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71445A - 위치 기반 통신 지원 시스템 및 그 방법, 및 이를 위한휴대 단말기 - Google Patents

위치 기반 통신 지원 시스템 및 그 방법, 및 이를 위한휴대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71445A
KR20060071445A KR1020040109978A KR20040109978A KR20060071445A KR 20060071445 A KR20060071445 A KR 20060071445A KR 1020040109978 A KR1020040109978 A KR 1020040109978A KR 20040109978 A KR20040109978 A KR 20040109978A KR 20060071445 A KR20060071445 A KR 200600714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ation
subscriber
buddy
mobile terminal
z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099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12462B1 (ko
Inventor
최지희
Original Assignee
(주) 엘지텔레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엘지텔레콤 filed Critical (주) 엘지텔레콤
Priority to KR10200401099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12462B1/ko
Publication of KR200600714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714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24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2462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위치 기반 통신 지원 시스템 및 그 방법, 및 이를 위한 휴대 단말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통신 지원 시스템은, 가입된 휴대 단말기와 무선으로 접속되는 무선기지국; 소정 영역 내의 상기 무선기지국과 연결되어, 상기 영역 내의 휴대 단말기에 대한 위치를 등록하는 이동교환국; 상기 이동교환국으로부터 상기 휴대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위치정보에 대응하는 위치 코드를 생성하는 위치 서버; 상기 위치 코드를 수신하면, 상기 휴대 단말기의 식별코드에 대응하는 위치 필드에 상기 위치 코드를 기입하여 저장하고, 가입자로부터 소정 구역 내의 버디 리스트를 요청하는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가입자에 대해 미리 정해진 버디 그룹의 각 가입자의 위치 필드를 검색하여, 상기 가입자가 요청한 소정 구역에 대응하는 위치 코드를 가진 버디 리스트를 생성한 후, 이를 상기 가입자의 휴대 단말기로 전송하는 관리 서버; 및 상기 가입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버디 리스트에 속하는 버디와의 통신을 설정하는 통신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위치 기반, 버디 리스트, 위치 코드, 구역.

Description

위치 기반 통신 지원 시스템 및 그 방법, 및 이를 위한 휴대 단말기{SYSTEM AND METHOD FOR SUPPORTING LOCATION BASED COMMUNICATIONS, AND A CELL PHONE USED FOR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위치 기반 통신 서비스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위치 기반 통신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위치 기반 통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a 내지 도 4e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본 발명은 위치 기반 통신 지원 시스템 및 그 방법, 및 이를 위한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선택한 소정 구역 내에 위치한 버디들을 검색하여, 이들 버디들과 통신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 및 이를 위한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통신은 초기에는 각 휴대 단말기마다 부여된 전화번호 를 이용하여 호연결을 설정함으로써 개인간 음성통화만을 지원하는 형태였다. 그러나, 그 후 간단한 텍스트를 전송하는 문자전송 서비스가 상용화되고, 나아가 근래에는 휴대전화를 무전기처럼 사용하는 PoC(Push to talk Over Cellular) 서비스가 상용화되기에 이르렀다.
최근에는, 휴대전화를 이용한 인터넷 접속이 가능하게 되면서, 휴대전화를 이용한 채팅 서비스가 가능하게 되었을 뿐 아니라, 둘 이상의 사용자가 동시에 통화할 수 있는 다자간 통화 서비스도 가능하게 되었고, 휴대전화를 위치를 통해 특정 사용자의 위치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도 제공되고 있다.
이러한 기술기반을 바탕으로, 휴대전화를 이용한 다양한 서비스가 제안되고 있는데, 그 중에는 위치 기반의 불특정인과의 통화를 지원하는 서비스가 제안되어 있다. 이 제안된 서비스는 특정 가입자가 자신의 위치가 속하는 일정 구역 내의 다른 불특정 가입자들과 다자간 통화가 가능하도록 한 서비스로서, 사용자의 흥미유발과 특정 구역 내의 정보를 용이하게 얻을 수 있다는 효과를 내세우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서비스가 상용화되지는 않고 있는데, 왜냐하면, 우선 불특정인과의 통화가 흥미로울 수도 있지만, 다소 꺼려지는 면도 있고, 또 그러한 통화를 통해 특정 구역 내의 정보(예컨대, 그 지역에서 유명한 식당 등)를 얻는다는 것이 실제적으로 효과적이고 유용하지 않기 때문이다.
