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75703A - Multitap for saving power - Google Patents

Multitap for saving pow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75703A
KR20060075703A KR1020040114578A KR20040114578A KR20060075703A KR 20060075703 A KR20060075703 A KR 20060075703A KR 1020040114578 A KR1020040114578 A KR 1020040114578A KR 20040114578 A KR20040114578 A KR 20040114578A KR 20060075703 A KR20060075703 A KR 200600757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unit
setting
tap
ti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1457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701990B1 (en
Inventor
박찬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모텍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모텍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모텍스
Priority to KR10200401145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01990B1/en
Publication of KR200600757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7570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019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199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0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 H01R13/703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operated by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dual-continuity coupling part
    • H01R13/703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operated by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dual-continuity coupling part the switch being in series with coupling part, e.g. dead coupling, explosion proof coupling
    • H01R13/7038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operated by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dual-continuity coupling part the switch being in series with coupling part, e.g. dead coupling, explosion proof coupling making use of a remote controlled switch, e.g. relais, solid state switch activated by the engagement of the coupling par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25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using digital measurement techniqu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665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electronic circuit
    • H01R13/6675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electronic circuit with built-in power supp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665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electronic circuit
    • H01R13/6691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electronic circuit with built-in signalling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5/00Coupling parts adapted for simultaneous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identical counterparts, e.g. for distributing energy to two or more circuits
    • H01R25/003Coupling parts adapted for simultaneous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identical counterparts, e.g. for distributing energy to two or more circuits the coupling part being secured only to wires or cab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300/00Orthogonal indexing scheme relating to 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or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covered by H01H
    • H01H2300/03Application domotique, e.g. for house automation, bus connected switches, sensors, loads or intelligent wir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B90/20Smart grids as enabling technology in buildings sect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20/00Management or operation of end-user stationary applications or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Controlling, monitoring or operating thereof
    • Y04S20/14Protecting elements, switches, relays or circuit break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Of Power-Distribution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절전형 멀티탭에 관한 것으로서, 타이머 기능 및 원격 제어기능을 이용하여 하루 단위 또는 일주일 단위의 동작 시간대를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손쉽게 설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wer-saving multi-tap, so that it can be easily set according to the user's intention, the operating time zone of a day or week using a timer function and a remote control function.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다수의 전원 플러그 소켓에 각각 직렬로 계전기를 연결하고, 유선 또는 무선의 기능설정부를 통해 사용자의 키조작에 의한 동작시간의 설정 및 비밀번호 변경과 알람 구동 등의 각종 기능을 설정하고 그에 따른 스위칭 신호를 출력하며, 실시간 클럭을 사용하여 각 소켓의 동작 날짜와 시간 등의 계산에 필요한 기준 시간데이터를 제공하며, 멀티탭 제어부를 통해 상기 각 계전기의 동작을 제어하여 상기 다수의 전원 플러그 소켓에 공급되는 전원을 선택적으로 단속하며, 사용자 입력에 의한 비밀번호 등의 키입력 데이터 또는 시간설정 데이터 등을 저장하고, 키입력 데이터 및 설정 상태 등을 시각화, 청각화하여 표시하는 절전형 멀티탭을 제공하여, 간편한 조작에 의한 효율적인 전원관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To this end, the present invention connects a relay to a plurality of power plug sockets in series, respectively, and sets various functions such as setting of operation time and password change and alarm driving by user's key operation through a wired or wireless function setting unit. It outputs the switching signal accordingly, provides reference time data necessary for calculating the operation date and time of each socket using a real time clock, and controls the operation of each relay through a multi-tap control unit to control the plurality of power plug sockets. Provides a power-saving multi-tap that selectively intercepts the power supplied to and stores key input data or time setting data such as a password by a user input, and visualizes, audibly displays the key input data and setting state, Efficient power management can be achieved by simple operation.

타이머, 원격 제어, 유/무선 제어, 절전형 멀티탭, 비밀번호, 알람설정 Timer, remote control, wired / wireless control, energy-saving power strip, password, alarm setting

Description

절전형 멀티탭{MULTITAP FOR SAVING POWER}Power saving multi-tap {MULTITAP FOR SAVING POWER}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절전형 멀티탭의 블록회로도1 is a block circuit diagram of a power saving type power stri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절전형 멀티탭의 실시상태 사시도2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mbodiment of a power-saving power stri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절전형 멀티탭에서의 동작 흐름도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operations of a power saving type power stri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절전형 멀티탭에서 원격 제어모드인 경우 원격 제어부로부터 전달되는 명령에 대한 주제어부에서의 동작 흐름도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operations in a main controller for a command transmitted from a remote control unit in a remote control mode in a power saving power ta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 전원부 11 : 주전원 공급부 12 : 동작전원 공급부10 power supply unit 11 main power supply unit 12 operating power supply unit

13 : 사고 검출부 20 : 멀티탭 21 : 전원 플러그 소켓13 accident detection unit 20 multi-tap 21 power plug socket

22 : 계전기(RL1-RL4) 30 : 기능 설정부 31 : 스위치 입력부22: relay (RL1-RL4) 30: function setting unit 31: switch input unit

32 : 원격 제어부 3a : DTMF 수신부 33a : RF 수신부32: remote control unit 3a: DTMF receiver 33a: RF receiver

33b : RF 송신부 40 : RTC 계산부 50 : 메모리부33b: RF transmitter 40: RTC calculator 50: memory

60 : 멀티탭 제어부 70 : 표시부 80 : 음성 출력부60: multi-tap control unit 70: display unit 80: audio output unit

81 : 음성 안내부 82 : 스피커 100 : 주제어부81: voice guide 82: speaker 100: main control

SW1-SW5 : 키스위치SW1-SW5: Keyswitch

본 발명은 타이머와 원격제어기능을 이용한 절전형 멀티탭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하루 단위 또는 일주일 단위 등 타이머의 시간 설정 기능을 이용하여 전원기기를 사용하고자 원하는 시간에 따라 멀티 탭의 각 플러그 소켓의 동작 시간대를 사용자가 능동적으로 자유롭게 설정 또는 변경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전원 관리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하고 원격 제어를 통해 상기 동작 시간대의 설정 조작 또는 기설정된 동작 시간대의 변경 조작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여 사용자 조작이 어려운 구석 깊은 곳에 설치되는 멀티탭의 특성에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절전형 멀티탭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wer-saving multi-tap using a timer and a remote control function, and more specifically, to each plug socket of a multi-tap according to a desired time using a power supply using a timer setting function such as a day or a week. By allowing the user to freely set or change the operation time zone, power management can be efficiently performed, and the operation of setting the operation time zone or changing the preset operation time zone can be easily performed through remote control.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wer-saving power strip that can be effectively applied to the characteristics of a power strip installed in a deep corner.

