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35377B1 - Method for continuosly photographing in portable terminal having camera module and apparatus thereof - Google Patents

Method for continuosly photographing in portable terminal having camera module and apparatus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35377B1
KR100835377B1 KR1020070020287A KR20070020287A KR100835377B1 KR 100835377 B1 KR100835377 B1 KR 100835377B1 KR 1020070020287 A KR1020070020287 A KR 1020070020287A KR 20070020287 A KR20070020287 A KR 20070020287A KR 100835377 B1 KR100835377 B1 KR 1008353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e
photographing
mobile terminal
shooting
subje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2028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동준
황순식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202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35377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53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537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67Camera operation mode switching, e.g. between still and video, sport and normal or high- and low-resolution m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7Focus control based on electronic image sensor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5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functional features of a camer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A consecutive photographing method of a portable terminal equipped with a camera function and a device thereof are provided to sense a degree of motion of the terminal during photographing, and to take a picture consecutively by resetting a camera mode according to the sensed degree of motion, thereby reducing an unnecessary auto focusing process. A camera unit(150) takes an object according to a camera mode. An operation sensor(195) senses a degree of motion of a portable terminal when the object is taken. In case of consecutive photographing for consecutively taking the object as the preset number of times, a controller(190) takes the object by changing the camera mode into an auto focusing mode if the motion of the terminal is sensed at more than preset sensitivity, and changes into a general mode if the motion is sensed at less than the preset sensitivity.

Description

카메라 기능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의 연속 촬영 방법 및 장치{Method for continuosly photographing in portable terminal having camera module and apparatus thereof}Method and apparatus for continuously photographing a mobile terminal having a camera function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구성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example of a configuration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촬영 모드 설정을 위한 화면 예. 2 is a screen example for setting a shooting mode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동작 정도를 감지하는 감도를 설정하기 위한 화면 예. 3 is a screen example for setting a sensitivity for detecting the degree of ope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촬영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4 is a view for explaining a recording method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촬영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 예. 5 is a screen example for explaining a photographing method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Portable Terminal)에 부가 기능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카메라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의 촬영 방법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dditional functions in a portable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a photographing method of a portable terminal having a camera function.

최근 들어, 휴대 단말기의 휴대의 편리함 및 배터리의 소형화 등에 힘입어 많은 부가기능들이 늘어나고 있다. 예를 들면, 휴대 단말기는 미리 저장해 놓은 음악이나 학습영어 등의 오디오 파일 및 비디오 파일을 청취할 수 있는 파일 재생 기능, 사물의 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카메라 기능, 움직이는 영상을 추적하며 촬영할 수 있는 비디오카메라 기능 등 다양한 부가기능의 옵션장치들을 장착하고 있다. 상기한 기능 중 카메라 기능은 휴대 단말기에 카메라 기능을 부가한 것으로, 휴대가 편리하며, 소형으로 제작됨과 아울러, 별도의 카메라 소지로 인한 불편함을 해소함으로써, 많은 이들에게 가장 널리 애용되고 있는 휴대 단말기의 부가기능으로 급부상하고 있다. Recently, many additional functions have increased due to the convenience of the portable terminal and the miniaturization of a battery. For example, a mobile terminal can be used to listen to audio files and video files such as music or learning English that are stored in advance, a camera function that can capture images of objects, and a video camera that can track and record moving images. It is equipped with optional devices with various additional functions such as functions. Among the above functions, the camera function adds a camera function to the portable terminal, which is convenient to carry, is made compact, and solves the inconvenience caused by having a separate camera, thereby being widely used by many people. It is emerging as an add-on to.

한편, 일반적인 카메라 등과 같은 촬영 장치에 있어서 포커싱(focusing)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Meanwhile, focusing in a photographing apparatus such as a general camera will be described below.

포커싱에는 카메라와 피사체간의 거리측정에 사용되는 시스템에 의해 여러 가지 방법으로 행해지고 있는데, 이러한 시스템을 크게 능동적 시스템(Active system)과 수동적 시스템(Passive system)으로 분류하고 다시 상기 능동적 시스템은 초음파 법, 적외선에 의한 포커싱 시스템으로 나뉘고 상기 수동적 시스템은 대비인식법과 눈동자 조절 오토 포커스 시스템으로 나뉜다.Focusing is carried out in various ways by the system used to measure the distance between the camera and the subject. The system is classified into an active system and a passive system. The passive system is divided into a contrast recognition method and a pupil adjustment auto focus system.

먼저, 능동적 시스템에 대해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초음파(Ultrasound)법은 초음파의 소리를 발사하고 난 뒤 그 반향이 돌아 올 때의 시간(round trip time) 지연을 측정하여 피사체까지의 거리를 계산한 다음 렌즈를 자 동으로 맞춰 포커스를 조절한다. First, the active system will be described. First, the Ultrasound method calculates the distance to the subject by measuring the delay of the round trip time after the sound of the ultrasound is emitted and then adjusts the focus by automatically adjusting the lens. do.

둘째, 적외선에 의한 포커싱 시스템은 렌즈를 움직이면서 적외선 빔을 통해 스캐닝시 빔이 피사체에 반사되어 적외선 감지기로 되돌아오면 상기 렌즈는 삼각법에 의해 포커스를 맞춘다. Secondly, the focusing system using infrared rays focuses the lens by trigonometry when the beam is reflected on the subject and returned to the infrared detector when scanning through the infrared beam while moving the lens.

다음은 수동적 시스템에 대해서 설명한다. 첫째, 대비 인식법은 렌즈에 연동하는 거울과 고정 렌즈 둘 다 동일한 이미지를 비지트로닉 모듈(Visitronic module)에 투사시켜 이미지를 합쳐서 렌즈에 포커스가 맞추어지고 셔터가 끊기는 시스템이다. The following describes the passive system. First, contrast recognition is a system in which both the mirror and the fixed lens linked to the lens project the same image onto the Visitronic module, which combines the images to focus the lens and to release the shutter.

둘째, 눈동자 조절 포커스 시스템은 파인더(finder) 내에 5개의 측거점을 수평으로 배치해서 핀트를 맞추고 싶은 피사체가 있는 임의의 측거점(focusing point)을 촬영자가 보는 것만으로 선택할 수 있는 포커싱이다. Secondly, the pupil-adjusted focus system is a focusing that allows the photographer to select an arbitrary focusing point with the subject to be focused by arranging five focusing points horizontally in the finder.

이에, 카메라 등과 같은 촬영기기는 전술한 바와 같은 포커싱을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는 오토 포커싱을 통해 촬영 시 최적의 초점을 맞춰 촬영할 수 있다.Thus, a photographing device such as a camera can capture the optimal focus at the time of shooting through auto focusing which can automatically perform the focusing as described above.

그러나 일반적인 카메라 기능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에 있어서, 움직임이 많은 피사체를 촬영할 경우 촬영 시간이 길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카메라 기능을 가지는 휴대 단말기의 오토포커싱(auto focusing)을 위한 시간을 줄이는 알고리즘적인 방법이 요구되고 있다. However, in a mobile terminal having a general camera function, there is a problem in that a shooting time is long when a subject having a lot of motion is photographed.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n algorithmic method for reducing the time for auto focusing of a mobile terminal having a camera function.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한 본 발명의 목적은, 오토포커싱 기능을 이용한 카메라 촬영 시 포커싱 시간을 단축하여 촬영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view of the above-described problems of the prior art is to provide a method capable of shortening the focusing time when photographing a camera using an autofocusing function.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기능을 가지는 휴대 단말기의 연속 촬영 방법은, 촬영 모드를 오토포커싱 모드로 하여 피사체를 촬영하는 과정과, 기 설정된 횟수만큼 상기 피사체를 연속 촬영하되, 각 촬영 마다 상기 휴대 단말기의 움직임 정도에 따라 상기 촬영 모드를 변경하여 촬영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The continuous shooting method of the portable terminal having a camera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process of photographing the subject using the shooting mode as the auto focusing mode, and the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the subject Taking a series of pictures, but taking pictures by changing the shooting mode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mobile terminal for each picture.

