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76786A - Oligonucleotide to be used in determining sporogenous aerobic bacterium and determination method and determination kit for sporogenous aerobic bacerium u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Oligonucleotide to be used in determining sporogenous aerobic bacterium and determination method and determination kit for sporogenous aerobic bacerium u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76786A
KR20060076786A KR1020067007783A KR20067007783A KR20060076786A KR 20060076786 A KR20060076786 A KR 20060076786A KR 1020067007783 A KR1020067007783 A KR 1020067007783A KR 20067007783 A KR20067007783 A KR 20067007783A KR 20060076786 A KR20060076786 A KR 200600767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ffuser
genus
aerobic
bacterium
bacteri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0778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113974B1 (en
Inventor
미키코 야마나카
쇼이치 무라타
Original Assignee
산토리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산토리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산토리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767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7678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39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397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1/00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 C12Q1/68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involving nucleic acids
    • C12Q1/6876Nucleic acid products used in the analysis of nucleic acids, e.g. primers or probes
    • C12Q1/6888Nucleic acid products used in the analysis of nucleic acids, e.g. primers or probes for detection or identification of organisms
    • C12Q1/689Nucleic acid products used in the analysis of nucleic acids, e.g. primers or probes for detection or identification of organisms for bacteria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5/00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DNA or RNA concerning genetic engineering, vectors, e.g. plasmids, or their isolation, preparation or purification; Use of hosts therefor
    • C12N15/09Recombinant DNA-technology
    • C12N15/11DNA or RNA fragments; Modified forms thereof; Non-coding nucleic acids having a biological activity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Zo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Immunology (AREA)
  • Plant Pathology (AREA)
  • Measuring Or Testing Involving Enzyme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An oligonucleotide which contains a base sequence specific to 16S ribosomal RNA gene of a sporogenous aerobic bacterium or a sequence complementary to the above base sequence. The specific base sequence as described above is a base sequence represented by any of SEQ ID NOS:1 to 6. This oligonucleotide is employed as a primer in a PCR reaction wherein a nucleic acid prepared from a subject bacterium to be determined is used as a specimen and the specimen serves as a template. Thus, it can be determined whether a subject bacterium is a sporogenous aerobic bacterium or not based on the amplification of a specific DNA fragment as an indication.

Description

유포자 호기성 세포의 판정에 사용되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 이를 이용한 유포자 호기성 세균의 판정방법 및 판정 키트 {OLIGONUCLEOTIDE TO BE USED IN DETERMINING SPOROGENOUS AEROBIC BACTERIUM AND DETERMINATION METHOD AND DETERMINATION KIT FOR SPOROGENOUS AEROBIC BACERIUM USING THE SAME}OLIGONUCLEOTIDE TO BE USED IN DETERMINING SPOROGENOUS AEROBIC BACTERIUM AND DETERMINATION KIT FOR SPOROGENOUS AEROBIC BACERIUM USING THEA

본 발명은, 판정의 대상이 되는 피판정균이 유포자 호기성 세균인지의 여부를 판정하기 위한 PCR에 사용될 수 있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와, 그 이용에 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는, 상기 올리고뉴클레오티드와, 이 올리고뉴클레오티드를 프라이머로 하여 PCR를 행하고, 유포자 호기성 세균에 특이적인 DNA 단편을 검출함으로써, 피판정균이 유포자 호기성 세균인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방법, 및 그 판정방법을 행하기 위한 판정 키트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oligonucleotides that can be used in PCR for determining whether a flap bacterium to be judged is a diffuser aerobic bacterium, and the use thereof. Specifically, the oligonucleotide and the oligonucleotid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determining whether a flap bacterium is a diffuser aerobic bacterium by performing PCR using a primer and detecting a DNA fragment specific for the diffuser aerobic bacterium, and a judgment kit for performing the determination method.

종래, 세균을 분류 동정하는 방법으로서는, 생리생화학적 성상에 기초하는 방법, 퀴논 조성, 균체 지방산 조성, 세포벽 성분 등에 기초하는 방법, DNA의 G+C 함량에 기초하는 방법, DNA 상동성에 기초하는 방법, DNA 프로브를 이용하는 방법,및 16S 리보솜 RNA유전자의 염기배열의 해석을 행하는 방법 등이 알려져 있다. Conventionally, methods for classifying and identifying bacteria include methods based on physiological biochemical properties, methods based on quinone composition, cell fatty acid composition, cell wall components, etc., methods based on G + C content of DNA, and methods based on DNA homology. , A method using a DNA probe, and a method of analyzing the base sequence of a 16S ribosomal RNA gene are known.

특히, 최근에는, 16S 리보솜 RNA 유전자의 염기배열에 기초한 계통 분류에 의해 얻어지는 그룹(클러스터)을 지표로 하여, 세균의 분류 및 식별을 행하는 것이 일반적이다.In particular, in recent years, it is common to classify and identify bacteria by using groups (clusters) obtained by phylogeny based on the nucleotide sequence of 16S ribosomal RNA gene as an index.

한편, 바실루스(Bacillus)속을 비롯한 유포자 호기성 세균은, 토양이나 물, 공기 중 등 널리 자연계에 분포되고 있다. 바실루스속 중, 인간에게 병원성을 나타내는 것으로서는, 탄저병균(Bacillus anthracis)이나, 식중독의 기인균이 되는 세레우스균(Bacillus cereus) 등이 알려져 있다. 또한, 바실루스속을 포함하는 유포자 호기성 세균의 계통분류 및 분류체계에 대해서는, 예를 들어, 비특허문헌1(시다 오사무, "호기성 유포자 세균의 분류와 동정", 소프트 드링크 기술자료 2001년 3호, 221-227)에 기재되어 있으며, 바실루스속 외에도 다양한 속이 알려져 있다. 이러한 유포자 호기성 세균에는 아포를 형성하는 특징이 있으나, 이 아포는, 내열성이나 약제내성이 높기 때문에 살균하기 어렵고, 식품공장의 제조 공정으로부터 완전히 제거하기 어렵다. 그렇기 때문에, 유포자 호기성 세균은 식품공장의 공정검사 등에서 분리되는 경우가 많다.On the other hand, diffuser aerobic bacteria, including the genus Bacillus, is widely distributed in the natural world such as soil, water, air. Among the genus Bacillus, anthrax (Bacillus anthracis), Bacillus cereus, which is a bacterium that causes food poisoning, and the like are known as pathogenic to humans. In addition, for the phylogenetic classification and classification system of the diffuser aerobic bacteria containing Bacillus genus, see, for example, Non Patent Literature 1 (Osamda Shida, "Classification and Identification of Aerobic Diffuser Bacteria", Soft Drink Article 3, 2001, 221-227), a variety of genera are known in addition to the genus Bacillus. Such diffuser aerobic bacteria have a characteristic of forming apo, but since the apo is high in heat resistance and drug resistance, it is difficult to sterilize and hardly completely removed from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a food factory. Therefore, the diffuser aerobic bacteria are often separated by the process inspection of the food factory.

따라서, 예를 들어, 식품의 제조공장에 있어서, 제품이나 제조공정으로부터 세균이 분리된 경우에는, 오염 원인을 구명하기 위해서, 분리된 세균이 아포를 형성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렇기 때문에, 특히 식품산업계에 있어서는, 제품 혹은 제조공정으로부터 분리된 세균이 아포를 형성하는지의 여부를 신속하게 판정하도록 요구하고 있다.Thus, for example, in a food manufacturing plant, when bacteria are separated from a product or a manufacturing process, it is important to determine whether or not the separated bacteria form follicles in order to identify the cause of contamination. Therefore, particularly in the food industry, it is required to quickly determine whether or not bacteria isolated from a product or a manufacturing process form apo.

일반적으로, 분리된 세균이 유포자 호기성 세균인지의 여부는, 아포형성배지 상에서 판정대상이 되는 피판정균(공시균)을 배양하여, 상기 균체가 아포를 형성하는지의 여부를 현미경으로 확인하여 판정하는 방법을 취하고 있다. 이 방법에 의하면, 아포형성배지 상에서 피판정균을 배양해야 하므로, 판정에 이르기까지는 수일에서 1주일 정도의 상당히 긴 시간을 필요로 한다. 이러한 일반적인 판정 방법에서는, 검출판정시간(배양시간)을 단축함으로써 어느 정도 기간을 단축할 수 있으나, 이 경우에는 증식속도가 느린 균주를 검출할 수 없게 될 가능성이 있어 리스크가 높다.In general, whether or not the isolated bacteria are diffuser aerobic bacteria is determined by culturing a target bacterium (a test bacterium) to be judged on a follicle-forming medium, and confirming by microscopically whether or not the cells form follicles. Is taking. According to this method, it is necessary to cultivate the bacteriostatic bacterium on the follicle-forming medium, and therefore, it takes quite a long time from several days to one week until the determination. In such a general determination method, although a certain period can be shortened by shortening the detection determination time (cultivation time), in this case, there is a possibility that a strain having a slow growth rate cannot be detected, and thus the risk is high.

이와 같이, 상기 일반적인 판정방법에서는, 확실하게 유포자 호기성 세균을 판정하기 위해 장기간 배양할 필요가 있다. 그렇기 때문에, 상기 판정방법은, 특히 신속성을 요하는 식품산업의 출하전 검사에는 적합하지 않다.In this manner, in the above general determination method, it is necessary to culture for a long time in order to reliably determine the diffuser aerobic bacteria. Therefore, the determination method is not particularly suitable for pre-shipment inspection of the food industry, which requires promptness.

상기 일반적인 판정방법 이외에 유포자 호기성 세균에 속한 세균을 동정하는 기술로서는, 예를 들어, 특허문헌1(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평9-94100호 공보"(공개일:1997년 4월 8일)) 및 비특허문헌2(Shida, O et al., Proposal for Two New Genera, Brevibacillus gen. nov., and Aneurinibacillus gen. nov., International Journal of Systematic Bacteriology, 939-946(1996))에 개시되어 있는 방법이 알려져 있다. 이 기술에서는, 브레비바실루스(Brevibacillus)속, 아네우리니바실루스(Aneurinibacillus)속, 파에니바실루스(Paenibacillus)속 등의 유포자 호기성 세균에 속하는 세균의 16S 리보솜 RNA유전자에 존재하는 특이적인 염기배열을 갖는 DNA를 프라이머로 하고, 피동정 세균으로부터 얻은 염색체 DNA를 주 형으로 하여 PCR법을 적용하여, 특정의 DNA 증폭을 지표로 하여 피동정 세균의 속 레벨에서의 동정을 행한다. As a technique for identifying bacteria belonging to a diffuser aerobic bacterium in addition to the above general determination method, for example, Patent Document 1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9-94100) (published: April 8, 1997) ) And Non-Patent Document 2 (Shida, O et al., Proposal for Two New Genera, Brevibacillus gen.nov., And Aneurinibacillus gen.nov., International Journal of Systematic Bacteriology, 939-946 (1996)). Methods are known. In this technique, it has a specific nucleotide sequence present in the 16S ribosomal RNA gene of bacteria belonging to the diffuser aerobic bacteria such as genus Brevibacillus, Aneurinibacillus, Paenibacillus. DNA is used as a primer, chromosomal DNA obtained from the identified bacteria is used as a template, and PCR is applied, and specific DNA amplification is used as an index to identify at the genus level of the identified bacteria.

또한, 16S 리보솜 RNA유전자를 이용한 바실루스속 세균의 분류기술로서는, 비특허문헌3(Goto, K et aI., Application of the partial 16S rDNA sequence as an index for rapid identification of species in the genus Bacillus, The Journal of General and Applied Microbiology, 46, 1-8(2000))에 개시되어 있는 방법이 알려져 있다. 16S 리보솜 RNA유전자의 hypervariant region(HV region)이라고 불리는 5'측의 약 275bp는 종특이적인 영역이기 때문에, 이 기술에서는, 이 영역의 염기배열 해석을 행함으로써 바실루스속 세균의 분류가 가능하다고 되어 있다.In addition, as a technique for classifying Bacillus bacteria using 16S ribosomal RNA gene, Non-Patent Document 3 (Goto, K et al., Application of the partial 16S rDNA sequence as an index for rapid identification of species in the genus Bacillus, The Journal) of General and Applied Microbiology, 46, 1-8 (2000)) are known. Since about 275bp on the 5 'side, called the hypervariant region (HV region) of the 16S ribosomal RNA gene, is a species-specific region, this technique is capable of classifying Bacillus bacteria by performing base sequence analysis of this region. .

