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76009A - 온라인 기반 의료 상품권 시스템 및 이를 통한 온라인상품권 유통 방법 - Google Patents

온라인 기반 의료 상품권 시스템 및 이를 통한 온라인상품권 유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76009A
KR20060076009A KR1020040115401A KR20040115401A KR20060076009A KR 20060076009 A KR20060076009 A KR 20060076009A KR 1020040115401 A KR1020040115401 A KR 1020040115401A KR 20040115401 A KR20040115401 A KR 20040115401A KR 20060076009 A KR20060076009 A KR 200600760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ift certificate
medical service
gift
service provider
vouch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154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함영규
Original Assignee
코윈파트너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윈파트너스(주) filed Critical 코윈파트너스(주)
Priority to KR10200401154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76009A/ko
Publication of KR200600760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7600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085Payment architectures involving remote charge determination or related payment systems
    • G06Q20/0855Payment architectures involving remote charge determination or related payment systems involving a third par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0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funds transfer [EFT]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ome banking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4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billing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387Payment using discounts or coup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8Auctions

Abstract

본 발명은 온라인 상에서 의료 상품권의 유통이 가능하며, 제공된 의료 상품권을 이용해 해당 의료서비스에 대한 대가를 지불할 수 있도록 하는 의료 상품권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의료서비스 수혜자 단말기 및 의료서비스 제공자 단말기가 온라인을 통해 상품권 중개서버와 접속되어 데이터통신을 이루는 온라인 기반 의료 상품권 시스템에서, 상기 상품권 중개서버가 의료서비스 제공자의 정보가 저장되는 회원DB; 상기 의료서비스 제공자의 회원ID를 생성/관리/삭제하고 의료서비스 제공자의 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회원DB에 저장시키는 회원관리모듈; 상품권ID와 상기 상품권ID에 따른 잔액정보 및 그 사용내역에 대한 데이터가 저장되는 상품권DB; 상품권ID를 생성/관리/삭제하고, 생성된 상품권ID에 대한 비밀번호를 등록하며, 상기 의료서비스 수혜자 단말기 및 의료서비스 제공자 단말기로부터 입력되는 상품권ID 검색요청에 따라 상기 상품권DB를 검색하는 상품권ID관리모듈; 및 상기 의료서비스 제공자 단말기로부터 입력되는 비용청구액에 따라 상기 상품권DB에 저장된 해당 상품권ID의 잔액을 정산하는 빌링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기반 의료 상품권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온라인 기반 의료 상품권 시스템 및 이를 통한 온라인 상품권 유통 방법{Medical merchandise coupon system on-line and the merchandise coupon circulating method thereof}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상품권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의 구성을 보다 상세히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의료비 결제용 상품권의 유통방법을 도시한 플로우차트이다.
- 첨부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용어설명 -
10 ; 의료서비스 수혜자 단말기 20 ; 의료서비스 제공자 단말기
100 ; 상품권 중개서버 110 ; 회원관리모듈
120 ; 상품권ID관리모듈 130 ; 빌링모듈
140 ; 회원DB 150 ; 상품권DB
200 ; 보안시스템 300 ; 이동통신사서버
400 ; 은행서버 500 ; 금융서버
510 ; 회계모듈 600 ; 카드사서버
본 발명은 온라인 상에서 의료 상품권의 유통이 가능하며, 제공된 의료 상품권을 이용해 해당 의료서비스에 대한 대가를 지불할 수 있도록 하는 의료 상품권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현재 국내 의료시장의 연간규모는 약 7조원에 달하며, 생활수준의 향상에 따른 건강에 대한 관심 증진 내지 웰빙 열풍 등을 고려하여 볼 때 국내 의료 시장의 규모는 점점 더 커지고 있다.