상기 연속 촬영하는 과정은, 상기 연속 촬영 시 상기 휴대 단말기의 움직임 정도를 감지하는 과정과, 상기 감지 결과, 상기 휴대 단말기의 움직임 정도가 기 설정한 감도 이상으로 동작하면 오토포커싱 모드로 촬영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The continuous shooting may include detecting the movement of the mobile terminal during the continuous shooting, and shooting in the auto focusing mode when the movement of the mobile terminal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set sensitivity. It is made to include.

상기 오토포커싱 모드로 촬영하는 과정은, 상기 피사체에 대해 오토포커싱을 수행하는 과정과, 상기 오토포커싱이 완료되면 상기 피사체를 촬영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The photographing in the autofocusing mode may include performing autofocusing on the subject, and photographing the subject when the autofocusing is completed.

한편, 상기 촬영하는 과정은, 반 셔터 입력을 감지하면, 상기 피사체에 대해 오토포커싱을 수행하는 과정과, 상기 오토포커싱이 완료되면 오토포커싱 완료를 사용자가 인지하도록 표시하는 과정과, 온 셔터 입력을 감지하면 상기 피사체를 촬영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On the other hand, the photographing process, when detecting the half-shutter input, performing the process of autofocusing on the subject, and when the autofocusing is completed, displaying the user to recognize the completion of autofocusing, and the on-shutter input And sensing the subject when the object is detected.

이때, 상기 표시하는 과정은, 램프, 진동, 소리, 및 상기 휴대 단말기의 표시부에 표시하는 방법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this case, the displaying process may be performed using any one or more of a lamp, a vibration, a sound, and a method of displaying on the display unit of the portable terminal.

상기 연속 촬영하는 과정은, 상기 연속 촬영 시 상기 휴대 단말기의 움직임 정도를 감지하는 과정과, 상기 감지 결과, 상기 휴대 단말기의 움직임 정도가 기 설정한 감도 미만으로 동작하면 일반 모드로 촬영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The continuous shooting may include detecting a movement degree of the portable terminal during the continuous shooting, and photographing in a normal mode when the movement degree of the portable terminal is less than a preset sensitivity when the continuous shooting is performed. It is done by

여기서, 상기 일반 모드로 촬영하는 과정은, 촬영 키 입력을 감지하면 상기 피사체를 촬영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촬영 방법. The photographing method of the mobile terminal may include photographing the subject when a photographing key input is detected.

상술한 상기 휴대 단말기의 움직임 정도를 감지하는 정도인, 상기 감도는 상기 휴대 단말기가 움직이지 않음을 감지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감도의 설정 범위는, 상기 감지할 수 있는 범위를 소정 수치로 정규화한 값을 제공하여 사용자에게 선택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Preferably, the sensitivity, which is a level of sensing the movement of the portable terminal, is set within a range in which the portable terminal can be sensed not to move. Here, the setting range of the sensitivity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user is selected by providing a value normalized to the predetermined range of the detectable range.

상기 촬영 모드를 변경하여 촬영하는 과정은, 기 설정된 촬영 횟수만큼 반복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hotographing process by changing the photographing mode may be repeated as many times as a preset photographing number.

상기 특정 모드는 오토포커싱 모드 및 일반 촬영 모드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오토포커싱 모드는 오토포커싱을 수행하는 모드이며, 상기 일반촬영 모드는 오토포커싱을 수행하지 않는 모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specific mode may be any one of an auto focusing mode and a normal photographing mode. The autofocusing mode is a mode for performing autofocusing, and the general shooting mode is a mode for not performing autofocusing.

상기 촬영한 촬영 사진을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촬영 사진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선택적으로 저장하는 과정을 더 포함한다.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displaying the taken photographed picture, and selectively storing any one or more of the taken photographs.

상기 촬영한 촬영 사진을 표시하는 과정은, 상기 촬영 시, 촬영 정보를 동시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displaying of the taken photographed picture may include displaying photographing information at the same time.

상기 촬영 정보는, 플래쉬 사용 여부, 플래쉬 밝기, 빛에 대한 감도, 조리개의 넓이, 및 셔터 스피드 중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hotographing information may be one or more of flash use, flash brightness, sensitivity to light, width of an aperture, and shutter speed.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연속 촬영 장치는, 촬영 모드에 따라 피사체를 촬영하는 카메라부; 상기 피사체 촬영 시 상기 휴대 단말기의 움직임 정도를 감지하는 동작 감지부; 및 상기 피사체를 기 설정된 횟수만큼 연속으로 촬영하는 연속 촬영 시, 각 촬영 마다 상기 휴대 단말기의 움직임 정도가 기 설정한 감도 이상으로 동작하면 상기 촬영 모드를 오토포커싱 모드로 설정하여 촬영하도록 상기 카메라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ontinuous photographing apparatus of a mobile terminal, including: a camera unit photographing a subject according to a photographing mode; A motion detector configured to detect a movement degree of the portable terminal when photographing the subject; And controlling the camera unit to set the shooting mode to an auto focusing mode when the movement of the mobile terminal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set sensitivity for each shooting during continuous shooting of continuously photographing the subject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control unit.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휴대 단말기의 움직임이 정도가 기 설정한 감도 미만으로 동작하면 상기 촬영 모드를 일반 모드로 설정하여 촬영하도록 상기 카메라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Herein, the controller controls the camera unit to set the photographing mode to a normal mode and photograph the photographing device when the movement of the portable terminal is less than a predetermined sensitivity.

상기 감도는 상기 휴대 단말기가 움직이지 않음을 상기 동작 감지부가 감지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감도의 설정 범위는, 상기 동작 감지부가 감지할 수 있는 범위를 소정 수치로 정규화한 값을 제공하여 사용자에게 선택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sensitivity may be set within a range in which the motion detection unit detects that the portable terminal does not move. The setting range of the sensitivity may be selected by the user by providing a value normalized to a predetermined value within a range detected by the motion detection unit.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오토포커싱 모드에서, 상기 피사체에 대한 초점 거리를 조절하는 오토포커싱을 수행하도록 상기 카메라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control unit may control the camera unit to perform autofocusing to adjust a focal length with respect to the subject in the autofocusing mode.

여기서, 상기 카메라부가 상기 피사체를 촬영한 촬영 사진을 표시하는 표시부; 및 상기 표시한 영상을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Here, the display unit for displaying the photographed picture taken by the camera unit the subject; And a storage unit which stores the displayed image.

여기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촬영 시진 및 촬영 정보를 동시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촬영 정보는, 플래쉬 사용 여부, 플래쉬 밝기, 빛에 대한 감도, 조리개의 넓이, 및 셔터 스피드 중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Here, the display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to display the shooting start and shooting information at the same time. The photographing information may be one or more of flash use, flash brightness, sensitivity to light, width of an aperture, and shutter speed.

여기서, 상기 카메라부는 기 설정된 횟수만큼 상기 피사체를 연속 촬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Here, the camera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tinuous shooting of the subject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이하,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촬영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a camera photographing method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기능을 가지는 휴대 단말기를, 이동통신 단말기로 예로 하여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휴대 단말기는 카메라 기능을 구비하는 단말기로써, 바람직하게는 이동통신 단말기, 이동 전화기, 개인 정보 단말기(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스마트 폰(Smart Phone), IMT-2000(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 2000) 단말기,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ervice) 단말기, 디지털 방송(Digital Broadcasting) 단말기, 노트북(Notebook) 및 퍼스널 컴퓨터(Personal Computer) 등과 같은 모든 정보통신기기 및 멀티미디어 기기와, 그에 대한 응용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자명할 것이다. Prior to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 mobile terminal having a camera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at is,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terminal having a camera function, preferably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 mobile phone,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a smart phone, an IMT. All information communication and multimedia devices such as 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 2000 (UMT) terminals, 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ervice (UMTS) terminals, Digital Broadcasting terminals, Notebooks, and Personal Computers, It will be apparent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the application.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개략적인 구성을 살펴보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구성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Hereinafter,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1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configuration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구성은, 무선통 신부(110), 오디오 처리부(120), 입력부(130), 저장부(140), 카메라부(150), 신호처리부(160), 영상처리부(170), 표시부(180), 및 제어부(190)로 이루어진다. Referring to FIG. 1, the configuration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an audio processing unit 120, an input unit 130, a storage unit 140, a camera unit 150, and a signal. The processor 160, the image processor 170, the display unit 180, and the controller 190 are included.