일반적으로 보통의 사무 환경이나 가정에서 사용되는 멀티탭은 다수의 플러그 소켓을 구비하여 여러 기기의 전원 플러그를 꽂아 각종 전자제품의 전원 공급에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한 개 또는 각 플러그 소켓에 대응하는 개수의 전원 스위치를 구비하여 다수의 전원 플러그 소켓에 공급되는 전원을 일제히 또는 개별적으로 공급/차단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In general, the power strip used in a normal office environment or at home has a plurality of plug sockets, which can be used to supply power to various electronic devices by plugging in power plugs of various devices. It is provided with a power switch so that the power supplied to a plurality of power plug sockets can be supplied / blocked simultaneously or individually.

그러나, 이러한 구성의 종래 멀티탭은 전원 공급단인 각 플러그 소켓에 전자제품의 플러그가 삽입된 상태에서 메인 전자기기를 비롯한 주변 전자기기의 전원 조작시 플러그 소켓에 구비된 별도의 전원 스위치를 조작해야만 전체 전원이 차단된다. 따라서 메인 기기의 전원을 차단한다 하여도 메인 기기만이 전원 차단된 상태이고 나머지 주변 기기는 항상 대기 전원 모드를 유지하고 있어 확실한 전원 단속이 이루어지지 못하고 불필요한 전력이 낭비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conventional power strip of such a configuration must operate a separate power switch provided in the plug socket when operating the power of the peripheral electronic devices including the main electronic device while the plug of the electronic product is inserted into each plug socket as the power supply terminal. Power is cut off. Therefore, even if the main device is turned off, only the main device is in a power-off state, and the remaining peripheral devices are always in standby power mode, so that there is a problem in that power is not secured and unnecessary power is wasted.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종래 기술로는 한국 실용신안등록 제268832호(명칭: '오토 절전 멀티 콘센트')가 제시되어 있는데, 이는 상용의 교류전원을 공급받아 희망하는 DC 전압으로 정류시켜 각 부에 공급하고, 스위치를 포함하는 출력신호 인가부의 스위치 조작에 의해서 콘센트 본체를 작동시키며, 출력신호인가부의 단속신호로 릴레이를 구동시켜 콘센트의 각 수구를 통해 전원을 단속하여 각 수구에 꽂혀있는 주변기기를 단속하며, 출력감지부에서 인가되는 출력의 비교로 전원사용 여부를 감지하여 전원 사용이 없을 경우 출력부 전원을 차단하도록 구성되는 등의 다소 복잡하게 구성되어 있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68832 (name: 'Auto power saving multi-outlet') is proposed, which is supplied with commercial AC power and rectified to a desired DC voltage to each part. The outlet body is operated by the switch operation of the output signal applying unit including the switch, and the relay is driven by the intermittent signal of the output signal applying unit to interrupt the power supply through each outlet of the outlet to interrupt the peripheral equipment plugged into each outlet. In addition, it is configured to detect whether the power is used by comparing the output applied from the output sensing unit, and if the power is not used, the output unit is configured to be somewhat complicated.