그 외, 특허문헌2(일본국 특허공보 "특공평7-89956호 공보"(공고일:1995년 10월 4일, 대응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평3-49696호 공보"(공개일:1991년 3월 4일))에 있어서는, 세레우스균 유래 β-라쿠타마제 유전자 검출용 프라이머를 사용하여 상기 유전자를 검출함으로써, 세레우스균을 검출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In addition, Patent Document 2 (Japanese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7-89956) (Date: October 4, 1995, corresponding Japanese Laid-Open Patent Publication No. 3-49696) (Published: 1991) On March 4, 2008), a method for detecting cereus bacteria is disclosed by detecting the gene using a primer for detecting β-lacutase gene derived from cereus.

그러나, 현재, 아포를 형성하는 유포자 호기성 세균인지의 여부를 신속하고 망라적으로 판정하는 유효한 방법이 없기 때문에, 특히 신속성을 요하는 식품산업의 출하전 검사 등에 사용 가능한 기술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However, at present, there is no effective method for rapidly and comprehensively determining whether or not a diffuser is an aerobic bacterium that forms an apo, and therefore, there is a demand for the development of a technology that can be used for pre-shipment inspection of the food industry, which particularly requires rapidity.

구체적으로는, 우선, 상기 특허문헌1 및 비특허문헌1에 개시되어 있는 방법은, 원래 식품산업의 출하전 검사 등에 사용하기 위한 기술이 아니고, 세균의 동정 에 중점을 둔 기술이다. 그렇기 때문에, 이 방법은, PCR법에 의해 검출하기 때문에 신속성은 보증할 수 있으나, 속특이적인 방법이기 때문에 프라이머를 각각의 속에 대응하여 채용할 필요가 있어 조작이 번잡해지고, 또한, 검출할 수 없는 속의 세균에 대해서는 적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발생한다.Specifically, first, the method disclosed in Patent Document 1 and Non-Patent Document 1 is not a technology originally used for pre-shipment inspection of the food industry, but a technology focused on the identification of bacteria. Therefore, this method can guarantee the rapidity because it is detected by the PCR method, but since it is a specific method, it is necessary to employ primers corresponding to each genus, and the operation becomes complicated and cannot be detected. Problems that can not be applied to the bacteria in the genus occurs.

또한, 상기 비특허문헌3에 기재한 방법은, 바실루스속의 종을 동정하기 위해서는 유효하나, 다른 속의 세균에 대해서는 적용할 수 없어, 상기 특허문헌2에 기재한 방법은 세레우스균의 검출에만 유효하다.In addition, the method described in Non-Patent Document 3 is effective for identifying species of the genus Bacillus, but is not applicable to bacteria of other genera, and the method described in Patent Document 2 is effective only for the detection of Cereus bacteria. .

이와 같이, 지금까지 어느 특정한 속의 유포자 호기성 세균을 비교적 신속하게 검출(또는 판정)하는 기술은 알려져 있으나, 유포자 호기성 세균을 신속하고 망라적으로 판정하는 기술은 알려져 있지 않았다.As described above, a technique for detecting (or determining) a diffuser aerobic bacteria of a specific genus is known relatively quickly, but a technique for rapidly and comprehensively determining a diffuser aerobic bacteria is not known.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그 목적은, 유포자 호기성 세균을 신속하고 망라적으로 판정할 수 있는 방법에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와, 상기 올리고뉴클레오티드를 프라이머로 하여 증폭반응을 행하여, 유포자 호기성 세균에 특이적인 DNA 단편을 검출함으로써, 피판정균이 유포자 호기성 세균인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방법, 및 상기 판정방법을 행하기 위한 키트를 제공하는 데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thereof is to perform an amplification reaction using an oligonucleotide that can be suitably used for a method capable of rapidly and comprehensively determining diffuser aerobic bacteria and the oligonucleotide as a primer.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determining whether a flap bacterium is a diffuser aerobic bacterium by detecting a DNA fragment specific for a diffuser aerobic bacterium, and a kit for performing the determination method.

본 발명자들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바실루스속 및 그와 관련된 유포자 호기성 세균의 16S 리보솜 RNA유전자 상에서 비교적 공통된 염기배열영역에 착목하여, 예의 검토를 행했다. 그 결과, 본 발명에 따른 올리고뉴클레오티드를 프라이머로 사용하여 PCR 증폭을 행함으로써, 바실루스속을 비롯한 유포자 호기성 세균에 특이적인 약 100bp 크기의 DNA 단편이 증폭되는 것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시키기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은 이하의 발명을 포함한다.MEANS TO SOLVE THE PROBLEM In order to solve the said subject, the present inventors earnestly examined by taking into account the comparatively common base sequence region on the 16S ribosomal RNA gene of the genus Bacillus and its related diffuser aerobic bacteria. As a result, by PCR amplification using the oligonucleotid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a primer, it was found that DNA fragments of about 100 bp in size, which are specific for the diffuser aerobic bacteria including Bacillus genus, were amplified, thus completing the present invention. . That is, this invention includes the following inventions.

(1)유포자 호기성 세균의 16S 리보솜 RNA유전자에 특이적인 염기배열 또는 상기 염기배열의 상보적 배열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특이적인 염기배열이 1 내지 6에 나타낸 염기배열 중 어느 하나인 올리고뉴클레오티드.(1) Diffuser An oligonucleotide comprising a base sequence specific for the 16S ribosomal RNA gene of aerobic bacteria or a complementary arrangement of the base sequences, wherein the specific base sequence is any of the base sequences shown in 1 to 6.

(2)상기 유포자 호기성 세균은, 바실루스(Bacillus)속, 파에니바실루스(Paenibacillus)속, 아네우리니바실루스(Aneurinibacillus)속, 게오바실루스(Geobacillus)속, 아리시클로바실루스(Alicyclobacillus)속, 브레비바실루스(Brevibacillus)속, 엠피바실루스(Amphibacillus)속, 비르지바실루스(Virgibacillus)속, 하로바실루스(Halobacillus)속, 그라치리바실루스(Gracillibacillus)속, 사리바실루스(Salibacillus)속, 마리니바실루스(Marinibacillus)속 및 스포로락토바실루스(Sporolactobacillus)속 세균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에 속하는 세균인 (1)에 기재한 올리고뉴클레오티드.(2) The diffuser aerobic bacteria, Bacillus genus, Paenibacillus genus, Aneurinibacillus genus, Geobacillus genus, Aricyclobacillus genus, Brevibacillus genus Genus (Brevibacillus), genus Amphibacillus, genus Virgibacillus, genus Harobacillus, genus Grachiribacillus, genus Salibacillus, genus Salibacillus, and genus Marinibacillus The oligonucleotide as described in (1) which is a bacterium which belongs to at least 1 sort (s) chosen from the bacteria of the genus Rolactobacillus (Sporolactobacillus).

(3)판정의 대상이 되는 피판정균으로부터 조제한 핵산을 검체로서 사용하여, 상기 검체를 주형으로 하여 PCR반응을 행함으로써 얻어지는 특정의 DNA 단편의 증폭을 지표로 하여, 상기 피판정균이 유포자 호기성 세균인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유포자 호기성 세균의 판정방법이며, PCR반응에 사용되는 프라이머로서는, 유포자 호기성 세균의 16S 리보솜 RNA유전자에 특이적인 염기배열 또는 상기 염기배열의 상보적 배열을 포함하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가 적어도 1종 사용됨과 동시에, 상기 특이적인 염기배열이, 배열번호 1 내지 6에 나타난 염기배열 중 어느 하나인 유포자 호기성 세균의 판정방법.(3) Amplification of a specific DNA fragment obtained by performing a PCR reaction using the sample as a template, using a nucleic acid prepared from a target bacterium that is the target of the determination, and whether the bacteriostatic bacterium is a diffuser aerobic bacterium. A method for determining a diffuser aerobic bacterium for determining whether a primer is used, and as a primer used for a PCR reaction, at least one oligonucleotide comprising a base sequence specific for a 16S ribosomal RNA gene of a diffuser aerobic bacterium or a complementary sequence of the base sequence is present. A method for determining a diffuser aerobic bacterium, wherein a species is used and the specific nucleotide sequence is any one of the nucleotide sequences shown in SEQ ID NOs: 1-6.

(4)상기 프라이머 중, 배열번호 1 또는 2에 나타나는 염기배열, 혹은 상기 염기배열의 상보적 배열을 포함하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가 센스 프라이머로서 사용됨과 동시에, 배열번호 3 내지 6 중 어느 하나에 나타나는 염기배열, 혹은 상기 염기배열의 상보적 배열을 포함하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가 안티센스 프라이머로서 사용되는 (3)에 기재한 유포자 호기성 세균의 판정방법.(4) The base sequence shown in any one of SEQ ID NOs: 3 to 6, while the base sequence shown in SEQ ID NO: 1 or 2, or the oligonucleotide including the complementary sequence of the base sequence is used as a sense primer among the primers. Or the method for determining a diffuser aerobic bacterium according to (3), wherein an oligonucleotide comprising a complementary arrangement of the nucleotide sequences is used as an antisense primer.

(5)상기 센스 프라이머 및 안티센스 프라이머 중 적어도 하나로서, 상기 특이적인 염기배열 또는 상기 염기배열의 상보적 배열을 포함하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가 2종류 이상 사용되는 (3) 또는 (4)에 기재한 유포자 호기성 세균의 판정방법.(5) The diffuser aerobic composition according to (3) or (4), wherein at least one of the sense primer and the antisense primer is used in two or more kinds of oligonucleotides including the specific base sequence or the complementary arrangement of the base sequence. Bacterial determination method.

(6)증폭되는 상기 특정의 DNA단편은, 겔전기영동에 의한 분리에 의해 0.1kb 근방에서 검출되는 크기를 갖는 (3)~(5) 중 어느 한 항에 기재한 유포자 호기성 세균의 판정방법.(6) The method for determining the diffuser aerobic bacterium according to any one of (3) to (5), wherein the specific DNA fragment to be amplified has a size that is detected at about 0.1 kb by separation by gel electrophoresis.

(7)상기 유포자 호기성 세균은, 바실루스(bacillus)속, 파에니바실루스(Paenibacillus)속, 아네우리니바실루스(Aneurinibacillus)속, 게오바실루스(Geobacillus)속, 아리시클로바실루스(Alicyclobacillus)속, 브레비바실루스(Brevibacillus)속, 엠피바실루스(amphibacillus)속, 비르지바실루스(Virgibacillus)속, 하로바실루스(Halobacillus)속, 그라치리바실루스(Gracillibacillus)속, 사리바실루스(Salibacillus)속, 마리니바실루스(Marinibacillus)속 및 스포로락토바실루스(Sporolactobacillus)속 세균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에 속하는 세균인 (3)~(6) 중 어느 한 항에 기재한 유포자 호기성 세균의 판정방법.(7) The diffuser aerobic bacteria, genus Bacillus, genus Paenibacillus, genus Aneurinibacillus, genus Geobacillus, Alicyclobacillus, Alicyclobacillus, Brevibacillus Genus (Brevibacillus), genus amphibacillus, genus Virgibacillus, genus Harobacillus, genus Grachiribacillus, genus Salivacillus, genus Salibacillus, and genus Marinibacillus The determination method of the diffuser aerobic bacterium in any one of (3)-(6) which is a bacterium which belongs to at least 1 sort (s) chosen from the bacteria of the genus Rolactobacillus.

(8)상기 (3)~(7) 중 어느 한 항에 기재한 유포자 호기성 세균의 판정방법을 행하기 위한 판정 키트.(8) A judgment kit for carrying out the method for determining a diffuser aerobic bacterium according to any one of (3) to (7) above.

(9)판정의 대상이 되는 피판정균으로부터 조제한 핵산을 검체로서 사용하여, 상기 검체를 주형으로 하여 PCR반응을 행함으로써 얻어지는 특정의 DNA 단편의 증폭을 지표로 하여, 상기 피판정균이 유포자 호기성 세균인지의 여부를 판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판정 키트이며, PCR반응에 사용되는 프라이머로서, 유포자 호기성 세균의 16S 리보솜 RNA유전자에 특이적인 염기배열 또는 상기 염기배열의 상보적 배열을 포함하고, 상기 특이적인 염기배열이, 배열번호 1 내지 6에 나타나는 염기배열 중 어느 하나인 올리고뉴클레오티드를 적어도 1종 포함하는 유포자 호기성 세균의 판정 키트.(9) Amplification of a specific DNA fragment obtained by performing a PCR reaction using the sample as a template, using a nucleic acid prepared from a target bacterium that is the target of the determination, and is determined as a diffuser aerobic bacterium. It is a determination kit used to determine whether or not, as a primer used in a PCR reaction, comprising a base sequence specific to the 16S ribosomal RNA gene of the diffuser aerobic bacteria or complementary arrangement of the base sequence, the specific base sequence A determination kit for a diffuser aerobic bacterium comprising at least one oligonucleotide which is any one of the nucleotide sequences shown in SEQ ID NOs: 1 to 6.