무선통신부(110)는 사용자 데이터 예컨대, 메시지 및 음성 등의 신호를 외부 다른 휴대 단말기 등으로 무선 송수신하는 일련의 통신을 담당한다. 무선 통신부(110)는 송신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 변환 및 증폭하는 RF(Radio Frequency) 송신기와, 수신되는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 변환하는 RF 수신기 등으로 구성된다. 제어부(190)로부터 받은 변조된 신호를 중간 주파수로 변환한 후 다시 고주파(RF) 신호로 변환하여 안테나를 통해 기지국으로 전송하며, 기지국으로부터 고주파 신호를 안테나를 통해 수신하여 이를 중간 주파수와 기저대역으로 순차적으로 변환하여 제어부(190)로 제공한다.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is responsible for a series of communication for wirelessly transmitting and receiving user data, for example, a message such as a message and a voice, to an external portable terminal.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includes an RF (Radio Frequency) transmitter for upconverting and amplifying a frequency of a signal to be transmitted, and an RF receiver for low noise amplifying and downconverting a received signal. The modulated signal received from the controller 190 is converted into an intermediate frequency, and then converted into a high frequency (RF) signal and transmitted to the base station through an antenna, and a high frequency signal is received from the base station through the antenna and is converted into an intermediate frequency and a baseband. Converted sequentially and provided to the controller 190.

오디오 처리부(120)는 제어부(190)에서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재생하거나 또는 마이크(MIC)로부터 입력되는 음성 등의 오디오 신호를 제어부(190)에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마이크(MIC)로부터 수신되는 아날로그 음성신호를 디지털 신호(PCM, Pulse code modulation)로 변환하여 이를 제어부(190)로 전달한다. The audio processor 120 reproduces an audio signal output from the controller 190 or transmits an audio signal such as a voice input from a microphone MIC to the controller 190. That is, the analog voice signal received from the microphone MIC is converted into a digital signal (PCM, Pulse code modulation) and transmitted to the controller 190.

또한, 제어부(190)로부터 들어오는 상대편 음성의 디지털 신호(PCM)를 가청의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스피커(SPK)로 보내는 역할을 한다. In addition, the digital signal PCM of the opposite voice coming from the control unit 190 is converted into an audible analog signal and serves to send to the speaker SPK.

입력부(130)는 숫자 또는 문자 정보를 입력받고 각종 기능들을 설정하기 위한 다수의 입력키들 및 기능키들을 포함한다. 상기 기능키들은 특정 기능을 수행하도록 설정된 방향키, 사이드 키 및 단축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입력부(130)는 사용자 설정 및 휴대 단말기의 기능 제어와 관련하여 입력되는 키 신호를 제어 부(190)로 전달한다. The input unit 130 includes a plurality of input keys and function keys for receiving numeric or character information and setting various functions. The function keys may include direction keys, side keys, shortcut keys, and the like, which are set to perform a specific function. In addition, the input unit 130 transmits a key signal input in relation to user setting and function control of the portable terminal to the control unit 190.

특히 입력부(130)는 카메라 촬영을 위한 단축키를 구비함이 바람직하다. 즉 일반 카메라의 셔터 역할에 대응하는 키를 휴대 단말기의 일 측면에 구비함이 바람직하다. In particular, the input unit 130 preferably includes a shortcut key for camera shooting. That is, a key corresponding to the shutter role of the general camera is preferably provided on one side of the portable terminal.

저장부(14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능 동작에 필요한 응용 프로그램을 비롯하여, 다운로드하는 콘텐츠 및 사용자에 의해 생성되는 사용자 데이터 등을 저장한다. The storage 140 stores an application program required for operating a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tores content to be downloaded and user data generated by a user.

저장부(140)는 프로그램 영역 및 데이터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그램 영역은 휴대 단말기를 부팅시키는 운영체제(OS, Operating System), 문자 메시지 등에 필요한 응용 프로그램, 휴대 단말기의 기타 옵션(options) 기능 예컨대, 카메라 기능, 이미지 또는 동영상 재생 기능 등에 필요한 응용 프로그램 등을 저장한다. 특히, 피사체의 동작을 감지하는 응용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The storage unit 140 may include a program area and a data area. The program area stores an operating system (OS) for booting the portable terminal, an application required for a text message, and the like, an application option required for the portable terminal, such as a camera function, an image or video playback function, and the like. . In particular, it stores the application to detect the motion of the subject.

저장부(140)는 소정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예컨대, 카메라 기능에 따른 응용 프로그램 실행 중에 발생하는 사용자 데이터(촬영 사진)를 일시 저장하는 하나 이상의 버퍼(buffer)를 포함할 수 있다. The storage 140 may include one or more buffers that temporarily store user data (photographed pictures) generated while executing an application, for example, an application program according to a camera function.

저장부(140)는 프로그램 영역 및 데이터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그램 영역은 휴대 단말기를 부팅(booting)시키는 운영체제(OS, Operating System), 문자 메시지 등에 필요한 응용 프로그램 등을 저장한다. 사용자 요청에 따라 상기한 각 기능을 활성화하는 경우, 제어부(190)의 제어 하에 해당 응용 프로그램들을 통하여 각 기능을 제공하게 된다. The storage unit 140 may include a program area and a data area. The program area stores an operating system (OS) for booting the portable terminal, an application program required for a text message, and the like. When activating each function according to a user request, each function is provided through corresponding application programs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90.

특히, 프로그램 영역에는 카메라 모드 시 피사체를 감지하고, 그 감지된 피사체의 포커스를 자동으로 맞추는 오토 포커싱에 대한 전반적인 프로그램들이 저장된다. In particular, the program area stores overall programs for auto focusing that detect a subject in camera mode and automatically focus the detected subject.

데이터 영역은 휴대 단말기 사용에 따라 발생하는 사용자 데이터가 저장되는 영역으로서, 카메라부(150)를 통해 촬영된 영상들이 저장된다. The data area is an area in which user data generated by using a mobile terminal is stored, and images captured by the camera unit 150 are stored.

카메라부(150)는 렌즈를 통해 촬상되는 피사체의 영상을 촬영하며, 촬영된 광학적 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카메라 센서를 구비한다. 여기서 카메라 센서는 CCD(Charge Coupled Device) 센서가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카메라 센서를 CCD 센서라고 가정한다. 또한, 카메라부(150)는 제어부의 제어 신호에 따라 측거점과의 초점을 맞추기 위해 렌즈를 이동시킨다. The camera unit 150 photographs an image of a subject photographed through a lens and includes a camera sensor that converts the photographed optical signal into an electrical signal. The camera sensor may be a CCD (Charge Coupled Device) sensor.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ssumed that a camera sensor is a CCD sensor. In addition, the camera unit 150 moves the lens to focus the focusing point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ler.

신호처리부(160)는 카메라 센서로부터 촬상되는 아날로그 영상신호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는 신호처리장치를 구비한다. 신호처리장치는 DSP(Digital Signal Processor)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The signal processor 160 includes a signal processor for converting an analog image signal captured by a camera sensor into digital data. The signal processing apparatus may be implemented as a digital signal processor (DSP), but is not limited thereto.

영상 처리부(170)는 신호처리부(160)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표시하기 위한 화면 데이터를 발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영상 처리부(170)는 제어부의 제어하에 수신되는 영상 신호 또는 카메라부(150)를 통해 촬영한 영상 데이터를 표시부로 전송한다.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영상처리부(170)는 카메라부(150)에서 출력되는 영상 신호를 프레임 단위로 처리한 후, 영상 데이터를 표시부의 표시 특성 및 크기에 알맞게 출력한다. 또한, 영상처리부(170)는 카메라부(150)에서 출력되는 영상 신호를 압축한 영상 데이터를 제어부(190)로 전송한다. 이러한 영상처리부(170)는 영상 코덱(CODEC)을 구비하며, 표시부(170)에 표시되는 영상 데이터를 설정된 방식으로 압축하거나 압축된 영상 데이터를 원래의 영상 데이터로 복원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영상 코덱은 JPEG 코덱, MPEG 코덱, 및 Wavelet 코덱 등이 이용될 수 있다. The image processor 170 performs a function of generating screen data for displaying an image signal output from the signal processor 160. The image processor 170 transmits the image signal received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or the image data photographed through the camera unit 150 to the display unit. In more detail, the image processor 170 processes the image signal output from the camera unit 150 in units of frames, and then outputs the image data in accordance with the display characteristics and the size of the display unit. In addition, the image processor 170 transmits the image data obtained by compressing the image signal output from the camera unit 150 to the controller 190. The image processor 170 includes an image codec and performs a function of compressing image data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70 in a set manner or restoring the compressed image data to original image data. The image codec may be a JPEG codec, an MPEG codec, a wavelet codec, or the like.

