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07439B1 - 바이러스 감염을 방지할 수 있는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바이러스 감염을 방지할 수 있는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07439B1
KR101507439B1 KR1020080086445A KR20080086445A KR101507439B1 KR 101507439 B1 KR101507439 B1 KR 101507439B1 KR 1020080086445 A KR1020080086445 A KR 1020080086445A KR 20080086445 A KR20080086445 A KR 20080086445A KR 101507439 B1 KR101507439 B1 KR 1015074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e
virus
quarantine
call
ic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864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27505A (ko
Inventor
김태용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864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7439B1/ko
Priority to EP09010881.2A priority patent/EP2159730B1/en
Priority to US12/547,034 priority patent/US8621633B2/en
Priority to CN200910171570.6A priority patent/CN101668077B/zh
Publication of KR201000275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275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74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74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50Monitoring users, programs or devices to maintain the integrity of platforms, e.g. of processors, firmware or operating systems
    • G06F21/55Detecting local intrusion or implementing counter-measures
    • G06F21/56Computer malware detection or handling, e.g. anti-virus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12Detection or prevention of fraud
    • H04W12/128Anti-malware arrangements, e.g. protection against SMS fraud or mobile malwa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휴대 단말기의 동작 제어방법은, 통화를 위한 호 연결 시도가 감지된 경우, 호 연결 시도에 대응하는 감지 신호를 출력한다. 그리고, 사용자 입력에 따라 호 연결이 허용되는 경우, 호를 연결하여 통화를 수행하고, 사용자 입력에 따라 호 연결이 허용되지 않는 경우, 호 연결을 차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바이러스 감염이 의심되는 동작의 수행을 차단하여 바이러스 피해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휴대 단말기, 바이러스, 백신, 검역소

Description

바이러스 감염을 방지할 수 있는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Mobile terminal capable of protecing virus infection and operation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단말기 특성에 맞도록 바이러스 감염을 방지할 수 있는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휴대 단말기는 휴대가 가능하면서 음성 및 영상 통화를 수행할 수 있는 기능, 정보를 입·출력할 수 있는 기능, 및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기능 등을 하나 이상 갖춘 휴대용 기기이다. 이러한 휴대 단말기는 그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 파일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무선 인터넷 등과 같은 복잡한 기능들을 갖추게 되었으며, 종합적인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이러한 멀티미디어 기기의 형태로 구현된 휴대 단말기에는, 복잡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적 측면에서 새로운 시도들이 다양하게 적용되고 있다.
그런데, 휴대 단말기의 기능이 복잡해지고 다양해지면서, 휴대 단말기가 바 이러스에 감염되는 사례가 발생하고 있으며, 휴대 단말기에 감염가능한 바이러스의 종류도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휴대 단말기에도 바이러스 감염 방지나 바이러스 치료를 위한 방법이 필요하게 되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바이러스 감염 방지방법은, PC를 기반으로 하는 방법으로, 파일 시스템 접근이나 인터넷 접근 등을 검사하여, 감염 행동으로 의심되는 것을 감지하는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또한, 휴대 단말기를 기반으로 하는 방법도 존재하지만, 대부분 단순한 검사만을 수행하며, 바이러스 감염 동작의 감지 및 그 피해를 회피하는 기능은 제한적이다.
즉, PC를 기반으로 하는 방법의 경우, 휴대 단말기의 특성에 따라 발생하는 음성이나 영상 전화, 메시지 전송, 블루투스나 WLAN 등의 연결과 같은 동작과 관련한 바이러스 감염에 대응하기 어렵고, 범용적인 PC를 기반으로 하기 때문에 매우 소극적으로 피해 최소화를 수행하고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PC를 기반으로 하는 방법을 휴대 단말기에 이용하는 경우, 휴대 단말기의 특성을 반영하지 못하여 바이러스 피해를 회피하는데 한계가 존재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 단말기의 특성에 맞도록 바이러스 감염 동작을 감지하여 바이러스 피해를 회피할 수 있도록 하는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동작 제어방법은, 통화를 위한 호 연결 시도가 감지된 경우, 상기 호 연결 시도에 대응하는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사용자 명령에 따라 상기 호 연결이 허용되는 경우, 상기 호를 연결하여 통화를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명령에 따라 상기 호 연결이 허용되지 않는 경우, 상기 호 연결을 차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동작 제어방법은, 바이러스 감염이 예상되는 동작이 감지되는 단계, 상기 동작을 차단하고, 상기 동작에 대응하는 파일을 검역소 영역으로 이동시켜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검역소 영역에 저장된 파일에 대해 바이러스 검사를 수행하여, 상기 저장된 파일에 대응하는 아이콘을 상기 바이러스 검사 결과에 따라 분류하여 검역소 표시창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는, 통화를 위한 호를 연결하는 무선통신부, 및 상기 무선통신부를 통한 호 연결 시도가 감지된 경우, 상기 호 연결 시도에 대응하는 감지 신호를 출력하고, 사용자 명령에 따라 상기 호 연결의 허용시에는 상기 호를 연결하여 통화가 수행되도록 하고, 상기 호 연결의 불허시에는 상기 호 연결을 차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는, 디스플레이부, 검역소 영역이 설정되는 메모리, 및 바이러스 감염이 예상되는 동작의 감지시, 상기 동작을 차단한 후, 상기 동작에 대응하는 파일을 상기 검역소 영역으로 이동시켜 저장하며, 상기 검역소 영역에 저장된 파일에 대해 바이러스 검사를 실시하여, 상기 저장된 파일에 대 응하는 아이콘을 상기 검사 결과에 따라 분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상기 방법을 프로세서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휴대 단말기에 치명적인 바이러스 감염 행동을 감지 및 통보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요청이나 자동 판단에 의해서 검역소와 연동하여 적극적으로 바이러스 피해를 회피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일차적으로 감염 동작을 통보하고, 이차적으로 검역소 영역으로 대응하는 파일을 이동시켜, 적극적인 바이러스 행동 억제 및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휴대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notebook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등이 포함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단순히 본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특별히 중요한 의미 또는 역할을 부여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상기 "모듈" 및 "부"는 서로 혼용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블럭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를 기능에 따른 구성요소 관점에서 살펴보겠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휴대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A/V(Audio/Video) 입력부(120), 사용자 입력부(130), 센싱부(140), 출력부(150), 메모리(160), 인터페이스부(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요소들은 실제 응용에서 구현될 때 필요에 따라 2 이상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합쳐지거나, 혹은 하나의 구성요소가 2 이상의 구성요소로 세분되어 구성될 수 있다.