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71759A - Method for photographing to use movement of the wireless terminal - Google Patents

Method for photographing to use movement of the wireless termina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71759A
KR20060071759A KR1020040110736A KR20040110736A KR20060071759A KR 20060071759 A KR20060071759 A KR 20060071759A KR 1020040110736 A KR1020040110736 A KR 1020040110736A KR 20040110736 A KR20040110736 A KR 20040110736A KR 20060071759 A KR20060071759 A KR 200600717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vement
portable terminal
camera
photographing
m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1073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678110B1 (en
Inventor
김창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1107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78110B1/en
Publication of KR200600717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7175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81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811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12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 H04N1/00281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telecommunication apparatus, e.g. a switched network of teleprinters for the distribution of text-based information, a selective call terminal
    • H04N1/0030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telecommunication apparatus, e.g. a switched network of teleprinters for the distribution of text-based information, a selective call terminal with a mobile telephone apparat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9Control of means for changing angle of the field of view, e.g. optical zoom objectives or electronic zoom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5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functional features of a camer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tudio Device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의 움직임을 이용한 촬영방법에 있어서, 카메라모드 선택시, 카메라모드 수행동작에 따라 프리뷰모드로 촬영되는 영상데이터를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움직임이 있는지 판단하는 과정과, In the photographing method using the movement of the portable terminal, the process of displaying the image data taken in the preview mode according to the camera mode execution operation, selecting the camera mode, the process of determining whether there is movement of the portable terminal,

판단결과, 움직임이 있으면 움직임의 방향을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움직임의 방향에 대응되는 각각의 카메라 기능을 실행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f there is a motion, the method includes determining a direction of the movement and executing a camera function corresponding to the direction of the movement.

자이로센서, 촬영, 움직임, 카메라 Gyro sensor, shooting, motion, camera

Description

휴대용 단말기의 움직임을 이용한 촬영방법{METHOD FOR PHOTOGRAPHING TO USE MOVEMENT OF THE WIRELESS TERMINAL} TECHNICAL FOR PHOTOGRAPHING TO USE MOVEMENT OF THE WIRELESS TERMINAL}             

도 1의(a)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적용되는 휴대용 단말기의 측면도 Figure 1a is a side view of a portable terminal applied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의(b)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적용되는 휴대용 단말기의 정면도 Figure 1 (b) is a front view of a portable terminal applied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전체 블록도 2 is an overall block diagram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라 휴대용 단말기의 움직임을 이용한 촬영동작의 흐름도 3 is a flowchart of a photographing operation using the movement of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라 휴대용 단말기의 움직임을 이용한 촬영동작의 흐름도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hotographing operation using the movement of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휴대용 단말기의 움직임을 이용하여 촬영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of photographing by using a movement of the portable terminal.

현재 휴대 이동통신 단말기는 음성 통신 기능 이외에 고속의 데이터를 전송 할 수 있는 구조로 변환하고 있다. 즉, IMT 2000 규격의 이동통신 망을 구현하면, 상기 휴대 단말기를 이용하여 음성통신 이외에 고속의 데이터 통신을 구현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휴대 단말기에서 처리할 수 있는 데이터들은 패킷 데이터 및 영상데이터들이 될 수 있다. 또한 휴대단말기에 카메라나 TV수신기 등을 부가하여 동영상신호를 표시할 수 있는 기능이 구현되고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카메라를 구비하는 휴대단말기는 영상 화면을 촬영하여 동영상(moving picture) 및 정지영상(still picture)으로 표시할 수 있으며, 또한 촬영된 영상 화면을 전송할 수도 있다. Currently, portabl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are converting to a structure capable of transmitting high speed data in addition to voice communication functions. That is, by implementing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of the IMT 2000 standard, it is possible to implement high-speed data communication in addition to voice communication using the portable terminal. Data that can be processed by the mobile terminal performing the data communication may be packet data and image data. In addition, a function of displaying a video signal by adding a camera or a TV receiver to the portable terminal is implemented. Therefore, the mobile terminal having a camera as described above can take a video screen and display it as a moving picture and a still picture, and can also transmit the captured video screen.

