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75891A - 높이조절수단이 장착된 롤러슈즈 - Google Patents

높이조절수단이 장착된 롤러슈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75891A
KR20060075891A KR1020040115261A KR20040115261A KR20060075891A KR 20060075891 A KR20060075891 A KR 20060075891A KR 1020040115261 A KR1020040115261 A KR 1020040115261A KR 20040115261 A KR20040115261 A KR 20040115261A KR 20060075891 A KR20060075891 A KR 200600758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shoe
groove
shoes
s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152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춘광
Original Assignee
하춘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춘광 filed Critical 하춘광
Priority to KR10200401152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75891A/ko
Publication of KR200600758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7589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7/00Roller skates; Skate-boards
    • A63C17/20Roller skates; Skate-boards with fixable wheels permitting the skates to be used for walk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7/00Roller skates; Skate-boards
    • A63C17/22Wheels for roller skates
    • A63C17/226Wheel mounting, i.e. arrangement connecting wheel and axle mount

Landscapes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높이조절수단이 장착된 롤러슈즈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간단한 조작에 의해 신발겸용 롤러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높이조절수단이 장착된 롤러슈즈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를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높이조절수단이 장착된 롤러슈즈에 의하면, 요홈으로 롤러가 수납되는 롤러슈즈에 있어서, 상기 요홈의 내면으로 일체로 형성된 수직안내단과, 상기 요홈으로 장착된 후 회전하는 롤러가 하나 이상으로 마련되어 있으며, 이러한 롤러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면서 결합하고, 상기 수직안내단을 따라 안내되면서 상기 롤러의 상승 내지 하강을 조절하여 상기 롤러슈즈와 노면과의 거리를 다단계로 조절하는 높이조절수단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자유롭고 간단하게 조절가능한 롤러의 높이로 사용자의 수준과 노면의 상태에 따라 주행이 가능하도록 하고, 신발바닥과 노면사이의 거리가 짧음으로 인해서 발생하는 급정지 등의 위험성을 극복할 수 있으며, 간단한 조작에 의해 신발과 롤러의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롤러, 슈즈, 높이조절수단, 휠홈, 케이지

Description

높이조절수단이 장착된 롤러슈즈{The roller shoe where the level control means is affixe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높이조절수단이 장착된 롤러슈즈를 저면에서 본 사시도.
도 2는 롤러슈즈에 내설된 높이조절수단을 분해하여 보인 분해사시도.
도 3은 롤러슈즈에 내설된 높이조절수단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적용된 높이조절수단을 이용하여 롤러의 높이를 조절하는 것을 보인 작동상태도.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20: 밑창 22: 저면
24: 요홈 24a: 수직안내단
22,24b: 저면 26: 휠홈
30: 높이조절수단 32: 케이지
32a': 고정홀 34: 나사축
36: 높이조절휠 40: 롤러
42: 회전부 44: 지지축
44a: 안내돌기 46: 베어링
본 발명은 롤러슈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단계로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롤러의 기구적 구성과, 이를 통해 롤러를 신발의 밑창으로 삽입 내지 돌출시켜 신발을 겸용할 수 있는 높이조절수단이 장착된 롤러슈즈를 제공한다.
일반적으로 롤러슈즈는 평평한 길이 나타나면 신발을 신고 있는 상태에서 간단한 조작만으로 롤러를 돌출시킨 후 신발의 교환 없이 그대로 탈 수 있도록 하는 신발이다.
또한, 전술한 장점으로 젊은이들 사이에서는 커다란 인기를 누리고 있어 그 다양한 실시예가 다수개로 안출되었다.
공지의 예로, 한국실용신안출원번호 제1983-0009543호 "롤러가 부착된 신발창" 이 개시되어 있다.