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3), 무선 인터넷 모듈(115), 근거리 통신 모듈(117), 및 GPS 모듈(119)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수신 모듈(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 방송관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한다. 이때,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관리 서버는, 방송 신호 및 방송 관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서버나, 기 생성된 방송 신호 및 방송관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받아 단말기에 송신하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방송관련 정보는, 방송 채널, 방송 프로그램 또는 방송 서비스 제공자에 관련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방송 신호는, TV 방송 신호, 라디오 방송 신호, 데이터 방송 신호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TV 방송 신호 또는 라디오 방송 신호에 데이터 방송 신호가 결합한 형태의 방송 신호도 포함할 수 있다. 방송관련 정보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도 제공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이동통신 모듈(113)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방송관련 정보는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의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또는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의 ESG(Electronic Service Guide) 등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방송수신 모듈(111)은, 각종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데, 특히, DMB-T(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Terrestrial), DMB-S(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Satellite), MediaFLO(Media Forward Link Only),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ISDB-T(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Terrestrial) 등의 디지털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방송수신 모듈(111)은, 이와 같은 디지털 방송 시스템뿐만 아니라 방송 신호를 제공하는 모든 방송 시스템에 적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방송수신 모듈(111)을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는 메모리(160)에 저장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113)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여기서,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115)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무선 인터넷 모듈(115)은 휴대 단말기(1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이 이용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7)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119)은 복수 개의 GPS 인공위성으로부터 위치 정보를 수신한다.
A/V(Audio/Video) 입력부(1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121)와 마이크(123)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그리고,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다.
카메라(12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160)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부(11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단말기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마이크(123)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그리고,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이동통신 모듈(113)를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마이크 (123)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잡음(noise)를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사용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하여 입력하는 키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핑거 마우스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터치 패드가 후술하는 디스플레이부(151)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룰 경우, 이를 터치 스크린(touch screen)이라 부를 수 있다.
센싱부(140)는 휴대 단말기(100)의 개폐 상태, 휴대 단말기(100)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등과 같이 휴대 단말기(1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휴대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100)가 슬라이드 폰 형태인 경우 슬라이드 폰의 개폐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부(190)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페이스부(170)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과 관련된 센싱 기능을 담당할 수 있다.
센싱부(140)는 근접센서(Proximity Sensor)(141), 압력센서(143), 및 가속도 센서(14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근접센서(141)는 접근하는 물체나,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 등을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할 수 있도록 한다. 근접센서(141)는, 교류자계의 변화나 정자계의 변화를 이용하거나, 혹은 정전용량의 변화율 등을 이용하여 근접물체를 검출할 수 있다. 근접센서(141)는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압력센서(143)는 휴대 단말기(100)에 압력이 가해지는지 여부와, 그 압력의 크기 등을 검출할 수 있다. 압력센서(143)는 사용환경에 따라 휴대 단말기(100)에서 압력의 검출이 필요한 부위에 설치될 수 있다. 만일, 압력센서(143)가 디스플레이부(151)에 설치되는 경우, 압력센서(143)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1)를 통한 터치 입력과, 터치 입력보다 더 큰 압력이 가해지는 압력터치 입력을 식별할 수 있다. 또한, 압력센서(143)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압력터치 입력시 디스플레이부(151)에 가해지는 압력의 크기도 알 수 있다.
가속도 센서(145)는 어느 한 방향의 가속도 변화에 대해서 이를 전기 신호로 바꾸어 주는 소자로서, MEMS(micro-electromechanical systems) 기술의 발달과 더불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 가속도 센서(145)에는, 자동차의 에어백 시스템에 내장되어 충돌을 감지하는데 사용하는 큰 값의 가속도를 측정하는 것부터, 사람 손의 미세한 동작을 인식하여 게임 등의 입력 수단으로 사용하는 미세한 값의 가속도를 측정하는 것까지 다양한 종류가 있다. 가속도 센서(145)는 보통 2축이나 3축을 하나의 패키지에 실장하여 구성되며, 사용 환경에 따라서는 Z축 한 축만 필요한 경우도 있다. 따라서, 어떤 이유로 Z축 방향 대신 X축 또는 Y축 방향의 가속도 센서를 써야 할 경우에는 별도의 조각 기판을 사용하여 가속도 센서를 주 기판에 세워서 실장할 수도 있다.