한편, 이러한 휴대전화를 이용한 다양한 서비스는, 휴대전화가 그만큼 현대인들의 생활에 밀접하게 퍼져있다는 것을 의미하고, 동시에, 이를 이용한 보다 다양하고 유용한 서비스의 제안이 요구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은 휴대전화를 이용한 새롭고 유용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위치를 기반으로 하는 목적의 통신을 행하고자 하는 경우에, 일일이 모든 버디에게 전화를 걸어 확인할 필요없이, 특정 구역 내의 버디와 용이하게 통신할 수 있는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의 달성을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위치 기반 통신 지원 시스템은,가입된 휴대 단말기와 무선으로 접속되는 무선기지국(BS:Base Station)과, 소정 영역 내의 상기 무선기지국과 연결되어, 상기 영역 내의 휴대 단말기에 대한 위치를 등록하는 이동교환국(MSC:Mobile Switchin Center)과, 상기 이동교환국으로부터 상기 휴대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위치정보에 대응하는 위치 코드를 생성하는 위치 서버와, 상기 위치 코드를 수신하면, 상기 휴대 단말기의 식별코드에 대응하는 위치 필드에 상기 위치 코드를 기입하여 저장하고, 가입자로부터 소정 구역 내의 버디 리스트를 요청하는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가입자에 대해 미리 정해진 버디 그룹의 각 가입자의 위치 필드를 검색하여, 상기 가입자가 요청한 소정 구역에 대응하는 위치 코드를 가진 버디 리스트를 생성한 후, 이를 상기 가입자의 휴대 단말기로 전송하는 관리 서버와, 상기 가입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버디 리스트에 속하는 버디와의 통신을 설정하는 통신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버디(buddy)라 함은, 가입자가 등록한 다른 가입자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다른 가입자의 ID(이름 또는 별칭)와 전화번호를 입력함으로써, 등록한 지인 이며, 일반적으로, 버디들의 공통된 관계에 따라 '가족', '친구' 등과 같은 버디 그룹을 정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위치 기반 통신 지원 방법은, 가입된 휴대 단말기의 위치를 파악하여, 각각의 휴대 단말기에 대한 위치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가입자로부터 소정의 구역 내의 버디 리스트를 요청하는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가입자에 대해 미리 정해진 버디 그룹에 속하는 가입자의 휴대 단말기에 대한 위치정보를 검색하여 상기 소정의 구역에 대응하는 위치 코드를 가진 버디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버디 리스트를 상기 가입자의 휴대 단말기로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가입자의 휴대 단말기로부터 상기 버디 리스트에 속하는 버디에 대한 통신 요청 신호가 수신되면, 해당하는 버디의 휴대 단말기와의 통신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위치 기반 통신 지원 시스템 및 그 방법에서, 상기 가입자가 요청한 소정 구역 내의 버디 리스트는, 상기 가입자의 현재 위치한 구역 및 상기 가입자가 지정한 구역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구역 내의 버디 리스트인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소정 구역은 행정 구역 상으로 구분된 구역에 대응하고, 상기 위치 서버는 상기 이동교환국에 부여된 코드를 상기 행정 구역에 따라 분류함으로써, 행정 구역에 대해 위치 코드를 부여하고, 상기 이동교환국으로부터 상기 휴대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행정 구역에 따른 위치 코드를 생성하는 것으로 구성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위치 기반 통신 지원 시스템 및 그 방법에 따르면, 상 기 통신 서버 및 상기 통신을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가입자의 요청에 따라 선택된 버디에 대한 PoC(Push to talk Over Cellular), 인스턴트 메시징 서비스, 또는 다자간 통화 서비스를 설정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위치 기반 통신 지원 시스템 및 그 방법에 따르면, 가입자가 버디 리스트에서 어느 한 이름을 선택하여 상세 위치정보를 요청하면, 그 요청에 따라 상기 위치 서버가 선택된 버디에 대한 상세 위치정보를 송출하여 상기 가입자의 휴대 단말기에 지도와 함께 그 위치가 표시되도록 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술한 위치 기반 통신 지원 시스템 또는 그 방법을 이용하기 위한 휴대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기는, 디스플레이부, 키패드, 무선 모듈, 및 마이콤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마이콤은, 사용자가 상기 키패드를 이용하여 위치 기반 통신을 선택하면, 상기 사용자로부터 미리 저장된 버디 그룹 중 어느 하나의 버디 그룹을 선택받고, 또 상기 사용자로부터 소정 