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73577A - Mobile phone - Google Patents

Mobile pho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73577A
KR20060073577A KR1020060052764A KR20060052764A KR20060073577A KR 20060073577 A KR20060073577 A KR 20060073577A KR 1020060052764 A KR1020060052764 A KR 1020060052764A KR 20060052764 A KR20060052764 A KR 20060052764A KR 20060073577 A KR20060073577 A KR 200600735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era
terminal
screen unit
cameras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5276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941537B1 (en
Inventor
조유석
김동은
김은미
윤중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527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41537B1/en
Publication of KR200600735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7357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15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153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4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camera module assemb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04M1/0216Foldable in one direction, i.e. using a one degree of freedom hinge
    • H04M1/0218The hinge comprising input and/or output user interface mea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8Displays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전면에 배치되는 제1 카메라와; 상기 하우징의 배면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카메라와 상이한 촬영 방향을 가지는 제2 카메라와; 상기 하우징에 장착되어, 사용자가 상기 제1 및 제2 카메라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여 화상 촬영을 할 수 있게 작동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입력 유닛과; 상기 제1 카메라의 촬영 방향과 동일한 방향을 향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장착되어, 상기 제1 및 제2 카메라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촬영된 화상을 표시하는 화면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화상 통화와 피사체 촬영을 용이하게 구분하여 실시할 수 있게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mprising: a housing; A first camera dispos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housing; A second camera disposed on a rear surface of the housing and having a shooting direction different from that of the first camera; At least one input unit mounted to the housing and operable to allow a user to select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cameras to take an image; And a screen unit mounted on the housing so as to face the same direction as the photographing direction of the first camera and displaying an image photographed by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cameras, thereby performing video call and subject photographing. It can be easily distinguished and implemented.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MOBILE PHONE}Mobile terminal {MOBILE PHONE}

도1은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onvention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도2는 도1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메라를 도시한 사시도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amera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FIG.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4는 도3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개방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open stat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FIG.

도5는 도3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폐쇄 상태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5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losed stat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FIG. 3 viewed from the front;

도6은 도3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폐쇄 상태를 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6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losed stat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FIG.

도7은 도3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개방 상태를 측면에서 바라본 측면도7 is a side view as viewed from the side of the open stat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FIG.

도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9는 본 발명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1 화면부를 이용하는 방법을 도시한 개략도9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method of using a first screen unit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 Descrip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 **

100: 이동통신 단말기 110: 단말기 본체100: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0: terminal body

115: 경사 돌출부 116: 제2 화면부115: inclined protrusion 116: second screen portion

117: 촬영 버튼 118: 제 2 카메라117: shooting button 118: second camera

118a: 밀폐 커버 119: 제 2 플래쉬118a: airtight cover 119: second flash

120: 단말기 폴더 122: 제1 화면부120: terminal folder 122: first screen portion

124: 제 1 카메라 125: 제 2 플래쉬124: first camera 125: second flash

126: 화면 노출부 126a: 투명 보호창 126: screen exposed portion 126a: transparent protective window

226: 화면 노출부 ang1: 폴더 개방각 226: screen exposure portion ang1: folder opening angle

ang2: 돌출부 경사각 ang3: 시야각ang2: angle of inclination of the projection ang3: angle of view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화상 통화 모드와 일반 피사체 촬영 모드에서의 화상 촬영이 독립적으로 이루어져서 각각에 맞는 화상을 제공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pable of providing an image corresponding to each other by taking images in a video call mode and a general subject photographing mode independently.

일반적으로 이동통신 단말기는 무선의 음성 통신용으로 사용되기 시작했으나, 점차 그 기능 영역이 다양화됨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는 음성 통신 기능과 함께 인터넷, 멀티미디어 등의 영상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을 뿐 아니라, 원하는 피사체를 영상 파일로 저장할 수 있도록 촬영이 가능한 다양한 형태의 카메라가 장착된 카메라폰의 보급이 증가되고 있다.In gener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have started to be used for wireless voice communication. However, as the functional areas are gradually diversifie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are not only able to receive video services such as Internet and multimedia, but also provide voice communication functions. Increasingly, camera phones equipped with various types of cameras capable of shooting subjects to be stored as image files are increasing.

최근의 카메라를 장착한 이동통신 단말기는 촬영의 편리성을 도모하기 위하여 카메라를 일정한 각만큼 회전할 수 있는 회전형 카메라를 장착하여 출시되고 있으며, 회전형 카메라를 이용한 화상 통신을 지원하고 있다. 이하에서 그 카메라의 구성을 설명하기로 한다. Recently,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quipped with a camera has been released with a rotating camera capable of rotating the camera by a predetermined angle for the convenience of shooting, and supports video communication using the rotating camera. The configuration of the camera will be described below.

도1은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2는 도1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메라를 도시한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onvention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amera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FIG.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는 본체부(20)와, 그 상측의 힌지 기구(40)에 의하여 개폐 가능하도록 형성된 폴더부(30)로 구성된다. As shown in the figure, the convention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composed of a main body portion 20 and a folder portion 30 formed to be opened and closed by the hinge mechanism 40 above.

상기 본체부(20)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신 제어 등을 위하여 형성된 회로부를 감싸도록 형성된 본체부 케이스(23)와, 본체부 케이스(23)의 후면에 착탈 가능하도록 충방전되는 배터리(22)와, 본체부 케이스(23)의 전면 상단부에 장착된 카메라(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The main body 20 may include a main body case 23 formed to surround a circuit unit formed for communication control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 battery 22 charged and discharged to be detachably attach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main body case 23, and , The camera 10 mounted on the front upper end of the main body case 23 is configured.

여기서, 상기 카메라(10)는 피사체의 다양한 위치에 따라 그 상을 촬영할 수 있도록 회동 가능하도록 구성된 회전형 카메라로서, 피사체의 상을 촬영하는 카메라(11a)와, 상기 카메라와 회로부 사이를 연결하여 신호를 전송할 수 있도록 형성된 에프피시비(FPCB)(12)와, 상기 카메라를 내부에 장착시켜 회전시키는 회전 원통(13)과, 회전 원통(13)의 회전을 지지하고 본체부(10)에 고정되는 부싱(14)과, 회전 원통(13)에 카메라(11a)를 삽입하는 구멍(미도시)을 밀폐시키는 캡(15)을 구비한다. Here, the camera 10 is a rotatable camera configured to be rotatable so that the image can be taken according to various positions of the subject, and the camera 11a for taking the image of the subject is connected to a signal between the camera and the circuit unit. FPCB (12) formed to transmit the light, a rotating cylinder (13) for mounting and rotating the camera therein, and a bushing for supporting the rotation of the rotating cylinder (13) and fixed to the main body portion (10). 14 and the cap 15 which seals the hole (not shown) which inserts the camera 11a in the rotating cylinder 13 is provided.