상기와 같이 카메라를 장착하는 휴대용 단말기에서 카메라모드의 특정기능을 실행시키거나 명령할 때 사용자는 여러 번의 키 동작을 하여 해당 메뉴로 진입하거나, 미리 설정된 단축키를 입력하야 한다. 따라서 촬영모드 중에 상기와 같이 특정 기능을 실행하기 위해 여러 번의 키를 누르거나 동작하면 흔들림이 발생할 수 있고 또한 촬영 모드 중 특정기능을 실행하기 위해 단축키를 찾아서 입력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When the user executes or commands a specific function of the camera mode in the portable terminal equipped with the camera as described above, the user must enter a corresponding menu or enter a preset hotkey by performing a plurality of key operations. Therefore, if a plurality of keys are pressed or operated in order to execute a specific function as described above, shaking may occur, and it is inconvenient to find and input a shortcut key to execute a specific function in the shooting mode.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불편함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휴대용 단말기에서 영상을 촬영함에 있어서, 각각의 방향에 대응되는 카메라 기능을 설정하여 카메라 모드 실행 중 휴대용 단말기의 움직임 방향에 해당하는 카메라 기능을 실행하고 촬영모드시, 휴대용 단말기의 흔들림을 감지하여 흔들림이 있을 경우 촬영동 작을 정지하여 화면의 흔들림을 방지하는 촬영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inconvenience as described above, in taking the image in the portable terminal, the camera function corresponding to the movement direc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during the camera mode execution by setting the camera function corresponding to each direc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hooting method for preventing shake of the screen by stopping the shooting operation when there is a shake by detecting the shake of the portable terminal during the shooting mod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의 움직임을 이용한 촬영방법에 있어서, 카메라모드 선택시, 카메라모드 수행동작에 따라 프리뷰모드로 촬영되는 영상데이터를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움직임이 있는지 판단하는 과정과, 판단결과, 움직임이 있으면 움직임의 방향을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움직임의 방향에 대응되는 각각의 카메라 기능을 실행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of photographing using a movement of a portable terminal, when the camera mode is selected, displaying image data photographed in the preview mode according to the camera mode performing operation, Determining whether there is motion; and,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determining the direction of motion if there is motion, and executing each camera function corresponding to the direction of motion.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의 움직임을 이용한 촬영방법에 있어서, 카메라모드 선택시, 카메라모드 수행동작에 따라 프리뷰모드로 촬영되는 영상신호를 표시하는 과정과, 촬영키 입력시,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움직임이 있는지 판단하는 과정과, 판단결과, 움직임이 있으면 움직임량값을 산출하여 설정된 임계값과 비교하는 과정과, 상기 비교결과 상기 움직임량값이 상기 설정된 임계값 이상이면 촬영동작을 정지하는 과정과, 상기 비교결과 상기 움직임량값이 상기 설정된 임계값 미만이면 촬영동작을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hotographing method using a movement of a portable terminal, when the camera mode is selected, displaying a video signal photographed in the preview mode according to the camera mode performing operation, and the shooting key input Determining whether there is movement of the portable terminal; and if the movement result is determined, calculating a motion amount value and comparing the threshold value with the set threshold value. And stopping the image and performing a photographing operation when the movement amount value is less than the set threshold value.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동작 및 작용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It should be noted that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nly parts necessary for understanding the operation and ope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and descriptions of other parts will be omitted so as not to distract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의(a)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적용되는 휴대용 단말기의 측면도이고 도 1의(b)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적용되는 휴대용 단말기의 정면도이다. 도 1의(a)와 (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적용되는 휴대용 단말기의 움직임방향을 설명하면, 먼저, 도 1의(a)에 도시된 휴대용 단말기의 측면도를 이용하여 제1방향, 제2방향 제3방향 및 제4방향을 설명한다. 제1방향은 휴대용 단말기에서 길이방향의 우측방향으로 본체 하우징의 전면방향이다. 즉,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가 구비되어 있는 방향이고 제2방향은 휴대용 단말기에서 길이방향의 좌측방향으로 본체 하우징의 후면 방향이다. 즉, 휴대용 단말기의 키패드 및/또는 메인표시부가 구비되어 있는 방향이다. 그리고 제3방향은 휴대용 단말기에서 길이방향의 상부방향이고 제4방향은 휴대용 단말기에서 길이방향의 하부방향이다. 두 번째, 도 1의(b)에 도시된 휴대용 단말기의 정면도를 이용하여 제3방향, 제4방향 제5방향 및 제6방향을 설명한다. 제3방향은 휴대용 단말기에서 길이방향의 상부방향이고 제4방향은 휴대용 단말기에서 길이방향의 하부방향이다. 그리고 제5방향은 휴대용 단말기에서 길이방향의 좌측방향이고 제6방향은 길이방향의 우측방향이다. 1 (a) is a side view of a portable terminal applied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1 (b) is a front view of a portable terminal applied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a) and (b) of FIG. 1,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First, the side view of the portable terminal illustrated in FIG. The first direction, the second direction, the third direction, and the fourth direction will be described. The first direction is a front direction of the main body housing in a longitudinal right direction in the portable terminal. That is, the direction in which the camera of the portable terminal is provided and the second direction is the rear direction of the main body housing in the left direction of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the portable terminal. That is, the direction in which the keypad and / or the main display unit of the portable terminal are provided. The third direction is the upper direction of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the portable terminal and the fourth direction is the lower direction of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the portable terminal. Second, a third direction, a fourth direction, a fifth direction, and a sixth direction will be described using a front view of the portable terminal shown in FIG. The third direction is the upper direction of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the portable terminal and the fourth direction is the lower direction of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the portable terminal. The fifth direction is the left direc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sixth direction is the right direc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the portable terminal.

