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41537B1 - Mobile phone - Google Patents
Mobile phon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941537B1 KR100941537B1 KR1020060052764A KR20060052764A KR100941537B1 KR 100941537 B1 KR100941537 B1 KR 100941537B1 KR 1020060052764 A KR1020060052764 A KR 1020060052764A KR 20060052764 A KR20060052764 A KR 20060052764A KR 100941537 B1 KR100941537 B1 KR 10094153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amera
- delete delete
- terminal
- screen unit
- mobile communicatio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4—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camera module assembly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04M1/0216—Foldable in one direction, i.e. using a one degree of freedom hinge
- H04M1/0218—The hinge comprising input and/or output user interface mea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8—Displ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Studio Device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전면에 배치되는 제1 카메라와, 상기 하우징의 배면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카메라와 상이한 촬영 방향을 가지는 제2 카메라와, 상기 하우징에 장착되어 상기 제1 및 제2 카메라 중 적어도 하나가 선택되어 화상 촬영을 할 수 있게 작동시키는 명령을 입력받는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 키와, 상기 제1 카메라의 촬영 방향과 동일한 방향을 향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장착되어 상기 제1 및 제2 카메라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촬영된 화상을 표시하는 화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카메라는 상기 제2 카메라에 비하여 저화소수를 갖도록 구성됨으로써, 화상 통화와 피사체 촬영을 용이하게 구분하여 실시할 수 있게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mprising: a housing, a first camera disposed on a front surface of the housing, a second camera disposed on a rear surface of the housing and having a different shooting direction from the first camera; At least one switch key mounted to receive a command to select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cameras and to operate to capture an image, and to face the same direction as the photographing direction of the first camera; And a screen unit mounted to display an image photographed by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cameras, wherein the first camera is configured to have a lower pixel number than the second camera, thereby performing video call and subject photographing. It can be easily distinguished and implemented.
Description
도1은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onvention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도2는 도1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메라를 도시한 사시도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amera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FIG.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4는 도3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개방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open stat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FIG.
도5는 도3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폐쇄 상태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5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losed stat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FIG. 3 viewed from the front;
도6은 도3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폐쇄 상태를 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6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losed stat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FIG.
도7은 도3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개방 상태를 측면에서 바라본 측면도7 is a side view as viewed from the side of the open stat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FIG.
도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9는 본 발명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1 화면부를 이용하는 방법을 도시한 개략도9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method of using a first screen unit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 Descrip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 **
100: 이동통신 단말기 110: 단말기 본체100: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0: terminal body
115: 경사 돌출부 116: 제2 화면부115: inclined protrusion 116: second screen portion
117: 촬영 버튼 118: 제 2 카메라117: shooting button 118: second camera
118a: 밀폐 커버 119: 제 2 플래쉬118a: airtight cover 119: second flash
120: 단말기 폴더 122: 제1 화면부120: terminal folder 122: first screen portion
124: 제 1 카메라 125: 제 2 플래쉬124: first camera 125: second flash
126: 화면 노출부 126a: 투명 보호창 126: screen exposed
226: 화면 노출부 ang1: 폴더 개방각 226: screen exposure portion ang1: folder opening angle
ang2: 돌출부 경사각 ang3: 시야각ang2: angle of inclination of the projection ang3: angle of view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화상 통화 모드와 일반 피사체 촬영 모드에서의 화상 촬영이 독립적으로 이루어져서 각각에 맞는 화상을 제공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pable of providing an image corresponding to each other by taking images in a video call mode and a general subject photographing mode independently.
일반적으로 이동통신 단말기는 무선의 음성 통신용으로 사용되기 시작했으나, 점차 그 기능 영역이 다양화됨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는 음성 통신 기능과 함께 인터넷, 멀티미디어 등의 영상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을 뿐 아니라, 원하는 피사체를 영상 파일로 저장할 수 있도록 촬영이 가능한 다양한 형태의 카메라가 장착된 카메라폰의 보급이 증가되고 있다.In gener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have started to be used for wireless voice communication. However, as the functional areas are gradually diversifie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are not only able to receive video services such as Internet and multimedia, but also provide voice communication functions. Increasingly, camera phones equipped with various types of cameras capable of shooting subjects to be stored as image files are increasing.
