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71930A - 이동통신 단말기의 바이러스 감염 방지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단말기의 바이러스 감염 방지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71930A
KR20060071930A KR1020040110425A KR20040110425A KR20060071930A KR 20060071930 A KR20060071930 A KR 20060071930A KR 1020040110425 A KR1020040110425 A KR 1020040110425A KR 20040110425 A KR20040110425 A KR 20040110425A KR 20060071930 A KR20060071930 A KR 200600719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rus
mobile communication
data
communication terminal
c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104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98668B1 (ko
Inventor
김운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Priority to KR10200401104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98668B1/ko
Publication of KR200600719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719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86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86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10Integr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50Monitoring users, programs or devices to maintain the integrity of platforms, e.g. of processors, firmware or operating systems
    • G06F21/55Detecting local intrusion or implementing counter-measures
    • G06F21/56Computer malware detection or handling, e.g. anti-virus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8Service support devices; Network management devices
    • H04W88/184Messaging devices, e.g. message cent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ir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바이러스 감염 방지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발신자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데이타에 바이러스 코드(Virus Code)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검사하여, 발신자가 전송한 데이타에 바이러스 코드가 포함되어 있을 경우, 수신자 이동통신 단말기로 바이러스 코드가 포함된 데이타를 전송하기 전에 이동통신 시스템과 이동통신 단말기 상호간에 협정된 메시지를 이용해 수신자 이동통신 단말기로 바이러스 정보를 통보함으로써 수신자가 해당 데이타를 수신할지 여부를 선택하도록 하여 수신자의 동의하에 모바일 바이러스(Mobile Virus)를 사전 차단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동통신 단말기, 바이러스(Virus), 서비스 옵션(Service Option)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의 바이러스 감염 방지 시스템 및 방법 {Protection system and method for mobile virus}
도 1 은 이동통신 시스템의 개요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바이러스 감염 방지 시스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럭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바이러스 감염 방지 방법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이동통신 시스템 11 : 기지국
12 : 기지국 제어기 13 : 교환기
14 : 망연동장치 15 : 게이트웨이
16 : 패킷 제어장치 17 : 패킷 데이타 서빙 노드
18 :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 19 :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 센터
20 : 이동통신 단말기 100 : 바이러스 감염 방지 시스템
110 : 바이러스 검사부 120 : 바이러스 정보전송부
130 : 데이타 처리부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바이러스 감염 방지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동통신 시스템과 이동통신 단말기 상호간에 협정된 메시지를 이용해 바이러스 코드가 포함된 데이타를 수신할 수신자 이동통신 단말기로 바이러스 정보를 통보함으로써 모바일 바이러스(Mobile Virus)를 사전 차단할 수 있도록 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바이러스 감염 방지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해 무선상으로 전파되어 소프트웨어적 또는 하드웨어적으로 이동통신 단말기에 피해를 줄 가능성이 있는 모바일 바이러스(Mobile Virus)에 대한 경고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아직까지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바이러스가 발생되었다는 사례는 구체적으로 밝혀진 바는 없으나, 악성 코드에 의한 피해 사례가 일부 국가에서 보고되고 있는 실정이다.
즉,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한 데이타 통신이 가능해짐에 따라, 기존의 유선 인터넷상에서 전파되는 컴퓨터 바이러스가 변형되거나 또는 모바일 바이러스가 신규 제작되어 이동통신 단말기 또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소프트웨어를 변형하여 시스템의 오동작이나 고장을 초래할 가능성이 점점 커지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 10-2004-0004935 호(2004. 1. 16)에서는 서버에서 전송할 메시지에 대한 바이러스 감염 여부를 검사하여, 바이러스 감염된 경우 이를 치료하여 메모리에 저장하고, 메모리에 저장된 메시지를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 는 기술을 제안하고 있다.