그리고 카메라부(150)에서 생성한 영상데이터를 프레임 단위로 처리하며, 프레임 영상 데이터를 표시부(180)의 표시 특성 및 크기에 맞추어 변환한다. 또한 상기 영상 처리부(170)는 상기 화상/영상 신호 등의 데이터 및 부가기능 실행에 따른 화면 데이터를 압축 및 신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연속 촬영 모드에서 카메라부(150)는 제어부(190)의 제어에 따라 기 설정된 횟수만큼 대상 피사체를 연속으로 촬영할 수 있다. The image data generated by the camera unit 150 is processed in units of frames, and the frame image data is converted according to the display characteristics and the size of the display unit 180. The image processor 170 also compresses and decompresses data such as the image / video signal and screen data according to execution of an additional function. In addition, in the continuous shooting mode, the camera unit 150 may continuously photograph the target subject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90.

표시부(180)는 영상처리부(170)에서 출력되는 영상 데이터를 화면으로 표시한다. The display unit 180 displays image data output from the image processor 170 on the screen.

표시부(180)는 휴대 단말기의 메뉴, 사용자가 입력한 사용자 데이터, 기능 설정 정보 및 사용자에게 다양한 정보를 시각적으로 제공한다. 표시부(180)는 액정표시장치(LCD, Liquid Crystal Display)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표시부(180)는 액정표시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장치, 영상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비디오 메모리 및 액정표시장치 소자 등을 구비할 수 있다. 만일 액정표시장치가 터치스크린(Touch Screen) 형태로 형성되면, 표시부(180)는 입력부(130)의 기능의 일부 또는 전부를 수행할 수 있다. The display unit 180 visually provides a menu of the portable terminal, user data input by the user, function setting information, and various information to the user. The display unit 180 may be formed of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In this case, the display unit 180 may include a control device for controlling the liquid crystal display, a video memory capable of storing image data,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the like. If the LCD is formed in the form of a touch screen, the display unit 180 may perform some or all of the functions of the input unit 130.

특히, 표시부(180)는 카메라 모드에서 피사체의 모습을 표시함으로써, 일반 적인 카메라의 접안렌즈의 역할을 한다. In particular, the display unit 180 displays the state of the subject in the camera mode, thereby serving as a general eyepiece of the camera.

제어부(190)는 휴대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 및 휴대 단말기의 내부 블록들 간 신호 흐름을 제어한다. The controller 190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and the signal flow between the internal blocks of the portable terminal.

즉, 제어부(190)는 무선통신부(110), 오디오 처리부(120), 입력부(130), 저장부(140), 카메라부(150), 신호처리부(160), 영상처리부(170) 및 표시부(180) 등의 각 구성 간의 신호 흐름을 제어한다. That is, the controller 190 includes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the audio processing unit 120, the input unit 130, the storage unit 140, the camera unit 150, the signal processing unit 160, the image processing unit 170, and the display unit ( 180) to control the signal flow between each component.

특히, 제어부(19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입력부(130)을 통해 카메라 모드키 혹은 카메라 모드키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메뉴 키와 확인 키에 의해 카메라 모드가 선택되면 카메라부(150)를 제어한다. 특히, 오토포커싱 모드에서는 자동으로 포커스를 맞추도록 카메라부(150)의 렌즈를 제어한다. In particular, the control unit 190 when the camera mode is selected by the menu key and the confirmation key to perform the same function as the camera mode key or the camera mode key through the input unit 1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mera unit ( 150). In particular, in the autofocusing mode, the lens of the camera unit 150 is controlled to automatically focus.

또한, 제어부(190)는 동작 감지부(195)를 구비한다. 동작 감지부는 동작 센서를 구비할 수 있다. 제어부(190)는 동작 감지부(195)를 통해 휴대 단말기의 움직임을 감지한다. In addition, the controller 190 includes a motion detector 195. The motion detector may include a motion sensor. The controller 190 detects the movement of the mobile terminal through the motion detector 195.

감지한 휴대 단말기의 움직임이 설정 범위 이내인지를 판단하고, 이에 따라 촬영 모드를 재설정한다.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detected movement of the mobile terminal is within the setting range, and the shooting mode is reset accordingly.

제어부(190)는 입력부(130)로부터 입력되는 입력 신호(예컨대, 키데이터)에 따라 휴대 단말기의 각 기능을 수행하며, 이러한 기능 수행에 따른 현재 상태 및 사용자 메뉴 등의 정보를 표시부(180)를 통해 표시한다. The controller 190 performs each func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input signal (for example, key data) input from the input unit 130, and displays the information about the current state and the user menu according to the performance of the display unit 180. Display through.

특히 제어부(190)는 전화 통화를 위한 음성신호 처리 시 오디오처리부(220)로부터 제공받은 PCM 음성신호를 채널 코딩(channel coding) 및 인터리 빙(interleaving)을 통해 변환한 후 변조하여 무선 통신부(110)로 제공하며, 무선 통신부(210)로부터 제공되는 음성신호를 복조, 등화(Equalization), 채널 디코딩(Channel decoding) 및 디인터리빙(Deinterleaving)을 거쳐 PCM 음성신호로 생성한 후 이를 오디오처리부(220)로 보낸다.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모뎀(MODEM) 및 코덱(CODEC)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코덱은 패킷 데이터 등을 처리하는 데이터 코덱과 음성 등의 오디오 신호를 처리하는 오디오 코덱을 포함한다. In particular, the controller 190 converts the PCM voice signal provided from the audio processor 220 through channel coding and interleaving and modulates the voice signal during the voice signal processing for the phone call. And generate the PCM audio signal through demodulation, equalization, channel decoding, and deinterleaving. Send to. In order to perform this function, a modem and a codec may be included. The codec includes a data codec for processing packet data and an audio codec for processing an audio signal such as voice.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휴대 단말기의 통신 모드에서의 동작을 살펴보면, 사용자가 입력부(130)를 이용하여 다이얼링 동작을 수행한 후 발신 모드를 설정하면, 제어부(190)는 이를 감지하고 입력되는 다이얼 정보를 처리한 후 무선통신부(110)를 통해 무선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이후 제어부(190)는 무선통신부(110)를 통해 수신되는 상대 가입자의 응답 신호(수화음)를 오디오처리부(120)를 통해 스피커(SPK)로 출력되도록 음성 통화로를 형성한다. 이에 따라 휴대 단말기는 통신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Looking at the operation in the communication mode of the mobile terminal having the configuration as shown in Figure 1, when the user performs the dialing operation using the input unit 130, and set the outgoing mode, the controller 190 detects this After processing the dial information is input is converted into a wireless signal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and output. Thereafter, the controller 190 forms a voice call path so that a response signal (receiving tone) of the counterpart subscriber received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is output to the speaker SPK through the audio processor 120. Accordingly, the mobile terminal can perform a communication function.

착신 모드에서는 제어부(190)는 무선 통신부(110)를 통해 착신 모드임을 감지하고, 오디오처리부(120)를 통해 링 톤(ring tone)을 발생시킨다. 이후 사용자의 응답(hook off) 시, 제어부(190)는 이를 감지하고, 마찬가지로 오디오 처리부(120)를 통해 음성 통화로가 형성되도록 하여 통신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In the incoming mode, the controller 190 detects the incoming mode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and generates a ring tone through the audio processor 120. After the user's response (hook off), the controller 190 detects this, and likewise allows the voice call path to be formed through the audio processor 120 to perform a communication function.