최근의 카메라를 장착한 이동통신 단말기는 촬영의 편리성을 도모하기 위하여 카메라를 일정한 각만큼 회전할 수 있는 회전형 카메라를 장착하여 출시되고 있으며, 회전형 카메라를 이용한 화상 통신을 지원하고 있다. 이하에서 그 카메라의 구성을 설명하기로 한다. Recently,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quipped with a camera has been released with a rotating camera capable of rotating the camera by a predetermined angle for the convenience of shooting, and supports video communication using the rotating camera. The configuration of the camera will be described below.
도1은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2는 도1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메라를 도시한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onvention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amera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FIG.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는 본체부(20)와, 그 상측의 힌지 기구(40)에 의하여 개폐 가능하도록 형성된 폴더부(30)로 구성된다. As shown in the figure, the convention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composed of a
상기 본체부(20)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신 제어 등을 위하여 형성된 회로부를 감싸도록 형성된 본체부 케이스(23)와, 본체부 케이스(23)의 후면에 착탈 가능하도록 충방전되는 배터리(22)와, 본체부 케이스(23)의 전면 상단부에 장착된 카메라(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The
여기서, 상기 카메라(10)는 피사체의 다양한 위치에 따라 그 상을 촬영할 수 있도록 회동 가능하도록 구성된 회전형 카메라로서, 피사체의 상을 촬영하는 카메라(11a)와, 상기 카메라와 회로부 사이를 연결하여 신호를 전송할 수 있도록 형성된 에프피시비(FPCB)(12)와, 상기 카메라를 내부에 장착시켜 회전시키는 회전 원통(13)과, 회전 원통(13)의 회전을 지지하고 본체부(10)에 고정되는 부싱(14)과, 회전 원통(13)에 카메라(11a)를 삽입하는 구멍(미도시)을 밀폐시키는 캡(15)을 구비한다. Here, the
그리고, 사용자가 보다 편리하게 카메라(10)를 도면부호 16으로 표시된 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회전 기구(13)의 외주면에는 가로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손잡이용 홈(13a)들이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In addition, the
상기 폴더부(20)는 다양한 정보를 디스플레이 하는 주(主)액정 화면(미도시) 을 감싸도록 형성된 폴더부 케이스(32)와, 폴더부 케이스(32)의 전면 중앙부에 기본적인 단말기 정보를 제공하는 제1 화면부(31)과, 폴더부 케이스(32)의 내부에 장착된 스피커로부터의 음파를 전달하도록 폴더부 케이스(32)의 전면 하단부에 형성된 음파 전달공(33)을 구비한다. The
상기와 같이 구성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메라로 촬영을 하기 위해서는, 사용자는 폴더부(30)를 회전시켜 제2 화면부(미도시)에 표시되는 화상을 기초로 카메라 (11a)가 향하는 방향으로 회전 원통(13)을 회전시킴으로서 조절하고, 피사체가 제2 화면부에 원하는 구도로 표시되면 촬영 버튼을 누름으로서 정화상과 동화상을 촬영하게 된다. 또한, 화상 통화를 하는 경우에는 카메라(11a)를 사용자를 향하도록 하고 통화를 하면 된다. 다만, 수화부에 귀를 대고 통화하기 어려우므로 이어-마이크폰을 사용하거나, 수화부의 음량을 키워 스피커폰으로 사용한다. In order to take a picture with the camera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e user rotates the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된 이동통신 단말기는 화상 통화를 위해서는 별도의 조작을 거쳐야 하며, 사용자의 모습을 상대방에게 전송하기 위해서는 카메라의 회전 원통(13)을 돌려 카메라(11a)가 사용자를 향하도록 조작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However,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must undergo a separate operation for a video call, and in order to transmit the user's appearance to the other party, the
또한, 피사체의 촬영 용도로는 고화소수를 갖는 카메라가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화상 통화 용도로는 화상 데이터 크기를 가급적 작게 하여 전송하는 것이 화면의 끊김을 방지하고 양질의 화상을 상대방이 볼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o use a camera having a high pixel number for photographing a subject. However, in a video call, transmitting as small an image data size as possible to prevent interruption of the screen and to allow the other party to see a good image. do.