그리고, 사용자가 보다 편리하게 카메라(10)를 도면부호 16으로 표시된 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회전 기구(13)의 외주면에는 가로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손잡이용 홈(13a)들이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In addition, the handle grooves 13a form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re formed at regular intervals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otation mechanism 13 so that the user can more conveniently rotate the camera 10 in the direction indicated by reference numeral 16.

상기 폴더부(20)는 다양한 정보를 디스플레이 하는 주(主)액정 화면(미도시) 을 감싸도록 형성된 폴더부 케이스(32)와, 폴더부 케이스(32)의 전면 중앙부에 기본적인 단말기 정보를 제공하는 제1 화면부(31)과, 폴더부 케이스(32)의 내부에 장착된 스피커로부터의 음파를 전달하도록 폴더부 케이스(32)의 전면 하단부에 형성된 음파 전달공(33)을 구비한다. The folder part 20 is a folder part case 32 formed to surround a main liquid crystal screen (not shown) for displaying various information, and provides basic terminal information to the front center of the folder part case 32. The first screen part 31 and the sound wave transmission hole 33 formed in the lower end part of the front part of the folder part case 32 so that the sound wave from the speaker mounted in the inside of the folder part case 32 may be provided.

상기와 같이 구성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메라로 촬영을 하기 위해서는, 사용자는 폴더부(30)를 회전시켜 제2 화면부(미도시)에 표시되는 화상을 기초로 카메라 (11a)가 향하는 방향으로 회전 원통(13)을 회전시킴으로서 조절하고, 피사체가 제2 화면부에 원하는 구도로 표시되면 촬영 버튼을 누름으로서 정화상과 동화상을 촬영하게 된다. 또한, 화상 통화를 하는 경우에는 카메라(11a)를 사용자를 향하도록 하고 통화를 하면 된다. 다만, 수화부에 귀를 대고 통화하기 어려우므로 이어-마이크폰을 사용하거나, 수화부의 음량을 키워 스피커폰으로 사용한다. In order to take a picture with the camera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e user rotates the folder part 30 to rotate the cylinder in the direction toward the camera 11a based on the image displayed on the second screen part (not shown). (13) is adjusted by rotating, and when the subject is displayed in the desired composition on the second screen portion, the image is captured by pressing the photographing button. In the case of a video call, the camera 11a is directed toward the user. However, since it is difficult to talk to the receiver, use the ear-microphone, or increase the volume of the receiver and use it as a speakerphone.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된 이동통신 단말기는 화상 통화를 위해서는 별도의 조작을 거쳐야 하며, 사용자의 모습을 상대방에게 전송하기 위해서는 카메라의 회전 원통(13)을 돌려 카메라(11a)가 사용자를 향하도록 조작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However,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must undergo a separate operation for a video call, and in order to transmit the user's appearance to the other party, the camera 11a must be manipulated so that the camera 11a faces the user. There is a hassle to do.

또한, 피사체의 촬영 용도로는 고화소수를 갖는 카메라가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화상 통화 용도로는 화상 데이터 크기를 가급적 작게 하여 전송하는 것이 화면의 끊김을 방지하고 양질의 화상을 상대방이 볼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o use a camera having a high pixel number for photographing a subject. However, in a video call, transmitting as small an image data size as possible to prevent interruption of the screen and to allow the other party to see a good image. do.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는 피사체의 촬영과 화상 통화를 모두 이용한다는 측면에서, 고화소수의 카메라가 장착된 경우에는 화상 데이터 전송 측면에서 불리하고, 저화소수의 카메라가 장착된 경우에는 피사체 촬영 용도로서 양질의 촬영이 어렵게 되는 문제점을 갖고 있었다. However, the convention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s described above is disadvantageous in terms of image data transmission when a high-pixel camera is mounted in terms of both photographing a subject and a video call, and when a low-pixel camera is mounted. There is a problem in that high quality photography is difficult to use as a subject photographing purpos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화상 통화 모드와 일반 피사체 촬영 시에 있어서 화상 촬영이 각각 독립적으로 이루어져서 각각에 맞는 화상을 용이하게 제공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provide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at can easily provide an image suitable for each image is taken independently during video call mode and general subject shooting. I would like to.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전면에 배치되는 제1 카메라와; 상기 하우징의 배면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카메라와 상이한 촬영 방향을 가지는 제2 카메라와; 상기 하우징에 장착되어, 사용자가 상기 제1 및 제2 카메라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여 화상 촬영을 할 수 있게 작동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 키와; 상기 제1 카메라의 촬영 방향과 동일한 방향을 향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장착되어, 상기 제1 및 제2 카메라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촬영된 화상을 표시하는 화면부를 포함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housing; A first camera dispos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housing; A second camera disposed on a rear surface of the housing and having a shooting direction different from that of the first camera; At least one switch key mounted to the housing and operable to allow a user to select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cameras to take an image; And a screen unit mounted on the housing so as to face the same direction as the photographing direction of the first camera, and displaying an image photographed by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cameras.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제1 바디와; 상기 제1 바디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제1 바디를 개폐시키는 제2 바디와; 상기 제1 바디에 장착되고, 제1 촬영 방향을 가지는 제1 카메라와; 상기 제2 바디에 장착되고, 제2 촬영 방향을 가지는 제2 카메라와; 상기 제1 및 제2 카메라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화상 촬영을 위해 상기 제1 및 제2 카메라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동작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 키와; 상기 제1 촬영 방향 또는 제2 촬영 방향과 동일한 출력 방향을 가지는 화면부와; 상기 제2 바디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열림 위치와 닫힘 위치 간에 이동되는 밀폐 커버와; 상기 제1 및 제2 카메라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촬영된 화상을 전송하고 다른 단말기에 의해 촬영된 화상을 수신하는 트랜스시버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body; A second body movably mounted to the first body to open and close the first body; A first camera mounted to the first body and having a first photographing direction; A second camera mounted to the second body and having a second photographing direction; At least one switch key electrically connected to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cameras to operate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cameras for imaging; A screen unit having the same output direction as the first photographing direction or the second photographing direction; A hermetic cover movably mounted to the second body and moved between an open position and a closed position; And a transceiver configured to transmit an image photographed by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cameras and to receive an image photographed by another terminal.