구역을 선택받아서, 상기 무선 모듈을 통해 상기 위치 기반 통신 시스템과 접속하여 상기 소정 구역 내의 버디 리스트를 수신하고, 상기 버디 리스트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마이콤은, 상기 사용자의 구역 선택을 입력받기 위해, 상기 사용자의 현재 위치에 대응하는 마이존, 및 상기 사용자의 임의 선택을 위한 스페셜존의 두 가지를 토글(toggle) 메뉴로 출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사용자가 스페셜존을 선택한 경우에, 상기 마이콤은, 행정 구역에 따른 지역명의 입력 또는 선택을 위한 화면을 상기 디스플레이부로 출력하고, 상기 키패드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소정 구역을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마이콤은, 상기 사용자가 상기 버디 리스트에서 전체 또는 일부 버디를 선택하여, PoC(Push to talk Over Cellular), 인스턴트 메시징 서비스, 또는 다자간 통화 서비스를 요청하면, 상기 선택된 서비스의 설정을 위한 프로세스를 실행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마이콤은, 상기 가입자가 상기 버디 리스트에 포함된 버디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상세보기를 요청한 경우에, 상기 선택된 버디의 상세 위치정보를 수신하여 지도와 함께 그 위치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겠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위치 기반 통신 서비스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에서와 같이, 휴대 단말기(MT1~MT9)를 가진 가입자들이 A 구역~C 구역에 걸쳐 산재하여 위치하고 있다고 가정하자. 그리고, 이들 가입자들은 모두 예컨대, 동일 법인 멤버라든가, 친구, 또는 가족 등의 관계를 가진 하나의 버디 그룹에 속한다고 가정하자.
예컨대, MT1의 휴대 단말기를 가지고 있는 가입자가 이 버디 그룹에 속하는 버디들 중 자신이 위치한 구역(예컨대, A 구역) 내에 현재 위치한 버디들을 검색하 여 통신하기를 원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예컨대, A 구역에 있는 가입자는 자신의 친구 그룹에 속하는 친구들 중 자신과 가까이에 있는 친구들에게 만나고 싶다는 메시지를 전송하고 싶을 수 있다. 다른 경우라면, MT1의 휴대 단말기를 가진 가입자가 예컨대 보험사업자에게 사고발생신호를 한 경우에, 보험사업자로서는 자사의 직원 중에 해당 가입자와 동일한 구역 내에 있는 직원에게 즉시 출동할 것을 명령하고자 하는 경우가 있다.
종래의 경우라면, 이런 경우에 모든 친구 또는 모든 직원에 대해 메시지를 보내거나 통화를 시도하여 확인하여야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르면, A 구역 내에 위치한 버디들을 검색하여 예컨대, 이를 요청한 MT1의 휴대 단말기로 그 버디 리스트를 송출한다. 그러면, MT1의 휴대 단말기를 가진 가입자는 버디 그룹에 속하는 버디 중 자신과 동일한 구역(A 구역)에 있는 버디들의 리스트(본 예에서는 MT2 및 MT4)를 수신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은 가입자가 위치한 자신의 구역 내의 버디들만 검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MT1의 휴대 단말기를 가진 가입자는 B 구역, 또는 C 구역에 위치한 버디들의 리스트를 요청하여 수신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 후술하는 예에서, MT1의 휴대 단말기를 가진 가입자가 자신이 위치한 구역과 동일한 A 구역을 '마이존(My Zone)'으로, B 구역 또는 C 구역과 같이 가입자가 임의로 선택한 구역을 '스페셜존(Special Zone)'으로, 명명하여 설명한다.
본 예에서, B 구역의 버디 리스트는 MT5, MT7, 및 MT9를 포함하고, C 구역의 버디 리스트는 MT3, MT6, 및 MT8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렇게 입수한 버디 리스트를 가지고, 가입자는 그 전체 또는 일부를 선택한 후, 인스턴트 메시지를 전송할 수도 있고, PoC 콜을 할 수도 있다.
이러한 위치 기반 통신 지원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등록된 휴대 단말기의 현재 위치에 관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또는 적어도 일정주기마다 업데이트하여 가지고 있어야 하고, 또 구역에 따라 미리 정해진 위치 코드를 부여할 필요가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현을 위한 구체예를 가지고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겠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위치 기반 통신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본 발명은 기존의 이동 통신 시스템을 그대로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여기서는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모든 구성요소를 나열하지는 않고,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해 필요한 요소들을 중심으로 설명하겠다.