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는 피사체의 촬영과 화상 통화를 모두 이용한다는 측면에서, 고화소수의 카메라가 장착된 경우에는 화상 데이터 전송 측면에서 불리하고, 저화소수의 카메라가 장착된 경우에는 피사체 촬영 용도로서 양질의 촬영이 어렵게 되는 문제점을 갖고 있었다. However, the convention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s described above is disadvantageous in terms of image data transmission when a high-pixel camera is mounted in terms of both photographing a subject and a video call, and when a low-pixel camera is mounted. There is a problem in that high quality photography is difficult to use as a subject photographing purpos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화상 통화 모드와 일반 피사체 촬영 시에 있어서 화상 촬영이 각각 독립적으로 이루어져서 각각에 맞는 화상을 용이하게 제공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provide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at can easily provide an image suitable for each image is taken independently during video call mode and general subject shooting. I would like to.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이동통신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전면에 배치되는 제1 카메라와, 상기 하우징의 배면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카메라와 상이한 촬영 방향을 가지는 제2 카메라와, 상기 하우징에 장착되어 상기 제1 및 제2 카메라 중 적어도 하나가 선택되어 화상 촬영을 할 수 있게 작동시키는 명령을 입력받는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 키와, 상기 제1 카메라의 촬영 방향과 동일한 방향을 향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장착되어 상기 제1 및 제2 카메라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촬영된 화상을 표시하는 화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카메라는 상기 제2 카메라에 비하여 저화소수를 갖도록 구성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mobile communication housing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first camera disposed on the front of the housing, a rear surface of the housing and different shooting directions from the first camera A branch camera, at least one switch key mounted on the housing, and receiving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cameras to receive a command to operate the image capturing device; and a photographing direction of the first camera. A screen unit mounted on the housing so as to face the same direction as that of the first camera, and configured to display an image photographed by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cameras, wherein the first camera has a lower pixel number than the second camera. It is composed.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제1 바디와, 상기 제1 바디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제1 바디를 개폐시키는 제2 바디와, 상기 제1 바디에 장착되고 제1 촬영 방향을 가지는 제1 카메라와, 상기 제2 바디에 장착되고 제2 촬영 방향을 가지는 제2 카메라와, 상기 제1 및 제2 카메라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화상 촬영을 위해 상기 제1 및 제2 카메라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동작시키기 위한 명령을 입력받는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 키와, 상기 제1 촬영 방향 또는 제2 촬영 방향과 동일한 출력 방향을 가지는 화면부와, 상기 제2 바디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제2 카메라에 대해 열림 위치와 닫힘 위치 간에 이동되는 밀폐 커버와, 상기 제1 및 제2 카메라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촬영된 화상을 전송하고 다른 단말기에 의해 촬영된 화상을 수신하는 트랜스시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카메라는 상기 제2 카메라에 비하여 저화소수를 갖도록 구성된다.In additio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first body, a second body that is movably mounted to the first body to open and close the first body, and is mounted on the first body and the first photographing A first camera having a direction, a second camera mounted to the second body and having a second shooting direction,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at least one or more of the first