출력부(15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또는 알람(alarm) 신호의 출력을 위한 것이다. 출력부(150)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음향출력 모듈(153), 알람부(155), 및 햅틱 모듈(157)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휴대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 출력한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100)가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100)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 촬영되거나 수신된 영상을 각각 혹은 동시에 표시할 수 있으며, UI, GUI를 표시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51)와 터치패드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어 터치스크린으로 구성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151)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만일, 디스플레이부(151)가 터치스크린으로 구성되는 경우, 터치스크린 패널, 터치스크린 패널 제어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터치스크린 패널은 외부에 부착되는 투명한 패널로서, 휴대 단말기(100)의 내부 버스에 연결될 수 있다. 터치스크린 패널은 접촉 결과를 주시하고 있다가, 터치입력이 있는 경우 대응하는 신호들을 터치스크린 패널 제어기로 보낸다. 터치스크린 패널 제어기는 그 신호들을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180)로 전송하여, 제어부(180)가 터치입력이 있었는지 여부와 터치스크린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를 알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51)로 전자종이(e-Paper)가 구성될 수 있다. 전자종이(e-Paper)는 일종의 반사형 디스플레이로서, 기존의 종이와 잉크처럼 높은 해상도, 넓은 시야각, 밝은 흰색 배경으로 우수한 시각 특성을 가진다. 전자종이(e-Paper)는 플라스틱, 금속, 종이 등 어떠한 기판상에도 구현이 가능하고, 전원을 차단한 후에도 화상이 유지되고 백라이트(back light) 전원이 없어 휴대 단말기(100)의 배터리 수명이 오래 유지될 수 있다. 전자종이로는 정전화가 충전된 반구형 트 위스트 볼을 이용하거나, 전기영동법 및 마이크로 캡슐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이외에도 디스플레이부(1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도 있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1)가 2개 이상 존재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100)에 외부 디스플레이부(미도시)와 내부 디스플레이부(미도시)가 동시에 구비될 수 있다.
음향출력 모듈(153)은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한다. 또한, 음향출력 모듈(153)은 휴대 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 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한다. 이러한 음향출력 모듈(153)에는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알람부(155)는 휴대 단말기(1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휴대 단말기(100)에서 발생하는 이벤트의 예로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등이 있다. 알람부(155)는 오디오 신호나 비디오 신호 이외에 다른 형태로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예를 들면, 진동 형태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알람부(155)는 호 신호가 수신되거나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 이를 알리기 위해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알람부(155)는 키 신호가 입력된 경우, 키 신호 입력에 대한 피드백으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이러한 알람부(155)가 출력하는 신호를 통해 사용자는 이벤트 발생을 인지할 수 있다. 휴대 단말기(100)에서 이벤트 발생 알림을 위한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51)나 음향출력 모듈(153)를 통해서도 출력될 수 있다.
햅틱 모듈(haptic module)(157)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157)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 효과가 있다. 햅틱 모듈(157)이 촉각 효과로 진동을 발생시키는 경우, 햅택 모듈(157)이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변환가능하며, 서로 다른 진동을 합성하여 출력하거나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7)은 진동 외에도, 접촉 피부 면에 대해 수직 운동하는 핀 배열에 의한 자극에 의한 효과, 분사구나 흡입구를 통한 공기의 분사력이나 흡입력을 통한 자극에 의한 효과, 피부 표면을 스치는 자극에 의한 효과, 전극(eletrode)의 접촉을 통한 자극에 의한 효과, 정전기력을 이용한 자극에 의한 효과, 흡열이나 발열이 가능한 소자를 이용한 냉온감 재현에 의한 효과 등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햅틱 모듈(157)은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촉각 효과의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손가락이나 팔 등의 근감각을 통해 촉각 효과를 느낄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7)은 휴대 단말기(100)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메모리(160)는 제어부(18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입력되거나 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메모리(1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 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휴대 단말기(100)는 인터넷(internet) 상에서 메모리(15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를 운영할 수도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휴대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수행한다. 휴대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외부기기의 예로는, 유/무선 헤드셋, 외부 충전기,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SIM/UIM card 등과 같은 카드 소켓, 오디오 I/O(Input/Output) 단자, 비디오 I/O(Input/Output) 단자, 이어폰 등이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이러한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휴대 단말기(1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할 수 있고, 휴대 단말기(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휴대 단말기(100)가 외부 크래들(cradle)과 연결될 때 연결된 크래들로부터의 전원이 휴대 단말기(100)에 공급되는 통로가 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크래들에서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가 휴대 단말기(100)로 전달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제어부(180)는 통상적으로 상기 각부의 동작을 제어하여 휴대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또한, 제어부(180)는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재생 모듈(181)을 구비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재생 모듈(181)은 제어부(180) 내에 하드웨어로 구성될 수도 있고, 제어부(180)와 별도로 소프트웨어로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이와 같은 구성의 휴대 단말기(100)는 유무선 통신 시스템 및 위성 기반 통신 시스템을 포함하여, 프레임(frame) 또는 패킷(packet)을 통하여 데이터(data)를 전송할 수 있는 통신 시스템에서 동작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를 기능에 따른 구성요소 관점에서 살펴보았다. 이하에서는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를 외형에 따른 구성요소 관점에서 더욱 살펴보겠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폴더 타입, 바 타입, 스윙타입, 슬라이더 타입 등과 같은 여러 타입의 휴대 단말기들 중에서 터치스크린이 구비되어 있는 슬라이더 타입의 휴대 단말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슬라이더 타입의 휴대 단말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전술한 타입을 포함한 모든 타입의 휴대 단말기에 적용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휴대 단말기는 제1 바디(100A), 및 제1 바디(100A)에 적어도 일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성된 제2 바디(100B)를 포함한다.
제1 바디(100A)가 제2 바디(100B)와 중첩되게 배치된 상태를 닫힌 상태(closed configuration)라 칭할 수 있으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바디(100A)가 제2 바디(100B)의 적어도 일 부분을 노출한 상태를 열린 상태(open configuration)라 칭할 수 있다.
휴대 단말기(100)가 닫힌 상태에서 주로 대기 모드(Standby Mode)로 작동하지만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대기 모드가 해제되기도 한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100)가 열린 상태에서 주로 통화 모드 등으로 작동하지만, 사용자의 조작 또는 소정 시간의 경과에 의해 대기 모드로 전환되기도 한다.