이것은 롤러겸용 신발의 개념적인 출원으로 롤러기능을 수행하는 볼이 요홈에 삽입되거나 돌출되게 하므로써 신발과 롤러의 기능을 착용자의 의도에 따라 선택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공지의 예는 단지 신발 또는 볼의 구성으로 기초적인 신발 또는 롤러의 기능만을 수행할 수 밖에 없어 더욱 많은 개선점이 요구되었다.
또 하나의 공지의 예로, 한국실용신안출원번호 제2003-0013999호 "바퀴가 부착된 신발"이 개시되고 있다.
이것은 전술한 공지의 예와 기출원되어 공개된 다른 롤러겸용신발의 단점을 극복한 것으로, 롤링시 안정성에 중점을 부각시킨 것이다.
그러나, 이것도 롤러 장착의 간소화 내지는 롤링시 안정성을 극복하였다고 할 수 있으나, 항시 롤러가 돌출되어 있다는 점에서 신발겸용으로 사용하기에는 불합리한 출원이었다.
따라서, 신발의 특성상 바퀴의 지름이 작고, 신발바닥과 노면사이의 거리가 짧음으로 인해서 발생하는 급정지 등의 위험성을 극복할 수 있으며, 간단한 조작에 의해 신발과 롤러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롤러슈즈의 안출이 요구되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조심스럽고 신중을 가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간단한 조작에 의해 신발겸용 롤러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높이조절수단이 장착된 롤러슈즈를 제공하는데 있다.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 양태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높이조절수단이 장착된 롤러슈즈는, 전술한 문제를 모두 해소하고, 간단하게 조작하여 롤러와 노면 사이의 거리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높이조절수단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높이조절수단에 있어서는, 롤러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케이지가 신발의 밑창에 장착되고, 케이지와 일체로 축설된 나사부와, 나사부와 체결된 후 회전에 의해 나사부와 일체로 축설된 케이지를 올리거나 내리도록 조절하는 회전체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롤러가 장착된 케이지를 자유롭게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상승 또는 하강시키되, 이를 신발의 밑창에 장착시켜 신발과 롤러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술한 높이조절수단을 신발 밑창의 전후방에 하나 이상으로 장착시켜 롤링시에도 그 안정성을 확보하도록 하고, 이러한 높이조절수단을 별도로 장착시킨 신발밑창을 제공하여 다양한 종류의 신발에도 장착가능하게 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 및 효과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하게 되고,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상세한 설명 및 실시예는 본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는 것이 아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요홈으로 롤러가 수납되는 롤러슈즈에 있어서, 상기 요홈의 내면으로 일체로 형성된 수직안내단과, 상기 요홈으로 장착된 후 회전하는 롤러가 하나 이상으로 마련되어 있으며, 이러한 롤러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면서 결합하고, 상기 수직안내단을 따라 안내되면서 상기 롤러의 상 승 내지 하강을 조절하여 상기 롤러슈즈와 노면과의 거리를 다단계로 조절하는 높이조절수단으로 구성되므로서 달성된다.