먼저,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가입된 휴대 단말기와 무선으로 접속되는 무선기지국(BS:Base Station)이 서비스 영역 전체에 걸쳐 산재되고, 일정한 영역 마다 이들 무선기지국(BS)과 접속되는 이동교환국(MSC:Mobile Switching Center)이 설치된다. 즉, 이동교환국(MSC)은 소정 영역 내의 무선기지국과 연결되어 해당 영역 내의 휴대 단말기에 대한 위치를 등록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이동교환국(MSC)마다 식별 코드를 부여하고, 해당 이동교환국이 커버하는 영역 내의 휴대 단말기에 대해서는 이동교환국의 식별 코드를 위치 코드로서 할당할 수 있다.
각 이동교환국(MSC)은 자신이 커버하는 영역 내의 휴대 단말기를 식별하여, 위치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위치 서버(LBS:Location Based Service)로 전송한다.
위치 서버는 이동교환국으로부터 휴대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수신하면, 이 위치정보에 대응하는 위치 코드를 생성한다. 위치 서버는 휴대 단말기의 ID와 위치 코드를 생성하는데, 위치 코드의 생성방법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방법이 가능하다. 예컨대, 이동교환국(MSC)의 단위로 구역을 정할 수 있는데, 이 경우에는 이동교환국 별로 위치 코드를 부여하면 된다. 그러나, 이동교환국의 단위로 구역을 정하는 경우에 가입자는 그 구역의 범위를 예측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특히, 가입자가 특정 구역을 임의로 정하는 경우(즉, '스페셜존'을 설정하는 경우)에 이를 입력하거나 선택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다.
따라서, 행정 구역에 따른 구역에 대해 위치 코드를 부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서는, 이동교환국(MSC)을 행정 구역에 따라 분류하여, 동일한 행정 구역에 속하는 이동교환국(MSC)에 의해 커버되는 휴대 단말기에 대해서는 동일한 위치 코드를 부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관리서버(GLMS:Group List & Management Server)는 위치 서버로부터 위치 코드를 수신하면, 휴대 단말기의 식별코드에 대응하는 위치필드에 이 위치 코드를 기입하여 저장한다. 그런 다음, 가입자로부터 소정 구역 내의 버디 리스트를 요청하는 신호가 수신되면, 이 가입자에 대해 미리 정해진 버디 그룹의 각 가입자의 위치 필드를 검색하여, 이 가입자가 요청한 소정 구역에 대응하는 위치 코드를 가진 버디들의 리스트를 생성한 후, 이것을 해당 가입자의 휴대 단말기로 전송한다.
예컨대, 관리서버는 이들 각 휴대 단말기의 ID와 이에 대응하는 위치 코드를 저장한다. 아울러, 가입자의 휴대 단말기에 대해 등록된 버디 그룹을 저장하고 있을 수도 있다. 버디 그룹의 등록은 예컨대 서비스 가입시에 지정한 후 정정가능하도록 할 수도 있고, 버디 리스트의 요청시에 가입자의 휴대 단말기에 저장된 버디 그룹의 정보를 전송받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가입자가 버디 리스트에서 전체 또는 일부를 선택한 후, PoC 콜, 인스턴트 메시징, 다자간 통화 등의 통신을 행할 수 있도록 하는 통신서버를 더 구비할 수 있다. 통신 서버는 상기 가입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버디 리스트에 속하는 버디와의 통신을 설정한다.
물론, 여기서의 통신서버라 함은, PoC 콜, 인스턴트 메시징, 다자간 통화 등의 통신을 실현하기 위한 모든 구성요소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이러한 통신은 종래에 이미 실현되고 있으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더라도 본 발명이 불명료하게 되는 것은 아니다. 본원 청구범위의 통신서버도 이러한 통신을 실현하기 위한 일체의 요소를 의미하는 것으로, 물리적으로 독립된 하나의 서버만을 한정하여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상술한 시스템을 이용한 위치 기반 통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가 도 3에 도시되어 있다.
위치 기반 통신 방법은 이미 상술한 설명으로부터 당업자라면 극히 용이하게 이해하겠지만, 이하에서는 개략적이고 대표적인 단계를 들어 설명하겠다.
