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74336A - Method for receiving call setting in state of terminal - Google Patents

Method for receiving call setting in state of termina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74336A
KR20060074336A KR1020040113053A KR20040113053A KR20060074336A KR 20060074336 A KR20060074336 A KR 20060074336A KR 1020040113053 A KR1020040113053 A KR 1020040113053A KR 20040113053 A KR20040113053 A KR 20040113053A KR 20060074336 A KR20060074336 A KR 200600743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l
terminal
speaker
incoming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1305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720548B1 (en
Inventor
김현정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1130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20548B1/en
Priority to CN200510109060A priority patent/CN100581182C/en
Publication of KR200600743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7433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205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2054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4Automatic arrangements for answering calls; Automatic arrangements for recording messages for absent subscribers; Arrangements for recording conversations
    • H04M1/65Recording arrangements for recording a message from the calling party
    • H04M1/656Recording arrangements for recording a message from the calling party for recording convers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28Arrangements for placing incoming calls on hold
    • H04M3/4288Notifying a called subscriber of an incoming call during an ongoing call, e.g. Call Wai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무선단말기에서의 통화중 착신이 있을 시 사용자에게 통화 편이성을 높일 수 있는 단말기의 통화중 착신 설정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호 착신의 신호가 발생하면, 현재 단말기가 통화중인지를 판단하는 판단 단계와, 상기 판단 결과, 상기 단말기가 통화중인 것으로 판단되면 사용자에게 통화중 다른 호 착신이 있는 것을 통보하는 단계와, 사용자가 키입력부를 통해 착신기능을 선택하여 메모리에 기 저장된 다수개의 서브 메뉴를 갖는 데이터를 표시부에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표시부에 표시된 다수개의 서브 메뉴 중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와, 상기 선택된 서브 메뉴에 해당되는 메시지를 상기 호 착신 신호에 해당되는 제3자의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데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for setting the incoming call during the call to increase the convenience of the call to the user when there is an incoming call in the mobile wireless terminal, when the call is received, determines whether the terminal is currently busy Determining, and if the terminal determines that the call is in progress, notifying the user that there is another call in the call; and the user selects an incoming function through a key input unit and pre-stores a plurality of subs stored in the memory. Displaying data having a menu on a display unit, selecting one of a plurality of submenu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and transmitting a message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submenu to a third party terminal corresponding to the call reception signal; It consists of including the step.

이동무선단말기, 착신설정Mobile wireless terminal, incoming call setting

Description

단말기의 통화중 착신 설정방법{method for receiving call setting in state of terminal}Method for receiving call setting in state of terminal

도 1 은 종래의 이동무선단말기의 착신 알람에 대한 신호처리 블록 구성도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signal processing for an incoming alarm of a conventional mobile wireless terminal.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의 통화중 착신 설정방법을 나타낸 흐름도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setting up incoming calls during a cal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의 통화중 착신 설정방법에서 디스플레이 창에 표시되는 착신기능의 일 실시예Figure 3 is an embodiment of the incoming call function displayed on the display window in the incoming call setting method of th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 무선부 12 : TX/RX분리기10: wireless unit 12: TX / RX separator

14 : 수신부 16 : 송신부14: receiver 16: transmitter

18 : PLL부 100 : 제어부18: PLL unit 100: control unit

110 : 메모리부 120 : 표시부110: memory unit 120: display unit

130 : 키입력부 140 : 신호처리부130: key input unit 140: signal processing unit

150 : 음성신호 처리부 160 : 스피커150: voice signal processor 160: speaker

170 : 부저 180 : 진동자170: buzzer 180: vibrator

190 : 마이크 200 : 스크롤바190: microphone 200: scrollbar

본 발명은 단말기의 통화중 착신 설정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이동무선단말기에서 통화중에 제3자로부터의 호 착신이 있을 시 통화중인 사용자에게 안정적으로 착신을 알리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setting up incoming calls during a call,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for stably informing a user who is on a call when there is a call from a third party during a call in a mobile wireless terminal.