상기 롤러에는 가로방향으로 연장된 지지축이 축설되어 있고, 상기 지지축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회전부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지지축과 회전하는 회전부 사이에는 베어링이 설치된 후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높이조절수단은 상기 요홈에 수납되어 상기 롤러가 회전가능하게 상기 지지축을 지지하면서 상기 요홈의 수직안내단을 따라 상하로 움직이는 케이지와, 상기 케이지에 축설된 후 연장되어 상기 요홈의 저면에 고정되고, 그 표면은 나선부로 형성된 나사축과, 상기 나사축에 회전가능하게 체결되어 회전하면 상기 나사축이 축설된 케이지가 연동되어 회전하는 방향으로 상승하거나 하강하는 높이조절휠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케이지에는 상기 지지축이 안내되어 삽입되도록 축안내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축안내부에는 상기 지지축이 삽입된 후 고정되는 고정홀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지지축에는 상기 축안내부에 안내되는 안내돌기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안내돌기는 상기 고정홀의 지름보다 큰 크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롤러가 수납되는 요홈이 밑창에 형성된 롤러슈즈로서, 상기 요홈의 내면으로는 수직안내단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요홈에 하나 이상으로 장착되어 회전하는 롤러와, 상기 롤러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면서 결합되고, 상기 수직안내단을 따라 안내되면서 상기 롤러의 상승 내지 하강을 조절하여 상기 롤러슈즈와 노면과의 거리를 다단계로 조절하는 높이조절수단을 포함하는 롤러슈즈에 있어서, 상기 롤러와 높이조절수단은 롤러슈즈의 밑창 저면에 전후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롤러가 수납되는 요홈의 밑창으로서, 상기 요홈의 내면으로는 수직안내단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요홈에 하나 이상으로 장착되어 회전하는 롤러와, 상기 롤러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면서 결합되고, 상기 수직안내단을 따라 안내되면서 상기 롤러의 상승 내지 하강을 조절하여 상기 롤러슈즈의 밑창과 노면과의 거리를 다단계로 조절하는 높이조절수단을 포함하는 롤러슈즈에 있어서, 상기 롤러슈즈의 밑창은 롤러슈즈와 분리되어 별도로 사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밑창은 일반 신발에 장착하여 사용하도록 그 일측면에 고정밴드를 부착시키고, 그 뒷면으로는 안착부를 일체로 형성시켜 상기 일반 신발의 뒷꿈치를 안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면에 걸쳐 기능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높이조절수단이 장착된 롤러슈즈를 저면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높이조절수간이 장착된 롤러슈즈에 적용되는 신발은 반부츠 또는 운동화, 단화등 그 종류를 불문하고, 본 발명에 따른 밑창(20)이 부착되거 나 일체로 형성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밑창(20)은 노면과 맞닿는 부분으로, 그 저면(22)으로는 요홈(24)이 형성되어 있다.
요홈(24)에는 롤러(40)가 장착되어 있음을 알 수 있고, 요홈(24)의 내부로는 후술하는 본 발명에 따른 높이조절수단(30)이 내설되어 있다.
도 2는 롤러슈즈에 내설된 높이조절수단을 분해하여 보인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롤러슈즈에 내설된 높이조절수단의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높이조절수단이 장착된 롤러슈즈는 롤러(40)가 수납되는 요홈(24)이 형성된 롤러슈즈에 있어서, 요홈(24)의 내면으로 일체로 형성된 수직안내단(24a)과, 요홈(24)으로 장착된 후 회전하는 롤러(40)가 하나 이상으로 마련되어 있으며, 이러한 롤러(40)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면서 결합하고, 수직안내단(24a)을 따라 안내되면서 롤러(40)의 상승 내지 하강을 조절하여 롤러슈즈와 노면과의 거리를 다단계로 조절하는 높이조절수단(30)을 포함한다.
롤러(40)는 회전하는 원통체로 바람직하게는 우레탄 등의 재질이 적용되고, 회전하기 위해서는 길이방향, 도면에서는 가로방향으로 연장된 회전부(42)와, 이를 지지하는 지지축(44)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이렇게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기 위해서는 회전부(42)와 지지축(44) 사이에 베어링(46)이 설치되어야 하며, 특히 회전부의 길이방향 좌우 양단으로 적어도 2개 이상이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베어링(46)의 외면은 회전부(42)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전하여야 하며, 내경은 지지축(44)에 고정되어 있다.
지지축(44)의 양말단에는 안내돌기(44a)가 일정한 두께를 가지면서 지지축(44)과 동일한 지름으로 형성되어 있고, 지지축(44)과 가로방향으로 연결되는 중심은 지지축(44) 보다 작은 지름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그 역할을 후술한다.