나아가,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단말기 본체와; 상기 단말기 본체의 전면에 장착되는 화면부와; 상기 단말기 본체의 배면에 장착되고, 상기 화면부의 출력 방향과 일치하는 제1 촬영 방향을 가지는 제1 카메라와; 상기 제1 카메라와 독립적으로 설치되고, 상기 제1 촬영 방향과 상이한 제2 촬영 방향을 가지는 제2 카메라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카메라는 사용자가 상기 제2 카메라에 비하여 고화질의 화상을 촬영할 수 있도록 상기 제2 카메라보다 고화소수를 가지도록 구성된다.Furthermore,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erminal body; A screen unit mounted on the front of the terminal body; A first camera mounted on a rear surface of the terminal main body and having a first photographing direction coinciding with an output direction of the screen unit; A second camera installed independently of the first camera and having a second shooting direction different from the first shooting direction, wherein the first camera allows a user to capture a higher quality image than the second camera; It is configured to have a higher pixel number than the second camera.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4는 도3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개방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5는 도3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폐쇄 상태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6은 도3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폐쇄 상태를 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7은 도3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개방 상태를 측면에서 바라본 측면도이다.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open stat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FIG. 3, and FIG. 5 is a closed view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FIG. 6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losed stat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FIG. 3 viewed from the back, and FIG. 7 is a side view of the open stat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FIG.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통신 등을 제어하는 회로부가 장착된 제2 바디 또는 단말기 본체(110)와, 단말기 본체(110)와 접철되어 회동 가능하도록 고정되고 각종 정보를 화상으로 디스플레이 하는 제1 바디 또는 단말기 폴더(1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들 단말기 본체(110)와 단말기 폴더(120)는 바형(bar-type) 이동통신 단말기와 같이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고, 이들은 하우징이라 통칭될 수도 있다.As shown in the figur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body or the terminal main body 110 equipped with a circuit unit for controlling communication and the like, can be folded and rotated with the terminal main body 110 And a first body or terminal folder 120 which is fixed so as to display various information as an image. The terminal body 110 and the terminal folder 120 may be integrally formed like a bar-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ich may be collectively referred to as a housing.

상기 단말기 본체(110)는, 통신 등을 제어하는 회로부를 감싸도록 형성된 본체 케이스(111)와, 본체 케이스(111)의 전면에 정보를 입력하도록 형성된 키패드(112)와, 사용자의 음성을 상대방에게 전송하도록 형성된 송화부(113)와, 본체 케이스(131)의 배면에 로크(114a) 기구에 의하여 착탈 가능하고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114)를 포함한다. The terminal body 110 includes a main body case 111 formed to surround a circuit unit for controlling communication, a keypad 112 formed to input information on the front of the main body case 111, and a user's voice to the other party. The transmitter 113 formed to transmit, and a battery 114 detachable by the lock 114a mechanism on the back of the main body case 131 and supplying power.

나아가, 단말기 본체(110)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상태나 기본 정보를 표시하는 제2 화면부(116)와, 사용자가 제2 화면부(116)를 가능한 직각에 가까운 편안한 시야각으로 바라보도록 제2 화면부(116)를 장착하기 위하여 형성된 경사 돌출부(115)와, 본체 케이스(111)의 배면에 외부 피사체를 촬영하는 촬영 방향을 가지고서 형성된 제 2 카메라(118)와, 제 2 카메라(118)를 사용하여 어두운 장소에서도 촬영할 수 있도록 본체 케이스(111)의 배면에 형성된 제 2 플래쉬(119)와, 제 2 카메라(118)를 사용하지 않는 동안에 외부의 이물질로부터 제 2 카메라(118)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제 2 카메라(118)를 개폐 가능하도록 형성된 슬라이딩 방식의 밀폐 커버(118a)를 구비한다. Furthermore, the terminal body 110 includes a second screen unit 116 displaying the state or basic inform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second screen such that the user views the second screen unit 116 with a comfortable viewing angle as close to a right angle as possible. A second camera 118 and a second camera 118 formed using the inclined protrusion 115 formed to mount the unit 116 and the shooting direction for photographing an external subject on the rear surface of the main body case 111 are used. To prevent the second camera 118 from being contaminated from foreign matter while the second flash 119 and the second camera 118 are not used while the second camera 118 is not used so that the user can take pictures in a dark place. In order to open and close the second camera 118, a sliding cover 118a is formed.

상기 단말기 폴더(120)는, 각종 정보를 화상으로 표시하고 촬영 시에는 피사체의 상을 표시하도록 단말기 폴더(120)의 배면에 형성된 화면부 또는 제1 화면부(122)와, 제1 화면부(122)를 감싸도록 형성된 폴더 케이스(121)와, 화상 통화시 사용자의 모습을 촬영하도록 제2 카메라(118)과는 반대되는 촬영 방향을 가지도록 형성된 제 1 카메라(124)와, 제 1 카메라(124)를 사용하여 어두운 장소에서도 촬영할 수 있도록 단말기 폴더(120)의 배면 하단에 형성된 제 1 플래쉬(125)와, 경사 돌출부(115)의 양측면에 단말기 폴더(120)를 회동 가능하게 고정하도록 양측에 돌출 형성된 회동 고정부(127)와, 단말기 폴더(120)가 단말기 본체(110)를 덮은 폐쇄 상태에서도 사용자가 볼 수 있도록 제2 화면부(116)를 외부에 노출시키도록 회동 고정부(127) 사이에 단말기 폴더(120)의 길이 방향으로 요입 형성된 화면 노출부(126)와, 단말기 폴더(120)를 단말기 본체(110)에 덮은 폐쇄 상태에서 제2 화면부(116)를 보호하도록 화면 노출부(126)의 외측에 설치된 투명 보호창(126a)과, 경사 돌출부(115)의 양측의 힌지공(116a)에 삽입되어 단말기 폴더(120)가 단말기 본체(110)에 대하여 접철되어 회동될 수 있도록 회동 고정부(127)의 양내측에 중공 형상으로 돌출 형성된 힌지 돌기(12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나아가, 트랜스시버(transceiver)를 더 포함하여 제1 카메라(124)를 통해 촬영된 사용자의 화상을 다른 사용자의 단말기에 전송하거나 다른 사용자의 화상을 수신할 수 있다.The terminal folder 120 may include a screen unit or a first screen unit 122 formed on a rear surface of the terminal folder 120 so as to display various information as an image and display an image of a subject during photographing, and a first screen unit ( 122, a folder case 121 formed to surround the first camera, a first camera 124 formed to have a shooting direction opposite to the second camera 118 so as to capture a user's appearance during a video call, and a first camera ( The first flash 125 formed at the bottom of the rear surface of the terminal folder 120 and the terminal folder 120 on both sides of the inclined protrusion 115 so as to be photographed in a dark place using the 124 can be rotated on both sides. Rotating fixing part 127 protrudingly formed, and rotating fixing part 127 to expose the second screen part 116 to the outside for the user to see even in a closed state in which the terminal folder 120 covers the terminal body 110.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erminal folder 120 between A transparent protective window provided on the outside of the screen exposing portion 126 to protect the second screen portion 116 in a closed state in which the screen exposing portion 126 and the terminal folder 120 are covered with the terminal body 110. 126a and the hinge holes 116a on both sides of the inclined protrusion 115 so that the terminal folder 120 can be folded and rotated with respect to the terminal body 110 so as to be rotated on both inner sides of the rotation fixing part 127.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hinge protrusion 127 protruding in a hollow shape. Furthermore, a transceiver may be further included to transmit an image of a user photographed through the first camera 124 to a terminal of another user or to receive an image of another user.