제1 바디(100A)의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는, 제1 프론트 케이스(100A-1)와 제1 리어 케이스(100A-2)에 의해 형성된다. 제1 프론트 케이스(100A-1)와 제1 리어 케이스(100A-2)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내장된다. 제1 프론트 케이스(100A-1)와 제1 리어 케이스(100A-2)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중간 케이스들이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케이스들은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재질,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또는 티타늄(Ti) 등과 같은 금속 재질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제1 바디(100A), 구체적으로 제1 프론트 케이스(100A-1)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제1 음향출력모듈(153a), 제1 카메라(121a), 및 제1 사용자 입력부(130a)가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정보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등을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부(151)는 터치패드가 레이어 구조로 중첩됨으로써, 디스플레이부(151)가 터치스크린으로 동작하여 사용자의 터치에 의한 정보의 입력이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제 1 음향출력 모듈(153a)은 리시버 또는 스피커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제1 카메라(121a)는 사용자 등에 대한 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촬영하기에 적절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제1 바디(100A)와 마찬가지로, 제2 바디(100B)의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는 제 2 프론트 케이스(100B-1)와 제2 리어 케이스(100B-2)에 의해 형성된다. 제2 바디(100B), 구체적으로 제2 프론트 케이스(100B-1)의 전면(front face)에는 제2 사용자 입력부(130b)가 배치될 수 있다. 제2 프론트 케이스(100B-1) 또는 제2 리어 케이스(100B-2)) 중 적어도 하나에는 제3 및 제4 사용자 입력부(130c, 130d), 마이크(123), 및 인터페이스부(170)가 배치될 수 있다.
제1 내지 제4 사용자 입력부(130a, 130b, 130c, 130d)는 사용자 입력부(130)라 통칭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촉각적인 느낌을 주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의 푸시 또는 터치 조작에 의해 명령 또는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는 돔 스위치 또는 터치 패드로 구현되거나, 키를 회전시키는 휠 또는 조그 방식이나 조이스틱과 같이 조작하는 방식 등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기능적인 면에서, 제1 사용자 입력부(130a)는 시작, 종료, 스크롤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것이고, 제2 사용자 입력부(130b)는 숫자 또는 문자, 심 볼(symbol) 등을 입력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제3 및 제4 사용자 입력부(130c, 130d)는 휴대단말기(100) 내의 특수한 기능을 활성화하기 위한 핫 키(hot-key)로서 작동할 수 있다.
마이크(123)는 사용자의 음성, 기타 소리 등을 입력받기 적절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가 외부 기기와 데이터 교환 등을 할 수 있게 하는 통로가 된다. 예를 들어, 인터페이스부(170)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이어폰과 연결하기 위한 접속단자, 근거리 통신을 위한 포트, 또는 휴대 단말기(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 단자들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SIM(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또는 UIM(user identity module), 정보 저장을 위한 메모리 카드 등의 외장형 카드를 수용하는 카드 소켓일 수도 있다.
제2 리어 케이스(100B-2) 측에는 휴대 단말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190)가 장착된다. 전원공급부(190)는, 예를 들어 충전 가능한 배터리로서,충전 등을 위하여 제2 바디(100B)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도 3는 도 2에 도시한 휴대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3를 참조하면, 제2 바디(100B)의 제2 리어 케이스(100B-2)의 후면에는 휠 타입의 제5 사용자 입력부(130e)와 제2 카메라(121b)가 추가로 장착될 수 있으며, 제2 바디(100B)의 측면에는 제6 사용자 입력부(130f)가 배치될 수 있다.
제2 카메라(121b)는 제1 카메라 모듈(121a)와 실질적으로 반대되는 촬영 방향을 가지며, 제1 카메라(121a)와 서로 다른 화소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카메라(121a)는 화상 통화 등의 경우에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여 상대방에 전송함에 무리가 없도록 저화소를 가지며, 제2 카메라(121b)는 일반적인 피사체를 촬영하고 바로 전송하지는 않는 경우가 많으므로 고 화소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카메라(121b)에 인접하게는 플래쉬(125)와 거울(126)이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 플래쉬(125)는 제2 카메라(121b)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에 상기 피사체를 향해 빛을 비추게 된다. 거울(126)은 사용자가 제2 카메라(121b)를 이용하여 자신을 촬영(셀프 촬영)하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자 자신의 얼굴 등을 비춰볼 수 있게 한다.
제2 리어 케이스(100B-2)에는 제2 음향출력 모듈(미도시)가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제2 음향출력 모듈은 제1 음향출력 모듈(153a)와 함께 스테레오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스피커폰 모드로 통화를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제2 리어 케이스(100B-2)의 일 측에는 통화 등을 위한 안테나 외에 방송신호 수신용 안테나(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다. 안테나는 제2 바디(100B)에서 인출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제1 바디(100A)의 제1 리어 케이스(100A-2) 측에는 제1 바디(100A)와 제2 바디(100B)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하는 슬라이드 모듈(100C)의 일 부분이 배치된다. 슬라이드 모듈(100C)의 다른 부분은 제2 바디(100B)의 제2 프론트 케이스(100B-1) 측에 배치되어,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부로 드러나지 않는 형태일 수 있다.