또한, 높이조절수단(30)은 요홈(24)에 수납되어 롤러(40)가 회전가능하게 지지축(44)을 지지하면서 요홈(24)의 수직안내단(24a)을 따라 상하로 움직이는 케이지(32)와, 케이지(32)에 축설된 후 연장되어 요홈(24)의 저면(24b)에 고정되고, 그 표면은 나선부로 형성된 나사축(34)과, 나사축(34)에 회전가능하게 체결되어 회전하면 나사축(34)이 축설된 케이지(32)가 연동되어 회전하는 방향으로 상승하거나 하강하는 높이조절휠(36)을 포함한다.
전술한 롤러(40)와 결합된 지지축(44)은 다시 케이지(32)에 장착된다.
케이지(32)에는 지지축(44)이 안내되어 삽입되도록 축안내부(32a)가 형성되어 있으며, 축안내부(32a)에는 지지축(44)이 삽입된 후 고정되는 고정홀(32a')이 형성되어 있다.
축안내부(32a)는 일정한 간격으로 벌어져 형성되어 있으며, 그 사이로 지지축(44)이 삽입된다.
이때, 전술한 지지축(44)의 안내돌기(44a)의 크기는 고정홀(32a')의 지름보다 큰 크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 이유는 지지축(44)과 가로방향으로 연결되는 중심이 축안내부(32a)에 삽입된 후 고정홀(32a')에 장착된 다음 그 회동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계속하여, 요홈(24)의 내면에 일체로 형성된 수직안내단(24a)은 일종의 안내단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이를 통해서 대상물은 상하로 움직인다.
케이지(32)는 수직안내단(24a)을 통해서 상하로 작동하도록 수직안내단(24a)과 대응하는 수직안내홈(32b)이 형성되어 있다.
이 수직안내홈(32b)에는 수직안내단(24a)이 끼워져 서로 안내하면서 미끄럼운동을 수행하며, 특히 수직안내홈(32b)과 수직안내단(24a)은 서로 대응하는 형상, 즉 반원형 또는 사각의 형상으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케이지(32)의 상면으로는 나선형의 형상으로 이루어진, 원통형의 나사축(34)이 수직방향으로 축설되어 있다.
이 원통형의 나사축(34)은 그 표면으로 나선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는 연장되어 요홈(24)의 저면(24b)에 일정한 깊이로 나사결합되어 있다.
이러한 나사축(34)에는 다시 높이조절휠(36)이 나사결합되어 있다.
이는 나사결합된 특성으로 높이조절휠(36)이 회전하면, 이 회전은 나사축(34)이 축설된 케이지(32)를 연동시켜 회전하는 방향에 따라 작동시킨다.
한편, 이 나사축(34)은 케이지(32)의 상면에 축설되나 그 중심부에 한정되어 축설될 필요는 없다.
즉, 밑창(20)의 외부 일측에만 높이조절휠(36) 돌출시키게 되면 높이조절휠(36)의 중심과 케이지(32)의 중심은 서로 엇갈리게 된다.
이때에도 본 발명은 높이조절휠(36)의 중심에 맞도록 케이지(32) 중심을 변 경시켜 외측으로 치우치게 할 수 있다.
그 이유는 높이조절휠(36)의 회전에 연동하여 작동되는 케이지(32)만을 상하로 작동시키는 역할만 수행할 뿐, 전달되는 하중에는 무관하여 굳이 케이지(32)의 중심을 고집할 필요는 없다.
다음에는 이러한 높이조절수단이 장착된 롤러슈즈의 작동과정 및 이에 따른 효과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적용된 높이조절수단을 이용하여 롤러의 높이를 조절하는 것을 보인 작동상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롤러를 사용하기 위하여 롤러슈즈의 밑창(20) 일측에 돌출된 높이조절휠(36)을 일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때, 밑창(20)의 일측으로는 휠홈(26)이 형성되어 있고, 그 사이에서 회전하는 높이조절휠(36)은 나사결합된 나사축(34)과 이에 결합된 케이지(32)를 회전하는 방향으로 밀거나 당긴다.