본 실시예에서의 위치 기반 통신 방법은, 먼저 이동교환국(MSC)별로 가입된 휴대 단말기의 현재 위치를 파악한다(S10). 휴대 단말기의 위치를 파악하는 것은 종래에도 홈위치레지스터(HLR)의 개념으로 이미 실현되어 오고 있는 바, 그 구체적인 방법은 생략한다.
다음으로, 이동교환국별로 파악된 휴대 단말기의 현재 위치를 행정 구역 상으로 분류된 구역에 따라 대응하는 위치 코드를 생성하고 저장한다(S20). 위치 코드의 생성 및 저장은 일정한 주기마다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특정 가입자로부터 버디 리스트의 요청이 수신되는지 판단한다(S30). 이 경우, 해당 가입자의 ID(이것은 예컨대 전화번호 또는 그 전화번호와 링크된 코드일 수 있다)와 버디 그룹에 관한 정보(이것은 미리 등록되어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그리고 어느 구역('마이존'인 경우 해당 가입자의 현재 구역 또는 '스페셜존'인 경우 선택된 구역)에 대한 버디 리스트를 요청하는지의 정보를 수신한다.
다음으로, 수신된 요청과 정보를 기초로,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해당하는 버디 리스트를 검색한다(S40). 이것은 해당하는 버디 그룹에 속하는 가입자의 ID에 대해, 그 위치 필드에 기입된 위치 코드가 요청된 구역에 대응하는 위치 코드인지를 판별하는 것으로 실현될 수 있다.
다음으로, 이렇게 검출된 버디 리스트는 요청한 가입자의 휴대 단말기로 전송된다(S50).
이 후, 가입자는 버디 리스트에 나타난 버디들을 선택하여 통신을 행할 수 있는데, 아래에서는 가입자의 상술한 서비스 이용을 위한 휴대 단말기의 예시를 설 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4는 휴대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일반적으로 LCD창)를 통해 출력되는 화면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는 디스플레이부, 키패드, 무선모듈, 및 마이콤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사용자는 키패드를 통해 메뉴를 선택할 수 있고, 마이콤은 키패드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위치 기반의 통신 서비스를 위한 화면을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출력한다.
후술하는 예시는 예시에 불과한 것이고, 이를 위한 프로그램이, 예컨대 ROM과 같은 메모리에 저장되어 휴대 단말기 내에 장착되겠지만, 구체적인 프로그램의 예와 이를 저장하고 실행하는 방법은 아래의 설명으로부터 당업자가 극히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므로, 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는 것으로 한다.
사용자가 휴대 단말기의 키패드를 이용하여 메뉴를 통해 위치 기반 통신 서비스를 선택하면, 예컨대 도 4a와 같은 화면이 디스플레이된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이콤은 선택된 버디 그룹(가족 또는 친구)의 리스트를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한다. 도 4a의 화면에서는 구역을 선택할 수 있는 프레임도 동시에 출력하는데, 예컨대 '마이존(My Zone)'과 '스페셜존(Special Zone)'이 토글(toggle) 가능하도록 한 메뉴를 구성할 수 있다.
'마이존'은 사용자와 동일한 구역 내에 있는 버디를 검색하기 위한 것이고, '스페셜존'은 사용자가 임의의 구역을 지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도 4b는 사용자가 버디 그룹으로서 '친구'를 선택하고, 검색 구역은 '마이 존'을 선택한 경우의 화면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이 경우에, 휴대 단말기의 마이콤은 무선모듈을 통해 상기 도 2의 시스템에 접속한 후, 사용자의 현재 위치에 대응하는 구역과 동일한 구역에 위치한 버디를 검색하여 그 버디 리스트를 수신한다. 수신한 버디 리스트로부터 마이콤은 해당하는 버디 리스트를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한다. 사용자는 그 버디 리스트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통화를 '연결'하거나, 전체 또는 일부를 '선택'하여 메시지를 전송하거나, PoC 콜을 실행시킬 수 있다.