이러한 추세를 반영하여 건강 증진 내지 웰빙에 관련된 새로운 서비스 및 새로운 상품의 거래와 유통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특히 이러한 상품과 서비스가 새로운 선물로 각광을 받고 있다. 예컨데 외국 바이어에게 한국에 머무는 동안에 종합 검진을 받고 갈 수 있도록 하는 영업 방법도 시도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 건강 내지 웰빙과 관련된 의료 서비스가 상품권 형태로 하여 거래되는 경우는 매우 미비하며, 또한 상품권의 유통에서 비용의 결제까지 모든 것을 온라인을 통하여 이루어지는 시스템은 거의 없는 실정이어서 생활수준의 향상에 따른 건강에 대한 관심 증진 내지 웰빙 열풍 등의 현재의 추세가 의료 서비스 시장의 활성화로 반영되고 있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의료 상품권의 유통, 비용 결제, 결제 후 잔액의 관리 등이 모두 온라인 상에서 이루어지도록 하며, 이를 통해 의료 시장을 활성화하고 의료 서비스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의료 상품권 시 스템 및 이 시스템을 통한 의료 상품권 유통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의료서비스 수혜자 단말기 및 의료서비스 제공자 단말기가 온라인을 통해 상품권 중개서버와 접속되어 데이터통신을 이루는 온라인 기반 의료 상품권 시스템에서, 상기 상품권 중개서버가
의료서비스 제공자의 정보가 저장되는 회원DB;
상기 의료서비스 제공자의 회원ID를 생성/관리/삭제하고 의료서비스 제공자의 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회원DB에 저장시키는 회원관리모듈;
상품권ID와 상기 상품권ID에 따른 잔액정보 및 그 사용내역에 대한 데이터가 저장되는 상품권DB;
상품권ID를 생성/관리/삭제하고, 생성된 상품권ID에 대한 비밀번호를 등록하며, 상기 의료서비스 수혜자 단말기 및 의료서비스 제공자 단말기로부터 입력되는 상품권ID 검색요청에 따라 상기 상품권DB를 검색하는 상품권ID관리모듈; 및
상기 의료서비스 제공자 단말기로부터 입력되는 비용청구액에 따라 상기 상품권DB에 저장된 해당 상품권ID의 잔액을 정산하는 빌링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기반 의료 상품권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기반 의료 상품권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의료서비스 수혜자 단말기는 무선인터넷 통신이 가능한 모바일 단말기일 수 있으며, 상기 상품권 중개서버는 상기 의료서비스 제공자 단말기로부터 입력된 비용청구액을 회원ID 별로 정산한 후 해당 회원의 계좌로 온라인 입금을 처리하는 회계모듈이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기반 의료 상품권 시스템은 은행서버를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 은행서버는 상기 의료서비스 제공자 단말기로부터 입력된 비용청구액을 회원ID별로 정산한 후 해당 회원의 계좌로 온라인 입금을 처리하는 회계모듈과 상기 의료서비스 제공자 단말기로부터 입력되는 비용청구액에 따라 상기 상품권DB에 저장된 해당 상품권ID의 잔액을 정산하는 빌링모듈을 포함하면서 상기 상품권 중개서버와 연동되어 상품권 판매도 가능하다.
상기 다른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의료서비스 수혜자 단말기 및 의료서비스 제공자 단말기가 온라인을 통해 상품권 중개서버와 접속되어 데이터통신을 이루는 온라인 기반 의료 상품권 시스템에서,
상기 의료서비스 수혜자 단말기를 통해 입력되는 상품권ID가 상기 상품권 중개서버로 등록되는 상품권ID 등록단계;
상기 상품권ID등록단계를 통해 등록된 상품권ID에 대한 비밀번호가 생성되는 비밀번호 생성단계;
상기 상품권ID의 결제가능한 잔액데이터가 생성되는 잔액데이터 생성단계;
상기 의료서비스 제공자가 의료서비스 수혜자에게 의료서비스 제공 후 상품권으로 비용지불을 받으면, 상기 의료서비스 제공자는 의료서비스 제공자 단말기에 회원ID를 입력시켜 이를 상기 상품권 중개서버로 전송하는 의료서비스 제공자 회원ID 입력단계;
상기 의료서비스 제공자 회원ID 입력단계에서의 해당 상품권의 상품권ID가 상기 의료서비스 제공자 단말기를 통해 상품권 중개서버로 입력되는 상품권ID 입력단계;
상기 상품권ID에 대한 비밀번호가 상기 의료서비스 제공자 단말기를 통해 상품권 중개서버로 입력되는 비밀번호 입력단계; 및
상기 잔액데이터와 의료서비스 제공자의 비용청구액을 정산하고 상기 잔액데이터를 갱신하는 의료서비스 비용청구 결제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기반 의료 상품권 유통 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의료 상품권 시스템을 도시한 구성도인바 이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기반 의료 상품권 시스템은 상품권의 발행, 사용에 따른 비용 결제 등의 모든 상품권의 유통이 온라인 상에서 이루어질 수 있는, 즉 의료서비스를 제공받은 수혜자에게 의료서비스 제공자가 해당 의료서비스에 대한 비용을 청구할 경우, 현금 또는 신용카드를 이용해 결제하는 것을 대신하여 온라인 상에서 구매한 의료 상품권으로 대신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기반 의료 상품권 시스템은 상품권 중개서버(100)와, 이 상품권 중개서버(100)를 중심으로 온라인 연결된 의료서비스 수혜자 단말기(11, 12, 13, 14)와 의료서비스 제공자 단말기(21, 22, 23)로 크게 구성되 고, 이에 추가적으로 상품권의 구입비용을 결제하는 은행서버(400) 및/또는 카드사서버(60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은행서버(400) 및/또는 카드사서버(600)를 통한 상품권 비용결제 시, 안전한 전자거래처리를 위한 보안시스템(200)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이외에도,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기반 의료 상품권 시스템은 무선인터넷이 가능한 이동통신단말기인 모바일 단말기(13, 14)을 통해서도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이를 매개하는 이동통신사서버(300)가 더 포함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의료서비스 수혜자 단말기(11, 12, 13, 14)는 의료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 상품권을 구매하는 수혜자가 상기 상품권 중개서버(100)로 접속하여 온라인을 통해 상품권을 매매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로, 유무선을 구분하지 않고 인터넷을 통해 상기 상품권 중개서버(100)에서 운영되는 사이트로 접속할 수 있는 장치라면 무엇이든지 가능할 것이다.