본 명세서에서는 단말기를 이동무선단말기로 한정하고 있으나, 통화중 착신이 이루어지는 단말기는 모두 적용 가능하다. 단지 본 명세서에서는 설명의 일관성을 위해 일 실시예로서 이동무선단말기로 한정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terminal is limited to a mobile wireless terminal, but any terminal in which a call is received may be appli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for the sake of consistency of descrip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limited to the mobile wireless terminal.

일반적으로 이동무선단말기는 호 착신이 있을 경우에 설정되어 있는 진동모드 또는 벨 모드에 따라 진동을 하거나 벨 또는 멜로디가 울리도록 하여 수신상태를 통보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진동모드로 설정되어 있을 시에는 이동무선 단말기의 본체 외부에 설치된 LED(Light Emitting Diode)를 점멸하여 사용자에게 착신상태를 통보하고 있다.In general, the mobile radio terminal is configured to notify the reception status by vibrating or ringing a bell or melody according to the vibration mode or the bell mode set when a call is received. When the vibration mode is set, the LED (Light Emitting Diode) installed outside the main body of the mobile wireless terminal blinks to notify the user of an incoming state.

도 1 은 종래의 이동무선단말기의 착신 알람에 대한 신호처리 블록 구성도로서, 도 1을 참조하여 종래의 착신 알람에 대한 신호처리 방법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FIG. 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signal processing block for an incoming alarm of a conventional mobile wireless terminal. Referring to FIG. 1, a signal processing method for a conventional incoming alarm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s follows.

제어부(100)의 전반적인 제어하에서, 우선 안테나(ANT)로 수신된 신호는 무선부(10)를 통하여 신호처리부(140)에 인가된다. Under the general control of the controller 100, the signal received by the antenna ANT is first applied to the signal processor 140 through the radio unit 10.

이때, 상기 무선부(10)는 TX/RX분리기(12), 수신부(14), 송신부(16) 및 PLL(Phase Locked Loop)부(18)로 구성되며, 상기 안테나(ANT)로 수신된 신호는 상기 TX/RX분리기(12)를 통해 수신부(14)로 인가된다.At this time, the radio unit 10 is composed of a TX / RX separator 12, a receiver 14, a transmitter 16 and a phase locked loop (PLL) unit 18, the signal received by the antenna (ANT) Is applied to the receiver 14 through the TX / RX separator 12.

이어 상기 수신부(14)에 인가된 신호는 PLL부(18)의 신호를 받아 기저대역으로 신호 변환되고 신호처리부(140)에 인가되는데, 이때, 음성신호는 음성신호처리부(150)를 거쳐 스피커(160)를 통해 출력되고, 멜로디 및 알람은 부저(170)를 통해서, 그리고 진동은 진동자(180)를 통해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출력된다.Subsequently, the signal applied to the receiving unit 14 receives the signal of the PLL unit 18 and converts the signal into the baseband and is applied to the signal processing unit 140. In this case, the voice signal passes through the voice signal processing unit 150 and the speaker ( 160, the melody and the alarm are output through the buzzer 170, and the vibration is output by the user through the vibrator 180.

이때, 일반적으로 TX/RX분리기(12)는 FDD(Frequency Division Duplex)방식의 단말기는 이중통신방식(duplex)으로 이루어지게 되며, TDD(Time Division Duplex)방식의 단말기에서는 스위치로 이루어지게 된다.In this case, in general, the TX / RX separator 12 is configured as a duplex (FDD) terminal, and a switch in a TDD (time division duplex) terminal.

한편 송신시에는 마이크(190)에 입력된 음성신호가 신호처리부(140)를 거쳐 송신부(16)에서 PLL부(18)의 신호를 받아 주파수 변환 및 변조된 후 TX/RX분리기(12)를 거쳐 안테나(ANT)를 통해 전송된다.On the other hand, during transmission, the voice signal input to the microphone 190 is received through the signal processing unit 140, the signal of the PLL unit 18 from the transmitter 16, frequency conversion and modulation and then through the TX / RX separator 12 It is transmitted through the antenna ANT.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음성신호를 스피커(160)를 통해 출력하고, 멜로디를 부저(170)를 통해 내는 경우에 있어서, 부저(170)의 특성이 화음이 있는 멜로디의 구현을 기대하는 사용자의 요구에 미치지 못한다. 따라서 부저(170) 대신에 멜로디의 화음을 구현하기 위해 멜로디 신호처리부(220)를 하나 더 사용하게 되는데, 이때 이동무선단말기의 부피를 줄이기 위해 하나의 스피커(200)를 사용하여 음성신호뿐만 아니라 멜로디 및 알람까지 출력하도록 구성하고 있다.As shown in FIG. 1, when a voice signal is output through the speaker 160 and a melody is output through the buzzer 170, a user who expects to implement a melody having a chord with a characteristic of the buzzer 170. Does not meet the needs of Therefore, one more melody signal processor 220 is used to implement the melody chord instead of the buzzer 170. In this case, a single speaker 200 is used to reduce the volume of the mobile wireless terminal. And alarm output.