이상에서는 제2 카메라(121b) 등이 제2 바디(100B)에 배치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2 카메라(121b) 등과 같이 제2 리어 케이스(100B-2)에 배치되는 것으로 설명한 구성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제1 바디(100A), 주로는 제1 리어 케이스(100A-2)에 장착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구성하는 경우, 닫힌 상태에서 제1 리어 케이스(100A-2)에 배치되는 구성들이 제2 바디(100B)에 의해 보호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제2 카메라(121b)가 별도로 구비되지 않더라도, 제1 카메라(121a)를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어 제2 카메라(121b)의 촬영 방향까지 촬영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리어 케이스(100A-2) 측에는 휴대 단말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190)가 장착된다. 전원공급부(190)는, 예를 들어 충전 가능한 배터리로서, 충전 등을 위하여 리어 케이스(100A-2)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동작 제어방법에 대한 설명에 제공되는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제어부(180)는 국제전화 등과 같은 장거리 통화(long call)를 위한 호 연결 시도가 감지된 경우(S200), 호 연결 시도에 대응하는 감지 신호가 출력되도록 제어한다(S202). 즉, 휴대 단말기(100)에 침투한 바이러스가 국제전화 등과 같은 장거리 통화를 실행하는 경우가 존재하므로, 사용자 확인을 위해서 감지 신호를 출력한다. 이때, 감지 신호로는, OSD(On Screen Display) 메시지나 촉각 효과(haptic effect) 등으로 표시될 수 있다. 예컨대, 영상 통화가 수행 중인 경우, 팝업(pop-up) 창을 이용하여 메시지를 표시하거나 반투명 창으로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다. 음성 통화의 수행 중인 경우에는 진동을 출력할 수 있다.
감지 신호에 따라 입력되는 사용자 입력에 의해 호 연결이 허용되는 경우에 는(S204), 제어부(180)는 호를 연결하여 통화 종료의 전까지 통화가 수행되도록 제어한다(S212, S213).
그러나, 감지 신호에 따라 입력되는 사용자 입력에 의해 호 연결이 허용되지 않는 경우(S204), 제어부(180)는 호 연결을 차단하고(S206), 실행중인 동작을 차단한다(S208). 그리고, 제어부(180)는 차단된 동작에 대응하는 파일을 검역소 영역으로 이동시켜 저장한다(S210). 검역소 영역으로 이동시켜 저장된 파일은, 후술하는 검역소 조회 모드에서 최종 확인 과정을 거치게 된다.
이와 같은 과정에 의해, 바이러스 감염에 따라 임의로 장거리 통화가 수행되거나, 음성 통화나 화상 통화 중 다른 세션(session)을 열어 바이러스를 감염하거나 확산하는 동작 등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동작 제어방법에 대한 설명에 제공되는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블루투스나 WLAN 등과 같은 근거리 통신을 통해 블루투스 메시지나 다운로더블 웨젯(Downloadable Widget) 등과 같은 데이터를 수신하게 되면(S230), 제어부(180)는 대응하는 파일을 메모리(160)의 검역소 영역으로 이동시켜 저장한다(S248).
블루투스 모드의 설정과 같이, 근거리 통신 모드의 설정이 감지되는 경우에도(S232), 제어부(180)는 근거리 통신모드의 설정을 차단하고(S234), 대응하는 파일을 검역소 영역으로 이동시켜 저장한다(S248).
사용자 명령의 입력이 없이 동작 모드가 변경되는 경우에도(S236), 제어부(180)는 동작 모드의 변경을 차단하고(S238), 대응하는 파일을 검역소 영역으로 이동시켜 저장한다(S248). 동작 모드가 변경되는 예로는, 키 입력이나 터치 입력 등을 통한 사용자 입력 없이, 임의로 알람이나 모닝 콜의 시간이 변경되는 경우, 임의로 매너 모드가 변경되는 경우, 임의로 벨소리가 변동되는 경우 등이 있다.
단위 시간당 기준 개수 이상의 대량의 메시지가 발생하는 경우(S240), 제어부(180)는 메시지 송신을 차단하고(S242), 대응하는 파일을 검역소 영역으로 이동시켜 저장한다(S248). 즉, SMS(Short Message Service) 등의 메시지가 다수 발생되는 경우에도, 바이러스 감염으로 의심할 수 있으므로, 일단 메시지 송신을 차단하고, 확인 과정을 거치게 하는 것이다. 이외에도, 불필요한 통화 시도. 개인정보의 유출 시도 등, 휴대 단말기에서 알려지지 않은 바이러스로부터 시도되는 공격에 대한 대비를 하기 위해 사전 감시를 수행할 수 있다.
만일, 정상적인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는 경우에는(S244), 제어부(180)는 입력된 사용자 명령에 대응하는 동작이 수행되도록 제어한다(S246). 그리고, 검역소 영역으로 이동시켜 저장된 파일은, 후술하는 검역소 조회 모드에서 최종 확인 과정을 거치게 된다(S250).
이와 같은 과정에 의해, 바이러스에 감염된 것으로 의심되는 동작이 발생하는 경우, 동작을 차단한 후, 대응하는 파일을 검역소 영역으로 이동시켜, 사용자 확인 과정을 받도록 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동작 제어방법에서 검역소 조회 모드가 선택된 경우 동작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대기 화면 등에서 사용자 명령에 따라 검역소 조회 모드가 선택되면(S260), 제어부(180)는 검역소 영역에 저장된 파일에 대응하는 아이콘이 바이러스 검사 결과에 따라 분류되어 디스플레이부(151)의 일 영역에 설정된 검역소 조회창에 표시되도록 한다(S262). 이때, 검사 결과에 따른 분류는, 검역소 영역에 저장된 파일에 대한 바이러스 검사를 수행하여, 안전한 파일, 바이러스 의심 파일, 및 바이러스 판정 파일 중 어느 하나로 분류할 수 있다.
검역소 조회창에 바이러스 의심 파일 및 바이러스 판정 파일로 분류되어 표시된 아이콘 중 어느 하나가 터치되거나 근접되어 선택된 경우(S264), 제어부(180)는 선택된 아이콘에 대응하는 파일과 관련된 바이러스 정보가 표시되도록 한다(S266).
검역소 조회창에서 안전한 파일로 분류되어 표시된 아이콘 중 어느 하나가 터치되어 검역소 조회창 밖으로 드래그되는 경우(S268), 제어부(180)는 드래그 되는 아이콘에 대응하는 파일이 실행되도록 제어한다(S270). 만일 바로 실행할 수 없는 파일의 경우에는, 검역소 영역에서 바이러스 검사가 완료된 파일이 저장되는 영역으로 이동시켜 저장된다.