또한 그 외에도 공지된 종래기술로는 광센서나 인체센서를 이용하여 빛의 밝기에 따라 또는 사용자의 기기 사용 유/무에 따라 멀티탭의 전원스위치를 자동으로 제어함으로써 기기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절전형 멀티탭, 또는 예를 들어 컴퓨터와 그 주변 기기인 모니터와 프린터와 음향기기 등과 같이, 주종관계에 있는 기기들을 서로 연동시켜 전원을 제어함으로써 메인 전원 기기의 전원을 차단하면 그에 종속되는 주변 기기들의 전원이 자동으로 차단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절전기능을 수행하는 절전형 멀티탭 기술들이 개발되어 있다. In addition, the known prior art is a power-saving type that cuts off the power supplied to the device by automatically controlling the power switch of the power strip according to the brightness of the light or the user using or not using the light sensor or human body sensor When power is disconnected from the main power supply device by controlling power by interlocking the main devices with each other, such as a multi-tap or a computer, a peripheral device such as a monitor, a printer, and an audio device, Power-saving multi-tap technologies have been developed that perform power savings by allowing them to be automatically shut off.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멀티탭에 있어서는 유휴 전기/전자기기들의 전원코드 연결로 인해 막대한 전기에너지의 손실을 가져왔으며, 일부 광센서나 인체센서를 이용하여 전원을 제어하거나 또는 주종관계에 있는 기기들의 전원을 연동시켜 제어함으로써 절전하는 사례의 기술들이 적용된 절전형 멀티탭의 경우 기기 사용자의 의도가 개입되지 않은 상태에서 전원 제어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보다 능동적인 전 원 제어가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으며, 또한 주 5일 근무제의 도입에 따른 1주일 중 2일간의 전원 관리 부재로 인한 추가 손실 우려되는 상황이었다.However, in such a conventional power strip, a huge amount of electrical energy has been lost due to the connection of power cords of idle electric / electronic devices, and some power sensors or human body sensors are used to control power or to power main devices. In the case of a power-saving power strip that uses the technology of power saving by interlocking control, power control is performed without the intention of the device user. The company was concerned about additional losses due to lack of power management for two days during the week.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하루 단위 또는 일주일 단위 등 타이머를 이용한 시간 설정기능을 이용하여 멀티탭의 각 플러그 소켓에 대한 각각의 동작 시간대를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손쉽게 설정할 수 있도록 하고, 유/무선 통신에 의한 원격 제어를 통해 상기 타이머에 의한 작동 시간대의 설정조작 또는 기설정된 작동 시간대의 변경조작이 용이하도록 하여 간편한 조작에 의한 효율적인 전원관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절전형 멀티탭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by using a time setting function using a timer, such as a unit of a day or a week, the operation time for each plug socket of the power strip according to the user's intention Power-saving type that enables easy setting and easy operation of setting the operation time zone or changing operation time zone by the timer through remote control by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The purpose is to provide a power strip.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용 전원 전압을 인가받아 주전원 및 동작전원을 출력하고 과전류 및 서지 전류가 유입되는지를 사고 검출부에서 검출하여 주전원을 단속하는 전원부를 구비하고, 다수의 전원기기를 다중 연결할 수 있는 다수의 전원 플러그 소켓을 병렬로 구비하여 상기 전원부의 주전원 출력단에 연결한 절전형 멀티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전원 플러그 소켓에 인가되는 전원을 각각의 스위칭 접점을 통해 개별적으로 단속하도록 구성된 다수의 계전기와; 멀티탭의 동작 시간대 및 비밀번호의 설정과 변경, 알람 구동 등의 각종 명령에 따른 동작 수행을 위한 동작 조건을 설정하고 그에 따른 키신호를 출력하는 기능 설정부와; 실시간 클럭을 사용하여 현재의 시간, 날짜, 월, 년에 대한 시간 데이터를 유지시키면서 사용자 설정에 따른 각 전원 플러그 소켓의 동작시간대와 날짜 등의 계산에 필요한 기준 시간데이터를 생성하는 실시간 계산부와; 멀티탭의 전반적인 동작을 검사하여 상기 기능 설정부로부터 입력되는 명령에 대한 동작 조건 및 상기 사고 검출부로부터 입력되는 사고 상황에 따라 각 종의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주제어부와; 상기 주제어부에서 출력되는 제어신호로 상기 각 계전기의 동작을 제어하여 상기 다수의 전원 플러그 소켓에 공급되는 전원을 선택적으로 단속하는 멀티탭 제어부와; 사용자 입력에 의한 비밀번호 및/또는 동작시간대 및/또는 알람 기능의 설정 또는 변경 등의 키입력 데이터 및 시간데이터 등을 저장하고 상기 주제어부에 기준 데이터를 제공하는 메모리부와; 상기 주제어부에서 출력되는 사용자 설정에 의한 키입력 데이터 및 시간 데이터 등을 시각화하여 표시하는 표시부와; 상기 기능 설정부의 설정상태에 따른 동작내용이나 시간의 종료 및 사고의 감지 또는 방범 상태 등을 알람이나 음성으로 출력하는 음성 출력부를 포함하는 구성의 절전형 멀티탭을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ower supply unit for outputting a main power supply and an operating power supply by receiving a commercial power supply voltage, and detecting an overcurrent and surge current from an accident detection unit to control the main power supply, and providing a plurality of power supply devices. In a power-saving power strip having a plurality of power plug sockets which can be connected in parallel and connected to the main power output terminal of the power supply unit, a plurality of power plug sockets are configured to individually control the power applied to each power plug socket through each switching contact. With a relay; A function setting unit for setting an operation condition for performing an operation according to various commands such as setting and changing an operation time zone and a password of a multi-tap, driving an alarm, and outputting a key signal according thereto; A real time calculator configured to generate reference time data necessary for calculating an operation time zone and a date of each power plug socket according to a user setting while maintaining time data on a current time, date, month, and year using a real time clock; A main control unit which check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multi-tap and outputs various control signals according to an operation condition for a command input from the function setting unit and an accident situation input from the accident detection unit; A multi-tap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relays with a control signal output from the main controller to selectively control the power supplied to the plurality of power plug sockets; A memory unit for storing key input data and time data, such as setting or changing a password and / or an operation time zone and / or an alarm function according to a user input, and providing reference data to the main control unit; A display unit for visualizing and displaying key input data and time data according to user setting output from the main controller; It provides a power-saving power strip including a voice output unit for outputting the operation content or the time of the end according to the setting state of the function setting unit and the detection of an accident or the crime prevention state as an alarm or voice.

상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기능 설정부는 다수의 키스위치들을 구비하여 상기 계전기의 동작 시간의 설정과 변경, 또는 비밀번호의 설정과 변경, 또는 알람 기능의 설정과 해제 등의 각종 기능 수행을 위한 조건들 설정하고 그에 따른 스위칭 신호를 출력하는 스위치 입력부로 구성될 수 있으며, 게다가 원거리 유/무선 통신이 가능한 원격 송/수신수단을 통해 상기 키입력부에 대응하는 사용자 설정 및 동작 수행을 위한 명령의 입력을 지원하는 원격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unction setting unit includes a plurality of key switches to perform various functions such as setting and changing an operating time of the relay, setting and changing a password, or setting and releasing an alarm function. It can be configured as a switch input unit for setting the conditions for and outputs a switching signal according to the above, and furthermore, the remote control unit of the command through the remote transmission and reception means capable of long-distance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to perform the user setting and operation corresponding to the key input unit 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remote controller supporting an input.

여기서 상기 원격 제어부는, 전화선 통신수단, 전력선 통신수단, 이더넷 통신수단, 고주파(RF) 또는 적외선 통신수단, 근거리 무선통신수단 중의 어느 하나 또는 하나 이상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Here, the remote control unit may be configured by one or more of telephone line communication means, power line communication means, Ethernet communication means, high frequency (RF) or infrared communication means, and near field communication means.

상기 본 발명의 목적과 특징 및 장점은 첨부도면 및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함으로서 더욱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more readily understood by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구성 및 작용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detail as follow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절전형 멀티탭의 블록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절전형 멀티탭의 실시상태 사시도로서, 주전원 및 동작 전원의 공급을 위한 전원부(10)와, 다수의 전원 플러그 소켓(21: PS1-PS5)과 그 중 일부 플러그 소켓에 계전기(22: RL1-RL4)의 각 스위칭 단자를 각각 연결한 멀티탭(20)과, 기능 설정을 위한 다수의 키스위치(SW1-SW5) 및 원격 제어부(32)를 구비한 기능 설정부(30)와, 기준 시간 데이터를 제공하는 실시간(Real Time Clock) 계산부(40)와,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각 계전기의 코일전류를 개별 단속하는 멀티탭 제어부(50)와, 키데이터 및 설정 기능들을 저장하는 메모리부(60)와, 키 입력값 및 동작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70)와, 알람 및 음성을 출력하는 음성 출력부(80)와, 시스템 전체를 감시하고 제어하는 주제어부(100)를 포함하여 구성한다.1 is a block diagram of a power-saving power stri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mbodiment of a power-saving power stri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ower supply unit 10 for supplying the main power source and the operating power, and a plurality of Power tap socket 21 (PS1-PS5) and a part of the plug socket (22: RL1-RL4) each connected to the switching terminal of the relay (22: RL1-RL4), and a plurality of keyswitch (SW1- for setting the function) SW5) and a function setting unit 30 having a remote control unit 32, a real time clock calculation unit 40 for providing reference time data, and a coil current of each relay by a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 unit. A multi-tap control unit 50 for individually controlling the device, a memory unit 60 for storing key data and setting functions, a display unit 70 for displaying key input values and operation states, and a voice output unit for outputting alarms and voices 80, and the main control unit 100 for monitoring and controlling the entire system Consists of including.