즉, 제1방향은 카메라가 구비된 본체 하우징의 전면방향이고 제2방향은 키패드 및/또는 매인표시부가 구비된 본체 하우징의 후면방향이다. 그리고 제3방향은 길이방향의 상부방향이고 제4방향은 길이방향의 하부방향이다. 또한 제5방향은 길이방향의 좌측방향이고 제6방향은 길이방향의 우측방향이다. 이와 같은 방향의 정의는 휴대용 단말기의 종류 및/또는 제조사에 따라 다르게 정의될 수 있고 좀더 다 양한 방향으로 디폴트(default)방향이 설정될 수 있고 여러 방향의 조합으로 설정되거나 사용자에 의하여 설정될 수 있다.
That is, the first direction is the front direction of the main body housing provided with the camera and the second direction is the rear direction of the main body housing provided with the keypad and / or the main display part. And the third direction is the upper direc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fourth direction is the lower direc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fifth direction is the left direc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sixth direction is the right direc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definition of such a direction may be defined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type and / or manufacturer of the portable terminal, a default direction may be set in various directions, a combination of various directions, or may be set by a user. .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전체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RF부(21)는 휴대용 단말기의 통신을 수행한다. RF부(21)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변환 및 증폭하는 RF송신기와, 수신되는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 변환하는 RF수신기 등을 포함한다. 2 is a block diagram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2, the RF unit 21 performs communication of a portable terminal. The RF unit 21 includes an RF transmitter for upconverting and amplifying a frequency of a transmitted signal, and an RF receiver for low noise amplifying and downconverting a received signal.

모뎀(MODEM)(23)은 상기 송신되는 신호를 부호화 및 변조하는 송신기 및 상기 수신되는 신호를 복조 및 복호화하는 수신기 등을 구비한다. The modem 23 includes a transmitter for encoding and modulating the transmitted signal, a receiver for demodulating and decoding the received signal, and the like.

오디오 처리부(25)는 코덱을 구성할 수 있으며, 상기 코덱은 패킷데이터 등을 처리하는 데이터 코덱과 음성 등의 오디오 신호를 처리하는 오디오코덱을 구비한다. 상기 오디오 처리부(25)는 상기 모뎀(23)에서 수신되는 디지털 오디오신호를 상기 오디오코덱을 통해 아날로그신호를 변환하여 재생하거나 또는 마이크로부터 발생되는 송신되는 아날로그 오디오신호를 상기 오디오코덱을 통해 디지털 오디오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모뎀(23)으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코덱은 별도로 구비거나 또는 제어부(10)에 포함될 수 있다. The audio processor 25 may configure a codec, and the codec includes a data codec for processing packet data and an audio codec for processing an audio signal such as voice. The audio processor 25 reproduces the digital audio signal received from the modem 23 by converting an analog signal through the audio codec or transmits an analog audio signal generated from a microphone through the audio codec through the audio codec. Converts to and transmits to the modem (23). The codec may be provided separately or included in the controller 10.

키패드(27)는 숫자 및 문자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키들 및 각종 기능 들을 설정하기 위한 기능키들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키패드(27)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카메라 모드키, 촬영키 등을 구비할 수 있다. The keypad 27 is provided with keys for inputting numeric and character information and function keys for setting various functions. In addition, the keypad 27 may include a camera mode key, a shooting key, and the lik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메모리(29)는 프로그램 메모리 및 데이터 메모리들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램 메모리에는 휴대용 전화기의 일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된다. 또한 데이터 메모리에는 상기 프로그램들을 수행하는 중에 발생되는 데이터들을 일시 저장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라 휴대용단말기의 움직임방향에 따라 줌 인(ZOOM IN), 줌 아웃(ZOOM OUT), 플래시 온(FLASH ON), 플래시 오프(FLASH OFF), 동영상모드 실행 또는 연속촬영모드 실행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되고 촬영모드시 휴대용 단말기가 움직이면 촬영동작을 정지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다. The memory 29 may be composed of program memory and data memories. The program memory stores a program for controlling a general operation of the portable telephone. The data memory temporarily stores data generated during the execution of the program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movement direc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zoom in, zoom out, flash on, flash off, flash off, video mode execution or continuous shooting The program for executing the mode is stored and the program for stopping the shooting operation is stored when the portable terminal moves in the shooting mode.

제어부(10)는 휴대용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모뎀(23) 및 코덱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10)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라 카메라모드 선택시, 카메라모드 수행동작에 따라 프리뷰모드로 촬영되는 영상데이터를 표시하고 휴대용 단말기의 움직임이 있으면 움직임의 방향을 판단하여 움직임의 방향에 대응되는 각각의 카메라 기능을 실행한다. 그리고 촬영키 입력시,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움직임이 있으면 움직임량값을 산출하여 설정된 임계값과 비교하여 임계값 이상이면 촬영동작을 정지한다. The controller 10 performs a function of controlling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The modem 23 and the codec may also be included. In addition, when the camera mode is selected, the controller 10 displays the image data photographed in the preview mode according to the camera mode execution operation, and determines the direction of the movement if the portable terminal is present. Each camera function corresponding to the direction is executed. When the photographing key is input, the motion amount value is calculated when there is movement of the portable terminal, and the photographing operation is stopped when the photographing key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threshold value.

움직임센서(35)는 바람직하게 자이로 센서(GYRO SENSOR)를 포함할 수 있는데, 자이로 센서는 스핀(spin)축에 직교하는 1개 이상의 축 주위의 관성공간을 기준으로 한 경우, 각운동을 감지해내기 위하여 각운동량을 사용하는 센서이다. 움직임 센서(35)는 휴대용 단말기가 움직이면, 휴대용 단말기의 수평, 수직 및 앞뒤 방향(6방향)으로의 움직임을 나타내는 감지 신호를 제어부(10)로 출력한다. 이때, 움직임센서(35)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움직임에 따른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어떠한 센 서라도 가능하다. The motion sensor 35 may preferably include a gyro sensor. The gyro sensor detects an angular motion based on an inertial space around one or more axes orthogonal to the spin axis. It is a sensor that uses angular momentum to produce. When the portable terminal moves, the motion sensor 35 outputs a sensing signal indicating the movement of the portable terminal in the horizontal, vertical, and back and forth directions (six directions) to the controller 10. At this time, the motion sensor 35 may be any sensor that outputs a detection signal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플래시부(40)는 크세논방전관에 의한 전자섬광을 이용한 사진용 인공광원을 제공하고 아주 짧은 시간에 발광하여 어두운 곳에서 촬영되는 피사체에 빛을 공급한다. The flash unit 40 provides an artificial light source for photography using an electron flash by a xenon discharge tube and emits light in a very short time to supply light to a subject photographed in a dark place.