이렇게 밀리거나 당겨진 케이지(32)에는 롤러(40)가 일체로 장착되어 있어 회전하는 양만큼 상향 또는 하향으로 작동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높이조절수단(30)을 간단히 작동시켜 롤러(40)를 완전히 수납하거나 노면과의 거리를 자유롭게 조절하여 노면이 주는 충격을 발목 관절과 무릎 관절에서 흡수하지 못하고 엉덩이 관절과 허리쪽까지 전달되어 이들 관절이 손상을 입을 수 있는 통상의 롤러슈즈의 문제점을 완벽히 해결한다.
즉, 전기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지듯이, 이 발명은 롤러슈즈에 장착되는 높이조절수단(30)을 제공하여 사용자의 주행수준에 맞는 롤러(40)의 높이를 설정한 후 롤러스케이팅을 즐길 수 있다.
본 발명은 그 정신 또는 주요한 특징으로부터 일탈하는 일없이, 다른 여러 가지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전술한 실시예는 모든 점에서 단순한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한정적으로 해석해서는 안된다. 본 발명의 범위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해서 나타내는 것으로서, 명세서 본문에 의해서는 아무런 구속도 되지 않는다. 다시, 특허청구범위의 균등 범위에 속하는 변형이나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 내의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그 밖에 여러 가지 변형예가 가능한 것은 말할 것도 없다. 예를 들면, 필요에 따라서 도 5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같이 롤러(40)와 높이조절수단(30)은 롤러슈즈의 밑창(20) 저면(22)에 전후로 다양하게 설치될 수도 있고, 2개 이상의 높이조절휠(36)을 적용시켜 사용할 수 있으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롤러(40)와 높이조절수단(30)이 장착된 밑창(20)을 롤러슈즈와 분리시켜 별도로 사용하는 것도 본 발명으로부터 일탈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참정신 및 범위내에 존재하는 변형례는, 모두 특허청구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높이조절수단이 장착된 롤러슈즈에 의하면, 자유롭고 간단하게 조절가능한 롤러의 높이로 사용자의 수준과 노면의 상태에 따라 주행이 가능하도록 하고, 신발바닥과 노면사이의 거리가 짧음으로 인해서 발생하는 급정지 등의 위험성을 극복할 수 있으며, 간단한 조작에 의해 신발과 롤러의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Claims (8)

  1. 요홈으로 롤러가 수납되는 롤러슈즈에 있어서, 상기 요홈의 내면으로 일체로 형성된 수직안내단과, 상기 요홈으로 장착된 후 회전하는 롤러가 하나 이상으로 마련되어 있으며, 이러한 롤러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면서 결합하고, 상기 수직안내단을 따라 안내되면서 상기 롤러의 상승 내지 하강을 조절하여 상기 롤러슈즈와 노면과의 거리를 다단계로 조절하는 높이조절수단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수단이 장착된 롤러슈즈.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에는 가로방향으로 연장된 지지축이 축설되어 있고, 상기 지지축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회전부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지지축과 회전하는 회전부 사이에는 베어링이 설치된 후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수단이 장착된 롤러슈즈.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수단은 상기 요홈에 수납되어 상기 롤러가 회전가능하게 상기 지지축을 지지하면서 상기 요홈의 수직안내단을 따라 상하로 움직이는 케이지와, 상기 케이지에 축설된 후 연장되어 상기 요홈의 저면에 고정되고, 그 표면은 나선부로 형성된 나사축과, 상기 나사축에 회전가능하게 체결되어 회전하면 상기 나사 축이 축설된 케이지가 연동되어 회전하는 방향으로 상승하거나 하강하는 높이조절휠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수단이 장착된 롤러슈즈.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지에는 상기 지지축이 안내되어 삽입되도록 축안내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축안내부에는 상기 지지축이 삽입된 후 고정되는 고정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수단이 장착된 롤러슈즈.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축에는 상기 축안내부에 안내되는 안내돌기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안내돌기는 상기 고정홀의 지름보다 큰 크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수단이 장착된 롤러슈즈.