(10)겔전기영동용 마커로서 사용되어, 길이가 다른 지표용 DNA단편을 여러 종 포함하는 DNA단편 혼합물을 더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DNA단편 혼합물에는, 0.1kb 크기를 갖는 지표용 DNA단편이 포함되어 있는 (9)에 기재한 유포자 호기성 세균의 판정 키트. (10) used as a marker for gel electrophoresis, further comprising a DNA fragment mixture including several species of indicator DNA fragments of different lengths, wherein the DNA fragment mixture contains an indicator DNA fragment having a size of 0.1 kb. The determination kit of the diffuser aerobic bacteria as described in (9).

(11)피판정균으로부터 핵산을 조제하는 시약군을 더 포함하는 (9) 또는 (10)에 기재한 유포자 호기성 세균의 판정 키트.(11) The kit for determining a diffuser aerobic bacterium according to (9) or (10), further comprising a reagent group for preparing nucleic acid from flap bacilli.

(12)PCR반응에 사용되는 시약군을 더 포함하는 (9)~(11) 중 어느 한 항에 기재한 유포자 호기성 세균의 판정 키트.(12) The kit for determination of diffuser aerobic bacteria according to any one of (9) to (11), further comprising a reagent group used for PCR reaction.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 특징 및 우수한 점은, 이하에 기재된 내용에 의해 충분히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이익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이하의 설명에 의해 명백해질 것이다. Still other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fully understood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Further benefi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올리고뉴클레오티드를 얻기 위해, 각종 세균의 16S 리보솜 RNA유전자의 염기배열을 비교한 결과와, 지표가 되는 특정의 DNA 단편이 되는 영역을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the results of comparing the base sequences of 16S ribosomal RNA genes of various bacteria and obtaining regions of specific DNA fragments as indicators to obtain oligonucleotid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실시예 1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올리고뉴클레오티드를 프라이머로서 사용하여, 유포자 호기성 세균 및 그 이외의 세균의 게놈 DNA를 주형으로 하여 PCR을 행했을 때의 증폭산물의 전기영동결과를 도시한 도면이다.Fig. 2 shows the results of electrophoresis of amplified products when PCR was carried out using the oligonucleotid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a primer in Example 1, and using genomic DNA of the diffuser aerobic bacteria and other bacteria as a template. Figure is shown.

도 3은, 실시예 2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올리고뉴클레오티드를 프라이머로서 사용하여, 식품의 제조환경으로부터 분리된 비동정 세균 2주(No.1 및 No.2)의 게놈 DNA를 주형으로 하여 PCR을 행했을 때의 증폭산물의 전기영동결과를 도시한 도면이다.Fig. 3 shows the use of the oligonucleotid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a primer in Example 2, with the genomic DNA of two strains (No. 1 and No. 2) of non-identifying bacteria isolated from the food production environment as a template. It is a figure which shows the electrophoresis result of the amplified product at the time of PCR.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대해 도 1에 기초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이하에 기재된 내용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One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is described in detail based on FIG. This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content described below.

본 실시형태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올리고뉴클레오티드, 이 올리고뉴클레오티드를 이용한 본 발명에 따른 유포자 호기성 세균의 판정방법(이하, 단순히 판정방법이라고 칭하기도 한다), 및, 본 발명에 따른 유포자 호기성 세균의 키트(이하, 단순히 판정 키트라고 칭하기도 한다)의 순서로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In this embodiment, an oligonucleotid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for determining a diffuser aerobic bacteriu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using the oligonucleotide (hereinafter, also referred to simply as a determination method), and a kit for a diffuser aerobic bacteriu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the following order (hereinafter, referred to simply as a determination kit).

(1)본 발명에 따른 올리고뉴클레오티드(1) oligonucleotid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올리고뉴클레오티드는, 유포자 호기성 세균의 16S 리보솜 RNA유전자에 특이적인 염기배열 또는 상기 염기배열의 상보적 배열을 포함하는 것이며, 구체적으로는, 상기 특이적인 염기배열이 배열번호 1 내지 6에 나타나는 염기배열 중 어느 하나를 상기 특이적인 염기배열로서 포함하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이다.The oligonucleotid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ase sequence specific for the 16S ribosomal RNA gene of a diffuser aerobic bacterium or a complementary arrangement of the base sequence, and specifically, the specific base sequence is represented by SEQ ID NOs: 1 to 6 An oligonucleotide comprising any of the nucleotide sequences shown as the specific nucleotide sequences.

상기 올리고뉴클레오티드는, 배열번호 1 내지 6 중 어느 하나에 나타나는 염기배열 또는 상기 염기배열의 상보적 배열을 포함하고 있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6종류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a)~(f)를 들 수 있다.The oligonucleotide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the oligonucleotide contains a nucleotide sequence shown in any one of SEQ ID NOs: 1 to 6 or a complementary sequence of the nucleotide sequence. More specifically, the following six types of oligonucleotides (a)-(f) are mentioned.

(a)다음에 나타나는 염기배열(배열번호 1)을 갖고, 24염기로 이루어진다.(a) has the following nucleotide sequence (SEQ ID NO: 1) and consists of 24 bases.

올리고뉴클레오티드(a):(5') d-ACGATGAGTGCTAAGTGTTGGGGG (3')Oligonucleotide (a): (5 ') d-ACGATGAGTGCTAAGTGTTGGGGG (3')

(b)다음에 나타나는 염기배열(배열번호 2)을 갖고, 24염기로 이루어진다.(b) has the nucleotide sequence shown below (SEQ ID NO: 2) and consists of 24 bases.

올리고뉴클레오티드(b):(5') d-ACGATGAGTGCTAGGTGTTGGGGG (3')Oligonucleotide (b): (5 ') d-ACGATGAGTGCTAGGTGTTGGGGG (3')

(c)다음에 나타나는 염기배열(배열번호 3)을 갖고, 22염기로 이루어진다.(c) has the nucleotide sequence shown below (SEQ ID NO: 3) and consists of 22 bases.

올리고뉴클레오티드(c):(5') d-TTGAGTTTCAGTCTTGCGAGCG (3')Oligonucleotide (c): (5 ') d-TTGAGTTTCAGTCTTGCGAGCG (3')

(d)다음에 나타나는 염기배열(배열번호 4)을 갖고, 22염기로 이루어진다.(d) has the following nucleotide sequence (SEQ ID NO: 4) and consists of 22 bases.

올리고뉴클레오티드(d):(5') d-TTGAGTTTCAGTCTTGCGACCG (3')Oligonucleotide (d): (5 ') d-TTGAGTTTCAGTCTTGCGACCG (3')

(e)다음에 나타나는 염기배열(배열번호 5)을 갖고, 22염기로 이루어진다.(e) has the following nucleotide sequence (SEQ ID NO: 5) and consists of 22 bases.

올리고뉴클레오티드(e):(5') d-TTGAGTTTCACTCTTGCGAGCG (3')Oligonucleotide (e): (5 ') d-TTGAGTTTCACTCTTGCGAGCG (3')

(f)다음에 나타나는 염기배열(배열번호 6)을 갖고, 22염기로 이루어진다.(f) has the nucleotide sequence shown below (SEQ ID NO: 6) and consists of 22 bases.

올리고뉴클레오티드(f):(5') d-TTGAGTTTCACTCTTGCGACCG (3')Oligonucleotide (f): (5 ') d-TTGAGTTTCACTCTTGCGACCG (3')

본 발명에 따른 올리고뉴클레오티드는, 상기 (a)~(f)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배열번호 1~6 중 어느 하나에 나타나는 염기배열을 갖는 것 외에, 이러한 염기배열의 상보적 배열을 갖는 것이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올리고뉴클레오티드는, 배열번호 1~6 중 어느 하나에 나타나는 염기배열이나 이들의 상보적 배열 이외에 부가적인 염기배열을 포함해도 좋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올리고뉴클레오티드는, 배열번호 1~6 중 어느 하나에 나타나는 염기배열이나 이들의 상보적 배열 중에, 1~3 정도 범위 내의 염기가 치환, 결실, 삽입 및/또는 부가되도록 개변된 것이어도 좋다.The oligonucleotid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a) to (f), and may have a nucleotide sequence shown in any one of SEQ ID NOs: 1 to 6, and may have a complementary arrangement of such nucleotide sequences. do. In addition, the oligonucleotid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n additional base sequence in addition to the base sequence shown in any one of SEQ ID NOs: 1 to 6 or their complementary sequence. In addition, the oligonucleotid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modified so that a base in the range of about 1 to 3 is substituted, deleted, inserted, and / or added to the base sequence shown in any one of SEQ ID NOs: 1 to 6 or their complementary arrangement. It may be.

본 발명에 따른 올리고뉴클레오티드의 취득방법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구체적으로는, 공지의 방법으로 배열번호 1~6 중 어느 하나의 염기배열 또 는 상보적 배열을 화학 합성하면 된다.The method for obtaining an oligonucleotid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Specifically, the base sequence or complementary sequence of any one of SEQ ID NOs: 1 to 6 may be chemically synthesized by a known method.

본 발명에 따른 올리고뉴클레오티드는, PCR의 프라이머로서 적합하게 사용되는 것인데, 그 염기배열 또는 길이(크기)는, 후술하는 실시예에 나타낸 바와 같이, BLAST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하여 결정했다. 구체적으로는, 우선 데이터베이스(BLAST)로부터 Bacillus속과 그와 관련된 아포 형성 세균 및 아포 비형성 세균의 16S 리보솜 RNA유전자 배열을 추출했다. 다음에, VectorNTI의 AlignX라고 하는 유전자해석 소프트를 이용하여 얼라이먼트를 행하여, 유포자 호기성 세균에 비교적 공통된 영역을 선출했다.The oligonucleotid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suitably used as a primer for PCR, and its nucleotide sequence or length (size) was determined using a BLAST database, as shown in Examples described later. Specifically, 16S ribosomal RNA gene sequences of the genus Bacillus and its related apopoietic and apopoietic bacteria were extracted from the database (BLAST). Next, alignment was performed using a gene analysis software called AlignX of VectorNTI to select a region relatively common to the diffuser aerobic bacteria.

이러한 여러 종류의 영역 중에서, 다음에 나타내는 프라이머로서 적합한 각 조건을 가능한 한 충족하도록 하여, 그 염기배열과 길이를 확정했다.Among these various kinds of regions, the base sequence and length were determined by satisfying each of the conditions suitable as the primers shown below as much as possible.

1. 길이(크기)는 20~25염기가 적당하다.1. 20 ~ 25 base is suitable for length.

2. G+C(구아닌+시토신) 함량은 50% 전후가 바람직하다.2. The content of G + C (guanine + cytosine) is preferably about 50%.

3. 프라이머 사이의 상보성에 대해서는, 다이머 형성을 방지하기 위해 3' 말단이 상보적인 프라이머를 피한다.3. For complementarity between primers, avoid primers with complementary 3 ′ ends to prevent dimer formation.

4. 프라이머 내에는, 2차 구조를 형성하는 것을 피하기 위해, 자기상보배열을 포함하지 않도록 한다.4. In primers, to avoid forming secondary structures, do not include autocomplementary alignment.

5. 2종의 프라이머는 가능한 한 Tm값에 가까운 것을 선택한다.5. Select two primers as close to the Tm value as possible.