카메라(50)는 영상 데이터를 촬영하며, 촬영된 광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카메라 센서를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카메라 센서는 CCD센서라 가정한다. The camera 50 photographs image data and includes a camera sensor that converts the photographed optical signal into an electrical signal. It is assumed here that the camera sensor is a CCD sensor.

신호처리부(60)는 상기 카메라(50)로부터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이미지신호로 변환한다. 여기서 상기 신호처리부(60)는DSP(Digital Signal Processor: DSP)로 구현할 수 있다. The signal processor 60 converts the video signal output from the camera 50 into an image signal. The signal processor 60 may be implemented by a DSP (Digital Signal Processor).

영상처리부(70)는 상기 신호처리부(60)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표시하기 위한 화면 데이터를 발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영상처리부(70)는 상기 제어부(10)의 제어 하에 수신되는 영상신호를 상기 표시부(80)의 규격에 맞춰 하는 전송하며, 또한 상기 영상데이터를 압축 및 신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표시부(80)에 출력되는 영상데이터의 시작주소 값을 전송하거나 제어부(10)의 제어 하에 상기 시작주소 값을 변경 설정하여 전송한다. The image processor 70 performs a function of generating screen data for displaying an image signal output from the signal processor 60. The image processing unit 70 transmits an image signal received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0 in accordance with the standard of the display unit 80, and compresses and decompresses the image data. In addition, the start address value of the image data output to the display unit 80 is transmitted, or the start address value is changed and set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0 and transmitted.

표시부(80)는 상기 영상처리부(70)에서 출력되는 영상데이터를 표시한다. 여기서 상기 표시부(80)는 LCD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런 경우 상기 표시부(80)는 LCD제어부(LCD controller), 영상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 및 LCD표시소자 등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LCD를 터치스크린(touch screen) 방식으로 구현하는 경우, 상기 키패드(27)와 LCD는 입력부가 될 수 있다. 표시부(80)는 영상데이 터가 출력되는 영상데이터 표시부를 포함한다. The display unit 80 displays image data output from the image processing unit 70. Here, the display unit 80 may use an LCD. In this case, the display unit 80 may include an LCD controller, a memory capable of storing image data, and an LCD display device. Herein, when the LCD is implemented using a touch screen method, the keypad 27 and the LCD may be input units. The display unit 80 includes an image data display unit for outputting image data.

상기 도 1을 참조하여 휴대용 전화기의 동작을 살펴보면, 발신시 사용자가 키패드27을 통해 다이얼링 동작을 수행한 후 발신모드를 설정하면, 상기 제어부(10)는 이를 감지하고 모뎀(23)을 통해 수신되는 다이얼정보를 처리한 후 RF부(21)를 통해 RF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이후 상대 가입자가 응답신호를 발생하면, 상기 RF부(21) 및 모뎀(23)을 통해 이를 감지한다. 이후 사용자는 오디오처리부(25)를 통해 음성 통화로가 형성되어 통신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착신모드시 상기 제어부(10)는 모뎀(23)을 통해 착신모드임을 감지하고, 오디오처리부(25)를 통해 링신호를 발생한다. 이후 사용자가 응답하면 상기 제어부(10)는 이를 감지하고, 역시 오디오처리부(25)를 통해 음성 통화로가 형성되어 통신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발신 및 착신모드에서는 음성통신을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상기 음성 통신 이외에 패킷 데이터 및 영상데이터를 통신하는 데이터 통신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대기모드 또는 문자 통신을 수행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10)는 모뎀(23)을 통해 처리되는 문자데이터를 표시부(80) 상에 표시한다. Looking at the operation of the portable telephone with reference to Figure 1, when the user performs a dialing operation through the keypad 27 during the call, the control unit 10 detects this and is received through the modem 23 After the dial information is processed, the RF unit 21 converts the RF signal into an RF signal and outputs the converted RF signal. After the counter subscriber generates a response signal, it detects it through the RF unit 21 and the modem (23). Thereafter, a user establishes a voice call path through the audio processor 25 to perform a communication function. In addition, in the incoming mode, the controller 10 detects the incoming mode through the modem 23 and generates a ring signal through the audio processor 25. Thereafter, when the user responds, the control unit 10 detects this, and a voice call path is formed through the audio processing unit 25 to perform a communication function. In the outgoing and incoming modes, voice communication is described as an example, but a data communication function for communicating packet data and image data in addition to the voice communication may be performed. In addition, when performing the standby mode or text communication, the controller 10 displays the text data processed through the modem 23 on the display unit 80.