여기서, 상기 경사 돌출부(115)는 제2 화면부(116)를 사용자가 편안한 시야각을 확보하면서 볼 수 있도록 형성된 것으로, 사용자의 시야로부터 제2 화면부(116)에 이르는 시야각(ang3)이 수직에 가깝도록 경사 돌출부(115)의 경사각( ang2)을 형성함으로서 사용자로 하여금 제2 화면부(116)에 표시되는 화상 정보를 보다 분명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하여, 경사 돌출부(115)의 경사각(ang2)은 단말기 폴더(120)가 완전히 열린 완전 개방 상태의 개방각(ang1)과 동일하도록 형성되어, 단말기 폴더(120)를 완전 개방하였을 때에 제2 화면부(116)의 경사면과 단말기 폴더(120)의 배면은 평행한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단말기 폴더(120)의 완전 개방 상태에서의 개방각(ang1)은 40°내지 55°이므로, 경사 돌출부(115)의 경사각(ang2)도 40°내지 55°로 형성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Here, the inclined protrusion 115 is formed so that the user can see the second screen unit 116 while ensuring a comfortable viewing angle, and the viewing angle ang3 from the user's field of view to the second screen unit 116 is vertical. By forming the inclination angle ang2 of the inclined protrusion 115 so as to be closer, the user can recognize the image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second screen unit 116 more clearly. To this end, the inclination angle ang2 of the inclined protrusion 115 is formed to be equal to the opening angle ang1 of the fully open state of the terminal folder 120, so that the second screen when the terminal folder 120 is completely opened. The inclined surface of the portion 116 and the rear surface of the terminal folder 120 are preferably parallel. In general, since the opening angle ang1 in the fully open state of the terminal folder 120 is 40 ° to 55 °, it is effective that the inclination angle ang2 of the inclined protrusion 115 is also formed to be 40 ° to 55 °.

그리고, 상기 회동 고정부(127)의 힌지 돌기(128)는 경사 돌출부(115)의 양측면의 힌지공(116a)에 삽입되는 데, 단말기 폴더(120)를 단말기 본체(110)에 대하여 여닫는 동안에 투명 보호창(126a)이 경사 돌출부(115)와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회동축인 힌지 돌기(126)의 중심으로부터 제2 화면부(116)의 상단까지의 직선 거리(l2)는 힌지 돌기(126)의 중심으로부터 투명 보호창(126a)까지의 직선 거리(l1)보다 더 짧도록 형성된다. In addition, the hinge protrusion 128 of the pivot fixing part 127 is inserted into the hinge holes 116a on both sides of the inclined protrusion 115, and is transparent while the terminal folder 120 is opened and closed with respect to the terminal body 110. In order for the protection window 126a to not interfere with the inclined protrusion 115, the straight line distance l 2 from the center of the hinge protrusion 126 that is the rotational axis to the upper end of the second screen portion 116 is the hinge protrusion 126. It is formed to be shorter than the straight line distance l 1 from the center of the transparent protection window 126a.

그리고, 상기 제2 화면부(116)는 출력 및 입력이 가능한, 예를 들어 터치 패드 방식의 액정 화면으로 형성되어 통화 대기 상태나 일반 통화 상태에서는 배터리 용량, 현재 시각, 진동 표시, 알람 표시 등 이동통신 단말기의 기본 정보를 표시하는 용도로 사용되며, 화상 통화 상태에서는 펜이나 손으로 제2 화면부(116)상에 문자나 그림을 그려 통화 중에도 상대방에게 전송할 수도 있고, 화상 통화 상태에서 화상 통화 모드를 변경하기 위하여 제2 화면부(116)에 표시되는 통화 모드 변경 팝 업(pop-up) 메뉴를 펜이나 손으로 터치하여 선택함으로서 통화 모드 변경도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제2 화면부(116)의 터치 패드 기능은 화상 통화 상태에서만 사용될 수 있도록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필요에 따라 메모를 하고 메모를 저장하도록 하는 수첩 기능도 아울러 갖게 된다. In addition, the second screen unit 116 may be output and input, for example, formed as a touch pad type liquid crystal display, so that the battery capacity, current time, vibration display, alarm display, etc. may be moved in a call waiting state or a normal call state. It is used for displaying basic information of a communication terminal. In a video call state, a character or a picture may be drawn on the second screen unit 116 with a pen or a hand and transmitted to the other party during a call, or in a video call mode In order to change the call mode, the call mode change pop-up menu displayed on the second screen unit 116 is selected by touching with a pen or a hand to change the call mode. Meanwhile, the touch pad function of the second screen unit 116 is not limited to be used only in a video call state, and also has a notebook function for taking a memo and storing the memo as necessary according to a user's setting.

또한, 상기 제2 화면부(116)는 제 2 카메라(118)를 이용한 외부 피사체의 촬영시 단말기 폴더(120)가 단말기 본체(110)를 덮은 폐쇄 상태에서 피사체의 상을 표시하는 역할을 할 수도 있다. 즉, 단말기 폴더(120)가 단말기 본체(110)에 대하여 열린 개방 상태에서는, 제 2 카메라(118)에 의한 피사체의 구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제1 화면부(122)에 피사체의 상이 표시되고, 폐쇄 상태에서는 화면 노출부(126)를 통하여 외부로 노출된 제2 화면부(116)에 제 2 카메라(118)에 의한 피사체의 상이 표시되도록 함으로서, 단말기 폴더(120)를 열지 않고서도 피사체의 상을 사용자의 의도대로 조절하면서 촬영할 수 있도록 한다. In addition, the second screen unit 116 may serve to display an image of a subject in a closed state in which the terminal folder 120 covers the terminal body 110 when the external subject is photographed using the second camera 118. have. That is, in the open state of the terminal folder 120 with respect to the terminal body 110, the image of the subject is displayed on the first screen unit 122 so that the composition of the subject by the second camera 118 can be adjusted and closed. In this state, the image of the subject by the second camera 118 is displayed on the second screen unit 116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screen exposing unit 126, so that the image of the subject can be displayed without opening the terminal folder 120. FIG. You can shoot while adjusting the user's intention.

그리고, 단말기 본체(110)로부터 단말기 폴더(120)로 신호를 전송하는 신호선 역할을 하는 에프피시비(미도시)는 경사 돌출부(115)의 힌지공(116a)과 힌지 돌기(128)의 중공부를 관통하여 단말기 본체(110)내의 회로부와 단말기 폴더(120)내의 제1 화면부(122)와 연결된다. In addition, the FPC (not shown) serving as a signal line for transmitting a signal from the terminal body 110 to the terminal folder 120 passes through the hinge hole 116a of the inclined protrusion 115 and the hollow portion of the hinge protrusion 128. Thus, the circuit unit in the terminal body 110 is connected to the first screen unit 122 in the terminal folder 120.