일반적으로, 상기 수혜자는 상품권을 직접 활용하기 위해 구입하는 경우도 있겠지만, 타인에게 선물할 목적으로 구입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품권을 사용하는 사람은 해당 상품권을 직접 구입한 자가 아닐 수 있으므로, 수혜자가 상품권 구매를 위해 상기 사이트에 반드시 가입해야하는 것은 아니며, 상품권 사용 시에도 상품권 구매자의 신원확인이 전제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즉, 상품권은 무기명채권과 같이 상품권의 정당한 소유자가 아니더라도 상품권ID와 해당 상품권ID의 비밀번호를 알고 있다면 의료서비스의 비용결제수단으로 활용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상기 상품권ID와 이 상품권ID의 비밀번호가 유출됨으로서 발생되는 불이익 은 정당한 구매자 또는 이 구매자로부터 정당하게 양도받은 자에게 책임이 있다.
따라서, 상품권ID와 비밀번호의 유출로 인한 불이익 발생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 상품권 구매자는 의료서비스 수혜자 단말기(11, 12, 13, 14)를 이용해 상기 상품권 중개서버(100)로 접속하여 온라인으로 상품권을 구매할 경우,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품권 중개서버(100)가 운영하는 사이트에 정식으로 가입하고 상기 의료서비스 수혜자 단말기(11, 12, 13, 14)에는 보안용 ActiveX를 설치하여 해킹 및 불법적인 후킹 등을 통한 정보의 유출에 대비하는 것이 좋을 것이다.
임의 사이트에 회원으로 가입하는 절차와 이때 필요한 시스템 구성 및, 온라인 상에서 송수신되는 데이터에 대한 보안시스템 구성은 공지기술이므로 여기서는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계속해서, 상기 의료서비스 수혜자 단말기(11, 12, 13, 14)에는 무선 인터넷이 가능한 이동통신단말기인 모바일 단말기(13, 14)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모바일 단말기(13, 14)은 이동통신사서버(300)를 통해 상기 상품권 중개서버(100)와 접속되어서 유선 인터넷을 통한 상품권 구매절차와 동일한 방식으로 진행된다. 하지만, 모바일 단말기(13, 14)을 통한 상품권 구매절차의 경우에는 유선 인터넷을 통한 상품권 구매절차와는 달리 모바일 단말기(13, 14) 자체로도 이미 신원확인이 이루어지므로 거래의 안전을 더욱 담보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의료서비스 제공자 단말기(21, 22, 23)는 의료서비스가 제공되는 약국 또는 병원에 설치되며, 의료서비스 수혜자가 의료서비스에 대한 비용지불을 위해 상품권을 제시할 경우, 해당 상품권의 상품권ID 및 해당 비밀번호를 받아 이를 입 력하여 상기 상품권 중개모듈(100)로 전송하는 장치이다.
상기 의료서비스 수혜자가 상품권을 의료서비스의 비용지불로서 제시할 경우 실질적인 현금결제는 상기 상품권 중개서버(100)의 사업자 또는 제휴 은행으로부터 이루어지므로, 상기 의료서비스 제공자는 상품권 중개서버(100)가 운영하는 사이트에 회원으로 등록되어 있어야 한다. 이는 상기 의료서비스 제공자가 상품권 중개서버(100)의 사업자에 대해 채권을 가지게 되므로, 의료서비스 제공자의 인적사항과 거래내역 등을 구체적으로 알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상품권 중개서버(100)의 사업자에 대한 의료서비스 제공자의 현금결제 청구는 약속된 의료서비스 제공자 단말기(21, 22, 23)를 통해서만 이루어지도록 하여, 불법적인 방식을 통해 현금결제가 청구되는 일을 미연에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상품권 중개서버(100)는 도 2(도 1의 구성을 보다 상세히 도시한 블록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품권 중개서버(100)는 회원관리모듈(110), 상품권ID관리모듈(120), 빌링모듈(130), 회원DB(140) 및 상품권DB(150)를 포함하며, 의료서비스 제공자가 청구하는 의료서비스 비용에 대한 결제를 관리하는 회계모듈(510)이 더 포함될 수 있다. 그런데, 상기 회계모듈(510)은 금융서버(500)에 별도 관리될 수 있으며,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 제휴 은행의 서버(400)에서 직접 관리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회원DB(140)는 의료서비스 제공자의 정보를 저장한다.