도 4c는 사용자가 버디 그룹으로서 '친구'를 선택하고, 검색 구역은 '스페셜존'을 선택한 경우의 화면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이 때, 마이콤은 사용자로부터 구역을 입력받기 위한 화면을 출력하고, 사용자의 입력을 기다린다. 구역의 입력은 예컨대 사용자가 키패드를 이용하여 행정 구역상의 이름을 입력하거나, 또는 행정 구역상의 이름을 나열하고 선택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4d는 구역을 '스페셜존'으로 선택한 후, '압구정'을 입력하여 구역을 특정한 경우의 결과 화면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이 경우에, 휴대 단말기의 마이콤은 무선모듈을 통해 도 2에 도시된 시스템에 접속한 후, '압구정'에 대응하는 위치 코드를 전송하고, 상기 시스템으로부터 '압구정'에 위치한 버디들의 버디 리스트를 수신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예컨대 소정의 구역 내의 버디 리스트에서 어느 특정 버디를 선택한 후, 그 버디의 상세 위치를 검색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4e는 특정 버디에 대한 '상세보기'를 선택한 경우에, 지도 상에 해당 버디의 위 치를 표시한 화면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즉, 사용자가 버디 리스트에 포함된 이름 중 어느 하나(예컨대, 도 4e에서의 '효리')를 선택하여 '상세보기'를 선택하면, 휴대 단말기가 선택된 이름의 ID(예컨대, 전화번호 등)를 위치 서버로 송출하고, 위치 서보는 해당 ID의 휴대 단말기의 상세한 위치정보를 사용자의 휴대 단말기로 송출한다. 사용자의 휴대 단말기는 수신한 상세한 위치정보를 기초로 지도와 함께 그 위치를 표시한다. 이로써, 사용자는 특정의 이름을 선택함으로써 지도상의 상세한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위치 기반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휴대 단말기의 동작을 예시하였는데, 도 4에 도시된 화면 구성은 예시적인 것으로서, 동일한 기능 및 동작을 행하면서 그 디자인적인 구성은 다르게 할 수 있다. 그러나, 그러한 디자인의 변경은 본 발명에 따른 기능 및 동작을 위한 것이라면, 당업자가 얼마든지 변형, 변경가능한 것이므로,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를 벗어나는 것이라 할 수는 없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가입자가 특정 구역에 위치한 버디를 검색할 수 있기 때문에, 예컨대, 사적으로는 자신과 동일한 구역에 있는 버디들과 통신하여 모임을 가질 수도 있고, 업무적으로는 동일 법인에 속하는 멤버들과 업무를 위한 통신을 하는 경우에 동일한 구역, 또는 특정 구역의 멤버와 용이하게 통신할 수 있게 된다. 업무적인 용도로서는, 예컨대, 자동차 고장 수리 서비스 등을 제공할 때에 고장 수리를 요청한 고객과 동일한 구역의 멤버를 검색하여 그 고객에게 출동하도록 하거나, 경찰이 범인을 추적하는 경우에 동일 구역 내의 경찰을 호출하여 협조를 구할 수 있게 된다. 물론, 이러한 용도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위치 기반의 통신을 이용한 다양한 이용이 가능할 것이고, 본 발명은 그러한 구체적인 활용방법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Claims (15)

  1. 가입된 휴대 단말기와 무선으로 접속되는 무선기지국(BS:Base Station);
    소정 영역 내의 상기 무선기지국과 연결되어, 상기 영역 내의 휴대 단말기에 대한 위치를 등록하는 이동교환국(MSC:Mobile Switchin Center);
    상기 이동교환국으로부터 상기 휴대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위치정보에 대응하는 위치 코드를 생성하는 위치 서버;
    상기 위치 코드를 수신하면, 상기 휴대 단말기의 식별코드에 대응하는 위치 필드에 상기 위치 코드를 기입하여 저장하고, 가입자로부터 소정 구역 내의 버디 리스트를 요청하는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가입자에 대해 미리 정해진 버디 그룹의 각 가입자의 위치 필드를 검색하여, 상기 가입자가 요청한 소정 구역에 대응하는 위치 코드를 가진 버디 리스트를 생성한 후, 이를 상기 가입자의 휴대 단말기로 전송하는 관리 서버 및
    상기 가입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버디 리스트에 속하는 버디와의 통신을 설정하는 통신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기반 통신 지원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입자가 요청한 소정 구역 내의 버디 리스트는, 상기 가입자의 현재 위치한 구역 및 상기 가입자가 지정한 구역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구역 내에 위치한 버디의 리스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기반 통신 지원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구역은 행정 구역 상으로 구분된 구역에 대응하고,
    상기 위치 서버는 상기 이동교환국에 부여된 코드를 상기 행정 구역에 따라 분류함으로써 행정 구역에 대해 위치 코드를 부여하고, 상기 이동교환국으로부터 상기 휴대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행정 구역에 따른 위치 코드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기반 통신 지원 시스템.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서버는, 상기 가입자의 요청에 따라 선택된 버디에 대한 PoC(Push to talk Over Cellular), 인스턴트 메시징 서비스, 또는 다자간 통화 서비스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기반 통신 지원 시스템.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서버는, 상기 가입자의 요청에 따라 선택된 버디에 대한 상세 위치정보를 송출하여 상기 가입자의 휴대 단말기에 지도와 함께 그 위치가 표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기반 통신 지원 시스템.