그런데, 상기한 종래의 기술의 경우 데이타를 수신할 수신자의 동의 없이 바이러스 감염된 데이타를 치료 후 전송함으로써, 수신자가 원하지 않는 데이타를 수신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각종 악성 코드를 포함한 바이러스 프로그램들은 자가 복제 방식으로 임의의 사용자에게 전파되게 되는데, 종래의 방식은 수신자가 원하지 않는 데이타까지도 바이러스 치료되어 수신자에게 전파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자는 이동통신 시스템과 이동통신 단말기 상호간에 협정된 메시지를 이용해 이동통신 시스템이 바이러스 코드가 포함된 데이타를 수신할 수신자 이동통신 단말기로 바이러스 정보를 통보하고, 수신자가 이 바이러스 정보에 따라 해당 데이타를 수신할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도록 하여 수신자의 동의하에 모바일 바이러스(Mobile Virus)를 사전 차단할 수 있도록 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바이러스 감염 방지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연구를 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취지하에 발명된 것으로, 이동통신 시스템과 이동통신 단말기 상호간에 협정된 메시지를 이용해 이동통신 시스템이 바이러스 코드가 포함된 데이타를 수신할 수신자 이동통신 단말기로 바이러스 정보를 통보함으로써 수신자의 동의하에 모바일 바이러스(Mobile Virus)를 사전 차단할 수 있도록 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바이러스 감염 방지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바이러스 감염 방지 시스템 및 방법은 발신자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데이타에 바이러스 코드(Virus Code)가 포함되어 있는지 검사하여, 발신자가 전송한 데이타에 바이러스 코드가 포함되어 있을 경우, 바이러스 코드가 포함된 데이타를 전송하기 전에 수신자 이동통신 단말기로 바이러스 정보를 전송하여 통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바이러스 정보를 수신한 수신자가 이 바이러스 정보에 따라 해당 데이타를 수신할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어 수신자의 동의하에 모바일 바이러스(Mobile Virus)가 사전 차단되게 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술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히 기술하기로 한다.
도 1 은 이동통신 시스템의 개요도이다.
이동통신 시스템(10)은 기지국(BTS : Base Transeiver System)(11)과, 기지국 제어기(BSC : BTS System Controller)(12)와, 교환기(MSC : Mobile Switching Center)(13)와, 망연동장치(IWF : InterWorking Function)(14) 및 게이트웨이(GW : GateWay)(15)와, 패킷 제어장치(PCF : Packet Control Function)(16)와, 패킷 데이타 서빙 노드(PDSN : Packet Data Serving Node)(17)를 포함한다.
상기 기지국(11)은 이동통신 단말기(MS : Mobile Station)(20)와 음성 또는 데이타를 송수신한다.
상기 기지국 제어기(12)는 상기 기지국(11)에 대한 운용 관리와, 트래픽 (Traffic) 자원 할당 등의 무선 호(Call) 처리를 수행한다.
상기 교환기(13)는 이동통신망과 일반전화망(PSTN : 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동일 또는 타 이동통신망 사이의 사용자 트래픽을 위한 접속점을 구성하여 이동통신 가입자에게 회선 교환 서비스를 제공한다.
상기 망연동장치(14) 및 게이트웨이(15)는 이동통신망과 인터넷간을 상호연동하여 이동통신망과 인터넷간에 데이타가 송수신되도록 한다.
상기 패킷 제어장치(16)는 상기 기지국 제어기(12)와 패킷 데이타 서빙 노드(17)사이의 신호(Signal) 및 트래픽(Traffic) 정보를 교환해준다.
상기 패킷 데이타 서빙 노드(17)는 이동통신망과 인터넷간 상호연동을 통해 무선신호를 IP 네트워크에 연결함으로써 이동통신 가입자에게 패킷 데이타 서비스를 제공한다.
한편, 상기 교환기(MSC : Mobile Switching Center)(13)에는 단문메시지(Short Message) 전송을 위한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SMSC : Short Message Service Center)(18)와, 멀티미디어 메시지(Multimedia Message) 전송을 위한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 센터(MMSC : Multimedia Message Service Center)(19) 등이 연동된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바이러스 감염 방지 시스템은 상기한 이동통신 시스템(10)의 패킷 데이타 서빙 노드(PDSN)(17) 또는 망연동장치(IWF)(14) 또는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 센터(MMSC)(19)에서 실행 가능한 소프트웨어의 형태로 존재하며, 이동통신 시스템(10)과 이동통신 단말기(20) 상호간에 협정된 메시 지를 이용해 이동통신 시스템이 바이러스 코드가 포함된 데이타를 수신할 수신자 이동통신 단말기로 바이러스 정보를 통보함으로써 수신자의 동의하에 모바일 바이러스(Mobile Virus)를 사전 차단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이동통신 시스템(10)과 이동통신 단말기(20) 상호간에 협정된 메시지는 통상적으로 상하향 링크의 트래픽 채널(Traffic Channel)을 통해 전송되는 서비스 옵션 메시지(Service Option Message)를 의미한다.