또한 상기와 같은 휴대용 단말기의 움직임을 이용하여 촬영하는 동작을 살펴보면, 휴대용 단말기 사용자가 키패드(27)를 이용하여 카메라모드 선택하면 제어부(10)는 표시부(80)를 제어하여 카메라모드 수행동작에 따라 프리뷰모드로 촬영되는 영상데이터를 표시한다. 그리고 휴대용 단말기 사용자가 카메라모드의 특정기능을 실행시키기 위해 휴대용 단말기를 움직이면 움직임센서(35)는 이를 감지하고 움직임 감지신호를 제어부(10)로 출력한다. 그러면 제어부(10)는 입력된 움직임 감지신 호에서 움직임의 방향을 판단하고 메모리(29)를 제어하여 움직임의 방향에 대응되는 카메라 기능을 실행한다. In addition, referring to the operation of photographing using the movement of the portable terminal as described above, when the user of the portable terminal selects the camera mode using the keypad 27, the controller 10 controls the display unit 80 according to the camera mode performing operation. Display image data shot in preview mode. When the portable terminal user moves the portable terminal to execute a specific function of the camera mode, the motion sensor 35 detects this and outputs a motion detection signal to the controller 10. Then, the controller 10 determines the direction of the movement from the input motion detection signal and controls the memory 29 to execute a camera function corresponding to the direction of the movement.

또한 휴대용 단말기 사용자가 키패드(27)를 이용하여 카메라모드 선택하면 제어부(10)는 표시부(80)를 제어하여 카메라모드 수행동작에 따라 프리뷰모드로 촬영되는 영상데이터를 표시한다. 그리고 휴대용 단말기 사용자가 키패드(27)를 이용하여 촬영키를 입력하면 제어부(10)는 메모리(29)를 제어하여 반셔터모드를 실행한다. 그리고 제어부(10)는 움직임센서(35)를 제어하여 휴대용 단말기의 움직임이 있는지 판단하고 움직임이 있으면 촬영동작을 정지한다.
In addition, when the user of the portable terminal selects the camera mode using the keypad 27, the controller 10 controls the display unit 80 to display image data photographed in the preview mode according to the camera mode performing operation. When the portable terminal user inputs a photographing key using the keypad 27, the controller 10 controls the memory 29 to execute the half shutter mode. The controller 10 controls the motion sensor 35 to determine whether there is a movement of the portable terminal, and stops the photographing operation when there is motion.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라 휴대용 단말기의 움직임을 이용한 촬영동작의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여 카메라 모드시 휴대용 단말기의 움직임 방향에 따른 기능을 적용하여 촬영하는 동작을 설명하면, 대기상태인 301단계에서 휴대용 단말기 사용자가 키패드(27)를 이용하여 카메라 모드키를 입력하면 제어부(10)는 303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305단계로 진행하여 카메라 모드로 진행한다. 상기 카메라 모드를 구동하는 키는 상기 키패드(27)의 네비게이션 키(navigation key) 상에 위치시키거나 또는 메뉴 키를 이용하여 메뉴로 표시하여 선택할 수도 있다. 카메라 모드로 진입하면 제어부(10)는 307단계에서 카메라부(50)가 획득한 영상신호를 신호처리부(60)를 거쳐 영상데이터로 영상처리부(70)에 전송하여 표시부(80)에 표시한다.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hotographing operation using the movement of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ure 3 describes the operation by applying a function according to the movement direc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in the camera mode, when the portable terminal user enters the camera mode key using the keypad 27 in step 301 of the standby state, 10 detects this in step 303 and proceeds to step 305 to go to the camera mode. The key for driving the camera mode may be located on a navigation key of the keypad 27 or may be displayed by selecting a menu using a menu key. When entering the camera mode, the control unit 10 transmits the image signal acquired by the camera unit 50 to the image processing unit 70 as image data through the signal processing unit 60 in step 307 and displays it on the display unit 80.

그리고 먼저 휴대용 단말기 사용자가 휴대용 단말기를 상기 카메라가 구비된 본체 하우징의 전면방향인 제1방향으로 움직이면 움직임센서(35)는 휴대용 단말기가 움직인 방향을 감지하여 감지 신호를 제어부(10)로 출력하고 제어부(10)는 309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311단계로 진행한다. 311단계에서 제어부(10)는 카메라부(50)와 메모리(29)를 제어하여 줌 인(zoom in)기능을 실행한다. First, when the portable terminal user moves the portable terminal in the first direction, which is the front direction of the main body housing provided with the camera, the motion sensor 35 detects the direction in which the portable terminal moves and outputs a detection signal to the controller 10. The controller 10 detects this in step 309 and proceeds to step 311. In step 311, the controller 10 controls the camera unit 50 and the memory 29 to execute a zoom in function.

두 번째, 휴대용 단말기 사용자가 휴대용 단말기를 상기 키패드 및/또는 매인표시부가 구비된 본체 하우징의 후면방향인 제2방향으로 움직이면 움직임센서(35)는 휴대용 단말기가 움직인 방향을 감지하여 감지 신호를 제어부(10)로 출력하고 제어부(10)는 313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315단계로 진행한다. 315단계에서 제어부(10)는 카메라부(50)와 메모리(29)를 제어하여 줌 아웃(zoom out)기능을 실행한다. Second, when the user of the portable terminal moves the portable terminal in a second direction, which is a rear direction of the main body housing provided with the keypad and / or the main display unit, the motion sensor 35 detects a direction in which the portable terminal moves and controls the detection signal. The control unit 10 detects this in step 313 and proceeds to step 315. In step 315, the controller 10 controls the camera unit 50 and the memory 29 to execute a zoom out function.