상기 전원부(10)는 상용 전원을 인가받아 부하로 공급할 주전원과 디지털 회로로 공급할 동작 전원을 각각 출력하는 주전원 공급부(11) 및 동작전원 공급부(12)와, 상기 상용 전원 입력 단자에 전류 변환기(CT)를 연결하여 과전류 및 서지 전류가 유입되는지를 검출하여 상기 주전원을 단속하는 사고 검출부(13)를 구비하여 구성한다. 여기서 사고 검출부(13)는 전원단의 전체 전류를 측정하여 안전 기준 전류 이상의 전류가 유입되면 사고 감지신호를 주제어부(MPU)에 전달하며 이때 주제어부(MPU)는 모든 부하단의 전원을 차단시킨다.The power supply unit 10 receives a commercial power and outputs a main power supply 11 and an operating power supply 12 respectively outputting a main power to be supplied to a load and an operating power to be supplied to a digital circuit, and a current converter CT to the commercial power input terminal. ) Is configured to include an accident detection unit 13 for detecting whether an overcurrent and a surge current are introduced to control the main power supply. Here, the accident detection unit 13 measures the total current of the power supply stage and transmits an accident detection signal to the main control unit (MPU) when a current exceeding the safety reference current flows in, and the main control unit (MPU) cuts off the power of all load terminals. .

상기 멀티탭(20)은 다수의 전원 기기를 다중 연결할 수 있는 다수의 전원 플러그 소켓(21; PS1-PS5)을 구비하여 상기 전원부(10)의 주전원 출력단에 각각 병렬로 연결하고, 상기 전원 플러그 소켓의 앞단에는 상기 멀티탭 제어부에 의해 그 스위칭 동작이 제어되는 계전기(22; RL1-RL4)의 스위칭 단자를 각각 직렬로 연결하여 상기 계전기의 스위칭 접점을 통해 주전원이 선택적으로 각 플러그 소켓에 공급될 수 있도록 구성한다. 특히 상기 다수의 플러그 소켓 중에서는 필요에 따라 또는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계전기를 통하지 않고 전원부에 직접 접속되도록 함으로써, 계전기의 스위칭 동작에 관계없이 외부 전원이 공급되기만 하면 바로 부하 전원이 공급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을 것이며, 도면에서는 5개의 전원 플러그 소켓을 구비한 멀티탭을 예시하고 있는데, 그 중에서 4개의 전원 플러그 소켓에는 계전기(RL1-RL4)의 스위칭 접점이 연결되어 있고, 나머지 한 개의 전원 플러그 소켓에는 주전원부의 출력단이 직접 연결된 상태를 예시하고 있다. 예로서 5구 멀티탭일 경우 1~4번은 멀티탭 제어부에서 제어가 가능하고, 5번은 상시 전원이 필요한 장비를 위해 주전원부의 출력단과 연결 가능하다. 또한 1~4번은 각각 다른 사용시간을 설정할 수도 있고, 동일한 사용시간으로도 설정이 가능하다. 또는 그 중 어느 하나를 전화선 입력단자에 연결된 계전기에 연결하여 DTMF 수신부(32a)를 통해 벨 신호가 들어오면 그와 동시에 사용자가 원격으로 입력하는 DTMF신호의 명령을 해독하여 해당되는 기능이 작동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구성은 멀티탭을 사용하고자 하는 용도에 따라 또는 사용자가 원하는 사양에 따라 또는 플러그 소켓의 전체 개수에 따라 그 구성비를 달리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The power strip 20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power plug sockets 21 (PS1-PS5) for connecting a plurality of power devices, respectively, and connected in parallel to the main power output terminals of the power supply unit 10, respectively. At the front end, the switching terminals of the relays 22 (RL1-RL4) whose switching operation is controlled by the multi-tap control unit are connected in series so that main power can be selectively supplied to each plug socket through the switching contact of the relay. do. Particularly, among the plurality of plug sockets, the power supply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unit without a relay as needed or according to the user's setting, so that the load power can be supplied immediately if external power is supplied regardless of the switching operation of the relay. In the drawing, a multi-tap having five power plug sockets is illustrated, of which four power plug sockets are connected with switching contacts of relays RL1-RL4, and the other power plug socket is The output terminal of the main power supply unit is directly connected. For example, in the case of 5 ball multi-tap 1 to 4 can be controlled by the multi-tap control unit, and 5 can be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 of the main power supply for equipment that requires constant power. In addition, 1 to 4 times can be set to different usage time, it is also possible to set the same use time. Alternatively, any one of them is connected to a relay connected to a telephone line input terminal, and when a bell signal is received through the DTMF receiver 32a, at the same time, a command of the DTMF signal input remotely by the user is decoded so that a corresponding function is operated. can do. Of course, such a configuration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ded use of the power strip, a specification desired by the user, or the total number of plug sockets.

상기 기능 설정부(30)는 초기 설정 또는 이미 메모리에 저장된 사용시간에 대한 설정내용을 선택하거나 변경할 수 있는 다수의 키스위치(SW1-SW5)들을 구비하여, 상기 계전기(22)의 동작 시간대의 설정과 변경, 또는 비밀번호의 설정과 변경, 또는 알람 기능의 설정과 해제 등의 각종 명령에 대한 동작 수행에 필요한 키신호를 출력하는 스위치 입력부(31)를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기능 설정부(30)는 원거리 유/무선 통신이 가능한 원격 송/수신수단을 통해 상기 스위치 입력부에 대응하는 사용자 설정 또는 변경, 및 동작 수행을 위한 명령의 입력을 지원하는 원격 제어부(3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원격 제어부(32)는 유/무선 통신수단으로서, 전화선모뎀을 이용한 통신수단, 전력선모뎀을 이용한 통신수단, 이더넷 통신수단, 고주파(RF) 또는 적외선을 이용한 무선 통신수단, 또는 블루투스 등과 같은 근거리 무선통신수단 중의 어느 하나 또는 두 개 이상을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전화선 모뎀을 이용하여 일반 전화선에 연결되는 DTMF 수신부(32a)와, 고주파(RF) 송/수신기(33a)를 이용하여 원격 제어부(32)를 구성한 경우를 예시하고 있으며, 도 2에 그 실시상태가 예시되어 있다. The function setting unit 30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key switches SW1-SW5 for selecting or changing the initial setting or the setting contents for the usage time already stored in the memory, so as to set an operation time zone of the relay 22. And a switch input unit 31 for outputting a key signal necessary for performing an operation for various commands such as setting and changing a password, setting and releasing a password, and setting and releasing an alarm function. The function setting unit 30 is a remote control unit 32 that supports user setting or change corresponding to the switch input unit and input of a command for performing an operation through remote transmission / reception means capable of remote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It may further include. Here, the remote control unit 32 is a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means, a communication means using a telephone line modem, a communication means using a power line modem, an Ethernet communication means, a wireless communication means using high frequency (RF) or infrared light, or a short range such as Bluetooth. It may be desirable to include any one or two or more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means.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llustrates a case in which the remote control unit 32 is configured by using a DTMF receiver 32a connected to a general telephone line using a telephone line modem and a high frequency (RF) transmitter / receiver 33a. The embodiment is illustrated in 2.