그 결과,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얼라이먼트에 의해, 상기 폴리뉴클레오티드(a)~(f)를 설계했다. 상기 도면에서 "DNA 증폭영역"으로서 도시되는 영역은 판정 대상이 되는 피판정균이 유포자 호기성 세균인지의 여부를 판정하기 위한 지표가 되는 "특정의 DNA 단편"에 해당한다. 또한, 상기 도면의 왼쪽에는, Paenib validus 이상(도면의 선보다 상측)이 Bacillus속과 그와 관련된 아포형성 세균의 학명을 나타내고, Staphy aureus 이하(도면의 선보다 하측)가 아포 비형성 세균의 학명을 나타내고, 선으로 둘러싼 부분은 상동성을 갖는 염기를 나타낸다. 또, 상기 도면 아래의 화살표 중, F로 도시되는 화살표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a)ㆍ(b)에 대응하는 영역이며, R로 도시되는 화살표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c)~(f)에 대응하는 영역이다.As a result, the polynucleotides (a) to (f) were designed by alignment as shown in FIG. 1. The region shown as "DNA amplification region" in this figure corresponds to "specific DNA fragment" serving as an index for determining whether the target bacterium bacterium to be judged is a diffuser aerobic bacterium. In addition, on the left side of the figure, Paenib validus abnormality (upper than the line in the figure) shows the scientific name of the genus Bacillus and its associated apopoietic bacteria, and Staphy aureus below (lower than the line in the figure) shows the scientific name of the apotyping bacteria. The part enclosed with the line represents the base having homology. In the arrows below the figure, an arrow indicated by F is a region corresponding to oligonucleotides (a) and (b), and an arrow shown by R is a region corresponding to oligonucleotides (c) to (f). .

(2)본 발명에 따른 유포자 호기성 세균의 판정방법(2) Method of determining diffuser aerobic bacteri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유포자 호기성 세균의 판정방법은, (1)에서 설명한 상기 올리고뉴클레오티드(a)~(f)를 프라이머로서 사용하여 PCR 반응을 행함으로써, 특정의 DNA 단편을 증폭시켜, 그것을 지표로 하여 판정하는 방법이다.In the method for determining a diffuser aerobic bacteriu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CR is carried out using the oligonucleotides (a) to (f) described in (1) as a primer to amplify a specific DNA fragment and use it as an index. It is a method of determining.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에 따른 판정방법에 있어서는, 적어도 상기 올리고뉴클레오티드(a)~(f)를 프라이머로서 사용하여 PCR 반응을 행하는 "PCR공정"과, PCR공정에서 얻어진 PCR 산물 중에 증폭된 특정의 DNA단편이 포함되어 있는지를 판정하는 "DNA단편 증폭확인공정"을 포함하고 있으면 되고, 또한, "검체조제공정" 등의 다른 공정을 포함해도 좋다.Specifically, in the determin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t least the oligonucleotides (a) to (f) are used as a primer to perform a PCR reaction, and specific amplification in the PCR product obtained in the PCR process. The DNA fragment amplification confirmation step for determining whether the DNA fragment is included may be included, and other steps such as the "sample preparation step" may also be included.

<유포자 호기성 세균><Diffuser aerobic bacteria>

본 발명에서 판정대상이 되는 유포자 호기성 세균은, 구체적으로는 바실루 스(Bacillus)속과 그와 관련된 세균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바실루스속, 파에니바실루스(Paenibacillus)속, 아네우리니바실루스( Aneurinibacillus)속, 게오바실루스(Geobacillus)속, 아리시클로바실루스(Alicyclobacillus)속, 브레비바실루스(Brevibacillus)속, 엔피바실루스(amphibacillus)속, 비르지바실루스(Virgibacillus)속, 하로바실루스(Halobacillus)속, 그라치리바실루스(Gracillibacillus)속, 사리바실루스(Salibacillus)속, 마리니바실루스(Marinibacillus)속, 스포로락토바실루스(Sporolactobacillus)속 등의 세균을 들 수 있다. 상기 유포자 호기성 세균은, 아포를 형성하는 특징을 갖고 있다.The diffuser aerobic bacterium to be determin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is a bacillus genus and a bacterium associated therewith, but specifically, for example, genus Bacillus and Paenibacillus Genus, Aneurinibacillus, Geobacillus, Alicyclobacillus, Brevibacillus, amphibacillus, Virgibacillus, Harro Bacteria, such as genus Bacillus (Halobacillus), Grachiribacillus (Gracillibacillus), Saribacillus (Salibacillus), Marinibacillus (Marinibacillus), Sporolactobacillus (Sporolactobacillus). The diffuser aerobic bacterium has a feature of forming apoptosis.

상기 각 유포자 호기성 세균은, 그 분자계통 등에 의해 다수의 서브그룹으로 분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바실루스속의 각종 서브그룹, 아리시클로바실루스속의 서브그룹, 파에니바실루스속의 서브그룹, 브레비바실루스속의 서브그룹, 아네우리니바실루스속의 서브그룹, 게오바실루스속의 서브그룹, 비르지바실루스속, 하로바실루스속, 그라치리바실루스속, 및 사리바실루스속의 서브그룹, 엔피바실루스속 및 스포로락토바실루스속의 서브그룹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은, 이들 중 어느 서브그룹의 유포자 호기성 세균을 판정하는 용도에 대해서도 적용할 수 있다.Each of the diffuser aerobic bacteria can be classified into a plurality of subgroups according to their molecular systems. Specifically, for example, various subgroups of the genus Bacillus, subgroups of the genus aricyclobacillus, subgroups of the genus Paenibacillus, subgroups of the genus Brevibacillus, subgroups of the genus Anerinibacillus, subgroups of the genus Genoa Bacillus, vir Subgroups of the genus Zivacillus, Harobacillus, Grachiribacillus, and Sarivacillus, and the subgroups of the genus Enpivacillus and Sporolactobacilli. The present invention can also be applied to the use of determining diffuser aerobic bacteria of any of these subgroups.

상기 각 유포자 호기성 세균 중에서도, 바실루스속의 각종, 파에니바실루스속, 아네우리니바실루스속, 게오바실루스속, 아리시클로바실루스속, 브레비바실루 스속의 각 서브그룹은, 특히 식품관계에서 잘 분리되는 세균이며, 본 발명은 이러한 유포자 호기성 세균의 판정에 대해서 특히 적합하게 적용할 수 있다.Among the diffuser aerobic bacteria, each subgroup of the genus Bacillus, Paenibacillus, Anurinibacillus, Geovacillus, Aricyclobacillus, Brevibacillus is a bacterium that is particularly well separated in food relations. The present invention is particularly suitably applied to the determination of such diffuser aerobic bacteria.

본 발명에 따른 판정방법에서는, 상기 올리고뉴클레오티드(a)~(f) 등과 같이, 유포자 호기성 세균의 16S 리보솜 RNA유전자에 특이적인 염기배열 또는 상기 염기배열의 상보적 배열을 포함하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를 프라이머로서 사용한다. 그렇기 때문에, 피판정균이 유포자 호기성 세균인지의 여부를 망라적으로 판정할 수 있게 된다.In the determin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ligonucleotides comprising a base sequence specific to the 16S ribosomal RNA gene of a diffuser aerobic bacterium or a complementary sequence of the base sequence, such as oligonucleotides (a) to (f), are used as primers. use. Therefore, it becomes possible to judge comprehensively whether the flap bacilli are a diffuser aerobic bacterium.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판정방법은, 개별의 속을 특정하는 종래의 기술과는 달리, 피판정균이 아포를 형성하는 균인지의 여부를 신속하게 판정할 수 있으므로, 특히 식품산업계에 있어서는, 제품 또는 제조공정으로부터 검출된 세포가 아포를 형성하는지의 여부를 신속하게 판정하는 검사방법으로서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Therefore, the determin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unlike the conventional technique of specifying the individual genus, can quickly determine whether the bacteriostatic bacillus is a bacterium forming apo, and therefore, particularly in the food industry, It can be used suitably as a test | inspection method which determines rapidly whether the cell detected from the manufacturing process forms the follicle.

<PCR공정><PCR process>

PCR공정은, 판정의 대상이 되는 피판정균으로부터 조제한 핵산을 검체로서 사용하여, 상기 검체를 주형으로 하여 PCR 반응을 행하는 공정이며, 이때, 프라이머로서 본 발명에 따른 올리고뉴클레오티드, 예를 들어 상기 올리고뉴클레오티드를 사용한다.The PCR step is a step of performing a PCR reaction using a sample prepared as a template using a nucleic acid prepared from a bacteriostatic bacterium that is the target of determination, wherein the oligonucleotid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as a primer, for example, the oligonucleotide Use

여기서, 상기 프라이머 중, 배열번호 1 또는 2에 도시된 염기배열, 혹은 이들 염기배열의 상보적 배열을 포함하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는 센스 프라이머로서 사용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올리고뉴클레오티드(a)~(f) 중, 올리고뉴클레오티 드(a) 및/또는 (b)가 센스 프라이머로서 사용된다. 한편, 배열번호 3 내지 6 중 어느 하나에 도시되는 염기배열, 혹은 이들 염기배열의 상보적 배열을 포함하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가 안티센스 프라이머로서 사용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올리고뉴클레오티드(a)~(f) 중, 올리고뉴클레오티드(c), (d), (e) 및 (f)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안티센스 프라이머로서 사용된다.Here, among the primers, oligonucleotides comprising the nucleotide sequence shown in SEQ ID NO: 1 or 2 or the complementary sequence of these nucleotide sequences are used as sense primers. Specifically, among the oligonucleotides (a) to (f), oligonucleotides (a) and / or (b) are used as sense primers. On the other hand, an nucleotide sequence shown in any one of SEQ ID NOs: 3 to 6 or an oligonucleotide comprising a complementary sequence of these base sequences is used as an antisense primer. Specifically, at least any one of oligonucleotides (c), (d), (e) and (f) of the oligonucleotides (a) to (f) is used as an antisense primer.

또한, 상기 센스 프라이머 또는 안티센스 프라이머, 혹은 이들 중 어느 하나의 프라이머에 있어서도, 1종류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만 사용되어도 좋고, 2종류 이상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가 사용되어도 좋다. 구체적으로는, 센스 프라이머로서, 올리고뉴클레오티드(a) 또는 (b)만 사용되어도 좋고, 양쪽 다 사용되어도 좋다. 이와 마찬가지로, 안티센스 프라이머로서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c)~(f) 중 어느 하나가 사용되어도 좋고, 이들 4종류 중 2종류 이상이 사용되어도 좋다.In addition, only one type of oligonucleotide may be used in the said sense primer, antisense primer, or any one of these, and two or more types of oligonucleotides may be used. Specifically, only the oligonucleotide (a) or (b) may be used as a sense primer, or both may be used. Similarly, as an antisense primer, any one of oligonucleotides (c)-(f) may be used, and two or more of these four types may be used.

PCR 공정에 있어서의 PCR용 시약군이나 장치, PCR반응의 조건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시약군은 시판된 PCR 키트나 장치를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고, 반응온도, 반응시간, 사이클 회수 등의 조건은 PCR 키트나 장치의 종류에 따라 적절히 설정할 수 있다.The reagent group, apparatus, and PCR reaction conditions for the PCR process are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the reagent group can be suitably used a commercially available PCR kit or apparatus, and the conditions such as reaction temperature, reaction time, cycle number, and the like. Can be appropriately set according to the type of PCR kit or device.

<DNA단편 증폭확인공정><DNA fragment amplification confirmation process>

DNA단편 증폭확인공정은, 상기 PCR공정에서 얻어진 PCR산물 중에 증폭된 특정의 DNA단편이 있는지를 판정하는 공정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판정방법에서는, 상기 특정의 DNA단편의 증폭을 지표로 하여, 판정대상이 되 는 피판정균이 유포자 호기성 세균인지의 여부를 판정할 수 있다.The DNA fragment amplification confirmation step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is a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re is a specific DNA fragment amplified in the PCR product obtained in the PCR step. In the determin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mplification of the specific DNA fragment as an index makes it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the target bacteriostatic bacterium is a diffuser aerobic bacterium.

상기 특정의 DNA단편의 증폭을 확인하는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나, 일반적으로는, 겔전기영동법에 의한 방법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겔전기영동에 의한 방법은, 핵산을 취급하는 실험에는 널리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기술이며, DNA나 RNA 등의 핵산을 확실하고 효율적으로 분리할 수 있을 뿐 아니라, 겔의 염색에 의해 그 크기(길이)를 확인할 수 있다. 겔전기영동법을 행하는 장치나 전기영동조건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시판된 전기영동장치 등을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어, 상기 장치에 대응한 조건에서 전기영동하면 된다.Although the method of confirming the amplification of the said specific DNA fragment is not specifically limited, Generally, the method by the gel electrophoresis method is used preferably. Gel electrophoresis is a technique widely used in experiments for handling nucleic acids, and it is possible to reliably and efficiently separate nucleic acids such as DNA and RNA, as well as the size (length) by staining gels. You can check. The device for carrying out the gel electrophoresis method and the electrophoretic conditions are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commercially available electrophoretic devices can be suitably used, and electrophoresis may be performed under the conditions corresponding to the above devices.