상기 의료서비스 제공자의 정보란 법인명, 사업자명, 종목, 업태, 주소 등에 대한 것이며, 상품권 중개서버(100)에서 운영하는 사이트로 일반적인 회원가입을 통해 회원ID 및 비밀번호를 발급 또는 생성하게 된다. 회원으로는 병원 또는 약국이 될 것이다.
그런데, 본 발명에 따른 회원가입은 일반적인 인터넷 사이트 가입과는 차이가 있다. 여기서 회원이라 함은 상품권을 의료서비스 제공에 따른 대가로서 대신 지급받고 이후에 상품권 중개서버(100)의 사업자에게 현금결제를 청구하는 주체로서, 상기 사업자와 일정한 계약관계를 맺어야 한다. 따라서, 의료서비스 제공자에 해당한다 하더라도 상기 사업자와의 계약관계없이는 상기 사이트에 회원으로서 가입할 수는 없을 것이다.
상기 회원관리모듈(110)은, 상기 의료서비스 제공자의 회원ID를 생성/관리/삭제하고 의료서비스 제공자의 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회원DB(140)에 저장시킨다.
상기 의료서비스 제공자는 자신의 의료서비스 제공자 단말기(21, 22, 23)를 통해 가입에 필요한 의료서비스 제공자의 정보를 입력하고, 이렇게 입력된 정보는 온라인을 통해 상품권 중개서버(100)로 전송되며, 상기 회원관리모듈(110)은 상기 정보를 수신받아 상기 회원DB(140)에 저장한다.
따라서, 상기 회원관리모듈(110)은 회원가입에 필요한 기본양식 등을 제공하면서 가입절차를 진행하고, 이외에도 의료서비스 제공자의 정보변경 또는 회원탈퇴 등에 대한 관리를 담당한다.
상기 상품권DB(150)는 상품권ID와 상기 상품권ID에 따른 잔액정보 및 그 사용내역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한다.
상기 의료서비스 수혜자는 단말기(10)를 통해 상품권을 온라인으로 구입할 수도 있고, 오프라인을 통해 지면으로 된 상품권을 구입할 수도 있다. 이때, 온라인을 통해 구입한 상품권은 보안이 유지되는 상태에서 상기 의료서비스 수혜자 단말기(10)로 상품권ID가 전달된다. 또한, 오프라인 상에서 지면으로 된 상품권을 구입하는 경우, 상품권 지면 일면에는 RR잉크(Rub Removable ink)인 임착잉크(Scratch Off)를 도포하여 상품권ID를 은폐한다.
온라인 상품권 매매의 경우에는 의료서비스 수혜자의 구매신청에 따라 입금결제 확인 후 고유한 상품권ID를 생성 발급하는 방식이 활용될 수 있으며, 오프라인 상품권 매매의 경우에는 각각의 상품권에 상품권ID를 미리 인쇄하여 상기 임착잉크로 은폐시켜두었다가, 정당한 구매자가 상기 임착잉크를 제거함으로서 상기 상품권ID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이렇게 확인된 상품권ID는 의료서비스 수혜자 단말기(10)를 통해 상품권 중개서버(100)로 입력되어 상기 상품권DB(150)에 저장된다. 물론 이렇게 저장된 상품권ID는 그에 해당하는 잔액이 산출되어 상기 상품권DB에 함께 저장된다. 이외에도, 상기 상품권을 의료서비스 수혜자가 비용결제수단으로 이용하면 그 사용내역이 해당 상품권ID의 카테고리 내에 저장되어서 의료서비스 수혜자가 상기 의료서비스 수혜자 단말기(10)를 통해 언제든지 조회해 볼 수 있도록 된다.
상기 상품권ID관리모듈(120)은 상품권ID를 생성/관리/삭제하고, 생성된 상품권ID에 대한 비밀번호를 등록하며, 상기 의료서비스 수혜자 단말기(10) 및 의료서비스 제공자 단말기(20)로부터 입력되는 상품권ID 검색요청에 따라 상기 상품권DB 를 검색한다.
앞서 기술된 바와 같이,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을 통해 상품권을 구매하면, 해당 상품권ID를 확인하여 이를 상기 상품권 중개서버(100)로 전송/입력한다. 입력된 상품권ID를 수신한 상품권ID관리모듈(120)은 유효한 상품권ID인지 여부를 확인하고, 유효성이 인정되면 이에 대한 비밀번호를 발급하게 된다. 물론 상기 비밀번호는 상기 상품권ID관리모듈(120)에서 직접 생성시킬 수도 있지만, 의료서비스 수혜자에게 직접 비밀번호 입력을 요구할 수도 있다. 이렇게 입력된 비밀번호는 상기 상품권DB(150)에 등록된다.