세 번째, 휴대용 단말기 사용자가 휴대용 단말기 길이방향의 상부방향인 제3방향으로 움직이면 움직임센서(35)는 휴대용 단말기가 움직인 방향을 감지하여 감지 신호를 제어부(10)로 출력하고 제어부(10)는 317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319단계로 진행한다. 319단계에서 제어부(10)는 플래시부(40)와 메모리(29)를 제어하여 플래시 온(flash on)기능을 실행한다. Third, when the user of the portable terminal moves in the third direction, which is the upper direc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the motion sensor 35 detects the direction in which the portable terminal moves and outputs a detection signal to the control unit 10. In step 317, the detection proceeds to step 319. In step 319, the controller 10 controls the flash unit 40 and the memory 29 to execute a flash on function.

네 번째, 휴대용 단말기 사용자가 휴대용 단말기 길이방향의 하부방향인 제4방향으로 움직이면 움직임센서(35)는 휴대용 단말기가 움직인 방향을 감지하여 감지 신호를 제어부(10)로 출력하고 제어부(10)는 321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323단계로 진행한다. 323단계에서 제어부(10)는 플래시부(40)와 메모리(29)를 제어하여 플래시 오프(flash off)기능을 실행한다. Fourth, when the user of the portable terminal moves in the fourth direction, which is a lower direc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the motion sensor 35 detects a direction in which the portable terminal moves and outputs a detection signal to the controller 10 and the controller 10 This is detected in step 321 and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323. In step 323, the controller 10 controls the flash unit 40 and the memory 29 to execute a flash off function.                     

다섯 번째, 휴대용 단말기 사용자가 휴대용 단말기 길이방향의 좌측방향인 제5방향으로 움직이면 움직임센서(35)는 휴대용 단말기가 움직인 방향을 감지하여 감지 신호를 제어부(10)로 출력하고 제어부(10)는 325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327단계로 진행한다. 327단계에서 제어부(10)는 메모리(29)를 제어하여 동영상 촬영모드로 진행한다. Fifth, when the user of the portable terminal moves in the fifth direction, the left direc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the motion sensor 35 detects a direction in which the portable terminal moves and outputs a detection signal to the controller 10 and the controller 10 This is detected in step 325 and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327. In step 327, the controller 10 controls the memory 29 to proceed to the video recording mode.

여섯 번째, 휴대용 단말기 사용자가 휴대용 단말기 길이방향의 우측방향인 제6방향으로 움직이면 움직임센서(35)는 휴대용 단말기가 움직인 방향을 감지하여 감지 신호를 제어부(10)로 출력하고 제어부(10)는 329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331단계로 진행한다. 331단계에서 제어부(10)는 메모리(29)를 제어하여 연속촬영모드로 진행한다. Sixth, when the user of the portable terminal moves in the sixth direction, which is the right direc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the motion sensor 35 detects the direction in which the portable terminal moves and outputs a detection signal to the controller 10 and the controller 10 In step 329, the detection proceeds to step 331. In step 331, the controller 10 controls the memory 29 to proceed to the continuous shooting mode.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움직임에 대응되는 기능들을 디폴트(default)로 설정되거나 기능 설정 메뉴를 추가하여 휴대용 단말기 사용자가 휴대용 단말기의 움직임에 대응되는 기능들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휴대용 단말기의 움직임을 이용하여 기능들을 구현하기 위하여 소정의 메뉴를 구비하고 메뉴를 선택함으로써 실행할 수 있고 핫키와 같은 특정 키를 구비하여 핫키를 누른 상태에서만 상기 감지센서를 구동 시켜 휴대용 단말기의 움직임에 따른 해당 기능을 실행 하게 할 수 있다. Functions corresponding to the movement of the portable terminal may be set as defaults or a function setting menu may be added to allow the user of the portable terminal to set functions corresponding to the movement of the portable terminal. In addition, to implement functions by using the movement of the portable terminal as described above, it can be executed by selecting a menu and executing a menu, and having a specific key such as a hot key to drive the detection sensor only while pressing the hot key. You can run the correspond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이후 휴대용 단말기 사용자가 키패드(27)를 이용하여 촬영키를 입력하면 제어부(10)는 333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335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움직임에 대응되는 각각의 카메라모드 기능을 실행하여 영상을 촬영한다.
Thereafter, when the portable terminal user inputs a shooting key using the keypad 27, the controller 10 detects this in step 333 and proceeds to step 335 to execute respective camera mode functions corresponding to the movement of the portable terminal. To shoot.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라 휴대용 단말기의 움직임을 이용한 촬영동작의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여 휴대용 단말기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움직임이 있으면 촬영을 중지하는 촬영동작을 설명하면, 대기상태인 401단계에서 휴대용 단말기 사용자가 키패드(27)를 이용하여 카메라 모드키를 입력하면 제어부(10)는 403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405단계로 진행하여 카메라 모드로 진행한다. 상기 카메라 모드를 구동하는 키는 상기 키패드(27)의 네비게이션 키(navigation key) 상에 위치시키거나 또는 메뉴 키를 이용하여 메뉴로 표시하여 선택할 수도 있다. 카메라 모드로 진입하면 제어부(10)는 407단계에서 카메라부(50)가 획득한 영상신호를 신호처리부(60)를 거쳐 영상데이터로 영상처리부(70)에 전송하여 표시부(80)에 표시한다.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hotographing operation using the movement of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4, when the mo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is detected and the shooting operation is stopped when there is a motion, the portable terminal user inputs the camera mode key using the keypad 27 in step 401. 10) detects it in step 403 and proceeds to step 405 proceeds to the camera mode. The key for driving the camera mode may be located on a navigation key of the keypad 27 or may be displayed by selecting a menu using a menu key. When entering the camera mode, the control unit 10 transmits the image signal acquired by the camera unit 50 to the image processing unit 70 as image data through the signal processing unit 60 in step 407 and displays it on the display unit 80.