and second cameras for the first and second cameras. At least one switch key for receiving a command to operate at least one of the second cameras, a screen unit having the same output direction as the first photographing direction or the second photographing direction, and the second body to be movable A sealing cover which is mounted and moved between an open position and a closed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second camera, and transmits an image photographed by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cameras, and the other terminal. And a transceiver for receiving an image captured by the device, wherein the first camera is configured to have a low pixel number compared to the second camera.
삭제delete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4는 도3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개방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5는 도3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폐쇄 상태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6은 도3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폐쇄 상태를 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7은 도3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개방 상태를 측면에서 바라본 측면도이다.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open stat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FIG. 3, and FIG. 5 is a closed view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FIG. 6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losed stat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FIG. 3 viewed from the back, and FIG. 7 is a side view of the open stat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FIG.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통신 등을 제어하는 회로부가 장착된 제2 바디 또는 단말기 본체(110)와, 단말기 본체(110)와 접철되어 회동 가능하도록 고정되고 각종 정보를 화상으로 디스플레이 하는 제1 바디 또는 단말기 폴더(1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들 단말기 본체(110)와 단말기 폴더(120)는 바형(bar-type) 이동통신 단말기와 같이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고, 이들은 하우징이라 통칭될 수도 있다.As shown in the figur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body or the terminal
상기 단말기 본체(110)는, 통신 등을 제어하는 회로부를 감싸도록 형성된 본체 케이스(111)와, 본체 케이스(111)의 전면에 정보를 입력하도록 형성된 키패드(112)와, 사용자의 음성을 상대방에게 전송하도록 형성된 송화부(113)와, 본체 케이스(131)의 배면에 로크(114a) 기구에 의하여 착탈 가능하고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114)를 포함한다. The
나아가, 단말기 본체(110)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상태나 기본 정보를 표시하는 제2 화면부(116)와, 사용자가 제2 화면부(116)를 가능한 직각에 가까운 편안한 시야각으로 바라보도록 제2 화면부(116)를 장착하기 위하여 형성된 경사 돌출부(115)와, 본체 케이스(111)의 배면에 외부 피사체를 촬영하는 촬영 방향을 가지고서 형성된 제 2 카메라(118)와, 제 2 카메라(118)를 사용하여 어두운 장소에서도 촬영할 수 있도록 본체 케이스(111)의 배면에 형성된 제 2 플래쉬(119)와, 제 2 카메라(118)를 사용하지 않는 동안에 외부의 이물질로부터 제 2 카메라(118)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제 2 카메라(118)를 개폐 가능하도록 형성된 슬라이딩 방식의 밀폐 커버(118a)를 구비한다. Furthermore, the
상기 단말기 폴더(120)는, 각종 정보를 화상으로 표시하고 촬영 시에는 피사체의 상을 표시하도록 단말기 폴더(120)의 배면에 형성된 화면부 또는 제1 화면부(122)와, 제1 화면부(122)를 감싸도록 형성된 폴더 케이스(121)와, 화상 통화시 사용자의 모습을 촬영하도록 제2 카메라(118)과는 반대되는 촬영 방향을 가지도록 형성된 제 1 카메라(124)와, 제 1 카메라(124)를 사용하여 어두운 장소에서도 촬영할 수 있도록 단말기 폴더(120)의 배면 하단에 형성된 제 1 플래쉬(125)와, 경사 돌출부(115)의 양측면에 단말기 폴더(120)를 회동 가능하게 고정하도록 양측에 돌출 형성된 회동 고정부(127)와, 단말기 폴더(120)가 단말기 본체(110)를 덮은 폐쇄 상태에서도 사용자가 볼 수 있도록 제2 화면부(116)를 외부에 노출시키도록 회동 고정부(127) 사이에 단말기 폴더(120)의 길이 방향으로 요입 형성된 화면 노출부(126)와, 단말기 폴더(120)를 단말기 본체(110)에 덮은 폐쇄 상태에서 제2 화면부(116)를 보호하도록 화면 노출부(126)의 외측에 설치된 투명 보호창(126a)과, 경사 돌출부(115)의 양측의 힌지공(116a)에 삽입되어 단말기 폴더(120)가 단말기 본체(110)에 대하여 접철되어 회동될 수 있도록 회동 고정부(127)의 양내측에 중공 형상으로 돌출 형성된 힌지 돌기(12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나아가, 트랜스시버(transceiver)를 더 포함하여 제1 카메라(124)를 통해 촬영된 사용자의 화상을 다른 사용자의 단말기에 전송하거나 다른 사용자의 화상을 수신할 수 있다.The