상기 실시간 계산부(40)는 실시간 클럭을 사용하여 현재의 시간, 날짜, 월에 대한 시간 데이터를 유지시키면서 사용자 설정에 따른 각 탭의 동작 날짜와 시간 등의 계산에 필요한 기준 시간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주제어부(100)에 제공한다.The real-time calculation unit 40 generates the reference time data necessary for the calculation of the operation date and time of each tab according to the user setting while maintaining the time data for the current time, date, month using the real-time clock It is provided to the main control part 100.

상기 멀티탭 제어부(50)는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또는 누전과 같은 사고 감지에 따라 상기 주제어부(100)에서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의해 동작이 제어되며, 상기 계전기(22)의 각 코일에 흐르는 전류를 개별적으로 제어하여 각 계전기의 스위칭 접점의 개폐를 단속함으로써, 상기 각각의 전원 플러그 소켓에 공급되는 전원을 선택적으로 단속한다.The multi-tap control unit 50 controls the operation by a control signal output from the main control unit 100 according to a user's setting or an accident detection such as a short circuit, and controls the current flowing through each coil of the relay 22. By individually controlling to interrupt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switching contact of each relay, the power supplied to each said power plug socket is selectively interrupted.

상기 메모리부(60)는 상기 기능 설정부(30)의 스위치 입력부(31) 또는 원격제어부(32)를 통해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비밀번호 등의 키입력 데이터 또는 동작 시간 설정 데이터, 알람 시간 설정 데이터 등을 저장하고 그 저장된 데이터를 상기 주제어부(100)에 기준 데이터로 제공한다.The memory unit 60 may include key input data such as a password input by a user through the switch input unit 31 or the remote control unit 32 of the function setting unit 30, operation time setting data, alarm time setting data, or the like. Stores the stored data and provides the stored data as reference data to the main control unit 100.

상기 표시부(70)는 LCD 창 등으로 구성되어 상기 주제어부(100)에서 출력되는 사용자 설정에 의한 키입력 데이터 및 설정 상태 등을 알리기 위한 데이터를 LCD창을 통해 시각적으로 표시한다.The display unit 70 is configured as an LCD window to visually display the key input data and the setting state of the user setting output from the main controller 100 through the LCD window.

상기 음성 출력부(80)는 상기 사용자 설정 또는 그 설정에 의한 동작내용이나 동작 시간의 종료 및 사고의 감지 또는 방범 상태, 등에 관한 음성 안내신호를 출력하는 음성 안내부(81)와, 상기 음성 안내부에서 발생되는 신호를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알람이나 음성으로 출력하는 스피커(82)로 구성한다.The voice output unit 80 outputs a voice guide signal 81 for outputting a voice guide signal relating to the end of the operation content or the operation time and the detection of an accident or the crime prevention state according to the user setting or the setting, and the voice guide. The speaker 82 is configured to output an alarm or a voice so that a user can recognize a signal generated from the unit.