상기 빌링모듈(130)은 상기 의료서비스 제공자 단말기(20)로부터 입력되는 비용청구액에 따라 상기 상품권DB(150)에 저장된 해당 상품권ID의 잔액을 정산한다.
수혜자에게 의료서비스를 제공한 제공자는 수혜자로부터 제시받은 상품권의 ID와 해당 비밀번호를 상기 의료서비스 제공자 단말기(20)를 통해 상기 상품권 중개모듈(100)로 전송하고 이와 더불어 의료서비스 비용청구액을 입력한다. 상기 상품권ID관리모듈(120)은 수신된 상기 상품권ID의 유효성 여부를 확인 후 잔액을 조회하여 의료서비스 비용에 대한 결제가능성 여부를 결정한다. 이때, 상기 상품권ID의 잔액이 충분할 경우에는 상기 빌링모듈(130)은 의료서비스 비용액을 상품권ID의 잔액으로부터 차감하여 이를 갱신한다.
상기 회계모듈(510)은 상기 의료서비스 제공자 단말기(10)로부터 입력된 비용청구액을 회원ID별로 정산하여 해당 회원의 계좌로 온라인 입금을 처리한다.
의료서비스 제공자는 해당 의료서비스의 대가로 의료서비스 수혜자로부터 현금이 아닌 상품권을 제시받았으므로, 이를 현금화 하기 위해 상품권 중개서버(100)의 사업자 또는 제휴 은행에 이를 청구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상기 의료서비스 제공자 하나가 다수의 의료서비스 수혜자로부터 상품권을 제시받을 수 있으므로, 복잡한 결제관계를 처리하기 위해 이를 일괄적으로 처리하는 회계모듈(510)이 더 포함될 수 있다.
계좌이체의 경우 이체액에 관계없이 그 횟수에 따라 수수료가 부과되므로, 의료서비스 중개서버(100)의 사업자는 의료서비스 제공자에게 일일 또는 월말에 일괄적으로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한편, 상품권을 통해 의료서비스를 제공하는 자의 상품권 신뢰도를 높일 수 있도록 상기 빌링모듈(130)과 회계모듈(510)은 별도의 금융서버(500)로 관리되며, 이 금융서버(500)은 은행서버(400)와 별도로 되어 연동될 수도 있고, 은행서버(400)내에 포함될 수도 있는데, 은행서버(400)에 포함되어 있는 것이 금융 거래의 안전성 및 신뢰성에 있어서 바람직하다.
이외에도,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의료 상품권에 대한 의료서비스 수혜자의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 본 발명에 따는 비지니즈 모델을 구성하는 온라인 기반 의료 상품권 시스템에서 상기 상품권 중개서버(100)의 사이트는 은행서버(400)의 사이트와 링크될 수 있다. 즉, 은행서버(400)의 사이트로 접속한 의료서비스 수혜자는 은행서버(400)에 등록된 상품권 구매 콘텐츠에 신뢰를 전제로 한 관심을 보여 클릭할 수 있고, 이렇게 하이퍼링크된 상품권 중개서버(100)의 사이트는 상품권 구매에 대한 절차를 의료서비스 수혜자에게 제시함으로서 구매가능성을 높일 수 있게 한다.
보안시스템(200)은 온라인을 통한 상품권 구매 시, 전자결제의 안전성을 높이기 위한 것으로, 게이트웨이인 PG(Payment Gateway)와 고객정보관리 시스템인 CICS(Customer Information Control System)로 구성되며, 지불 게이트웨이 PG는 상품 수량 변경, 주문 상품의 취소 및 선택된 선불서비스 상품을 계산하여 고객인 구매자의 정보를 입력 및 재확인하여 신용카드나 계좌이체 및 온라인 입금 등의 결재방법을 선택하여 상기 결재방법이 신용카드이면 신용카드정보를 계좌이체이면 결재계좌를 입력하게 되고, 고객정보관리시스템인 CICS는 각 단말기나 장치 및 서버로 부터 들어오는 정보를 동시에 처리할 수 있으며, 데이터베이스와 유지보수 시스템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보안시스템(200)에는 안전한 전자거래처리를 위하여 구축되는 SET(Secure Electronic Transaction)와, 보안 소켓 레이어인 SSL(Secure Socket Layer protocol)에 의해 인터넷 또는 네트워크를 통한 상품 거래시 보안이 유지되므로 해킹 등이 방지된다.
상기 SET(Secure Electronic Transaction)는 인터넷 상에서 크레디트 카드를 사용하여 자금결재를 할 때 카드번호나 암호 등의 개인정보를 도난당하지 않도록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한 전자결재시스템의 하나로 세계 신용카드 시장을 석권하고 있는 비자(VISA)카드와 마스터카드(Mastercard)가 제시한 인터넷 상에서의 신용카드 지불 시스템 구축을 위한 프로토콜이다.