그런데, 이러한 이동무선단말기는 하나의 스피커(200)만을 구비하여 통화중에 제3자로부터의 호 착신이 있을시 전화를 받는 사람은 계속 전화를 받을 때까지 통화대기 신호음을 받도록 하고 있는데, 이때 음성신호가 출력되는 동일한 스피커로 착신을 통지하도록 하므로 통화대기 신호음이 울리는 동안에는 상대가 말하는 통화내용이 들리지 않게 되어 통화중에 큰 방해요소가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By the way, the mobile wireless terminal is equipped with only one speaker 200 when the call is received from a third party during a call to receive the call waiting signal until the answering person continues to receive the call, at this time voice signal Since the incoming call is notified to the same speaker outputte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other party cannot hear the contents of the call while the call waiting signal sounds.

이를 해소하기 위해 현재의 이동무선단말기는 통화중인 사용자가 통화버튼을 눌러, 전화를 건 제3자와 현재 통화중인 상대를 각각 연결하도록 하고 있으나, 이는 중간에 전화가 끊어지는 경우가 자주 발생될 뿐만 아니라, 지금 아주 중요한 통화를 하고 있는 경우에는 통화중인 사용자에게는 통화중 호 착신이 통화에 매우 큰 방해요소로 작용하게 될 것이다.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current mobile wireless terminal allows a busy user to press a call button to connect a third party who is calling and the other party who is currently calling, but this is often caused by a disconnection. Rather, if you are on a very important call now, incoming calls will be a major impediment to the call.

아울러, 통화하는 상대의 경우는 통화중인 사용자가 착신으로 인해 잠시 통화를 중단함으로서 자칫 불쾌감을 가질 수 있게 되며, 이를 방지하기 위해 착신되는 전화를 무시하게 되면, 제3자는 통화가 잘 이루어지지 않게 되어 또한 불쾌감을 갖게 될 것이다. 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caller, the user who is on the phone may be uncomfortable by stopping the call for a while due to the incoming call, and if the incoming call is ignored to prevent this, the third party may not be able to make the call well. It will also be offensiv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동무선단말기에서의 통화중 착신이 있을 시 사용자에게 통화 편이성을 높일 수 있는 단말기의 통화중 착신 설정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for setting up incoming calls in a terminal that can increase the convenience of the call when there is an incoming call in a mobile wireless terminal.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통화중인 상대나 착신을 통해 통화를 시도하는 제3자에게 불쾌감을 최소화할 수 있는 단말기의 통화중 착신 설정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for setting up a call during a call, which can minimize discomfort to a third party who tries to make a call through the other party or the incoming call.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착신을 통해 통화를 시도하는 제3자에게 현재 통화중인 자신의 상태를 빠른 시간 내에 보다 손쉽고 정확하게 알릴 수 있는 단말기의 통화중 착신 설정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for setting up a call during a call, which can easily and accurately notify a third party who attempts to make a call through an incoming call quickly and accurately.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호 착신의 신호가 발생하면, 현재 단말기가 통화중인지를 판단하는 제 1 판단 단계와, 상기 제 1 판단 결과, 상기 단말기가 통화중이 아닌 대기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면 발생된 호 착신 신호로 통화 연결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판단 결과, 상기 단말기가 통화중인 것으로 판단되면 사용자에게 통화중 또 다른 호 착신이 있는 것을 통보하는 단계와, 사용자가 착신기능 및 현재통화 종료 중 하나를 선택하는 선택단계와, 상기 선택단계에서 현재통화 종료가 선택되면 현재 통화중인 연결을 차단하고 발생된 호 착신 신호로 통화 연결하는 단계와, 상기 선택단계에서 착신기능이 선택되면 메모리에 기 저장된 "착신기능"에 따른 다수개의 서브 메뉴를 갖는 데이터를 표시부에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표시부에 표시된 다수개의 서브 메뉴 중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와, 상기 선택된 서브 메뉴에 해당되는 메시지를 제3자의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단말기의 통화중 착신 방법을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irst determination step of determining whether a terminal is currently in a call when a signal of a call is received, and as a result of the first determination, it is determined that the terminal is not in a call. Connecting the call to the incoming call signal generated when the call is received; if the terminal determines that the call is in progress, notifying the user that there is another incoming call during the call; A selection step of selecting one of the terminations; disconnecting the current call when the end of the current call is selected in the selection step; connecting a call with the generated call reception signal; and when an incoming function is selected in the selection step, Displaying data having a plurality of sub-menus according to previously stored " incoming functions " on the display unit, and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A step of sub-selecting one of the menu,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forwarding a call made by a terminal sending a message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sub-menu in a third party device.