DNA단편 증폭확인공정에서 확인된 상기 특정의 DNA단편의 길이는, 도 1에 도시하는 "DNA증폭영역"으로부터 명백히 알 수 있듯이 약 100bp이다. 즉, 증폭되는 상기 특정의 DNA단편은, 겔전기영동에 의한 분리에 의해 0.1kb 근방에서 검출되는 크기를 갖는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하는 예에서는, 101염기의 영역이 증폭되게 된다. 유포자 호기성 세균의 종류에 따라서는, 상기 영역에 염기의 결손이나 부가가 발생하는 것도 고려되므로, 적어도 90~110bp의 범위 내, 바람직하게는 100bp~110bp의 범위 내의 크기를 갖는 DNA단편이 증폭될 수 있다. 즉, 상기 범위 내에서는, 0.1kb의 크기를 갖는다고 간주할 수 있다. 따라서, DNA단편 증폭확인공정에서는, 겔전기영동에 의한 분리에 의해 0.1kb 근방에서 검출되는 크기를 갖는 DNA단편이 검출되는지를 확인하면 된다.The length of the specific DNA fragment identified in the DNA fragment amplification confirmation step is about 100 bp, as can be clearly seen from the "DNA amplification region" shown in FIG. That is, the specific DNA fragment to be amplified has a size detected near 0.1 kb by separation by gel electrophoresis. For example, in the example shown in FIG. 1, the 101 base region is amplified. Depending on the type of diffuser aerobic bacteria, the deletion or addition of bases in the region is also considered, so that DNA fragments having a size in the range of at least 90 to 110 bp, preferably in the range of 100 bp to 110 bp can be amplified. have. That is, within the above range, it can be regarded as having a size of 0.1 kb. Therefore, in the DNA fragment amplification confirmation step, it is necessary to confirm whether a DNA fragment having a size detected in the vicinity of 0.1 kb is detected by separation by gel electrophoresis.

<그 외의 공정><Other processes>

본 발명에 따른 판정방법에 있어서는, 상기 PCR공정 및 DNA단편 증폭확인공정이 포함되어 있으면 되나, 그 외의 공정, 예를 들어 검체조제공정이 포함되어도 좋다.In the determin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CR step and the DNA fragment amplification confirmation step may be included, but other steps, for example, a sample preparation step, may be included.

검체조제공정은, 상기 PCR공정의 전단에서 행해지는 것이며, 일정량의 피판정균으로부터 공지된 방법으로 염색체DNA 등의 핵산을 조제하도록 되어 있으면 된다. 균체로부터의 핵산의 조제방법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공지된 방법을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으므로, 시판된 DNA 조제 키트 등을 이용해서 행하면 된다.The sample preparation step is carried out at the front end of the PCR step, and it is only necessary to prepare nucleic acids such as chromosomal DNA from a predetermined amount of the bacteriostatic bacteria by a known method. The method for preparing the nucleic acid from the cells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a known method can be suitably used, and therefore, a commercial DNA preparation kit or the like may be used.

그 외에, 검사대상이 되는 제품이나 제조공정의 기계, 장치 등으로부터 분리된 피판정균을 일정량 배양하기 위한 피판정균 배양공정 등을 포함해도 좋다. 이때의 배지나 배양조건도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공지의 배지나 배양조건을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ethod may include a culture of a bacteriostatic bacterium for culturing a predetermined amount of the bacteriostatic bacterium separated from a product, a manufacturing process, a machine, or the like to be examined. Although the medium and culture conditions at this time are not specifically limited, Well-known medium and culture conditions can be selected suitably.

(3)본 발명에 따른 유포자 호기성 세균의 판정 키트(3) Judgment kit of diffuser aerobic bacteri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유포자 호기성 세균의 판정 키트는, (2)에서 설명한 상기 유포자 호기성 세균의 판정방법을 행하기 위한 판정 키트이면 된다. 구체적으로는, PCR반응에 사용되는 프라이머로서, 유포자 호기성 세균의 16S 리보솜 RNA유전자에 특이적인, 배열번호 1~6 중 어느 하나의 염기배열 또는 상기 염기배열의 상보적 배열을 포함하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를 적어도 포함하고 있는 구성이면 되고, 바람직하게는, 상술한 각 공정을 실시하기 위한 시약류 등을 포함하고 있는 구성을 들 수 있다.The determination kit of the diffuser aerobic bacteriu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 determination kit for carrying out the method for determining the diffuser aerobic bacteria described in (2). Specifically, at least an oligonucleotide comprising a nucleotide sequence of any one of SEQ ID NOs: 1 to 6 or a complementary sequence of the nucleotide sequence, which is specific for 16S ribosomal RNA gene of a diffuser aerobic bacterium, is used as a primer for PCR reaction. What is necessary is just the structure containing, Preferably the structure containing the reagents etc. for performing each process mentioned above is mentioned.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판정 키트에 있어서, 상기 배열번호 1~6 중 어느 하나의 염기배열 또는 상기 염기배열의 상보적 배열을 포함하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는, 센스 프라이머로서 상기 올리고뉴클레오티드(a)ㆍ(b)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안티센스 프라이머로서 올리고뉴클레오티드(c)~(f)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면 된다. 이러한 올리고뉴클레오티드는, PCR반응의 프라이머로서 사용 가능하게 되어 있으면 어떠한 상태이어도 좋고, 예를 들어, 버퍼에 용해된 용액상태이어도 좋다.For example, in the judgment k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oligonucleotide comprising the nucleotide sequence of any one of SEQ ID NOs: 1 to 6 or the complementary sequence of the nucleotide sequences is the oligonucleotide (a). At least one of (b) may be included, and at least any one of oligonucleotides (c)-(f) may be included as an antisense primer. Such oligonucleotide may be in any state as long as it can be used as a primer for PCR reaction, and may be in a solution state dissolved in a buffer, for example.

본 발명에 따른 판정 키트에는, 상술한 각 공정을 실시하기 위한 시약류 등이 포함되어도 좋고, 이와 같은 시약류로서는, PCR 반응용 시약군, DNA단편 증폭을 확인하기 위한 시약군, 피판정균으로부터 핵산을 조제하는 시약군, 피판정균을 배양하기 위한 시약군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시약군은 적어도 1종류가 포함되어 있으면 된다. 또한, 여기서 말하는 시약군은, 상기 공정의 실시에 사용되는 시약, 실험용 소재 또는 일회용 실험기구 등을 2종류 이상 포함하고 있는 것을 가리킨다.The determination k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reagents for performing the above-described steps, and the like may be prepared by preparing a reagent group for PCR reaction, a reagent group for confirming DNA fragment amplification, or nucleic acid from flap bacteria. And a reagent group for culturing the flap bacilli. These reagent groups should just contain at least 1 type. In addition, the reagent group here refers to what contains two or more types of reagents used for the said process, an experimental material, or a disposable laboratory apparatus.

PCR용 시약군으로서는,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dNTP, Taq polymerase, 및 Taq polymerase용 버퍼(Taq Buffer) 등을 들 수 있다. 그 외, 필요에 따라서 마이크로 원심튜브 등의 실험용 소재를 첨부해도 좋다.Specifically as a reagent group for PCR, dNTP, Taq polymerase, Taq polymerase buffer (Taq Buffer), etc. are mentioned specifically ,. In addition, you may attach experimental materials, such as a micro centrifuge tube, as needed.

DNA단편 증폭을 확인하기 위한 시약군으로서는, 겔전기영동에 의해 증폭을 확인하는 경우, 전기영동용 겔을 작성하기 위한 아가로오스, 버퍼, 겔전기영동용 마커 등을 들 수 있다. 이 중, 겔전기영동용 마커는, 길이가 다른 지표용 DNA단편을 여러 종류 포함하는 DNA단편 혼합물이면 좋으나, 상기 DNA단편 혼합물에는, 0.1kb의 크기를 갖는 지표용 DNA단편이 포함되어 있어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판정의 지표인 특정의 DNA단편은, 약 100bp의 크기를 갖기 때문에, 겔전기영동용 마커에는, 이 크기의 밴드를 전기영동상 명확하게 알 수 있는 지표용 DNA단편이 포함되어 있는 것이 더 바람직하기 때문이다. 또한, 겔전기영동용 마커에 사용되는 DNA단편의 유래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As a reagent group for confirming DNA fragment amplification, when amplification is confirmed by gel electrophoresis, agarose, a buffer for preparing an electrophoresis gel, a buffer, a marker for gel electrophoresis, and the like can be given. Among these, the gel electrophoresis marker may be a DNA fragment mixture containing several kinds of indicator DNA fragments having different lengths, but the DNA fragment mixture should contain an indicator DNA fragment having a size of 0.1 kb.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specific DNA fragment as an indicator of determination has a size of about 100 bp, the marker for gel electrophoresis includes an index DNA fragment which can clearly know the band of this size in electrophoresis. It is because it is more preferable. In addition, the origin of the DNA fragment used for the gel electrophoresis marker is not specifically limited.

그 외, 피판정균으로부터 핵산을 조제하는 시약군으로서는, 공지의 DNA 조제 키트를 들 수 있으며, 피판정균을 배양하기 위한 시약균으로서는, 배지 또는 그 원료를 들 수 있다.In addition, a well-known DNA preparation kit is mentioned as a reagent group which prepares nucleic acid from a bacteriostatic bacterium, and a medium or its raw material is mentioned as a reagent bacterium for cultivating a bacteriostatic bacterium.

(4)본 발명의 용도(4) Us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올리고뉴클레오티드 및 이를 이용한 판정방법, 및 판정 키트의 용도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유포자 호기성 세균의 판정이 필요한 모든 용도에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미생물에 의한 오염이 품질에 큰 영향을 미치는 각종 공업제품의 제조공정에서, 상기 공업제품이나 그 제조환경 등으로부터 분리된 균이 유포자 호기성 세균인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경우에 적합하게 사용된다.The use of the oligonucleotide, the determination method using the same, and the determination k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can be used for all applications requiring determination of a diffuser aerobic bacteria. Specifically, for example,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various industrial products in which contamination by microorganisms greatly affects the quality,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bacteria isolated from the industrial product or its production environment or the like are diffuser aerobic bacteria. It is suitably used for.

판정의 대상이 되는 피판정균의 유래가 되는 상기 공업제품은, 대표적인 것으로서, 식품, 음료, 의약품ㆍ시약ㆍ의약부외품, 일회용 의료용 기구 등을 들 수 있으나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식품으로서는, 보다 구체적으로, 빵, 양과자(빙과류 등도 포함), 반찬류 식품, 유제품, 시리얼제품, 두부ㆍ유부류, 소면, 도시락류, 조미료, 밀가루나 식용 고기 등의 농산가공품, 영양보조식품(서플리먼트 등), 장기저장식품(통조림, 냉동식품, 레토르트식품 등) 등을 들 수 있으나,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음료는로서는, 보다 구체적으로, 각종 청량음료수, 미네럴 워터, 우유/유음료, 청주, 맥주, 발포주 등을 들 수 있으나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의약품ㆍ시약ㆍ의약부외품으로서는, 보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각종 의사용 의약품, 각종 대중약, 임상검사약, 실험용 시약류, 그 외 검사약 전반 등을 들 수 있으나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회용 의료용 기구로서는, 보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주사바늘 등을 들 수 있으나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industrial products derived from the bacteriostatic bacterium that is the target of determination include, but are not particularly limited to, foods, beverages, medicines, reagents, quasi-drugs, disposable medical instruments, and the like. As the above-mentioned foods, more specifically, bread, Western confectionery (including ice cream, etc.), side dishes, dairy products, cereal products, tofu and milk products, some noodles, lunch boxes, seasonings, agricultural products such as flour and edible meat, nutritional supplements ( Supplements, etc.), long-term stored foods (canned food, frozen foods, retort foods, etc.), but is not particularly limited. Examples of the beverage include, but are not particularly limited to, various soft drinks, mineral water, milk / milk drinks, sake, beer, effervescent liquor, and the like. Specific examples of the medicine, reagent, and quasi-drug include, but are not particularly limited to, various medicines for doctors, various popular medicines, clinical test drugs, laboratory reagents, and other test drugs. As a disposable medical apparatus, although a needle etc. are mentioned specifically, it is not specifically limited.