검역소 조회창에서 바이러스 의심 파일로 분류되어 표시된 아이콘 중 어느 하나가 터치되어 검역소 조회창 밖으로 드래그되는 경우(S272), 제어부(180)는 대응하는 파일의 실행 여부를 질의한 결과에 따른 동작이 수행되도록 제어한다(S274). 즉, 파일의 실행 여부를 질의하는 메시지를 표시하고, 이에 대해 실행이 선택된 경우 대응하는 파일을 실행하고, 실행이 선택되지 않은 경우에는 검역소 영역에 계속 보관한다. 또한, 샘플(Sample)을 백신 회사에 송부할 것인지 혹은 삭 제할 것인지를 질의하는 메시지를 표시하고, 응답결과에 따라 샘플의 송부나 파일 삭제를 수행할 수도 있다.
검역소 조회창에서 바이러스 판정 파일로 분류되어 표시된 아이콘 중 어느 하나가 터치되어 검역소 조회창 밖으로 드래그되는 경우(S268), 제어부(180)는 대응하는 파일의 삭제 여부를 질의한 결과에 따른 동작이 수행되도록 제어한다(S278). 즉, 대응하는 파일의 삭제 여부를 질의하는 메시지를 표시하고, 이에 대해 삭제가 선택된 경우 대응하는 파일을 삭제하고, 삭제가 선택되지 않은 경우에는 검역소 영역에 계속 보관한다. 이 경우에도, 샘플(Sample)을 백신 회사에 송부할 것인지 질의하여, 그 응답결과에 따라 샘플을 송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검역소 영역에 저장된 파일을 검사한 결과에 따라 분류하여 표시하고, 검역소 조회창에서 아이콘을 밖으로 끌어서 놓는 경우, 분류된 결과에 따라 서로 다른 동작을 수행한다.
다음의 도 7 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동작 제어방법에 대한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7은 휴대 단말기의 대기 화면(300)에 검역소 조회 모드의 선택을 위한 아이콘(310)이 표시된 것을 나타낸다. 이와 같은 아이콘(310)을 터치 입력 등에 의해 선택한 경우,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은, 검역소 조회창(320)이 표시된다. 검역소 조회창(320)에는 검역소 영역에 저장된 파일에 대응하는 아이콘이 바이러스 검사 결과에 따라, 안전한 파일, 바이러스 의심 파일, 바이러스 판정 파일로 분류되어 표시된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검역소 조회창(320)에 표시된 아이콘 중 어느 하나를 터치하거나 근접하여 선택한 경우(330), 선택한 아이콘에 대응하는 파일에 대한 바이러스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검역소 조회창(320)에서 어느 한 아이콘을 터치하여 검역소 조회창(320) 밖으로 드래그 하는 경우(340), 분류된 기준에 따라 전술한 바와 같은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안전한 파일로 분류된 아이콘 중 어느 하나가 터치되어 드래그 되는 경우에는(350), 대응하는 파일은 실행되며, 검역소 영역이 설정된 오픈 파티션 영역(400)에서 바이러스 검사가 완료된 파일이 저장되는 보안 파티션 영역(410)으로 이동되어 저장된다(360).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정에 의해, 바이러스 감염 동작을 감지하고, 대응하는 파일을 검역소 영역으로 이동시켜 저장하여, 바이러스 피해를 적극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은 상기한 바와 같이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에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은 MSM(Mobile Station Modem) 등과 같이 휴대 단말기에 구비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프로세서에 의해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 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인터넷을 통한 전송 등과 같은 캐리어 웨이브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전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동작 제어방법에 대한 설명에 제공되는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동작 제어방법에 대한 설명에 제공되는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동작 제어방법에서 검역소 조회 모드가 선택된 경우 동작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그리고
도 8 내지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동작 제어방법의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 : 무선 통신부 120 : A/V 입력부
130 : 사용자 입력부 140 : 센싱부
150 : 출력부 160 : 메모리
170 : 인터페이스부 180 : 제어부

Claims (20)

  1. 통화를 위한 호 연결 시도가 감지된 경우, 상기 호 연결 시도에 대응하는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상기 호 연결이 허용되는 경우, 상기 호를 연결하여 통화를 수행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상기 호 연결이 허용되지 않는 경우, 상기 호 연결을 차단하는 단계;
    상기 호 연결 차단 시, 실행중인 동작을 차단한 후 상기 동작에 대응하는 파일을 검역소 영역으로 이동시켜 저장하고, 상기 검역소 영역에 저장된 파일들에 대해 바이러스 검사를 실시하는 단계;
    상기 바이러스 검사의 결과를 기반으로, 상기 저장된 파일들을 안전한 파일, 바이러스 의심 파일 및 바이러스 판정 파일 중 어느 하나로 분류하는 단계; 및
    상기 분류된 파일들에 대응하는 복수의 아이콘들을 검역소 표시창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아이콘들은 상기 저장된 파일들의 종류에 따라 3가지 타입의 아이콘으로 분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 휴대 단말기의 동작 제어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 신호는, OSD(On Screen Display) 메시지 및 촉각 효과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동작 제어방법.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화는 국제 통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동작 제어방법.