여기서, 상기 경사 돌출부(115)는 제2 화면부(116)를 사용자가 편안한 시야각을 확보하면서 볼 수 있도록 형성된 것으로, 사용자의 시야로부터 제2 화면부(116)에 이르는 시야각(ang3)이 수직에 가깝도록 경사 돌출부(115)의 경사각( ang2)을 형성함으로서 사용자로 하여금 제2 화면부(116)에 표시되는 화상 정보를 보다 분명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하여, 경사 돌출부(115)의 경사각(ang2)은 단말기 폴더(120)가 완전히 열린 완전 개방 상태의 개방각(ang1)과 동일하도록 형성되어, 단말기 폴더(120)를 완전 개방하였을 때에 제2 화면부(116)의 경사면과 단말기 폴더(120)의 배면은 평행한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단말기 폴더(120)의 완전 개방 상태에서의 개방각(ang1)은 40°내지 55°이므로, 경사 돌출부(115)의 경사각(ang2)도 40°내지 55°로 형성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Here, the
그리고, 상기 회동 고정부(127)의 힌지 돌기(128)는 경사 돌출부(115)의 양측면의 힌지공(116a)에 삽입되는 데, 단말기 폴더(120)를 단말기 본체(110)에 대하여 여닫는 동안에 투명 보호창(126a)이 경사 돌출부(115)와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회동축인 힌지 돌기(126)의 중심으로부터 제2 화면부(116)의 상단까지의 직선 거리(l2)는 힌지 돌기(126)의 중심으로부터 투명 보호창(126a)까지의 직선 거리(l1)보다 더 짧도록 형성된다. In addition, the
그리고, 상기 제2 화면부(116)는 출력 및 입력이 가능한, 예를 들어 터치 패드 방식의 액정 화면으로 형성되어 통화 대기 상태나 일반 통화 상태에서는 배터리 용량, 현재 시각, 진동 표시, 알람 표시 등 이동통신 단말기의 기본 정보를 표시하는 용도로 사용되며, 화상 통화 상태에서는 펜이나 손으로 제2 화면부(116)상에 문자나 그림을 그려 통화 중에도 상대방에게 전송할 수도 있고, 화상 통화 상태에서 화상 통화 모드를 변경하기 위하여 제2 화면부(116)에 표시되는 통화 모드 변경 팝 업(pop-up) 메뉴를 펜이나 손으로 터치하여 선택함으로서 통화 모드 변경도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제2 화면부(116)의 터치 패드 기능은 화상 통화 상태에서만 사용될 수 있도록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필요에 따라 메모를 하고 메모를 저장하도록 하는 수첩 기능도 아울러 갖게 된다. In addition, the
또한, 상기 제2 화면부(116)는 제 2 카메라(118)를 이용한 외부 피사체의 촬영시 단말기 폴더(120)가 단말기 본체(110)를 덮은 폐쇄 상태에서 피사체의 상을 표시하는 역할을 할 수도 있다. 즉, 단말기 폴더(120)가 단말기 본체(110)에 대하여 열린 개방 상태에서는, 제 2 카메라(118)에 의한 피사체의 구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제1 화면부(122)에 피사체의 상이 표시되고, 폐쇄 상태에서는 화면 노출부(126)를 통하여 외부로 노출된 제2 화면부(116)에 제 2 카메라(118)에 의한 피사체의 상이 표시되도록 함으로서, 단말기 폴더(120)를 열지 않고서도 피사체의 상을 사용자의 의도대로 조절하면서 촬영할 수 있도록 한다. In addition, the
그리고, 단말기 본체(110)로부터 단말기 폴더(120)로 신호를 전송하는 신호선 역할을 하는 에프피시비(미도시)는 경사 돌출부(115)의 힌지공(116a)과 힌지 돌기(128)의 중공부를 관통하여 단말기 본체(110)내의 회로부와 단말기 폴더(120)내의 제1 화면부(122)와 연결된다. In addition, the FPC (not shown) serving as a signal line for transmitting a signal from the
또한, 상기 제1 화면부(122)는 작은 보조 영역(122b)과 커다란 주영역(122a)의 2개의 화면을 동시에 띄울 수 있도록 형성되어, 화상 통화시 상대방의 모습은 주영역(122a)을 통하여 표시되도록 하고 사용자의 모습은 보조 영역(122b)을 통하여 표시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In addition, the
그리고, 상기 제 1 카메라(124)는 화상 통화용으로 주로 사용되므로 30만 화소급의 저화소수의 전하결합소자(CCD)가 장착되고, 제 2 카메라(118)는 피사체의 동영상이나 정화상 촬영에 주로 사용되므로 100만 화소급 이상의 고화소수의 전하결합소자가 장착된다. In addition, since the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작동 원리에 대하여 상술한다. Hereinafter, the operating principle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화상 통화가 용이한 이동통신 단말기로서, 상대방으로부터 화상 통화를 착신하는 경우에는 단말기 폴더(120)를 열고 통화 버튼(112a)을 누르면 자동으로 화상 통화 모드가 시작되며, 제 1 카메라(124)를 통해 촬영된 사용자의 모습을 트랜스시버를 통해 상대방에게 전송하게 된다. 이때, 제1 화면부(122)에 상대방의 모습을 볼 수 있으며, 아울러 사용자는 자신의 모습이 상대방에게 어떻게 전달되는지 확인할 수 있도록 제1 화면부(122)를 2개의 영역으로 나누어 주영역(122a)에는 상대방의 모습이 표시되도록 한 상태에서 보조 영역(122b)에 사용자 자신의 전송되는 모습이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at is easy to make a video call. When a video call is received from the other party,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automatically opens the