공업제품의 제조설비에 있어서는, 공중부유균, 표면부착균, 그 외의 균 모두 피판정균이 될 수 있다. 공중부유균의 분리에는, 낙하세균시험법, 에어샘플러법 등의 방법을 사용할 수 있으나,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표면부착균의 분리에는, 스미어 시험법, 스탬프 아가법 등의 방법을 사용할 수 있으나,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In the production facilities of industrial products, airborne bacteria, surface-adhesive bacteria, and other bacteria can all be flap bacteria. For the separation of airborne bacteria, methods such as a dropping bacterium test method and an air sampler method can be used, but are not particularly limited. Although the smear test method, the stamp agar method, etc. can be used for isolation | separation of surface adhesion bacteria, It is not specifically limited.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각 구성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낸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며, 다른 실시형태에 각각 개시된 기술적 수단을 적절히 조합시켜서 얻어지는 실시형태도,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된다.In addition, this invention is not limited to each structure mentioned above, Various changes are possible in the range shown by a claim, and embodiment obtained by combining suitably the technical means disclosed respectively in other embodiment is also the technical scope of this invention. Included in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 도 2 및 도 3에 기초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Examples 2 and 3.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실시예 1:프라이머의 유포자 호기성 세균 검출력의 검정]Example 1 Assay of Diffuser Aerobic Bacterial Detection of Primer

바실루스속(Bacillus속) 및 그에 관련된 유포자 호기성 세균의 16S 리보솜 RNA유전자에 특이적인 유전자 배열을 검색하여 설계한 프라이머를 사용하여 PCR을 행하고, 유포자 호기성 세균과 그 이외의 세균을 검출할 수 있는지의 여부를 평가했다.Whether to detect a diffuser aerobic bacteria and other bacteria by using a primer designed by searching for a gene sequence specific for the 16S ribosomal RNA gene of the Bacillus genus and related diffuser aerobic bacteria. Rated it.

<검체조제공정><Sample Preparation Process>

바실루스속(Bacillus속), 파에니바실루스(Paenibacillus)속, 아네우리니바실루스속(Aneurinibacillus속), 아리시클로바실루스속(Alicyclobacillus속), 및 바실루스속(Bacillus속) 세균과 비교적 유전자 배열이 유사한 아포 비형성 세균을 이용했다. 검체로서 사용한 세균에 대해서는 표 1에 기재했다. 이들 각 균주에 최적의 배양조건으로 배양한 균주로부터, 게놈 DNA를 Genomic DNA Purification Kit (Edge Biosystems사 제품)을 사용하여, 첨부의 프로토콜에 따라 조제했다.Genus Bacillus, Paenibacillus, Aneurinibacillus, Aricyclobacillus, and Bacillus, Bacillus Forming bacteria were used. The bacteria used as the specimens are listed in Table 1. Genomic DNA was prepared using the Genomic DNA Purification Kit (manufactured by Edge Biosystems, Inc.) according to the attached protocol from the strains incubated under optimal culture conditions for each of these strains.

[표 1]TABLE 1

<Bacillus속 세균><Bacillus genus bacteria> 1. Bacillus subtilis (IFO13719) 2. B. sphaerius (NBRC15095) 3. B. cereus (IAM12605) 4. B. coagulans (IAM12463) 5. B. megaterium (JCM2506)1.Bacillus subtilis (IFO13719) 2.B. sphaerius (NBRC15095) 3.B. cereus (IAM12605) 4.B. coagulans (IAM12463) 5.B. megaterium (JCM2506) <Bacillus속에 관련된 유포자 호기성 세균><A diffuser aerobic bacterium related to the genus Bacillus> 6. Paenibacillus validus (BUB75) 7. Paenibacillus illinoisensis (IFO15379) 8. Aneurinibacillus aneurinolyticus (IAM1077) 9. Alicyclobacillus acidoterrestris (ATCC49025) 10. Alicyclobacillus acidocaldarius (JCM5260)6.Paenibacillus validus (BUB75) 7.Paenibacillus illinoisensis (IFO15379) 8.Aneurinibacillus aneurinolyticus (IAM1077) 9.Alicyclobacillus acidoterrestris (ATCC49025) 10.Alicyclobacillus acidocaldarius (JCM5260) <아포 비형성 세균><Apo-forming bacteria> 11. Staphylococcus aureus (ATCC9144) 12. Staphylococcus capitis (ATCC27840) 13. Streptococcus salivarius (SAM0180) 14. Lactobacillus delbrueckii (IAM1928) 11. Staphylococcus aureus (ATCC9144) 12. Staphylococcus capitis (ATCC27840) 13. Streptococcus salivarius (SAM0180) 14. Lactobacillus delbrueckii (IAM1928)

<프라이머의 설계 및 합성>Primer Design and Synthesis

데이터베이스(BLAST)로부터 바실루스속(Bacillus속)과 그와 관련된 유포자 호기성 세균(예를 들어, 파에니바실루스속(Paenibacillus속), 아네우리니바실루스속(Aneurinibacillus속), 게오바실루스속(Geobacillus속), 아리시클로바실루스속(Alicyclobacillus속), 브레비바실루스속(Brevibacillus속) 등) 및 아포 비형성 세균의 16S 리보솜 RNA유전자배열을 추출하여, VectorNTI의 AlignX라고 하는 유전자해석 소프트를 이용하여 얼라이먼트를 행하여, 유포자 호기성 세균에 비교적 공통된 영역을 선출했다. 그 중에서, 배열번호 1~6의 배열을 선택하여, 그들과 동일한 배열을 갖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를 화학 합성하여 프라이머로서 사용했다. 이하, 각 프라이머를 각각 올리고뉴클레오티드(a)~(f)라고 칭한다.Genus Bacillus and its related diffuser aerobic bacteria from the database (BLAST) (eg Paenibacillus genus, Aneurinibacillus genus, Geobacillus genus, 16S ribosomal RNA gene arrays of the genus Alicyclobacillus, Brevibacillus, etc.) and apo-forming bacteria were extracted and aligned using a gene analysis software called AlignX of VectorNTI. Relatively common areas were chosen for aerobic bacteria. Among them, the sequences of SEQ ID NOs: 1 to 6 were selected, and oligonucleotides having the same sequence as those were chemically synthesized and used as primers. Hereinafter, each primer is called oligonucleotide (a)-(f), respectively.

<PCR공정/DNA단편 증폭확인공정><PCR process / DNA fragment amplification confirmation process>

상기 게놈 DNA를 주형으로 하여, 상기 올리고뉴클레오티드(a)~(f)를 사용하 여, 표 2에 나타낸 샘플을 조제하여 PCR 반응을 행했다. 또한, PCR 반응은, Biometra사 제품 T GRAGIENT를 사용하여 행하며, PCR 조건은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다. PCR반응 종료후, Agilent2100 바이오 애널라이저(Agilent Technologies사 제품)에 첨부한 프로토콜에 따라서 분석을 행하여, DNA의 증폭 밴드 및 그 밴드의 크기를 확인했다.Using the said genomic DNA as a template, the sample shown in Table 2 was prepared using the said oligonucleotide (a)-(f), and PCR reaction was performed. In addition, PCR reaction is performed using T GRAGIENT made from Biometra, and PCR conditions are as shown in Table 3. After completion of the PCR reaction, analysis was carried out according to the protocol attached to the Agilent 2100 Bioanalyzer (manufactured by Agilent Technologies, Inc.) to confirm the amplification band of the DNA and the size of the band.

<결과><Result>

바이오 애널라이저에 의한 전기영동의 결과를 도 2에 도시했다. 도 2에서 레인 1은 분자량 마커, 레인 2는 Bacillus subtilis(IFO13719)의 결과, 레인 3은 B. sphaericus(NBRC15095)의 결과, 레인 4는 B. cereus(IAM12605)의 결과, 레인 5는 B. coagulans(IAM12463)의 결과, 레인 6은 B. megaterium(JCM2506)의 결과, 레인 7은, Paenibacillus validus(BUB75)의 결과, 레인 8은 P. illinoisensis(IF015379)의 결과, 레인 9은 Aneurinibacillus aneurinolyticus(IAM1077)의 결과, 레인 10은 Alicyclobacillus acidoterrestris(ATCC49025)의 결과, 레인 11은 A. acidocaldarius(JCM5260)의 결과, 레인 12는 Staphylococcus aureus(ATCC9144)의 결과, 레인 13은 Staphylococcus capitis(ATCC27840)의 결과, 레인 14는 Streptococcus salivarius(SAM0180)의 결과, 및 레인 15는 Lactobacillus delbrueckii(IAM1928)의 결과를 각각 나타냈다.The results of electrophoresis by the bioanalyzer are shown in FIG. In Figure 2 lane 1 is the molecular weight marker, lane 2 is the result of Bacillus subtilis (IFO13719), lane 3 is the result of B. sphaericus (NBRC15095), lane 4 is the result of B. cereus (IAM12605), lane 5 is B. coagulans As a result of (IAM12463), lane 6 is the result of B. megaterium (JCM2506), lane 7 is the result of Paenibacillus validus (BUB75), lane 8 is the result of P. illinoisensis (IF015379), lane 9 is Aneurinibacillus aneurinolyticus (IAM1077) Lane 10 is the result of Alicyclobacillus acidoterrestris (ATCC49025), lane 11 is the result of A. acidocaldarius (JCM5260), lane 12 is the result of Staphylococcus aureus (ATCC9144), lane 13 is the result of Staphylococcus capitis (ATCC27840), lane 14 Shows the results of Streptococcus salivarius (SAM0180), and lane 15 shows the results of Lactobacillus delbrueckii (IAM1928), respectively.

도 2의 레인 2~11에 나타나는 유포자 호기성 세균만으로 100bp 부근에 밴드 가 검출되어, 유포자 호기성 세균 이외의 세균의 결과를 나타내는 레인 12~15에서는, 100bp 부근에 밴드가 검출되지 않았다. 따라서, 이러한 약 100bp의 크기를 갖는 DNA단편은, 유포자 호기성 세균에 특이적인 것이며, 이 DNA단편의 유무를 지표로 하여 유포자 호기성 세균인지의 여부를 쉽게 판단할 수 있다.The band was detected only around 100 bp by the diffuser aerobic bacteria shown in lanes 2 to 11 of FIG. 2, and in the lanes 12 to 15 showing the results of bacteria other than the diffuser aerobic bacteria, the band was not detected around 100 bp. Therefore, the DNA fragment having a size of about 100 bp is specific for the diffuser aerobic bacteria, and it is easy to determine whether the DNA fragment is a diffuser aerobic bacterium by us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DNA fragment as an index.

[실시예 2:식품의 제조환경으로부터 분리된 미동정 세균주의 검정]Example 2: Assay of Unidentified Bacteria Isolated from Food Environment

미동정 세균주에 대해서 100bp의 DNA단편의 유무를 지표로 하여 유포자 호기성 세균인지의 여부를 판단한 결과와, 상기 세균의 동정결과를 비교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유포자 호기성 세균의 검출판정방법의 타당성을 검토하기로 했다.The validity of the detection and determination method of the diffuser aerobic bacteriu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determined by comparing the result of the identification of the diffuser aerobic bacterium with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DNA fragment of 100 bp as an index for the unidentified bacterial strain. I decided to review.

<검체조제공정><Sample Preparation Process>

식품의 제조환경으로부터 분리된 미동정 세균 2주(No. 1 및 No. 2라고 한다)를 트립티케이스 소이 한천배지(BBL사 제품)에서, 35℃, 호기 조건하에서 배양했다. 배지 상의 균체를 1 콜로니 채취하여, Genomic DNA Purification Kit(Edge Biosystems사 제품)을 사용하여 첨부의 프로토콜에 따라 DNA를 채취하고, 이것을 검체로 하였다(검체조제공정).Two strains of unidentified bacteria (called No. 1 and No. 2) isolated from the food production environment were cultured on tryticase soy agar medium (BBL Co.) at 35 ° C. under aerobic conditions. One colony of the cells on the medium was collected, DNA was collected using the Genomic DNA Purification Kit (manufactured by Edge Biosystems, Inc.) according to the attached protocol, and this was used as a specimen (sample preparation step).