상기 서비스 옵션(SO : Service Option)은 이동통신 시스템과 이동통신 단말기 상호간 전송매체의 성격에 대하여 정의함으로써 코드화 및 복조화 과정에서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TSB58(TIA/EIA Wideband Spread Spectrum Standards for standard and proprietary usage)에서 정의된 규칙으로, SO 1은 8Kbps QCELP 음성통화, SO 2는 8Kbps Loopback call for test, SO 3은 8Kbps EVRC 음성통화, SO 4는 Circuit Asynchronous data service, SO 5는 G3 Fax, SO 6은 Short Message Service, SO 7은 Packet Data Service (Internet), SO 8은 Packet Data Service (CDPD), SO 9는 13Kbps Loopback call for test, SO 32760은 13Kbps QCELP 음성통화를 나타낸다.
이동통신 단말기가 이동통신 시스템으로 트래픽 채널(Traffic Channel)을 통해 서비스 옵션(SO) 메시지를 전송하면, 이동통신 시스템은 서비스 옵션(SO) 요구를 수용할 수 있는지 여부를 파악하여 불가능하면 서비스 옵션(SO) 요구를 거절하거나 새로운 서비스 옵션(SO)으로 연결할 것을 요구하는 서비스 옵션 협정(Service Option Negotiation) 과정을 수행한다.
이와는 반대로 이동통신 시스템이 이동통신 단말기로 트래픽 채널(Traffic Channel)을 통해 서비스 옵션(SO) 메시지를 전송하면, 이동통신 단말기는 서비스 옵션(SO) 요구를 수용할 수 있는지 여부를 파악하여 불가능하면 서비스 옵션(SO) 요구를 거절하거나 새로운 서비스 옵션(SO)으로 연결할 것을 요구하는 서비스 옵션 협정(Service Option Negotiation) 과정을 수행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서비스 옵션 협정(Service Option Negotiation) 과정을 통해 이동통신 시스템이 바이러스 코드가 포함된 데이타를 수신할 수신자 이동통신 단말기로 바이러스 정보를 통보함으로써 수신자의 동의하에 모바일 바이러스(Mobile Virus)를 사전 차단할 수 있도록 한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바이러스 감염 방지 시스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럭도이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바이러스 감염 방지 시스템(100)은 바이러스 검사부(110)와, 바이러스 정보전송부(120)와, 데이타 처리부(130)를 포함한다.
상기 바이러스 검사부(110)는 발신자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데이타를 분석하여, 전송된 데이타내에 바이러스 코드(Virus Code)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검사한다.
발신자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데이타는 이동통신 시스템을 통해 수신자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된다. 이 때, 발신자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데이타를 수신한 이동동신 시스템은 패킷 데이타 서빙 노드(PDSN) 또는 망연동장치 (IWF) 또는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 센터(MMSC) 등에서 실행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바이러스 감염 방지 시스템(100)의 바이러스 검사부(110)를 통해 수신된 데이타내에 바이러스 코드(Virus Code)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검사한다.
상기 바이러스 코드(Virus Code)를 검출하는 기술은 이 출원 이전에 이미 다양하게 공지되어 시행되고 있으며, 대표적으로 패턴 매칭(Pattern Matching) 기술이 있다. 패턴 매칭은 발신자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데이타를 데이타베이스(도면 도시 생략)에 저장된 바이러스 패턴과 비교하여 전송된 데이타내에 바이러스 코드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도록 한 기술이다.
상기 바이러스 정보전송부(120)는 상기 바이러스 검사부(110)에 의해 전송된 데이타내에 바이러스 코드가 포함되어 있다 판단된 경우, 서비스 옵션 메시지(Service Option Message)를 통해 수신자 이동통신 단말기로 바이러스 정보를 전송한다.
이동통신 시스템은 데이타를 전송하기 전에 트래픽 채널( Traffic Channel)을 통해 수신자 이동통신 단말기에 서비스 옵션 메시지(Service Option Message)를 전송하여 전송할 데이타가 어떤 성격의 데이타인지 통보하는 과정을 먼저 수행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바이러스 감염 방지 시스템(100)은 상기 바이러스 검사부(110)에 의해 전송된 데이타내에 바이러스 코드가 포함되어 있다 판단된 경우, 이러한 서비스 옵션 메시지(Service Option Message) 전송 절차를 이용해 상기 바이러스 정보전송부(120)를 통해 이 후 전송할 데이타(발신자 단말기로부터 수신자 단말기로 전송 요청된 데이타)에 바이러스 코드가 포함되어 있 다는 바이러스 정보를 서비스 옵션 메시지(Service Option Message)에 포함하여 수신자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함으로써 수신자에게 위험성을 통보하고, 바이러스 코드가 포함된 데이타를 수신할지 여부를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데이타 처리부(130)는 수신자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의 데이타 수신 여부 선택정보에 따라 해당 수신된 데이타를 수신자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거나 또는 무시한다.