이때, 상기 통보하는 단계는 미리 설정되어 있는 진동모드 또는 벨 모드에 따라 진동을 하거나 벨 또는 멜로디를 울리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is case, the notifying may be performed to vibrate or ring a bell or melody according to a preset vibration mode or bell mode.

아울러 상기 통보하는 단계는 현재 사용자가 통화를 스피커, 이어폰 중 어느 것으로 통화를 하는지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판단 결과, 스피커로 통화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다른 호 착신의 알람신호를 스피커로 출력하지 않고 진동자 및 LED 알람 중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출력하는 단계와, 상기 판단 결과, 이어폰으로 통화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스피커만 또는 스피커와 함께 진동자 및 LED 알람 중 적 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notifying may include determining whether a user calls a call using a speaker or an earphone, 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call is a speaker, the vibrator does not output the alarm signal of the other call to the speaker. And outputting at least one of the LED alarms, and outputting at least one of the vibrator and the LED alarm with only the speaker or with the speaker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call is made with the earphone. desirable.

그리고 상기 착신기능은 원터치 설정키로 사용자가 단말기 키입력부 중 기 설정된 임의의 키 버튼을 누르게 되면 통화중 착신 설정 프로그램으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incoming call function is a one-touch setting key. When the user presses a predetermined key button among terminal key input units, it is preferable to connect to the incoming call setting program during a call.

또한 상기 다수개의 서브 메뉴는 "통화중", "회의중", "나중에 전화", "영화 관람중", "운전중"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plurality of sub-menus may include at least one of "in a call", "in a meeting", "call later", "watching a movie", and "in driving."

이하 상기의 목적으로 구체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can be specifically realized for the above purpose.

본 발명의 구성은 도 1에서 나타내고 있는 종래와 동일한 구성 요소로 이루어지며, 이외 해결하고자 하는 특징으로 인해 추가되는 구성 요소는 큰 어려움 없이 손쉽게 추가 가능한 것으로 구성에 따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ade of the same components as in the prior art shown in Figure 1, due to the feature to be solved other additional components can be easily added without great difficulty, detailed description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is omitted.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의 통화중 착신 설정방법을 나타낸 흐름도로서, 도 2를 참조하여 단말기의 통화중 착신 설정방법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FIG. 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setting up a call during a cal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먼저, 제어부(100)는 대기상태에서(S10) 호 착신 등의 신호가 발생하면(S20), 현재 단말기가 통화중인지를 판단한다(S30).First, when a signal such as a call reception occurs in the standby state (S10) (S20), the controller 100 determines whether the terminal is currently in a call (S30).