상기 주제어부(100)는 타이머를 내장하고, 상기 기능 설정부(30)의 스위치 입력부(31) 또는 원격 제어부(32)에서 발생되는 키신호에 따라 사용자 설정에 의한 키입력 및 명령을 받아들여 다수의 시간대 설정 또는 변경기능, 알람설정 또는 해 제기능, 비밀번호 설정 또는 변경기능 등을 수행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멀티탭 제어부(50)로 출력하고, 그 설정된 기능이나 비밀번호 등의 데이터를 메모리부(60)에 저장하며, 상기 키입력 또는 각 명령에 대한 결과 수행 여부를 표시부(70)에 표시하며, 상기 사고 검출부(13)로부터 입력되는 사고 감지상황에 따라 부하에 공급되는 전원 라인의 온/오프를 자동으로 제어하는 등의 일련의 멀티탭 제어로직을 탑재할 수 있다.The main controller 100 has a built-in timer and accepts a key input and a command according to a user setting according to a key signal generated from the switch input unit 31 or the remote control unit 32 of the function setting unit 30. Outputs a control signal for performing the time zone setting or changing function, alarm setting or clearing function, password setting or changing function, etc. to the multi-tap control unit 50, and stores data such as the set function or password in the memory unit 60; Is stored in the display unit, and displays whether the key input or the result of each command is performed on the display unit 70, and automatically turns on / off the power line supplied to the load according to the accident detection situation input from the accident detection unit 13. A series of multi-tap control logics such as control can be mounted.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절전형 멀티탭에서 주제어부(100)가 처리하는 프로세스의 흐름을 예시한 도면으로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모리부로부터 데이터를 판독하고 년, 월, 일, 시, 분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S101,S02)와, 비상 상황 발생여부 또는 원격 제어모드 또는 스위치 입력모드 또는 동작 종료시간 여부를 체크하는 단계(S103-S106)와, 비상상황이 발생되는 경우 경고메시지를 출력한 후 주 전원의 스위치를 차단시키거나 또는 원격 제어모드인 경우 원격 제어데이터를 수신하여 분석하거나 또는 스위치 입력모드인 경우 스위치로 입력되는 키신호를 분석하거나 또는 동작 종료시간인 경우 말단 전원을 차단시키는 동작을 상기 체크결과에 따라 선택적으로 실행하는 단계(S107-S11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3 is a view illustrating a flow of a process processed by the main controller 100 in a power saving power ta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Storing the day, hour, and minute data (S101, S02), checking whether an emergency situation occurs or whether the remote control mode or the switch input mode or the operation end time (S103-S106), and an emergency situation In case of outputting a warning message, switch off the main power, or in the remote control mode, receive and analyze the remote control data, or in the switch input mode, analyze the key signal input to the switch or end the operation time. And selectively executing the step of shutting off the terminal power according to the check result (S107-S110).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절전형 멀티탭에서 원격 제어모드인 경우 원격 제어부로부터 전달되는 명령에 대한 주제어부(100)에서의 처리동작 흐름도로서, 상기 기능 설정부(30)의 원격 제어부(32)에서 발생되는 키신호의 종류에 따라 상기 주제어부(100)에서 처리하는 여러가지의 동작 흐름을 예시하고 있다.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ing operation in the main controller 100 for a command transmitted from a remote controller in the remote control mode in the power saving power ta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2 illustrates various operation flows processed by the main controller 100 according to the type of key signal generated at 32.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 플러그 소켓의 번호 또는 해당 소켓의 동작 시간대의 설정 또는 변경모드인가 또는 키데이터 판독모드인가를 판단하는 단계(S201,S202)와, 상기 판단결과 설정 또는 변경 모드에서 입력 가능한 각 파라미터, 즉 년도 또는 월 또는 날짜 또는 요일 또는 시간 또는 분 또는 플러그 소켓번호 또는 사용 시간대 등에 대한 설정 또는 변경인가를 다시 판단하는 단계(S203-S210)와, 상기 각 파라미터들, 즉 년도 또는 월 또는 날짜 또는 요일 또는 시간 또는 분 또는 플러그 소켓번호 또는 사용 시간대 등에 대한 설정 또는 변경 데이터를 각각 입력받아 메모리부에 저장하거나 또는 해당 계전기를 작동시키거나 또는 사용 시간대를 설정하는 단계(S211-218)와, 파라미터들에 대한 설정 또는 변경 데이터의 입력이 없는 경우 디폴트 값을 설정하는 단계(S219)와, 상기 판단 결과 키데이터 판독모드에서 현재 설정된 상태를 원격 제어부로 송신하는 단계(S2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As shown in FIG. 4, determining whether the number of the power plug socket or the operation time zone of the corresponding socket is set or changed in the key data reading mode (S201, S202), and in the setting or change mode of the determination result. Re-determining whether or not the setting or change is possible for each inputtable parameter, that is, year or month or date or day or hour or minute or plug socket number or use time zone (S203-S210), and each of the parameters, namely year or Steps of receiving setting or change data for month or date or day of week or hour or minute or plug socket number or using time zone, respectively, and storing them in the memory unit, or operating the corresponding relay or setting the using time zone (S211-218). And, if there is no input of setting or changing data for parameters, set the default value. Step S219 and transmitting the state currently set in the key data read mode to the remote controller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S220).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절전형 멀티탭의 동작 및 그에 따른 작용효과를 상기 첨부된 도면들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When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operation of the power-saving power strip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nd the effects thereof according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먼저, 본 발명에 의한 멀티탭의 주전원부(10)에 외부의 상용 전원전압이 인가되면 주전원 공급부(11)와 동작전원 공급부(12)에서는 부하로 공급할 전원과 시스템 내의 디지털 회로로 공급할 5V 동작전원을 각각 출력하여 주제어부(100)를 포함한 멀티탭 내부의 각 부분 장치들을 작동 대기상태로 만든다.First, when an external commercial power supply voltage is applied to the main power supply unit 10 of the multi-ta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ain power supply unit 11 and the operating power supply unit 12 supply the power to be supplied to the load and the 5V operating power to be supplied to the digital circuit in the system. Outputs each to make the respective devices in the multi-tap including the main control unit 100 in the standby operation state.

이러한 작동 대기상태에서 상기 주제어부(100)에서는 멀티탭의 전반적인 동작을 검사하여 상기 기능 설정부(30)의 스위치 입력부(31) 또는 원격 제어부(32)를 통해 사용자가 조작하는 키입력을 받아들여 그들로부터 수신된 각 종의 명령을 인식하고 상기 명령에 대응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멀티탭의 플러그 소켓 작동 시간대를 설정하거나 또는 사용자의 비밀번호 등을 설정한 후 멀티탭 제어부(50)를 통해 원하는 계전기를 작동시킴으로써 원하는 플러그 소켓에만 전원이 공급되도록 하는 등의 기능을 수행하고, 그 명령에 대한 결과 수행 여부를 상기 LCD 표시부(70)에 표시하면서, 그 설정된 데이터들을 메모리부(60)에 저장하고, 아울러 사고 검출부(13)로부터 입력되는 사고 상황에 따라 상기 멀티탭 제어부(50)의 출력을 제어하여 계전기의 동작을 온/오프시킴으로써, 부하에 공급되는 전원 라인의 온/오프를 제어한다.In this standby state, the main controller 100 receives the key inputs manipulated by the user through the switch input unit 31 or the remote control unit 32 of the function setting unit 30 by checking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power strip. Recognizes the various commands received from the user and sets the plug socket operation time zone of the user's desired tap in response to the command, or sets the user's password and the like, and then operates the desired relay through the multi-tap control unit 50. Power is supplied only to the socket, and whether or not the result of the command is performed is displayed on the LCD display unit 70, and the set data are stored in the memory unit 60, and the accident detection unit 13 When the operation of the relay on / off by controlling the output of the multi-tap control unit 50 according to the accident situation input from As such, it controls on / off of the power supply line supplied to the load.

한편, 일반적으로 멀티탭은 그 사용 특성상 구석진 곳에 위치하게 되므로 시간 설정 및 기타 다른 기능 설정을 위해서는 구석진 곳에 몸을 구부려 들어가거나 멀티탭을 꺼냈다가 다시 집어넣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원격 제어부(32)를 사용하여 현재 사용되는 대부분의 통신 방법을 취하여 상기 스위치 입력부(31)에 대응되는 키입력이 가능하게 되므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원격 제어부(32)는 무선 통신수단으로서 원격 제어에 사용될 수 있는 근거리 RF 통신을 사용하는 경우, 우선 근거리 고주파(RF) 통신을 이용함으로서 인접한 사무실과 간섭이 발생되지 않게 되므로, 고주파 송신부(33b)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한 주일 동안 전원 사용을 하고자하는 요일과 사용하지 않는 요일을 선택하고 선택된 날짜의 사용시간을 선택할 수 있게 되며, 고주파 수신부(33a)에서는 사용자의 위와 같은 요구사항에 대하여 메모리부(60)에 그 내용을 기억시키고 동작에 대한 설정 기준으로 삼게 된다. 그리고 프리셋으로 설정되어 있는 사용시간에 대한 내용을 선택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in general, since the multi-tap is located in the corner because of its use characteristics, it is necessary to bend the body in the corner or remove the multi-tap to set the time and other functions. 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remote control unit 32 takes most of the communication methods currently used, key input corresponding to the switch input unit 31 is possible, and thus it can be conveniently used. In this case, when the remote control unit 32 uses short-range RF communication that can be used for remote control as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first, by using near-field high-frequency (RF) communication, interference with an adjacent office is not generated. By using), the user can select the day of the week for which the user wants to use the power and the day that is not used, and select the use time of the selected date. In the high frequency receiver 33a, the memory unit for the above requirements of the user can be selected. The content is stored in (60) and used as a setting reference for the operation. You can also select the contents for the preset time.