화상 통화 중에 보다 다양한 데이터의 전송이 가능하도록 터치 패드로 구성된 제2 화면부(116)를 이용하여 손이나 펜으로 직접 문자를 적어서 상대방에게 전송할 수도 있으며, 화상으로 상대방을 보면서 제2 화면부(116)를 이용한 채팅도 가능하다. 도9는 화상 통화를 하는 일례를 보여주는 것으로, 상대방과 지도와 같은 그림 데이터를 제1 화면부(122)의 주영역(122a)에 공유하고, 상대방의 모습을 보조 영역(122b)에 표시되도록 하면서 문자를 상호 전송할 수도 있다. 즉, 제1 화면 부(122)의 주영역(122a)과 보조 영역(122b)은 상대방의 모습이나 사용자 자신의 모습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화상 모드 설정에 의하여 제1 화면부(122)의 주영역(122a)과 보조 영역(122b), 제2 화면부(116)의 3종류의 창을 사용자의 의도대로 변경하면서 사용할 수 있다. In order to transmit more various data during a video call, th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100)를 사용하여 피사체의 촬영을 하는 경우에는, 단말기 본체(110)의 배면에 형성된 제 2 카메라(118)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밀폐 커버(118a)를 슬라이딩 이동시키고 촬영 버튼(117)을 누름으로써 촬영하게 된다. 이때, 사용자는 단말기 폴더(120)를 열어 개방 상태로 촬영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피사체의 상이 제1 화면부(122)에 표시되고, 단말기 폴더(120)를 닫아 폐쇄 상태로 촬영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피사체의 상이 외부로 노출된 제2 화면부(116)에 표시되도록 한다. 즉, 단말기 폴더(120)를 닫아 폐쇄 상태로 촬영하는 경우에는 단말기 본체(110) 배면의 제 2 카메라(118)가 피사체를 향하고, 동시에 사용자는 피사체를 육안으로 바라보면서 단말기 본체(110) 전면의 제2 화면부(116)를 통하여 피사체의 상의 구도를 조절할 수 있는 형태가 되어 피사체의 구도를 조절하는데 용이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단말기 폴더(120)를 열지 않은 폐쇄 상태에서는 디지털 카메라와 유사한 형상과 방법으로 피사체의 촬영이 가능하므로, 사용자로 하여금 이동통신 단말기의 부수적인 기능으로 촬영을 하는 것이 아니라, 하나의 독립적인 디지털 카메라와 같은 인식과 세련미를 심어주며, 피사체의 촬영시 제1 화면부(122)를 외부로 노출시켜야 하는 등의 불편함을 해소해주는 장점을 갖는다. 종래의 디지털 카메라와 유사한 방식으 로 촬영이 가능해짐으로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메라 기능에 익숙하지 못한 사람도 간편하게 촬영할 수 있게 된다.When photographing a subject us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aling
한편, 저화소수를 갖는 제 1 카메라를 이용하여 피사체를 촬영하고자 하는 경우, 예컨대 사용자 자신을 포함하여 촬영을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단말기 본체(110)의 측면에 형성된 모듈 선택 스위치(117a)로 제 1 카메라를 지정하고, 단말기 폴더(120)를 열어 제 1 카메라(118)가 향하여 제1 화면부(122)에 표시되는 피사체의 상의 구도를 조절하고, 촬영 버튼(117)을 누름으로서 제 1 카메라를 이용하여 피사체의 상을 촬영할 수도 있다. 이러한 모듈 선택 스위치(117a)와 촬영 버튼(117)은 하나로 통합될 수 있고, 이는 스위치키라 통칭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photographing a subject using a first camera having a low pixel number, for example, when photographing including the user himself, the first
또한, 어두운 장소에서 제 1 카메라(124)나 제 2 카메라(118)를 이용하여 피사체의 촬영을 하거나 상대방에게 사용자의 모습을 전송하기 위하여 제 1 플래쉬(125)나 제 2 플래쉬(119)를 사용할 수도 있다. 그리고, 수화부(123)에 귀를 대고 동시에 액정 화면(122,116)을 바라보면서 통화하기 어려우므로 이어-마이크폰을 사용하거나, 수화부(123)의 음량을 키워 스피커폰으로 사용한다. In addition, th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100)를 이용하여 일반 통화를 하고자 할 경우에는 종래의 통화 방식과 대체로 유사하지만, 단말기 폴더(120)를 열어 개방 상태로 통화를 하는 도중에 제2 화면부(116)를 이용하여 통화 음량이나 터치 패드를 이용한 간단한 메모를 하여 저장할 수 있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When a general call is to be made us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lthough the call is generally similar to the conventional call method, the second screen is opened while the