상기 판단 결과, 통화중이 아닌 대기상태인 경우는 안테나(ANT)로 수신된 신호를 무선부(10)를 통하여 신호처리부(140)로 인가한다. 그리고 음성신호는 음성신호처리부(150)를 거쳐 스피커(160)를 통해 출력되고, 멜로디 및 알람은 부저(170) 를 통해서, 그리고 진동은 진동자(180)를 통해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출력된다. 또한, 송신시에는 마이크(190)에 입력된 음성신호가 신호처리부(140)를 거쳐 송신부(16)에서 PLL부(18)의 신호를 받아 주파수 변환 및 변조된 후 TX/RX분리기(12)를 거쳐 안테나(ANT)를 통해 전송되게 된다. 이와 같은 단말기 내부동작을 통해 사용자는 상대와 전화통화를 수행하게 된다(S90).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n the standby state instead of the communication, the signal received by the antenna ANT is applied to the signal processing unit 140 through the wireless unit 10. The voice signal is output through the speaker 160 through the voice signal processor 150, the melody and the alarm are output through the buzzer 170, and the vibration is output by the user through the vibrator 180. In addition, during transmission, the voice signal input to the microphone 190 is received by the PLL unit 18 from the transmitter 16 via the signal processor 140, and then frequency-converted and modulated. It is transmitted through the antenna ANT. Through the internal operation of the terminal, the user performs a phone call with the other party (S90).

이와 같은 동작을 통해 상대와 통화하고 있는 중에 다시 호 착신 등의 신호가 발생하면, 제어부(100)는 현재 단말기가 통화중인지를 먼저 판단하게 된다(S30). If a signal such as a call reception is generated again while talking to the other party through such an operation, the controller 100 first determines whether the terminal is currently in a call (S30).

이 경우 앞전에 발생된 호 착신호로 인해 현재 단말기는 통화중인 것으로 판단하게 될 것이다. In this case, due to the call signal generated earlier, the current terminal will determine that the call is in progress.

이렇듯 제어부(100)에서 현재 단말기가 통화중인 것으로 판단되면, 사용자에게 미리 설정되어 있는 진동모드 또는 벨 모드에 따라 진동을 하거나 벨 또는 멜로디를 울리도록 하여 통화중인 현재 또 다른 호 착신이 있는 것을 통보한다(S40).As such, when the controller 100 determines that the terminal is currently in a call, the user may vibrate or ring a bell or melody according to a preset vibration mode or a bell mode to notify the user that there is another call. (S40).

이때, 스피커(160)는 통화중인 사용자의 귀에 밀착되어 있는 상태이므로, 통화중에 알람신호가 발생하면 스피커(160)를 통하여 출력되는 알람이 통화중인 사용자에게 불쾌감을 줄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제어부(100)는 통화중인 경우에 알람신호를 스피커(160)로 출력하지 않고 진동자(180)를 통하여 출력하도록 제어한다. At this time, since the speaker 16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ears of the user in a call, when an alarm signal is generated during a call, an alarm output through the speaker 160 may cause discomfort to the user in the call. Therefore, the controller 100 controls to output the alarm signal through the vibrator 180 instead of outputting the alarm signal to the speaker 160 when the call is in progress.

또한, 제어부(100)는 사용자가 스피커(160)를 통하지 않고 이어폰을 사용하여 통화를 하고 있는 경우에는 상기와 같이 진동자(180)를 통한 진동만으로는 사용자가 감지하지 못할 수가 있으므로, 이 경우에는 진동자(180) 뿐만 아니라 스피커 (160)로도 알람신호를 출력할 수 있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이때, 사용자의 기 설정에 의해 이어폰 사용시에도 진동알람을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며, 또한 LED 알람을 동시에 출력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ler 100 may not detect the user only by vibrating through the vibrator 180 as described above when the user is using the earphone instead of the speaker 160. In this case, the vibrator ( 180 may also be controlled to output the alarm signal to the speaker (160). At this time, it is possible to maintain the vibration alarm even when using the earphone by the user's preset, it is also possible to output the LED alarm at the same time.

이와 같은 방법으로 사용자는 현재 통화중인 상황에서 또 다른 착신이 발생된 것을 인지하게 될 것이다.In this way the user will be aware that another incoming call has occurred while in the current call.

그러면, 사용자는 현재 통화중인 상대 및 통화 상황에 따라 착신기능에 따른 네비게이션 키 및 현재통화 종료 중 하나를 선택하게 된다.Then, the user selects one of the navigation key and the end of the current call according to the incom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current call partner and the call situation.