다음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모드에서의 오토포커싱에 대한 동작을 살펴보기로 한다. Next, operation of autofocusing in the camera mode of the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configuration as shown in FIG. 1 will be described.

먼저 카메라부(150)는 휴대 단말기에 장착되는 내장형 카메라를 포함하는 모 듈로서, 카메라부(150)는 CCD(Charge Coupled Device) 센서를 사용할 수 있다. 카메라부(150)에 촬영되는 영상은 제어부(190)의 제어 하에 최적의 포커스를 맞출 수 있도록 오토포커싱을 통해 상기 카메라부(150)에 제어 신호를 인가한다. 그러면, 카메라부(150)는 제어신호에 의해 렌즈를 이동시킨다. 그러면, 그 렌즈의 이동에 따라 최적의 포커스로 피사체를 촬영한다. First, the camera unit 150 is a module including a built-in camera mounted on the portable terminal. The camera unit 150 may use a charge coupled device (CCD) sensor. The image captured by the camera unit 150 applies a control signal to the camera unit 150 through autofocusing so as to focus optimally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90. Then, the camera unit 150 moves the lens by the control signal. Then, the subject is photographed with the optimum focus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lens.

그러면 신호처리부(160)는 카메라부(150)로부터 출력되는 영상 신호를 디지털 영상 데이터로 변환하여 영상 처리부(170)에 출력한다. 이후, 표시부(180)는 영상처리부(170)에 의해 처리된 디지털 영상 데이터를 표시한다. Then, the signal processor 160 converts the image signal output from the camera unit 150 into digital image data and outputs it to the image processor 170. Thereafter, the display unit 180 displays the digital image data processed by the image processor 170.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구성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이하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촬영 방법을 살펴보기로 한다. In the above, the configu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Hereinafter, a method of photographing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먼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는 카메라 기능 수행 시, 다양한 촬영 모드를 제공한다. 이러한 촬영 모드의 설정에 대해서 살펴보기로 한다. First,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provides various shooting modes when performing a camera function. The setting of the shooting mode will be described.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촬영 모드 설정을 위한 화면 예이다. 2 is a screen example for setting a shooting mode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카메라 모드에서 제어부(190)는 표시부(180)를 통해 카메라 모드의 하부 메뉴 리스트를 표시한다. 이때, 사용자가 촬영 모드 설정 메뉴를 선택하면, 제어부(190)는 이를 감지하여, 표시부를 통해 촬영 모드 설정 화면을 제공한다. In the camera mode, the controller 190 displays a lower menu list of the camera mode through the display unit 180. At this time, when the user selects the shooting mode setting menu, the controller 190 detects this and provides a shooting mode setting screen through the display unit.

이러한 화면 예를 도 2에 도시하였다. 도시된 바와 같이, 촬영 모드 설정 화면은 오토포커싱 모드, 일반 모드 및 자동 전환 모드를 표시하고, 대응되는 라디오 버튼을 통해 사용자로 하여금 선택하도록 한다. An example of such a screen is shown in FIG. 2. As shown, the shooting mode setting screen displays the autofocusing mode, the normal mode, and the automatic switching mode, and allows the user to select through the corresponding radio button.

오토포커싱 모드에서 휴대 단말기는 오토포커싱을 수행하며, 일반 모드에서는 휴대 단말기는 오토포커싱을 수행하지 않는다. In the autofocusing mode, the portable terminal performs autofocusing. In the normal mode, the portable terminal does not perform autofocusing.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동 전환 모드에서, 휴대 단말기의 움직임이 기 설정한 감도 이상으로 동작하면 촬영 모드를 오토포커싱 모드로 전환 또는 유지한다. 또한, 휴대 단말기의 움직임이 기 설정한 감도 미만으로 동작하면 촬영 모드를 일반 모드로 전환 또는 유지한다. In the automatic switching m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movement of the portable terminal operates at a predetermined sensitivity or more, the shooting mode is switched to or maintained in the auto focusing mode. In addition, when the movement of the portable terminal is less than the preset sensitivity, the shooting mode is switched to or maintained in the normal mode.

이러한 촬영 모드의 설정은, 촬영 모드로 들어가기 전에 설정할 수도 있고, 카메라 모드의 프리뷰 모드 수행 중에 도 2의 촬영 모드 설정 화면을 호출하여 설정할 수도 있다. The setting of the shooting mode may be set before entering the shooting mode, or may be set by calling the shooting mode setting screen of FIG. 2 during the preview mode of the camera mode.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동 전환 모드에서는 휴대 단말기의 움직임을 감지한다. 이하로는 이러한 움직임의 감도를 설정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As described above, the automatic switching mode detects the movement of the portable terminal. Hereinafter, a method for setting the sensitivity of the movement will be described.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움직임 정도를 감지하는 감도를 설정하기 위한 화면 예이다. 3 is an example of a screen for setting the sensitivity for detecting the degree of movement of th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동작 감지부(195)는 동작 센서를 구비한다. 이에 따라 제어부(190)는 촬영 시 동작 감지부(195)를 통해 휴대 단말기의 움직임 정도를 측정한 후, 그 동작의 정도에 따라 촬영 모드(오토포커싱 모드 및 일반 모드)를 재설정한다. 즉, 설정 감도 이상의 움직임을 감지하면 오토포커싱 모드로 유지 또는 전환하고, 설정 감도 미만의 움직임을 감지하면 일반 모드로 유지 또는 전환한다. The motion detector 195 includes a motion sensor. Accordingly, the controller 190 measures the movement degree of the mobile terminal through the motion detection unit 195 at the time of shooting, and then resets the shooting mode (auto focusing mode and normal mode) according to the degree of the operation. In other words, if it detects a motion above the set sensitivity, it maintains or switches to the auto focusing mode.

이때, 동작 센서의 동작 감지 감도가 너무 예민하게 설정되어 있다면, 촬영 모드가 항상 오토포커싱 모드로 수행하며, 그 반대의 경우, 항상 일반 모드의 촬영을 수행하게 된다. At this time, if the motion detection sensitivity of the motion sensor is set too sensitively, the shooting mode is always performed in the auto focusing mode, and vice versa, the shooting in the normal mode is always performed.

즉, 동작 센서의 감도가 너무 민감한 경우, 사용자가 휴대 단말기를 피사체에 고정하여 멈춰있다고 인식하는 상황을 동작 센서는 휴대 단말기가 움직인다고 감지할 수 있다. 또한, 감도가 민감하지 않은 경우, 동작 센서는 휴대 단말기가 실제로 움직이고 있는 상황을 감지하지 못할 수 있다. That is, when the sensitivity of the motion sensor is too sensitive, the motion sensor may detect that the mobile terminal is moving when the user recognizes that the mobile terminal is stationary and stopped. In addition, when the sensitivity is not sensitive, the motion sensor may not detect a situation in which the mobile terminal is actually moving.

이러한 이유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동작 센서가 감지하는 동작 정도의 감도를 설정할 수 있도록 한다. For this reason,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set the sensitivity of the operation degree detected by the motion sensor.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동작 센서의 감도 범위 설정은, 동작 센서가 휴대 단말기의 동작을 감지할 수 있는 범위를 정규화(normalize)하여 제공한다. Referring to FIG. 3, the sensitivity range setting of the motion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provides a normalization range for the motion sensor to detect the motion of the mobile terminal.

즉, 일정 범위의 수치로 정규화(예컨대, 1 내지 10)하여 동작의 감도로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선택하도록 한다. 여기서, 1 내지 10이라는 숫자는 동작의 감도를 나타내는 절대 값이 아니라 상대 값이다. 그러므로 상황에 따라 사용자에게 재설정하게 할 수 있도록 제공함으로써, 보다 나은 화질의 사진을 얻도록 할 수 있다. That is, the user is selected by normalizing (for example, 1 to 10) to a range of values and providing the sensitivity of the motion. Here, the numbers 1 to 10 are relative values, not absolute values indicating the sensitivity of the operation. Therefore, by providing the user to reset according to the situation, it is possible to obtain a better picture quality.