즉, 서비스 옵션 메시지(Service Option Message)를 수신한 이동통신 단말기는 서비스 옵션(SO : Service Option) 요구를 수용할 수 있는지 여부를 파악하여 불가능하면 서비스 옵션(SO) 요구를 거절하거나 새로운 서비스 옵션(SO)으로 연결할 것을 요구하는 서비스 옵션 협정(Service Option Negotiation) 과정을 수행하므로, 바이러스 정보를 수신한 수신자가 바이러스 코드가 포함된 데이타를 수신하기를 원하지 않을 경우에는 서비스 옵션(SO) 요구를 거절한다. 그러면, 이동통신 단말기의 바이러스 감염 방지 시스템(100)은 서비스 옵션(SO) 요구 거절에 따라 상기 데이타 처리부(130)를 통해 데이타 전송을 중지한다. 이 때, 전송이 중지된 바이러스 코드가 포함된 데이타는 삭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일, 바이러스 정보를 수신한 수신자가 바이러스 코드가 포함된 데이타를 수신하기를 원할 경우에는 수신자 이동통신 단말기는 이동통신 시스템에 서비스 연결 메시지(Service Connection Message)를 전송하여 발신자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데이타 수신을 요청한다. 그러면, 이동통신 단말기의 바이러스 감염 방지 시스템(100)은 상기 데이타 처리부(130)를 통해 발신자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전 송된 데이타를 수신자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한다.
이 때, 상기 데이타 처리부(130)가 수신자 이동통신 단말기로 데이타 전송시 해당 바이러스를 치료하여 전송함으로써 수신자 이동통신 단말기의 바이러스 감염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위와 같이함에 의해 이동통신 시스템과 이동통신 단말기 상호간에 협정된 메시지인 서비스 옵션 메시지(Service Option Message)를 이용해 이동통신 시스템이 바이러스 코드가 포함된 데이타를 수신할 수신자 이동통신 단말기로 데이타를 전송하기 전에 바이러스 정보를 통보함으로써 수신자가 해당 데이타를 수신할지 여부를 선택하도록 하여 수신자의 동의하에 모바일 바이러스(Mobile Virus)를 사전 차단한다.
상기한 바와같은 기술적 구성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바이러스 감염 방지 시스템의 동작 효과를 알아본다.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바이러스 감염 방지 방법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흐름도이다.
먼저, 발신자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수신자 이동통신 단말기로 데이타가 전송되면, 데이타 수신단계(S110)를 통해 이동통신 시스템이 발신자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데이타를 수신한다.
그 다음 이동통신 시스템은 바이러스 검사단계(S120)를 통해 상기 데이타 수신단계(S110)에 의해 수신한 데이타에 바이러스 코드(Virus Code)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검사한다.
상기 바이러스 코드(Virus Code)를 검출하는 기술은 이 출원 이전에 이미 다양하게 공지되어 시행되고 있으며, 대표적으로 패턴 매칭(Pattern Matching) 기술이 있다. 패턴 매칭은 발신자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데이타를 데이타베이스(도면 도시 생략)에 저장된 바이러스 패턴과 비교하여 전송된 데이타내에 바이러스 코드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도록 한 기술이다.
그 다음, 이동통신 시스템은 바이러스 정보전송단계(S130)에서 상기 바이러스 검사단계(S120)에 의해 수신한 데이타에 바이러스 코드(Virus Code)가 포함되어 있다 판단된 경우, 서비스 옵션 메시지(Service Option Message)를 통해 수신자 이동통신 단말기로 바이러스 정보를 전송하여 통보한다.
이동통신 시스템은 데이타를 전송하기 전에 트래픽 채널( Traffic Channel)을 통해 수신자 이동통신 단말기에 서비스 옵션 메시지(Service Option Message)를 전송하여 전송할 데이타가 어떤 성격의 데이타인지 통보하는 과정을 먼저 수행한다. 따라서, 이동통신 단말기은 상기 바이러스 검사단계(S120)에 의해 전송된 데이타내에 바이러스 코드가 포함되어 있다 판단된 경우, 상기 바이러스 정보전송단계(S130)를 통해 이 후 전송할 데이타(발신자 단말기로부터 수신자 단말기로 전송 요청된 데이타)에 바이러스 코드가 포함되어 있다는 바이러스 정보를 서비스 옵션 메시지(Service Option Message)에 포함하여 수신자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함으로써 수신자에게 위험성을 통보하고, 바이러스 코드가 포함된 데이타를 수신할지 여부를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그 후, 이동통신 시스템은 데이타 처리단계(S140)를 통해 수신자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의 데이타 수신 여부 선택정보에 따라 해당 수신된 데이타를 수신자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거나 또는 무시한다.