  6.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소정 구역 내의 버디를 검색하여 통신할 수 있도록 하는 위치 기반 통신 지원 방법으로서,
    가입된 휴대 단말기의 위치를 파악하여, 각각의 휴대 단말기에 대한 위치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가입자로부터 소정의 구역 내의 버디 리스트를 요청하는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가입자에 대해 미리 정해진 버디 그룹에 속하는 가입자의 휴대 단말기에 대한 위치정보를 검색하여 상기 소정의 구역에 대응하는 위치 코드를 가진 버디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버디 리스트를 상기 가입자의 휴대 단말기로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가입자의 휴대 단말기로부터 상기 버디 리스트에 속하는 버디에 대한 통신 요청 신호가 수신되면, 해당하는 버디의 휴대 단말기와의 통신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기반 통신 지원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가입자가 요청한 소정 구역 내의 버디 리스트는, 상기 가입자의 현재 위치한 구역 및 상기 가입자가 지정한 구역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구역 내에 위치한 버디의 리스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기반 통신 지원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휴대 단말기에 대한 위치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는, 행정 구역에 따른 구역에 따라 부여된 위치 코드를 저장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기반 통신 지원 방법.
  9. 제 6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을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가입자의 요청에 따라 선택된 버디에 대한 PoC(Push to talk Over Cellular), 인스턴트 메시징 서비스, 또는 다자간 통화 서비스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기반 통신 지원 방법.
  10. 제 6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입자가 상기 버디 리스트에 포함된 버디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상세한 위치정보를 요청한 경우에, 상기 선택된 버디의 상세 위치정보를 상기 가입자의 휴대 단말기로 송출하여 상기 휴대 단말기에 지도와 함께 그 위치가 표시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기반 통신 지원 방법.
  11. 제 1 항 또는 제 6 항에 기재된 위치 기반 통신 지원 시스템 또는 그 방법을 이용하기 위한 휴대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기는,
    디스플레이부와;
    키패드와;
    무선 모듈 및 마이콤을 포함하고,
    상기 마이콤은, 사용자가 상기 키패드를 이용하여 위치 기반 통신을 선택하면, 상기 사용자로부터 미리 저장된 버디 그룹 중 어느 하나의 버디 그룹을 선택받고, 또 상기 사용자로부터 소정 구역을 선택받아서, 상기 무선 모듈을 통해 위치 기반 통신 지원 시스템과 접속하여 상기 소정 구역 내의 버디 리스트를 수신하고, 상기 버디 리스트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콤은, 상기 사용자의 구역 선택을 입력받기 위해, 상기 사용자의 현재 위치에 대응하는 마이존, 및 상기 사용자의 임의 선택을 위한 스페셜존의 두 가지를 토글(toggle) 메뉴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가 스페셜존을 선택한 경우에, 상기 마이콤은, 행정 구역에 따른 지역명의 입력 또는 선택을 위한 화면을 상기 디스플레이부로 출력하고, 상기 키패드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소정 구역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4. 제 1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콤은, 상기 사용자가 상기 버디 리스트에서 전체 또는 일부 버디를 선택하여, PoC(Push to talk Over Cellular), 인스턴트 메시징 서비스, 또는 다자간 통화 서비스를 요청하면, 상기 선택된 서비스의 설정을 위한 프로세스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5. 제 1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콤은, 상기 가입자가 상기 버디 리스트에 포함된 버디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상세보기를 요청한 경우에, 상기 선택된 버디의 상세 위치정보를 수신하여 지도와 함께 그 위치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KR1020040109978A 2004-12-22 2004-12-22 위치 기반 통신 지원 시스템 및 그 방법, 및 이를 위한휴대 단말기 KR1007124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9978A KR100712462B1 (ko) 2004-12-22 2004-12-22 위치 기반 통신 지원 시스템 및 그 방법, 및 이를 위한휴대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9978A KR100712462B1 (ko) 2004-12-22 2004-12-22 위치 기반 통신 지원 시스템 및 그 방법, 및 이를 위한휴대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71445A true KR20060071445A (ko) 2006-06-27
KR100712462B1 KR100712462B1 (ko) 2007-04-27

