 설정된 일정수준 이상 폴더가 닫히게 되면, 연결된 콜(Call)을 끊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힌지부에 두개의 컨택 및 가변 저항을 구비하고 힌지부가 회전함에 따라 달라지는 전압값을 이용하여 LCD 화면과 콜(Call)의 연결과 끊음을 보다 효율적으로 제어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 설명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힌지부에 두개의 컨택 및 가변 저항을 구비함으로써, 힌지부가 회전함에 따라 달라지는 전압값을 이용하여 LCD 화면을 보다 효율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세밀한 폴더의 열림 상태와 닫힘 상태를 파악함으로써, 효율적으로 LCD 화면을 온/오프 제어할 수 있고, 콜(Call)의 연결과 끊음 또한 보다 효율적으로 제어함은 물론 불필요한 전력 및 통신 자원을 절약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3)

  1. 원형 타입의 가변저항과 힌지 회전부에 두개의 컨택(Contact)이 구비되고, 두개의 컨택의 거리에 따라 전압값을 출력하는 힌지부와,
    상기 힌지부의 가변저항으로부터 출력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MSM으로 인가하는 AD 컨버터와,
    상기 힌지부가 회전함에 따라 달라지는 전압값을 근거로 LCD 화면을 온/오프 제어함과 동시에 콜 연결 상태를 제어하는 MSM(Mobile Station Modem)과,
    상기 MSM의 표시 제어신호를 근거로 온/오프되는 LCD 표시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제어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는,
    상기 힌지 회전부에 하나의 컨택에는 전원이 공급되고 다른 하나의 컨택에는 AD 컨버터가 연결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제어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MSM은,
    상기 힌지 회전부가 회전할 때, 두개의 컨택의 거리에 따라 변화되는 전압값이 AD 컨버터를 통해 입력되고, 미리 설정된 전압값에 따라 LCD 표시부와 콜 연결 상태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제어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KR1020040116249A 2004-12-30 2004-12-30 화면 제어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KR1006615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16249A KR100661559B1 (ko) 2004-12-30 2004-12-30 화면 제어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CNB2005101359510A CN100387083C (zh) 2004-12-30 2005-12-29 一种具备画面控制功能的移动通信终端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16249A KR100661559B1 (ko) 2004-12-30 2004-12-30 화면 제어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77405A true KR20060077405A (ko) 2006-07-05
KR100661559B1 KR100661559B1 (ko) 2006-12-27

Family

ID=368190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16249A KR100661559B1 (ko) 2004-12-30 2004-12-30 화면 제어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661559B1 (ko)
CN (1) CN100387083C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3358B1 (ko) * 2005-07-07 2006-09-12 주식회사 팬택 가변저항을 이용한 개폐 감지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단말기 및 그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4919297A (en) * 1996-10-29 1998-05-22 Ericsson Inc. Telecommunication apparatus having dual keypads
KR100742547B1 (ko) * 1999-05-06 2007-07-25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플립 위치를 이용한 플립 폰 동작 모드의 선택
EP1175768A1 (en) * 1999-05-06 2002-01-30 QUALCOMM Incorporated Detection of flip closure state of a flip phone
KR100369653B1 (ko) * 2001-02-16 2003-01-30 삼성전자 주식회사 자동 및 수동 겸용 접이형 휴대용 무선단말기에서의서브바디 개폐 제어방법 및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3358B1 (ko) * 2005-07-07 2006-09-12 주식회사 팬택 가변저항을 이용한 개폐 감지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단말기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0387083C (zh) 2008-05-07
CN1798404A (zh) 2006-07-05
KR100661559B1 (ko) 2006-1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766840B2 (en) Selecting flip phone operating mode using flip position
EP1297404B1 (en) Self configuring multiple element portable electronic device
CA2371097C (en) Detection of flip closure state of a flip phone
KR100954764B1 (ko) 사용자 교환형 이동 전화 키패드
KR100455991B1 (ko) 이동 단말기의 액정 표시부 백라이트 제어 장치
US20070149262A1 (en) Two step activation of phone
KR100350867B1 (ko) 자동 및 수동 겸용 접이형 휴대용 무선단말기에서의서브바디 개폐 제어방법 및 장치
KR100661559B1 (ko) 화면 제어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KR100369653B1 (ko) 자동 및 수동 겸용 접이형 휴대용 무선단말기에서의서브바디 개폐 제어방법 및 장치
FI118785B (fi) Automaattikansityyppinen matkapuhelin muuttuvalla kannen avaus- ja sulkunopeudella
KR100405141B1 (ko) 폴더형 이동 통신 단말기의 엘 씨 디 구동 방법 및 그 장치
CN213403082U (zh) 双听筒翻盖手机
JP2001333167A (ja) 折り畳み式携帯電話機
KR100575717B1 (ko) 이동통신단말기의 엘씨디 구동방법
KR20060068492A (ko) 가변저항을 이용한 개폐 감지 기능을 가지는무선통신단말기 및 그 방법
KR100795739B1 (ko) 플립 위치를 이용한 플립 폰 동작 모드의 선택
KR100606043B1 (ko) 이동 전화 단말기에서 정보 표시 방법
KR20040077192A (ko) 이중 스피커를 구비하고 그의 절체를 위한 상폴더 회전형이동통신 단말기
KR20050019174A (ko) 터치스크린 엘씨디를 구비한 단말기의 엘씨디 전원 제어방법 및 그 방법을 채택한 단말기
KR20060124084A (ko) 폴더형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모드 자동 전환하는 방법 및장치
JPH09289685A (ja) 折りたたみ式携帯電話機
KR20060064386A (ko) 가변저항을 이용한 개폐 감지 기능을 가지는무선통신단말기 및 그 방법
KR20050121122A (ko)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 및 슬라이딩 닫침/열림 제어방법
JP2003152831A (ja) 無線端末
KR20010053642A (ko) 폴더형 휴대폰에서 양면 액정표시장치_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4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