즉, 서비스 옵션 메시지(Service Option Message)를 수신한 이동통신 단말기는 서비스 옵션(SO : Service Option) 요구를 수용할 수 있는지 여부를 파악하여 불가능하면 서비스 옵션(SO) 요구를 거절하거나 새로운 서비스 옵션(SO)으로 연결할 것을 요구하는 서비스 옵션 협정(Service Option Negotiation) 과정을 수행하므로, 바이러스 정보를 수신한 수신자가 바이러스 코드가 포함된 데이타를 수신하기를 원하지 않을 경우에는 서비스 옵션(SO) 요구를 거절한다. 그러면, 이동통신 시스템은 서비스 옵션(SO) 요구 거절에 따라 상기 데이타 처리단계(S140)를 통해 데이타 전송을 중지한다. 이 때, 전송이 중지된 바이러스 코드가 포함된 데이타는 삭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일, 바이러스 정보를 수신한 수신자가 바이러스 코드가 포함된 데이타를 수신하기를 원할 경우에는 수신자 이동통신 단말기는 이동통신 시스템에 서비스 연결 메시지(Service Connection Message)를 전송하여 발신자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데이타 수신을 요청한다. 그러면, 이동통신 시스템은 상기 데이타 처리단계(S140)를 통해 발신자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데이타를 수신자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한다.
이 때, 상기 데이타 처리단계(S140)에서 수신자 이동통신 단말기로 데이타 전송시 해당 바이러스를 치료하여 전송함으로써 수신자 이동통신 단말기의 바이러스 감염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위와 같이함에 의해 상기에서 제시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바이러스 감염 방지 시스템 및 방법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바이러스 감염 방지 시스템 및 방법은 이동통신 시스템과 이동통신 단말기 상호간에 협정된 메시지를 이용해 이동통신 시스템이 바이러스 코드가 포함된 데이타를 수신할 수신자 이동통신 단말기로 데이타를 전송하기 전에 바이러스 정보를 통보함으로써 수신자가 해당 데이타를 수신할지 여부를 선택하도록 하여 수신자의 동의하에 모바일 바이러스(Mobile Virus)를 사전 차단할 수 있어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를 보호할 수 있는 유용한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의해 참조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기술되었지만, 이러한 기재로부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포괄되는 범위내에서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명백하다.

Claims (10)

  1. 발신자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데이타에 바이러스 코드(Virus Code)가 포함되어 있는지 검사하여, 발신자가 전송한 데이타에 바이러스 코드가 포함되어 있을 경우, 바이러스 코드가 포함된 데이타를 전송하기 전에 수신자 이동통신 단말기로 바이러스 정보를 전송하여 통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바이러스 감염 방지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바이러스 감염 방지 시스템이:
    발신자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데이타를 분석하여, 전송된 데이타내에 바이러스 코드(Virus Code)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검사하는 바이러스 검사부와;
    상기 바이러스 검사부에 의해 전송된 데이타내에 바이러스 코드가 포함되어 있다 판단된 경우, 서비스 옵션 메시지(Service Option Message)를 통해 수신자 이동통신 단말기로 바이러스 정보를 전송하여 통보하는 바이러스 정보전송부와;
    수신자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의 데이타 수신 여부 선택정보에 따라 해당 수신된 데이타를 수신자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거나 또는 무시하는 데이타 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바이러스 감염 방지 시스 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러스 검사부가:
    발신자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데이타를 데이타베이스에 저장된 바이러스 패턴과 비교하여 전송된 데이타내에 바이러스 코드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바이러스 감염 방지 시스템.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타 처리부가:
    수신자 이동통신 단말기로 데이타 전송시 해당 바이러스를 치료하여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바이러스 감염 방지 시스템.
  5. 제 1 항 내지 제 4 항에 기재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바이러스 감염 방지 시스템을 탑재한 패킷 데이타 서빙 노드(PDSN : Packet Data Serving Node).
  6. 제 1 항 내지 제 4 항에 기재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바이러스 감염 방지 시스템을 탑재한 망 연동장치(IWF : InterWorking Fuction).