즉, 사용자는 현재 통화중인 상대와 착신 신호를 통해 전화 한 제3자를 비교하여 보다 중요한 전화를 파악하거나, 현재 통화가 종료될 시점인지 또는 전화를 받을 수 없는 상황인지 등을 스스로 판단하여 네비게이션 키 및 현재통화 종료 중 하나를 선택하게 된다(S50).That is, the user compares the caller with a third party who has called through an incoming call to identify a more important call, or determines whether the current call is over or cannot answer the call. One of the end of the current call is selected (S50).

이때, 상기 네비게이션 키는 본 발명에서 새롭게 설정된 키로서 단말기 메뉴 설정 프로그램에 추가함으로써 손쉽게 설정 가능한 것으로 이에 따른 구성에 따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아울러 상기 네비게이션 키는 원터치 설정키로 사용자가 단말기 키입력부(130) 중 기 설정된 임의의 키 버튼을 누르게 되면 통화중 착신 설정 프로그램으로 연결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네비게이션 키는 단말기 키입력부에 추가로 구성할 수도 있지만, 키입력부 중 임의의 키, 즉 "*", "#" 키 등에 중복 설정도 가능하다.At this time, the navigation key is a key newly set i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set by adding to the terminal menu setting program, the detailed description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will be omitted. In addition, the navigation key is a one-touch setting key, when the user presses any key button set in the terminal key input unit 130, the call is connected to the incoming call setting program. The navigation key may be configured in addition to the terminal key input unit. However, the navigation key may be set to any key of the key input unit, that is, the "*" and "#" keys.

상기 사용자의 판단결과(S50), 현재 통화를 종료한 경우에는 제어부(100)의 제어하에 무선부(10), 신호처리부(140), 음성신호처리부(150) 및 스피커(160)를 통 해 통화중 발생된 착신 신호와 연결하여 제3자와 통화를 시도하게 된다(S90).In the user's determination result (S50), when the current call is terminated, the call is controlled through the wireless unit 10, the signal processor 140, the voice signal processor 150, and the speaker 160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00. In connection with the incoming signal generated during the attempt to call a third party (S90).

아울러, 상기 사용자의 판단결과(S50), 현재 통화의 종료가 어려워 상기 네비게이션 키를 선택한 경우에는 제어부(100)의 제어하에 메모리에 기 저장된 "착신기능"에 따른 다수개의 서브 메뉴를 갖는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기의 표시부(120)에 표시한다(S60).In addition, when the user selects the navigation key because it is difficult to terminate the current call (S50), the user has a plurality of sub-menus according to the "call function" previously stored in the memory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00. It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20 of the terminal (S60).

일 실시예로, 사용자가 단말기의 키입력부(130) 중 네비게이션 키 버튼을 누르면 도 3에서 나타내고 있는 것과 같이 "통화중", "회의중", "나중에 전화", "영화 관람중", "운전중" 등의 서브 메뉴가 표시부(120)에 표시되게 된다. In one embodiment, when the user presses the navigation key button of the key input unit 130 of the terminal, as shown in Figure 3, "calling", "conference", "call later", "watching the movie", "driving" Sub menu, etc. ar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20.

그러면 사용자는 상기 표시부(120)에 표시되는 "착신기능"의 서브 메뉴 중 하나를 스크롤바(200)의 이동 또는 앞단에 위치하는 해당 번호(210)를 키입력부(130)를 통한 직접 입력을 통해 선택한다(S70).Then, the user selects one of the sub-menus of the "call function"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20 through the direct input through the key input unit 130 by moving the scroll bar 200 or the corresponding number 210 located at the front end. (S70).

이때, 상기 표시부(120)에 표시되는 서브 메뉴는 사용자의 기 설정에 의해 다양한 서브 메뉴로 업데이트가 가능하며, 이에 따른 메시지 데이터는 메모리부(110)에 저장되게 된다. In this case, the sub-menu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20 may be updated to various sub-menus according to a user's preset setting, and the message data may be stored in the memory unit 110.

이렇게, 사용자의 선택을 통해 선택된 서브 메뉴는 제어부(100)의 제어하에 메모리부(110)에 기 저장된 메시지 데이터 중 해당 메시지 데이터를 송신부(16)를 통해 TX/RX분리기(12)를 거쳐 안테나(ANT)를 통해 제3자의 단말기로 전송되게 된다(S80).In this way, the sub-menu selected by the user's selection is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100 and transmits the corresponding message data among the message data previously stored in the memory unit 110 through the TX / RX separator 12 through the transmitter 16 to the antenna ( ANT) through the third party's terminal (S80).