따라서 도 3과 같은 화면에서 사용자가 키 입력을 통해 정규화된 수치 중 어느 하나의 수치를 선택하고, 확인을 선택하면, 제어부(190)는 이를 감지하여, 선택한 수치를 반영한다. Therefore, when the user selects any one of the normalized values through a key input and selects OK on the screen as shown in FIG. 3, the controller 190 detects this and reflects the selected values.

이하로는 상술한 바와 같이 감도를 설정한 상태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촬영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a method of photographing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state where sensitivity is set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본 발명은, 연속 촬영 시, 휴대 단말기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휴대 단말기가 움직인 경우는 포커싱을 다시하고, 휴대 단말기가 움직이지 않은 경우에는 포커싱 과정을 생략하여 촬영 시간을 단축하기 위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horten the shooting time by detecting the movement of the portable terminal in the case of continuous shooting, if the portable terminal is moved again, if the portable terminal is not moved, omitting the focusing process.

즉, 휴대 단말기가 설정 감도 이상으로 움직이면, 촬영 모드가 일반 모드였다면 오토포커싱 모드로 전환하고, 촬영 모드가 오토포커싱 모드였다면, 오토포커싱 모드를 유지한다. 또한, 휴대 단말기가 설정 감도 미만으로 움직이면, 촬영 모드가 일반 모드였다면, 일반 모드로 유지하고, 촬영 모드가 오토포커싱 모드였다면, 일반 모드로 전환한다. 그런 다음, 필요에 따라 오토포커싱 모드 또는 일반 모드로 전환하여 다음 촬영시 필요한 모드로 변경하여 촬영한다. That is, when the portable terminal moves above the set sensitivity, the auto mode is switched to the auto focusing mode if the shooting mode was the normal mode, and the auto focusing mode is maintained if the shooting mode is the auto focusing mode. When the portable terminal moves below the set sensitivity, the shooting mode is kept in the normal mode if the shooting mode was the normal mode, and the mode is switched to the normal mode if the shooting mode is the auto focusing mode. Then, if necessary, switch to the auto focusing mode or the normal mode, and change to the required mode for the next shooting.

따라서, 오토포커싱 모드에서 계속해서 오토포커싱을 수행하여 촬영시간을 길게 가져가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또한, 오토포커싱이 필요한 촬영에서 오토포커싱 모드로 자동 전환하여 촬영할 수 있다. Therefore, it is possible to solve the problem of taking a long shooting time by performing autofocusing continuously in the autofocusing mode.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automatically switch to the auto focusing mode to shoot in the shooting where auto focusing is required.

이러한 방법은 연속 촬영 모드에서 효과적이다. 연속 촬영 모드는 피사체를 기 설정된 횟수만큼 연속으로 촬영하는 모드로써, 움직이는 피사체를 연속으로 촬영할 경우 주로 사용한다. This method is effective in continuous shooting mode. The continuous shooting mode is a mode in which a subject is photographed continuously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and is mainly used when photographing a moving subject continuously.

이하로는, 연속 촬영 모드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촬영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촬영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촬영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 예이다. 여기서, 휴대 단말기는 연속 촬영 모드로 설정되어 있다고 가정한다. Hereinafter, a recording method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continuous shooting mode will be described.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hotographing method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 screen example illustrating a photographing method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 it is assumed that the portable terminal is set to the continuous shooting mode.

도 4를 참조하면, 제어부(190)는 S401 단계에서 대기 모드 수행 중에 있다. 이러한 대기 모드 중에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카메라 모드를 선택하는 키 입력이 있으면, 제어부(190)는 S403 단계에서 이를 감지하여, S405 단계에서 카메라 메뉴 리스트를 표시한다. 이러한 화면 예를 도 5에 도시하였다. 도시한 바와 같이, "1. 촬영", "2. 앨범", "3. 촬영 모드 설정" 및 "4. 동작 감지 감도 설정" 메뉴를 표시한다. 이 밖에 다양한 메뉴를 제공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4, the controller 190 is performing the standby mode in step S401. If there is a key input for selecting a camera mode according to a user's selection during the standby mode, the controller 190 detects it in step S403 and displays a camera menu list in step S405. An example of such a screen is illustrated in FIG. 5. As shown, the menus "1. Shooting", "2. Album", "3. Shooting mode setting" and "4. Motion detection sensitivity setting" are displayed. In addition, various menus can be provided.

한편, 카메라 모드를 선택하지 않고, 다른 기능을 선택하면, 제어부(190)는 S405 단계에서 이를 감지하여, S407 단계에서 해당 기능을 수행한다. On the other hand, if the camera mode is not selected and another function is selected, the controller 190 detects this in step S405 and performs the corresponding function in step S407.

카메라 메뉴 리스트를 표시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1. 촬영" 메뉴를 선택하면, 제어부(190)는 S409 단계에서 이를 감지하여, S411 단계로 진행한다. 한편, 촬영 메뉴 이외에 다른 메뉴를 선택하면, S413 단계로 진행하여 해당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2. 앨범" 메뉴를 선택하면, 기 촬영한 사진의 리스트를 표시하는 앨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3. 촬영 모드 설정" 및 "4. 동작 감지 감도 설정" 메뉴를 선택하면,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촬영 모드 설정 또는 동작 감지 감도 설정을 수행할 수 있다. When the user selects the “1. Shooting” menu while displaying the camera menu list, the controller 190 detects this in step S409 and proceeds to step S411. On the other hand, if a menu other than the shooting menu is selected,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S413 to perform the corresponding function. At this time, if the "2. Album" menu is selected, the album function to display a list of the pre-recorded picture is performed. In addition, if the menu item "3. Set shooting mode" and "4. Set the motion detection sensitivity" is selected, 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S. 2 and 3, the shooting mode setting or the motion detection sensitivity setting may be performed.

S411 단계에서 제어부(190)는 프리뷰 모드(preview mode)를 수행한다. 프리뷰 모드에서 제어부(190)는 카메라부(150)를 통해 촬상되는 영상을 표시부에 표시한다. 프리뷰 모드에서 사용자는 표시부(180)를 통하여 피사체의 모습을 확인하고, 구도를 가늠해 본다. In step S411, the controller 190 performs a preview mode. In the preview mode, the controller 190 displays an image captured by the camera unit 150 on the display unit. In the preview mode, the user checks the shape of the subject through the display unit 180 and measures the composition.

이때, 사용자가 카메라부(150)의 렌즈를 촬영하고자하는 피사체로 향한 상태에서 촬영 키를 선택하면, 제어부(190)는 S413 단계에서 이를 감지하여, S415 단계에서 오토포커싱을 수행한다. 오토포커싱이 완료되면, 제어부(190)는 S417 단계에서 카메라부(150)를 통해 피사체를 촬영한다. In this case, when the user selects the photographing key in a state of facing the lens of the camera unit 150, the controller 190 detects it in step S413 and performs autofocusing in step S415. When autofocusing is completed, the controller 190 captures a subject through the camera unit 150 in step S417.

오토포커싱은 프리뷰 모드에서 표시부에 표시되는 피사체의 초점을 자동으로 맞추는 과정이다. 즉, 오토포커싱은 피사체인 측거점과 렌즈까지의 거리를 계측하여 렌즈를 앞뒤로 이동시키며 초점을 자동으로 맞추는 과정을 말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휴대 단말기를 움직이거나, 피사체가 움직인다면, S415 단계의 오토포커싱은 계속해서 반복 수행한다. Autofocusing is a process of automatically focusing a subject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in the preview mode. In other words, autofocusing is a process of automatically focusing by moving a lens back and forth by measuring a distance between a focusing point, which is a subject, and a lens. Therefore, if the user moves the portable terminal or the subject moves, autofocusing in step S415 is repeatedly performed.

이때, 촬영키가 반 셔터인 경우, 반 셔터 입력을 감지하면, 제어부(190)는 오토포커싱을 수행한다. 오토포커싱이 완료되면, 오토포커싱이 완료되었음을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는 방법으로 제공한다. 예컨대, 램프, 진동, 소리, 및 표시부(180)에 표시하는 방법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그러면, 사용자는 오토포커싱이 완료되었음을 인지하고 온셔터를 누름으로써 피사체를 촬영할 수 있다. In this case, when the photographing key is a half shutter, when the half shutter input is sensed, the controller 190 performs autofocusing. When autofocusing is completed, the autofocusing method is provided in a way that a user can recognize that autofocusing is completed. For example, a lamp, a vibration, a sound, and a method of displaying on the display unit 180 can be used. Then, the user can recognize that autofocusing is completed and can photograph the subject by pressing the on shutter.