또한 본 발명의 원격 제어부(32)에서는 DTMF 수신부(32a)를 이용하여 외부 전화선을 통해 들어오는 신호를 수신하여 주제어부(100)로 전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이러한 기능은 외부 전화선을 통해 전화벨 신호가 들어오면 그 벨 검출신호를 주제어부(100)로 입력하고, 상기 주 제어부(100)에서 벨 신호인 것으로 판단되면, 멀티탭 제어부(50)를 통해 계전기 제어신호를 발생하여 전화선 입력단자에 연결된 계전기를 아래로 연결시켜 전화선을 통한 DTMF 톤 신호를 판별할 수 있도록 연결 전환하며, 또한 상기 주제어부(100)에서는 상기 DTMF 신호의 입력에 따른 응답신호를 전화선을 통해 외부로 발송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remote control unit 32 of the present invention by using the DTMF receiving unit 32a to receive the incoming signal through the external telephone line to transfer to the main control unit 100, this function is when the telephone ring signal is received through the external telephone line When the bell detection signal is input to the main control unit 100 and the main control unit 100 determines that the bell signal is a bell signal, the relay control signal is generated through the multi-tap control unit 50 to move the relay connected to the telephone line input terminal down. The connection is switched to determine the DTMF tone signal through the telephone line, and the main control unit 100 may send a response signal according to the input of the DTMF signal to the outside via the telephone line.

이상의 본 발명에 의하면 다양한 타이머에 의한 절전기능을 탑재하고 플러그 소켓에 연결된 다수의 기구별로 개별적인 분리제어가 가능하므로 전기기기에 대한 시간적으로 정확한 전원 관리를 통하여 유휴 전기기기에서 소비되는 막대한 전력 낭비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equipped with a power saving function by various timers, and can be separated and controlled individually for a plurality of devices connected to the plug socket, thereby reducing the enormous power waste consumed in idle electric devices through timely and accurate power management for the electric devices. It can be effective.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주 5일제 또는 근무시간의 연장 또는 단축 근무제 등에 따라 임의적으로 변화되는 근무조건 등에 신속하게 대응가능할 뿐만 아니라 별도의 옵션 기능(리모콘 기능, 전력선 모뎀 제어, 전화선 원격 제어, 방범 기능 등)의 추가로 인하여 멀티탭의 적용범위를 확장시킬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not only can be quickly responded to working conditions, such as a five-day work week or extended working hours or shortened working hours, but also additional optional features (remote control, power line modem control, telephone line remote control, security function Etc.), it is possible to extend the application range of the power strip.

또한 이상의 본 발명에 의하면, 비밀번호 입력 기능과 확인 표시 기능 및 메 모리 기능을 이용하고, Transless 방식으로 소형화가 가능하며, 음성 안내 메시지 및 알람(부저) 또는 긴급 제어 기능 등을 탑재하여 멀티탭을 다양하면서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using the password input function, the confirmation display function and the memory function, and can be miniaturized in a transless manner, and equipped with a voice guidance message and alarm (buzzer) or emergency control function, Make it convenient.

Claims (4)