<PCR공정ㆍDNA단편 증폭확인공정>PCR process and DNA fragmentation amplification confirmation process

상기 검체액을 주형으로 하여, 전술한 올리고뉴클레오티드(a)~(f)를 이용하여, 표 2에 나타낸 샘플을 조제하여 PCR을 행했다. 또한, PCR은, Biometra사 제품인 T GRAGIENT를 사용하여 행하며, PCR조건은 표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았다. PCR 종료 후, Agilent2100 바이오 애널라이저(Agilent Technologies사 제품)에 첨부의 프로토콜에 따라서 분석을 행하여, DNA의 증폭 밴드 및 그 밴드의 크기를 확인했다.Using the sample liquid as a template, the samples shown in Table 2 were prepared using the oligonucleotides (a) to (f) described above, and PCR was performed. In addition, PCR was performed using T GRAGIENT made from Biometra, and PCR conditions were as shown in Table 3. After completion of PCR, the Agilent 2100 bioanalyzer (manufactured by Agilent Technologies, Inc.) was analyzed in accordance with the attached protocol to confirm the amplification band of DNA and the size of the band.

[표 2]TABLE 2

                                                             Μl 게놈 DNA 2 센스 프라이머(프라이머1 및 2) 0.4 안티센스 프라이머(프라이머3, 4, 5, 6) 0.4 dNTP 2 x 10 Taq Buffer 2 Taq polymelase 0.5 물 12.7Genomic DNA 2 sense primers (primers 1 and 2) 0.4 Antisense primers (primers 3, 4, 5, 6) 0.4 dNTP 2 x 10 Taq Buffer 2 Taq polymelase 0.5 Water 12.7

[표 3]TABLE 3

온도(℃) 시간(초) 사이클수 Temperature (℃) Time (seconds) Cycle Count

Figure 112006028032296-PCT00001
Figure 112006028032296-PCT00001

<결과><Result>

전기영동의 결과를 도 3에 도시했다. 도 3에서 레인 1은 분자량 마커, 레인 2는 No.1의 미동정 세균주의 결과 및 레인 3은 No.2의 미동정 세균주의 결과를 각각 나타냈다.The results of electrophoresis are shown in FIG. In FIG. 3, lane 1 shows the molecular weight marker, lane 2 shows the result of unidentified bacterial strain No. 1, and lane 3 shows the result of unidentified bacterial strain No. 2, respectively.

No. 1에서는 100bp 부근에 밴드가 검출되어, 상기 세균이 유포자 호기성 세균인 것으로 판정되었다. 또한, 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 아포 형성이 확인되었다. 또, Api50CHB(일본 Bio Merieux사 제품)을 사용하여 첨부의 프로토콜에 따라 상기 세균의 동정을 행한 결과, 유포자 호기성 세균인 Bacillus licheniformis로 동정되었다. 따라서, 100bp의 밴드를 지표로 하여 판단을 행한 결과와 일치했다.No. In 1, a band was detected around 100 bp, and it was determined that the bacterium was a diffuser aerobic bacterium. In addition, when observed under a microscope, the formation of apo was confirmed. The bacteria were identified using Api50CHB (manufactured by Bio Merieux Co., Ltd.) according to the attached protocol, and identified as Bacillus licheniformis, a diffuser aerobic bacterium. Therefore, it was consistent with the result of the judgment made using the band of 100bp as an index.

한편, No. 2에서는, 100bp 부근에 밴드는 검출되지 않아, 유포자 호기성 세균이 아닌 것으로 판정되었다. 상기 세균에 대해서 16S 리보솜 RNA유전자의 부분 염기배열 시퀀스를 행하여 동정한 결과, 유포자 호기성 세균이 아닌 Methylobacterium속 세균인 것으로 판명되었다. 따라서, No. 2에 대해서도 100bp의 밴드를 지표로 하여 판단을 행한 결과와 일치하여, 100bp 부근의 밴드 유무를 지표로 하여 유포자 호기성 세균인지의 여부를 검출 판정하는 방법은 타당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Meanwhile, No. In 2, the band was not detected around 100bp, and it was judged that it is not a diffuser aerobic bacterium. The bacterium was identified by performing a partial nucleotide sequence of the 16S ribosomal RNA gene and found to be a Methylobacterium genus rather than a diffuser aerobic bacterium. Therefore, No. Consistent with the result of judging using the band of 100 bp as an index for 2, it was found that a method of detecting and determining whether or not it is a diffuser aerobic bacterium us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band around 100 bp as an index was found to be valid.

이상의 결과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올리고뉴클레오티드(a)~(f)를 프라이머로 하여 PCR 증폭 등의 증폭반응을 행하여, 특이적인 DNA단편(약 100bp)이 증폭되는지의 여부에 의해, 피판정균이 유포자 호기성 세균인지의 여부를 간편하게 판정할 수 있게 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판정방법은, 유포자 호기성 세균의 유효한 검출 및 판정수단이라고 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올리고뉴클레오티드를 포함시켜서 키트화 하면, 유포자 호기성 세균의 판정 키트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Based on the above results, amplification reactions, such as PCR amplification, were carried out using the oligonucleotides (a) to (f)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determine whether the bacteriostatic bacterium was amplified by specific DNA fragments (about 100 bp). It is possible to easily determine whether or not the diffuser is an aerobic bacterium. That is, the determin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aid to be an effective detection and determination means of the diffuser aerobic bacteria. In addition, the kit may be provided by including the oligonucleotide, thereby providing a kit for determining a diffuser aerobic bacteria.

한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양태 또는 실시예는, 어디까지나 기술내용을 명확히 하기 위한 것이며, 그와 같은 구체예에만 한정하여 협의로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본 발명의 정신과 다음에 기재하는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specific embodiments or examples of the invention are intended to clarify the technical details to the last,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such specific examples only, and within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claims set forth below. Various changes can be made in.

본 발명에 따른 올리고뉴클레오티드를 프라이머로 하고, 피판정균으로부터 얻어진 염색체 DNA 등을 주형으로 하여 PCR 증폭 등의 증폭반응을 행함으로써, 바실루스속 및 그와 관련된 유포자 호기성 세균의 16S 리보솜 RNA 유전자에 존재하는 특이적인 DNA단편을 증폭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술한 증폭반응에 의해 상기 특이적인 DNA 단편(약 0.1kb)이 증폭되는지의 여부에 의해, 피판정균이 바실루스속 및 그와 관련된 유포자 호기성 세균인지의 여부를 신속하게 판정할 수 있게 되었다. 또, 상기 올리고뉴클레오티드를 포함시켜서 키트화 함으로써, 유포자 호기성 세균의 판정 키트를 제공할 수 있다.Specificity present in 16S ribosomal RNA gene of Bacillus genus and related diffuser aerobic bacteria by performing amplification reaction such as PCR amplification using oligonucleotid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a primer and chromosomal DNA obtained from the bacteriostatic bacterium as a template DNA fragments can be amplified. As a result, whether or not the specific DNA fragment (about 0.1 kb) is amplified by the amplification reaction described above can quickly determine whether the bacteriostatic bacillus is a Bacillus genus and its associated diffuser aerobic bacterium. . Moreover, the kit for containing the said oligonucleotide can be provided and the determination kit of a diffuser aerobic bacterium can be provided.

그렇기 때문에, 본 발명에 의하면, 이제까지 어렵다고 여겨졌던 유포자 호기성 세균의 검출을 신속하고 망라적으로 행할 수 있는 효과를 이룬다.Therefore, according to this invention, the effect which can detect the diffuser aerobic bacterium which was considered difficult until now is quick and comprehensive is achieved.

지금까지 아포를 형성하는 세균(유포자 호기성 세균)인지의 여부를 판정하려면, 아포형성배지 상에서 피판정균을 배양하고, 상기 균이 아포를 형성하는지의 여부를 현미경으로 검사하여 확인해야 했다. 그렇기 때문에, 판정에 이르기까지 수일~1주일이라는 상당히 긴 시간이 필요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반일 정도로 유포자 호기성 세균인지의 여부를 판정할 수 있고, 유포자 호기성 세균인지의 여부를 간편하고 신속하게 판정할 수 있다.To determine whether or not it is a bacterium which forms apoptosis (a diffuser aerobic bacterium), it was necessary to cultivate the bacteriostatic bacterium on a follicle forming medium, and examine whether or not the bacterium forms follicles under a microscope. Therefore, it took quite a long time, ranging from a few days to a week, to reach a decis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or not it is a diffuser aerobic bacterium in about half a day, and it can be easily and quickly determined whether it is a diffuser aerobic bacterium.

그렇기 때문에, 본 발명은, 식품제조업, 음식산업, 약품산업 등에 있어서의 위생관리, 공정관리, 품질관리에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미생물 오염이 검출된 경 우에도, 상기 세균이 유포자 호기성 세균인지의 여부를 신속하게 판정함으로써, 트러블에 대해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for hygiene control, process control, and quality control in the food manufacturing industry, the food industry, the pharmaceutical industry, and the like. In addition, even when microbial contamination is detected, it is possible to respond quickly to the trouble by quickly determining whether the bacterium is a diffuser aerobic bacterium.

<110> SUNTORY LIMITED <120> Oligonucleotide used for identification of spore aerobic bacteria, identification method and kit of spore aerobic bacteria thereof <130> SU0415 <150> JP 2003-346167 <151> 2003-10-03 <160> 6 <170> PatentIn Ver. 2.1 <210> 1 <211> 24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Description of Artificial Sequence:Artificially Synthesized Sequence <400> 1 acgatgagtg ctaagtgttg gggg 24 <210> 2 <211> 24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Description of Artificial Sequence:Artificially Synthesized Sequence <400> 2 acgatgagtg ctaggtgttg gggg 24 <210> 3 <211> 22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Description of Artificial Sequence:Artificially Synthesized Sequence <400> 3 ttgagtttca gtcttgcgag cg 22 <210> 4 <211> 22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Description of Artificial Sequence:Artificially Synthesized Sequence <400> 4 ttgagtttca gtcttgcgac cg 22 <210> 5 <211> 22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Description of Artificial Sequence:Artificially Synthesized Sequence <400> 5 ttgagtttca ctcttgcgag cg 22 <210> 6 <211> 22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Description of Artificial Sequence:Artificially Synthesized Sequence <400> 6 ttgagtttca ctcttgcgac cg 22 <110> SUNTORY LIMITED <120> Oligonucleotide used for identification of spore aerobic          bacteria, identification method and kit of spore aerobic          bacteria <130> SU0415 <150> JP 2003-346167 <151> 2003-10-03 <160> 6 <170> Patent In Ver. 2.1 <210> 1 <211> 24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Description of Artificial Sequence: Artistically Synthesized          Sequence <400> 1 acgatgagtg ctaagtgttg gggg 24 <210> 2 <211> 24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Description of Artificial Sequence: Artistically Synthesized          Sequence <400> 2 acgatgagtg ctaggtgttg gggg 24 <210> 3 <211> 22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Description of Artificial Sequence: Artistically Synthesized          Sequence <400> 3 ttgagtttca gtcttgcgag cg 22 <210> 4 <211> 22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Description of Artificial Sequence: Artistically Synthesized          Sequence <400> 4 ttgagtttca gtcttgcgac cg 22 <210> 5 <211> 22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Description of Artificial Sequence: Artistically Synthesized          Sequence <400> 5 ttgagtttca ctcttgcgag cg 22 <210> 6 <211> 22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Description of Artificial Sequence: Artistically Synthesized          Sequence <400> 6 ttgagtttca ctcttgcgac cg 22

Claims (12)