또한, 상기 제1 화면부(122)는 작은 보조 영역(122b)과 커다란 주영역(122a)의 2개의 화면을 동시에 띄울 수 있도록 형성되어, 화상 통화시 상대방의 모습은 주영역(122a)을 통하여 표시되도록 하고 사용자의 모습은 보조 영역(122b)을 통하여 표시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In addition, the first screen 122 is formed to simultaneously display two screens of the small auxiliary area 122b and the large main area 122a. And the appearance of the user is configured to be displayed through the auxiliary area 122b.

그리고, 상기 제 1 카메라(124)는 화상 통화용으로 주로 사용되므로 30만 화소급의 저화소수의 전하결합소자(CCD)가 장착되고, 제 2 카메라(118)는 피사체의 동영상이나 정화상 촬영에 주로 사용되므로 100만 화소급 이상의 고화소수의 전하결합소자가 장착된다. In addition, since the first camera 124 is mainly used for a video call, a 300,000-pixel low-pixel charge-coupled device (CCD) is mounted, and the second camera 118 is used for capturing a moving image or a clear image of a subject. Since it is mainly used, a high pixel number of charge coupled device of 1 million pixels or more is mounted.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작동 원리에 대하여 상술한다. Hereinafter, the operating principle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화상 통화가 용이한 이동통신 단말기로서, 상대방으로부터 화상 통화를 착신하는 경우에는 단말기 폴더(120)를 열고 통화 버튼(112a)을 누르면 자동으로 화상 통화 모드가 시작되며, 제 1 카메라(124)를 통해 촬영된 사용자의 모습을 트랜스시버를 통해 상대방에게 전송하게 된다. 이때, 제1 화면부(122)에 상대방의 모습을 볼 수 있으며, 아울러 사용자는 자신의 모습이 상대방에게 어떻게 전달되는지 확인할 수 있도록 제1 화면부(122)를 2개의 영역으로 나누어 주영역(122a)에는 상대방의 모습이 표시되도록 한 상태에서 보조 영역(122b)에 사용자 자신의 전송되는 모습이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at is easy to make a video call. When a video call is received from the other party,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automatically opens the terminal folder 120 and presses the call button 112a. The video call mode is started, and the image of the user captured by the first camera 124 is transmitted to the other party through the transceiver. In this case, the first screen unit 122 may be viewed on the other side, and the user may divide the first screen unit 122 into two areas so that the user may check how his or her appearance is transmitted to the other side. ) Can be displayed in the auxiliary area 122b in a state in which the appearance of the other party is displayed.

화상 통화 중에 보다 다양한 데이터의 전송이 가능하도록 터치 패드로 구성된 제2 화면부(116)를 이용하여 손이나 펜으로 직접 문자를 적어서 상대방에게 전송할 수도 있으며, 화상으로 상대방을 보면서 제2 화면부(116)를 이용한 채팅도 가능하다. 도9는 화상 통화를 하는 일례를 보여주는 것으로, 상대방과 지도와 같은 그림 데이터를 제1 화면부(122)의 주영역(122a)에 공유하고, 상대방의 모습을 보조 영역(122b)에 표시되도록 하면서 문자를 상호 전송할 수도 있다. 즉, 제1 화면 부(122)의 주영역(122a)과 보조 영역(122b)은 상대방의 모습이나 사용자 자신의 모습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화상 모드 설정에 의하여 제1 화면부(122)의 주영역(122a)과 보조 영역(122b), 제2 화면부(116)의 3종류의 창을 사용자의 의도대로 변경하면서 사용할 수 있다. In order to transmit more various data during a video call, the second screen unit 116 configured as a touch pad may be used to directly write a text using a hand or a pen to send it to the other party. You can also chat using). FIG. 9 shows an example of making a video call, sharing picture data such as a map with a counterpart in the main area 122a of the first screen unit 122, and displaying the counterpart's appearance in the auxiliary area 122b. You can also send text to each other. That is, the main area 122a and the auxiliary area 122b of the first screen unit 122 are not limited to the other's appearance or the user's own appearance, and the main screen 122 is configured by the image mode setting. The three types of windows of the region 122a, the auxiliary region 122b, and the second screen unit 116 can be used while changing according to the intention of the use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100)를 사용하여 피사체의 촬영을 하는 경우에는, 단말기 본체(110)의 배면에 형성된 제 2 카메라(118)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밀폐 커버(118a)를 슬라이딩 이동시키고 촬영 버튼(117)을 누름으로써 촬영하게 된다. 이때, 사용자는 단말기 폴더(120)를 열어 개방 상태로 촬영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피사체의 상이 제1 화면부(122)에 표시되고, 단말기 폴더(120)를 닫아 폐쇄 상태로 촬영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피사체의 상이 외부로 노출된 제2 화면부(116)에 표시되도록 한다. 즉, 단말기 폴더(120)를 닫아 폐쇄 상태로 촬영하는 경우에는 단말기 본체(110) 배면의 제 2 카메라(118)가 피사체를 향하고, 동시에 사용자는 피사체를 육안으로 바라보면서 단말기 본체(110) 전면의 제2 화면부(116)를 통하여 피사체의 상의 구도를 조절할 수 있는 형태가 되어 피사체의 구도를 조절하는데 용이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단말기 폴더(120)를 열지 않은 폐쇄 상태에서는 디지털 카메라와 유사한 형상과 방법으로 피사체의 촬영이 가능하므로, 사용자로 하여금 이동통신 단말기의 부수적인 기능으로 촬영을 하는 것이 아니라, 하나의 독립적인 디지털 카메라와 같은 인식과 세련미를 심어주며, 피사체의 촬영시 제1 화면부(122)를 외부로 노출시켜야 하는 등의 불편함을 해소해주는 장점을 갖는다. 종래의 디지털 카메라와 유사한 방식으 로 촬영이 가능해짐으로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메라 기능에 익숙하지 못한 사람도 간편하게 촬영할 수 있게 된다.When photographing a subject us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aling cover 118a so that the second camera 118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terminal body 110 is exposed to the outside. By sliding and pressing the photographing button 117 to shoot. In this case, when the user opens the terminal folder 120 to shoot in the open state, the image of the subject is displayed on the first screen 122, and when the user closes the terminal folder 120 to shoot in the closed state, The image is displayed on the second screen unit 116 exposed to the outside. That is, when the terminal folder 120 is closed and photographed in a closed state, the second camera 118 on the back of the terminal main body 110 faces the subject, and at the same time, the user looks at the subject visually and the front of the terminal main body 110. The composition of the image of the subject can be adjusted through the second screen unit 116, thereby facilitating the composition of the subject. Accordingly, sinc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photograph a subject in a shape and a method similar to a digital camera in the closed state without opening the terminal folder 120, the mobile terminal 100 can be used as an additional func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stead of taking a picture, it instills the same recognition and refinement as an independent digital camera, and has the advantage of eliminating inconvenience such as exposing the first screen 122 to the outside when photographing a subject. Since it is possible to shoot in a manner similar to a conventional digital camera, even a person who is not familiar with the camera func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n easily shoot.