도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200)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로서,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기능과 구성과 동일 및 동일 상당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부여하고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200)는 제2 화면부(216)이 단말기 본체(210)의 전면에 뉘어지도록 형성되고, 제2 화면부(216)를 단말기 폴더(220)를 닫은 폐쇄 상태에서도 외부에서 볼 수 있도록 단말기 폴더(220)에는 화면 노출부(226)가 관통 형성된다. 따라서, 제2 화면부(216)의 크기가 상대적으로 큰 경우나 제2 화면부(216)가 단말기 본체(210) 전면의 중간이나 하단에 형성된 경우에도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경우와 동일한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이 때에도, 단말기 폴더(220)의 화면 노출부(226) 외측에는 투명 보호창(226a)이 형성되어 이동통신 단말기(200)를 휴대하는 도중 외부의 충격에 의하여 제2 화면부(216)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The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제2 화면부(216)는 단말기 본체(210)의 전면과 동일 평면상에 형성되었으나, 사용자의 시야각을 확보하도록 제2 화면부(216)는 경사지게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의 화면 노출부(226)는 제2 화면부(216)의 돌출부와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충분한 크기로 형성된다.Meanwhile, a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도면중 미설명 부호인 211a는 단말기 폴더(220)를 단말기 본체(210)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하기 위하여 본체 케이스(211) 상단에 돌출 형성된 돌출부이고, 211b는 단말기 폴더(220)의 회동 고정부(227)의 양측에 형성된 힌지 돌기(240)가 삽입되도록 형성된 관통공이다. In the drawing,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 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히 변경 가능한 것이다. Although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by way of exampl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se specific embodiments, and may be appropriately changed within the scope described in the claims.
예를 들어, 제2 카메라(118)는 본체 케이스(111)의 배면에 장착되는 것으로 설명되었으나 전면에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며, 제 1 카메라(124) 역시 그 지향 방향을 반대로 하는 것은 제2 카메라(118)와 상대적인 역할 분담 관계에서 변경 가능하다. 나아가, 제1 및 제2 카메라(124 및 118)를 단말기 본체(110)과 단말기 폴더(120) 중 어느 하나의 각 반대되는 면에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For example, although the
또한, 이상에서는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슬라이드형, 스위블형 등 그 형태에 무관하게 적용될 수 있다.In addition, although the above description has been given using a folding 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s an example,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pplied regardless of a shape such as a slide type or a swivel type.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촬영 방향이 서로 상이한 제1 카메라와 제2 카메라를 구비함에 따라 그 중 하나를 사용자의 촬영에 이용하고 다른 하나는 피사체의 촬영에 이용할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first and second cameras having different shooting directions are provided, one of them can be used for photographing a user and the other can be used for photographing a subject.
나아가, 화상 통화에 주로 사용되는 제 1 카메라에 장착된 전하 결합 소자(CCD)를 피사체 촬영에 주로 사용되는 제 2 카메라에 장착된 전하 결합 소자에 비하여 저화소수를 갖도록 구성함으로써, 사용자의 모습에 관한 데이타 크기를 작게 하여 화상 통화시 상대방에게 전송하도록 하여 상대방으로 하여금 데이터 크기에 따른 사용자 자신의 모습이 끊기는 등의 문제점을 해소하고, 아울러 이동통신 단말기에 사용되는 액정 화면의 크기가 상대적으로 작기 때문에 비교적 적은 화소수의 화상이더라도 선명한 모습을 표시할 수 있음을 감안하면 오히려 저화소수의 화상 정보를 상대방에게 송신함으로서 보다 양질의 화상 정보를 전송할 수 있게 한다. Furthermore, the charge coupled device (CCD) mounted on the first camera mainly used for video call is configured to have a lower pixel number compared to the charge coupled device mounted on the second camera mainly used for photographing a subject, thereby improving the appearance of the user. It is possible to solve the problem of the user being disconnected according to the data size by transmitting the data to the other party during the video call by reducing the size of the related data, and also because the size of the LCD screen us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relatively small. In view of the fact that even a relatively small number of pixels can display a clear image, it is possible to transmit higher quality image information by transmitting low pixel number image information to the counterpart.