촬영이 완료되면, 제어부(190)는 S419 단계에서 촬영 횟수가 기 설정된 촬영 횟수인지 판단한다. 상기 판단 결과, 촬영 횟수가 기 설정된 촬영 횟수이면, 제어부(190)는 S427 단계로 진행하고, 기 설정된 촬영 횟수 미만이면, 제어부(190)는 S421 단계로 진행하여 연속 촬영 기능에 따른 과정을 반복 수행한다. When shooting is completed, the controller 190 determines whether the number of shots is a preset number of shots in operation S419.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f the number of shots is a preset number of shots, the controller 190 proceeds to step S427. If the number of shots is less than the preset number of shots, the controller 190 proceeds to step S421 to repeatedly perform a process according to a continuous shooting function. do.

S421 단계에서 제어부(190)는 동작 감지부(195)를 통해 휴대 단말기의 동작 (움직임) 정도를 감지하여 휴대 단말기의 움직임이 기 설정된 감도 이상인지 또는 미만인지를 판단한다. S421 단계의 판단 결과, 휴대 단말기의 움직임이 기 설정한 감도 이상이면, 제어부(190)는 S425 단계에서 촬영 모드를 오토포커싱 모드를 유지한다. 그런 다음, 제어부(190)는 S415 단계로 진행하여 오토포커싱 모드 촬영 절차(S415, S417)에 따라 피사체를 촬영한다. 한편, S421 단계의 감지 결과, 휴대 단말기의 움직임이 기 설정한 감도 미만이면, 제어부(190)는 S423 단계에서 촬영 모드를 일반 모드로 전환한다. 그런 다음, 제어부(190)는 S417 단계로 진행하여 일반 촬영 모드 촬영 절차(S417)에 따라 피사체를 촬영한다. 이러한 이유로 연속 촬영 시, 휴대 단말기의 움직임이 없는 경우, 오토포커싱 과정을 한번만 거쳐 촬영할 수 있으므로, 오토포커싱 시간만큼 촬영 시간을 단축 할 수 있다. In operation S421, the controller 190 detects an operation (movement) degree of the mobile terminal through the motion detector 195 to determine whether the movement of the mobile terminal is greater than or less than a preset sensitivity.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n step S421, if the movement of the portable terminal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preset sensitivity, the controller 190 maintains the shooting mode in the autofocusing mode in step S425. Then, the controller 190 proceeds to step S415 to take a picture of the subject according to the autofocusing mode shooting procedures S415 and S417. In operation S421, when the movement of the portable terminal is less than the preset sensitivity, the controller 190 switches the shooting mode to the normal mode in step S423. Then, the controller 190 proceeds to step S417 to shoot the subject according to the normal shooting mode shooting procedure (S417). For this reason, during continuous shooting, when there is no movement of the portable terminal, the camera can take a picture through the autofocusing process only once, so that the shooting time can be shortened by the autofocusing time.

상술한 바와 같이, 기 설정된 촬영 횟수만큼 연속 촬영을 수행한 제어부는 S427 단계에서 리뷰 모드를 수행한다. 리뷰 모드에서 제어부(190)는 촬영된 영상을 임시 저장하고, 표시부(180)에 표시한다. As described above, the controller which has performed continuous shooting by the preset number of shootings performs the review mode in step S427. In the review mode, the controller 190 temporarily stores the captured image and displays it on the display unit 180.

이러한 연속 촬영의 리뷰모드에서는 촬영된 수만큼의 촬영 사진을 섬네일(thum-nail)을 통해 표시부(180)에 표시할 수 있다. 그러면, 사용자는 촬영 사진을 보고, 선택적으로 사진을 저장할 수 있다. In the review mode of the continuous shooting, as many shots as the shots can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80 through a thumbnail. The user can then view the photographed picture and optionally save the picture.

또한, 리뷰 모드에서, 제어부(190)는 촬영 시 적용한 촬영 정보를 촬영 사진과 함께 표시부(180)에 표시함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플래쉬(flash) 사용 여부 및 밝기, 빛에 대한 감도, 조리개(Aperture)의 넓이, 셔터 스피드(Shutter Speed) 등을 촬영 사진과 함께 표시함이 바람직하다. 사용자는 표시부(180)에서 사진을 확인 하고, 그 상태에 따라 사진을 저장하거나, 동작 감지를 위한 감도를 다시 설정할지를 결정할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review mode, the controller 190 preferably displays the photographing information applied at the time of photographing together with the photographed picture on the display unit 180. For example, it is preferable to display whether the flash is used and the brightness, the sensitivity to the light, the width of the aperture, the shutter speed, etc. together with the photographed picture. The user may check the picture on the display unit 180 and determine whether to save the picture or reset the sensitivity for motion detection according to the state.

사용자가 촬영 사진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선택하고 사진을 저장할 것이라는 키를 선택하면, 제어부(190)는 S429 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S431 단계에서 사진을 저장부(140)에 저장한다. If the user selects any one or more of the photographed pictures and selects a key to store the pictures, the controller 190 detects them in step S429, and stores the pictures in the storage 140 in step S431.

다음으로, 제어부(190)는 S433 단계에서 사용자가 촬영을 종료할 것인지 또는 계속할 것인지를 감지하여 계속하는 경우 S411 단계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 카메라 모드를 종료한다. Next, in step S433, the controller 190 detects whether the user ends or continues shooting and proceeds to step S411. Otherwise, the controller 190 ends the camera mode.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 예에 따르면, 연속 촬영 시 피사체의 동작 정도를 감지하여, 동작 정도에 따라 촬영 모드를 재설정함으로써, 불필요한 오토포커싱 과정을 줄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촬영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unnecessary autofocusing processes can be reduced by sensing the operation degree of the subject during continuous shooting and resetting the shooting mode according to the operation degree. Thus, the shooting time can be shortened.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spect to specific embodiments,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invention.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termined not only by the claims below, but also by the equivalents of the claims.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촬영 방법에 따르면, 촬영 시 휴대 단말기의 움직임 정도를 감지하여, 움직임 정도에 따라 촬영 모드를 재설정하여 연속 촬영하므로, 불필요한 오토포커싱 과정을 줄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촬영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따라서 휴대 단말기의 사용을 늘리는 이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camera photographing method of the mobil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d by the present invention, by detecting the degree of movement of the mobile terminal at the time of shooting, resetting the shooting mode according to the degree of movement to take continuous autofocusing process Can be reduced. Thus, the shooting time can be shortened. Therefore, there is an advantage of increasing the use of the mobile terminal.

Claims (16)