그러면, 상기 제3자의 단말기의 표시부에 상기 전송된 해당 메시지가 표시되게 된다.Then, the transmitted corresponding message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of the third party terminal.

본 발명을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첨부된 청구범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한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 자에 의해 변형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can be modifi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s can be seen from the appended claims, and such modifications are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의 통화중 착신 설정방법의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Referring to the effect of the incoming call setting method of th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re as follows.

첫째, 통화중 착신이 발생되어도 사용자는 현재 통화에 방해를 최소화 하면서도 제3자에게 현재 자신의 상태를 빠른 시간 내에 보다 손쉽고 정확하게 알릴 수 있어 사용자에게 통화 편이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First, even if an incoming call occurs during the call, the user can easily and accurately inform the current state of the current party to a third party, while minimizing the interruption to the current call, thereby increasing the user's convenience of the call.

둘째, 상기 제3자는 상대의 현재 상황을 인지하고 자신의 추후 행동을 계획할 수 있게 되어, 통화가 이루어지지 않음에 따른 불쾌감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Second, the third party can be aware of the current situation of the other party and can plan their future actions, thereby minimizing the discomfort associated with the call is not made.

Claims (7)

호 착신의 신호가 발생하면, 현재 단말기가 통화중인지를 판단하는 판단 단계와,A determination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 terminal is currently in a call when a call reception signal is generated; 상기 판단 결과, 상기 단말기가 통화중인 것으로 판단되면 사용자에게 통화중 다른 호 착신이 있는 것을 통보하는 단계와,If it is determined that the terminal is busy, notifying the user that there is another call incoming during the call; 사용자가 키입력부를 통해 착신기능을 선택하여 메모리에 기 저장된 다수개의 서브 메뉴를 갖는 데이터를 표시부에 표시하는 단계와,Selecting a call forwarding function through a key input unit and displaying data having a plurality of sub-menus previously stored in a memory on a display unit; 상기 표시부에 표시된 다수개의 서브 메뉴 중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와,Selecting one of a plurality of submenu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상기 선택된 서브 메뉴에 해당되는 메시지를 상기 호 착신 신호에 해당되는 제3자의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통화중 착신 설정방법.And transmitting a message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submenu to a terminal of a third party corresponding to the call forwarding signal.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통보하는 단계는 미리 설정되어 있는 진동모드 또는 벨 모드에 따라 진동을 하거나 벨 또는 멜로디를 울리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통화중 착식 설정방법.The notifying step may be configured to vibrate or ring a bell or melody according to a preset vibration mode or a bell mod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보하는 단계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notifying step is 현재 사용자가 통화를 스피커, 이어폰 중 어느 것으로 통화를 하는지 판단하 는 단계와,Determining whether the current user calls the speaker using a speaker or earphone; 상기 판단 결과, 스피커로 통화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다른 호 착신의 알람신호를 스피커로 출력하지 않고 진동자 및 LED 알람 중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출력하는 단계와,If it is determined that the call is made to the speaker, outputting at least one of a vibrator and an LED alarm without outputting the alarm signal of the other call to the speaker; 상기 판단 결과, 이어폰으로 통화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스피커만 또는 스피커와 함께 진동자 및 LED 알람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통화중 착신 설정방법.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call is made through the earphone, outputting at least one or more of the vibrator and the LED alarm together with the speaker or the speaker.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착신기능은 원터치 설정키로 사용자가 단말기 키입력부 중 기 설정된 임의의 키 버튼을 누르게 되면 통화중 착신 설정 프로그램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통화중 착신 설정방법.The incoming call function is a one-touch setting key, when the user presses any key button previously set in the terminal key input unit, the incoming call setting method of th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connected to the incoming call setting program.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다수개의 서브 메뉴는 "통화중", "회의중", "나중에 전화", "영화 관람중", "운전중"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통화중 착신 설정방법.The plurality of sub-menus include at least one of "in a call", "in a meeting", "call later", "watching a movie", and "in operation."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다수개의 서브 메뉴 중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는 스크롤바의 이동 또는 앞단에 위치하는 해당 번호를 키입력부를 통한 직접 입력으로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통화중 착신 설정방법.The step of selecting one of the plurality of sub-menus, the incoming call setting method of th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for selecting the corresponding number located at the front or the movement of the scroll bar by direct input through the key input unit.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서브 메뉴는 사용자의 기 설정에 의해 다양한 서브 메뉴로 업데이트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통화중 착신 설정방법.The method of setting a call during a call of the terminal, wherein the sub menu is updated to various sub menus according to a user's preset setting.
KR1020040113053A 2004-12-27 2004-12-27 method for receiving call setting in state of terminal KR100720548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13053A KR100720548B1 (en) 2004-12-27 2004-12-27 method for receiving call setting in state of terminal
CN200510109060A CN100581182C (en) 2004-12-27 2005-10-17 Setting method of receiving call in terminal communic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13053A KR100720548B1 (en) 2004-12-27 2004-12-27 method for receiving call setting in state of termina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74336A true KR20060074336A (en) 2006-07-03
KR100720548B1 KR100720548B1 (en) 2007-05-22