또한, SSL은 미국 네스케이프(Natscape)사가 제안하고 있는 네트워크에서 교환이 가능한 보안기능(암호화, 데이터 보증, 인증)을 부가하는 구조로, TCP/IP와 응용간에 보안을 위한 계층을 설정하고 있는 것이 특징이며, 어떠한 응용 프로토콜이라도 보다 안전한 데이터 교환(호환)을 달성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의료 상품권의 유통방법을 도시한 플로우차트인바 이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1) 회원ID등록단계(S100);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기반 의료 상품권 시스템을 통해 비즈니스 모델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의료서비스 제공자는 상품권 중개서버(100)의 사이트에 회원으로 가입해야만 하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전술한 바 있으므로 여기서는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2) 상기 의료서비스 수혜자 단말기를 통해 입력되는 상품권ID가 상기 상품권 중개서버로 등록되는 상품권ID 등록단계(S200);
의료서비스 수혜자에 의해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을 통해 구입한 상품권에서 그 상품권ID를 상기 상품권 중개서버(100)에 등록시킨다. 이때, 상기 의료서비스 수혜자는 상품권을 구매한 자ㆍ양도받은 자 등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이다.
앞서 기술된 바와 같이, 온라인을 통해 상품권을 구매할 경우에는 정당한 비용지불이 확인되면 상기 상품권 중개서버(100)로부터 의료서비스 수혜자 단말기(10)로 상품권이미지 또는 단순하게는 상품권ID를 전송한다. 상기 상품권이미지에는 상품권ID가 포함되어 있음은 당연할 것이다.
이렇게 제공받은 상품권ID는 의료서비스 수혜자가 직접 또는 상품권 중개서버(100)에서 상품권ID 전송과 함께 자동으로 상품권 중개서버(100)에 등록된다.
한편, 오프라인을 통해 상품권을 구매할 경우에는 임착잉크로 상품권ID가 은폐된 지면을 받아 의료서비스 수혜자가 직접 상기 임착잉크를 제거한 후 해당 상품권ID를 확인하여 이를 온라인으로 입력시킴으로서 상기 상품권 중개서버(100)에 상품권ID를 등록시킬 수 있다.
(3) 상기 상품권ID등록단계를 통해 등록된 상품권ID에 대한 비밀번호가 생성되는 비밀번호 생성단계(S300);
상품권ID가 등록되면, 상품권ID의 사용권한을 부여하기 위한 비밀번호가 상품권 중개서버(100)에 생성/등록된다. 이때, 상기 비밀번호는 의료서비스 수혜자가 직접 만들 수도 있고, 상품권 중개서버(100)에서 자동으로 생성할 수도 있다. 상기 비밀번호의 경우 상품권ID와 더불어 해당 상품권의 사용권한을 의료서비스 제공자 및 상품권 중개서버(100)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열쇠가 된다.
(4) 상기 상품권ID의 결제가능한 잔액데이터가 생성되는 잔액데이터 생성단계(S400);
상기 상품권은 액면가에 따라 분할하여 쓸 수 있으므로, 액면가를 최대로 하는 잔액데이터가 형성된다. 일반적으로, 상기 상품권ID가 생성될 당시 당해 상품권ID가 갖는 액면가가 이미 책정되어 있으므로, 상기 상품권ID 입력시 상품권 중개서버(100)는 입력된 상품권ID의 유효성 여부를 확인하면서 이에 책정된 액면가를 검색하여 이에 대한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게 된다.
(5) 상기 의료서비스 제공자가 의료서비스 수혜자에게 의료서비스 제공 후 상품권으로 비용지불을 받으면, 상기 의료서비스 제공자는 의료서비스 제공자 단말기에 회원ID를 입력시켜 이를 상기 상품권 중개서버로 전송하는 의료서비스 제공자 회원ID 입력단계(S500);
상품권ID와 그 비밀번호 및 상기 상품권ID의 잔액데이터가 상품권 중개서버(100)에 등록된 상태에서, 의료서비스 받은 수혜자가 그 비용으로 의료서비스 제공자에게 현금 또는 신용카드 결제를 대신하여 상품권을 제시하면, 의료서비스 제공자는 의료서비스 제공자 단말기(20)에 자신의 회원ID 즉, 의료서비스 제공자의 회원ID를 입력하여 상품권 중개서버(100)로 전송한다.
이렇게 전송된 회원ID는 회원 또는 비회원 인지 여부가 확인되며, 회원일 경우에는 하기 상품권ID입력단계(S600)를 수행하게 되고, 비회원일 경우에는 해당 내용이 종료된다.(S510)
또한, 입력된 회원ID가 정당한 회원으로 판명되어도 해당 의료서비스 제공자 단말기(20)가 상기 회원ID와 연계되어 등록된 것이 아닌 경우에는 로그인이 거부될 수 있다.