카메라 기능을 가지는 휴대 단말기의 연속 촬영 방법에 있어서, In the continuous shooting method of a mobile terminal having a camera function, 촬영 모드를 오토포커싱 모드로 하여 피사체를 촬영하는 과정과, Shooting the subject with the shooting mode set to auto focusing mode, 기 설정된 횟수만큼 상기 피사체를 연속 촬영하는 과정을 포함하며, Including continuously photographing the subject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상기 연속 촬영하는 과정은 The continuous shooting process 각 촬영 마다 상기 휴대 단말기의 움직임 정도를 감지하고, 감지한 결과에 따라 상기 촬영 모드를 변경하여 촬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연속 촬영 방법. The photographing method of the mobi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for detecting the degree of movement of the mobile terminal for each shooting, and to change the shooting mode according to the detected result. 청구항 1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연속 촬영하는 과정은, The continuous shooting process, 상기 연속 촬영 시 상기 휴대 단말기의 움직임 정도를 감지하는 과정과, Detecting the movement of the mobile terminal during the continuous shooting; 상기 감지 결과, 상기 휴대 단말기의 움직임 정도가 기 설정한 감도 이상으로 동작하면 오토포커싱 모드로 촬영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연속 촬영 방법. And sensing in the autofocusing mode when the movement degree of the portable terminal operates at a sensitivity higher than a preset sensitivity, as a result of the detection. 청구항 2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상기 오토포커싱 모드로 촬영하는 과정은, Shooting in the auto focusing mode, 상기 피사체에 대해 오토포커싱을 수행하는 과정과, Performing autofocusing on the subject; 상기 오토포커싱이 완료되면 상기 피사체를 촬영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연속 촬영 방법. And photographing the subject when the auto focusing is completed. 청구항 1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촬영하는 과정은, The process of photographing, 반 셔터 입력을 감지하면, 상기 피사체에 대해 오토포커싱을 수행하는 과정과, Detecting a half shutter input, performing autofocusing on the subject; 상기 오토포커싱이 완료되면 오토포커싱 완료를 사용자가 인지하도록 표시하는 과정과, When the autofocusing is completed, displaying the completion of autofocusing by the user; 온 셔터 입력을 감지하면 상기 피사체를 촬영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연속 촬영 방법. And photographing the subject when the on-shutter input is sensed. 청구항 4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4, 상기 표시하는 과정은, The displaying process, 램프, 진동, 소리, 및 상기 휴대 단말기의 표시부에 표시하는 방법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연속 촬영 방법. A continuous shooting method of a mobi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display using any one or more of the lamp, vibration, sound, and the method of displaying on the display unit of the mobile terminal. 청구항 1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연속 촬영하는 과정은, The continuous shooting process, 상기 연속 촬영 시 상기 휴대 단말기의 움직임 정도를 감지하는 과정과, Detecting the movement of the mobile terminal during the continuous shooting; 상기 감지 결과, 상기 휴대 단말기의 움직임 정도가 기 설정한 감도 미만으로 동작하면 일반 모드로 촬영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연속 촬영 방법. And detecting the image in a normal mode when the movement of the mobile terminal is less than a preset sensitivity.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6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or 6, 상기 감도는 The sensitivity is 상기 휴대 단말기가 움직이지 않음을 감지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연속 촬영 방법. Continuous shooting method of a mobi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setting within the range that can detect that the mobile terminal does not move. 청구항 7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7, 상기 감도의 설정 범위는, The setting range of the sensitivity is 상기 감지할 수 있는 범위를 소정 수치로 정규화한 값을 제공하여 사용자에게 선택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연속 촬영 방법. And the user is selected by providing a value normalized to the detectable range to a predetermined value.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촬영한 촬영 사진 및 촬영 사진에 대응한 촬영 정보를 표시하는 과정과, Displaying the photographed photographed photograph and photographing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photographed photograph; 상기 촬영 사진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선택적으로 저장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연속 촬영 방법. And continuously storing any one or more of the photographed photographs. 휴대 단말기의 연속 촬영 장치에 있어서, In the continuous shooting device of the mobile terminal, 촬영 모드에 따라 피사체를 촬영하는 카메라부; A camera unit for photographing a subject according to a shooting mode; 상기 피사체 촬영 시 상기 휴대 단말기의 움직임 정도를 감지하는 동작 감지부; 및 A motion detector configured to detect a movement degree of the portable terminal when photographing the subject; And 상기 피사체를 기 설정된 횟수만큼 연속으로 촬영하는 연속 촬영 시, In the continuous shooting to shoot the subject continuously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상기 연속 촬영의 각 촬영 마다 Every shot of the continuous shooting 상기 휴대 단말기의 움직임 정도가 기 설정한 감도 이상으로 동작하면 상기 촬영 모드를 오토포커싱 모드로 변경하여 촬영하고, If the movement degree of the portable terminal operates at a preset sensitivity or more, the shooting mode is changed to an auto focusing mode and the image is taken. 상기 휴대 단말기의 움직임 정도가 기 설정한 감도 미만으로 동작하면 상기 촬영 모드를 일반 모드로 변경하여 촬영하도록 상기 카메라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촬영 장치. And a control unit which controls the camera unit to change the photographing mode to a normal mode and photograph when the movement degree of the portable terminal is less than a preset sensitivity. 삭제delete 청구항 11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1, 상기 감도는 The sensitivity is 상기 휴대 단말기가 움직이지 않음을 상기 동작 감지부가 감지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연속 촬영 장치. And setting the mobile terminal within a range that the motion detection unit can detect that the mobile terminal does not move. 청구항 13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3, 상기 감도의 설정 범위는, The setting range of the sensitivity is 상기 동작 감지부가 감지할 수 있는 범위를 소정 수치로 정규화한 값을 제공하여 사용자에게 선택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연속 촬영 장치. And the user selects a range of values detected by the motion detection unit to a predetermined value so as to select the user. 청구항 11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1, 상기 카메라부가 상기 피사체를 촬영한 촬영 사진 및 촬영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 및 A display unit configured to display a photographed picture and photographing information of the camera unit photographing the subject; And 상기 표시한 영상을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연속 촬영 장치. And a storage unit for storing the displayed image. 삭제delete
KR1020070020287A 2007-02-28 2007-02-28 Method for continuosly photographing in portable terminal having camera module and apparatus thereof KR10083537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0287A KR100835377B1 (en) 2007-02-28 2007-02-28 Method for continuosly photographing in portable terminal having camera module and apparatus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0287A KR100835377B1 (en) 2007-02-28 2007-02-28 Method for continuosly photographing in portable terminal having camera module and apparatus thereof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35377B1 true KR100835377B1 (en) 2008-06-04

Family

ID=397701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20287A KR100835377B1 (en) 2007-02-28 2007-02-28 Method for continuosly photographing in portable terminal having camera module and apparatus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35377B1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31698A (en) * 1993-11-02 1995-05-19 Canon Inc Electronic still camera
KR970048898A (en) * 1995-12-20 1997-07-29 이대원 Zoom camera with variable focal length during continuous shooting and its control method
KR20060071759A (en) * 2004-12-22 2006-06-27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for photographing to use movement of the wireless terminal
KR20060090029A (en) * 2005-02-04 2006-08-10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the motion of camera
KR20060095788A (en) * 2005-02-28 2006-09-04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Apparatus and method for camera auto-focusing accordance with user movement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31698A (en) * 1993-11-02 1995-05-19 Canon Inc Electronic still camera
KR970048898A (en) * 1995-12-20 1997-07-29 이대원 Zoom camera with variable focal length during continuous shooting and its control method
KR20060071759A (en) * 2004-12-22 2006-06-27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for photographing to use movement of the wireless terminal
KR20060090029A (en) * 2005-02-04 2006-08-10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the motion of camera
KR20060095788A (en) * 2005-02-28 2006-09-04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Apparatus and method for camera auto-focusing accordance with user movement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62181B2 (en) Imaging device for capturing self-portrait images
KR101477178B1 (en) Portable terminal having dual camera and photographing method using the same
US8022982B2 (en) Camera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a camera system
US9357118B2 (en) Photograph prediction including automatic photograph recording with autofocus and method
CN113727016A (en) Shooting method and electronic equipment
KR20050033949A (en) Method for controlling auto zooming in the portable terminal
KR100689420B1 (en) Method for auto focusing in the mobile terminal
JP2004032442A (en) Mobile terminal and notification method thereof
JP3850113B2 (en) Digital electronic camera
JP2000156812A (en) Camera with communication function
KR101086403B1 (en) Method for controlling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and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adopting the method
KR100835377B1 (en) Method for continuosly photographing in portable terminal having camera module and apparatus thereof
JP2005005791A (en) Electronic camera
KR20050042852A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isplay method using touch screen
EP1589743A2 (en) Photographic control method and mobile terminal
JP2002369073A (en) Mobile wireless terminal
KR100813641B1 (en) Method of photographing in potable terminal
KR100697627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hotography using motion sensing
KR100689442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utilize half-pressing of the shutter in a mobile commnication terminal having camera module
JP4271545B2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control program for the same, and recording medium
JPH11136554A (en) Digital electronic camera
JP2010154013A (en) Camera, object capturing method, and program
JP4324733B2 (en) Image transmission apparatus, transmission control method, and transmission control program
JP4683117B2 (en) Camera with communication function
KR20010063189A (en) Captured image transmitting method in camera pho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7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