또한, 다양한 각도의 피사체를 보다 편리하게 촬영할 수 있도록 단말기 폴더를 열어 개방시키지 않더라도 제1 화면부를 통해 피사체 상의 구도를 동시에 확인하면서 조절할 수 있고, 사용자가 피사체를 바라보는 방향으로 카메라를 향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피사체의 구도를 보다 편리하게 포착할 수 있으며, 피사체의 구도를 조절하는 데에도 보다 용이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디지털 카메라와 유사한 형상과 방법으로 피사체의 촬영이 가능하므로 사용자로 하여금 이동통신 단말기의 부수적인 기능으로 촬영을 하는 것이 아니라, 하나의 독립적인 디지털 카메라와 같은 인식과 세련미를 심어주며, 종래의 디지털 카메라와 유사한 방식으로 촬영이 가능해짐으로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메라 기능에 익숙하지 못한 사람도 간편하게 촬영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even if the terminal folder is not opened and opened so that various angles of subjects can be taken more conveniently, the first screen can simultaneously check and adjust the composition on the subject, thereby allowing the user to point the camera toward the subject. The composition of the subject can be captured more conveniently, and it is easier to adjust the composition of the subject.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photographing a subject in a shape and method similar to a digital camera, so that the user does not shoot as an additional func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ut instills the same recognition and refinement as an independent digital camera. In addition, since the recording can be performed in a manner similar to that of a conventional digital camera, a person who is not familiar with the camera func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n easily photograph.
Claims (25)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052764A KR100941537B1 (en) | 2006-06-12 | 2006-06-12 | Mobile phon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052764A KR100941537B1 (en) | 2006-06-12 | 2006-06-12 | Mobile phone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30097901A Division KR100677303B1 (en) | 2003-12-26 | 2003-12-26 | Mobile phon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60073577A KR20060073577A (en) | 2006-06-28 |
KR100941537B1 true KR100941537B1 (en) | 2010-02-10 |
Family
ID=371665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60052764A KR100941537B1 (en) | 2006-06-12 | 2006-06-12 | Mobile phon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941537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2685306A (en) * | 2011-03-15 | 2012-09-19 | 联想(北京)有限公司 | Method and mobile terminal for switching image collecting units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0061249A (en) * | 2001-01-15 | 2002-07-24 |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 Folder type portable telephone with two displays |
KR20030058713A (en) * | 2001-12-31 | 2003-07-07 | 엘지전자 주식회사 | A mobile phone |
KR20030083318A (en) * | 2002-04-20 | 2003-10-30 | 엘지전자 주식회사 | Image terminal |
-
2006
- 2006-06-12 KR KR1020060052764A patent/KR100941537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0061249A (en) * | 2001-01-15 | 2002-07-24 |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 Folder type portable telephone with two displays |
KR20030058713A (en) * | 2001-12-31 | 2003-07-07 | 엘지전자 주식회사 | A mobile phone |
KR20030083318A (en) * | 2002-04-20 | 2003-10-30 | 엘지전자 주식회사 | Image terminal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2685306A (en) * | 2011-03-15 | 2012-09-19 | 联想(北京)有限公司 | Method and mobile terminal for switching image collecting units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60073577A (en) | 2006-06-2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677303B1 (en) | Mobile phone | |
JP3910112B2 (en) | Camera phone | |
JP4053444B2 (en) | Portable multifunctional electronic equipment | |
KR100703402B1 (en) | Mobile phone having camera lens module with multi-direction | |
KR100560885B1 (en) | Slide 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rotating type camera | |
JP3751197B2 (en) | Mobile phone | |
JP4199576B2 (en) | Foldable mobile terminal | |
JP2004274777A (en) | Portable multifunctional electronic apparatus | |
KR100941537B1 (en) | Mobile phone | |
KR20050036129A (en) |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camera cover for auto-conversion of photograph mode | |
AU2007201325B2 (en) | Mobile communication device with enhanced image communication capability | |
JP2004159363A (en) | Mobile phone | |
JPH08140072A (en) | Terminal equipment for information communication | |
KR100497466B1 (en) | Mobile phone having dual camera | |
KR200346601Y1 (en) | Slide 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rotating type camera | |
KR20060073291A (en) |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quipped with rotary microphone set | |
JP4111978B2 (en) | Mobile phone | |
JP2011072019A (en) | Mobile phone | |
JP2005217751A (en) | Camera attached foldable mobile information apparatus | |
JP2004173299A (en) | Mobile telephone set | |
KR20040069372A (en) | Folder type portable handheld radiotelephone | |
KR20050028623A (en) | A mobile phone externals apparatus having externals of digital camera type | |
JP2004166298A (en) | Mobile telephone | |
KR20050010577A (en) |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 |
JP2004159362A (en) | Mobile phon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J201 |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 ||
AMND | Amendment | ||
B701 | Decision to gran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128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124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128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122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124 Year of fee payment: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124 Year of fee payment: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123 Year of fee payment: 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