(6) 상기 의료서비스 제공자 회원ID 입력단계에서의 해당 상품권의 상품권ID가 상기 의료서비스 제공자 단말기를 통해 상품권 중개서버로 입력되는 상품권ID 입력단계;
회원으로 판명되면 의료서비스 수혜자로부터 제시된 상품권의 상품권ID가 단말기(20)에 입력되어 상기 상품권 중개서버(100)로 전송된다.
(7) 상기 상품권ID에 대한 비밀번호가 상기 의료서비스 제공자 단말기를 통해 상품권 중개서버로 입력되는 비밀번호 입력단계(S700);
또한, 상기 상품권ID와 더불어 해당 상품권ID의 비밀번호도 함께 입력된다.
이렇게 입력된 상기 상품권ID와 해당 비밀번호는 상기 상품권 중개서버(100)에서 매칭작업을 통해 그 진의여부 및 유효성 여부를 확인받는 한편, 진의성 및 유효성이 확인되면 해당 상품권ID의 잔액을 조회하여 상기 의료서비스 제공자가 청구한 비용을 결제할 수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서 청구된 비용이 잔액을 초과할 경우에는 해당 과정은 종료되고, 청구된 비용이 잔액 이하일 경우에는 하기 결제단계(S800, S900)를 진행한다.
(8) 상기 잔액데이터와 의료서비스 제공자의 비용청구액을 정산하고 상기 잔액데이터를 갱신하는 의료서비스 비용청구 결제단계(S800, S900);
해당 상품권ID의 잔액으로 청구된 비용을 결제할 수 있는 경우에는 잔액에서 청구된 비용만큼을 차감하고 상기 잔액DB(150)에 저장된 잔액데이터를 갱신한다.
이상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의료 상품권이 온라인을 통해서 유통되기 때문에 상품권의 위조 내지 분실의 위험이 없으며, 또한 온라인 상에서 결제 잔액을 확인할 수 있어서 사용이 매우 편리하며, 의료 서비스가 상품권 형태로 유통됨에 따라 의료시장의 규모를 증대시킬 수 있고 이로 인해 의료 서비스가 활성화되어 의료서비스의 질적향상은 물론 의료서비스 수혜자의 권익을 보호할 수 있다. 또한, 더 나아가서는 의료서비스 수혜자의 건강증진을 기대할 수 있다.

Claims (7)

  1. 의료서비스 수혜자 단말기 및 의료서비스 제공자 단말기가 온라인을 통해 상품권 중개서버와 접속되어 데이터통신을 이루는 온라인 기반 의료 상품권 시스템에서, 상기 상품권 중개서버가
    의료서비스 제공자의 정보가 저장되는 회원DB;
    상기 의료서비스 제공자의 회원ID를 생성/관리/삭제하고 의료서비스 제공자의 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회원DB에 저장시키는 회원관리모듈;
    상품권ID와 상기 상품권ID에 따른 잔액정보 및 그 사용내역에 대한 데이터가 저장되는 상품권DB;
    상품권ID를 생성/관리/삭제하고, 생성된 상품권ID에 대한 비밀번호를 등록하며, 상기 의료서비스 수혜자 단말기 및 의료서비스 제공자 단말기로부터 입력되는 상품권ID 검색요청에 따라 상기 상품권DB를 검색하는 상품권ID관리모듈; 및
    상기 의료서비스 제공자 단말기로부터 입력되는 비용청구액에 따라 상기 상품권DB에 저장된 해당 상품권ID의 잔액을 정산하는 빌링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기반 의료 상품권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의료서비스 수혜자 단말기는 무선인터넷 통신이 가능한 모바일 단말기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기반 의료 상품권 시스템.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상품권 중개서버는 상기 의료서비스 제공자 단말기로부터 입력된 비용청구액을 회원ID별로 정산한 후 해당 회원의 계좌로 온라인 입금을 처리하는 회계모듈이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기반 의료 상품권 시스템.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의료서비스 제공자 단말기로부터 입력된 비용청구액을 회원ID별로 정산한 후 해당 회원의 계좌로 온라인 입금을 처리하는 회계모듈을 포함하면서 상기 상품권 중개서버와 연동하는 은행서버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기반 의료 상품권 시스템.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은행서버가 상기 의료서비스 제공자 단말기로부터 입력되는 비용청구액에 따라 상기 상품권DB에 저장된 해당 상품권ID의 잔액을 정산하는 빌링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기반 의료 상품권 시스템.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은행 서버는 상품권 중개 서버와 링크되어 상품권의 판매가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기반 의료 상품권 시스템.