  5. 통화를 위한 호를 연결하는 무선통신부; 및
    상기 무선통신부를 통한 호 연결 시도가 감지된 경우, 상기 호 연결 시도에 대응하는 감지 신호를 출력하고,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상기 호 연결의 허용 시에는 상기 호를 연결하여 통화가 수행되도록 하고, 상기 호 연결의 불허 시에는 상기 호 연결을 차단하며, 상기 호 연결 차단 시, 실행중인 동작을 차단한 후 상기 동작에 대응하는 파일을 검역소 영역으로 이동시켜 저장하고, 상기 검역소 영역에 저장된 파일들에 대해 바이러스 검사를 실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바이러스 검사의 결과를 기반으로 상기 저장된 파일들을 안전한 파일, 바이러스 의심 파일 및 바이러스 판정 파일 중 어느 하나로 분류하고, 상기 분류된 파일들에 대응하는 복수의 아이콘들을 검역소 표시창에 표시하며,
    상기 복수의 아이콘들은 상기 저장된 파일들의 종류에 따라 3가지 타입의 아이콘으로 분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6. 삭제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검역소 영역이 설정되는 메모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8. 바이러스 감염이 예상되는 동작이 감지되는 단계;
    상기 동작을 차단하고, 상기 동작에 대응하는 파일을 검역소 영역으로 이동시켜 저장하는 단계;
    상기 검역소 영역에 저장된 파일들에 대해 바이러스 검사를 수행하는 단계;
    상기 바이러스 검사의 결과를 기반으로, 상기 저장된 파일들을 안전한 파일, 바이러스 의심 파일 및 바이러스 판정 파일 중 어느 하나로 분류하는 단계;
    상기 분류된 파일들에 대응하는 복수의 아이콘들을 검역소 표시창에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아이콘들 중 어느 하나가 상기 검역소 표시창 밖으로 터치 앤 드래그된 경우, 상기 드래그된 아이콘에 대응하는 파일의 종류에 따라 미리 결정된 동작을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아이콘들은 상기 저장된 파일들의 종류에 따라 3가지 타입의 아이콘으로 분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동작 제어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러스 감염이 예상되는 동작은, 근거리 통신을 통한 파일 수신, 사용자 명령 없이 근거리 통신 모드의 활성화, 사용자 명령 없이 동작 모드의 변경, 및 단위 시간당 기준량 이상의 메시지 발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동작 제어방법.
  10. 삭제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러스 의심 파일 및 상기 바이러스 판정 파일에 속하는 아이콘의 선택 시 관련 바이러스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동작 제어방법.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한 파일에 속하는 아이콘 중 어느 하나를 터치하여 상기 검역소 표시창 밖으로 드래그 하는 경우, 드래그되는 아이콘에 대응하는 파일을 실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동작 제어방법.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러스 의심 파일에 속하는 아이콘 중 어느 하나를 터치하여 상기 검역소 표시창 밖으로 드래그 하는 경우, 드래그되는 아이콘에 대응하는 파일의 실행 여부를 질의하는 메시지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동작 제어방법.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러스 판정 파일에 속하는 아이콘 중 어느 하나를 터치하여 상기 검역소 표시창 밖으로 드래그 하는 경우, 드래그되는 아이콘에 대응하는 파일의 삭제 여부를 질의하는 메시지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동작 제어방법.
  15. 제8항에 있어서,
    새로 추가된 파일을 상기 검역소 영역으로 이동시켜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동작 제어방법
  16.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검역소 영역에 저장된 파일에 대응하는 아이콘은 검역소 조회 모드 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동작 제어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대기화면에 상기 검역소 조회 모드의 선택을 위한 아이콘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동작 제어방법.
  18. 디스플레이부;
    검역소 영역이 설정되는 메모리; 및
    바이러스 감염이 예상되는 동작의 감지 시, 상기 동작을 차단한 후, 상기 동작에 대응하는 파일을 상기 검역소 영역으로 이동시켜 저장하며, 상기 검역소 영역에 저장된 파일들에 대해 바이러스 검사를 수행하고, 상기 바이러스 검사의 결과를 기반으로, 상기 저장된 파일들을 안전한 파일, 바이러스 의심 파일 및 바이러스 판정 파일 중 어느 하나로 분류하며, 상기 분류된 파일들에 대응하는 복수의 아이콘들이 검역소 표시창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아이콘들 중 어느 하나가 상기 검역소 표시창 밖으로 터치 앤 드래그된 경우, 상기 드래그된 아이콘에 대응하는 파일의 종류에 따라 미리 결정된 동작을 실행하며,
    상기 복수의 아이콘들은 상기 저장된 파일들의 종류에 따라 3가지 타입의 아이콘으로 분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9. 삭제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검역소 영역에 저장된 파일에 대응하는 아이콘은 검역소 조회 모드 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KR1020080086445A 2008-09-02 2008-09-02 바이러스 감염을 방지할 수 있는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KR1015074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6445A KR101507439B1 (ko) 2008-09-02 2008-09-02 바이러스 감염을 방지할 수 있는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EP09010881.2A EP2159730B1 (en) 2008-09-02 2009-08-25 Mobile terminal to prevent virus infection and method of controlling ope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US12/547,034 US8621633B2 (en) 2008-09-02 2009-08-25 Mobile terminal to prevent virus infection and method of controlling ope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CN200910171570.6A CN101668077B (zh) 2008-09-02 2009-09-01 防止病毒感染的移动终端以及该移动终端的操作控制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6445A KR101507439B1 (ko) 2008-09-02 2008-09-02 바이러스 감염을 방지할 수 있는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7505A KR20100027505A (ko) 2010-03-11
KR101507439B1 true KR101507439B1 (ko) 2015-03-31

Family

ID=413506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86445A KR101507439B1 (ko) 2008-09-02 2008-09-02 바이러스 감염을 방지할 수 있는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621633B2 (ko)
EP (1) EP2159730B1 (ko)
KR (1) KR101507439B1 (ko)
CN (1) CN10166807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33233A (ko) * 2008-09-19 2010-03-29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KR101097332B1 (ko) * 2010-02-10 2011-12-21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햅틱 기능을 갖춘 디스플레이 모듈
KR101018848B1 (ko) * 2010-06-28 2011-03-04 (주)더프론즈 모바일 기기의 악성 코드가 생성하는 네트워크 데이터를 제어하는 네트워크 데이터 제어 장치 및 네트워크 데이터 제어 방법
CN102572814B (zh) * 2010-12-27 2015-08-19 中国移动通信集团上海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病毒监测方法、系统及装置
EP2737742A4 (en) 2011-07-27 2015-01-28 Seven Networks Inc AUTOMATIC PRODUCTION AND DISTRIBUTION OF GUIDELINES INFORMATION ON MOBILE MOBILE TRANSPORT IN A WIRELESS NETWORK
CN102571785B (zh) * 2011-12-29 2015-01-07 奇智软件(北京)有限公司 一种处理终端存在的安全问题的方法及装置
US8774761B2 (en) * 2012-01-27 2014-07-08 Qualcomm Incorporated Mobile device to detect unexpected behaviour
US9077756B1 (en) * 2012-03-05 2015-07-07 Symantec Corporation Limiting external device access to mobile computing devices according to device type and connection context