  6. 롤러가 수납되는 요홈이 밑창에 형성된 롤러슈즈로서, 상기 요홈의 내면으로는 수직안내단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요홈에 하나 이상으로 장착되어 회전하는 롤러와, 상기 롤러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면서 결합되고, 상기 수직안내단을 따라 안내되면서 상기 롤러의 상승 내지 하강을 조절하여 상기 롤러슈즈와 노면과의 거리를 다단계로 조절하는 높이조절수단을 포함하는 롤러슈즈에 있어서, 상기 롤러와 높이조절수단은 롤러슈즈의 밑창 저면에 전후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수단이 장착된 롤러슈즈.
  7. 롤러가 수납되는 요홈의 밑창으로서, 상기 요홈의 내면으로는 수직안내단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요홈에 하나 이상으로 장착되어 회전하는 롤러와, 상기 롤러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면서 결합되고, 상기 수직안내단을 따라 안내되면서 상기 롤러의 상승 내지 하강을 조절하여 상기 롤러슈즈의 밑창과 노면과의 거리를 다단계로 조절하는 높이조절수단을 포함하는 롤러슈즈에 있어서, 상기 롤러슈즈의 밑창은 롤러슈즈와 분리되어 별도로 사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수단이 장착된 롤러슈즈.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밑창은 일반 신발에 장착하여 사용하도록 그 일측면에 고정밴드를 부착시키고, 그 뒷면으로는 안착부를 일체로 형성시켜 상기 일반 신발의 뒷꿈치를 안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수단이 장착된 롤러슈즈.
KR1020040115261A 2004-12-29 2004-12-29 높이조절수단이 장착된 롤러슈즈 KR2006007589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15261A KR20060075891A (ko) 2004-12-29 2004-12-29 높이조절수단이 장착된 롤러슈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15261A KR20060075891A (ko) 2004-12-29 2004-12-29 높이조절수단이 장착된 롤러슈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75891A true KR20060075891A (ko) 2006-07-04

Family

ID=371683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15261A KR20060075891A (ko) 2004-12-29 2004-12-29 높이조절수단이 장착된 롤러슈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7589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54735A (ko) * 2019-11-06 2021-05-14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슬라이딩 보행 보조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54735A (ko) * 2019-11-06 2021-05-14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슬라이딩 보행 보조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194864B (zh) 可穿装置
ES2245524B1 (es) Aparato y metodo de talonaje.
CN100515530C (zh) 外部轮式飞行装置和方法
US20080256831A1 (en) Skate Shoe
EP1994966A1 (en) Roller skate
KR20060075891A (ko) 높이조절수단이 장착된 롤러슈즈
JP4974305B2 (ja) ローラスケート
KR200414224Y1 (ko) 회전 기능을 갖는 기능성 신발
KR200324901Y1 (ko) 로울러가 구비된 신발
KR200210719Y1 (ko) 로울러 스케이트 내장형 신발
CN212187746U (zh) 一种独轮鞋
KR20100054360A (ko)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신발의 밑창으로부터 함몰되고 노출되는 접철식 바퀴가 달린 롤링슈즈
KR102227492B1 (ko) 높이가 조절되는 신발
KR100806643B1 (ko) 인라인 스케이트 보드
KR200330775Y1 (ko) 인라인하키용 퍽
CN216293178U (zh) 一种高度可调的保健鞋
KR20190068926A (ko) 롤러스케이트 지지대
CN2511359Y (zh) 旱冰壶鞋
KR200292550Y1 (ko) 롤러가 구비된 신발 구조
KR100854065B1 (ko) 휠 접이식 인라인 스케이트
KR200390407Y1 (ko) 인라인스케이트겸용 신발
CN101410155A (zh) 溜冰鞋
CN2587471Y (zh) 可折式滚轴鞋
KR200325200Y1 (ko) 힐링 슈즈
KR200314178Y1 (ko) 인라인로울러스케이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