상용 전원 전압을 인가받아 주전원 및 동작전원을 출력하고 과전류 및 서지 전류가 유입되는지를 사고 검출부에서 검출하여 주전원을 단속하는 전원부를 구비하고, 다수의 전원기기를 다중 연결할 수 있는 다수의 전원 플러그 소켓을 병렬로 구비하여 상기 전원부의 주전원 출력단에 연결한 절전형 멀티탭에 있어서,It is equipped with a power supply unit that outputs the main power supply and operation power by receiving commercial power supply voltage and detects whether an overcurrent and surge current flows in the accident detection unit, and intercepts the main power supply. In the power saving type power strip provided in parallel and connected to the main power output terminal of the power supply unit, 상기 각각의 전원 플러그 소켓에 인가되는 전원을 각각의 스위칭 접점을 통해 개별적으로 단속하도록 구성된 다수의 계전기와;A plurality of relays configured to individually control the power applied to the respective power plug sockets through each switching contact; 멀티탭의 동작 시간대 및 비밀번호의 설정과 변경, 알람 구동 등의 각종 명령에 따른 동작 수행을 위한 동작 조건을 설정하고 그에 따른 키신호를 출력하는 기능 설정부와;A function setting unit for setting an operation condition for performing an operation according to various commands such as setting and changing an operation time zone and a password of a multi-tap, driving an alarm, and outputting a key signal according thereto; 실시간 클럭을 사용하여 현재의 시간, 날짜, 월, 년에 대한 시간 데이터를 유지시키면서 사용자 설정에 따른 각 전원 플러그 소켓의 동작시간대와 날짜 등의 계산에 필요한 기준 시간데이터를 생성하는 실시간 계산부와;A real time calculator configured to generate reference time data necessary for calculating an operation time zone and a date of each power plug socket according to a user setting while maintaining time data on a current time, date, month, and year using a real time clock; 멀티탭의 전반적인 동작을 검사하여 상기 기능 설정부로부터 입력되는 명령에 대한 동작 조건 및 상기 사고 검출부로부터 입력되는 사고 상황에 따라 각 종의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주제어부와;A main control unit which check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multi-tap and outputs various control signals according to an operation condition for a command input from the function setting unit and an accident situation input from the accident detection unit; 상기 주제어부에서 출력되는 제어신호로 상기 각 계전기의 동작을 제어하여 상기 다수의 전원 플러그 소켓에 공급되는 전원을 선택적으로 단속하는 멀티탭 제어부와;A multi-tap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relays with a control signal output from the main controller to selectively control the power supplied to the plurality of power plug sockets; 사용자 입력에 의한 비밀번호 및/또는 동작시간대 및/또는 알람 기능의 설정 또는 변경 등의 키입력 데이터 및 시간데이터 등을 저장하고 상기 주제어부에 기준 데이터를 제공하는 메모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전형 멀티탭.A power-saving multi-tap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memory unit for storing the key input data and time data, such as setting or changing the password and / or time zone and / or alarm function by the user input and provide the reference data to the main control unit . 제 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주제어부에서 출력되는 사용자 설정에 의한 키입력 데이터 및 시간 데이터 등을 시각화하여 표시하는 표시부와,A display unit for visualizing and displaying key input data and time data according to a user setting output from the main control unit; 상기 기능 설정부의 설정상태에 따른 동작내용이나 시간의 종료 및 사고의 감지 또는 방범 상태 등을 알람이나 음성으로 출력하는 음성 출력부 중의 어느 하나, 또는 모두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전형 멀티탭.A power-saving multi-tap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y one or all of the voice output unit for outputting an alarm or a voice, such as the end of the operation, the end of time according to the setting state of the function setting unit, the detection of an accident or the crime prevention state.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 설정부는,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function setting unit, 다수의 키스위치들을 구비하여 상기 계전기의 동작 시간의 설정과 변경, 또는 비밀번호의 설정과 변경, 또는 알람 기능의 설정과 해제 등의 각종 기능 수행을 위한 조건들 설정하고 그에 따른 스위칭 신호를 출력하는 스위치 입력부와, A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key switches to set and change the operation time of the relay, or to set and change the password, or to set the conditions for performing various functions such as setting and releasing the alarm function and to output a switching signal accordingly. Input unit, 원거리 유/무선 통신이 가능한 원격 송/수신수단을 통해 상기 스위치 입력부에 대응하는 사용자 설정 및 동작 수행을 위한 명령의 입력을 지원하는 원격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전형 멀티탭.And a remote control unit configured to support user input corresponding to the switch input unit and input of a command for performing an operation through a remote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capable of remote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 제어부는,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remote control unit, 전화선 통신, 전력선 통신, 이더넷 통신, 고주파(RF) 또는 적외선 통신, 근거리 무선통신수단 중의 어느 하나 또는 두개 이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전형 멀티탭.A power-saving power strip characterized by consisting of any one or two or more of telephone line communication, power line communication, Ethernet communication, radio frequency (RF) or infrared communication, and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eans.
KR1020040114578A 2004-12-29 2004-12-29 Multitap for saving power KR10070199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14578A KR100701990B1 (en) 2004-12-29 2004-12-29 Multitap for saving pow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14578A KR100701990B1 (en) 2004-12-29 2004-12-29 Multitap for saving pow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75703A true KR20060075703A (en) 2006-07-04
KR100701990B1 KR100701990B1 (en) 2007-03-30

Family

ID=371682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14578A KR100701990B1 (en) 2004-12-29 2004-12-29 Multitap for saving pow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01990B1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2627B1 (en) * 2007-08-03 2007-11-02 (주) 네오퓨쳐텍 Multi-tap with the function of safe guard
KR100915125B1 (en) * 2009-04-20 2009-09-03 백명순 Concentic plug and multi-tap having removal of din and power saving function
KR100920992B1 (en) * 2007-06-13 2009-10-09 강병학 Multi-tap/receptacle device for remote control
KR102237897B1 (en) * 2021-01-28 2021-04-08 (주)한승이엔씨 System for electricity safety accident prevention of apartment hous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2811Y1 (en) * 2008-05-28 2008-12-11 여운남 Receptacle with power-meter
KR100996821B1 (en) 2009-03-03 2010-11-25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Electronic appliance state monitoring systems that acting by ir controller
KR101053106B1 (en) 2009-06-12 2011-08-04 신정원 Power saving power strip
KR101077016B1 (en) * 2009-07-01 2011-10-26 최창권 Power saving multi-tab and control system thereof
KR101313038B1 (en) 2012-02-08 2013-10-01 박상윤 Plug receptacle for saving electric power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8740A (en) * 1995-07-25 1997-02-24 배순훈 Multi-outlet with on / off timer
KR20020027393A (en) * 2002-01-24 2002-04-13 안명훈 Radio controlling multi concent and method for radio controlling multi concent and radio controller therefor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0992B1 (en) * 2007-06-13 2009-10-09 강병학 Multi-tap/receptacle device for remote control
KR100772627B1 (en) * 2007-08-03 2007-11-02 (주) 네오퓨쳐텍 Multi-tap with the function of safe guard
KR100915125B1 (en) * 2009-04-20 2009-09-03 백명순 Concentic plug and multi-tap having removal of din and power saving function
KR102237897B1 (en) * 2021-01-28 2021-04-08 (주)한승이엔씨 System for electricity safety accident prevention of apartment hous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01990B1 (en) 2007-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28011Y1 (en) Multi outlet apparatus having cut off function of waiting power supply
KR100436114B1 (en) Power saving type outlet device that allows automatic control
AU2012100135A4 (en) Power sensor
KR100701990B1 (en) Multitap for saving power
KR20130125184A (en) Smart grid support intelligent power-saving receptacle
CN202004279U (en) Power socket device capable of remotely controlling on and off of power source and remote control type power socket of power socket device
KR101221727B1 (en) Power saving type device for breaking standby power of electric outret
WO2009145553A2 (en) Combined power meter and outlet device
KR20110003796U (en) Receptacle
KR100919866B1 (en) method and apparatus of saving power using distance information
KR20110111050A (en) Individual management system of standby power
KR20100051161A (en) System for power saving and power monitoring
CN204720712U (en) A kind of control circuit of Intelligent socket and Intelligent socket
KR20130042933A (en) Socket for breaking stand-by power, electric leakage and overload
KR101846740B1 (en) Outlet controller being controllable with mobile terminal
KR101123735B1 (en) Standby Power Circuit Breaker System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KR200486844Y1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computer power using IoT
KR100997714B1 (en) Tcp/ip power outlet and network system with the outlet
CN201936148U (en) Integrated circuit of intelligent energy-saving electrical appliance
JP2003263249A (en) Power supply management apparatus and system having power saving mode
KR101593667B1 (en) Electric Outlet for Breaking Standby Power Operated by Voice Recognition
CN116448260A (en) Temperature display system and low-power consumption using method
KR20140099354A (en) Multi-tap device with cutting off standby power for controlling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thereof
KR101200192B1 (en) Multi-tap including sleep mode and operation method for the multi-tap
KR20010038733A (en) Remote Controller of Power Switc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25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