한편, 저화소수를 갖는 제 1 카메라를 이용하여 피사체를 촬영하고자 하는 경우, 예컨대 사용자 자신을 포함하여 촬영을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단말기 본체(110)의 측면에 형성된 모듈 선택 스위치(117a)로 제 1 카메라를 지정하고, 단말기 폴더(120)를 열어 제 1 카메라(118)가 향하여 제1 화면부(122)에 표시되는 피사체의 상의 구도를 조절하고, 촬영 버튼(117)을 누름으로서 제 1 카메라를 이용하여 피사체의 상을 촬영할 수도 있다. 이러한 모듈 선택 스위치(117a)와 촬영 버튼(117)은 하나로 통합될 수 있고, 이는 스위치키라 통칭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photographing a subject using a first camera having a low pixel number, for example, when photographing including the user himself, the first module selection switch 117a formed on the side of the terminal main body 110 is used. Specify the camera, open the terminal folder 120 to adjust the composition of the image of the subject displayed on the first screen unit 122 toward the first camera 118, and press the shooting button 117 to control the first camera. You can also take a picture of the subject. The module selection switch 117a and the shooting button 117 may be integrated into one, which may be collectively referred to as a switch key.

또한, 어두운 장소에서 제 1 카메라(124)나 제 2 카메라(118)를 이용하여 피사체의 촬영을 하거나 상대방에게 사용자의 모습을 전송하기 위하여 제 1 플래쉬(125)나 제 2 플래쉬(119)를 사용할 수도 있다. 그리고, 수화부(123)에 귀를 대고 동시에 액정 화면(122,116)을 바라보면서 통화하기 어려우므로 이어-마이크폰을 사용하거나, 수화부(123)의 음량을 키워 스피커폰으로 사용한다. In addition, the first flash 124 or the second flash 119 may be used to photograph the subject using the first camera 124 or the second camera 118 in a dark place or to transmit the user's view to the other party. It may be. In addition, since it is difficult to make a call while looking at the receiver 123 and at the same time looking at the LCD screens 122 and 116, an ear-microphone is used, or the volume of the receiver 123 is raised and used as a speakerphon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100)를 이용하여 일반 통화를 하고자 할 경우에는 종래의 통화 방식과 대체로 유사하지만, 단말기 폴더(120)를 열어 개방 상태로 통화를 하는 도중에 제2 화면부(116)를 이용하여 통화 음량이나 터치 패드를 이용한 간단한 메모를 하여 저장할 수 있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When a general call is to be made us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lthough the call is generally similar to the conventional call method, the second screen is opened while the terminal folder 120 is opened and the call is opened. There is a difference in that the unit 116 can store and store a simple memo using a call volume or a touch pad.

도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200)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로서,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기능과 구성과 동일 및 동일 상당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부여하고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and equivalent parts as those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fun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200)는 제2 화면부(216)이 단말기 본체(210)의 전면에 뉘어지도록 형성되고, 제2 화면부(216)를 단말기 폴더(220)를 닫은 폐쇄 상태에서도 외부에서 볼 수 있도록 단말기 폴더(220)에는 화면 노출부(226)가 관통 형성된다. 따라서, 제2 화면부(216)의 크기가 상대적으로 큰 경우나 제2 화면부(216)가 단말기 본체(210) 전면의 중간이나 하단에 형성된 경우에도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경우와 동일한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이 때에도, 단말기 폴더(220)의 화면 노출부(226) 외측에는 투명 보호창(226a)이 형성되어 이동통신 단말기(200)를 휴대하는 도중 외부의 충격에 의하여 제2 화면부(216)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such that the second screen unit 216 is lying on the front surface of the terminal body 210, and the second screen unit 216 is connected to the terminal folder 220. The screen exposed portion 226 is formed through the terminal folder 220 so that the terminal folder 220 can be viewed from the outside even in a closed state. Therefore, even when the size of the second screen unit 216 is relatively large or when the second screen unit 216 is formed in the middle or the bottom of the front surface of the terminal body 210, the same as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You can implement the effect. In this case, a transparent protective window 226a is formed outside the screen exposing part 226 of the terminal folder 220 so that the second screen part 216 is damaged by an external shock while carry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0. To prevent it.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제2 화면부(216)는 단말기 본체(210)의 전면과 동일 평면상에 형성되었으나, 사용자의 시야각을 확보하도록 제2 화면부(216)는 경사지게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의 화면 노출부(226)는 제2 화면부(216)의 돌출부와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충분한 크기로 형성된다.Meanwhile, a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screen unit 216 is formed on the same plane as the front surface of the terminal body 210, but the second screen unit 216 is formed to be inclined to secure the viewing angle of the user. May be In this case, the screen exposing portion 226 is formed to have a sufficient size so as not to cause interference with the protrusion of the second screen portion 216.

도면중 미설명 부호인 211a는 단말기 폴더(220)를 단말기 본체(210)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하기 위하여 본체 케이스(211) 상단에 돌출 형성된 돌출부이고, 211b는 단말기 폴더(220)의 회동 고정부(227)의 양측에 형성된 힌지 돌기(240)가 삽입되도록 형성된 관통공이다. In the drawing, reference numeral 211a denotes a protrusion protruding from the top of the main body case 211 to couple the terminal folder 220 to the terminal body 210 so as to be rotatable, and 211b represents a rotation fixing part of the terminal folder 220. 227 is a through hole formed to insert the hinge protrusions 240 formed on both sides of the.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 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히 변경 가능한 것이다. Although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by way of exampl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se specific embodiments, and may be appropriately changed within the scope described in the claims.

예를 들어, 제2 카메라(118)는 본체 케이스(111)의 배면에 장착되는 것으로 설명되었으나 전면에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며, 제 1 카메라(124) 역시 그 지향 방향을 반대로 하는 것은 제2 카메라(118)와 상대적인 역할 분담 관계에서 변경 가능하다. 나아가, 제1 및 제2 카메라(124 및 118)를 단말기 본체(110)과 단말기 폴더(120) 중 어느 하나의 각 반대되는 면에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For example, although the second camera 118 has been described as being mount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main body case 111, it may be installed on the front surface, and the first camera 124 may also reverse the direction of orientation of the second camera ( And 118 in a role-sharing relationship. Furthermore, it is also possible to install the first and second cameras 124 and 118 on opposite surfaces of any one of the terminal body 110 and the terminal folder 120.

또한, 이상에서는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슬라이드형, 스위블형 등 그 형태에 무관하게 적용될 수 있다.In addition, although the above description has been given using a folding 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s an example,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pplied regardless of a shape such as a slide type or a swivel type.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촬영 방향이 서로 상이한 제1 카메라와 제2 카메라를 구비함에 따라 그 중 하나를 사용자의 촬영에 이용하고 다른 하나는 피사체의 촬영에 이용할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first and second cameras having different shooting directions are provided, one of them can be used for photographing a user and the other can be used for photographing a subject.