  7. 제 1 항 내지 제 4 항에 기재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바이러스 감염 방지 시스 템을 탑재한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 센터(MMSC : Multimedia Message Service Center).
  8. 이동통신 시스템이 발신자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데이타를 수신하는 데이타 수신단계와;
    이동통신 시스템이 상기 데이타 수신단계에 의해 수신한 데이타에 바이러스 코드(Virus Code)가 포함되어 있는지 검사하는 바이러스 검사단계와;
    상기 바이러스 검사단계에 의해 수신한 데이타에 바이러스 코드(Virus Code)가 포함되어 있다 판단된 경우, 이동통신 시스템이 서비스 옵션 메시지(Service Option Message)를 통해 수신자 이동통신 단말기로 바이러스 정보를 전송하여 통보하는 바이러스 정보전송단계와;
    수신자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의 데이타 수신 여부 선택정보에 따라 이동통신 시스템이 해당 수신된 데이타를 수신자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거나 또는 무시하는 데이타 처리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바이러스 감염 방지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러스 검사단계에서:
    발신자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데이타를 데이타베이스에 저장된 바이러스 패턴과 비교하여 전송된 데이타내에 바이러스 코드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바이러스 감염 방지 방법.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타 처리단계에서:
    수신자 이동통신 단말기로 데이타 전송시 해당 바이러스를 치료하여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바이러스 감염 방지 방법.
KR1020040110425A 2004-12-22 2004-12-22 이동통신 단말기의 바이러스 감염 방지 시스템 및 방법 KR1006986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10425A KR100698668B1 (ko) 2004-12-22 2004-12-22 이동통신 단말기의 바이러스 감염 방지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10425A KR100698668B1 (ko) 2004-12-22 2004-12-22 이동통신 단말기의 바이러스 감염 방지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71930A true KR20060071930A (ko) 2006-06-27
KR100698668B1 KR100698668B1 (ko) 2007-03-23

Family

ID=371652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10425A KR100698668B1 (ko) 2004-12-22 2004-12-22 이동통신 단말기의 바이러스 감염 방지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9866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7439B1 (ko) * 2008-09-02 2015-03-31 엘지전자 주식회사 바이러스 감염을 방지할 수 있는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7439B1 (ko) * 2008-09-02 2015-03-31 엘지전자 주식회사 바이러스 감염을 방지할 수 있는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98668B1 (ko) 2007-03-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02933A (en) Inter-system soft handoff
US7574193B2 (en) Emergency call support for mobile communications
JP4485521B2 (ja) 無効な加入者識別番号を有する無線装置に対するパケットデータ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緊急セッションの確立
RU2332798C2 (ru)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подтверждения ошибки для беспроводной системы связи
US7555285B2 (en) Detection of cloned communication united based on message contents
JPH11127468A (ja) 通信制御装置及び無線通信システム
JP5648762B2 (ja) 移動通信システム、基地局、ゲートウェイ装置、コアネットワーク装置、通信方法
EP1305967B1 (en) Control of unciphered user traffic
KR102417184B1 (ko) 기지국의 진위를 식별하기 위한 무선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TW200935948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terminal accessing a base station in broadb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JP4957864B2 (ja) 移動通信システム
KR19990016014A (ko) 이동통신 글로벌 시스템에서 쇼트메시지 그룹 전송방법
KR100507394B1 (ko) 부정 시스템 액세스를 감소시키는 방법
US11451552B2 (en) Basic service set (BSS) color-based containment and mitigation
CN111432395B (zh) 一种漫游控制方法及装置
KR100698668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바이러스 감염 방지 시스템 및 방법
US20050113094A1 (en) Global authentication continuity feature for handoff to a neighboring mobile switching center
KR100878073B1 (ko) 이동통신망에서 분실폰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070007602A (ko) 무선통신 단말기의 바이러스 감염 방지 시스템 및 방법
KR101478839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화상호 핸드오버를 제어하는 방법 및장치
KR100654540B1 (ko) 휴지 상태에서 호 연결없이 수행 가능한 핸드오프 방법
KR100609591B1 (ko) 단문메시지 전송확인 기능이 개선된 단문메시지관리시스템과, 이를 탑재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단문메시지 전송확인 방법
KR100755551B1 (ko) 발신자로의 착신자 호출 상황 알림 방법
KR101095499B1 (ko) 이동통신시스템에서 단문메시지 수신중의 음성호 처리 방법
KR20080070308A (ko) Cdma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지국 제어기 및 음성 프레임암호화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2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