그리고 휴대용 단말기 사용자가 키패드(27)를 이용하여 촬영키를 입력하면 제어부(10)는 409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411단계로 진행하여 반셔터 모드로 진행한다, 여기서 반셔터 모드는 카메라부(50)가 획득한 영상에 대한 노출 및 초점이 고정되어 있는 상태이다. 그리고 413단계에서 움직임센서(35)가 움직임 감지신호를 제어부(10)에 출력하면 제어부(10)는 입력된 움직임 감지 신호를 분석하여 움직임량값을 산출하고 설정된 임계값과 비교한다. 비교결과 상기 움직임량값이 설정된 임계값 이상이면 제어부(10)는 415단계로 진행하여 촬영동작을 중지하고 상기 411단계인 반셔터모드를 유지한다. When the user of the portable terminal inputs the photographing key using the keypad 27, the controller 10 detects this in step 409, proceeds to step 411, and proceeds to the half shutter mode, where the half shutter mode is the camera unit 50. The exposure and focus of the acquired image are fixed. In operation 413, when the motion sensor 35 outputs the motion detection signal to the control unit 10, the control unit 10 analyzes the input motion detection signal to calculate a motion amount value and compare it with the set threshold value. As a result of the comparison, if the movement amount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set threshold value, the controller 10 proceeds to step 415 to stop the photographing operation and maintains the half shutter mode of step 411.

그러나 상기 비교결과 움직임량값이 설정된 임계값 미만이면 제어부(10)는 417단계로 진행하여 촬영동작을 수행한다. However, when the comparison result shows that the movement amount value is less than the set threshold value, the controller 10 proceeds to step 417 to perform the photographing operation.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Meanwhile,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c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but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termined not only by the scope of the following claims, but also by the equivalents of the claims.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영상 촬영에 있어서, 휴대용 단말기의 움직임방향에 따른 기능을 적용하여 촬영함으로써 카메라모드의 특정기능을 실행할 때 여러 번의 키 동작을 하여 해당 메뉴로 진입하거나, 미리 설정된 단축키를 입력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감소시키고 휴대용 단말기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움직임이 있으면 촬영을 중지함으로써 촬영 중 흔들리는 영상촬영을 방지함으로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in detail above, in the image capturing, by applying a function according to the movement direction of a portable terminal, the present invention performs a plurality of key operations when executing a specific function of a camera mode, or enters a corresponding menu, or a preset hotkey. The user's convenience is reduced by reducing the hassle of inputting the input signal and by detecting the movement of the portable terminal to stop recording when there is a movement, thereby preventing the shaking of the image.

Claims (8)