나아가, 화상 통화에 주로 사용되는 제 1 카메라에 장착된 전하 결합 소자(CCD)를 피사체 촬영에 주로 사용되는 제 2 카메라에 장착된 전하 결합 소자에 비하여 저화소수를 갖도록 구성함으로써, 사용자의 모습에 관한 데이타 크기를 작게 하여 화상 통화시 상대방에게 전송하도록 하여 상대방으로 하여금 데이터 크기에 따른 사용자 자신의 모습이 끊기는 등의 문제점을 해소하고, 아울러 이동통신 단말기에 사용되는 액정 화면의 크기가 상대적으로 작기 때문에 비교적 적은 화소수의 화상이더라도 선명한 모습을 표시할 수 있음을 감안하면 오히려 저화소수의 화상 정보를 상대방에게 송신함으로서 보다 양질의 화상 정보를 전송할 수 있게 한다. Furthermore, the charge coupled device (CCD) mounted on the first camera mainly used for video call is configured to have a lower pixel number compared to the charge coupled device mounted on the second camera mainly used for photographing a subject, thereby improving the appearance of the user. It is possible to solve the problem of the user being disconnected according to the data size by transmitting the data to the other party during the video call by reducing the size of the related data, and also because the size of the LCD screen us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relatively small. In view of the fact that even a relatively small number of pixels can display a clear image, it is possible to transmit higher quality image information by transmitting low pixel number image information to the counterpart.

또한, 다양한 각도의 피사체를 보다 편리하게 촬영할 수 있도록 단말기 폴더를 열어 개방시키지 않더라도 제1 화면부를 통해 피사체 상의 구도를 동시에 확인하면서 조절할 수 있고, 사용자가 피사체를 바라보는 방향으로 카메라를 향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피사체의 구도를 보다 편리하게 포착할 수 있으며, 피사체의 구도를 조절하는 데에도 보다 용이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디지털 카메라와 유사한 형상과 방법으로 피사체의 촬영이 가능하므로 사용자로 하여금 이동통신 단말기의 부수적인 기능으로 촬영을 하는 것이 아니라, 하나의 독립적인 디지털 카메라와 같은 인식과 세련미를 심어주며, 종래의 디지털 카메라와 유사한 방식으로 촬영이 가능해짐으로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메라 기능에 익숙하지 못한 사람도 간편하게 촬영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even if the terminal folder is not opened and opened so that various angles of subjects can be taken more conveniently, the first screen can simultaneously check and adjust the composition on the subject, thereby allowing the user to point the camera toward the subject. The composition of the subject can be captured more conveniently, and it is easier to adjust the composition of the subject.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photographing a subject in a shape and method similar to a digital camera, so that the user does not shoot as an additional func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ut instills the same recognition and refinement as an independent digital camera. In addition, since the recording can be performed in a manner similar to that of a conventional digital camera, a person who is not familiar with the camera func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n easily photograph.

Claims (25)