Family

ID=371648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09978A KR100712462B1 (ko) 2004-12-22 2004-12-22 위치 기반 통신 지원 시스템 및 그 방법, 및 이를 위한휴대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12462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6637B1 (ko) * 2005-06-17 2007-06-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메신저방법, 기지국의 폰북리스트교환방법
KR100791765B1 (ko) * 2006-07-21 2008-01-03 (주) 엘지텔레콤 이동 통신망에서의 위치 기반 그룹 통화 제공 시스템과 그방법 및 이 시스템에 적용되는 이동통신 단말기
KR100934264B1 (ko) * 2007-07-20 2009-12-28 한국과학기술원 셀룰러시스템에서의 피투피통신그룹 설정시스템 및 방법과,피투피통신그룹을 이용한 피투피 통신시스템 및 방법
KR100969757B1 (ko) * 2007-07-09 2010-07-13 삼성전자주식회사 통신 시스템에서 피어 투 피어 통신 방법 및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4738B1 (ko) * 1999-12-29 2006-07-26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 통신 시스템의 멀티 채팅 서비스 방법
KR20040054065A (ko) * 2002-12-17 2004-06-25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그룹 통화 기능을 위한 이동 통신 시스템과 그 서비스 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6637B1 (ko) * 2005-06-17 2007-06-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메신저방법, 기지국의 폰북리스트교환방법
KR100791765B1 (ko) * 2006-07-21 2008-01-03 (주) 엘지텔레콤 이동 통신망에서의 위치 기반 그룹 통화 제공 시스템과 그방법 및 이 시스템에 적용되는 이동통신 단말기
KR100969757B1 (ko) * 2007-07-09 2010-07-13 삼성전자주식회사 통신 시스템에서 피어 투 피어 통신 방법 및 시스템
US9066324B2 (en) 2007-07-09 2015-06-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peer-to-peer communication in a communication system
KR100934264B1 (ko) * 2007-07-20 2009-12-28 한국과학기술원 셀룰러시스템에서의 피투피통신그룹 설정시스템 및 방법과,피투피통신그룹을 이용한 피투피 통신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12462B1 (ko) 2007-04-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591152C (zh) 组通信服务方法及其移动终端和组通信服务系统
CN100552666C (zh) 在移动终端中提供基于移动博客的区域社区服务的系统和方法
US20070037574A1 (en) Method and apparatus of a location-based network service for mutual social notification
CN101742639A (zh) 多终端位置共享方法及多终端位置共享系统
US20070149210A1 (en) Location-based services in wireless networks
EP1527637B1 (en) Method for enabling a location service client to contact a user of a mobile device
EP1516457B1 (en) Mechanism for establishing a communications group
CN104158568A (zh) 一种信息分享方法及终端
US9185183B2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location-based user information via a map
EP2347565B1 (en) Mobile communications methods and associated systems
US20070140439A1 (en) Method for presenting location information on a mobile terminal
CN104244223A (zh) 一种联系人查询方法及装置
CN104782100B (zh) 无线通信系统、无线通信终端及其操作方法
KR20040096331A (ko) 이동통신 단말기로 모바일 인스턴트 메신저 서비스를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US7205895B2 (en) Locating a wireless device
KR100712462B1 (ko) 위치 기반 통신 지원 시스템 및 그 방법, 및 이를 위한휴대 단말기
KR20000050088A (ko) 인터넷을 이용한 게시판 운용 서비스 방법
KR100598978B1 (ko) 통신망을 이용한 단축 다이얼 시스템 및 방법
US11805560B2 (en) Peer to peer communication system
KR100619810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 저장 방법
KR100917192B1 (ko)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것의 위치 정보 제공 방법
KR20000049897A (ko) 인터넷을 이용한 일정 관리 서비스 시스템 및 그 서비스방법
KR101583615B1 (ko) 이동 통신 단말기, 음성 안내 장치, 음성 안내 서비스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60057938A (ko) 위치기반서비스를 이용한 ptt 서비스 제공방법
KR100357305B1 (ko) Imt-2000 이동통신시스템에서 특파서비스 제공방법 및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3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2

Year of fee payment: 15