CN102750487A (zh) * 2012-06-01 2012-10-24 钱袋网(北京)信息技术有限公司 键盘输入真实性验证方法及终端设备
US9298916B2 (en) * 2012-12-10 2016-03-29 Lookout,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enhanced file system monitoring on mobile communications devices
GB2515326A (en) * 2013-06-20 2014-12-24 F Secure Corp Detecting malware via outgoing radio messages
US9319423B2 (en) 2013-11-04 2016-04-19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Malware and anomaly detection via activity recognition based on sensor data
US9756074B2 (en) * 2013-12-26 2017-09-05 Fireeye, Inc. System and method for IPS and VM-based detection of suspicious objects
US10084813B2 (en) 2014-06-24 2018-09-25 Fireeye, Inc. Intrusion prevention and remedy system
CN106713758A (zh) * 2016-12-30 2017-05-24 上海华兴数字科技有限公司 一种工程机械无线数据传输装置
CN106940774B (zh) * 2017-03-22 2020-03-17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病毒扫描方法和装置
US10564796B2 (en) * 2017-12-14 2020-02-18 Mastercard International Incorporated Haptic interaction
US10207505B1 (en) 2018-01-08 2019-02-19 Eastman Kodak Company Method for fabricating a charging device
US11204648B2 (en) 2018-06-12 2021-12-21 Mastercard International Incorporated Handshake to establish agreement between two parties in virtual reality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65678A (ko) * 1999-04-08 2000-11-15 이계철 악의 호를 차단하기 위한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60071930A (ko) * 2004-12-22 2006-06-27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이동통신 단말기의 바이러스 감염 방지 시스템 및 방법
KR100673200B1 (ko) * 2004-08-31 2007-01-22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무선 단말기에서의 모바일 바이러스 감시 방법 및 그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11693B1 (en) * 2000-01-10 2002-06-25 Micron Technolgy, Inc. Long distance modem warning
JP3693244B2 (ja) * 2001-10-31 2005-09-07 株式会社日立製作所 電子メールシステム、メールサーバ及びメール端末
KR100645735B1 (ko) * 2004-10-14 2006-11-15 주식회사 팬택 모바일 플랫폼의 컨텐츠 오동작 통신 검출 장치 및 방법
US7716743B2 (en) * 2005-01-14 2010-05-11 Microsoft Corporation Privacy friendly malware quarantines
US7650639B2 (en) * 2005-03-31 2010-01-19 Microsoft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protecting a limited resource computer from malware
KR20060133389A (ko) * 2005-06-20 2006-12-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의 데이터 처리 장치 및 그 방법
US20070123214A1 (en) * 2005-11-25 2007-05-31 Motorola, Inc. Mobile device system and strategies for determining malicious code activity
US8365286B2 (en) * 2006-06-30 2013-01-29 Sophos Plc Method and system for classification of software using characteristics and combinations of such characteristics
US7818807B1 (en) * 2006-06-30 2010-10-19 Symantec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of logical prefetching for optimizing file scanning operations
WO2008006240A1 (en) * 2006-07-03 2008-01-17 Intel Corporation An anti-virus usage model at an exterior panel of a computer
US8839431B2 (en) * 2008-05-12 2014-09-16 Enpulz, L.L.C. Network browser based virus detection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65678A (ko) * 1999-04-08 2000-11-15 이계철 악의 호를 차단하기 위한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673200B1 (ko) * 2004-08-31 2007-01-22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무선 단말기에서의 모바일 바이러스 감시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060071930A (ko) * 2004-12-22 2006-06-27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이동통신 단말기의 바이러스 감염 방지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668077B (zh) 2014-01-22
CN101668077A (zh) 2010-03-10
EP2159730A2 (en) 2010-03-03
KR20100027505A (ko) 2010-03-11
EP2159730A3 (en) 2010-07-21
EP2159730B1 (en) 2016-06-22
US20100058470A1 (en) 2010-03-04
US8621633B2 (en) 2013-12-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07439B1 (ko) 바이러스 감염을 방지할 수 있는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KR101611302B1 (ko) 제스쳐 입력이 가능한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474963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537270B1 (ko) 복수의 디스플레이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582687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록킹 해제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
EP2405684B1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KR101657549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EP2166476A1 (en) Mobile terminal capable of preventing virus infection and method of controlling ope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KR101767504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KR101615975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KR20110139570A (ko)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락이 설정된 대기화면에서 어플리케이션 실행방법 및 이를 이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
CN110321731A (zh) 一种信息保护方法及移动终端
KR20150066422A (ko) 애플리케이션의 메시지 전송방법
CN106529335B (zh) 限制截图的方法、装置及便携式移动终端
KR20100059585A (ko)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600792B1 (ko) 해킹 방지기능을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KR101608650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20001477A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KR101883179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KR101532006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KR101482124B1 (ko) 휴대 단말기에서 바이러스 처리방법 및 그 시스템
KR101488389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KR102018657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KR101685349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KR101482123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