하우징과;A housing; 상기 하우징의 전면에 배치되는 제1 카메라와;A first camera dispos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housing; 상기 하우징의 배면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카메라와 상이한 촬영 방향을 가지는 제2 카메라와; A second camera disposed on a rear surface of the housing and having a shooting direction different from that of the first camera; 상기 하우징에 장착되어, 사용자가 상기 제1 및 제2 카메라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여 화상 촬영을 할 수 있게 작동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 키와;At least one switch key mounted to the housing and operable to allow a user to select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cameras to take an image; 상기 제1 카메라의 촬영 방향과 동일한 방향을 향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장착되어, 상기 제1 및 제2 카메라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촬영된 화상을 표시하는 화면부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And a screen unit mounted on the housing so as to face the same direction as the photographing direction of the first camera and displaying an image photographed by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cameras.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하우징은,The housing, 제1 바디와;A first body; 상기 제1 바디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제1 바디를 개폐시키는 제2 바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통화용 이동통신 단말기.And a second body movably mounted to the first body to open and close the first body. 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하우징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제2 카메라를 개폐시키는 밀폐 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통화용 이동통신 단말기.And a sealed cover movably mounted in the housing to open and close the second camera. 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제1 카메라 및 화면부는 상기 제1 바디에 장착되고,The first camera and the screen unit is mounted to the first body, 상기 제2 카메라는 상기 제2 바디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통화용 이동통신 단말기.And the second camera is mounted to the second body. 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단말기가 닫힘 상태에 있는 경우에, 상기 제2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화상을 출력하는 제2 화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통화용 이동통신 단말기.And a second screen unit for outputting an image photographed by the second camera when the terminal is in the closed state. 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제1 카메라는 상기 제1 바디에서 상기 화면부가 장착된 면과 동일한 면 또는 그와 반대되는 면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통화용 이동통신 단말기. The first camera i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a video call, characterized in that mounted on the same surface or the surface opposite to the surface on which the screen portion is mounted in the first body.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1 및 제2 카메라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촬영된 화상을 전송하거나 화상 통화 모드를 구현하는 다른 단말기에 의해 촬영된 화상을 수신하는 트랜스시 버(transceiver)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통화용 이동통신 단말기.And further comprising a transceiver for transmitting an image captured by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cameras or receiving an image captured by another terminal implementing a video call mod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제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상기 밀폐 커버가 상기 제2 카메라를 노출시키도록 이동한 경우에,When the sealing cover is moved to expose the second camera, 상기 제2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화상은 상기 제2 화면부에 의해 출력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통화용 이동통신 단말기.And the image photographed by the second camera is output by the second screen unit.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1 카메라는 상기 제2 카메라에 비하여 저화소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통화용 이동통신 단말기.The first camera has a lower pixel number than the second camera. 제1 바디와;A first body; 상기 제1 바디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제1 바디를 개폐시키는 제2 바디와;A second body movably mounted to the first body to open and close the first body; 상기 제1 바디에 장착되고, 제1 촬영 방향을 가지는 제1 카메라와;A first camera mounted to the first body and having a first photographing direction; 상기 제2 바디에 장착되고, 제2 촬영 방향을 가지는 제2 카메라와;A second camera mounted to the second body and having a second photographing direction; 상기 제1 및 제2 카메라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화상 촬영을 위해 상기 제1 및 제2 카메라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동작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 키와;At least one switch key electrically connected to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cameras to operate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cameras for imaging; 상기 제1 촬영 방향 또는 제2 촬영 방향과 동일한 출력 방향을 가지는 화면 부와;A screen unit having the same output direction as the first photographing direction or the second photographing direction; 상기 제2 바디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열림 위치와 닫힘 위치 간에 이동되는 밀폐 커버와;A hermetic cover movably mounted to the second body and moved between an open position and a closed position; 상기 제1 및 제2 카메라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촬영된 화상을 전송하고 다른 단말기에 의해 촬영된 화상을 수신하는 트랜스시버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And a transceiver configured to transmit an image photographed by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cameras and to receive an image photographed by another terminal. 제10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0, 상기 제1 촬영 방향은 상기 제2 촬영 방향과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통화용 이동통신 단말기. The first photographing direction is different from the second photographing direction. 제10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0,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키는 화상 촬영을 위하여 사용자가 상기 제1 및 제2 카메라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통화용 이동통신 단말기. The at least one switch key is configured to allow a user to select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cameras for video shooting. 제1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1, 상기 화면부는 상기 제1 및 제2 카메라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촬영된 화상을 출력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통화용 이동통신 단말기. And the screen unit is configured to output an image photographed by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cameras. 제1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2, 상기 제1 카메라와 상기 화면부는 상기 제1 바디에 장착되고,The first camera and the screen unit is mounted to the first body, 상기 제2 카메라는 상기 제2 바디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통화용 이동통신 단말기. And the second camera is mounted to the second body. 제1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4, 상기 단말기가 닫힘 상태에 있는 경우에 상기 제2 카메라에 의해 촬영되는 화상을 출력시키는 제2 화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통화용 이동통신 단말기.And a second screen unit for outputting an image captured by the second camera when the terminal is in the closed state. 제15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5, 상기 제1 카메라는 상기 화면부과 동일한 면 또는 반대면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1 바디에 장착되고,The first camera is mounted to the first body to be located on the same surface or the opposite surface as the screen portion, 상기 제2 카메라는 상기 제2 화면부과 동일한 면 또는 반대면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2 바디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통화용 이동통신 단말기.And the second camera is mounted on the second body so as to be positioned on the same or opposite surface as the second screen unit. 제15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5, 상기 제2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화상은 상기 밀폐 커버가 열림 위치에 놓인 경우에 상기 제2 화면부에 출력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통화용 이동통신 단말기.And the image photographed by the second camera is configured to be output to the second screen unit when the sealing cover is placed in the open position. 단말기 본체와;A terminal body; 상기 단말기 본체의 전면에 장착되는 화면부와;A screen unit mounted on the front of the terminal body; 상기 단말기 본체의 배면에 장착되고, 상기 화면부의 출력 방향과 일치하는 제1 촬영 방향을 가지는 제1 카메라와;A first camera mounted on a rear surface of the terminal main body and having a first photographing direction coinciding with an output direction of the screen unit; 상기 제1 카메라와 독립적으로 설치되고, 상기 제1 촬영 방향과 상이한 제2 촬영 방향을 가지는 제2 카메라를 포함하고,A second camera installed independently of the first camera and having a second shooting direction different from the first shooting direction; 상기 제1 카메라는 사용자가 상기 제2 카메라에 비하여 고화질의 화상을 촬영할 수 있도록 상기 제2 카메라보다 고화소수를 가지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And the first camera is configured to have a higher pixel number than the second camera so that a user can take a higher quality image than the second camera. 제18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8, 상기 제1 촬영 방향은 상기 화면부의 출력 방향과 반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The first photographing direction is opposite to the output direction of the screen unit. 제18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8, 상기 제2 촬영 방향은 사용자를 지향하고,The second photographing direction is directed at the user; 상기 제1 촬영 방향은 사용자를 지향하는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And the first photographing direction is a direction opposite to a direction toward the user. 제18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8, 상기 제1 카메라는 상기 단말기 본체에 고정되게 장착되고,The first camera is fixedly mounted to the terminal body, 상기 제2 카메라는 상기 단말기 본체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And the second camera is movably mounted to the terminal body. 제18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8, 상기 단말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단말기 본체를 개폐하는 단말기 폴더를 더 포함하고,It is further rotatably coupled to the terminal body, further comprising a terminal folder for opening and closing the terminal body, 상기 제2 카메라는 상기 단말기 폴더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And the second camera is mounted in the terminal folder. 제18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8, 상기 단말기 본체의 배면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제1 카메라를 개폐하는 밀폐 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And a hermetic cover mount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terminal body to open and close the first camera. 제2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2, 상기 단말기 폴더가 닫힘 상태에 있는 경우에 상기 단말기 폴더는 상기 제2 카메라를 보호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And the terminal folder is configured to protect the second camera when the terminal folder is in the closed state. 제2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2, 상기 단말기 본체 또는 단말기 폴더에 장착되어, 상기 단말기 폴더가 열림 상태에 있는 경우에 시각 정보를 출력하는 제2 화면부를 더 포함하고,A second screen unit mounted on the terminal body or a terminal folder and outputting time information when the terminal folder is in an open state; 상기 제1 촬영 방향은 상기 제2 화면부의 출력 방향과 반대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The first photographing direction is configured to be opposite to the output direction of the second screen unit.
KR1020060052764A 2006-06-12 2006-06-12 Mobile phone KR10094153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2764A KR100941537B1 (en) 2006-06-12 2006-06-12 Mobile pho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2764A KR100941537B1 (en) 2006-06-12 2006-06-12 Mobile phone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97901A Division KR100677303B1 (en) 2003-12-26 2003-12-26 Mobile phon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73577A true KR20060073577A (en) 2006-06-28
KR100941537B1 KR100941537B1 (en) 2010-02-10

Family

ID=371665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52764A KR100941537B1 (en) 2006-06-12 2006-06-12 Mobile phon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41537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685306B (en) * 2011-03-15 2014-06-04 联想(北京)有限公司 Method and mobile terminal for switching image collecting units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67550B1 (en) * 2001-01-15 2003-01-10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Folder type portable telephone with two displays
KR100460089B1 (en) * 2001-12-31 2004-12-04 엘지전자 주식회사 A mobile phone
KR20030083318A (en) * 2002-04-20 2003-10-30 엘지전자 주식회사 Image termin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41537B1 (en) 2010-0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77303B1 (en) Mobile phone
JP4053444B2 (en) Portable multifunctional electronic equipment
JP3910112B2 (en) Camera phone
JP3882687B2 (en)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KR100703402B1 (en) Mobile phone having camera lens module with multi-direction
KR100606003B1 (en) Portable wireless terminal
KR100560885B1 (en) Slide 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rotating type camera
JP3751197B2 (en) Mobile phone
JP4199576B2 (en) Foldable mobile terminal
JP2004274777A (en) Portable multifunctional electronic apparatus
KR100941537B1 (en) Mobile phone
JP2003087376A (en) Mobile phone
US20040214619A1 (en) Multifunctional portable electronic device
AU2007201325B2 (en) Mobile communication device with enhanced image communication capability
JPH08140072A (en) Terminal equipment for information communication
KR100497466B1 (en) Mobile phone having dual camera
KR200346601Y1 (en) Slide 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rotating type camera
KR20060073291A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quipped with rotary microphone set
JP2011072019A (en) Mobile phone
JP2005217751A (en) Camera attached foldable mobile information apparatus
JP2004173299A (en) Mobile telephone set
KR20050028623A (en) A mobile phone externals apparatus having externals of digital camera type
KR20050010577A (en)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KR20050093546A (en) Rotatable camera apparatus with optical zoom function in mobile phone
JP2004166298A (en) Mobile telepho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3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