유포자 호기성 세균의 16S 리보솜 RNA유전자에 특이적인 염기배열 또는 상기 염기배열의 상보적 배열을 포함하고 있으며,A nucleotide sequence specific for the 16S ribosomal RNA gene of a diffuser aerobic bacterium or a complementary arrangement of the nucleotide sequence, 상기 특이적인 염기배열은 배열번호 1 내지 6에 나타나는 염기배열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The specific nucleotide sequence is an oligonucleotide, characterized in that any one of the nucleotide sequence shown in SEQ ID NO: 1 to 6.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유포자 호기성 세균은, 바실루스(Bacillus)속, 파에니바실루스(Paenibacillus)속, 아네우리니바실루스(Aneurinibacillus)속, 게오바실루스(Geobacillus)속, 아리시클로바실루스(Alicyclobacillus)속, 브레비바실루스(Brevibacillus)속, 엠피바실루스(Amphibacillus)속, 비르지바실루스(Virgibacillus)속, 하로바실루스(Halobacillus)속, 그라치리바실루스(Gracillibacillus)속, 사리바실루스(Salibacillus)속, 마리니바실루스(Marinibacillus)속 및 스포로락토바실루스(Sporolactobacillus)속 세균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에 속하는 세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The diffuser aerobic bacteria, Bacillus (Bacillus), Paenibacillus (Paenibacillus), Aneurinibacillus (Aneurinibacillus), Geobacillus (Geobacillus), Alicyclobacillus (Alicyclobacillus), Brevibacillus (Brevibacillus) Genus, Amphibacillus genus, Virgibacillus genus, Halobacillus genus, Graciribacillus genus, Salibacillus genus, Marinibacillus genus and Sporolactobacilli (Sporolactobacillus) oligonucleotide, characterized in that the bacteria belonging to at least one selected from bacteria. 판정의 대상이 되는 피판정균으로부터 조제한 핵산을 검체로서 사용하여, 상기 검체를 주형으로 하여 PCR반응을 행함으로써 얻어지는 특정의 DNA 단편의 증폭 을 지표로 하여, 상기 피판정균이 유포자 호기성 세균인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유포자 호기성 세균의 판정방법이며,Using a nucleic acid prepared from a bacteriostatic bacterium, which is the subject of determination, as a sample, the amplification of a specific DNA fragment obtained by performing a PCR reaction using the sample as a template, as an index, determines whether the flapper bacterium is a diffuser aerobic bacterium. It is a determination method of the diffuser aerobic bacteria to judge, PCR반응에 사용되는 프라이머로서는, 유포자 호기성 세균의 16S 리보솜 RNA유전자에 특이적인 염기배열 또는 상기 염기배열의 상보적 배열을 포함하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가 적어도 1종 사용됨과 동시에,As the primer used for the PCR reaction, at least one oligonucleotide comprising a base sequence specific to the 16S ribosomal RNA gene of a diffuser aerobic bacterium or a complementary sequence of the base sequence is used, 상기 특이적인 염기배열이, 배열번호 1 내지 6에 나타난 염기배열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포자 호기성 세균의 판정방법.The specific nucleotide sequence is any one of the nucleotide sequence shown in SEQ ID NOs: 1 to 6, characterized in that the diffuser aerobic bacteria determination method. 제 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상기 프라이머 중, 배열번호 1 또는 2에 나타나는 염기배열, 혹은 상기 염기배열의 상보적 배열을 포함하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가 센스 프라이머로서 사용됨과 동시에,Of the primers, the base sequence shown in SEQ ID NO: 1 or 2, or an oligonucleotide comprising a complementary sequence of the base sequence is used as the sense primer, 배열번호 3 내지 6 중 어느 하나에 나타나는 염기배열, 혹은 상기 염기배열의 상보적 배열을 포함하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가 안티센스 프라이머로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포자 호기성 세균의 판정방법.A method for determining a diffuser aerobic bacterium, wherein an nucleotide sequence represented by any one of SEQ ID NOs: 3 to 6 or an oligonucleotide comprising a complementary sequence of the base sequence is used as an antisense primer. 제 3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or 4, 상기 센스 프라이머 및 안티센스 프라이머 중 적어도 하나로서, 상기 특이적인 염기배열 또는 상기 염기배열의 상보적 배열을 포함하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가 2종류 이상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포자 호기성 세균의 판정방법.At least one of the sense primer and the antisense primer, a method for determining a diffuser aerobic bacterium,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two oligonucleotides comprising the specific base sequence or the complementary arrangement of the base sequence is used. 제 3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3 to 5, 증폭되는 상기 특정의 DNA단편은, 겔전기영동에 의한 분리에 의해 0.1kb 근방에서 검출되는 크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포자 호기성 세균의 판정방법.The specific DNA fragment to be amplified has a size detected in the vicinity of 0.1 kb by separation by gel electrophoresis, characterized in that the diffuser aerobic bacteria determination method. 제 3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3 to 6, 상기 유포자 호기성 세균은, 바실루스(bacillus)속, 파에니바실루스(Paenibacillus)속, 아네우리니바실루스(Aneurinibacillus)속, 게오바실루스(Geobacillus)속, 아리시클로바실루스(Alicyclobacillus)속, 브레비바실루스(Brevibacillus)속, 엠피바실루스(amphibacillus)속, 비르지바실루스(Virgibacillus)속, 하로바실루스(Halobacillus)속, 그라치리바실루스(Gracillibacillus)속, 사리바실루스(Salibacillus)속, 마리니바실루스(Marinibacillus)속 및 스포로락토바실루스(Sporolactobacillus)속 세균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에 속하는 세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포자 호기성 세균의 판정방법.The diffuser aerobic bacteria, genus Bacillus, genus Paenibacillus, genus Anuriinibacillus, genus Bacillus, Geobacillus, Aricyclobacillus, Alicyclobacillus, Brevibacillus Genus, genus amphibacillus, genus Virgibacillus, genus Harobacillus, genus Grachiba bacillus, genus Salibacillus, genus Marinibacillus and sporolactobacillus (Sporolactobacillus) A method for determining a diffuser aerobic bacterium, characterized in that the bacteria belong to at least one species selected from among the bacteria. 제 3항 내지 제 7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한 유포자 호기성 세균의 판정방법을 행하기 위한 판정 키트.A judgment kit for performing the method of determining the diffuser aerobic bacteria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3 to 7. 판정의 대상이 되는 피판정균으로부터 조제한 핵산을 검체로서 사용하여, 상기 검체를 주형으로 하여 PCR반응을 행함으로써 얻어지는 특정의 DNA 단편의 증폭을 지표로 하여, 상기 피판정균이 유포자 호기성 세균인지의 여부를 판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판정 키트이며,Using the nucleic acid prepared from the target bacterium as the target of the judgment as a sample, the amplification of a specific DNA fragment obtained by performing a PCR reaction using the sample as a template is used as an index to determine whether the bacteriostatic bacterium is a diffuser aerobic bacterium. Judgment kit used to judge, PCR반응에 사용되는 프라이머로서, 유포자 호기성 세균의 16S 리보솜 RNA유전자에 특이적인 염기배열 또는 상기 염기배열의 상보적 배열을 포함하고, 상기 특이적인 염기배열이, 배열번호 1 내지 6에 나타나는 염기배열 중 어느 하나인 올리고뉴클레오티드를 적어도 1종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포자 호기성 세균의 판정 키트.A primer used for a PCR reaction, comprising a base sequence specific for a 16S ribosomal RNA gene of a diffuser aerobic bacterium or a complementary sequence of the base sequence, wherein the specific base sequence is shown in SEQ ID NOs: 1 to 6 Diffuser aerobic bacteria determination kit comprising at least one oligonucleotide which is any one. 제 9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9, 겔전기영동용 마커로서 사용되어, 길이가 다른 지표용 DNA단편을 여러 종 포함하는 DNA단편 혼합물을 더 포함하고 있으며, It is used as a marker for gel electrophoresis and further comprises a DNA fragment mixture containing several species of indicator DNA fragments of different lengths, 상기 DNA단편 혼합물에는, 0.1kb 크기를 갖는 지표용 DNA단편이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포자 호기성 세균의 판정 키트. The DNA fragment mixture comprises a DNA fragment for indicator having a size of 0.1kb, diffuser aerobic bacteria determination kit, characterized in that. 제 9항 또는 제 10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9 or 10, 피판정균으로부터 핵산을 조제하는 시약군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 는 유포자 호기성 세균의 판정 키트.Diffuser aerobic bacteria determination kit,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reagent group for preparing nucleic acid from the bacteriostatic bacterium. 제 9항 내지 제 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9 to 11, PCR반응에 사용되는 시약군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포자 호기성 세균의 판정 키트.Diffuser aerobic bacteria determination kit further comprises a reagent group used for the PCR reaction.
KR1020067007783A 2003-10-03 2004-09-29 Oligonucleotide to be used in determining sporogenous aerobic bacterium and determination method and determination kit for sporogenous aerobic bacerium using the same KR101113974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346167 2003-10-03
JP2003346167A JP4242244B2 (en) 2003-10-03 2003-10-03 Oligonucleotide used for determination of spore aerobic bacteria, determination method and determination kit of spore aerobic bacteria using the same
PCT/JP2004/014240 WO2005033337A1 (en) 2003-10-03 2004-09-29 Oligonucleotide to be used in determining sporogenous aerobic bacterium and determination method and determination kit for sporogenous aerobic bacerium us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76786A true KR20060076786A (en) 2006-07-04
KR101113974B1 KR101113974B1 (en) 2012-03-06

Family

ID=344194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07783A KR101113974B1 (en) 2003-10-03 2004-09-29 Oligonucleotide to be used in determining sporogenous aerobic bacterium and determination method and determination kit for sporogenous aerobic bacerium using the same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4242244B2 (en)
KR (1) KR101113974B1 (en)
CN (1) CN1863925B (en)
TW (1) TWI342338B (en)
WO (1) WO2005033337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423921T3 (en) * 2004-08-04 2013-09-25 Suntory Holdings Limited Bacteria detection instrument, bacteria detection method and bacteria detection kit
AU2008201391A1 (en) * 2007-03-30 2008-10-16 Gc Corporation A method for measuring the number of oral lactobacillus, and a PCR primers-probe set used for the same
JP5279204B2 (en) * 2007-06-04 2013-09-04 サントリー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Bacteria detection instrument, bacteria detection method, and bacteria detection kit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94100A (en) * 1995-07-03 1997-04-08 Higeta Shoyu Co Ltd Bacteria identification and kit therefor
JP3423597B2 (en) * 1997-11-05 2003-07-07 三井農林株式会社 Bacterial identification method
JP2002051783A (en) * 2000-08-09 2002-02-19 Denso Corp Method of detection/determination for eubacteria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863925B (en) 2012-09-05
JP2005110530A (en) 2005-04-28
TWI342338B (en) 2011-05-21
CN1863925A (en) 2006-11-15
JP4242244B2 (en) 2009-03-25
KR101113974B1 (en) 2012-03-06
TW200525039A (en) 2005-08-01
WO2005033337A1 (en) 2005-04-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575433C (en) Bacteria detection device, bacteria detection method and bacteria detection kit
El-Hadedy et al. Identification of Staphylococcus aureus and Escherichia coli isolated from Egyptian food by conventional and molecular methods
DK2902506T3 (en) DETECTION OF LISTERIA SPECIES IN FOODS AND ENVIRONMENTAL TESTS, PROCEDURES AND COMPOSITIONS THEREOF
Greiner et al. Presence of genetically modified maize and soy in food products sold commercially in Brazil from 2000 to 2005
JP2017516466A (en)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detecting yellow dragon disease
EP1772522A1 (en) Control of preservation by biomarkers
WO2012087135A1 (en) Genetic markers specific for clostridium difficile ribotypes 027 (nap01/b1; rt 027) and 078 (nap7/8; rt 078) and their use
KR101113974B1 (en) Oligonucleotide to be used in determining sporogenous aerobic bacterium and determination method and determination kit for sporogenous aerobic bacerium using the same
Azokpota et al. Biodiversity of predominant Bacillus isolated from afitin, iru and sonru at different fermentation time
EP3312293A1 (en) Method for examining microorganism, kit for examining microorganism, microarray for examining microorganism, carrier for detecting mold, method for detecting mold and kit for detecting mold
JP5048622B2 (en) PCR primers for detection of lactic acid bacteria
EP1273668A1 (en) Nucleic acid primers of acid-fast bacterium and method of identifying acid-fast bacterium
US7439022B2 (en) Nucleic acids for detection of Listeria
KR101943412B1 (en) Species-specific primers for the diagnosis of the genus Lactobacillus and uses thereof
CN111868266A (en) Bacterium identification method using RNA of sample bacterium and kit for same
JP5279204B2 (en) Bacteria detection instrument, bacteria detection method, and bacteria detection kit
Klaubauf et al. Research Tools and Methods for the Analysis of Microbiota in Dairy Products
JP3121332B1 (en) Detection of sporulating Clostridium bacteria
Gholami et al. Advances in bacterial ident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methods and applications
JP2005124409A (en) Method for detecting emetic type bacillus cereus
JP2023074765A (en) Method for simultaneously detecting foulbrood fungus, and primer kit
JP2004057202A (en) Method for rapid detection of bacillus cereus
KR20120131784A (en) Primer set and method for distinguishing of Bacillus thuringiensis and Bacillus cereus
MILK BOUBENDIR Abdelhafid, KHELILI Kaoutar, HAMIDECHI Mohamed Abdelhafid1
Junge et al. BIOTECON Diagnostics foodproof® Listeria monocytogenes Detection Kit, 5′ Nuclease in Combination with the foodproof ShortPrep II Ki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