Family

ID=368189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13053A KR100720548B1 (en) 2004-12-27 2004-12-27 method for receiving call setting in state of terminal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720548B1 (en)
CN (1) CN100581182C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083011B (en) * 2009-11-26 2014-05-07 Tcl集团股份有限公司 Intercommunication system and call processing method thereof for multiple calling terminals
US9002327B2 (en) 2009-12-10 2015-04-07 Alcatel Lucent 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user equipment with voice messages
CN104539803B (en) * 2014-12-31 2018-01-23 联想(北京)有限公司 A kind of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electronic equipment
US9961012B2 (en) * 2015-12-21 2018-05-01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Per-stage assignment of pipelines agents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54128A (en) 2001-05-30 2002-12-0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Mobile phone system and mobile phone proxy notice system
JP2004015263A (en) 2002-06-05 2004-01-15 Toshiba Corp Mobile communication device
KR20040045573A (en) * 2002-11-25 2004-06-02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of notifying telephone conversation status on mobile phone
KR100820142B1 (en) * 2002-11-27 2008-04-07 엘지전자 주식회사 Service method in the busy of mobile phone
KR100553599B1 (en) * 2003-09-16 2006-02-20 김시인 The method for offering announcement during absence or engaged on another cellular phone cal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798166A (en) 2006-07-05
KR100720548B1 (en) 2007-05-22
CN100581182C (en) 2010-0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62026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and handling accidental dialing on a mobile communications device
US6547620B1 (en) Communication apparatus, memory medium and method
JPH10178497A (en) Communication system having exclusive inter-communication mode and consisting of base station and at least one mobile station and method starting exclusive inter-communication mode
KR100575926B1 (en) Method for notifying call receiving in wireless terminal
KR100720548B1 (en) method for receiving call setting in state of terminal
KR100450138B1 (en) Method for informing the caller that the callee is busy
US7519377B2 (en) Calling system from accessory to portable device
KR20060000326A (en) Method for controlling received mode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remotely
KR100389822B1 (en) Method for alerting signal incoming in mobile wireless terminal on busy state
JP3751107B2 (en) Mobile phone
JP3529283B2 (en) Line selection device
KR100594176B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control function through user touch detection and its control method
JP2001196997A (en) Portable phone
US7609828B2 (en) Telephone terminal, call system and terminal control program
KR100450139B1 (en) Ear-mike having the receiving and sending buttons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the same
JPH01196947A (en) Cordless telephone set
KR100703386B1 (en) Device and method for performing function of wireless terminal in external device
JPH04192850A (en) Radio telephone equipment
JP3619787B2 (en) Master unit of parent-child phone device
JP2000278388A (en) Portable communication apparatus having speech recognizing function
JP2000196713A (en) Method for notifying incoming call for telephone set
JP3855878B2 (en) Telephone terminal, telephone system and terminal control program
KR20060022892A (en) Method and apparatus of controlling conversation in mobile-phone
JPH0319554A (en) Key telephone system
JPH11266291A (en) Communication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4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