  7. 의료서비스 수혜자 단말기 및 의료서비스 제공자 단말기가 온라인을 통해 상품권 중개서버와 접속되어 데이터통신을 이루는 온라인 기반 의료 상품권 시스템에서,
    상기 의료서비스 수혜자 단말기를 통해 입력되는 상품권ID가 상기 상품권 중개서버로 등록되는 상품권ID 등록단계;
    상기 상품권ID등록단계를 통해 등록된 상품권ID에 대한 비밀번호가 생성되는 비밀번호 생성단계;
    상기 상품권ID의 결제가능한 잔액데이터가 생성되는 잔액데이터 생성단계;
    상기 의료서비스 제공자가 의료서비스 수혜자에게 의료서비스 제공 후 상품권으로 비용지불을 받으면, 상기 의료서비스 제공자는 의료서비스 제공자 단말기에 회원ID를 입력시켜 이를 상기 상품권 중개서버로 전송하는 의료서비스 제공자 회원ID 입력단계;
    상기 의료서비스 제공자 회원ID 입력단계에서의 해당 상품권의 상품권ID가 상기 의료서비스 제공자 단말기를 통해 상품권 중개서버로 입력되는 상품권ID 입력단계;
    상기 상품권ID에 대한 비밀번호가 상기 의료서비스 제공자 단말기를 통해 상품권 중개서버로 입력되는 비밀번호 입력단계; 및
    상기 잔액데이터와 의료서비스 제공자의 비용청구액을 정산하고 상기 잔액데이터를 갱신하는 의료서비스 비용청구 결제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 라인 기반 의료 상품권 유통 방법.
KR1020040115401A 2004-12-29 2004-12-29 온라인 기반 의료 상품권 시스템 및 이를 통한 온라인상품권 유통 방법 KR2006007600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15401A KR20060076009A (ko) 2004-12-29 2004-12-29 온라인 기반 의료 상품권 시스템 및 이를 통한 온라인상품권 유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15401A KR20060076009A (ko) 2004-12-29 2004-12-29 온라인 기반 의료 상품권 시스템 및 이를 통한 온라인상품권 유통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76009A true KR20060076009A (ko) 2006-07-04

Family

ID=371684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15401A KR20060076009A (ko) 2004-12-29 2004-12-29 온라인 기반 의료 상품권 시스템 및 이를 통한 온라인상품권 유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76009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7416B1 (ko) * 2006-06-12 2007-10-18 (주)블루캐시 상거래를 이용한 상품권 유통방법
WO2016068448A1 (ko) * 2014-10-28 2016-05-06 (주)헬스허브 마케팅 기반 원격의료서비스 운용 시스템 및 원격의료서비스 운용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7416B1 (ko) * 2006-06-12 2007-10-18 (주)블루캐시 상거래를 이용한 상품권 유통방법
WO2016068448A1 (ko) * 2014-10-28 2016-05-06 (주)헬스허브 마케팅 기반 원격의료서비스 운용 시스템 및 원격의료서비스 운용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05289B2 (en) Prepaid card payment system and method for electronic commerce
US8612344B2 (en) Online processing for offshore business transactions
US8781934B2 (en) Pre-paid financial savings and investment card system
KR100432430B1 (ko) 전자증권을 이용한 전자지불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144529B1 (ko) 암호화폐를 활용한 전자금융거래 시스템
US20090254484A1 (en) Anon virtual prepaid internet shopping card
CN101490704A (zh) 用于在网络上进行金融交易的系统和方法
US20040153410A1 (en) Anonymous payment system and method
WO2008113093A9 (en) Payment transaction system
JP2002531887A (ja) 電子的ファクタリング
US20090327145A1 (en) Payment System and Method
WO2002029508A2 (en) Broker-mediated online shopping system and method
AU775065B2 (en) Payment method and system for online commerce
CN102365650A (zh) 一种安全的电子金融资金转账系统
KR20010073901A (ko) 신용 카드와 연계된 선불형 카드를 이용하는 전자 결제시스템
KR20210152367A (ko) 상품거래시스템 및 그 방법
JP5592428B2 (ja) ネットワークで金融取引を行う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US20060036544A1 (en) On-line payment method
US20030115140A1 (en) Payment method for on-line purchases
KR20090076316A (ko) 모바일 가상머신 상품권 유통관리시스템 및 가상머신상품권을 이용한 결제방법
KR20020008499A (ko) 전자상거래에 있어서 지급보증보험을 이용한 결제시스템및 그 방법
KR20060076009A (ko) 온라인 기반 의료 상품권 시스템 및 이를 통한 온라인상품권 유통 방법
KR20090049827A (ko) 현금본위제도에 의한 마일리지 지급보장 시스템
KR20010114061A (ko) 조건부예치에 의한 원격지상거래 대금결제방법 및 시스템
KR20010067751A (ko) 인터넷 전자 상거래상에서의 사이버 뱅킹 프로세스와지불결제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