휴대용 단말기의 움직임을 이용한 촬영방법에 있어서, In the photographing method using the movement of the portable terminal, 카메라모드 선택시, 카메라모드 수행동작에 따라 프리뷰모드로 촬영되는 영상데이터를 표시하는 과정과, When selecting a camera mode, displaying image data captured in the preview mode according to an operation performed by the camera mode;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움직임이 있는지 판단하는 과정과, Determining whether there is movement of the portable terminal; 판단결과, 움직임이 있으면 움직임의 방향을 판단하는 과정과, Judging the direction of movement, if there is movement, 상기 움직임의 방향에 대응되는 각각의 카메라 기능을 실행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움직임을 이용한 촬영방법. And a step of executing each camera function corresponding to the direction of the movemen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움직임의 방향이 제1방향이면 상기 표시된 영상데이터를 줌인(ZOOM IN)하여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움직임의 방향이 제2방향이면 줌아웃(ZOOM OUT)하여 디스플레이 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움직임을 이용한 촬영방법. The display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displayed image data is zoomed in and displayed when the direction of the movement is the first direction, and zoomed out and displayed when the direction of the movement is the second direction. Shooting method using the movement of the portable termin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움직임의 방향이 제3방향이면 플래시 온(FLASH ON)기능을 실행하고, 상기 움직임의 방향이 제4방향이면 플래시 오프(FLASH OFF)기능을 실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움직임을 이용한 촬영방법. The portable device as claimed in claim 1, wherein a flash on function is executed if the direction of movement is a third direction, and a flash off function is executed if the direction of movement is a fourth direction. Shooting method using the movement of the termin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움직임의 방향이 제5방향이면 동영상촬영모드를 실행하고, 상기 움직임의 방향이 제6방향이면 연속촬영모드를 실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움직임을 이용한 촬영방법.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if the direction of the movement is the fifth direction, the moving picture photographing mode is executed, and if the direction of the movement is the sixth direction, the continuous shooting mode is execut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움직임은 자이로센서를 이용하여 판단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움직임을 이용한 촬영방법.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movement of the portable terminal is determined using a gyro sensor. 제5항에 있어서, 핫키가 입력되는 동안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움직임을 판단함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움직임을 이용한 촬영방법.The method of claim 5, further comprising determining a movement of the portable terminal while a hot key is input. 휴대용 단말기의 움직임을 이용한 촬영방법에 있어서, In the photographing method using the movement of the portable terminal, 카메라모드 선택시, 카메라모드 수행동작에 따라 프리뷰모드로 촬영되는 영상신호를 표시하는 과정과, When the camera mode is selected, displaying a video signal captured in the preview mode according to the camera mode execution operation; 촬영키 입력시,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움직임이 있는지 판단하는 과정과, Determining whether there is a movement of the portable terminal when a photographing key is input; 판단결과, 움직임이 있으면 움직임량값을 산출하여 설정된 임계값과 비교하는 과정과,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f there is motion, the process of calculating a motion amount value and comparing it with the set threshold value; 상기 비교결과 상기 움직임량값이 상기 설정된 임계값 이상이면 촬영동작을 정지하는 과정과, Stopping the photographing operation when the movement amount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set threshold as a result of the comparison; 상기 비교결과 상기 움직임량값이 상기 설정된 임계값 미만이면 촬영동작을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움직임을 이용한 촬영방법. And performing a photographing operation when the motion amount value is less than the set threshold as a result of the comparison.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움직임은 자이로센서를 이용하여 판단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움직임을 이용한 촬영방법.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movement of the portable terminal is determined using a gyro sensor.
KR1020040110736A 2004-12-22 2004-12-22 Method for photographing to use movement of the wireless terminal KR10067811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10736A KR100678110B1 (en) 2004-12-22 2004-12-22 Method for photographing to use movement of the wireless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10736A KR100678110B1 (en) 2004-12-22 2004-12-22 Method for photographing to use movement of the wireless termina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71759A true KR20060071759A (en) 2006-06-27
KR100678110B1 KR100678110B1 (en) 2007-02-02

Family

ID=371651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10736A KR100678110B1 (en) 2004-12-22 2004-12-22 Method for photographing to use movement of the wireless termina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78110B1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5377B1 (en) * 2007-02-28 2008-06-04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for continuosly photographing in portable terminal having camera module and apparatus thereof
KR20110032765A (en) * 2009-09-24 2011-03-30 삼성전자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service using a sensor and image recognition in portable terminal
US8223211B2 (en) 2007-12-06 2012-07-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nd recording medium storing a program for implementing the method
KR101324424B1 (en) * 2007-06-14 2013-11-08 삼성전자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taking pictures in a wireless terminal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5377B1 (en) * 2007-02-28 2008-06-04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for continuosly photographing in portable terminal having camera module and apparatus thereof
KR101324424B1 (en) * 2007-06-14 2013-11-08 삼성전자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taking pictures in a wireless terminal
US8223211B2 (en) 2007-12-06 2012-07-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nd recording medium storing a program for implementing the method
KR20110032765A (en) * 2009-09-24 2011-03-30 삼성전자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service using a sensor and image recognition in portable terminal
US9410810B2 (en) 2009-09-24 2016-08-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service using a sensor and image recognition in a portable terminal
US9915544B2 (en) 2009-09-24 2018-03-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service using a sensor and image recognition in a portable terminal
US10190885B2 (en) 2009-09-24 2019-01-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service using a sensor and image recognition in a portable terminal
US10578452B2 (en) 2009-09-24 2020-03-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service using a sensor and image recognition in a portable termin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78110B1 (en) 2007-0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169383B2 (en) Capture and user interface using night mode processing
US9565365B2 (en) Camera-based orientation fix from portrait to landscape
KR100703332B1 (en) Method for changing operation mode in wireless terminal
JP2007312039A (en) Mobile terminal with videophone function
KR100678110B1 (en) Method for photographing to use movement of the wireless terminal
EP3629560A1 (en) Full screen terminal, and operation control method and device based on full screen terminal
KR100678130B1 (en) Method for performing call in wireless terminal
KR20050042852A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isplay method using touch screen
KR100557184B1 (en) Method for displaying images in a terminal with a camera and two indications
KR101163228B1 (en) Mobile terminal with camera function and method for photographing thereof
KR20060136235A (en) Method for performing call in wireless terminal
KR100664154B1 (en) Method for displaying of picture move in wireless terminal
KR100513053B1 (en) Auto controlling method for previewing image data
KR100703346B1 (en) Device and method for photographing in wireless terminal
KR100697627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hotography using motion sensing
KR100557094B1 (en) Method for adjusting inverted image in display system
KR100663580B1 (en) Method for image display of mobile with digital camera
KR100584391B1 (en) Method for inputting the name of photographing images in wireless terminal
KR20080026732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of camera in terminal
KR100744344B1 (en) Method for processing an image data
KR100606010B1 (en) Method and device for preventing move in wireless terminal
CN112543279A (en) Display control method, display control device, storage medium and electronic equip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8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